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진왜란에서 이기고도 일본의 식민지가 된 이유?

  Рет қаралды 604,995

[팟빵] 매불쇼

[팟빵] 매불쇼

5 ай бұрын

#매불쇼 #최욱 #썬킴 #역사 #일본 #임진왜란
- 거침없는 세계사 : 썬킴
----------------------------------------------------------------
광고 문의 : ad@podbbang.com / 02-6903-9392
출연, 사연 등 기타 문의 : mbshow@podbbang.com
또는 인스타그램 @maebulshow 메시지 주세요 :)

Пікірлер: 943
@tube5571
@tube5571 5 ай бұрын
역사학 전공자로서 하고 싶은 말이 있습니다. 방송 초반에 패널분들께서 임진왜란은 우리가 이긴 전쟁이라고 하셨는데, 전쟁의 목적 달성 측면에서 봤을 때는 맞는 말이지만 이겨도 이겼다고 말하기 힘들 정도로 나라꼴이 엉망진창이 됐습니다. 인구는 크게 줄어들었고 생산 기반도 조선 후반까지 회복이 못될 정도로 치명적 타격을 입었습니다. 약탈당한 문화재와 파괴된 건축물들은 얘기하기가 입이 아플 지경입니다. 학살당하고 강간당한 백성들은 뭐 부지기수였구요. 이조판서(이덕형) 아내마저 성폭행을 피하려고 자살할 정도로 나라가 개판이었어요. 일본군만 만행을 벌인게 아니라 우리를 도우러 온 명군의 패악질도 어마무시했습니다. 나라가 망하면 그 꼴 당하는 겁니다. . 일본은 임진왜란의 전쟁목적 달성(조선 점령 및 명나라 진출)이 좌절됐기 때문에 패배한 것이 맞고, 조선은 방어에 성공했기 때문에 승리하게 맞지만, 승전국임에도 불구하고 제대로 된 배상을 받은 것도 없고 보복을 한 것도 없습니다. 역으로 치고 들어가서 규슈까지라도 점령했으면 괜찮았을텐데 임진왜란 말기 조선이 동원한 병력을 보면 그건 희망사항에 불과할 뿐이죠. 방송에도 계속 말씀하셨지만 임진왜란은 일본이 전력을 기울인게 아니라 서일본(도요토미) 세력만 가담한 것입니다. 그것도 절반 역량은 도쿠가와 견제하느라 건너오지도 않았어요. 일본이 만약 제대로 통합돼서 30만명을 온전히 동원할 수 있었다면 조선은 이기지 못했을 수도 있습니다. . 제 말의 요지는 뭐냐하면 일본에게 우리가 이기고도 식민지가 된 이유는 지도만 펴 봐도 생산력에서의 차이가 어마무시하다는 것입니다. 일본은 우리보다 농지도 많고 생산력도 좋았습니다. 그리고 일본은 오랜시간 전쟁을 하면서 이미 군수물자를 생산하는 것이 기업화가 돼 있었습니다. 남해안에 축조한 왜성들도 전문적인 성곽 건축회사들의 작품이라고 보면 됩니다. 경제 규모에서부터 시스템까지 조선은 철저하게 패배해 있는 상태였고, 그러한 구조는 구한말 식민지배를 당할 때까지 바뀌지 않았습니다. . 지정학적으로보나, 국토의 생산력으로 보나 조선은 최상의 효율만 추구해도 일본을 이기기 벅찬 나라였지만, 임란 이후 300년을 쌩으로 날려먹었습니다. 열하일기 연암 박지원은 수레와 벽돌 생산을 통한 물자 유통 및 건축 혁명을 거론했으나, 당시 북경으로 사신으로 갔던 최고 엘리트들도 그 말을 귀담아 듣지 않았습니다. 그 결과 정조시대에 들어가서야 겨우 시대착오적인 수원 화성을 건축한겁니다. 이미 다른 나라들은 성곽 요새 시대를 끝내고 훨씬 진보한 화약 무기로 싸우고 있었는게 말입니다. 그게 조선의 한계였고 수준이었다는걸 철저하게 국민들에게 각인 시켜야 역사를 배우는 의미가 있습니다. 이겨도 이겼다고 말하기 부끄러운 전쟁을 자꾸 이겼다고 정신승리하는 것은 매우 곤란합니다. . 역사는 반성학입니다. 반성이 없으면 반드시 같은 일이 반복됩니다. 지금도 일본은 우리보다 국토도 인구도 경제 규모도, 산업 전반에서도 강력한 나라입니다. 도쿄, 나고야, 오사카, 후쿠오카, 삿포로 등 자체 경제권이 건실하게 돌아가는 강대국입니다. 반면 한국은 서울 공화국 수준에서 벗어나질 못하고 있습니다. 전쟁이라도 터지면 바로 원시시대로 돌아가고 다시 나라가 최빈국으로 전락할지도 모릅니다. . 한국이 살아나갈 길은 통일 밖에 없습니다. 그런데 국민들이 온갖 불가능한 이유들을 대며 역사적인 책무를 방관하고 회피하고 있기 때문에 과연 통일을 이뤄낼 수 있을지 의문입니다. 지금 대한민국이 겪고 있는 모든 경제적인 문제, 인구감소의 문제는 북한 붕괴를 통해 굉장히 많은 부분에서 해소할 수 있습니다. . 한국은 서울 외에도 부산경남, 평양, 신의주 등 거대 경제권을 갖춰야 합니다. 그렇게 인구와 내수시장을 확보하고, 우리 기업들의 생산 기반을 굳이 동남아로 보낼 필요없이 북한 지역에 투자를 해야합니다. 또 통일을 통해 분단유지비용이 영구적으로 해소된다는 것도 염두에 둬야 합니다. 북한이 뚫리면 서울의 안전이 확보되고, 코리아디스카운트의 문제도 말끔히 해소됩니다. 역사적으로도 서북지역은 상인들의 땅이었습니다. 북한 주민들을 무시해선 안됩니다. 개방만 되면 누구보다 빠른 속도로 돈을 버는 감각을 드러낼 겁니다. . 그렇게 적어도 인구 8000만에 거대 경제권이 서울 외에도 2~3개가 더 생기고, 반도체, 2차전지, 자동차, AI, 바이오, 조선 등 알짜배기 산업들은 꽉 움켜쥐고 가야 합니다. 저는 대한민국이 더 부강하고 더 강력한 나라, 더 평화로운 나라가 되길 꿈꾸고 있습니다. 우리가 일본에게 계속해서 스트레스를 받는 이유는 여전히 우리의 국가 규모가 불안정하고 빈약하기 때문입니다. 국민들 모두가 이 문제를 직시했으면 좋겠습니다.
@user-kt7vo7sf8r
@user-kt7vo7sf8r 5 ай бұрын
옳으신 말씀입니다😊
@user-sw9vb5en3u
@user-sw9vb5en3u 5 ай бұрын
속 시원한 워딩입니다.
@Simbajinoh
@Simbajinoh 5 ай бұрын
매우 공감합니다.
@bincho6185
@bincho6185 3 ай бұрын
결과론적으로 보지마시고 당시상황을잘보세요 임란후에도 일본상황은 무신정권이라 예절 매너는 거의 최악이라고 보시면되여 사람목숨이 파리목숨이랑 같았죠 그래서 조선입장에서는 잘 지낼필요도 못느꼈어요 오죽하면 일본문화에 환멸을느낀 몇만명의 사무라이들이 임란도중에 귀화하겠어요 그리고 조선은 침략을 미개한 행위로 보았어요 조선후기 당시 제국주의 시대상황에 패러다임이 맞지않았죠 일본이 농업생산력이 좋았다하는데 그게 일반백성한테 다 가는건 아니었어요 일제강점기 전까지 대마도에서는 조선에서 매년 쌀을 얻어갔거든요 이걸보면 우리나라 유교사상 대단하죠
@user-tt1ri5np3y
@user-tt1ri5np3y Ай бұрын
긴 글 감사합니다 저도 공감합니다
@bluecat8637
@bluecat8637 5 ай бұрын
우와 진짜 ... 🎉핵심을 찌르고 재미나기까지 한 역사이야기....멋집니다 싸랑해요 썬킴❤
@user-zh7vq2op5g
@user-zh7vq2op5g 5 ай бұрын
썬낌 ~ 메시지있는 일본역사,일본 잘 살펴야한다. 감사합니다~~
@user-tn1lg6ef8x
@user-tn1lg6ef8x 5 ай бұрын
저는오늘ᆢ두번들었어요 썬킹님 너무재미있어요
@user-te1il5yx2l
@user-te1il5yx2l 5 ай бұрын
우리가 간과하고 있지만 매우 중요한 역사적 맥락에 대한 스토리 텔링.오늘 방송 너무 좋았어요
@celsius200do
@celsius200do 5 ай бұрын
17:47 "너왜케못생겻어 키가작아" 할때 pd님 최욱 잡는거 졸라뿜었네요 ㅎㅎㅎ 사이좋게 지내세요 화이팅
@user-is2ry4lo8r
@user-is2ry4lo8r 4 ай бұрын
최욱 보고있나?
@locopamasan
@locopamasan 2 ай бұрын
봐도 모른 척
@Sucrosefanatic
@Sucrosefanatic Ай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zlxcvlckxjvk
@zlxcvlckxjvk Ай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hiroono1
@hiroono1 17 күн бұрын
이순신이 일본 수군을 이긴 것은 한산도 해전이 마지막으로, 그 후 7년간은 한번도 이기지 않았다. 이순신은 여러 번 기습을 시도했지만 모두 일본 수군에 격퇴되어 도망치고 있다. 23전 23승은 한국인이 날조한 거짓말이다. 부산포해전 1592년 8월29일 이순신 등이 부산에 주둔한 일본군을 공격했지만 이길 수 없었다. 조선왕조실록에 쓰고 있다. 명량해전 1597년 9월 16일 조수의 흐름에 의해 일시적으로 조선이 유리해져 일본군의 크루시마가 죽었지만 저녁이 되어 조수가 바뀌자 조선군은 철수했다. 일본에 쫓긴 이순신은 9월 21일에는 멀리 전라도 북단의 고군산도(군산 앞바다)까지 후퇴했다. 난중 일기에 쓰고 있다. 순천해전 1598년 10월 3일 명·조선군은 수륙 양면에서 이순신을 포함한 총공격을 했지만 일본군이 격퇴하고 조선군은 많은 사상자를 냈다. 조선왕조실록에는 삼로의 싸움(제2차 울산성의 싸움, 사천의 싸움, 순천의 싸움)에서 명·조선군은 모든 공격으로 패퇴하여 이에 따라 삼로로 나뉘었다 명·조선군은 녹을 수 있도록 함께 무너져, 인심은 무서워져, 도피의 준비를 했다고 기술되고 있다. 노량해전 1598년 11월 18일 무혈철퇴의 쌍방 합의를 설치한 뒤 철퇴하려는 일본군에 대해 명국·조선군이 약속을 깨고 공격을 가했지만 일본이 격퇴하고 이순신은 죽었다.
@user-ii3cg6qg8v
@user-ii3cg6qg8v 5 ай бұрын
썬킴선생님 얼굴만 봐도 웃깁니다!! ㅋㅋㅋ
@rumi7076
@rumi7076 5 ай бұрын
진짜 재미있다!!
@Hi-story0119
@Hi-story0119 5 ай бұрын
썬킴님 말씀 잘 들었습니다.^^
@st.-nino
@st.-nino 5 ай бұрын
EBS 잉글리시 고고부터 팬인데, 영어가 아니라 세계사를 배울 줄 몰랐습니다 최고에요!!👍 👍 대한민국만세 독도는우리땅
@jyl-kj6zy
@jyl-kj6zy 4 ай бұрын
참 말세다 영어강사 하던 인간이 갑자기 역사를 가르친다고 하질 않나 그걸 또 생각없이 받아들이는 사람들이 있질 않나
@user-zt3wp2dy9h
@user-zt3wp2dy9h 4 ай бұрын
​@@jyl-kj6zy영어강사가 역삭지식이풍부하면 가르쳐도되지 참 표용력도 제로인사람이네
@clementh11111
@clementh11111 Ай бұрын
​@@jyl-kj6zy역사 공부하면 안됨 왜?
@jyl-kj6zy
@jyl-kj6zy Ай бұрын
@@clementh11111 제대로 알고 가르치는 것과 어설프게 아는건 천지차이니깐
@hiroono1
@hiroono1 17 күн бұрын
「다케시마」가 일본령인 것은, 이하의 3점으로부터 분명하다. 현재 한국이 불법 점거하고 있지만 실제로 '다케시마'를 필요로 할 때 일본이 해상 봉쇄한다. 1. 조선이 1905년 이전에 ‘다케시마’를 알고 있던 증거가 없다. 거주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조선인이 그린 지도조차 없다. 모르는 섬을 영유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2. 1905년 일본이 편입 선언했을 때 조선은 항의하지 않았다. 이에 따라 일본에 의한 다케시마 영유가 확정되었다. 3. 샌프란시스코 평화조약으로 일본이 한국에 할양하는 영토에 ‘다케시마’는 적혀 있지 않다. 그리고 그 이유는 러스크 서한에 의해 이승만에 설명되어 있다. 이로써 다케시마는 일본령으로 남게 되었다. 한국인은 무지이므로 모르는 것 같지만, 한국은 대한제국의 승계국이 아니다. 한국은 조선인이 건국한 나라가 아니라 연합국이 일본에서 분리해 건국한 역사가 없는 신흥국이다. 대한제국은 일본에 병합되어 소멸했기 때문에 구대한 제국의 자산이었다고 해서 한국의 자산이 되지 않는다. 한국의 자산은 샌프란시스코 평화조약에 규정된 일본에서 할양된 영토와 그때 그 영토상에 존재한 물품뿐이다. 예를 들어 타국으로 유출된 불상이나 미술품에 한국의 소유권은 없다. 물론 다케시마는 한국령이 아니다.
@moonglow1187
@moonglow1187 5 ай бұрын
훌륭한 강의입니다. 잘 들었습니다!!!!
@jongohsurn
@jongohsurn 5 ай бұрын
썬킴 역사이야기 중독성있게 재밌어요. 계속 보게돼.ㅎ
@user-zo8eu2ed4g
@user-zo8eu2ed4g 5 ай бұрын
썬킴 역사 박사님 존경합니다 깊은울림 이었습니다 오늘 명강의 진짜 감동이었습니다 감사합니다 ㅠㅠ
@hyunaryu2393
@hyunaryu2393 5 ай бұрын
와 ~누구한테도 들어본적이 없는 내용이네요. 좋은 강의 너무 감사합니다
@user-qr2tj7mv9m
@user-qr2tj7mv9m 5 ай бұрын
썬킴 선생님은 세계사를 아주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는 점이 특징입니다.
@acusticLIM
@acusticLIM 5 ай бұрын
국가안보차장 김태효가 저쪽 계통이지
@stageyoung7353
@stageyoung7353 12 күн бұрын
26:02 ㄷ😮ㄷㅈ😮😮나 😮😢😢😢🎉😢😅😅😅😅😅🎉🎉
@user-tl5hy2qz2t
@user-tl5hy2qz2t 5 ай бұрын
임진왜란이 우리가 결국 이겼다고 하더라도 우리땅에서 싸워 피해는 우리만 있고, 일본은 군사들만 죽었지!!/ 일본 본토는 아무런 피해가 없었기 때문에 이겨도 피해는 많았다.
@dddk236
@dddk236 4 ай бұрын
임진왜란에서 일본에 이겨 ? 참 아큐짓좀 그만해 국토 유린당하고 문화재 도공 약탈 당하고 사회 혼란 야기했는대 자딸하냐 일본에 무슨 위해를 가했냐 우리가 노량해전도 히데요시 사망으로 철수하던 왜군 공략한 거지 우리가 걔네를 무력으로 밀어 냈냐 참 ? 쓰고 보니 표현은 다르지만 당신의 의중과 비슷하네 😂
@dl-ry3lf
@dl-ry3lf 23 күн бұрын
님말데로라면 베트남전쟁에서도 미국본토는 피해가 없고 베트남만 양민 즉 민간인들 피해 엄청 입었으니 미국의승리인가요 ㅉㅉㅉ
@hiroono1
@hiroono1 17 күн бұрын
중국의 명사에는 “일본군과의 싸움으로 명국과 속국(조선)이 이길 전망은 없고, 단지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사망한 것에 의해 전쟁이 종식했다”고 쓰여 있다.
@user-wy6oe8se8e
@user-wy6oe8se8e 5 ай бұрын
진짜너무재밋게..설명잘하신다... 잠이확깰정도로..몰입감 최고엿어요.
@bogobogo6705
@bogobogo6705 5 ай бұрын
도쿠가와 막부시대 썬킴의 거침없는 세계사 너무 재밌음 ㅋㅋ 일본은 통수치는 민족이니 방심은 금물
@David-by4jf
@David-by4jf 5 ай бұрын
근데 일본이 무슨 통수를 쳤음?
@dm2192
@dm2192 5 ай бұрын
​@@David-by4jf 통수만 쳤냐? ㅋㅋㅋㅋ 진짜 모르는거면 니 부모가 니 교육을 안시킨거고 ㅋㅋㅋㅋㅋ
@David-by4jf
@David-by4jf 5 ай бұрын
@@dm2192 그러니까 무슨 통수를 쳣냐고?? 정작 너도 설명해보라니까 모르네 ㅋㅋㅋㅋ 딱 페.미들이 아무런 설명 못하고 공부하세욧!! 이수준임 ㅋㅋㅋ 설명은 하나도 못하고 패드립 치는거 보니 정작 못배운건 본인인듯 ㅋㅋㅋㅋ 뭐 느그 세대들중 제대로 배운 사람들이 얼마나 되겠어? 대학은 갔니?ㅋㅋ 풉
@David-by4jf
@David-by4jf 5 ай бұрын
@@dm2192 웃긴건 본인도 일본이 무슨 통수를 쳤는지 모름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그러게 주거버린 니 엄마 말 듣고 공부좀 하지 그랬냐? ㅋㅋㅋ 푸하핫
@dm2192
@dm2192 5 ай бұрын
@@David-by4jf명예일본인 긁혔쥬? ㅋㅋㅋㅋㅋ 조상이 왜란때 일본군한테 ㅠㅠ 그렇게 이어져온 핏줄이 요깃네 ㅋㅋㅋ
@HyunOhJung
@HyunOhJung 5 ай бұрын
진짜 이번편 끝장나게 재밌다 최고
@hiroono1
@hiroono1 17 күн бұрын
이순신이 일본 수군을 이긴 것은 한산도 해전이 마지막으로, 그 후 7년간은 한번도 이기지 않았다. 이순신은 여러 번 기습을 시도했지만 모두 일본 수군에 격퇴되어 도망치고 있다. 23전 23승은 한국인이 날조한 거짓말이다. 부산포해전 1592년 8월29일 이순신 등이 부산에 주둔한 일본군을 공격했지만 이길 수 없었다. 조선왕조실록에 쓰고 있다. 명량해전 1597년 9월 16일 조수의 흐름에 의해 일시적으로 조선이 유리해져 일본군의 크루시마가 죽었지만 저녁이 되어 조수가 바뀌자 조선군은 철수했다. 일본에 쫓긴 이순신은 9월 21일에는 멀리 전라도 북단의 고군산도(군산 앞바다)까지 후퇴했다. 난중 일기에 쓰고 있다. 순천해전 1598년 10월 3일 명·조선군은 수륙 양면에서 이순신을 포함한 총공격을 했지만 일본군이 격퇴하고 조선군은 많은 사상자를 냈다. 조선왕조실록에는 삼로의 싸움(제2차 울산성의 싸움, 사천의 싸움, 순천의 싸움)에서 명·조선군은 모든 공격으로 패퇴하여 이에 따라 삼로로 나뉘었다 명·조선군은 녹을 수 있도록 함께 무너져, 인심은 무서워져, 도피의 준비를 했다고 기술되고 있다. 노량해전 1598년 11월 18일 무혈철퇴의 쌍방 합의를 설치한 뒤 철퇴하려는 일본군에 대해 명국·조선군이 약속을 깨고 공격을 가했지만 일본이 격퇴하고 이순신은 죽었다.
@hiroono1
@hiroono1 17 күн бұрын
세키야마지마 해전은 확실히 조선이 승리했지만 일본 측에 큰 손해가 있었던 것은 아니다. 사망자는 많이 견적해 300명이다. 와키자카의 수군에는 원래 병사가 1500명밖에 없고, 반년 후의 육상전에 900명이 참가하고 있다. 물론 배의 보수 요원을 제외하고이다. 이순신의 보고는 분명히 과장이다. 한국인이 거짓말을 하는 것은 전통이다.
@user-eo2ub4xy2k
@user-eo2ub4xy2k 5 ай бұрын
썬킴하고 배기성님은 그냥 하는게 아니라 굉장히 디테일하고 뜻이 있는 내용이라 항상 잘 보고있습니다.
@UNloCK_OFficER
@UNloCK_OFficER 5 ай бұрын
18:20 발음 감탄
@user-te7hy8ng5n
@user-te7hy8ng5n 5 ай бұрын
배기성은 약갼 뻥이 있는듯
@user-bk9qr7fh1k
@user-bk9qr7fh1k 5 ай бұрын
디테일 옆구리 차는 소리하네
@user-eo2ub4xy2k
@user-eo2ub4xy2k 5 ай бұрын
@@user-bk9qr7fh1k 니네엄마 옆구리나 차 ㅋㅋㅋㅋ
@user-eo2ub4xy2k
@user-eo2ub4xy2k 5 ай бұрын
@@user-te7hy8ng5n 니ㅡ아갈은 ?
@user-bk5qs
@user-bk5qs 5 ай бұрын
썬킴님 스토리텔링 짱이에요 감탄했습니다.
@user-zz7ue9ev3g
@user-zz7ue9ev3g 5 ай бұрын
이번편 핵잼 개꿀잼 썬킴 짱!
@bliss9694
@bliss9694 5 ай бұрын
정말 재밋고 유익하다. 유투브에서 이런 값어치있는 정보를 얻다니
@user-zu6yn8hr4k
@user-zu6yn8hr4k 5 ай бұрын
생각해본적 없었는데 감사합니다. 요즘 이런저런 배경 알고나니 영화도 더 재밌게 느껴집니다❤❤❤
@4520wumr
@4520wumr 5 ай бұрын
제일 궁금한점을 잘 짚어준 썬킴^^ 늘ᆢ여유있는 멋진 실력자! 화이팅!
@dangmountain7266
@dangmountain7266 5 ай бұрын
갑 선킴님 책도 사서 보고, 팟빵 거·세도 재미있게 잘 보고 있습니다!!ㅎㅎㅎ
@origins320
@origins320 3 ай бұрын
시네마지옥 보다보다 너무 많이봐서 다음으로 썬킴 정주행중 잼나고 유익해🎉
@user-te1il5yx2l
@user-te1il5yx2l 5 ай бұрын
임진왜란 후 조선과 일본의 엇갈린 운명->조선은 친명사대를 강화하며 기득권유지를 위한 유교 이념국가가 되고 일본은 실용적인 문화로 경제가 융성
@user-ew2ge2zz5u
@user-ew2ge2zz5u 5 ай бұрын
친명사대 고집하다 후금(청)에 병자호란 맞고 조선은 청과 군신 관계로 전락 청에 의존하며 우물안에 개구리가 되죠
@user-dw3wk8hh9c
@user-dw3wk8hh9c 3 ай бұрын
친명이 아니라 친청이겠지요? 실수?
@user-te1il5yx2l
@user-te1il5yx2l 3 ай бұрын
@@user-dw3wk8hh9c 친청같은 실리주의라면 차라리 나았죠. 주자성리학을 숭배해 망한 명나라를 대신 소위 "소중화"를 자처하며 이념화 했다는 말입니다
@user-xp2rz2ji5m
@user-xp2rz2ji5m 2 ай бұрын
@@user-dw3wk8hh9c 친명 맞아요 청나라는 그 이후 조선을 침략했고 청이 명을 먹은 후 조선은 명나라를 찾다가 더 두들겨 맞았고 물론 청이 조선을 비슷한 종족이라고 우대하는 등 결국 조선은 청나라에 완전하게 굴복하게 되고 일본이 조선을 식민지배하게 된 것이 평화가 오래 이어진 것 때문이 전혀 아니고 그런 식이면 일본은 왜 식민지배를 안받았겠나 조선왕조는 유학을 유교로 바꾸고 종교로 무장한 국가가 됐으니 변화가 불가능해서 퇴보를 거듭하다가 식민지배를 받은 것이고 저런 식으로 역사를 단순무식하게 왜곡하니 심각한 상황
@user-xp2rz2ji5m
@user-xp2rz2ji5m 2 ай бұрын
@@user-dw3wk8hh9c 유교에서 사농공상은 공업과 상업이 가장 미천한 직업이라는 말인데 즉 개혁이 불가능한 상태 일본은 유학은 받아들였으나 유교국가는 전혀 아니었고
@user-rg7ky8xq1c
@user-rg7ky8xq1c 5 ай бұрын
일본역사 관심없었는데 잼나네
@user-ih6nk2eq6o
@user-ih6nk2eq6o 2 ай бұрын
썬킴님 몰입감 짱입니다! 최욱님 마지막 멘트도 감각있네요
@user-nw3hn6xr7l
@user-nw3hn6xr7l 5 ай бұрын
항상 너무 재미있게 이야기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썬킴님은 실물보다 방송이 멋있어요~🎉❤🎉
@normal77079
@normal77079 5 ай бұрын
일어를 전공하면서 아무래도 일어를 이해하려면 일본 역사를 알아야겠다 생각했었죠. 그 당시가 2000년초반이라 자료가 많지 않았는데 이걸 이해할 수 있는건 영화밖에 없었습니다. 우리도 만만치않은 조선중후반기 역사가 있었지만 일본은 근대화로 가는 길목에 수많은 몰락과 개발사가 있었고 특히 에도막부와 메이지 유신으로 가는 그 당시의 영화를 보면 어마어마한 희생이 뒤따랐던데 한국에서 거의 가르치지 않다가 바람의 검심 때문에 좀 주목받았거든요. 특히 홋카이도 개발사가 좀 흥미로웠는데 관련 영화가 여럿있어서 이해하는데 쉬웠네요.
@user-hc9td5mu6h
@user-hc9td5mu6h 5 ай бұрын
훗카이도 개발사 에 관한 영화 추천좀 부탁드려요
@ikakakakaika
@ikakakakaika 5 ай бұрын
일본역사 영화 드라마 추천 바라
@normal77079
@normal77079 5 ай бұрын
@@user-hc9td5mu6h 북의 영년
@sohuhwhat1702
@sohuhwhat1702 2 ай бұрын
저는 만화로요. 료마가 간다. 신선조. 등등등
@acusticLIM
@acusticLIM 5 ай бұрын
김태효가 니뽄의 한국점령 뉴라이트 선봉장
@user-rf1rs1zm8y
@user-rf1rs1zm8y 5 ай бұрын
지금도 역사동영상 댓글보면 식민지배 해줘서 우리가 잘살고 있다는 인간들 많습니다.. 뉴라이트들이 뿌린 씨앗들 이에요. 조선에 철도깔고 공장세운게 조선 잘살라고 배푼 호의가 아님에도 이런건 쏙빼놓고 동영상 만들어서 뿌리고 다닙니다.
@sopialim7961
@sopialim7961 2 ай бұрын
그야말로 참수가 답입니다. 그래야 후세에 이런 인간이 나오지 않아요.
@mingxueli1855
@mingxueli1855 3 ай бұрын
썬킴화이팅 재미잇게 잘들엇습니다
@jameshuang2552
@jameshuang2552 5 ай бұрын
썬킴쌤🎉 응원합니다 👍
@user-NWCDP
@user-NWCDP 5 ай бұрын
너무 재미있어요~👍
@user-in2dq5mu7e
@user-in2dq5mu7e 5 ай бұрын
썬킴 재밌다!!!!!!
@TV-Kimbomi
@TV-Kimbomi 5 ай бұрын
정말 최고 👍 입니다 감사드립니다
@nicehan777
@nicehan777 5 ай бұрын
임진왜란은 완벽한 승리라기 보단 상처뿐인 영광에 가깝지
@user-te7hy8ng5n
@user-te7hy8ng5n 5 ай бұрын
임진왜란은 집에 도적이 들어와서 때려서고 쫓아냈지만, 가족도 많이 다치고, 집도 부서지고, 세간도 망가지고 집에 있던 보석을 잃어버린 전쟁.
@user-qn6on3to2n
@user-qn6on3to2n 5 ай бұрын
임진왜란은 조선이 이긴전쟁이 아니라 일본외적의 침략을 막은전쟁 입니다. 이긴전쟁이였음 배상금 청구나 일본본토에 조선이 내정간섭을 왜 안했을까요?
@user-qi3fo5in9s
@user-qi3fo5in9s 5 ай бұрын
​@@user-qn6on3to2n나도 그게 이해가 안 되요. 이겼으면 전리품 챙겨야지 그런 거는 들은적이 없어서...
@user-br5zr3wg2c
@user-br5zr3wg2c 5 ай бұрын
영광은 커녕 나라는 쑥대밭되었고 사람은 엄청 죽고 명나라를 은인처럼 생각하는 자주성 없는 나라가 되었죠
@user-yf9ch8vj8o
@user-yf9ch8vj8o 5 ай бұрын
​@@user-te7hy8ng5n 가족이 다친게 아니라 가족중에 한명이 사망하고 집안재산 거덜난 상황. 보상도 못받고. 이게 어떻게 이긴 전쟁이야? 정신승리지. 전쟁 7년간 죽거나 생사 알수없는 모든 조선인들 숫자가 100만이 훨씬 넘었음.
@user-hr4ks1if1k
@user-hr4ks1if1k 5 ай бұрын
좋은 강의 감사
@D0UB7E_JAM
@D0UB7E_JAM 5 ай бұрын
두번째보는데 진짜 재밌어요 ㅋ
@user-zy6mz4vw8n
@user-zy6mz4vw8n 3 ай бұрын
썬킴 넘 재밌고 유익합니다 ❤
@user-px7xz4ue9u
@user-px7xz4ue9u 5 ай бұрын
강의 넘 재밌게 봤어요 😂
@user-tm9pr3kf1h
@user-tm9pr3kf1h Ай бұрын
멸공해서 북진통일하자! 좌파진행자 식겁 ㅋㅋ
@user-zo1si5dq9v
@user-zo1si5dq9v 5 ай бұрын
썬킴님 오늘 정말 재미있게 들었어요 마지막 욱이님이 딱 알아차리신 엔딩 의미 완전 최고👍촌철살인 최고봉 암기력도 짱 👍
@user-jy1iq8do7d
@user-jy1iq8do7d 4 ай бұрын
썬캄님은 어떻게 이리 많이아시고 궁금한것을 콕 찍어 얘기해주시네요 역사의 왕 입니다 존경합니더. 얼마나 많은 공부를 허셨겠어요
@koguryo705
@koguryo705 5 ай бұрын
30:15 안병도 작가의 일본정벌기 말씀하시는 듯. 개인적으로는 근다로 같은 항왜들이 더 기억에 남네요.
@user-kh1zj2ck1z
@user-kh1zj2ck1z 5 ай бұрын
방금 노량 보고 왔어요~ 너무 재밌고 감동적으로 봤어요. 초반 하나도 안 지루하고 북소리도 좋았어요~
@sook2kwak183
@sook2kwak183 5 ай бұрын
썬킴강의 꿀잼~😅
@user-hx7uj1ey4t
@user-hx7uj1ey4t 3 ай бұрын
역사이야기 참 맛깔나게 잘하시네 ^^
@user-un8rw5jq8r
@user-un8rw5jq8r 5 ай бұрын
썬킴 강사님 짱입니다^^
@dsshin4
@dsshin4 5 ай бұрын
히데요시 잔당들 조슈번 사쓰마번 자식들이 에도막부 없애고 조선을식민지 한 이야기 해주세요 썬김님
@dajowa7959
@dajowa7959 5 ай бұрын
썬킴 , 시간이 너무 짦아요 👍👍👍👍👍👍
@bs1951kr
@bs1951kr 4 ай бұрын
썬킴 씨 너무너무 웃기시고 재미나게 보고있어요 ㅋㅋ 감사합니다 항상 응원합니다 ㅎㅎ
@user-go9eb1om5g
@user-go9eb1om5g 5 ай бұрын
도쿠가와 막부는 일본 역사상 가장 정치 경제가 안정되고 민초들이 살기 편한 그야말로 태평성대였습니다. 에도 막부는 조선처럼 중앙집권제가 아닌 지방 영주에게 자치권을 부여한 봉건제라서 나중에는 지방영주들이 군웅할거하게 되는 시스템 차이가 쇄국과 메이지유신으로 갈리게 되는 부분도 있다고 봅니다.
@user-nn1pj2kz5n
@user-nn1pj2kz5n 5 ай бұрын
일본 자체가 막부 이전을 제외하고 막부 성립 이래로 수백년간 동아시아 왕조들과는 다르게 중앙집권적이지가 않았죠. 또 메이지때 잠깐 천황이 강했을 뿐 다이쇼가 나중에 의회를 승인하니까요.
@jhshin9413
@jhshin9413 19 күн бұрын
일본 에도막부는 기독교 세력 늘어나지 않도록 탄압하고 서양과 교류를 차단하는 쇄국을 했습니다. 이후에 미국 페리제독의 압력으로 쇄국정책 포기
@user-go9eb1om5g
@user-go9eb1om5g 19 күн бұрын
@@jhshin9413 쇼군이 모든걸 결정하는 시스템이 아니라 지방 영주들에게 조세징수권과 어느 징도의 군사력도 있어서 에도 막부에서 가장 먼 조슈와 사쓰마를 중심으로 한 서부 번들은 쇼군 몰래 서방과 교류를 하고 있었습니다
@user-tf7cf1er2t
@user-tf7cf1er2t 5 ай бұрын
에도막부도 쇄국했지만 기본적으로 세계에서 단절된건 전혀 아님. 꾸준히 국제정세 퍄악에 나섰고 기술적 발전을 해옴. 일례로 아편전쟁 이후 조선은 청나라에서 약간의 소요가 있다니까 그말을 믿었지만 일본은 네덜란드로 부터 정확한 결과를 들어 충격받고 이는 개항에도 큰 영향을 줌
@user-nn1pj2kz5n
@user-nn1pj2kz5n 5 ай бұрын
당장 포르투칼 상인들이 시바바라의 난을 일으키고 카톨릭이 들어오니 탄압했지만 나가사키에 데지마를 만들고 네덜란드로 교체해 교역했던걸 보면 조선보다는 열려 있었죠. (교역의 영향이 반 고흐의 우키요에를 보면 알 수 있으니) 조선은 임진왜란 이후로 타 왕조로 교체되지 않고, 영정조 이후 세도정치로 암흑의 기간이 길었던게 우리한테는 크리티컬 했다고 봅니다.
@jhshin9413
@jhshin9413 19 күн бұрын
시마바라의 난은 가톨릭 신자였던 주민들이 가혹한 세금때문에 아마쿠사 도키사다를 중심으로 민란을 일으켰습니다. 동학과 비슷
@yy5752
@yy5752 2 ай бұрын
마지막의 메시지가 좋아요.선킴님.
@user-kc5zl4cj3q
@user-kc5zl4cj3q Ай бұрын
썬킴 샘님~~~~쏙쏙들어옵니다
@user-fd8kk5ce9e
@user-fd8kk5ce9e 5 ай бұрын
오늘 진짜 대존잼 역사를 이렇게 재밌게 설명하는 건 썬킴 남바완....근데 일본은 반드시 99.9프로 재침략한다 역사가 증명하고 있다
@user-tr5nu7vp5o
@user-tr5nu7vp5o 4 ай бұрын
과거를 잊고 미래로 나가자고 하죠. 그놈들이 말하는 미래가 대동아공영권 입니다.
@Qwerasdflll
@Qwerasdflll 5 ай бұрын
에도 막부 성립은 일본이 진정한 한 나라가 되었죠 그래서 우리나라보다 덩치가 커졌고
@pjay7370
@pjay7370 5 ай бұрын
썬킴 👍 👍 👍 👍 👍 👍
@user-zk5mi4je1i
@user-zk5mi4je1i 5 ай бұрын
2:27: 📚 일본의 식민지가 된 이유에 대한 역사적 이유와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인물적 특징을 설명한 영상 2:27: 일본의 260년간의 역사적 상황에 대한 부족한 이해 2:41: 임진왜란 이후의 일본의 행동에 대한 궁금증 2:54: 일본의 식민지화 과정에 대한 관심 부족 3:28: 일본의 막부 시대와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역할 3:45: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정치적 영향력 3:52: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무정자증과 후궁의 자녀 문제 4:49: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죽음에 대한 다양한 설 5:39: 📜 조선 시대의 권력 승계와 사회적 불평등 5:39: 태조왕건의 외동아들 태어남 6:54: 도토미디어의 후계자로 선정됨 7:19: 임진왜란 발발 7:46: 도토미디어의 외모와 사회적 지위 9:02: 도토미디어의 결백 주장과 권력 쟁탈 9:46: 영주들의 돈 빌려주기와 돈봉투 사건 10:23: 도토미디어의 자살 10:31: 📜 일본이 임진왜란에서 승리한 후 식민지로 변모한 이유 10:31: 임진왜란 당시 영주들의 살인과 사망 11:23: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영주들에 대한 관대함 14:23: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도쿄 건설 15:40: 도쿄에서의 초밥의 시작 17:56: 🇰🇷 이순신의 노량 회전과 도토미 히데오의 죽음으로 조선이 승리하고 미스 나리의 배신으로 인한 사건 17:56: 미스 나리의 배신 19:36: 도토미 히데오의 죽음 20:54: 조선의 승리 20:54: 이순신의 노량 회전 21:25: 🏯 일본 역사에서 중요한 세키가하라 대전투의 결정적인 순간과 이유 21:25: 도토미 히데오의 사망과 후계자 문제 21:55: 도요토미와 도쿠가와의 세력 분쟁 22:32: 세키가하라 대전투의 중요성 25:10: 도쿠가와의 역전과 뒤통수 치기 25:35: 고바야카와의 결정적 역할 26:49: 도쿄 시대의 시작과 도토미 히데요리의 결정 27:02: 도토미 히데요리의 아들과 오사카 성의 운명 27:09: 📜 도쿠가와 이스와 이순신의 역사적인 이야기 27:09: 임진왜란에서 이순신의 활약 27:17: 도쿠가와 이스의 조건과 전략 28:03: 도쿠가와 이스의 전략 수용 30:12: 이순신의 소설 속 활약 32:39: 도쿠가와 이스의 정책 변화 32:53: 🇰🇷 일본의 식민지가 된 이유와 관련된 주요 내용 32:53: 일본 260년 동안 조선 관에 전쟁을 안 해서 안심하게 만듦 33:18: 에도막부의 서구 문무를 빨아들이고 나라를 개혁함 34:29: 일본의 침범을 예상하지 않고 평화주의적 태도로 관심을 끊음 34:36: 결과적으로 일제 강점기에 식민지가 됨 Recapped using Tammy AI
@user-vt1hj7nh7f
@user-vt1hj7nh7f 5 ай бұрын
도토미디어가 누구? 도토 잠보?🐘
@user-tl1hv5dx8r
@user-tl1hv5dx8r 4 ай бұрын
ai 가 요약해주는 거에여
@gnos00
@gnos00 5 ай бұрын
추천후 감상!!
@noseelongtime1044
@noseelongtime1044 Ай бұрын
개꿀잼이네여
@user-xi7kn4zx9j
@user-xi7kn4zx9j 5 ай бұрын
매불쇼 사이다 헤드라인은 안봐도 시네마지옥 썬킴 배기성형님은 꼭 챙겨봅니다 힘내십쇼
@user-do9xy2cu1q
@user-do9xy2cu1q 5 ай бұрын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장남은 임진왜란 3년전인 1589년에 요도도노와의 사이에서 태어난 도요토미 츠루마츠입니다 일본의 정세를 파악하기위해 1590년에 조선에서 통신사 황윤길과 김성일등이 왔을때 히데요시가 갓난아기였던 츠루마츠를 안고 나왔는데 이때 츠루마츠가 히데요시의 옷에 소변을 지렸는데 이 모습을 본 통신사들이 크게 불쾌해했다는 기록이 있고 이 장면은 임진왜란 관련 드라마에서 많이 나옵니다 히데요시는 츠루마츠를 정실 부인 네네에게 기르게 했으며 매우 귀하게 여겼지만 몸이 약하여 임진왜란 1년전인 1591년에 2살의 어린나이에 사망합니다 히데요시는 매우 충격을 받고 슬퍼하여 촌마게 (상투)를 잘랐고 휘하의 다이묘들도 함께 촌마게를 잘랐다고 합니다 이 사건으로 히데요시는 자신이 더 이상 아들을 낳기 힘들다고 생각하여 3개월 후에 조카인 도요토미 히데츠구를 양자로 맞아들이고 다시 1개월 후에 히데츠구를 관백으로 삼아 자신의 후계자임을 공표합니다 그 후의 사건들은 썬킴님이 설명하셨으니 생략합니다
@user-pd6sd5tz9s
@user-pd6sd5tz9s 5 ай бұрын
통신사가 갔을때 히데요시 아이가 오줌 싼거는 유명하긴하죠
@mans2000
@mans2000 5 ай бұрын
네네가 정실이었군요. 저는 지금까지 측실로 알았거든요.
@user-cn1ry5mw1w
@user-cn1ry5mw1w 4 ай бұрын
요도도노가 바람펴서 낳은게 츠루마츠란 이야기도 있죠~츠루마츠가 도요토미를 너무 안닮았고..그래도 도요토미는 간절히 원한 아이가 나왔으니 의심보다는 아들이 생겼다는거에 정신이 나갔을듯...임진왜란 자체가 츠루마츠가 병에 걸려 죽고 약간 정신병적인 상태에서 아시아정벌을 해서 죽은 츠루마츠에게 바친다는 묘한 생각으로 계획했고 마침 일본통일 뒤에 넘처나는 무사들의 뜨거운 피를 잠재운다는 신하들의 생각과도 통했으니...
@user-zg9ed1fe3i
@user-zg9ed1fe3i 4 ай бұрын
츠루마츠랑 히데요리는 이시다의 자식들이란 썰이 있는데 이에대해 의견은 어떠신가요.?
@sung4717
@sung4717 5 ай бұрын
Jedoros님의 밀씀에 동감합니다. 왜란, 호란 두번의 전란을 격으며 조선은 한마디로 참혹한 현실에 직면합니다. 나라는 구했었도 백성들의 삶을 구할 수 없었습니다. 7년전쟁 후 인구는 150만이 감소 합니다. 인구는 노동력으로 경제와 직접적인 관계가 있습니다. 경제는 나라의 세금과도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인구의 7분의 1이 감소합니다. 전답은 10분의 9가 사라집니다. 어느정도 회복해서도 농사지을 수 있는 땅은 3분의1이 소실됩니다. 하지만 역병, 질병으로 살아 남은 사람들도 죽어나갑니다. 설상가상 구제역으로 소들이 죽어 갑니다. 소는 사람 10명 이상의 노동력을 제공했다고 합니다.농사에 필수적인 소였습니다. 광해군때 대동법을 실시해 모든 세금을 쌀로 내게 했습니다. 소의 씨가 말라갑니다. 이북에서 시작된 구제역은 한양을 지나 남쪽으로 계속번집니다. 결국 구제역에서 안전했던 제주도에 있었던 소들을 던국각지에 나누어 공급 합니다. 조선의 블행은 더 해 갑니다. 제주도 마저 구제역이 발생합니다. 살아남은 소값은 마구 뛰어 3배에서 5배로 오릅니다. 일반 백성으로서는 엄두를 낼 수 없는 가격이었습니다. 조선의 경제적 파단과 위기는 지속됩니다.
@tools55009955
@tools55009955 5 ай бұрын
이시다 미씨나리가 키가 작다고 설명하는 와중에 최욱 보여주는 디테일!! ㅋㅋㅋㅋ
@milkymarkfunkypunchlee7001
@milkymarkfunkypunchlee7001 5 ай бұрын
진짜 재밌었습니다
@johnny0320
@johnny0320 5 ай бұрын
혜종의 어머니 나주 오씨가 미천한 집안이 아니라는 것은 드라마 태조 왕건에서도 나오는 것이고 패서지방 귀족에 비해 세력 규모가 작을 뿐이지 나주에서는 나름 한자리 차지하는 집안이었음
@user-sq9rm6mk7w
@user-sq9rm6mk7w Ай бұрын
저도 두번 돌려보기 합니다~^^ 썬킴쌤 짱❤
@user-qw4kq7id9i
@user-qw4kq7id9i 5 ай бұрын
임진왜란 이 아니고 임진왜전~ 난이 아니고 전쟁이라고~~~
@slhim1215
@slhim1215 5 ай бұрын
그 亂이 반란이란 의미라 생각하고 이런 말 하는거임? 그 亂 이란 단어에 전쟁의 의미가 없다 생각하고 이런 말 하는거임? 난중일기라는건 들어본적이 있음? 보통 한정된 지역과 비교적 짧은 시간 동안 벌어진 전투에 "전"을 붙임 명량 해전 처럼 그 승리가 특별히 큰 전투에는 "첩" 대첩을 붙이고 청산리대첩, 한산대첩처럼 war, campaign, battle 차이도 모르겠네 무식하면 용감하다더니ㅋ 엄청 용감하네
@user-bw7oh5rv5g
@user-bw7oh5rv5g 3 ай бұрын
썬킴님~!!!최고~^^❤❤
@galepson
@galepson 5 ай бұрын
역사는 과거의일이아니라 현재를살아가는 우리의 거울입니다.잊지말자!일제식민지.
@hanhyeonheon
@hanhyeonheon 5 ай бұрын
와 썬킴 아저씨 역사 설명 최고!!!!❤
@user-yc5ho6hz3j
@user-yc5ho6hz3j 5 ай бұрын
제정신인가 임진왜란을 이겼다생각하다니
@KimKim-fb8wx
@KimKim-fb8wx 19 күн бұрын
너무도 웃기는 스토리 얼굴에 자국이 😅😅 !! 킴님 방송 보는재미에빠집니다 !!!❤❤
@user-gq8xb8rh5m
@user-gq8xb8rh5m 5 ай бұрын
고바야카와는 성입니다 이름까지 붙이면 고바야카와 히데아키
@I945.8.l5
@I945.8.l5 5 ай бұрын
믿고보는 매물쇼 역시 킴이 최고
@hyunggukim1163
@hyunggukim1163 4 ай бұрын
썬킴 쵝오
@talisker9017
@talisker9017 5 ай бұрын
내용중 디테일이 좀틀린부분이 많네요. 도쿠가와 뒤를 치는것은 모리가문과 킷카와인데 킷카와 가문이 배신해서 길을막아 모리가 공격을 못하고, 고바야카와는 간보다가 도쿠카와가 열받아서 포를 쏜후에 도쿠가와 쪽으로 붙어서 승패를 결정지었음. 킷카와,고바야카와는 모리 모토나리의 아들들이 양자로 들어가 접수해서 범모리가에속함. 모리가문이 나중에 메이지 유신에 주요 번인 쵸슈번이고, 시마즈가 사스마번이 됨.
@user-pv2ny2fo2j
@user-pv2ny2fo2j 5 ай бұрын
와 진짜 처음 안 내용입니다. 다음주는 이 이후 200년간의 이야기도 들려주세요. 도쿄대화재 신선조 이런거 궁금합니다!
@Sigmar-guide-us
@Sigmar-guide-us 5 ай бұрын
에도막부는 인구증가로 인해 강력한 산아제한 정책을 시행했고 그로 인해 히비키라 불리는 영아살해 풍토가 생김. 이것은 메이지 유신 이후나 되야 사라짐. 시마즈와 고니시는 일본 극서의 군주들로 에도막부의 압력에도 끝까지 살아남아 서양세력과 교류하며 칼을 갈았고 1800년대 중후반 미국이 도쿄 앞바다에 나타나 대포를 쏘며 개항하라고 협박함. 쇼군이 쫄아서 ㅇㅋ 하고 이때다 싶은 사츠마와 조슈번(이름바 삿쵸동맹이고 시마즈와 고니시의 후예들)이 미국과 영국에게 돈 지원을 받아 이름바 개혁군을 만듬. 그걸로 에도 막부를 이겨서 무너뜨림. 여기의 정신적 지주가 료마 뭐 이런 애들이고 이토도 있음. 그 제자들의 후예중 하나가 아베 신조임
@user-su7cs9kg9q
@user-su7cs9kg9q 5 ай бұрын
영화 이야기 다음으로 썬낌 이야기 재미있네.
@user-ep2hv9gc3b
@user-ep2hv9gc3b 4 ай бұрын
썬킴 너무조아😊
@JL-fq1cn
@JL-fq1cn 5 ай бұрын
일본은 조선 보다 인구도 많았고 전쟁에서 졌다고 해도 자기네 나라가 황폐화되지 않았죠 조선과 다르죠 그리고 일본이 조선 보다 훨씬 잘 살았습니다 임진왜란 전에도
@dl-ry3lf
@dl-ry3lf 23 күн бұрын
잘 살았다는근거는? 경제력이 좋은것지 내전이 끝났지 몇년되는데 뭘 잘살아
@DonghakSprit
@DonghakSprit 5 ай бұрын
영상보는 중인데 바로잡기1. 히데요시의 최초의 아들은 히데요리가 아닌 측실 요도사이에서 1589년에 태어안 스테마루(스테마루는 아명, 추후 츠루마츠)임. 영상에서는 히데요리가 최초의 아들인것처럼 나와 댓글 남김. 여담으로 첫째아들의 아명을 스테(버려라) 라고 지어서 그런지 태어나서 2년만에 죽자 후에 히데요리가 태어나서는 아명을 히로이(주어라)라고 지었다는 일화도 있음. 다른설로는 보다 이전에 자식들이 이미 있었다는 설도 있음.
@user-mm3gw2vd8l
@user-mm3gw2vd8l 5 ай бұрын
감사드리며 환절기 건강하시길........
@brandonann9283
@brandonann9283 5 ай бұрын
너무나 재미나게 보고 있습니다. 역사를 알아야 우리가 있씁니다
@user-xr2ki9bv7t
@user-xr2ki9bv7t 5 ай бұрын
실상은 이미 임진왜란 이전부터 일본의 경제력은 조선을 뛰어넘었고 여기에 서구문물까지 더해졌던겁니다 썬킴님이 말한대로 영주들중 가장 큰 세력이었던 도쿠가와 이에야스는 참전도 안했는데 조선은 명의 도움 없이 전쟁을 수행하지도 못할정도였습니다
@dl-ry3lf
@dl-ry3lf 23 күн бұрын
그명때문에 전쟁이 또 일어났지 국제사기꾼 심유경이라는 작자때문에
@user-jf9zz7bn5h
@user-jf9zz7bn5h 6 күн бұрын
도꾸가와 이에야쓰는 조선을 병참기지로 삼아 세계정복을 꿈꿨던 풍신수길의 야망을 겉으로 드러내지는 않았지만 조금은 비판적 입장에 서 있었던 사람입니다. 풍신수길의 수하로 어쩔수없이 들어가긴 했지만 내적으로는 와신상담 하고 있었습니다.
@user-xr2ki9bv7t
@user-xr2ki9bv7t 6 күн бұрын
@@user-jf9zz7bn5h 맞아요 그래서 히데요시는 도쿠가와 이에야스를 곁에서 지켜보며 경계를 했습니다만 결과적으로 이에야스의 병력을 온전히 남기게 해서 정권을 빼앗기게 되죠
@user-zf1hc9kn3u
@user-zf1hc9kn3u 5 ай бұрын
왜란 후 같이 문을 닫았으나 나중에 왜는 스스로 변화를 받아들였고 조선은 끝내 변화를 거부한 차이지.
@Sigmar-guide-us
@Sigmar-guide-us 5 ай бұрын
왜는 준나 고립곳이고 조선이랑 비교하긴 애매합니다.
@user-qx4xy1ck5d
@user-qx4xy1ck5d 5 ай бұрын
썬킴님 최고..
@j_1149
@j_1149 5 ай бұрын
많이 묵직하고 많이 의미있는 말씀이었어요~~~
@ajota_ajoa
@ajota_ajoa 5 ай бұрын
썬킴 넘 조아요~
@Gimosalamet
@Gimosalamet 5 ай бұрын
작금의 중공을 그저 독재국가로 배격하면서 현 Ai 보급률 세계상위권 중공은 안보는것과 비슷하지.. 일본, 미국, 러시아경우도 마찬가지! 한국 특유의 임기응변 다시 장착하자들!!!
@user-do2lq5zm5b
@user-do2lq5zm5b 5 ай бұрын
썬킴 정말 너~~무 좋아요
@user-fg6tz9fn9j
@user-fg6tz9fn9j 4 ай бұрын
썬킴님 설명 재밌어요 최욱님은 왤케 웃기세요😅
@frogeman
@frogeman 5 ай бұрын
임진왜란에서 우리 조상들이 이겼구나........보통 이기면 뭘 얻는데....많이 얻었나 보구나....
@user-rf1rs1zm8y
@user-rf1rs1zm8y 5 ай бұрын
1.2차 대전 영국이 이겼어도 상처뿐인 영광이죠...
@user-lt3ne7lv5o
@user-lt3ne7lv5o 5 ай бұрын
확실하지 않은 정보를 확신에 차서 말하시네ㅎㅎ
@user-xg9ez7no1z
@user-xg9ez7no1z 5 ай бұрын
오늘 흥미로웠다
@user-ni6dv2jg4p
@user-ni6dv2jg4p 5 ай бұрын
일인 다역 하시는 모습이 흡사 신파극 보는 것 같아 재미 있었읍니다.
Watermelon Cat?! 🙀 #cat #cute #kitten
00:56
Stocat
Рет қаралды 32 МЛН
1 класс vs 11 класс  (игрушка)
00:30
БЕРТ
Рет қаралды 3,7 МЛН
일본 역사, 20분 한방에 털기 | 황현필
19:39
황현필 한국사
Рет қаралды 1,3 МЛН
정치 9단 박지원 "검찰은 특검하라고 아우성이구나!" | 풀버전
2:23:55
국뽕이 차오르는 고려 거란 전쟁의 역사 깔끔 요약!
33:29
[팟빵] 매불쇼
Рет қаралды 486 М.
몸 사리던 썬킴의 순간적 말실수 "제발 공부 좀 해!"
30:20
[팟빵] 매불쇼
Рет қаралды 607 М.
이승만의 라이벌 김구는 왜 죽었을까?
36:06
[팟빵] 매불쇼
Рет қаралды 419 М.
'조선 건국' 과정에서 정몽주가 죽은 이유는?
23:34
[팟빵] 매불쇼
Рет қаралды 383 М.
처칠의 발언을 국내 정치에 사용하면 안 되는 이유!
35:27
[팟빵] 매불쇼
Рет қаралды 281 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