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리신 영상 덕분에 공부도 되고 즐겨보고 있습니다. 제가 F값 공부를 좀 하다보니까 반스톱 개념이 궁금해서 나름대로 연구해봤는데요.. 한스톱 커진다는 것은 조리개 유효면적이 1/2(2/4)로 줄어드는 거니까 반스톱은 유효면적이 3/4으로 줄어드는 거고, 유효구경은 루트(3/4)으로 줄어드는 셈이 되니, F2의 반스톱 올린 거는 2 x 루트(4/3) = F2.3이 되는 것이 아닌가요? 저는 이렇게 이해했습니다만.. 오류가 있는 것인지 가르침을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CPA_fotog5 жыл бұрын
하하 날카로우시군요 엑셀로 소수점까지 정확하게 계산하자면 f/1 f/1.154701 f/1.414214 f/1.632993 f/2 f/2.309401 f/2.828427 뭐 이런식으로 진행이 됩니다 ㅎㅎ 면적이 그 사이 절반이 되게 반지름의 길이 비율을 고려해보시면 위와 같습니다. 계산하신 것도 정확해요 다만 제조사들이 소수점 띠고 그냥 대충대충 적는 경향이 있습니다. 제조사들이 그렇게 하니 ㅋㅋㅋ 저도 그냥 거기에 순응하려고요 ^^;;
@kyonghanyun40132 жыл бұрын
제가 알고있기론 Noctilux는 nocturne (야상곡) 에서 유래된것으로 필름카메라 시절 야경을 찍기위해 개발된 렌즈입니다. 지금이야 ISO 를 높혀 촬영하면 그만이지만 당시엔 감도가 높은 필름은 입자가 거칠어서 원하는 이미지를 구현하기가 불가능했습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렌즈의 유효구경을 넓혀 조리개를 F:1.0 에 가까운 렌즈를 개발하게 되었는데 이런류의 렌즈들은 최대 개방시 촛점면에 혜성의 꼬리처럼 맺히는현상(코마수차:Comet) 가 필연적으로 따라붙게 됩니다. 색수차,구면수차,비첨수차등은 대부분의 고급렌즈들에게 적용이 되지만 코마수차까지 고려한 렌즈는 Leica Noctilux가 처음인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1세대 녹티부터 현행 .95녹티까지 보유하고 있지만 1이하의 조리개값에서 발생하는 착란원의 크기(요즘은 보케라고들 하시네요)때문에 선호하시는분들이 제법 많은데 지금의 디지탈 사진에서는 크게 의미 없다고 보여집니다.(개인생각이니 오해 없으셨으면 좋겠네요)
@greyq5252 Жыл бұрын
Noctis는 라틴어로 '밤'을, lux는 '빛'을 뜻하는 걸로 알고있어요. 문법적으로 Nocti는 여격으로서 직역하면 '밤에게 빛을' 요런 뜻으로 해석될수 있겠네요.
@-realkorea96034 жыл бұрын
낮잠 잘때 요고 틀어오면 잠이 솔솔 잘옴ㅎㅎ;;
@용환안2 жыл бұрын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 덕분에 카메라 공부? 많이 하고 있구요, 감사합니다~~
@오뉻뉻5 жыл бұрын
와우... 정리하느라 얼마나 시간이 걸리셨을지..;;; 미스테리했던 라이카렌즈들 상세히 설명해주셔서 너무 감사합니다!잘보고가요!
@CPA_fotog5 жыл бұрын
라이카 렌즈를 이해하시는데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
@ryoojh4 жыл бұрын
현재든 미래든 돈쓰게만드는 영상 감사합니다
@hyeon8135 жыл бұрын
아주 꼼꼼히 강의를 해주셨네요 ㅎㅎ 중간에 살짝 지루할 뻔 했는데 다 끝났다고 해서 버텼어요 ㅋㅋㅋㅋ 근데 영상보고 하도 뭐라 하는 사람이 많았었나봐요ㅠ 고생이 많으십니다.. 좋은 영상 잘 보고 갑니다~
@CPA_fotog5 жыл бұрын
하핳 뭐라고 하시는 분들이 종종 계시네요 ^^ 라이카 유저분들 무섭거든요 ㅋㅋㅋ 끝까지 시청해주셔서 정말 감사드립니다 :)
@hyeon8135 жыл бұрын
@@CPA_fotog 저는 YK님 블로그랑 영상 보고 라이카 Q2 유저 됐어요!! 유저지만 따지거나 할 내공은 없지만요 ㅎㅎ 다음에도 좋은 영상 부탁드릴게요~
@moohyukyim63775 жыл бұрын
늘 궁금했던 라이카 렌즈에 대한 영상 감사합니다. 아주 재미있게 공부했습니다. 처음 니콘 F2as로 사진을 시작해 F3, F3p, F5를 거쳐 현재 디지털 소니 A7R4와 후지 X-PRO2를 사용하고 있는데 아직 라이카는 사용하지 못하고 있습니다.이 번 기회를 틈다 라이카 유저를 꿈꿔야 겠습니다. 명쾌하고 성실한 설명 감사드리고 회계학 공부하러 가야겠네요. ㅎㅎ
@CPA_fotog5 жыл бұрын
하하 사진영상 회계영상 모두 시청해주시니 감사드립니다 ^^ 환절기 감기 조심하시고 라이카 사용할 기회가 있으시길 바라겠습니다 :)
유튜부로만 하시지 말고,강남말고 강북에다 사진 학원하나 내시지요. 요즈음은 인강외에,직접 강의를 들을수 있는 학원이 없습니다. 부드럽게,알기쉽게 강의 잘하십니다
@jooyonglee29525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덕분에 Q2영입한지 얼마안되었는데 자꾸 M바디 기웃거리네요 ㅎㅎㅎ
@nangmancoach_j4 жыл бұрын
참 오랜만에 잊고 있던 라이카에 대해서 되새김질 하게되는 좋은 영상이네요 ^^
@jasonkim20104 жыл бұрын
좋은 정보 감사해요. 라이카 렌즈 elmarit 28mm를 여행용으로 구매하려고 했었는데 요즘에는 코로나바이러스 덕분(?)으로 집안에 감금 상태중입니다. 😭
@MrParkjaejung5 жыл бұрын
다른거 필요없고 너무 아쁘네요 감성비가 너무 비싸네요 ㅠ 그나마 살수잇는 감성 후지로 ㅋㅋ
@CPA_fotog5 жыл бұрын
ㅎㅎㅎ 렌즈 외형도 정말 예쁘고 마감도 끝내줍니다 ㅋㅋㅋ 대신 비싸요 ㅎㅎ
@phaselead_dj5 жыл бұрын
파나소닉-라이카 렌즈도 나름 충족됩니다 진짜 라이카 유저분들은 어떻게 보실지 모르겠지만..ㅋㅋㅋㅋㅋ 빌드퀄리티, 이미지퀄리티 되게 좋습니다. 개인적으로 파나소닉 GX9 + 파나라이카 15mm F1.7 / 42.5mm F1.2 조합 정말 예뻐 보이더라구요. 마포 센서니 얕은 심도나 저조도 성능은 어느 정도 포기해야 하지만(그래도 캐논 APS-C보다 오히려 노이즈 성능이 나음), 정말 매력적인 구성입니다.
@오태훈-o7w5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라이카CL 유저에게 혹시 추천해주실만한 렌즈 있으실까요? 번들로 구입한 18mm Elmarit-tl이 좀 답답하게 느껴져서 조언을 구하고자 합니다.
@CPA_fotog5 жыл бұрын
L마운트, 특히 크롭은 렌즈가 많이 부실해서... 좀더 광각을 원하신다면 11-23mm 좀더 망원을 원하신다면 35mm 정도 권해드릴 수는 있겠지만 다소 궁색하긴 합니다 ^^
@베리베리킹5 жыл бұрын
저도 q,m 둘다쓰고있는데요... q가 참 쓰기 좋아요.. q쓰다가 부족해서 m으로 넘어왔는데.. 바디랑 렌즈2개해서 2500들었어요... 들고나가면 뽀대나서 만족은 하는데.. 갠적으로는 q가 최고인듯 하네요.. 너무 m에대한 환상을 가지지 마시고.. q쓰세요.. 정말 q는 끝판입니다..
@CPA_fotog5 жыл бұрын
ㅎㅎ Q쓰다가 M 넘어오시는 분들 정말 많죠 다만 넘어오신 분들 중에서 적응못하시는 분들도 많고요 다만 그와중에도 말씀하신대로 Q에 대해서 안좋게 말하는 사람은 거의 없는 것 같습니다 ^^
오늘도 영상 잘 봤습니다!ㅎㅎ 저 라이카 특유의 검은색 경통 + 노란색 ,흰색 텍스트 + 체결 부위 표시의 빨간점 디자인이 너무 좋습니다ㅋㅋㅋㅋㅋ 라이카는 제게 너무 비싸고 파나-라이카는 하나 있는데ㅠㅠㅋㅋㅋㅋㅋ 서브 바디용이라 잘 안 쓰는데도, 디자인이 너무 맘에 들어서 파나-라이카라도 렌즈군을 쭉 모으고 싶을 정도에요. (진짜 라이카는 언제 사보나...ㅋㅋㅋㅋㅋ)
@CPA_fotog5 жыл бұрын
ㅎㅎ 90년대 정도 들어와서 완성된 디자인인데 정말 너무 예쁘죠 ㅋㅋ 올드렌즈도 그 맛이 있지만 현행렌즈들도 디자인이 너무 예쁜 것 같네요 ^^
@noh83974 жыл бұрын
고맙습니다. 요즈음 라이카에 꽂혀서 조만간 적당한 카메라, 렌즈 구입 예정인데 도움이 많이 되었습니다.^^
@Hehshahahqhshs1235 жыл бұрын
회계사님~~ 예전 영상에서 지인분들에게 후지필름을 권한다는 말을 본적이 있어서 질문 남길게여 ㅜ 후지 x-t3 에 23mm 1.4 렌즈를 끼면 풀프레임에 35mm 1.8렌즈 낀 정도의 아웃포커싱을 느낄수 잇을까요??
@CPA_fotog5 жыл бұрын
굉장히 애매하긴 하지만 같은 사진을 찍는다고 하면 f2.2 ~ f2.0 정도의 느낌이 날 것 같아요 :) 몇가지 변수가 있어서 딱 떨어지게 말씀드리기가 어렵네요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