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도 먹물 냄새 폴폴 나는 역사를 보다...! 교수님들 대화하는 방식을 보면 참 배우고 싶은 모습이 많은듯
@가자세계로-p3j9 ай бұрын
교수님들과 일반인 하나 mc한명
@rainbowbridge49789 ай бұрын
@@가자세계로-p3j 한국인3명과 이집트인1명과 일본인1명
@와맛있겠다-o1i7 ай бұрын
캬 나의 지적허영심을 채워주는 그윽한 먹물냄새:)
@정종석-t7o2 ай бұрын
ㅡㄷ ㅡㄷ@딸감용l9금자료-i8t
@orangehunter69039 ай бұрын
이번 편 진짜 재미나네요. 서로서로 상대분야를 존중해주시면서 이야기를 끊임없이 이어가는 것이 너무 좋습니다.
@시가맨-l9v9 ай бұрын
오늘 방송이 이제까지 중에 가장 재미 있었습니다. 한 분이 설명하고 바로 이어 다른분이 부연 설명해 주는 교수님들 끼리의 호흡도 좋았고 mc님 질문도 좋았습니다.
@wnnwwnwnnwnw7 ай бұрын
다른프로에서도 그렇고 허준씨가 질문을 참 잘해요
@Durability-S9 ай бұрын
어느나라 장시꾼이던 어떻게든 팔아야 하기때문에 어떻게든 이해하고 이해시키고 판다 ㅋㅋㅋㅋ
@congsae276920 күн бұрын
재미있었습니다.😊
@최종현-l3k9 ай бұрын
나중에 기회가 된다면 '철학을 보다'도 기획해주세요!
@Sjkkshmo9 ай бұрын
안락사,낙태,생명복제같은 현실적인 문제들에 대해 철학적으로 토론하면 엄청 재밌겠네요ㅋㅋ 댓글창은 불이나겠지만
@ThePoemath9 ай бұрын
자연과학+역사 = 철학이 될 거 같네요. 철학이 물론 중요하지만 지금의 철학 커리큘럼과 영역을 보면 지나치게 근대와 서유럽 중심임.
@tanekccbzk46389 ай бұрын
동양철학 두분 서양철학 두분 나오시면 재미있을 듯
@마르고닳도록-s8n9 ай бұрын
시간가는 줄 모르고 봤네요^^ 유익하고 재미있는 시간이었어요
@anyyou799 ай бұрын
너무재밌어요
@user-cj83htk90d9 ай бұрын
진짜 전문가들이 모이니까 깊이도 있고 의견교환도 아주 활발해서 좋네요👍🏻👍🏻 이 멤버 최고입니다
@schoonerg60749 ай бұрын
말에 대한 선생님들의 의견교류가 너무 재밌었어요 주제 자체도 너무 흥미로웠고요. 이번화가 역사를보다 중에선 최고였습니다 ㅋㅋ
@김선영-c7y4 ай бұрын
배워서 남 주는 이들 모아서 멍석 깔아주니까 신이 나서 춤들을 추시네요. 무슨 마당놀이 보는 것처럼 재미나요.
@yeonna20059 ай бұрын
이야기가 점점 풍성해지네요.
@youniman9 ай бұрын
놀라운 이야기들입니다. 저는 진행하시는 허준씨 이야기를 이어가게 만드는 능력도 놀랍네요!
@bhh76989 ай бұрын
짬밥이 엄청나시죠
@bhmin75459 ай бұрын
허준 짬이 얼만데 못할리가..ㅋㅋㅋ
@긍정적인-s3z9 ай бұрын
아 이집트 이런 것두 다뤄주세요..! 너무 재밌어요ㅠㅠㅠ 요즘 저녁 밥친구로 보고 있습니다.
@요리민수9 ай бұрын
송요근 선생님 시원시원 하시네요 넘 재밌습니다
@成德-y5l9 ай бұрын
정요근 선생님 아니신가요?
@Tohsaka_Gwangjuautocraft9 ай бұрын
송요근 선생님입니다
@snowncheeselove9 ай бұрын
네분과 허준님!!! 감사합니다 ❤ 자주자주 부탁드립니다 ❤
@user-ws6zj2fn3u9 ай бұрын
매주 역사를 보다만 기다려요!! 다들 어찌 그리 말씀들을 잘 하시는지...그리고 이 채널 덕분에 강인욱 교수님 신간 읽게 되었는데 정말 재밌고 유익한 책이라 감사해용
@Dawn._9 ай бұрын
이거 진짜 흥미로운 주제라 바로 들어옴. 재미있게 풀어낸 교수님들끼리 하는 심도있는 토론 잘 보겠습니다!ㅎㅎ
@bmix46369 ай бұрын
오늘 편이 개인적으로는 역사를 보다 영상 중에 가장 재미 있고 와닿네요ㅎㅎ
@botongmanx9 ай бұрын
아니 따로 파트 부여를 하지 않았는데도, 허준 엠씨의 청자에 대한 질문으로부터 요근교수님의 청자 백자에 대한 설명에서 인욱교수님의 인디애나 존스 이야기에서 박현도 교수님의 회회청에서 이집트의 라피스 라줄리 준금속까지 한 바퀴 이어지는 이 신박함 !!! 감탄했습니다.
@kangmikim20443 ай бұрын
정요근 교수님 항상 장난끼 많으시고 웃상이라서 넘 좋아요. 우리 교수님이면 공부할 맛이 나겠어요!!
@엘리먼트-m4d9 ай бұрын
너무 흥미롭네요❤❤❤
@user-tt7fl6yy6g9 ай бұрын
자주자주 역사를보다 보고싶습니다~~~❤❤❤❤
@hyy43759 ай бұрын
파란색 얘기만 해도 동서양의 역사와 문화가 하나로 연결이 되는 게 신기하고 재미있습니다. 앞으로도 동서양을 관통하는 역사 이야기 많이 해주세요. 그리고 언제나 시작은 이집트...!!
@먼지137.79 ай бұрын
좋네요. 꼭 알아야 할 역사 무겁지 않게 알려 주셔서 감사합니다
@홍경선-k3f9 ай бұрын
몰랐던 다양한 정보를 알게 해주셔서 고맙습니다. 역사는 진실을 탐구하는 분야라는 생각도 듭니다. 역사는 승자의 기록일 수 밖에 없는데 그 이면에 숨겨진걸 밝히는것도 중요한거 같습니다.
@julria86389 ай бұрын
5뜽 !! 기다렸습니다 ❤❤❤ 정요금 교수님 넘 재미있어요 ~*
@shutupandrunnin9 ай бұрын
일요일은 역시 보다체널❤
@egul91899 ай бұрын
정요근 교수님 너무 좋다 너무 유쾌하시다
@모나정9 ай бұрын
한국사도 있으면 좋겠다고 했었는데 너~무 좋네요!!
@jn.k92459 ай бұрын
으아.. 너무 재밌어요. 시간 가는 줄 모르고 봤네요.
@레고레고-d8y9 ай бұрын
오늘 개꿀잼이네요 ㅋㅋㅋ 이런 기록에 없는게 진짜 재밌는거같아요
@DaybyDay-cv4ny8 ай бұрын
40분짜리 영상이어서 언제 다 보나 했는데, 너무 재미있어서 순식간에 끝나버렸네요.❤❤❤
@키무니-h9w9 ай бұрын
오늘 얘기 참스럽네요. 재밌게 몇번 봤습니다.
@LHK1689 ай бұрын
정요근 교수님 너무 재밌어서 배꼽이 빠지겠어요 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
@사향커피9 ай бұрын
넘 재밌습니다 ㅋㅋ 더 길게하면 좋겠어요!
@JEEE333L9 ай бұрын
40분이 10분처럼 느껴질 정도로 재밌게 봤습니다 역사를 보다 오래 보고 싶네요😁
@moojazz789 ай бұрын
재미있고 유익했어요 감사합니다
@u1twe3-649 ай бұрын
한국사람들 끼리 모여하는 역사이야기에 한국사가 빠진게 섭섭했는데 딱이네요 !
@비공개-u6c9 ай бұрын
뒤에 교수님들 티키타카 하시는거 너무 재밌고 좋아요 !!
@Geon135799 ай бұрын
40분이 짤게 느껴지는 영상... 풀로 올려도 시간가는줄 모르고 볼듯하네요😊
@설희-k6e9 ай бұрын
정말... 점들이 모여 선으로 이어지는 각국의 역사 이야기 재밌습니다.
@romulus46779 ай бұрын
보다 너무 재미있고 유익해요~~~
@금나라돌격기병대9 ай бұрын
고구려-부여계, 백제인들은 서로 같은 민족계열이라 대화가 가능했지만 신라는 아예 다른 민족이었음. 그래서 언어가 아예 똑같진 않은데 결국 서로 치고 박고 싸우고 전쟁하면서 고구려, 백제와 신라는 어느 정도 언어가 조금씩 비슷해졌을 것이라는 주장도 강함. 하지만 현재 한국어랑 고대 한국어는 완전히 다름. 현대 한국인가 고구려인, 백제인, 신라인의 언어는 완전히 다름. 대한민국 역사학계에서 복원한 고대 삼국시대 언어들을 보면 특히 고대 고구려어, 백제어는 완전히 튀르키예어, 몽골어, 아랍어, 이란어, 고대 중국어, 독일어, 러시아어에 가까울 정도로 거친 언어임. 현대 21세기 한국어랑은 완전히 다른 언어라고 볼수있음. 그래서 고구려의 연개소문 장군같은 개간지나는 이름들도 한자로 음차한 이름이고 실제 본명은 따로 있다는 주장도 있음. 실제로 대표적 예로 세계사에서 당시 제일 강력한 대제국 거란제국의 사르마트 바야르 장군을 한자어로 음차한 이름이 '소배압' 장군이듯이.
@Borisalis4 ай бұрын
ㄴㄴ 계열 같음. 예맥-한 계통이 다르다는 주장은 지금 주류가 아닌게, 삼국지 위서 동이전에 보면 고-백은 통했고 백-신이 통했다는거 보면 방언 연속체였을 가능성이 더 큼.
@6sinegohwan3364 ай бұрын
ㄴㄴ 삼국시대 국가들은 방언의 차이가 좀 있어서 그렇지 서로 다 통했다고 함. 한국인 민족 구성은 크게 예맥과 한으로 구성되는데, 이들이 서로 큰 차이는 없었다고 함. 물론 남부 지방에 남방계 폴리네시아인들이 살았니 뭐니 하는 가설이 있긴 한데, 기록 상으론 서로 통했다고 나와있음. 예시로 당나라 황제가 신라의 사신에게 백제인, 고구려인의 통역을 요구했다는 기록, 또 통일 신라의 융화 정책에 언어에 관련한 것은 없었다라는 것을 보면 알수 있음. 서로에게 통역을 붙였다라는 기록도 없고. 본래 비슷한 종족이다보니 통일 신라는 당나라와는 다르게 멸망한 고구려, 백제의 유민들을 쉽게 흡수할 수 있었음.
@bbokdoong3 ай бұрын
신라가 부여계가 아니라는것도 지배층과 그 가솔들 수백명이 흉노계라는거지 신라땅에 살던 토착민들이 모든 흉노계라는건 아님.
@LEOmess1realGOAT3 ай бұрын
광개토대왕이 신라보고 다른 민족이라면서 차별 하는게 나오죠 ㅋㅋㅋ 예족이 아니라 한(민)족이라고
@Borisalis3 ай бұрын
@@LEOmess1realGOAT 타민족이라고 차별할거였으면 통일신라~고려초 민족 단결의식은 어떻게 성장한거임? 아닌말로 일본처럼 번단위로 집결하거나, 유럽처럼 가문단위로 있어야했는데? 통치 이념상으로도 유교는 부수적인거고 불교가 강조되는 시기에 신하들의 충은 어떻게 설명함? 역사 해석할때 왜 기본적인걸 다 무시하지
@cineaste9669 ай бұрын
와, 너무 재밌네요. 유튜브에서 이 정도 수준의 방송을 볼 수 있다니...
@puwazatza9 ай бұрын
13:40 개인적으로 취미로 도자기 하는데...청색 유약 만들어내려고 코발트 가루좀 사려고 하면 허리가 휩니다. 다른 유약 원재료는 킬로당 얼마인데 코발트는 5그램 10그램 단위로 팝니다. 너무 비싸서...
@라면물조절장인-j7q9 ай бұрын
지금도 그렇게 비싼데 물류가 활발하지 않던 과거엔 진짜 같은 무게의 금보다 비싸겠네요
@itwasjustbored9 ай бұрын
서양 미술 보면 예수나 마리아같은 아주 중요한 인물들만 파란색을 쓴 거 보면 정말ㅋㅋㅋ
@soi_soi9 ай бұрын
40분짜리였네,,? 너무 재밌댜..
@저본9 ай бұрын
이번 주제 이야기 흐름들은 진짜 술술 넘어 가네요 시간 가는 줄 몰랐습니다
@nupttics9 ай бұрын
저는 이제 50살이 됐는데 어릴 적 경북 의성 시골집에 갔을 때 기억이 나는데, 거기가 소규모 거의 집성촌이었고 산 아래에 있는 좀 외떨어진 곳이었는데 동네 할머니 분들 하는 얘기 들었을 때 한 40% 가량은 못 알아 들었던 기억이 납니다. 쓰는 단어들이 지금과는 많이 달랐던 것 같아요.
@bog.byeonggil9 ай бұрын
동상 의성 어디요 ㅎ 전라도 경상도 사투리 개념인거죠. 옛날에 라디오없는 집도 많고 어디 대구나 부산이라도 가려면 보통 일이 아니었어요. 그 시대보다 더 전인데 어떠했을까요. 양반정도 되어야 한양에 가겠죠. 이렇게 고립되어 있으면 언어가 빨리 안변해요.
@KH-gd9fz9 ай бұрын
이렇게 똑똑하면 어떤 기분일까 솔직히 다 못알아들었지만 재밌었어요😂
@frozenmoon24009 ай бұрын
재미있네요.. 심지어 LED 조차 파란색 만들기가 어려워서 초창기 LED 전광판들은 파란색 대신 녹색을 썼습니다.
@skyblue27922 ай бұрын
그래서 신호등이 초록색?
@이채은-m3o2 ай бұрын
너무 고급스러운 주제와 대화였어요. 최고
@Unverbindlich9 ай бұрын
이야 보기도전에 제목부터 개꿀잼이네 ㅋㅋㅋㅋㅋㅋㅋㅋ
@newginkgo87719 ай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 왔다 '역사를 보다' 개꿀잼 진짜 기다린다 ㅠㅜ 우리 교수님들과 허준님 ❤
@velvetjude9 ай бұрын
기다리고 있었습니다! 민수님은 곽민수가 아니라 애굽민수네여 ㅋㅋㅋㅋㅋㅋ
@ChunbaeA.K.A.Jangsan_beom9 ай бұрын
와ㅋㅋㅋ 오늘 주제 진짜 재밌네요
@masspanic19879 ай бұрын
진짜 촘촘한 역사지식의 쇼다운이다 넘 재미있엉
@이한샘-v7o9 ай бұрын
역사가 너무 넘 재밌어요. 교수님들 배틀 너무 귀엽습니다.
@ll_POWER_ll9 ай бұрын
참 보다 채널은 과학이나 역사나 너무나 재밌다. 어디를 가도 이런 박사들이 지식을 교류하고 알려주고 토론을 하는 곳은 없을 듯. 😅
@김강산-r2i9 ай бұрын
오늘 진짜 재밌게 봤네요!
@drummingchild9 ай бұрын
토스토스토스가 잘되네요 뭔가 자연스럽습니다
@40jung9 ай бұрын
이번편 꽤 재밌네요😀😀👍👍
@퍼펙트네오9 ай бұрын
와 시간가는줄 모르고 봤네요^^
@Quidam129 ай бұрын
평소에 궁금하던 주제인데 선정에 센스있음❤
@SWAAG149 ай бұрын
너무 재밌어요 ㅎㅎㅎ
@리쩡-w1r9 ай бұрын
시간가는줄 모르고 봐써용
@HeewoonKIM9 ай бұрын
재미있고 유쾌하게 설명해주시니... 역사기록이란게 흥미롭네요 잘봤습니다..
@율율-e1v9 ай бұрын
모랄까 인트로와 썸네일 흥미폭팔하는 의견이네❤ ㅋㅋㅋㅋ 배틀좋죠
@Pinkbetty_Browntedd8 ай бұрын
정요근 샘 함께 하셔서 더욱 풍부해져서 넘 좋네요 ~~~. ❤❤❤
@제말이맞고님말은틀렸9 ай бұрын
37:29 이런 정보는 정말 보다채널을 통해서 처음 알게되네요.. 그동안 역사를 얼마나 잘못 배웠는지 깨닫게 되네요
@용하재9 ай бұрын
멀리 안가도 삼국지 시대였던 백제어 신라어 고구려어 다 달랐고 그래도 다 알아 들었죠 ...포르투갈어 스페인어 같은거죠 ..
@lalalami09 ай бұрын
과학을 보다 때문에 구독을 시작했는데 이젠 역사를 보다가 더 잼난듯😊
@eurydice16899 ай бұрын
이번 편 먼가 역사를 보다 역대 최고로 재밌었어요 ㅋㅋ 꿀잼
@julria86382 ай бұрын
다시 봐도 허준님 너무 진행을 잘하세요 ❤❤❤❤❤❤
@sijzoom6 ай бұрын
여러 분야 역사가분들이 모이니 시야가 확 넓어지네요. 정말 훌륭한 콘텐츠라고 생각해요.
@youarehandsome9 ай бұрын
대화는 말로만 하는데 아니죠. 몸의 대화는 충분히 가능하다고 봅니다.
@태봉-g1p6 ай бұрын
진짜 재미있고 좋은 시간입니다.
@nojabman9 ай бұрын
뻘하게 강인욱 교수님 26:42 이부분에 서울 사투리가 너무 재미있네요...
@ozoo013 ай бұрын
너무 좋은 프로예요~~매번 챙겨보고 있어요
@joejoe-zj4jl8 ай бұрын
내공들이 어마어마하시네여
@pluviophile96892 ай бұрын
언어학 얘기하면서 한 부분만 보면 안 된다는 말씀처럼, 역사도 이곳저곳의 세계사와 결합이 되어서 들으니까 너무 이해가 되고 속속 들어오네요. 역사 발굴도 과학, 언어학, 유적유물학, 천문학, 건축학 등 다방면의 사람들이 함께 뭉쳐서 얘기도 나누고 역사를 정립시켜 가면 정말 좋겠다는 생각을 가집니다. 역사라도 각자 다른 분야의 교수님들이 함께 어우러지니까 너무 재밌네요.🤩
@younglee15479 ай бұрын
호~~~~LED도 청색 만들기가 힘들었는데 참 옛날부터 청색은
@nanyoungkim4449 ай бұрын
이멤버 너어무 좋습니다. 재미나요.
@hungryseyeon9 ай бұрын
주제에 따라서 각 분야별 전문가분들 티키타카 재밌네 ㅋㅋ
@ssongkm2 ай бұрын
9월부터 제대로보는데 한번 빠지니까 반복 복습중 !! 자주자주 많이 많이 해주세요 교수님들 !!!! ㅋㅋㅋㅋㅋㅋㅋ 제발
@nupttics9 ай бұрын
오늘 내용 보면서 현상, 상황의 진실이 무엇인지 본질이 무엇인지 의심하는 사고가 얼마나 중요한지 다시 한 번 깨닫게 되었네요. 생각해보면 종교는 인간이 만들어 낸 것이고 역사도 지배층이 유리하게 서술할 가능성이 높을 것이고 통치를 위해서 어떤 의도를 집어 넣을 수 있다라는 게 합리적인 사고겠죠.
@hwanyhwany9 ай бұрын
언어역사학자도 초빙해주시면 재미있을것 같아요!!
@강태원-f3g9 ай бұрын
보다 채널을 지상파로
@user-wt6zr8orhd9 ай бұрын
허준님 진행 진짜 엄청 깔끔하시네요;;
@야후943 ай бұрын
ㄹㅇ 아나운서급 빼면 21세기 mc 중에서 보기 드물게 깔끔하심ㅋㅋㅋ
@이나민-p9c8 ай бұрын
이 영상 분할해서 더 늘려주세요~~ 디테일하게!! 와!! 처음봤습니다. 제가 여러모로 찾아봐도 이렇게 재미있는 영상 못봤습니다. 삭제한부분 다시 살려서 편집해서 지식을 나누어 주세요. 정말 흥미로워요!! 남편이 유튜버라 편집하며 어쩔 수 없이 버리는 소스들이 많다는걸 알고 있습니다.. 스탭분들 힘을 내셔요!!
@mmmijuo54079 ай бұрын
자주올려주세요.
@thenownext7 ай бұрын
허준님 살뺴니 건강해 보이고 멋있습니다. 열심히 계속 살뺴세요 정말 보기 좋아요!!!!
@Goryeodabang9 ай бұрын
고려청자는 수채화같이 맑은 비색을 만들어냈고, 독자적으로 개발한 상감기법을 써서 훨씬 더 아름답게 표현가능했지요.
@Eli_04SS8 ай бұрын
교수님들 싱글벙글 하시는거 너무 귀여우시고 친근해요 ㅋㅋㅋ
@JesusCrustPizza9 ай бұрын
급질문 생각 났습니다! 시대별로 국경이 어떻게 정해졌는지 궁금합니다!
@CrownChocoHeim9 ай бұрын
와 40분이 후딱 지나가네요 ㅋㅋㅋ 재미있게 잘봤습니다 :)
@백두부-x4y9 ай бұрын
과거엔 초록색과 푸른색을 청이라고 했어요!😊
@백만송이장미-j7q8 ай бұрын
아 대박ㅋㅋㅋㅋ 매일 상상만 했던 것들을 전문가 선생님들이 얘기해주시니까 너어무 재밌게 봤습니다!!!ㅋㅋㅋㅋㅋ 그리고 한국사까지 더해지니 정말로 더 풍부하고 몰입해서 보게 된 것 같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