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병칠원장님의 강의는 감탄을 하지 않을수 없게 만드는 군요. 접지에 대한 개념이 쉽지 않아서 이 자료 저 자료 많이 찾아 봤지만 이번 동영상 만큼 제가 궁금하던 모든것을 속시원히 설명해 주는것은 만나지 못했습니다. 정말로 대단하십니다. 앞으로도 전기초보자들을 위해서 계속 힘써주시기 부탁드립니다.
@elec75 жыл бұрын
과찬이십니다. 격려에 감사드리고, 저는 계속 해 보겠습니다.
@fairfax7_cho390 Жыл бұрын
접지는 이론상 꼭 해야하는데, 문제는 낙뇌시 접지선을 타고 차단기를 파괴하거나, 또는 연결되어있는 기기를 파괴하는 경우가 가끔 발생하고 있습니다. 이에 대한 대책이 없는것은 아닌데, 이 대책은 대지에 연결되는 접지봉과 분전반 사이에 100 Ohm의 저항을 연결하면 되는데, 한국의 전기 관련법상 접지까지 저항은 0 Ohm으로 수렴해야 하기 때문에 허용되지 않고 있습니다. 좀더 연구하여 이러한 문제가 해결되어야 할 것입니다. 접지가 잘 되어있으면 낙뇌시 감전사 당할 수 있는데... 대책은 낙뇌시 감전사 당하지 않으려면 접지를 잘해야 한다..... 라고 하고 있는것이 한국의 전기 관련 현실입니다.
@hsunrah4 жыл бұрын
비전공자도 이해할수 있게 쉽게 설명해주셔서 감사합니다
@피에니즘4 жыл бұрын
와...진짜 개무식한 나도 알아들을정도로 너무 너무 차분하게 그리고 알아듣기 편하게 말해주신다 .존경합니다
@elec74 жыл бұрын
과찬이십니다. 감사합니다.
@sa86rana4 жыл бұрын
왜이리쏙쏙들어오죠? 대단하십니다
@백붕어-j1e5 жыл бұрын
정말 너무 재미있습니다. 접지의 개념 그림 보니까 다산 전기설비기술기준 동영상 공부하던게 생각나서 한번 다시 찾아보게 되네요. 가공인입선...접지의 설치 기준...등등... 잘 봤습니다. 너무 감사합니다. ^^
@elec75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2033-n2m4 жыл бұрын
전기와는 거리가 먼 일반인인데 쉬운 설명 듣고 가요!
@리치오빠-c6z5 жыл бұрын
설명 진짜 잘하시는듯 ㅎㅎ 현장에서 일하면 접지에 대해서 알긴 알아도 설명하려면 뭔가 막히는데 쉽게 설명 잘하시네요 ㅎㅎ
@elec75 жыл бұрын
칭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빠른 걸음은 아니더라도 전기기술발전을 위해서 좋은 내용을 만들어보겠습니다.
@yjlee85604 жыл бұрын
기기보호, 화재보호, 사람보호 3가지 기억하면되겠네요 감사합니다.
@soonhan12 жыл бұрын
우와..접지가 늘 궁금했는데...명쾌하게 설명해주시네요. 전기는 하나도 모르지만 이 영상을 통해서 접지를 알게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오래된집은 접지선이 없지만 요즘은 접지가 당연시되어서 무조건 있습니다 프러그와 콘센트를 생각하지마시고 콘센트를 열어봤을때 선이 2개냐 3개냐를 먼저보시고 콘센트와 플러그를 사세요 그게 맞습니다.
@문슬람-t5z4 жыл бұрын
병칠원장님 이런 영상 마이 올려주세여 증말 도움 되거등여 차분하게 설명 잘하시네여 화링
@elec74 жыл бұрын
네. 계속 해 보겠습니다.
@joong2-RIDER4 жыл бұрын
설명 진짜 오짐니다~
@Habit_School4 жыл бұрын
유익한 정보를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호-j6d4 жыл бұрын
접지가 이런 개념이었군요....~감사합니다. ^&^
@쉐필드99 Жыл бұрын
일반인인데도 이해가 쏙 됩니다.
@elec7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huncider81654 жыл бұрын
진짜 좋은 내용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구독과 좋아요 클릭!
@kgt344872012 жыл бұрын
자세한 설명 고맙습니다
@user-hj6kbf6g8y Жыл бұрын
3:35 네 선생님 그림 과 같이 아파트인 경우는 접지로 인해 회로가 만들어져 감전이된다는데 좀 이해가 안가서요 아파트 높은곳인데 접지된 땅이랑은 한참 먼데 어떻게 감전되는건가요?
@tubeyou58062 ай бұрын
아파트에서도 발은 땅에닿아있습니다
@ppulddak5 жыл бұрын
쉽게 이해되는 강의 감사합니다.
@elec75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mygeneral795 жыл бұрын
원장님 질문 있습니다. 2:00 그림에 사람과 접지가 전원에 병렬로 연결되고있는거 맞죠? 병렬이면 전압이 같은 거잖아요. 따라서 접지가 있으나 없으나 사람에게 걸리는 전압은 같은거 아닌지요. 전압이 같기 때문에 사람에게 흐르는 전류는 접지가 있으나 없으나 똑같은거 아닌지요
@mygeneral795 жыл бұрын
따라서 접지를 설치하는 이유는 모터외함에 전기가 충전됐을경우 접지로 누설전류가 흐르게하여 누전차단기를 개방시키기 위함에 있다. 가 아닌지요? 궁금합니다
@elec75 жыл бұрын
동일한 전압이 걸리지만, 사람과 접지선이 병렬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각 선에 흐르는 전류는 저항에 반비례하여 흐르게 됩니다.
@mygeneral795 жыл бұрын
@@elec7 그러니까요 사람에게 걸리는 전압이 변하는건아니니까 사람에게 흐르는 전류도 접지가 있으나 없으나 같은양의 전류가 흐르잖아요. 따라서 접지는 누설전류를 잡아내기 위해 설치한다고 보는게 더 타당한 설명 아닌가 해서요.
@thanksgod19104 жыл бұрын
@@mygeneral79 병렬연결시의 전류계산법을 찾아보세요. 접지선의 저항이 상대적으로 아주 작으니까 다른쪽(인체)을 흐르는 전류가 아주 작게 되지요..
@로댐3 жыл бұрын
설명 감사합니다
@lolyurei70497 ай бұрын
너무 좋네요, 감사합니다!
@서성태-d9h2 жыл бұрын
너무 쉽게 설명 감사합니다
@천상운3 жыл бұрын
설명 너무 잘하십니다 감사합니다
@kkh14093 жыл бұрын
접지 개념이 실제로 어떻게 이용되는지 궁금했는데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한방에보낸다5 жыл бұрын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elec75 жыл бұрын
저도 감사합니다.
@김장배-v3d Жыл бұрын
아파트에서 어싱 제품을, 접지극 콘센트에 접지 해서 사용해도 될까요? 미세 전류가 흐르기 때문에 위험하다 괜찮다 분분한데, 전문가인 선생님의 고견을 듣고 싶습니다.
@볼트메이커4 жыл бұрын
다시금 안전이 중요하다고 느끼고 갑니다
@박상림-t1y3 жыл бұрын
자세한설명 감사합니다
@elec73 жыл бұрын
저도 감사합니다
@micstars3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선생님, 다산에듀로 전기기사 실기 공부 중인 학생입니다. 위 그림과 같이 누전으로 인한 기기 외함 감전 사고와 같은 경우의 질문인데요. 만약에 전력계통(전원 공급측)에서 대지에 접지되어 있지 않다면, 기기에 누전이 된다고 해도 인체 접촉시 대지와 전위차가 없어서 (외함 접지가 없어도)감전이 되지 않는지요? 폐회로가 형성되지 않으니까요. 예전부터 너무 궁금했던 내용입니다.
@micstars3 жыл бұрын
아래에 다른분이 같은 질문을 하시고 선생님께서 답변해주셨네요. "원리상 감전이 안되지만 전력계통에서 접지를 하지 않는 경우는 없으므로 감전된다"
@전기-q1z5 жыл бұрын
만약 접지를 해놓은 장소에 접촉을 하게 되면 어떻게 되나요? 또한 300~500KVA 활선 상태의 변압기에 접지가 되있는 상태여도 접촉을 해도 안전한가요??
@ksk120404 жыл бұрын
왜 접지선을 사용하나요? 어차피 중성선이 접지가 아닌가요? ??? 이런방법은 어떤가요? 220V 한선만 연결하고 나머지 한선은 접지선을 사용하면 같은 원리가 아닐까요?
@0-BbangKo-02 жыл бұрын
선생님 질문 있어요. 건전지를 지구의 땅이랑 접지시키셔 놓으면 건전지가 방전되나요? 그리고 그 접지선 중간에 조명 부하를 넣으면 혹시 불이 켜지나요???
@gtefdewf71695 жыл бұрын
고맙습니다
@ltlkf-ir2vm2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이왕이면 접지가 안되어 있는 곳일 경우.. 시골 농막같은 경우 접지를 간단하게 라도 할 수 있는 실용적인 방법을 알려 주시면 좋겠습니다. 접지를 해야 한다는건 대부분 알고 있는 경우가 많은데 어떻게 하는지 실용적인 방법을 알면 더 좋겠습니다.
@ehdudkim7942 жыл бұрын
시골주택도없어요
@김성민-f1c6z4 жыл бұрын
질문이 있습니다. 3:41 에 N선을 접지로 처리했는데.. 제가 여지껏 알기로는 N선과 접지선을 다르기 떄문에 분리시켜주어야 하는걸로 알고 있었는데 이 부분에서 제가 놓치는게 있는걸까요?
@kokkili2 жыл бұрын
이 질문이 가장 중요한 핵심인데 이것에 대한 설명은 없네요.
@EVPchannel-88995 жыл бұрын
영상 잘보고 갑니다
@MrJun7715 жыл бұрын
정말 쉬운 설명이네요. 좋은 강의 너무 감사합니다! 구독 누르고 갑니다 ㅎㅎ
@elec75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앞으로도 좋은 영상으로 찾아뵙겠습니다. 많이 응원해주세요.
@daesunglee66743 жыл бұрын
많이 알아갑니다.!
@멸치깡3 жыл бұрын
오 땅이 저항이 낮으니 땅으로 많이 간다는뜻인것이군요!
@byulthree3 жыл бұрын
원장님 영상은 항상 잘보고 있고 접지영상도 몇번다시 보기를 하고 있습니다. 제가 궁금한것이 있어 하나 질문을 하려 합니다. 감전 이라는 것 자체가 전기가 흐를수있는 길이 있기 때문에 감전이 되는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원론적으로 한전의 주상 변압기쪽에서 접지를 하지 않고 집에서도 접지가 되어 있지 않다면 전선 어느쪽을 만지든 전기가 흐를수있는 폐회로가 구성되지 않기때문에 감전이 되지 않는것이 맞지 않나요? 변전소에서 부터 접지로 N상을 처리하는것이 아닌 발전기쪽에서 2선을 보내 온다면 굳이 접지가 필요없는것 아닌가요? 고압쪽에서 부터 접지를 하는것 자체가 전기의 품질 때문인지? 선로구성 때문이지? 단가 때문인지요? 왜 고압쪽은 중성선을 접지를 해야 되나요? 접지가 아예 안되어 있다면 전기자체가 흐를수 있는길이 원천봉쇄되서 더 안전 한것이 아닌가요?
원장님 늘 감사합니다 원장님 시원한 강의 늘 감사합니다 공부하다 계속 아른거려 그냥 넘길 수가 없어 댓글 질문 남깁니다. 단상2선식의 임의의 한선 접지, 단상3선식의 중성선 접지와 관련이고요. 제 생각은 이 접지선을 통한 누설이 생기지 않나 하는 것입니다. 어떻게 이 접지 방식이 가능한지요. 감사합니다.
@earthdependr Жыл бұрын
원장님 콘센트의 접지가 잘 되어 있는지 확인해 보기 위해 테스터기로 측정할때 접지극과 구멍 하나 사이의 전압은 얼마가 나와야 하나요? 전기전문가가 아니어서요..
@일본침몰4 жыл бұрын
건물벽이나 지면과 차단기(내려진)의 두 선중 저항값 측정하여 저항값이 나오면 접지선(N선)이고 저항값이 안나오면 L선인거군요? 다시 차단기를 올리고 접지선과 차단기의 두 선중 전압측정하여 전압이 나오는 선이 L선인거지요?
@이중석-p7t2 жыл бұрын
병칠 굿!
@group_of_squirrels5 жыл бұрын
접지극 콘센트가 저런 용도였군요...하나 배워갑니다...총총...
@elec75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LeeDean-14 жыл бұрын
좋은 내용 잘 보고 있습니다. 전자회로 PCB에서 접지를 하려면 어떻게 처리하는게 좋은가요? 컴퓨터는 GND를 접지단자에 연결해 두었더군요. PCB를 어떻게 접지해야 그라운드루프에서 자유로워지고, 회로내의 노이즈를 줄이는데 도움이 될까요. 꼭 답변부탁드립니다.
@sky77774 жыл бұрын
이제 공부중인데 넘 이해가 되고 좋아요ㅎ 감사합니다^^♥
@WooDong5 жыл бұрын
전 접지가 없어서 n을 점프 시켜 접지 단자에 꼽았더니 나가더라고요 ㅎㅎ 물어 보니 아파트의 경우 따로 접지를 어쩌구 한다는대 헛갈려요 ㅎㅎ 그래서 트랜스 양파 테두리 하단 철 부분에 접지를 연결 하라고 하더라고요 ㅎㅎ
@elec75 жыл бұрын
전기는 항상 조심스럽게 다가가야하는 것 같아요.^^
@희망대디 Жыл бұрын
접지 없는 상가주택 입니다 집 외부에 일부는 땅에 박혀있고 일부는 노출되어있는 h빔이 있습니다 1.h빔에 접지 해도 되나요? 2.h빔이 사람 손에 닿는 부분에 노출 되어있습니다 접지연결하고 사람이 만져도 문제없나요? 3.h빔에 연결하고 낙뇌가 떨어지는 경우에 기기에 문제가 없을까요?
@파스리-e2e5 жыл бұрын
충전기,dvd 플레이어,선풍기,컴퓨터 스피커... 이런 전기제품은 보통 플러그가 2개인데요. 전력량이 작아서 접지단자가 없는건지 아니면 자체에 접지설계가 되어서 그런건지요? 저는 음향기기, 앰프, 스피커 등에 접지된 기기를 사용하는데요.앰프 2.4 kw같은 장비입니다. 그래서 임산업의 ns-8s같은 순차전원기도 사용하고요. 문제는 기기중 플러그가 2극인것도 있어서 될수있으면 hot에 맞추어 연결하는데 2극콘센트는 기기의 hot 찾을 방법이 없네요. 앰프는 플러그가 분리되어 hot 맞추면 되는데... dvd 노트북 어댑터 에코쳄버 다 2극입니다. 플러그에 접지금속 없어요.
@elec75 жыл бұрын
저전압을 사용하는 기구 중 완전절연체로 외부구성이 되어있으면 접지를 하지 않아도 됩니다. 그리고 상측선을 찾고자 한다면 비접촉식 테스터기등을 이용하여 확인할 수 있습니다.
대표님 매번 영상 잘보고 있습니다. 혹시 기회가 된다면 접지저항 및 절연저항 측정방법에 대해서도 강의 한 번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elec75 жыл бұрын
네. 좋은 의견 감사합니다.
@ojyw20114 жыл бұрын
접지의 목적은 1. 대지전위상승방지 2. 인체보호
@소잡부4 жыл бұрын
👏👏👏
@부르니부름 Жыл бұрын
접지선에도 활선에도 외함은 접지선을 잡은 상태인지 활선을 잡은 상태인지
@dongk64624 жыл бұрын
선생님 만약 그림의 변압기2종접지가 어떠한 이유로 단선이 된다고 가정하면, 키르히호프?법칙에 맞지 않게 되는데, 어떤 결과가 나오나요? 사람은 여전히 감전되나요?
@kangsungho1752 Жыл бұрын
벽에 매립한 콘센트 말고 그냥 다이소에서 사서 기계 옆에 두는 콘센트는 그러면 접지가 전혀 안되는 거네요..?
@시골히어로즈4 жыл бұрын
0:20에서 처럼 변압기 2차측이 접지되어 있지 않으면 그럼 회로가 구성되지 않아서 감전이 안되나요?
@elec74 жыл бұрын
네. 이론적으로 그럴 수 있습니다만, 변압기 2차측은 고저압혼촉에 의하여 사고확대를 방지하기 위해 반드시 접지하도록 되어있습니다.
@danteneha2058 Жыл бұрын
저는 이해가 전혀 안되는데요... ㅠ 지구가 도체입니까? 1:15
@1625a54 жыл бұрын
0:43 그 외함에 전기가 흐르게 되는 전기적 이상이 어떤게 있나요?
@lookatvictor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선생님 사용하는 콘센트에서 220v, 110v, 110v로 측정이 되었다면 접지는 안되어있다고 판단할 수 있는건가요? 안되어 있는거라면 실내에서 접지를 할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시인엠3 жыл бұрын
아..... 전 현장에서 일할때, 현장 안전관리자가 접지가 없는 작업선을 쓰지 못하게 하고 모든 기계 또한 접지가 있는지 점검후 사용 승인을 합니다 그런데 난 의문입니다 도대체 접지가 뭘까 솔직히 접지가 무엇인지 정확히 아는 사람은 제 주변에 없습니다 아... 오늘에야 접지가 무엇인지 거의 확실하게 알았습니다 현장에서 어떤 안전관리자는 접지 선을 땅에 거시기 하라고 하는데 뭘 어떻게 땅에다 하는지 그 자신도 모르는 소리였고 이 동영상 보고서야 깨달았습니다 정답 = 현장 접지 선로 자체가 땅에 이미 꼽혀 있어야하고 우리는 접지가 있는 플러그와 그 작업선을 사용해야하는 것이고, 그 기계는 기계 속 기계 몸에 접지선이 나사로 고정되어 있다는 것, 그니까 기계에 노출된 전기가 기계에 부착된 선(접지선)을 따라 우리가 쓰는 작업선을 통과하고 우리가 꼽은 콘센트를 따라 현장 땅속까지 가는 거였군요.... 오메 이렇게 쉬운 개념을... 이제 현장에서 접지가 되었나 안되었나 난 역으로 현장 안전관리자에게 물어봐야지 "이 콘센트에 부착된 접지는 땅속까지 연결 됬습니까?" (뭐 우리보고 땅에 꼽으라네 뭘 어떻게 그리고 왜 꼽는 것인지 지들도 몰라) 속이 다 시원하네, 감사 전병칠님이 그냥 최고 미남으로 보이네 원래 미남이시겠지만....
@이원-k8n2 жыл бұрын
전기기기외함에 누설전류가 흐르게 되면 누전차단기가 작동이 안되며 이런 경우에는 감전이 되어야지 누전차단기가 작동이 되는건지 아니면 접지가 작동되면서 차단기가 작동하는건가요!!?
@triplek6984 жыл бұрын
궁금한것이 있습니다. 기본 회로구성에서 220V구성 시 HOT, NUTURAL(0V) 기준으로 HOT상이 - ,+ 을 번갈아 가면서 전류가 흐르는데 NUTURAL은 변압기에서 2종 접지로 연결되어 있잖아요. 그럼 전류가 NUTURAL로 흐를때 접지를 타고 땅으로 내려가지 않는 이유가 뭔가요? 전류는 저항이 낮은쪽으로 흐른다. 땅은 0 Ω으로 보지않나요 ? 1. NUTURAL과 접지는 전위차가 없어서 ? 인가요 너무 궁금합니다
@yhk96724 жыл бұрын
이해하기 아주 쉬웠습니다. :D
@elec74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june15613 жыл бұрын
가로등이나 전봇대 바닥 부근에 녹색의 두꺼운 케이블이 보이던데 그게 접지 케이븧 이었구나..
@지구용사-v8n4 жыл бұрын
시골집에 인버터방식 용접기 설치 할려는데 그럼 접지를 용접기 외함 나사풀러서 접지 하나 물어놓고 땅에다 접지끝선 고정해놓으면 되는건가요.
@누구냐넌-y5p3 жыл бұрын
목소리가 졸리지가 않아... 신기하다 ㅋ
@elec73 жыл бұрын
제 목소리가 좋은 편은 아닌데.. 고맙습니다.
@지광섭-d7z2 жыл бұрын
名講士
@멋진남자-g9l2 жыл бұрын
질문 있습니다. 배전함의 접지선을 땅 지면이 아닌 중성선에 연결하면 안될까요?
@벼농사-m1y2 жыл бұрын
전기고수분들... 접지가 누설전류가 발생했을때 접지로 전기가 빠지도록 하는 용도인걸 알았습니다... 그런데 전기제품을 쓸 때도 전류가 사용되잖아요 그러면 누설전류랑 정격전류랑 어떻게 구분돼서 접지로 빠지는건가용? 전기제품이 돌아가려고 쓸 전류는 접지로 안 빠지는 건가요? 아니면 모든 전류가 다 접지로 빠지는데 단순히 접지 저항이 인체보다 더 낮아서 싹다 접지로 가는건가요? 아리송하네요
@쥬라시터2 жыл бұрын
무접지극 콘센트와 플러그는 인전에대해서 보장받을수없는데 사용하는 이유가 있을까요?? 가격이 싸서...??
@processionlee7 ай бұрын
tt, it접지, 보호도체 이런거 등등 이해가 안가는데 정리해주실 수 있을까요?
@jiphouse4 жыл бұрын
콘센트에서 누전을 인지하면 전기가 접지봉으로 흐르는 것이 아니라 분전반으로 가서 중성선을 통하여 변압기로 돌아가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틀린 것 인지요?
@elec74 жыл бұрын
맞습니다. 변압기의 2차측으로 다시 폐회로가 구성됩니다.
@푸르징징2 жыл бұрын
설명대로라면 접지가 되거나 큰 전류에 감전되거나 둘 중 하나여야 하는데 접지가 되어있는데도 누전사고가 발생하여 전류가 약하게 찌릿찌릿 하게 느껴지는 경우는 무슨 이유일까요?
@흐르는길4 жыл бұрын
가정의 콘센트에 접지가 2개가 있다는 것이네요 구멍에 한개 접지극으로 한개 모두2개가 땅으로 접지되어있는데 어차피 갔은접지인데 2접지를 콘센트에서 합치면 안되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