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막뉴스] 단 4일이면 건물 뚝딱! 놀라운 기술 발전 / YTN

  Рет қаралды 1,557,983

 YTN

YTN

Күн бұрын

경기 김포의 한 사무실.
평범한 2층 건물.
내부 역시 일반 사무실과 다르지 않습니다.
그런데 특별한 점이 하나 있습니다.
2층 사무실의 뼈대는 3D 프린터로 만들었습니다. 기본 뼈대를 만드는 데 걸린 시간은 단 4일밖에 되지 않습니다.
면적은 30평, 99㎡.
3D 프린터로 만든 'ㄱ'자 벽체 10개를 사용해 건물의 기본이 되는 골조를 세웠습니다.
나흘밖에 걸리지 않은 기간도 기간인데, 비용 절감은 더 놀랍습니다.
2층 사무실을 짓는데 들어간 비용은 8,300만 원.
창호와 바닥, 전기 등 내부 공사가 전체 비용의 90% 이상을 차지하는데, 기본이 되는 골조 공사는 단 2명의 인원으로 700만 원도 들지 않았습니다.
[김동현/세종대학교 건축공학부 교수 : 최근에 인건비하고 자재비가 너무 상승해서 공사 비용이 많이 증가가 됐죠. 그래서 지금 이 3D 프린팅을 이용해서 공사하면 사실상 일반인들이 자기 집을 지을 때 부딪히게 되는 많은 진입 장벽들이 많은 부분이 해소될 수 있을 거로 생각합니다.]
문제는 법이 없다는 겁니다.
관련 인증과 안전기준, 규정이 마련돼 있지 않아, 사람이 주거하는 건물을 상용화할 수 없고 만들어도 표본에 그칠 수밖에 없는 게 국내 현실입니다.
[이성민/한국건설품질연구원 부원장 : 여러 가지 어떤 규제 사항들이 있는데 우리가 속히 이런 걸림돌들을 제거해야지 우리나라의 활성화뿐만이 아니라 세계 시장을 선도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이미 일본과 미국, 유럽 등 해외에서는 3D 프린팅 주택을 짓고 있는 상황.
국내 기업들도 이미 기술력을 충분히 갖춘 것으로 평가되는 만큼, 관련법 마련이 시급해 보입니다.
YTN 홍성욱입니다.
▶ 기사 원문 : www.ytn.co.kr/...
▶ 제보 하기 : mj.ytn.co.kr/m...
▣ YTN 유튜브 채널 구독 : goo.gl/Ytb5SZ
ⓒ YTN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Пікірлер: 1 900
@user-schoolPEtv
@user-schoolPEtv Жыл бұрын
전원주택을 지으려고 해도 건축비 부담으로 꿈을 접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 기술이 상용화되길 바랍니다. 기대합니다. ^^
@swswsssww4839
@swswsssww4839 Жыл бұрын
땅값이 더 비싸지 않음...? 우리집은 땅값이 더 비싼데
@팜팜팜팜팜팜
@팜팜팜팜팜팜 Жыл бұрын
@@swswsssww4839 전원주택은 도심과 떨어진 곳에 짓다보니 땅값이 그렇게 비싼 편은 아님
@swswsssww4839
@swswsssww4839 Жыл бұрын
@@팜팜팜팜팜팜 ㅇㅎ 다들 도심언저리에 짓는줄
@lojkos8252
@lojkos8252 Жыл бұрын
@@swswsssww4839 단독주택을 짓던 아파트를 짓던 상가건물을 짓던 거의 대부분 땅값이지
@islandtree7577
@islandtree7577 Жыл бұрын
​@@swswsssww4839땅값이 더 비싸다고 건축비가 만만하나요? 땅값을 줄일 수 없으면, 건축비라도 낮춰야지요.
@좀적당히
@좀적당히 Жыл бұрын
지금도 골조만 따지면 별차이 없음 기초, 인테리어, 익스테리어 비용이 사악함
@Aki-y3g8s
@Aki-y3g8s Ай бұрын
인건비가 비싸니까.
@성이름-g3i4t
@성이름-g3i4t Ай бұрын
인테리어쪽도 업계가 너무 폐쇄적임 언제 한번 세대 물갈이 싸악하고 기간 길어져도 좋으니 가격 거품 좀 사라졌으면
@runonio
@runonio Жыл бұрын
응원합니다. 하루빨리나오기를
@매장-v5z
@매장-v5z 3 ай бұрын
4일인데 왠 8천?? 땅값빼고 2천이 적당해보이는데??
@왜불넝
@왜불넝 Жыл бұрын
저런 건물이 건축비용 기간 간소화 가능 하지만 제대로 실용화 되려면 내진설계라던지 소음 문제등은 없는지 보완이 잘 되어서 시장에 나왔으면 좋겠네요
@코카콜라한병
@코카콜라한병 Жыл бұрын
문제 없습니다 ㅎ 오히려 더 강한데 인식이 바뀌는데 오래 걸릴듯합니다.
@your_mama_is_fucking_slut
@your_mama_is_fucking_slut Жыл бұрын
철근 빼먹고 공사짓는 것 보단 소음 잘 잡을듯
@kololado
@kololado Жыл бұрын
인식이 아니라 카르텔때문
@jseok7684
@jseok7684 Жыл бұрын
@@kololado 네.. 동의 합니다...제일 심한것이 토건 카르텔 이죠...그렇기 때문에 그 좋은 기술을 아직도 못쓰고 있어요. 힘 있는 사람들이 돈이 되지 않으면 못하게 해버립니다.....
@jh-dv9hq
@jh-dv9hq 10 ай бұрын
​​@@relly0816 근데 진짜 몰라서 그러는건데 시멘트 떡칠이 철근이없는데 높이 4메타 5메타를 버틸수있어요?
@j.j.2066
@j.j.2066 Жыл бұрын
법과 규정이 있어도 철근 등 부자재를 빼(떼)먹고 아파트 올리는 건설사를 생각하면, 기술의 발전으로 새로운 도전이 안 될 이유가 뭐가 있을까 싶습니다.
@금이빨-s8i
@금이빨-s8i 9 ай бұрын
국회의원들도 법 안 지키는데 있어야 하나?
@척추3단접기
@척추3단접기 9 ай бұрын
​@@금이빨-s8i그냥 아닥!
@템베타
@템베타 7 ай бұрын
@@금이빨-s8i 솔직히 국개전체인원보다 성능좋은 ai 1대로 대체하는게 훨좋아보이는데
@speedabs
@speedabs Жыл бұрын
건축비 저렴하게 지을 수 있으면 좋겠다 너무 기대 된다 상용화 되기를 바랍니다~~
@KoreanDorre
@KoreanDorre Жыл бұрын
어차피 저정도 규모의 건축이면 대형 건설사 밥줄 건들지도 않는데 얼른 상용화합시다. 신규 일자리도 만들어지고 틈새시장 활성화 등 좋은 면이 보이는 군요
@이정순-y9r
@이정순-y9r Жыл бұрын
신규 일자리가 어떠케 마년되냐? 미장, 철근공,다 필요없는데, 그래서 단가가 낮은거자나.
@KoreanDorre
@KoreanDorre Жыл бұрын
@@이정순-y9r 아니 적어도 비상시 조종하는 사람이랑 관리하는 사람, 저 기계 생산, 수리센터 등 많잖아? 전부 로봇이 할 수 있을거라 생각하는거야? 그리고 건물 하나 완성하면 저거 다시 창고로 옮기거나 다음 건축 장소로 옮길 때 대형화물트럭 수요도 생길 거고 ㅋㅋ
@ytbang995
@ytbang995 Жыл бұрын
대굴빡나쁘면 조용히나있지... 일자리감소가 눈에 보이는구만...ㅉ
@ldw1120
@ldw1120 Жыл бұрын
저정도 건물 짓는데 필요한 수많은 인원수요가 싹 사라졌는데 어떻게 일자리가 만들어짐 줄어들면 모를까
@ldw1120
@ldw1120 Жыл бұрын
​@@KoreanDorre3d 프린터기로 돌아가는 공장 관리 인원과 모든 시공을 직접 사람이 하는 쪽 중 어느쪽이 인력이 많이 필요한지 꼭 알려줘야만 아는거임? 비싼 최신기계를 갖다쓰고도 왜 건축비용이 확 줄었겠음?
@김영민-x2i1x
@김영민-x2i1x Жыл бұрын
3D 프린팅이라는 기술이 출시되었다고 들은게 엊그제 같은데 어느 새 사람이 살 수 있을만한 건물까지 지을 수 있는 정도까지 성장했다니 정말 놀라운 발전인 것 같습니다. 관련 법안이 아직 전혀 없는게 전혀 문제라는데 하루빨리 법안이 만들어지고 시행되면 좋을 것 같습니다. 주택에 대한 부담을 확 낮출수 있는 좋은 기술인 것 같네요!
@acknowledgebook8494
@acknowledgebook8494 Жыл бұрын
국개의원들이 일을해야지
@mm-bl3tj
@mm-bl3tj Жыл бұрын
정부가 이글을 싫어합니다
@LDJ_LDJ
@LDJ_LDJ 3 ай бұрын
​@@mm-bl3tj 정부가 독수리를 싫어합니다
@수구리-q5z
@수구리-q5z Жыл бұрын
이런 집이 널리 보급되어야 된다고 봅니다.
@bigboyb3961
@bigboyb3961 Жыл бұрын
노가다 다 망햇네 ㅋㅋ
@네이스-c2k
@네이스-c2k Жыл бұрын
지진나봐라
@spurstot5856
@spurstot5856 Жыл бұрын
3d프린터운용기능사 있는데 2년간 취업할때가 없던데... 저런 회사는 어떻게 들어가야되나ㅋㅋㅋ
@영상시청용
@영상시청용 Жыл бұрын
@@베슥힌랍인스-n3f철근이 없어보이는데 지진에 강할 수 있나요..? 영상에 죄다 콘크리트 뿐이라 실제로 철근이 다 들어가는지 안나와서 모르겠는데 없으면 터키꼴나는거 아닌가
@영상시청용
@영상시청용 Жыл бұрын
+ 검색해보니 보강 철근 들어간다고 하네요 허허
@user-fh6ul4te1m
@user-fh6ul4te1m Жыл бұрын
부실공사 비중이 낮아서 맘은 편할것 같네요
@gorgopaide8041
@gorgopaide8041 3 ай бұрын
뼈대 잘 지어 놓고 인테리어 부실로 하면 그것도 망하는거라..
@quaterhead2372
@quaterhead2372 3 ай бұрын
대체 부실공사 비중이 낮은건 뭔 개소리지 ??
@엽기남
@엽기남 Жыл бұрын
안전상 문제없다면 상관없을듯. 건물 강도나 화재 혹 환경이슈만 없다면 서민 주거안정을 위한 보급으로 좋을듯.
@금이빨-s8i
@금이빨-s8i 9 ай бұрын
국회의원들도 법 안 지키는데 있어야 하나?
@도도-k3g
@도도-k3g 7 ай бұрын
ㅇㅈ 필요없어​@@금이빨-s8i
@카네아-y5v
@카네아-y5v 3 ай бұрын
문제가 없다 못해 솔직히 내구성 면으로만 보면 순살건물보다 1억배는 튼튼할 듯.
@dukkukuk
@dukkukuk 10 ай бұрын
기술혁신 좋네요 사무실같은건 진짜 좋을듯
@박규진-z5c
@박규진-z5c 5 ай бұрын
🇰🇷 🇰🇷 🇰🇷
@dhksrb12314
@dhksrb12314 Жыл бұрын
한국같은경우 하루빨리 보편화돼야..집값거품과안정화에 좋은듯...
@baram42
@baram42 Жыл бұрын
땅이 있나요 ㅋ
@baram42
@baram42 Жыл бұрын
@스펀지송 ㅋㅋㅋ 왜 전라도 농지 다 밀라고 하지
@baram42
@baram42 Жыл бұрын
@스펀지송 ㅋㅋㅋ 진짜 불쌍하다 니 부모가, 니 자식이 니 글 본다 생각해봐라 한심 ㅉㅉ
@baram42
@baram42 Жыл бұрын
@스펀지송 ㅉㅉ 끝까지 한심하네
@baram42
@baram42 Жыл бұрын
@스펀지송 ㄹㅇ 한심 끝판왕
@sjudhsdd2579
@sjudhsdd2579 Жыл бұрын
앞으로 저런 3d 프린팅 및 조립식 건물이 많이 나올겁니다
@KSKim-kc4dz
@KSKim-kc4dz Жыл бұрын
이건 혁명임
@k_soo513
@k_soo513 Жыл бұрын
철근 뼈대만 들어가야 혁명일듯요..
@bmwAnseong
@bmwAnseong 3 ай бұрын
😊
@yogipower1598
@yogipower1598 3 ай бұрын
다른데는 모르겠고 미국에서는 나무가 주 재료라서 건물이나 집 짓는데 이정도 비용도 많은 측에 끼게 되서 많은 발전이 필요할거 같습니다.
@oji-lt6vd
@oji-lt6vd 3 ай бұрын
@@yogipower1598 우리나라 기후에서 목조건물은 ㅠㅠ
@mata_ashita
@mata_ashita 3 ай бұрын
@@yogipower1598 나무랑 비교해도 존나 싼건데요? 게다가 국내에선 나무집 생활 할수있음해보셈
@user-oi391
@user-oi391 6 күн бұрын
건설사 뒷돈받고 허가 미루지 말고 빨리 허가 통과시켜라 공무원들아 서민들도 집 구매하자 이것들아 흙집도 있는데
@양정욱-w7g
@양정욱-w7g Жыл бұрын
왠지 기존업체들이 로비해서 막고 있을 거 같다
@ytbang995
@ytbang995 Жыл бұрын
에혀 안타깝다... ㅋㅋ
@JHY-d2c
@JHY-d2c 10 ай бұрын
그럴지도..
@Umhahah1234
@Umhahah1234 10 ай бұрын
충분히 그럴수도 있지,, 국민을 위하는척 안전을 핑계로ㅋㅋ
@호두구속
@호두구속 9 ай бұрын
전세계적으로 아직 상용화 테스트 하는 단계인데 이렇게 시야 좁은 애들 보면 참 역겨움. 신기술이 그렇게 바로바로 적용되는줄 아나;
@hksun1336
@hksun1336 6 ай бұрын
그렇지 싶네요
@Wook-h2b
@Wook-h2b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도 빨리 보편화 되었으면 좋겠네요
@토도-w5o
@토도-w5o Жыл бұрын
보편화되고 상용화 되어야 한다 . 자재값도 돈이지만 인건비도 너무 오르고 일 대충하는 인부들도 많아 시급하다!
@inkyun
@inkyun 7 ай бұрын
2층 사무실 골조 비용만 700만원인거고요 인테리어 비용에 국내 건축법이 요구하는 단열 및 비용들이 들어가서 인테리어 비용이 7000만원대 그래서 총 공사비가 8000만원대라는 겁니다
@quaterhead2372
@quaterhead2372 3 ай бұрын
@@inkyun 저능아들한테 뭔말을해 그냥 무시해 ㅋㅋㅋㅋㅋ
@billyhult77
@billyhult77 3 ай бұрын
결국엔 30평 2층건물 짓는데 건물 자체로만 695만원이들었으니, 일부는 어느정도 직접하면 더 싸게 할수있다는 애기네. 3d프린팅으로 만든것들이 로켓에도 들어가기때문에 안정성은 충분히있다고 생각됩니다.환경적인 문제만없다면 괜찮을 듯. 특히 농막같은경우는 인테리어 도배 이런거 필요없고 전기만들어오면되니 진짜 싸게 할수있겠네요.
@ruttatata2023
@ruttatata2023 Жыл бұрын
부동산이 비싼 이유는 비용보다는 위치다.
@ruttatata2023
@ruttatata2023 3 ай бұрын
@ 그니까 그 토지비가 위치에 따라 달라진다고. 무식하네.
@user-wc7tz2xs4q
@user-wc7tz2xs4q 3 ай бұрын
둘다좀닥쳐라
@Darkness-ir7du
@Darkness-ir7du Жыл бұрын
이미 예전부터 있던 3d 프린팅 시장에서 상용화 안되는데는 다 이유가 있습니다. 실제 공사 까지 해본 사람입니다. 1. 내구성 문제로 외장재 선택의 한계가 있습니다. 2. 소음 진동이야 참을 수 있다지만 시간이 흘러서 균열살짝 가도 외부 마감재가 없거나 발수제 제대로 도포 해주지 않는 이상 물이 샐 우려가 큽니다. 3. 또한 실의 크기가 철근콘크리트에 비해 다소 작을 수 있습니다. 4. 실의 크기가 한정되다 보니 원하는 디자인을 구현하기가 어렵습니다. 5. 내구성 검토가 필요해 보이며 뼈대를 구축할 수 있는 철근이나 beam 을 삽입하여 내진구조 및 내화성에도 신경 써야 할 것입니다. 6. 아무리 시공을 잘 한다 한들 벽체 미장 공사 하지 않고 단열공사 진행하시면 바로 돈 버리는 꼴 되버립니다. 경질우레탄 폼은 대한민국 시험성적서 기준을 만족 못하는 경우가 태반이기에 추천 안드립니다. 7. 우리나라는 4계절로 인해서 날씨가 거의 일정하지 않다보니 기후변화에 따른 정신 건강이 해로울 수 있습니다. 장점 : 공기단축으로 비용을 아낄 수 있다.
@도톤보리강
@도톤보리강 Жыл бұрын
굿 이런게 궁금했음 자동차 초반에사면 결함있는거마냥 대충믿고사면 후회할듯 ㅎ.ㅎ
@JD-md3qk
@JD-md3qk 9 ай бұрын
캘리포니아 같은 곳은 그냥 되겠네....우리는 내장재를 넣어야 할텐데 그게 시간이 걸리려나...
@bycut
@bycut 9 ай бұрын
뒤쳐지는사람들은 이유가있다
@intelamd3076
@intelamd3076 3 ай бұрын
토목공학적으로도 3d 프린팅이 우수한가요? 건축도 중요하지만 터파기 공사부터 지하주차장까지 그리고 골조라는게 튼튼한 토목으로부터 뒷받침되는 건데, 토목이 흔들리면 아무리 공기가 단축되고 가격이 저렴해도 사람들이 고품질의 건축물로 생각하지 않을 것 같은데...
@rkflwk
@rkflwk 3 ай бұрын
좀더 공부하세요. 외국 사례도 보시구요. 기후요? ㅎㅎ 이미 3d 프린터는 님이 말씀하신 모든 것을 다 커버할 수 있는 기술입니다. 오히려 더 안전하고 더 기후에 대응이 좋다는 평가가 있죠. 기존에는 철근과 콘크리트가 다이니까요. 철근 콘크리트의 장단점부터 먼저 공부해 보세요. 지금 영상의 저런 업체 같은 경우는 영상만봐도 주택을 짓는데 아무런 문제도 없어보이고 기술력도 있는 회사네요. 물이 센다고요?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아휴 진짜 조선시대 문호개방이 왜 어려웠는지 님 DNA 보면 알 수 있을 것 같네요.
@산옥이-k7i
@산옥이-k7i Жыл бұрын
독특하니 이쁘네요
@cuteecho
@cuteecho Ай бұрын
와 정말 기술이 점점 발달해서 이렇게 편하게 또는 싸게 건물을 지을 수 있다는 게 너무 기쁜 소식이고 자랑스럽네요❤❤❤
@김용찬-p4u
@김용찬-p4u Жыл бұрын
너무 너무 괜찮다~ 시급히 법제정해서 발전하고 국내, 세계로 활용됐으면 좋겠네
@박규진-z5c
@박규진-z5c Жыл бұрын
👏👏👏👏👏
@킴뽈
@킴뽈 11 ай бұрын
이미중국은 저걸로 5층까지 지어요
@FawkesKorea
@FawkesKorea 9 ай бұрын
골조는 로봇이 대세 인증과 법안이 안전과 함께 도입을
@크리에이터조제
@크리에이터조제 Жыл бұрын
몇년 전부터 계속 3D 프린터 사업이 미래사업으로 이야기되어왔고 지금은 이미 현실이 되었는데도 아직도 법이 없다니 ㅋㅋㅋ
@syj0304
@syj0304 10 ай бұрын
결로,단열,소음,방음,건물유지기간 5개의 치명적 단점을 보완해야 이시장을 장악가능....
@jekeem-xu5ql
@jekeem-xu5ql 9 ай бұрын
+안전
@꼬마돌-d2b
@꼬마돌-d2b 9 ай бұрын
그건 지금 콘크리트 아파트, 상가들도 마찬가지임
@YS-tw2ce
@YS-tw2ce 9 ай бұрын
현재 만든 아파트들 수명이 30년이라고 건물 설계사인 지인이 그러던데 ... (진짜입니다...)
@inkyun
@inkyun 7 ай бұрын
2층 사무실 골조 비용만 700만원인거고요 인테리어 비용에 국내 건축법이 요구하는 단열 및 비용들이 들어가서 인테리어 비용이 7000만원대 그래서 총 공사비가 8000만원대라는 겁니다.
@황금빛인생-d5f
@황금빛인생-d5f 4 ай бұрын
바보 아냐? 저걸 보고 단열 소음 방음 결로 를 ? 말하다니 ..
@Happynism
@Happynism Жыл бұрын
우와 공사시간 4일에 가격 ㅎㄷㄷ 너무 좋네! 좋다
@grx1988
@grx1988 Жыл бұрын
땅값비중이 매우크고 건축비는 얼마안되요 상용화되어봐야 가격 체감 할 정도로 안내려가요
@user-mir9711-no.1
@user-mir9711-no.1 Жыл бұрын
​@@grx1988 땅값은 서울 경기도나 그렇고 지방은 땅값 ㅈㄴ싸다
@김대현-u7y
@김대현-u7y Жыл бұрын
건축비가 얼마안된다고? 꼬마건물이라도 지어보고 하는 소리냐;; 원자재 상승으로 5년전에 비해서 7 80프로 올랐는데 무슨 소리야
@tartar8875
@tartar8875 Жыл бұрын
​@@grx1988 요즘 철골+판넬건물도 평당 3~400만원정도 들고 저건 평당 150도 안되는데 체감이 안돼..?
@grx1988
@grx1988 Жыл бұрын
@@tartar8875 그건 그쪽이 지방촌구석에 사니깐 땅값비중이 적으니깐 체감이 큰거지 ;;;
@gr8ur866
@gr8ur866 Жыл бұрын
진짜 대중화가 되길 바랍니다
@샤우팅후니
@샤우팅후니 Жыл бұрын
안전하고 튼튼하네요!~🤗 디자인적인 측면에서도 심플하고 좋네요😉👍
@cdr7738
@cdr7738 Жыл бұрын
딱히 안전해보이는지는 모르겠는데?
@뿅아리-b6h
@뿅아리-b6h Жыл бұрын
철근이나 빔없이 튼튼하다고 하기는 아직 모르겠네요. 내진 설계도 아직 보안되어야하구요.
@노미닉
@노미닉 Жыл бұрын
@@samiwoo2192 안전시험도 했음 겁나 튼튼함 자동차로 밖아봤는데 기존 콘크리트 건물보다 튼튼했음
@노미닉
@노미닉 Жыл бұрын
@@cdr7738 안전시험도 했음 겁나 튼튼함 자동차로 밖아봤는데 기존 콘크리트 건물보다 튼튼했음
@낭만닥터-c2x
@낭만닥터-c2x Жыл бұрын
​@@samiwoo2192넌 근데 왜 반말이야?
@Shaved_Rider
@Shaved_Rider 3 ай бұрын
이런 기술은 응원합니다!!
@masaibujok
@masaibujok Жыл бұрын
몇년전부터 3D프린팅 건축 관련된 뉴스는 많은데 왜 주변에서는 볼수 없을까요
@user-cg7qn4xw7l
@user-cg7qn4xw7l Жыл бұрын
훌륭하신 공무원님들 놀아도 울급 보너스 성과급에 승진도 하는데 뭐 귀찮게 일 하겠어요?
@grx1988
@grx1988 Жыл бұрын
저런형태는 내진 성능도 안나오고 거의단층 위주로 겨우가능하니 주변에 없는게 당연하죠
@BESTBLUEDRAGON
@BESTBLUEDRAGON 3 ай бұрын
1층 정도의 건물에는 3D프린팅 적용해도 안전에 전혀 문제 없을 듯
@유현재-z4g
@유현재-z4g Жыл бұрын
문제는 안정성임 뼈대에 철근같엔게 없는데다 내진설계등에 대한 노하우가 없다보니 이건 초기 베타테스터가 되야하는판이라..
@배드버니
@배드버니 Жыл бұрын
(실패하면 죽음) ㅋㅋ
@lIIllIIlIllIIIIllIlIlI
@lIIllIIlIllIIIIllIlIlI Жыл бұрын
0:38 철근, 슬라브 있는데요.
@이승엽-h7s
@이승엽-h7s 10 ай бұрын
@@lIIllIIlIllIIIIllIlIlI 하아~ 철근, 메쉬 400kg 들어갔다고 나오네요. 이건 그냥 없는 겁니다.
@indiank6
@indiank6 3 ай бұрын
이건 빨리 상용화 합시다. 너무 좋네.
@하루종일배고파-m6b
@하루종일배고파-m6b Жыл бұрын
이 뉴스는 대기업 건설사들이 싫어합니다. 그리고 한통속 국개의원들도....
@seyounglee-y3n
@seyounglee-y3n 10 ай бұрын
대기업이 이걸 왜싫어함 ㅋㅋ 인건비랑 시간 줄이는데. 개이득인데?
@amoya7
@amoya7 10 ай бұрын
대기업이싫어하지. 저거하려면 기존 인력 재화 전부 싹다갈아야하는데 그리고 직접할수록 오히려 비자금만들기도 어려움. 다 한통속이란말이지.
@hss9967
@hss9967 10 ай бұрын
안싫어할듯. 도시의 아파트 지으려면 3디 프린터 자체가 크야 겠는데 그런게 없어서 2층집만 짓는거 같은데요. ㅋ
@진격의구인
@진격의구인 9 ай бұрын
ㅋㅋㅋ 대기업이 왜 싫어해요? 규제만 만족하면 대기업이 더 대량으로 저비용으로 할 수 있는건데? 규제 통과가 안되어서 안뛰어든거지요 저 설비 대기업이 더 많이 구매해서 더 많이 돌릴 수 있다는걸 고려하셔야함 중소업체만큼 인건비 건축비 싸게 돌릴수 있다면 중고차처럼 대기업이 뛰어들어서 시장 먹어버리지. 소비자들도 대기업 브랜드 선택할테고..
@민-l2i
@민-l2i 9 ай бұрын
경제 안배웠나.. 대기업이 싫어할 이유가 없습니다
@해바라기1022
@해바라기1022 Жыл бұрын
이건 꿈이 아닌 현실이되겠구나 내 집장만에 마당있는 소소한게전부인데 휴 좋은소식이네요 참고로 아파트체질도아니고... 이거 진짜 물건이네 👍 👍
@ytbang995
@ytbang995 Жыл бұрын
저거지을땅없으니 시골에다 지어놓고 두시간씩 출퇴근하시면 되겠네요 ㅎ 꿈을 이루시길 바랍니다
@user-qg8en9ch7q
@user-qg8en9ch7q Жыл бұрын
​@@ytbang995 뭔 이런 글에 비아냥대고있냐 사회부적응자야?
@dlrhkdduf111
@dlrhkdduf111 Жыл бұрын
1시간거리라도 알아보시길 화이팅입니다!! 지방은 땅이 아주 싸요 헐값에 챙기세요~~
@leekaijin0707
@leekaijin0707 9 ай бұрын
상용화 됐음 좋겟다.
@도마-1879
@도마-1879 Жыл бұрын
교수님 멋있네요 존경합니다
@carrotman5108
@carrotman5108 10 ай бұрын
내진설계는? 하중계산은 철골없이 가능한가요?
@이벨라-d7k
@이벨라-d7k 3 ай бұрын
가능하니까 지었겠죠?
@vcapell4370
@vcapell4370 3 ай бұрын
어차피 지금 전원주택 그냥 벽돌집 아니면 판넬 각파이프집이에요. 철골 안들어가요.
@김규철-h2q
@김규철-h2q 3 ай бұрын
단독주택 내진대상 입니다
@Uh_sa_park_91.
@Uh_sa_park_91. Жыл бұрын
말이 8천만원이지.... 생각해보자. 수도는? 전기는? 땅값은???? 맞다. 짧게 걸리는것은 좋으나, 여러가지를 생각해봤을때 건물자체가 빨리 지어진다해도 기본 인프라가 없으면 그냥 창고에 불과함.
@intelamd3076
@intelamd3076 3 ай бұрын
맞죠...사람들은 빨리 짓는 건물을 원하는게 아니라 튼튼하고 오래갈 건물을 시간을 들여서 단단하게 짓기를 바라는 거죠..
@아프리카청춘이다-v8v
@아프리카청춘이다-v8v 9 ай бұрын
콘크리트에 철근 배근이 안되어있는데.. ㅋㅋ 2층까지가 한계라 봄.. 그 이상으로 지을려면 H빔이나 철근 배근된 RC공법으로 해야함..
@donggeonkim9476
@donggeonkim9476 Жыл бұрын
장점보다는 단점이 더많다고 느끼는게, 집 지을때 거푸집 안에 들어가는 배관들 상수도 하수도 전기 통신 환기 등등이 없이 그냥 벽돌집처럼 쌓기만 하는거라 추후 공사를 할 시 벽면 바닥면이 안정성이 있는지등 아직은 가야할 길이 많음. 근데 영상에서 처럼 시골집 마당 남는곳에 찜질방처럼 사우나 만드는 용이면 좋기는 함.
@카키색반팔티
@카키색반팔티 Жыл бұрын
사장님 해외는 주택 올리고 있습니다.
@earthduckhoo
@earthduckhoo 10 ай бұрын
전체 틀만 3D로 하고 당연히 상수도 하수도 등도 따로 사람 불러서 하지 않을까요? 설마 상하수도 없이 살까요.
@2580kr
@2580kr 9 ай бұрын
해외는 상용화 되어서 짓는곳이 있네요
@김건우-c6y6h
@김건우-c6y6h 9 ай бұрын
님이 말한 구멍들 뚫는게 일인 코어드릴 작업자들이 있습니다
@그것이알고싶니-b3q
@그것이알고싶니-b3q 3 ай бұрын
뒤쳐지는 사람 등장.
@ikeyun00
@ikeyun00 2 ай бұрын
근데 저 재질은 뭘까요? 나중에 헐거나 철거 시 재활용이 가능한지요? 아님 폐기물의 처리는 어떤지 궁금합니다
@fastbreak33
@fastbreak33 Жыл бұрын
저런 집이든 사무실이든 아무거나 하나 있으면 좋겠다.
@Real_D.D.T.
@Real_D.D.T. 9 ай бұрын
스타크래프트 현실화가 눈앞에..
@들꽃-c4x
@들꽃-c4x 3 ай бұрын
..마인크래프트?
@정상인-s3l
@정상인-s3l Жыл бұрын
사람이 만들면 인건비는 들어가는데 비해 불안요소가 많죠 집 지으려고 온 사람들이 성실하지가 않아요 정말 꼼꼼히 열심히 하는 사람이 있고 대충 대충 지 인생 처럼 하는 사람이 있어서 다 만들고 나면 꼭 집이 하자가 발생하죠 사람 통장에서 가장 많은 돈을 빼앗아 가는데 몰래 자제품들도 싸구려 티 안나게 쓰고... 거기에 비해 저건 사람이 설정 한 대로 컴퓨터가 집을 짓는 거라서 전 훨씬 더 안전하다고 보여집니다 무엇 보다 가격이... 저걸로 아파트 만드는 순간 전 국민 모두 다시 70~80년 대 처럼 조금만 고생하면 집 살 수 있는 세상이 되는 거죠...
@이정순-y9r
@이정순-y9r Жыл бұрын
@asomine
@asomine Жыл бұрын
저 기술만으로 현재 건축시장을 대체하지는 못하겠지만 저기에 이런저런 기술이 보강되면 무시하지 못하겠지요. 철근 골조와 하모니만 이루는 시공법만 나오면 대체 될겁니다. 사실 국내 건축시장은 이미 중장비로 대체 되어 인력쪽은 설비, 인테리어만 남은 상황입니다. 이것도 패시브 하우스 기술이 발전하면서 조립화 되는 조짐을 슬슬 보이고는 있습니다. 기존 설비가 골조에 매입되어(각종 배관) 그로인해 인테리어 작업에 물리적 한계가 있었다면 이 모두가 모듈화 되어 쉽게 유지보수가 가능하고 언제든지 끼워 맞출수 있다면 이 '조립' 부분에 자동화 기술이 언제든지 접목될 수 있는 부분이라, 정말 단열, 방수 마감재, 냉난방 공조설비 마저 조립화 되어 쉽게 유지보수되는 세상이 언젠가 온다면 인테리어 시장도 이케아 같은 업체가 나오는건 시간문제고 진정한 DIY 세상이 펼쳐질 수도 있을겁니다. 아직은 시기상조이긴 하지만...
@kg7749
@kg7749 Жыл бұрын
ㄴㄴ 지금 기술로는 구조정도 대체 가능. 님이 말한 인건비 / 하자가 발생하는부분은 외장재 내장재/ 단열 / 누수같은 부분임. 그부분은 아직 쓰리디 프린팅으로 해결 못함. 어차피 프린팅후 사람들 투입되서 해결해야함. 그리고 애초에 3층이상 3D 프린팅으로는 구조체 대체 못함. 쓸수 있는 범주가 시골 전원주택정도임. 한국에서는 그것마저도 실효성 없다고 봄.
@mhjin2392
@mhjin2392 Жыл бұрын
저걸로 아파트 만드는 기술은 아직 없네요...아파트 만드려면 당연히 하중에 따른 철근 들어가야하고...가격이 올라갑니다... 그리고 저기는 사무실구조라서 단순 시설로 가능하지만...주거공간으로 쓰려면 추가적인 시설비 당연히 들어갑니다... 마음이 너무 앞서가시네요...ㅎㅎㅎ
@wsanghyo
@wsanghyo Жыл бұрын
아파트에서 골조공사비는 전체 15 정도 입니다. 3d 프린팅으로는 아파트 공사도 불가능하고, 가능해도 골조비 10% 줄이고 단열, 외장 공사비 10% 늘면 오히려 손해겠네요.
@muzicaally7909
@muzicaally7909 9 ай бұрын
문제는 땅이야
@치민우
@치민우 Жыл бұрын
건설사들이 부자고 힘도있어서 이건 금방 될수가없다
@PwUSER02
@PwUSER02 10 ай бұрын
콘크리트에 철근이 없는데 괜찮을까요? 지진등 각종 안전도에 괜찮은건지 모르겠네요....
@cryptocurrency_trader
@cryptocurrency_trader 10 ай бұрын
싼마이에 짓는거죠 뭐 적은돈으로도 지을수 있는 선택 폭을 넓히는 건 좋은듯?
@장원삼-t1h
@장원삼-t1h 3 ай бұрын
시멘트 공구리가 아님 ㅋ
@갓즈아
@갓즈아 Жыл бұрын
진짜 현실성있는 규제를 만들어라!
@홍성민-d9q
@홍성민-d9q 2 ай бұрын
안전만 확인되면 비용절감 측면에서 좋은거 같습니다. 건설사 원자재값 상승한고 있는데 좋은 대안 같습니다. 한편으로 일용직 줄어들거 같긴함
@eyespark4162
@eyespark4162 Жыл бұрын
제조업공장은 저걸로 만들수 없을려나? 지금 평단 300정도 수준으로 건축비가 장난아닙니다.;;;;
@이정순-y9r
@이정순-y9r Жыл бұрын
공장이 더 쉽지않나?
@유뷰초밥-y7f
@유뷰초밥-y7f Жыл бұрын
제조업뿐만아니고 주택시장도 자재가격 근2년만에 역대급으로 올랐어요ㅋ
@grx1988
@grx1988 Жыл бұрын
저런형태로 공장만들면 돈 엄청깨져요;;;
@dlrhkdduf111
@dlrhkdduf111 Жыл бұрын
@@이정순-y9r 판넬도 이제 시험성적서 처리된거랑 h빔이 필수로 설계에 먹이니 공장이고 나발이고 제조업 손대면 안됩니다ㅋㅋ
@밤하별-k3i
@밤하별-k3i 3 ай бұрын
중요한건 대한민국이 건강해지고 있다는거임
@BondiBeache
@BondiBeache Жыл бұрын
단열, 방습, 등은 어떻게 되는지 궁급하네요.
@akimcx376
@akimcx376 Жыл бұрын
질문하신 내용은 인테리어 관련이고 3D프린터는 골조 공사 라고 나와 있는거 보니 다른 분야같네요.
@user-rw9du8kn8z
@user-rw9du8kn8z Жыл бұрын
​@@dkwlgksl그 빈공간에 단열재 넣지 않습니다. 그냥 빈공간 입니다.
@user-rw9du8kn8z
@user-rw9du8kn8z Жыл бұрын
​@@akimcx376단열 ,방습 작업도 건축에 해당 합니다. 후공정이 아닙니다. 인테리어가 후공정 입니다.
@earthduckhoo
@earthduckhoo 10 ай бұрын
후공정 전공정 나누는게 중요한게 아니라 단열은 따로 하던가 이제 접목되는 기술이니 발전하겠죠.
@이상수-y2o
@이상수-y2o Жыл бұрын
4일만에 만들고 튼튼하며 가격이 싸다면 정말 메리트있네요!! 집값내렸다지만 여전히 그림의 떡인데 주택구입희망이 될듯!!
@평택남-d3l
@평택남-d3l Жыл бұрын
내진설계가 취약하니 2층 이상은 어렵지만, 저층 단독주택으로 충분히 경쟁력이 있어보이네요.
@365-Start
@365-Start Жыл бұрын
개소리노 4층 빌라는 내진됬노?
@joypanda8247
@joypanda8247 Жыл бұрын
희안한소리하내ㅋㅋㅋ
@tskim3606
@tskim3606 Жыл бұрын
@@365-Start시대가 어느시대인데 요즘엔 단층주택도 내진조건 다 있다 포항 지진이후로 생겨남
@teoe4790
@teoe4790 Жыл бұрын
이거 절대 안되요 모든 건축물은 기초 토목공사가 제일 우선입니다 지반공사가 가장 중요해요 저런 공법은 그냥 맨땅에 재료 쌓기 수준 밖에 안됩니다 거주목적은 물론이고 절대 건축물로써 이용되면 안되요. 잘해야 그냥 컨테이너 수준입니다
@평택남-d3l
@평택남-d3l Жыл бұрын
@@teoe4790 동영상에서 3D프린팅으로 지은 건축물을 현재 사무실로 쓰고 있는데, 절대 안된다는 건 무슨 의도인지요? 그리고, 기초토목공사는 당연히 되어 있어야지요. 맨땅에 지으면 부동침하로 집이 기울거나 부서집니다. 다른 영상들 봐도 콘테이너 주택을 짓는 영상도, 바닥 기초는 공사를 끝내고, 그 위에 얻혀서 설치하는 방식으로 합니다. 3D프린팅 공법을 보아하니 잘해봐야 조적식(벽돌쌓아 짓는 방식) 정도라서, 내진설계면에서 취약할 거라고 말씀드린 것 이고요.
@ygc801
@ygc801 9 ай бұрын
상용화 안되는 이유는 대기업들의 견제때문 이거하나 말고 없을거같아요
@무징징이
@무징징이 4 ай бұрын
소비자 입장에선 너무 좋다
@ENFJ-A.
@ENFJ-A. Жыл бұрын
이야 건설현장도 자동화가 되버리네.............타워크레인 기사가 3D프린터 건축기사로 갈아타는 시점인가
@이정순-y9r
@이정순-y9r Жыл бұрын
이기술은 외국선 오래된 기술
@ENFJ-A.
@ENFJ-A. Жыл бұрын
@@이정순-y9r 외국서 건축하는건 마니봤는데 국내서 짓는건 첨봅니다 ㅎㅎ 기존 건설업계에서 반대가 심할것 같은데
@grx1988
@grx1988 Жыл бұрын
타워크레인 쓰는현장은 저런거랑 다른 시장 이에요 저런형태는 저층위주;;;;
@Timing-x1g
@Timing-x1g Жыл бұрын
타워기사가 했다간 뒷돈안주면 집존나ㅈ개판칠듯 싶다ㅋㅋㅋ
@user-qx-p5v
@user-qx-p5v 10 ай бұрын
타워크레인기사랑 건축기사는 완전히 다른겁니다. 한쪽은 단순 장비작동으로 자동차면허 같은 것이고 무선타워 크레인은 교육만 받아도 되는것도 있어요.. 건축기사는 4년제 건축공학과 나오거나 건축산업기사 따고 현장 경력을 쌓아야 응시자격이 생기고 건축시공, 설계, 구조계산역학 적산 등 건축이론 전문분야죠. 경력과 자격이 더해지면 최종적으론 건축사, 현장소장, 감리단장 등의 직무를 수행하게 됩니다
@kinochris1
@kinochris1 Жыл бұрын
잊을만 하면 법이 없다 빨리 만들어 달라 하면서 나오는군요.. 일단 충돌 테스트까지 봤는데 그 건물은 H빔이 들어간 건물입니다. 기술도 많이 발전해서 배관이나 철근도 넣을수 있다 하는데 저 과정은 집지을때 골조세우는 과정만 대처하는겁니다. 당연히 H빔이나 철근비용은 생략되어 있습니다. 철콘2층 주택을 지을때 보통 2000정도이니 싸긴 하죠.. 방송에서 나온 견적이 싼 이유는 내외장 마감이 없기때문입니다. 저렇게 면이 고르지 못한데 내외장 마감까지 할려면 골조세우면서 아끼는 비용보다 마감공사 비용이 몇배는 더 들어갑니다. 저렇게 사무실 지을려면 그냥 H빔에 샌드위치가 더 저렴할수도 있습니다. 반대로 주택에서는 골조의 선택이 더 다양합니다. ALC도 있고 조적도 있고 경량도 있고 목조도 있죠.. 외국에서는 맞을수도 있는 건축방법입니다. 하지만 외부와의 열교환을 완전히 차단하는 국내주택여건상 저렇게 지으면 답없습니다. 주택 건설하는 사람들이 바보도 아니고 싸고 좋으면 저 회사보다 먼저 나서서 빨리 법좀 제정해달라고 난리였을겁니다. 주택짓는 사람들중에 사기꾼도 많지만 성실히 제대로 된 주택지을려고 노력하는 사람들이 더 많습니다.
@이정순-y9r
@이정순-y9r Жыл бұрын
빙고
@psu7671
@psu7671 Жыл бұрын
빙고 저건 그저 골조 비용만 800이라는건데 1천만원 차이로 안정성이며 효율성이며 생각하면 그냥 기존방법이 훨씬 나을꺼 같아요.
@열정댓글러
@열정댓글러 Жыл бұрын
이게 팩튼데
@lIIllIIlIllIIIIllIlIlI
@lIIllIIlIllIIIIllIlIlI Жыл бұрын
0:38 철근, 슬라브 있는데요ㅋ
@featLive
@featLive Жыл бұрын
저 금액이면 다 된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있을까봐 추가로 땅, 도로,전기 상하수도 여러가지 제반시설까지 기본이 되어 있는 전제하 입니다.
@freethrow4815
@freethrow4815 3 ай бұрын
기술로 저렴해졌으니 규모에 경제까지 더해지면 더저렴해지고 내구성도 올라갈…
@ktskta-qe8uz
@ktskta-qe8uz Жыл бұрын
철골 안들어가나요? 그럼 내구성이 약할텐데 저렇게 지을바엔 조립식을 더 발전시키는게 낫지 않나요
@JD-md3qk
@JD-md3qk 9 ай бұрын
저정도니 가능은 할듯
@cdwhabfkjlhlkugs
@cdwhabfkjlhlkugs Ай бұрын
아직 초기 기술이라 고층건물일 경우 안정성이랄까 내구성은 확인해 봐야 하겠지만.. 요즘 천정부지로 오르는 건설비 생각하면 옳은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는 듯
@밝은빛-i5d
@밝은빛-i5d Жыл бұрын
30평에 2층 주택이 9000만원 들엇군요 근데 철근없이 콘크리트 시멘트 만으로 저렇게 짓는데 지진같은 강도엔 잘견딜까요?
@jameskim6845
@jameskim6845 Жыл бұрын
우리집은 80년대 중반에 벽돌로만 벽을 만들고 슬라브 올리는 방식으로 3층으로 올렸는데 아직까지 문제없이 잘 서있습니다. 저 방식도 벽체만 3D 프린팅 기술로 만든 것 같은데 회색시맨트 벽돌로 쌓은 벽체와 다를 것 없어 보여요.
@라디움
@라디움 Жыл бұрын
@@jameskim6845 벽돌과 콘크리트는 인장강도가 달라요. 콘크리트의 단점이 인장강도가 낮다는겁니다. 그 낮은 인장강도를 철근으로 해결하는거구요. 그런데 콘크리트를 철근도 없이 저렇게 층층이 쌓으면 결과적으로 인장강도가 낮다는 소리인데 솔직히 지진나면 벽돌벽도 무너지는데 철근없는 콘크리트가 견딜거라 생각되진 않네요.
@lIIllIIlIllIIIIllIlIlI
@lIIllIIlIllIIIIllIlIlI Жыл бұрын
0:38 철근, 슬라브 있는데요ㅋ
@라디움
@라디움 Жыл бұрын
@@lIIllIIlIllIIIIllIlIlI 1:08 어디에 철근 슬라브가 있음? 저 견적서의 철근 슬라브는 바닥 시공할때의 철근 슬라브로 보이는데
@lIIllIIlIllIIIIllIlIlI
@lIIllIIlIllIIIIllIlIlI Жыл бұрын
@@라디움 철근없다며ㅋㅋ ㅂ신같이 말바꾸노
@다함-t5m
@다함-t5m 10 ай бұрын
조적조 보다는 좋을지 몰라도 철콘구조 대비 내진, 강도 등이 어떨지 궁금하네요. 잘 홍보도 하고, 안전성 등을 확보하면 정말 좋을 것 같습니다.
@최원일-j7l
@최원일-j7l Жыл бұрын
1년 전부터 계속 나오는 뉴스인데. .아직도.. 그놈의 관련법 문제로... 우리나라는 할수 없는 상황
@voo6002
@voo6002 3 ай бұрын
대지값 비싼 도시 안으로 저 기술이 들어오려면 아파트까지 지을 수 있어야함. 주택 수준에서는 땅값 싼 도시 외곽에 돌 수 밖에 없음. 건축물은 건축비가 전부가 아님. 그 건물이 깔고 앉아있는 땅값이 반 이상인데 사람들이 그걸 모르고 집값 비싸다고 하니 참
@kjh-b9b
@kjh-b9b 9 ай бұрын
기술은 있고, 입법이 문제군. 미국 일본은 되는데, 한국은 왜 늦지? 부동산 이권과 관계되나? 왜지?
@어떤사람-w3b
@어떤사람-w3b 10 ай бұрын
한국이라 엄청 애매해보이네요.. 여름과 겨울 팽창과 수축..
@하이정우하이승우
@하이정우하이승우 5 ай бұрын
벽체에 철근 없는 부분은 어떻게 보완이 되는지 궁금합니다.
@필사마-b2m
@필사마-b2m 4 ай бұрын
용접처럼 위빙으로 움직이네요.
@uihakjeong8216
@uihakjeong8216 8 ай бұрын
너무 좋다 우리집도 이렇게 짓고 싶어요
@KinggodemperorgeneralKSJ
@KinggodemperorgeneralKSJ Жыл бұрын
3D 프린팅 구조물은 철근이 안들어가는데 구조적으로 안전하나?
@롱기누스의창-v7d
@롱기누스의창-v7d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야 법적 허가가 떨어지지않았지만 미국 일본이 바보들도 아니고 왜 허가를 내줬을까?
@KinggodemperorgeneralKSJ
@KinggodemperorgeneralKSJ Жыл бұрын
@@롱기누스의창-v7d 나는 정말 순수하게 궁금해서 물어보는거임. 나는 학부때 RC(철근콘크리트)구조물은 압축력은 콘크리트가 인장력은 철근이 받는다고 배웠고 지금은 현업에 종사하고 물론 내 메인이 플렌트 설계라 아닐수도 있겠지만은 3D 프린팅 기술을 쓰면 정말 혁신적으로 공사비 절감을 할 수있으면 왜(?) 안쓰는지 궁금한거임. 기업도 동일 노동에 저임금이리면 유인원이라도 데려다 일시킬텐데 말임.
@aioz4139
@aioz4139 Жыл бұрын
당연히 철근 콘크리트보다는 아니긴 한데 애초에 저층건물 짓는 목적으로 사용하는거라 상관없음 원래 벽돌이나 목재로 짓던 방식에서 하나 추가된 것 뿐
@KinggodemperorgeneralKSJ
@KinggodemperorgeneralKSJ Жыл бұрын
@@EidJfo3295 저걸로 플렌트 설계한다고 해서 일자리가 뺏길거같지않은데요..?
@anythingk5184
@anythingk5184 Жыл бұрын
나도 같은 생각에 일단 좋아요 하나 박음 그런데 외국이나 위 영상에 나오는 건축학 교수가 별다른말 안하니 어느정도 안전성 보장 된거라고 생각함
@rahulpandey-1004
@rahulpandey-1004 10 ай бұрын
철근이 안들어가서 철근콘크리트 보다는 내구성이 확실히 많이 떨어지겠죠?? 차이가 많이 날려나요...
@밝은달-i1l
@밝은달-i1l 10 ай бұрын
단열이나 방음같은 부분이 괜찮을까요?? 잘은모르지만 괜찮다면 상용화하면너무좋을것같아요!!
@chsh851016
@chsh851016 Жыл бұрын
충격 내구성이야 입증되었고, 화재 시 얼마나 잘타는지.. 시간의 따른 내구성 마모내구성을 알려줘야하고. 단열내구성은 어떻게 되는지 입증만되면 빠르고 저렴하게 지을수있을듯하다. 컨크리트 구조물 사람이 짓는데 단열이 가장 문제임.
@chsh851016
@chsh851016 Жыл бұрын
충격 내구성은 차량이 달려서 박는 실험있습니다. 콘크리트 구조물은 화재시 그래도 뼈대는 남아서 재 리모델링 할수있으나 해당 3D건물로 지을경우 화재 시 뼈대가 그대로 남는지 아니면 녹아서 사라지는지도 알아야할 부분입니다 그리고 콘크리트 구조물은 대략 50~100년 이라고 이야기하더군요 해당 뼈대의 시간에 따른 내구성은 또 어떻게 될지 도 알아야하며, 빙글빙글 돌면서 뼈대를 올리는데 그 중심부분에는 무엇이 들어가는지..그에 따른 단열은 어떻게 되는지 알려주셔야하며, 속이 비는것인지 채워지는것인지 그것에 따른 울림이나 진동,소음등은 어떻게 되는지도 구체적으로 한번 제작사에서 영상을 만들면 좋을것 같습니다. 저는 3D 건축으로 짓는 집 매우 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저도 건축업을 하기때문에 사람이 짓는것이 얼마나 부족한지 매우 잘 알기때문에 그리고 숙련이나 사람의 노가다부분에서 오는 부족함이 얼마나 대는지 알기때문에 차라리 기계로 짓는것이 현명하다고 이야기 합니다
@junsigjang8552
@junsigjang8552 2 ай бұрын
요즘 중국 베트남 노가다 인력들 얼렁뚱땅 대충 건물 짓고 구석구석 똥 오줌 갈기고 담배꽁초 쑤셔넣고 엉망으로 짓기 일쑤다. 3D 프린팅 같은 최신기술에 신뢰가 간다.
@jjj6726
@jjj6726 Жыл бұрын
3d프린트로 짓는 건물인데 견적에는 그 가격이 다 빠져있는데 말이되는 견적인건지
@킹김-m4d
@킹김-m4d 6 ай бұрын
철근이 없는 만큼 외국과 달리 사계절 온도차이가 극심한 우리나라에서는 좀 더 기술이 성숙해져야 할 듯. 기자는 무슨 생각으로 시급히 법 만들라고 주장하는 건지
@nnn_nomalnotnomal
@nnn_nomalnotnomal Жыл бұрын
건물을 짓기위해서는 기본적으로 내진설계, 구조설계가 필수입니다. 그러한 측면에서 아직 우리나라 3D프린팅 기술이 인증을 받지 못했기때문에 상용화되지 않은것. 잘모르시는 분들은 이런뉴스를 보면 그렇구나~ 하실것같아 안타깝습니다. 왜 이런 뉴스에 등장하는 건물들이 소규모이고 단층 혹은 2개층 중 한개층만 3D 프린터로 시공을 했을지 잘 생각해보시기 바랍니다.
@어원
@어원 Жыл бұрын
맞아요.. 충격 테스트 하는 영상도 모서리 부분에만 하던데..
@얼치-x1p
@얼치-x1p Жыл бұрын
이 사람은 뭘 모르시네... 건축이란 모든 기술을 집합해 만드는 기술이죠. 3D로 못 만들거란 기준은 누가 말합디까. 구조설계 좋고, 내진 설계 좋은 건물이 현재 대한민국 닭파트와 부실건물로 이어졌는데..ㅉㅉ 저 사람들이 건축법도 모를까봐? 웃기네요..정말.. 내진, 구조설계는 기본입니다...이사람아....에효.. 없다면? 보강하면 될뿐임.. 단시로 보면 쓸데 없겠교, 돈이 안되겠다 싶은거지요. 하지만 멀리보면 버블낀 건축 시장을 다시 돌려놓은 황금 시공인데. 세계 국가들이 자국의 이득을 위해 선진(에코)기술을 뒤늦게 도입하는게 미래 손실을 부풀리는 초석이 된건데.. 자연에너지를 도입해 도입하려고 해도 그놈의 정치,머니즘... 그러니 인간이 해충같이 지구에서 박멸되가고 있는거지요..
@nnn_nomalnotnomal
@nnn_nomalnotnomal Жыл бұрын
@@얼치-x1p 댓글이 아무리 자기생각을 쓰는거라지만 일단 상대를 비하하는 발언(이 사람은 뭘 모르시네로 시작한다든가 ㅉㅉ 이라든가). 정말 매너가 없으시네요. 기본적으로 대화를 하려면 최소한의 매너부터 갖추셔야할 것 같습니다. 답글이 대화의도가 아니었다면 굳이 제 댓글에 답글 남기시기 않아도 됐을텐데요. 그리고 제 댓글의 취지는 건설이슈의 대안이 반드시 3d건축이라는 것이 아니라는 취지인데, 헛다리 집으신것 같네요. 제가 쓴 댓글 어디에도 정치적 발언은 없는데 말이죠. 정치나 머니즘 이야기하시기 전에 도덕적 익명성에 대해 먼저 생각해보셔야되는건 아닌지. 현재 건설이슈에 대한 대안이 3D건축이라고 단언할 수 없듯이, 3D건축이 아직 미흡하다고 바라보는 시점 또한 현재 건설상황이 옳다고 본다는 의미는 아니라는 겁니다.
@얼치-x1p
@얼치-x1p Жыл бұрын
@@nnn_nomalnotnomal 비하는 남을 깍아 내리는거죠? 하찮게 보는거라는것이죠 모르시네가 하찮게 보는겁니까? ㅉㅉ은 그냥 혀차는 소리고 갑질하는 사람들이나 비하하는거고 남의 글에 님의 댓글도 결국 비하하는 거겠네요? 맘은 상한건 알겠는데 댓글로 맘은 상하시진 마세요. 그냥 서로 이해 충돌일뿐임. 3D 기술이 정치와 건설에 의해 빛을 못보는게 어제 오늘도 아니고 신기술 나오고 법안 나오고 여러가지 시행착오 겪으면서 건축을 하는 분들은 그마큼 전문가지만 그걸 깍아내릴 필요 없다고 봅니다. 그것도 비하니까.. 정치 발언을 한게 아니라... 현재 정치,건설에 대한 불편한 맘을 말한거일뿐. 님의 정치에 어떤 생각이건 님 생각이니까.. 그리고 매너매너 하지 마시고 자신의 매너만 지키시면 됩니다.. 누가 머라든 제가 님보다 능지가 딸릴수도 있고 말이죠. 사람사는데 매너 지키는 사람이 좋아보이긴 해여. 하지만 이해하자를 맘속에 넣고 사시길. 인간사 1등과 꼴등이 있듯 저급과 고급이 존재하니까요. 그래서 퍼펙트한 존재가 인간이니까요. 단, 그렇지 못하겠다? 그럼 무시하셈....저를요. 그런 부류를요.. 그게 세상에 살아가는 방법이잖슴?
@꾸어엉-w9s
@꾸어엉-w9s Жыл бұрын
​@@얼치-x1p 아.., 예...
@빅토리-k6d
@빅토리-k6d Жыл бұрын
꼭 상용화 되 국개일하라~~
@봉식이-h3o
@봉식이-h3o Жыл бұрын
땅을 내주더라도 좁은 골목에도 집을 새로 지을 수 있게 기술 좀 개발해주세요ㅠ
@Rem0001
@Rem0001 Жыл бұрын
철근 없어보이는데 인장력 부분은 어떻게 보완한건지 궁금하네요
@토박이-f9d
@토박이-f9d 10 ай бұрын
철근충 ㅋㅋ
@고진감래-r9f
@고진감래-r9f 2 ай бұрын
건축사들이 노력해야죠
@user-ph1rc1vo2w
@user-ph1rc1vo2w Жыл бұрын
별로 안싼데... 발암물질도 나올꺼고 ... 3d프린트 발암물질 심하자나 과연 냉낭방이 괜찮을까 ? 단열재도 하나도 안들어가고 ... 냉난방비가 더들어갈듯...
@DQUASWAN
@DQUASWAN 7 ай бұрын
순살건물들 짓는거보다 저렇게 짓는게 더 믿음이가네요
@starofLar
@starofLar Жыл бұрын
정말 좋은 기술입니다. 널리 보급되었으면 좋겠네요 하지만 과연 부동산 카르텔의 지원을 받는 정당과 정권에서 저런 기술을 쉽게 인정해줄까요? 건설사 여러 개는 도산할 기술인데.....쉽지 않을 거라 봅니다
@supercurve24
@supercurve24 3 ай бұрын
요즘 건설사나 일반 주택을 짓는 곳들에서도 자재들 빼돌리거나 하는 건 기본이고 사기를 치거나 대충 지어서 몇 년 못가는 집들도 많은데... 차라리 기술력이 조금 부족하더라도 저렇게 짓는 거라면 확인 후 나쁘지 않다고 생각하는 분들은 저렇게 지어서 사시는 것도 좋을 거라 생각이 됩니다. 전세 사기 같은 것들이 두렵고 잘 모르시는 분들은 저렇게 지어서 사는 게 더 낫지 않나 싶기도 합니다. 근데 상용화가 되면 또 비용이 급격하게 오를 것으로 미리 짐작이 되긴 하지만요.
@gyun8808
@gyun8808 Жыл бұрын
베이스 철골작업하고 프린팅 작업시 철근매립이 가능하다면 사업성 있어보이네요 지금 보이는 공정으로는 불가능해요 내진성능과 강도가 형편없을껄로 보입니다
@JeepOllllllllO
@JeepOllllllllO Жыл бұрын
철근 콘크리트와 비교해도 강성부분에 모자란점은 없을까요? 정말 탐나네요... 8천이면 시골 땅에 집하나 지어놓고싶네요
@몰디브박
@몰디브박 Жыл бұрын
서둘러 관련법 마련하여 우크라이나 재건사업 쓸어야됩니다. 뼈대 넣어 5층 이상 건물도 가능하게 지어도 좋을것 같네요
@무가내
@무가내 Жыл бұрын
건설카르텔이 심한 한국에서 규제 쉽게 풀수 잇으려나
@조은교-h3m
@조은교-h3m 9 ай бұрын
화재도 괜찮나요
@아무르-g1f
@아무르-g1f Жыл бұрын
하루빨리 발전해야하는 기술이라고 생각하는건 일정하고 부실공사를 줄일수있다고 생각하는데 빨리 보급 활성화 되길 우리나라도 갈수록 건축가를 신뢰가 안간다
@럭키짱-v1y
@럭키짱-v1y Жыл бұрын
문장을 진짜 못쓰세요... 책 많이 읽으세요!
@강준-q6s
@강준-q6s 9 ай бұрын
일좀해라 국회야 정부야....정말....
@박규진-z5c
@박규진-z5c 5 ай бұрын
🙏🙏
@user-themeliandialogue
@user-themeliandialogue Жыл бұрын
공사비 뻥튀기를 못해서 건설 카르텔이 싫어합니다
@Yorido_jua
@Yorido_jua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ㄹㅇ ㅋㅋ😂
@illilIiIiilii
@illilIiIiilii 4 ай бұрын
3D와 모듈러가 더 많이 보급되면 좋겠습니다.
@feetajfkwcvtxty
@feetajfkwcvtxty Жыл бұрын
아직까지는 문제가 많은 기술입니다. 조금 더 기술이 발전해야 한다고 봐요.
@sweep000
@sweep000 Жыл бұрын
어떤문제요? 난 좋아보이는데 인부가하는것보더 하자도 더 없을것같고
@호호-o7v
@호호-o7v Жыл бұрын
​@@sweep000일단 벽이 두꺼워야됩니다. 얇으면 안됩니다. 외풍이 들고요. 습해집니다. 그리고 단열이 잘되야합니다. 그리고. 더운온도에서도 버텨야합니다. 더운온도에서 발암물질이 공기중으로 나오는지도 테스트해야합니다. 변형이 안되고 오랫동안 유지된다면 정말 좋을것같습니다. 특히 한국은 온도차가심해서 더욱 규제를 엄격하게 해야된다고 봅니다.
@쏘오리
@쏘오리 Жыл бұрын
@@호호-o7v원댓글은 기술 얘기를하고 있는데 이내용은 원자재에 대한 내용 아닌가요? 전혀 다른얘길 하고계시는데
@만지면선다-i1l
@만지면선다-i1l Жыл бұрын
저벽자동차가 갖다박아도 끄떡없었음.시험영상있고. 견적서에도 나와있지만 골조만 올리는거라. 단열부터는 별개의 이야기임. 단열재등은 일반주택과 같음 골조이후에 해당되는사항이라. 문제될거 1도 없어보임
@ason8y5381
@ason8y5381 Жыл бұрын
생소한 자재쓰면 덥고 습하고 약한줄 아는 시니어들😢
1% vs 100% #beatbox #tiktok
01:10
BeatboxJCOP
Рет қаралды 67 МЛН
UFC 310 : Рахмонов VS Мачадо Гэрри
05:00
Setanta Sports UFC
Рет қаралды 1,2 МЛН
Try this prank with your friends 😂 @karina-kola
00:18
Andrey Grechka
Рет қаралды 9 МЛН
Build a Home in a Day! Witness the Modular Home Installation Process!
11:45
가온파의 힐링하우스
Рет қаралды 420 М.
1% vs 100% #beatbox #tiktok
01:10
BeatboxJCOP
Рет қаралды 67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