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 the Saudi Mirror Line Possible?

  Рет қаралды 4,658,188

셜록현준

셜록현준

Күн бұрын

#NeomCity #Saudi #SaudiArabia #NewCity #NeomtheLine
Is Saudi Arabia's super-luxury new city possible?
Architect's view of Neom City the Line Project!
00:00 ~ 00:25 [Intro] Neom City the Line project
00:26 ~ 02:20 New cities on the desert
02:21 ~ 05:14 What exactly is Neom the Line?
05:14 ~ 12:38 Mirror line problem analysis
12:38 ~ 16:13 Food problems?
16:13 ~ 16:59 Is South Korea participating?

Пікірлер: 3 200
@Sherlock_HJ
@Sherlock_HJ Жыл бұрын
*** 바닷가 바람의 소금기로인한 부식을 걱정하시는 분들이 있는데요. 충분히 고려해야할 요소이지만 그게 큰 문제가 되었다면 1. 바다위에 풍력발전기는 만들어지지 않았겠죠. (주요 부품을 금속이 아닌 소금에 부식이 안되는 신소재로 만들수도 있을겁니다) 2. 뉴욕, 홍콩, 싱가포르 같은 해안가 도시는 만들어지지 못했겠죠. *** 풍력발전기의 소음 걱정에 대한 해결책은, 바람길 터널을 만들고 그 안에 소음이 거의 없는 QR5(Quiet Revolution 5)같은 풍력발전기를 설치하면 해결될 겁니다. 기술적으로 해결 가능한 것과 기술적으로 해결이 안되는 것을 구분해서 접근할 필요가 있을것 같습니다. =============== *** LED빛으로 농사를 지을때 소비되는 전기는 확실히 문제입니다. 하지만 식물이 자라날때 필요한 빛의 파장은 종에따라서 다르고, 또 전체 빛의 파장 스펙트럼중 일부라고 합니다. 따라서 엄청나게 밝은 빛이 아닌 최소한의 에너지를 사용하여 최소한의 광합성 가능 빛만을 만들어서 에너지 효울을 높인다고 합니다. *** 고기를 실험실에서 배양하는 기술은 아직 실험단계라서 크게 적용하지는 않았습니다. 향후 곤충식량화와 더불어 충분히 발전 가능한 분야라고 생각합니다.
@MoneyFlavoured
@MoneyFlavoured Жыл бұрын
영상 내용에 대해 AS까지! 감사합니다. 👍
@kkm8541
@kkm8541 Жыл бұрын
170km길이에 500m 건물을 양쪽으로 올린다면, 건축자재는 얼마나 들어갈까요? 자원의 블랙홀이 중국에서 사우디로 옮겨갈지도 모르겠네요..
@sineiraetstudio9444
@sineiraetstudio9444 Жыл бұрын
9:32 저층부의 채광부족 문제에 대해서는, 어쩌면 광섬유(light fiber) 다발을 이용해서 건물외부의 태양광을 건물내부로 그대로 보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렇게 되면, 하루 중 저층부에서 일조권을 확보하는 데 도움이 되지 않을까 싶네요. 물론 이렇게 한다고 해도, 홍보영상에서처럼 녹지공원을 조성하기는 불가능할 것 같긴 합니다.
@TAG0001
@TAG0001 Жыл бұрын
더라인은 전시상황이 됐을 때 아주 좋은 목표가 될 거 같네요 미사일 몇 방 쏘면 우르르 무너질 테니까요 포격 맞기 딱 좋은 건물이네요
@user-oq7cf3ni3q
@user-oq7cf3ni3q Жыл бұрын
선생님 오래오래오래 사셔서 이 세상에 선한 영향력 많이 끼쳐주세요 ㅎㅎ, 지리는 건축학적 시각으로 ,,, 세상을 선생님 눈을 통해 이렇게나마 공감할수있다는게 미치도록 재미있습니다 ,,
@2ky1126
@2ky1126 Жыл бұрын
하층부는 빛 한줌 들지않는 슬럼가가 될 수 있다고 하셨는데,, 사펑SF 덕후인 왕이 오히려 그런 걸 바라는 게 아닐까요.ㅋㅋ 스타워즈 코루스칸트나 제5원소의 슬럼화 된 지하도시처럼 그런 디스토피아적인 분위기를 보며 흐뭇한 미소지을듯... 자신이 바라던 게 완성되었다며
@Thinkandgrowrich00
@Thinkandgrowrich00 Жыл бұрын
오히려 좋아
@user-ir8un2ps4o
@user-ir8un2ps4o Жыл бұрын
마약 밀거래, 신체개조...ㅈㄴ재밌겠네ㅋㅋ
@user-of5pv1gl3z
@user-of5pv1gl3z Жыл бұрын
자운에 온걸 환영해!
@burger_king_kr
@burger_king_kr Жыл бұрын
나이트시티 ㅋㄲㅋ
@user-ox7jf4vb6c
@user-ox7jf4vb6c Жыл бұрын
ㄹㅇ 사이버 펑크 ㅋㅋㅋㅋㅋㅋㅋ 전세계적으로 엄청난 슬럼가가 만들어져 신체개조 마약 인신매매 등등 엄청난 지하도시가 만들어 질 듯
@MAIHAMA7329
@MAIHAMA7329 Ай бұрын
네옴시티 사업계획 수정보고 성지순례 다녀갑니다.
@user-wj9qj6yta15
@user-wj9qj6yta15 Ай бұрын
시작할 때부터 당연했는데 뭔 성지순례
@hh9514
@hh9514 Ай бұрын
성순🙏
@dodo119112
@dodo119112 Ай бұрын
​@@user-wj9qj6yta15몰랐으면서 븅신 ㅋㅋ
@June.6.4.18.
@June.6.4.18. Ай бұрын
​@@user-wj9qj6yta15ㅂ신 알고있었다는듯이 씨부리네 엄마없어보임 ㅋㅣㅣ
@user-sl1ii4iv7q
@user-sl1ii4iv7q Жыл бұрын
과학과 건축의 콜라보! 아는게 없으니 보이는 것도 없지만 님의 설명이 엄청 설득력 있게 느껴집니다! 이 실력 사우디에 꽃 피울수 있기를 무지무지 기대합니다! 자랑스럽습니다
@user-th3ly8ob3u
@user-th3ly8ob3u Жыл бұрын
민망하지 않기를
@youwait4me
@youwait4me Жыл бұрын
. ㅣ
@user-ox3bv6kt8l
@user-ox3bv6kt8l Жыл бұрын
과학민수랑 같이 침착맨 출연했으면 좋겠다
@missprettie2165
@missprettie2165 Жыл бұрын
@@user-ox3bv6kt8l 주식투자 안할거면 모르겠지만 투자 계속할거라면 주식으로 10만원에서 30억으로 만든 [주식의정석] 이 채널의 영상들을 꼭 보셔야 할거에요 (영상들이 짧아서 보는데 무리없음) 주식투자를 어떻게 해야만 하는지 그야말로 주식의정석을 보여주고있더군요. 아마 은둔고수로 추정이되는데요 광고 아니니 오해없으시길..
@TheoArchi
@TheoArchi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영상 잘 봤습니다, 저는 현재 프랑스에서 건축가로 일하고 있고 NEOM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는 한사람으로서, 건축가님에 생각과 해석이 저도 동감되고 맞는 말씀 같습니다 다만, 프로젝트 관련 컨디션들과 프로세서에 있어, 건축가님이 영상 마지막 부분에 하신 말씀 처럼 "초안부분 부터 잘 고민해서 하면 더 좋았지 않았나..."라고 하신 부분이 불가피한 상황이라고 말씀드리고 싶구요. 현재 수많은 엔지니어들과 건축가 그리고 전문가들이 실제 준공을 위해 초안을 기반으로 상당한 연구와 노력을 하고 있다는 말을 전하고 싶어 이렇게 답글을 남겨봅니다. 대한민국 건축도 화이팅입니다.
@user-sp2hw8ur1c
@user-sp2hw8ur1c Жыл бұрын
@@user-ej6vi8kj5s 인간아.. 인간아.. 에휴
@juanyoon4579
@juanyoon4579 Жыл бұрын
@@user-ej6vi8kj5s 프랑스 농노는 배웠는데 그 말을 어떻게 쓰는지는 모름.
@EastWood2004
@EastWood2004 Жыл бұрын
중공이 아니고 준공인거죠??
@TheoArchi
@TheoArchi Жыл бұрын
@@EastWood2004 네 준공이네요 :)
@aba-hb8rv
@aba-hb8rv Жыл бұрын
영상 보니까 건축쪽 분야에서는 비전문가인 왕세자가 이 계획에 관여한 게 가장 큰 문제인 것 같네요
@jihojio2118
@jihojio2118 Жыл бұрын
저도 빈살만 온 것 때문에 이거 찾아서 다시 보는데 많은 분들이 제 맘과 같네요. 한국인들도 참여하게 될 것 같은데 부디 좋은 방향으로 진행 되어 인류의 진보 모델이 되기를
@Chleosl
@Chleosl Жыл бұрын
"인생은 스틸컷이 아니라 동영상이다"라는 예시를 들면서 도시의 심리적인 부분에 대한 관통하는 기술적 요소들과 의의를 찝어주시니 맥락이 어느정도 머릿속에서 잡히는 것 같네요 ㅎㅎ
@user-cm2fz6hm9q
@user-cm2fz6hm9q Жыл бұрын
교수님이 참여하시는 스마트시티도 궁금하네요!! 이런 이야기들이 더 많이 나왔으면 좋겠어요
@user-sj5ki3hf8t
@user-sj5ki3hf8t Жыл бұрын
너무 전문적이고 논리적인 설명으로 네옴시티에 대한 비현실적인 프로젝트의 명과 암을 제대로 말씀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filmsalang5870
@filmsalang5870 Жыл бұрын
설국열차, 그레이트 리셋(아젠다 2030)
@user-tw7fh1xn7y
@user-tw7fh1xn7y Жыл бұрын
갑자기 왜 모든 언론에서 사우디 빈살만을 띄우고 저런 허황된 프로젝트를 아무 의심없이 띄우는가?!
@iioo5144
@iioo5144 Жыл бұрын
풍력발전 소음이 얼마나 심한데... 거주지 근처에 풍력발전 안하는 이유가 있습니다. 별로 전문적인지 모르겠음
@user-qr2xt2wk6x
@user-qr2xt2wk6x Жыл бұрын
@@iioo5144 소음이 심해서 설치를 못한다기에는 이미 영상에 바레인 세계무역센터의 예가 나와 있는데요. 풍력발전 자체는 가능해 보입니다
@user-pc1sx8ff7i
@user-pc1sx8ff7i Жыл бұрын
@@ZhugeLiang1004 니따위가 알게된다고 바뀌는건 없다
@omaz8861
@omaz8861 Жыл бұрын
짓다가 "아 씨 이거 안되는데?" 수정 "아 씨 이거도 안되는데?" 수정 반복하다 보면 초안에서 많이 빗나간 완성작이 될 듯 ㅋㅋ
@user-ly8wr9oo2x
@user-ly8wr9oo2x Жыл бұрын
그쵸 수정은 돈이 있으면 충분합니다 실패했다는건 돈이 부족했다는거죠
@user-gl1zl5ke5c
@user-gl1zl5ke5c Жыл бұрын
돈은 충분하니 언젠가 성공하긴 할것 같음
@user-gl1zl5ke5c
@user-gl1zl5ke5c Жыл бұрын
건축계 연구원들이 갈려나가겠지 하지만 지원 많이 받을듯
@user-oe4uh5mz1o
@user-oe4uh5mz1o Жыл бұрын
​@@user-ly8wr9oo2x 수정도 수정 나름이지 애초부터 잘못된거 밀어붙여서 난도질된 계획으로 완성되면 ㅈ됨. 미련하고 무식한 짓임. 100원써서 5원짜리 결과물 보게되거든
@user-ww9hp9fo5n
@user-ww9hp9fo5n Жыл бұрын
두바이 보고 배 많이 아팠나보네 빈살만 ㅋㅋㅋ
@sitimaeyam
@sitimaeyam Жыл бұрын
Thank you for the great content and eng sub. As always, you explain it professional and really well! It would be awesome if you explain more about "Pig's City" and all the pro contra around it.
@Lotto_Love
@Lotto_Love Жыл бұрын
생태계에서도 큰 영향을 끼칠거 같네요. 500미터높이에 미러로 돼있으면 특히 새들이 많이 부딪힐거 같네요. 반사되는 빛은 그 주변에 사는 생물 미생물들에게도 큰 영향을 줄거같네요.
@_onion
@_onion Жыл бұрын
동감합니다!!
@Bluerunbalup94
@Bluerunbalup94 Жыл бұрын
그렇네요 새들이 분명 문제가 생길 것 같습니다. 그리고 교수님이 점선형 도시를 강조하시는 이유도 생태계가 나뉘는 걸 염두하시는것 같아요
@landsquid5356
@landsquid5356 Жыл бұрын
우왕 처음에 네옴시티 계획을 소문으로 들었을때 그냥 '굉장하다 + 되게 힘들겠는걸' 했는데 선생님 영상 보면서 원래 생각보다 훨씬 복잡하고 신경 써야하는 계획인 걸 알게 됐네요. 좋은 지식을 알게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kl9bx7qm7k
@user-kl9bx7qm7k Жыл бұрын
저런 댕청한 프로젝트는 누가봐도 비용과 기술적으로 실용 가능성이 제로에 가까운데 요즘 한국인들 댓글만 읽다보면 진짜 나까지 져눙아가 되는 기분이다
@user-kl9bx7qm7k
@user-kl9bx7qm7k Жыл бұрын
사우디의 댕청한 도시프로젝트 따위는 신경조차 쓰지 않지만 그밖에도 사우디가 벌이고 있는 일들을 보면 황당할 정도더군요. 우선 관광업이나 군수산업등을 주요산업으로 하나로 육성한다고 하는데 사우디에는 메카 말고는 관광 인프라가 사막 말고는 아무것도 없고 관광업은 코로나 같은 국제상황에 따라 석유값처럼 변동이 심하고 또하나 군수산업은 기초적인 제조업도 없는 나라에게는 절대 무리고 미국과 척을 진 이상 사우디와 협력할 국가는 러시아 중국밖에 없는데 이제 러시아 무기는 아무도 사지 않고 중국제는 러시아제 카피에 불과해서 사우디가 아무리 돈을 투자해도 실현 가능성에 제로에 가까운 일장춘몽에 불과하다고 봅니다. 그리고 사우디가 아무리 세계 1위 산유국이지만 1인당 국민소득은 우리나라보다 1만 3천달러나 낮고 석유로 번 돈을 수십년째 국민들에게 무상으로만 뿌리고 있는 상황이라 국민들이 일하거나 공부할 의욕조차 없이 외국인 노동력에만 의존하는 미래도 희망도 없는 나라입니다. 사우디는 아르헨티나 보다 더 심각하게 몰락할수 밖에 없는 운명입니다.ㅇㄴㄹㅇ
@user-zl8cn2lb7p
@user-zl8cn2lb7p Жыл бұрын
@@user-kl9bx7qm7k 선민의식에 빠져서 지가 뭐라도 되는 줄 아는게 더 저능아 같은데요 ㅋㅋ
@user-uu8kh8rv6t
@user-uu8kh8rv6t Жыл бұрын
나는 빈샬만에 속내는 도시 건설은 겉포장이고 원전을 유치 핵미사일 보유가 속내 그래서 몇년전에 러시아와 군사협정을 맺은거라 봄 결론은 네옴시티는 대규모로 축소 되고 원전 유치 후 중동의 패권 국가 되는게 된다
@user-pt5mu8vn3s
@user-pt5mu8vn3s Жыл бұрын
네옴시티 성공하면 이영상은 저 건축가 굴욕영상으로 평생 따라다닐듯... ㅋㅋ
@suebinji1196
@suebinji1196 Жыл бұрын
빈살만씨가 각계 건축가 들의 의견을 듣고 유연하게 업그레이드 된 계획을 세워 지었으면 좋겠어요...
@JIM85140
@JIM85140 Жыл бұрын
@@user-he2fu3jv7q 그럼 누가 어떻거 분석해야된다 생각함?
@user-bb4xh2iu1x
@user-bb4xh2iu1x Жыл бұрын
살로만 개객기
@user-oj2mi5os4t
@user-oj2mi5os4t Жыл бұрын
빈살만씨라니 왕세자 전하라 부르시오 ~
@genius4285
@genius4285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 ㅈㄹ하네
@user-fw7wr1rk8j
@user-fw7wr1rk8j Жыл бұрын
씨?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springwendyD
@springwendyD Жыл бұрын
그것이 알고싶다 에서도 다뤘네요. 셜록님의 후속편 부탁드려요! kzbin.info/www/bejne/e3-aaGd4irKZf8k
@raykim1812
@raykim1812 2 ай бұрын
7:30 처음 디자인은 점선 형태의 도시들이 존재하고 지하 터널로 연결되는 방식이었는데 빈살만의 고집으로 현재의 라인 디자인으로 결정되었다고 하네요
@user-kl9zn2te6k
@user-kl9zn2te6k Жыл бұрын
이번 영상은 단순히 사우디 네옴시티가 아닌 중동 건축물에 대한 이해에 큰 도움이 되는 것 같습니다. 중동에서 오래 지냈는데 교수님 덕분에 바드기르라는 정식 명칭과 작동 원리를 알게 되었네요. 바레인 무역센터도 많이 봤었는데 가운데 있는게 풍력 발전기인지 오늘 배웠습니다. 개인적으로 두바이에 있는 DIFC 의 Gate Avenue 를 엄청 엄청 크게 만들면 네옴시티와 비슷해 지지 않을까 라는생각을 합니다. Gate Avenue 는 약 2키로 정도의 직선 건물이며 지하 1층 부터 2층까지는 실내, 그리고 옥상이 있습니다. 직선의 건물 양 옆으로 아파트와 사무실 건물들이 연결되어 있고, 안에는 체육관, 태닝샵, 쇼핑센터 등 생활에 필요한 모든 것들이 있습니다. 안에는 셔틀버스 개념의 택시가 다녀서 수평이동 할 때는 그것을 이용합니다. 지하 1층까지 햇빛이 들게 하기 위해서 옥상에는 투명한 유리창을 듬성 듬성 설치하고 중간 층에는 햇빛이 지나가도록 공간을 비워두었습니다. 건물의 상층부 햇빛이 드는 곳에는 상류층이 살고, 그 외의 공간에는 일반인이 거주할 것이라고 생각하신 데에 적극 동의합니다. 이쪽에서는 가진자와 그렇지 못한 자의 구분이 한국보다 더 확실한 편입니다. 그런데 햇빛이 들지 않는다고 해서 컴컴하고 어두운 공간은 아닐 것 같습니다. 이쪽 동네에는 햇빛이 전혀 들지 않는 상태에서 형광등만 밝게 켜놓고 생활하는 것이 딱히 어색한 일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몰 가면 하늘은 하나도 안보이고 그저 밝은 조명들… 하지만 창밖 풍경이 없는건 매우 답답할 것 같네요. 발코니는 없는 것을 선호하는 사람들도 많습니다. 모래먼지가 장난 아니게 쌓여서 청소하는게 매우 귀찮거든요. 그래서 그런지 일반아파트에도 창문이 아예 안열리는 곳도 종종 있습니다. 이런 곳은 환풍장치를 켰다 껐다 하면서 환기를 하곤 합니다. 식물성 식량은 말씀하신 대로 스마트 팜이 도시 안에 위치할 것 같습니다. 스마트 팜 기술은 요즘 두바이에도 많이 퍼져있더라구요. 동물석 식량은 워낙 수입량이 많아서 안에 무언가를 키울 생각을 안한게 아닌가 라는 추측을 해봅니다. 😂 요즘 두바이에 요상한 건물들이 많이 생기고 있는데요, 나중에 기회되면 한 번 모아서 다루어 주세요. 좋은 영상 재밌게 보고 갑니다 :)
@user-zf4jo7do3w
@user-zf4jo7do3w Жыл бұрын
굳이 프로젝트를 친환경자급자족이라고 하니까 언급되는 부분인데 사실 생산 담당 도시는 바다 위에 따로 짓는다는 계획이더라구요 ㅎㅎ 점점 더 만화를 많이 본 것 같은 느낌이 드는데
@user-zf4jo7do3w
@user-zf4jo7do3w Жыл бұрын
@@yacht-responce 한 낮에도 가로등을 켜야하고 그러면 친환경 자급자족도시라는 컨셉은 점점 ㅎ
@user-qi4kp9eh7t
@user-qi4kp9eh7t Жыл бұрын
과장님 지난 달 🌓 자신의 인스타그램에 우연히 만나게 되서 잘 몰랐는데 크면서 있는 것으로 보인다 고도 덧붙였다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있다
@user-qi4kp9eh7t
@user-qi4kp9eh7t Жыл бұрын
과장님 잘 들었습니다 있다 이렇게 봐야 할 것은 물론 스토리 전개가 이어지는 것 이라며 이번 겨울 ❄️ [뜨거운 기자 지난 시즌에 대한 최신 알고리즘에 기반한 것이 좋을 것 같아요 앞으로도 잘 들었습니다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있다 이렇게 보고 있는데요 선관위에 위탁을 하는 날 나를 바라보는 시각이 많다 이런 😧 대한 관심이 뜨겁다 있다 이렇게 보고 있는데요 선관위에 위탁을 하는
@user-uu8kh8rv6t
@user-uu8kh8rv6t Жыл бұрын
빈샬만에 계획이 되든 안되든 결국은 원전은 설치하고 나중에 핵폭탄은 남는거임 샬만에 최종 목표는 핵 미사일 보유국이 최종 목표 일걸 다 속고 있다는 거지
@user-br7iy4lz6m
@user-br7iy4lz6m Жыл бұрын
교수님의 차분하고 냉철한 분석과 설명 너무 좋습니다....보다 보면 빠져들어 눈을 뗄 수 없네요.ㅋ 이번 '네옴시티' 편을 들으며 개인적으로 궁금한 게 몇 가지 생겨서 적어보네요. 1. 높이 500m 의 초고층이라 기압차로 고층은 창을 열기도 발코니 생활도 어렵다 하셨는데.....혹시 네옴시티는 천정유리가 없나요?? 혹시 온실처럼 밀폐된 유리가 있다면 그 기압차는 어느정도 해결되지 않을까요?? 2. 예전 80년대 미국의 '바이오스피어2' 실험을 통해 콘크리트가 이산화탄소를 빨아들여 식물을 통해 산소량 증가가 어렵다고 하던데...... 이렇게 거대한 도시가 밀폐된다면 공기 및 순환 시스템이 가능할까요?? 콘크리트를 벗어나 건축이 가능 할까요?? 3. 맨하탄이나 초 고밀도 도시를 표방한다는데......근본적으로 신 도시설계의 목적이 뭘까요? 만약 목적이 분명하다면 말씀하신 식량 자급자족은 불필요 하지 않을까요?
@ljjoo8651
@ljjoo8651 Жыл бұрын
네옴시티에 대한 아이디어를 처음 듣는 순간 가능성은 둘째치고 무언가 불편한 아이디어라는 생각이 들었는데 교수님이 조목조목 짚어주시니 뭐가 문제인지 이해가 되었습니다. 네옴시티가 성공하던 그렇지 않던 한국 기업과 전문가들이 많이 참가해서 뭔가 배우고 돌아올 수 있으면 좋겠네요^^
@user-kl9bx7qm7k
@user-kl9bx7qm7k Жыл бұрын
개인적으로 프로젝트 자체가 많이 황당하다고 생각하지만 남의 나라일이니까 상관없고 우리기업이 많이 참가해서 돈이나 벌면 그만이라고 봅니다.
@Sennheiser999
@Sennheiser999 4 ай бұрын
오늘보니 아예 불가능한 프로젝트는 아니군요. 점선 어쩌고 , 중간에 풍력 발전기를 달고 어쩌고 하는데... 실용성을 강조한 건물이 아니라 에초에 상징성을 위해 일부로 그렇게 만드는듯 한데.. 걍 넵두세요.. 완성이 끝나고 난 후 실제 사람들이 거주하면서 평가를 내려야 할듯합니다.
@user-no1my8rd3c
@user-no1my8rd3c Жыл бұрын
영상제작자님을 위시해서 많은 훌륭한분들이 우리나라에 존재하시는군요. 자랑스럽네요
@ohmmanivanmehum7290
@ohmmanivanmehum7290 Жыл бұрын
완공된다면 그래도 정말 가보고싶은 도시
@Kimsoohyeon
@Kimsoohyeon Жыл бұрын
저기 끝에서 끝 걸어다니는걸로 관광 끝 ㅋㅋㅋㅋㅋㅋ 산책 좋아하는사람들한텐 진짜 좋은 곳이겠네요
@scvscv5113
@scvscv5113 Жыл бұрын
@@Kimsoohyeon 170킬로를 어캐 산책....
@francispark6209
@francispark6209 Жыл бұрын
거대한 흉물로 남게될 듯 ㅋ 역사에 기록될 병크로
@user-sd1ww4ej4x
@user-sd1ww4ej4x Жыл бұрын
생기고 백년뒤면 ㄹㅇ 디스토피아시티 될듯
@OK-wo7xk
@OK-wo7xk Жыл бұрын
@@user-sd1ww4ej4x 오히려 좋아.. 진정한 사이버펑크
@user-yw5ct1px3x
@user-yw5ct1px3x Ай бұрын
ㅋㅋㅋ 뭣도 없는 애들이 몇천년동안 그지같이 살다가 땅 잘만나서 먹고 살만해지니깐 말같지도 않은 공상과학 영화 보고 돈 버리다 2.4km 엔딩ㅋㅋ
@kyongyi3394
@kyongyi3394 Жыл бұрын
역시 이런쪽의 전문가들은 보는 시선이 다르구나.. 직업에 대해 프로페셔녈하신 모습 존경스럽습니다
@user-cd8ot5kb7t
@user-cd8ot5kb7t Жыл бұрын
네옴씨티에 관심있었는데 좋은 정보와 설명 감사합니다. 건축은 정말 종합예술이네요 ~
@hlee1849
@hlee1849 Жыл бұрын
뭔가 더 신랄하게 까고 싶으신걸 꾹꾹 참으시는게 느껴지네요ㅋㅋㅋㅋㅋ 이 영상이 빈살만 왕자에게 닿길 기원해봅니다ㅋㅋㅋㅋㅋ
@user-fk6ps3gw2u
@user-fk6ps3gw2u Жыл бұрын
이미 시작해서 포기도 못함
@hlee1849
@hlee1849 Жыл бұрын
@@user-fk6ps3gw2u ??? : 라고 했을 때..ㅠ
@_carpediem2241
@_carpediem2241 Жыл бұрын
난...솔직히 중간에 중단되지 않을까 싶음
@user-uo6te2qs4l
@user-uo6te2qs4l 9 ай бұрын
백퍼임
@kimcircle9652
@kimcircle9652 9 ай бұрын
100가지 중에 1가지 모르면 겸손한 사람이 있는 반면에~ 100가지 중 10가지 알았다고 이렇게 교만한 자세가 부럽네~
@Plyst_Maker
@Plyst_Maker 9 ай бұрын
​@@kimcircle9652 그냥 개인적 추측이잖음.... 그렇게 남 짓밟으면서 우월감 느끼고싶으신가
@user-pf2qd3su9r
@user-pf2qd3su9r 9 ай бұрын
@@kimcircle9652자아성찰좋으시네여
@user-dr9qu2go3v
@user-dr9qu2go3v 9 ай бұрын
만들어지고 유지비용이 엄청들거같아여
@user-ut6sd4kc1i
@user-ut6sd4kc1i Жыл бұрын
네옴시티에 대해 전문가의 깊은 해설 영상을 통해 많은 이해를 하게 되어서 감사합니다^^ 저의 부족한 지식으로 볼 때도 네옴시티의 도시기능이 원안대로 제대로 작동할건가는 의문 투성이고, 공사 시작전 수많은 난제를 풀기 위해 500미터가 100미터로 낮아지고 폭 200미터도 수정되어서 원라인 도시가 아닌 중간 중간 소규모 기능거점화로 이어지는 연결도시 형태로 수정 예상됩니다. 그리고 100년후 기후온난화로 해수면 상승시 도시 침수를 막기위해 외관 양쪽 벽은 방수 방호 기능도 고려가 필요해 보입니다^^
@user-jm5lh1us3z
@user-jm5lh1us3z Жыл бұрын
진짜 만들어지면 죽기전엔 꼭 가보고 싶음. 만리장성 피라미드 콜로세움처럼 시대를 풍미하는 엄청난 건축물이 나올 것 같은...
@user-zc8ws4id7t
@user-zc8ws4id7t Жыл бұрын
어려운(?) 건축이야기를 옛날 옛적 할머니동화처럼 재미나게 따뜻하게, 깊이 있게 풀어주셔서 감사합니다!❤
@macmini2759
@macmini2759 Ай бұрын
2.4km로 변경 했다고 하는데 일단 짧게 만들어서 실제로 도시를 몇년 운영해보고 더 늘려나가는 방식으로 해야할 듯. 170km를 한 번에 만드는 건 너무 무식한 것 같음. 치명적인 문제가 생겨서 더 라인을 폐기해야 되면 저게 얼마나 어마어마한 낭비임
@leeyujeong5462
@leeyujeong5462 Жыл бұрын
명쾌한 설명 감사합니다!! 지루할 틈이 없이 유익했어요 ㅎㅎ
@p_universe4750
@p_universe4750 Жыл бұрын
네옴씨티 계획에 참여하신 분들.. 거절하기엔 너무나 큰 돈이었겠죠 ㅎㅎㅎ 네옴씨티 자체는 정말 허황된 금수저 왕세자님의 꿈이라고 생각하지만, 프로젝트 중에 얻어진 레슨런들이 다른 곳에 유용하게 쓰인다면 나름의 의미가 있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user-xm2ky7lk7l
@user-xm2ky7lk7l Жыл бұрын
이게 현실판 설국열차가 되지 않을까 생각함.
@wkfrkdy95
@wkfrkdy95 Жыл бұрын
@@user-xm2ky7lk7l 다만 설국열차는 수평적으로 계급이나뉘지만 네오는 수직적이라 차이가있는듯
@user-hx9op8qf1f
@user-hx9op8qf1f Жыл бұрын
@@user-xm2ky7lk7l 아랫층은 햇빛도 안들어오는 하층민, 상층부는 햇빛 잘들어오는 상층민
@sbc1845
@sbc1845 Жыл бұрын
자운이랑 필트오버네
@aaaaaaaard9586
@aaaaaaaard9586 Жыл бұрын
레슨런ㅋㅋㅋ 그냥 교훈이라고 해 와이 노리즌으로 론워드를 유즈해서 레스언더스탠더블하게 메이크함
@user-mj8lu6qy2x
@user-mj8lu6qy2x Жыл бұрын
꼭 참여하게 되시길 바라요~!! 멋지고 친환경적이고 밝은 도시가 탄생했으면 좋겠네요^^
@BIG_TRAIN
@BIG_TRAIN Ай бұрын
2024년 결국 허황된 꿈.
@TV-sv9xi
@TV-sv9xi Жыл бұрын
구독합니다.초등아들과함께 다시볼예정이에요.흥미롭고 주시는정보들도 이해하기 쉽게 설명해주셔서 감사합니다
@user-hu9hd4iq2m
@user-hu9hd4iq2m Жыл бұрын
너무 좋은 영상이에요 막연하게 흥미롭다고 생각했던 프로젝트에 이런 단점이 있다니 상상치도 못했네요. 편집도 아주 깔끔하고 좋아요
@modernetude5750
@modernetude5750 Жыл бұрын
회의적이지만 수많은 전문가들이 불가능을 가능케하려고 노력중이겠네요.. 어쩌면 이번 프로젝트로 없던 신기술을 만들어낼 수 있을지도 모르겠네요
@cjy0361
@cjy0361 Жыл бұрын
인간의 욕심이 지구를 더 해치지 않을까 걱정이 되긴 하네요.. 친환경적이고 자연과 어울러 질 수 있는 네옴시티가 되길 기원합니다.
@KimJaeho
@KimJaeho Жыл бұрын
돈을 막쓰는게 인간의 욕심 아닌가? 저건 독재자식 돈낭비가 아니라 의미 있는 프로젝트 같은데 지구 1/10이 사막인데 돈 한푼도 안쓴다? 그게 더 무지할듯 맨날 돈 없어서 불가능하다고 지랄하던 인간인데 왜 못할게 뭐있냐고
@star-gs8ip
@star-gs8ip Жыл бұрын
이번 프로젝트로 다양한 기업들이 친환경적 시스템 개발에 투자하게 될테니 만들고난 후에도 엄청난 영향을 줄듯 일자리도 늘어나고 사우디한테도 좋은 이미지까지 챙겨주니..모두한테 좋은 일인듯 코로나로 인한 경기침체에서 사우디가 이렇게나마 숨통을 틔여주네
@cawkim293
@cawkim293 Жыл бұрын
저런 투자가 있어야 기술을 개발하고 새로운 친환경 기술들 건축 기술들이 적용 되겠죠 아무것도 안하고 나오길 기다리면 나오겠습니까
@shootingStar236
@shootingStar236 Жыл бұрын
우리 인류의 역사를 보시면 절대로 인간은 지금 현재의 풍요로움을 만족하지 않고 더더욱 본인들 욕심으로 인해서 지구를 더 많이 괴롭힐거에요 그러다가 언젠가는 인류 멸망의 날이 오겠죠
@user-ow9by2ir6k
@user-ow9by2ir6k Жыл бұрын
답답하다. 지구는 우리가 뭔짓을 해도 피해가 없어. 우리가 문제지 ㅋㅋ 금성 화성 우리와 비슷한 기후와 대기글 가지고 있는 행성엔 인간이 없는데 결국 생명레가 거의 살 수 없는 행성이 되는 것임. 그저 누가 뭐라고만하면 아무런 생각없이 선동되서 앵무새마냥 이상한 소리만 하는게 참
@Play-sx3ss
@Play-sx3ss Жыл бұрын
부디 화재나 이런 재해에 안전하게만 건설해요~ 뭔가 참신해보이면서도 걱정되는부분도 있고 시도해서 흥한다면 역사적인 일이니... 응원할게요 ㅅㅏ우ㄷㅣ
@user-xf9on1pd8f
@user-xf9on1pd8f Жыл бұрын
교수님 영상 재밌게 잘보고 있습니다! 덕분에 여러 방면으로 시야가 넓어지고 있음을 체감하고 있어요 ㅎㅎ 저는 공항에 대해 관심이 많은 취준생인데, 공항 건축에 대해 교수님의 말씀을 들어보고 싶습니다! 예를 들어, 현재 15개 공항 중 인천공항 이외의 14개 공항이 수하물 컨베이어 벨트의 위치(?)로 인해 공항 시설 사용의 효율성이 떨어진다고 알고 있는데 이처럼 건축의 분야에서 효율적인 공항이란 어떤 것인지, 또 우리나라와 유사한 국가 중 우수 공항의 사례가 있는지, 앞으로 새로 지어질 공항(대구경북신공항, 울릉공항 등)이 어떤 요건을 갖추어야할지 등이 궁금합니다! 유익한 영상 만들어 주셔서 항상 감사드립니다:)
@tailnG
@tailnG Жыл бұрын
건축에 대해 아무것도 모르는 사람도 영상보면서 비현실적이다 싶었는데 설명 들으니까 더더욱 무슨 생각으로 계획했는지 알 수 없는 도시네요
@user-us9pj5vo4x
@user-us9pj5vo4x Жыл бұрын
이게 생각을 해서 나왔을거라는 평가 자체가 상당히 관대하지 않나 하고 생각함ㅋㅋㅋㅋㅋ
@user-tu5wq1lo5m
@user-tu5wq1lo5m Жыл бұрын
모르긴 몰라도 저기 참여하는 사람들이 바보도 아니고 교수님이 말씀하신 부분들 다 한번씩은 얘기 나왔을거라고 보는데 그때 들려오는 왕자님의 목소리.. "그러면 낭만이 없잖아" 이 한마디로 컷 되지 않았을까...
@user-lb8fb9kt2s
@user-lb8fb9kt2s Жыл бұрын
부잣집 도련님이 해달라는데 어쩝니까 ㅋㅋㅋ
@user-ho8dn6th4n
@user-ho8dn6th4n Жыл бұрын
돈을 쳐 바르겠다는데 어쩌겠습니까 ㅋㅋㅋㅋㅋㅋ
@CHAPPIE_28
@CHAPPIE_28 Жыл бұрын
돈이 넘쳐난다는데 어쩌겠음
@hogirlsister
@hogirlsister Жыл бұрын
재밌는 건축 정보 잘 봤습니다. 자주 방문 하겠습니다. 구독하고 갑니다^^
@user-xb2pu6fs8b
@user-xb2pu6fs8b Жыл бұрын
궁금했는데 쉽게 설명해주셔서 아주 이해가 잘 됐습니다
@user-ex5et1bp6m
@user-ex5et1bp6m 7 ай бұрын
설명을 정말 잘 해주셨네요.. 건축이나 과학 쪽 지식은 없다시피한 평범한 고등학생인데도 영상 내에서 말하고자 하시는 바를 쉽게 이해했습니다ㅋㅋ 재밌게 봤어요 감사합니다
@wowblock1455
@wowblock1455 Жыл бұрын
사이버펑크 도시를 만드는 왕자님... 덕질의 끝은 자본이 맞다.
@enensomulv
@enensomulv Жыл бұрын
저도 많이 비판적인 입장입니다. 사이버펑크 장르의 배경일러스트 보면 저 건물 안쪽처럼 양쪽에 구룡채성 같은 건물들이 쫙 있고, 가운데는 텅 비었으며, 중간중간 건물들이 빈 공간을 가로질러 다리로 연결되어 있는 그림이 많아요. 만약 그런 모습이 현실에 존재한다면, 그건 현재의 도심 건물들이 기존 도로를 침범하지 않은 상태로 각각의 자리에서만 빽빽하게 수직으로 올라간다면 그런 비슷한 모습이 나올겁니다. 그렇다면 영상에서 말씀하신 각종 에너지효율 등의 문제는 좀 덜하거나 현실적인 방법으로 근근히 해결되거나 할텐데, 왕자는 단순히 사이버펑크 배경에 나올법한 단편적인 이미지만 인위적으로 한번에 구현하려고 하니까 지적할만한 문제가 발생하는거라 생각되네요. 사막 기후이니 당연히 안쪽에 모래가 쌓일텐데 치우는것도 문제고, 말씀하신것처럼 채광 문제도 클 것이고... 제 생각이지만 일직선은 정말 비효율 그 자체라고 봅니다. 세계의 수많은 도시들이 원에 가까운 형태로 발전한 것은 다 이유가 있잖아요? 행정 시스템이든, 교통 시스템이든, 에너지 시스템이든, 도시의 많은 것들을 모이게 하는 하나의 구심점 같은 역할이 있고 그걸 중심으로 커진 모습이니, 도시 한가운데서 끝부분까지의 거리가 거의 일정합니다. 도시 외곽의 사람들이 안쪽으로 들어올 때 동서남북 상관없이 특별히 길게 이동해야하는 지역이 없으니 평등합니다. 그런데 저런 일직선으로 된 도시는 기존 원형 도시와는 다르게 양 극단에 사는 주민들의 빈익빈 현상이 심해질 거라고 봅니다. 우선 저 도시 하나에 하나씩만 필요한 시설들은 양 극단이 아니라 너무나도 당연히 가운데에 놓일 것이고, 그러면 그 중심부 몇km 혹은 몇십km 정도는 하나의 구심점을 가지고 인프라가 발전하고 더 좋아질텐데, 양 극단의 지역은 인프라 수준이 뚝 떨어질 겁니다. 원 형태의 기존 도심에선 하나의 시설이 동서남북으로 영향력을 발휘할 수 있지만 이런 일직선 도시에서는 좌우 방향으론 영향력 범위가 같아도 위아래가 짧으니 실질적인 면적, 즉 인프라를 누릴 인구수가 적어지고 결국 질 자체가 낮아질거라고 봅니다. 물론 이건 제가 통계 전문가나 도시설계 전문가는 아니니 정확한 수치 같은 건 잘 모르겠지만... 또 아무리 고속 지하철을 도입한다고 해도 물리적인 거리 때문에 양 극단은 소통, 교류가 어려워지고 서로 다른 방식으로 빈익빈이 심해질거라 봅니다. 예전에 말씀하신 도시 외곽을 빙 둘러가는 원 모양의 도로?였나 걷고싶은 거리? 였나 기억이 나는데요, 그렇게 하면 도심 속 소규모 지역간의 이동 및 교류가 쉬워지면서 외곽지역들도 발전할수 있다... 라는 취지로 말씀하신 게 어렴풋이 기억나네요. 그래요. 도시는 그렇게 만들어지고 발전해야죠. 왕자가 상상한 도시는 정말 딱 사이버펑크스럽게 ‘비주얼’만 멋있을 뿐 에너지 효율, 시민복지 효율, 인프라 효율 등등 기존 원형 도시보다 못한 점이 너무나도 많은 것 같습니다. 돈 들인 것에 비해 얻어갈 특별한 이점이 있는 것도 아닌 것 같구요. 영상 보고 계획이 하도 어이가 없어서 길게 댓글 달았네요... 내 돈도 아닌데 참 열심히도 고나리 했네... 현타옵니다😂
@user-cq8uv9rm2g
@user-cq8uv9rm2g 8 ай бұрын
두루뭉술하게 역사상 한 번도 없던 형태의 도시는 없었던 이유가 있을 것이라고 생각은 하고 있었는데 왜 문제인지 구체적으로 들으니 속이 시원하네요. 건축은 실질적이고 실용적이면서 철학과 미학이 필요한 것이라 정말 멋져요.
@marauder3006
@marauder3006 Жыл бұрын
please make more of english sub videos! I really admire you for delivering comprehensive analysis in a fun way.
@user-ni2nh4qp6z
@user-ni2nh4qp6z 10 ай бұрын
They have English sub and translated to English as well here on KZbin, hope this help
@user-fu3fh5tz3k
@user-fu3fh5tz3k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아 "이거 맞냐?"하는 톰메인 아저씨 표정 너무 적절한데요ㅋㅋㅋㅋㅋ 도시의 밀도를 줄여서 녹지를 늘리겠다라는 아이디어 자체는 꼬르뷔지에의 빛나는 도시와 일맥상통하네요. 하지만 모든 것을 인간의 계획하에 컨트롤 하겠다는 조닝 위주의 근대건축의 멸망은 역사적으로도 자명한 사실인데 과연 장미빛 미래가 펼쳐질지 의문입니다ㅋㅋㅋ 진짜 저게 현실화 된다면 왕자님이 좋아하는 블레이드러너나 사이버펑크에 나오는 세기말의 디스토피아적인 세계관이 현실화 될 듯 합니다. 마치 교수님이 좋아하는 총몽의 고철도시같을거 같아요. 그나저나 근대건축의 실패 이후 인간이 모든 것을 컨트롤 하는 것은 불가능하다라는 개념 하에 OMA를 위시한 현대건축은 우연성에 기대어서 건축 공간을 계획하는데 이렇게 엄청난 계획도시가 과연 어떻게 풀려나갈지 정말 궁금합니다. 얼마전엔 라스베가스로부터 교훈을 읽었고 지금 도시의 건축을 읽는데 벤츄리나 알도로시 모두 계속 기능주의에 대한 비판을 하는데 거의 40년 이상이 흐른 지금, 과거의 건축가들은 실패했다고 생각하는 저런 토탈 계획이 과연 현 시대에서 제대로 실행될지 너무 흥미롭네요. 건축사 시험 준비하느라고 정신나간 상태인데 제도 연습하고 자기전에 재미있는 상상을 할 수 있게 해주셔서 감사합니다ㅎㅎㅎ
@brajiu_br
@brajiu_br Жыл бұрын
🇧🇷🇧🇷🇧🇷
@user-du1sq8tl5d
@user-du1sq8tl5d Жыл бұрын
건축사 파이팅
@kbreacao_kr
@kbreacao_kr Жыл бұрын
🇰🇷🇧🇷
@hwjuwhy0
@hwjuwhy0 Жыл бұрын
이런 고퀄 전문가 의견을 공짜로 편히 누워서 들어도 되나 싶네요. 너무 좋은 세상이예요!! 좋아요~ 누릅니다. 감사합니다. :)
@charlieshin9513
@charlieshin9513 Жыл бұрын
92년도 두바이전시회에 갔을때 황량한사막에 덩그러니 전시회장만 있었는데 25년만에 다시 방문했는데 보고도 믿기지를 않더군요... 돈이면 안되는 일이 없다는 이야기를 믿어보고 싶네요 ㅎㅎ
@kkkzzzkkkzzz
@kkkzzzkkkzzz Ай бұрын
저건 안됩니다 사우디 왕은 부자지만 사우디 나라는 가난해요 석유팔아서 버는 돈이 삼성전자 매출액하고 비슷합니다. 그런데 5000억 달라를 태운다? 라고 하지만 실제는 1조~2조달라는 들어가겠죠.. 그건 사우디나라 국가재정으로는 완전 무리라서 외국자본유치하려고하는데, 외국자본이 과연 들어갈까? 의구심이 강하게 들죠
@happyday6516
@happyday6516 Жыл бұрын
이 영상 하나만으로도 이 채널은구독 할 가치가 있다고 생각함.
@user-wk2rm4lf6u
@user-wk2rm4lf6u Жыл бұрын
진짜 공감합니다. 네온시티 검색하다 태어나서 처음보는 이분 영상인데 바로 구독함..
@suho1004z
@suho1004z Жыл бұрын
슈카월드에서 같은주제를 다뤄 이야기 한것과 다르게 역시 전문가분 이야기 들으니 다르네요
@user-ie9od4xk7q
@user-ie9od4xk7q Жыл бұрын
네옴시티 현실성에 대한 강연들은 것 같아요..! 양질의 컨텐츠 감사합니다
@bluesecurity_cctv
@bluesecurity_cctv 10 ай бұрын
일자로 막혀서 그 반경의 외부지형은 건너가지도 못하고 다 죽은 지형이 되어 비효율적인 것 같다 차라리 동그랗게, 링 형태로 만들어도 좋을 듯 하다
@QQQKOR
@QQQKOR Жыл бұрын
와 교수님 이번 영상은 진짜 멋지시네요!
@wannykim7854
@wannykim7854 Жыл бұрын
좋은 영상 너무 감사드립니다. 네옴시티에대해 아무것도 모르고 와와 하며 감탄하기만 했는데 영상을 보고 시각이 180도 달라져버리네요 ㅋㅋ. 우리가 집을 선택할때 채광과 바람을 얼마나 중요하게 생각하는데.. 제가 이 도시에 살고싶다는 생각은 전혀 들지 않네요 ㅎㅎ
@user-zk7yf7qp6d
@user-zk7yf7qp6d Жыл бұрын
와 정말 잘봤습니다 😊 정말 건축이란 학문은 멋지고 대단하네요 !
@user-xf7kl8ej7y
@user-xf7kl8ej7y Ай бұрын
결국 사업 무리수로 2.4km로 결정
@jjimdak4130
@jjimdak4130 6 күн бұрын
이것 또한 되겠냐고.. 국회의사당에서 63빌딩까지 롯데타워 높이의 건물이 일직선으로 생기는게 불가능하다고 봄
@m.sj.2830
@m.sj.2830 7 ай бұрын
같은 주제의 얘기라도 참 재미있게 풀어주시네요... 잘 봤습니다...
@user-zn9qo3mv9q
@user-zn9qo3mv9q Жыл бұрын
짜릿하다... 지식인의 논리있는 비판 너무 재밌어요ㅜ
@minkwon8763
@minkwon8763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NEOM 프로젝트를 최초단계에서 Morphisis랑 협업했었습니다. 교수님이 생각하시는 두가지 이슈에 대해서는 1. 애초에 Morphosis의 현상안인 LINE의 당선 이유가 4개의 NEOM지역성( coastal desert, desert, mountain, mountain plain)을 잇는 도시이다 라는 점에서 그랬던 것이라 바닷가로만 형성되지 않았습니다. 두번째는 애초에 라인을 따라 8개의 분절된 도시가 남북축의 생태통로를 잇는 역할도 하는 큰 그림이 있었고 그 도시가 15개로 늘어나 3백만을 채우는 그림이었으나. 빈살만왕세자의 생각과는 달랐던 것입니다. 구독만하던 애청자 인제 이렇게 댓글달 일도 생겨서 뿌듯하네요ㅎ
@user-xz6cg5tl6n
@user-xz6cg5tl6n Жыл бұрын
@@gtl1686 그냥 그런가보다 해라 너는 말해도 모른다
@0_0t
@0_0t Жыл бұрын
@@gtl1686너 부터 논점을 모르는거 같은데 그래서 논점은? 이러고 있노ㅋㅋㅋ 그래서 오늘 급식은?
@ilillliillliillliliiililiili
@ilillliillliillliliiililiili Жыл бұрын
음 완전히 이해했어!(하나도 이해못함)
@Srrrrrrrrrrrrrrrrrrrr4
@Srrrrrrrrrrrrrrrrrrrr4 Жыл бұрын
@@0_0t 그래서 논점을 날리면 바이든은 쪽팔려서 어떡하냐
@lilillilllilil
@lilillilllilil Жыл бұрын
@@Srrrrrrrrrrrrrrrrrrrr4 ㅋㅋㅋ뻘하게웃엇네 ㅋㅋ
@user-kf6xn3mu7h
@user-kf6xn3mu7h Жыл бұрын
영상 잘 봤습니다. 감사합니다. 화이팅 하세요
@user-su5rt2dk8p
@user-su5rt2dk8p Жыл бұрын
진짜 밥먹으면서 보기 너무좋은 영상인거같습니다 계속 빠져들어요
@bear7377
@bear7377 Жыл бұрын
전 제일 걱정되는 것중에 하나가 반사광으로 인해 주변 환경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모른다는게...
@upperhand3099
@upperhand3099 Жыл бұрын
철새가 유리창에 많이 부딪히기 때문에 영향을 미칠 수 있겠다고 생각했었는데 사막이라는 지형 특성상 생물 다양도가 극히 낮고 곤충은 대형건축물에 크게 영향을 받지도 않기에 환경 영향은 제한적일것 같은데 문제는 낮에 주변을 지나가는 비행기나 선박의 운행에 영향을 줄 것 같음
@ark3mis
@ark3mis Жыл бұрын
거기 투입된 전문가들이 분석했을텐데 별로 악영향은 없을거 같아요. 애초에 사막이라 황폐화 되어 있던데
@mrjoo1983
@mrjoo1983 Жыл бұрын
주변에 사막밖에 없는데...
@user-ho8dn6th4n
@user-ho8dn6th4n Жыл бұрын
저는 뭐니뭐니해도 화재가 걱정이네요. 일자로 쭉 이어놓은 도시에 화재라도 나면...
@user-qe9ti7je1w
@user-qe9ti7je1w Жыл бұрын
@@upperhand3099 유리의 반사율은 조절가능할듯.
@user-oi9fg2qr9p
@user-oi9fg2qr9p Жыл бұрын
목소리가 너무 좋으셔서 잠안올때 고민많을때 틀어놓고 눈감으면 금방 자게됨ㅎㅎ진짜 목소리 너무 좋으세요. 푹자려고 들어왔어요😅 (낮에도 봐서 내용은 다알아요)
@user-ub3wd4nx3g
@user-ub3wd4nx3g Жыл бұрын
직선이 아니라 점선으로 여러 개 만들어 건물 사이에 풍력발전하는 아이디어 좋네요.
@sssssplususer
@sssssplususer Жыл бұрын
건축 토목에 관심없는 사람들은 뉴스만 보고 “와…우리나라도 빨리 저 프로젝트 수주해야한다 미래도시가 지어진다니!”이러지만 다양한 관점에서 봐야 객관적인 판단이 가능한거 같네요!
@user-ho8dn6th4n
@user-ho8dn6th4n Жыл бұрын
저는 저 500미터 높이에 170킬로미터 길이의 도시를 보면서 가장 먼저 들었던 생각이 화재가 나면 어떡하나였습니다. 아무리 예방책을 치밀하게 세우더라도 화재를 완벽하게 예방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생각하는데, 저렇게 거대한 스케일의 건물에 화재가 났을 때 어떻게 될지 상상해보니 매우 끔찍하더군요. 그리고 저렇게 거대한 장벽을 세우면 그곳의 환경에 어떤 영향을 끼치게 될까도 심히 염려됩니다. 자연을 완벽히 이해하고 있으며 예측 가능하다고 생각하는 오만함은 항상 화를 불러왔습니다. 정말 수도 없이 많은 예시가 있지만 가장 먼저 떠오르는 것이 호주의 토끼네요. 유희용으로 아무 생각없이 들여온 몇마리의 토끼가 수억마리로 불어나 호주 생태계를 박살냈고, 게다가 그 후 천적을 이용해서 토끼 개체수를 조절해보겠답시고 여우를 들여와 또 한 번 호주 생태계가 박살났죠. 자신이 예측 가능한 범위에서 자연이 움직여줄 거라는 낙관주의는 도대체 얼마나 더 부정당해야 인간들에게서 사라질까요? 저 거대한 장벽을 설계한 사람들은 저것이 자연에 끼칠 영향을 면밀하게 검토했을지, 혹시 그렇게 했더라도 정말 자연이 그들의 예측 범위 안에서만 움직일지 심히 의구심이 듭니다.
@davidkim8694
@davidkim8694 Ай бұрын
12:07 ㄹㅇ ㅋㅋㅋㅋ 밥먹다가 뿜ㅋㅋㅋㅋ
@user-ul2kb6pu6n
@user-ul2kb6pu6n Жыл бұрын
말씀을 너무 잘하시네...좀 배우고 싶네요. 잘 보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user-wx1zs4qj6x
@user-wx1zs4qj6x Жыл бұрын
이분 영상은 처음 보는데 건축가가 건축 뿐만 아니라 다방면으로 많이 알고있어야 하나보네요 좋은 퀄리티 영상 잘 봤습니다
@HEATH_EDU
@HEATH_EDU Жыл бұрын
귀에 쏙쏙 들어오는 설명..ㅎ
@user-bt9sd7gz5x
@user-bt9sd7gz5x 2 ай бұрын
일반인으로써 느낀점은 건축은 가능하겠으나 유지하는 비용이 엄청날것으로 보임니다. 그리고 벽면 한곳이 손상되면 거기를 막을수(보수작업)는 있을까요? 공기흐름이 빨라서 격벽이 없이는 불가능 할것 같은데요 하나더 여러사람이 바람도 통하지 않은곳(특히 아랫층)에 살면 식품, 채취, 등 냄새가 많이날텐데 공기순환설비가 큰면적에 가능할까요? 격벽도 없는데 전쟁등으로 부분적으로 파손이 되면 전체의 내부 환경이 흐트러 질텐데 문제가 없을까요? 교통두절로 인한 음식물 이동불가, 식수 및 용수공급 차질, 출퇴근 문제등 제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170KM를 동그랗게 만들고 이동을 위해서는 내부에 + 형태의 통로를 만들면 이동이 쉬울것 같고 사용상의 효율도 높을텐데요, 굿이 일자로? 식량확보를 위해서는 동그란 원 밖에다 별도의 육류팜(아팟형태), 채소팜을 만들어야 할것으로 보입니다. 그리고 비 전문가인 제가봐도 거의 불가능한 프로젝트가 아닌가 합니다. 빈 살만 이분 상상력은 있어 보이나 현실과의 괴리에 대해서는 깊은 생각이 없는듯 보이네요 우리나라 건설회사가 네옴시티 건설에 참여하면 계약조건이 온전히 시공만을 위한 조건이 되어야겠지요 투자, 운용 이런것 까지 개입되면 실패할 경우 회사가 매우 어려워 질것으로 보임니다.
@formyfaterland
@formyfaterland Жыл бұрын
교수님은 미래도시의 조건을 어떻게 보시는지, 완전한 새로운 메가시티를 짓는다고 했을 때 조건들을 영상으로 만들어 주셨으면 흥미롭겠습니다. 어렸을 때 미래도시 그림그리던 생각이 나네요.
@johhny_laila
@johhny_laila Жыл бұрын
17분간의 팩폭 ㅋㅋㅋㅋㅋㅋ 아 되게 흥미롭게 강의 들었어요! 빈살만은 돈이 너무많아서 하고픈거 다 하고재끼며 사는듯...ㅋㅋㅋㅋ
@user-rd8np6uq2c
@user-rd8np6uq2c 7 ай бұрын
일반인들은 알지 못하는 사실들을 아주 쉽게 설명 해주셔서 이해하기 쉬웠습니다. 17분짜리 영상을 엄청 집중 해서 보게 되네요 ㅎ
@user-ml5iv9sf6g
@user-ml5iv9sf6g Жыл бұрын
벌거벗은 세계사에서 사우디아라비아 빈 살만의 네옴시티 방송보고 셀레여서 유튜브 검색했는데 벌거벗은 세계사에 나오셨던 교수님이셔서 더 신뢰가 가고 방갑기도 합니다~ 정말 많은 돈을 투자해서 계획되고 실현중인데 부디 제발 교수님 영상이 빈살만에 도달되어서 혹시 모를 막대한 피해를 예비했으면 하는 마음이 듭니다~~ 이 영상 누가 꼭 좀 빈살만이 볼 수 있도록 전달하여 주시기를~~ 많은 희망이 예상치 못한 변수로 이후 후폭풍의 잔해가 되지않도록, 어떤 부분은 실현성공이 되었지만 어떤 부분은 돌이킬 수 없는 치명적 피해로 남지 않도록 교수님의 우려사항이 꼭 정보전달 되었으면 하고 희망합니다. 다른 나라 네옴시티 건설이지만 어떤모습으로 완공 되드라도 꼭 인명피해, 막대한 자금손실이 허무하게 무너지지 않기를 바래 봅니다~~빈살만이 작년기업 총수들만 초대한 부분이 너무 아쉽네요~ 이렇게 유능하고 선경지명한 학자분이 계신데~~ 누가 꼭 좀 이 우려상항이 빈 살만에게 전달되어 네옴씨티 도시계획에 반영되게 해주세요~~~~제발~~
@qwertyuiop-fx8ps
@qwertyuiop-fx8ps Жыл бұрын
속시원하다 역시 아는 만큼 보이는게 맞군요... 네옴시티가 벌써 진행 중인 것 같던데 친환경적이라는 슬로건을 잃지 않았으면 좋겠네요
@vintenku
@vintenku Жыл бұрын
오ㅏ...진짜 지식이 굉장히 풍부하시고 논리정연 하네요ㅎㅎ 아무것도 모르는 사람도 이해가 쏙쏙 되는 영상이였습니다!
@user-qn1vu9mh1b
@user-qn1vu9mh1b 11 ай бұрын
너무흥미롭고 재밌고 또 유익해요! 알찬영상이네요
@user-xs6qe1kt5h
@user-xs6qe1kt5h Ай бұрын
전문가의 혜안이다
@user-rv1gz2sd2v
@user-rv1gz2sd2v Жыл бұрын
미래신도시들의 건축에도 인간을 위한 인간적이며 생물이 자라나고 번성하는데 대한 본질을 훼손하지말았으면 좋겠어요 건축가들의 프로젝트 대단함을 느낍니다
@user-sp9mz4uy4f
@user-sp9mz4uy4f Жыл бұрын
역시 분석하는 깊이가 다르네요.
@jishan6992
@jishan6992 Жыл бұрын
Brilliant explaination!
@JJuser
@JJuser Жыл бұрын
비현실 같으면서도 현실화 되면 건축의 한 획을 긋는 프로젝트죸ㅋ
@jkj7880
@jkj7880 Жыл бұрын
현준님 영상은 영어랑 중국어 일본어 필수라고 생각합니다 ㅋㅋ 다양한 번역자가 절실하게 필요한 영상 같아요 추천누르고 갑니다.
@mai4912
@mai4912 Жыл бұрын
MVRDV ..오랜만에 듣네요^^ 학창시절 진짜 센세이셔널했는데.. 전문적이고 현실적인 분석 감사드려요 MBS한테 꼭 연락오시길~~😅😅😅
@user-ht8to5zl6n
@user-ht8to5zl6n Жыл бұрын
이 영상 보고 구독 눌렀습니다.냉철하십니다!!
@user-ye6ol8vv1m
@user-ye6ol8vv1m Жыл бұрын
즐겁게 잘 봤습니다! 감사해요
@user-gr7zk1pc7n
@user-gr7zk1pc7n Жыл бұрын
너무 재밌어요... 학부때 교수님 만났다면, 아마 인생이 달라졌으리라 확신이 들만큼, 지금이라도 조금씩 더 배워가며 달라져 보렵니다.
@user-ps3bo8rm7p
@user-ps3bo8rm7p Жыл бұрын
재들만큼지금맛없재
@leechanghyun
@leechanghyun Жыл бұрын
딱 보자마자 직관적으로 떠오른 문제점들을 교수님께서 바로바로 말해주시니까 너무 좋네요 ㅋㅋㅋㅋㅋㅋ 가려운 곳을 긁어주는 느낌도 나고 ㅋㅋㅋ 아무튼 이번 영상도 잘 봤습니다 ㅎㅎ
@user-ur6vj1wt3d
@user-ur6vj1wt3d Жыл бұрын
후학들에게 큰 교과서가 됨니다. 더 더 많은 연구와 공부 하셔서 세계에. 도움되는 분이 되셔야하겠습니다.
@jimin2961
@jimin2961 Жыл бұрын
논리적이라 이해가 쏙쏙 멋지십니다
@sia.T
@sia.T Жыл бұрын
극단적 자본주의와 독재권력은 동일하다는 명제에 천착해 있는데 마침 건축으로도 이런 통찰이 가능하다는게 흥미롭습니다. 우리가 역사적으로 상식적으로 이해가 안되던 수많은 사례들이 어떻게 가능할수 있었는가를 리얼타임으로 감상하게 됐네요. 절대적 부와 권력이 제 2의 진시황으로 남을것인지 아닌지 개인적으로 만리장성에 대해 경이롭다란 느낌보다는 그져 무지막지하다는 감상을 느끼는 1인으로서 정말 흥미롭습니다.^^
@kmch7286
@kmch7286 Жыл бұрын
건물에 걸리는 어마어마한 풍압도 문제지만 500미터 170km 장벽이 생긴다면 산맥이나 마찬가지라 산맥이 기후에 영향을 주는 것처럼 장벽을 사이에 두고 상당한 온도차, 습도차 같은 게 발생해서 희안하고 파괴적인 기상현상 같은 게 생길 듯.
@user-nz2yt5oz6n
@user-nz2yt5oz6n Жыл бұрын
헉 드디어 네옴시티에 대한 얘기를 해주시는군요! 감상 전 미리 댓글답니다 ㅋㅋ
@user-wq4sh5go4y
@user-wq4sh5go4y Жыл бұрын
헐... 설명 들어보니 진짜 스마트하시네요 ㄷㄷ
@user-sb7co6rz6e
@user-sb7co6rz6e 6 ай бұрын
12:30 우리가 이런 얘기 하면 개소리 허황된 소리인데 유교수님이 말하니까 가능성이 없진 않은게 멋있네요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goodluck3269
@goodluck3269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교수님 ❤ 오늘도 재미있는 이야기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교수님이 공모전에 냈던 작품들 다 ~ 알고싶어용 ❤ 오늘도 너무 멋지신 교수님😍😍오늘도 공부 합니다 🥰
@babyji1013
@babyji1013 Жыл бұрын
항상 영상 보면서 드는 생각이지만 건축은 과학적 수학적 지식이 정말 풍부해야 하네요. ‘여러분들이 저를 씹으셔도 될 것 같습니다’ 라는 말씀의 자신감 멋져요!
We Got Expelled From Scholl After This...
00:10
Jojo Sim
Рет қаралды 23 МЛН
Эффект Карбонаро и бесконечное пиво
01:00
История одного вокалиста
Рет қаралды 6 МЛН
La revancha 😱
00:55
Juan De Dios Pantoja 2
Рет қаралды 33 МЛН
Balloon Stepping Challenge: Barry Policeman Vs  Herobrine and His Friends
00:28
The daily life of the rich Saudi Arabian
41:57
휴먼스토리
Рет қаралды 1,9 МЛН
Why Europe and America’s dying forests could be good news
13:30
중국이 미국을 이길 수 없는 근본적인 이유
15:28
셜록현준
Рет қаралды 4,1 МЛН
We Got Expelled From Scholl After This...
00:10
Jojo Sim
Рет қаралды 23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