Рет қаралды 58
매생이(학명: Capsosiphon fulvescens)는 전 세계에 널리 분포하며, 우리나라에서는 남부 해안의 여러 지역에 분포한다. 조간대 상부의 바위나 김농장 발치에 빽빽이 자라며, 김 생장에 피해를 준다. 몸은 원통형 또는 편평하고 짙은 녹색이다. 길이 15cm, 두께 2~5mm에 달하는 단일체로, 어린 김처럼 보이지만 질감이 매우 부드럽고, 표면에서 보면 사각형 세포가 2~4개씩 쌍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덮개 유리로 누르면 질감이 너무 부드러워서 1~2줄의 세포로 분리된다. 자라면서 줄이 무질서해진다. 또한 매우 미끄러운 편이다. 생활사는 11월 중순에 유충이 출현하고, 2월경에 몸길이가 15~20cm에 이르며, 바위 표면 전체에 털 모양으로 빽빽하게 자란다. 그러나 4월부터 감소하여 5월 말경에 사라진다. 이 기간인 12월경에 탈루스에서 생식세포가 형성된다. 유색체는 일반적으로 몸의 윗부분에서 형성되며, 그 부분은 황갈색이다. 12월경의 비교적 작은 탈루스에서는 대부분의 생식세포가 4개, 8개 또는 16개로 분열하여 유주포자를 형성한다. 유주포자는 포자공을 통해 세포의 점액과 함께 덩어리로 방출되고, 각 유주포자는 곧 사방으로 활발하게 유영한다. 유주포자는 강한 광친화성을 가지고 있으며 곧 발아한다. 이 발아체는 약 1개월 만에 1~1.5cm로 자라 다시 생식세포를 형성한다. 이런 종류의 번식은 2~3회 계속된다. 생장기 초기에는 유주자만 형성되지만, 나중에는 같은 탈루스에서 유주자와 배우자체가 모두 형성되고, 2월 말과 3월 말에 배우자체만 방출된다. 배우자체는 세포 내용물이 16개, 32개 또는 64개로 분열하여 형성되고, 배우자체는 접합 후 발아하여 곧 낭을 형성한다. 낭은 약 2개월 후에 포자를 형성하고, 이 포자는 방출되어 곧 새 잎이 된다. 매생이에는 철분, 칼륨, 단백질이 많이 들어 있으며, 독특한 향과 맛이 난다. 자산어보와 동국여지승람의 서술로 보아 오래전부터 식용으로 사용되어 왔음을 알 수 있다.
Maesaengi (scientific name: Capsosiphon fulvescens) is widely distributed throughout the world, and in Korea, it is distributed in various parts of the southern coast. It grows densely on rocks in the upper intertidal zone or on the feet of laver farms, causing damage to laver growth. The body is tubular or flat and dark green. It is a monolithic body that reaches 15 cm in length and 2-5 mm in thickness, and it looks like a young laver, but its texture is very soft, and when viewed from the surface, square cells are arranged in pairs of 2-4, and when pressed with a cover glass, the texture is so soft that it can be separated into 1 or 2 rows of cells. As it grows, the rows become disordered. It is also very slippery. The life cycle is such that the larvae appear in mid-November, and around February, the body length reaches 15-20 cm, and it grows densely in the shape of hairs all over the rock surface. However, it declines from April and disappears by the end of May. During this time, around December, reproductive cells are formed in the thallus. The chromoplasts are generally formed from the upper part of the body, and that part is yellowish brown. In relatively small thallus around December, most reproductive cells divide into 4, 8, or 16 to form zoospores. The zoospores are released as a lump together with the cell's mucus through the spore pore, and each zoospore soon swims actively in all directions. The zoospores are strongly photophilous and germinate soon. These germinating bodies grow to 1-1.5 cm in about a month and form reproductive cells again. This kind of reproduction continues 2-3 times. In the early part of the growth period, only zoospores are formed, but later, both zoospores and gametes are formed in the same thallus, and only gametes are released in the later part of February and March. The gametes are formed by the cell's contents dividing into 16, 32, or 64, and the gametes germinate after conjugation and soon form a cyst. The cyst forms spores after about two months, and these spores are released and soon become new leaves. Maesaengi contains a lot of iron, potassium, and protein, and has a unique fragrance and taste. Judging from the descriptions in the ancient books Jasaneobo and Dongguk Yeoji Seungram, we can see that it has been used as food for a long time.
이 콘텐츠는 저작권이 있습니다.
This content is copyrighted.
creator-kr.pi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