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쯤 되면 실패작인 걸까?: 토네이도 전폭기 이야기

  Рет қаралды 169,740

theSKYmag

theSKYmag

Күн бұрын

#토네이도 #가변익전투기 #tornadojet

Пікірлер: 284
@theskymag-ch
@theskymag-ch 5 ай бұрын
많은 분들이 자꾸 얘기하셔서 공지합니다. 😊어감이 좀 이상하지만... 알람(ALARM: Air-Launched Anti-Radiation Missile) 미사일은 영국에서 만든 대레이더 미사일입니다. 암람을 잘못 쓴 게 아닙니다. 암람(AMRAAM: Advanced Medium Range Air to Air Missile)은 미국제 공대공 미사일이고요. 참고로 잘 알려진 미국제 대레이더 미사일은 함(HARM: High-speed Anti-Radiation Missile)입니다.
@trezle4547
@trezle4547 5 ай бұрын
워게임에서 봤어요! 이름이 특이해서 검색해보니 발사 후 낙하산을 펼친 뒤 - 천천히 떨어지며 탐색하다, 레이더 켜고 코 자고 있는 적 방공포대에 전기절약 하라고 기상알람을 넣어주는 독특한 기능이 있더군요
@user-pc2nu6ng2k
@user-pc2nu6ng2k 5 ай бұрын
@@theskymag-ch 은 미국제 대레이더 미사일이고요 -> 은 미국제 공대공 미사일이고요
@theskymag-ch
@theskymag-ch 5 ай бұрын
@@user-pc2nu6ng2k 감사합니다, 급히 수정하느라 실수가...
@DIABLO-xy3jq
@DIABLO-xy3jq 2 ай бұрын
@@xparti 그건 그냥 외국어 표기법따라; 별의미없는 태클을;
@DIABLO-xy3jq
@DIABLO-xy3jq 7 күн бұрын
@ 뭔 결정됨 ㅇㅈㄹ임 ㄴㄴ 가 표준어냐 그럼?
@dugo7119
@dugo7119 5 ай бұрын
영국이 냉전기 요상한 비행기 많았던거 같은 인상이 있는데... 날잡아 특집함 해주심.. 재밌을거 같습니다.
@gmvisck
@gmvisck 5 ай бұрын
정상적인 기체는 스핏파이어 뿐임..ㅋㅋㅋ
@kiki-sc1wo
@kiki-sc1wo 4 ай бұрын
@@gmvisck 해리어????
@gmvisck
@gmvisck 4 ай бұрын
@@kiki-sc1wo 해리어가 정상임?
@AngryFace_
@AngryFace_ 8 күн бұрын
ice 개수형 팬텀 ㅋㅋ
@yongkim5593
@yongkim5593 5 ай бұрын
역시 군사무기는 실전경험이 얼마나 중요한지 잘 알수있네요. 미국도 아파치 공격헬기가 기관포에 격추되자 주간공격을 포기하고 야간전술로 바꾸고 심지어 패트리어트 미사일 실전무대 였는데 낮은 격추율로 말이 많았죠....
@뻥튀기-w3q
@뻥튀기-w3q 5 ай бұрын
요즘 올라오는 영상들의 길이가 길어져서 너무 좋습니다~ 항상 재밌게 보고 있어요~~
@birth10n18
@birth10n18 5 ай бұрын
걸프전 손실 토네이도 기록. 손실1: 이라크 공군비행장 저고도 공습 후 이탈 중 지대공 미사일에 격추. 손실2: 이라크 공군비행장 야간 저고도 공습 중 지대공 미사일에 격추. (폭탄 투하를 바로 앞둔 시점) 손실3: 이라크 공군비행장 주간 공습 작전 중 투하한 1000파운드 폭탄중 하나이상이 조기에 폭발하여 기체가 손상 추락. 손실4: 이라크 공군비행장 주간 공급 작전 중 지대공 미사일에 격추. (레이저 유도폭탄 투하 전 RWR경고를 받았으나, 말 그대로 몇초 안남은 투하직전 상황이라 투하는 그대로 진행한듯) 이때 장착한 두개의 LGB중 하나만 투하에 성공하고, 다른 하나는 장애로 투하되지 못함. 회피기동에 부담이 걸리는 상황. 손실5: 이라크 공군비행장 야간 공습 작전 중(JP233이용) 지상에 격돌 추락. 피인지 사고인지 밝히지 못한 듯. 손실6: 이라크 군 시설(방공시설?)에 대한 야간 공습 작전 중 지상에 격돌한것으로 보임.
@stevenH3427
@stevenH3427 5 ай бұрын
후속기 유로파이터의 개량이 늦지고 90년대 유럽의 군축으로 시대의 흐름을 따라가기 벅찼던 거지, 30년 넘게 그럭저럭 잘 써먹었으면 실패작이 아닌 것 같네요.
@gdtt6485
@gdtt6485 5 ай бұрын
전쟁이 없어서 오래살아남은 듯 전투기가 너무 둔탁했다고봄.
@최고소비에트
@최고소비에트 5 ай бұрын
일단 폭격기로는 괜찮은데 공대공에선 그냥 모지리였음 문제는 정작 활용되는 시기에는 전투기로써 싸워야했는데 근본적으로 폭격기 베이스라 실패했다는 평이 지배적이라......
@머드크랩
@머드크랩 5 ай бұрын
30년가까이 개발만 하던 전투기도 있는데 뭐..
@b급감성_250
@b급감성_250 5 ай бұрын
@@gdtt6485 교전교리가 바뀐거 말고 저마이 성공한 미국외 전투기가 아직도 미라지 말고 없는뎁쇼?
@ssssss7112
@ssssss7112 5 ай бұрын
카오산 로드에서 만난 걸프전 참전중 휴가나온 토네이도 후방 내비게이터와 한참 얘기했는데 엄청난 손실율을 약간 놀리듯이 얘기했더니 울분에 차서 화를 내더라고요. 다국적군(미군) 사령부가 탐욕스러울 정도로 토네이도대대에게만 지상공격 임무를 할당해서 그렇게 손실이 많았다고 하더군요. 자기도 몇 번을 죽다살아났고 동료들 엄청 죽었다고 하더라고요. 엠바아인즈 지뢰 뿌리다가 대공포에 벌집상태로 간신히 돌아온 적도 있고 전봇대같은 SA5 회피는 공포 그 자체였다네요.
@jincloony
@jincloony 5 ай бұрын
음 제가 기억하기로는 당시 미국뉴스에서 라이브로 폭격뉴스가 많이 났었는데 토네이도만 그런게 아니라 에프십오도 자주 나왔어요 기체특성상 아마 교리상 저공비행 문제인게 맞는거같습니다. 주로 대공포에 당한걸로 나왔거든요 낮게 날면 그만큼 피격률이 높아지죠.
@ssssss7112
@ssssss7112 5 ай бұрын
​@@jincloony실전 당사자가 그렇다고 하니 믿어야죠 일방적 뉴스로만 듣는 저 같은 방구석 존문가가 별 수 있나요 ㅋ
@deungwoo7403
@deungwoo7403 5 ай бұрын
@@jincloony 야간공습이면 대공포로는 불가능할 거 같은데. . .쇼티 대비 손실 생각하면 괜찮은 거 아닌가요. .
@jincloony
@jincloony 5 ай бұрын
@@ssssss7112 조사해보니 영국보다 미군이 지상공격소티수가 압도적으로 많네요. 미군은 무슨 포드인가 뭔가로 야간 정밀 중상고도에서 작전해서 피해가 적었다고 나오네요. 교리상의 문제는 맞는거 같습니다.
@jincloony
@jincloony 5 ай бұрын
@@deungwoo7403 토네이도가 주로 손실이 난게 바그다드상공인데요 주요시설물 상공 진입경로에 대공포를 줄줄이 깔아놓고 갈겨대서 그런걸로 나옵니다. 십퍼센트 손실률은 현대전에선 고가 비행기에대해선 높은 편으로 봐야겠지요.
@주호풍펄쩍맨
@주호풍펄쩍맨 5 ай бұрын
항상 너무 재밌게 보고 있습니다 !
@dawnwalker8672
@dawnwalker8672 5 ай бұрын
10:58 ㅋㅋㅋ 스타워즈 엑스윙이 공대공용이 아니라 멀티롤이라는게 이장면으로 확연히 들어나죠... 근데 사실 스타워즈의 설정시간이 미래가 아니라 과거라는거... ㅋ A long time ago a galaxy far..far away...
@H19H_9R0UND
@H19H_9R0UND 5 ай бұрын
그 토네이도를 몰던 파일럿 중 한명의 콜사인이 오비투인데 이유가 동생이 제다이여서 그렇다죠
@현결-g9x
@현결-g9x 5 ай бұрын
근데 타이가 cas하는건 봤는데 엑스윙은 본 적이 없는듯
@dawnwalker8672
@dawnwalker8672 5 ай бұрын
@@현결-g9x 로그원에서 침투한 지상요원들을 지원했습니다.
@myrt35881
@myrt35881 5 ай бұрын
@@현결-g9x 로그 원에서 엑스윙이 지상의 AT 워커를 레이저로 박살내는 장면이 나옵니다
@stormtrooper6602
@stormtrooper6602 5 ай бұрын
​@@현결-g9x 엑스윙정도면 밑 댓글의 at-at 워커나 다른 지상병기들을 화력으로 쓸어버리는 연출이 많이 나옴. 영화에서나 안 나오지 다른 메체에선 자주 나옴.
@dmlddmlddmld
@dmlddmlddmld 5 ай бұрын
Tmi) 토네이도에는 상대방 미사일을 교란할 수 있는 기동능력이 안되니 장착되어 있는 사이드와인더로 상대방 미사일을 격추시키거나 교란시키라는 내용이 정식 교범에 실려있기도 하다.
@F-22.Raptor
@F-22.Raptor 5 ай бұрын
사이드와인더 MD가 메뉴얼이라니 ㅋㅋㅋㅋ 정말 대단한 정보네요... 이런건 대체 어디서 구하시는 정보인지 ㅋㅋ
@starseeker6904
@starseeker6904 5 ай бұрын
애초에 토네이도는 고도의 기동을 요구하는 기체가 아닙니다. 전폭기 타격전투기라는 명칭을 혼용하지만, 사실 F-111과 같은 장거리 침투 공격기라고 보면 됩니다. F-111역시 둔한 기동성에, 자위용 사이드와인더, 대신 초저공침투와 긴 항속거리, 그리고 막강한 폭장량과 다양한 공대지 병장을 사용할수 있는 기체였지요
@wnnwwnwnnwnw
@wnnwwnwnnwnw 4 ай бұрын
날아오는 총알을 막는법: 날아오는 총알을 향해 총을 쏜다
@엠군-r5p
@엠군-r5p 3 ай бұрын
ㅋㅋㅋㅋ​@@wnnwwnwnnwnw
@최고소비에트
@최고소비에트 Ай бұрын
​@@starseeker6904근데 토네이도는 적 전투기랑 싸우는 역할도 부여받은 게 문제
@최시영-s1j
@최시영-s1j 5 ай бұрын
저공침투교리는 80년대에 끝났는데 90년대에도 이걸 하고있었던게 패착이지... 토네이도 자체는 개발당시 그럭저럭 무난한 결과물이였음. 이런식으로 평가절하당하는건 부당함
@DonaldJohnTrumpV2
@DonaldJohnTrumpV2 5 ай бұрын
이라크 고고도 방공망 미군 외에는 제압 어려워서 그런듯. 오히려 러시아 우크라는 저공으로 치고 빠지기 하는중
@lIlIllIIlIlIlllIIlI
@lIlIllIIlIlIlllIIlI 5 ай бұрын
그게 미국(+미국과 연합작전하는 공군)만 가능합니다. 까놓고 한국군도 단독으로 미국식 중고고도 작전 글쎄요
@최고소비에트
@최고소비에트 5 ай бұрын
저공은 지금도 위협이 좀 늘었지 여전히 유효하긴 함 근데 토네이도는 저공침투를 잘했냐 하면....글쎄
@kimkim-tw7um
@kimkim-tw7um 5 ай бұрын
저공침투교리가 80년대에 끝난건 아니고 지금도 유용한 부분이 있습니다. 한국 미국 공군 다 훈련해요. 저고도 침투는 지대공 레이더 미사일 회피에는 유리한데 낮아질수록 AAA나 MANPADS가 위협이 됩니다. 이것도 사실 엄청나게 고속으로 날면 위협이 되진 않지만 회피기동은 필요하고, 무장투하도 해야했을테니 속도도 제한되고... 그래서 좀 맞았나봐요.. 너무 그리고 저고도가 유용하다는건 산사이로 나는거 말고도 초저고도 비행이면 유용합니다 아직도
@user-hc1nv3gy4r
@user-hc1nv3gy4r 5 ай бұрын
그거...워썬더에선 아직 현역인데...
@sjl8315
@sjl8315 5 ай бұрын
장거리 공대지 유도 병기가 없던 시절에 개발된 기체인데 저공 침투는 당연한 선택이었습니다. 먼저 나온 미국의 F-111도 마찬가지. 추후 미공군의 F-16과 F-15E도 저공침투를 위해서 지형추적 레이다가 탑재된 항법용 랜턴 포드를 장비했습니다. 나중엔 저공침투는 거의 실시하지 않게 되지만요.
@storia1966
@storia1966 5 ай бұрын
1981년 제 연습장 표지에 바로 토네이도 사진이 박혀 있었고 간단한 설명도 달려 있었죠. 덕분에 제 인생 최초의 애착기가 바로 토네이도입니다.
@minkyukim7354
@minkyukim7354 5 ай бұрын
유럽의 조별과제는 성공한 사례가 거의 없네. 한때라도 저걸 도입해서 F15K 도입이 무산됐다면 생각만 해도 아찔하네. F15 도입 때 라팔 등 유럽전투기 사자면서 온갖 난리치던 사람들 다 어디 갔을까
@seokyi8577
@seokyi8577 2 ай бұрын
그냥 미국만 붙으면 경기 일으키는 세대가 인터네스여론 주류였을때니까
@레이오트
@레이오트 5 ай бұрын
이런 토네이도의 고충을 보니 비슷한 설계와 임무를 수행핬던 F-111 아드바크는 그야말로 전설의 레전드 그 자체이군요 (⊙_⊙;)
@戰爭頭
@戰爭頭 5 ай бұрын
뭐, F-111도 개발 초기엔 삽질이 꽤 있었죠. 실전 배치 되자마자 베트남에 보냈다가 꽤 여러대 해먹은걸로 압니다. 하지만 천조국 미국의 기체였으니 돈을 처발라서 끝까지 개량을 해서 잘 써먹었죠. 그리고 기체가 훨씬 큰 것도 한몫 했습니다. 엔진 파워도 압도적으로 세고, 날개도 커서 비행 성능상으로 문제가 된 건 별로 없었습니다. 물론 이건 사실상 폭격기로만 썼기 때문이기도 하죠. 역으로 보면 토네이도는 작은 기체에 너무 많은걸 구겨넣어서 이무기 밖에 못 된 경우라고 할 수 있겠네요. 가변익까지는 괜찮은데, 거기에 파일런까지 넣은게 패착입니다. F-14를 보면 얘는 가변익에는 파일런이 없고, 모두 동체에 달려있죠. 똑같이 F-111을 래퍼런스로 두고 개발한 기체인데, 왜 그럴까요?
@hazenthley499
@hazenthley499 5 ай бұрын
잘 만들었음. 여럿이서 땍땍거리며 해달라는대로 가변익 넣고 역추진 넣고 대지공격능력 넣고 요격능력 넣고 다해줘서 이정도면 할만하네요 하고 여럿이서 사 가지고 실전까지 치뤘는데
@neosilly1
@neosilly1 5 ай бұрын
탁 트인 사막에서 저공침투하겠다고 머리 들이밀면 당연히 방공망을 끼얹어 드리는 게 예법이죠. 기체의 문제가 아니라 운용자의 고리타분함이 문제 아니었을까요?
@forcesong1
@forcesong1 5 ай бұрын
왜 토네이도가 다음 세대가 나오자마자 빠르게 은퇴됐는지 이해가 가네요.가변익이고 나름 멋있었는데 말이죠.f16같이 대량 생산후 개량을 멈추지않는 방식인 미국제 전투기를 살 수 밖에 없는 이유가 있네요
@freetbet
@freetbet 5 ай бұрын
멋있잖아요. 고양이 다음으로 멋진 가변익기라고 생각합니다. 프라모델 좋아하는 사람한텐 멋진게 최고입니다. ㅋ
@F-22.Raptor
@F-22.Raptor 5 ай бұрын
근데 생긴게 투박하고 뚱뚱해서.... 톰캣같이 날렵한 기체랑은 정반대이미지 ㅋㅋ
@miragecomp
@miragecomp Ай бұрын
생긴게 멋져서 성능도 뛰어날줄 알았는데.. 새로운 사실을 알게되었네요...😂
@Shauntchoe
@Shauntchoe 2 ай бұрын
역시 무기는 늘 지구 어디서 싸움을 하고있는 나라 제품이 좋은것 같습니다. 실전 경험을 통한 개선이 항시 진행중인…
@오홍홍-v5p
@오홍홍-v5p 5 ай бұрын
개인적으로 제일 좋아하는 공격기... 디자인이 간지남 ㅎㅎ
@케이타-l5d
@케이타-l5d 5 ай бұрын
프사 꼬라지 ㅅㅂ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rk2959
@rk2959 2 ай бұрын
간지나니까 한잔해😊
@황천의볶음밥
@황천의볶음밥 5 ай бұрын
엔진이 딱 F404급인데 덩치는 F18보다 훨 크다보니 능력이 많이 제한 되었죠 F18E에 F404엔진을 달아 놓은 꼴. 막 만들던 시절 베트남전에서 F111이 보인 능력에 인상이 깊었던 모양인데 나중에는 전술 자체가 변경 되다 보니 더 이상 확장성이 없어서 끝나 버린 케이스 하다 못해 F414급엔진이라도 탑재되었다면 몰라도요.
@left_ventricle
@left_ventricle 5 ай бұрын
토네이도의 크기를 보면 F-16보다 약간 크고, F-18보다 약간 작고, 유로파이터와 거의 겹칩니다. 토네이도의 단점이라면 과하게 높은 익면하중과 부족했던 고공성능이 있는데, 전자의 경우 저공침투시 승차감 개선을 위해 난기류에 의한 기체 떨림 (Half-G Bump / 여객기를 타면 난기류 진입 시 느껴지는 그것) 을 완화하기 위한 익면적 감소에 의한 것, 후자의 경우 바이패스비가 높은 터보팬 엔진에서 후기연소기 (Reheat/Afterburner) 를 통한 추력 증진을 노리다 보니 나온 특성이라고 보는 것이 맞으며, 이를 설계 당시 실수로 보는 것은 올바르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황천의볶음밥
@황천의볶음밥 5 ай бұрын
@@left_ventricle 그때는 맞고 지금은 틀리다. 정도이듯.
@언제나졸려-r9u
@언제나졸려-r9u 5 ай бұрын
사실 이라크는 당시 세계에서 방공망이 촘촘하기로 두번째인 나라였기에 저공 침투 자체가 그냥 죽으러 가는 거였다고 보는게 맞음. 아직도 랭킹 1위는 북한인데 우리나라 전술은 어떻게 될지 모르겠네. 푸틴의 신임을 왕창 얻은 북한도 쥬만간 S400을 도입 한다는 말이 나오는데..
@zhfjeidj
@zhfjeidj 5 ай бұрын
우리나라 sead 전력 무시할정도는 아님 더군다나 미군 그라울러가 온다면 북한군 방공망안 뭐... 러시아도 제대로 못쓰는 s400으로 뭘하겠음
@jincloony
@jincloony 5 ай бұрын
s400 몇년전에 이스라엘 프삼오에 졸라 털린거 뉴스에서 본기억이 있는데 에프십육에도 농락당했다던디요~ 이스라엘 에프십육이 러시아인가 이란인가 비행기 근처에 붙어서 날아서 그 미사일이 즈그 비행기 격추시켰다더군요 한마디로 피아 식별도 못했다는거죠 사우디나 유에이가 그거 보고 실망해서 손털고 한국거 사갔습니다.
@가보자고-v4c
@가보자고-v4c 5 ай бұрын
지금 러시아전 방공망보면 머...ㅋㅋ
@irbis7591
@irbis7591 5 ай бұрын
촘촘해봐야 어쩌겠어요 쟤들도 진작에 포기하고 산에다가 터널박아놓고 활주로로 쓸 준비 하고 있잖음 ㅋㅋㅋ
@be734
@be734 5 ай бұрын
2위가 그리 됐는데 1위라고 해봐야😅
@ibsenschmitt2155
@ibsenschmitt2155 3 ай бұрын
사실 지대공 공격을 몰아줄 수 밖에 없는 컨셉과 사막에서의 저고도 침투가 손실률을 키울 수 밖에 없었다고 생각도 드네요.
@FightAgainstDogsPigs
@FightAgainstDogsPigs 5 ай бұрын
제 경우는 상당히 이른 시기에 F-16파일럿을 시작한 케이스 입니다 만, 공군이 토네이도를 고려하던 바로 그 시기에 공교롭게도 제가 토네이도를 이용한 전폭 임무를 테스트 차원에서 수행했던 시기가 이었습니다. 그 당시의 느낌은 아무래도 주력기인 F-16과 여러모로 비교 될 수 밖에 없다 보니 솔직히 내심 '심심하고 재미 없다' 는 감정이 컷습니다. 물론 가변익을 다룰 때는 F-14 톰켓의 감성도 대리만족으로 느낄 수 있었지만 그래도 엄연히 다른 기체였죠. 아무튼, 당시 제게 있어 토네이도의 지루함이란 어쩔 때는 비행 중인 상황에도 당장 F-16으로 갈아타고 싶을 지경이랄까요. 솔직히 제 그런 의견이 동료들을 통해 그대로 전달된 경향도 있습니다. 그 잠시 간의 경험 이후 운 좋게도 F-15 이글을 운용하게 됐는데, 이건 토네이도 아니 F-16과 비교를 해도 조금 과장하자면 자율주행 자동차를 탄 기분이랄까요. 그렇다고 F-15가 좋다는 얘기도 아닙니다. 작전 상황에 따른 효용성에서 두 기체의 차이는 명확하니깐요. 그래도 경험적 입장에서는 역시 작전 수행시 가장 맛깔(?)나는 기체는 F-16이라는 결론이었고 그렇게 Falcon 1.0부터 시작됐던 추억이 시간들이 어느덧 3.0까지 이르게 됐죠. 머 살다보면 영원한 것은 없다는 사실을 깨닫기 시작하듯 비행시뮬레이션도 슬슬 질리면서 게임은 이제 그만해야지... 했는데, 웬걸 스타크래프트는 또 을매나 재미진지 거참 그걸로 또 몇 년 후딱, FPS에 빠져서 또 후딱... 몇 년 전에 접한 베틀그라운드는 보면서 와~ 참 많이 발전했다~ 했는데 곧 있으면 인간적인 NPC와 싸우는 AI게임 시대가 열릴 듯.
@레전드-v1n
@레전드-v1n 5 ай бұрын
밀리터리 FPS 좋아하시면 베틀필드는 꼭 하셔야죠. 베틀그라운드는 애들이 하는 거고
@FightAgainstDogsPigs
@FightAgainstDogsPigs 5 ай бұрын
@@레전드-v1n 네 베필은 당연히 거쳤죠. 베그가 어떤 면에서는 오히려 더 현실적이더라는...ㅎㅎ
@choe7146
@choe7146 5 ай бұрын
파일럿 활동하셨다는 게 시물레이션 게임을 말씀하시는 건가요? 글을 이해 못한 질문글입니다
@dj-dd4ww
@dj-dd4ww 5 ай бұрын
@@choe7146 시뮬레이션 게임을 말하는게 맞을껍니다 본문에서 말하는Falcon이 시뮬레이션 게임이기도하고 본문마지막부분에서도 글의 맥락상으로 충분히 유추할수있습니다 그 외에도 현실에서 한명의파일럿이 F15,F16,토네이도를 다 운용해보는경험을 가지는건 상당히 드물죠
@LyrdSL-k38m
@LyrdSL-k38m 5 ай бұрын
​@@dj-dd4ww 처음 부부만을 보면 공군 파일럿 같기도 하고요. 파일럿 출신이신데 팔콘 시리즈도 즐기셨다는 이야기일 수도 있고요. 본인이 오셔서 코멘트해주시면 좋겠네요 =)
@trainsim--guy
@trainsim--guy 5 ай бұрын
역시...좀만 맘에 들지않으면 중퇴해버리는 프랑스...
@하연-s1b
@하연-s1b 5 ай бұрын
자체 개발할 기술과 여건을 갖추고 있으니까요. 아쉬울 게 없으니까 선택의 여지가 있는 것.ㅋ
@a52159355
@a52159355 5 ай бұрын
"우리가 분담금 안내면 아쉬워할 홍차놈들과 썩은 양배추놈들한테 아쉬운 소리해야할 만큼 우리가 후달린가? 꼬우니 관둠."
@user-pc2nu6ng2k
@user-pc2nu6ng2k 5 ай бұрын
@@trainsim--guy 그 덕분에 후에후에 라팔도 나왔구요
@AngryJWS
@AngryJWS 5 ай бұрын
그래도 파나비아 토네이도 어느정도 잘 써먹고 있는거 보면 나쁜 전투기는 아닌데… 낡은 교리를 바탕으로 만든 전투기라 그런듯
@kwh1871
@kwh1871 5 ай бұрын
토네이도는 비행중 기체선수가 들려서 비행하는 경향이 큰 것으로 보이는데 이는 항공역학적으로 동체양력이 부족한 기체디자인에 제트엔진추력에 비해 기체중량이 무겁고 공력중심이 변하는 가변익이 원인같네요. 역추진장치 제트엔진이 인상적인데 저런 역추진장치 까지 달 정도면, 선수에 카나드 팝업기능까지 넣지..... 가변익기라면 주익 가변중이거나 가변이후에, 비행안정성을 위해 보조 카나드가 필수라고 생각됨.. 내가보는 토네이도 전투기 설계 점수는요 .....60점 (원래는 그보다 훨씬 못한데, 가변익과 역추진장치까지 만든 노력에 보너스를 준 점수)
@trezle4547
@trezle4547 5 ай бұрын
3:19 날개 접었다 펼쳤다 할 수 있는 가변익기라는 게 있는 건 알았는데, 무기 각도 문제는 생각 못했네요. 파일런 정렬장비까지 손 보려면 돈 많이 들겠군요 3:49 이런 형태는 상상도 못했읍니다;; 전투기의 제트 추진구를 막으면 작용-반작용의 법칙에 따라 추진력이 상쇄되는 개념인지? 무기의 기술적 비하인드 이야기를 낱낱이 풀어 설명해주어 참 감사합니다 특히 각주를 달아주셔서 모르는 단어나 자세한 개념도 바로 알 수 있기에 보기 참 편합니다 자막이 한 줄이라 나레이션으로 듣는 것에 비해 좀 빠르게 지나가는 느낌이 있는데, 혹시 두 줄로 바꿔보실 생각이 있으신지?
@현이-d4d
@현이-d4d 5 ай бұрын
앤진 노즐을 그냥 막는게 아니라 기체 앞쪽방향으로 추진가스가 위아래 사선으로 뿜어집니다. 그래서 영상에서 언급할때 수직미익의 그을음 형태가 그런 거죠. 그래서 역추진인거죠.
@trezle4547
@trezle4547 5 ай бұрын
@@현이-d4d 단순히 엔진 전후 추력을 차단하고 그 에너지를 대충 수직으로 내보내는 것이 아니라, 그걸 또 사선으로 나가게 만들어서 '역추진'이군요 그 불꽃은 엔진 원래 배기구의 반대편인 기체 쪽을 향할테니 날개가 타는 거고
@left_ventricle
@left_ventricle 5 ай бұрын
@@trezle4547 여객기인 DC-8, DC-9 등등을 봐도 비슷한 형태가 보입니다.
@maxism4274
@maxism4274 5 ай бұрын
어렸을땐 프라모델로 각종 형식, ADV (F-3), IDS, ECR를 만들어서 비교하기 좋았죠, 생긴것도 미군기에 비해 독특했죠
@ggreu_ggreu4285
@ggreu_ggreu4285 5 ай бұрын
1. 우리 공군의 방공망 제압 임무는 F-15K 보다는 KF-16의 비중이 더 높은 것으로 알고있습니다. 다만 F-15K나 KF-16 둘 다 레이더의 위치좌표를 특정할 수 있는 능력이 없기 때문의 HARM 같은 대방사 유도탄 운용 효율이 떨어집니다. 이는 KF-21 보라매에 이 능력을 가진 포드를 개발해 장착하는 것으로 해결한다고 합니다. 2. 토네이도도 자체보호용 전자전 재밍 포드인 CERBERUS TSPJ(Tornado Self Protection Jammer, 토네이도 자체보호용 재머)가 존재합니다. 1세대 모델이 1980년부터 배치되기 시작했습니다.
@별리-z3j
@별리-z3j 5 ай бұрын
우리나라 같은 경우 먼저 들어가서 적 대공망을 무력화 시키는 작업 자체를 F16이 하도록 되어 있음 어쩔수 없는게 전자전 포드나 HARM 포드 자체가 F16용 밖에 없음... 특히 HARM 포드는 미국이 판매금지 해서 전쟁나면 그때가서 미군꺼 빌려와서 장착 해야함 전자전 포드는 자체 개발한게 있기는 함
@ssssss7112
@ssssss7112 5 ай бұрын
HTS는 오직 미군만 사용하니 한국군도 결국엔 우크라이나군처럼 떤지기 전법으로 천무나 MLRS 발사전 적 레이더 침묵을 강요하는 용도로 쓰이겠죠
@happyhour2133
@happyhour2133 5 ай бұрын
​@@별리-z3j앞으로 그런 위험한 임무는 무인공격기나 드론으로 대체될 최우선 순위.
@가람김-w6s
@가람김-w6s 5 ай бұрын
@@happyhour2133 무인기나 드론 자체는 재밍에 취약해서 러우전 초반 처럼 재밍 장비를 전선 전체에 촘촘하게 배치 못해서 여기 저기 구멍이 난 상황이 아니면 단독으론 작전하기 힘듬.... 결국엔 어떤 형태로든 유인기가 들어가야 하고. 일정 수량 이상의 스텔스기가 이 임무를 해주면서 무인기들이 스텔스기의 통제를 받으면서 보조를 하는 형태로 가야 합니다..
@left_ventricle
@left_ventricle 5 ай бұрын
왕립공군 토네이도는 TSPJ가 아닌 Sky Shadow (GR.1/GR.1A) / Sky Shadow EC (GR.4/GR.4A) 재밍포드를 장착했습니다. 이와 별개로 영상에서 짚지 않았던 세 개발국 사이의 차이가 꽤 많습니다. 가장 큰 차이로는 영국의 토네이도들만이 (GR.1/4, F.2/F.2A) 수직안정날개에 연료탱크가 달리며, F.3는 콕핏 구조물 뒤에 추가 탱크가 하나 더 달립니다.
@PLUTONIUM1228
@PLUTONIUM1228 5 ай бұрын
9:17 위에있는 앞부분이 희게 색칠된 폭탄은 영국의 항공 수소폭탄인 WE177 입니다. 최대 200KT 위력이에요
@꾀병통치약
@꾀병통치약 5 ай бұрын
저거 우리나라에서 운용했다면 굉장히 잘 운용했을 거 같아요. 계속 업그레이드해서 KGGB도 달고 타우러스도 달았을 듯... 닦고 조이고 기름칠하며 팬텀, F-15K, KF-16이랑 같이 비행하는 멋진 장면도 나오지 않았을까
@유로파이터홍
@유로파이터홍 2 ай бұрын
대만 공군은 도입한 미라지 2000 60대의 운용비가 F-16 대비 3+배가 되자 전량 예비역으로 전환합니다 토네이도는 F-15E를 우습게 아는 살인적인 💰 을 요구합니다 F-16과는 검토 자체가 불가능한 💰 먹는 전투기...
@etnamirr
@etnamirr 5 ай бұрын
어쨋든 중요한 시기에 중요한 역할을 한건 맞는 것 같습니다
@희생양-u7w
@희생양-u7w 2 ай бұрын
토네이도 전투기는 당대시대에서 평가하자면 최고의 전투기는 맞습니다. 걸프전 추락율 1위도 토네이도 전투기 작전교리상 초저고도 침투가 주였고 이는 이라크의 탁 트인 사막특성상 방공무기에 취약했습니다. 토네이도 전투기 무게도 같은 가변익기인 f-14가 18톤인걸 생각하면 토네이도는 14톤으로 가변익 치고는 가벼웠습니다. 문제는 개량이 전무합니다. 현대 전투기에 꼭 필요한 전자기 통합이나 최신레이더 교체 엔진 개선등이 전혀 없습니다. f-15전투기도 현재까지 지속적인 개량을 통해 최고의 전투기로 유지되어 왔는데 토네이도 전투기는 70년대 그대로 머물러 있으면서 현대 작전교리인 중고고도 임무를 수행하는거 자체가 문제죠. 사실 이 문제는 영국이 당시에 유럽국가들과 타이푼 전투기 개발을 시작하면서 토네이도 전투기를 최신형으로 개량하면 자연스럽게 타이푼전투기의 도입수량이 줄것을 고려해서 개량을 포기하고 아에 타이푼 전투기로 교체하는 가닥을 잡으면서 생긴 문제에 가깝습니다.
@yuiqwe8423
@yuiqwe8423 2 ай бұрын
공중량 15t 가까이 되는 기체에 엔진룸이 너무 작아, 고추력의 엔진을 장비할 수 없었음. 만성적인 추력부족 문제로 항상 작전능력에서 제약받음.
@ceosealemon
@ceosealemon 5 ай бұрын
1960년대 미국이 상공 400km 핵실험 하와이 시내 전자기기 모두 마비 된 것 처럼 적이 강력하다면 이렇게 상공에서 전술핵을 터트려야 ! 이렇게 하면 안전한 비행 폭격도 가능할듯
@순규김-b1f
@순규김-b1f 2 ай бұрын
아주 쎄 보이는 멋진 전투기 같댜. 부럽다.
@전차장-p9r
@전차장-p9r 5 ай бұрын
토네이도가 재규어에 비해 비교적 위험한 임무에 많이 투입되어 손실율이 높다는 예기가 있던데 아닌가여??
@memekiko
@memekiko 5 ай бұрын
위험한 임무
@KOREA-n9h
@KOREA-n9h 5 ай бұрын
어차피 재규어에 비해 위험한 임무에 많이 투입되서 손실률이 높을수밖에 없다고 봅니다 실패작은 아니라고 봅니다
@carbohydra
@carbohydra 5 ай бұрын
0:21 아군 오사는 워트호그 손실률 1위는 토네이도
@魯善益
@魯善益 4 ай бұрын
그냥 무리하게 운용해서 그렇지 꽤 쓸만한 기체임…..가변익 때문에 정비수가가 비싼것이 단점…..요즘은 가변익이 그다지 메리트가 없어졌으니 자연 도태…..
@FLOTSAM-gw7ey
@FLOTSAM-gw7ey 5 ай бұрын
뭔가 재밌게 생긴 디자인. 14처럼 두말할 나위없이 잘빠진 몸은 아닌데 뭔가 언밸런스 한 듯 개성이 넘침 ㅋㅋ 물론 그 언밸런스 때문에 성능이 별로였던 거지만(= 덩치에 비해 너무 작은 엔진…) 그래도 나름 한 시대를 풍미하긴 했으니 그걸로 된 듯
@jamiek8870
@jamiek8870 2 ай бұрын
유럽산 전투기는 비싸고, 유지비 높고, 필요 이상으로 복잡하고, 성능은 그저 그런 경우가 대부분이었던 것 같네요. 후속작인 유로 파이터도 그닥... 역시 날라 다니느 건 미제가 최고여!
@jonggukkim3586
@jonggukkim3586 5 ай бұрын
현대전에서는 상대 공역에서의 완벽한 제공권 장악이라는 것은 없다. 상대가 방공망을 어느 정도 갗추고 있다면, 이것을 깨끗하게 정리할 수 없기 때문에... 미 공군 조차도 걸프전 당시, 전자전기 지원없이 출격한 F-16 편대가 줄격추 당했지.
@JungDam_0
@JungDam_0 4 ай бұрын
당시 한국에서는 성능좋은 군용 항공기로 선전하기 바빴던 것 같네요...
@Hans_1206
@Hans_1206 5 ай бұрын
유럽 제트기 하니까 3대장이 떠오르는데 JAS 39 그리펜 영상 어떤가요?
@theskymag-ch
@theskymag-ch 5 ай бұрын
개인적으로도 관심 있는 기종입니다. 순서는 장담할 수 없지만 다룰 예정입니다~😀
@Hans_1206
@Hans_1206 5 ай бұрын
@@theskymag-ch 오오 기대되네요 ㅎㅎ
@jhlim6161
@jhlim6161 5 ай бұрын
프랑스는 중간에 발 빼는 건 진짜 선수네..
@현이-d4d
@현이-d4d 5 ай бұрын
영국이 자기 주장을 안굽히니 때려친거죠. 영상에서도 결국은 서독이 영국 주장을 최대한 맞춰줬다잖아요.
@아침구름-w8x
@아침구름-w8x 2 күн бұрын
토네이도 참 묵직한 느낌이 좋은 전폭기였는데...
@myfaraday
@myfaraday 5 ай бұрын
F16 이나 f15 밑에 미사일도 연료탱크도 아닌게 가늘게 달린게 있는데 그게 무엇인지 알려줘요
@backdabin35
@backdabin35 5 ай бұрын
DCS 월드에서도 IDS 토네이도 전폭기 나온다는데 초저고도 비행하면서 자탄뿌릴생각에 싱글벙글
@제주감자
@제주감자 5 ай бұрын
그래도 멋있잖아 무기는 성능 비교 보단 만들어진 목적과 목표를 이루었는지가 더 중요한거 같습니다
@Kkkkkfffffdd
@Kkkkkfffffdd 5 ай бұрын
전술운용의 실패인지.. 기체의 문제인지는 F-111 아드바크 총출격수와 손실율과 비교해보면 알수 있는 문제.. 걸프전 당시에 같이 활약했으니까
@엠군-r5p
@엠군-r5p 3 ай бұрын
토네이도 은근 멋있음❤
@spacestar3206
@spacestar3206 5 ай бұрын
다 좋은데, 자막이 흰색이라 흰색인 배경에서는 안 보이네요. 이 점은 피드백 해 주셨으면 합니다.
@jason_cha
@jason_cha 5 ай бұрын
탑건 메버릭의 저고도 침투 작전은 구시대적인 작전이었던 걸까요?
@youngpark3594
@youngpark3594 6 күн бұрын
투박한 모습은 소련 미그기 닮은듯허네요
@asfinagtransport3325
@asfinagtransport3325 4 ай бұрын
유투브 시장이 참 쉽지 않다는걸 느끼게해 준 영상. 정성 것 만든건 알겠는데, 그냥 몇 분 보다 뒤로가기 눌렀습니다. 다 아는 내용이라... ㅡ.ㅡ
@몰-n3p
@몰-n3p 5 ай бұрын
4세대처럼 생긴 3세대 미만 시대적 한계도 말이 안되는 게 14,15,16보디 늦게 나옴
@speedway12345
@speedway12345 5 ай бұрын
F-111 도 저공 비행해서 사고 많이 났다고 하는대 전술문제가 큰 것 같습니다
@쉿아저씨
@쉿아저씨 5 ай бұрын
이탈리아는 유로파이터가 질질 끌리면서 F-104를 잠깐 대체할 용도로 ADV를 리스했다가 그윽한 똥맛보고 바로 F-16 리스로 선회
@sunkim3999
@sunkim3999 5 ай бұрын
실패한게 아니라 작전환경이 변해서 사용이 어려운 기종이 된거죠. 예를들어, F111도 저공으로 침투하는 거지만, 전장환경이 변하고 F111은 임무를 침투에서 지원으로 바꾸죠.
@washjo3194
@washjo3194 5 ай бұрын
그러면 실패한 거 맞네요
@sunkim3999
@sunkim3999 5 ай бұрын
​​@@washjo3194 그럴 땐 퇴역할 때가 됐다고 하는 겁니다.
@visions91
@visions91 5 ай бұрын
대공포 탄막을 치면 한 대는 걸린다고 하더라고요.
@십리못
@십리못 5 ай бұрын
전투기가 운영유지비가 정말 많이드는것같은데 대체 어디에 그렇게 많이 드는지 항목별로 좀알고싶어요.
@김지훈-h8y3n
@김지훈-h8y3n 5 ай бұрын
뼈대를 제외한 부품은 모두 소모품. 도색을 포함해서 정기적으로 갈아끼워줘야 하는데, 전투기는 자동차처럼 수만대가 팔리는 게 아니다보니 소량생산할 수 밖에 없고 이는 부품이 가격 상승으로 이어짐. 엔진의 고장을 막기 위해서는 정기적으로 비행해줘야 함. 운용하지 않더라도 연료를 소모한다는 뜻. 전투기를 만지는 정비공, 파일럿 등등 모든 인원이 높은 수준의 교육을 요함. 인건비도 어마어마하게 들어감
@재밌는놀이90
@재밌는놀이90 5 ай бұрын
제일 큰 건 기름값, 엔진과 조종사.
@HiUTube
@HiUTube 5 ай бұрын
가변익기는 날개를 펴고 접는 부분을 담당하는 부품들을 자주 갈아줘야 겠지요.
@kly2655
@kly2655 5 ай бұрын
사회,경재,문화, 군사까지 유럽은...아시아 후진국 보다 도 못한 상황
@전성운-l2p
@전성운-l2p 5 ай бұрын
심장병 걸린 기체.... 그것도 모자라서 기체 경량화 실패 . 그래도 mig 23 보다는 나은기체..
@gatinholee
@gatinholee 5 ай бұрын
대한민국 공군에서 토네이도 도입을 검토한 건 전두환 시절에 북한의 아웅산 폭탄에 대한 보복으로 당시 도입한 지 얼마 안 되는 F-16을 사용하려고 했지만, 우리가 넘겨받은 F-16은 다운그레이드된 버젼이라서 야간저공침투을 할 수 있는 기능이 없어서 그것을 할 수 있다고 본 토네이도가 물망에 올랐던 걸로 기억합니다. 좋은 기체인줄만 알고 있었는데 기대이하였군요. 도입 안하길 잘했습니다.
@가람김-w6s
@가람김-w6s 5 ай бұрын
다운그레이드 버전이라기 보다는.... 그냥 당시에는 F-16에 쓸 수 있는 돈이 없어서 그렇게 도입된 걸로 알고 있습니다.
@skyeye8519
@skyeye8519 5 ай бұрын
참고로 F-16의 LANTIRN 최초 테스트는 1982년에 행해졌습니다. 미군에서의 정상운용이 87년부터였구요. 그러니 86년부터 인도된 F-16PB 물량이 LINTIRN을 장착할 수 있었겠습니까? 1세대 TGP들인 페이브 나이프/스파이크/택 들도 A-6, F-4, F-111에서 제한적으로 사용되었구요. 아직 테스트도 제대로 안되고 인티조차 안되었던 물건이 같이 안들어왔다고 그걸 무조건적으로 해당 기능에 대한 다운그레이드라고 하지는 않습니다. 너무 빨리 도입한거지...
@gatinholee
@gatinholee 5 ай бұрын
@@skyeye8519 그랬군요. 어렸을 때 신문에서 읽은 게 기억이 나서 적어본 겁니다. 랜턴이 없었다고 적혀있던 게 기억납니다. 랜턴이 Lantirn이엇군요. 그 기사는, 미국은 우리를 속이고 다운그레이드된 기체를 인도했지만 (당시) 서독은 파격적인 조건으로 토네이도를 제안했다더라는 식으로 적혀있었습니다. 방산비리니 로비니 하는 사전 지식이 없던 때라 맹목적으로 기사 내용을 흡수해버렸던것 같네요.
@하시티
@하시티 5 ай бұрын
프랑스 미라주전투기 해주세요
@gmvisck
@gmvisck 4 ай бұрын
개활지에서 저공비행하면 당연히 격추되지.
@byoungeunlim2274
@byoungeunlim2274 5 ай бұрын
알람이 언제부터 "대 레이더 미사일"로 바뀐거임? 서방의 대표적인 "공대공 미사일" 아님요?
@theskymag-ch
@theskymag-ch 5 ай бұрын
그건 암람 AMRAAM (Advanced Medium Range Air to Air Missile)입니다.😊
@byoungeunlim2274
@byoungeunlim2274 5 ай бұрын
@@theskymag-ch아~ 헷갈렸네요 ㅎㅎ
@고광현-o4y
@고광현-o4y 3 ай бұрын
어차피 세상에 내놓고 보니, 원치않은 자식 혹은 실패작. =>그런데 기왕 개발비,설비비용 빼도박도 못하게 퍼부어 놨어. => 그거 뽕이나 뽑자. =>이 옵션 저 옵션, 공대지, 공대공요격, 공대함..하여간 있는대로 굴릴 수 있는 데까지 막 굴리고 다 굴려. =>어?! 근데 막상 막 굴리는 족족 그 값은 다 하네?? =>결론: 이게 바로 수작의 요건이지 뭐임. 토네이도 망작 실패작 아닙니다.
@윤당나귀
@윤당나귀 5 ай бұрын
러시아같은 넓은땅덩어리를목표로 개발된거임 미국처럼 이것저것 목표로 만들수있는 형편이 안되기에 자기일에 충실했음
@aqsxcderfv0711
@aqsxcderfv0711 5 ай бұрын
1:19 버캐니어..? 윽.. 대봄이.. 윽..
@deungwoo7403
@deungwoo7403 5 ай бұрын
저공에 집착하는 이유가 뭔가요?? 폴란드만 지나면..소련도 대평원인 건 마찬가지인데...
@HoRam88
@HoRam88 5 ай бұрын
적 방공망 레이더 때문입니다. 저고도 비행을 하면 그 위험을 피하거나 줄일 수 있었기 때문에 중고도 정밀유도무기의 등장 전까지는 저공침투가 적 방공망 제압으로 공중전력을 전개하는데 필수적인 존재였습니다. 기술의 발전으로 정밀유도무기와 전자전, 스텔스기술로 현재는 그 역할을 넘겨주게 된거죠
@HoRam88
@HoRam88 5 ай бұрын
적 방공망 미사일값과 만약 격추되면 잃게되는 파일럿과 전투기의 가치와 비용차이가 어마어마하기에 그 당시 유일한 대응수단인 저공침투에 열중할 수 밖에 없던 이유일거라 생각합니다
@fortress-r7y
@fortress-r7y 5 ай бұрын
이스라엘이 저공비행으로 3차 중동전을 압승해버림
@neixis
@neixis 5 ай бұрын
토네이도의 개념이 설계되던 시대에는 레이더의 저공탐지 능력이 지금보다 떨어졌습니다. 스텔스 기술이 나온 현재에는 무의미해진 내용.
@arcturusm2373
@arcturusm2373 5 ай бұрын
ADV F.2 가 진짜 애매한 기체 그 자체였죠ㅋㅋㅋ
@su-5727
@su-5727 5 ай бұрын
콘크리트 ㅋㅋㅋ
@이민규-d9s4i
@이민규-d9s4i 5 ай бұрын
헤드온 기총싸움의 강자
@대나무이쑤시개
@대나무이쑤시개 5 ай бұрын
역사나 무기에 요상한것이 있다면 90% 영국…
@WHCAV-u5p
@WHCAV-u5p Күн бұрын
하필이면 저고도 폭격이 끝물이 된게 아니다. 미공군은 베트남에서 핏떡이 된다. 해공해병 각종 팬텀 500기가 손실되었는데 공중전 35기 SAM 15기 정도 제외 450기 대부분 저공폭격시 대공포에 손실당한다. 거기다 마하2급 전투기의 저공폭격은 너무 빨라 명중시키기도 힘들었다. 속도를 낮추면 A4 A6, A7과 다를게 뭔데. 더구나 차원이 다른 기동을 하는 F16이 배치되자 저공폭격 애로가 더대두된다. 자칫하면 반대편 산에 박을 수도 있어서 조종사 부담이 너무커. 그래서 음성 인식 화기관제 장비도 개발되지만 이모든 걸 뒤집어버리는게 바로 페이브웨이 시리즈다. 고공에서 유유히 조준한다. 거기에 F117도 나오면서 대세는 결정된다. 우연히 그렇게 된게 아니다. 피의 댓기로 얻은 교훈이다. 토네이도는 미공군 70년대 기술 그것도 당시 B급 기술로 만든 FA50보다도 후진 등신이다. 팬텀은 한국전때 기술로 만든거다 그 팬텀보다도 후진 등신인데 그걸 빫고 있는 초딩들. 추중이 얼마인지나 알고 빨아도 빨아라.
@대나무이쑤시개
@대나무이쑤시개 5 ай бұрын
스텔스기 이전에 나왔던 범부여….
@nemoprunus3042
@nemoprunus3042 5 ай бұрын
랜드 로버 같네요
@정지영-z7z
@정지영-z7z 5 ай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 그정도는 아닌데
@HiUTube
@HiUTube 5 ай бұрын
공산품은 영국산은 사는게 아니라고 합니다.
@HealingKiller
@HealingKiller 5 ай бұрын
우리나라는"대공제압기" 사업으로 대레이다 공격 임무를 위해 ECR 버전을 20대 1개 대대 분량으로 도입하려고 했죠
@vinniekim6899
@vinniekim6899 5 ай бұрын
폭격기마피아들이 결국 자신들의 신념이 옳았음을 보여주는 현대에서....물론 고고도는 아니지만, 정밀한 조준과 기술력으로 안전하게 폭격하는 개념만.... 저고도 공격기는 무인기로 완전 대체해야할것같네요. 토네이도는 이제 로망 이외의 가치는 많이 없는듯 ㅜㅜ 그래도 f4와 함께 너무나 애정했었다. ㅜㅜ
@Daniel-70
@Daniel-70 5 ай бұрын
토네이도는 가동률이 절반 이하죠.
@junesix2501
@junesix2501 5 ай бұрын
그런거치곤 건너집 땅돼지는 똑같이 쓰려고 만들어서 여기저기 잘만 코박고 들쑤시고 다닌점을 생각해보면.....
@ho458
@ho458 5 ай бұрын
디자인은 멋졌는데. 서독 공군기가 자탄플레이어 확. 뿌리는게 8090년대 나토 뉴스.나오면 단골 영상이었고
@tthwang3169
@tthwang3169 5 ай бұрын
역시 프랑스 놈들 중간에 발 빼는건 거의 본능
@zziz6274
@zziz6274 5 ай бұрын
유럽에서 공동개발한 기체중에 제대로 된건 하나도 없네요, 유로파이터도 유지비파이터에 50%도 안되는 낮은 가동률에 미친 가격에
@kimh.s.5876
@kimh.s.5876 5 ай бұрын
벌컨은 아르헨티나에 마지막사용
@kdyu178
@kdyu178 5 ай бұрын
그래도 멋있잖아, 한잔해.
@klausfeuermann3825
@klausfeuermann3825 5 ай бұрын
스텔스와 Drone Warfare는 개나 줘 버린 ...
@scavengers19
@scavengers19 5 ай бұрын
토네이도는 하늘을 나는 전투기
@irbis7591
@irbis7591 5 ай бұрын
왜 특수목적기를 자꾸 다목적으로 쓰려고 드는지 의문입니다. 스타파이터도 고고도 요격기인데 지상공격에 쓰고 방공에 쓰고 아주 난리를 치면서 과부제조기로 만들고 저공침투폭격기를 공대공에 쓰니 어쩌니 ㅋㅋㅋㅋ
@riveriwa
@riveriwa 5 ай бұрын
토네이도 라는 기체를 설명하기에는 너무 적은 내용으로 인해서 설명해야 하지만 넘어간 부분들도 너무 많고 솔직히 말하면 내용적으로 많이 아쉽다고 생각해요 특히 토네이도 라는 기체가 그저 궁금해서 간단하게 유튜브로 본 사람들에게 너무 간략하게 요약된 내용들로 이뤄진 영상으로 인해 잘못된 스테레오 타입이 심어지지 않을까 해서 걱정이네요 솔직히 말하면 지금 댓글에서도 그러한 내용들이 많이 쓰여져 있고.. 참 여러가지 생각을 들게 하는 영상이네요
@king92_
@king92_ 5 ай бұрын
감자야~
@mbdmTV-486
@mbdmTV-486 2 ай бұрын
이론과 현실이 차이가 많이 나서 존재를 파악 하기 힘들고 싱거우면 소금 쳐서 먹으면 안 되남?? ㅋㅋ
@kimjonggi1
@kimjonggi1 5 ай бұрын
F-15 못 샀으면 우리가 중고로 들여올까 했던 기종
@김광종-t4s
@김광종-t4s 5 ай бұрын
한국공군이 정찰형 버전의 토네이도를 도입할 뻔 했음
@sumanyang7913
@sumanyang7913 5 ай бұрын
토네이도는 예쁜 기체임. 안만들어 봤으면 말을 마라.
그래서 우리는 걸작이라 부르기로 했다: F-4 팬텀 이야기
13:49
더스카이맥 theSKYmag
Рет қаралды 459 М.
$1 vs $500,000 Plane Ticket!
12:20
MrBeast
Рет қаралды 122 МЛН
Andro, ELMAN, TONI, MONA - Зари (Official Audio)
2:53
RAAVA MUSIC
Рет қаралды 8 МЛН
What happened to the USS Arizona? (Pearl Harbor)
14:41
Jared Owen
Рет қаралды 6 МЛН
본래 의도는 이게 아닌데 - F-16 파이팅 팰콘 이야기
13:26
더스카이맥 theSKYmag
Рет қаралды 187 М.
The Insane Engineering of the Javelin
15:12
Real Engineering
Рет қаралды 6 МЛН
KF-21 시제기가 9대? 이거 다 거짓말인 거 아시죠?ㅣKF-21ㅣ보라매ㅣ팩트폭격
10:37
너에게서 KF-21의 희망을 보았다 - 라팔 이야기
11:56
더스카이맥 theSKYmag
Рет қаралды 273 М.
The most complex LEGO Tank
17:56
Brick Technology
Рет қаралды 2,6 МЛН
737이 에어버스에 추월당한 이유 - A320 이야기
9:00
더스카이맥 theSKYmag
Рет қаралды 171 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