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막뉴스] 어딘가 이상하더라니 역시나…한국이 전 세계보다 2배 빨랐다 / JTBC News

  Рет қаралды 4,913,605

JTBC News

JTBC News

Күн бұрын

기후 변화로 인한 이상 징후들이 우리나라에서도 나타나고 있죠.
호수가 바닥을 드러내고 고산지대 나무가 말라죽는, 전에는 볼 수 없던 모습들을 정진명 기자가 담았습니다.
📌 시리즈 더 보기 • 자막뉴스
▶ 기사 전문 news.jtbc.co.k...
▶ 시리즈 더 보기 • 뉴스룸ㅣ전체 다시보기
#기후위기 #이상징후 #기온상승 #JTBC뉴스룸 #정진명기자
📢본방 후 유튜브에서 앵커들과 더 가까이!
☞JTBC 모바일라이브 시청하기 bit.ly/3iYhEqa
☞JTBC뉴스레터 구독하기 (bit.ly/3IOFY5H)
☞JTBC유튜브 구독하기 (bit.ly/2hYgWZg)
☞JTBC유튜브 커뮤니티 (bit.ly/2LZIwke)
#JTBC뉴스 공식 페이지
(홈페이지) news.jtbc.co.kr
(APP) news.jtbc.co.k...
페이스북 / jtbcnews
트위터 / jtbc_news
인스타그램 / jtbcnews
☏ 제보하기 news.jtbc.co.k...
방송사 : JTBC (jtbc.co.kr)

Пікірлер: 4 500
@Im-bd5xx
@Im-bd5xx Жыл бұрын
이런 기사가 공영방송에서 많이 나오면 좋겠다
@ssabu73
@ssabu73 Жыл бұрын
기상이변을 어찌하오리오
@TV-ry9zc
@TV-ry9zc Жыл бұрын
1.땅속의 물을 더이상 손대면 안됩니다 2.산속의 나뭇잎 등을 예전처럼 정리해 주어야 됩니다 (비가와도 나뭇잎 등이 방수 역활을 해서 땅속으로 울이 스며들지 못하고 그냥 흘러 내려요)
@메탈은나의심장
@메탈은나의심장 Жыл бұрын
물 가둬 놓으면. 녹차라떼. 타령하더니. 이제 니들이. 가뭄을 걱정하냐??? 왜? 왜?
@황은자-y7g
@황은자-y7g Жыл бұрын
@@기후다큐카우스피라시 6구릿대씨앗구할수잇을까요
@현수-y9i
@현수-y9i Жыл бұрын
전세계보다 두배 빠름 뭐하냐? 출산율 낮아지는속도가 전세계에서 젤빠른데 기후위기로 죽을 확률보다 나라시스템붕괴되서 죽을 확률이 더높아
@footstep002
@footstep002 Жыл бұрын
문제는 저렇게 가물다가 작정하고 비올때는 장마가 아닌 열대지역의 우기라고 해도 될만큼 어마어마한 강수량이 퍼붓는 경우가 과거에 비해 더 잦아졌다는 것이죠. 당연히 토양이 그간 하도 건조했기 때문에 물을 흡수하는 능력이 극도로 떨어져 있는 상태고 지반 강도가 약해지면서 산사태나 홍수 위험도도 그만큼 급증하게 마련이고 말이죠.
@홍은미-x8c
@홍은미-x8c Жыл бұрын
그런데도 산림청에서는 나무베는 허가를 내주고 묘목을 심는다고 국세를 낭비하고 있으니,
@콩냥이-p5w
@콩냥이-p5w Жыл бұрын
건조하면 물을더잘흡수하는거아닌가요? 몰라서 물어봐용
@정담-y7e
@정담-y7e Жыл бұрын
4대강 반대 ㅋㅋㅋ 전라민국 ㅋㅋㅋ
@fuxkin_handle
@fuxkin_handle Жыл бұрын
건조하면 물을 더 잘빨아들이죠 ㅡㅡ 삽투압때문에... 그러니깐 한번에 쏟아버리는 폭우에 물은 더 빨리고 산사태가 잘 일어나는거임. 그리고 비를 작년 강남처럼 퍼부으면 건조하든 축축하든 걍 쓸려내려갑니다.
@fuxkin_handle
@fuxkin_handle Жыл бұрын
@@엘례레레레 설마 잔디위에 물컵올려놓은 영상이라면 당신은 방송사의 계획대로 잘~ 선동당했습니다.
@눈망울-o2o
@눈망울-o2o Жыл бұрын
1:52 사진 비교 소름..
@hwiyeong1213
@hwiyeong1213 Жыл бұрын
그나마 있는 산 나무들도 계속되는 산불들로 전부 소실되고 있으니 사태가 더 심각해지죠. 이제 모두가 환경문제에 대한 경각심을 가져야합니다.
@chacha456
@chacha456 Жыл бұрын
진심 좀 시골에 영감할마이들 쓰레기소각좀 안했으면 좋겠음
@user-zq2cu4vp4q
@user-zq2cu4vp4q Жыл бұрын
문재인 탈원전으로 태양열이다 뭐다 하면서 산에 나무 다뽑아내고 다갈아업고 시골에가면 멀쩡한 산나무 다갈아엎고 태양열 설치해놨어요 😢😢😢
@희유-o8t
@희유-o8t Жыл бұрын
맞는말인데 이미 늦음ㅋㅋ
@희유-o8t
@희유-o8t Жыл бұрын
@모름 이름 ㅇㅇ그냥 받아들일수밖에
@qnsshgksek
@qnsshgksek Жыл бұрын
​@@희유-o8t 아뇨. 그렇게 되면 결국 피해는 사회약자들만 받습니다.
@dfwe4090
@dfwe4090 Жыл бұрын
요 5년 사이에 진짜 기후 변화 실감 되네요. 봄겨울 가뭄, 여름 장마 길어짐, 급격한 기온 변화(예: 어제는 봄, 가을이였다가 갑자기 오늘은 여름, 겨울)
@fuckup-pw9de
@fuckup-pw9de Жыл бұрын
문재앙의 5년
@보노보노-z8s
@보노보노-z8s Жыл бұрын
4대강에 감사해라
@popoyam
@popoyam Жыл бұрын
여름 장마가 길어졌나... 거진 없어진 거 아닌가
@dolgum826
@dolgum826 Жыл бұрын
기후위기는 사기임.
@llIIllIIllIIIIl
@llIIllIIllIIIIl Жыл бұрын
그걸 내다보고 사대강사업해서 보맹글었더니ㅋㅋㅋ 보터트려서 조져놧죠?
@아슬아슬-c2n
@아슬아슬-c2n Жыл бұрын
사람들이 물부족 심각성을 알려면 수돗물을 틀었을때 안나와야 그때 물의 소중함을 알겠지요.그전에는 기후위기에 대해 신경도 안쓰지요.ㅜㅜ
@Deungsanman
@Deungsanman Жыл бұрын
아니 물 하수구로 보내면 다시 정류소로 보내는거아님?
@아슬아슬-c2n
@아슬아슬-c2n Жыл бұрын
@@Deungsanman 인터넷에 기후위기 책있으니 사서 잃어 보세요
@jwr3154
@jwr3154 Жыл бұрын
근데 물부족이면 물아낀다거해결되나..? 걍 가뭄이랑 기후변화탓아님?
@lovejuicestick
@lovejuicestick Жыл бұрын
물안부족함 걱정마세요
@네이스-c2k
@네이스-c2k Жыл бұрын
인구 대청소가 점점 다가오고잇구나..3차세계대전 머지않앗네
@jaydenb0130
@jaydenb0130 Жыл бұрын
기후문제로 인한 문제도 이제 종종 자주 일어나는데 지푸라기 잡는 심정으로 좋은 대책 좀 나왔으면 좋겠네요
@user-wx3pn9vu4j
@user-wx3pn9vu4j Жыл бұрын
그러니 산불이 잘나지? 저수지에~ 물을방류해라 한심한 것들아~~
@hyunchang8454
@hyunchang8454 Жыл бұрын
4대강사업으로 나머지 지역 다 멀쩡한데 물이 썩는다는 되도않는 ㅈ논리로 4대강 반대한 라도만 생기는 가뭄^-^
@iiiii-pw6sc
@iiiii-pw6sc Жыл бұрын
절대 좋은 대책 없다~나와도 실천 안된다~ 100살인생?ㅋ 2050년까지도 못 산다
@hyunchang8454
@hyunchang8454 Жыл бұрын
반대를 위한 반대만 하는 미개한 북한 주민들 같은 수준의 동네
@털스토이
@털스토이 Жыл бұрын
이 정부, 여당에게 너무 무리한 요구 아닙니까?
@김지혜-s4d
@김지혜-s4d Жыл бұрын
집에서 아이들에게 물아껴써야하는 이유도 설명하고 실천하려 노력하지만 우리집만 노력한다고해서 조금이나마 나아질까란 생각을 매번하는것같아요..모두가 조금씩 노력하는게 모이면 더 큰 변화가 될꺼같아요 !!
@gunbbarr
@gunbbarr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는 중국과 같다
@고양이-x3c
@고양이-x3c Жыл бұрын
@@gunbbarr😮
@zxb929rr
@zxb929rr Жыл бұрын
남들도 할까 생각할꺼면 안하는게 낫죠.
@emforhs1313
@emforhs1313 Жыл бұрын
물 아껴쓰는 것과 상관 없습니다 비가 안 내리는 기후변화의 문제지요 차라리 환경오염에 관한 교육에 더 힘쓰시는 게 도움이 되실 겁니다
@user-nj3dk1hh1d
@user-nj3dk1hh1d Жыл бұрын
​@@zxb929rr 느그같은 놈들때메 저런 사태가 벌어진건 생각못하냐
@똥이나처먹어
@똥이나처먹어 Жыл бұрын
고향 시골마을에 작은 강이 하나 흐르고 있었는데 지금은 강이 아니라 도랑처럼 졸졸 물이 겨우 흐르고 있던데 섬뜩했습니다 이런게 전국적으로 많이 있을텐데 큰일 입니다
@boriboririce
@boriboririce Жыл бұрын
저도 할머니댁 근처 계곡에서 뛰어놀던게 엊그제 같은데 느낌상 3년전 부터 물이 줄어드는거같더니 요즘은 졸졸졸 시냇물이 되었어요…. 잡초들도 많아져서 이제 다슬기도 못 잡고 밤도 못 따요ㅜㅜ
@관운장제자
@관운장제자 Жыл бұрын
부산은 해수면이 올라 마린시티가 덮일정도가 될거라는데 홍수를 걱정해야할판임
@Rescue_kteam
@Rescue_kteam Жыл бұрын
... 말하신 취지는 알겠지만 강이 도랑처럼 졸졸 물이 겨우 흐르는건 아마도.. 상류에 보나 댐이 생겨서 그럴 확률이..;; ㅈㅅ 지구온난화 위기는 정말심각하죠. 우리 모두 자연 보호에 힘써야..
@똥이나처먹어
@똥이나처먹어 Жыл бұрын
@@Rescue_kteam 머 알고말합니까 그냥 농촌 논밭옆에 작은강인데. 무슨 보나 댐이라니 ㅋㅋ
@IJARI_GOGUMA
@IJARI_GOGUMA Жыл бұрын
@@똥이나처먹어그거 타고 올라가몀 댐이 있지 않을거냐는 논제가 있는건데 지역이 어디임? 함 찾아보게
@Eunjinny09
@Eunjinny09 Жыл бұрын
진짜 심각해요 .. 정말 환경 오염, 온난화가 많이 진행됐는데 조금이라도 나은 환경을 만들려면 노력해야돼요ㅠ정말..
@yourhope58
@yourhope58 Жыл бұрын
온난화 ㅋㅋㅋㅋㅋㅋ
@kLA4647
@kLA4647 Жыл бұрын
난 펑펑쓰면서 살꺼니까 내 몪까지 많이 노력하면서 살아줘 ㅋ
@김준뀨
@김준뀨 Жыл бұрын
@@kLA4647 맞춤법도 그렇고 수준 딱 보이노
@computerjapan
@computerjapan Жыл бұрын
인구가 많이 줄어야..
@Yutabebe
@Yutabebe Жыл бұрын
왜 나무가 고사하는지, 지오엔지니어링 기후조작기술로 이산화탄소, 알루미늄,중금속 등을 뿌리고있는거에요. 검은손들이 전세계에 뿌리고 온난화라 속이고 신 에너지사업에 대거 투자해놓고 전세계를 속이는겁니다. 한국도 깨어나야합니다. 기후위기 지후보호 맨 끝엔 인구를 줄여라가 최종목표에요. 인구를 줄이라고요 ? 우리를 없애라는말입니다. 숨을 내뿜는 인간을 제거해야할 대상으로 보는게 기후위기 탄소절감정책입니다.
@dfas8115
@dfas8115 Жыл бұрын
지금 남부지방 가뭄이 심각하다고 하던데 별 뽀족한 대책을 세워놓은 것도 아닌 것 같음.
@Heonje-Yang
@Heonje-Yang Жыл бұрын
한국의 경제규모로 실현가능한 가뭄에 대처할만한 기술이 아직 없음;;
@초코빵-s4v
@초코빵-s4v Жыл бұрын
전에 했는데 친환경 개즈ㅏ럴을 떨어대면서 시위하니 ㅋㅋㅋ
@마바사로
@마바사로 Жыл бұрын
​@@Heonje-Yang 대처 할려고 치수 해놓은것도 다 갖다 버린와중에 무슨 소리하는거?
@ppappa1041
@ppappa1041 Жыл бұрын
사대강보 철거한 전라도만 물부족입니다. 영남은 물 많아요.
@MatriX_Neon
@MatriX_Neon Жыл бұрын
@@초코빵-s4v ㅇㅈ 4대강 해놨는데 환경 어쩌고 하면서 ㅈㄹ남
@YYouTube-
@YYouTube- Жыл бұрын
지방 가니깐 심각하더라구요 ㅠㅜ 문제눈 지방갈때만 느껴서 .. 주변에 말해도 안와닿을거애여 ㅠㅜ 방송에서 많이 알려줬으면 ㅠㅜ
@사인함수-l6f
@사인함수-l6f Жыл бұрын
이렇게 기후변화가 심각한데, 사람들이 생각보다 심각성을 인지 못하는 것 같네요.. 알아도 이를 위해 정부에서 하는 일도 없고, 사람들도 실천하지 않으니 너무 안타깝네요..
@기민석-n4k
@기민석-n4k Жыл бұрын
국가와 기업이 안바뀌면 불가능
@amour-espoir-libere
@amour-espoir-libere Жыл бұрын
@@기민석-n4k ㅇㅈ 기업부터 바껴야함 백날 시민들 한명한명이 노력하면 뭐함 기업이 그거 백몇배로 플라스틱 찍어내면 그만일걸
@hyeminseo8487
@hyeminseo8487 Жыл бұрын
저도 제가 할 수 있는게 분리수거라 그런거라고 열심히 하고 물건도 덜 사자 해도 아직도 그건 개인의 양역인데 유난떤다 너나해라 난 귀찮다 어차피 다죽는다 등등....그러더군요ㅠㅠ 정부차원에서 강제로라도 어떤 법이 나왔으면 좋겠습니다 😊
@체크메이트-u5j
@체크메이트-u5j Жыл бұрын
심각성을 못느끼는게 아니예요 우리가 백날 분리수거 이런거 잘해서 뭐합니까? 저기 윗동네인 중국과 인도에서 기하급수적으로 오염시켜서 버리는데요 모든 인류가 다 같이 해야지 어느 한곳만 해봐야 언발에 오줌누는것 밖에는 안되요 그리고 이미 오래전부터 기후의 변화는 예고되었습니다 빙하기가 가까워질수록 기후의 변화는 지금보다 더 극명하게 갈릴거라고 예견되었죠 인간이 아니었어도 벌어졌을 일이지만 인간이 개입하면서 그 속도가 가중된겁니다 우리라도 열심히하면 좋긴하겠죠 그러나 그건 토양과 공기오염을 최소화하는 선에서 끝날겁니다 기후변화는 인간이 어찌하기엔 이미 너무 가속도가 붙었다고 보는게 맞아요
@sun00ook
@sun00ook Жыл бұрын
내알빠임? 쓰레기는 졸음쉼터에 던지는게 제일편함
@라마탱
@라마탱 Жыл бұрын
화순은 4대강 보 없애서 그런것 아님?? 치수가 어려유니 대용량으로 담수 관리 해야하는데 없애버림 ㅎㄷㄷ
@sjudhsdd2579
@sjudhsdd2579 4 ай бұрын
4대강 보를 해체해서가 아니고 기후 이상으로 인한 겁니다 오히려 보로인한 수질 악화가 자연 환경에 더 안좋습니다
@kor_Crusoe
@kor_Crusoe Жыл бұрын
곧 비가 올텐데 한 방울도 흘려보내지 말고 저수지 가득 채우기를...
@Ebellaa
@Ebellaa Жыл бұрын
비가 전국적으로 올까요? 오는곳만 몰아서 오고 똑같을거 같은데
@develope126
@develope126 Жыл бұрын
@@Ebellaa 장마전선이 생기면 비가 전국적으로 오는 거지 무슨 어딘 오고 온딘 안오고 이럼?
@봄은고양이
@봄은고양이 Жыл бұрын
제발 그랬으면 좋겠어요
@zwz-w4b
@zwz-w4b Жыл бұрын
​@@Ebellaa 초졸임? 시발 장마가 어디 경기도만 오고 충정도만 옴?
@jaehyouklee8765
@jaehyouklee8765 Жыл бұрын
​@@develope126 작년엔 그랬음
@catnis0707
@catnis0707 Жыл бұрын
내가 어릴때랑 성인되고나서랑 날씨 차이가 너무 큰데... 주변에서는 왜 벌써 이렇게 덥냐 혹은 춥냐 불평만 할 뿐 관심은 가지지 않더군요... 완벽하지는 않아도 노력을 해야 하는데 기본적인 분리수거조차 안 하는 사람들이 너무 많아요ㅠㅠ
@johnsjhon2070
@johnsjhon2070 Жыл бұрын
중국에서 미세먼지 저감조치 한다고 인공강우를 남발하고 있으니 서풍을 받는 한반도에는 비구름이 약해진 상태로 올 수밖에 없죠
@Allallall788
@Allallall788 Жыл бұрын
원피스 많이봤노 ㅋㅋㅋㅋㅋㅋㅋ 내륙에서 비구름 만들어지냐 ㅋㅋㅋㅋㅋㅋㅋ 우리나라에 비오는 수증기는 중국영향 없다
@Allallall788
@Allallall788 Жыл бұрын
@@user-si1lm3ew24 나비효과는 그렇게 쓰는거 아닙니다
@Allallall788
@Allallall788 Жыл бұрын
@@popoyam 중국이 바다냐? 황사랑 비랑 같이 오는거 봤냐? 내륙에서는 비구름 생성이 거의 안된다 우리나라에 오는 비는 다 바다에서 생기는건데 서쪽인 중국에서 인공강우를 한들 동쪽인 우리나라가 무슨 영향이 있냐 중국 동쪽이 바다인데
@Allallall788
@Allallall788 Жыл бұрын
@@popoyam 학교다닐때 공부 하긴 함? 아님 공고 나옴?
@popoyam
@popoyam Жыл бұрын
내륙에서는 비구름 생성이 안대?ㅋㅋㅋㅋ 진짜 씹... 하늘에 떠다니는 구름이 온도차로 응결되어 내리는 게 비인데 뭔 개 씹소리를 하고 있냐?ㅋㅋㅋㅋㅋ 비구름 인천상륙작전 하는 소릴하네 ㅋㅋㅋㅋ
@ninapark9241
@ninapark9241 Жыл бұрын
돈이 아무리 많아도 이젠 사먹을 식량이 없을 거라는 유엔 의 경고가 새삼 실감나네요. 여러모로 어려운 세상이지만 저건 차원이 다르네요.
@인성조-r5n
@인성조-r5n Жыл бұрын
이제 되돌릴수 없는 지경까지 와버렸네요. 아직까지 사람들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안줘서 경각심이 부족한거 같은데 5년 후면 지구 전체 기온이 1도~1.5도 가량 상승하게 되는데 이정도야 싶겠지만 엄청난 결과를 도래할겁니다. 앞으로 어떤 시련을 자녀들에게 물려줄까 두렵습니다.
@기후다큐카우스피라시
@기후다큐카우스피라시 Жыл бұрын
IPCC(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는 2022년 4월 6차 평가보고서(제3실무그룹 작성)를 통해 1.5℃ 지구온난화 제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온실가스 순배출량을 2030년까지 2019년 대비 43% 감축해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더불어 2020년에서 2025년 사이에 온실가스 배출 정점에 도달하고 줄어들기 시작하지 않으면 1.5℃ 목표의 달성은 불가능하다고 경고했습니다. 이는 지금 당장 전세계가 기후행동에 적극적으로 나서야 하며, 그 중에서도 전세계 온실가스 배출량 9위인 한국의 책임과 역할이 더욱 막중해지고 있다는 걸 의미합니다.
@기후다큐카우스피라시
@기후다큐카우스피라시 Жыл бұрын
(축산업을 비롯한) 육류 생산 부문에서 전체 인위적인 온실가스의 51% 이상을 방출하고 있다. 2006년 유엔식량농업기구의 발표(축산업의 온난화 기여도가 18%)에서 고려되지 않았던 '토지변경으로 인한 탄소손실'과 '저평가된 메탄의 재평가' 및 '가축들의 호흡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를 감안하여 업데이트한 결과이다. -
@기후다큐카우스피라시
@기후다큐카우스피라시 Жыл бұрын
최근 수십 년 동안 축산업이 극적으로 팽창하여 인류를 위협하고 있으며, 육식을 채식과 같은 더 나은 대안으로 대체하지 않고서는 식량 문제는 물론이고, 전지구적 기후관련 위험성을 다룰 방법이 없을 수 있음을 이제는 이해해야 할 것이다. - 로버트 굿랜드, 제프 안항('월드워치연구소 2009년 11/12월 보고서'의 공동 저자)
@골번만수르
@골번만수르 Жыл бұрын
말만 두렵다고 싸고 생활패턴은 안뷔뀌는 위선이 더 두렵네여
@기후다큐카우스피라시
@기후다큐카우스피라시 Жыл бұрын
인류 멸망까지 임계점, 기후위기 5가지는 이미 놓쳤다” • 한겨레 2022.9.13 국제연구팀, 기후위기 티핑포인트 분석 지구온도 1.1도 상승에도 16가지 중 5개 위험요소 티핑포인트 위험 도달 1.5도 상승하면 모든 위기 못 되돌려 “탄소배출 당장 줄이면 막을 수 있어” 현재의 지구온난화 수준에서도 그린란드 빙상 붕괴, 영구동토층 해빙, 열대 산호초 소멸 등 5가지 위험이 티핑 포인트(전환점)를 지났을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국제연구팀은 산업화 이전에 견줘 지구 평균 기온 상승폭을 1.5도 이내로 제한하자는 파리기후협정의 목표를 이루더라도 기후위기에 따른 여러 위험이 촉발될 수 있다는 분석을 내놓았다. 영국 엑서터대와 독일 포츠담기후영향연구소, 국제연구네트워크 ‘지구위원회’ 등 국제공동연구팀은 13일 “인류의 온실가스 배출이 이미 지구를 티핑 포인트 비상구역으로 진입시켰다. 잠재적인 티핑 포인트 16가지 가운데 5개는 현재의 온도에서도 촉발될 수 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기후 티핑 포인트가 엄격하게 정의된 2008년 이후 발표된 200개 이상의 논문을 종합적으로 검토한 논문을 최근호에 발표했다. 티핑 포인트는 임계온도를 초과해 지구온난화가 종료되더라도 기후 시스템에 멈출 수 없는 변화를 일으키는 것을 말한다. 연구팀은 티핑 포인트와 각각의 임계온도, 발생 기간, 영향 등에 대한 증거를 토대로 잠재적 티핑 포인트 목록을 기존 9가지에서 16가지로 늘렸다. 구체적으로는 1)그린란드 빙상 붕괴 2)남극 서부 빙상 붕괴 3)래브라도해 대류 붕괴 4)남극 동부 빙하분지 붕괴 5)아마존 열대우림 고사 6)영구동토층 북부 상실 7)대서양 대규모 해양순환 붕괴 8)북극 겨울 해빙 상실 9)남극 동부 빙상 붕괴 10)저위도 산호초 사멸 11)영구동토층 북부 돌발 해동 12)바렌츠해 해빙 돌발 상실 13)산악 빙하 상실 14)사헬과 아프리카 서부 몬순 전환(녹화) 15)북부 삼림(남부) 고사 16)북부 삼림(북부) 확장 등이다. 연구팀 논문은 영국 엑서터대에서 12일(현지시각)부터 열리고 있는 ‘티핑 포인트-기후위기에서 적극적 전환으로’ 제목의 컨퍼런스에 맞춰 발표됐다. 연구팀은 고기후 데이터, 현재 관측 자료, 기후모델 결과 등을 샅샅이 조사해 지구의 기후 조절과 관련된 16가지의 주요 생물물리학적 시스템(티핑 요소)이 자동적으로 변화가 계속되는 티핑 포인트를 넘을 가능성이 있다고 결론지었다. 예를 들어 온도 상승이 멈추더라도 빙상이나 해양, 열대우림이 티핑 포인트를 지나면 계속해서 새로운 상태로 변하게 된다는 것이다. 연구팀은 티핑 요소로 남극 대륙과 아마존 열대우림처럼 전 지구 시스템에 영향을 미치는 9가지와 티핑(전환) 결과가 전달되면 심각한 지역적 결과를 초래하는 7가지로 분류했다. 7가지에는 서아프리카 몬순 전환과 적도 주변의 산호초 소멸 등이 포함된다.
@ordermade2224
@ordermade2224 Жыл бұрын
90년대 유년기를 보낸 사람으로서 지금 날씨는 그야말로 감정도 매마른 느낌이다 어렸을적 봄의 따사로움, 여름의 청량한 냄새 가을의 따뜻함과 겨울의 한랭청결한 분위기는 없이 그저 불쾌함이 많은 날들일 뿐이다..
@caap2701
@caap2701 Жыл бұрын
그러게요 80년대생 공감하고 갑니다
@서연우-b4p
@서연우-b4p Жыл бұрын
미세먼지와 페미들 뭐만하면 진지충 감성충 ㅈㄹ거리는 잼민이들과 20대들땜시..좀만 나약해져도 조롱거리되니 정신빠짝차리고 살아야함 ㅋㅋ
@Ilililil-y6h
@Ilililil-y6h Жыл бұрын
같은 세대인데 글이 너무 슬퍼요
@jaeholee8959
@jaeholee8959 Жыл бұрын
진짜요. 어렸을 때 자연내음이 안 나고 매캐함
@suking404
@suking404 Жыл бұрын
시인이십니다ㅡ
@ryanchangkorea
@ryanchangkorea Жыл бұрын
40여년 살면서 이렇게 더운 4월도 처음이고 이렇게 추운 4월도 처음입니다. 기온차가 큰 환절기라고는하나 그 갭이 너무 역대급이에요. 며칠사이 겨울과 여름을 휙휙 오가는데 확실히 요즘 기후 정상 아니네요. 경건하고 거룩하게 맞이합시다...
@세점박
@세점박 Жыл бұрын
94년 전국가뭄은 기억 안나는가!
@김9라-f2c
@김9라-f2c Жыл бұрын
40년은 짧으잉ㅇㅇㅇ 😅😅😅😅
@말콤-o5n
@말콤-o5n Жыл бұрын
맞이하라
@doog9601
@doog9601 Жыл бұрын
​@@세점박 가뭄은 영상 내용이지 댓글 내용이 아닙니다만?
@NJZHaerin
@NJZHaerin Жыл бұрын
환절기때 진짜 조심해야할듯.. 아침에 덥다고 얇게 입고 갔다가 저녁에 추워서 목감기 제대로 걸림.. 죽을것 같음 목 아파서..
@D.Y.Ryu.772
@D.Y.Ryu.772 Жыл бұрын
환경은 일부 사람들의 노력으로만 할 수 있는 일이 아닙니다. 전 세계 사람들이 같이 공감해야 될 문제에요
@믹스커피-AD
@믹스커피-AD Жыл бұрын
그런 얘기는 아무런 소용 없어요.
@-naisu
@-naisu Жыл бұрын
유럽을 보셈 친환경 에너지 환경 어쩌고 저쩌고 그러나 단한번의 겨울나기 위협에 바로 석탄 풀가동
@SeedZombie
@SeedZombie Жыл бұрын
환경문제는 이젠 해결이 불가능함 나라나 산업쪽에서 환경문제들고나오는건 그걸로 한목벌기위한 수단이 되버린지 오래고. 환경문제해결한다고 친환경 어쩌구 하지만 그걸만들기위해 필요한 재료들은 또 자연회손 하면서 만들어내야하고 만들고나서도 정비나 보수를 하기위해 또... 그리고 가장큰문제는 우리는 인구소멸위기라 이해가 잘안가지만 인구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고 있다는거 그인간들이 먹고 살기위해 기초적인 필요 요건들...
@ani-p1q-s6u
@ani-p1q-s6u Жыл бұрын
상식적으로 강수량이 한두 달 정도에 집중된 나라에서 자연적으로 물 저장할 나무는 태양광한다고 다 밀어버리고 인공적으로 저장할 보는 헐거나 열어버리는데 물이 모자라는게 정상 아닌가? 초등학생한테 물어봐도 이것도 모르냐고 타박할듯ㅋㅋ
@나그네-o3m
@나그네-o3m Жыл бұрын
오늘밤부터 토요일까지 약 이틀가량 비 온다는데 이럴때라도 좀 많이 내리길...
@노고단-j3i
@노고단-j3i Жыл бұрын
태양광한다고 나무 3070000그루를 벌목해 버렸다는게 레전드다
@seoyoon3842
@seoyoon3842 Жыл бұрын
기사 검색하시면 야산에다가 태양광시설 가능하게 한 시기가 박근혜 정권임.
@tylorhan3419
@tylorhan3419 Жыл бұрын
​@@seoyoon3842 . 노무현정부는 태양광산업 육성을 위해 독일에서 입증된 발전차액지원제도(FIT)를 시행했다. FIT는 태양광으로 생산된 전기를 수익이 보장되는 고정된 가격에 장기간(20년간) 전량구매하는 제도다. 이 제도로 태양광발전사업자와 공급업체가 늘어나고 전국적으로 설치가 급격히 증가해 산업이 비약적으로 발전하기 시작했
@charileeo7361
@charileeo7361 Жыл бұрын
​@@seoyoon3842 야.. 그걸 비교하면 안되지.. 그래서 우리나라 태양광 기술이 세계적 수준인거야.. 문재인은 돈을 엄청 쏟아 부어서 에너지 전환을 시도한거고.. 헛짓걸이 한거잖아.. 이건 진짜 짱돌이나 가능한 짓이야.. 대한민국에서 태양광 에너지화는 힘들다는 건, 난 애들때부터 알았어.. 머리가 나빠서 정치인 빠는건 알겠는데.. 아 좀 상식은 갖자 제발.. 제발 제발 !!!! 나라 좀먹는 이 정치뼝 환자들아 !!
@chanhyun_nam
@chanhyun_nam Жыл бұрын
​@@seoyoon3842 문젠 문재인 정책으로 너도나도 태양광 한다고 지원금 받아 쳐먹고 잠수탄 애들임 ㅋㅋㅋ 이런 낭비가 어디있나 더군다나 중국제 수입 늘어난것고 사실이고 너무 무대포로 정책을 밀어붙여 세금을 이상적으로 낭비함 그러니 빚이 확 올라가지
@just_guy
@just_guy Жыл бұрын
​@@seoyoon3842 태양광 사업 자체는 더 일찍이 되었어야 정상이죠. 사업 자체가 나쁜게 아니라 전 정권에서 전기를 2배나 비싸게 산다고 사업 벌여놔서 산이고 들이고 나무 싹다 없애고 태양광 발전 돌려놓은 덕분에 꼴이 이렇게 된거죠? 기사나 뉴스를 보세요. 태양광 사업 때문에 마을 산사태 나서 사라지는게 이렇게 쉽게 접하던 뉴스였는지.
@대한민국-s4x
@대한민국-s4x Жыл бұрын
큰일입니다. 전세계적으로 기후변화 막기위해 노력하는 것보다 파괴하는 속도가 크니ㅜㅡㅜ
@멀봐빙신아
@멀봐빙신아 Жыл бұрын
인간이란 종족이 있으니 그렇지 뭐
@NoJeolladoNoChina
@NoJeolladoNoChina Жыл бұрын
여기서 기후변화 걱정하는 분들 후손들이 걱정이다 어쩌고 하는분들~ 그럴 시간에 한 푼이라도 더 벌어서 후손들 물려주셈 ㅋㅋ 후손들은 그걸 더 좋아함 ㅋㅋㅋ
@홍은미-x8c
@홍은미-x8c Жыл бұрын
대다수 시민들이 노력했나? 당장 닥치지 않으면 강건너 불구경이었지. 환경론자들이 그렇게 외쳐도 대부분 마이동풍 아니었나? 개인주의, 황금 만능주의, 소비주의가 아직도 만연하고 있는데,
@흠좀-b9f
@흠좀-b9f Жыл бұрын
댓글 보니 나 하나즘이야 하고 아무렇지 않게 환경파괴 하는 사람으로 보이네요. 저런 되도 않는 현실 이야기 하고 체념주의자들 때문에 될 수 있는 것들도 안되는 법인데...
@maximum11245
@maximum11245 Жыл бұрын
막기위해 노력은 개뿔 ㅋㅋㅋ
@현정김-y2x
@현정김-y2x Жыл бұрын
환경 진짜 한사람 한사람 조금씩 노력해요. 후세대를 위해서 더이상 방심하면 안될듯. 늦은감 없지만 지금이라두요.
@MaknaeCarrot
@MaknaeCarrot Жыл бұрын
이렇게 정리해서 보여 주시니 확실히 더 체감이 됩니다
@lee3449
@lee3449 Жыл бұрын
물은 흐르도록 놔둬야 한다며... 한가지만 해...
@tree6945
@tree6945 Жыл бұрын
그러게요. 물흐르는데로 놔두든가 아니면 댐 보 만들든가
@bandal8925
@bandal8925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 남부지방에 비를 내렸던 양자강 하류의 구름형성이 샨샤댐 건설로 하류 강물 온도가 내려가 감소하고 있어 특히 봄철 강수량이 감소하고 있음. 또 하나는 공기 확산이론을 적용해 기상 통제가 특정 지역에 악용된 여파일 수도 있다고 봄. 앞으로 동북아 지역의 기상 이변에 관심을 가지고 지켜볼 필요가 있음.
@trudyravi1213
@trudyravi1213 Жыл бұрын
기상통제가 실제 전면적으로 시작된다면 무역전쟁이나 ,핵전쟁이 아니라 가뭄 기근 홍수 태풍으로 압박할수 있겠네 무섭다
@긱테도
@긱테도 Жыл бұрын
그럼 중국에 충성을 맹세해야 하는 거 아님?
@멸공의횃불-v2z
@멸공의횃불-v2z Жыл бұрын
​@@긱테도 널 가리켜서 간첩이라고 하는거야
@긱테도
@긱테도 Жыл бұрын
@@멸공의횃불-v2z 자연 지리적으로 우리 나라 강수량이 중국에 달려있으면 살기 위해서라도 중국 바지 끄댕이에 메달려야지 어쩔거임?
@nnea5045
@nnea5045 Жыл бұрын
샨샤댐 붕괴기원 제발
@김홍식-x1j
@김홍식-x1j Жыл бұрын
역시 빨리 빨리의 한국, ~~~~
@뉴뉴뇨뉴
@뉴뉴뇨뉴 Жыл бұрын
기후문제는 예전부터 ebs같은곳이나 다큐 통해서 경고를 많이 했는데 이제는 뉴스에 되게 자주 나오네 사태심각성을 좀더 알고 노력을 해야될듯
@88bb43
@88bb43 Жыл бұрын
예전에는 눈에 안보이다가 서서히 보이기 시작하니 그런 것 같네요. 아직 지구온난화를 믿지 못하는 사람이 많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즉, 당장 내 눈 앞에 위기가 닥치지 않는 한 변하는건 없을테죠
@seopk2126
@seopk2126 Жыл бұрын
기후변화는 아주 오랫동안 진행되었는데 점점 주기가 빨라지는거 같네요. 한반도 내 지역별 기후 변화 조사랑 그에 맞춘 자원이용 및 도시계획도 다시 수립해야겠어요. 다시 되돌리는 것보다 변화에 대한 대책수립이 더 좋을꺼 같아요.
@더불어만진당
@더불어만진당 Жыл бұрын
못막아요 기후 변화 ㅇㅇ 기후위기 그래프보면 인간 산업활동하고부터 그냥 수직 상승한 거 뭐 있던데 ㅋㅋㅋㅋ 걍 못막음 신재생에너지(완전 상용화) 되기 전까지
@더불어만진당
@더불어만진당 Жыл бұрын
아니다 그냥 못막는다던데
@물음표두개
@물음표두개 Жыл бұрын
지금 추세로는 평균온도 1.5도 상승까진 모깃막고 그이상 올라가는걸 막느냐 마느냐의 싸움이라고 하네요. 문제는 1.5도도 전세계가 협력해야 겨우 그정도로 끝난다고...
@부정선거수사하라
@부정선거수사하라 Жыл бұрын
사대강 사업은 신의 한 수였다. 기껏 만든 강의 보들을 다 부수거나 수문 개방하니... 땅이 물을 머금을 수가 없지 않나? 눈에 보이는 녹조는 일시적이다. 지하수고, 지표수고 일단 물을 머금어야 살 거 아니냐?
@류승현-k4e
@류승현-k4e Жыл бұрын
큰일입니다. 우리나라도 지금부터 중동과 같은 담수화시설도 적극 검토해야할듯 하네요
@windingkingBH
@windingkingBH Жыл бұрын
담수가 만능이 아니에요 처리하고 남은 고농축 바닷물 그거다시 바다로 흘러가면 안좋아요
@sunflower-cw1bd
@sunflower-cw1bd Жыл бұрын
물부족 다 거짓임
@superbuildtiger
@superbuildtiger Жыл бұрын
일본 방사능 물 풀고 있는데 담수화??
@사람-u2u5l
@사람-u2u5l Жыл бұрын
해수면은 높아져 가는데 정작 담수는 줄어드는 아이러니한 상황
@ssvv6508
@ssvv6508 Жыл бұрын
그게 4대강인뎈ㅋㅋㅋㅋ 4대강은 극혐하면서 ㅋㅋㅋ
@메밀꽃핀달빛아래
@메밀꽃핀달빛아래 Жыл бұрын
전북 진안에 위치한 용담댐도 저러던데 .... 정말 물부족이 심각하더군요
@oyazine
@oyazine Жыл бұрын
빨리 해체해서 기후변화에 대처해야 합니다 ..
@세상살이야속해도
@세상살이야속해도 Жыл бұрын
전라도가 수문열어서그럼
@user-ssfgh321dgh54
@user-ssfgh321dgh54 Жыл бұрын
@@oyazine 물은 가두면 안되죠?
@메밀꽃핀달빛아래
@메밀꽃핀달빛아래 Жыл бұрын
@@oyazine 무얼 해체 하라는건가요 ?
@oyazine
@oyazine Жыл бұрын
@@user-ssfgh321dgh54 그쵸 그니께 물부족한게 얼른 보 해체 해서 기후변화에 대처 해야죠 ....
@user-kimbeat
@user-kimbeat Жыл бұрын
물론 이상기후의 영향이 크겠지만 그럼에도 생수업체 무분별한 개발에 대해 제한 할 생각을 안함
@sigi_sig_e
@sigi_sig_e Жыл бұрын
​@@gavorstz생수업체가 기후에 영향을 주는것이 아니라 지하수를 이용함으로 인해서 지하수가 부족해 가뭄에 대한 자연의 대처능력 약화를 언급하는거 같네요
@black_lobster
@black_lobster Жыл бұрын
넌 물 땅파먹어라
@김태규-c9g
@김태규-c9g Жыл бұрын
셍수 ㅋㅋㅋ 수도물이 가장 위생적이고 물맛도 좋와! 난 생수 단 한번 마셔본적 없슴! 수도물 받아 냉장고에 넣었다 마시면 청량감 좋고 맛도 끝내주죠 사먹는게 고급인줄 아는데 웃기는 천박한 생각임!
@user-ssfgh321dgh54
@user-ssfgh321dgh54 Жыл бұрын
@qwe⁰ 해수 담수화는 가격이 너무 비싸다고 합니다. 그나마 4대강으로 비가 올때 가둬두고 필요할때 쓰는것인데, 저쪽은 그러면 물이 썩는다며 시위하고 수문 개방하고 보 해체하라고 하죠. 그런데 정작 그 지역 주민은 반대를 하는데 다른곳 사는 사람들이 시위를 하니 참 아이러니.
@hororoja2253
@hororoja2253 Жыл бұрын
​@qwe⁰ 비논리적이고 비과학적
@욤욤냠냠-c5v
@욤욤냠냠-c5v Жыл бұрын
제발,,, 심각성좀 알았으면 ㅠㅠㅠㅠ 무섭다 ... 😢진짜 환경을 위해 노력해야합니다 ㅠㅠㅠㅠ
@kkki8934
@kkki8934 Жыл бұрын
인구절벽은 순리였구나......... 자연은 평생 그자리에 있지만 인간은 많이 살아봐야 100년 죄책감 따위는 없다. 후세를 걱정해야 한다.
@유튜브까마귀
@유튜브까마귀 Жыл бұрын
후세가 없는 걸...
@CBRN-115
@CBRN-115 Жыл бұрын
응 걱정할 후세 없어
@노이슨-s3x
@노이슨-s3x Жыл бұрын
후세걱정되면 국민연금 안받아주시면됨 ㅋㅋ
@kkki8934
@kkki8934 Жыл бұрын
후세가 없는게 자랑이 아니야... 니네들이 그만큼 매력도 돈도 지위도 없다는 뜻이니까. 노력해서 자식을 낳고 후세를 걱정하길 바란다.
@lolflo9716
@lolflo9716 Жыл бұрын
​@@kkki8934 매력은 그러려니 하는데 지위는 20~30대가 논할 문제가 아니고 돈은 나라가 경제구조가 점점 험악해지는데 어쩝니까... 평범한 기업을 들어가도 가장 혼자 가족 부양도 다 되고 자식들 대학까지 보내줄 형편이 되는 사회였다면 참 좋았겠지만 그렇지 않은걸요.... 그렇다고 맞벌이 하자니 애가 혼자 크는것도 아니고요.... 쉽지 않네요.
@jfca6890
@jfca6890 Жыл бұрын
저는 사과농장하는데 작년보다 1주일이나 일찍 꽃이 개화했으며, 귀찮을 정도로 많던 야생벌들은 흔적도 없이 다 사라졌습니다.
@User-bonjour2000
@User-bonjour2000 Жыл бұрын
벌이 없는건 이상한 살충제 때문
@김동현-s3h8o
@김동현-s3h8o Жыл бұрын
매 해 같은 패턴으로 재배를 했을 텐데 올해에만 벌이 사라졌으면 다른 변수가 있는거죠.
@purplegreen211
@purplegreen211 Жыл бұрын
벌이 없어지면 지구 멸망각인데 ㅋㅋ
@그녀에게
@그녀에게 Жыл бұрын
그러게요. 저의 집에도 봄이면 꽃 때문에 벌들이 많았었는데... 거의 안보임. 어쩌다 한두마리.
@jfca6890
@jfca6890 Жыл бұрын
@@User-bonjour2000꽃필때 살충제 전혀 치지 않습니다…열매아 있어야 살충제를 치지요.
@lotuwha5577
@lotuwha5577 Жыл бұрын
무서워... 이런 상황인 우리나라에 새로 가동을 시작한 화력발전소도 많고 일회용 제품은 또 얼마나 마이들 쓰는지...
@user-rl1er5cbtog
@user-rl1er5cbtog Жыл бұрын
이산화탄소 배출량 제일 많은 삼대장 국제 사회에서 엄격하게 규제해야 한다고 봅니다. 중국 10,398. 미국 4,632. 인도 2,251. . . 대한민국 614.
@라니마리-s9n
@라니마리-s9n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도 면적 대비 많은거 아닌가요...? 면적 비례하면 우리나라도 할 말 없는 것 같은데... ++덧 인구수 비례로 봐야한다는 의견이 있는데 인구수 비례해도 한국 할 말 없어요... 인도 14억 2862만 중국 14억 2567만 미국 3억 3999만 한국 5155만 인구수로 따지면 오히려 인도가 인구당 배출량 제일 적겠네요. 4개국 중에선... 4개국 중에서 인구수 대비 1. 미국 2. 한국 3. 중국 4. 인도순이겠네요... 놀랍네요 정말 물론 상기 댓글 배출량이 정확히 어떤 수치 인지 모르겠지만...
@dumdum9424
@dumdum9424 Жыл бұрын
인도가 그러더라. 산업혁명 이후 100년넘게 화석연료 펑펑쓰며 발전해놓고 이제와서 그 부담을 다 같이 지자고 하냐고. 자기네도 100년쯤 쓰고 발전하면 친환경 하겠대. 할말이 없더라. 너무 맞는 말이라서. 중국? 인도? 인구당 배출량으로 봐바. 미국은 친환경 언급할 자격이나 있을까? 자칭 선진국들이 구성한 국제사회라는게 개도국 규제할 명분이 있을까?
@user-pu7kh7kf3y
@user-pu7kh7kf3y Жыл бұрын
인구 고려시 중국인도가 미국한국 싸대기 개패야겠는데 뭔 규제여 ㅅㅂ 쟤네는 ㅈㄴ 아끼고 사는거였네
@Goki_Mangchi
@Goki_Mangchi Жыл бұрын
면적대비보단 인구대비로 봐야 맞는거 아닌가?
@한주민-h1s
@한주민-h1s Жыл бұрын
그들 나라도 해야 하지만 우리나라도 할 말 없긴 해.
@부시맨-c1g
@부시맨-c1g Жыл бұрын
돌이켜 보면 4대강 사업이 혜안이었던거네....
@꽃집아재-l6l
@꽃집아재-l6l Жыл бұрын
제주도 산방산 옆 용머리해안을 코로나 전에 다녀온게 어제 같은데 이제 34일만 산보 가능하다니 안타깝네요. 더 침수되기 전에 한 번 더 가보고 싶네요.
@절식남-g1w
@절식남-g1w Жыл бұрын
해수면이 올라와서 저도 동네에 살면서도 몇 십년전에 가보고 못가고 있네요
@Tong_il
@Tong_il Жыл бұрын
기상이변의 최대 적은 대기업임. 이윤의 극대화를 위해 온갖 환경호르몬제품및 오폐수를 쏟아내는데 캠페인은 개인에게 환경보호 의무를 뒤집어 씌우고있음. 근데 사람들이 이걸몰라 ㅋㅋ
@바람바람-w7w
@바람바람-w7w Жыл бұрын
벌을 받아야지
@asdzxcz5m
@asdzxcz5m Жыл бұрын
원래 5대강 사업이었는데 그렇게 반대해서 겨우 4대강을 한건데~ 결국 반대한 곳은 폭우나 태풍오면 홍수 피해 입고 비 안오면 가뭄오고; 지역 주민들이 환경 단체와 민주당 의원들의 달콤한 입발린 말에 속아서 5대강 반대한걸 누구 탓하겠어요? 환경단체랑 민주당 탓해야지
@d.b.c2150
@d.b.c2150 Жыл бұрын
내일 비 많이 온다는데... 피해는 적고, 가뭄이 해결되었으면 좋겠네요.ㅜㅠ
@나나-n7p
@나나-n7p Жыл бұрын
호구청을 왜믿음?
@불곰뚝배기
@불곰뚝배기 Жыл бұрын
​@@나나-n7p 넌 왜 사냐
@킴익명
@킴익명 Жыл бұрын
​@@불곰뚝배기 호구가 많으면 둘리래자나요 ㅋㅋ
@노다니엘-i7c
@노다니엘-i7c Жыл бұрын
@@나나-n7p 비 무진장 왔다 호구청도 맞출때가 있겠지
@baeg676
@baeg676 Жыл бұрын
옛날 콸콸 흐르던 계곡의 물들이 요즘은 사냇물 처럼 졸졸 흐르거나 바닥의 돌들이 드러나 물 한방울 없이 잡풀만 무성 합니다. 물부족 국가가 되어가는 것을 절감합니다.
@matched93
@matched93 Жыл бұрын
1. 4대강 보수 작업 반대로 무산 2. 댐 물 필요한데 그냥 방류한 지난 정권 3. 환경부에 말도 안되는 산림 박살 (최근은 지리산 박살) 4. 태양광 설치 점점 브라질 아마존처럼 이상한 행동을 하기시작함
@8755go
@8755go Жыл бұрын
정답입니다. 상수원 동복댐 / 4대강보 해체/ jtbc는 제대로 정보 확인후 보도 하길.... 뭘 전세계보다 2배 빠르다는지...ㅉㅉㅉ
@kka__kka__kkka
@kka__kka__kkka Жыл бұрын
솔찍히 주변에 보면 환경 문제 생각없는 사람 너무 많아요… 기본적으로 양치할때 치카치카 중에 물틀어두고 흘려보내고 ㅠㅠ 세수할때도 얼굴 문질문질하는동안 물틀어두고 흘려보내고 ㅠㅠ 조금만 신경쓰면 물을 아낄수있어요 여러분 제발 ㅠㅠ
@기후다큐카우스피라시
@기후다큐카우스피라시 Жыл бұрын
제발 동물 먹지 마셔요. 지구에서 가장 큰 물소비가 이루어지는 부문이 축산이니까요. 오늘날 캘리포니아에서는 1파운드(453그램)의 소고기를 먹지 않는 것이 6개월간 샤워를 전혀 하지 않는 것보다 더 많은 물을 절약하는 방법이다.(1일 1회 샤워 기준) - , p297
@psi2181
@psi2181 7 ай бұрын
인간은 존나 이기적인존재라 절대 안바뀜. 당장에 지금보다 기후위기가 더심해져서 정상적인 생활이 불가능해져도 거기서 더 편의를 찾으려고하지 전체나 미래를 위한 노력은 하지않을거임. 그냥 인구수 자체가 전체적으로 훅 줄어야함.
@마섬광
@마섬광 Жыл бұрын
개개인과 기업 정치계 모두가 심각성을 인지하는 게 가장 중요하다
@이플-j5r
@이플-j5r 8 ай бұрын
저출산은 해결해야 될 문제가 아니라 자연스러운 변화이다.
@한상환-n8o
@한상환-n8o Жыл бұрын
4대강의 소중함이 절실합니다.
@soribuffet
@soribuffet Жыл бұрын
이런기사 볼때마다 무섭네요.. 국가적 차원에서 뭔가를 해야될 시기인듯
@김미녀-k3v
@김미녀-k3v Жыл бұрын
개인들의 인식 개선 및 노력도 필요하겠지만 국가 리더들이 앞장서서 제도적 차원에서 큰 변화를 이끄는게 급선무겠네요.. 마음이 아픕니다.
@홍은미-x8c
@홍은미-x8c Жыл бұрын
리더가 리더 다와야지, 하긴 도찐개찐이군.
@gunbbarr
@gunbbarr Жыл бұрын
한국의 국민수준 =차이나시민권
@이름-e7k
@이름-e7k Жыл бұрын
이걸 비가 엄청 내린날 보도하니 와닿지가 않네..
@지니지니-l9y
@지니지니-l9y Жыл бұрын
장마때 비가 많이 오면 좋으데 또 너무 많이 와도 걱정이네요. 침수되는지역이 있으니까요.
@ellenb2092
@ellenb2092 Жыл бұрын
사대강 사업은 시대를 앞서간 사업이었군요 가뭄과 홍수가 번갈아 오는 기후변화에 대비한 사업을 정치적으로 반대한 사람들은 책임져야 합니다
@Music_Story_Tunes
@Music_Story_Tunes Жыл бұрын
좀 더 진화하는 한반도 대운하 사업을 해야죠. 그럼 물 부족할 일도 없고 홍수 날 일도 없을듯..
@allen7202
@allen7202 Жыл бұрын
올해 엘니뇨 때문에 남부지방에 비 많이 내린다는데 제발 다 채워지길 바랍니다
@제주일상-v7p
@제주일상-v7p Жыл бұрын
너무 많이 온다고 좋은게 아니예요 ㅜㅜ
@쥐새끼
@쥐새끼 Жыл бұрын
​@@제주일상-v7p 그럼 그냥 오지말고 말라죽자
@heaveninthesea4914
@heaveninthesea4914 Жыл бұрын
작년 홍수 피해를 잊으셨나.. 채워져도 또 마르는 건 시간문제.
@Xpxhfn
@Xpxhfn Жыл бұрын
근데 정작 남부지방은 그 빗물들을 받아줄 댐과 보를 쳐부숴서....
@Xpxhfn
@Xpxhfn Жыл бұрын
@@오함마-c1q 하긴 있었던 댐을 부숴버려서 그렇게 되는거죠
@kimjuhyeong
@kimjuhyeong Жыл бұрын
나무 심기 등이 도움이 되는건가요? 아니면 다른 방법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기후다큐카우스피라시
@기후다큐카우스피라시 Жыл бұрын
식물식이 가장 효과 있음. 온실가스 최소 51%를 축산업이 배출. 청정수 고갈 : 축산을 위한 물 소비 규모는 우리의 상상을 초월한다 식물 위주 식단으로의 문화적인 전환이야말로 남아 있는 숲을 보호하는 가장 근본적인 단계이자 더이상은 숲을 훼손하는 일 없이 우리가 먹고 살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다. 쇠고기 1kg을 생산하는 데 약 20,000 리터의 물이 필요하다. 토마토 1kg에 110 리터, 통밀 1kg에 525 리터의 물이 필요한 것과 비교하면 아주 엄청난 양이다. 오늘날 캘리포니아에서는 1파운드(453그램)의 소고기를 먹지 않는 것이 6개월간 샤워를 전혀 하지 않는 것보다 더 많은 물을 절약하는 방법이다.(1일 1회 샤워 기준) - 존 로빈스 농.축산업이 전체 담수 사용량의 70%를 사용하고 있으며 대부분이 육류 생산에 사용된다. 6개월 샤워하지 않는 것보다 햄버거 4개를 먹지 않거나 소고기 0.4KG을 먹지 않는 것이 더 많은 물을 절약할 수 있다. -고용석 인간은 지난 반세기 만에 강력한 디젤과 전기 펌프를 이용하여 대수층의 물을 단 수십 년 만에 고갈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게 되었다. ······ 농작물을 재배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소와 돼지, 닭을 사육하기 위해 더 많은 물을 소비하고 있고, 그로써 수백만 개의 우물이 메말라가는 현상이 전 세계적으로 벌어지고 있다. 인도, 중국, 북부아프리카, 미국 등은 빗물이 보충해 주는 속도보다 더 많은 양의 물을 대수층에서 끌어올려 신선한 물을 고갈시키고 있다. - 21세기 전쟁은 물 때문에 일어난다. - 이즈마엘 세라젤딘(Ismail Serageldin), 세계수자원위원회(the World Water Commission) 회장
@ckone5448
@ckone5448 Жыл бұрын
사대강 자체의 효과보다도 수자원의 소중함을 알고 발전해왔어야 하는데 이제 위기가 오는듯 하네
@곰-n4y
@곰-n4y Жыл бұрын
소중함을 알고서 4대강을 정비 했겠죠
@IINBANG
@IINBANG Жыл бұрын
4대강 댐이랑 기후변화랑 상관이 없는데...
@fgjigg4717
@fgjigg4717 Жыл бұрын
이명박각하.. 대체 몇백년 앞을 내다보신건가요..
@ju_law
@ju_law Жыл бұрын
@@IINBANG 뭘없어
@masai77777
@masai77777 Жыл бұрын
ㅋㅋㅋ 수자원의 소중함을 알고 발전한게 4대강 정비여
@한국-i1g
@한국-i1g Жыл бұрын
이명박때 4대강 패스한곳. 아니여 반대했던 사람들 책임
@테베의교차로
@테베의교차로 Жыл бұрын
산도 저렇게 되는구나
@denlaw5590
@denlaw5590 Жыл бұрын
태양광한다고 나무 엄청 잘랐지.
@치크타
@치크타 4 ай бұрын
사실 지구온난화의 가장 큰 원인은 탄소배출입니다 탄소배출을 절감해야하는데 한국은 에너지의 60~70을 화석에너지에 의존하는 나라죠 그럼 이를 신재생에너지로 전환해야하는데 수력과 풍력 지열 어떤것도 한국에 적용이 안됩니다 유일하게 가동이 가능한게 태양광입니다.
@무명씨1인
@무명씨1인 11 ай бұрын
올해는 작년하고 극단적으로 반대여서 너무 비가 많이내려 농작물 냉해가 걱정이라던데 참 극과 극이올시다.
@kimmiyeon1
@kimmiyeon1 Жыл бұрын
이번 여름에 비가 많이 온다고 하니 저수지랑 댐엔 물이 찰거 같은데 해수면 상승은 문제네요,,,
@차차차-y8h
@차차차-y8h Жыл бұрын
태양광은 건물의 지붕에만 설치할수있도록 법을 만들어야한다
@BbraveAndy
@BbraveAndy Жыл бұрын
???
@gfith7659
@gfith7659 Жыл бұрын
지능이 낮은것들은 폐기처분하는 법을 만들어야 한다
@착한녀석
@착한녀석 Жыл бұрын
확실히 2찍들 멍청함
@모배센세
@모배센세 Жыл бұрын
@@착한녀석확실히 1찍들은 정신병인듯 ㅋ
@sk-pc5wu
@sk-pc5wu Жыл бұрын
​@@이이이이이잉 바다속에도 수초들이 많이 있지 않을까요? 바닷속 수초도 우리가 직접눈으로보는 나무들만큼의 역할을 할것같아서요..
@ppp-ym2gq
@ppp-ym2gq Жыл бұрын
그니깐 사대강같은 치수사업이 필요했던거임
@nnnonammeee
@nnnonammeee Жыл бұрын
뉴스에서 쓸데없는 정치인들 싸우는 소식 줄이고 자연환경 스페셜로 꾸려서 10~20분 남짓으로 계속 소식 알려주면 좋겠습니다.(사실 다큐로 나오는거는 시간대도 늦고 잘 보지 않는 사람이 많음)
@subscribersN0
@subscribersN0 Жыл бұрын
코로나 완전 초기에 거리두기 2주 딱 잘 하면 끝날 거라고 생각되던 시기에 거리두기 안 하고 마스크 안 쓰고 모임 하는 사람들 나오는 거 보고 환경 문제도 절대 해결 안 되겠다는 걸 느낄 수 있었음. 코로나 초기에는 거리두기만 일정기간 잘 하면 금방 끝날 수 있는 병이라고 생각됐었고 매일 사람들 걸리고 죽는 뉴스가 나왔고 1, 2명 감염되고 사망하는 거에도 민감했음. 즉 지금 생각하면 웃기지만 당시 상황에선 코로나의 공포는 지금 기후변화보다 심각하고 개인이 직접적으로 체감할 수 있을 정도의 공포였고 거리두기라는 그 상황을 해결할 명확한 해결책이 있었던 거임. 그럼에도 거리두기를 지키지 않는 사람들이 속출했는데 기후변화처럼 자금은 나와 관계 없는 먼 얘기처럼 느껴지는 문제에 행동할 리가 없음. 아직까지 일부 국가 또는 일부 지역만이 큰 피해를 보고 있음. 진짜 전 세계가 동시적으로 집에서 물 못쓰고 곳곳에 매일 불 나고 식량 없어지고 공기 질 나빠서 마스크나 방독면 같은 기구 써야될 상황 닥치지 않는 이상 기후변화 막기 위한 노력 하는 사람은 지금처럼 극히 일부밖에 없을 거임
@무명-p6e
@무명-p6e Жыл бұрын
미국에서 탄소재포집(공기중의 탄소를 흡수하는기술) 을 개발중이라던데 잘되서 상용화 됬음 좋겠다 지금은 너무 답이없다..
@nunanagajugeo9499
@nunanagajugeo9499 Жыл бұрын
미생물, 구더기로 쓰레기 처리해서 거름 만들고, 녹조류로 탄소 흡수하고 생각보다 짧은 미래에 해결될거 같음. 그보단 사회적 갈등이 빨리 해결돼야 할텐데
@도루미
@도루미 Жыл бұрын
아.. 나무보다 못하다는 그 기술..
@맨몸운동-o7u
@맨몸운동-o7u Жыл бұрын
올해는 엘리뇨 때문에 7,8월에 일주일 빼고 비온다 그랬음. 결국 자업자득임. 개개인이 절약한다고 되는게 아님. 기업을 조지고나 법을 더 강화 해야함
@신갑부-t7h
@신갑부-t7h Жыл бұрын
구미, 대구쪽 낙동강 가보셔요 가물어도 4대강으로 물이 가득합니다. 깜짝 놀랐어요 바다같이 넓어서
@chrischeon1872
@chrischeon1872 Жыл бұрын
4대강 그렇게 물고뜯더니 ㅋㅋㅋ jtbc가 정책을 제시해라 그람 되겠네
@물소추적-j6c
@물소추적-j6c Жыл бұрын
예전에는 4대강 헛짓거리라고 생각했는데 지금보면 참 잘한일인 듯 싶다
@물소추적-j6c
@물소추적-j6c Жыл бұрын
@@super-JEI 이미 주변지역에서 농업용수로 사용중이고 가뭄지역까지 수로로 연결할 계획이라고 하네요. 앞으로 가뭄이 잦아질테니 지금보다 더 중요해지겠죠
@포근한소리
@포근한소리 Жыл бұрын
동복호 어딘가 봤더니 전남 화순군 이군요.. 물이 이렇게 중요하단걸.. 인간들도 알았으면 좋겠습니다.
@hk_c
@hk_c Жыл бұрын
오늘처럼 비 많이오는데 비, 그거 저장해서 가뭄&여름에 사용하면 안돼나요?ㅠㅠ
@Jh_mog
@Jh_mog Жыл бұрын
물은 다떨어지고 댐안에있던 다리들도 보이기시작했습니다 그런데 환경단체는 조용합니다
@우리집한방주치의
@우리집한방주치의 Жыл бұрын
환경단체에서 저수지바닥 잡초좀 뽑으러 와서 물부족 실상을 알었으면!!
@운영자-j8g
@운영자-j8g Жыл бұрын
오늘 밤부터 폭우급 올거고 엘리뇨 현상으로 올해는 비가 많다고 합니다. 비 피해도 걱정이지만 물부족 뉴스에는 희소식도 되겠네요. 자연을 최대한 훼손하지 않으며 살아가야 하고 분리수거나 쓰레기투기 등 공익광고가 많이 나오면 좋겠네요ㅎㅎ
@dasalang90
@dasalang90 Жыл бұрын
이미 훼손될대로 훼손이 된상태라서....
@snow_-man
@snow_-man Жыл бұрын
4대강 사업 중 2차사업만 제대로 했으면 물걱정 안했을텐데... 지금이라도 전라도 빼고 다시 해야 하는것 아닌가요?
@황금농사꾼
@황금농사꾼 Жыл бұрын
저장할곳만 늘리면 뭐하나 기후변화로 비가안오면 물을 채울수가 없는데
@seoyoon3842
@seoyoon3842 Жыл бұрын
4대강 사업의 개념도 모르는 댓글이네요. 에초에 운하사업으로 시작한 것 아시죠? 인간이 사용할 물을 저장하기 위해서 아니고 배를 통과시키기 위해서 만든겁니다. 4대강 사업은 댐이나 저수지 사업이 아니라는 거죠. 물이 필요하면 상류에 댐이나 저수지 건설했어야 하는거죠. 하류는 하수도물이나 공장용수, 축산관련 용수를 어느정도 정화한후에 내보내서 하류에 흘러갑니다. 어차피 녹조가 발생할 수밖에 없어요. 님 말대로라면 경상도분들은 녹조 독성물질을 함유한 수돗물을 마셔야겠네요.
@snow_-man
@snow_-man Жыл бұрын
@@seoyoon3842 그래서 전라도만 통선문설치하고 다른곳은 모두 저장용으로 사업했습니다. 그런데 전라도는 통선문 만들때 왜 반대안했죠? 운하사업 그렇게 싫어하시면서요. 그리고 2차 사업이 저수지 사업이였습니다. 민주당이 반대해서 없어진것죠.
@snow_-man
@snow_-man Жыл бұрын
@@황금농사꾼 비가 안오니 저장고 만들어야죠. 조선시대때처럼 비올때까지 굿판 열겠습니까?
@황금농사꾼
@황금농사꾼 Жыл бұрын
@@snow_-man 이해을 못하시는군요 지금 농수용 저장시설이 부족하진 않아요 다만 장기간 가뭄이 지속되니깐 문제죠 작년 중부지방 폭우 올때 남부는 비가 안왔죠
@dogstandup
@dogstandup Жыл бұрын
앞으로 환경관련 기사들을 접하면서 모두가 경각심을 가졌으면 좋겠습니다...
@혹시동현이니
@혹시동현이니 Жыл бұрын
경각심을 가지면 좋겠네요... 집앞 강은 몇년전만 해도 물이 찰랑찰랑 참 예뻤는데... 이젠 다슬기나 물고기들도 다 죽은건지, 가장 깊어서 발 담굴 엄두도 못했던 곳도 그냥 다 들어갈수있게 되었어요....
@kangsimchan
@kangsimchan Жыл бұрын
4대강 안한곳은 지금 가뭄이랑 단수로 고생중?
@Jun-g7q
@Jun-g7q Жыл бұрын
4대강 보 빨리 정상복구하라고!!!! 왜 열고있는거야!!!!!!!!!
@장정환-w3t
@장정환-w3t Жыл бұрын
물을 더 효율적으로 저장할 수 있는 치수시설이 있어야될듯..
@list8278
@list8278 Жыл бұрын
4대강 보 해체해서 바로 가뭄 처맞아놓고도 정신못차리는 1찍들이 득실득실한데, ㅋㅋㅋㅋ치수시설 잘도 찬성하겠다 ㅋㅋㅋㅋㅋ
@강아지고양이-g3o
@강아지고양이-g3o Жыл бұрын
한국에는 물을 가두면 썩는다고 믿는 정신병자들이 그득해서 치수가 불가능함 ㅋㅋ
@seoyoon3842
@seoyoon3842 Жыл бұрын
@@list8278무식한 2찍 티를 내네. 물을 저장하는 기능은 상류에 있는 댐이나 저수지인데 하류에 보를 건설해놓고 먹지도 못하는 현실을 모르네. 오죽하면 낙동강물을 쓰는 대구 수돗물에서도 녹조 독성물질이 나오니? ㅋㅋ
@즈-c8t
@즈-c8t Жыл бұрын
@@list8278 치수 시설 녹조 생긴다고 반대함ㅋㅋㅋ
@uonlyonce
@uonlyonce Жыл бұрын
ㅋㅋㅋㄱ그냥 전라도 독립시키면안되냐?
@각성유지
@각성유지 Жыл бұрын
기후문제를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환경부를 크게 따로떼어내 어느정부가 됐건 환경부는 무조건 지키거나 개선시키기위해 애쓰는 시스템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대선때마다 달라지는게 아니라요ㅠ
@Plant4yourself
@Plant4yourself Жыл бұрын
맙소사! 이게 어떻게 된 일인가요? 보고도 믿기지가 않아요. ㅠㅠ 이렇게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니!!! 장차 이 나라를 어찌하면 좋단 말입니까. 다른 나라들도 마찬가지일테지만 우리나라가 2배 빠르다니 기가 막히고 걱정스럽습니다. ㅠㅠ 우리의 아이들은? 우리의 후손들은? ㅠㅠ
@냠냠-u9b5n
@냠냠-u9b5n Жыл бұрын
아이 안낳아야지...
@좋은나무-o6f
@좋은나무-o6f Жыл бұрын
아이 안 낳으면 젊은 노동인구 점차 옆나라 사람들로 채워질듯ㅜㅜ
@GGUZAM
@GGUZAM Жыл бұрын
말투가 무슨 번역기 돌린거 같네요
@Plant4yourself
@Plant4yourself Жыл бұрын
@@GGUZAM ? 그게 무슨 말씀이세요?
@Plant4yourself
@Plant4yourself Жыл бұрын
@@GGUZAM (내 말투가 이상한가? 2명이나 좋아요를 눌렀어???) 제 말투가 이상해요? 번역기? 🤣
@sunyeoptea
@sunyeoptea Жыл бұрын
한국곳곳에 생수공장과 지열 농사와 지혈 온열도 심각한 위기를 더하고 있습니다. 지하의 물을 다뽑아 쓰니 어디에 물이 고이고 흐를수 있겠습니다.나라는 생수공장 지하수 지열등등 지하자원을 정비해야합니다.
@honghhhhhgfds
@honghhhhhgfds Жыл бұрын
용머리해안을 작년에 처음 탐방해보고 유리나라 자연경관의 아름다움에 놀라 언젠간 다시 방문해야지라고 생각했는데.. 이러다 영영 다시 못 볼 수 도 있겠군요😢
@youth_kr
@youth_kr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는 비가 너무 몰아서 와ㅜㅠ 근근히 적당히 촉촉하게 내려주기를ㅠㅠ
@msk8593
@msk8593 Жыл бұрын
4대강보 해체했건곳들 참.. 유사전문가 말만 듣고
@hwisu11
@hwisu11 Жыл бұрын
이명박... 그는 몇 수 앞을 바라본겁니까...
@user-I.O.U
@user-I.O.U Жыл бұрын
저런 수몰됐던 땅은 누구 소유?
@bigbrother1059
@bigbrother1059 Жыл бұрын
기후변화는 이미 예견되었던 것이고, 물부족 해결 방법은 물을 사용하지 않은 화장실, 또는 중수로 화장실을 이용해야 한다. 정부에서 지원해주어야 할 것이다.
@참자욕하지마라
@참자욕하지마라 Жыл бұрын
문재인정부가 보를 부수어버렸는데 뭘 정부지원이냐?어이가 없네
@JinYoungNam
@JinYoungNam Жыл бұрын
환경타령 하는 사람들 덕분에 그냥 죽어야지 뭐
@깨비-t5g
@깨비-t5g Жыл бұрын
순수 단체가없다 다 정치화로 눈먼 세금지원금에만 관심
@jameslim6425
@jameslim6425 Жыл бұрын
2012년에 un에서 우리나라 물 부족 국가 아니라고 했음 우리나라가 물 부족 국가라고 한 곳은 미국의 사설 연구소임 나무위키보다 못한 곳에서 제대로 조사도 안하고 걍 그렇다고 한 것을 언론에서 사용하고 가스라이팅 한 거임
@greenleft9
@greenleft9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는 더군다나 서해안의 지형이 완만한 리아스식 해안이다 보니 해수면 상승으로 인한 국토 침수 속도는 타의 추종을 불허할 것
@4__leaf.j
@4__leaf.j Жыл бұрын
자연은 정말 무섭다...
Tuna 🍣 ​⁠@patrickzeinali ​⁠@ChefRush
00:48
albert_cancook
Рет қаралды 148 МЛН
1% vs 100% #beatbox #tiktok
01:10
BeatboxJCOP
Рет қаралды 67 МЛН
黑天使被操控了#short #angel #clown
00:40
Super Beauty team
Рет қаралды 61 МЛН
The evil clown plays a prank on the angel
00:39
超人夫妇
Рет қаралды 53 МЛН
小品還得看趙本山,一直被模仿,想超越那是不可能的
13:53
辽宁卫视春节晚会
Рет қаралды 1,1 МЛН
Tuna 🍣 ​⁠@patrickzeinali ​⁠@ChefRush
00:48
albert_cancook
Рет қаралды 148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