휠체어를 타고 오스트리아 비엔나에서 대중교통을 혼자 이용 가능할까?(Feat.실험카메라, 시민인터뷰)

  Рет қаралды 1,363,798

위라클 WERACLE

위라클 WERACLE

4 жыл бұрын

#위라클무브먼트 #오스트리아 #사회실험
여러분!
제가 교통안전공단으로부터 의뢰받아서
오스트리아 비엔나의 대중교통(버스, 지하철, 트램)을
혼자서 휠체어를 타고 이용해봤습니다!-실험카메라를 찍었어요!
그리고 지하철 엘리베이터가 고장나서 당황했었는데 ....
과연 어떻게 되었을까요?
그리고 오스트리아에 사는 현지 시민들과
인터뷰를 진행하고 학교도 방문했어요!
바로 확인하시죠!!
박위 인스타그램: / we_park
박진성 인스타크램: / js_park826
Contact me : weraclefactory@gmail.com
편집: 박진성, 박위
------------------------------------------------------------------
Home (feat. Constance) by Dylan Emmet / dylanemmet
Creative Commons - Attribution 3.0 Unported - CC BY 3.0
Free Download / Stream: bit.ly/home-feat-constance
Music promoted by Audio Library • Home (feat. Constance)...
Say Good Night by Joakim Karud / joakimkarud
Creative Commons - Attribution-ShareAlike 3.0 Unported- CC BY-SA 3.0
Free Download / Stream: bit.ly/2RzhBOn
Music promoted by Audio Library • Video

Пікірлер: 2 800
@puglin4025
@puglin4025 3 жыл бұрын
선진국은 그 나라의 국민이 만드는 것.
@user-dn6mo6wj2o
@user-dn6mo6wj2o 3 жыл бұрын
@@munter3712 ㅈㄴ 후진국인데?
@user-vc3vu9ci3l
@user-vc3vu9ci3l 3 жыл бұрын
@@munter3712 후짐
@user-vh5vk3js1v
@user-vh5vk3js1v 3 жыл бұрын
@MR HUNA 우리나라 군사력6위라고 알고있어용
@nelin3775
@nelin3775 3 жыл бұрын
@@user-dn6mo6wj2o 몇 위 부터 후진국인데? ㅋㅋㅋㄲ
@anthonydavis6039
@anthonydavis6039 3 жыл бұрын
@@user-vh5vk3js1v 자 2020년 한해간 군 경계실패 사건사고들입니다. 군사력6위는 오로지 최첨단무기, 병력숫자로 먹은거지 개개인 전투력으로 치면 꼴지안하면 다행일듯여
@fan-cp6wz
@fan-cp6wz 3 жыл бұрын
3:50 존나스윗해 진짜 윙크하는거봐 개설레
@bongbangbung
@bongbangbung 3 жыл бұрын
ㅎㅋㅎㅋㅎ 찡긋 귀여우심
@user-gz9fc2kf7r
@user-gz9fc2kf7r 3 жыл бұрын
저렇게 늙어가야하는구나를 알게 해주시네요
@user-eb6lq8ge3j
@user-eb6lq8ge3j 3 жыл бұрын
사귀던가
@user-lr1iu2gp2u
@user-lr1iu2gp2u 3 жыл бұрын
@@user-eb6lq8ge3j 닉넴은 나름 인정하는데 왜케 마음이 비뚤어졌니 안타깝게
@user-fy8ty5qf1u
@user-fy8ty5qf1u 2 жыл бұрын
@@somurphy3895 그러면서 지도 할꺼자나
@jin-xb9jf
@jin-xb9jf 3 жыл бұрын
가끔 "괜칞으시면 도와드려도 될까요? " 하고 물어봄 기분좋게 " 그럼 감사하죠~" 하시는분도 계시는데 좀 기분 나쁘다는 눈빛으로 혼자할수있다고 화내시는분이 계셨어요 그 이후로 좀 내가 도와주려고 하는게 실례인것 같다는 생각도 들고 외면하게 되더라구요
@jhj2656
@jhj2656 3 жыл бұрын
그건 아마도 본인이 도움받는 존재가 된다는것에 대한 부끄러움과 수치심 때문에 그런 반응을 보이신게 아닐까 싶습니다. 그렇다하여서 세진님의 행위가 잘못된것은 결코 아니니 너무 신경쓰지 않으셨으면 좋겠습니다😊
@Me_and_mark_do
@Me_and_mark_do 3 жыл бұрын
상대방 동의없이 한다면 실례가 되겠지만 이런식으로 물어본다면 전혀 무례하지않다고 생각해요!! 단지 도움이 필요하다면 도움을 주겠다는 동의를 구하는거니까요, 물론 상대방이 거절할 수도 있겠지만 도움이 필요한 상황에서 먼저 물어봐준다면 고마워할것같은데요?😊
@user-xk9cp3ee1s
@user-xk9cp3ee1s 3 жыл бұрын
말이쁘게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저는 시각장애인인데 눈을자세히보면 정상이아닌걸 알고 몇명사람들은 눈 왜그러냐고 물어봅니다 그분은 굉장히 안타까워하면서 불쌍한것처럼 말씀하시는데 장애인은 불행하다 불쌍한게 아니라 그분한테 조금 불편할뿐이지 저는 불행한 사람이 아니라고 말씀드렸어요 그분이 나쁜의도로 하신말씀은 아니지만 많은 장애인분들은 그런시선이나 동정을 받는거 싫어해요 자기를 불행한사람으로 만드는것 같아서 하지만 세진님처럼 그렇게 이쁘게 말해주시면 감사할것 같아요
@user-tx9oj2gh7f
@user-tx9oj2gh7f 3 жыл бұрын
저도 도움이 필요한 입장인데 어릴땐 제가 그 도움을 받을 줄을 몰라서 괜히 기분이 나빴던적 있었어요 당시에 제가 생각을 좀 꼽게 하던 것도 있고...지금은 좋은 마음으로 도와주시는걸 알아요! 혼자할수 있다고 화내신 분들도 사실 세진님이 좋은 마음으로 도와주시려고 했다는걸 알고 있을 거에요... 너무 속상해하지 않으셨으면 좋겠어요..!
@user-gx5pu8ie5t
@user-gx5pu8ie5t 3 жыл бұрын
“도와드려도 될까요”라고 묻는 거 보다는 “도움 필요하세요”라고 물으면 그런 분들이 기분 덜 나빠하시지 않을까요? 전자는 도움을 받아야하는 존재로 인식되었다는 전제가 깔려있는 질문이니까요
@square3982
@square3982 3 жыл бұрын
5:17 여기서 울컥하고 눈물터짐...
@user-fz8ui4le7n
@user-fz8ui4le7n 4 жыл бұрын
사회복지학 배웠을때 가장 기억에 남는 말이 “장애를 가지고 있는게 장애가 아니라 사람들이 몸이 불편한 사람들을 보는 그 시각이 장애다”라는 말이 아직도 기억나네요. 한국도 빨리 시민의식이 더 성장했으면 좋겠습니다 ㅠ
@YSCh01-xj8vz
@YSCh01-xj8vz 4 жыл бұрын
멋진 말이네요
@jang-gyulee206
@jang-gyulee206 4 жыл бұрын
조선시대에는 장애인들 군대면제와 그리고 결혼은 나라에서 해줬음 근데 장애에 대한 편견은 일제가 만듬
@lizkim1846
@lizkim1846 4 жыл бұрын
엥.. 그게 오히려 장애라는 말을 부정적으로 쓰는 것 아닌가요? 장애를 가진 분이 장애인이 맞죠. 여기서 문맥상 '몸이 불편한 사람들을 보는 그 시각'이라면 분명 편견 가득한 잘못된 시선을 뜻하는 것일텐데, 그게 장애라면 '장애'라는 단어를 오히려 부정적으로 쓴 기분이 듭니다. 편견이나 잘못된 의식을 장애라고 할 수는 없다고 생각해요. 일종의 정신병(포비아)으로 볼 수도 있겠으나 그런 의미로 하신 말씀은 아닌 것 같고, 혐오를 하는 본인들 스스로도 잘못됨을 어느 정도 인지하고 있을테니 어쩔 수 없는 장애와는 다른 것 같고요. 이 말이 어떻게 들릴지 조심스러우나 정말 편견이 없다면 장애인에게 장애인이라고 하는 것에 거리낌이 없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좋은 의도로 한 말씀인지는 잘 알겠으나 개인적인 생각 남기고 갑니다. 불쾌하셨다면 죄송합니다.
@chinaviruschinavirus8457
@chinaviruschinavirus8457 4 жыл бұрын
사회봇지... 사회복지사처우는 뒷전인데.무슨 복지임
@user-qm5wb8rl2u
@user-qm5wb8rl2u 3 жыл бұрын
저도 장애의 기준을 어디다 세울거냐는 교수님의 마음이 가슴에 남았어요(구철회 교수님) 안경을 안쓰면 글씨를 못읽는다? 시력 6.0만 사는 세상에서 다수가 2.0도 장애라고 하면, 그리고 모든 공공 기물을 시력 6.0 기준으로 한다면?나도 장애인이 되고 나도 비장애인에게 최적화된 공공기물을 이용하며 불편할 수 있다는 생각을 하면 지금 우리 사회가 얼마나 배려가 없는지 느껴지게 됩니다.
@danbeek
@danbeek 4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 허구한날 예산으로 멀쩡한 보도블럭 갈아엎고 깔지말고 기본부터 했으면.. ㅠ
@user-lp4rl6gw3g
@user-lp4rl6gw3g 4 жыл бұрын
진심 올해도 멀쩡한 보도블럭 다 뜯어서 갈아엎는거 보고 또 예산이 남아서 저 짓거리한다 싶었죠. 미친 것들. 그 돈으로 할 수 있는 일이 얼마나 많은데...
@seeitfar
@seeitfar 4 жыл бұрын
이래서 내가 펜대만 잡고 있는 사람들 제일 혐오해요.. 현실을 기준으로 뭔가를 계획해야지 계획을 기준으로 현실을 만드려고 하니
@cocov3374
@cocov3374 4 жыл бұрын
여러분 내년엔 코로나덕에 보도블럭도 못엎지싶습니다. 저도 길에 많은분들이 나오셔서 편하다니는 모습 보소싶네요^^
@user-gq7xj9wh7e
@user-gq7xj9wh7e 3 жыл бұрын
맞아요ㅜㅜㅜㅜㅜㅜㅜㅜㅜㅜㅜㅜㅜㅜ 진짜 속터져요
@thejejudogsoondoll
@thejejudogsoondoll 3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
@Ing_ing_22
@Ing_ing_22 3 жыл бұрын
와 힘 모아서 휠체어를 들고 내려간 다음 무심하게 갈길 가는 모습이 진짜 너무 멋있다 다들
@user-xc1tn1xx4j
@user-xc1tn1xx4j Жыл бұрын
그니깐요😢 저도 모르게 그 장면에서 울컥했네요
@user-um5dv7tk2g
@user-um5dv7tk2g Жыл бұрын
흴체어 내려주고 가는 장면에서 왜 눙물이 나죠?
@user-ho1ec1df2u
@user-ho1ec1df2u 3 жыл бұрын
버스가 기울어지는건 ㄹㅈㄷ다 친환경 이런거말고 우리나라도 기울이기 기능설치했으면
@seoh2567
@seoh2567 3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도 저상버스는 저 기능 있어요.
@user-er2we9jk3d
@user-er2we9jk3d 3 жыл бұрын
@@seoh2567 저상버스일 뿐이니까요..
@ktx3534
@ktx3534 3 жыл бұрын
친환경이런거라니요?
@joshua3964
@joshua3964 2 жыл бұрын
@@user-er2we9jk3d 저상버스는 낮은 버스만을 의미하는게 아니라 실제로 옆으로 더 낮게 기울어지는 기능도 있어요. 하지만 기울어진다고해서 휠체어를 탄 사람이 단독으로 쉽게 오르내리기는 힘들죠. 개인적으로는 기술적으로 좀더 발전해서 인도와 버스가 이어지는 다리를 자동으로 나오게할수 있으면 좋겠어요.
@freshlife4032
@freshlife4032 3 жыл бұрын
진짜..독일에 6년 간 살다가 한국에 들어와서 일상에서 가장 이상하다고 생각했던 부분이, 왜 길에 장애인이 이렇게 없지? 였어요. 몸이 불편한 사람이 없는 게 아니라 활동을 못 하는 걸 아니까 너무 속상 하더라고요. 최근 한국시민의 높은 의식에 대해 이야기 하지만 아직 바뀔 의식들이 많다는 걸 알아야해요. 유익한 영상입니다. 더 좋은 나라가 되도록 이런 부분들을 많이 알려주세요!
@lifeissooofun
@lifeissooofun 2 жыл бұрын
저두요..캐나다에서 한국 여행갈때마다 좀 이상했어요..
@user-ri9ug1lf6z
@user-ri9ug1lf6z 2 жыл бұрын
맞아요.. 몸 불편하신분들 진짜 많아요. 그런데 직업을 갖기도힘들고 돌아다니기도 힘들어서 다 집안에만 계신거같아요 한국은...
@ssxhyun
@ssxhyun 2 жыл бұрын
많이 부끄러워요 ㅋㅋ 한국에선 장애인 복지가 보장받지도 못하는데 군대남자들 때문에 지적장애인들 일자리가 하나 잃었네요
@giti7853
@giti7853 2 жыл бұрын
독일에서는 가스실등 독일이 한 추악한 행동을 독일의 어린이들에게 가르쳐서 잘못된 행동임을 가르친다고 하네요. 잘못된 것을 제대로 알려주는 것이 역사의 잘못을 반복하지않는 길이라고 생각되네요.
@user-em7ft2ec9u
@user-em7ft2ec9u 2 жыл бұрын
맞아요 호주에서도 기차역, 지하철역마다 엘리베이터가 입구주위 한대씩은 꼭 있어서 계단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고, 어떤 대중교통을 이용하던 기사님이 매번 휠체어용 판?? 같은걸 놔주시는데 아무도 시간 잡아먹는다고 뭐라고 안하고 신경도 안써요
@_jisuyu
@_jisuyu 3 жыл бұрын
2:42 기사분 표정이... 진짜 장애라서 불쌍해서 도와주고 흐뭇한 표정도 아니시고, 그렇다고 화난 표정도 아니시네요... 딱 표정이 진짜로 원래 당연한 것처럼 아무 말도 내색도 안하고 표정 하나 안변하고 열어주시는 모습이 전 신기해요... 한국에서는 도와줘도 불쌍한 사람이니까 당연히 도와줘야지 하면서 도와주는 느낌인데, 이건 정말 "그냥" 일적으로 다가가서 당연히 해야하는 것처럼 도와주시는거같네요;
@namecastle1366
@namecastle1366 3 жыл бұрын
외국에는 익숙한가봐요. 저는 장애인분들을 많이 못 봐서 보면 어색하던데
@namecastle1366
@namecastle1366 3 жыл бұрын
@@user-vl2dl4kq8c 제 젭 옆에 상가가있는데 심리언어센터가 있더라구요. 막 소리를 지르는데 안타깝기도 하고..ㅣ
@worldtrareport
@worldtrareport 3 жыл бұрын
ㅇㄱㄹㅇ
@user-ou6kh2xy9z
@user-ou6kh2xy9z 3 жыл бұрын
그냥 후문버튼 누르시는듯한 표정..
@user-jw1vk3ej9y
@user-jw1vk3ej9y 3 жыл бұрын
그쵸 때로는 동정심? 을 내비추는게 또 다른 차별이 되고 상처가 되기도 하니깐요..
@bunnybunnybottle3666
@bunnybunnybottle3666 3 жыл бұрын
나중에 누군가 "장애를 가진분을 도와 드린적이 있나요?" 물어보면 "아니요 없습니다" "다른분들이 먼저 도와주셔서요" 라고 말할수 있을 날이 오면 좋겠다
@user-ks5nw8hr1y
@user-ks5nw8hr1y 3 жыл бұрын
진짜 부럽네요 오스트리아..
@user-ml9ht3yf3i
@user-ml9ht3yf3i 2 жыл бұрын
누군가가 도와주지 않아도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시설이 마련되면 좋겠네요..
@user-dr7cg5tz3e
@user-dr7cg5tz3e 3 жыл бұрын
와... 5:30 부분이 저는 제일 놀랍네요. 이들에게 있어서는 이렇게 도와주는 것이 그냥 자연스러운 일상인 듯.. 아무렇지도 않게 쿨~한 퇴장.. 참 본받을 문화네요.
@suasuasuasuasuaus
@suasuasuasuasuaus 4 жыл бұрын
보도블럭이 제일 인상적이네요 .. 매해 구에서 정부지원금 더 받으려고 멀쩡한 보도블럭 갈아대는것도 볼때마다 화딱지 나는데.. 이왕이면 형태도 바꿨음 좋겠네요 ㅜㅜ
@WERACLE
@WERACLE 4 жыл бұрын
그부분 완전 공감🤣🤣🤣
@fruitgreen5256
@fruitgreen5256 3 жыл бұрын
정말요 진짜로 필요한 형태로 바꾸면 좋겠네요
@user-vn4zy4wu3c
@user-vn4zy4wu3c 3 жыл бұрын
공감돼요
@jinmoo3532
@jinmoo3532 3 жыл бұрын
보도블록을 까는 이유가 있어요... 아스팔트나 콘크리트로 다 깔아버리는거 한다고 하면 우리나라가 아마 제일 깔끔하고 빠르게 하겠지만 안하는 이유는 4계절이 뚜렷하고 특히 여름에 장마 태풍 집중호우시..비가 많이 오면 물이 갈때가 없어요.. 보도블록을 깔아야 그 사이 공극을통해 물이 지표면으로 스며들고..나머지 배수구로 들어가서 그 시간을 벌어주기 때문에 하수구 역류등을 어느정도 막을 수 있죠.. 보도를 아스팔트나 다 콘크리트로 깔아버림 자전거 유모차 휄체어등의 보행조건은 좋아지지만 땅 전체를 코팅하는거라 물이 갈때가 없어 큰비에 시내 곳곳 물난리나여.. 그래서 보도블럭을 깐다고 알고 있어요.. 대신 장애인분들의 실질적인 요구를 잘 반영하여 보도의 턱을 군데군데 낮춰줘야겠죠 ..
@MIN-ny1vk
@MIN-ny1vk 3 жыл бұрын
꼭 장애인을 특별하게 대우한다기보다는 사회에서 함께 살아가는 구성원으로 보는 게 느껴지네요. 어릴 때부터 장애인과 같이 생활하고 만나면서 자연스럽게 그들을 이해하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ivahio4164
@ivahio4164 2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는 빨리빨리 문화때문이 아니라 그냥 시민의식이 구린거지ㅋㅋㅋㅋ 특히 약자들한테 장애인들이 오죽하면 지하철 출근 시간대에 시위하겠냐 그것도 욕하는 사람들인데 ㅋㅋㅋ 외국인들이 가장 한국와서 충격받아하는게 약자들 대하는 태도보고 놀라는게 이해감 특히 장애인 관련해서는 한국 시민의식은 최악..
@marin4905l
@marin4905l 2 жыл бұрын
약강강약에 소수자 무시에 특화된 민족임 도로에서도 사고 시 크게 다치는 보행자를 차가 보호해야 하는데 거꾸로 차가 강하니까 약한 보행자가 기다리고 피해가라 마인드 ㅋㅋ
@rokacrown7024
@rokacrown7024 2 жыл бұрын
@@marin4905l 차대 사람사고면 무조건 차가 가해자라는 나라인데.뚜벅이 인증하는건가
@marin4905l
@marin4905l 2 жыл бұрын
@@rokacrown7024 1. 차대사람 사고면 무조건 차가 가해자? 이 세상에 무조건은 없음. 차 과실 0도 뜨는 경우 많음. 2. 차가 가해자라는 나라 라는 말은 사고 시 과실여부를 말하는 것일텐데 지금 누가 과실 여부 따지고 있는지? 차량운전자들의 보행자보호가 얼마나 안 지켜지고 있는지 말하고 있는 것임 애초부터 핀트가 아예 엇나간 말을 함과 동시에 그 엇나간 말도 틀린 말 ㅋㅋㅋㅋㅋ 뚜벅이 인증 드립 치기 전에 책이나 많이 읽길 바람 ㅋㅋ
@user-my5oo3px3q
@user-my5oo3px3q Жыл бұрын
​@@rokacrown7024 국평오같다 논지를 전혀못잡네 ㄷㄷ 차가 보행자배려를 안한다는말인데 갑자기 과실얘기ㅋㅋㅋ 틀딱인지 국평오인지 ㅋㅋㅋ
@user-wv2po6bt7y
@user-wv2po6bt7y 3 жыл бұрын
"한번도 도와준적이 없어요 문제가 없거든요" 미쳤다
@kimhanhee
@kimhanhee 3 жыл бұрын
저..또한 휠체어를 타고 다니는데요.. 너무나도 속상할때가 한두번이 아니였어요..특히..버스..지하철 엘리베이터는.. 일반인들이 당연히 타는 교통수단.. 겁이 나서 요즘은 자주 안나가지만.. 때론..친절하신 분들도 계셔요..그런분들이 계셔서 조금이나마 감사하며 하루 하루를 견뎌내고 있습니다.. 그냥 서로 조금만 양보하면 좋으실텐데.. 그거만 알아 주세요.. "장애인은 몸이 조금 불편할뿐 마음이 고장난 사람이야 말로 장애인"이라는거.. 왜..이 영상을 보고 있으니 눈물이 나는걸까요..
@Hayejin1
@Hayejin1 3 жыл бұрын
어찌보면 당연하고 자연스러워야 하는 일들이 감사하게 느낀다니 정말로 속상해요ㅜㅜ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함께 어우러진 사회가 되었으면 정말로 좋겠습니다
@kimhanhee
@kimhanhee 3 жыл бұрын
@@Hayejin1 감사합니다..언젠가는 그런날 분명히 올꺼에요..님 같은 분들이 계셔서..감사하고 고맙습니다..오늘 하루도 수고 많이 하셨습니다..😄
@LYcoco
@LYcoco 3 жыл бұрын
미안합니다 노력하겠습니다
@user-qz4os6wy3v
@user-qz4os6wy3v 3 жыл бұрын
시민의식이 조금이라도 더 나아질 수 있었으면 좋겠어요. 제가 그 첫 걸음이 되어보도록 노력해볼게요. 편견어린 눈으로 장애인을 보지 않는 세상이 왔으면 좋겠네요
@kimhanhee
@kimhanhee 3 жыл бұрын
@@user-qz4os6wy3v 감사합니다.. 행복한 주말 보내세요..🤭🤗
@grassuk
@grassuk 4 жыл бұрын
유튜브뿐만 아니라 TV에서 상영해도 될 것 같은 이 퀄리티...칭찬합니당 때로 우리는 장애에 대해 "틀린 게 아니라 다른 것이다"라는 교육을 받곤 하잖아요. 무의식적인 차별의 시작이 아닐까 되돌아보게 됩니다. 다른 것도 아닌, 평범한 사람. 비엔나 시민들의 이야기가 마음에 와닿네요. 제가 느끼는 박위님의 모습, 가치관, 행동도 다치기 전과 후, 다를 게 없거든요. 그냥 똑같은 박위! 위라클 채널을 통해 전달되는 메시지가 우리나라를 바꿔나가고 있는 것 같아요~~ 파이팅 브라더
@user-zg4cd8bs3s
@user-zg4cd8bs3s 4 жыл бұрын
욱아나 당신드 멋있다~~~~~
@migusda
@migusda 4 жыл бұрын
멋져~~ 목소리 지원되는것 같네 ㅋㅋㅋ
@kuromi8326
@kuromi8326 4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 장애에 대한 교육에 대해서는..틀린 것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이 있다는 생각에 그렇게 교육을 하는 게 아닐까 싶습니다..^^..
@kuromi8326
@kuromi8326 4 жыл бұрын
틀리지 않고 다르게 보는 단계가 된다면 그 다음으로 함께 하는 공동체로 나아가려 하지 않을까요 ㅎㅎ
@zza-ng
@zza-ng 4 жыл бұрын
전 "다르다"는 걸 인지해야한다고 생각해요 다르지만 잘못된 게 아님을. 신체 장애를 가진 이들에게 동정같은 불쌍하니 도와줘야지 가 아니라 약간의 배려와 기다려주는 여유를 가져줘야 한다고 생각하거든요 이상적인 해법을 찾는 건 참 어려운 일이네요
@zibega_go
@zibega_go 3 жыл бұрын
위라클님 너무 멋집니다. 이런 영상 재작해주셔서 너무 감사합니다. 우리나라도 얼른 인식이 개선되고 도로와 대중교통도 바뀌었으면 좋겠네요
@llilliillill
@llilliillill 2 жыл бұрын
도와주시고 다들 쿨하게 각자 갈 길 가시네요 진짜 괜히 선진국이 아니구나
@user-kv7zn9hx6w
@user-kv7zn9hx6w 3 жыл бұрын
선진국은 확실히 약자에게 대하는 자세를 보면 왜 선진국인지 알게된다.
@LOL-bz7tn
@LOL-bz7tn 3 жыл бұрын
배울 부분이 확실히 있고, 한국도 나아져가는 단계에 있지만 아직 부족한은 있죠.
@M1nSeo
@M1nSeo 3 жыл бұрын
@@user-ql8rv5oj7r ㄹㅇ
@user-eu6jx3dt7b
@user-eu6jx3dt7b 3 жыл бұрын
선진국은 국민들에게 대하는 자세를 보면 알수있죠 국가유공자들을 위해서 올드가드들을 세우고 군인들을 잘 대우해주죠 장애인들이나 노인 어린이 같은 노약자들을 위해서도 복지와 편의를 제공하고요....우리나라랑은 정말 다르죠
@monomonomo
@monomonomo 3 жыл бұрын
@현자 인정이요 이런 소국에서 이런 집단 이기주의라니 옆나라 대국들이 비웃을정도
@epqvin3811
@epqvin3811 3 жыл бұрын
@@LOL-bz7tn 우리나라는 더 안좋아졌는데? 예전에 실험카메라만 봐도 알지 전에는 잘 도와주고 했지 지금은 어때? 조금만 불편해도 지랄발광을 하는 사람들이 많고 이제는 무시하는 지경까지 더 안좋아졌는데 하도 사건이 많으니까 도와줘도 감빵 들어가거나 손해배상 겁나 물어주거나 요새 김치 마인드들이 많으니 거기다 도와줘도 아무말 없음 최소한 감사합니다 정도만 해도 다음에다른사람한테도 또 도와주고 싶고 그런 의욕이 드는데 걔들은 무슨 당연하다는듯이 받아들이는데 다음에 또 하고 싶겠음?
@user-vi6iz9zj8p
@user-vi6iz9zj8p 4 жыл бұрын
저희도 휠체어탑니다. 서울에서도 예의있게 도움을 요청해서 거절당한적은 한번도 없어요. 우리나라도 좋은나라입니다. 앞으로 더욱 선진화되길빕니다
@user-zb6po5go2m
@user-zb6po5go2m 3 жыл бұрын
서울은 장애인들이 살기엔 그나마 좋다고 들었어요 저는 통영에살고있는 휠체어장애인입니다 지방은 아직 멀었어요..
@user-hm8gu3oz2m
@user-hm8gu3oz2m 3 жыл бұрын
kzbin.info/www/bejne/nXjKfaCObseXgc0
@user-VirginHouse
@user-VirginHouse 3 жыл бұрын
'서울'만
@ktx3534
@ktx3534 3 жыл бұрын
@@user-zb6po5go2m 서울에서 버스에 사람많으면 내리는문으로 타는게 그냥자연스러운건데 부산에서 그렇게하잖아? 목욕탕에 옷입고들어가는 사람 보듯이봄 ㅡㅡ;
@user-or8kr5ko8b
@user-or8kr5ko8b Жыл бұрын
@@user-zb6po5go2m 저도 통영에 산 휠체어 타는 장애인인데 지금은 경기도로 이사 왔지만 딱히 통영에서 차별받은 기억은 없습니다 우리나라도 좋은나라 맞아요 빨리빨리 문화가 좀 여유로워진다면 더 발전될것입니다.
@user-bu3xk5qc1r
@user-bu3xk5qc1r 3 жыл бұрын
이런 국가가 게속 생겨야 합니다. 이 사회에선 불만과차별이 있는데 오스트리아에선 배려하는 마음이 깊네요 언젠간 가보고 싶어요 아직 초등학생이라서 기회가 잘 없지만 언젠간 이런 배려하는 사회가 생기면 좋겠습니다.
@ball3552
@ball3552 2 жыл бұрын
좋은 영상 너무 감사합니다🥰 현직 특수교사인데 늘 장애인식개선교육이 고민인데 이 영상으로 교육을 계획하고있어요~ 많은 걸 깨달을 수 있는 영상이네요!
@kevinyoung844
@kevinyoung844 4 жыл бұрын
장애인을 특별한 사람으로 대하는게 아니라 똑같은 사회구성원으로 대하는 태도가 몸에 배인듯 자연스럽네요 우리나라는 장애인을 동물보듯이 하는 따가운 시선때문에 많이 외출을 꺼려하는 경향이 있다고 합니다 편의시설뿐만 아니라 장애인에 대한 인식 개선도 되어야 하겠죠
@user-uz4jo9qq3c
@user-uz4jo9qq3c 4 жыл бұрын
저도 장애를 가지고 있는 사람인데 정말 인식개선이 되어야 된다고 생각해요 잘못된 배려로 다치는 경우도 있거든요 장애인인분이 괜찮다고 이야기 했는데 지켜보는 분이 보기에는 불편해 보였는지 도와주려하다가 다친적도 있고 할수 있는 것이고 전혀 문제 없음을 이야기했음에도 너는 안되라고 하는 경우나 또 반대로 장애가 있는 분은 내가 몸이 불편하니까 내가 먼저야 나는 그래도 되 하면서 배려를 당연하게 생각하시는 분들때문에 장애인을 안좋게 보는 경우도 있는것 같아요 사실 이런 문제를 자세히 들여다보면 여러가지 문제가 많은데 정말 특별한 사람으로 대하는게 아닌 사회구성원, 인터뷰내용에서 나왔던것처럼 아~그냥 지나가나보다 하는 그런 사회가 오기를 간절히 바랍니다.
@Kuyeah
@Kuyeah 4 жыл бұрын
영상 정말 감동입니다ㅠㅠ..👍🏻👍🏻
@love-sm9iq
@love-sm9iq 3 жыл бұрын
찐이자나요.....
@user-wt7ps5mg4h
@user-wt7ps5mg4h 3 жыл бұрын
손,.....추가여
@user-ip4xi7cg4b
@user-ip4xi7cg4b 3 жыл бұрын
원래 이게 정상인데.... ㅠ
@user-ub1zd4fe1j
@user-ub1zd4fe1j 3 жыл бұрын
ㄷㄷ
@user-up7pw7be7m
@user-up7pw7be7m 3 жыл бұрын
응한국 아니야 응 니 나라아니야
@jang-jun805
@jang-jun805 3 жыл бұрын
우와,, 정말 시민의식이 너무 바람직하네요.. 평소에 아무생각 없던것에 위라클 덕에 저도 앞으로는 몸이 불편하신 분들을 보면 저렇게 적극적으로 도와주고 다른 색안경을 쓰지 않도록 해야겠습니다. 영상 정말 감사합니다 🙌
@user-rt9mh3mx9i
@user-rt9mh3mx9i 2 жыл бұрын
마자요 , ,미국에 잇을때 버스에서 하루에도 수십번 이런일이 잇으니 무표정으로 기사분이 당연하듯이 올리고 내리시는데 감도받앗는데 우리나라도 빨리 그런날이 오기를 , ,위님이 정말 훌륭한 많은일을ㅇ 하시네요 , ,
@jin10041
@jin10041 4 жыл бұрын
와 이거보는데 눈물이 나네 이게 진짜 성숙한 문화다 장애를 가지고 있는사람들을 도와주는게 당연하다고 생각하는 저런나라 저게 진짜 선진국이다 장애시설 억지로 만들어서 보여주기식 대한민국 실제로 실천하는 오스트레일리아 사람들 진짜 인식에차이고 문화에 차이고 교육에 차이인걸 느끼네요
@soso-mu4vt
@soso-mu4vt 4 жыл бұрын
한국살면서 휠체어타신분 몇번 본적이없는것 같아요....그만큼 돌아다니기에 힘든환경이라는거겠죠 누구나 겪을수있는일인데 아직도 인식부분에서도 생활부분에서도 너무 미흡해서 마음이아프네요. 좋은영상 감사합니다. 한국도 점점 저렇게 될겁니다.
@fb6123
@fb6123 4 жыл бұрын
so so 오죽하면 외국인들이 한국에는 장애인들이 없나봐요 ? 질문 하더이다.
@user-nm7zi3qq3r
@user-nm7zi3qq3r 4 жыл бұрын
진짜 맞다.
@seeitfar
@seeitfar 4 жыл бұрын
본질이 아니라 사회 시스템과 교육만 바뀌면 한세대만에 가능함 본질을 잘못 보시는 것 같은데?
@studiobiondaparis2136
@studiobiondaparis2136 4 жыл бұрын
유럽사는데 한국이 훨씬 편해요. 유럽엔 진짜 시설이 낙후되서 계단도 못다니고 대부분의 버스도 못타요. 길가에 시각장애인용 도보블럭도 없고 계단에 에스컬레이터도 없어요
@jiyoungheo3580
@jiyoungheo3580 3 ай бұрын
그냥 같이 사는 삶이란 걸 교육이 아니라 생활에서 자연스럽게 배우는 거 같아요. 베를린에 4년 정도 살았는데 베를린이면 그래도 나름 유럽에서 바쁜 도시인데더 다들 마음에 여유가 있어요. 느려도 다그치지 않고 남을 돌아보는게 특별하지 않고 당연한. 우리 사회가 그런 방향으로 가는데 위님이 정말 큰 일을 하시는듯.
@user-uc3bt5nc2k
@user-uc3bt5nc2k 2 жыл бұрын
배리어프리를 꿈꾸며 , 위님 의미있는 일 하십니다. 꼭 기적이 일어나시길 바랄게요 !
@noboksoon7591
@noboksoon7591 4 жыл бұрын
영국여행중인데 진짜 놀란게 런던 윈터원더랜드에는 진짜 높이가거나 속도가 빠른 놀이기구가 많은데 다 휠체어도 탈 수 있게 돼있는데 통수한대 맞은기분이였지..
@yeon0219
@yeon0219 4 жыл бұрын
트랩부분에서 저도 기사분 표정이 별로다...하고있었는데 그분들이 휠체어타는분들과 타지않는분들을 동등하게 보기때문에 굳이 남자에게 남자가 친절할필요없다이기에 표정이 저렇다라는말에 아!!하게되네요 인도에 블록형식이아니란거에도 놀라움이!!
@cus627
@cus627 4 жыл бұрын
ㄴㄴ귀찮아하는 표정맞음ㅋ
@seeitfar
@seeitfar 4 жыл бұрын
관심법 쓰세요? 남 생각 엄청 잘 읽나보네 님은 마구니가 가득 낀 것 같으니 뚝배기 깨야 할듯
@user-km3ye9cc8m
@user-km3ye9cc8m 4 жыл бұрын
저도 표정보고 그 생각 했는데 동등하게 봐서 그렇다는걸 듣고나니 제 생각이 부끄러워지네요
@chaewooli
@chaewooli 4 жыл бұрын
미국에서도 그래요~ 장애인 한 사람이 휠체어 타고 무용수업에 왔는데 단 한명도 그 사람을 특별대우 안하고, 그냥 똑같이 대해요. 굳이 배려라면 그 사람 주위 공간을 조금더 여유있게 주는 정도,,
@user-rn4cv1ht9n
@user-rn4cv1ht9n 4 жыл бұрын
@@seeitfar ㅋㅋ ㄱㅅㄹ
@user-wp4tv4lv1d
@user-wp4tv4lv1d 2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 국민 모두가 보아야 할 영상! ㅠ
@serah9605
@serah9605 2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도 제발 ... 쓸데없이 보도블럭 1년에한번 갈아치우지말고 그돈으로 장애인 시설이나 좀 휠체어 아니어도 나도 습관적으로 다리를 접질려서 잘걷지 못할때가 많은데 그때 너무 힘들어요 한다리만 못써도 불편한점이 많은데 저게 선진국이죠
@user-du1he4jj2v
@user-du1he4jj2v 4 жыл бұрын
19년 장애아이를 키우면서 끊임없이 배려없는 현실과 싸우며 살고있는 엄마네요~~~ 즐겁게 잘구독해 보고있어여~~~빵터지는 영상과 센스있는 영상과 오늘처럼 절 슬프게(사실 부러운거져~~ㅋ부러우면 지는건데~크~~) 만드는영상.. 요즘 젤 최애하는 유튜버 박위군~~지금처럼 위트있는 삶 홧팅♡♡
@HughParkCoreano
@HughParkCoreano 4 жыл бұрын
와 오스트리아 사람들 잔짜 친절하네요.. 위 형 최근에 세바시 보고 처음 알게됐습니다.. 저도 1년 반 전에 경추 신경을 다쳐서 왼쪽 몸 감각 마비랑 몸 일부분에 운동마비가 있어요.. 저도 운동 좋아하고 했어서.. 기존에 당연히 하던것들을 못하는게 참 슬프고 우울하더라구요. 완전히 전신 마비가 오신 형님의 고통엔 전혀 비할게 못되지만 그래도 저도 성격이 위형이랑 비슷한 편이라 잘 버티며 살고 있씁니다. 얼마전 우연히 세바시 강연을 보고 그냥 눈물이 나오더라구요. 정말 존경하고 멋있습니다 형님. 좋은 에너지 받고 위라클 영상 정주행 하고 있습니다 ㅎㅎ 앞으로도 밝은 모습으로 도전하는 모습 계속 지켜볼게요 ㅎㅎ 둘다 어서 완전히 몸이 돌아왔으면 좋겠네요 ! 건강하세요!
@grassuk
@grassuk 4 жыл бұрын
응원합니다!! 멋지세요 구독했습니다!ㅋㅋㅋ
@london_fog
@london_fog 4 жыл бұрын
휴팍님! 멎진분이십니다 더욱더 완전하게 회복되시길 기도합니다 힘내세요
@HughParkCoreano
@HughParkCoreano 4 жыл бұрын
런던포그 말씀 정말 감사합니다 ㅠㅠ
@user-uk8ic2vd5w
@user-uk8ic2vd5w 3 жыл бұрын
응원합니다. 행복한 일만 가득하시길
@user-vn4zy4wu3c
@user-vn4zy4wu3c 3 жыл бұрын
응원해요멋있고 제가몸이 불편하면 불편한점이있는데 도전해서멋있어요 몸건강하고기원해요
@user-ld7hf9tm4p
@user-ld7hf9tm4p 2 жыл бұрын
배려가 아닌데.. 당연한건데..
@user-cb1hs5yn6v
@user-cb1hs5yn6v Жыл бұрын
맞아요. 당연한 것.
@AA-jy3tc
@AA-jy3tc Ай бұрын
뭔 헛소리를. 남을 돕는건 당연한게 아니라 배려임.
@user-zs1qf7jl3m
@user-zs1qf7jl3m 3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 사회도 이랬으면 좋겠네요.. 모두가 존중하고 편하게살수있는 사회가 꼭오길 빌고 실천하겠습니다. Weracle 꽃길만 걸으세요
@junkim3636
@junkim3636 4 жыл бұрын
와 휠체어 있다고 말해주는 신사분 개 멋있다
@ssong-
@ssong- 4 жыл бұрын
현재 초등학교에서 근무중인 장애학생들을 가르치는 특수교사입니다. 현재 우리 나라의 정책도 통합교육을 펼치고 있고 실제 특수학교보다 특수학급이라는 곳에서 부분통합되어 학습하고 있는 학생들이 훨씬 많습니다. 다만 부러운 부분은 학교 내에서 별도의 장애관련교육을 하지 않는다는 것이 가장 부럽네요. 개인적으로 전반적인 교육정책이 이렇게 가야 아이들이 자연스럽게 받아들일 수 있다고 생각하고, 아이들에게 장애라는 선을 긋는 순간 우리와 다른 존재라고 받아들이게 된다고 생각하거든요. 실제로 저학년까지의 아이들은 그냥 친구로 잘 지내는데 그걸 깨는 게 교사와 학부모들이에요. 너랑 달라. 너가 참아야 해, 너가 도와줘야 해. 걔는 잘 모르니까. 라며 장애인을 도와줘야 할 사람으로 인식하고, 그렇게 교육시키며 아이들이 클 수록 장애인은 스스로 할 수 없는, 우리가 도와줘야 하는 우리와 다른 존재로 만들더라구요. 저렇게까지 가려면 얼마나 많은 시간이 걸릴까 매우 부럽습니다ㅜㅜ 지금이 아이들이 부모세대가 돼야 하는 건 아닐까? 싶기도 합니다ㅜㅜ 저는 마지막 부분에 도와줘본 적이 없다는 남자분 인터뷰가 제일 기억에 남네요. 누군가 도움주지 않아도 장애인 스스로가 주체적으로 살아갈 수 있는 환경이 구축돼있다는 것이니까요. 개인적으로 매번 엘리베이터, 화장실 장애인 전용으로 만들지 말아야한다. 우리나라 이런 정책 잘못됐다. 장애인만을 위한 거라고 생각하니 변하지 않는 거고, 휠체어의 접근성이 높다는 건 다른 사람도 편하다는 거다. 이런 식으로 접근해야 한다. 라고 주장하는데 그 모습을 너무나도 잘 보여준 영상이 아닌가 싶습니다. 정부에서 이 영상을 보고 꼭 변화했으면 좋겠습니다. 좋은 영상 감사드려요!
@Tanghuru888
@Tanghuru888 4 жыл бұрын
장애인에 대해서 필요할 때 도움을 줘야 한다고 교육하는 것은 마땅하고, 당연한겁니다. 다만 도와줄 때의 마음가짐 같은 것에 대해서 교육이 좀 필요하리라 생각됩니다. 물론, 도움을 받는 장애인들도 마음가짐에 대한 교육이 같이 이루어 져야 하리라 생각하구요... 우리나라의 경우는 오스트리아 같은 상황으로 가는 과정에 있는 중이라 생각합니다. 우리의 국민성이 그들 보다 못하지 않으니..., 시간이 지나면 저들과 같이 행동하는 사회가 될 것이라 생각합니다.
@user-md8dl5pu1z
@user-md8dl5pu1z 4 жыл бұрын
@@Tanghuru888 국민성이 부족한게 한두개가 아니죠... 고치려면 한세기는 걸릴것같네요..
@pippi_longstocking
@pippi_longstocking 4 жыл бұрын
얼마전 여기 위라클님 영상에 붙은 댓글인가 생각나네 어떤 초딩이 장애인 친구를 두고 엄마한테 그랬다네. 같이 갈땐 그냥 기다려주는거라고. (도와주는게 아니라)
@user-fw2hl5vc6n
@user-fw2hl5vc6n 4 жыл бұрын
특수학급, 특수교사라는 표현도 정말 마음에 들지 않아요.
@user-md8dl5pu1z
@user-md8dl5pu1z 4 жыл бұрын
@@user-fw2hl5vc6n 장애인학급이 더 옳바르겠네요
@jessicak1519
@jessicak1519 3 жыл бұрын
지하철 계단에서 휠체어를 들어서 옮겨 주시는데 뭉클 했습니다. 몇년전 여행때도 꼭 다시 오리라 다짐할 만큼 자연 경관도 좋았고, 시민들도 친절 했어요. 사랑해요 오스트리아.
@user-if1sk3ff9b
@user-if1sk3ff9b Жыл бұрын
오스트리아 살고있는데요. 휠체어뿐 아닙니다 유모차도 저렇게 해줘요... 당연한듯이 다들 도와주고 어디든 문잡아주고 그럽니다 유모차가지고 트램타면 다른곳에 있다가도 문여는 버튼 눌러주려고 뛰어와서 대신눌러주고 이런분들 진짜 많아요 자리 비켜주는건 더 당연히 해주고요 너무 고마운 오스트리아분들 ... 가끔 트램에 휠체어 타시는분이 타고 내릴때 보통 사람들 타고 내릴때보다 시간이 더 걸리고 대기시간이 있지만 누구하나 불평하거나 인상쓰는사람 없이 당연한듯이 기다립니다
@jw7686
@jw7686 4 жыл бұрын
멀쩡한도로 뒤엎지말고우리나라는 인도재정비가 시급하죠 작년에 다리부러지고 휠체어 잠시이용했는데 인도로가기엔 위험하죠 비스듬하거나 깨진곳이많은데 영상에나온곳들 하나같이 너무멋진거같아요
@cona136
@cona136 3 жыл бұрын
분당서현동 AK플라자 뒤쪽은 도로가 비스듬한곳이 대분입니다. 딸이 휠체어를 운전하다 휠체어가넘어져서 제가 넘어졌습니다. 저는 바닥에서 혼자 휠체어에 앉지를 못하는데 빌딩밖에있는 남자청년2-3명이 달려와서 도와주었습니다. 너무도 고마웠던 기억이납니다. 비스듬한곳은 휠체어다니기 최악입니다. 휠체어뿐아니라 유모차도 힘들텐데 오스트리아처럼 평편한 도로 부러울뿐입니다.
@user-oh1tm7uo4g
@user-oh1tm7uo4g 3 жыл бұрын
한국반응 보고 열받아서 왔습니다..
@ktx3534
@ktx3534 3 жыл бұрын
신성로마제국 황실국가하고 명나라따까리 좆선차이 ㅋㅋㅋㅋㅋㅋㅋ
@syl4607
@syl4607 3 жыл бұрын
@@ktx3534 ㅇㅈㅋㅋㅋ
@user-tm8st2wb3m
@user-tm8st2wb3m 3 жыл бұрын
오스트리아 국민분들은 시민의식이 진짜 멋있다. Die Österreicher haben einen wunderbaren Sinn der Union s bürgerschaft.
@user-de2ht5bs3r
@user-de2ht5bs3r 3 жыл бұрын
ㅜ한국꺼 먼저보고..우연히 이걸봤는데 다들 너무 배려심 넘치네요..갬동..ㅠㅡㅠ 트램기사님도 엘리베이터 고장나서 도와주신 시민분들도 다 너무 멋진거같아요
@thetablefordogs6495
@thetablefordogs6495 3 жыл бұрын
오스트리아가 유독 저렇게 소수자에 대한 공공배려가 뛰어나더라구요. 유럽이라고 선진국이라고 다 저렇진 않았어요. 오스트리아에서 지하철탈때 강아지데리고 탑승한 보호자가 앉거나서있을수 있는 자리까지 배려석으로 따로 있는거보고 정말 놀랐어요. 리드줄만 하면 대중교통탑승이 가능한것도 놀랐구요.
@namuso2323
@namuso2323 4 жыл бұрын
한가지 기억이 떠오르네요 어느 국밥집에서 밥을 먹고 있는데 휠체어 타신분이 식당 앞으로 오셨어요. 가게문이 버튼 누르면 자동으로 열리는 문이었는데 그날보니 문이 잘 안열려 말썽이더군요. 그분이 버튼을 계속 누르는데 안열려서 사장님 불러드렸던 기억이 있네요. 그분 들어오고 식사하는동안 가만히 생각하니 그분이 그 국밥집을 선택하신게 자동문이고 작은 문턱도 없는 평평한 입구라서 이집을 택하셨구나 깨달은적이 있어요. 휠체어 타신분들은 한국에 골목도 많고 울퉁불퉁한 거리가 많이 불편하시겠다는 생각이 든 날이었어요. 그날이 문득 생각나네요.
@gayoungchoi1826
@gayoungchoi1826 3 жыл бұрын
새삼 불편할 수 있는 상황에서도 다들 배려해주는게 너무 좋다... 기다림은 미덕이지... 그나저나 진짜 휠체어 내려주는게 정말...🙏
@hyeony9497
@hyeony9497 3 жыл бұрын
교육을 따로 받지 않아도, 주변에서 모두가 도와주는걸 보고 따라하게 되는것이 진짜 교육이지.. 그게 선진국이고
@key8107
@key8107 3 жыл бұрын
와..진짜...우리나라는 빨리빨리문화라.....조금느린 환경이 불편하단 생각이었던거 같아요...ㅠ저조차 진짜 성격급한데.......다시 돌아보는 영상이 되었습니다..감사합니다
@yeonjuprrrrr
@yeonjuprrrrr 4 жыл бұрын
과거 캐나다에서 잠시 지낸적이 있고 지금은 육아중인 엄마입니다. 그곳에서는 장애인이나 유모차를 끄는 엄마들이 당연하게 버스를 타고 다니는모습을 봤었고 그들이 탄다고 해도 그누구도 불평불만 하지 않고 최우선적으로 배려해주는 모습에 너무 감동 받았었습니다. 그리고 한국에서 유모차를 끄는 엄마가 되고 보니 한국이 휠체어나 유모차를 끌기에 얼마나 힘든 환경인지 알게되었습니다. 버스는 엄두도 못내고요. 저는 운전을 하지 않아서 가끔 유모차를 접어서 버스를 타면 기사님들이 (위험하다고?)싫어하시고 승객들도 눈치를 줍니다. 심지어는 택시타도 싫어하세요. 웬만한 기사분들은 알아서 싣으라고 유모차를 택시에 싣어주지도 않으세요. 10년안엔 한국도 변화하길 기대해봅니다..
@user-cl1nq4yg6x
@user-cl1nq4yg6x 4 жыл бұрын
Julia Kang 진짜 우리나라 버스기사님들 좋은분들도 있지만 매번 너무 띠꺼운분들도있어요...유모차 올릴때 왜 굳이 버스타냐고 눈치주고;;
@user-ej1tu3qs5b
@user-ej1tu3qs5b 4 жыл бұрын
버스에서 어떤분이 유모차를 접지않고 탔고 아기가 자고있었나.. 내릴때 어떻게 내리시나봤더니 저상버스였음에도 밑에 판을 내려주시지 않아ㅠ 애기가 있는 유모차전체를 들고 그냥 내리시더라구요..ㅜㅠㅠ 시간지체될까봐 그것도 엄청빨리ㅜㅜ
@user-ll5sy1ir7o
@user-ll5sy1ir7o 4 жыл бұрын
제가 24년살면서 유모차를 접고타는건 봤는데 그대로 타는건 정말 못본거같아요... 지하철에서는 많이봤는데 버스는 정말힘들거같다는 생각이들네영 상상이안가요ㅠㅠ
@user-ej1tu3qs5b
@user-ej1tu3qs5b 4 жыл бұрын
저도 순간 헉했어요 .. 아마 애기가 유모차를 탈 수 밖에 없는 상황이었던거 같아요.. 너무 당연한듯이 도움받을 생각없이 내리셔서ㅜㅜ좀만 지체되도 버스에선 눈치가보이니.. 참 안타깝더라구요
@mountainrigi
@mountainrigi 4 жыл бұрын
캐나다도 출퇴근길 대도시는 똑같애요
@user-fd8ks4fx8u
@user-fd8ks4fx8u 3 жыл бұрын
ㅋㅋㅋ 아니 어이없넼ㅋㅋㅋㅋ 한국에서 버스 타는거 보고 이거 보러 왔는데...ㅋㅋㅋㅋ ㄹㅇ 대박이다
@user-tx1dt5dm3s
@user-tx1dt5dm3s 3 жыл бұрын
진짜 보기 좋은 영상이네요. 꼭 우리나라도 똑같이 교육 했으면 좋겠어요~
@White-qf3d
@White-qf3d 3 жыл бұрын
이 영상 너무 좋다. 간접적으로 여행한 느낌도 나지만... 배리어 프리인 길이나 교통수단들, 그리고 사람들 마인드까지ㅠㅠ 저런게 진짜 선진국이지 싶고, 우리나라도 빨리 저렇게 됐으면 좋겠네요
@pipipipipipi3859
@pipipipipipi3859 9 ай бұрын
눈물이 왜 나는지,,,한국에선 지하철에서 승강기를 휠체어 탄 사람이 끝에 서있었는데 누구도 양보를 안해주더라 다리 멀쩡한 이들 다 타고 내려가고 이분이 제일 늦게 혼자 기다림 그런분 이용위해서 만들어 진건데 그거 보고 너무 이해가 안갔음 그리고 내부에 휠체어 구간이 있는데 휠체어 밀고 탄것 보고도 그 창가쪽 사람들이 누구도 양보를 안하대,,, 그리고 다음역에 사람이 너무 많이 밀려 타서 그분이 가운데 갖히고 우루루 탄 사람 사이에 뭍하는것 보는데 너무 슬프고 화가 진짜 많이 났었지,,,. 배려 없이 강팍한 사나운 국가 부끄러운 한국임..
@user-td3tx4yf9c
@user-td3tx4yf9c 4 жыл бұрын
국개의원들아 외국가서 관광만 하지말고, 이런 좋은 문화를 배워오고 우리나라에 적용 좀 해라. 그들의 생각이 부럽기만 하네요.
@cona136
@cona136 3 жыл бұрын
위클리박님께서 국회의원하시면 잘하실것같습니다. 장애인 살기 좋은 나라 만들어주실것같아요~
@NY-bp1tj
@NY-bp1tj 3 жыл бұрын
호주에서 버스타고 학교가던길에 항상 휠체어로 타시는 분이 계셨는데 그때 제가 20대였는데많이 배웠던것이 베리어프리로 만들어 주시는 기사님도 놀랬지만 아무렇지 않은 시민들의 모습이 제게 더 인상깊었습니다 정말 배운 부분이었습니다 저희나라도 분명 위라클 영상을 보고 많은 분들이 인식의 변화가 이뤄질것 같습니다 저 또한 그렇구요! 베리어프리를 레고로 만드시는 할머니를 본적 있는데 베리어프리를 쉽게 만드는 방법도 나오면 좋겠어요~^^ 영상보고 또 배우고 갑니다~
@user-il3fw1rb2h
@user-il3fw1rb2h 2 жыл бұрын
맞아요. 저도 시드니에 살고 있는데 생각해보니 하루에도 몇번씩 휠체어로 트레인이나 버스 타는 분들 계시는데 기다린다는 생각 1도 안들고 그냥 봐도 자연스러워요. 아마 여기서 오래 지내면서 편견 없이 보는게 익숙해진거 같아요.
@user-ur8jq3dj2b
@user-ur8jq3dj2b 3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였으면 뒷 차 빵빵하고 승객들은 쟤 뭐하냐 등등... 여기 까지 하겠습니다
@usgto1225
@usgto1225 3 жыл бұрын
달하@ 그정도 아니다. 그리고 버스도로 따로 있는데 뒤에서 피해갔다..
@meaningful_2
@meaningful_2 4 жыл бұрын
오스트리아는 베리어프리 문화가 잘 구축되어 있군요... 부럽습니다 저는 뇌성마비 지체장애 2급의 구독자입니다 휠체어를 타진 않습니다만 몇년 전, 다리수술을 하게 되어 두달 정도 휠체어를 이용해야 할 일이 생겼었죠 어찌어찌 휠체어를 일정기간 렌트하는 것까진 성공했는데 대학교 등하교가 문제가 되더군요 버스로 등하교를 해야하는데 제가 사는 지역이 지방이어서인지는 모르겠습니다만 저상버스 기사님이나 저상버스를 이용하는 시민분들도 휠체어이용자에 대해 그리 호의적이지 않았습니다 저상버스 수가 많지 않고 운행시간이 규칙적이지 않은 것도 문제였구요 제가 사는 지방이 광역시지만 가끔 서울 놀러가보면 사람들 인식이나 베리어프리 시설에서 차이가 난다는 걸 느껴요 물론, 친절한 분들도 많지만요 휠체어를 이용하시는 분들의 이동권이 보장되지 않으니 일상에서 우리가 그분들을 자연스럽게 접할 수가 없는 것 같습니다 우리도 결국은 건축물과 교통시설을 고쳐나가야 하는데 일찍 시작했으면 좋겠네요 좋은 영상 잘 보고 갑니다
@oh0513
@oh0513 3 жыл бұрын
보스톤으로 혼자 여행을 갔을 때 일이예요. 버스를 타고 있었는데 내리는 사람도 타는 사람도 없는데 버스가 한참을 떠나지 않더라고요. 왜 출발은 안하지 답답해하고 있던 중 버스 앞 유리로 저 앞에 휠테어 타신분이 버스를 항해 오고 계신다는걸 알았어요. 아... 저 분 기다리고 있는거였구나.. 그 안에서 누구도 버스가 출발하지 않아 답답해하는 사람이 없었어요. 저 혼자 이렇게나 오래 기다려준다고? 하고 놀람과 동시에 감동을 한거 같더라고요. 도와주는 것도 도와주는거지만 느리게 가더라도 그 누구도 불평없이 기다려주는 문화를 다시 한번 보게되어 마음이 훈훈합니다 ^-^
@user-ns6lf5rd8p
@user-ns6lf5rd8p 3 жыл бұрын
영상보고 많은 감동 받고 갑니다. 밝고 긍정적인 모습이 너무 보기 좋으세요..우리나라 실험과 비교해 보면서 참 씁쓸하네요.. 아이를 어떻게 이나라에서 교육시켜갈까 고민해봅니다. 좋은영상 감사드리며, 긍정적으로 밝은에너지! 항상 유지하시고 건강하셔요 언제나!
@user-jw1vk3ej9y
@user-jw1vk3ej9y 3 жыл бұрын
맞아요 약자를 배려하고 당연하게도 존중하고 기다리는 문화요.. 저도 외국나와 살아보니 우리나라가 얼마나 약자에 대해서 배려하지 못 하고 존중하지 않는지 확 와닿았어요 유아차를 끌고 나가거나, 휠체어를 타신 분들도 정말 아~무렇지 않게 대중교통 이용하고 시민들은 기다려주고 그 기다림의 시간을 너무나도 당연하게 인식 하고 있구요... 근데 한국에서 내가 ..? 이걸 타고 혹은 끌고 대중교통..? ㅠㅠㅠㅠ혹여 누가 뭐라하는 이 없겠지만서도...꺼려지는게 사실이예요 ㅠㅠㅠㅠ
@intentional2048
@intentional2048 3 жыл бұрын
영상보면서 생각했는데 서울에서 20년 넘게 살면서 휠체어 타신 분들을 길 위에서 본 적이 없는 것 같아요... 그 전까지는 그 분들이 많이 안계셔서 못보구나라고 그냥 넘겨짚었는데 영상을 보면서 지금 우리나라 시스템 자체가 교통약자들 배려가 많이 부족한 상태라 많이들 고립되어있는 경우가 많을거라는 생각을 하게되었네요.. 하루 빨리 개선되어 모두가 행복해질수있는 세상을 누릴수있으면 좋겠습니다..! 좋은영상감사해요!
@user-pw6fi5dh3b
@user-pw6fi5dh3b Жыл бұрын
인도 자체가 휠체어는 못다니는 구조예요...도로와 차도가 턱이 있고,,, 울퉁불퉁한 인도를 다니느니 차에게는 미안하지만 차도로 다니고 싶을 정도 이지요...
@gracegrace6408
@gracegrace6408 4 жыл бұрын
동정은 최고의 모욕이죠. 장애인을 나와 다르다고 생각하는 것보다 우리랑 다 같은 사람이라 생각하고 그 사람들이 필요한 걸 제공해야 되다고 생각해요. 영상에서도 한분이 말씀하셨듯이 우리 모두가 장애인이 될 수 있기 때문에..
@user-vi8od1gv8l
@user-vi8od1gv8l 2 жыл бұрын
위라클님이 진짜 정말 엄청 빨리 구독자가 몇백만명이 되시고 몇천만명이 빨리 되셔서 꼭 하루 빨리 그 딱 한명이라도 더 많이 이런 좋은 교육적인 영상을 보시구 최대한 빨리 한국이 세상이 바뀌는 날이 오기를 바라요 ㅠㅠ
@JS-xk7yu
@JS-xk7yu 2 жыл бұрын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ㅠ ㅠ 7:02 요런 거 하나하나.. 우리나라도 이런 좋은 사례를 가진 나라들처럼 배리어 프리가 잘 갖춰진 나라가 되었으면 합니다.. 시민들 인식 개선도 꼭 필요해보입니다
@cerlike1004
@cerlike1004 4 жыл бұрын
소름돋았어요. 우리나라에선 장애인이 적어서 훨체어가 안 보이는게 아니라, 훨체어가 다니기 힘들어서 못 나오는 것이라는걸 미쳐 생각지 못했습니다ㅜㅜ 진심 반성하게 되네요. 비슷한 의미로 유모차도 외국에 비해 우리나라는 대중교통 이용하고 다니기 훨씬 힘들답니다.. 휠체어가 다니기 좋은 길은.. 우리 모두가 함께 다니기 좋은 길일텐데.. 하루 빨리 시설도 시선도 모두 변화되었으면 좋겠습니다
@studiobiondaparis2136
@studiobiondaparis2136 4 жыл бұрын
낚시하는꽃냥 유럽사는데 한국이 훨씬 편해요.
@road_box
@road_box 3 жыл бұрын
@@studiobiondaparis2136 엘레베이터에 유모차 태운다고 욕하는 이웃 노인네도 있더군요. 저한테 저집 엘레베이터에 유모차를 태운다고 개념없다며... 누가 개념없는건지 모르겠네요. 애들은 밖에도 나오지 말아야 한다는건지... 얼마나 어의가 없던지... 그 이기적인 노인네가 하던 짓이 한 두개가 아닌데 그 집땜에 애기 키우는 집들 다 이사갔습니다... 신혼부부 많이 살고 있었는데.
@user-eu6jx3dt7b
@user-eu6jx3dt7b 3 жыл бұрын
@@road_box 에고....힘드셨겠어요
@user-ru2ei3cu8j
@user-ru2ei3cu8j 3 жыл бұрын
3년전 동유럽여행 갔다왔을때가 생각이나네요~ 그때 가이드분이 하셨던 말씀이 유럽은 의사이던 농부던 직업적으로 차별이 없다고 하셨던게 기억이 나요~ 어떤인종이던 장애가있던 어떤 직업을 가졌던 인간을 똑같이 존중해주는 세상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당~ 오스트리아 넘 평안하고 좋아서 또 가고싶은곳 1위였는데 국민들까지 훈훈하네용😍
@jia_2501
@jia_2501 2 жыл бұрын
저는 병 초기때...의사선생님이 너무 힘들어하고..몸이 안좋아서..휠체어를 탔는데..탈때 해외를 갔는데, 가서 놀란게..기사님이 버스 경사로가 고장나니까..쏘리..라고 하시고 다시 차를 주차를 하시고 차체를 기울고 다시 내리셔서 휠체어 들어주셔서..너무 감사했어요ㅠ 시민분들도 기다려주시고..위님처럼 같은 경험을 했는데..진짜 너무 감사했습니다ㅠ 전 지금은 휠체어는 반납했구요 ㅎㅎ 곧 수술 기다리구 있습니다 ㅎ 지금은 시각장애인분들을위해 안내견 준비하는 강아지를 위탁 교육하는 퍼퍼워커 준비하구 있어요! 우리나라도 인식이 바뀌였음 좋겠오요 ㅎㅎ 위님 최고입니다!! :) 비엔나...부러워요ㅠ
@user-gh9mg1gn9r
@user-gh9mg1gn9r 3 жыл бұрын
시민분들이 계단 내려가는거 도와주셨을 때 눈물 고였네요 ㅠㅠㅠㅠㅠㅠㅠ 시민의식👍🏻
@hoeun55
@hoeun55 4 жыл бұрын
연말에 남은 예산쓴다고 멀쩡한 도로 갈아엎으면서 돈낭비 하지 말고 저런 시스템보고 배워서 우리나라에 적용해라
@ilksmlee9063
@ilksmlee9063 4 жыл бұрын
맞아요 아직 쓸만한 버스정거장 의자 온열벤치로 바꾼다는 공지문보고 눈을 의심했네요 필요한 데 세금이 쓰였으면 해요ㅠㅠ
@chachachae_
@chachachae_ 3 жыл бұрын
ㅇㅈㅇㅈ 매년 반복
@user-kh1fe5go6i
@user-kh1fe5go6i 3 жыл бұрын
@@ilksmlee9063 그건 잘하는 거지
@ilksmlee9063
@ilksmlee9063 3 жыл бұрын
@@user-kh1fe5go6i 그런가요...
@user-iy4xd3yw1b
@user-iy4xd3yw1b 3 жыл бұрын
아니 친구들 이런거 말고도 우리나라에 갈아 엎어야 할거만 수십 수백이야 ㅋㅋ
@user-rv1cs3iv1u
@user-rv1cs3iv1u 3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도 어서 빨리 배리어프리가 많이 활성화 되면 좋겠습니다 . 위라클 퐈이팅 !!!
@yeonheelee867
@yeonheelee867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도 좀 저렇게 만들었으면 좋겠네요 매일 지하철에서 시위하는 장애우들도 얼마나 답답하면 매일 나오겠어요
@tumblewith
@tumblewith 2 жыл бұрын
국민이 선진국민이네...
@h.h.h2009
@h.h.h2009 4 жыл бұрын
계단에서 다같이 들어주는데 왜 울컥하지....이게 무슨감정일까요....
@user-xg6up3ur1b
@user-xg6up3ur1b 4 жыл бұрын
보면서 이 당연한걸 누리지 못하고 사는 한국 장애인들을 생각하니까 마음이 아픕니다. 저희 동네에 휠체어를 타고 버스를 타시는 분이 계시는데 매번 사람들이 얼굴을 찡그리고 불편함을 표현합니다. 그걸 볼때마다 너무 속상합니다. 우리가 다 누리고 사는거 왜 그분들이 눈치를 봐야하는지 ...다 똑같은 사람이고 모두가 누릴 수 있는 권리입니다. 제발 한국이 모두에게 평등한 나라가 될 수 있도록..!
@user-em3pi3xh5o
@user-em3pi3xh5o 3 жыл бұрын
3:52 크 멋진 중년의 신사분 윙크까지 완벽하시다 😎😎👍🏻
@rhrnak7412
@rhrnak7412 3 жыл бұрын
사회복지를 전공하면서도 배려하지 못한 모습들을 많이 봐서요 공부하면서도 회의감도 오기도 했고 장애를 가지신 분들의 대한 인식을 어떻게하면 변화될 수 있을지 질문을 수 없이 했는데 그 해답이 이 영상이 될 것 같아서 너무 감사합니다!ㅎㅎ 응원하겠습니다! 좋은 영상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yookoo4599
@yookoo4599 4 жыл бұрын
아이들이랑 같이 봤어요 장애와 비장애 우리나라는 아직 안보이는 큰 벽이 있죠 많은 시간이 필요하겠지만 많이 노력해야 한다 생각합니다 어설픈 장애에 대한 교육보다 이 동영상을 보여주는게 훨씬 나을거 같네요 이런 귀한 영상 올려주셔서 감사해요 아아들과 많은 대화를 나눠야겠네요
@ellenhwang4400
@ellenhwang4400 4 жыл бұрын
하반신 마비인 외할머니 수술 후 병간호를 하면서 모신지 1년 반이 넘어가네요. 순대를 좋아하셔서 분식집 하나 가는데도 문턱이 없는 곳을 찾아가야했고, 한여름 새벽에 응급실 앞에서 교통약자이동지원 택시만 2시간을 기다리고.. 이동수단부터 사람들의 인식 등 여러가지를 생각하게 됐어요. 위 님 영상을 우연히 보게됐는데 그때 기억이 스쳐지나가면서 외국의 이런 시스템과 인식이 부럽기도하고 본받을 점이 많다는걸 다시 한번 더 느껴요. 좋은 영상 잘 보고 가요! 앞으로도 많은 활동 응원할게요. 구독 꾹 누르고 갑니다:)
@RRRabbit1004
@RRRabbit1004 4 жыл бұрын
정말 장애인택시라도 빨리 탈 수 있게 좀 해주던가ㅡㅡ^
@piano0715
@piano0715 3 жыл бұрын
와닿네요...아이들이 장애에 대해 특별한 교육이 필요없이 보고 배운다. 인식이 이미 자연스럽게 베어있으니 굳이 교육할 필요가 없는거군요..오스트리아로 가서 살고 싶어지네요
@tunagimbap
@tunagimbap 2 жыл бұрын
영상보다 울었네요..한국은 한참 멀었어요. 하루빨리 베리어프리가 자리잡았으면 좋겠어요
@mini8706
@mini8706 4 жыл бұрын
모든 빨리 빨리 ..... 한국에선 인식을 바꾸는 교육에 투자 시간이 꽤걸리듯하네요 ㅠ. 그래서 더욱 꼭 필요한 교육이겠죠. 신호등 시간도 꽤 짧은걸로 알고있는데.. 지역이나 장소마다 다른건가요?! 전 짧게 느껴져서요.... 신호등 바뀌면 걸음 조금느리면 빵빵 ㅠ 차가 우선....ㅠㅠ 장애인이 휠체어. 유모차 끓고가는 엄마. 다리를 다친 학생. 무거운 짐을 끓고가는 어르신. 몸이아픈거나 불편한 사람 들이 편하게 행단할수있도록 하면 참 좋을것 같아요.. 장애인 비장애인 상관없이 모든사람들이 편하게 걸어다닐수있도록 하려면 얼마나 시간이 필요할까요... 기다릴줄알고 도울줄알고 도움받으면 표현할줄아는 그런교육요....시급합니다.
@Nadayejini
@Nadayejini 4 жыл бұрын
정말 신호등 공감... 제가 사는 지역 큰 경찰서 앞에는 신호등이 1분으로 길었는데요. 이렇게 긴곳은 생전 처음봤네요ㅎ 다른데는 30초도 안되고 거의 20초 근접해서 노약자분들 다니기 불편한데 왜 경찰서 앞만 1분인지 모르겠어욥
@kyung82
@kyung82 4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도 버스 오스트레일리아와 방식은 차이 있지만 저상버스 저런식으로 장애인 탈수 있게 되어있음 한국 버스기사님들 내리셔서 도와 주고 계심. 무조건 한국은 저렇지 않다라고 비판하고 욕부터 하지말기 바람
@kyung82
@kyung82 4 жыл бұрын
@jiy 993 뭔소리 하시나요. 버스 오는 시간에 맞춰서 버스타는것 대기해 있어야 하는것은 승객의 기본 매너 입니다. 버스기사님탓 하지말고 안 뛰어도 될만큼 버스 오기전에 미리 승차대기 하고 계시던가 버스 떠났음 뛰었는데 안 태워준다며 남탓 하지마시고 다음차 타세요. 그리고 외국도 님이 말한것 철저하게 더 안해줌. 버스기사 매너 말하기전에 님 승차객 매너부터 지키세요
@jsfreak7696
@jsfreak7696 4 жыл бұрын
신호등 발이 무척빠른 나도 뛰어서 건너야 겨우 건널정도. 한국은 사람 우선이 아닌 무조건 차량 위주. 한국사회 전반적으로 사람중심의 시스템이 아님.
@kyung82
@kyung82 4 жыл бұрын
@@jsfreak7696 사람중심 원하시면 인민이 행복하게 사는 사람중심 이룩한 조선인민민주주의 북조선으로 가시길 바람. 그곳은 차도 없고 기계도 없고 사람중심임. 그리고 유럽은 높은 세금 부담으로 중산층이 차한대도 못삼 그래서 차가 많지 않음. 북조선으로 가서 인민 사람중심으로 사세요.
@user-bl3up3ho5n
@user-bl3up3ho5n 4 жыл бұрын
의미가 있네요. 대한민국도 이런거에 대해 편견이 없었으면 좋겠습니다. 여기 나라는 참 좋은것 같네요. 도움주신분들 보고 감동 받았습니다. 영상 잘 보고 갑니다^^
@user-sb7uu6ju1s
@user-sb7uu6ju1s 3 жыл бұрын
오늘 아침마당에서 봤네요 훤하고 미남이시네요.언제나 오늘처럼 화이팅하세요.
@user-ye5ow4ze9k
@user-ye5ow4ze9k 3 жыл бұрын
6:48 "저희가 많이 보죠"
@HK-oe7zz
@HK-oe7zz 3 жыл бұрын
@@jangchan08 ~무야호~
@sichioys
@sichioys 4 жыл бұрын
우리도 보도블럭 매년 뒤지지 말고 저런식으로 만들어놓으면 좋을텐데 지금부터해도 10년 넘게 걸리겠죠..? 그래도 꼭 했으면 좋겠어요 모두들 스스로가 존중받는 삶을 살았으면 좋겠어요..♡ 귀중한 영상 잘 보고 갑니다♡♡
@hunyhuiya6203
@hunyhuiya6203 4 жыл бұрын
꼭 했으면 좋겠다는 그 마음 자체가 너무 좋아요ㅎㅎ 우리가 곧장 이득을 보는 것이 아니더라도 후대에, 미래에 누군가가 편해질 수 있으니까요. 따뜻한 말 한 마디에 더욱 큰 감동 받고가요!
@leeja6299
@leeja6299 3 жыл бұрын
,
@user-ub1ru9uf7l
@user-ub1ru9uf7l 4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는 미관을 위해 도로 노란점자블럭도 없앤다는데 ㅠ 대박이네요,, 가끔 점자블럭위로 걷다보면 점자블럭이 없어진건지 잘가다가 중간에 끊긴부분도 많더라구요ㅠ
@user-qu5ux2ue2z
@user-qu5ux2ue2z 6 ай бұрын
진짜 부럽다 저런 시민의식,문화,사회. 때론 인종차별도 있겠지만 장애를 가진 분들은 한국에서도 차별을 받고 있고 내 나라, 나와 같은 언어를 쓰고 정서를 공유하는 사람들에게 받는 차별은 더 서러울 것 같아요. 위라클 보면서 정말 많이 배우고 반성합니다. 그리고 정말...여전히 개선되어야 할 게 많은 한국입니다...
@toycha2680
@toycha2680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도 이런 배려가 당연한 나라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gkdlzlr68
@gkdlzlr68 4 жыл бұрын
현재 스페인에 거주중인데 스페인뿐만 아니라 거의 모든 유럽국가들은 장애인시설이 정말 잘되어있습니다 대중교통은 기본으로 잘 되어있고 관공서같은 건물들은 물론 일반건물들까지 웬만하면 장애인을 위한 시설이 잘되어 있는편입니다 그리고 사람들의 시민의식이 높다보니 주변에 도움이 필요한 분들이 있으면 그냥 지나치지 않고 많이 도와주시고 (장애인뿐만 아니라 일반인이 곤란한 상황에 처했을때도!) 장애인을 특별한 사람이라고 생각하지도 않고 나와 다른사람이라고도 절대 생각안합니다 유럽에서 장애인에 대한 인식과 장애인에게 편한 시설들을 봐오면서 우리나라의 의식수준도 높아졌으면 좋겠다고 생각되더라구요.. 어쨌든 위라클님 응원합니다!ㅎㅎ
@user-rv8zq7od9h
@user-rv8zq7od9h 4 жыл бұрын
저도 3년전에 오스트리아를 다녀왔습니다. 개인적으로 선진국이라고 느낀 부분은 길을 헤매고 있던 저에게 영어로 먼저 도움을 주시겠다고 나서고 사회적 약자에 대한 배려가 표지판, 시설들을 보고 알 수 있었습니다. 트램, 버스에 휠체어 전용 버튼이 있는 것 까진 몰랐는데 정말 선진국이라는 인식이 다시한번 새겨지네요.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user-mn4gd4ok3x
@user-mn4gd4ok3x 3 жыл бұрын
따로 교육없이 문화로 자연스레 받아들인 것.. 신선한 충격이에요! 한 차원 더 성숙한 사고를 배운 것 같아 너무 유익했습니다!
@icu_Nmh
@icu_Nmh Жыл бұрын
오래전 영상이지만 이시대의 중년으로서 글을 남깁니다. 아이, 장애자,노약자, 여성이 살기 편한 세상이 정말 좋은 세상입니다. 조금 느리고 조금 불편해도 나와 같은 사람을 기다려주고 도와주는 어깨를 기꺼이 내어줄때... 그 순간이 천국이 아닐까요? 저는 그렇게 세상을 바라봅니다.
@seonyoungpark9665
@seonyoungpark9665 4 жыл бұрын
유럽은 이거 진짜 공감ㅠㅠ버스가 멈출 때 기울어지는게 그런 이유였군요... 유모차가 타고 애기들이 칭얼거려도 쳐다보거나 뭐라고 하시는 분들 한번도 못봤었어요 다들 불편한 상황에 처한 사람에게 정말 여러가지로 열심히 도와주심
@user-kk8fg2rx6j
@user-kk8fg2rx6j 4 жыл бұрын
눈물나게 감동적이다.. 우리나라는 도와주고싶은 마음은크지만 무언의 보이지않는 주변을 의식하는 그 미묘한 감정때문에 지나치는 경우가 대부분인데... 선진국이 멋지고 ..
@oovsoo
@oovsoo 2 жыл бұрын
5:04 안녕하세요 청각장애인 입니다 ! 여기에 나오는건 보청기가 아니라 인공와우에요 ㅎㅎ 인공달팽이관이라고 하는데 외국에서는 저렇게 화이트 컬러도 하고 외부적으로도 많이 보여지는데 우리나라에서는 머리카락과 같은 검은색인 경우가 많고 가리기에 급급한 경우가 많아요. 이런 시선도 많이 바뀌었으면 하는 바람에서 저 또한 청각장애 인식 개선 활동을 하고 있답니다 :)
미국의 진짜 현실입니다...
8:39
위라클 WERACLE
Рет қаралды 1,1 МЛН
미국에서 휠체어로 대중교통타면 반드시 주의할 점
10:57
위라클 WERACLE
Рет қаралды 265 М.
Универ. 10 лет спустя - ВСЕ СЕРИИ ПОДРЯД
9:04:59
Комедии 2023
Рет қаралды 2,8 МЛН
бесит старшая сестра!? #роблокс #анимация #мем
00:58
КРУТОЙ ПАПА на
Рет қаралды 3 МЛН
Vivaan  Tanya once again pranked Papa 🤣😇🤣
00:10
seema lamba
Рет қаралды 22 МЛН
ОДИН ДЕНЬ ИЗ ДЕТСТВА❤️ #shorts
00:59
BATEK_OFFICIAL
Рет қаралды 7 МЛН
당신이라면 어떻게 하실건가요?
13:37
위라클 WERACLE
Рет қаралды 641 М.
스웨덴에서의 인연?! 인기 너튜버 위라클 박위가 떳다!
6:48
You said it was a bus for the disabled.. Waited 2 hours, but can't get on? Aired on Ulsan MBC 201226
7:22
연출 불가능한 리얼 1인칭 [액션캠]
Рет қаралды 447 М.
Uber driver tried to ripped me off and  steal my phone  , I got punched !!
10:07
천천히 세계여행 앤젤리나_Angelina_lee
Рет қаралды 5 МЛН
휠체어를 타고 대한민국 지하철을 탄다는건...
9:02
위라클 WERACLE
Рет қаралды 309 М.
휠체어로 혼자 턱있는 카페에 들어갈 수 있을까?
8:29
위라클 WERACLE
Рет қаралды 1,3 МЛН
Универ. 10 лет спустя - ВСЕ СЕРИИ ПОДРЯД
9:04:59
Комедии 2023
Рет қаралды 2,8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