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켓몬을 사랑하지 않는데 겜도 못만드는 놈들에서 포켓몬은 사랑하는데 겜을 못만드는 놈들로 인식이 바뀐 사건 ㄷㄷ
@gnd99903 ай бұрын
둘다 싫어 ㅋㅋㅋ... 잘좀 만들라고....
@후니용3 ай бұрын
육체적인 사랑인줄 몰랐지 ㅋㅋㅋㅋㅋ
@camputorify3 ай бұрын
정신적사랑이아닌.. 진정한 포박이들...
@DarkSaver19983 ай бұрын
가능 전부 가능이던 겜프릭
@한손스3 ай бұрын
이건 크다… 진심인데 실력이 없는 캐릭터는 특정 계층에 어필하는 요소이기 때문!
@1215byj3 ай бұрын
다들, 채널장이 이런 기사만 가지고 오는게 아니라 저게 하필이면 제일 핫토픽이 되버린 서양 커뮤를 탓하라구
@뚜벅이유저3 ай бұрын
이게맞지 ㅋㅋㅋㅋㅋㅋ
@asdfff52843 ай бұрын
닌스퍼거들은 그런거 몰라...
@냥소주3 ай бұрын
레딧은 영어일베에 불과한 수준낮은커뮤고 서양을 대변하지도 않죠. 서양웹진이 게임계의 중심도 전혀 아니구요.
@SenseMachine3 ай бұрын
@@냥소주 그럼 어디서 갖고 오는게 좋을지 고견 부탁드립니다 ^^
@purplehaze75723 ай бұрын
@@냥소주양권에선 목소리 제일 큰건 레딧이 맞음 영어 일베라고요? 레딧 써보기는 하심? 폴아웃76 하면서 양놈들이랑 거래해야되서 원래도 레딧 눈팅많이 하던거 더 많이 기들어가는 중인데 뭔 개헛소리하시는건지 모르겠네요 좌파 빨간전사들이 주류가 아니라서 그렇게 느끼시나보네요 해리스 곧 처망하고 상하원 의원수까지 이제 먹힐 위기인데 ㅋㅋ 미국도 일베게요? 말같지도 않은 소릴하시네 아는 척 그만하세요 선생님
@뚜벅이유저3 ай бұрын
그리고 이채널은 레딧이나 외국겜사이트 돌면서 인벤10추글이나 디시 개념글같은거 주서와서 번역후 적절한 영상이랑 합쳐서 올리는 채널인걸로 아는데 일부로 그런글만 주워온다는건 개억까임 ㅋㅋㅋㅋㅋㅋㅋ 지금 외국 10추글이 이런류가 많이 올라오는구나 정도로 생각해야지 ㅋㅋㅋㅋㅋㅋㅋㅋㅋ
@djleah5733 ай бұрын
ㄹㅇ지금 레딧 여론이 어떤지 살펴보는 정도 접근하는 영상들....
@alala42903 ай бұрын
여기처럼 주관 크게 안 담고 렉카역할만 하는 채널도 잘 없지 그냥 서양 게이머들 여론 살펴보는 곳 정도로 이해하면 편함
@다릴-h1u3 ай бұрын
그냥 해외 여론은 이렇구나 정도로만 봐야하는게 맞음ㅋㅋㅋㅋ
@소확도3 ай бұрын
@@alala4290 ㄹㅇ 채널장 의견이 전혀 안담겨서 좋음 ㅋㅋㅋㅋ
@눈큰하마O_O3 ай бұрын
@@alala4290 저도 님과 같은 생각이에요~ 이렇게 사견 없이 정보만 전달 하는 곳이 너무 드물죠
@folarbear3 ай бұрын
끝까지 보고 나서 드는 생각 "아! 서양게임은 제값내지 말고 불법으로 해야지" 하는 이야기가 짱개랑 다른게 뭐야
@blanden773 ай бұрын
미국에서도 레딧하는 애들이 안좋은 취급 받는 이유임 레딧 보면 "왜 범죄를 못저지르게 막냐"라며 난동부리는게 취미임
@냥소주3 ай бұрын
그냥 덩치큰 영어일베인데 레딧따위가 서양여론을 대변한다고 착각하는놈들이 문제죠. 서양이 웹진의 중심이라고 생각하는것도 중화사상이나 다를거 없어보이구요. 그래서 이 채널도 한줌단에 불과한거
@leeManager3 ай бұрын
@@냥소주일베는 이제 쳐 망해서 사람도 별로 없다 ㅋㅋㅋㅋ 레딧은 외국 디시인사이드지 그냥
@ExiaQuinzel3 ай бұрын
서양 게이머들은 별다른 전문적 지식이나 업계 경험 없이 자신들의 자유 (라는 이름의 불법) 를 침해한다고 생각되는 모든것에 불평불만을 늘어놓는 경향이 있다. 물론, 다른 나라에서도 흔히 보이는 유형이지만 유독 서양 게이머들에게서 많이 보이는 모습이다. 당연한 이야기지만 기업은 당신의 친구가 아니다. (닌텐도 뿐만이 아니라 모든 기업들이 그렇다.) 당신이 기업에 친밀감을 느꼈다면 그것은 그저 고객이 친밀감을 느낄정도로 좋은 서비스를 해왔다는 반증일 뿐, 기업의 입장에서 당신은 그리 대단한 존재가 아니다. 그저 '게임을 즐겨주시는 감사한 고객' 중 한명 인 것이다. 스스로가 대단한 사람이라는 망상을 내려놓고 왜 기업이 이와같은 조치를 취하는가를 한번만이라도 생각해보았으면 좋겠다.
@jinhanchang3 ай бұрын
자본주의를 가장 저해하는 요소인 기업의 독점적 지위 유지 말고 있나요. 기업이 자본주의 시장해서 하지 말라는 짓을 우회적으로 하고 싶을때 하는 것이죠.
@hmjib813 ай бұрын
정작 저 서양게이머들은 자신의 것이 훼손됐다고 생각하면 서슴없이 고소를 해대는 나라에서 살고 있죠
@exeking03 ай бұрын
개소리 하고있네 서양인을 전부 원숭이라 생각하나?? 이거 완전 인종차별자네 ㅋㅋㅋ 니가 뭔데 서양 전체를 일반화 하는데?
@ExiaQuinzel3 ай бұрын
@@jinhanchang 말씀하신 부분이 기업간의 싸움에서 종종 보이는 것은 부정하지 않겠습니다만, 그렇다고 해서 이번 상황을 동일하게 대기업의 횡포로 보는것은 부당하다고 생각합니다. 악용하는 사람이 있다고 해서 모두가 악용하는것은 아니니까요. 닌텐도가 그동안 취해왔던 행보를 돌아보았을 때, 이번 싸움이 단순히 독점중인 시장을 견고히 하기 위함은 아닐것으로 생각됩니다. 그저 포켓몬 IP의 훼손을 막기 위한 방어전의 느낌이라고 생각되네요. '몬스터를 테이밍 하여 싸우는 포켓몬' 이 인기있으니 우리도 몬스터를 테이밍 하여 싸우는 비슷한 게임을 만들자! 라는 발상은 누구나 할 수 있고, 당연히 해도 됩니다. 마잔가지로, '포켓몬의 캐주얼 풍 몬스터 디자인' 이 인기있으니 우리도 캐주얼 풍 몬스터 디자인을 내새우자! 라는 발상 또한 얼마든지 해도 됩니다. 실제로 그렇게 만들어진 게임이 이미 몇몇 있기도 하고요. 그런데, '포켓몬' 이 인기있으니 우리도 포켓몬같은 몬스터로 포켓몬같은 게임을 만들자! 라는 발상은 앞선 예시들과 비슷한 것 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굉장히 다른 문제입니다. 원본과 혼동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고, 그것을 의도한다는 점에서 그렇습니다. 팰월드의 경우가 이와 같았죠. 의도적으로 포켓몬의 아트스타일을 모방했고 그것을 팰월드의 주요 셀링포인트 중 하나로 삼았으니까요. 나름대로 정당한 대응이라고 생각합니다.
@jinhanchang3 ай бұрын
@@ExiaQuinzel 현행법의 범주 안에서는 물론 정당한 대응에 해당하겠지만, 지적재산권의 위험한 점은 기업의 독점 지향에 대한 지랫대로 활용되고 있다는 점입니다. 자유 경쟁 체재를 확립하기 위한 가장 중요한 점은 온갖 방식으로 독점적 지위를 획득하려 하는 기업의 독점 지향성을 막는 방식밖에 없는데, 저작권은 이 기업에 대한 반독점에 대한 포위망을 푸는 열쇠의 역할을 하는게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최소한 저작권법이라는것은 기업의 독점적 지위 획득을 위해 사용하라는 법률이 아니기 때문에, 그런식으로 악용되는 현상에 대해서는 법제 수정을 통해 막아야 한다고 봅니다. 건전한 자본주의 경제 체재를 위해서 말이죠. 이런 면으로 생각하는 사람들이 적은것이 오히려 의문인데, 그 어떤 법률이라도 기업의 독점에 활용된다면 그것은 잘못된 법률이라고 생각합니다. 비단 지적재산권 만이 아닌 모든 측면의 법률에도 동일하게 말이지요.
@chromax9373 ай бұрын
그냥 헤드라인 긁어오시고 번역만 해줄 뿐 인데 무슨 안티니 뭐니 ㅈㄴ 웃긴새기들 많아졌네 ㅋㅋㅋ
분명 인생 패배자들 서로 좆빨아주는 단톡방에서 사람 하나 담구자고 원종이짓하는게 분명함 ㅋㅋㅋㅋㅋㅋ 백날 그래봐라 CRPG로 단련된 주인장이 눈하나 깜빡하나 ㅋㅋㅋㅋㅋ
@sean70823 ай бұрын
일부는 저도 공감이 가지만, 이 영상의 기사의 가장 개그인 부분은 닌텐도에 대한 불만 대부분이 저작권 위반, 또는 기업의 이익에 직접적으로 방해될 에뮬레이터 처단에 있다는 것이네요. 닌텐도 게임을 에뮬로 돌려서 PC나 스팀덱으로 하지 못 하게 했다고 징징거리는 소리로 밖에 안들림. 에뮬레이터에 태클 걸게 된 계기가 젤다 왕눈 발매 되기 전에 에뮬로 뿌려서 아니었음? 그 때 선 넘었다고 공격하기 시작했었고 ㅋㅋ
@folarbear3 ай бұрын
아 이사람들은 그냥 닌텐도라면 까기 바쁘니까 그런건 그냥 넘어갑시다
@jdfserf3 ай бұрын
현상황에서 까는놈들이 이런 합리적인 글이 먹힐리가ㅋㅋ
@홍크-n9o3 ай бұрын
여기원래 억까에 미친얘들 자아의탁 하는 채널임 그럴듯한 목소리 기사만 듣고 보면 착각하기 쉬움 ㅋㅋㅋ
@taijonglee24283 ай бұрын
문제는 그때만 그런게 아니네요. 팰월드도 선 넘어서 고소할만 했다고 생각했는데 지금까지 쭉 닌텐도의 행보를 열거한걸 들어보면 너무나 구린 전적이 많네요? 닌텐도를 옹호해주기엔 너무 과도한 오버 대응을 남발해서 정당해보이는 일까지 의심받는건 어쩔수 없죠.
유출 자료들 보니깐 게임프리크는 능력이 부족해서 그렇지 게임이랑 IP에 진심으로 애정을 쏟고 있었다는게 꽤나 보였고 오오모리 이 양반도 이전까진 일 게으르게 한다고 생각했는데 유출된 회의록들 마다 보이는거 보면 적어도 열심히 일한다는게 보였음 그저 순수 능력이 딸렸던 놈들...
@마리아-w2k3 ай бұрын
아무리 그래도 예뮬이랑 사설섭 유료모드 막는걸 까는건 양심이 없지않니
@applepie32833 ай бұрын
심지어 팰월드 포켓몬 모드 제작자도 그냥 포켓몬 모드 올렸던게 아니라 후원해서 받는형식이였음 ㅋㅋ 닌텐도에서 연락와서 바로 빤쓰런 ㅋㅋㅋㅋ 순수하게 팬심으로 제작하는걸 거의 막진 않는걸로 보임 포켓로그도 현재까지 잘나가고있고... (후원받겠다는 소리 들리긴하는데 ㅋㅋ) 에뮬레이터는 아예 대놓고 지금 닌텐도가 팔고있는걸 pc에서 롬파일만 구해서 돌릴수있게하는거니 이걸 쉴드치는건 제정신이 아니고 심지어 에뮬레이터 제작자도 후원받는걸로 알고있었는데 ㅋㅋㅋㅋ
@tunacan42623 ай бұрын
에뮬 자체는 법적으로 문제가 되지 않는다 하더라도 대부분이 불법롬을 돌리는 온상이라는걸 다들 아는 상황에서 스팀덱이 닌텐도 에뮬로 사용될 수 있다는 사실을 홍보하려 닌텐도 아트를 버젓이 실어놓는거에 대해서 닌텐도가 법적 제제를 가한다는 사실이 닌텐도에 대한 비난의 근거가 될 수 있을까는 잘 모르겠네. 이렇게 자사 아트를 맘대로 사용하면서 에뮬 돌리고 불법으로 사용한다면 결국 그 피해는 재밌는 게임이나 창조적인 생산물을 바라는 게이머들에게 돌아올텐데. 다 베끼고 맘대로 도용하면 누가 열심히 뭘 만들어낼지..? 그리고 이건 그냥 작은 의견인데 불법롬이나 에뮬같은거에 정보는 자체적으로 필터링해주면 어떨까 싶긴 함.. (에뮬 자체는 엄밀하게 불법이 아니라고는 하더라도) 물론 채널 성격이 좀 바뀌긴 했어도 게임계 뉴스를 원하는거지 저런 불법정보 관련된 레딧 반응까지 원하는건 아니라서. 그리고 심지어 젤다 스핀오프 출시한지 한달도 안됐음. 닌텐도 신작소식보다 법적소식이 더 많이 들린다는건 너무 오버고, 마치 닌텐도 안티가 쓴 기사같음
@folarbear3 ай бұрын
엥? 이사람 닌텐도 안티 맞는데용?
@Prod-Flak3 ай бұрын
난 법적인 내용도 원함
@tunacan42623 ай бұрын
@@Prod-Flak 채널 주인께서도 자기가 필터링 하면 사견 들어가는게 되니 그냥 가장 핫한 기사 가져오시는거겠지만요. 그래도 조금이라도 불법 정보가 연관된 것을 퍼뜨리는건 저는 막고 싶습니다. 왜냐하면 앞으로도 훌륭한 창작자가 대우받는 세상에서 재밌는 게임을 하고 싶기 때문에..
@Prod-Flak3 ай бұрын
@@tunacan4262 저작권이나 불법복제 등의 법적 내용을 전하지 않는 게 '훌륭한 창작자가 대우 받는 세상'과 어떤 연관이 있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특허권으로 세상 모든 게임을 철폐시키자"고 하는게 아닌 이상, 법적인 내용도 게이머들에게 알리는 게 모두에게 좋을 듯 합니다.
@tunacan42623 ай бұрын
@@Prod-Flak 첫째로, 불법롬과 에뮬 사용의 존재를 모르는 사람들에게 스팀덱으로 가능했어? 이런 부분이 홍보될 수 있는 부분을 조심하려 하는거죠. 둘째로, 소개된 기사 자체가 '이런 부분이 창작자의 라이센스를 어길 수 있으니 2차 창작물을 만들 때 지켜야 할 법적인 가이드라인을 전달하고자 하는 기사' 자체가 아닌데요. 닌텐도가 소송을 남발하는걸 비난하는 기사와 레딧 피드백이죠.
@jinhanchang3 ай бұрын
여기 댓글들 보면 지적재산권이 무슨 인권이나 생명권쯤 되는 범인류적 가치인것처럼 착각하는 사람들이 많은데, 재산권의 일부에 불과함. 그 재산권이 다른 가치를 해칠 경우 재고해야 되는것이고, 이미 저작권, 판권 특허권 등등 여러 지적재산권 관련 법률들은 그 권리의 본래 취지에서 크게 벗어난 법인체의 독점적 지위 수립을 위한 도구로 전락하여 버렸음. 자본주의 사회에서 가장 중요한것은 자유 시장 경제의 유지 및 관리인데, 모두 다 잘 알다시피 독점적 지위라는것은 이 자유 경쟁 체제의 가장 큰 적임. 본래 지적재산권이라는것은 지적 재산이란 개념에 권리를 부여해 지적 창작 활동을 더 촉진시키기 위해 만들어진 것인데, 강력한 법률 자문단을 가진 기업이라는 존재가 자신들의 독점을 위해 본래 창작될수 있었던 다양한 가능성을 제거하는 칼자루로 사용되는 형국임. 재산권이라는것은 결국 자유 시장 경제 체제를 유지 시키는 범주 안에서만 허용되어야 하는 권리이기 때문에, 상기 서술한데로 이를 해치는 방식으로 법률의 본디 취지를 어기는 사용을 하는 사용자인 법인들이 자꾸 법률을 악용할 경우 대대적으로 수정해야 할 필요성이 있음. 개인적 의견으로는, 법인의 경우 지적재산의 행사를 제한하거나, 아예 금지시켜 버려야 하지 않나 싶음. 만일 법인이 지적 재산을 행사하고 싶으면 법인 명의로 하는것이 아닌 법인에 소속된 사인의 명의로 하도록 관련 법률을 바꾸는 식으로. 문제는 법인의 지적재산권 행사에 대한 폭주이기 때문에 법인이 직접적으로 행사하는게 아닌 사인을 통한 간접적인 방식으로 바꾸는 것만으로도 법인들에게 과속방지턱 역할을 하여 무분별하게 아무거나 지적재산권 행사를 해서 자신들의 독점적 지위를 수립하려는 시도를 막을수 있다고 봄. 또한 사인 각자에게 권리를 인정하는 방식으로 바꿀 경우 지적재산권의 본래 취지인 창작자의 창작 서포트라는 측면에서도 좀 더 제도적으로 핀포인트로 대응할수 있을것이라는 기대도 가능함. 개인적으로, 미키마우스를 한 회사에서만 사용할수 있다는 법률이, 만원도 안하는 원가의 가방에 로고 하나만 박았다고 수천만원을 호가하도록 하는 법률이, 핸드폰에 사과 로고 박으면 지구 반대편까지 쫒아가 소송하는 법률이 법질서 적으로 어떤 가치를 지키고 있는지 설명할 방법이 없음. 법인의 독점적 권리 이외 지키고 있는것이 없기 때문임. 독점은 자본주의에서 가장 기피해야할 요소인걸 생각하면 굉장히 위험하게 사용되고 있다고 봄. 사람들이 저작권이 자기들 태어나기 전부터 법제화 되어 있는 권리이기 때문에 큰 고민 없이 원래 있던것이니 지켜야 한다고만 생각하는데, 세상 그 어떤 법률도 당연히 하늘에서 떨어진 법률은 없음. 모든 법률은 시대에 맞춰서 개정되고 보완되어야 함. 재미있는건, 지적재산권을 만든 나라에서 지적재산권이 본래 취지에 맞게 사용되지 않고 있고 이건 좀 문제가 있다고 문제제기를 하는것을 보고, 그걸 수입한 나라, 일본과 한국에서 이 문제제기를 이해하지 못하는 것을 보면 한국과 일본에서 지적재산권이라는것을 뭔가 크게 오해하고 있다는 것을 알수 있음. 서양에서는 지적재산권이 절대적인 가치가 아닌 필요에 의해 생긴 상대적인 법률이라는 인식이지만, 한국과 일본에서는 이게 뭔가 절대적인 흔들리지 않는 가치라는 식으로 오해되고 있음. 아마도, 자국에서 직접 여러가지 가치관의 충돌을 통해 하나하나씩 법제화를 하면서 실정법을 만들어온 나라들과, 그런 나라들이 미리 만들어놓은 근대법을 단지 수입한 나라의 법률에 대한 접근법의 차이인듯 한데, 한국에서는 유독 법률이 원래 있었으니 그냥 지켜야 하는 무언가라고 생각하는 성향이 있음. 법률은 신이 내려주는 그런게 아니기 때문에, 원래 그런거라는것은 있을수 없음.
@감바스중독3 ай бұрын
간만에 인문적 소양이 보이는 댓글!
@hmjib813 ай бұрын
온갖 짝퉁이 범람해서 좋을게 없다는 걸 알 정도로 현명할 뿐이지
@ledboos57773 ай бұрын
@@hmjib81게임업계를 아예 부정하는 말이네. 범람 정도는 되면서 커온게 게임인데
@TherabbitJH3 ай бұрын
똑똑한 청년
@jinhanchang3 ай бұрын
@@hmjib81 현명한 사람은 어떤 법률이 현재 잡음을 내고 있으면 그 법률이 시대에 맞지 않는가 고민을 하지 내가 믿는게 맞는거라는 믿음을 가지고 싶다는 심리 만으로 무조건 지켜야 한다고 말하지는 않음. 현명하다는 소리를 하고 싶으면 현명하게 굴면서 말하길 바람.
@GMBS01303 ай бұрын
다커엔 다커 케이스도 그렇고 서양 커뮤는 지 재밌으면 불법이라도 오케이라 생각하는 사람이 많은 것 같음.
@디릭-o8p3 ай бұрын
서양은 저작권이라는 개념이 없는 건가
@hooyeonlee5773 ай бұрын
서양 사고 방식 보면 자유라는 개념에 대해 하염없이 관대합니다ㅋ
@sean70823 ай бұрын
@@hooyeonlee577 관대하긴 개뿔이. 관대해서 PC질 하면서 온갖 검열을 하는 것 같나요? 걔네들 흑인과 백인이 키스하는 것을 1968년 스타트랙에서 커크가 우후라와 키스할 때까지 막고 있었고, 1990년대에는 일본 애들이 만든 게이나 레즈비언이 나오는 만화나 애니 작품을 검열하던 애들임. 그런 개꼰대들이 이제와서 PC질이 어쩌고 성소수자가 저쩌고 하는 꼴이 진짜 시대에 뒤떨어진 놈들이 꼴값 떤다는 느낌 밖에 안드는 거죠.
@Legion113 ай бұрын
@@hooyeonlee577 방종의 수준이네요
@submarine76753 ай бұрын
괜히 제국주의 약탈자 클라스 아니지 ㅋㅋㅋㅋ
@siabard3 ай бұрын
닌텐도는 자신의 IP는 자신들이 철저히 관리해야한다는 관점을 항상 견지하다보니, 외부에 대한 시각도 늘 한결같군요. 강약의 차이가 있을 뿐 늘 그래왔으니까요... 게임이 풍기는 분위기와 회사의 분위기는 다르다는 것을 많은 사람들이 잊고 있었나봅니다.
어둠의 닌텐도 하면서 호들갑 떨었던 게 세발의 피였네 진짜 어둠은 게임프릭 내면에 살아 숨셨어
@applepie32833 ай бұрын
어른을 위한 포켓몬을 원한다고는 했지만 폐기안을 원했던건 아니긴해요 ㅋㅋㅋㅋㅋㅋㅋ
@오합지졸동로마군대Ай бұрын
초대기업 게임사들을 해킹하는 해킹범들은 싹다 잡아서 감옥에 쳐넣거나 처벌해야한다.
@Hot_Source_Villain3 ай бұрын
에뮬은 불법복제인데 당연히 처벌 하려고 해야 하는거고 자기 재산권으로 누가 장사질 하면 당연히 막는게 맞는거 아닌가?
@skimadragg3 ай бұрын
디즈니가 몰락한 이유가 소송을 많이하고, 돈을 밝혀서 이꼴난게 아니라 걍 재미있는 콘텐츠를 생산하는게 업인 회사가 그걸 못하기 때문에 죽쑤고 있는거고 결국 닌텐도도 꾸준하게 지금 폼 유지하면 상관없는 문제이긴 함. 나중에 꼬라박기 시작하면 이것도 문제의 시발점 중 하나로 끌고올 수 있겠지만
@Luk75373 ай бұрын
암세포도 생명이니까 죽이지 않을거라던 드라마 대사가 떠오르네 ㅋㅋ
@허미쉬펄띠이이이이용3 ай бұрын
양키들은 기본적으로 그냥 지들이 재밌으면 딴건 알빠노라 그럼 뭐? 2차창작으로 돈을 번다고? 후원을 받는다고? 수익 창출한다고? 알빠임? 내가 재밌는 겜 하겠다는데 니가 원작자고 나발이고 그걸 왜 막음? 딱 이거임 ㅇㅇ.. 그러니까 닼앤닼도 양키들이 그렇게 빨아대는거지
그냥 2차창작 막는 거 갖고 닌텐도가 게임계에 대단한 해악이라도 끼치고 있는 양 말하는 게 어이없네 ㅋㅋㅋㅋ
@atsuhitoaragaki44513 ай бұрын
그래서 닌텐도가 콘솔을 비싸게 팔아먹길 하냐 소액결제 유도를 하기를 하냐 주요 퍼스트 파티 타이틀을 이상한 사상으로 오염시키길 했냐?
@sean70823 ай бұрын
거의 콘솔 게임 밖에 안 내는 닌텐도가 PC에서 에뮬로 게임 하는 것을 막는 것이 PC게임에 대한 도전이라고 하는 시점에서, 얘네 제 정신인지 잘 모르겠음.
@NChick_P3 ай бұрын
@@atsuhitoaragaki4451 콘솔 비싸게 팔아먹고 있고 소액결제는아니지만 포켓몬 몇개 추가되는거로 매번 풀프라이스고 이게 정상이라고 보는 능지가 참 닌텐도 스위치 정도 수준의 기기면 10만원대여도 비싼판에 싸게 팔아먹고있다고? ㅋㅋㅋ 진짜 무식하면 답도없네
@atsuhitoaragaki44513 ай бұрын
@@NChick_P 3사 중에 입문하기에 기기 값이 제일 쌈. 하는 말로 봤을 때 비싸다의 기준이 성능 대비 비싸다라는 말 같은데 콘솔, 그것도 닌텐도 콘솔에서는 그건 의미 없는 소리에 불과함. 시장에서 닌텐도 같은 휴대용과 거치형의 하이브리드 콘솔도 없음. 게이머 중에 차라리 퍼스트 파티 타이틀을 정가로 사더라도 소액결제는 안 한다는 인종도 굉장히 많음. 적어도 원칙은 지키고 있잖아? 그게 비싸다고 생각하면 안 사면 그만이고 뭐가 문제?
@BB-may2nd3 ай бұрын
@@atsuhitoaragaki4451근데 게임값은 제일 비쌈
@aquasis28963 ай бұрын
20년도 넘은 시리즈라 그런가 더미데이터도 제정신이 아니던데 ㅋㅋㅋ
@hotcurry11083 ай бұрын
아 어쩐지 포켓몬 블화 버그나 미사용컨텐츠 올리던 유튜브가 갑자기 영상 올리길래 뭔가 했는데 이런거였구나
@woo82163 ай бұрын
팰월드 개발진이 닌텐도의 팬이야?? 글 쓴 기자도 잘 알텐데 개똥논리란걸..ㅋㅋ
@user-rkewqxcq3 ай бұрын
ㄹㅇㅋㅋㅋ 펠월드 사장은 포켓몬도 닌텐도도 ㅈ나 깐 놈인데ㅋㅋㅋ
@베토마루3 ай бұрын
펠월드CEO 포켓몬 안만들고 젤다 시리즈 복제해서 만들면 젤다 시리즈도 깟을지도ㅋㅋ 행실이 좋지 않아 보이던데
@LIEBITS3 ай бұрын
의외로 유저 니즈도 잘파악하는 자료도 나오고 밸런스 패치도 잘알고 있고 흥미로운 설정들도 여럿 있는거보고 그래도 애들 애정은 있네하다가 박훈 보고 확신으로 감 ㅋㅋㅋㅋㅋ
@고농도-w2w3 ай бұрын
자꾸 주요 언론도 아닌 레딧 찌끄레기글 같은걸 가져와서 뭔 대세여론인거처럼 뉴스라고하는데...이건 뉴스도 뭐도 아니지않음?
@moggnik3 ай бұрын
닌텐도 잘한다! 디즈니와 비교하지 마라. DEI 묻은 디즈니는 그냥 쳐다 볼 가치가 없어지는 뒤쳐지는 대표자이고 닌텐도는 게임산업의 올바른 가치를 앞서 지키는 대표자라 본다.
@PSHWitcher3 ай бұрын
도둑질 못 하게 했다고 ㅈㄹ하는게 이상한데 ㅋ 소니한테 돈 받고 레딧글 적은건가 싶네요.
@hmjib813 ай бұрын
레딧은 원래 지들한테 좋으면 옳고 그름과는 상관없어요
@햄토스트-d7z3 ай бұрын
그냥 서구권 디씨 수준이죠 뭐ㅋㅋㅋ
@editormaxx79723 ай бұрын
가치관의 차이이겠지만. 나는 닌텐도가 했다는 열가지예 모두 당연히 닌텐도가 행사할만한 일이라고 생각됩니다. 그게 지적재산권이기 때문이겠죠. 소개된 글의 글쓴이가 말한대로 이건 지적재산권자가 얼마나 관대할지 관대하지 않을지의 문제이고, 그건 어디까지나 지적재산권자가 평가할 문제지 남이 평가할 문제는 아니라고 생각됩니다. 물론 관대하면 좋겠지만 말이죠. 다시 말하지만 열가지 이야기 모두 관대하지 않고 엄격했을뿐. 약탈적이지도 도덕적으로 문제가 있지도 않은 행동이였다고 생각합니다.
@PowerChaeChaeGirl3 ай бұрын
지금 스팀 구매가 아니라 대여 이슈가 더 크지 않나요?
@right10m123 ай бұрын
진짜 서양애들은 '내 자유(불법적인)를 막지마라'라는 마인드가 ㅈㄴ 강함 진짜 보고 있으면 '이건 뭔 개ㅈ같은 소리지???' 싶은 뇌빠진 소리를 아주 당당히 말하는 재주가 뛰어남
@nbbmmnn94413 ай бұрын
총쏘고 도축하는 팰월드를 응애게임이자 범부로 만들어버린 음-습한 '검은 닌텐도'
@folarbear3 ай бұрын
상식인이랑 생각하는게 차원적으로 다른듯
@khoh67333 ай бұрын
얘네가 진짜인게 이런걸 만들 생각을 십여년 전부터.. 팰월드 진짜 범부였네
@베토마루3 ай бұрын
펠월드 고소당해서 갖고 싶은 장난감 뺏기셔서 화나셨나요?
@osj46613 ай бұрын
근데 영상 속 내용에 공감할 수 없는 것이 에뮬레이터라 하지만 결국은 해적질이 공공연하게 배포되던 것이라 오히려 이렇게 늦게까지 유지될지는 몰랐죠. 에뮬레이터로 게임의 영구보존을 이야기하는 것은 너무 구차한 변명입니다…
@kenjay18623 ай бұрын
왜냐면 닌텐도는 젤다를 흑인으로 만들지 않거든
@kanra803 ай бұрын
디지털 도둑놈들..우리는 이미 세가가 불법복제유저들때문에 망하는걸 봤고 그로인해 게임업계가 측소되고 결국그게 게이머들의 피해로 되돌아온걸 봤다
@마시깨_머긍게_죄3 ай бұрын
저게 다 닌텐도 자신들의 저작권과 재산권을 지키기 위한 방법일텐데 그런식으로 닌텐도를 비난 한다면 무법대륙의 중공 린민들이랑 다를게 멀까욤? 특히 아직 단종 되지도 않은 현행 기기를 에뮬레이터를 만들어 배포하고 최신 롬파일 까지 공유 된다면 모조리 단속하고 처벌해야 하는게 맞다고 보는데욤. 그리고 원작을 개같이 못만든다고 타 제작자(사?)가 그걸 허가도 없이 팬게임이라는 미명하에 함부로 카피하여 막대한 이익까지 취한다면 제아무리 부처님이라도 승질나서 여래신장으로 냅다 후려갈길것 같네욤. 🙂ㅋ
@LiamJones_M3 ай бұрын
닌스퍼거 ㅎㅇ
@greg79873 ай бұрын
팬이고 뭐고 닌텐도는 다른 업체에 비해 저작물을 빡세게 관리하는 편인 거지 뭐... 그게 사업에 이익을 가져다준다고 보면 그렇게 하는 거고 어딴 회사는 팬 컨텐츠에 보다 느슨한게 사업에 이익이 된다고 판단해서 그렇게 하는 거고 어쩌겠어... 권리자가 싫다는데
@kimkt1233 ай бұрын
어디 댓글부대 가동했냐? 닌텐도의 대처로 게임업계 어쩌구 할정도의 이슈는 안일어났는데 지들끼리 ㅈㄴ 호들갑 떠는걸 넘어서 그러길 바라는 글이 더 많네 애플은 사과 그림만 있어도 소송하는데 단순비교로는 오히려 적당히를 모르는건 애플같은데
@dizan3213 ай бұрын
팰월드 누가봐도 포켓몬 가지고 2차창작한건데 닌텐도가 그냥 좋게좋게 넘어가주니까 미쳐날뛰다가 한대 맞는거지뭐
좀 과도하다해도 이해는 가는대 팬게임 이나 팬아트는 좀 그른대 불법복제에 닌텐도가 많이 당하긴했지 이가 갈리긴 할거야 저 글쓴기자는 너무 게이머시점 에서 글 쓴거 아닌가 싶내
@morange76713 ай бұрын
언더도그마 진짜 상상초월이네.. 지금까지 친절하고 너그러웠던 회사가 권리 좀 챙기려고 하니까 바로 추악한 회사로 만들어버리고
@LiamJones_M3 ай бұрын
너그러움 ㅇㅈㄹ ㅋㅋ
@morange76713 ай бұрын
@@LiamJones_M 지금 그림이 이상해서 그렇지 코나미가 특허로 장난질 하는거랑 비교하면 너그러운거 맞지 시로프로도 선넘어서 소송건거고
@왕고상3 ай бұрын
영상속 포켓몬 그래픽이 안좋아 보이길래 영상화질이 낮아서 그런가 해서 화질 확인했는데 이미 최고화질이었네.......
@라면먹고자자3 ай бұрын
서양애들 : 내가 산 3d bs랑 옛날 64에서 하던 젤다랑 포켓몬 하게해줘 닌덴도 : 아 기다려바 다 리메이크 할테니깐 새로사
@Kim_Jaeng-jaeng3 ай бұрын
팬게임을 건드는건 상당히 어리석은 행동인데, 문젠 이놈들이 뭐 만하면 갑자기 뒷북으로 특허를 뭘 등록하고 고소를 때림
@RegularTangguk3 ай бұрын
창작물들의 대부분을 보면 공격으로 여길 만도 합니다. 예쁜 바우저 정도는 아무것도 아니죠, 훨씬 더한 악이 있습니다.
@namu_c3 ай бұрын
팬은 어디서 인증 받고 활동하는 권리이던가요? 오래된 게임 정도는 롬 공유도 인정해주길 바라는 건가? 사실 팬이라고 하는 게 좀....
@후시안3 ай бұрын
내년에 10세대 포켓몬스터가 스위치용으로 먼저 발매되고, 26년도의 dlc버전으로 스위치2로 갈 것 같습니다! 10세대는 2025년 2월 27일에 공개됩니다!
@hsn69653 ай бұрын
저번엔 카도카와가 당하더니 이번엔 게임프리크네... 닌텐도야 뭐 거의 50년을 참아왔으면 많이 참았지. 더 참으면 그냥 호구 아닌가? 비디오 게임 태동기 부터 사업하던 회사인데 많이 참아줬지. 그래도 요즘 들어 많이 빡친 거 같아 보이긴 하네.
@빅야수랜드3 ай бұрын
하마터면 포켓몬이 수간물 될 뻔 함 ㅋㅋㅋㅋ 블레이드범 => 강1간범 설정 진짜 ㅋㅋㅋ
@BQgang3 ай бұрын
지혜의 투영이 스핀오프ㅇㅈㄹ 진짜 개같이 긁어버리네
@F3ARN073 ай бұрын
지금이야 닌텐도가 엄청난 머기업처럼 보이지만, 닌텐도야말로 그 '에뮬레이터'의 가장 큰 피해자이기도 합니다. 닌텐도가 언제까지 '에뮬 자체는 불법이 아니다' 같은 허울만 좋은 이야기를 들어줘야 하나요? 마리오, 젤다 같은 IP가 수십년간 네임밸류를 유지하고 여전히 그 어떤 게임 IP보다 강력할 수 있는 이유는 닌텐도가 자사 IP를 그만큼 소중하게 생각하고 지켜냈기 때문이죠. 물론 여기 채널 주인장처럼 콘솔에 대한 애정은 1도 없는 친 PC게이머들은 에뮬이니 모드니 그런 게 너무 당연하다보니 닌텐도의 행동이 이해가 안 가긴 하겠네요.
@hmjib813 ай бұрын
pc게이머이지만 복제는 반대합니다 싸잡아서 비난하는건 자제해주세요
@류경선-u6b3 ай бұрын
모험러님은 그저 레딧에서 가장 화제되는 글과 댓글을 번역해서 읽어주는 것 뿐입니다. 본인 의견은 아니에요. PC게임을 옹호하고 콘솔 및 대기업을 비판하는 내용이 자주 올라오는 이유는 레딧이 그런 성향이어서 대게 그런 내용이 조회수, 좋아요, 댓글이 많을 수 밖에 없어서 그렇습니다.
@dong2namul3 ай бұрын
주인장 의견이 어디에 있음?
@김민기-h1c3 ай бұрын
저 의견들이 대세 여론인건지 아니면 주인장이 들고오고싶은거 들고오는건지 아무리봐도 억까같은데 여론이 어떻게 이렇게되지? 게임회사가 호구도 아니고 에뮬이랑 저작권위반은 기준선넘으면 당연히 제제해야되는거 아님?
@베토마루3 ай бұрын
아니 닌텐도가 펠월드 고소한거는 정당한 행위인데 여기 기사 내용 왜이래요? 어짜피 펠월드가 포켓몬, 젤다 시리즈 시스템 배껴서 게임 만든것도 사실이고 펠월드 CEO가 포켓몬은 쓰레기 게임이다 발언해서 닌텐도 화 더키운거는 문제없는 사실인데? 저라도 닌텐도였으니 저렇게 예의 밥말아먹고 부끄러워 해야할 파쿠리를 당당하게 똥겜이니까 이야기한다면 저라도 고소 걸고 넘어질거 같네요... 기사 잘 수집하셨으면 좋겠습니다
@1984-z8f3 ай бұрын
똥기사도 조회수 올려줄거없이 음미하며 댓글로 다같이 깔 수 있는 모험러 체널이 새삼 대단하게 느껴지네
@EyeKANG-ip7hq3 ай бұрын
서양이놈들은 에뮬을 옹호하는거야??수준 왜이래
@hororon3 ай бұрын
뼛속까지 식민지 지배피가 남아잇음 ㅋㅋ 훔쳐야한다
@DofoNa-o4z3 ай бұрын
서양애들은 도둑질 옹호함 원래 ㅋㅋ 프랑스가면 소매치기 천국이고 캘리포니아가면 100만원 아래 훔친건 무죄 ㅋㅋ
전설, 설화 같은 디테일이 없어서 진짜 얘넨 포켓몬에 애정도 없나 징징 거렸는데, 어린 아이들이 하기엔 실재 전설이 엄청 맵다는걸 깨달은 포덕들
@암바-i1g3 ай бұрын
서양놈들이 이상한거냐 내가 이상한거냐? 닌텐도가 한건 이익집단인 기업으로서 당연히 해야 할 행동인데 왜 억까에 미쳐있는건지?? 에뮬레이터로 불법 구동하는거랑 사설은 저작권 침해 문제인데 저작권에 더 엄격한게 코쟁이들 아님? 웃긴놈들이네
@SSIIK893 ай бұрын
게임프리크 게임 개 못 만들자너
@gomgae3 ай бұрын
닌텐도는 패미콤시절부터 깡패짓으로 유명했죠. 그 결과 등장한 것이 소니의 플스.
@조희성-l1h3 ай бұрын
닌텐도의 탄탄한 소프트라인업 때문에 부정하지만, 닌텐도는 과거부터 자사ip의 보호에 광적이였죠. 그래서 동업하자는 회사도 적대시하다가 탄생한게 플레이스테이션이고,남코나, 스퀘어가 등 돌린것도 그런 문제일꺼구요. 본인들이 독점하고있던 제조공장을 방치할수없어서 N64때까지도 팩을 사용했던게 아닌가 싶네요. 뭐 지금 잘 나간다고 게임기나 주변기기들 가격책정하는걸 보면, 그리 유저 친화적이라는 생각도 안들고, 과거 플스에 뒤쳐지던 시절이 다시 도래할수도 있겠다 싶기도 합니다. 물론 그들의 소프트는 인정합니다. 근데 이제 본인들도 멀티플렛폼을 고민하던가, 갈라파고스화 되면서 점점 축소되던가의 위기속에 줄다리기를 하는 시점인건 아닌가도 싶네요.
@geeksh44733 ай бұрын
진짜 이해가 안 가는게 펫 월드가 포켓몬 디자이너부터 세계관 베낀 건 표절한 건 누구나 다 아는 사실인데 왜 이렇게 패드를 빨아 주는 건지 펜홀더 팬덤 때문인가 페더러는 내가 봐도 너무 심하게 베낌 포켓몬이 떠오를 수 밖에 없음 망해야 함❤
@michaeldavis57433 ай бұрын
그냥 닌텐도 제발 망하라고 울부짖는 걸로 들림. 전혀 그럴거 같지 않고 앞으로 더 승승장구할듯
@Panuk9313 ай бұрын
블레이범 재평가 ㅋㅋㅋㅋ
@CutSoo3 ай бұрын
팰월드가 과연 스팀에서 삭제당할까?
@부타네코-y7c3 ай бұрын
보안에 저런 정도면 대형 소송으로 가야지
@shinedward92213 ай бұрын
아니 ㅋㅋ 포켓몬은 디자인 좋은대, 게임플레이는 펠월드가 더 재미있어 보이냐ㅋㅋ
@wonkim86403 ай бұрын
고래가 강한 이유는 플랑크톤에게 잔인하기 때문인건가요 ㅋㅋㅋㅋㅋ
@bubblebubble6923 ай бұрын
저작권이 있는 음악을 마음대로 가져다 쓰면 안되는것과 같은 이치 아닌가? 다 주인이 있는건데.
@coolryong42123 ай бұрын
하지만 그걸 그대로 가져다 쓰면 안될 뿐, 음악의 커버곡이나 어레인지를 만드는 건 괜찮지요? 즉 슬쩍 바꾸는 식으로 만들어낸 표절 가지고는 '지적 재산권' 침해를 인정받기 힘들긴 합니다. 도의적으로 욕먹을 뿐...
@JSGrave3 ай бұрын
대댓글 저작권 인식 수준 거의 중공급으로 처참하네. 커버곡 커버 댄스 같은거 다 저작권자가 봐 주니까 가능 한거고 저작권자가 내리라고 하면 바로 내려야 하는 거임.
@hmjib813 ай бұрын
@@mepy2681 에뮬이랑 코스프레랑 같나? 실제로 젤다나 마리오 코스프레하는 사람 많지만 찢어발겨졌다는 사람은 없어 비약이 심하네
@coolryong42123 ай бұрын
@@JSGrave 알았어 예시가 틀렸나보네. 그럼 게임업계에서 표절시비에 대해 저작권 소송 이긴 사례가 있음? 디자인하고 제목하고 똑같이 배껴간거 말고 비슷하게 표절한 사례로.
@뚜벅이유저3 ай бұрын
@@mepy2681님아 아무리그래도 에뮬이 그거랑 동급인건 좀 ㅋㅋㅋㅋㅋㅋㅋ 아니 애초에 에뮬돌리는거 언제막힐지 모르는거 다 알고 하는거아니었음? 게임회사가 에뮬막았다고 욕하는건 내 상식으론 이해를 못하겠음 ㅋㅋㅋㅋㅋㅋㅋ
@redwooooood3 ай бұрын
서양은 왜 이렇게 저작권 의식이 처참함?
@JS-jd6qq3 ай бұрын
스카이림, 레지던트 이블, 위쳐3 이런게임에서 다른 게임 캐릭터로 바꾼 "유저 모드" 나와도 거의 문제 없던데 확실히 디즈니랑 느낌 많이 비슷함, 마블 캐릭터 모드 같은건 칼삭되는 것처럼 닌텐도도 본인들 캐릭터 사용한 모드들은 엄청 빡시게 잡음 스카이림 모드를 위쳐캐릭터, 니어시리즈2b, 최근에 스텔라 블레이드 등으로 만들어도 대부분 개발사들이 딱히 안 건드림
@뚜벅이유저3 ай бұрын
포켓로그는 뭐가 되는거??
@JSGrave3 ай бұрын
애뮬 옹호하는 양놈들 수준 봐라. 저건 뭐 거의 중공 마인드네.
@mandu01143 ай бұрын
게임프릭크 해킹? 축제다~~
@박완규-n2o3 ай бұрын
...? 뭐 얼마나 추악한가 봤더니 거의 다 할만한데? 혹시 이런 기사만 가져오는 이유가 따로 있으신지?
@러미노즈3 ай бұрын
예전에도 엑박 소니 논란, 특정 게임 억까 분위기 때도 그냥 헤드라인이라 가져 오는 거라 하시더라구요 안가져오면 안가져오는 대로 뭐라 할사람들은 많아서...
@Yonghwan2143 ай бұрын
헤드라인이니까.
@CccccccccBan3 ай бұрын
서양쪽 기사랑 댓글 직접보면 진짜 깜짝 놀랄거임. 그냥 사고 방식 자체가 다름. 아예 노골적으로 "닌텐도에 대한 악의만이 남았다." "닌텐도가 그냥 망했으면 좋겠다." 이런 댓글도 많고, 추천수도 높음. 대기업에 대한 증오와 대기업이 자신의 이득을 챙기는 것을 마치 약탈처럼 생각함.
@o4h-l5f3 ай бұрын
그냥 쟤들은 저렇게 생각하는구나 하고 보면 될듯합니다.
@jjjuukl3 ай бұрын
반대의 경우 달리는 댓글: 헤드라인에도 있는 기사를 굳이 피해서 가져오는 이유가 따로 있으신지?
@GFMK23 ай бұрын
역시 블랙기업 아닌 곳이 없습니다
@최현배-z5p3 ай бұрын
특허소송할 정신머리는 있어도 보안을 강화할 정신머리는 없나보네
@seuput753 ай бұрын
닌텐도가 닌텐도 해버렸다
@napujdomug-ts6qs3 ай бұрын
단 한명도 제재를 똑바로 쓰는 사람이 없네 제제는 나의 라임 오렌지나무 주인공인가?
@gyg28263 ай бұрын
지우 무관으로 은퇴 시키려했던 닌텐도
@Smile_Again20103 ай бұрын
pc게이머 꽤 헛소리하네 어찌된든 예뮬레이터는 아주 강력하게 반대하는 입장이라 닌텐도의 입장을 이해한다 불법으로 하는데 강력하게 처벌해야지 뭔 팬들 어쩌고 저쩌고 갈리기 시전하냐?!!🤬🤬
@이파키-u3p3 ай бұрын
2번은 진짜 악의적으로 닌텐도를 까기위한 글밖에 안보이는데 팩트 하나도 없어보이는데 진짜 뭔 생각 갖고 사는건지 모르겠다 에뮬레이터, 팰월드 유료포켓몬모드, 이런거 못쓰게 막은게 pc게이밍에 대한 뭔 적대적 대응인지 논리적으로도 단 하나도 안맞는 웃음포인트인데 이 기사 쓴 사람은 기자가 아니라 소설가를 해야할듯
@별발엽서3 ай бұрын
한국 게임검열 헌법소원은 해외반응 없음?
@Samiro_3153 ай бұрын
그걸 해외로 소식 들고나른 사람이 있었음?
@민달팽이3 ай бұрын
세상은 생각보다 남에게 무관심하다는거임..
@뚜벅이유저3 ай бұрын
그...건 솔직히 관심을 가질이유가..?. 걔네는 다 풀려있잖음 그렇게나 자유에 가치를 높게두니 에뮬막았다고 지랄도 하고 그러는건데
@sean70823 ай бұрын
셧다운제 폐지 된 것은 한 2021년에 뉴스가 되었는데, 이번 것은 언급조차 없네요. 뭐 결과가 나와야 구석에 뉴스 하나 생길 듯...
애초에 펠월드하고 CEO가 자처했는데 왜 저렇게 닌텐도에 악의적 기사를 쎃는지 모르겠네요... 참
@dkdkl123453 ай бұрын
양놈 쓰레기통인 레딧이라 그런지 알빠노 정신이 투철하네 ㅋㅋ
@xhzmdxhzmd3 ай бұрын
나는 닌텐도의 대응이 뭐가 문제인지 모르겠네 쨌든 합법적이지 않은 절차로 유저들이 주무른건데 닌텐도가 강경대응을 하는 것 가지고 뭐라 할 필요가 있나 다른 게임 업체들은 가만 나뒀는데 닌텐도는 왜 유난이냐 하는 것도 웃김 ‘옆에 슈퍼에서는 과자 돈 안내고 먹어도 뭐라 안했는데 여기는 왜그래요!!’ 하는 것도 아니고 ㅋㅋㅋ
@seriousless66473 ай бұрын
디즈니는 이제 닌텐도에 밀려 저작권 깡패의 자리를 물려주는구나
@terrorbyte833 ай бұрын
닌텐도의 깡패짓이 놀라운게 아니라 닌텐도 종아리와 팔뚝에 붙은 피라냐 놈들이 저렇게나 많다는게 더 놀랍다.
@tonyahn14643 ай бұрын
법적 처분을 잘하는 회사의 특징 : 상대방이 하는게 다 불법임.
@서태호EJ3 ай бұрын
그래서 고소하는 군 온라인 포켓몬(팰월드) 이해가 간다
@humanity_forest3 ай бұрын
역시 닌텐도야 저작권 괴물이지 디즈니 저작권 끝난것들 보면 아주 개판났던데 닌텐도도 저작권 끝나면 무슨일이 일어날까 기대가 되네요
@applepie32833 ай бұрын
미키랑 푸 피노키오 다 존나 오래되서 적어도 우리세대에 볼일은 아니긴함 ㅋ
@napujdomug-ts6qs3 ай бұрын
몰락도 안함 인사이드 아웃2이랑 데버풀이 그간 부진했던 거 다 만회할 만큼 돈 엄청 벌음 각각 2억 달러 제작비로 16억 마찬가지로 2억달러 제작비로 13억 벎 에일리언도 8천만달러 제작비로 4억 벎
@OMG-r3j3 ай бұрын
요즘 닌텐도가 어렵나. 막 휘두르는건 먹고살기 힘들다는 소리인데..
@ptc200223 ай бұрын
내가보기엔 닌텐도는 잘하고 있고 더 건강해질거라는거
@염세주의자-n5u3 ай бұрын
다 해 줬잖아!
@bestplayer083 ай бұрын
역시 닌빠들의 충성심은 신앙심 수준. 😁
@그냥정-b8z3 ай бұрын
? 닌텐도가 잘못한게 없는데
@coolryong42123 ай бұрын
맞음. 사회에서 소위 '대기업의 횡포'라 하는 것들도 법적으론 대기업이 잘못한게 없음.
@뚜벅이유저3 ай бұрын
에뮬을 막은게 대기업의 횡포가 되나요...?@@coolryong4212
@sean70823 ай бұрын
@@coolryong4212 왕눈 발매 되기도 전에 크랙해서 에뮬 커뮤니티에 뿌린 것 때문에 에뮬레이터 커뮤니티 탄압하는 것이 대기업의 횡포냐고...ㅋㅋ
@베토마루3 ай бұрын
저거는 펠월드가 잘못한건데... 저걸 닌텐도한테 잘못있다고 하는거 보면 기사 쓰신 기자분 능지가 확실하네요... 진짜 서양쪽은 왜그러는지... 솔직히 닌텐도가 세가,너티독,EA보단 그나마 유저대우가 나은 수준인데... 너무 잘해주어서 권리라고 들고 간이 배밖으로 나왔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