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임스 웹 망원경으로 겨우 태양계를 본다고?! 🤔 | 실제 천문학자들이 준비하고 있는 관측 계획 대공개!!

  Рет қаралды 242,227

우주먼지의 현자타임즈

우주먼지의 현자타임즈

Жыл бұрын

0:56 화성
4:46 목성과 토성
8:10 천왕성과 해왕성
13:05 제임스 웹의 태양계 관측 의미
18:13 우주먼지 본캐, 개인적 소식
👍 #제임스웹 #태양계 #나사 #화성 #목성 #토성 #천왕성 #해왕성 #명왕성 #카이퍼벨트 #유로파 #엔셀라두스 #외계생명체 #타이탄 #아로코스 #뉴호라이즌스 #갈릴레이 #퍼서비어런스 #오퍼튜니티 #큐리오시티 #카시니 #jameswebb #hubble #nasa #solarsystem #mars #jupiter #europa #cassini #newhorizons #pluto #galileo
📝 칼럼 링크
m.post.naver.com/my/series/de...
🎤 NAVER 오디오클립 팟캐스트 링크
audioclip.naver.com/channels/143
레퍼런스
①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 성능 관련
blogs.nasa.gov/webb/2022/07/1...
blogs.nasa.gov/webb/2022/05/1...
www.stsci.edu/files/live/site...
www.stsci.edu/jwst/about-jwst...
www.stsci.edu/jwst/science-pl...
www.stsci.edu/jwst/science-pl...
www.stsci.edu/jwst/about-jwst...
www.stsci.edu/jwst/about/hist...
② 화성
www.aanda.org/articles/aa/pdf...
www.science.org/content/artic...
www.nasa.gov/feature/jpl/curi...
mars.nasa.gov/news/8548/with-...
agupubs.onlinelibrary.wiley.c...
www.nasa.gov/feature/goddard/...
③ 목성과 토성
hubblesite.org/contents/news-...
www.nature.com/articles/s4155...
agupubs.onlinelibrary.wiley.c...
www.nasa.gov/press-release/na...
www.nasa.gov/feature/goddard/...
www.science.org/doi/10.1126/s...
www.nasa.gov/feature/goddard/...
solarsystem.nasa.gov/missions...
jwst-docs.stsci.edu/jwst-obse...
④ 천왕성과 해왕성
agupubs.onlinelibrary.wiley.c...
www.nasa.gov/feature/goddard/...
esahubble.org/news/heic2209/
solarsystem.nasa.gov/news/839...
hubblesite.org/contents/media...
www.eso.org/public/news/eso2206/
iopscience.iop.org/article/10...
⑤ 태양계 외곽 너머
www.nasa.gov/feature/goddard/...
jwst-docs.stsci.edu/jwst-oppo...
solarsystem.nasa.gov/news/803...
www.nasa.gov/content/goddard/...
hubblesite.org/contents/news-...
pluto.jhuapl.edu/News-Center/P...
본 컨텐츠는 NAVER 네이버 & 비즈한국의 지원으로 제작됩니다.
이번 에피소드는 출판사 '멀리 깊이'의 제작 지원을 받아 제작되었습니다.
우주먼지 본캐가 직접 감수를 맡아 출간된 '꿈꾸는 우주' 온라인 서점 링크 함께 공유드립니다. 📚
YES24 | www.yes24.com/Product/Goods/11...
알라딘 | www.aladin.co.kr/shop/wproduc...
교보문고 | www.kyobobook.co.kr/product/de...

Пікірлер: 143
@user-bs8kc7ll4b
@user-bs8kc7ll4b Жыл бұрын
진짜 유익하다 ㅋㅋㅋㅋㅋㅋ 사실 직접 모든 곳을 가까이서 본 유일한 우주 속 작은 태양계이지만 기술의 한계가 있었으니..제임스웹으로 더 자세하게 분석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ㅎㅎ
@jim-new4559
@jim-new4559 Жыл бұрын
3광년 떨어진.... 행성에서....사람 걸어가는 모습 찍혔나요.....와 .그럼 목성 위성에 개미도 찍히겠네요......
@user-bu2vr6ge6b
@user-bu2vr6ge6b Жыл бұрын
앞으로는 어떤 우주를 또 보게 될지 오래 살아야 겠습니다.
@taejinbaek5895
@taejinbaek5895 Жыл бұрын
재미있게 봤습니다!
@MrWjdrjsgus2
@MrWjdrjsgus2 Жыл бұрын
인류가 1610년 망원경 처음 만들고 달 관측을 시작했는데 400년이 지난 지금은 지구에서 160만km 떨어진 우주 공간에 망원경을 보내 130억년 전 초기 우주를 관측하는 단계까지 이르렀다 천 년 뒤 인류 과학은 어디까지 발전해있을까..
@user-tt4dj2zh6l
@user-tt4dj2zh6l Жыл бұрын
돌이랑 막대기들고있음 ㅋㅋ
@user-nv2rg1ey8n
@user-nv2rg1ey8n Жыл бұрын
아마 기후변화로 멸망안하면 다행 ㅜㅜ
@Dragon-cz8wt
@Dragon-cz8wt Жыл бұрын
@@user-tt4dj2zh6l ㅋㅋㅋ 고인돌 선사시대?
@korea4798
@korea4798 Жыл бұрын
@@user-tt4dj2zh6l 다뒤질듯?
@point4548
@point4548 Жыл бұрын
아마 전기 말타고 다닐듯ㅋㅋ
@user-ik5gi4sr3l
@user-ik5gi4sr3l Жыл бұрын
진정한 과학채널
@user-nc3qm1ek5t
@user-nc3qm1ek5t Жыл бұрын
매불쇼보고 구독했어요.안정적인 나레이션 너무너무 좋아요.
@MrRyuami
@MrRyuami Жыл бұрын
나인 플래닛은 존재할 가능성이 매우 높은 행성입니다. 나인 플래닛도 곧 제임스웹이 발견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태양계도 미지의 세계가 아직 많네요.
@user-bm2xk6cj9m
@user-bm2xk6cj9m Жыл бұрын
유익한 영상 감사합니다
@N.K.Y83
@N.K.Y83 Жыл бұрын
이 우주안에 수많은 은하와 항성그리고 행성까지 아무리 과학이발전하고 망원경 성능이좋아진다해도 100프로커녕 1퍼센트도 알지도못할듯 재미있게보고갑니다~ 👽🌌🪐🌠
@sentimentalgraffiti
@sentimentalgraffiti Жыл бұрын
태양계 행성들도 봐야하고, 다른 우주의 공간도 봐야하고 제임스가 많이 바쁘네요 ㄷㄷ
@user-eh4pm7bb6o
@user-eh4pm7bb6o Жыл бұрын
수명/발사비용 하면 하루에 몇억식 나가는거여서 절대로 1초도 낭비하면 안됨 ㅋㅋㅋㅋ
@RedolentOfKorea
@RedolentOfKorea Жыл бұрын
흥미로운 영상 잘 보고 갑니다!!!
@johnlemon6068
@johnlemon6068 Жыл бұрын
태양계보다 외계행성 관측이 두배는 더 많긴 하네 ㅋㅋㅋ ㄹㅇ 적외선 관측이 신의 한수였구나.. 제9행성도 발견했으면 좋겠다
@Ceepeeaccount
@Ceepeeaccount Жыл бұрын
유튜브 대박나세요~🥰
@melonaaah
@melonaaah Жыл бұрын
아이고 레퍼런스까지 이렇게 깔끔하게 정리해주시다니 감사합니다 ㅠㅠㅠㅠㅠㅠㅠ
@jenim6081
@jenim6081 Жыл бұрын
어쩔수없이 지금은 70-80년대에 비하면 우주 탐사 비수기, 공백기가 된거같아요. 그부분을 제임스웹이 채워준다고 하니 정말… 경이롭습니다
@user-jl2hw4mw9v
@user-jl2hw4mw9v Жыл бұрын
해설퀄이 정말 좋아요
@user-fj8cy5tp5s
@user-fj8cy5tp5s Жыл бұрын
성능 미쳤다 진짜 ㅋㅋㅋㅋㅋㅋ신기하고 경이롭다
@user-kv2sc5dk8b
@user-kv2sc5dk8b Жыл бұрын
에끼.. 어그로 끌지말자요.. 화성보다 훨씬먼곳을 본다는건..화성은 아무것도아닌것같네요.. 어그로는 아닌듯ㅎㅎ
@user-lw6so6do4m
@user-lw6so6do4m Жыл бұрын
흡.. 진짜.. 아는것이 많아 지는 것이 아닌 모르는 것이 더 많았었다는 것을 깨달게 되는 시간입니다. ㅣ제가 살아온 시간은 정말 우주의 띠끌만큼도 되지 않아서 삶의 무엇인가를 깨닫게 되는 것이기도 하지만 어쩌면 그래서 더 내 삶이 더 소중한지도.. 감사합니다.
@jaehonglee2017
@jaehonglee2017 Жыл бұрын
영상 올리시기 전의 예고 공지에 첫 덧글로 유로파, 엔셀라두스, 타이탄을 언급했었는데 맞았네요! ㅎㅎㅎ
@user-rx2ht4pm6b
@user-rx2ht4pm6b Жыл бұрын
수학에서 필요 충분 조건 아시죠? 태양계는 작지만 우리 은하계 구성원이고 일반적이라 자세히 알면 은하계를 아는거죠 수학에서 분포도 확률 이게 중요합니다 태양계와 옆 항성계 그 옆 항성계를 알아가면 성운에서 가스의 성분이 색이 다른 항성계 생성에 어떤 관여를 하며 생명체가 태어날 확률도 알고 집중적으로 연구를 할수 잇겟죠
@user-nf9qp9uh4x
@user-nf9qp9uh4x Жыл бұрын
훌륭한 컨텐츠와 영상미에 추천을 안 누를수가 없군요~~
@user-ii2pv7xs3s
@user-ii2pv7xs3s Жыл бұрын
우주먼지 여러분 반갑습니다~~안녕~~
@user-zs7eb5uc9r
@user-zs7eb5uc9r Жыл бұрын
해왕성과 명왕성사이에 존재할거라 추정되는 10번째 행성을 찾아내주길...
@seowlite
@seowlite Жыл бұрын
앞마당 멀티할데가 많네요... 옵져버 성능 미쳤누....
@user-jm8km6zl4d
@user-jm8km6zl4d Жыл бұрын
제임스 웹의 성능을 설명 550km 거리에서 축구공과 사람 머리가 구별이가능한 해상도.. 서울에서 창문 열고 웹망원경 들고있으면 제주도에 있는 사람 대가리 보인다는 이야기다 450km
@hongwonsuk5057
@hongwonsuk5057 Жыл бұрын
생명이 우연히/저절로 생겨날 확률이 얼마나 낮은 지 안다면 가까운 곳에 생명체가 있을 거라고 생각하는 것은 불합리하지 않은가요? 마치 우리 집에서 로또 당첨되었다고 옆 집에서도 당첨될 거라고 생각하는 거랑 비슷하다고 생각이 되네요.
@jist7583
@jist7583 Жыл бұрын
다음 관측선 개발 착수를 할 예정을 하고 있다는게 더 놀라움.....
@dosapark8549
@dosapark8549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7H_SARGU
@7H_SARGU Жыл бұрын
이번 영사에서 가장 흥미로운 점은 천왕성파트네요ㅎㅎ 한쪽극만을 비추던 태양및이 천왕성의 공전에 의해 점점 태양빛에 비춰지는 표면이 이동하면서 대기가 요동치는 부분이 지구에선 당연한 현상인데 왜 천왕성에서도 일어나리라 생각을 못했을까 싶기도하고 대류가 일어나며 천왕선의 대기 분포는 어떻게 달라졌을지도 궁금하네요 어서 태양계행성 관측 결과들이 공개됐으면 좋겠어요
@7H_SARGU
@7H_SARGU Жыл бұрын
해왕성도 재밌는변화를 일으키는 중이라 기대됩니다 어쩌면 공전궤도로 인해 여름에 더 추워진건가 했더니만 급격한 온도변화라니.. 또 다른 모습을 보여주는게 재밌네요
@muni0
@muni0 Жыл бұрын
프록시마센타우리 관측 좀 해봤으면 좋겠다..
@bowlfish76
@bowlfish76 Жыл бұрын
블랙홀은 혹시 다른 은하계로 통하는 게이트가 아닐까 하는 망상을 해봅니다
@user-bb1xf2rr1c
@user-bb1xf2rr1c 11 ай бұрын
겨우화성이 아니라 그렇게 좋은거가지고 더좋게볼수있는거를 봐야지..!!!!!
@doyeonist
@doyeonist Жыл бұрын
인공위성이나 제임스웹 같이 멀리 떨어진 우주망원경의 경우 지구와 데이터 송수신을 어떤 방식으로 하는지 궁금합니다.
@wz_mz
@wz_mz Жыл бұрын
아주 거대한 전파 안테나로 송수신합니다, 대표적으로 지구 세 대륙에 세워져있는 Deep sapce network 안테나가 있습니다 😄
@mcmt
@mcmt Жыл бұрын
DSN now 라고 찾아보시면 우주 데이터 송수신 상황을 실시간으로 구경할 수 있습니다
@trysystem9445
@trysystem9445 Жыл бұрын
메탄이 독성을 품고 있는 것은 맞지만 메탄을 필수 요소로 살아가는 외계 생명체도 있지 않을까..??
@okgreen22
@okgreen22 Жыл бұрын
내가 내 일을 하면서 후임들을 보고 느끼는 중요한 점 중 하나가, 뭘 모르는질 아는 사람과 뭘 모르는지도 모르는 사람의 발전 속도는 극명하다는겁니다~
@therock79983
@therock79983 Жыл бұрын
즐감
@user-lx7vq2ub5o
@user-lx7vq2ub5o Жыл бұрын
저멀리 안드로메다 같은 다른은하단, 빅뱅직후 얼마안된 별들도 보면서 동시에 태양계도 잘 모른다는게 일반인입장에선 참 신기하고재밌음
@journeyman5182
@journeyman5182 Жыл бұрын
제임스웹으로 알파센타우리를 본다면 어떻게 보일까요?
@alsid_
@alsid_ Жыл бұрын
제임스웹 2호를 10년쯤 뒤에 발사할 준비를 시작해야겠군요.
@didyouseethat-
@didyouseethat- Жыл бұрын
눈이 좋을수록 더욱 먼 과거를 본다니 신기하네요
@tikba75
@tikba75 Жыл бұрын
워프망원경을 만들 수만 있다면, 심우주의 실시간 변화도 자세하게 관측할 수 있을 텐데요.
@Anthem_of_light
@Anthem_of_light Жыл бұрын
현자타임즈 우주 재밌어요
@macchoi2
@macchoi2 Жыл бұрын
궁금한게있는데요~! 성간천체. 혜성같은 천체들은 왜 태양계에 있는 행성이나 항성에 붙잡히지않고 날아다니는거죠? 중력을 무시하는이유가 궁금하네요.
@juski5844
@juski5844 Жыл бұрын
안정적인 공전궤도를 유지하기엔 진행각도문제도 있고. 너무빠름. 중력영향범위에 비해 항성,행성 크기가 작은것도있고
@juski5844
@juski5844 Жыл бұрын
너무느리면 충돌하고. 특정속도에서 궤도안착하는 각도도 너무협소함. 대부분 스치거나 들이박지
@wz_mz
@wz_mz Жыл бұрын
태양의 중력에 포획되기에는 너무 속도가 빨라서 그렇습니다 : )
@coled9566
@coled9566 Жыл бұрын
좋아요
@user-gp1ge9iq1e
@user-gp1ge9iq1e Жыл бұрын
문득 드는생각인데 질량보존의법칙에 의한다면 지구의 질량은 항상 같아야하지만 탐사선을 보냄으로써 미비하게 질량이 낮아지고 있는데 이에대한 문제는 없는건가요? 너무 미비해서 상관없나
@IH4TEU
@IH4TEU Жыл бұрын
상관 없는 수준입니다
@painkiller2927
@painkiller2927 Жыл бұрын
그보다 현재 지구 자기장이 감소중이라 우리가 연료로 쓰는 가스들이 태양풍에 날라가서 지구가 가벼워지는 게 만배는 될 거 같군요...
@user-gp1ge9iq1e
@user-gp1ge9iq1e Жыл бұрын
ㅇㅎ 다들 감사합니당 문득 궁금해졌었어요
@user-hk2ht7np1w
@user-hk2ht7np1w Жыл бұрын
화성에 개미도 볼수있겠군요
@user-zb6ti6ii8s
@user-zb6ti6ii8s Жыл бұрын
해왕성천왕성은 태양 자력에서 멀리 있어서 중심축이 고정적이지 못한듯합니다.
@user-zb6ti6ii8s
@user-zb6ti6ii8s Жыл бұрын
그리고 달이 있어야합니다.
@chooman99
@chooman99 Жыл бұрын
제임스웹이 제9 행성도 찾을 수 있을것 같아요.
@nanana9608
@nanana9608 Жыл бұрын
그러니까 10조 짜리 망원경을 현미경으로 쓰겠다는 거군요
@user-jc1vt3nw5f
@user-jc1vt3nw5f Жыл бұрын
지구나 잘관측하고 지구나 잘영구하자
@kyd9877
@kyd9877 Жыл бұрын
성능좋으면 태양계 행성돌하나까지 체크해봐야지
@banybany1
@banybany1 Жыл бұрын
태양빛이 천왕성 대기에 영향을 줄수 있나요? 거의 희미한 점 아닌가? ㄷㄷㄷ
@core974x
@core974x Жыл бұрын
근데 제임스웹같은 망원경을 하나더 보내서 보면 좀더 많이 빨리 볼수 있지 않을런지..
@user-cy3yx6yb2n
@user-cy3yx6yb2n Жыл бұрын
나사는 항상 같은걸 두대이상 만들기에 보내는것도 가능하겠죠 제임스웹이 기능고장난다면 보내겠죠
@taenggu7454
@taenggu7454 Жыл бұрын
제임스 웹이라면 행성9도 찾을 수 있을꺼 같은데
@cross1269
@cross1269 Жыл бұрын
L2지점에 제임스 웹 망원경 같은거 여러대 있어야겠네… 한곳만 계속 탐사할 수 있는게 아니니…
@ryany6012
@ryany6012 Жыл бұрын
향후 50년... 인간들 때문에 지구가 20년도 못 버티고 파괴될 듯.
@user-fo8qf5lu3r
@user-fo8qf5lu3r Жыл бұрын
프로토스가 이런 기분이었으려나.
@carcass4062
@carcass4062 Жыл бұрын
천왕성, 해왕성의 온도변화가 뭐 대단한건가요? -220도나 -200도나 비슷한거 아닌가요?
@wz_mz
@wz_mz Жыл бұрын
절대적인 온도만 갖고 판단하기 보다는 상대적으로 온도 변동 폭이 얼마나 되는가에 대한 의문입니다, 해왕성처럼 아주 멀리서 천천히 움직이는 행성에서 불과 10여년 사이에 10도 내외의 급격한 온도 변화는 기대하기 어려웠습니다 😀
@seunghoshin2648
@seunghoshin2648 Жыл бұрын
사진찍는소리 미쳤....
@100suhagosipda
@100suhagosipda Жыл бұрын
제임스웹 9번째 행성 찾아줘! 해줘! 난 그게 제일 궁금해
@ykj1630
@ykj1630 Жыл бұрын
로보들이 오랫동안 탐사 했다니만 걔네들이 10여년간 이동하고 탐사한 범위가 생각 보다 사이즈가 작죠 ㅋ 지구보다 훨씬 작은 화성이라고 해도 로보들이 한 탐사로는 거의 탐사를 안한거나 마찬가지
@cpakdy
@cpakdy Жыл бұрын
성능 확실하네
@user-qq6nw7sv5l
@user-qq6nw7sv5l Жыл бұрын
그걸 이용해 우주의 생명체 행성을 찾아내면 되지 않을까
@iooke
@iooke Жыл бұрын
제발 일주일에 두개정도는 영상 내놓으세요 제발요 ㅠㅠㅎ
@user-ho6pp3wg2c
@user-ho6pp3wg2c Жыл бұрын
대적반 고화질로 보고싶다 번개 치는것도 보이려나
@user-sm4zk3fp3b
@user-sm4zk3fp3b Жыл бұрын
이제 몇년전 도망 친 오무아무아를 추적해봅시다~~~~
@user-on5pd6th8w
@user-on5pd6th8w Жыл бұрын
화성과 지구의 거리만큼 빛이 늦게 제임스웹에 도착할텐데 모래폭풍을 예보한다면 그 만큼 늦게 예보하는거 아닌가요? 지나가던 뭣모르는 일반인의 질문입니다. 궁금하네용.
@wz_mz
@wz_mz Жыл бұрын
그래봤자 화성 정도 거리면 거의 실시간입니다. 😊
@user-on5pd6th8w
@user-on5pd6th8w Жыл бұрын
@@wz_mz 아~~ 그렇군요 ㅎㅎ 답변 감사합니다😄
@leddeee
@leddeee Жыл бұрын
진짜 미국은 넘사벽이구나
@user-hr9ul2gt2n
@user-hr9ul2gt2n Жыл бұрын
금성대기의 포스핀가스의 정체는 뭐였나요?
@wz_mz
@wz_mz Жыл бұрын
아직 확실친 않지만, 이후의 추가 관측에선 확인되지 않는 것으로 보아 당시 첫 관측에서 오류였던 것으로 보입니다ㅠㅠ
@user-hr9ul2gt2n
@user-hr9ul2gt2n Жыл бұрын
@@wz_mz ㅠㅠ안타깝군요
@rlee4805
@rlee4805 Жыл бұрын
화성 달.. 먼지까지..
@MINDORAN
@MINDORAN Жыл бұрын
천왕성 민초단 행성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user-eb6uc3mo7v
@user-eb6uc3mo7v Жыл бұрын
민초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YooCheri
@YooCheri Жыл бұрын
화성으로 가서 생을 마감하고 싶다
@hihi52i
@hihi52i Жыл бұрын
내장그래픽에서 rtx 3090이 된 느낌
@devilnme
@devilnme Жыл бұрын
미국은 이미 적국들의 무기 은닉장소를 꿰뚫고 있을것 같다.
@teehhh2393
@teehhh2393 Жыл бұрын
해왕성 태풍들 에어컨 많이 쓰나 보네 2년만에 온난화가 발생하네
@Interestdd1031
@Interestdd1031 Жыл бұрын
나 진짜 궁금한데 태양계 내의 생물이 외계 생명체가 맞을까?
@user-uk5iw6hw3u
@user-uk5iw6hw3u Жыл бұрын
오줌싸면서 방구끼는거 왜케 리얼하냨ㅋㅋㅋㅋ
@user-wf4qv9os1b
@user-wf4qv9os1b Жыл бұрын
두근두근 콩닥콩닥
@ho-wonjeong835
@ho-wonjeong835 Жыл бұрын
디셉티콘들 긴장타기 시작함.
@user-fx7xc5ek1u
@user-fx7xc5ek1u Жыл бұрын
저건 허블망원경으로 안되는거였나?
@mhgim3092
@mhgim3092 Жыл бұрын
화성에 대기가없는데 폭풍이 생기나?
@user-ph8xc6ru8p
@user-ph8xc6ru8p Жыл бұрын
근데 태양계조차도 코앞이 아니지않나?ㅋㅋㅋ
@whorange
@whorange Жыл бұрын
아....? 채널이름이 왜 이런가 했더니...
@manfreed3844
@manfreed3844 Жыл бұрын
제임스 웹이 아무리 날뛰어도 부처님 손바닥 안이다.
@kimjunggee
@kimjunggee Жыл бұрын
외계인 문서는 꽁꽁 숨겨가면서 외계인 찾는다고 난리네 외계인 만날 생각은 있긴 한건가? 제임스가 우연이라도 X행성 발견 했음 좋겠다
@user-zt6sr5bc2u
@user-zt6sr5bc2u Жыл бұрын
근디 외계생명체 발견하면 얻는게 머임?
@user-sl7js8cw7h
@user-sl7js8cw7h Жыл бұрын
그냥 먼가 찾아보고 싶지 아늠?
@rlawnsrkq
@rlawnsrkq Жыл бұрын
차후 지구가 망가졋을때 도망갈곳?
@ananabiya
@ananabiya Жыл бұрын
우리가 왜 존재 하는가에 대한 해답을 얻을수 있죠 종교처럼 신의 재주가 아닌 조건만 맞으면 생명체는 자연스럽게 발생된다는 증거가 될수 있으니깐요
@consciousness7899
@consciousness7899 Жыл бұрын
구독수를 감춘 이유는?
@wz_mz
@wz_mz Жыл бұрын
곧 공개될 예정입니다 :)
@hellpoome
@hellpoome Жыл бұрын
메탄을 메테인이라고 안하셔서 반갑네요 ^^ 부디 호이겐스도 하휘헌스(?)라고 안하셨으면... 제일 이상한게, 요즘 적색편이(red shift)라는 용어도 "적색이동"으로 바뀌었다면서요? 적색으로 이동? 적색이 이동?? 뜻도 모호한 이런 용어들은 대체 누가 자꾸 들이 미는지 모르겠네요. 얘기 듣기로는 적색편이가 일본식 표현이라서 퇴출되는 거라는데 그렇게 따지면 과학용어 대부분이 일본에서 온 건데, 과학자 들이라면 제발 시류에 편승하지 않았으면 하네요.
@taejinbaek5895
@taejinbaek5895 Жыл бұрын
하위헌스는 네덜란드 사람 이름인데 굳이 영어로 읽을 필요가 있을까요? 호이겐스 원리처럼 아예 학술용어가 고착화 된 경우는 몰라도 하위헌스 랜더는 사람을 기리기 위해 그렇게 붙여진 이름인데요. 호날두를 로널드라고 부르진 않는 것처럼요.
@sianke1991
@sianke1991 Жыл бұрын
아이오딘도 "옥소"라고 부르는 것이 더 편안하시려나요...
@sangchulkim7410
@sangchulkim7410 Жыл бұрын
적색 편이 偏移가 이동보다 더 정확한 표현이 맞습니다...빌어먹을 ..
@holysite
@holysite Жыл бұрын
젬스웩 🔭 으로 지구 한번 안보나?
@dokdohanbokarirangfandance8225
@dokdohanbokarirangfandance8225 Жыл бұрын
프록시마좀 관측하자... 언제쯤 가능하니 10000년 후엔 가능하려나... 하다못해 유로파 해양탐사나 좀 빨리 하자 오징어족 살지도 몰라
@wz_mz
@wz_mz Жыл бұрын
내일 에피소드에서 프록시마 관측 계획을 소개해드릴 예정입니다 😊
@user-dt5vi6vy9u
@user-dt5vi6vy9u Жыл бұрын
ㅁㅊ성능ㅋㅋㅋㅋ
@wcwt
@wcwt Жыл бұрын
지구인들 거의 대 부분이 외계 행성 관심 없어요
@geniusgenius5559
@geniusgenius5559 Жыл бұрын
건방지게 우주를 얘기하면서 찰나라는 단어를 쓰다니... 우주 크기와 역사를 생각하면 인간의 우주 관측 역사에 찰나라는 단어를 사용하려면 최소한 몇백만년은 지나고 사용해야 한다.
@zackwang9314
@zackwang9314 Жыл бұрын
I hope this telescope can prove that the koreans created the Universe 😁
@user-kr8gt3mv8b
@user-kr8gt3mv8b Жыл бұрын
화성을 멀리서 찍어서 한 눈에 다 볼 수 있다는 신박한 헛소리는 처음 들어보네.
@wz_mz
@wz_mz Жыл бұрын
전혀 틀린 말이 아닌데, 어디가 신박한걸까요? 영상에서 보여드린 화성 전체 사진도 앞서 허블 망원경으로 한눈에 찍은 화성 사진입니다 😊😊 신박한 댓글 감사합니다
@HK-sv6wh
@HK-sv6wh Жыл бұрын
헛소리요??
@jungsunje
@jungsunje Жыл бұрын
바다 밑바닥도 다 모르는데 뭔 ㅋㅋ
@user-tt9ex9gy1m
@user-tt9ex9gy1m Жыл бұрын
적외선으로찍은 목성은좀 실망했음..
@GrandFather-Kim
@GrandFather-Kim Жыл бұрын
오줌싸면서 방귀 뀌는걸 첨단 장비로 찍은걸 집에서 누워서 유튜브로 본다?
@djlipsum1526
@djlipsum1526 Жыл бұрын
무려는 무슨 무려야 실제 관측작업 중에서는 비중 제일 낮구만
@wz_mz
@wz_mz Жыл бұрын
우주 전체에 비해 턱없이 작은 태양계 스케일을 고려했을 때, 많은 시간이 할애되었다고 생각해볼 수 있습니다 😀
@user-hoodd
@user-hoodd Жыл бұрын
우주 넓은거 생각은 안하나... 한국 알아보는데 서울에 어느 한 아파트의 방 안을 조사하는급인거같은데
@djlipsum1526
@djlipsum1526 Жыл бұрын
@@user-hoodd 그 아파트가 니네 집이야 그래도 많아보이냐?
@user-hoodd
@user-hoodd Жыл бұрын
@@djlipsum1526 ?? 작단걸 표현한말이었는데 뭘 어케 읽은거임?
@djlipsum1526
@djlipsum1526 Жыл бұрын
@@user-hoodd 그 전에 너부터 내 댓글을 어떻게 읽은거임?
1❤️#thankyou #shorts
00:21
あみか部
Рет қаралды 88 МЛН
Пробую самое сладкое вещество во Вселенной
00:41
The child was abused by the clown#Short #Officer Rabbit #angel
00:55
兔子警官
Рет қаралды 11 МЛН
OMG😳 #tiktok #shorts #potapova_blog
00:58
Potapova_blog
Рет қаралды 3,6 МЛН
외계행성은 그냥 찍어버리는 제임스 웹의 ㅎㄷㄷ한 결과 대공개!! 😎
11:11
[매운맛 천문학🔥] 137억년 전의 은하?? 이걸 정말 믿을 수 있을까?
14:01
우주먼지의 현자타임즈
Рет қаралды 180 М.
🔥Идеальный чехол для iPhone! 📱 #apple #iphone
0:36
Не шарю!
Рет қаралды 1,3 МЛН
ПОКУПКА ТЕЛЕФОНА С АВИТО?🤭
1:00
Корнеич
Рет қаралды 3,1 МЛН
Телефон в воде 🤯
0:28
FATA MORGANA
Рет қаралды 1,2 МЛН
💅🏻Айфон vs Андроид🤮
0:20
Бутылочка
Рет қаралды 721 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