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가 없는곳에 콘센트 만드는(증설) 팁

  Рет қаралды 153,585

폴라베어 전실장

폴라베어 전실장

11 ай бұрын

#콘센트 #전기 #인테리어
----------------------------------------------------------
💡🛠폴라베어 전실장 스마트스토어 🛠💡
smartstore.naver.com/ahnsshop
🐻‍❄️폴라베어 공식 인스타그램🏠
/ polarbear_space
---------------------------------------------------

Пікірлер: 238
@user-bd2bs1qz6w
@user-bd2bs1qz6w 11 ай бұрын
현전기팀입니다. 구축아파트 공사 기준으로 현실을 알려드릴게요. 요즘 분전함만 8~9회로 정도 빼줘여합니다. 시스템A/C, 인덕션, 식세기, 정수기, 워시타워 주방콘센트, 욕실 휴젠트 등등 단독라인만 이정도로 빼주어야 하고, 저것만 해도 일양 어마어마한데 내력벽에 콘센트 증설 4~5개 기본인데다 양쪽 욕실 콘센트 증설 박스 매입만 7~8개 넘어가죠. (업자들 가벽 콘센트 이설, 증설은 일로 생각도안함^^) 전열 작업 이만큼인데 전등 작업 전체 매입등으로 돌리는데 천장고까지 안나오면 그것 또한 일이죠. 근데 문제는 대부분 업자들이 전기공정을 하루? 이틀조차도 안빼준다는게 현실. 공정표 받아보면 첫날 샷시나 철거랑 겹치게 해놓고 둘째날은 목공이랑 무조건 겹침. 등타공 하는날은 필름 타일하는날에 낑겨넣고. 현실적으로 말씀드리면 저 정도 작업량을 전기공사법을 준수하면서 수행할려면 전국에 상위1% 기공 두분이 오셔도 최소 5일 6일은 해야된다고 감히 말씀드립니다. 물론 작업하기 좋은 환경에서 수익을 위해 날림공사를 하는 전기업자들도 있겠지만 인테리어 실장님들과 소비자들께서 전기에 대한 인식이 많이 개선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user-ip7yb8cm1g
@user-ip7yb8cm1g 10 ай бұрын
같은전기업종사자로써 질문좀드려도될까요? 보통 구축아파트 분전함 4회로정도가 대부분인데 그러면 8회로 부스바를 사용하기위해 분전함크기를 늘리려고 분전함도 새로교체하나요 그러기위해선 분전함까대기도하나요? 관로가 모자르면 바닥으로 배관을새로 날려주나요? 전기초보라서 매우궁금합니다
@user-bd2bs1qz6w
@user-bd2bs1qz6w 10 ай бұрын
@@user-ip7yb8cm1g 가장 좋은건 목공에서 벽체를 빼주는게 좋습니다만, 그렇지 않을땐 옹벽 까대기를 하는 경우도 종종 있습니다. 관로가 모자를땐 주방 라인으로 2회로까지는 엎어서 끼고 두라인은 천장으로 새로 날리는 작업을 합니다. 기존 주방관로에 인덕션 1회로, 주방부하1회로 천장으로 워시타워1회로, 식세기1회로
@EGhome-care
@EGhome-care 10 ай бұрын
구 전기팀 현 와리가리전기팀 입니다. 진짜진짜 현실 제대로 반영한 댓글이라 답글남깁니다. 전기 공사 우습게 생각하는 업자? 사람들 많습니다. 전기공사 단가 후려치기도 우습게 하고 말도 안됩니다. 일 양이 많은거에 비해 너무 페이가 짜요ㅠ 그래서 와리가리 합니다. 전기공사에 대해서 인식도 바뀌어야하구요 모두들 전기 쉽게 생각하시면 안됩니다ㅠㅠ 그래도 더운 여름 모두모두 화이팅입니다!!!
@user-binglebingle
@user-binglebingle 10 ай бұрын
이게 현실. 욕할자격없는 인테리어업체가 더 많음.
@89naminsu
@89naminsu 10 ай бұрын
이게 정답입니다 이런 설명이 없으면 다들 오해합니다
@user-vh6jg8tt5w
@user-vh6jg8tt5w 10 ай бұрын
역시 전문가시네요.. 영상을 보면 정말 정직한 분이구나 느껴지네요. 모르는 분야 공부도 되네요...영상 감사합니다.
@jihoonlee6225
@jihoonlee6225 11 ай бұрын
항상 명쾌한 말씀이시네요. 좋은 영상들 감사합니다.
@user-ih2od3hp1s
@user-ih2od3hp1s 11 ай бұрын
오늘도 한수 배우고 갑니다 ㅋㅋㅋ 전 에어컨 업자지만 전기에도 관심이 많고 전기작업도 하고 소비자 욕구만족을 위해서 전기 인테리어도 틈틈이 공부합니다~~
@user-oc2nt4og7u
@user-oc2nt4og7u 9 ай бұрын
전기는 전기업자분께 배우시길 추천합니다. 전실장님께서 전기도 고수시지만.... ㅎㅎㅎ 오늘 이 영상보고 쓰러질 뻔 했어요. 전기는 전공에게 배우시길 ㅡ.ㅡ
@user-fb1kv5ig2j
@user-fb1kv5ig2j 11 ай бұрын
영상 잘 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수고하셨습니다 🎉
@CTEandC
@CTEandC 10 ай бұрын
2017년부터 꾸준히 영상 보고 있어요.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한번 만나고 싶네요
@ssoul6548
@ssoul6548 11 ай бұрын
역시 가볍게 접근해서 많이 배우고 가는 좋은 채널!
@user-ko7wr7fc5g
@user-ko7wr7fc5g 10 ай бұрын
매번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user-jy4ts8tu9e
@user-jy4ts8tu9e 11 ай бұрын
오늘도 전기컨텐츠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다음번에는 혹시 전선 종류와 용도와 장단점에 관해서도 영상 한편 올려주실 수 있나요~~~? hiv나~ hfix 나~ vctf 나~ 시간 많~이 나실때요~ 전실장님만의 영상 스타일이 제일 깔끔하고 보기가 좋아요!
@John-kj7xg
@John-kj7xg 11 ай бұрын
Hfix는 공기관 내선용으로 많이 사용하는데요. 습기에 많이 취약한 편이라 그닥 선호하지는 않습니다. 불연성 소재라 사용하는 것 뿐이에요
@user-kc8xs7vp7p
@user-kc8xs7vp7p 10 ай бұрын
HIV랑 HFIX는 난연성 소재이고 불 났을 때 HFIX는 유독가스가 매우 적게 나오는 거로 알고 있어요. VCTF는 비닐 케이블이고 코드선으로 사용하는 선이라 부하 말단에서 전원까지만 보통 사용해요.
@user-oc2nt4og7u
@user-oc2nt4og7u 9 ай бұрын
​@@John-kj7xg헐. 전공이시네요. 맞습니다.
@user-oc2nt4og7u
@user-oc2nt4og7u 9 ай бұрын
이번 새로운 규정에 의해서 전선들이 많이 바뀌었어요. 욕나옵니다. 1. 전선 용도 전기공사에서는 노출 외선으로 cv전선을 사용합니다. vctf는 사용 불가능합니다. 임시 용도에 잠시 사용하는 정도로만 하고요. 관공서에는 절대 사용 못합니다. 내선으로 cv전선과 hfix를 사용합니다. 현행법에서 HIV는 사용불가능하고요. 물론. 전기업체에서는 Hiv를 가끔 사용합니다만. 규정상은 사용 불가능요. 가끔 인테리어 하시는 분들께서 로맥스나 sv를 사용하시는 분들이 계시는데....... 저희는 그런 전선은 무조건 교체가 원칙입니다. 2. 전선 색상 과거 cv 전선이 4가닥 전선에서는 흑적백녹 이었는데. 현재. 갈흑회청 으로 바뀌었어요. 갈색 회색 선이 잘 구분이 안됩니다. 미챠 버립니다. HFIX전선도 과거 HIV 전선과 색이 조금 달라졌습니다. 잘 사용하지도 않던. 갈색 회색선이.... 주로 사용되고 있어요. 접지선 색상이 과거에는 녹색이었는데. 현재 녹색과 노랑 2가지 색이 혼합되어 있어요. 3. 시공 방법 전선은 전선보호관에 넣는 것이 원칙입니다. 그러나 노출 가능한 Cv전선은 전선관 밖으로 노출 시공이 가능하고요. HFIX전선은 노출 불가 합니다. 반드시 전선보호관에 선을 넣어야만 합니다. 즉. 여기 영상에 나오는 시공은 모두 딸딸이 공사입니다. 절대로 저렇게 작업을 해서는 안됩니다. 2중 천장 작업시. 최근엔 스틸 전선관과 플랙스블 가요관만 사용 가능합니다. 콘크리트 벽채 작업은 난연 cd관을 사용합니다 그리고. 일반 인테리어 벽채에 cd관을 사용할 수 있는지 모르겠네요. 2중 천장에서 cd관이 사용하지 못하는 이유가 유독성 가스발생이기 때문에. 그 원칙이라면? 일반 인테리어 벽채에도 cd를 사용하지 못할 듯 한데. 그리고. 건물 내 노출 시공 시에 알루미늄 닥터뿐만 아니라. 쫄대라 불리는 몰딩 또는 연질 전선보호관이 사용 가능합니다.
@macgyver-kang
@macgyver-kang 9 ай бұрын
@@user-oc2nt4og7u 안녕하세요 . 검색하다가 궁금한게 있어서 여쭤 보려고 합니다. 기존 오피스 건물로 되있는 곳을 학원으로 용도변경해서 다운라이트로 교체 하려고 합니다. (셀프) 난연CD관을 사용하고, HFix전선을 사용하는데... 전선굵기를 1.5, 2.5 어떤걸 사용해야할까요? 물론 2.5를 일반적으로 사용할텐데... 다운라이트 최대 6인치 6개를 조절 하려고 합니다. 미리 감사드립니다. 꾸벅^^
@ElR.Madrid
@ElR.Madrid 11 ай бұрын
많이 배우고 있습니다 영상 ㄱㅅ합니다 ❤
@dtbb6133
@dtbb6133 11 ай бұрын
제가 일하는 곳도 이렇게 작업하시던분 계셨는데 작업속도가 빨라서 현장 여러개씩 치고다니니깐 일을 제대로하는줄 알고있더라고요. 나이먹어서 고집이 쎄서 고칠생각을 않하니 같이 일하는 사람들이 뒤에서만 뭐라하더라고요ㅋㅋㅋ. 이런식으로 일하니깐 계속 작업했던 현장에서 문제 생겨서 한번씩 a/s 하러 가고 그러다 보니깐 하루종일 a/s하면서 새로운 현장에서 작업도 하고 그러니 같이다니기 엄청힘들었던 기억이있네요.
@juliocesarchavez4184
@juliocesarchavez4184 9 ай бұрын
접지 없는 오래된 주택은 저렇게 합니다.
@dongkeunkwak
@dongkeunkwak 11 ай бұрын
유익한 정보 재미있게 잘 봤습니다. 감사합니다. 파이팅입니다!~^^😅
@charlesbbyong4812
@charlesbbyong4812 11 ай бұрын
좋은 이야기 감사합니다!
@user-iu2uw6kr5x
@user-iu2uw6kr5x 5 ай бұрын
정말 좋은정보 감사드려요.
@user-ux3tg2wr1b
@user-ux3tg2wr1b 11 ай бұрын
현직 전기쟁이 입니다. CD를 사용 못한다는 분들이 계셔서 댓달아요 바뀐 법 CD 사용 가능합니다. 전기 기준으로 (공구리 매입배관.난연CD 완전 노출로 작업시 연소되지 않는 벽체.바닥.천장등) 증설작업시 까데기후 박스와 CD매입 미장 땜빵이 정석입니다. 그외 벽체 및 천장속 매입 배관은 SF 및 GW 사용해야 됩니다. CD사이즈 만큼 까데기가 너무 하기싫으면 CV케이블이 절연이라 사용해도 됩니다만 추후 하자보기가 힘듭니다. 아직도 IV를 쓰는 사람들이 있군요.. 알선 깔아놓는 분들 제발 본인들 집에나 그렇게 하세요.. ㅡㅡㅡㅡㅡㅡ추가글ㅡㅡㅡㅡㅡㅡ 밑에 어떤분이 자꾸 법법 하시면서 2중천장에 한해서만 CD관 사용금지이고 벽체는 다 CD관 매입이 가능하다고 얘기를 해서 댓글을 주고 받았는데요.. 벽체도 사용 금지에 포함됩니다. 벽체에 CD관 사용이 가능한 경우는 경량뼈대에 석고12.5t 이상 단열재도 불연이여야 CD사용이 가능합니다. 아니면 CD를 불연재질 닥트나 배관에 2중으로 넣어서 매입하면 되구요. 조적은 CD사용 가능하구요. 안전검사를 받아야 되는 곳은 보통 인테리어 공사시 하는것처럼 내장목수들이 다루끼로 세워놓은 벽체에 CD매입해놓으면 안전공사에서 검사 절대 안해줍니다. 바로 빠꾸 입니다.
@John-kj7xg
@John-kj7xg 11 ай бұрын
맞아요 금속후랙시블 1종 2종 써야죠… 무겁고 거추장스럽지만…ㅋㅋ
@gaiko0815
@gaiko0815 11 ай бұрын
정확한 설비기준 입니다. 점점 작업난이도가 어려워져서 현장 단가 맞추기 힘드네요 ㅜㅜ
@cunbae
@cunbae 10 ай бұрын
이거지. 명쾌하구먼!
@cinceresunwoo
@cinceresunwoo 8 ай бұрын
잘알고 계시네요. 전기 KEC규정 참고하면 됩니다.
@user-jz5dw8nt5u
@user-jz5dw8nt5u 5 ай бұрын
cd쓰고 콘센트 박스도 안하면서 적합해줘 이런사람들 많음...
@ssumin4894
@ssumin4894 11 ай бұрын
전기공사 견적이 얼마인지 알아야됩니다 말도안되는견적에 제대로된 시공이 될수없습니다 공정도 짧고 적은 금액에 많은 까대기와 매립배관을 바라지마세요 싸고좋은것은없습니다 그리고 점검 안맡아서 천정에 cd를 쓰는것 까진 좋은데 배관 안지나갈 정도로 공간없는(주거공간에 천정철거를안하는) 곳은 선만 날리는경우도 다반사 입니다 전기공사를 정석으로 할라면 정말 많은 비용이 들어갑니다 싼게 비지떡이라고 저렴한 시공은 그만한 이유가 있습니다
@user-oc2nt4og7u
@user-oc2nt4og7u 9 ай бұрын
그게............. 문제긴 하죠. 싸게 하다보니. 딸딸이가 되는 것인데.. 그래도 전기쟁이는 그러면 안되자나요. 차라리 일을 하지 말아야죠. 규정을 지키면서 하는 것이 맞습니다. 현재. 플랙시블 전선관으로 하라고 하지만. 솔직히 cd넣고 작업하는 것도 요령이고요. 그렇게 해서라도 배관을 해야 되자나요. 그것이 전기쟁이 양심이자나요. 돈 때문에 천정에 iv를 그냥 깔아버릴 바엔. 안하는 것이 나은 듯 합니다. 양심이자나요
@kdhbuin
@kdhbuin 6 ай бұрын
@@user-oc2nt4og7u 견적은 뭐 남이 대신 써줌?? 영업력없고 일날림으로하고다니니 불러주는업자는없고 일은 없으니 견적내주면 싸게 불러 놓고 이 금액에 까대기를 어떻게해요~~ 악순환
@user-ed8ji2iq7b
@user-ed8ji2iq7b 11 ай бұрын
전선 생각보다 잘 까져요 몇년 문제 없다가 여름철 습기 생기니깐 뻥 해서 출동한 기억이 납니다 벽뜯어서 찾은게 아니라 궁금해서 잡아당기니깐 새까맣게 타져있었음 cv가 낫겠네요
@user-lr7nk4mt7w
@user-lr7nk4mt7w 10 ай бұрын
다 그런 이유가 있었군요. 말씀하신대로 돈주고 하는건데 제대로 하는게 맞는거죠.
@rjsdn159357
@rjsdn159357 11 ай бұрын
실상 전기업체는 해달라면 해줄순 잇으나 공사기간이 짧아 2일에 마감까지 다해달라하는판국에 까대기까지 잇다면 사실말다한거죠 그만한 일정과 비용을 투자해준다면 해주고싶고 하는입장에서도 하는게 깔끔하고 속이 편합니다 하지만 실상그렇지않죠.. 전기쟁이만 머라하기보단 업체들이 먼저 각성햇으면 좋겟네요 어차피 시간주고 배관작업해달라고만 한다면 어느전기쟁이가 안해줄까요...
@david-os1he904
@david-os1he904 11 ай бұрын
맞습니다. 돈과 시간이 문제에요. 소비자랑 업체는 어떻게든 깍으려고만 들고 전기공사할 시간도 별로 안줍니다. 품 들어간다고ㅠ
@leeds6361
@leeds6361 11 ай бұрын
안전규정 = 피의 역사 현장 = 휴먼에러로 인한 하자의 기록 현장과 규정 사이의 타협점 찾기가 힘들죠 ㅎㅎ 그래도 전기는 어디서 불 날 지 모르니까 하지 말라면 하지 말아야 하는듯
@fgtt119
@fgtt119 11 ай бұрын
이 형 요즘 전기에 꽂혔다ㅋㅋ 올라라 조회수~~
@user-kx7cr4gt1j
@user-kx7cr4gt1j 11 ай бұрын
저희 부모님 농막에서 완전 전기 날림 공사를 했는데, 처음 보고 식겁 했습니다.(차라리 그 때 불타서 새로 지었어야 했나 싶기도 하고) 에어컨, 인덕션, 전자 레인지가 연결되어 있는 멀티탭을 싱크대 안쪽으로 넣는다고 배선을 자르고, 대충 꼬아서 전기테이프로 감아 놨더라구요.. 처음엔 잘 몰랐는데, 멀티탭 쪽에서 이상한 전기 소리가 나고, 에어컨이랑 인덕션이 되다 말다 해서 잘 살펴보니,,,다시는 그 업자랑 연락하지 말라고 했습니다.
@user-od6bg6wp2h
@user-od6bg6wp2h 10 ай бұрын
전기인 입장으로 유지보수를위해 무조건 배관해야한다
@cropcrop9264
@cropcrop9264 11 ай бұрын
애초에 외부 공기 닿는 쪽 단열재를 갈라서 발코니 쪽에 콘센트 달면 방안 습기가 그쪽으로 모여서 전선이랑 결로가 짬뽕 되는거 아녜유?? 일반인 시각으론 그런데
@youngbumheo9842
@youngbumheo9842 10 ай бұрын
증설 시공 영상인줄 넋놓고 보다가 중간에 끊고 나가게 되는 제목이었네요
@Logan_LK
@Logan_LK Ай бұрын
배관안에 전선을넣는 이유는 부하의 과전류로 전선이 탈때 더 큰 화재로 번지지않고 배관안에서 전선만 소실되도록하기 위해서 입니다. 과거에는 난연 CD 배관도 가능했지만 현재에는 금속전선관 또는 가요금속전선관 이나 방수용금속전선관을 사용하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콘센트 안쪽으로 매입pvc 박스나 철재콘센트 박스를 사용하도록 규정하는 이유도 화재와 관련있습니다.
@coolstraight007
@coolstraight007 11 ай бұрын
당연히 cd관 넣어서 작업해야죠.. 공사 규모가 어떤지 몰라도 어느정도 규모가 있다 그럼 소비자 설득시켜서 내가 조금 손해 보더라도 가배 치는게 맞고요 대충 해놨다가 골로 갈 수 있다는 걸 모르는 업체가 많은 듯하네요
@user-mt7qo7bu3b
@user-mt7qo7bu3b 11 ай бұрын
진상진상 으이그
@j0h0j05
@j0h0j05 11 ай бұрын
은폐된 장소 CD관 못쓰는데 많으니 전기설비 기준에 맞게 확인하셔서 시공하시면 돟겟네요
@Jeehyae
@Jeehyae 11 ай бұрын
근데 궁금한게 있는데 뒤에 블라인드 박스는 목공으로 작업하고 페인트든 벽지든 바르는거죠? 그렇게 하고싶은데 어떻게 지시해야할지 모르겠어요 ㅜ 헲미
@sherlook635
@sherlook635 11 ай бұрын
전 겁이 많아서 CV 전선이랑 배관이랑 동시에 하는데 노출면이라서 ㅎ;;;;유지보수 생각하면 또 아니군욤 ㅎ;; 정보 ㄳ
@user-fj6on6nu4f
@user-fj6on6nu4f 11 ай бұрын
ㅎㅎ....쌍펼년도도아니고.....요즘엔 뭐 못해도 난연cd 아니면 sf , 지따블 넣죠. 알선은 뭐....이제없어져야죠. 요즘 가뜩이나 건설 건축에 이슈도많은데 베스트는 애초에 저럴일이없이 입선해두는건데 인테리어는 아무래도 박스이동, 변경되는부분이있다보니 까대기 할일이많긴하쥬....그래도 떡가배라도 되있어서 망정이지... 옹벽 따서 난연넣고 하면 비용도 시간도 내 기관지도.힘들죠...
@user-if5fq8vg8c
@user-if5fq8vg8c 5 ай бұрын
욕실 타일 붙이기전에 욕실에 led거울 달려고 천장에서 거울위치까지 선을미리 고장해두고 타일을 그위에 붙이려고 하는데 vctf 전선을 매립하면 안되겠죠?
@1000seju
@1000seju 2 ай бұрын
유익하다 유익해
@everydayonescoop
@everydayonescoop 11 ай бұрын
도배까지 끝나고 나면 저 안으로 전선이 지나갈 것이라고는 생각할수 없죠. 살면서 벽에다 못박을 일이 수두룩 한데 내가 못박는 곳에 전선이 지나가고 있다면 뒷골 땡기네요. 전선은 지나갈 것이라고 누구나 생각할 수 있는 곳으로만 다녀야 합니다.
@dotkabi
@dotkabi 11 ай бұрын
활선을 죽은선으로 생각하고 자르다가 펑!하고 두꺼비집 내려가고 니퍼 날 가운데 구멍내 스트리퍼로 만들었던 사람입니다. 운이 좋아서 아직 살아있네요. 그 이후로 전기는 정말 절대로 조심하는데.. 저도 못부터 생각났습니다. 작은 액자 걸겠다고 맨손으로 박다가 쇼트났다면... 어우.. 저런건 욕심내지 말고 그냥 연장선이나 멀티탭을 쓰는게 백번 나은거 같아요.
@Haha-xz1bv
@Haha-xz1bv 11 ай бұрын
@@dotkabi 220볼트는 물기있는손으로 잡지않는이상안죽습니다
@Haha-xz1bv
@Haha-xz1bv 11 ай бұрын
@@dotkabi 380볼트부터 ㅈ됩니다..
@yongbaejeong
@yongbaejeong 11 ай бұрын
무조건 동의 합니다...
@kasjeijaskej
@kasjeijaskej 10 ай бұрын
못박는건 어차피 난연cd관으로도 못막습니다 전기 배선이 어떻게 되있는지 훤히 알고있는거 아닌이상 벽에 못박는거 자체가 위험한거에요
@user-kd7em8fm3y
@user-kd7em8fm3y 5 ай бұрын
FM으로하려면 cd배관깔죠.문제는 소비자가 노출은 싫고 매립을 최대한 싸게하고싶은데 그금액맞추려면 저렇게 할수밖에없습니다.그럼 처음엔 fm대로 불렸다가 나중엔 어디업체에선 얼마다하면 저렇게할수밖에없구요.전 둘다 귀찮아서 저럴경우 그냥 노출몰딩으로 노출콘센트권장하긴합니다만 돈은 딸딸이로주면서 fm대로 원하는건 모순이라생각합니다
@user-ce1ny7ix9w
@user-ce1ny7ix9w 11 ай бұрын
전기 기사 맞네 ㅎㅎ 전기는 아무리 간단한 작업이라도 설렁 설렁은 절때 안되는 거죠 ㅎㅎ 각종 법이나 규정이 그냥 있는게 아니죠 법이나 규정을 준수 한다면 지금의 각종 사고는 10%도 안생길껍니다~
@user-gy1dw9jb2w
@user-gy1dw9jb2w 10 ай бұрын
전선을 보호해주는 배관이 없기 때문에 절대 안됩니다.
@user-xw2ee4se4d
@user-xw2ee4se4d 11 ай бұрын
*hiv 전선 - 예전 규격전선, 화재발생시 유독가스발생, hfix보다는 습기에 강함. *hfix전선 - 새로운 규격 전선, 유독가스 미발생, 초기 습기에 약해서 문제발생(개선되었다고 하지만 확실하게 hiv보다 습기에 강하다는 연구결과 없음.)
@user-gl3iq5ex3k
@user-gl3iq5ex3k 11 ай бұрын
이것도 문제이지만 우리집은 차단기 하나에 방 2 전등 콘센트 거실 등 다 물려놨습니다. 전열기구 틀면 바로 차단기 꺼져요... 딸딸딸이 공사들. 배관 아낀다고 점프로 다 넘겨놓고 배관 다이렉트로 배전반까지 하는게 어려운건가. 내가 공사한 현장은 전부 다이렉트로 배관 연결시켜놨었는데..
@user-ho9fo5rj1b
@user-ho9fo5rj1b 11 ай бұрын
사실 규정이고뭐고를 다떠나서 저거 하루이틀쓰는것도아니고 안전이라는건 기초부터 쌓지않으면 위에가서는 흔들리는법입니다. 저렇게해놓고 문제생기면 전기는 죽고사는문제예요. 미관을 좀 포기하더라도 1%의 위험성이라도 줄이는게 맞죠.
@lfborn9676
@lfborn9676 11 ай бұрын
CD관이나 후렉시블로 넣어야함. 나중에 입선 다시해야할 일 생기면 어쩌려구
@gigalan04
@gigalan04 10 ай бұрын
전기공정 보통 목공전에 이틀 주고 마지막에 마무리 들어가는데 cd관 매립까지 하고 FM으로 이틀동안 할수 있을까 싶네요. 솔직히 전기팀이 일부로 그렇게 할까요? 품주는 사람들이 그리 원하니까 맞춰서 하는 거겠죠. 전기까페에서 콘센트위치이동,콘센트증설,인덕션,식세기,타워세탁기건조기,등등 증설많이 필요한 현장 이틀에 다 해치워라 그러면 전기까페에서 넵 그렇게 할게요 할까요? 본인들이 그렇게 하지못할일인데 뭐 일 대충한다 뭐 그런게 실은 좀 아닌거같네요. 정석적인 결과물을 얻고 싶으면 품더 잡아주면 되죠 그걸 어떤 전기사장님이 싫다고 하겠습니까? 전실장님
@jhc6059
@jhc6059 9 ай бұрын
쇼트나서 불나기 선보호도 안됩니다 거기다 불났을때 전기때문에 확산도 됩니다.
@user-oe4lv6op5p
@user-oe4lv6op5p 11 ай бұрын
관 넣는게 맞습니다 😂 인테리어 업체에선 배관 넣고 작업하시는분들을 비싸서 안쓰는게 현실…
@david-os1he904
@david-os1he904 11 ай бұрын
인테리어 실장이랑 소비자는 어떻게든 깍으려고만 하니 수지타산 안나와서 아래 하청 업자들도 날림공사로 가는거 같습니다. 제대로된 금액을 지불하고 요구해야하는데 말이죠.
@asd8646
@asd8646 Ай бұрын
시원한 말씀이네요 날림공사,전기 우습게 아는 사람들이 보셨으면 하는 영상이네요 ㅋㅋ 아직도 보면 멀티콘센트에 규정된w이상의 여러 전기제품을 꼽고 별로아무렇지 않게 사용하는 집들도 많구요 주방에 고출력 제품이 많이 생기면서 구축집들도 전기 신경써야되는 부분들이 많더라구요 세상은 변하는데 나만 안변하고 꼰대사장님들이 너무많습니다
@user-ks9yt4ex4x
@user-ks9yt4ex4x 11 ай бұрын
전실장님 한가지 궁금해서 질문하나드립니다. 미국 일본 독일 등등 콘센트에 N 라인 L라인 접지 구분해서 L라인이 무존건 오른쪽으로 설치사는데요. 콘센트 설치시 우리나라는 L라인을 어느쪽으로 설치해야하나요?
@Haha-xz1bv
@Haha-xz1bv 11 ай бұрын
상관없습니다
@zonnage2877
@zonnage2877 10 ай бұрын
@@Haha-xz1bv 뭘 상관없어요 우리나라도 오른쪽입니다 ㅋㅋ 콘센트 위아래 방향도 못보시나 이분은
@user-ig8ev8zk7p
@user-ig8ev8zk7p 10 ай бұрын
콘센트박스랑 배관을 괜히 설치하는게 아니죠
@GeorgeLee
@GeorgeLee 11 ай бұрын
법으로 만들어 놔도 안 지킴. 내가 오래 해봤는데, 아무 문제 없었다고 함.... 오래 했다고 제대로 하는거 아니고, 잘 하는 것도 아님. 답이 없음.
@John-kj7xg
@John-kj7xg 11 ай бұрын
아니네요 저거 발열때문에 그렇습니다. 전선이 일정간격 붙어있으면 서로 접촉하고 시간이 지나면서 급격히 노화되거든요. 거기다가 콘크리트는 겨울 여름 수축팽창하죠. 전기선도 급격하게 수축팽창합니다. 그러다보면 전선 피복이 벗겨지죠. 이게 문제가 화재위험이 엄청 크다는거에요. 단락되면 다행인거고 전기저항이 커지면 200-400도가 계속 유지가 되니까 콘크리트고 나발이고 다 녹아내리고 만에하나 불나면 전기선 뽑지도 불 끄지도 못합니다. 왜? 전기 배관안에 안넣었으니까요. 배관도 규정이 있어요. 16mm배관에 2.5sq5선이상 집어넣지 못하게 하는것도 피복 및 절연저항과 발열문제가 생각보다 크기 때문이에요. 금방 열화되고 금방 망가집니다. 시골주택도 아니고 무슨…ㅋㅋㅋ 누전으로 차단기 계속 내려가면 사람 미칩니다.
@polarbearjeon
@polarbearjeon 11 ай бұрын
이렇게 지식 하나를 배우게 됐네요 감사합니다
@balladierhenry6270
@balladierhenry6270 11 ай бұрын
올해 5월에 신혼집 인테리어를 아는 형에게 전기공사 맡겼는데 딱 저렇게 해놨었습니다. CD배관에 전선 인입해서 작업해달라고 했는데 아무 문제없다고 무시하더라구요. 계약금 110만원 날리고 새 업체 찾아서 제대로 공사 완료했습니다. 물론 아는 형과는 손절했고요. 전기공사 개판으로 한 그분이 꼭 이 영상 봤으면 좋겠네요. 정신차리시길...
@leejohn4853
@leejohn4853 11 ай бұрын
지금 단장만 문제 없이 떠나면 지 책임 아닌 대표적인 사람이네요. 전기한다고 깝족거리는 사람 너무 많아요.ㅡㅜ 저도 셀프인테리어 하면서 일잘하는 분들 연락처 하나둘 모으고 있지만 생각보다 제 마음에 맞게 알하는 분이 많질 않네요. 저는 금액이 문제가 아니라 좀 비싸도 일 잘해놓고 가야 뒷탈없이 뒷탈 있어도 직접 다시와서 보수 잘해놓고 가는 분들 찾는데.. 대부분이 뒷감당 안하고 도망갈 방식으로 일하는 부류 너무 많아요
@santos-amatta
@santos-amatta 11 ай бұрын
아는 사람한테 인테리어 맡길때 제일 엉망인듯..
@kjh6469
@kjh6469 11 ай бұрын
하여간 순살자이를 비롯해서 아직도 우리나라는 멀었습니다.
@kirimochiz
@kirimochiz 11 ай бұрын
진짜 불이 나냐 안나냐 안전문제보단 나중에 증설을 할지 선을 교체할지 그건 사용자 마음인데 능력없이 짬밥만 먹은 사람들이 많아요
@user1-ac8jo17bo9ze
@user1-ac8jo17bo9ze 11 ай бұрын
계약금주기전에 계약서에 모든 전선은 무조건 CD배관에 매립한다 라는 내용을 기재해야할것 같아요
@Miru-uj4oz
@Miru-uj4oz 5 ай бұрын
이분 영상 보면 적어도 에펨대로 시공하시는 분인건 확실한듯. 1억분의 1 확률로도 사고가 나는게 전기인데 에펨대로 해야지.. 저도 현장에서 전기노가다 하는데 스킬도 스킬이지만 전기시공인의 참 자세에 대해 많이 배우고 갑니다.
@user-ip7yb8cm1g
@user-ip7yb8cm1g 10 ай бұрын
아파트전기공사는 인테리어실장 말이 시방서인데 해달라는데로 해주는게 현실이죠. 인테리어업자들 말안듣고 배관해달랐는데 알선만넣었다? 미친놈인겁니다.그런전기쟁이들도 없고요.인테리어업자들도 다압니다 자기들이 아끼려고 전기시공자분들한테 걍 선만넣어줘요. 이걸 전기쟁이들 탓하는건 좀아닌듯ㅋㅋㅋ 돈은 인테리어업자가 주는데 누가 미쳤다고 말안듣고 지맘대로하나요ㅋㅋㅋ
@cunbae
@cunbae 10 ай бұрын
소장이 하라는데 십장이 뭐 반박할게있나... 그저 속으로 '아 ㅅㅂ 이렇게 하면 나중에 ㅈ될텐데..'하며 삭힐 뿐이죠...
@user-ip7yb8cm1g
@user-ip7yb8cm1g 10 ай бұрын
@@cunbae 그쵸..인테리어업자들이 전기인건비나 자재비아끼려고 시키는건데..전기기술자분들은 까라면까는거죠
@user-mv4sd1hx6n
@user-mv4sd1hx6n 6 ай бұрын
이렇게 잘설명해주는데 왜 악플,꼬투리 있는지 모르겠네요.유익한 정보 잘~보고 있습니다.
@Logan_LK
@Logan_LK Ай бұрын
설명이 미흡해요..
@asd8646
@asd8646 Ай бұрын
30년이 넘은 아파트입니다 110v 쓰던아파트인데 220v로 바뀌면서 접지가 없는 환경인데 지역전기업자분께서는 접지를 잗을수없다고합니다 혹시 방법이있을까요?
@macguyber
@macguyber 11 ай бұрын
흔한 주택 내선 공사 현장에서 어떤 때는 갈색, 어떤 때는 흑색, 어떤 때는 회색을 쓰는지 선정 기준을 알 수 있을까요?
@lucky_hyuk
@lucky_hyuk 11 ай бұрын
L1 갈색 L2 흑색 L3 회색 N 청색 접지 노랑/녹색 이게 최신 규정이고 예전에 시공되는것은 색이 다를수있습니다. 일부 스위치에는 다른 색을 사용합니다.
@lucky_hyuk
@lucky_hyuk 11 ай бұрын
보통 가정집은 L1, N 두가지만 쓰게되먄 갈색, 청색 사용해요
@bal_hae
@bal_hae 4 ай бұрын
현직 통신(인터넷)으로서 백퍼 공감 까대기 하면서 선 다까져서 빠지지도 않고 단선나있고 전화도 안받고 실장님 같은 분들만 배선작업 하셨으면 좋겠네요
@user-vz9qv6zs4s
@user-vz9qv6zs4s 8 ай бұрын
입주하려는 아파트 아트월콘센트가 하단부분에 위치해 있습니다. 벽걸이tv 선 안보이게 하고싶어서 아트월 중앙에 콘센트 설치하고 싶은데 아트월에 콘센트 증설할때도 CD, SF, GW 이러한 관들을 사용하는게 맞죠? 저러한 관들 넣을 공간이 안나오면 콘센트증설 안하는게 낫겠죠?
@pontpont2335
@pontpont2335 6 ай бұрын
기존에 콘센트가없던 자리에 콘센트를 증설 시키고 싶으신건가요?
@user-vz9qv6zs4s
@user-vz9qv6zs4s 5 ай бұрын
@@pontpont2335네 맞습니다..전기에 무지해서 여쭙습니다
@user-mb5cm6nt6c
@user-mb5cm6nt6c 2 ай бұрын
내가 가게를 해서 셀프인테리어 한다면 콘센트 부터 노출로 작업해서 작업부위 인테리어를 예쁘게 할거 같음 ㅎㅎ 겁이 많아서유 ㅋ
@jongchanhan4604
@jongchanhan4604 11 ай бұрын
문의드립니다 배선차단기.누전차단기 .1차측 핫라인 .중성선 .위치를 좌.우.를 바꿔서 설치 했을때 차단기 정상작동 여부가 궁금합니다 오늘 배선차단기 누전차단기를 교체했는데 차단기 우측에 핫라인 연결하고 중성선을 좌축에 연결 했는데 차단기 정상 작동 여부가 궁금합니다 규정상 핫라인 차단기.1차측에 좌.우 .어느쪽에 설치하라고 되어 있는지 궁금합니다 어떤 분전반에 보면 핫라인이 우측에 설치되기도 하고 .핫라인을 좌측에 설치한것도 있는거 같은데 핫라인을 좌 .우. 어느쪽에 설치해도 상관이 없는건지 궁금합니다 답변부탁드립니다
@polarbearjeon
@polarbearjeon 11 ай бұрын
사용하시는데 지장은 없습니다 보통은 좌측 핫라인 연결하고 누워있는 차단기같은 경우 상단 핫라인 연결합니다. 부스바정렬이 그렇게 돼있어서 그렇기도 하고 암묵적인 콜사인이기도 합니다
@pyunghwa
@pyunghwa 11 ай бұрын
안전벨트 안해도 차 잘나가고 아무 문제 없고 괜찮아요.. 사고나면 벨트 안한 인간들만 골라서 뒤지는거지ㅋㅋㅋㅋㅋ 안전문제 얘기하면 맨날 괜찮다면서 선비 취급하는 인간들 진짜ㅋㅋㅋ
@user-ib1tp2cs3e
@user-ib1tp2cs3e 11 ай бұрын
ㅠㅠ 저리해도 제대로해주세요.라고 못하는것이 그럼다른곳에하세요.라고하면 다른곳은 못오거나 느려지니 갑갑할뿐입니다.
@user-qz7vm9ok2r
@user-qz7vm9ok2r 7 ай бұрын
솔직히 인테리어업자로써 완전다 FM으로 하고싶음 그래야 나중에도 문제없고 그럼 고객자체도 비용을 그에맞게 줄줄알아야하고 공사기간에 맞춰서 입주를 해야지 여태 경험으로 오는고객들은 죄다 언제 입주예정이니 이때 전으로 맞춰달라, 왜이렇게 비싸냐 이러는 고객이 70%이상임 고객부터가 달라져야지
@sihjhsj
@sihjhsj 11 ай бұрын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시공에 문제가 있고 없고를 떠나서 FM대로 했을때의 가격이 정당한 마진만 받고 진행하는 업체라고 하더라도 고객이 그 금액을 인정하고 공사를 진행하는 경우보다 더 더 저렴한 업체와 하려는 경우가 많고 결국 그나마 있던 원칙대로의 작업만을 추구하는 인테리어 업체 혹은 시공 업체들의 생존력이 위협을 받는다고 생각이 드네요 인테리어 업체가 전기만 FM대로 하고 다른 공정은 날림을 할까? 업체만의 원칙 기준이 있다면 그 업체는 같은 공사를 하더라도 다른 공정들도 더 비싸고 결국적으론 최종 견적이 타 업체보다 높겠지 그럼 인테리어를 맡기는 소비자는 눈에 보여지지 않는 공정들로 인해 총 견적이 비싼 업체를 선정하는 고객들보다 조금 더 저렴하게 내 집을 마감을 쳐주는 업체한테 가는 경향이 매우 높다고 생각을 합니다 가라시공 날림시공이 어쩔수 없다는건 아닙니다 당연히 FM대로 원리원칙대로 해야하죠 우스겟소리로 10년전에도 30평에 4천만원 지금도 4천만원이라는 소리를 자주 듣습니다 시공업자와 인테리어업자와 소비자 모두의 생각이 바뀌고 좋은 방향으로 타협이 되어야 하는 문제이지 누구 하나만의 문제가 아니라고 생각이 됩니다만..! 이러한 문제점을 짚어주는 영상에서는 대부분이 소비자가 무조건적인 피해자로 보여지는 댓글들이 많아서 끄적여봅니다 업자냐고 물어보실까봐 현직 인테리어 디자이너입니다 저도 월급제구요 조금이라도 더 디테일을 챙기는 현장을 만들고 싶지만.. 적어도 제가 느끼고 있는 현실은 이러한거 같네요 물론 저희 전기팀은 배관 날립니다 :)
@kdhbuin
@kdhbuin 6 ай бұрын
지금 30평에 4천짜리 전체 인테리어가 있나요?
@yunibear7300
@yunibear7300 11 ай бұрын
전실장님 촬영용 카메라 수평이 미세하게 안맞는거 같아요 ㅎㅎㅎㅎ 😂😂
@user-rh2hp7qt1y
@user-rh2hp7qt1y 10 ай бұрын
좋은정보 항상감사합니다. 충성
@user-xq3zw3ki8s
@user-xq3zw3ki8s 4 ай бұрын
안되는 이유. 1.공사비를 깎으려는 인테리어업체 때문입니다. 2.시간적인 여유를 주지않고 막무간에 다른공정이랑 붙여서 일한다. 3.아파트는 전기까대기를 하지 못하게 하지만 콘크리트벽체가 나오면 건축물법상 안됩니다. 4.철근나와도 마구까서 단열에 문제가 생깁니다.
@user-gj9fm4cp3y
@user-gj9fm4cp3y 11 ай бұрын
저렇게하면,,,전선교체도 힘들어요!
@eunyoungkim1419
@eunyoungkim1419 11 ай бұрын
옛날 빌라인데 방에 콘센트가 하나 밖에 없어요 거실에도 tv랑 에어컨을 놓아야 하는데 2구짜리 콘센트 하나만... 이럴경우 콘센트만 더 설치해야 하는지 전기증설을 해야 하는지요
@gigalan04
@gigalan04 10 ай бұрын
에어컨쪽은 단독배선해줘야 할거같네요 보통은 에어컨쪽이 단독으로 빠져있어요
@pontpont2335
@pontpont2335 6 ай бұрын
​​@@gigalan04그건 실외기 전원을 단독배선 하는거고 . . 무작정 단독배선이라뇨. . 차단기를 확인하고 전열라인이 어디서 어디까지 잡혀있는지 보고 구축빌라라고 하셨으니 차단기만 갈아도 스탠드 하나정도는 거뜬하게 쓸텐데
@user-uc9xj3xv9r
@user-uc9xj3xv9r 25 күн бұрын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전기현장실무정보 "전기통" 에도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user-uf6zn3yl9n
@user-uf6zn3yl9n 7 ай бұрын
전기쟁이가 한게 아니구 업자가 대충 한거 같은대 책임감갖고 시공 합시다잉
@user-mg4wz6hk2e
@user-mg4wz6hk2e 11 ай бұрын
가장 중요한것은 유지보수죠...그런데 인테리어 사장님들이 인건비좀 절약하고자...
@user-qn5ms7oh5r
@user-qn5ms7oh5r 11 ай бұрын
뭐든간에 유지보수 생각 안하고 공사 해놓으면 다음번에 돈 더 깨집니다
@user-sc3uo9gt7f
@user-sc3uo9gt7f 10 ай бұрын
무식한 업자들은 다 꺼져주길
@user-tu6sd5jt9l
@user-tu6sd5jt9l 7 ай бұрын
안녕하세요.전공 입니다. 저런 분들 대다수는 페이 때문에 반발심리로 일부러 개판 하는분들 많습니다. 만일 제대로 된 평균 이상가의 견적이라면 뭔들 못할까 하는 마음의 반발심리죠.
@user-sc3sf8nx9m
@user-sc3sf8nx9m 11 ай бұрын
돈받고 일하면 전선관넣어주고 내집내가공사할때는 그냥 대충 석고사이로 알선넣고 천정에도 알선날려서 등 달고함 넣나 안넣나 똑같음 나중에 집수리하면 천정에 케이블타이마운트 실리콘으로붙이고 hfix 알선 타이로묶어서 시공할계획임 현장에서는 후렉시블전선관 스틸배관 무조건사용중 우리집에는 그딴거 필요없음
@billyjang1
@billyjang1 11 ай бұрын
전선 있는줄 모르고 못박으면...
@leejm9147
@leejm9147 10 ай бұрын
저렇게생각하는사람이 과연 몇이나될까? 없는사람이 많으니 그 환경에 맞춰서하는거 아닐까? 이론만 놓고 말하면 저렇게 할수있습니다.
@gagameal
@gagameal 7 ай бұрын
현실은 딱 돈준만큼..인건비 한품이라도 더 나오면 게거품 물지요..
@vivabusan
@vivabusan 11 ай бұрын
그냥 파묻고 안보니면 끝이네. 노가다와 기술자의 차이입니다.
@t_elga
@t_elga 11 ай бұрын
통신 배선도 저렇게 시공하면 쌍욕먹음..
@user-ln6xs7rr5i
@user-ln6xs7rr5i 10 ай бұрын
돈.적당히주면하지.소비자들이 싼것만찾으니까문제지
@3489754
@3489754 9 ай бұрын
전기.통신 20년차로 현장 여러군데 다닌 경험으로는 사실 저렇게 해도 별 상관은 없습니다. 그래도 저렇게 해야 되면 노출선인 장원선이나 CV선을 이용하는게 FM입니다. 저렇게 알선 가지고는 하면 보기도 않좋고 거기다가 만약 누가 활선인데 작업하다가 피복이라도 까지면 합선의 위험이 있기 때문에 다른 사람이 보면 3류가 했나면서 욕 합니다. 하지만 가끔 현장 돌면 정말 어쩔수 없이 저렇게 선만 깔아야 되는 현장이 있는데 그 떄는 쓰는 방법입니다. 노출선을 이용해서 작업 합니다.
@user-jz5dw8nt5u
@user-jz5dw8nt5u 5 ай бұрын
vctfk도 시스 없고 고정전선으로 쓰면 안될텐데요
@user-vj6gl5yu8r
@user-vj6gl5yu8r 11 ай бұрын
👏 👏 👏 👏 👏 👏 👏 👏 👏 👏 👏 👏 👏 👏 👏 👏 👏 👏
@busyman_
@busyman_ 9 ай бұрын
혹시 인테리어 공사했는데 저렇게 배관작업 없이 알선으로 했을때 하자 사유가 될까요?
@orange4868
@orange4868 5 ай бұрын
결로로인한 습기에 취약합니다.
@user-hd3pr1un9v
@user-hd3pr1un9v 11 ай бұрын
전기도 인테리어부터 배운분들이 진짜 날림공사 많이하긴함 가라로 선만 날리고 배관안날림 시간없다는 핑계로 까데기도안함 건축전기 처음서부터 슬라브타고 배운사람들도 알면서도 안보이니깐 저래하는분도..더러 ㅋ 하자 보기힘들죠
@user-nx4zb6ut1b
@user-nx4zb6ut1b 5 ай бұрын
아 배관을 안했군요 당연히 했겠지했네요
@YonghwanShin
@YonghwanShin 8 ай бұрын
hiv선은 안되고 cv선은 되는 이유를 누가 설명해줄 수 있는지요?
@user-tu6sd5jt9l
@user-tu6sd5jt9l 7 ай бұрын
CV선 자체가 법적으로 노출 가능한 전선 입니다,즉 피복이 외부로부터 내구성이 강해서 배관없이 시공해도 문제가 없습니다. 그러니 차라리 CV로 하면 법적문제는 없다는 거죠.
@YonghwanShin
@YonghwanShin 7 ай бұрын
@@user-tu6sd5jt9l 노출에대한 신뢰성이군요 고맙습니다
@user-jz5dw8nt5u
@user-jz5dw8nt5u 5 ай бұрын
절연전선=시스없음=> 관해야함 , 케이블은 배관필요없음.
@user-pk5wy2bt3x
@user-pk5wy2bt3x 11 ай бұрын
인테리어 전기가 욕 처먹는 이유가 여기서 나오네요.
@user-un7hb2lk5s
@user-un7hb2lk5s 10 ай бұрын
진짜 업자 잘못 만났는데 관에 넣어야하는거아니냐고하니 모르는데 자꾸 이래라저래라 하지말라고 하고 개판으로 해놓름 진짜 쓰레기 업자많음 하는거보고 영아니다 싶으면 바로 짤라야함
@user-fq9lw7wx6v
@user-fq9lw7wx6v 11 ай бұрын
전기 피복벗겨지고 쇼트 나면 화재날수 있습니다 기본 배관해야합니다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user-uf6zn3yl9n
@user-uf6zn3yl9n 7 ай бұрын
쇼트나면 차단기 떨어지죠잉~
@user-kh7zp7sq8e
@user-kh7zp7sq8e 3 ай бұрын
분전반은 폼으로 잇냐? ㅋㅋㅋ
@kanny6317
@kanny6317 10 ай бұрын
전기시공은 진짜 야매 너무 너무 많음
@user-gb1lz6pj8t
@user-gb1lz6pj8t 10 ай бұрын
간단하게 말하면 될걸 그냥 유지보수 위해 cd관 쓰는거죠 다른거 다 잡다한 말입니다 그리고 싸게 하려면 까고 전선만 집어넣고 미장하는거죠 뭔말이 그리 길어요 그냥 까서 전선넣어도 되는데 하자는 추후 책임 안진다 그렇게 약속받고 작업하는거죠
@user-sd4zu6yd5v
@user-sd4zu6yd5v 4 ай бұрын
인테리어 아직도 저렇게 공사하는 사람이 있네..ㅎㅎㅎ 돈들고 시간이 들긴했도 만약에 우리집 인테리어 공사 하는거면 솔직히 gw로 작업할듯......
@user-ob6ed8ke2w
@user-ob6ed8ke2w 11 ай бұрын
아직도 CD관 쓰면 안된다는 댓글이 있어서..더 재미있네요... 이런사람이 전기업자면 빨리 접어야 하는데 가장 큰문제는 영상에 나오듯이 유지보수가 안된다는점 배관을 넣어야 하는 이유는...부하를 사용시 전선의 온도에 따른...저항률이 높아져서 전선의 허용전류치가 바뀌기 때문에 고부하를 사용시 전선에 열이나고...화재로 이어 질수 있기 때문에 배관이 필요한겁니다 공기중에서 열을 받은 전선이 식어야 하는데 밀폐형에서는 열이 식기 힘들기 때문에 매립으로 시공하게 되면 문제가 생기는거죠 영상에 나온것 처럼 아주 극 사소함에 전선이 파손될수도 있겠지만... 전기 업자들도..예를 들어 인테리어 할때 16CD관에 3회로 씩 때려 넣는 사람이 있는데 이것도 잘못 된것이죠...전선관 구경에...몇%이상 채우면 열이 많이 발생하므로 저항률이 높아져서..전선의 허용전류치가 떨어져서 화재로 이어지므로...큰 전선관을 사용해야되는것이구요....기본적으로 규정이 있습니다 16CD 에 3회로 들어가는데 뭐이런 사람은 기본적으로 이론이 없는 사람입니다 똑같은 전선으로도 기중이냐..지중이냐..밀폐형이냐...또는...먼거리냐...가까운 거리냐에 따라 허용전류치가 바뀝니다 기본적으로 이걸 모른상태에서 사용하는게 가장 위험한것입니다 가장 큰문제점이라면...FM대로 공사 한다면 소비자나..업자 같은 경우는...무조건 견적에서 부터 "비싸다" 이게 가장 큰 문제점이 되겠네요 다른건 몰라도...전기는 감전이나...화재...같은 걸로 이어지기 때문에 생명과 직결된 문제인데 무조건 싸게 싸게라고 좋은건 아닙니다 저런 현장이 많은곳은...화장실만 수리해주는 업자들....전기 안부르고...싸게 할려고... 전등에서 따서 화장실 비데 콘센트 타일 메지 사이로 알선 까는 이런부류들 오랜만에 전실장님 채널 댓글 달아봅니다
@user-oc2nt4og7u
@user-oc2nt4og7u 9 ай бұрын
헐. 제가 전기 이론이 많이 약합니다. 그러나 매립할 때나 노출할 때나 배관을 하는 이유는 전선보호를 하기 위해서이지. 온도 문제가 아닙니다. 실제 배관에 전선을 넣으면? 밀집율이 높아져서 온도가 상승이 되죠. 단순히 온도 문제라면? 배관을 안하는 것이 낫습니다. 배관을 하는 이유는 1. 전선보호 2. 작업성 때문에 하는 것이고요. 최근 전기규정이 바뀌면서. 2중 천장에 cd나 하이파이프는 불가하게 되었죠. 강관이나 후렉시블 전선관만 사용 가능하고요. 그 이유가............ 화재 발생시. 유독 물질 배출이 줄인다는 것이죠.
@user-oc2nt4og7u
@user-oc2nt4og7u 9 ай бұрын
또한 여기 영상에 보면? 벽채 매립도 있지만. 벽채 빈공간에 넣는 작업도 있네요. 전실장님을 좀 마이 신뢰하는데... 이렇게 작업 치는 줄은 저도 진짜 몰랐어요. 저런 경우엔 벽채 안으로 작업을 해야 하는데... 허술하게 작업하셨네요
@user-ob6ed8ke2w
@user-ob6ed8ke2w 9 ай бұрын
@@user-oc2nt4og7u 위에 댓글에도 나와있지만 온도가 높아지면 저항이 높아집니다 그래서 전선의 허용전류가 달라지구요.. 똑같은 전선으로도 기중포설시 가장 높은 전류를 흘릴수 있습니다 트레이에 기중 포설시에도...일자로 배열 하느냐 전선을 포개느냐에 따라 또한 달라집니다 배관에도....1회로 이냐 2회로이냐에 따라 허용전류가 달라지구요 배관의 크기에 따라 넣을수 있는 전선의 회로수도 정해져 있습니다 예를 들어 16cd에 2.5 전선이 10가닥 들어간다고 10가닥을 넣는게 아닙니다 이런건 현장 도면만 봐도 배관의 크기가 나와있는데 단순히 전선이 많아서 전선이 굵어서 배관이 큰게 아닙니다 이유가 열을 식히기 위한 공간이 필요한거죠...저항이 높아지면 전선이 열을 받아 화재로 이어질수 있으니까 화재로 이어 졌을때 그 화재가 번지는것을 1차적으로 막는 역할이 배관이죠 그다음이 전선보호와...작업성..추후 as를 하기위함도 있구요 전체 설명하긴 힘들거 같고....시간 될때.....한전 사이버지점 자료실에 들어가 보시면 많은 자료들이 있습니다..전기를 하는데 있어서 많은 도움이 될것입니다 또한 전기안전공사에 질문하시면 친절히 상세히 답변을 해줍니다
@user-xb6ih8pe9r
@user-xb6ih8pe9r 11 ай бұрын
전기공사팀입니다. 솔직히 cv로 쫙 깔아버리는게 제일 속편한 요즘입니다. 천장같은경우도 sf배관이 의무화되면서 이쪽으로 물어보는 고객도 워낙 많기때문이죠. 엄밀히 이야기하자면 준공내는것이 아니라면 법적 문제가 있는것은 아니지만 난연관+hfix선은 무조건 쓰는게 맞습니다. 솔직히 까대기 선만넣으나 관까지 넣은 난이도차이가 엄청난건 아니거든요. 피치못하면 cv 2.5 3c로 배선하면 됩니다.
@smileface012012
@smileface012012 10 ай бұрын
cv가 cd관없이 걍 hiv선 넣는거보다 수분에 더 강한건 알겠습니다. 근데 만약에 문제가 생겨서 선을 다시 뽑거나 해야할때는 cv선은 뽑아낼수가 없을거 같은데 그럴바엔 걍 hfix선 까는게 낫지 않나요? cv로 까는게 속편하다 하신 이유가 궁금해요~
@user-xb6ih8pe9r
@user-xb6ih8pe9r 10 ай бұрын
@@smileface012012 cd관 사용 금지입니다.
@user-ec6gb1fb3o
@user-ec6gb1fb3o Ай бұрын
@@smileface012012 유지보수는 포기하고 배관안쓰는거죠
@user-uo4ce9vh7q
@user-uo4ce9vh7q 11 ай бұрын
개인이 하는거면 자기맘이니 그러려니 하겠는데 돈받고 저렇게 할거면 전기일 그만하는게 좋을듯 싶네요.
@user-cb8ug7po6s
@user-cb8ug7po6s 11 ай бұрын
법이 바뀌어서 난연 cd관 사용할수 없게 바뀌였습니다.
@SwannieC
@SwannieC 11 ай бұрын
여기서도 헷갈리네요. 법이바뀌여 안된다고하고 어디선 꼭 cd관해야한다고하고
@teemo8877
@teemo8877 11 ай бұрын
콘크리트로 매립되는곳은 써도 됩니당 ㅋㅋ
@jihoonlee6225
@jihoonlee6225 11 ай бұрын
저 사진 속은 사용 가능합니다.
@user-xd6ce9ed3l
@user-xd6ce9ed3l 11 ай бұрын
사진같은 곳엔 난연 써도 무방합니다.
@user-jl3sh8mh5s
@user-jl3sh8mh5s 11 ай бұрын
석고라서 난연cd사용불가죠 사진에는 석고벽이에요~ 콘크리트가아님
@cszmoon
@cszmoon 11 ай бұрын
돈 좀 아끼려고 셀인...ㅎ 전기공사에서 저런것을 기본중에 기본일텐데 전기 문외한이 봐도 전기공사 개판이네요. 이번 장마에 발생한 많은 사고가 기본을 지키지 않아 발생했다고 생각합니다. 기본을 지키면 쪽 팔리고 초보 같고 부끄러운 일인가요? 전기공사 자격을 갖춘자의 자존심이라 생각합니다. 하지만 실상은 우리는 이미 대충 대충이 일상화된 세상에 살고 있는건 아닌가 싶네요.
@user-fd4cl7kk7j
@user-fd4cl7kk7j 11 ай бұрын
리모델링 하고 싶은데 연락주세요
@user-to5su5ix2u
@user-to5su5ix2u 11 ай бұрын
이영상자체가 누구하나 깔라고올리는거같다
다운라이트 하나로 인테리어한 세종 신축아파트
29:13
폴라베어 전실장
Рет қаралды 650 М.
NERF WAR HEAVY: Drone Battle!
00:30
MacDannyGun
Рет қаралды 21 МЛН
My little bro is funny😁  @artur-boy
00:18
Andrey Grechka
Рет қаралды 8 МЛН
전기차단기 교체하는 방법과 차단기에 적힌 글씨들이 의미하는 것
26:22
엄청 쉬운 전기상식 결말#shorts
0:40
마감의달인예술가화니
Рет қаралды 991 М.
벽걸이TV 선정리는 이렇게!! 콘센트가리기는 이걸로 끝!
0:34
건강하고 길게 사려면 알아야하는 정보
Рет қаралды 38 М.
콘센트 교체
0:58
인테리어꿀팁
Рет қаралды 9 М.
Alat Seru Penolong untuk Mimpi Indah Bayi!
0:31
Let's GLOW! Indonesian
Рет қаралды 9 МЛН
это самое вкусное блюдо
0:12
Katya Klon
Рет қаралды 2,4 МЛН
She Lost Her Hair
0:18
Bizzibop
Рет қаралды 11 МЛН
Respect 😱🔥 #shorts #respect #viral
0:31
SHREE DEV 0968
Рет қаралды 22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