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쟁이 앞으로 줄어들 수밖에 없는 이유 (한동대 ICT창업학부 김학주 교수)

  Рет қаралды 237,774

Understanding : All the Knowledge in the World

Understanding : All the Knowledge in the World

Күн бұрын

👉언더스탠딩 문의 : gygesring@naver.com
👉3분만에 글로 읽는 "삼프로TV 하이라이트". contents.premi...
👉중국 전문가 이철 박사의 섬뜩한 경고. “달라진 중국 달라질 중국”
apps.3protv.co...

Пікірлер: 543
@bali_life
@bali_life Жыл бұрын
그럴싸한데 다 반박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우선 인간은 동물과 달리 배가 불러도 사냥하고, 가진 게 충분해도 만족하지 않고 남과 비교하며 더 가지려는 존재라 인구가 줄어들고 먹거리가 남아도 그렇게 동물처럼 싸움이 줄어들 것 같지 않습니다. 더 나아가 기후변화로 살만한 지역, 땅은 인구증가가 줄어드는 것보다 더 빠른 속도로 줄어들 것 같습니다. 격렬하게 늘어나는 화재, 기후변화로 인한 식량 위기 등이 그런 상황에 불을 끼얹을 것 같고요. 더불어 소셜미디어와 기타 여러가지 새로운 상황들이 혼란을 부추길 것이고 양극화는 자본주의가 지금까지 그랬듯 더 심화될 겁니다. 에너지 위기는 앞으로 더 심해지겠죠. 언더스탠딩이나 삼프로에서 자주 다두릇 그리드 문제로 친환경이 급속히 전세계로 퍼질 수 없는 상태에서 선진국과 개도국, 후진국의 경제력과 에너지 수급 차이, 그리고 각 국가의 산업 격차 등으로 인해 더 심해질 거라 봅니다. 따라가면 다 그럴 듯 한데... 언더스탠딩이나 삼프로에서 다룬 내용들만 근거로 봐도 다 의문점이 더 크게 들고 반박할 수 있다는, 반대 증거가 더 많다는 생각이 드네요.
@leeyoogg
@leeyoogg 5 ай бұрын
저 전문가분 가자지구로 보내고싶다 몇달만 생활하면 현실의 인간은 얼마나 불완전한존재인지 이해될텐데....
@nealkim2149
@nealkim2149 Жыл бұрын
김학주교수님, 삼프로 언더스탠딩~ 감사합니다 ~^^
@ss-cx2xo
@ss-cx2xo Жыл бұрын
얽혀있어서 전쟁이 나지 않는다라... 1차대전때도 그런소리가 나왔지요 유럽 전국가들 왕 왕족들이 혈연관계로 이어져있어서 친척끼리 머하러 전쟁이 일어나겠냐. 하지만 왕족 귀족이 아닌 일반 시민들의 적개적인 민족주의적 감정이 폭발해서 전쟁이 터졌죠.
@dlqudwn25
@dlqudwn25 Жыл бұрын
이분 말씀은 기관총 처음 발명됐을 때만큼이나 근시안적이고 편협한 생각들입니다. 1800년대 기관총이 발명되었습니다. 1893년 맥심 기관총 4정을 배치한 영국군 50명이 지키는 영국군 진지 앞에 1 km 내로 단 한 명도 진입하지 못한 채 5천 명이 전사했고, 3년 뒤의 전쟁에서도 영국군은 전사자 400명을 낸 것에 비해 5만명이나 죽어나가는 교환비 1:125라는 참혹한 결과를 마주해야 했죠. 기관총이 이렇게 무시무시한 무기라는 것이 실전에서 증명되자 슬슬 서로 이 무기를 가진 유럽인들끼리 싸우는데 쓰이면 어떻게 될 것인지 의문을 품은 사람들이 질문할 때 맥심의 답변은 너무나도 이상적이었습니다. "아뇨, 전쟁을 불가능하게 만들 것입니다.(No, it will make war impossible.)" 1893년 영국의 한 과학자에게 "이 총으로 전쟁이 더 끔찍하게 되지 않겠는가."라는 질문을 받고 하이람 맥심이 한 답변인데, 맥심도 1차대전 이전부터 맥심 기관총이 세계 곳곳에서 서로 쓰이면서 사상자가 많았음을 잘 알기 때문에, 이런 기관총을 수천 정씩 갖고 수백만씩 죽어나가는 전쟁을 하지는 않으리라 생각한 것입니다. 기관총 뿐만 아니라 핵무기가 개발되었을 때에도 마찬가지였죠. 상식적으로 도시를 증발시킬 수 있는 무기가 있는데 도대체 전쟁이 어떻게 가능할거라고 생각하십니까? 하지만 우리는 그 결과를 알고 있습니다. 멀리 볼 것도 없습니다 중국이 코로나 철통봉쇄로 인간의 심리가 오랜 기간 통제되고 막히면서 우리는 모두, 전 세계 내로라하는 경제학자들조차 "중국 리오프닝"에 대한 기대를 보였습니다. 상식적으로 돈 오래 못 쓰다 풀리면 보복 소비 들어가는게 당연지사죠. 하지만 우리가 접해보지 못한 중국 공산당 덕분에 중국인들 심리는 예상 정반대로 들어가고 리오프닝은 이상에 불과했다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적어도 예상이 틀릴 수는 있는데 그 예상이 현실적이고 구체적인, 실증적인 데이터란 하나도 없고 따지고 보면 말장난, 전체에 적용하기 힘든 일부 경향과 일부 사례를 가지고 와서 귀에 걸면 귀걸이, 코에 걸면 코걸이인 이야기만 내뱉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그러니까, 상황을 설정하고 그에 맞는 일부 사례들만 나열하면서 마치 A 이후에 B가 나타났고 B는 보통 C니, A가 나타나면 C가 올 것이라는 말"만", 다시 이야기하자면 구체적인 실증 없이 심증"만"을 영상 내내 반복하고 있습니다. 현실은 A 다음 ㄱ이 오는 경우도 있고 Z가 나타난 적도 있는데 말입니다. 해당 분야 전문가도 아니고 이런 저런 상황 가져와서 말만 들어보면 그럴듯하게 끼워맞추기 잘 하시는 분입니다. 비전문적인 분야를 마치 다 아는 양 확정하고 이야기 전개하는데 적어도 그중에 언더스탠딩 채널에서 다룰 이야기는 없어 보입니다. 이 말 하는 사람이 개인 채널이었으면 차단했을 거에요. 앞으로 언더스탠딩 수준을 위하여 해당 분야에 대한 구체적인 자료와 근거들을 제시할 수 있는 해당 분야 전문가 또는 취재 전문 기자님들만 볼 수 있으면 합니다. 그동안 진짜 전문가분들만 오시다가 말로만 약파는 사람 불러오는 것은 언더스탠딩 수준과 다른 모든 출연자분 수준을 격하시키는 행위입니다. 수십 시간 자료 정리하고 사실만을 이야기하시는 분들 어떻게 보려고 언더스탠딩 이런 뇌피셜쟁이를 데려온겁니까?
@문석김-q5c
@문석김-q5c Жыл бұрын
동감 합니다. 전쟁을 하는 독재자들 대그빡에 뭐가 들어 있는지 연구 해봐. 참 갑갑한 양반아,
@nuabo02
@nuabo02 Жыл бұрын
공감합니다.
@Jordy-z6m
@Jordy-z6m Жыл бұрын
@@김천국밥-f4h 국제정치학 교수도 아니고 객관적인 데이터 없이 떠들어 대니까 뇌피셜쟁이라고 하지, 교수 말은 성경이고 진리임?
@lustkax9975
@lustkax9975 Жыл бұрын
맞음 전쟁이 합리성 갖고 하는줄 아는사람이 제일 무서움 저런 교수가 전쟁을 키우는 거임, 조금아는 지식이 제일 무서운걸 모름 교수씩이나 되서 저런 말도 안되는 주장을 한다는게 한심스러움
@오메가알파-l8g
@오메가알파-l8g Жыл бұрын
삼프로 보시면서 주식투자하면 망합니다. 저 또한 님의 말씀에 적전으로 동의합니다. 비전문가가 나와서 개소리하는데 어이가 없네요. 제가 보는 유튜버는 박홍기작가TV 입니다.
@user-tcookie
@user-tcookie Жыл бұрын
우와! 교수님의 인사이트에 감동입니다❤
@parkmason
@parkmason Жыл бұрын
이런 분석은 물론 합리적이지만 전쟁은 합리적인 이유로 벌어지지 않으며 비합리적으로 상대가 전쟁을 벌이면 상대하는 측도 필연적으로 비합리적으로 전쟁을 하기 마련이라는게 함정이죠
@휘휘-m6z
@휘휘-m6z Жыл бұрын
전쟁의 명분이 비합리적인거지 전쟁 자체는 매우 합리적입니다 이해하셨나요? 전쟁을 하는 이유는 합리적인 경제 판단인데 돈 때문에 전쟁하며 학살한다고 하면 명분이 없어 지지를 못 받으니 비합리적인 이유를 만들어 내서 시작하는겁니다
@bobhan6395
@bobhan6395 Жыл бұрын
​@@휘휘-m6z아하, 그런거군요. 그래서 푸틴이 경제적 이유로 우크라이나를 침략했고 경제적으로 작전운영을 잘하여 러시아국민들이 3일보다 200배늘어나도 지지를하는거군요. 하마스도 경제적이유로 테러존쟁을 시작한거니, 이스라엘이 하마스에게 전쟁을 시작하면 경제적폭망인걸 일깨워주면 이팔분쟁은 평화롭게 끝나겠군요.
@유보형-t2q
@유보형-t2q Жыл бұрын
여러 측면의 한 쪽만 보는 편협한 생각이네요
@browncharly5442
@browncharly5442 Жыл бұрын
​@@휘휘-m6z이스라엘 팔레스타인은 돈 때문임? ㅎㅎ
@ss-cx2xo
@ss-cx2xo Жыл бұрын
@@휘휘-m6z 비합리적으로 터진 전쟁을 당사자및 주변국들이 이상상황에 합리적으로 맞추어 간다고 보는게 맞는듯
@KS42903
@KS42903 Жыл бұрын
새로운 관점. 전쟁이 줄어들거다. 역시 신선한 생각을 전해주어서 감사히 잘 들었습니다
@wolfk3893
@wolfk3893 Жыл бұрын
24:00 하나 정정하자면 맥마흔 협정은 아랍인 전체도 아니고, 팔레스타인지방 사람들도 아니고, 전혀 상관없는 메카의 토후가문(현 요르단 왕가)와 한 약속입니다. 내용도 팔레스타인 독립국이 전혀 아니라 해당 가문이 지배하는 아랍국가를 오스만제국에서 독립시켜서 만들어주겠다는 것.
@킴-x3q
@킴-x3q Жыл бұрын
^_^ 언더스탠딩이여 영원하라~~
@바이칼호수-t2w
@바이칼호수-t2w Жыл бұрын
전쟁이 줄어든다는 제목에 눈이가서 (다들 이제 분쟁초입시기라고해서) 듣게 됐는데, 뭐 다른 관점에서 보는 새로운 맛도 있네요
@까희
@까희 Жыл бұрын
그냥 이분 혼자 뇌피셜 같음. 전쟁 위험 강도는 더 세지고 있다는데.. 다들 너무 위험 회피에 목을 걸고 있는것 같음. 분쟁 및 전쟁 위험은 훨씬 더 높아지고 있다고 생각됨.
@likewinds
@likewinds Жыл бұрын
항상 감사합니다.
@이기량-o8b
@이기량-o8b Жыл бұрын
한동대 김학주 교수남 진지하게 잘들 엇습니다...부분적으로 적은 문야에서 이견은 있으나 대체로 대부분 공감합니다.. 새롭게 이해한 부분도 있습니다...고맙습니다..
@yongcho874
@yongcho874 Жыл бұрын
다는 아니지만 몇몇 투자의 아이디어 얻고 갑니다 ^^ 고맙습니다😊
@면튜브-d4y
@면튜브-d4y Жыл бұрын
김학주 센터장ㆍ기억하는사람이 있을까 ㅋ 오랜만이라 반갑네요
@mapx2100
@mapx2100 Жыл бұрын
지난 영상도 그렇고 이번 영상을 보고 나니 확실히 이 분은 넓고 얕게 훑어보시는 것 같네요. 짧은 시간에 많은 내용들을 가볍게 둘러보기에는 좋지만 투자에 참고하려면 스스로 충분히 해당 분야에 공부를 하셔야 할 거 같습니다.
@생각나면-z
@생각나면-z Жыл бұрын
김학주교수님 영상은 꼭 여러번 반복시청합니다 깊은 인사이트 나눠주셔서 감사합니다 행복한 일요일 보내세요😊
@shalls6595
@shalls6595 Жыл бұрын
정말 다양한 인사이트를 주셨는데, 영상 타이틀때문에 엄한 댓글들이 넘나 무지하게 달리네요 ㅎㅎ
@motah7252
@motah7252 Ай бұрын
Raytheon 언급 하셨네요. 당시 60~70달러였네요. 1년뒤 지금 110~120달러까지 왔네요.
@Aau-q7l
@Aau-q7l Жыл бұрын
너무 많은 비약적 해석으로 오히려 현 상황에 대한 정확한 분석보다는 혼란만 가중하는 것 같습니다
@Vdtkkuui4
@Vdtkkuui4 Жыл бұрын
전쟁이 늘어나지.... 뭐가 줄어들어? 생각 좀 해라
@jisungpark8952
@jisungpark8952 Жыл бұрын
전고체 배터리는 아직 실험실 수준에서 돌아가고, 공장에서 양산은 힘들다고 합니다. 저 분 얘기대로 라면 마치 일본이 차세대 배터리로 전고체 기술을 완성해서 시장을 장악할 것처럼 설명하는데, 사실과는 상당히 다른 얘기로 들립니다. 판단에 신중하길.
@태태-w5y
@태태-w5y Жыл бұрын
전고체 상용화 힘들다는 사람도 있어요. 그러니 금방 만든다고 단정짓는건 조심해야죠.
@오메가알파-l8g
@오메가알파-l8g Жыл бұрын
삼프로 얘기 들어면서 주식하며 망합니다. 제가 딱 하나 추천한다면 유튜버 박홍기작가TV 입니다.
@김병만-q3p
@김병만-q3p Жыл бұрын
듣다가 저랑은 다른 관점이 많아 중간에 나갑니다... 아는 지식은 많으신거 같으나 전체적인 관점은 좀 독특하시네요...
@m-8739
@m-8739 Жыл бұрын
김학주 교수님은 결과를 가지고 원인을 만드는 분 같습니다. 이런 분의 강의는 그럴 듯하지만 전망은 좀 아닌 듯.
@parkherenow
@parkherenow Жыл бұрын
원인과 상황등은 다르게 생각하지만 , 결론은 비슷할거라 생각합니다,,, 우 러전쟁도 일방적 전쟁이 되지않토록 관리하는 느낌,,,? 원자력 예산을 삭감한 정치단체는 정말 뭔생각인지,,,,,,,내부싸움에 경도되어서,,세상이 어떤상태인지 전혀 이해을 못하는 사람들이 정치을 하다니,,, 한국의 문제는,,, 정치인이ㅡ국민을 걱정해야지,,,국민이 한국정치을 걱정하는 지경인게,,,,주객이ㅜ전도된 사람들,,,,
@파사현정-s7e
@파사현정-s7e Жыл бұрын
이분의 말씀은 사실과.. 다를수있는 본인의 뇌피셜을 기반한것입니다... 100% 사실에 기반한것이 아닌만큼.. 미래 전망도 틀릴가능성이 더 많습니다.. 그럼에도 배울것이 많네요....
@querenciakim8983
@querenciakim8983 Жыл бұрын
뇌피셜이 과하네요 LFP 100% 삼원계 80% 충전 이야기도 팩트와 차이가 많은데 확신에 찬 목소리로... 미중간 화해와 협력에 대한 전망은 희망사항인 듯하기도 하고요. 마치 여의도의 누군가를 대변하는 입장이 겹쳐보이기도 합니다. 달러채권에 대한 이야기는 새롭습니다. 전쟁과 인구에 대한 다른 시각도 신박하긴 합니다.
@yongsoonjun2858
@yongsoonjun2858 Жыл бұрын
발상의 출발점이 신선해서 배울게 많았습니다. 다만, 몇몇 결론은 저랑 반대라서 의아하다가 LFP배터리에서 조금 웃었습니다.
@makinax8836
@makinax8836 Жыл бұрын
작전일 수도 있음
@bobhan6395
@bobhan6395 Жыл бұрын
이분은 코메디수준인데요. 코메디카페 창업교수님이신가?
@parkherenow
@parkherenow Жыл бұрын
리튬인산철과 삼원계배터리의 이해가 좀 다른것 같읍니다,,,,, 삼원계가 밀도을 높일수 있는 이유 와 ,,,,,,,화학의 원소주기율표을 전혀 이해하지 못하는 듯 하다고 생각되네요,,,,😢 왜 리튬으로 배터리을 만들게 되었는지,,,,,,,이해하면 이런 예측을 하진 않을 것,,!
@gogoavril
@gogoavril Жыл бұрын
뉴스에 안나와서 그렇지 이라크, 시리아에 있는 미군기지에 계속 로켓공격이 있었습니다. 하마스도 무기가 풍부해지니 이스라엘 공격하는거구요 중국이 이란 이라크 석유 계속 사주니 (미국의 이란경제죽이기 제재가 안통하는거고) 이란 헤즈볼라 하마스 입장에선 무기가 풍부해지니 외세(미국, 이스라엘)나가라고 계속 괴롭히는거고
@jambibibibibi
@jambibibibibi Жыл бұрын
교수님 인사이트 놀랍습니다! 강의 듣고 싶을정도로 정말 재미있고 유익하게 들었습니다
@sangpark4642
@sangpark4642 Жыл бұрын
댓글들을 쭈욱 읽어보니까 김교수님 말씀중에 어느 한쪽 부분에서는 비린내가 난다고하고 어느 한쪽 부분에서는 향기가 난다고하고 종을 못잡는 냄새때문에 댓글들이 몰리는구나,구린 냄새든 향기로운 냄새든 다양하게 냄새를 맡을수 있는,전쟁,수소,에너지,유가등등 심하게 풍겨주신 김교수님께 감사를 드립니다
@김진철-i6l
@김진철-i6l Жыл бұрын
지금쯤 이블킥 하고 계시겠군요... 전쟁이 줄어들기는 커녕 세계가 난리인데 ㅋ
@javaxerjack
@javaxerjack Жыл бұрын
한가지 착각 하면 안되는건 여기서 말하는 전쟁이란 건 전통적 의미의 전면전입니다. 우리가 전쟁으로 치지 않는 소규모 분쟁(예를 들면 아프리카에서 활을 들고 싸우는 부족 간 전쟁은 엄연히 전쟁임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그걸 분쟁이라 여기지 전쟁이라 여기지 않습니다) 특히 식량 자원을 둘러싼 전쟁은 오히려 늘어날 소지가 크다고 봅니다.
@glorygulbi
@glorygulbi Жыл бұрын
공감합니다 국가간 전쟁은 많이 축소되고 개인간 분쟁 노인과 청년간 불화 빈부의 불화 경영자와 노동자불화 도시와 시골의불화 남자와 여자의 불화같은 분쟁이 많을것 같습니다
@lustkax9975
@lustkax9975 Жыл бұрын
이런글이 전쟁에 대한 두려움을 희석하는 매우 안좋은글 ㅉㅉㅉ 부족간 전쟁도 그들에게은 전면전 입니다. 어떤 전쟁도 가볍지 않아요
@javaxerjack
@javaxerjack Жыл бұрын
@@lustkax9975 지금은 사소한 자원이 나중에는 생사 문제가 된단 뜻이에요.
@likewinds
@likewinds Жыл бұрын
오구오구 현자님 등장. 활싸움에 대한민국 수출이 망하겠네요. 😅
@power9119
@power9119 Жыл бұрын
세번 보았는데 큰 도움 감사합니다 ^^ 자주 가르침 주셨으면 합니다
@glorygulbi
@glorygulbi Жыл бұрын
와우 저도 1번시청 했는데 3번시청 했다니 50프로정도만 이해된것 같아서 녹화후 두고두고 재시청 할까합니다
@shinyousik
@shinyousik Жыл бұрын
ㅇㅁㅁㅇ
@parkherenow
@parkherenow Жыл бұрын
이분은 기술개발은 쉽게 생각하는듯,,,,,,,앞으로 100년 걸릴걸 ,,,,,, 금방 개발할것으로 생각하는 듯,,,,
@마리진
@마리진 Жыл бұрын
늘 유익함이 최고인 언더스탠딩 감사합니다
@hyehyunkwon7727
@hyehyunkwon7727 Жыл бұрын
아.............. 역시 갓학주 교수님.
@EPark-gb7fh
@EPark-gb7fh Жыл бұрын
초반부터 키야~이야 이런 야기를 어디서 듣습니까~ 하면서 감탄하는게 이해가 안됨… 문과 3명이 모이면 이렇게 되는건가 싶음.
@pure-justice
@pure-justice Жыл бұрын
이프로 이과에요 ㅎ
@birdy0090
@birdy0090 Жыл бұрын
0:54: ✅ 세계 갈등의 원인은 먹이 부족, 서열 변화, 에너지 시장의 변화이며, 크라이시스가 오지 않을 것이라는 예측이 있다. 0:54: 전쟁은 먹이 부족으로 인해 발생하며, 인구 노령화와 함께 성장이 둔화되면 갈등이 더 심해질 수 있다. 2:59: 서열 변화가 있을 때 갈등이 발생하며, 1차 대전과 9.11 테러를 예시로 들 수 있다. 4:41: 에너지 시장의 변화가 국가 간의 갈등을 유발할 수 있다. 6:42: 현재는 먹이 부족이 줄어들어 갈등이 감소할 것이라는 예측이 있다. 7:42: 출산율 하락으로 인해 먹이 부족 현상이 줄어들 것으로 예측된다. 8:11: 🔋 신재생 에너지와 수소 경제의 중요성 8:11: 노인층의 특징은 강도가 약해지고 인공지능과 같은 기술의 부가 가치가 증가하여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음 8:51: 집이 좁으면 싸움이 많아지며, 자기방과 같은 개인 공간이 있으면 싸움이 줄어듦 11:32: 미국은 정보전에서 강세를 보이며, 양자 컴퓨터와 초전도체 기술에 관심이 있음 13:17: 전쟁의 결정적인 영향은 컴퓨팅 파워와 정보전에서 나타남 13:43: 교육과 금융은 전면전이 발생하기 어려워 서로간의 이해가 필요함 14:49: 신재생 전기의 배달이 어려워 태양광과 풍력 발전은 아직 부족하며, 수소 경제와 소형 원자로를 활용해야 함 16:02: 신재생 에너지와 수소 경제의 도입은 빨리 이루어져야 하며, 이는 기존의 송전망을 대체할 수 있음 16:26: 풍력과 태양광은 배달비가 많이 들어가기 때문에 원자력과 수소 연료전지를 활용해야 함 16:46: 🌍 디지털 경제의 발전으로 인해 재택근무와 석유 수요 감소 가능성이 높아지고, 새로운 배터리 원료와 기술의 발전으로 갈등이 줄어들 것으로 예상됨. 16:46: 디지털 경제의 발전으로 인해 재택근무가 증가하고 석유 수요가 감소할 수 있음. 17:10: 반도체와 배터리 원료의 발전으로 에너지 원료 갈등이 줄어들 수 있음. 18:06: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한 기술의 발전으로 갈등이 해소될 수 있음. 19:33: 미국과 중국의 기술 발전을 통해 갈등이 해소될 가능성이 높아짐. 20:08: 미국의 기술주에 대한 투자가 유망하며, 중국과 미국의 관계가 개선될 가능성이 있음. 21:32: 미국이 인공지능과 기술 분야에서 선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음. 21:50: 미국과 중국은 갈등을 해소하고 협력할 가능성이 높아짐. 22:02: 영국과 이스라엘을 중심으로 한 갈등의 원인이 종교와 경제에 기인함. 29:23: 🔥 이란의 석유 수출 제재로 인한 미국의 중동 패권 포기와 금리 상승으로 인한 환율 방어를 위한 자산 매도 29:23: 이란은 석유 수출 제재로 정상적인 수출량이 부족하며, 이로 인해 세계적인 유가 상승이 가능성이 있음. 31:01: 미국의 중동 패권 포기는 석유에 대한 의존도가 낮아지고 물가에 대한 설명력이 점점 떨어짐. 32:41: 미국의 장기 금리 상승으로 중국과 일본 등이 미국 국채를 팔고 환율 방어를 위한 자국 자산 매도 가능성이 있음. 33:37: 📈 미국의 금리 인상으로 인해 중국의 장단기 금리가 역전되었고, 이로 인해 중국의 수익성과 외환 부담이 증가하고 있으며, 미국과 중국의 긴장 관계로 인해 중동 지역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33:37: 미국의 금리 인상으로 인해 중국의 장단기 금리가 역전되었고, 이로 인해 중국의 수익성과 외환 부담이 증가하고 있으며, 미국과 중국의 긴장 관계로 인해 중동 지역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33:43: 미국 중앙은행이 장기 국채를 팔아서 단기 국채를 사는 것으로 장단기 금리 역전을 조정하려는 전략을 취하고 있다. 34:24: 장기 금리 역전으로 인해 금융기관의 수익성이 문제가 되고 있으며, 이를 정상화시키기 위해 미국 중앙은행은 단기 기준금리를 낮춰줄 수도 있다. 40:44: 미국의 고금리 정책은 중국의 수입 물가 부담을 증가시키고 중국의 외환 부담을 완화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41:12: 미국의 경제가 강화되면서 고금리 정책을 유지할 필요성이 줄어들고, 중국과 미국의 긴장 관계와 미국 대선을 고려하여 고금리 정책을 조정할 가능성이 있다. 45:17: ⚡ 미국 장기채권 사기 시작, 금리 하락 시그널 45:17: 미국의 장기채권 사기 시작, 금리 하락 시그널 46:31: 금리 하락에 따라 기술주에 투자하는 것이 안전한 선택 46:47: 갈등 요인은 계속되지만 큰 전쟁은 예상하기 어려움 49:09: 에너지는 패권 다툼의 대상이 될 것이며 배터리 기술이 중요 49:45: 🔋 리튬이온 배터리의 발전과 성능 개선에 대한 이야기 49:45: 리튬이온 배터리를 개발한 세 명의 과학자가 2019년에 노벨 화학상을 받음 50:03: 일본, 한국, 중국의 배터리 기술 경쟁 50:19: 일본이 리튬 인산철 배터리를 테스트하지 않은 이유는 안전성 문제로 생각했기 때문 50:46: 전 고체배터리의 개발과 고충전 속도, 에너지 밀도의 향상 53:25: 리튬 인산철 배터리의 내구성과 안전성 53:33: 리튬 인산철과 니켈 코바트 망간의 경쟁 56:05: 실리콘을 사용한 배터리의 효율성 향상 57:02: 애플의 실리콘 배터리 개발로 경쟁력 확보 1:04:44: 💡 미국의 금리 상승은 미국 기업들의 혁신과 주가 상승을 이끌 것이다. 1:04:44: 미국의 금리 상승은 계속될 것이다. 1:05:07: 미국의 혁신 기업들의 주가가 상승할 것이다. 1:05:15: 미국이 전쟁에서 이기든 지든 미국의 주가는 상승할 것이다. 1:05:23: 인플레이션의 원인은 공급에서 왔다. 1:05:38: 📈 미국 금리 상승은 경제전쟁의 원인으로, 현재는 타협을 찾아갈 것이라고 생각한다. 1:05:38: 미국이 금리를 올린 것은 경제전쟁의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금리 상승 사이클이 끝났다고 생각한다. 1:05:44: 세계적으로 갈등이 있고 경제전쟁을 일으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1:06:09: 현재는 경제가 마찰을 겪고 있지만, 결국 타협을 찾아갈 것이다. 1:06:40: 미국 대선이 있으므로 현재는 좋은 매수 타이밍이라고 생각한다. 1:06:49: 금리 하락은 수혜주인 기술주 등을 좋게 보는 것이다. 1:07:06: 서열 정리되면 싸움이 안 나게 될 것이다. 1:07:20: 한동대학교 김학주 교수님은 공부도 잘하고 싸움도 잘한다고 한다. 1:07:27: 누구에게 줄 설지 눈치를 잘 봐야 한다고 한다. Recapped using Tammy AI
@gogoavril
@gogoavril Жыл бұрын
국력은 정책으로 결정되는게 아니고 과학기술력으로 결정되는겁니다. 꼼수(정책)써 봤자 잠깐이에요 미국이 금리 높여서 미국의 수입이 약 10% 줄어 중국 수출이 10% 줄었긴 하지만 여전히 무역흑자중이고 중국 주식시장 외인지분 10%밖에 안됩니다. 게다가 자국인의 대외(미국)투자도 엄격히 제한하고 있습니다. GDP의 130%인 미국부채가 금리5% 오르면 채권이자로만 GDP의 8%가 나갑니다. 재무부 채권 평균 10년만기라고 치면 금리 5%기간이 1년연장될때마다 GDP의 0.8%씩 이자비율이 늘어나는거에요
@whffkqja
@whffkqja Жыл бұрын
김학주교수님 역시 대단하십니다..
@sungwookchoi824
@sungwookchoi824 Жыл бұрын
이분의 말이 맞고틀리고를 떠나 그냥 이런 토픽을 던져줬다는거에 잘 들었다는 생각하고있고 내가 또 스스로 찾아보게됨.. 남들이 할 수 없는 말을 해야 전문가 아닌가? 삼프로 금리무새들과는 다른 인사이트이긴한데 왜다들 화나있냐 ㅋㅋ 이분말듣고 소형원전 스스로 찾아보게됨
@benlex8791
@benlex8791 Жыл бұрын
여전히 인간을 합리적으로 보는군요,, 권력 중독에 심취한 자들을 과소평가, 일면적 고찰로 한 측면만 보는 것이 아쉽군요
@meiziok
@meiziok Жыл бұрын
이 사람 반대로 행동하면 개꿀.. 전쟁은 그런 요소와 큰 상관이 없다
@Yoon-yq6fc
@Yoon-yq6fc Жыл бұрын
제발 배터리의 기술에 대해서 논할 때는 업계에 정통한 엔지니어 전문가나 금속, 재료, 화학 공학 교수님 모셔오면 안되나요? 1. LFP가 재조합으로 진화하면 할 수록 재료, 성능검수, 안전성 확보 등의 추가 비용으로 싼 가격의 장점도 사라지는 겁니다. 마찬가지로 다원계 배터리도 좀더 싼 가격으로 생산할 수 있도록 진화하고 있는 것은 마찬가지이구요. 2. 다원계 배터리가 80%까지만 충전해서 쓰면 훨씬 더 오래 사용할 수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매번 100% 충전해서 사용해도 10~20년은 충분히 사용 가능합니다. (엔지니어들이 바보가 아니라서 충전 안전 마진을 잡아 놓습니다.) LFP 배터리의 4배 수명으로 40~80년 동안 같은 차를 타고 다닐 사람이 얼마나 있을지 궁금하네요. 3. 다원계는 100%충전이든 아니든 상황대로 대응해서 충전할 수 있지만 LFP는 오히려 매번 100% 충전해서 써야만 하는 단점 있다는 것을 아셔야 합니다. LFP는 전압강하현상이 가장 큰 문제인데 그 때문에 BMS가 SOC를 정확하게 표시하기 어렵습니다. 내연기관 자동차에서 연료량이 정확하게 표시되지 않는다면 그 차를 계속 타고 다닐 수 있을까요? "LFP는 100% 충전이 가능해서 좋아" 뿐만아니라 "LFP는 100% 충전하지 않으면 SOC 신뢰도가 떨어지고 말아"도 아셔야 한다는 겁니다. 4. 일론 머스크 이야기를 하시는데 테슬라는 현재까지는 다원계 배터리에 대해서 자체 생산하기 위해서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어느 쪽의 배터리를 테슬라가 더 우선시하고 있는지 이 이상의 답이 필요한가요?
@우리엄마-t4i
@우리엄마-t4i Жыл бұрын
자세한설명 감사드립니다.
@MichaelLee-yb8we
@MichaelLee-yb8we Жыл бұрын
재목이 내생각과 반대되어 들어 보았는데, 먹이문제 ,지위변동,에너지 3가지로 설명했는데, 설득력이 그리 커지 않고, 기후변화와 기술발달로 개인과 국가간의 빈부격차심화, 일극화 보다는 다극화가 더심화되어 국제경찰상실로 더 분쟁이 많아 질 것이다.
@user-vt8zl2qw4c
@user-vt8zl2qw4c Жыл бұрын
김학주 교수님 알기쉽고 정말 유익합니다
@WNANF주물
@WNANF주물 Жыл бұрын
삼성이 RE100 선언했지만, 정작 구할 전력이 없다. 한국의 원전은 재 처리도 못하고, 저준위 조차도 지역 반대로 방폐장을 짓지 못한다. 하물며 고준위 방폐장을? 원전이 기저 에너지로써 의미는 있지만, 지금 당장 발등에 불 떨어진건 재생에너지 늘려야 하는 거다. 주구장창 원전 주장하면 누가 알아서 재처리랑 방폐장 해결해 줄 거라고 자빠진 건지...
@sweetnap841
@sweetnap841 Жыл бұрын
재생에너지 그리드랑 효율은 알고 얘기 하시나요
@seongho-d6o
@seongho-d6o Жыл бұрын
사람들이 재생에너지는 반대안함? 어차피 반대하는건 디폴트고 효율은 원전이 압도적으로 좋으니까 원전을 이야기하는거임
@가름바우
@가름바우 Жыл бұрын
닛뽕이 원전 폐기물 처리장 쓰시마 에 한다고 함. 지진에 안전하고 자국민들 관광도 안간다고 ㅋㅋ 닛뽕보다 부산에서 더 가까운 쓰시마에 닛뽕 물고 빠는 부산 사람들 환장하것쥬~ 이런 기사는 왜 안나오는지 대한민국 굥거니 정권과 기레기 카르텔 역겹다 정말~
@이상-r5w
@이상-r5w Жыл бұрын
@@seongho-d6o효율을 따지려면 생산만 보실게 아니라 위에 언급된 폐기물, 재처리 이슈도 같이 따져야죠
@윤퀀트요리
@윤퀀트요리 Жыл бұрын
삼성이 무슨재주로 RE100선언함? Where is the evidence?
@usa0201k
@usa0201k Жыл бұрын
삼프로에서 한양대 임형록 교수와 2인 츨연 프로 한번 만들어 보세요
@user-ig3wq2vp2f
@user-ig3wq2vp2f Жыл бұрын
전쟁이 줄거라는 가장 중요한 것은 SNS 발달로 공작 모함이 줄어들고 정보, 진실이 알려진다 는 것 기술은 미국이 훨씬 앞선다는 건 잘못된 말, 그 차이가 중국, 러시아와 큰 차이 없다 디지탈 경제도 중요하지만 제조업도 중요하다 4차산업만 하고 다 수입해서 살래? 미국의 패권 약화의 주요인은 제조업 붕괴다
@angelside3588
@angelside3588 Жыл бұрын
이건 그냥 뇌피셜인데...
@gogoavril
@gogoavril Жыл бұрын
전고체는 재료가 비싸서 상용화되도 수십년간은 핸드폰 이상에는 적용 못해요 삼원계 배터리가 80년대 나왔어도(도시바 재충전가능 AAA 건전지) 40년지난 지금에야 자동차에 적용될정도로 단가가 낮아진것처럼
@김김재호-n1v
@김김재호-n1v Жыл бұрын
네, 에코프로 주주님
@Ms_Londoner
@Ms_Londoner Жыл бұрын
제목만 들어도 좋네요😂
@koodeta2000
@koodeta2000 Жыл бұрын
이 아저씨가 얘기했던거 별로 맞은거 없음. 특히 투자목적이라면 시간낭비임. 대표적으로 CTLT 유망하다고 했을때 샀으면 지금까지 하락빔 쳐맞았을듯.
@user-physiotherapy
@user-physiotherapy Жыл бұрын
동감입니다. 교수님들이 투자 잘했으면 교수 때려치웠을듯합니다. 교수할 시간에 투자하면 돈도 더 많이 벌고 돈이 많으면 굳이 교수안해도 연구나 책은 쓸수 있으니...
@윤주선-l6d
@윤주선-l6d Жыл бұрын
< Revolution > 1차 농업혁명 2차 산업혁명 3차 에너지혁명 Enegia는 resource이고 Iand,labor,capital이며 권력(authority,potentia)이다 에너지혁명의 중심은 Hint: heaven, hell #에너지혁명에서 만은 부의 불평등을 허용해서 안된다
@bwaa1933
@bwaa1933 Жыл бұрын
잘 들었습니다. 하지만 전쟁 안 줄어든다 한표요
@flyingpan2639
@flyingpan2639 Жыл бұрын
친환경 발전의 걸림돌인 그리드 문제 때문에 원전이 더 주목받는 듯 착각할수있는데 그리드는 그래도 누군가 깔면 되는게 원전 폐기물 문제는 아무나 정할수 있는 문제가 아니며 최소 국가적인 합의가 필요하고 핵연료 재처리에 있어서는 국제적인 합의까지 필요하다 말마따나 '그냥 깔면되는' 그리드랑이랑은 또 차원이 다른 문제임
@hammkers7
@hammkers7 Жыл бұрын
그리드가 환경오염 발생시키는게 원전 폐기장 짓는것보다 더 많으니까 문제죠.... 특히 친환경 발전시설 자체가 희토류 대량으로 사용해서 오히려 탄소오염을 일으키는것 아니냐는 문제가 제기되는중임.
@승이-o7y
@승이-o7y Жыл бұрын
​@@hammkers7자라 희토류가 머시라? 자라 철강보다 더? 화학섬유보다 희토류가 더? 자라
@수화리
@수화리 Жыл бұрын
먼 국제적 합의여...미국이 찬성하면 그걸로 끝인 세상인데... 일본 재처리 합니다... 지구 경제는 미국과 얼마나 친하냐...가깝냐.. 이걸로 승부가 납니다. 유엔? 국제적합의? 국제정치는 힘...
@flyingpan2639
@flyingpan2639 Жыл бұрын
세계 정세의 다극화와 국지적 분쟁으로 미국이 세계 경찰 노릇 피곤해서 못하겠다는 낌새만 보이면 누구나 자기 나라 지키려고 원자력(폭탄) 손댈거고 이미 100년된 쉬운(?)기술이라 억제할 수가 없게 될텐데 마지막에 무서운 얘기를 슬쩍하시네 ㅋㅋ
@떠도는이야기-j6c
@떠도는이야기-j6c Жыл бұрын
방사능 때문에 다 죽을판인데...아직도 원전 원전하니... 탈원전은 피할 수 없습니다. 지금 당장은 원전이 필요하다는 말도 답답한게..지금 준비하지 않으면 후꾸시마가 우리나라에서 펼쳐집니다. 답답한게..후꾸시마 방사능이 언제쯤 안나온다고 합디까? 영원히 나오는거에요. 방사능이 영원히 나온다구요. 그런데 한국에서 그 사고가 또 나기를 바랍니까? 인간이 만든 기계가 어떻게 완벽하다는건지..말도 안되는 소리나 하고 말이죠! 미국도 수소 경제한다고 천문학적인 돈을 투자하는 판에... 답답하네요. 구한말 나라가 망할때 봉건시대에 머물렀던 마치 그상황 같습니다. 그리고... 미국은 핵무기에 사용할려고 원전을 쓴다고 하지만...한국은 뭡니까? 농축도 못하는데..쓸데없는 플루토늄만 잔뜩 쌓이고 있잖아요. 이거 어쩔겁니까?
@kailask1856
@kailask1856 Жыл бұрын
전고체 배터리가 나오면 좋은데, 과연 실용화 까지는 ....
@gracefirst5597
@gracefirst5597 Жыл бұрын
금리가 떨어지면 더 상황이 좋지않았어요!제경험으론..금린ㅐ리면 더 무서운게 온다는거죠~
@nuabo02
@nuabo02 Жыл бұрын
인사이트라는 이름으로 포장된 뇌피셜
@수부타이kor
@수부타이kor Жыл бұрын
미국의 부채가 심각한건 사실입니다. 그동안 빚을 갚지못했어요.다른방향으로 몰고 가는것은 심히 걱정됩니다.미국에 사는 친구가 중앙정부의 부채가 심각하다고 말하더라구요.인플레이도 심각하구요.
@riahappy7713
@riahappy7713 Жыл бұрын
러시아가 전쟁일을킬줄몰랐죠 전쟁은 비상식적으로일어납니다
@mansoo2256
@mansoo2256 Жыл бұрын
합리적으로 생각하면 안일어나지만 현실은 대체로 반대죠...
@user-ig3wq2vp2f
@user-ig3wq2vp2f Жыл бұрын
한국산 주력 밧데리 좋은지 알지만 가격 경쟁력이 없다 누가 그 차이를 돈주고 사겠나 전기차를 살때 돈을 더 주더라도 그 가치가 있어야 한다 이게 밀리는 것
@한창석-w9f
@한창석-w9f Жыл бұрын
전쟁이 늘어나는데요?
@trigemxx
@trigemxx Жыл бұрын
전체 인구수가 줄어드니 식량이 남아돌아 안 싸울것이다 라는 논리인거 같은데... 단순... 인간의 욕망 이라는것을 간과하는듯.. 신.냉전 시대 아주 위험한 생각😮
@잡부노가다-h9u
@잡부노가다-h9u Жыл бұрын
인간의 욕심과 상반된 논리 중세의 전쟁은 나는요 벤츠탈래.. 팔인거를탈 래하면 나는가마탈거요😅
@cp-sb6cp
@cp-sb6cp Жыл бұрын
김학주 교수님... 지식도 많으시고 말씀도 잘 하시고 많이많이 부럽습니다. 다른 분들에게서는 듣지 못하는 미래에 대한 고견에 마음이 편안해집니다. 다음시간 학수고대합니다. 감사합니다..
@김해오름-j8x
@김해오름-j8x Жыл бұрын
전고체배터리가 앞으로 대세라지만 가격문제?
@무허공-z7n
@무허공-z7n Жыл бұрын
원전이 안전하면 강남에 만들자. 불쌍한 갱생도-절라도-강원도에 만들지 말고. 프랑스는 강변에 원전을 짓는다. 한강이라는 넓은 강도 있는데, 거기에 짓자. 핵발전소 지어서 전쟁때 폭격도 받고. 좋쟎아. 나도 핵발전소는 필요악이라고 보고 있는데, 장소는 갱상도에 하지 말고 서울 강남에 짓자. 그걸 못하면 양아치지.
@smileking28
@smileking28 Жыл бұрын
너는 생각이 왜그리 삐닥하냐?
@겨울산-n5m
@겨울산-n5m Жыл бұрын
맞는말씀
@kyungwonkim4363
@kyungwonkim4363 Жыл бұрын
전기싸게 쓰려 원전짓는건데 한강변 강남에 지으면 땅값으로 생산비 어마어마할텐데
@임찬우-n7k
@임찬우-n7k Жыл бұрын
​@@kyungwonkim4363용산 전 군기지 부지다가 지으면 되죠. 서울시 전기값 반토막나고 전선으로 인한 전력 손실도 없어지고.
@Dr.sohn5494
@Dr.sohn5494 Жыл бұрын
​@@kyungwonkim4363전기를 많이 사용하는 지역근처에 원전을 지으면 송전비용이 안들잖아. 서울에 원전을 만들어라
@샤이닝-x5n
@샤이닝-x5n Жыл бұрын
전쟁이 더나는데요??
@윤용순-r4s
@윤용순-r4s Жыл бұрын
전쟁 안 줄어들걸요? 거시적으로 볼때 전쟁질량불변론을 주장합니다 주기와 굴곡의 차이도 있겠지만... 미시적으로 보면 보이지 않습니다
@chjk83ify
@chjk83ify Жыл бұрын
세상이 돌아가는 흐름은 경쟁과 순환인데 전쟁이 안생길수 가 없음
@초코리-n1n
@초코리-n1n Жыл бұрын
이학주교수님 강의를 들으면 항상 새로운세상이 보입니다ㆍ 완전 차별화된 강의!
@keunjung5940
@keunjung5940 Жыл бұрын
Pepple can make an natorium electric cells? So it would be very cheap from now on if can make it. People can easily gather Natorims from Salt. Hope so to make a natorium electic cells so people I the world live so eaily and economically.
@슈슈-o3s
@슈슈-o3s Жыл бұрын
역사지식은 진짜 한심한 수준이네요 미드웨이는 일본의 본거지가 아니라 미군기지가 있는 미국의 영역입니니다 일본의 미드웨이 침공을 암호해독으로 미리 알고 대응해서 승리한 거고요 그리고 폴란드가 독일의 침략에 뭘 그냥 손놓고 있었다는 겁니까 독일과 소련의 협공에 얼마나 처참하게 저항했는지도 모르네요
@Bartes2063
@Bartes2063 Жыл бұрын
색다른 인사이트가 생겼네요
@진광신-j9s
@진광신-j9s Жыл бұрын
人生똑바로 (회원)
@sieunlee6411
@sieunlee6411 Жыл бұрын
RE100에 써먹을수도 없고, 미국의 허락없이 수출을 할 수도 없는데, 뭐가 유망하다는건가?
@hectorlee8403
@hectorlee8403 Жыл бұрын
원자력회사 직원입니다 수출 잘하고 있고요 re100 대심 cf100으로 바꾸면 됩니다
@jihyunkim8040
@jihyunkim8040 Жыл бұрын
그건 한국의 바램이죠. cf100은 아무도 인정 안해줘요 @@hectorlee8403
@sieunlee6411
@sieunlee6411 Жыл бұрын
@@hectorlee8403 CF100을 국제표준으로 만든 다음 그런 말씀을 하십시오, 무조건 원하면 바꿔지나요?
@뿌꾸-i9n
@뿌꾸-i9n Жыл бұрын
무조건 원하면 바뀔 가능성은 없지만 CF100 행복회로 돌릴 근거 2가지는 있습니다. 1. 가디언발 기사 현재 저품질 RE100 때문에 네임드 기업들도 그린워싱에 얽힐까봐 손절하고 있습니다. 2. 미국이 중국을 글로벌 공급망에서 노골적으로 배제하고 한국을 파트너로 삼으려고 하는데 내수에서 원전이 커버할수 있는 에너지 믹스 수요 커버할 가능성이 있습나다. 다만, 문제는 RE100이나 원전이나 수요지로 대규모 송전해야한다는 공통점, 그리고 내수는 잘 모르겠지반 UAE에 수출한 바라카 운전 역량 부족이 지적됐고, 운영진들에서 한국인들이 배제 되었는데 추후엔 개선될지 잘 모르겠네요.
@shalls6595
@shalls6595 Жыл бұрын
신재생은 송전망이 문제! 감사합니다
@dannywealth8039
@dannywealth8039 Жыл бұрын
전공이 뭔가요?^^. 분쟁 국가, 중동, 아프리카 사람들이 들으면… 참. 좋겠어요. 교수는 논문으로 일단 검증된 것을 이야기하는 지 검토가 되면 좋겠어요. 석학의 뇌피셜 보다는..
@가가기기-m8y
@가가기기-m8y Жыл бұрын
쭉 듣다가 우러 전쟁이 일어날 걸 알았다는 말 듣고 웃겨서 껐다 ㅋㅋㅋ 어이가 없네...
@paperatelier3832
@paperatelier3832 Жыл бұрын
폭력성 또한 인간의 본성중 하나라는점을 너무 간과하시는것 같습니다 원래 평화가 인간이 만들어낸 아름다운 개념인 것이고 전쟁이 자연상태라는 이론도 있습니다 이-팔 전쟁, 러-우 전쟁, 미얀마 내전, 수단 전쟁, 에티오피아 내전, 북아프리카 IS전쟁 전부 올해 일어났거나 여전히 벌어지고있는 전쟁입니다
@하늘사랑-j7f
@하늘사랑-j7f Жыл бұрын
젊은이들이 보고 꿈을 갖기를..
@ricksnow6997
@ricksnow6997 Жыл бұрын
여기저기 수박 겉 핥기식이라서 별 내용이 없네요. 노인들은 덜 먹고 인구감소되면 갈등이 줄어요? 오히려 노인들이 소비를 덜하고 인구감소로 소비자가 줄어서 재고가 쌓이는게 문제 아닌가요? 대공황도 소비감소와 재고 증가가 원인이었다고 들었는데. 노동인구감소와 산업기술 발달로 생산성은 엄청 증가될 것 같은데 소비자가 줄면 오히려 식민지를 더 가지려고 할듯.
@hermian9475
@hermian9475 Жыл бұрын
1. 폐기물, 2. RE100. 당장 우리가 어디에 집중해야할지는 저 두 단어로 끝. 그리드니 경제성이니 뭐가 더 친환경인지는 원전 포장하고 싶은 니들만 고민하는 쓸데없는 논쟁.
@될놈될-y2d
@될놈될-y2d Жыл бұрын
한동대 교수
@피닉스-l4f
@피닉스-l4f Жыл бұрын
자기만의 상상의 나래를 현실이라고 믿는 ㅋㅋㅋㅋ
@yongcholshim9331
@yongcholshim9331 Ай бұрын
아직도 금리가 쉽게 떨어진다 생각하십니까?
@소명섭-s8i
@소명섭-s8i Жыл бұрын
나트륨전지는 에너지밀도 문제로 자동차에 사용하기는 곤란할텐데..
@시니쇼니
@시니쇼니 4 ай бұрын
하나님의 영과 마귀의 영과 싸움이죠 영적 싸움 입니다
@fullman0015
@fullman0015 Жыл бұрын
자기전 복습 😊
@금손마녀-r6b
@금손마녀-r6b Жыл бұрын
김학주 교수님 방송은 자본주의에 대한 사심없는 투자를 할 수있는 기준지표랑 같습니다.. 정말 빠르게 바뀌는 전세계일을 알 수 있어 좋습니다..
@김수한무-f7f
@김수한무-f7f Жыл бұрын
듣다 듣다 짜증나서 나간다. 그래도 😊이프로는 좋아.
@user_historia_magistra_vitae
@user_historia_magistra_vitae Жыл бұрын
출산률하락으로 인간이 줄어드니 문제도 줄어든다카이~~!!❤
@KS42903
@KS42903 Жыл бұрын
김학렬씨 분 안 올리셨나요. 팟빵에서 듣고 비판 좀 쎄게 하려고 들렸는데요. 초반에 초부자 주거 스타일 썰 풀더니, 막판엔 또 부자동네 신축 커뮤니티 빨고 끝내더라고요. 집에서 밥 안해 먹는데 ㅋㅋㅋ. 저게 무슨 전문가라고 ㅋㅋㅋ
@엉투일기
@엉투일기 Жыл бұрын
오늘도 깊은 인사이트 감사합니다.
@bbokdoong
@bbokdoong Жыл бұрын
30년 주기로 전쟁과 평화가 반복되는듯. 한 세대가 평화롭게 지나면 전쟁의 무서움과 평화의 중요성 같은건 잊혀지고 먹고 살만해지니 욕심도 생기는거지. 인구가 늘고 물가가 오르고 자원이 모자르면 옆나라걸 뺏어오면 좋겠다는 생각도 하게 되는거고
@민성홍-g6n
@민성홍-g6n Жыл бұрын
전쟁이 줄어 든다고? 싸움은 붙이고 흥정은 말리랬다고? 너무 오랫동안 평화가 유지되었기도 하고? 더 중요한 것은 러와 중에 젊은 남자가 너무 많아서, 그냥 두면 푸와 시가 위태로운데? 평화를 원하면 전쟁을 준비하시라는?
@niconicnicole
@niconicnicole Жыл бұрын
댓글보니 정치적으로 해석하는애들진짜많네. 이런애들이 투자를한다고ㅋㅋ
@jakekim7873
@jakekim7873 Жыл бұрын
미국에 피터자이한이 있다면 ㅋㅋ한국엔 명문 한동대 김학주 교수가 있음 ㅋ 초전도체급 예언 잘 봤습니다 ㅋ
@inshikkim4850
@inshikkim4850 Жыл бұрын
먼 훗날 그럴수도 있겠죠..
@TV-ms6qh
@TV-ms6qh Жыл бұрын
양적완화하여 가계부채 청산하자.
@jjrj288
@jjrj288 Жыл бұрын
반론 1. 핵페기물 처리비용까지 합치면 화력보다 비싸다. 2. 사고의 위험성은 국가부도사태까지 날수있다. (외국과달리 우리나라는 원전이 도시근처에있다. 사고시 30km폐쇄) 3. 유럽은 태양광,풍력이 화력보다 이미 저렴해졌고 전기차보급으로 폐배터리 폭팔적으로 늘어나면 값싼 가정용 저장배터리 확보되면 태양광이 가장싼전력됨.
@Eric_GentleG_Ko
@Eric_GentleG_Ko Жыл бұрын
1. 핵폐기물 처리비용 생각해도 화력보다 싸다... 다만 점점 처리비용이 늘어날거라서 몇십년 후엔 비싸질거다.. 핵폐기물 처리 방법이 없어서 콘크리트에 묻고 있어서 처리비용에 대부분은 땅값이다. 2. 이거는 인정.. 다만 괄호 안의 내용은 전혀 다름.. 땅덩이 넓은 몇몇 나라를 제외하고 대부분의 나라가 원전이 도시 근처에 있다.. 평균적으로 오히려 우리나라가 원전과 도시가 먼 편에 속한다. (당장에 일본만 봐도 사고난 곳이 이미 도시임) 3.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미안합니다 웃지 못할 수가 없군요. 유럽도 태양광 풍력이 너무 비싸서 원자력 카드를 다시 들려고 하고있다.. 심지어 그 중심에는 RE100을 만들은 독일이 제일 앞서고 있다. 전기차 배터리와 가정용 배터리는 아예 원료가 다르다.. 이미 가정용 배터리가 전기차 배터리보다 월등히 싸다. 전기차 배터리와 가정용배터리의 가격이 비슷했다면 지금처럼의 배터리 산업 이슈는 없었을 거다. 사우디 사막의 발전소에 이미 수천km 수준의 배터리 저장소가 있다.
@Iloveyouuuuuuuuuuuq1
@Iloveyouuuuuuuuuuuq1 Жыл бұрын
뭐라노 테슬라만 하더라도 전기차 안팔리면 그 베터리 ess에 쓰면 된다는게 전략이구만 페이크뉴스 그만
@Iloveyouuuuuuuuuuuq1
@Iloveyouuuuuuuuuuuq1 Жыл бұрын
그리고 우리나라 말고 대부분의 국가에서 신재생이 그리드패리티 달성했는데, 이걸 웃는게 더어이없네 ㅉㅉ
@jjrj288
@jjrj288 Жыл бұрын
@@Eric_GentleG_Ko 1. 땅값만 문제다?? 우리나라처럼 핵폐기물을 콘크리트에 저장해서 묻는것은 임시처리 입니다. 그래서 경주폐기장에서 계속 문제가 생기고 있는것입니다. 현재 나온 완전한 해결책은 지하 수백미터의 암반층에 봉인하는 것입니다. (우리나라 핵폐기장은 수명이 다하면 다시 옮겨야합니다. 그러니 엄청난 처리비용이 생긴다는겁니다.) 2. 미국과 일본과 체르노빌 원전사고를 보면 대도시와 떨어져있는 곳이였기에 원전누출지역에서 30km를 폐쇄해도 되었지만 우리나라는 고리에만 짓고 있는것포함 6기가 있는데 부산과 붙어있어서 30km 폐쇄하면 200만명 이재민 발생하고 국가 부도납니다. 3. 어느 자료를 보았는지 모르지만 다시 조사해보시죠. 태양광과 풍력이 발전된 곳은 어디서나 화력보다 단가가 낮습니다. 다만 지속성에 문제가 있어서 더 확대를 못하고 있지만 전기차로 인해서 배터리가 폭팔적으로 보급되면 저장장치의 증가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가정용 충전배터리는 자동차 폐배터리를 이용해서 70%이상의 효율은 얻을 수 있기때문에 재사용 가능합니다.
@Eric_GentleG_Ko
@Eric_GentleG_Ko Жыл бұрын
나 진짜 다들 어디서 이상한 얘기들만 듣고왔는지 모르겟네..테슬라 전략은 그냥 지들 생존 전략인거고.. 자동차용배터리는 리튬이온배터리고 가정용,산업용 배터리는 니켈카드뮴이나 납축전지인데 단가가 압도적으로 차이가 나는데 테슬라 얘기 하나 듣고 그게 맞다고 하는게 진짜 어처구니가 없다 ㅋㅋㅋㅋ 암반층 처리비용 이슈에 메인이 땅값임..... 암반층 돌들과 콘크리트 사이사이에 물질 넣어서 묻는건데... 돈 들게 별로 없습니다.... 태양광과 풍력 단가가 싸다는건 정말 어디 정보보고 얘기하시는거예요???? 단적으로 얘기할까요?? 축산업쪽에 목장 지붕에 왠만한 곳들에 전부 다 태양광 발전 설치되어있는데, 본전뽑는데 15년 걸립니다!!!! 화력, 원자력 발전소 본전 뽑는데 짧으면 3년 길어도 8년이면 뽑습니다.. 제!!!!발!!! 직접 찾아보고 알아보고 얘기하세요.. 걍 어디 영상에서 나온거 주워듣고 아는척 말고..
@hong9492
@hong9492 Жыл бұрын
재건축 조합 한 번 가보세요. 과연 노인들의 욕심과 갈등이 줄어드는지... 자식을 향한 욕심엔 끝이 없습니다. 수명 연장으로 그런 분들의 인구가 늘어나는데 어떻게 갈등이 줄어들까요 ㅎ 그리고 전면전 발발은 예상하기 어려운 요인으로 터집니다... 서로 원하지 않더라도... 여태까진 미국이 유지하던 질서 때문에 전쟁이 없었던 건데... 그 질서가 잠깐 흔들려도 중국, 러시아, 팔레스타인 등등 저렇게 나오는데 그게 줄어들 수 있다고요? ㅎ 이젠 미국이 전면전에 개입하지 않는다고 언급하셨잖아요... 그게 카오스의 시작일겁니다 에휴... 경찰 없는 국가를 상상해 보십쇼. 어떻게 저렇게 지정학적 질서를 간과하고 주장을 하시는지요.
멈출 수 없는 중국 과생산, 한국경제 다시 위기입니다 (한동대학교 김학주 교수)
59:56
Chain Game Strong ⛓️
00:21
Anwar Jibawi
Рет қаралды 41 МЛН
So Cute 🥰 who is better?
00:15
dednahype
Рет қаралды 19 МЛН
대왕고래 탐사 어땠길래 실패라고 말하는 걸까? (언더스탠딩 김상훈 기자)
29:22
언더스탠딩 : 세상의 모든 지식
Рет қаралды 81 М.
자석이 없으면 원시시대로 돌아갑니다 (카이스트 김갑진 교수)
1:13:16
언더스탠딩 : 세상의 모든 지식
Рет қаралды 696 М.
AI와 바이오가 만나면 이런 일이 벌어집니다 (한동대학교 ICT창업학부 김학주 교수)
57:25
중국 딥시크가 삼성의 구원자가 될 겁니다 (세종사이버대 김덕진 교수)
1:13:44
언더스탠딩 : 세상의 모든 지식
Рет қаралды 201 М.
'마약 왕국' 미국 뒤에는 제약회사가 있다 (양성관 의정부백병원 가정의학과 과장)
1:09:09
패권의비밀; 4차산업혁명시대, 부국의 길 - 서울대 김태유교수
1:50:50
Chain Game Strong ⛓️
00:21
Anwar Jibawi
Рет қаралды 41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