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뉴스] "일본 직장인들 박탈감 느껴"..역대급 엔저에 일본이 초조한 이유① (ft.이창민 한국외대 국제지역대학원 일본학과 교수) / SBS / 교양이를 부탁해

  Рет қаралды 376,821

SBS 뉴스

SBS 뉴스

22 күн бұрын

*컨트리뷰터: 이창민 한국외대 국제지역대학원 일본학과 교수
"일본은행은 지금 마음을 놓지 못하고 있는 거예요. 올해 춘투에서 '임금 인상률을 5.28% 역대급으로 올릴 것이다'라고 말씀드렸는데, 이게 정말 정착이 돼서 매년 이렇게 임금이 올라갈지 아니면 이게 임금이 올라가다가 또 어느 순간 가서 또 경기 침체에 빠질지 그런 불안감이 있습니다. 그래서 이제 금리 인상에 대해서는 조금 거리를 두고 있고. 만약 금리를 올리면 지금 엔저는 어떻게든지 엔의 가치는 회복이 되겠지만 그 대신 실업률이 올라가고 기업이 도산할 위험이 있습니다."
"역대급 엔저로 인해서 이제 고물가의 고통이 있지만 그 고물가의 고통을 견디는 게 낫느냐 아니면 금리를 올려서 실업을 실업률이 올라가서 실업의 고통 어떤 게 더 차라리 낫느냐 비교를 하면 고물가의 고통은 모두가 나눠서 지잖아요. 그리고 결정적으로 일자리가 제일 중요합니다. 일자리가 있으면 고물가의 고통은 어떻게든지 버틸 수가 있어요. 그런데 일자리가 없는 고통은 정말 힘들죠. 그래서 일본은행이 택한 건 지금 물가 상 엔저 때문에 수입 물가가 올라가서 고물가의 고통은 있지만 그래도 섣불리 금리를 올려서 실업률이 치솟고 기업이 도산하는 이 최악의 시나리오는 막아야 하겠다는 생각이 강해서 아마 금리 인상을 섣불리 그렇게 빠른 속도로 하지는 않을 것이다. 굉장히 신중히 할 것으로 생각이 됩니다."
[제작진]
기획•연출: David / 영상취재: 박승원•박영일 / 편집: 현승호 / 콘텐츠디자인: 김정연 / 작가: 김성민 / 인턴: 권도인
[비즈니스 문의]
교양이를 부탁해, 출연•협찬•콘텐츠 문의: davidhan@sbs.co.kr
#sbs뉴스 #일본경제 #슈퍼엔저 #고물가 #관광특수 #직장인 #인플레이션 #일본경제 #미국금리 #교양이를부탁해
▶SBS 뉴스로 제보해주세요
홈페이지: news.sbs.co.kr
애플리케이션: 'SBS 뉴스' 앱 설치하고 제보
카카오톡: 'SBS 뉴스'와 친구 맺고 채팅
페이스북: 'SBS 뉴스' 검색해 메시지 전송
이메일: sbs8news@sbs.co.kr
문자: # 누르고 6000
전화: 02-2113-6000
▶SBS 뉴스 채널 구독하기 : n.sbs.co.kr/youtube
▶SBS 뉴스 라이브 : n.sbs.co.kr/live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Пікірлер: 703
@grida7000
@grida7000 19 күн бұрын
일본은 월급 안올라도 취업이라도 잘되지... 우리나라는 뭐냐... 지금 남 걱정할 때가 아냐...
@betlelis
@betlelis 20 күн бұрын
이거 나중에 우리나라도 이렇게 될수도 있다는 것을 항상 명심해야되고 대비하면서 반면교사 삼아야됩니다!!
@betterpeanut
@betterpeanut 20 күн бұрын
한국은 일본처럼 되면 성공임. 전문가들은 그리스 터키 아르헨티나 처럼 될거라 봄.
@user-cg2ox3bh2n
@user-cg2ox3bh2n 20 күн бұрын
@@betterpeanut 우리나라가 그만한 관광자원이 있다면 다행이네.
@y00n_skjn
@y00n_skjn 20 күн бұрын
일본은 기축통화국이니까 이정도 버틴거지 우리나라 무너지면 회생불가능함...
@betlelis
@betlelis 20 күн бұрын
@@y00n_skjn 미국처럼 기축통화국은 아니지만 사실상 준기축통화국이나 마찬가지인거죠
@acasia123
@acasia123 20 күн бұрын
기축통화국 외치는 놈이 190석 싹쓰리했는데 2,000원은 금방이지. 게다가 기본소득까지 주장하는 놈인데...ㅋㅋ 재벌들 지화자겠구나.. 서민은 이제 죽었다 봐야지..찢찢찢
@nangyukan6628
@nangyukan6628 20 күн бұрын
국채이야기는 왜 안하시는지 금리가 오르면 국채의 이자부담이 세수를 넘을 수도 있다는걸 이야기 안해주시네요
@user-we1dy5uc8g
@user-we1dy5uc8g 20 күн бұрын
그래서 못올리고 있다가 정설인걸로 알고 있습니다.
@sungjunkim287
@sungjunkim287 19 күн бұрын
맞아요 이게 핵심인데 너무 원론적인 얘기만…
@user-fl7hk4do3x
@user-fl7hk4do3x 20 күн бұрын
우리나라도 비슷함 월급도 안오르고 점심 값도 넘 비싸서 편의점 도시락 사먹는 직장인이 늘고 있음 그런데 엔저라 한국 지동차도 점점 경쟁력이 떨어짐 그나마 일본은 수출이 잘되서 월급은 안오지만 취업 지리는 차도 넘치고 40,50된 사람도 이직도 잘됨 한국은 40,50되면 짤리고 갈 때가 없음
@user-bs6sj7ml8r
@user-bs6sj7ml8r 20 күн бұрын
취업 자리는 많은데 일 할려는 베이비붐 세대가 일 안하고 있죠 그 자리를 외노자로 채우고 있습니다..동남아 그리고 한국
@user-fk3od8vz6y
@user-fk3od8vz6y 19 күн бұрын
적어도 한국 지표는 좋음. 서유럽 선진국, 일본 성장률 발랐고. 미국보다 근소하게 앞섬.
@jeter293
@jeter293 19 күн бұрын
40대 후반 정도 되어야지 그런 일이 생길수 있죠
@user-gl8yq2sn2p
@user-gl8yq2sn2p 19 күн бұрын
섬나라가 부러운가 보네. 능력이 있으면 못 나가게 잡던데...
@seokkihong5351
@seokkihong5351 19 күн бұрын
일본사는 사람인데 전혀 한국보다 좋다고 할수 없을거야 살아보면
@user-qg2bn9un2h
@user-qg2bn9un2h 20 күн бұрын
우리나라두 비슷해지고있죠 원화가 오르면서 수출비중이높은 경제성장률.GDP 는 2.5%현제미국하고 공동1위이나 내수시장.내수비중이 높은 중소기업.자영업자는 IMF급 경제위기이고.. 전세계가 미국경제에 끌려다니는 안타까운 현실
@topaz1397
@topaz1397 20 күн бұрын
11개월 연속흑자 1분기 1.3% 경제성장률이 얼마나 대단한거냐면 21년만에 최고치고, 예상 경제성장률 2.6% 가 얼마나 대단한 수치냐면 GDP 2만불이상 G20국가중 1위 입니다. 물가안정률 또한 OECD 2위입니다. 이런국가는 세계 유일 한국뿐입니다.
@snowcountry322
@snowcountry322 20 күн бұрын
일본 안가본 사람같아요 ㅎ
@senjingjoseon111
@senjingjoseon111 20 күн бұрын
​@@topaz1397그래봤자 기저효과 반등. 내수 지표는 전부 마이너스 ㅋㅋ
@user-vk5rg3nh5p
@user-vk5rg3nh5p 20 күн бұрын
@@topaz1397 건설지표만 견인한건데.. 이게 과연 정상적일까요 ㅋㅋㅋ 돈 퍼부어서 건설부문 억지로 끌어올린건데
@user-ur4gj9gy8y
@user-ur4gj9gy8y 20 күн бұрын
내수 박살나는게 문제임
@user-sm2kk1st3b
@user-sm2kk1st3b 20 күн бұрын
원화도 달러대비 약세라서 남의 일이 아님 수입하는것들 다올라서 서민들은 죽을 맛인데 이게 지금 끝이 안보임 ㅠ
@user-xn1tb4ql6f
@user-xn1tb4ql6f 20 күн бұрын
수출경쟁력이 떨어질수록 수입품이 비싸지고 거지국가가 되는거죠. 최저임금 급상승은 최저임금자 비율만 높이고 물가도 동시에 오르죠
@Luciferdevil-ic3kx
@Luciferdevil-ic3kx 19 күн бұрын
달러,유로 빼고 전세계모두 마찬가지.. 즉 달러 종속에서 벗어나거나 달러와 경쟁할 다른 기축통화가 출현해야가능.. 미국은 이번 금리,환율 , 인플레 조작으로 최소 1조달러 가까이 앉아서 돈벌었슴.
@lovelyCorea
@lovelyCorea 18 күн бұрын
난 이걸 이렇게 생각함.우리는 그동안 원화에 대해서 너무 평가절하를 시켰음 스스로 수출위주의 정책에 따라서 수출을 위해서 인위적으로 원화약세를 스스로 만들었음 근데 이게 결과적으로는 브랜드 가치와 같이 지속적으로 원화의 브랜드가치를 스스로 약화시킨거나 마찬가지임.원화는 말그대로 고급 브랜드가 아님.싱가포르 달러 미국달러처럼 고급 브랜드가 아니라 러시아 루블같은 가지고있어도 가치가 쓸려나가는 쓰레기 돈으로 취급받다보니 이상태가 오는거임 앞으로 원화강세가 오긴 힘들거임
@user-om9tt5ol1h
@user-om9tt5ol1h 18 күн бұрын
소득주도성장 으로 대한민국도 이미기울기 시작했습니다.
@user-su8fq4yr8h
@user-su8fq4yr8h 17 күн бұрын
왜 그리 되었는지,,,,,
@user-yy4sk6wz2d
@user-yy4sk6wz2d 20 күн бұрын
세상에(지구를 포함한 모든 은하계를 포함한 우주 공간) 영원히 성장하는 건 없어요. 성장한다는 건 우선 충분한 공간과 여유가 있을 때 가능한 조건입니다. 유지하는 현상은 무한대로 성장할 수 없는 환경에서 누릴 수 있는 최대 조건을 충족했다는 뜻입니다. 쇠퇴 곡선은 더 이상 유지할 능력을 상실했거나 명 줄이 다 했다는 증거입니다. 그리고 사망합니다. 이게 일반적 자연 현상이라 이상할 것이 아닙니다. 그나마 다행?인 사실은 우리는 남한이란 작은 섬에서 최대치를 찍었는지 몰라도 북쪽과 그 넘어의 기회는 현실적으로 존재한다는 사실입니다. 흔히들 기회는 여러 번 온다고는 하지만 그거야 능력에 따라 결정될 일입니다. 세상은 마음 먹기에 따라 달라져요. 하늘이 무너져도 정신만 차리면 솟아날 구멍은 있습니다.
@user-ci7vt8nn7n
@user-ci7vt8nn7n 20 күн бұрын
고물가의 고통은 다같이 지는거 실업의 고통은 실직자만 지는거. 경쟁력 없는 기업을(저정도 이자도 못견디는) 국민이 다같이 짊어지고 가는게 맞는건지.
@user-nu1zs7qy8n
@user-nu1zs7qy8n 20 күн бұрын
출산율 0.6인 나라가 뭔 옆나라 걱정하는지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oxovy0
@oxovy0 20 күн бұрын
ㄹㅇㅋㅋ 출산율감소가 일본의 2배!! 일본은 중견기업이 강성하니 소득수준의 월급을 줄수있어서 그나마 결혼하는데 한국은? 결혼하려면 옛날처럼 6일 9시간 노예처럼 일해야 됨
@user-jt6fo1dw3b
@user-jt6fo1dw3b 20 күн бұрын
@younmi-mt1ht 월급 적어서 결혼 안하는게 아니면 왜 안하는데? ㅋㅋ 솔직히 월급 적어서 결혼 못하는게 맞긴 하지만 다른 이유도 붙일라면 붙일수 있다에 가깝지 않음? 10년전인가 20년전도 150~200수준이었는데 미친듯이 오른 물가에 비해 청년 월급이 여전히 200~300임 ㅋㅋ
@user-vh1mw6tk6o
@user-vh1mw6tk6o 20 күн бұрын
​@younmi-mt1ht그럼 뭐? 설마 집값 같은 소리 하는건 아니겠지
@user-xr8kb5rd9t
@user-xr8kb5rd9t 20 күн бұрын
싱가포르 홍콩 대만도 한국처럼 출산율 1프로 이하다
@user-id5xq1ep8b
@user-id5xq1ep8b 20 күн бұрын
@@user-jt6fo1dw3b답도없는 비교문화 페미의 패악질 퐁퐁남이론이 합쳐 이런 최악의 출산율을 기록하는거임 출산율 반등 시키려면 미디어에서 고당엄빠같은 프로그램 폐지하고 인스타 규제좀 해야됨
@user-hu8lm3vu5p
@user-hu8lm3vu5p 19 күн бұрын
일본 걱정할 때가 아니다
@_drgnlake_
@_drgnlake_ 18 күн бұрын
누가 누굴 걱정해요???? 😂😂😂😂ㅋㅋㅋㅋㅋㅋㅋㅋ
@user-yz4ql5mp9r
@user-yz4ql5mp9r 14 күн бұрын
나왔다 한국이나 걱정해라 충ㅋㅋㅋㅋ
@_drgnlake_
@_drgnlake_ 9 күн бұрын
@@user-yz4ql5mp9r 현피 뜨자 나와라
@_drgnlake_
@_drgnlake_ 8 күн бұрын
@@user-yz4ql5mp9r 뭐 충? 마짱 깔래???
@user-bl8nx5kk2p
@user-bl8nx5kk2p 20 күн бұрын
웃긴게 왜 엔저만 신경쓰고 있냐¿ 지금 원화도 바닥인데。。 이게 말로만 듣던 내부의 문제를 외부로 돌리는건가¿¿
@user-uy5he1yw9w
@user-uy5he1yw9w 20 күн бұрын
ㄴㄴ 니가 일뽕임
@user-bp8rh8ks4e
@user-bp8rh8ks4e 20 күн бұрын
원화가 바닥이면 엔화는 지하실이니깐.
@niendeiv9898
@niendeiv9898 20 күн бұрын
​@@user-bp8rh8ks4e실상은 원화가 지하실이고 엔화가 바닥인데 근데 지하실가도 원래 인지도가 높은 화폐가 아니라 관심도 없긴하더라
@user-by8yj8tu6g
@user-by8yj8tu6g 19 күн бұрын
​@@niendeiv9898 원엔 환율이 그대로 나와있는데 바닥 지하실은 반대지... 난 윤석열 혐오하는데 그래도 엔화가치가 원화가치보다 훨씬 떨어져있는게 맞지... 원엔 환율이 나와있고 눈으로 보이는데. 엔화 투자한다던애들 다 아직도 물렸잖아
@niendeiv9898
@niendeiv9898 19 күн бұрын
@@user-by8yj8tu6g 그러면 화폐가 뭔 비트코인도 아니고 갑자기 확 오르냐? 엔저기조 유지하면서 서서히 올리겠지 근데 한국은 원해서 맞이한 원저도 아니고 금리 3.5%랑 외환개입해서 우주방어한게 그 정도면 실제론 훨씬 취약한게 맞음
@dowarp737
@dowarp737 20 күн бұрын
한국 일반 서민도 거지다
@japanblanket
@japanblanket 19 күн бұрын
​@@Eudk9uHsjk 일본 직장은 공채 정규직으로 채용되면 웬만하면 65세 보장받고 대기업도 60세, 중소중견은 70세까지 보장받는게 대부분임. 사실 대부분 실질적인 삶은 한국보다 더 벌고 더 좋은 혜택 받는데 쟤들은 전세라는 개념없이 30후반, 40초반에 무조건 자기 집을 30~40년을 은행대출로 집을 하나 사고 동시에 노년 연금을 위한 적금 등 현금을 많이 모으느라 다른 곳에 돈을 안쓰는거. 일본학과 교수라는 놈이 아는게 없어.
@user-vu1ox8xs4y
@user-vu1ox8xs4y 19 күн бұрын
서민들이 부자인 나라도 있냐 자본주의가 그렇지 뭐
@beemmer2
@beemmer2 19 күн бұрын
당연한 말을 새삼스럽게 하는 재주가 있네?ㅋ
@jeter293
@jeter293 19 күн бұрын
극단적인 좋아하는 심리
@user-gl8yq2sn2p
@user-gl8yq2sn2p 19 күн бұрын
그러니 서민이라 하는데 그러면 돈을 더 많이 벌든가? 노력은 안하고 부자되기를 바라니 거지근성이지
@user-yt5rc9fo8q
@user-yt5rc9fo8q 20 күн бұрын
한국이 더 심각해ㅋㅋ
@user-ig9py2ri8i
@user-ig9py2ri8i 18 күн бұрын
근본적으로는 산업경쟁력이 떨어지는게 문제인 것이다. 금리문제는 지엽적이지 본론은 아니다.
@user-wi5en7zd3g
@user-wi5en7zd3g 20 күн бұрын
일본인들도 과거 80~90년대 엔고 시절에 싼맛에 우리나라 여행 많이 왔었다. 심지어 기생관광도 많이 왔었음.
@NaYoungSeung
@NaYoungSeung 13 күн бұрын
헛소리하지 마라. 2019년에도 한국인들은 일본 많이 갔다. 그냥 아전인수식 해석이지 일본인들은 엔고시절에도 년평균 출국자수가 1000만명 안팎으로 작년과 큰 차이가 없었어 ㅋㅋㅋ
@park27379
@park27379 19 күн бұрын
누가 누굴 걱정하냐 적어도 일본 젊은세대는 대학3학년때 이미 취업 내정, 회사 골라서 취직하는데
@jyjeong4894
@jyjeong4894 20 күн бұрын
한국이나 신경써세요
@user-si1ot6lp3v
@user-si1ot6lp3v 17 күн бұрын
라고 0.6 출산율의 국가가 말합니다.
@Julie69_69
@Julie69_69 11 күн бұрын
만약 한국의 경제 수준이 일본 경제수준이였다면 출산율 0.4였을듯?
@user-jc5fr8bn5v
@user-jc5fr8bn5v 20 күн бұрын
미국은 지금 전세계를 향해서 고금리로 이기적인 형태로 나아가고 있는데 보시면 미국 경제만 계속 좋아지고 주변국들은 점점 경제가 약화되고 있습니다. 고금리를 계속 유지하면 우리나라도 결국 파산할겁니다.
@user-bu2xd3qs3s
@user-bu2xd3qs3s 20 күн бұрын
이기적이라고? 애초에 경제관리를 잘 했어야지. 지들이 위기준비 안하다가 금리 못올려놓고, 중소은행파산이나 폐급기업 도산시키면서 고금리 버티는 미국이 이기적이다? 마인드가 좀 이상하시네요
@kyhanel
@kyhanel 20 күн бұрын
​@@user-bu2xd3qs3s 달러강세유지로 전세계 삥뜯기로 경제 유지하는 건 사실임
@user-wh4wd9ei4k
@user-wh4wd9ei4k 20 күн бұрын
양털깎이
@user-qh4fc9vn2e
@user-qh4fc9vn2e 20 күн бұрын
금리 찔끔씩 천천히 올렸더라면...
@user-fk3od8vz6y
@user-fk3od8vz6y 19 күн бұрын
@@user-bu2xd3qs3s 이기적인건 아니고, 이대로 계속 가면 달러 패권은 좀 힘들지.
@user-oj4ws5em5w
@user-oj4ws5em5w 20 күн бұрын
장기적으로 한국이 더 심각해지는고 아닌가
@user-pr7nm9ur5d
@user-pr7nm9ur5d 20 күн бұрын
부채로 성장한 현 체계의 한계를 보여주는거같아요. 돈없으면 찍어서 풀다보니 화폐가치가 떨어지니 물가고 오르고😢 새로운 경제체계가 구축되야된다 생각듭니다. 나중에 불어난 부채로 10년뒤쯤 화폐개혁 같은게 일어나지않을지 조심스레 예측합니다.(너무갔나??;)
@user-uf8ti9sw1i
@user-uf8ti9sw1i 20 күн бұрын
아니 일본은 사실상 완전고용상태인대 무슨 실업율 걱정을 하는 이야기를.
@user-by4zm3sp7k
@user-by4zm3sp7k 20 күн бұрын
지금 한국 관광 정도가 딱 좋다. 관광이 발전 한 나라들 진저리를 친다. 예전에 제주도 쓰레기 그 난리 통을 봐라. 명동도 마찬가지였다. 너무 많이 오면 우리도 짜증 나고 외국인도 나쁜 기억 가지고 돌아간다.
@Kumataro153
@Kumataro153 17 күн бұрын
외국인한테.불친절해진이유. 무언의 룰이 엄청많은나라.서로에게 불편주지않고 사회의 규칙지키기위해서. 외국인은 지들멋대로, 그나라의규칙따윈 무시, 도를넘음, 불친절하게대할수밖에없음.
@user-gh7ox9oi1d
@user-gh7ox9oi1d 20 күн бұрын
누가 누굴 걱정하고있냐
@user-qw9od8nq6y
@user-qw9od8nq6y 20 күн бұрын
우리는 말해도ㅜ안바뀌니 일본 너네라도ㅜ바뀌라고 하는거임
@jsk8686
@jsk8686 20 күн бұрын
지금 일본걱정 할 때인가 젠장
@greatmen81
@greatmen81 20 күн бұрын
뭐라고 한국은부자냐..한국이나걱정해라..이거 멍청한건지..모르겠다..
@raynal-RDIABLO
@raynal-RDIABLO 20 күн бұрын
일본이 금리를 올려도 문제 안올려도 문제
@limlee4872
@limlee4872 20 күн бұрын
일본보다 더 최악인 나라에서 뭔 남 걱정 타령??
@user-gl8yq2sn2p
@user-gl8yq2sn2p 19 күн бұрын
뭘 알고 한국이 더 하다고 하냐?
@consolemania80
@consolemania80 19 күн бұрын
​@@user-gl8yq2sn2p 출산율만 봐도 알텐데
@shinevalentine1155
@shinevalentine1155 19 күн бұрын
ㄹㅇ 우리나라 가장 쓸데없는 걱정이 남 걱정임 지금 우리나라 또산율에 북핵에 내부적으로도 갈등 최고조인데 이런 상황에서 무슨 남의 나라 상황까지 봐야함? 우리나라 내부적인 문제들만 긁어서 방영해도 1년내내 우려먹을듯?
@jdfserf
@jdfserf 18 күн бұрын
@@user-gl8yq2sn2p내수시장 출산율 국민연금 재정악화 자살율 행복지수 볼거 천진데??ㅋㅋㅋ
@GuGu-se4uw
@GuGu-se4uw 18 күн бұрын
뭐가 최악이라는거야 ㅋㅋ 일본 월급 얼만지 들어봐라 ㅋㅋㅋ
@user-ri7sj8gv2q
@user-ri7sj8gv2q 20 күн бұрын
일본이 마이너스 금리 해제하는거는 해도 금리 인상은 어려워. 임금 인상 이런거 다 집어 치우고, 국가 부채가 엄청난데, 금리 올리면 일본정부가 갚아야 할 이자가 복리로 눈덩이처럼 불어날텐데, 그것도 감당이 불감당이야. 금리 인상 진짜 어려워.
@colabeee
@colabeee 20 күн бұрын
할 수 있습니다. 금리를 올리자마자 일본이 큰일 날 만큼 체력이 약하지가 않습니다. 당장 올려도 아무 문제가 없습니다.
@user-we1dy5uc8g
@user-we1dy5uc8g 20 күн бұрын
​@@colabeee금리를 일프로 올릴때 부채에 대한 이자가 얼마인지 알고 이야기하는 건가요?뜬구름 잡는 소리 좀 그만하고요..
@user-cp3rm3tg2x
@user-cp3rm3tg2x 20 күн бұрын
@@colabeee시대에 뒤떨어짐 금리인상충들 소름돋네 시대가 바뀌었어 기존의 경제지식들 아무 필요가 없다고 세상 경제 흘러가는거 안보이냐?
@colabeee
@colabeee 19 күн бұрын
@@user-we1dy5uc8g 알아요. 하지만 몇 년 정도 버티는 건 거뜬합니다
@colabeee
@colabeee 19 күн бұрын
@@user-cp3rm3tg2x 저는 무조건 인상해야 한다는 입장이 아닙니다. 우에다도 데이터를 보면서 금리를 올릴지 말지 판단하고 있습니다. 거친 말을 하지 마시고 성숙한 토론을 하시지요.
@user-su2jh9wg5z
@user-su2jh9wg5z 18 күн бұрын
야 솔까고 한국이 더 심각해. 누가 누굴걱정해. 적어도 일본은 해외여행도 안가고 내수 살리는 노력이라도하지. 한국은 빚내서라도 해외여행가서 인스타자랑 해야 자존심 안상하잖아
@papitoricokim8475
@papitoricokim8475 18 күн бұрын
관광객이 넘 많아 일본 특유의 분위기가 엉망이 됫음..우리나란 망한 일본보다도 소득이 아직 낮고 미래도 읍다..우리가 더 불쌍 ㅜㅜ
@user-jh8hl5sc5q
@user-jh8hl5sc5q 12 күн бұрын
우리나라 일본보다 평균 소득, 중위 소득 높은데요? 글을 쓸 때는 알아보고 씁시다 ^^
@papitoricokim8475
@papitoricokim8475 12 күн бұрын
@@user-jh8hl5sc5q 참 불쌍하다..지식 수준이 ㅋ
@papitoricokim8475
@papitoricokim8475 12 күн бұрын
@@user-jh8hl5sc5q 일본은 1990년도에 지엔피가 4만3천불이였어..그때 한국은 6천불이였고 그뒤 일본경제가 망해서 3만불데로 내려갔고 우린 이제사 3만3천불 됫다..지식좀 쌓고 나불대자..
@user-jh8hl5sc5q
@user-jh8hl5sc5q 12 күн бұрын
@@papitoricokim8475 GNP는 국민총생산을 나눈 거구요^^ 근로소득을 보셔야죠 ㅋㅋ 회사가 돈 벌면 님이 그 이득 가져가세요? ㅋㅋㅋ 대만은 GNP, GDP 한국 다시 따라잡았는데 왜 국민들 평균 임금은 여전히 훨씬 한국 보다 낮나요? 이미 통계로 일본 평균 근로소득은 한화로 3600만원 수준, 한국은 평균 4200만원 수준이라고 나왔는데 왜 멍청하게 통계랑 기싸움하세요 ㅋㅋㅋ
@user-jh8hl5sc5q
@user-jh8hl5sc5q 12 күн бұрын
@@papitoricokim8475 GNP,GDP는 말 그대로 님이 벌어들인 돈이 아니라 회사, 기관 등이 벌어들인 돈 전체를 말하는 거에요^^ 소득을 비교할 거면 각국 통계청이 내놓은 근로소득 통계를 비교해야죠 ㅋㅋ 멍청하게 GNP를 끌고올 게 아니라
@user-tw9lt4eu4c
@user-tw9lt4eu4c 20 күн бұрын
뉴스특) 한국 경제 망한거 숨기려고 일본에 관심돌림 정신승리 할 시간에 뭐라도 해라 지금 imf 시즌2 소리도 나오는 마당에.....
@user-fk3od8vz6y
@user-fk3od8vz6y 19 күн бұрын
imf 시즌 2 소리는 니들이 불안감 만들어서 이득보려고 하는 소리고. 사상 최대 수출 역대 갱신중이고, gdp 성장률 2만달러 넘는 나라중 1등이다. 물가 안정률 oecd 2등이고.
@user-pu5jk4dy7e
@user-pu5jk4dy7e 18 күн бұрын
IMF 때는 대외자산이나 외환보유고도 얼마 없었고 계속 경상수지가 적자라 그런건데 지금은 대외 순자산도 1000조고 경상수지 흑자도 수십조로 나오고 있는데 무슨 IMF고...
@stevekauffmann2162
@stevekauffmann2162 17 күн бұрын
현재 한국 경제 지표는 굉장히 좋음. 한국 경제 성장률 예측도 전부 상향조정하고 있는 중임. 다만 우리가 실제 살아가면서 느끼는 체감 경기와 물가가 개판이라서 문제지.
@user-hd1tx8sz8n
@user-hd1tx8sz8n 17 күн бұрын
그래서너는모하는데..
@user-xi6ow8pv8q
@user-xi6ow8pv8q 16 күн бұрын
IMF 오려먼 외환 보유고 바닥에 무역 수지 적자여야 발생. IMF는 절대 안오니 비유하고 싶으면 다른거로 비유해라 현실감 떨어짐
@user-rn8lq5yk2u
@user-rn8lq5yk2u 20 күн бұрын
1:50 몇몇 기업에는 기본급 10%씩 인상했습니다. 제가 알기로는 중공업, 중기계 대기업이 일괄적으로 실행한걸로 알고있어요.
@grass88107
@grass88107 16 күн бұрын
옆집에 불났다고 해서 비웄었어요. 근데 생각해 보니 저는 불탈 집도 없더라구요. 그래서 울었어요.
@user-qo9nm1vc3w
@user-qo9nm1vc3w 15 күн бұрын
비유가 전문가 수준 입니다
@solpong287
@solpong287 11 күн бұрын
비유가 기가막히네요~~~
@eqsdhk
@eqsdhk 19 күн бұрын
일본이더났읍니다 한국걱정 이나먼져하시길
@thea_lee
@thea_lee 20 күн бұрын
일본이 거지라고요?ㅋㅋㅋㅋㅋ
@huniely9583
@huniely9583 18 күн бұрын
자꾸 일본 망한다고 하네. 어느 우주에서 왔나. 일본은 지금 최고 호황인데
@user-vc8ym4pn6g
@user-vc8ym4pn6g 18 күн бұрын
주식만 호황임 ㅋㅋ
@user-ff2cx9lz7n
@user-ff2cx9lz7n 2 күн бұрын
@@user-vc8ym4pn6g관광업계도 호황입니다. 외국인관광객들땜에 골머리 앓아서 관광세도 걷죠 그만오라고 ㅎㅎ
@user-ph3dz9gc1x
@user-ph3dz9gc1x 12 сағат бұрын
최고호황( 경제성장 0.5)
@user-ud1hc2td2t
@user-ud1hc2td2t 18 күн бұрын
엔저가 오히려 일본 기업들에게 호황의 시대를 이끌고 일본 정부도 드디어 금리를 올리고있고(20년간 올리고싶어도 못올렸음) 저딴 비전문가가 ㅋㅋㅋㅋㅋ선동질하는거보니 지금 대한민국이 얼마나 힘든지 보여주는거같음.. 옆나라도 이렇게 힘들다란걸 보여줌으로서 지금 대한민국이 비정상으로 가는걸 일본도 이러니 납득해라 라고 선동질 ... 근데 어쩌냐 일본은 지금 대호황이고 경제도 좋고 물가도 우리나라보다 훨 싼데?ㅋㅋㅋㅋㅋ 단편적인 일본 직장인들 모습 보여주면서 일반화 시키지말어라. 지금 우리나라 대한민국이나 걱정해
@user-jh8hl5sc5q
@user-jh8hl5sc5q 13 күн бұрын
일본 국민이 호황이라는 말은 도대체 어디서 나온 거임...? 아무리 저 사람이 말하는 게 다 정답은 아니더라도, 지금 일본 서민들은 한국보다 적은 월급으로 한국보다 더 많은 교통, 주거비 내면서 살고 있는데 ㅋㅋㅋㅋ 일본 상위 7%의 연봉이 얼만 줄 아시긴 함? 일본 상위 7% 연봉 한화로 연봉 6천만원입니다. 한국은요? 한국 상위 7% 연봉 1억이에요 ㅋㅋㅋㅋ 일본 주거비 얼마나 비싼지 모르죠? 주담대나 이런 부동산 정책도 한국보다 부족해서 일본인들 집을 매매할 생각은 못 하고 대부분 월세 사는데, 그 덕분에 월세 값이 한국 대비 훨씬 비쌉니다. 덕분에 안 그래도 주거, 교통비에 엄청 돈을 많이 쓰고 있는데, 낮았던 물가마저 오르면 어떻게 될까요? ㅋㅋㅋㅋ 제발 일본 며칠 여행 갔다온 거 가지고 '아 물가 싸네 ㅋㅋㅋㅋ' 이지랄하지 마세요 제발 일본 자체는 호황일지 몰라도 서민 경제는 이미 엄청나게 악화되고 있는데 제발 님이나 틀린 지식을 가지고 선동하지 마세요.
@Dorothi
@Dorothi 13 күн бұрын
수출 기업에게만 좋으면 뭐함 전체 나라 명목 GDP는 엔저 영향으로 쭉쭉 빠지는데.. 금리 올리는 시늉이라도 할 수 있는 건 전세계가 겪고 있는 인플레 덕택이고
@senjingjoseon111
@senjingjoseon111 4 күн бұрын
​@@user-jh8hl5sc5q 날조 선동하네 ㅋㅋ 상위 7% 연봉이 그렇개 차이난다고? 일존 국세청 임금 자료와 한국 국세청 임금 자료를 봐라. 중위 평균 일본이 높게 나오니까
@user-jh8hl5sc5q
@user-jh8hl5sc5q 4 күн бұрын
@@senjingjoseon111 국세청, 후생노동성 자료 보면 일본 평균 연봉 458만엔 중위연봉 324만엔+상여금인뎅 ㅋㅋ 엔화 떡락해서 458만엔이면 4천만원도 안 되는 거 아시죠? ㅋㅋ 뭔가를 주장할거면 수치를 가져오거나 출처 사이트 주소를 가져와야죵? ㅋㅋ 다짜고짜 국세청 자료 따르면 일본이 높아라고 우기면 누가 믿어요 ㅋㅋ
@senjingjoseon111
@senjingjoseon111 4 күн бұрын
@@user-jh8hl5sc5q 한국 국세청 평균이 4200만원대고 일본이 458만엔? 인가 한다. 지금 환율 생각해도 큰 차이는 없다. 한국도 초과급여 상여 전부 통계에 포함하고... 애초에 GNI, OECD disposable income 이런거 보면 전부 일본이 높은데. 인당 GDP도 지금 역대급 엔화 환율 감안해도 양국이 비슷한 수준 ㅉㅉ 선진국 일본에 기생하는 한국인은 40만이고 앞으로 망하는 가망없는 후진국 한국에 기생하는 일본인은 거의 없는게 팩트. 출산율 0.6 ㅋ
@Unknown-ms91
@Unknown-ms91 18 күн бұрын
일본 반이라도 가면 다행이지 한국은 가망없다 내수시장도 없고 막대한 달러를 가지고 있지 않은데 기술력 값싼노동력 으로 수출했는데 인건비는 능력도 없는데 비싸고 기술은 이미답보 지원없고 다 의대가는데
@user-fg6vz7ig8t
@user-fg6vz7ig8t 20 күн бұрын
그냥 어그로 채널임 20년전부터 저런 사람들이 전문가 행새하며 일본경제 망한다고 선동하는데 한국이 먼저 망하게 생김
@user-js8wz9qk5n
@user-js8wz9qk5n 20 күн бұрын
서툴더라도 일본어를 어느정도 구사하면 아주 대부분은 친절하게 대해줍니다. 우리나라에서 외국인 관광객이 어설프게 한국어하면 더 친절하게 해주고 싶은 것 처럼요.
@user-lp2ur1mc1v
@user-lp2ur1mc1v 19 күн бұрын
우리는? 원화가치 떨어져 자영업 망해 나가고 심지어 관광객도 안와~~!! 우리는 더 심각 한데
@user-pd3oj3wy4u
@user-pd3oj3wy4u 13 күн бұрын
저런 저임금 가난한 나라에서 안태어나서 다행이네
@user-ik2nn1zr5b
@user-ik2nn1zr5b 20 күн бұрын
이중가격제 도입 전보다 일본에서 물건 구입하면 세금 공제 해주던거 먼저 없어지겠죠.
@user-bi6vb6mz6e
@user-bi6vb6mz6e 20 күн бұрын
일본은 금리 올리는 순간 일본 메이져급 은행들 줄 파산합니다ᆢ 그래서 못 올림ᆢ
@user-ih5lp5qd6s
@user-ih5lp5qd6s 20 күн бұрын
일본 도요타, 혼다 사상최대 영업이익, 닛산 영업이익 5조 흑자 회복, 파나소닉, 히타치 사상최대 영업이익 등. 일본은 자영업, 농업, 어업이 주류인 사회가 아니라 샐러리맨의 나라임. 기업이 잘되면 잘될수록 일본경제는 빛이 나게 되어있음. 그리고 일본중소기업들은 엔저하고 엔고하고 어떤게 더 힘든지 아나? 엔고때 더 힘들었음. 왜? 일본 대기업들이 값싼 중국제 부품으로 대처하면서 다박살났거든. 2023년 기준 일본 중소기업들의 수주잔고도 사상최대임. 원자재값 올라간다고해서 일본중소기업들은 그렇게 타격이 없음. 워낙 엔고때마다 원가절감 기술 축적되느라 환율에 대한 적응력이 그 어떤나라보다도 좋음.
@user-wd2ls3sj5u
@user-wd2ls3sj5u 20 күн бұрын
예? 환율 적응력이 좋다구요?? ㅋㅋ 중소기업 파산하는 곳도 많아지고 있고 그리고 ㅋ 엔저가 심하니까 오버투어리즘 이야기 나오고 1분기 성장률 0.2임 작년 2분기부터 깜짝 성장 해버리고 3분기 -0.8 4분기 0.1 임 일본 실질소득은 오히려 마이너스 애초에 슈퍼 엔저가 달러가 ㅋ 비정상적으로 높은 것도 있지만 결국 제로금리 때문인데 수출기업 몰빵 즉 대기업 몰빵 정책인데;; 중소가 타격이 업ㄹ다구요??
@sandj9682
@sandj9682 20 күн бұрын
작년 올해 일본 중소기업들 쓰러재는 속도룰 전혀 모르시는분이네. 중소기업이 다 무너져가는데 대기업이 수출만 가지고 버티는게 될라나.
@betterpeanut
@betterpeanut 20 күн бұрын
어 아닌데. 일본 좀비기업 비율이 30%가 넘는데 ㅋㅋㅋ
@user-rw7judice
@user-rw7judice 20 күн бұрын
대기업이 돈을 버는것만큼 중소기업에게 돈이 안돌면 꽝이겠죠? 실지로 아베노믹스때도 서민들은 체감을 못느낀다는 평이 많았죠
@sssbbb1871
@sssbbb1871 20 күн бұрын
엔저가 되도 여전히 중국제가 더 싼데 일본 중소기업이 빛을 볼리가 없지
@carcass4062
@carcass4062 20 күн бұрын
일본은 금리라도 올리면 되지 한국은 방법도 없어~
@user-ml9do7fz2g
@user-ml9do7fz2g 20 күн бұрын
한국이 가난해진건 안보이나?? 소상공인들이 말라죽고 있다.
@topaz1397
@topaz1397 20 күн бұрын
우리동네 먹자골목은 평일에도 사람이 미어터지는데요... 자리를 잘못 잡은듯 ㅋㅋ
@j-ci3729
@j-ci3729 20 күн бұрын
우리가 일본 걱정할때냐.. ㅋㅋㅋㅋ
@moerunekoT
@moerunekoT 20 күн бұрын
결국 엔달러 저지선180에 근접하게 되면 금리인상을 할 수밖에 없을것이라고 생각합니다.
@seungjusion2614
@seungjusion2614 20 күн бұрын
왜 일본만 걱정해??? 우리나라가 더 헬인데
@JinKorea-oh1dz
@JinKorea-oh1dz 19 күн бұрын
누가보면, 우리나라는 문제 없나보네
@claytonnam1191
@claytonnam1191 20 күн бұрын
그래서 온갖악을쓰며 라인을 빼앗으려고 하는것인가??? 엔저와 나라빚 고물가등등 내부의 문제때문에???
@Pinetree4405
@Pinetree4405 20 күн бұрын
관심 돌려서 지지율 하락 막으려고…..
@user-vh1mw6tk6o
@user-vh1mw6tk6o 20 күн бұрын
뭔 말도 안되는;; 라인 가져간다고 저 고질병이 나아질 것 같음?
@user-hu9fo8jj8b
@user-hu9fo8jj8b 20 күн бұрын
글로벌 플랫폼이라 외화 수급에 유리한건 사실이니까 ㅇㅇ 2억명이 사용하는 플랫폼임 1억 빼도 1억이 사용하는데 수급이 적진 않음.
@user-kd6bv2wd3f
@user-kd6bv2wd3f 20 күн бұрын
일본 걱정할때가 아닌데
@sedkodos7167
@sedkodos7167 20 күн бұрын
제2의 imf소리 나오고있는데 한국 상황이나 분석해라.. 맨날 일본얘기만 하고 국내문제대책은 없음
@jinskim9444
@jinskim9444 20 күн бұрын
삼성임원, 연예인, 일본 걱정하는거 아니다.
@jaywnsgml
@jaywnsgml 19 күн бұрын
옆나라 박탈감 타령 할 때냐 지금?
@lhs2668
@lhs2668 18 күн бұрын
지금 일본 걱정할때가 아니고, 일본한테 먹히는걸 걱정해야.
@user-vk6wu6ys7o
@user-vk6wu6ys7o 18 күн бұрын
우리나라가 일본 걱정 얘기할건 아니죠?
@user-ze6my3wr3y
@user-ze6my3wr3y 13 күн бұрын
맞는 말씀 우리도 한치앞을 모르죠 모든 몰가 고공인데
@user-jp7yl7qy3e
@user-jp7yl7qy3e 18 күн бұрын
일본의 엔저로 일본은 자국수익을 최고로 합니다. 최저금리로 세계에서 대출합니다. 그래서, 작년 초반에 금리 0.5%가 되면 일본은행은 2,000조의 수익을 더 가진다고 했습니다. 그런데, 금리가 0.5%가 되었고, 최근 중국부자들은 지가와 물가가 낮고 고소득이 가능한 일본으로 몰려갔다고 합니다. 일본은 부가 축적되고 대한민국은 부채로 망한다고 여러 학자분들이 밟표해요! 이런 보도가 부끄럽지 않는 지요!
@jeffreynom
@jeffreynom 20 күн бұрын
엔화나 원화나 둘 다 마찬가지인데 일본 걱정부터 하는구나. 대한민국 방송 맞소?
@haeinz
@haeinz 16 күн бұрын
엔화는 안전자산이란 말도 절대적인게 아니네요,,,,,
@robin40014
@robin40014 20 күн бұрын
2중가격 할만하지 ~ 우리같아도 그리하겠다. 근데 우리가 일본 걱정할때가 아니다. 우리도 소득이 줄고 있다는게 문제다.
@investorkorea
@investorkorea 13 күн бұрын
미국도 이제 풀었던 돈 다써서 쓸돈이 없으니 앞으로 소비가 줄어들수밖에없다 그럼 재고 쌓이고 그럼 가격 떨어지고 결국 금리 내릴수밖에없지
@sebko33772
@sebko33772 20 күн бұрын
팩트) 일본은 나라 경제가 나빠질 징조가 돌지만 한국은 나빠지고 있다 ㅋㅋㅋ
@dama7939
@dama7939 20 күн бұрын
호텔비는 예전보다 더 올랐는데?
@user-ld5te2gm6m
@user-ld5te2gm6m 2 күн бұрын
맞아요 일본인들 불친절해졌어요ㅋㅋ
@charlieshin4334
@charlieshin4334 20 күн бұрын
빠른레임덕으로 환율터트려야 한국은산다 금리상승막고 투기판만드는중임
@user-rw7judice
@user-rw7judice 20 күн бұрын
가진게 없는사람이 원래 최고로 겁이없지 ㅋㅋㅋ
@bonbon.n9374
@bonbon.n9374 15 күн бұрын
하단이없어졌다란게 더무섭다. 130엔도150엔도 쉽게 무너지는걸보면 도대체 어디가 바닥인지 예측불가이다.
@jaehomoon7751
@jaehomoon7751 20 күн бұрын
느그 나라나 걱정하자
@user-ly2dp5fq8f
@user-ly2dp5fq8f 20 күн бұрын
관광객에게 더받아라? 그냥 고립된삶을 살아라 외국인들어오는것도 막고
@user-uw9fx6io6o
@user-uw9fx6io6o 20 күн бұрын
한마디로 엔저는 전 국민이 고통을 받으니 감당할만 하고 엔고는 기업이 도산해 노동자가 피해를 보니 할수없다...는 해괴한 일본의 논리 입니다.
@jeongahkim3327
@jeongahkim3327 20 күн бұрын
우리정부도 같은것 같은데...
@superkawaii_LIT
@superkawaii_LIT 20 күн бұрын
해괴한 논리가 아니라 기본적인 시장 경제 논리임 ㅋㅋ 무지한것
@wl6784
@wl6784 20 күн бұрын
윤정부도 똑같은데... 일균아 도대체 뭐가 해괴하다는거냐... 그럼 너가 생각하는 해결책은 뭔데 말 좀 해봐
@user-yp3kb3pi4o
@user-yp3kb3pi4o 20 күн бұрын
님은 일본이 금리를 올려 엔을 높일수가 있는데도 그러지 않는다고 생각하는거임.일본기업들이 어려움에 처하니까..일본은ㅇ구조적으로 금리를 올리수가 없다구,1프로만몰려도 정부가 쓸수잇는 금액이 확 줄어드는데 어떻게 올리냐구..그렇게 되면 사회적으로 들어가는 모든 자본을 감당할수가 없는데.공무원임금.복지등등..일본은 그냥 돈을 무한정 풀어대어 돈값을 떨어뜨리는데 그렇게 되면 일본국민들은 가만 앉아서 자산가치가 깎여나가고 있는셈인데 일본정부가 어떤식으로든 부채를 막ㅇ고 있는 방법이라고..이게 이해가 안되냐
@user-jn9lo9iw6t
@user-jn9lo9iw6t 20 күн бұрын
기업이 망하면 중소기업부터 망하는데 더 취약한 계층이 일자리를 잃는거니까 금리를 못 올리는거에요...
@user-ge2lk8lg1r
@user-ge2lk8lg1r 18 күн бұрын
지금 일본 걱정할때인가???
@sssjeff5676
@sssjeff5676 20 күн бұрын
환투기 세력들도 오이시이~~이럼서 달려들겠네
@dol221
@dol221 18 күн бұрын
참 쓸데없는 기사 지금 일본은 라인을 가져간다고 정부에서 나서서 노력하는데 우리는 그냥 넋 놓고 있으니 일본 직장인 박탈감 운운하기 전에 우리나라나 걱정하는 게 맞겠네요. 쓸데없는 걱정.
@sojojuco1156
@sojojuco1156 20 күн бұрын
한국에서 일본이 뭐 어떻다 하는게 얼마나 의미없는지 모르나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user-ni3lq3ws9q
@user-ni3lq3ws9q 16 күн бұрын
쭝궈 경제 무너지는건 아주 좋아죽는데 말이야 ㅋㅋㅋ
@user-fj7sm6yy3i
@user-fj7sm6yy3i 20 күн бұрын
여행객들이 거의 나라를 먹여살려주고 있는데 박탈감은 ㅅㅂ 여행객한테 뭐하나라도 더많이 팔생각은 못할지언정;
@msoutdoor3854
@msoutdoor3854 20 күн бұрын
엔저로 임금은 낮지민 경제는 살아나는데 한국은?
@dochkei8535
@dochkei8535 20 күн бұрын
発見の別の次元。
@user-pd3oj3wy4u
@user-pd3oj3wy4u 13 күн бұрын
이중가격제 ㅋㅋㅋㅋ 진짜 동남아 후진국이나 하는 건데 쟤네는 이제 자존심도 없나보네 한국인들이 싼 맛에 700만명씩 관광가주는걸 고마워해라
@user-gl6uy5lb3k
@user-gl6uy5lb3k 20 күн бұрын
2011년 일본이 해외로 투자했던 것 처럼 우리나라 베터리,반도체 업체가 미국으로 가는거랑 비슷한 느낌이 드네
@user-dg6iv4kh2t
@user-dg6iv4kh2t 20 күн бұрын
일본 직장인이 허탈해해서 쌤통이냐? 우리나라 직장인 현실을 알면 기겁하겠구만
@user-jb7jr1bf1x
@user-jb7jr1bf1x 20 күн бұрын
일본이 대단하지만. 여기도 빈부격차가 큰듯 월급이 200-300사이 이정도면. 한국보다 더 못버는거 아니냐? 부자일본 가난한 일본국민 누군가. 일본인 이라고 다행이라고 책썻냐? 일본인이 아니고. 한국인 이라서 다행이다
@senjingjoseon111
@senjingjoseon111 20 күн бұрын
느그 조선도 ㅈ소 가면 그정도다
@user-rg4od6mq4q
@user-rg4od6mq4q 20 күн бұрын
우리나라도 기업들이 다 나가고 있어서 힘들다.
@user-fu6mm6pw2g
@user-fu6mm6pw2g 20 күн бұрын
무역수지가 좋아지니 수출 대기업은 좋겠죠
@user-jn7jn4fe2z
@user-jn7jn4fe2z 18 күн бұрын
한국 걱정부터해라.
@user-ls2ik4bd1m
@user-ls2ik4bd1m 20 күн бұрын
누가 들으면 원화는 800-900원대 찍는줄 알겠음..원화 1400원..일본이나 한국이나 도찐개찐..한국은 고물가고 일본은 저물가..한국은3고에 사람들 지갑닫고 서민들 지옥인데 일본은 관광객손님 늘어서 장사잘 될텐데 상대적 박탈감? 어이가 없는 민족
@hanpyulkong3676
@hanpyulkong3676 20 күн бұрын
한국은 그동안 명목임금이라도 올랐지만 일본은 정체되었다. 그러니 외국인노동자들 입장에서는 일본보다 한국에서 일하는 것을 선호하게 된다.
@user-uo6ii1ut4t
@user-uo6ii1ut4t 19 күн бұрын
일본직장인들이 물가는 오르고 해서 상대적으로 가난해 진 것임
@user-ik3tl2ql7k
@user-ik3tl2ql7k 17 күн бұрын
한국 서민들이 지갑닫긴? 해외여행에 벤츠소비, 명품소비 월드클래스 국민들인데? 너만 불황인거야 ㅋㅋ
@user-jh8hl5sc5q
@user-jh8hl5sc5q 12 күн бұрын
서민들 지옥 (마구 여행하고 외식하고 배달 시켜 먹으며) ㅋㅋ 일본 서민들 진짜 어떻게 사는지 모르니까 하는 소리지
@JANG8SAMO
@JANG8SAMO 20 күн бұрын
누가 금리안올리래? ㅋㅋㅋ
@futurey-kv3fw
@futurey-kv3fw 20 күн бұрын
미국 지금 햄버거 한 개 3만원 3만5천원 하는 동네서 금리를 내린다고 하면, 햄버거 한개 5만원 갈 태세인데 어떻게 내리냐..
@user-ew5mj3gz8s
@user-ew5mj3gz8s 18 күн бұрын
일본 걱정할게 아닐텐데.. 우리 걱정하기에는 이미 늦었어.. 출산율 나락에 나라가 망해가고 있는데 옆나라 걱정?
@davek3766
@davek3766 20 күн бұрын
아베가 싸놓고 간 똥을 치우네요! 이래서 정치인을 잘 뽑아야!
@ccc-vh3rv
@ccc-vh3rv 18 күн бұрын
그래봤자 일본만큼 우린 돈도 없다... 에혀..
@user-K2blacktank_--_
@user-K2blacktank_--_ 20 күн бұрын
중국의 코로나가 불러온 전세계 경제공황`~~~ 시진핑은 지구인들 앞에 무릎꿇고 사죄해라~
@user-su2zv3vw9q
@user-su2zv3vw9q 20 күн бұрын
우리나라는 원가치가 오르니 일본보다 더 힘들어진거 아닌가
@user-zl1et9ww3l
@user-zl1et9ww3l 20 күн бұрын
금리를 올리면 바로 망해버리는데 못올리지,,ㅋ
@teefuu6299
@teefuu6299 20 күн бұрын
한국은 일본 은행이 발행하는 신용장이 없으면 무역할 수 없습니다. 일본을 화내면 한국이 훼손됩니다.
@user-en7kb3sl2n
@user-en7kb3sl2n 16 күн бұрын
도찐개찐이여!
@user-pd7hr3vx6e
@user-pd7hr3vx6e 19 күн бұрын
결국은 국내자산은 달러로 바꿔서 미국 주식에 투자해야할듯
Как быстро замутить ЭлектроСамокат
00:59
ЖЕЛЕЗНЫЙ КОРОЛЬ
Рет қаралды 8 МЛН
1 класс vs 11 класс (неаккуратность)
01:00
БЕРТ
Рет қаралды 4,4 МЛН
Chips evolution !! 😔😔
00:23
Tibo InShape
Рет қаралды 42 МЛН
Do you have a friend like this? 🤣#shorts
00:12
dednahype
Рет қаралды 43 МЛН
Как быстро замутить ЭлектроСамокат
00:59
ЖЕЛЕЗНЫЙ КОРОЛЬ
Рет қаралды 8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