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년이나 지난 답글이지만, 네 저혈압 위험있습니다. 당뇨가 없는사람이 인슐린을 맞아도 저혈당쇼크가능성이 있듯이, 정상혈압인 사람이 혈압약을 먹으면 저혈압이 생깁니다. “혈압약”이라는 단순한 이름으로 불리고있지만, 종류는 다양해요. 심지어 약마다 혈압을 낮추는 원리가 달라요! 1. 혈관확장제(니트로글리세린과 같은 질산염제제) : 혈관을 확장시켜 혈관 저항을 낮춤으로써 혈압을 낮춥니다. 2. ace inhibitor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길항제) : 안지오텐신은 특정 효소에 의해 알도스테론이라는 호르몬으로 전환되구요. 알도스테론은 나트륨과 칼륨을 재흡수하여 체내 수분량(혈량)을 높이고 결과적으로 혈압이 높아져요. 이 알도스테론이 안생기게 해서 혈압을 낮춥니다. 3.arb (알도스테론 수용체 차단제) : 알도스테론이 생겼더라도 효과를 내려면 신장세포의 수용체에 붙어야하는데, arb가 이 수용체를 막아서 알도스테론이 효과를 못내게하고, 결과적으로 혈압을 낮춰요. 4. 이뇨제 : 배설하는 오줌량을 늘려 혈압을 낮춰요. 등등 다양합니다! 고혈압 없는 사람이 이 약들을 먹는다고 우리몸에서 “이미 괜찮은데? 너가준거 그냥 오줌으로 다 내보낼게~” 할것같지만, 그렇지않기때문에 자칫하면 저혈압으로 쇼크사(뇌사) 할수있어용
@유혜민-s1p2 жыл бұрын
유익하게 잘 보고 있습니다! 우관상동맥심근경색시 메스꺼움 구토 증상이 있을 수 있다고 하는데 이유가 궁금해요!
@박유미-m4y3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제가심혈관약물치료가 5년가까이 약증량시켜도 뻐근하고 쓸러질거같고 아무튼 불편하면 설하정을 먹으면 한참지나면 괜찮다가 또 통증반복합니다. 변이형협심증진단명이래요. 그런데 다시 첫 조형사진상 혈관이 문제 되는 부분이 있으니 다시 이번에 조형시술할수도 있다 담당원장님이 여운을 12월달에 남겼어요 예약을 했지만 다시 땡겨서 통증뻐근함때문에 하려고 합니다. 심장효소 검사를 입원해서 몇번해달라하면 검사가 가능한가요? 스텐트시술을 만약한다면 심근경색으로 진단이 내려줄수도 있는지 궁금합니다.
@edkfjqwz15964 жыл бұрын
나같은 경우는 빈혈에 의한 협심증인거 같아요~ 직구로 사서 철분제 먹은뒤로 그런증상이 전혀 없어졌어요~
@karenchoi55792 жыл бұрын
어떤 철분제 드셨나요?
@taesoolee1014 жыл бұрын
이렇게 이해하믄 쉬움 관상동맥에 문제가 생기면 심장에 산소공급이 원활하지않은 상태가되고 요런거로 심장이 아파지게되는데 이게협심증이고 더 나아가서 심장에 피가 못들어와서 산소공급이 차단되면 심장근육이 손상되거나 괴사하게 되지 그러믄 심근경색 심하면 심장마비로 오게되는거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