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거보니까 저번에 지원했던 회사가 생각나네요. 면접일정 관리 사이트가 따로 있는곳이었는데 url에 id가 있어서 바꿔봤는데 다른 면접자들의 면접일정을 취소할수있던데..ㅋㅋㅋ
@zzuwaaap Жыл бұрын
와..케이스를 보면서는 바로 답을 알았는데 개발 단계에서 이런 문제를 고려못했을수도 있겠다..싶어서 소름돋았어요... 정신 제대로 차려야지
@모개짜 Жыл бұрын
옛날에 SI 신입으로 갔을 때 생각나네.. ㄹㅇ 허구한날 대학 사이트 만들었지만 디자인만 조금씩 다르고 스프링으로 찍어내듯이 만들었기 때문에 저 업체가 만든건 지금까지 하나씩은 나사 빠졌다고 생각하면됨ㅋㅋㅋ
@꾸하6 ай бұрын
설마 내가 다니는 회사인가!!
@Takcho129 Жыл бұрын
결론 : 정신병은 개발에 유리하다.
@Friedrich-Nietzsche Жыл бұрын
3:13 아니 자연스럽게 개소리하는 게 개웃김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애드센스-y1k Жыл бұрын
오늘 검색하다가 공적 웹사이트에 ssl 보안인증서 설치 안된거 보고, 잠시 저의 눈을 의심했답니다. ㄷㄷㄷ 비개발자로 코딩 배우고 있는데 점점 코딩의 매력에 빠지는걸 보니 이상한 사람이 맞나봐요. ㅎㅎ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utb311 ай бұрын
ssl 은 주기적으로 갱신해야 되는거라 전담 하는 사람 없고 외주주면 대부분 만료 되는거죠 ㅎㅎ..
@애드센스-y1k11 ай бұрын
@@utb3 흐미…안타깝네요. 즐코팅 하세요.
@penguinhing Жыл бұрын
이런 기본적인걸 안막아놨다는게 신기하네 ㅋㅋ..
@이우철-c6e Жыл бұрын
편집증에 게으름은 최고의 개발자 기벽이지
@AionX-zi9wo Жыл бұрын
동의1
@Noppoo Жыл бұрын
여친없는 특징 아닌가
@MN-do7hk Жыл бұрын
교수가 뉴스 나와서 저런 소리 했다는게 더 레전드ㅋㅋ
@259remix9 ай бұрын
변조(를 통한 악용) 방지 대책이 없었다고 이해하면 되지 꼭 이 악물고 뒤틀리게 이해하려는 새끼 ㅋㅋㅋ
@사람-y3z9k Жыл бұрын
코드 한 줄 잘못돼서 털린다니 무섭네요...
@romecarlos1417 Жыл бұрын
백엔드 개발자인데 백엔드 개발하면서 프론트랑 같이 일할때 가장명심해야하는건 프론트는 백엔드를 사용하기 편하게하는거지 프론트의 정보를 절대 신뢰해서는 안된다는마인드로 개발합니다 한마디로 나는 개발하고 프론트는 내가 개발하는걸 사용한다는거죠
@junjedi2821 Жыл бұрын
쉽게말해 서버는 프론트에서 달라는대로 주면 안된다는거
@윤튜브-u6s Жыл бұрын
협업하는 프론트 개발자의 실력을 떠나서 당연히 백엔드 개발자가 갖춰야할 부분이라고 생각함 프론트에서 넘어오는 데이터들은 쉽게 악의적인 조작이 가능하기때문에 꼭 검증과정이 있어야함 근데 현실적으로 대부분의 개발자들이 미흡한 이유가 이런 데이터 검증과정을 넣는부분은 추가 개발시간이 들어가고 개발에 시간을 쏟아도 개발 당시에는 개발한 티가 많이 안나는 부분이라 그런듯 나중에 운영단계에서 문제터지거나 보안 취약사항 검증 이런거 할때나 그런부분이 개발이 잘돼있는지 알수있고 결국 그마저도 개발한 사람한테 따질수 없고 유지보수 하는 사람이 떠맡게 되는 부분
@junjedi2821 Жыл бұрын
@@윤튜브-u6s 악순환 그 자체네요, 대기업에서는 이런 악순환을 자체 업무 프로세스로 교통정리를 잘 해 놓고 웃으면서 개발하지 않을까요? 저는 그쪽 계열이 아니라 모르겠네요;
@나이승너저승 Жыл бұрын
근데 저거 ㄹㅇ 멍청한 실수 아니냐? 개인정보 저장하면서 입력하는 페이지에서 헤더에 유저 토큰도 안받았다는건데 이게 대한민국 SI 현주소인가..
@hwarangbaek1025 Жыл бұрын
의심증 강박증 반박증 다 있어서 문제 제기하면 막상 관리자가 그건 중요치않다며 일정만 가지고 논함 😂
@Mir2SKY2 Жыл бұрын
비IT기업이 IT 관련 직원 없이 하청으로 프로젝트 진행하면 거의 대부분 이꼴임. 무슨 완제품마냥 다 완성되어서 나올꺼라고 생각하고 최소한의 검수나 확인도 제대로 안하고 서비스하고나서도 방치하는 원청쪽이나, 원청이 IT모른다고 대충대충 만들어서 납품하고 돈타먹는 하청. 그러니 언제라도 터질지 모르는 시한폭탄이 되버림.
@user-NG8Z7WMRAY3rsK1a Жыл бұрын
폭탄터지면? 책임져야 할 놈들은 전부 실무자에게 다 떠넘기고 꼬리자르기 ㅋㅋㅋㅋㅋ
@hyunKim872 Жыл бұрын
능력있는 개발자는 많지만 결국 다들 자기 수준에 맞는 처우를 해주는 기업에만 가죠... 결국 이쪽에 돈쓸생각 없는 기업들 코드는 별 이상한 하청이 만들게되고 꼭 저런 말도안되는 사고를 치는것같아요... 특히 은행이나 공공기관들ㅋㅋ
@lee_ze Жыл бұрын
어쩐지..내가 성격 좋고 사람 좋아해서 코딩을 못하는거였구나!
@hitam_black Жыл бұрын
서버: 헛소리하지 마세요
@Iamjellycaramel Жыл бұрын
ㅋㅋ "설마.. 그정도로 악의를 가지고 이상한짓을 하겠어?" -> 함
@ZEPHYR_KR Жыл бұрын
SI쨩 엣큥이냐고ㅋㅋㅋ
@샤린히르곤4 ай бұрын
개발자 필수 소양 1.의처증 2.강박증 3.의심병 .....메모.....
@한꽁-i2g Жыл бұрын
2:25 이 영상의 핵심
@이아이아이아 Жыл бұрын
짤 하나하나가 주옥같이 씹덕이네 ㅋㅋㅋㅋ
@youngj6367 Жыл бұрын
코딩애플 목소리를 들으니 마음이 편해진다...
@hkbayarea365 Жыл бұрын
형님은 위트가 있어서 좋네요
@many8812063 ай бұрын
심지어 여기에 더해 그걸 검색 크롤러가 긁어가게 놔두고는, 그게 문제라는 게 공론화 되고도 한참을 헤맨 회사가 있었습니다... 우리나라 보안의 현실이 이렇습니다...
@bluboks6865 Жыл бұрын
저희 회사랑 계약 맺고 물건 납품하는 소매체인이 있는데, 이 체인 본사의 웹 SCM이 가관이었습니다. 가맹점 정보 조회하면 post응답으로 json데이터가 들어오는데, 가맹점주들의 개인정보, 아이디는 물론 "비밀번호"까지, 그것도 "평문"으로 보내오더라고요. 아마 가맹점 정보 부를 때 그냥 냅다 select * from ... 때려버린 듯합니다. 본사 담당자한테 얘기해줄까말까 하다가 괜히 "그런걸 어케 앏? 님이 악의적으로 해킹한거 아님???"이라고 혹여나 곤란한 상황 초래할까 싶어 그냥 저만 알기로 했습니다. 대체 어떤 기열찐빠 외주업체에게 개발을 맡겼길래...
@mbc-official Жыл бұрын
비번 평문으로 저장하는거 불법입니다 신고하세요
@KY-if5kt Жыл бұрын
간단한 비밀번호를 유저가 설정하게 해서 그에 맞는 토큰을 부여 하는게 낫지 않을까... url로 잘못접근하면 토큰값 비교하고 접근 불가하는걸로..
@KGStar1125 Жыл бұрын
코딩이 절대로 지지 않는 러브 코미디 미쳤다
@user-mi3km6qt6e Жыл бұрын
2:42 이거는 정확히는 '내 정보, 내가 요청한 지원서 정보 == 요청자의 지원서 정보의 지원자가 요청자정보와 동일'이겠죠? 그리고 마지막에 의심병에 빵 터졌네요
@tomseoseo2438 Жыл бұрын
20년전에 저런식으로 url상에서 내 아이디 위치에 다른사람 아이디 적으면 그사람으로 로그인되는 사이트 본적있는데, 요새도 저런일이 벌어지는군요
@HJ-ri9fj Жыл бұрын
지금은 어떨지 모르겠지만 예전에 유명 중대형 사이트들도 URL 바꾸면 DB 다 보이고 화면 페이지 구성 다 바뀌고 error log 출력하듯 상세하게 보이는 걸 조금만 바꿔서 URL 던지고 dns 털어서 서버 FQFN 정보를 획득해서 쉽게 보이던 기억. 아직도 고쳐지지 않은 중대형 쇼핑몰들도 저럴건데 하물며 방송대 뿐만 아니라 다른 대학들도 차이가 없을 것. 외국에서도 알아주고 인정해주는 대학이라서 국립대이기 때문에 크게 부각이 되었을 듯.
@brissyluv6560 Жыл бұрын
외국에서도 알아주고 인정해주는 대학…?
@ifthree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 미들웨어에 최소한의 장치만 작성해도 이런일이 없을텐데 너무 웃기네요, 인터뷰도 정말 황당하네요, url이라니… 근데 한편으로 이번 뉴스덕분에 간단한 프로젝트라도 이런 사소한 이슈가 생기지 않게 보안에 대해 더 의식하게 되네요 :)
@5tormtr0093r Жыл бұрын
토큰에서 아이디 뽑아다가 검증은 기본인데 클라이언트들이 하청주면 속편하니까 여기저기 막 뿌리고 업체 검증도 안하고 편한만큼 잃는것도 많은 법
@junkikim9201 Жыл бұрын
제목 엄청 잘지었네요. if문 보고 뭔가싶어서 들어왔
@NeroNKou Жыл бұрын
외주개발업체쨩! 맛따꾸~
@mephi-ipnida11 ай бұрын
0:20 아니 뭘 생각하신거얔ㅋㅋㅋㅋㅋㅋㅋㅋㅋ
@qwerqwer12r Жыл бұрын
변조를 인위적으로 한 URL 코드 자체가 다른 데이터를 DBMS로부터 꺼낼 수 있어서 성공한거라 if문을 사용해도 똑같이 털리기는 하죠 저 부분이 없는 코드를 입력해도 다른 사용자 정보가 뚝딱 나오는게 아니라 url을 통해서 http요청을 저렇게 보낼 수 있다는게 문제니까.. 뉴스에 나온 분이 얘기한 건 아마 URL인코딩을 얘기하는 것 같습니다
@young-qc5yb10 ай бұрын
개탄하는건 교수가 저런 쌉소리를 한다는거 한국 미래가 보인다 아주..
@junjedi2821 Жыл бұрын
클라이언트에서 임시저장된값 불러올때 get으로 하던 post로하던 서버로 날리는 fetch는 위변조가 가능하고, 하물며 form validation도 똑같은 schema를 클라이언트와 서버에 모두 깔아주는데, 개인정보에 접근할 수 있는 요청을 클라이언트단 서버단 모두 verify하는 로직을 넣지 않았다는게 충격. 쉽게 말하면 정말 서버측에서 클라이언트로 res내려줄때 최소 if문 하나 안 넣은게 너무 안일하게 생각했네요
@Mujaeho Жыл бұрын
이상한 사람일수록 잘한다면 코딩애플님은....
@Legoim-i5v Жыл бұрын
key 가 될 수 있는 값들 중 값을 sequence 같이 순차적으로 채번되는 항목은 모두 암호화 대상으로 해야합니다. 이걸 모르는 개발자들이 상당히 많아요.
@k1m_a9ree Жыл бұрын
방통대 신나게 돌려까는거 개웃김ㅋㅋㅋㅋㅋㅋㅋㅋ
@minseokwon6484 Жыл бұрын
“개방성”
@롤케익 Жыл бұрын
다른곳도아니고 명색이 방통대인데.. 어디 어문대학이 털린것도 아니고 간판값못하는거 개한심함
@ahahwgqye12 Жыл бұрын
@@롤케익방통대가 간판값..? 웃고 지나갑니다~
@user-eo1tw9ly8q Жыл бұрын
@@ahahwgqye12 븅신 지잡대 출신이라 저게 무슨 학위 때문에 가는 곳인 줄 아나? ㅋㅋㅋㅋ
@롤케익 Жыл бұрын
@@ahahwgqye12방통대 코딩을 학생들이 하는 줄 아는 잼민이들은 웃고 지나가겠지. 아직 고등학생이면 간판이라는 단어가 입결 아웃풋얘기로만 보일테니 이해는 감.
@shkim0223 Жыл бұрын
그래서 코딩애플님이 의처증, 강박증, 의심병 있는 삼위일체 그 자체란 소리죠? 잘 알겠습니다.
@b_mng Жыл бұрын
처가 있으실까요?
@hanju0 Жыл бұрын
유튜브 계속 해주셨음 좋겠다. 정말 영상 스타일이 마음에 든다. 유용한 정보를 얻는 영상은 지루하기 마련이지만, 이 사람의 유튜브의 영상은 매우 흥미롭고 유익하다고 할 수 있다.
@이정환-k5q11 ай бұрын
혹시 ai신가요?
@soneday7 ай бұрын
개방성 공공성 자율성 드립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우푸구 Жыл бұрын
개인정보 공유 서비스 ㅋㅋㅋㅋㅋㅋㅋㅋ
@dandyclubs Жыл бұрын
정상인과 다른... 사람이.. 천재이거나.. 범죄자이거나...
@시 Жыл бұрын
방통대는 돈내고 다니지만, 대학교 혜택 덕분에 개이득인 곳
@rltgjqm Жыл бұрын
유용한 영상 감사합니다!
@JeneroVentimiglia Жыл бұрын
말투 진짜 넘 좋다
@jwmsg_hacker Жыл бұрын
지원서 코드를 넘버링으로 하는게 아니라 완전 랜덤하게 uuid 만 잘 활용했어도... 끝에 한두자리 바꾼다고 안나올텐데
저건 기본 중의 기본인데;; 어이가 없.... 요즘 대학생이 만들어도 저 정돈 아니지않나..
@민호-r3g Жыл бұрын
방통대가 아니라 방송대
@user-kq8iu4bl2b Жыл бұрын
이거 ㅋㅋ 예전에 네이버북스 초창기에 있었음. 다음권 결재 안해도 url바꿔서 보고 대여기간 지난것도 시스템시간 바꿔서 볼 수 있고 10년전인데 지금은 당연히 막혔겠지
@우리엄마-다섯살 Жыл бұрын
원래 하드코딩이 보안이 더 좋긴하죠 ㅋㅋ 뭐 최적화 뭐시기하다가 다 놓침 ㅋㅌ
@한호-p6r Жыл бұрын
외주개발운영 맡기는곳 특히 공공기관 오래된 서비스인데 규모가 작다면 털릴곳 많습니다
@choi77770 Жыл бұрын
한동훈 장관님 코딩도 잘하시네요
@ShootingKitty121 Жыл бұрын
와 ㅋㅋㅋㅋ
@성이름-t4i5w Жыл бұрын
코딩의 힘 비대위원장
@롤케익 Жыл бұрын
정치입문을 위한 교양쌓기 ㄷㄷ
@aaddy95 Жыл бұрын
영포티쉑 ㅋㅋ
@choi77770 Жыл бұрын
@@aaddy95 이십대인데 뭐라노 십련이ㅋㅋ
@설레여라-b4c Жыл бұрын
나름 강박과 의심을 항상 가지고 살고 있는데 ... 본인에 대한 믿음도 없어서 너무 피곤함
@jensooonyengh1525 Жыл бұрын
개인정보 유출 데이터 크기>>>>>대한민국 국민 수
@user-ze7kj8xh4e Жыл бұрын
교수가 저따위로 인터뷰한게 더 웃김ㅋㅋ
@nursy Жыл бұрын
rrno값이 말 그대로 주민등록번호를 md5로 hashing한거면...
@자벌레-k1u Жыл бұрын
형 애니 봐요??
@abcdefg8808 Жыл бұрын
의처증 ㅋㅋㅋ 저는 임베디드라 까딱잘못하면 사람죽일수도있어서 의처증을 달고사네요..
@pray4skylark Жыл бұрын
개발자가 하란대로 하니 뭐 어찌하겠냐 보안담당자가 신경 써서 봐줘야함
@TV-db9bx Жыл бұрын
개발자로서 다른 사이트들 황당한곳 많음 여기처럼 로그인만 하면 다른 사람 정보 다 꺼낼수 있는곳 많음
@horieyui1976 Жыл бұрын
한국통신에서 exit 명령어를 빠트려서 난리났던 일이 생각납니다.
@공중변소휴지도둑8 ай бұрын
요즘 if 쓰,기 싫어하는 사람들도 은근히 있던데 예외처리는 기본아니냐...
@Gam-Ma Жыл бұрын
딱 보니 주민등록번호도 서버에 평문으로 보냈을듯..😂
@오천언 Жыл бұрын
서버엔 보낼땐 평문으로 보내지 뭘로 보냄?? PGP로 페이로드 암호화해서 보내야함??ㅋㅋ
@오천언 Жыл бұрын
@@wogusn 페이로드에 노출되는게 무슨 상관임..? 기본적으로 SSL인데..? 구글도 ID/PW 평문으로 보내는데요..?? 궁금하면 직접 확인해보셈..
@뀨뀨꺄꺄-h5l Жыл бұрын
@@wogusn 클라이언트단에서 암호화 존나게 해봐야 서버에서 알아먹으려면 결국 클라이언트단에 암호화 키가 노출되어야 하는데 무슨 의미임ㅋㅋ 그 암호화 키를 숨기기 위해 정부기관이나 은행놈들이 도입한 액티브엑스(와 그와 유사한 쓰레기들)를 사설 서비스에도 도입하자는 이야기는 아닐거고ㅋㅋ
@youdieee Жыл бұрын
@@뀨뀨꺄꺄-h5l뭐 물론 양극이 아닌 단극으로 암호화하는건 오래전에 나왔다죠. 그리고 그것도 뚫리는거고, 키을 안 보여준다고 해도 뚫리는 세상인데 ㅋㅋ
@대혀니 Жыл бұрын
평문으로 보내야죠 중간자 공격이요?? Https가 그래서 있는거에요
@HelloKuma-smh Жыл бұрын
편집왤케웃기냐ㅋㅋㅋㅋㅋ😂
@G2농담곰 Жыл бұрын
그냥 si 사업 해버린것....
@jong01045 Жыл бұрын
아니 기본적인 캐시 조건도 안해놔? ㅋㅋㅋㅋㅋㅋㅋㅋ ㄹㅈㄷ다
@1234asdf-bf5rj9 ай бұрын
왜 결론이 의처증 강박증인데욬ㅋㅋㅋㅋㅋㅋㅋ
@BlackSkyUploadTube Жыл бұрын
... 내 정보!!!!!!!!!!!!! 내 정보!!!!!!!!!!!!!!!!!!!! 하지만 이미 옥션 때부터 공공ㅈ....
@Moon_Super Жыл бұрын
SI가 욕먹는 이유. 책임감이 없음. 서비스만 되면 끝이라는 마인드. 취약점 찾아서 조치하라고 얘기하면 할 줄 모르니 너네가 하라고 함. 안정적인 서비스를 외주맡긴건데 서비스만 외주맡긴줄암ㅋㅋ
@김요한-u8g8w Жыл бұрын
까먹어서 안했다기보단 갑을병정 하청 주면서 일정 등이 너무 촉박해서 놓치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이 먼저 드는 사람은 없는걸까
@drama_xxxx Жыл бұрын
몇몇 SI업체는 뜨끔해야지
@inuneko53126 ай бұрын
10년동안 똑같은 코드를 쓰다가 이번에 털린것
@K0REANG6 ай бұрын
개웃기네 ㅋㅋ😂
@돔황차-z9w Жыл бұрын
사수가 코드가 이게 뭐냐며 화를 냈다. 코드를 작성할 때 스페이스를 누른게 화근이었다. 탭을 눌렀어야 했는데..
@london-gherkin Жыл бұрын
3:17 미치신거 아닙니까? ㅋㅋㅋㅋ
@LEE-vi7xq Жыл бұрын
4:06 아니 왜 계좌는 믿어주고 친구는 안 믿어주냐고 ㅋㅋㅋㅋ
@전동협-l1k Жыл бұрын
개방성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tribela Жыл бұрын
우린 이걸 오픈 API라고 부르기로 했어요
@wotomy Жыл бұрын
수상할 정도로 다양한 데헷짤
@minsikbuff Жыл бұрын
SQL 인젝션이 생각나네요
@Envision-1h Жыл бұрын
요즘 애플형 때문에 웃엌ㅋㅋㅋㅋ
@sipe1010 Жыл бұрын
중간중간 나오는 애니짤 내가 아는게 미치겠다
@junkman9010 Жыл бұрын
URL 변조 이전에 저거 세션이나 로그인 옛날 방식이지만, 쿠키 점검 기능만 넣어도 피할 수 있는 기능인데. 저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