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 공무원입니다. 가난한 사람들이 꽤 많은 사회입니다. 접할 일이 없어서 그렇지. 그런 의미로 월급 받으며 미래가 좀 더 나아질거다 하는 편안함을 가진 제가 중산층이 아닐까 생각이 듭니다. 행복은 상대적인것이 맞는 것 같습니다.
@Jazz좋은날Ай бұрын
@@이한나-n2k 당신은 상류층입니다 ♡
@보노보노-z8s20 күн бұрын
돌아가는 상황이 다음 대선 이재명이 확장성 부족으로 또 지겠네.....
@파이프-k7y4 ай бұрын
직장을 잃어도 재산이 늘어난다(상류층) , 직장을 잃어도 재산이 계속 그대로다(중산층), 직장을 잃으면 쉬는 만큼 재산이 줄어든다(하류층) - 이게 모 투자 커뮤니티 구분 방법이라고 올라온 글인데 한국 사람들 눈높이가 높긴 합니다.
@kolor96484 ай бұрын
상류층은 직장이 필요없죠 ㅠ 자신이 곧 직장일텐데요
@삼각자-n7z4 ай бұрын
이재명 무제한 25만원이 전국민에게 필요한 이유
@jkk76824 ай бұрын
이건 뭔 뜬금없는 헛소리야?ㅋㅋ
@기다림의미학-i1n4 ай бұрын
@@삼각자-n7z모든 국민에 주면 같은것인데 의미가 있을까? 머리가 비었 다 그리고 왜? 25만이지 차라리 월 250만 으로 하자구 해라
@bjc94184 ай бұрын
@@삼각자-n7z딱 25만원만큼 음식값 식자재값 커피값 오른다는건 생각 못하냐? 최저임금 1만원 오른후 무슨 일이 있었는지 학습효과가 없냐😅
@lemonred70134 ай бұрын
할거 다하고 돈걱정 없이 살 수 있는거면 상류층인데.... 헛된 욕망을 줄이고 적지만 기부하고 소소한 행복을 느끼고 건강하게 살면 중산층입니다.
@Smoker-1p4 ай бұрын
신께서 공평하게 인간에게 부여해준 시간을 기준으로 본다면 상류층 - 내가 놀고 싶을때, 내 마음대로 시간내서 놀수있다면 상류층 ㄴ> 자영업자 (단, 장사접고 복귀시에도 매출에 영향이 없을거라고 확신하는 자 ) ㄴ> 경제적 자유를 이룩한자 ㄴ> 노동 안해도 통장에 돈이 먹고살만큼 입금되는자 ㄴ> 본인만의 사업을 하는자 중산층 - 내가 놀고 싶을때, 내 마음대로 놀순 없지만 일정조율 하면 놀수 있을때 ㄴ> 대기업 / 중견기업 / 소기업 노동자 ㄴ> 공공기관 , 학교 등의 공무원 ㄴ> 대학병원 등에서 고소득을 얻는 의사 등 < 비록 고소득이라곤 하나, 본인의 자유시간을 누군가에게 승인을 받아야 한다면 절대 상류층이 될수 없음 > 하류증 - 놀고 싶어도 놀아선 안되는자 ㄴ> 백수, 기초생활 수급자 등 ㄴ> 놀면 돈만 축내고 소득이 없는자 ㄴ> 취업준비생 등 놀면 남들과의 취업경쟁에서 밀릴 가능성이 높은자 ㄴ> 백혈병 등 희귀병에 의해 병원비만 수천만원 내고 집재산 하늘로 증발되는 집안 ㄴ> 수도권 집 사느라 은행에서 대출받고 빚쟁이로 사는자 등 마음대로 놀아도 되는자 = 상류층 제약은 있으나! 놀수는 있는자 = 중산층 놀아선 안되거나, 놀면 나락가는자 = 하류층
@INT100J4 ай бұрын
@@lemonred7013 중산층의 정확한 정의 이전에 일반적으로 중산층이라고 하면 그냥 그 집단에서 40~60퍼 들어갈 정도의 능력이면 중산층이라고 불릴수 있다고 보면(이거 아니라고 하면 니 갈길 가시고) 통계가 나와있는데, 뭐가 문제임? 지들 맘대로 중산층이란 단어를 중상층이랑 헷갈려서 그런거지. 재산통계론 평균이 4억 중위가 3억얼마 니깐 그 언저리 들어가고 수입통계론 평균이 3백언저리고 중위가 2백얼마니깐 그 언저리면 니 의사랑 상관없이 중산층이라고. 그 상황이 안되는 사람이 반이라고. 그게 팩트라고. 그냥 중상층 얘기하는거라고 하던가. 도대체 이게 자꾸 논쟁이 되는 이유도 모르겠네 국평오의 현실인가...
@더기-u8n3 ай бұрын
기부하지마세요. 기부한돈중간에서. 다 자르고. 쥐꼬리만큼갑니다
@꼭대기-d3h3 ай бұрын
맞는애기 입니다 세상엔 여러 똥만든사람 많아요 결핍되어 있다는게 맞네요 어느정도 가지고 여유롭게 살수있는데
@tumetuema23503 ай бұрын
저 서람들이 어떤 상황이냐도 즁요하겠죠. 맞벌이인지 외벌이인지, 결혼을 했는지 안했는지, 아이가 몇명인지 등등 알아야 판단 할 수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기혼에 외벌이 아이 2 있는 집이면 500에서 700은 벌어야 맞는 말이고 맞벌이에 아이가 없다라고 하면 한 사람이 200-300만 벌어도 충분히 중산층이지 않을까 싶네요. 혼자 살아도 200-300이면 되지 않을까 싶고요.
@라이프코치-h4l4 ай бұрын
거의 모두 상류층흉내 내면서 살아가고 있음. 예)대출끼고 아파트, 캐피탈할부 자동차. 할부카드 해외여행 누가보면 부자인줄암.
@항상최선을다해3 ай бұрын
대출을 그렇게 다 해주니까 그런거겠지ㅋㅋ
@CherryBlossom-love4 ай бұрын
말로는 "중산층만 되도 좋겠다 나는 서민이다"라고 하지만요 한국인들은 명확히 중산층이 어디쯤인지 알고 있고 본인은 상류층 끝트머리 어디쯤을 꿈꾸고 있고 자녀는 상류층 꼭대기를 갈망합니다
@zeajoo57204 ай бұрын
이게정답
@INT100J4 ай бұрын
중산층의 정확한 정의 이전에 일반적으로 중산층이라고 하면 그냥 그 집단에서 40~60퍼 들어갈 정도의 능력이면 중산층이라고 불릴수 있다고 보면(이거 아니라고 하면 니 갈길 가시고) 통계가 나와있는데, 뭐가 문제임? 지들 맘대로 중산층이란 단어를 중상층이랑 헷갈려서 그런거지. 재산통계론 평균이 4억 중위가 3억얼마 니깐 그 언저리 들어가고 수입통계론 평균이 3백언저리고 중위가 2백얼마니깐 그 언저리면 니 의사랑 상관없이 중산층이라고. 그 상황이 안되는 사람이 반이라고. 그게 팩트라고. 그냥 중상층 얘기하는거라고 하던가. 도대체 이게 자꾸 논쟁이 되는 이유도 모르겠네 국평오의 현실인가...
@김정훈-c4k7u2 ай бұрын
@@INT100J 일반적으로라는(애초에 정의 자체가 주관적이고 한국인이 일반적으로 중산층이 너무 야박하다고 얘기중) 표현과 아니면 갈길 가세요 라고 하시면서 게 왜 논란리냐고 하시면.. 중산층은 중위층이 아니짆아요.. 생각하기 나름인건데 다른나라보다 우리나라가 좀 엄살이라는거죠..
@INT100J2 ай бұрын
@@김정훈-c4k7u 중산층이 중위층이 아닌거랑 중산층 정의랑 뭔 상관이죠? 네이버 가서 중산층 정의 찾아보세요. 러프하게 무조건 중산층 될 수 밖에 없게 적어놨더니 뭔 소릴 하는건지. 국내정의랑 해외정의랑 다 찾아보세요. 뭐가 문제죠? 중산층 정의가 뭐가 주관적이란거죠? 아 내 느낌에 중산층은 이정돈 되야돼? 또 우기려고요?
@김정훈-c4k7u2 ай бұрын
@@INT100J 중산층(中産層, 영어: middle class) 또는 중산 계급(中産階級)은 고전적인 마르크스주의 이론에 의할 때 프롤레타리아 계급에 속한다고 보기에는 사유재산을 가지고 있지만, 자본가에는 끼지 못하는 계층을 의미한다. 중간층 또는 화이트 칼라라고도 불린다. 그냥 해석하기 나름이라고 말씀드린거고. 정의갖고 싸울필요가 있냐고 님처럼 자기말이 맞다고 하면 싸움이.난다는 말이였어요.. 프랑스는 악기를 다루고 외국어를 하고 스포츠를 즐긴다 라고 조사됐는데 거기가서도 이렇게 우기실건지.. 왜 화내시는지.모르겠네요
@희망-u5f4 ай бұрын
상대적 빈곤이 문제죠. 누가 중매했는데 총각이 아반떼 몰고 왔다고 차였다고. 31살이 자기돈으로 아반떼 몰면 어때서? 나는 그총각이 지극히 정상이라고 생각했는데....
@꼬빵이-w8q4 ай бұрын
우리신랑은 그나이에 차도 없엇는데
@김영혜-q9bАй бұрын
어떻게 사는 사람이 중산층(허리)일까? 집한채,차량한대굴리고,여행도가끔,좋은 책도 사보고, 행복하게 사는 삼이 아닐까요?
@jiji4845Ай бұрын
34살에 20평 아파트 5억짜리 1.5억 대출끼고 가지고잇고 연봉은 세전 7000정도 차는 뉴라이즈 소나타타고있고 주식이나 코인안하고 4500정도 모아놨는데 빚3000있고 모아놓은돈없는 35살 여자랑 소개팅하고 까였네요...ㅋㅋ 키작다고ㅠ 키는 173임
@SM-om8pqАй бұрын
@@jiji4845ㅋㅋㅋ조상이 도우신 듯. 오히려 연하가 정신 제대로 박힌 친구들 많을테니 연하 만나세요.
@성이름-g7v1iАй бұрын
@@jiji4845 여자가 아직 자기객관화를 못하고 있네 ㅋㅋㅋ 분에 넘치는 조건이구만
@연진아엄청나4 ай бұрын
저는 세금 내는사람이 중산층 지원금받는사람이 하층민 이라고 생각해요 나라에서 더 해주겠다고 세금걷는순간 중산층에서 돈걷어서 하는거라는점 고민해야합니다 상류층도 다양한 방법으로 세금 많이내요 설마 상위10% 세금으로 지원금 주고,공무원 월급 다 해결될거라고 생각하시는거 아니지요? 나라에서하는 생색용지원은 거의 중산층세금 부동산거래세에서 걷어서 쓰는걸 아셨으면 하층민 지원금 정말 종류도 많고 자발적하층으로 세금받는사람 주변에도 많읍니다~~~세금내시는분들은 상류층 더 걷으라고 난리지만 중산층도 결국 더 내야하는걸 알고 말합시다
@Gucccccci943 ай бұрын
나는 사람들이 생각하는 중산층 개념이 무얼까 많이 고민했다. 정말 5등급 정도에 중간 미들 클레스를 말하는걸까? 5등급 맞은애가 아오 나 정도면 인서울 해야 하는거 아니냐고! = 나 정도면 서울에 있는 자가 아파트 왜 못사냐 이 느낌인데 당연히 그럴리 없고 신구대학교 졸업생이 아오 나 정도면 삼성전자나 하이닉스는 껌 아니냐? 이런 느낌일리도 없고... 사람들이 말하는건 생각하는건 50% 는 아니구나 느꼇다. 그럼 암묵적인 중산층 개념은 몇% 정도일까? 상위권을 지칭하는 10% 이하부터 25% 이상을 말하는 것으로 보인다. 즉 학창 시절 모범생도 아니고 잘 놀지도 못했던 어중이 떠중이를 말한다. 그래서 지들이 가장 억울해 하는거다. 지들은 엄마가 시킨대로 가라는 학원도 다 갔고, 결석도 안했고, 잘 놀지도 않았고, 나름 열심히 살았다고는 생각하는데... 사회에서 하라는 코스대로 그냥 살았는데 아무 생각 없이.... 왜 자기한테 주어진건 이렇게 별로인가? 하는 억울함 그래, 억울하겠지. 그냥 멍청해서 그래. 놀려면 제대로 놀고 공부하려면 제대로 공부하고 뭐든지 제대로 하자. 어중이 떠중이는 억울하기만 한 이 사회에 실패자가 될 뿐이다.
@김운수대통4 ай бұрын
지금과 같은 불확실성 큰 사회에서 월 몇백 버는게 기준이 되는것보다는 지금 보유한 자산이 얼마가 되느냐가 특히 현금자산의 규모가 중산층의 기준 아닐까 합니다
@김마리우스3 ай бұрын
아닙니다. 20억짜리 집 엉덩이에 깔고 앉은 무직자는 당장 라면살돈도 없습니다. 하지만 그놈의 가오때문에 집을 팔지는 않죠
@minskim95294 ай бұрын
말은 중산층이라고 하는데 실제 상류층 하는 짓을 다 하고 싶어 하는 것이 사람 마음이겠지. 일년에 한두번 해외나가고, 두달에 한번은 국내 여행이라도, 그리고 최소한 격주라도 주말에 어디 행사 찾아서 놀러다니든지 아니면 문화생활하러 가야하고 삶의 재미를 모두 추가하면서 사기에 중산층이라는 위치에서 원하는 것이 맞는지 모르겠군요. 결론은 대한민국 상위 10% 라면 상류층, 20-50% 중산층, 50-80% 서민층, 나머지 80-100% 구간이 빈민층
최근 다른영상에서 미국 서민, 중산, 부유층 이렇게 구분하더라구요. 근로소득만으로 살아가는 서민층, 근로소득+자산소득으로 살아가는 중산층, 자산소득으로만 살 수있는 부유층.
@junghoshin68764 ай бұрын
너무 좋은 내용입니다. 이런 내용을 방송에서 계속 다뤄야죠.
@SeungMiYi4 ай бұрын
얼마를 버느냐보단 얼마를 저축, 투자해서 자산을 축적했느냐도 중요할 것 같네요. 들어오는 금액보단 결국 얼마가 내 주머니에 있느냐가 관건이지 아닐까요.
@하데스-y3x3 ай бұрын
많이벌어도 그만큼 세금으로 가져가 버리니 힘들죠~~억대 연봉이면 얼마나 벌거 같아요? 건보료포함 절반이 세금이죠? ~자영업으로 벌려면 더 힘들죠? 세금에 건보료에 사람쓰면 4대보험에 ~헉헉헉~~
@미랑이-v8b2 ай бұрын
@@하데스-y3x 어쩌라는 건가요? 많이 벌고 세금은 안내고?
@Jjmoo23894 ай бұрын
월급이 결정하는것이 아니라 부모의 자산이 결정하는 겁니다.
@희망-u5f4 ай бұрын
요즘은 조부모재산까지.어휴
@삶의의미-e1j3 ай бұрын
@@Jjmoo2389 맞아요. 33년 월급으로 평생 벌어도 부모도움 못 받고 시작하니 결국 한번 펴본날 없이 말년에도 시작 점과 같네요. 그저 밥만 먹고 사는정도 입니다.
@daegyunkim74084 ай бұрын
자신이 가진 것에 만족할 줄 아는 게 가장 중요한데... 우리나라 사람들은 항상 뭔가 부족하다고 느끼는 게 문제인듯
@Asdzxcfdsghr4 ай бұрын
마음이 가난하면 천을 벌든 이천을 벌든 빈민층일뿐임...삶의 큰 변화 없음.....만족하며 행복하게 사는게 좋음..
@마타타하쿠나-g3d4 ай бұрын
@@Asdzxcfdsghr말은 맞아요.근데 혼자일 때와 가족이 있을 때는 달라지더구요. 혼자 살면 혼자 마인드로 없으면 없는대로 마음만 부자면 된다고 생각하고 살면 되나.가족의 구상원이 되면 내가 돈을 버는 주체이냐,받아 꾸여가는 객체이냐,에 따라 책임도 다르고,가족 구성원의 마음은 내 마은같지 않으니 존중해야 하고..쉽지 않습니다. 책임이 엮이지 않은 혼자이면 가능해요
@wjjlee3 ай бұрын
@@마타타하쿠나-g3d이역시 맞는말인데 결국 가족.구성원도 나와같은생각으로 살게 교육해야 됨. . . . 만족하는 삶. . 그렇지 않으면 평생 남과 비교하며 불행한 삶을 살수밖에 없음
@마타타하쿠나-g3d3 ай бұрын
@@wjjlee 본인 생각이 맞는 거처럼 가족들 생각도 중요한거죠. 그리고 만족하는 삶이란 참 주관적인 거잖아요. 또 가난하다고 그럼에도 현실에 감사하며 살지 않고,부자라고 더 큰 부자를 부러워하며 힘들게 살지 않아요. 경제적 여유가 얼만큼 있느냐에 따라 그 만족의 질도 다르죠. 나와 같은 생각이라..그 나를 어떻게 만나느냐에 따라 운이 정말 중요하겠네요 나를 잘못 만나,만족하며 살아라.하는 것과 부자는 못되도 적당한 여유를 가질 수 있는 삶에 분수를 지키며 만족하며 사는 것 너무 다르죠 그 생각하니 더 열심히 살아야겠구나.싶네요.
@hangeule3 ай бұрын
자기 합리화 ㅋㅋ
@slytvh3 ай бұрын
행복하게사는게 모든사람의 공통적인 바람일건데 그게돈인지 다른무엇인지는. 사람마다 다르겠죠.전 돈이라생각하는사람이라 최소100억은 재산이되야 만족할거같네요. 저로인해서 우리가족들이 상류층처럼 사는게 제 삶의 모토입니다.설사 돈이 아니라해도 4인가족기준 최소 세후 월1000은 벌어야 취미생활도 하면서 살수있습니다.
@Pathfinder_gd2034 ай бұрын
중산층은 평균이 아니다. 거주지역 주택 사교육의 변수가 너무 커서 애시당초 나누는것이 의미없다.
@grx19884 ай бұрын
숫자로 나누는건 간단함 ;;;
@dhk_el4 ай бұрын
돈과 중산층은 한국 내에선 무의미하다는 걸 깨달음 이론적으로는 가계 수지가 균형 있게 흘러가면서 가족 구성원 모두가 행복 및 안정적인 편이다고 이야기할 수 있으면 중산층인데 우리나라는 타인과의 비교, 우위를 점하려고 하는 마당에 위의 전제가 이뤄지기 매우 힘든 나라라고 봄
@nmr54294 ай бұрын
한자어에 대한 부정확한 인식이 서로다른 생각에 한 몫 하는 듯. 중산층은 중상층,중간층과 다른 말이고. 중간소득계층과도 다른 말임. 재산(stock)과 소득(flow)는 다른 것이므로. 이런 개념적 정리가 없으면 오해, 착각만 늘듯
@cihunter724 ай бұрын
왜 중산층 이야기를 할까 남과 비교임. 한국에서 삶이 어려운 이유. 남과 비교를 하지 않는 정신 승리가 있어야. 삶은 돈이 꾸준히 들어 오는 시스템을 구축하면 200만원만 벌어도 살 수 있음. 일 하지 않고.
@벽을뚫는포신4 ай бұрын
남과 비교는 다른 나라도 다 하는데?? 혹시 통계가 뭔지 모르는 건가? 중산층이 얼마나 생기고 있고 중산층 규모가 얼마나 유지가 되나 그건 국가 경제에서 아주 중요한 건데 뭐라는 거야? 중산층이 없어지는 걸 경제 양극화라고 하는 거야 무식아. 월 2백 벌면서 삶만 연명하면서 살아. 월세 내고 식비내고 하면 저축도 못하는 돈이 2백인데 나가서 일 좀 하고 백수인게 자랑이라고 어휴 ㅉ
@충짱-s7v4 ай бұрын
사람마다 좋아하는 직업이 다르고 수입도 다릅니다. 중산층이라는 단어를 돈으로 매긴다면 자기 만족하는만큼이겠죠. 자기일을 진심으로 좋아하고 즐기면 이미 부유층입니다.
@13579-r4 ай бұрын
한국인들은 50.99999999 와 49.999999999를 구분해서 석차를 매기는 사람들이기 때문에 영원히 중산층이라고 생각 안함....
@jip37054 ай бұрын
소득기준으로 중산층을 나누지 말고 순자산을 기준으로 중산층을 나누는 것이 맞다..
@y2jayyj2704 ай бұрын
소득에 불균형이 아니라 자산에 불균형이 심해요. 어짜피 연봉 1억 넘어가면 세후 소득수준은 비슷한데 부모님이 아파트 증여 여부나 혹은 레버리지를 통한 집 구매한 사람과 그냥 저축한 사람들과 엄청난 갭 차이나잖아요... 수도권 벗어나 지방에 살면 그나마 주택가격이 낮긴한데, 대기업이 없어서 근로소득이 높은 사람들이 적긴하죠. 그리고 부자라는게 상대평가라서 내가 아무리 잘살아도 옆사람이 저보다 연봉 100만원만 높으면 저는 하류층인거에요 ㅎㅎㅎ
@gwk63224 ай бұрын
중산층을 왜 구분해야하니? 마음이 다들 거진데
@ara44464 ай бұрын
ㅋㅋㅋ
@벽을뚫는포신4 ай бұрын
중산층이 얼마나 있는지를 알아내는 게 국가 경제에 아주 중요한 거니까 그런 거임. 왜 구분해야하냐니 어디가서 그런 소리하면 무식하단 소리나 안들으면 다행이게
@아카시아-b3y4 ай бұрын
@@벽을뚫는포신 잘 이해 했습니다
@pastatuna25574 ай бұрын
이나라는 뭐든지 계급부터 만들고 보잖아요. 하다하다 러닝화 계급도까지 나오는 나라니까요.
@아카시아-b3y4 ай бұрын
@@pastatuna2557 다른나라도 마찬가지 입니다..
@최지호-h8o3 ай бұрын
중산층의 기준은 각자 틀리겟지만은 우리모두 열심히 하루하루 살아가고, 더 좋은 내일을 위해 노력을 하는데 보여주기식의 행복보다 내가족 내가 사랑하는 사람들이 건강하고 무탈하게 지내고 큰고민없이 다같이 웃으면서 지내는게 제일 좋다고 봅니다. 물질적인 행복은 끝이 없어요~~~~
@나폴-f1o4 ай бұрын
미래에 대한 불안.. 그거 때문인거죠
@시파3 ай бұрын
진짜 행복할려면 sns를 지워야함 월700넘게 벌어도 sns보고있으면 불행한것같다고 느끼는데 sns 전부 접으니 행복해지기 시작했다
@광동아재廣東大叔4 ай бұрын
돈을 얼마나 버느냐에 따라 중산층이니 상류층이니 하는 건 무의미하다고 생각됩니다... 어떤 사람은 월 팔백에서 천씩 수입을 올려도 필수 고정비(가족 부양비, 주거비, 학비, 학원비 등등)를 제외하고 나서 허덕이거나 심지어 빚마저 있는 경우도 허다하고 어떤 사람은 백, 이백 갖고도 맘편히 하고 싶은 거 하면서 여유롭게 삽니다. 결국 고정 지출의 많고 적음과 현금 창출되는 고정자산 유무에 따라 같은 수입이라도 그 느낌은 사람마다 천양지차. 한달 내내 영혼 갈아넣어서 오백 버는 딸배나 쿠팡배송기사 하고 가만히 앉아서 월세수입 오백인 사람이 과연 같은 중산층일지...
@SWIM.J3 ай бұрын
가업하는데 주변은 보면 힘들어서 종사자가 계속 줄지만 그만큼 가치가 오르는데도 이어받지 않는 경우가 허다 합니다.. 저도 뭐 더러워서 못 해먹겠다는 자동차쪽 제조업이지만 그래도 월급 받는것과는 수익의 갭차이가 많이 나기 때문에 몸과 정신이 상해 가면서도 하고 있습니다ㅠ 돈을 많이 벌려면 남들보다 정말 두배 세배는 더 일하면서 내 수명을 조금 갈아 넣어야 합니다.. 저도 아직 젊지만 같이 고생할 젊은 친구들이 유입되서 같이 시너지를 내면 너무 좋을것 같아요ㅠ
@eunkim30253 ай бұрын
월 얼마가 중산층이 아님 그건 개개인마다 다름 4인가족은 600~700이어도 중산층이 아님 1인가족은 300~400만 되어도 중산층임 즉 세금 떼고 내가 실제 월 얼마를 쓸수 있느냐에 따라 달라짐 1이당 가처분 소득이 많아야 중산층임
300 400 600 700 그 하찮은 근로소득 얼마보다 형성된 자산규모가 더 중요함. 순자산 10억 있고 300 버는 사람이 순자산 1억에 700 벌고 있는 사람보다 훨씬 나음
@누구-y6r3 ай бұрын
@@nope7215 지극히 맞는말입니다 다만 월300인 사람이 순자산10억 있을 확률보다 700인 사람이 많은 확률이 높지 않을까요? 금수저 아닌이상 ? 40살인데 아직 700 안되네요 월급 더 열심히 살아봐야 할듯하네용
@nope72153 ай бұрын
@@누구-y6r 물려받은 거 없어도 300만원 벌면서 계약금만 간신히 모으자마자 풀대출 받아서 아파트 매수했던 사람이랑 700만원 받으면서 전월세 살고 은행 적금 모아온 사람과 비교했을 때 40대때 순자산이 전자가 더 유의미하게 많을 수 있지 않을까요
@누구-y6r3 ай бұрын
@@nope7215 성공한투자라면 맞는 말이죠 레버리지 풀로 땡겨서 투자 한거니까요 근데 잘 생각 해봐야지 않을까요? 월300인분이 풀로 땡겨서 5억 대출해서 이것이 10억 되었다고 해도 5억이자 4프로만 해도 2000인데 이거 한채인 이상 다른 하급지 가지 않는이상 허덕일텐데 다 갚을때까지 그걸 부러워 할껀가 싶네요 현실이 너무 힘들지 않을까요?
@꼭대기-d3h3 ай бұрын
옳습니다 시원하게 애기 잘 들었어요
@방진숙-i3f3 ай бұрын
죽을때 가져가지도 않을 돈 남에게 빌리지 않고 불편함 없이 쓸만큼 있으면 된다고 생각함 생활에 여유있게 생활할 정도면 된다고 생각함
@Kxxxh1243 ай бұрын
부모님 감사합니다
@김그레-s2l4 ай бұрын
중산층은 본인삶에 만족하는사람이 중산층이다
@청량리-h3h3 ай бұрын
중산층이라고하면 돈걱정이 없어야하는데 그럴려면 순자산 20억은되어야 그래도 중산층이라고 할수있다는 내가 10억짜리집에 살아도 10억이남으니 혼자서 살기에 어려움이없다는
@효지-s3j3 ай бұрын
아무리 아끼고 어느정도 모아도 사기꾼들이 득실하니 한순간에 모든걸 잃어요 사기꾼들이 제일 사회문제라고 생각합니다
@샤론리-d6w2 ай бұрын
월급이 중요한게 아니고, 직업을 그만둬도 현재를 유지하는게 더 중요해요
@순두부-f9wАй бұрын
중산층은 삶의 질, 결과보단 냉정하게 재산,소득수준의 전체와의 비교로 결정되는건데 모르는 사람들이 많은듯.
@아산아산포크레인Ай бұрын
내가 생각하는 중산층은 근로하지도 않고 매월 500만원이 통장에 들어와야 중산층으로봅니다 근로소득은 길어봐야 10년이죠
@alwoehvlwlsbdielg22 күн бұрын
중산층을 중‘상’층으로 착각하는 사람들이 많은거 같음.
@jinh49134 ай бұрын
수도권 기준 : 순자산 10억이상에 월수입 부부합산 세후 700이상은 되어야 중산층일듯..
@감사해요-c1rАй бұрын
월수입도 중요하지만 개인이 부담해야하는 비용의 정도도 중요하죠. 우리나라는 세금은 다양하게 내는데 교육, 주거, 노후,건강..모두 부담하잖아요. 중산층도 무너뜨리는 사회입니다
@leggo44643 ай бұрын
이젠 중산층 뭐 이런거 나눌때 가정의 연봉과 큰 상관없는거 같아요. 부모에게 집을 받았는지 받을 것인지 얼마를 받는지 그게 진짜 경제계급인듯..월급 받아 맞벌이로 열심히 저축해도 서울에 집 한 채 사기도 힘든데 월급이 무슨 의미
@김용구-b5v4 ай бұрын
난 하류층임 기혼자 아들 하나 빚은 없음 그냥 4천만 세들어 살고 있음. 남들보다 못살지만 세가족 웃으면서 사니 그게 행복이라 생각합니다. 수입은 월400 이지만 이거 저거 뻬고 저축도 조금씩 하지만 빠듯한 삶이너요
@PanhardEBR-1054 ай бұрын
자랑이다 자랑이야
@김마크-e4n4 ай бұрын
@@PanhardEBR-105 아니 머 보태준거 있나? ㅎ
@Qwe바람4 ай бұрын
@@PanhardEBR-105웃긴 인간이네
@PanhardEBR-1054 ай бұрын
@@김마크-e4n 계좌찍어 보태줄께
@김마크-e4n4 ай бұрын
@@PanhardEBR-105 너돈 얼마 있는데? ㅋㅋ 아파트 50평대 자가에 수입차 끄는데 넌 얼마나 있는데 그러냐 ㅋ
@OHNI9992 ай бұрын
10:20 중위소득을 통해 이 사회에서 우리의 위치를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소득 자체를 끌어 올리는 것은 내가 할 수 없는 일이나, 현 상황에서 생존법은 각자가 고민해봐야 될 것 같습니다. 제 생각은 강연자님과 많이 다른 것 같습니다.
@Jjmoo23894 ай бұрын
20대가 중산층은 월500~600 말하는거보고 뿜었다 ㅎ 취업은 해봤나요?
@1사단2 ай бұрын
전 24살 월500받는데 중산층은 아닌듯 합니다
@참나-g4n4 ай бұрын
지역마다 다르고.서울 기준으로 하면.대다수 중산층? 국평자가.. 주관마다 다르고. 다들 잘 살고 싶은 욕심때문에 불안한 생각을 하는 거.. 부처마냥 다 내려놔 봐라. 밥에 김치 먹고도 중산층이라 생각하지. 근데 그런 사람 몇명 있나 자본주의에서...
@jihyeong76Ай бұрын
이 오 선생이 말하고 싶은 게 뭔지 도대체 알 수가 없어요. 문제 제기는 잘하는데 결국 결론은 중상층에 대해서 정의가 다시 필요하다. 즉 자기 같이 할만 하고 사회를 바라보는 시각인 사람이 중산층이 되어야 한다. 라고 이야기 하는 것 같은 데 도대체 동의할 수가 없어. 그리고 모든 사람들이 그렇게 중산층에 대해서 경제적인 건 로만 생각하지 않아너무 문제 제기로 끝나는 거 같아서 마음이 아프네요. 한 마늘 너무 반복 하니까 너무 반복 하니까 너무 반복 하니까 지금 나처럼 너무 반복하니까 이 사람이 화가 나서 그렇게 화풀이 하는 거 같진 않은데 말하고 싶은 주제가 있으면 정확히 주제에 대해서 이야기를 하고 또 현상과 문제점과 또 나가야 할 방향에 대해서 이렇게 딱 나눠서 이야기를 해야지 이거는 그냥자기가 얼마 벌면 중산층이냐 이렇게 질문을 던져 놓고 뭔가 그 돈에 대한 지표를 다 끌어다가 이야기 한다음에 결론은 사실은 돈으로만 중산층을 매기는 건 바보 같은 거지롱 이렇게 해서 안 되는 건 공부를 책상에서만 해서 그런 게 아니니까 아무튼 잘 들었구요 조금 더 실적인 방안과 또 중산층이 그렇게 되려고 하면 어떤 게 필요하다 정부에서는 이런 게 필요하고 민간에선 이런 게 필요하고 또 사회적 관점에서 이런 게 필요하다 라고 이야기를 해야지 뭐 잘못된 건 다 알고 있잖아요. 그리고 그런 사회 분위기를 만드는 건 결국은 정책과 문화와 그런 것들인데 그런 거에 대해서 대하는 내놓고 이야기를 해야지파는 사람처럼 그냥 약 쏟아 고 있으니까.
@백실장-p5q4 ай бұрын
내가 생각하는 중산층은 비싼 아파트든(10억이상) 그냥보통 아파트건(4억~8억) 상관없이 식당을 가서 음식값 생각않고 먹을때. 마트를 가서 제품값 생각않고 구매할때. 해외여행 갈때 비즈니스 좌석까지는 아니지만 장소+호텔 가격 생각않고 놀러갈때. 이럴수있으면 중산층이라고 생각함
@nexfitkorea76784 ай бұрын
식당가서 음식값 생각하지 않고 먹고 마트에서 가격 생각하지 않고 구매하고 해외여행가서 장소 숙박비 걱정안하는건 중산층이 아니라 부자입니다...ㅎㅎ 연봉1억~2억 되도 말씀하신거 다 신경쓰면서 살아요 왜냐하면 연봉 1~2억 되면 그만큼 더 고급음식, 고급제품, 고급여행지 가게되거든요 그리고 그 소비횟수나 소비분야도 늘게 되구요 말씀하신대로 살려면 소득이 소비금액을 훨씬 뛰어넘어야 하는데 요즘 세상에서 가격을 생각안하고 소비를 하려면 4인가족 연간 1억 쉽게 씁니다(상위1프로 소비재화가 아닌 일반인들도 접근가능한 소비재화라고 가정) 또한 은퇴후 소득이 끊어지고 그만한 생활수준을 유지하려면 은퇴후 기간동안 사용할 자산이 있어야 하는데 일하는 동안 그만큼 잉여소득으로 자산을 형성할 수 있어야 하는데 그러면 1억정도는 더 벌어야 되는거죠 물려받은 재산 없이 4인가족이 말씀하신대로 살려면 지금기준 소득이 2억 정도되어야 된다는 결론인데 연봉2억이 중산층일까요? 상위층일까요?ㅎ 아쉬우면 아쉬운대로 절제하고 사는게 중산층입니다 아쉬움 없이 다쓰고 살 수 있으면 부자인거죠
@백실장-p5q4 ай бұрын
@@nexfitkorea7678 맞는 말씀입니다. 부자겟네요. 저도 죽어라 벌어서 모으고 해도, 아직 서민 음식정도에만 고민않고 계산하지만, 고급 음식 / 고급 여행 / 은 아직까지 접근안하고있습니다 ㅠ.ㅠ 언제쯤이나 가능할런지.
@hkjoo03244 ай бұрын
아무리 생각은 다 다르다지만 중산층의 개념부터 다시 새겨봐야할듯 노후준비 자녀교육 자녀결혼 등 2억 벌어도 아끼고 모아야 합니다 님이 말하는 수준은 일반적으로 "부자"라고 합니다
@강석훈-g3s4 ай бұрын
자산 20억 있었도 외식할때 가격 따지고 걱정 합니다
@백실장-p5q4 ай бұрын
@@강석훈-g3s 저는 30억 있어요. 근데도 아직 못해서 말하는겁니다
@계란아빠2 ай бұрын
경제적으로 안정감을 갖기 위해서는 중산층이냐 아니냐의 문제보다 지속적으로 각자의 지출대비 소득이 높이 유지가 되는지가 중요하다고 봅니다. 여기서 소득이란, 자산으로 벌어들이는 것과 사업 및 근로로 벌어들이는 것을 모두 포함해서이지요. 만약 은퇴를 하게 되면 소득이 매우 줄어들거나 아예 없는 경우가 발생하기 때문에 사업 및 근로와 자본소득을 모두 포함한 상태의 소득이 내 평소 지출을 넘어가면 결국 그게 부자이고, 중산층 이상이 되는 것이며, 경제적 안정감을 주는 것이라 봅니다. 그러므로 이것은 각자 사정마다 지출과 소득이 다르므로 천편일률적으로 정할 수가 없습니다. 결국 부는 내 것만 알 수 있고, 남의 것는 일일히 까보지 않는 이상 보이지가 않습니다. 그래서 겉보기로는 누가 부자이고 중산층인지 알 수 없습니다. 그러니 함부로 나보다 잘 낫고, 못 낫다고 판단하는 건 섣부르다고 볼 수 있습니다.
@rasid10152 ай бұрын
애초에 돈으로 중산층을 나누는것 자체가 넌센스
@건우대원Ай бұрын
죄송하지만 이런 기준은 어떨까요?? 상층: 집이 여러 채 보유 중상층: 집이 한채 보유 빈곤층: 집 미보유 고로 저는 빈곤층 입니다 ㅠ😢
@삼달리-g8p4 ай бұрын
실수령 760정도임. 수도권 신도시에 자가1채에 분양권1개 갖고있음. 과거의 내가 현재의 나를 봤다면 와 부럽다 돈 많이 번다 이랬겠지만 현재의 나는 불안장애로 정신과 약을 먹고있는 미래에 대한 불안으로 아둥바둥 살고 있는 환자임.
@user-silverark4 ай бұрын
@@삼달리-g8p 충분히 부자입니다. 마음에 짐을 내려놓으셔도 될듯....건강이 먼저입니다. 잘때 석가모니 명언듣고 자세요. 인생 별거 없습니다.
@벽을뚫는포신4 ай бұрын
중산층 내에서도 돈 많이 버시는 거임. 그리고 원래 정신병은 현대사회에선 특별한 거 아니에요.
@삼달리-g8p4 ай бұрын
@@JL-em8hk 맞아요. 지금 수입으로 저 혼자 살거나 와이프랑 둘만 산다면 전혀 부족할게 없었을텐데 아이 둘 키우다보니 미래에대한 대비가 안되네요. 또한 일 짤리면 그땐 정말 답도없을텐데 ㅜㅜ
@이정일-w6q3 ай бұрын
돈이 중요한 이유는 가족을 위해서거나 나를 위해서 아님?
@Laurel9494Ай бұрын
1. (이자수입-대출이자)부분은 사실상 나의 소득이 아닙니다. 이자를 빼고도 한 달 800만원 이상이라면, 이자 300만원 빼면 500만원 남는 사람과 같은 여유가 느껴지긴 매우 힘들겠죠. 2. 50년 전엔 해외여행 가고 차 몰면 상류층이었습니다. 하지만 지금은 외제차를 타도 상류층이라 생각 못하죠. 소비의 눈높이가 달라졌는데 같은 중위수 기준으로 중산층이라 아무리 통계적으로 강조해봤자 공감이 안됩니다. 상대적 소득 위치 대비 눈높이는 더 빨리 올라간 느낌입니다.
@seopsim35684 ай бұрын
억대 연봉자 의외로 많습니다. 사업소득 높은 분도 있고 전체의 상위 10% 정도가 그냥저냥 아쉬운 소리 안 하고 먹고 사는 게 현실이죠. 상위 5% 되어야 큰 걱정없이 사는 것이고 흔히 부자 느낌은 순자산 25억 이상에 연수입 최소 1.5억은 되어야 합니다. 중산층은 순자산 5억에 연수입 5천만원 정도가 맞아요. 중간인데 뭔 기준이 그리 높아요? 4인 가구 수입이라야 아빠 400 벌고 엄마 알바 뛰어서 150 벌어 사는 거에요. 좀 산다 싶으면 이미 상층이고 중산층 아니에요. 특히 수도권 기준과 서울은 아주 높고 지방은 상대적으로 많이 낮아요.
@lemonred70134 ай бұрын
억대 연봉에 억대 욕망이면 하류층입니다.
@grx19884 ай бұрын
@@seopsim3568 통계로는 4억대 에요 중위 자산
@윤기영-d5o3 ай бұрын
월수입 700만원이라~~~~~집도 있어야되고 차도있어야되고 인간의 욕망이 끝이 있나요! 욕심 버리고 고맙게 여기며 병이들어 죽으면 돈이 무슨 소용있나요! 제일먼저 욕심버리고 현재 건강하면 고맙게 여기며 살면 복을많이받고 건강하게 됩니다.
@joonlacas3261Ай бұрын
중산층에 대한 기준은 참 많지만... 강남 학부모들이 말하는 기준이 가장 마음에 와 닿더라. 1. 부자 - 내가 쓰는걸 안아껴도 아이들 사교욱 시킬 수 있는 수준. 2. 중산층 - 내가 쓰는 것을 아껴야 아이들 사교육비를 댈 수 있는 수준. 3. 서민 - 내가 쓰는걸 아무리 아껴도 아이 사교육비를 못대는 수준.
@전차군단-f9g4 ай бұрын
소득 구간만으로 중산층을 가르는 건 지능을 IQ만 보는 것과 같다는 생각이 드네요. 사회에 대한 관심과 참여, 의식의 정도도 포함되어야 하지 않을까요?
40대 후반 50대 초반이면 퇴직 해야 하고. 국민 연금은 쥐꼬리 만하고 줄어가는 추세고. 건강 보험료는 계속 올라가고. 출생은 늦어지고. 10년전에 젊은이들한테 유행 했던 헬조선. 더 나빠진것 같습니다. 그때는 좀 나아질 거라는 희망이 있어서 시위도 했는데. 이제는 그냥 완전 포기.
@qwertyu3744 ай бұрын
소득만 가지고 중산층을 논하니까 문제인 거죠 중위소득의 75%~200%를 중간소득자라고 할 수 있지 중산층이라 할 때는 소득으로만 지표를 삼을 수 없고 기타 총자산 직업의 안정성 문화적 자산 등이 지표로 포함되어야 할 것 같아요 1인 가구 중 막 소득생활을 시작한 청년은 저 소득범위에 들어도 중산층에 포함시키기 어려울 것 같아요
@DavidLee-fc6fx4 ай бұрын
특수한 경우를 제외하고 근로소득은 아무리 많아도 중산층은 아니죠! 불로소득이 어느 정도 있고 근로를 그만둬도 생활이 가능해야 중산층입니다. 집도 없도 불로소득도 없다면 당신은 하층민입니다. 산술평균적인 충산층의 기준이 의미가 있습니까?
@90년대에는소년3 ай бұрын
중견 기업 다니는데 그 나이대에서 상위 10% 대 연봉입니다. 그런데, 직원들 상당수가 대기업과 비교해 연봉 적다고 생각하더군요. 연봉 낮다고 괜찮은 직원들이 지원 안하는 것도 사실입니다. 위만 바로 보면 끝이 없는 것 같습니다. 연봉 만족하는 사람 딱 한 명 봤는데 중소기업에서 이직해서 연봉 앞자리가 올랐다고 하더군요. 중소기업, 중견기업, 대기업의 연봉 격차를 느낄 수 있었습니다.
@myounglee64623 ай бұрын
비교하고 살며 불행하다.자기만족하며 살자
@liliill35493 ай бұрын
향상심은 중요한 원동력이지만 잘못된 교육으로 타인을 깍아서 자신을 높이거나 역으로 몰아붙이는 사람들 기준조차도 굉장히 추상적이네요
@박미스터-w4kАй бұрын
얼마를 버는것도 중요하지만 얼마아 부를 쌓은게 더중요하다고본다 요즘같은 시대엔 월700~800이 문제가아니라 재산이 10억정도는 있어야 중산층 끄트머리라도 들어간다고 생각함
@이름-i8zАй бұрын
중산층 이게 너무 범위가 넓은거 같음. 그냥 등급별로 하던지 더 세분화 필요함
@안영순-l4fАй бұрын
저는70중반 인데 나 라돈 안쓰고 자식돈 안쓰고 손 자녀 오면 뮈든 해줄수 있으면 되지 굳이 중산층 이니 재산이 얼마 이니.따지고 싶지,안씁니다. 사람 마다씀씀 이가틀리고. 사는게 천양 지차 이니 굳 이 따지고 싶지않고 부부도 너가 많이쓰니. 서로 다투지 않고 살다가면 되지않니요
@nexfitkorea76784 ай бұрын
SNS상 중산층 기준이면 부채없이 10억 부동산, 현금자산 1억인데 4인가족이 상속재산 없이 결혼후 15년 정도 지나서 이 정도 자산 모으려면 연간 1억정도 모은거임... 애들 키우고 쓸거 쓰면서 그 정도 모으려면 연봉이 1억5천에서 2억인데 기준급여는 월500이란게 말이 안되는거임...(연봉 1억5천~2억되는 집은 누가봐도 전문직빼곤 흔치 않으니 차마 쓰지 못한듯...) 결국 상속재산이 없으면 불가능한 모델을 중산층으로 잡아놓은거임... 4인 가족이 제로에서 중산층으로 진입하려면 부부가 둘다 전문직이거나 공사나 대기업다니면서 미친듯이 허리띠 졸라매고 부동산 상승 버프 받아야 가능한 수준임 이건 상위 10프로지 절대 중산층이 아님 물론 상속받는 경우도 감안한다면 상위 20~30프로도 되겠지만 결국 상층을 중산층이라 표현하는거임 결론은 SNS에 속지말라는거...
@꼬빵이-w8q4 ай бұрын
@@nexfitkorea7678 결혼 13년차이고 공무원공기업 4인가정이고 부모 지원없었고 결혼할때 가진돈 1억2천 이후 투자는 없었고 대출없는 집한채6억대와 현금 6억원 보유한거 보니 가능한것 같습니다. 육휴7년 반복한 결과이고 맞벌이는 지속 못했습니다. 맞벌이를 지속했다면 더 낫지 않을까 싶어요
@유정석-j7p4 ай бұрын
대한민국에 중산층이 어디있어요 10프로 상류층에 90프로 하류층 1000만원 벌어도 하류층 들어가는 돈이 1200만원 들어감 마음이 중산층이 되어라
@INT100J4 ай бұрын
중산층의 정확한 정의 이전에 일반적으로 중산층이라고 하면 그냥 그 집단에서 40~60퍼 들어갈 정도의 능력이면 중산층이라고 불릴수 있다고 보면(이거 아니라고 하면 니 갈길 가시고) 통계가 나와있는데, 뭐가 문제임? 지들 맘대로 중산층이란 단어를 중상층이랑 헷갈려서 그런거지. 재산통계론 평균이 4억 중위가 3억얼마 니깐 그 언저리 들어가고 수입통계론 평균이 3백언저리고 중위가 2백얼마니깐 그 언저리면 니 의사랑 상관없이 중산층이라고. 그 상황이 안되는 사람이 반이라고. 그게 팩트라고. 그냥 중상층 얘기하는거라고 하던가. 도대체 이게 자꾸 논쟁이 되는 이유도 모르겠네 국평오의 현실인가...
@hyunpark74484 ай бұрын
정석이 헛소리하는 수준좀보소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OK덤덤4 ай бұрын
인간적으로 내적 성숙과 풍요로운 정신생활 추구와는 별개로. 자식 두명 정도는 교육비 고민 없이 출산가능하고 빚없이 살며 자식 유학경비와 결혼 때 전세 아파트 얻어 줄 수 있고 중병 감당하는데 기둥이 흔들릴 일 없는 집안.. 현재 한국 사회기준으로는 상위 0.1프로만이 가능하다.. 통계적으로는 중산층에 속하지만 자신만만하게 중산층이라 자부할 수 없는 한국의 현실이다.
@벽을뚫는포신4 ай бұрын
월 4~500 벌고 2억원 이상의 현금을 갖고 있으면 중산층임. 전세아파트니 병원비니 그딴 건 다 필요없이 간단히 그렇게 보면 됨.
@abcdefg454 ай бұрын
물가가 안정되고 사회가 안전해야 불안함을 느끼지 않지...몇달만에 배추 한포기가 2만원 넘고 김밥 한줄이 5천원...더워서 에어콘 좀 틀면 전기세가 30만원씩 나오는데 불안감을 안느끼냐?? 길가다 맞아죽고 데이트하다 칼에 찔려 죽는데 가해자는 제대로 벌도 안받고 길에 돌아다니는데 안불안하냐??? 돈이 전부가 아니라 구성원이 느끼는 사회의 안정이 중요함.
@항상최선을다해3 ай бұрын
많이벌어도 1도안부러움 내가 젤재밌게삼😊😊
@꿈구는제임스4 ай бұрын
50년전후로 급격하게 발전한 한국, 자원은 없지만 사람들의 경쟁력으로 너무나 스피드하게 급격한 변화로 어느나라도 느껴보지 못한 환경이라 본다…그러니 돈이 좀 있어도 빠르게 변하는 한치의 앞날에 불안을 느낀다…
@삼전우-h5e3 ай бұрын
결국은 이런 말 자체를 만들지 말고 그냥들 살아라!
@JHSEO1203 ай бұрын
욕심, 비교, 탐욕, 감정, 허영과 같은 지표가 더 영향력이 크죠. 아무리 절대적으로 잘살게 되더라도 사람들은 사악한 심성 때문에 늘 불만으로 가득차죠.
@야구매냐-t6j3 ай бұрын
소득이 아닌 자산으로
@노을희-u1i18 күн бұрын
나는 영세민이라 생각한다 브랜드아파트 광역시40평대 살고 빚없고 주식1억순금1억 현금1억 자동차 20년째 타고다님 현제 500소득 아들딸 대기업 결혼하고 부인과 둘이 살고 아직은 건강하다
@tui3ksgk2yxh4 ай бұрын
월 300만원이 중산층. 월 300도 못 버는 사람이 절반이상입니다.
@버팔로-x7w3 ай бұрын
이거 저도 유튜브에서 보긴하는데 가스라이팅이에요 ㅋㅋ 월300은 20대 중반넘어가면 포기하고 사는사람들 빼고는 대충 일해도 쉽게 법니다
@놉놉-h6h3 ай бұрын
@@버팔로-x7w 20대 중반에 월300넘기면 고졸 공돌이 교대근무 생명깍아가며 일하는거 말하는건가요??
@민초-n9p3 ай бұрын
@@놉놉-h6h고졸 공돌이면 400은 벌텐데
@영민이-g2n3 ай бұрын
@@놉놉-h6h쥐뿔도 없이 그지같이 살면서 행복하다 정신승리하는거보다 힘들게 일해도 공장 2교대 하는 애들이 훨씬 멋있게 산다고본다 한번뿐인 인생 보람차게도 못살꺼면 몸 아껴서 벽에 똥칠할때까지 살면 행복할까? 아무 의미없는 인생일뿐이지
@yeminpaify3 ай бұрын
부질없다. 철학을 갖고 소박하게살자. 비교 끝.
@민초-n9p3 ай бұрын
월급보다는 재산으로 보는게 낫지 않을까?
@전우치처사4 ай бұрын
중산층으로 못 느끼는 이유는 자본주의 구조 때문입니다. 물가나 집값은 오르고 내야할 돈은 많아지고 노력을 해도 점점 나아진다는 느낌을 받지 못해서 그렇죠. 우리나 스스로 남 탓 할 필요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SujeongJeong3 ай бұрын
일은하고 있지만 금융소득만으로도 기본생활이 가능합니다 이 정도면 중산층이 아닐까하네요
@민초-n9p3 ай бұрын
그건 중상류층이죠
@청량리-h3h3 ай бұрын
님은 중산층 10억넣어도 은행이자 별로안나오는데 생활이가능하면 중산층입니다
@김영혜-q9bАй бұрын
서구인의 중산층 개념 은?ㅡ●프랑스;1개이상,외국어구사능, 직접 즐기는 스포츠1개 이상, 악기다루고, 색다른 요리 실력1개 이상,사회적 분노에 공감하기, 약자를 돕는 봉사활동 ●미국; 자신의 주장에 떳떳하고, 사회적약자를 돕는 것, 부정불법에 저항하고,1개이상,비평지 정기 구독
@이름-i8zАй бұрын
산업 스파이 중국인을 배척하고 천안문 시위를 응원하는 그런 깨어있는 사람을 말하는 거죠?
@김경빈-o2i3 ай бұрын
2012년에는 살만 했습니다 경제 자체가
@hirasi844 ай бұрын
최근 몇년 사업하고 투자가 잘되서 월 5천꼴로 벌고있고. 순자산은 내년이면 30억쯤 될거 같은데. 삶은 크게 달라지지 않고. 사업하고 투자가 어떻게하면 꾸준할 수 있을까 매일 자다 깨서도 고민할 정도로 스트레스가 심각함. 매일같이 생각이 바뀌고 정리가 안됨. 순자산 50억쯤 되면 모든걸 때려치고 운동하면서 살면 나아지려나 모르겠음. 결론은 본인 스스로 스트레스 안받고 걱정없이 살면 중산층인거 같음.
@샤인머스켓772 ай бұрын
매일같이 생각이 바뀌고 정리가 안됨. 정말 공감 됩니다. ㅠ
@J메이너스3 ай бұрын
불평등과 양극화 문제를 와해시키기 위한 최고의 수단 - 중산층 교수는 말한다. 경제력만이 중산층을 나누는 기준이 아니다라고, 역설적으로 중산층이라는 정의 자체가 시대별로 다르고, 사람마다 다르게 느끼기에 중산층이라는 영역을 건강/인프라/관계 기타 등등 영역으로 확대하여 개별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그리고 그걸 종합하는건 그 다음에 할일이 아닌가 싶다. 순 자산으로 중산층에 경계를 나눈다면, 해외 순자산 중산층과 비교하고, 그 차이에 대한 추가적 연구가 필요하다. 개인적으로 인공지능에 발전이 이 와 같은 궁금증을 해줄수 있을거라고 기대해 본다.
@meal-skipping-worker4 ай бұрын
인간의 기본적인 삶에 관계된것들이 비싸니 불행한거지. 의식주 이 간단한게 자기 벌이 보다 비싸서 빚쟁이가 되어서 거지 생활을 해야되는 나라.
@kwonsaleful4 ай бұрын
부자는 자산이 얼마있어야 할까요? 강남아파트 30억짜리 하나 있고 소득은 연 1억이 부자일까요. 강북 10억짜리 집에 금융자산 10억 연소득 1억이 부자일까요? 너무 많은 요소가 있습니다. 중산층도 마찬가지일듯.
@SilkShoes4 ай бұрын
자본주의 국가는? 🤗 소득의 절반 이상이 자본소득, 절반 이하가 노동소득이라면 생활에 여유가 있어서 중산계층이라고 봅니다. 공산주의 국가는? 🤗 전국민이 공무원인 나라로 알고 있지만 경험이 없어서 모름. 😅
@kwonsaleful4 ай бұрын
@@SilkShoes자본소득이 절반인 사람이 얼마나 될까요? 대부분이 노동 소득으로 살아갑니다.
@거리에서-y6i4 ай бұрын
무슨 강남사는데,연봉1억이야?
@SilkShoes4 ай бұрын
@@kwonsaleful 자본소득이란 임대소득, 투자소득, 예금소득, 국민연금소득이 있으며, 자본+노동소득인 자영업 사업소득 등으로 구분합니다. 누구나 언젠가 노동력이나 노동기회가 사라지면 자본소득으로 살아야 합니다. 🤗
@SilkShoes4 ай бұрын
@@거리에서-y6i 오빠는 강남 스타일 연봉 1억이면 월 833만원
@진-n8x1e19 күн бұрын
버는게 중요한가 자산이 중요하지ㅋㅋ
@aofjudjhofaifeАй бұрын
중산층이상의 수입이나 재산이 있어도 중산층이라 못느끼는 이유는 복지는 없는데 세금만 엄청나게 높여놔서 당분간만 수입이 없어도 바로 나락가게 만들어논 국가가 썩은거지 평생을 세금냈지만 노후에 소득이 없을때 국가가 해주는건 사실상 아무것도 없고 숨쉬는 날까지는 삥만 뜯어가는 수준 죽기직전까지 뺑이 안치면 금방 나락가는 헬조선 월천이면 옛날엔 5년만 그렇게 벌어도 나갈돈이 별로 없어서 5~10년은 아무 걱정없는 수준이었는데 현재는 1년만 놀았다가는 재산이 훅훅 떨어져서 언제 나락갈지 모르니 불안한거지 일억 모으기는 몇년씩 걸리고 1년만 놀았다가는 1억언저리 금방 흔적도 없이 사라짐 이러니 살수가 있나 한번 나락가면 서민층이 아니라 빈곤층이 되고 두번다시 일어서지 못하는 사회인거지 그냥 주식이나 하면서 집구석에서 라면이나 끓여먹으면서 공과금이나 겨우 내는 삶
@불멍물멍-r2x3 ай бұрын
내 할일잘하고 남하고 비교하지말고 삶에 만족할줄알면됨 좀 매운맛으로 말하자면 나처럼 그냥 주제파악하고 살면문제없음ㅋ
@사계-v6o3 ай бұрын
소득 월1000만원이나 순자산 20억이상은 되여야지 중산층
@Pptf6053 ай бұрын
화폐가치는 시간이 갈수록 달리지니 중산층의 의미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자산이라는게 상대적 가치이기 때문에 매번 연봉 얼마야 중산층이다. 라기엔 기준이 모호해서 행복지수, 자기만족에 따라 다른거 같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