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율이 상승하면 수출이 증가하여 무역수지가 개선된다는 말도, 이론 공부할 때 배웠듯이 장기적으로나 마샬-러너 조건이 맞아떨어졌을 때 가능한 거지, 현실적으로는 당장 원재료 조달비용 인상으로 생산자 물가 상승하고 수입품 물가 상승으로 무역 적자가 발생함. 지금 2022년의 현실이 보여주고 있듯이..
이런 혜자강의에도 화면이 뿌옇다 어떻다 불평하는사람들이있네.. 보기불편하면 보지마세용.. ㅋㅋ
@lovelivluv3 жыл бұрын
좀 투덜댈수도 있지.. 그쪽이 불편러죠. 혜자 강의여도 듣는데 자꾸 뿌애지면 그냥 아쉽다는 식으로 얘기할수도 있지 뭘 그리 불편해해요...';; 교수님한테 특별히 뭘 바라는 것도 아닌데
@영어마스터-n7q2 жыл бұрын
@@lovelivluv 그걸 공짜로 들으면서 왜 굳이 말로표현하는거임?
@관리자-t2x2 жыл бұрын
ㄹㅇㅋㅋ
@Da_moon85611 ай бұрын
이사람은 이 영상만으로도 창조경제...
@qpwoww10 ай бұрын
진짜최고네 와 ㅋㅋㅋㅋ
@qpwoww8 ай бұрын
이최고강의를듣고매경처떨어지고테셋내일본다 ㅎㅎ
@mars43278 ай бұрын
@@qpwoww테셋 화이팅입니다!!! 저는 매경 준비하러 갑니다 ㅜㅜㅜ
@조성현-s8b7 ай бұрын
23:05 해외주식을 판매할때는 이득이지만 구매할때는 손해인거죠? 같은 1달러 주식을 살려면 2000원이 필요한꼴이니
@김동현-b4n6f5 ай бұрын
네
@jkongghpop5 жыл бұрын
환율이 상승했을때 수출이 증가한다는게 이해가 어렵습니다. 환율이 상승하면 외국 기업 입장에서는 우리나라에 더 많은 원화를 지급해야하니 수출량을 감소하려한다는 생각이 들고, 동시에 우리나라 기업 입장에서는 똑같은 수출량로 더 많은 원화를 벌어들일 수도 있으니 수출을 더 많이 하려고 하게 되는 것 같은데, 이 둘 중 환율의 상승을 '수출감소'로만 연결시키는 이유가 있을까요?
@nyard74855 жыл бұрын
첫번째 문장은 환율 상승시 수출 증가인데 마지막 문장은 환율 상승시 수출감소라고 하시니 뭐가 질문 인지 헷갈리지만.... 제가 아는 선에서 대답하자면 환율이 상승했다. 1달러가 천원에서 2천원이 되었다. 수출 시: 우리나라에서 외국으로 '물건' 판매. '물건'을 주고 '돈'을 벌어옴. 핸드폰 100대 수출. 핸드폰 10대의 값이 1000달러. 1달러가 천원 이었을때 환전하여 최종 수익 100만원. 1달러가 2천원으로 환율 상승시: 1000달러 환전시 200만원 범. 똑같이 핸드폰 10대 팔았고 1000달러라는 외화를 벌었지만 환율 상승으로 최종적으로는 200만원을 벌게 됨. 수출을 많이 해서 물건을 많이 팔 수록 이득이다. 수출 증가
@nyard74855 жыл бұрын
외국에서 우리나라 수출량을 감소시키려 한다 생각하면 안되요. 수출 수입은 우리나라 기준으로 생각해야지 외국입장까지 생각하면 혼란스럽습니다.
@김용호-x1b4 жыл бұрын
@@nyard7485 이 말이 맞음. 우리 입장에선 1달러에 1000원에 팔리던거 환율 오르고 나서 2000원에 팔리는데 수출량을 안늘리는게 이상한거, 따라서 외국이 사던 말던 우리의 수출량은 늘어난다는 뜻
환율이란 우리나라통화와 외국통화간의 교환비율이라고도 하고요, 혹은 외화의 가격이라고도 할 수 있습니다. 1달러=1000원이면 1달러라는 외화의 가격이 1000원이라는 겁니다. 근데 1달러=1200원이 되면 환율이 상승했다고 하고, 환율은 외화의 가격이니 당연히 외화의 가격이 상승한 겁니다. 외화의 가격이 상승했으니 상대적으로 우리나라의 통화가치는 하락한 것이죠. 좋은 질문 주셔서 감사하고요 열심히 공부하셔서 좋은 결과 있기를 바라겠습니다.
@미퀴-r8u5 жыл бұрын
아하~~감사합니다!!!
@rudenddl2 жыл бұрын
16:56
@g2onming4132 жыл бұрын
22:00
@ajskow4034 жыл бұрын
헷갈리실 분들 있으실거같은데 전방 후방 통합의 경우 강의에선 필기가 반대로 되어있는 것 같아요~
@sdzass52963 жыл бұрын
맞게 설명 돼있는거에요 생산 과정상 현대차 기준 부품이나 철공장 원료가 후방이고 더 앞에있는 판매쪽이 전방 맞아요
@sdzass52963 жыл бұрын
1. 부품 2. 현대차 3. 판매 순서에서 현대차보다 먼저있는 부품이 뒤에있어서 후방 나중에 있는 판매가 앞에있어서 전방입니다.
자동차산업의 경우 자동차를 생산하기 위한 과정이 있습니다. 현대차그룹을 예로 든다면 현대제철에서 철을 생산하고 현대모비스에서 부품을 생산하고 현대차에서 완성차를 생산하면 자동차를 판매하고 사후관리를 하게 될 겁니다. 만약 현대자동차가 현대제철이나 현대모비스를 통합한다면 이는 후방통합이 됩니다. 왜냐하면 생산과정상 후방에 있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그럼 열심히 공부하셔서 좋은 결과있기를 바라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