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건 세계에서 가장 긴 불교 문서입니다. " - 피터슨 교수의 한국 역사에 대한 강의

  Рет қаралды 1,075,841

지식 채널

지식 채널

Күн бұрын

Пікірлер: 638
@동재하-g7c
@동재하-g7c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소크라칸-x3t
@소크라칸-x3t 3 ай бұрын
됐고.... 영어는 외국어이니 선택과목으로 제자리 돌려놔야 함! 닛본 왜것들 봐라. 선택으로 돌란지 벌써 20년 돼 간다....노벨상 거의 매년 받더라!!
@ke3425-p2h
@ke3425-p2h 2 жыл бұрын
팔만대장경이 놀라운 이유는 더있죠 국난에도 불구하고 화재로 소실되지않았고 한두명이 작업한게 아님에도 한사람이 적은듯한 필체하며 습도와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되고있어서 보존상태또한 최고라는것!!👍
@이종환-x7j
@이종환-x7j Жыл бұрын
온도와 습도가 유지되는건 장경판전때문이죠 최신식 설비에 보관하려고 실험했으나 온도 습도 유지에 실패했죠 우리 선조들 정말 대단합니다
@Plato-u5v
@Plato-u5v Жыл бұрын
팔만대장경이 다 사라질 뻔한 적도 있죠. 합천 해인사에 빨갱이 잡겠다고 전폭기에 폭탄 투하하라고 명령 내린 거 거부한 한 전투기 조종사 덕분에 여태 우리가 보는 팔만대장경이 보존돼 있는 겁니다.
@majorslee9603
@majorslee9603 Жыл бұрын
존경할 만한 분...한국을 60년대에 처음 왔다던데,찢어지게 가난하던 시절,선교사로 와서,그후 산업화,군사독재,민주주의 다 지켜본 사람 한국을 저렇게 뿌리깊게 사랑하는 외국 전문가들이 많이져야 함
@선영최-i4m
@선영최-i4m Жыл бұрын
님이 말한 시절중엔 국사독재 시절이 가장 깨끗하고 정의로우며 한국정서에도 맞았던 시절이었던거 같아요,
@misomino291
@misomino291 2 жыл бұрын
나는 한국에서 배운 교육으로 안 한국 문화 역사보다 푸른 눈의 외국 교수님들 강의로 아는 것들이 더 많은 것 같음 ㅋㅋㅋㅋ 마크 피터슨 교수나 샘 리처드 교수 그리고 그외에도 한국에 진심을 가지고 제대로 강의해주시는 유명한 외국 교수님들, 한국을 너무 사랑해주시고 열성적으로 강의하시는 모든 외국 교수님들이 그저 존경스럽고 감사할 따름;;;;;;
@bookrose1301
@bookrose1301 2 жыл бұрын
맞아요. 스트레스 받으면 특성화고 가면 되는데. 지원도 든든하고. 모든 아이들에게서 기회를 뺏지마시길. 아이들도 힘들어 하기만 하는게 아니라 자기 자신에대한 기대도 있더만.
@한주민-h1s
@한주민-h1s 2 жыл бұрын
그저 단순히 외국교수 강의는 이런 식으로 접하게 되지만 우리나라 사람이 하는 강의는 이렇게 볼 일이 적어서 그런 것일 수도...
@SteveHam81
@SteveHam81 2 жыл бұрын
한국사람이 이런 얘기하면 국뽕이라고 엄청 까임. 외국 교수가 수업하는 영상이니까 '국뽕무새'들이 조용한 거.
@Redback2kf21AS21
@Redback2kf21AS21 2 жыл бұрын
👍
@김지훈-o3n
@김지훈-o3n 2 жыл бұрын
@@SteveHam81 미국 사람이 한국을 까는 영상은 다 걸러지니까 이런 것밖에 볼 수 없죠
@전네오
@전네오 Жыл бұрын
한국인 보다 더 한국을 잘 알고 계시는 교수님. 한국인으로서 당신을 매우 존경합니다. 또한 감사드립니다.
@rose-wn3og
@rose-wn3og 2 жыл бұрын
호텔에서 본 LG TV를 보고 저렇게 반가워 하셨던 걸 보면 한국에 대한 애정이 얼마나 크신지 알 수 있네요. 마음 속은 한국인이신 듯. 감사할 따름입니다.
@jayjayjang8725
@jayjayjang8725 2 жыл бұрын
진짜 한나라의 왕이 교육을 해야 나라가 더 발전하도 국민들이 행복해진다. 한자는 어려워 일해야하는 평민들이 배우기 어렵다. 그러니 배우기 쉬운 문자가 있어야한다. 아니 모든 권력을 가지고 신이나 같은 위치에서 하고 싶은 건 다 할 수 있었던 존재가 우리 국민을 위해 나라가 발전하고 국민이 더 잘살게 하기 위해 한글을 만들거라 결심하고 기어이 우리에게 한글을 줬다는 게 아무리 생각해도 너무 기적같음. 진짜.
@hebulhebul
@hebulhebul 2 жыл бұрын
교수님이 외교부 직원 천명보다 더 외교 잘하심
@jinkyoungyun8916
@jinkyoungyun8916 2 жыл бұрын
외교부장관으로임명하는게낫겠다
@sugarfree97
@sugarfree97 2 жыл бұрын
저 분은 다른 문제가 좀 있습니다 ㅋㅋ
@innijo6026
@innijo6026 2 жыл бұрын
@@sugarfree97 그게 뭐죠? 논리적으로 말해보세요.
@sugarfree97
@sugarfree97 2 жыл бұрын
@@innijo6026 저 교수가 문제가 좀 심각한 분이라는 겁니다.
@hoonivl
@hoonivl 2 жыл бұрын
@@sugarfree97 그니까 무슨문제ㅋㅋ
@이한창-u9c
@이한창-u9c 2 жыл бұрын
피터슨 교수님 감사합니다. 늘 건강하시길 바랍니다!
@소크라칸-x3t
@소크라칸-x3t 3 ай бұрын
됐고.... 영어는 외국어이니 선택과목으로 제자리 돌려놔야 함! 닛본 왜것들 봐라. 선택으로 돌란지 벌써 20년 돼 간다....노벨상 거의 매년 받더라!!
@suedo8152
@suedo8152 2 жыл бұрын
제가 90년대 유학을 했어요 이영상을 보니 우리나라가 이렇게 발전되었다는게 눈물이 나네요. 한국이 어딘지 모르건 사람들 투성이였는데. 우리나라가 너무 자랑스럽습니다. ❤
@kyu9826
@kyu9826 2 жыл бұрын
어디서 유학을 하셨나요?
@민수정-s5b
@민수정-s5b 2 жыл бұрын
저도 94년도 초에 유럽에 갔었는데 그때 한국이란 나라는 동남아시아 더운 나라 쯤이라고 생각하고 한국전쟁, 고아수출국, 뭐 이런 이미지였었죠. 참 속상하고 자존심이 상했었죠.
@soohyunkim678
@soohyunkim678 2 жыл бұрын
저는 80년대에 미국 유학 했는데 한국은 변방의 후진국 취급 받았어요. 온통 일본 일본 일본을 배우자... ㅋㅋㅋ 격세지감입니다.
@footballsoccerlove1748
@footballsoccerlove1748 2 жыл бұрын
옛날엔 한국을 무시한 나라가 많았는데 K pop, K 영화 등등 한국이 너무 잘나가고있어서 이제 한국을 무시하는 사람들은 무식해보이네요^^
@지구-p2m
@지구-p2m 2 жыл бұрын
@@soohyunkim678 80년대면 확실히 한국이 부족할때가 맞네요 80년대 이후로 대한민국의 경제가 급성장했으니
@jkyoo8330
@jkyoo8330 2 жыл бұрын
업무상 경험한 바로는 외국 지식인들은 한글을 정말 대단하게 생각하고 있다는 것이었음. 인류사에 남을 발명이라고 하는 거 자주 들었음.
@DavidYun-vx4de
@DavidYun-vx4de Жыл бұрын
마크 피터슨 교수님의 57년간 변치 않은 한국 사랑이 고맙네요. 늘 건강하시고 편안하시기 바랍니다. 🙏
@roh7226
@roh7226 Жыл бұрын
교수님, 한국인인 제가 인식하지 못했던 내용들을 깨우쳐 주셔서 감사합니다. 건강하시고, 오래오래 강의해주세요~~~
@엘리샤-k2e
@엘리샤-k2e 2 жыл бұрын
마크 피터슨교수에게 한국에서 줄수있는 상을 많이 드렸으면..한국.한국인에 대한 좋은 긍정적이미지를 광범위한 지식을 바탕으로 미국에 알리고 열일하고 계심..
@박춘수-o9s
@박춘수-o9s 2 жыл бұрын
이분에게는 대한민국 발전에 홍보대사로 우리나라에 지대한 공로로 국민 훈장을 줘야한다
@소크라칸-x3t
@소크라칸-x3t 3 ай бұрын
됐고.... 영어는 외국어이니 선택과목으로 제자리 돌려놔야 함! 닛본 왜것들 봐라. 선택으로 돌란지 벌써 20년 돼 간다....노벨상 거의 매년 받더라!!
@버디깨비
@버디깨비 2 жыл бұрын
마크 피터슨 교수님 한국에 자주자주 방문해서 강의해 주세요.
@Olcoolman
@Olcoolman 2 жыл бұрын
우리보다 더 한국을 아시네요.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bertha917
@bertha917 2 жыл бұрын
대단하신 교수님.. 늘 건강하시고 되려 배웁니다.
@dong060908
@dong060908 2 жыл бұрын
피터슨 교수님 감사합니다 늘 평안하시길 기도하겠습니다
@소크라칸-x3t
@소크라칸-x3t 3 ай бұрын
됐고.... 영어는 외국어이니 선택과목으로 제자리 돌려놔야 함! 닛본 왜것들 봐라. 선택으로 돌란지 벌써 20년 돼 간다....노벨상 거의 매년 받더라!!
@kimhigdon1489
@kimhigdon1489 3 ай бұрын
파터슨 교수님, 평생동안 한국을 연구하시고, 사랑하시고, 우리를 대변하여 우리나라의 숨겨진 보석같은 문화와역사를 세계에 알려주심을 감사 합이다. 건강 하시고 오래오래 만수무강 하소서! 존경하고 사랑 합니다!😇🙏
@소크라칸-x3t
@소크라칸-x3t 3 ай бұрын
됐고.... 영어는 외국어이니 선택과목으로 제자리 돌려놔야 함! 닛본 왜것들 봐라. 선택으로 돌란지 벌써 20년 돼 간다....노벨상 거의 매년 받더라!!
@Mio_JJANG
@Mio_JJANG Жыл бұрын
건강하게 오래오래 사세요 교수님
@namsunhwang2913
@namsunhwang2913 Жыл бұрын
미국에는 한국을 사랑하는 교수님들이 참 많으신 것 같습니다. 마크 피터슨 교수님 감사합니다. ❤❤
@오레오-c6z
@오레오-c6z 2 жыл бұрын
교수님 강의에 한국에 대한 애정이 느껴지네요. 부디 건강하셔서 좋은 강의 오래오래 하셨으면 좋겠습니다.
@닐리리맘보-j5g
@닐리리맘보-j5g 2 жыл бұрын
피터슨 교수님 감사합니다
@잊지마스크
@잊지마스크 Жыл бұрын
다시 봐도 감동입니다 👍👍
@잊지마스크
@잊지마스크 2 жыл бұрын
교수님 감사합니다 👍👍
@일류대한민국
@일류대한민국 2 жыл бұрын
마크피터슨 교수님 감사합니다. 잊지 않겠습니다. 굿 👍👍👍
@수동문-w9i
@수동문-w9i Жыл бұрын
피터슨교수님최고야!
@이다니엘-m5l
@이다니엘-m5l Жыл бұрын
과거 우리가 힘없고 존재감 없어 고통 받았을때 교수님 같은 분이 계셨더라면 얼마나 좋았을까요 하지만 이제는 교수님 같은 분들이 계셔서 정말 든든합니다 교수님 건강하세요
@joinsky2883
@joinsky2883 Жыл бұрын
한국에 대해서 관심가지고 공부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그것을 또 후대들에게 가르쳐 주셔서 감사합니다. 건강하세요🙏🙏🙏
@진도개-k9e
@진도개-k9e 2 жыл бұрын
피터슨교수에게.....국민훈장수여도 부족함을 느끼네요.... 뭉쿨합니다.....
@동그라미-o2y
@동그라미-o2y 2 жыл бұрын
아 교수님 ㅠㅠㅠㅠ 진짜 우리 국민보다 더 대한민국을 잘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이영상을 끝까지 보며 반성과 나라사랑을 하고 가게 됩니다❤❤
@dreamif-fh5zm
@dreamif-fh5zm 2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에어로졸
@에어로졸 2 жыл бұрын
교수님이 강의하시는 내내 한국을 사랑하는 마음이 느낄수있었습니다.
@두꺼비-e1h
@두꺼비-e1h Жыл бұрын
한국을 알리고 빛나게 만들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이 분의 유툽을 보며 한국에 대해 한국인인 제가 알아갑니다
@JHLee-qd9ks
@JHLee-qd9ks 2 жыл бұрын
아 인쇄술과 한글발명 교육열이 같은 맥락으로 설명이 되는거군요ㆍ 한글이 한글의 우수성보다 더 뛰어난 점은 교육의 혜택을 일부 귀족이 아닌 대중의 차원으로 늘렸다는 것이 가장 놀라운 점이 되는군요
@희망-j1t
@희망-j1t Жыл бұрын
멋있네요 감사합니다 ❤️
@sh-ester
@sh-ester 2 жыл бұрын
그러네요.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왜곡하지 않고 객관적 사실을 가지고 역사를 다루시니 대한민국의 특별함이 보이셨던듯 ,,
@sibyll007
@sibyll007 2 жыл бұрын
32만장을... 베껴쓰는게 얼마나 귀찮았으면 한번의 큰 귀찮음으로 평생의 귀찮음을 찢어버린 8만대장경... 진짜 조상님들 찐광기임..
@tingmei8397
@tingmei8397 2 жыл бұрын
귀찮음을 극복하는 행동~~ 멋진 해석이십니다
@최호준-f5f
@최호준-f5f 2 жыл бұрын
대장경을 만드는 일 자체가 평화를 바라는 숭고한 행위였습니다. 인쇄는 그 다음일이었죠.
@호짜유튭-m4k
@호짜유튭-m4k Жыл бұрын
맞소
@VladŢepeş-r7f
@VladŢepeş-r7f Жыл бұрын
32만장인데 왜 8만 대장경이져?
@얼음맥주-k1g
@얼음맥주-k1g Жыл бұрын
@@VladŢepeş-r7f 목판은 81,352장 정도 되는데 목판 1장으로 4페이지를 찍을 수 있음
@최명희-c7o
@최명희-c7o 2 жыл бұрын
마크피터슨 교수님 한국사를 정확히 아시는것에 경의를 표합니다
@hyukjaes
@hyukjaes 2 жыл бұрын
요즘 학생들 스트레스 많다고 하향평준화 해야할 것처럼 말하는 사람들이 많은데 그런 스트레스와 교육열이 없었으면 한국은 아직도 필리핀만큼이나 못사는 나라로 남아 있었을 것. 이 교수님 말대로 아무것도 없는 나라에서 교육과 인적자원 하나로 지금까지 발전한 것임.
@Happyvirus16
@Happyvirus16 2 жыл бұрын
격하게 동의함
@user-heavengate
@user-heavengate 2 жыл бұрын
생존과 직결…
@Killer__cat
@Killer__cat 2 жыл бұрын
어쩔수 없죠,,,,이집트 피라미드를 쌓아 올린 과정에서 죽은사람들이 많고 중국 만리장성을 쌓아 올린과정에서 죽은 사람들이 많은것처럼, 우리나라도 살아남아야 하기 때문에 우리나라가 지식인이 많아야 살아남을 수 있는 국가로 만든 이유중 하나인거 같아요
@Power-daram
@Power-daram 2 жыл бұрын
그에 따른 과도한 경쟁사회로 자살율 1위 출산률 뒤에서 1위
@Happyvirus16
@Happyvirus16 2 жыл бұрын
@@user-heavengate 마자요 생존
@니제-i7o
@니제-i7o 2 жыл бұрын
피터슨 교수님 사랑합니다 건강하세요 도리어 제가 배우게 되네요 항상 고맙습니다
@user-vh2su1xk4w
@user-vh2su1xk4w 2 жыл бұрын
마크피터선교수님! 정말대단하시고 대한민국에대한 관심과사랑깊이 감사드리며 만수무강하시기를~ 염원합니다,
@timorboo
@timorboo 2 жыл бұрын
교수님 강의를 듣고 문득 든 생각이 나무를 가꾸는데 집중하다보니 숲을 못 봤었구나! 잠시 숲에서 멀리 떨어진 교수님 시선으로 숲을 바라보게 되었네요. 감사합니다. ^^
@robertjerryshin6509
@robertjerryshin6509 2 жыл бұрын
아하 저도 많은 공부가 되었네요 교수님 감사 합니다
@seongyunchoi2244
@seongyunchoi2244 2 жыл бұрын
한글은 세종대왕이 혼자 만들었다는게 학계의 정설로 자리잡았어요. 정인지 등이 만들었다는건 비주류 의견이 드라마화 되어서 나온 얘기이구요
@nfgdyrxiigbjprsc
@nfgdyrxiigbjprsc 2 жыл бұрын
그전에 고조선시대 때 가림토문자가 있었어요 세종대왕이 만든게 아니라ᆢ 가림토문자 알아보세요ᆢ
@user-gk1ve1ip6k
@user-gk1ve1ip6k 2 жыл бұрын
@@nfgdyrxiigbjprsc 가림토문자가 진짜라면 그 많은 문헌이나 유물이 한번은 등장했어야함. 그런 기록은 전혀없었음. 가림토가 위서 환단고기에 적혀있었고 환단고기란 말 조차 조선후기에 등장했으며 환단고기에 나오는 단어들중 몇개는 고조선에서는 표현할 수없는 글자를 썼음.또한 환단고기란 책 자체가 위서라는게 정설임. 조작된 책이라는게 위서. 또한 가림토문자라는게 표음문자에 가까운데 상형문자도 겨우쓰는 시기에 표음? 문자발전사와도 전혀 맞지않음. 가림토문자는 가짜.
@hanjookim2123
@hanjookim2123 2 жыл бұрын
@@nfgdyrxiigbjprsc 가림토 같은 소리 하고 자빠졌네.. 카더라 하는 말들 모아 1979년에 이유립이 한단고기를 출간 하면서 1911년에 환단고기가 출간 했다고 주장 하며 가림토문자를 만들었다는 내용이 수록 되어 있는데...환단고기를 뒷받침하는 문헌은 아무것도 남아 있지 않고 단지 1911년에 출간 되었었다는 말만 낭아있다. 그런걸 진실이라 믿는건 니 자유이고 민족적 자부심을 가지는것은 좋은데 극 민족주의자가 되지는 말아라,, 나치즘같은 종말적 이념으로 가기 십상이다,
@호마-l7b
@호마-l7b 2 жыл бұрын
@@nfgdyrxiigbjprsc 환빠가 또
@7mmalltheway
@7mmalltheway 2 жыл бұрын
학자들에게 연구와 보고를 엄청나게 시켰으니 팀워크였고 그 팀의 리더 였지요.
@장권동-q7e
@장권동-q7e 2 жыл бұрын
마크 피터슨 교수님 소중한 강의 잘 시청했습니다 감사합니다 사랑합니다
@세상만사-q9p
@세상만사-q9p 2 жыл бұрын
잘 보았습니다. 그리고 한국을 사랑해 주셔서 감사합나다.
@ks-lj5gi
@ks-lj5gi 2 жыл бұрын
한국을 사랑하시고 한국을 연구하시어 대학강의를 통해 대한민국 위상을 크게 올려 주시니 감사드립니다
@쏘왓SoWhat
@쏘왓SoWhat 2 жыл бұрын
이분이 젤루 정확한 한국역사를 아시네 우리나라가 활자도 중국에 가르쳐주고 실은 우리나라 의복도 너무 예뻐서 중국에서 따라 입었다는 자료도 있다
@tlk4680
@tlk4680 Жыл бұрын
원나라때 한류가(고려 스타일) 매우 유행했었다죠. ^^
@정현덕-y5d
@정현덕-y5d 2 жыл бұрын
우리 역사를 사랑해주시는 마크피터슨 교수님께 진심으로 감사드리며 우리가 대한민국을 더욱 휼륭한 나라로 만들어가야합니다
@강쓰-b2g
@강쓰-b2g 2 жыл бұрын
한국에 대한 관심에 고맙습니다. 늘 건강하세요.
@gmok1591
@gmok1591 2 жыл бұрын
외국인 교수님께 듣는 한국사가 더 귀에 쏙쏙 들어오네요
@금보라색
@금보라색 Жыл бұрын
정말 정말 정말 정말 정말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꾸벅!!!!
@김임마누엘-l8i
@김임마누엘-l8i 2 жыл бұрын
교수님 정말 감사합니다. 한국사람보다. 더 이 나라를 사랑하는군요! 샬롬
@이순연-d1d
@이순연-d1d 2 жыл бұрын
피터슨교수님 한국학을열강하신 교수님 너무감사드립니다
@소혜김-k3l
@소혜김-k3l 2 жыл бұрын
한글은 세종대왕님 혼자 만든겁니다 다 만들고 신하들한테 의견을 구한것 교수님 항상 건강하시고 한국 사랑 감사합니다
@honshin23
@honshin23 2 жыл бұрын
수백년 된 역사의 정확한 내막은 우리가 알 수 가 없음....
@assafunny
@assafunny 2 жыл бұрын
@@honshin23 그렇다면 모든 역사가 추정인데, 추정은 고증과 검증을 통해 확인됩니다. 세종 혼자 만들었다는데에는 꽤 확실한 고증과 검증들이 있어요!
@jjuu3710
@jjuu3710 2 жыл бұрын
몰랐던 부분인데 이건 정설로 받아들여지고있나요? 입증된 부분인지요?? 글자를 한사람 혼자 만들었다는게 신기하네요
@assafunny
@assafunny 2 жыл бұрын
@@jjuu3710 네 세종 혼자 만든게 정설이에요!
@assafunny
@assafunny 2 жыл бұрын
당시 집현전 실질적 수장인 최만리가 한글창제 계속 반대하는 상소를 올렸고, 집현전은 세종의 한글창제에 전면적으로 반대하는 입장이었습니다. 상소로 토론이 격하게 오간 후 세종은 집현전 실무자들과 간부들을 대거 옥에 가두기도 했습니다. 이를 통해 집현전 학자들과 한글을 같이 만들었다는건 말도 안되는 소리라는 걸 알수 있죠. 세종이 반대 속에 비밀리에 혼자 만들었다는게 정설입니다. 게다가 음운학 등 문자와 관련된 학문은 세종은 당시 최고 권위자였습니다. 또한 팩트 기록을 중시하는 실록에서도, 훈민정음 해례본에서도 세종이 혼자 만들었다고 기록되어있습니다.
@김영숙-p9n
@김영숙-p9n 2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저도 많이 배우고갑니다
@지서니-l2h
@지서니-l2h Жыл бұрын
교수님 강의잘들었습니다 감사합니다 교수님 최고에요
@유안숙-f8y
@유안숙-f8y 2 жыл бұрын
한국인보다 한국을 더 깊이알고 사랑하시는것같네요 감사합니다 수고하셨습니다
@sue8692
@sue8692 2 жыл бұрын
교수님 감사합니다 ^^
@iyagikkun-
@iyagikkun- 2 жыл бұрын
교수님, 감사합니다!!!
@광활한대지
@광활한대지 2 жыл бұрын
열정이 대단하시네요.감사합니다.
@mamamon_ESL
@mamamon_ESL 2 жыл бұрын
공부 많이 했네요^^새로운 것을 많이 알았어요 통전적으로 우리나라 역사를 훤히 알고 계시네요
@파랑새-s8l
@파랑새-s8l 2 жыл бұрын
나도 자세히 모르는 우리나라역사 일깨워주셔서 자부심을 갖게 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TV-fe8df
@TV-fe8df Жыл бұрын
정말 외국인의 관점에서 한국 역사를 객관적으로 잘 강의해주시는군요. 한국인들은 식민사관을 배운 역사학자들에 의해 역사교육이 오랫동안 이루어져서 문제가 많습니다. 한국은 작은 나라라고 하는데, 사실 일본이나 영국도 우리랑 비슷하다는 사실. 외세 침략을 많이 받았다는 주장도 중국의 역사를 보면 새발의 피에 불과하죠. 한족은 북방민족에게 수천년간 점령당했다는 사실, 마지막 왕조도 여진족의 청나라. (처음 금나라를 세운 여진족의 첫 역사책에서는 자신들의 조상이 신라 김씨에서 왔다고 적혀있습니다. 한자도 같고 발음도 비슷한 금과 김) 일본은 섬나라라 외세 침략은 몇번 없었지만, 오랫동안 내전을 했다는 사실. 유럽은 뭐 거의 매일 전쟁. ㅎㅎㅎ 학교다닐때 생각을 해보면 식민사관적 역사를 배운 선생님들이 "한국인은 수영, 피겨, 육상에서 절대 금메달을 못 딸거야"라든지, "아카데미 상은 절대받을 수 없을 것이다, 소니처럼 전자제품을 못 만들 것이다." 등 스스로 비하하는 듯한 말을 하곤 했습니다. 그것도 바로 학생들을 가르치는 선생들이 말이죠. 그러나 지금 한국을 보면 불가능할 것이라고 했던 모든 것을 해내고 있습니다. 정말 식민사관 가진 선생들은 반성이 필요합니다. 마지막으로 한국의 발전이 기적이라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5000년이상 훌륭한 문화, 역사와 DNA를 가진 민족이기에 지금의 발전과 성공은 당연한 것이라고 주장합니다~ 교수님의 좋은 역사 강의 잘 들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심명식-m3o
@심명식-m3o 11 ай бұрын
마크 피터슨 교수님 늘 건강하시길 기원 합니다 감사합니다
@로-s7y
@로-s7y 11 ай бұрын
교수님 강의 듣고 있으면 가슴이 뜨거워 집니다. 한국인이라 어쩔 수 없는 가 봅니다. 학생들이 반드시 들었으면 좋겠습니다.
@love1876
@love1876 2 жыл бұрын
멋진 강의 감사합니다 Very nice video
@이용철-y4n
@이용철-y4n 2 жыл бұрын
마크 피터슨교수님 정말 감사합니다!!!
@Diamond77.
@Diamond77. 2 жыл бұрын
와… 한국인에 대해 너무 잘 아신다.
@oun8man
@oun8man 2 жыл бұрын
역시 이게 진짜 교수님이고 강의네 한국사람인 나도 몰랐던걸 새롭게 알게되네👍
@dear2707
@dear2707 2 жыл бұрын
유례없는 양적완화로 유례없는 자산가격의 폭등과 불장 이후에 경기침체를 앞두고...우리는 잘 해낼거라는 의지를 갖게 해주는 영상이네요~ ㅎㅎ 감동적이었어요 내년에 경기침체가 확실시 되었다죠..우리 모두 힘냅시다!!
@스페아
@스페아 Жыл бұрын
겸손한 분! 당신은 진짜 권위자입니다. 감사합니다
@링박은스님
@링박은스님 2 жыл бұрын
다른건 몰라도 우리 선조들께서 강조하신 교육의 중요성은 진짜 많이 감사하고 또 감사합니다.
@한수중학교방송부
@한수중학교방송부 2 жыл бұрын
이 긴 영상을 빠져들어서 다 봐버렸다. 강의 재미있다. 지루하지읂고 자부심이 생기는 강의.
@잡초-k7j
@잡초-k7j 2 жыл бұрын
피트슨 교수님께 감사를 드립니다.
@비움-k9s
@비움-k9s 2 жыл бұрын
마크 피터슨교수님의 명강의에 감동했습니다. 감사합니다.
@정아름-j1q
@정아름-j1q 2 жыл бұрын
교수님 늘 건강하세요 가슴이 뭉클해집니다 감사합니다
@룩업
@룩업 2 жыл бұрын
고맙습니다 교수님~~~~
@cufuxo
@cufuxo 2 жыл бұрын
너무감사합니다
@dongburmson9537
@dongburmson9537 Жыл бұрын
한국인이 내가 들어도 흥미롭고 새롭네요! 교수님 감사합니다!
@kpa-a36z
@kpa-a36z Жыл бұрын
멋지신 참으로 교수님이라 절로 나는 석학이십니다. 건강하셔서 평화로운 지구촌으로 만들어 주세요
@jeewoogha5829
@jeewoogha5829 2 жыл бұрын
정말 존경합니다.
@정준후-d1k
@정준후-d1k 2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교수님
@이동훈-j7q
@이동훈-j7q 2 жыл бұрын
잔잔하게 감동이 있네요
@김성수-d8l1j
@김성수-d8l1j 2 жыл бұрын
교수님 건강하시고 행복하세요~~~^^*
@혜림안-n9g
@혜림안-n9g 2 жыл бұрын
고맙습니다!
@김양훈-c1g
@김양훈-c1g 2 жыл бұрын
와 이 교수님~~ 한국영화(역사쪽 ㅎ)리뷰 해외반응에 게스트로 자주 나오시는 지라 ~ 그냥 한국 쫌 아는 교수님 이신 줄 알았더니 저보다 더 한국인의 정신이 있으신 분 이셨네요 ㅎㅎ 실제 강의는 처음 본건데 와우~ 와우~~ 찐 한국인이십니다 ~!!!!
@김철수의리뷰타임
@김철수의리뷰타임 Жыл бұрын
이런 영상은 한국인으로서 뿌듯해서 그런지 질리지가 않는 것 같아요ㅎㅎ재밌게 잘 봤습니다. 허락해주신다면 저희 웹사이트 회원분들께 이 영상을 공유해보고 싶은데 혹시 가능할까요?
@dongwonkim1223
@dongwonkim1223 Жыл бұрын
57년이면 강산이 6번이나 바뀌었는데 그동안 한국을 관심갖고 지켜봐주셔서 감사합니다. 우리나라 발전사를 직접 눈으로 마음으로 관찰해 오신 산 증인이죠...
@강하늘-s9x
@강하늘-s9x Жыл бұрын
마크 피터슨 교수님 존경합니다!^^
@곰성난곰
@곰성난곰 2 жыл бұрын
한국은 단일 민족이 아닌 단일정신으로 한국을 사랑하면 그게 한국인이다 ..라고 생각합니다
@백민-j4k
@백민-j4k 2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 학생들에게 학교가지마라는 말이 최고 무서운말
@최고요-c8h
@최고요-c8h 2 жыл бұрын
우리 애들은 밥먹는걸 너무 좋아함 ㅋ
@내일의집-b4k
@내일의집-b4k 2 жыл бұрын
우리딸도 학교 가기 싫다해서 그럼 학교 가지 말고 검정고시 치고 돈 벌어오라 하니 이제는 그런말 안합니다 ㅋㅋㅋㅋ
@최석용-i2u
@최석용-i2u 2 жыл бұрын
ㅎㅎ 잘보고 감더.!
@변사또-i9h
@변사또-i9h 2 жыл бұрын
왜 자부심이 교수님 보다 자국민인 재가 더 부끄러운지.. 내나라 대한민국을 더 자랑스러위 해야겠다는 마음 가짐을 가져 봅니다. 그것을 깨우쳐 주신 교수님께도 감사 하다는 마음 전하고 싶네요.
@갑돌이-e7u
@갑돌이-e7u Жыл бұрын
교수님 감사 합니다..
@youngforeverhj
@youngforeverhj Жыл бұрын
한국인이 나조차도 한국의 좋은점에 대해 잘몰랐는데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뿌듯하네요♡
@피토라피
@피토라피 2 жыл бұрын
그랬네요. 교육열이 진짜 대단한 이유가 있었네요
@deokhyeonlee7809
@deokhyeonlee7809 2 жыл бұрын
난 전주이씨이다. 그 긴 세월 동안의 가족 이력, 즉 족보를 체계적으로 만들어 내려온 걸 보면 감탄이 절로 나오더라. 오늘날의 컴퓨터 인쇄 시대가 아니었는데도!
Caleb Pressley Shows TSA How It’s Done
0:28
Barstool Sports
Рет қаралды 60 МЛН
번쩍번쩍 거리는 입
0:32
승비니 Seungbini
Рет қаралды 182 МЛН
[자막][명사특강] Korea's Characteristics and Values - 샘 리처드 (Sam Richards) 교수
41:59
성균인문동양학아카데미S-AHA
Рет қаралды 20 М.
한국 학생에게 깜짝 놀라는.. 샘리처드 교수님
15:14
쓴소리 모음
Рет қаралды 4,9 МЛН
BTS and Korean Culture's International Appeal Through the Eyes of Professor Sam Richards
13:57
우물 밖의 개구리The Frog Outside the Well
Рет қаралды 88 М.
Caleb Pressley Shows TSA How It’s Done
0:28
Barstool Sports
Рет қаралды 60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