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생님 감사합니다 글로만 읽었을때 도무지 이해가 안되어 답답했었는데 너무 이해가 잘 됩니다
@bmls_choi Жыл бұрын
질량분석기에 관심을 갖게된 임상병리학과 학생입니다. 임상화학교재에는 내부표준물질이 분석물질의 정량에 사용된다는 정도만 소개되어있어 어떻게 적용하는지 궁금한 점이 많았는데 말끔히 해소되었습니다. 정말 감사합니다.
@khstarj72 жыл бұрын
유튜브로 공부할 수 있다니 정말 좋은 세상입니다! 작업환경측정 실무 없이 이론 공부 하려니 전혀 이해가 안 됐는데 이제야 좀 알겠네요 ㅎㅎㅎ 감사합니다~!!
@짭질의추억2 жыл бұрын
와 설명 너무 잘하시네요. 혼자서는 설명 아무리 읽어봐도 이해가 안되던데 진짜 바로 이해되었습니다 ㅋㅋ
@ChromMSAcademy2 жыл бұрын
도움이 되셨다니 다행입니다.
@jennettesoyounglee40103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좋은 강의 자료 감사합니다. 제가 요새 GC를 사용하는데, Standard 의 analyte가 증가하면서 surrogate area가 점점 증가합니다. 어떤 문제때문일까요? 그리고 저는 전처리 (SPE)이후에 농축을 하는데, 이때 왜 레커버리가 낮느냐라는 질문을 받았습니다. 논문에 사용될 결과인데, 낮은 레커버리도 신뢰도있는 값으로 인정을 받을수 있을까요?
@ChromMSAcademy3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명승운교숩니다. 분석물질과 surrogate가 함께 증가하는 것은 여러 요인이 있을 수 있지만, 동일한 양과 동일한 농도가 주입된 경우를 가정했을 때, 1) 컬럼이 분석물질이나 surrogate로 포화(saturated)되어 감도가 증가될 수 도 있고(컬럼), 2) split ratio가 변화된 경우(주입구), 3) 검출기를 어떤 것을 사용하시는지 모르겠지만 검출기의 감도의 변화가 있는 경우(검출기) 등이 있을 수 있을 것 같고, 4) 검출기의 make-up 기체의 유량이 변화되어 감도가 달라질 수도 있습니다. 이들을 중심으로 검토해 보시기 바랍니다. recovery는 두가지가 있는데 절대 회수율(absolute recovery)(시료로 부터 추출되는 절대양- 검출한계와 관련있음)과 상대 회수율(relative recovery)(정확도의 개념으로)가 있는데 절대회수율에 대한 질문이실것 같은데 절대 회수율이 낮다고 해서 좋지 않은 실험이라고 볼 수는 없습니다. 예를 들어, US EPA의 규격중에서 절대 회수율이 50%정도인것들도 있습니다. 하지만, 상대 회수율(정확도)이 좋지 않다면 이는 신뢰성이 낮은 실험이므로 실험방법을 개선할 필요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