몇 년 전 양평 전원주택 돈이 모자라 취득 못햇었는데 부족했던것이 행운이었습니다 올빼미님 영상보면서 많은것을 배웁니다 추운 날씨에 수고 많으셧습니다
@올빼미TV18 сағат бұрын
감사합니다. 앞으로도 유익한 정보 많이 전달해 드릴게요.
@JInSug-t1v7 сағат бұрын
확실한정보 감사합니다 구체적인 말씀 고맙습니다 🎉❤
@kth4056 сағат бұрын
천안역에서 15킬로 거리 6백평 사 놓은지 30여년... 은퇴하고 전원주택 지을렸는데 동네가 거의 고스트타운 되었어요 그래도 지을까하고 아들에게 물었더니 들어와 살 생각 일도 없답니다 10 킬로 떨어진 아파트 단지에 살면서 3월부터 11월까지 농사짓고 12월부터 석달간 겨울 휴가입니다
@kgs-yg4sy7 сағат бұрын
미쳤군요. 자연 모두다 조지고 망가뜨려 놓고, 결국 원래대로 복구도 안하는 저 짓거리를 승인해 주는 스벌
@@woonnambj9356 님이 하는짓이 말장난, 아니 아예 원댓글을 이해못한거 같은데. 소통을 제대로 할려면 단어나 문장만 듣는게 아니라, 그사람의 의도를 읽어야죠. 원댓글이 무슨 박사 논문도 아니고 한문장인데 이걸 이해 못하고 아프리카 가서 살라니..... 웃긴건 똑같은 놈 하나가 좋아요까지 눌러줬네 헐
@koontaman778 сағат бұрын
양평까지 가서 저렇게 사람들 모여서 살고 싶을까 ㅡㅡ; 주변에 진상하나만 들어와도 바로 후회되는게 전원주택단지 아입니까.
@user-xr7cn2fg6x6 сағат бұрын
빚없이 사는것이 사람답게 사는길 입니다.. 욕심내지말고 분수에 맞게살면 아무런 걱정.고통없어요
@hawkmsl-b9g6 сағат бұрын
한때 양평 전원주택으로 난리 난리 부루스를 쳤던 때가 있었지요. 지금은 전세도 그리고 매매가 없습니다.
@화랑-r8w8 сағат бұрын
추운데 고생하셨습니다,🎉😂❤
@zzang_you8 сағат бұрын
강한 추위에 맞서서 호국하는 마음으로 전국 곳곳을 돌아다니는 의지에 항상 감탄합니다 올빼미님의 발자취 하나하나가 역사가 되리라 믿으며 바보같은 악플에 신경쓰지 마시고 그런거엔 닥치라는 자세로 임해주셨음 합니다 짱입니다
@송수연-s1u8 сағат бұрын
한때 너나 할것없이 다 전원주택 유행했지요 그래도 도시가 좋아요 추운데 감기조심하세요 감사합니다
@장선임-c7u8 сағат бұрын
항상 감사합니다^^
@철갑탄_1236 сағат бұрын
귀촌 10년차 임니다 스무평 집 짓고 ~~!! 시골와도 생활비 충분히 벌수있는 직업 이기에 산촌에 와서 이웃과 재밋게 살고 있음니다 집 작게 지은게 신의 한수 지요 ~~^^
@seoyeong22026 сағат бұрын
저렇게 옹기종기 붙어살며 개라도 키우면 짖는소리에 날밤샌다.
@김정록-k8v8 сағат бұрын
전원주택은 주말 계절용이지 불편해서 살기 힘들다. 과거세대 한때유행에 불가하다. 젊은 세대 그저 주어도 적응하지 못한다
@신형식-n9m2 сағат бұрын
노후의건강과 안정된생활을 지켜주는 양평 항상 최고의선택으로 감사하며 살고있습니다 지금 콘크리트닭장에살라고하면 답답하여 얼마못지낼듯 적당한운동과 유기농식품은덤입니다
@seon28167 сағат бұрын
양평 전원주택으로 5년 전에 이사와서 살고 있습니다. 일부 동의 하고 일부 비동의합니다. 평생을 도시 아파트에서 살다가 여기 오니 좋은 점들 참 많습니다. 개인 차고도 있고 텃밭도 있고 내가 하고자 하면 할 수 있는 것과 하고 싶어도 못 하는 것은 차이가 있지요. 단순 로망만 품고 전원주택에 살려 한다면 당연 후회하겠죠. 그걸 감안 하고서 본인 부지, 층간소음으로부터의 해방을 원하면 강추합니다. 전원주택 생각하시는 분들께 당부드리고 싶은건 주택까지 오는 인접 도로의 경사도가 너무 크면 겨울에 힘듧니다. 또한 부동산 계약 전에 경계면이 밀려 지어졌는지 잘 확인 해 보셔야 합니다. 완만히 해결되면 좋지만 건물 철거까지 될 수도 있는 중요한 사안입니다. 20년 이상 거주하던 주인이 바뀌면 기회 잡고 소송 거는 사람들 많죠. 이 점을 중히 생각하시고 좋은 선택 하시면 좋겠습니다 ㅎㅎ
읍 정도의 싼 아파트좋아요 공기좋고 편의시설 도시보단 못하지만 불편하진 않아요 벌레도 없고요 밤에 무섭지도않고요. 진짜 공기는 전원생활 못지않게 좋아요 아! 텃세도 당근없고요 ㅎ
@제임스본드-k4b7 сағат бұрын
유치원은 사라지고 있는데 유치권은 늘어만 나는 현실ㅎㅎ 진짜 이 나라 10년후에는 얼마나 최악일지 상상조차도 하기 싫네요.
@Phantom-o5l7 сағат бұрын
그닥 유치하지 않은 아재 개그죠 😂
@인연-w8w8 сағат бұрын
수도권도 이렇게 처참한데 지방은 당연 지옥 이겠네요.
@ajoomin56967 сағат бұрын
진실한 목소리에 오늘도 들여다봅니다 감사합니다
@user-Judah6 сағат бұрын
잔잔한 음악과 함께 결말이…. 참 묘하게 어울리네요~~
@younsikchung267 сағат бұрын
열심히 허시니까 구독자가 팍팍 늘어나네요. 축하드립니다. 이정도 구독자면 정말 대단하신겁니다.
@올빼미TV17 сағат бұрын
감사합니다. 앞으로도 좋은 영상 많이 만들겠습니다. 😊
@pdrse4 сағат бұрын
앞뒤 뷰가 좋긴 하네요.
@풍산개짠히신창재8 сағат бұрын
항상응원합니다 좋은영상 ❤감사합니다
@올빼미TV17 сағат бұрын
감사합니다. 앞으로도 좋은 영상 많이 만들겠습니다!
@unbalance38118 сағат бұрын
저 푸른 언덕위에 그림같은 집을짓고 사랑하는 우리님과 한백년 살고싶어..이노래를 어린시절에 듣고 자란 분들이 나이들어 전원주택에 대한 로망을 만드는데 일조햇겟죠 ㅎ.강변뷰는 그림같네요.잘 보았습니다
@백봉농장8 сағат бұрын
저희동네 양평 왔다가셨네요... 제가 매일 같이 다니는 길이네요. 보이는 강은 북한강이 아니고.. 남한강입니다.^^ 강건너 아파트 쪽은 양평읍내입니다. 드론으로 보니 반갑네요
@올빼미TV18 сағат бұрын
아, 그렇군요! 남한강이었네요. 😊
@필승이-f4k8 сағат бұрын
구석구석 다니면서 좋은소식 잘듣고갑니다. 현실적인 정보 슬프다해야 되는지.😢😢
@올빼미TV18 сағат бұрын
현실은 냉정하지만, 희망을 잃지 마세요. 😄
@이정향-u9y2 сағат бұрын
나중엔 어떤식으로든 활용되겠지요. 산만함에서 정리됨으로 물리현상은 진행되니까요.
@이종일-b6g8 сағат бұрын
전원주택 아니라 ~혼잡한 도시주택 이네요~
@한마리-w1q8 сағат бұрын
엄청추운날 고생하셨어요😊😊😊
@올빼미TV18 сағат бұрын
고생은 했지만, 좋은 영상 만들어서 뿌듯해요 😊
@나워니와이7 сағат бұрын
전원은 기분전환으로 한번씩 드라이브~~
@장선임-c7u8 сағат бұрын
낼도줍데요 건강 조심하세요
@이상문-g8k7 сағат бұрын
올빼미님. 그동안 쭉 눈팅만 했습니다. 고향 떠나 객지 서울에 살다보니. . . 고향 까마귀만 봐도 좋다고. . 전 88올림픽때 고3이었습니다. 가야백화점 용마산 밑 마산상고 뒷편에 살았죠. 한번씩 올려주시는 고향 근황 눈물나게 고맙습니다. 부디 건승하십시오!!!!!! 가까이 살면 소주 한 잔 하고 싶은 마음 굴뚝 같은데. . . 인연이 깊다면 . . 언젠가 기회가 있겠지요. .
@올빼미TV17 сағат бұрын
가야백회점 한번 촬영해 보겠습니다. 성안나이트는 사라졌어요
@정관찰-p8z7 сағат бұрын
전원병 치유할려면 몇천짜리 땅사서 몇백짜리 이동식 주택 구입해서 살아보는게 정답인뎅...ㅎㅎ
@ykish727 сағат бұрын
@@정관찰-p8z 몇백자리 집에 있나요
@Phantom-o5l7 сағат бұрын
너무 작은 집은 되려 건강에 해로워요. 최소 스무 평은 돼야 답답하지 않습니다. 물론 너무 크면 난방비와 청소, 유지보수 문제로 골머리를 앓죠.
@풀꽃사랑-j5q8 сағат бұрын
사람많을때 얘기지요.같은 모양으로 지어놓고 한 해 사계절 살아보면 아니다 싶을겁니다. 날씨가 많이 춥습니다.감기조심하세요~^^
@올빼미TV18 сағат бұрын
겨울 추위는 정말 힘들죠. 😨
@여도토리-h5m7 сағат бұрын
목소리가 시골 아재처럼 구수해서 넘 듣기가 좋아요. 마치 가마솥 누렁지 한 사발 마시고 시원한 트림 쏟아내듯이..ㅎㅎ 아무튼 오늘같은 이 엄동설한에도 훌륭한 영상들 찍어서 이렇게 따따한 방에서 보게 해주니 감사합니다. 늘 건강 조심하시고요.. 오늘도 수고 많으셨습니다.^^~~
친한 형이 공무원퇴직하고 양평에 주택마련해서 서울로 여가생활다니는데... 저녁에 술한잔 맘놓고 못하고 서두르는 모습보면서 나는...서울에 꼭 살아야겠다는 생각을 합니다. 쪼매난 공공임대아파트나 한채 하늘에서 뚝 떨어지기를 간절히 바라고 있습니다.
@올빼미TV17 сағат бұрын
공감합니다. 서울 생활이 편하긴 하죠.
@쉐필드998 сағат бұрын
앞에 강이보이고 딱 원하는 지역인데…
@이상현-y3d3r8 сағат бұрын
요즘 부동산 시황을 반영하는 모습 씁쓸하네요.
@장덕조-r5h7 сағат бұрын
올빼미도 그렇고 다들 혼잡한 아파트 사세요😊
@울산자동차도시2 сағат бұрын
45년전~군생활했던곳 옥천 처가집~원덕역.. 옛생각이나네요
@Lucia-qu1wc8 сағат бұрын
올빼미님! 추운 날씨에 수고많으셨어요^^
@올빼미TV18 сағат бұрын
감사합니다. 곧 따뜻한 봄이 오겠죠? 😊
@dhrtms807 сағат бұрын
예식장이 장례식장으로 변하고 유치원이 요양원으로 바뀌며 인구는 절벽소리 들을정도로 팍팍줄고 공급과잉 미분양,시골촌집 빈집이 넘쳐나는 시대에 뭔 집들은 산까지 깍아가며 그리 지어제껴데는지~~~ㅉㅉ
@그냥가을4 сағат бұрын
나는 벌어 먹고 살려는 거 아니면. 추운 동네보다, 따뜻한 남쪽이 좋더라!
@경순석5 сағат бұрын
구독 ,좋아요 누르고 갑니다.
@올빼미TV15 сағат бұрын
감사합니다. 앞으로도 좋은 영상 많이 만들겠습니다.
@북한강-z9p7 сағат бұрын
그나마 단지형 전원주택이 주변에 힘들게 하는 요소가 적어요.
@배성훈-v2s3 сағат бұрын
군생활에 관해서는 공감대가 있네요. 보병8사단 10연대 이동..80년에 팀스피리트 훈련을 갔었네요..저가 고참격입니다 ㅎㅎ
@gon77918 сағат бұрын
엄동설한 감기조심해세요
@yoowonsik8 сағат бұрын
와 심하네 진짜 ㅠㅠㅠㅠㅠ
@yeuchouljung30556 сағат бұрын
수고하셨습니다. 잘봤습니다. 저런걸 전원주택이라 하지 않습니다. 주소지만 전원이고, 나머지는 도심보다 못한곳이지요.
@올빼미TV16 сағат бұрын
전원생활은 현실과 이상의 차이가 크죠. 😔
@동그라미-z6s7 сағат бұрын
10년전 서울살다 양평으로 귀촌해서 지내고 있습니다 살면서 가장 잘한 선택이라 생각합니다 집성촌이지만 동네분들과도 잘지내고 있지요 제남편은 아직도 분당으로 출퇴근 하며 직장생활을 하는데 부지런한 이장님 폭설이 내려도 새벽부터 제설 해주셔서 불푠을 느낀적이 없읍니다 옛동료들과 주기적으로 만나는데 많이 부러워하십니다 늘 설레임과 행복감을 느끼며 살 고 있지요 서울 강남한복판 병원 근처에살던 제오빠는 심장 마비로 주무시며 생을 마감하셨지요 의사였던 분이시구요 제주변 어르신들 90을 넘으셨는데도 건강하신분들 많 으시고 잘들지내십니다 비관적이고 부정적인 면만 부각시지 말아주세요 음지가 있으면 양지도 있는법이지요
저는 TS훈련 이천 장호원 일죽 문막에서 했었습니다 전차부대 군수과 근무했고 사단 사령부가 양평이라 일주일에 한두번 덕정리에서 사단사령부 출장 다닌기억이 납니다
@은하철도-e2m4 сағат бұрын
군생활하던 양평 . 20사단 정비3중대 . 생각나네요
@이오-l6q2 сағат бұрын
전원주택은 경사가심한집도 북향도 무조건 걸러야합니다.
@보노보노-l9o17 минут бұрын
군대 예기 좀 하지 마시길 여성 구독자들 다 떨어져 나가요 알림 해줄것도 안해줘요
@홍성우-y4p3 сағат бұрын
국수리에 전원 주택 일산에서 살고 있어요 도시가 편함....
@연진-g8t6 сағат бұрын
북한강 부교 건설한 공병대가 군생활한 부대입니다ᆢㅎ
@PublicMusician17 сағат бұрын
ㅋㅋㅋㅋ 유치원과 유치권을 연결하는 절호의 아재 개그네요~~~!
@deepheart02106 сағат бұрын
오늘 한잔하다보니 지나갔네요!
@불가항력-m3m2 сағат бұрын
유치원은 점점줄어드는데 유치권건물은 전국에 널려있네 ㅋㅋ
@존버-g4q3 сағат бұрын
석유도 안나는 나라.전국방방곡곡 사람 안 사는 집,미분양 아파트 및 주택에 투입된 자재를 국가적으로 환산하면 엄청난 자원 낭비.국가가 잘 좀 계획하고 제도 개선.관리감독 잘 하자.
@K현식이-t6t3 сағат бұрын
🖐️😁🎶🎶🎶
@user-sr8jj9bs7k5 сағат бұрын
쓸모없는 건물에 유치권이 무슨 도움이 되겠나? 없느니만 못한 전원주택. 소박하기 시작했던 낭만의 꿈이 악몽이 되었네.
@Solsol07-c9o5 сағат бұрын
나이 들면 도시에 병원 가까운 곳 살아야한다. 그리고 잘 팔리는 곳. 도심에 상가 주택 구입해서 세 받는 것이 좋음.(인구 있는곳) 밖에 꽃 심고. 조경도 이쁘게 하고. 화분에 과일도 심기도 하고.
@beekang67087 сағат бұрын
지금 한국 은 은 행 의 부조리 감독 없다, 이것은 은행의 부조리 와 연결 되며, 국민들 의 세금 만 높아집니다
@제우스-d1g5 сағат бұрын
20~~30년전부터 전원주택 로망이 많았었죠~~ 그런 어르신들 많이 돌아 가시고~~ 시골 생활이 처음은 낭만이 있는것 같지만 불편 한것이 이만 저만이 아니죠 난방비도 너무 부담이 되고 마트멀고 병원멀고~~시간이 지나며 가족들이나 지인들 발걸음 뜸하고 소 일거리로 텃밭 가꾸는것도 장난아니죠 모든걸 본인이 직접 해야하니~~ 지금 내놔도 매매도 안되고요~~
말이 전원주택이지 채소키우는 밭도 없네요. 야산을 일구어 만든 집인데 야채, 콩도 제대로 못자라는 떼밭이네요. '밭을 사도 떼밭은 사지 마라' 북한속담인데 밭을 살 때 야산을 일구어 만든 떼밭을 사게 되면 낟알도 거두지 못하고 고생만 하게 되니 사지 말라는 말.
@제우스-q5v8 сағат бұрын
단결 🙋♂️
@도완김-c6c2 сағат бұрын
아파트로 닭장을 만들더니만 전원주택으로 전국토를 조지는 구만
@dhoswl7 сағат бұрын
차라리 시골 한옥을 수리해서 살면 어떨까요. 지금 9년째 시골 와서 살고 있는데 너무 너무 좋다고 집사람이 그럽니다. ㅎ 나도 좋구요.
@전미숙-w6u8 сағат бұрын
저런 양평인데
@철갑탄_1236 сағат бұрын
집 작게 지으십시요 터 백평 정도에 20평 실속 있게짓고 나머진 창고 터밭 이 딱 임니다 애들 고작 일년에 서너번 ~~! 건축업자 에게 속아 사 오십평 짓고 복층 에다 찜질방 그리짓고 부부 두명 딸랑 유지 관리 난방 에 골병들어 이삼년 살고 후회 팔려고 내 놓아도 큰집은 절대 못팔지요 건축 업자들 큰집은 대충 짓음니다 조심 하세요 ~~!! 꿀팁 ~!! 건축 업자들 자기가 지은집 보여 준다며 데리고 가면 집 구경후 헤여지고 난뒤 그집에 가서 다시 물어 보세요 그러면 정답 나옴니다 건축 업자가 살짝 알려 줬음니다 전원 주택 노심초사 하세용 !!
@이박김-c5p4 сағат бұрын
아마 멀지 않았습니다 인구가 급속하게 줄기에 빠르면5년 길면10년 지나면 모르긴 몰라도 지방은 없고 유령도시 되어있겠지요😭😭😭😭😭😭
@minsuja82578 сағат бұрын
유치원 vs 유치권
@blue43584 сағат бұрын
뭣보다 모기때문에 전원주택에 살기 힘듬. 물리면 5일정도는 엄청 가려움, 뱀도 있고. 전원생활이라곤 하지만 옆집에 불법으로 쓰레기 태우는 늠들 있으면 전원이 절대 아님.
@뽀미주아8 сағат бұрын
감기조심하세요
@노심-q2iСағат бұрын
산꼭대기서 뭐하고 살려고 주택을보니 저렇게 크게건축해서 겨울난방비 냉방 감당 할수있나
@석기시대-w7e7 сағат бұрын
양평? 한때 고속도로 노선변경으로 시끄러웠던 동네 맞습니까? 그때 기사를 볼 때는 돈이 얼마나 벌어지길래 그러나 싶었는데 이젠 전원주택으로 폭망해라. 한때 꿈이었지
@jungsky-t9uСағат бұрын
일본의 잘못된 부분 빼박이로 따라 가고 있습니다 위정자들이 일본만 반면교사 삼았어도 이런일이 적게 생길 텐데요 앞으로도 일본의 길을 그대로 따라 갈 것 같습니다 나이들수록 인프라가 잘 갖춰진 대도시로 진입하는 것은 진리인것 같습니다 제가 조경업을 하기에 지인들에게 부탁합니다 절대 마당 넓게 하지말고 특히 잔디 많이 깔지말라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