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민들이 창고로 사용한다는 의문의 구조물, 알고보면 1940년대에 지어진 OOO?

  Рет қаралды 1,002,690

스브스와이드

스브스와이드

Жыл бұрын

#폐구조물 #미스터리 #모닝와이드3부
#거대하다 #굴 #양파밭 #무안
#일제강점기 #격납고
전남 무안의 인적 드문 마을.
양파밭 한가운데 콘크리트로
지어진 건축물이 우뚝 서 있다.
폭은 20미터가 넘고, 사람 키보다
훌쩍 큰 볼록한 돔의 형태.
밭농사를 짓기 위한 시설물로 보이진 않는다.
이런 돔이 한 마을에만 총 세 개나 있고
이웃 마을에도 여러 기가 있다.
아주 오래전부터 양파밭
한 켠에 있었다는 거대한 돔.
주민들조차 원래 쓰임새를 모른 채
창고로 쓰고 있다는 돔의 정체는 무엇일까?
SBS '모닝와이드 3부' (2023.01.11 방송)

Пікірлер: 485
@user-ps8fc5tn2l
@user-ps8fc5tn2l Жыл бұрын
추악한 침략행위의 증거.
@rmki1fukleejm11
@rmki1fukleejm11 Жыл бұрын
나라가 힘이없고 븅신이라 두번이나 침략당하지ㅋㅋ
@user-ct3ki1lm6w
@user-ct3ki1lm6w Жыл бұрын
저 당시 조선은 비행기라는 존재 자체를 모를정도로 미개했죠. 6.25전쟁때까지 미국에서 지원 받은 비행기외에는 소유한 비행기가 없었고. 일본은 항상 한국의 30년후의 미래임. 약소국의 국민특징이 지배국에게 받은 피해의식을 지배국에게 푼다는 점. 조선을 망하게 한게 당시 조선을 지배한 권력자, 지배자층이 원인인데 점령국의 불의만 탓하고 오히려 망국으로 이끈 당시 지배자 권력자 층들이 위인으로 존경받음. 아니러니한 역사 왜곡이지. 국제 사회는 철저한 양육강식의 세계이고 약하면 먹히는게 당연한데 약하게 만든 원인 제공한자들에 대한 원망과 책임 추궁은 없고 되려 잡아먹은 상대국에 대한 원망과 증오만 남아 있음. 이러니 역사 청산이 제대로 이루어지 않는것이고.
@nls2620
@nls2620 Жыл бұрын
뭐 어때여~ 조선이 정치 개판으로 해서 망한거였는데 ㅅㅂ 망할 고종
@user-ie5gl7yg3x
@user-ie5gl7yg3x Жыл бұрын
형 그래도 우리 말은 똑바로 하자. 침략행위는 아니고 미군이 쳐들어올까봐 방어 목적으로 만든거고 당연히 그 과정에서 강제징용 됐을 거고, 불쌍한 조선인들이 착취, 폭행 당했을거임
@user-pp3mh5ig2n
@user-pp3mh5ig2n Жыл бұрын
​@@user-ie5gl7yg3x그거나그거나;;
@user-qn7mg4zl8s
@user-qn7mg4zl8s Жыл бұрын
제주에도 저런 격납고 많이 있어요
@현화유출자료
@현화유출자료 21 сағат бұрын
☝😻
@user-er7yo6sh4q
@user-er7yo6sh4q Жыл бұрын
무안 해제 가는길에 자주 봤던 기억이 나네요 어린시절때 주변분들한테 일제시대때 비행기 격나고라고 사용했다고 들었는데. 유튜브로 보니 새롭네요
@JJANMUL
@JJANMUL Жыл бұрын
제주 알뜨르비행장과 똑같네요, 일제시대 비행기 격납고로 사용하던 시설물 입니다.
@jonsr0001037
@jonsr0001037 Жыл бұрын
밀양에도 몇개가 있습니다. 전쟁이후 사람들이 집으로 개조해서 살았다고 하네요.
@gefhudcvg
@gefhudcvg Жыл бұрын
삼랑진에 일제강점기때 만들어진 건물이 많죠... 일제시대 집도 많이 있고, 교량, 철도, 벙커등 20년전에 봤었는데...지금도 있겟죠??
@user-ip4li7bt8b
@user-ip4li7bt8b 14 күн бұрын
밀양은 강@간하려고 만든거 아닌가요?
@3alalabo
@3alalabo 8 ай бұрын
대구 11비행단에서 근무할 적에 유적보전 차원에서 부대 내에 몇 개 남겨둔 걸 본 적 있습니다. 딱 저렇게 똑같이 생겼구요. 격납고 외에도 동굴 벙커 등 일제가 만들어놓은 시설물이 곳곳에 있었습니다.
@kks427
@kks427 Жыл бұрын
우리동네에 저거 두개 있었어요. 지금은 다 깨부수고 아파트 들어 섰습니다.
@user-fi9ie8ub9v
@user-fi9ie8ub9v Жыл бұрын
카미카제처럼 인간어뢰인 가이텐을 위한 해안 동굴들도 있습니다. 전국의 해안가에 자연동굴을 확장하거나 인공동굴을 파서 어뢰정이나 비행기를 격납할 수 있는 격납고로 사용한 흔적들이 아직 많이 남아있습니다
@ji-sunjeong547
@ji-sunjeong547 10 ай бұрын
주로 남해안을 둘러서 있죠. 그리고 제주도 하고.
@anhluruquang
@anhluruquang 9 ай бұрын
고하도에서 낚시하면서 궁금했는데 인터넷에 검색해보니 일본놈들이 판거라도 하더라구요,,
@shinswoong.youtube
@shinswoong.youtube 9 күн бұрын
일출봉에도 있고 송악산에도 있죠 ... ㅎ
@user-xd7vg4dn4t
@user-xd7vg4dn4t Жыл бұрын
지난 일제 강점기때 비행기 격납고로 이용되던 벙커 입니다.
@user-ku9cv5pu2s
@user-ku9cv5pu2s 11 ай бұрын
무안 망운이라는 곳을 지나다 보면 봤던것이 기억이 나는데 여기서 보니 새롭네요
@user-ee5hi2mc9y
@user-ee5hi2mc9y Жыл бұрын
지금이것은 일본비행기경납고였고 무안국재비행장위치는 활주로였읍니다 활주로 위치에 아버지땅이 있어서 아버님께서 이야기해주어서 압니다
@user-pu8fq6ss7l
@user-pu8fq6ss7l Жыл бұрын
격납고
@odscomoh1661
@odscomoh1661 Жыл бұрын
역사보다 한글부터 배우시길....
@ds02211
@ds02211 Жыл бұрын
@@odscomoh1661 예전에는 읍니다가 표준어 였습니다.
@vvw4527
@vvw4527 Жыл бұрын
@@ds02211 습니다
@user-sm2sq6ny3j
@user-sm2sq6ny3j Жыл бұрын
해석 : 지금 이것은 일본 비행기 격납고 였고 무안 국제 비행장 위치는 활주로 였습니다 활주로 위치에 아버지땅이 있어서 이야기 해주셨어요
@user-je3bw1vj1q
@user-je3bw1vj1q Жыл бұрын
제로기나 아니면 경폭격기 같은거 넣는 격납고 아닌건지
@alcohol_soju_drunk1218
@alcohol_soju_drunk1218 Жыл бұрын
육군이니까 하야부사같은데
@user-iq8yl6pg8t
@user-iq8yl6pg8t Жыл бұрын
제로기 애초에 우리나라에서 쓸정도도 못됨. 주유량도 작고. 우리나라에서 언제 일본까지날아가기도 버거웠음... 제로센이 그냥 꼴아박고 빨리 그리고 가볍게 많이 생산하기위해서 만들어진 기체라서 한국에서 날려서 운영하기 거의 불가능한 기체이고 그리고 애초에 항모에 쓸려고 가볍게 만든기체이기때문에 군사목적이 아닐가능성이 매우 높음.
@user-dw2se4ni5y
@user-dw2se4ni5y Жыл бұрын
제주도 올레길 걷는데 이상한 굴이랑 포 진지가 있어서 좀 놀랐던적이 있습니다 일제가 이땅에 만든 군사시설은 아직도 발견되지 않은게 꽤있을듯 ..,
@son7_ppongMAN
@son7_ppongMAN 9 ай бұрын
그런 진지는 대부분 우리가 만든것이 많습니다
@user-dw2se4ni5y
@user-dw2se4ni5y 9 ай бұрын
@@son7_ppongMAN 당연히 그렇겠지요 ..제가 본건 표지판 까지있던 일본군이 만든 진지임니다 그것에 대해 이야기하는거구요..
@user-zv9iz7du7k
@user-zv9iz7du7k Жыл бұрын
망운면에 있어요. 어렸을때 외가 갈때 자주 보면서 일제시대 격납고라고 들었어요.
@wowpcnet
@wowpcnet Жыл бұрын
제주도 알뜨르비행장에도 저런 벙커가 여러개 있습니다.
@WangChelin
@WangChelin Жыл бұрын
제주도 대정읍에도 알뜨르비행장이라고 똑같은 구조물 있슴당
@jakeshin1782
@jakeshin1782 Жыл бұрын
지금 그 자리에는 추모관이 들어서고 그 흔적이 다 사라지고 없지만 예전 광주 쌍촌의 상무대가 80년대중반 장성으로 이전하기 전에는 쌍촌 언덕의 기갑학교에도 대여섯개의 저러한 벙커들이 있어서 강의실이나 실습실, 창고 등으로 사용했었음.
@park3743
@park3743 11 ай бұрын
잘 만들었네
@user-mt9jw8gn3f
@user-mt9jw8gn3f Жыл бұрын
우리 사무실 옆에도 있는데 농민들이 쉽터 꾸며서 쓰고있어요
@winteriscoming4300
@winteriscoming4300 9 ай бұрын
제주도에도 저런 격납고 있더군요
@user-cl8kr3jq2u
@user-cl8kr3jq2u 9 ай бұрын
비슷한 구조물이 김해공항 근처에도 있어요.주민들이 개인 창고로 사용중
@xogud6505
@xogud6505 Жыл бұрын
80년 전에 지은것도 저렇게 멀쩡 하군요 우리나라 요즘 시멘트는 30~40년 지나면 여기저기 다 금이가고 수명이 다하는데 우리나라 시멘트 회사 시멘트에 온갖 쓰레기들을 섞어 만드니까 시멘트에서 방사능까지 나오고 튼튼할수가 없죠.
@user-sz4rg4hn8i
@user-sz4rg4hn8i Жыл бұрын
요즘 도로 보면 도로 가장자리에 콘크리트로 배수구 보면 전부 푸석거리고 들떠서 자갈 다 일어남. 개판임.
@user-lj2vb3nz6f
@user-lj2vb3nz6f Жыл бұрын
일본이 튼튼하게 건설하네 ㆍ
@user-lj2vb3nz6f
@user-lj2vb3nz6f Жыл бұрын
일본 기술력을 못따라감
@bels01
@bels01 9 ай бұрын
어릴때 가끔씩 길가에서 봤던 구조물입니다. 아버지께선 일제시대때 무안읍에서 사셨고 저 구조물은 일본*들이 비행기 넣어 놓는 곳(격납고)라고 알려주셨죠. 그냥 그랬구나.. 하고 지나왔는데 다시보니 저 군시설물 보다는 아버지 얼굴이 더 보고 싶어지네요. 제 외가는 삽다리 입니다.. 지명이 맞는지는 모르겠지만 삽다리에서 내려 곡지까지 걸어가면 바다가 나옵니다.
@jin599
@jin599 13 күн бұрын
저희 장모님도 고향이 삽다리... 장인어른은 무안 삼향읍,...
@bels01
@bels01 13 күн бұрын
@@jin599 ^^ 삽다리를 아시는 분을 다 뵈네요.♡ 삽다리에서 탄탄이를 혹 아시는지 궁금합니다. 울엄니 어렸을때 동네 어른들이 지어주신 별명이랍니다. 제가 외가에 갈때면 "니가 탄탄이 막둥이 아들이냐..." 하시곤 했었습니다^^
@user-ld6kv8ki6t
@user-ld6kv8ki6t Жыл бұрын
전투기 경납고 입니다 제주도 모슬포에도 똑같이 여러개 있습니다.
@user-tw4hu4hx6x
@user-tw4hu4hx6x Жыл бұрын
5:04 제작진의 최첨단 CG 기술에 가슴이 웅장해진다
@user-xw8hd2wy8u
@user-xw8hd2wy8u Жыл бұрын
오 저거 아카데미 과학 1:72 P-40 머스탱이다! 대충 TMI
@user-vo1wc3if8v
@user-vo1wc3if8v Жыл бұрын
일제강정기때 비행기격납고로사용했다고 들었습니다 기름이부족하니까 야산에 노간주열매로 비행기기름을짜서 사용했다고들 합니다
@user-xe1dp2pm9q
@user-xe1dp2pm9q Жыл бұрын
일을 하다가 해와 비를 피하기 딱 좋은 조건이다.
@user-jm1lt1op2m
@user-jm1lt1op2m Жыл бұрын
무안 공항 .... 일제 강점기 비행기격납고... 아이러니 하네요!
@user-fj6ck9bt4t
@user-fj6ck9bt4t Жыл бұрын
지금의 무안공항자리 근처에 많이 있어슴니다. 일제때 비행기 격납고
@user-lq4fr2ou6t
@user-lq4fr2ou6t Жыл бұрын
지나가다 자주 본거고 무슨 용도로 쓰였는지 동네 사람들도 잘 알던데~
@user-iz4ou9cq9j
@user-iz4ou9cq9j Жыл бұрын
밀양상남면 기산리에도 있어요
@user-zj2hr9zl3z
@user-zj2hr9zl3z Жыл бұрын
제주에도 많이있쥬~~~
@user-un7dk1zi7z
@user-un7dk1zi7z Жыл бұрын
제가사는곳 경북 영천에도 몇개가 남아있습니다 일제시대 비행기경납고죠
@aza0714
@aza0714 Жыл бұрын
제주 알뜨르비행장과 유사하죠.
@user-ty2xe9uk5s
@user-ty2xe9uk5s Жыл бұрын
일제잔재 비행기 경납고 같은데요 ~
@user-ys8bl4so3s
@user-ys8bl4so3s 10 ай бұрын
일제시대 전투기 격납고 입니다. 전남 무안군에도 여러개 있습니다.
@user-rl6jg1wc9i
@user-rl6jg1wc9i Жыл бұрын
영남권에도 과거에는 크고 작은 군수용 방공대피소가 여기저기 일제의 흔적으로 남아 있었습니다.
@user-xw8hd2wy8u
@user-xw8hd2wy8u Жыл бұрын
저기가 무안군 어디죠?
@user-ej8ql5hi3e
@user-ej8ql5hi3e Жыл бұрын
경남 사천에도 있어요
@gotv4655
@gotv4655 Жыл бұрын
신기한 구조물을 보네요. '알고보면'에 적합한 주제 같습니다. 자 봤습니다. 저와 채널이름이 비슷해서 더 관심이 가네요.
@user-qt3go7fx4e
@user-qt3go7fx4e 3 ай бұрын
저거 제주도 정뜨르 비행장가면 10개정도 있던데 지금은 밭 중간중간에 남아있음 격납고는 일제 전투기인 A6M5 제로센 비행기 격납고
@Judsking3922
@Judsking3922 Жыл бұрын
이거 경북영천 금호에도 이런게 있던것을 봤는데ᆢ비행기 격납고
@ngk-pv6xx
@ngk-pv6xx Жыл бұрын
제주에도 이습디다~
@yoon5709
@yoon5709 Жыл бұрын
격납고인지 20 년전에 알았는데.. 이런거 제주도에 도 많음.
@user-cj4rl3hb9m
@user-cj4rl3hb9m Жыл бұрын
제주 알뜨르 일제 비행장과 같은 모습인데,,,
@user-rr9zi2qb2q
@user-rr9zi2qb2q Жыл бұрын
일제시절 비행기보관했던 격납고....
@user-kd5bo5cc3t
@user-kd5bo5cc3t 7 ай бұрын
제주도 모슬포, 부산에도 저런 일제말기 비행기 격납고가 지금까지 남아 있죠...
@user-ru3im6vf8d
@user-ru3im6vf8d Жыл бұрын
일제시대때 만든 비행기보관 이글루 입니다
@user-pp9mn5ti8r
@user-pp9mn5ti8r Жыл бұрын
꾸며서 집으로 살아도 좋겠습니다.
@user-rc3dl1pm2d
@user-rc3dl1pm2d 14 күн бұрын
딱 보먼 모르나 비행기 격납고 인데 농사 지으시다 잠시 쉬는 공간으로 사용하심 되겠네요
@user-tu2sy7lb3j
@user-tu2sy7lb3j Жыл бұрын
비행기 격납고 모양으로 보이네요
@user-rr9zi2qb2q
@user-rr9zi2qb2q Жыл бұрын
경남 사천읍 사주리에도1970년 후반까지도 몇개가 있었음..
@goneyang
@goneyang 28 күн бұрын
제주 알뜨르 가면 엄청 많아여 한여름엧들어가면 엄청 시원했던
@user-bf7cv2ip6g
@user-bf7cv2ip6g 11 ай бұрын
이런 벙커 처음버는데 내꿈속에 저거 봤는데..
@user-hn7hp4ze1s
@user-hn7hp4ze1s Жыл бұрын
일제시대 격납고로 사용햇던곳 ㅋㅋㅋ
@Judsking3922
@Judsking3922 10 ай бұрын
비행기 격납고 맞네요. 영천 금호에 있지요
@buddy4718
@buddy4718 Жыл бұрын
비행기 격납고 치곤 높이도 그렇고 저기서 어케 비행기가 이착륙을 하는건지 궁금하네
@korea-commenter
@korea-commenter Жыл бұрын
지금은 땅에 뭍힌상태겠죠
@user-vy9ll2qn7f
@user-vy9ll2qn7f Жыл бұрын
이착륙은 근처에있었을 활주로에서 하고 저기는 착륙한 이후에 보관하는곳 그래서 당시 비행기보다 좀만 높으면 됨
@kangjungkim
@kangjungkim Жыл бұрын
제주에도 많음
@user-uq7fl8ym4l
@user-uq7fl8ym4l Жыл бұрын
일본인들이 한국에와서 콘크리트 구조물을 민들때 요즘처럼 바위를 기계로 부셔서 자갈을 만든게 아니라 사람이 일일이 쪼아서 자갈을 만들고 시멘트를 붓기전에 물로 씻어서 혼합이 잘되게 타설을했기 때문에 요즘 콘크리트 구조물보다 훨씬 강도가 세고 튼튼하다고 함. 철길에 조그만 통로 같은거보면 지금 포크레인으로 부셔도 돌처럼 강해서 잘 안부서질 정도라 하니까... 그런것들을 만들기 위해서 한국 사람들이 얼마나 고생 했을지....
@endgame165
@endgame165 Жыл бұрын
바위 부수면 자갈되는줄 아는거야? ㅋㅋㅋㅋㅋㅋㅋ
@kenneth8258
@kenneth8258 Жыл бұрын
그당시 구조물은 공학계산의 정밀도가 높지 않아 공학적 마진을 생각하지 않고 무조건 강하게 만들었고, 심지어는 폭격대비용 건축물이기 깨문에 그렇게 보이는 것이지 절대 사람손으로 깨부순 자갈로 만들어서 그런건 아님요… 하지만 지금도 서울 사대문 내에 있는 그당시 건축물이 아직도 살이있는거 보면 구조적 강성은 인정합니다.
@American-drone
@American-drone Жыл бұрын
바다 모래가 아닌 강모래를 써서 그런것도 있겠지요. 제가 나온 중학교 본관이 일제시기 지어졌는데 흔한 금 하나 없었습니다.
@user-uq7fl8ym4l
@user-uq7fl8ym4l Жыл бұрын
@@American-drone 콘크리트 타설할때 토분끼나 이물성분이 많이 포함되면 콘크리트가 양생을 해도 푸석거리게되고 30년정도 지나면 떨어져 나가고 푸석거리며 약해지죠.요즘 콘크리트가 그런경우가 많은것도 모두 장비로 하다보니 토분도 많이 섞여들어가고 자갈도 강도에 따라 콘크리트 수명이 달라지죠. 사찰 같은데서 돌담하나를 쌓아도 돌 한줄쌓고 뒤에 잔돌 채워서 콘크리트 받기전에 물로 토분같은것 씻어내고 타설하는곳도 있는데 왜 그렇게까지 해야하냐고 물은적이 있는데 그렇게해야 사찰 같은곳은 수백년 수천년을 이어지는 곳이여서 오래 유지하려고 그런다고 설명하는것을 들었음요. 어르신들 말씀도 일제 시대때는 큰 건물 지어 올리고 할때는 건설기계가 동원되었지만 기찻길 교각 다리같은곳..조그만 터널같은거 만들땐 자갈도 일일이 정으로 부셔서 만들어서 사용했다고 들었거든요. 지금도 가끔씩 일제시대때 만들어진 교각기둥 철거할때 포크레인이 브레카 로 깨려고해도 타격한 부분만 겨우 떨어질 정도로 강도를 유지한 타설물이 있다고 들었어요. 그렇다고 시멘트가 월등히 좋아서 그런것도 아닌걸 생각하면 시멘트랑 자갈을 배합할때 그런 규칙을 철저히 지켜서 그런게 아닌가 생각해봄요.
@American-drone
@American-drone Жыл бұрын
@@user-uq7fl8ym4l ㄷㄷㄷ 그렇군요 하나 배워갑니다
@bgcha8547
@bgcha8547 Жыл бұрын
2차대전시 일본군이 국민을 동원하여 만든 것으로 부산 경남지방에 많이 존재하였는데, 그동안 재개발을 하면서 많이 제거된 구조믈입니다.
@user-kd3df7di5n
@user-kd3df7di5n Жыл бұрын
저런건 기록은남기되 보존을해야한다고하면 주변땅은 죄다 사용을못하는거아닌가...
@user-fq6sd6gs2y
@user-fq6sd6gs2y Жыл бұрын
일제시대 비행기 격납고 어렸을 적 흔하게 보임 지금은 많이 사라짐
@user-vy6hf8wh6n
@user-vy6hf8wh6n Жыл бұрын
일제강점기 때 비행기 격납고 같은데요..
@user-xi1hv1qp7i
@user-xi1hv1qp7i 4 ай бұрын
경북 포항시 흥해읍 망천리 주위에도 철길을 위한 흔적물이 있는데요 아직까지도 못 하나 박을수없는 견고 하게 짜여진 기초들이 수십게나 있습니다 이것또한 그시절 일제침략의 흔적들입니다 .
@user-pv1kl5el9i
@user-pv1kl5el9i 10 ай бұрын
그 비행기는 어디감?
@dandi_sh
@dandi_sh Ай бұрын
예전엔 엄청 많았는데, 지금은 많이 철거했음.
@user-td7wy7wo5p
@user-td7wy7wo5p Жыл бұрын
제주도 알뜨르비행장에 있는것하고 똑같은듯
@rickyoo9211
@rickyoo9211 10 ай бұрын
제주도 알뜨르 비행장에 저거 많은데.
@user-xp3np5zj9s
@user-xp3np5zj9s Жыл бұрын
비행기 격납고....제주도에도 있음
@user-bs7bn8uq1d
@user-bs7bn8uq1d Жыл бұрын
이곳 사천비행장 옆에도 있었음.
@user-cj4rl3hb9m
@user-cj4rl3hb9m Жыл бұрын
비행기 격납고,,,
@user-qm9ol7ct7i
@user-qm9ol7ct7i 5 ай бұрын
일제 때 비행기 격남고네. 경남 밀양시 상남면 기산리에도 이와 같은 구조물이 있다.
@user-qe2db9zk5g
@user-qe2db9zk5g 11 ай бұрын
헝가리 폴란드 루마니아에도 독일군 토치카가 수백개가 있다는데...
@user-nk2gx5vh4v
@user-nk2gx5vh4v Жыл бұрын
제주에도있는 일제부산물.군비행기 경락고네요
@lr8705
@lr8705 Жыл бұрын
술이라도 한잔 따라주고오시죠 저걸 만들려고 얼마나 많은 조선인들이 피 땀을 흘려야 했을까 …
@user-qy5wy2fx5v
@user-qy5wy2fx5v 10 ай бұрын
비행기 격납고로 생각됩니다 제주도에 갔을때 저렇게 생긴거보고 비행기 격납고라고 하던데
@user-fc7wz6rn1e
@user-fc7wz6rn1e Жыл бұрын
문화재보다 일본군이 침략 자료로 남겨 놓는것이 바람직 하다
@user-ly5jz2ho2p
@user-ly5jz2ho2p 9 ай бұрын
저거 혹시 손으로 비행기 움직인건가.. 슬프네
@user-yh1eo2jg7c
@user-yh1eo2jg7c Жыл бұрын
격납고 같은데 제주도 일제가 만들어 논 공항이 있었다는 말을 들엇다
@user-bw9fw6ku4h
@user-bw9fw6ku4h 10 ай бұрын
파보긴 해야겠군요. 농사가 끝난 후에 말이죠. 그래야 뭘 좀 알거 같은데..
@user-vh3pe1pj7p
@user-vh3pe1pj7p Жыл бұрын
이글루 라 합니다. 에스키모 얼음집 모양이랑 같다해서요
@user-tg3xf7js6j
@user-tg3xf7js6j Жыл бұрын
속상하지만 보존했으면 좋겠습니다
@user-qu6hy5ox2l
@user-qu6hy5ox2l 11 ай бұрын
제주도에도 이게 있는대요. 일명 다크투어로 해야합니다.
@bongbong2539
@bongbong2539 Жыл бұрын
5:08 비행기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아 웃겨 ㅋㅋㅋㅋㅋ
@user-xc9uj9kw4t
@user-xc9uj9kw4t Жыл бұрын
ㅋ 고향이네 나도 신기했는데 어르신들이 비행기 숨겨놓는곳이라했음
@user-hv3rp3lo8m
@user-hv3rp3lo8m Жыл бұрын
대구에도 일제시대의 이글루가 남아있다
@user-rl6px9sy3f
@user-rl6px9sy3f Жыл бұрын
콘크리트 구조물은 이렇게 만드는 거다 벌써 몇십년째지? 1945년 이라 했을 경우 75년이 넘는다. 그것도 관리도 안되고 방치된 상태로
@user-wo5xv3jm9v
@user-wo5xv3jm9v Жыл бұрын
비행기 격납고인 엄체네요...
@user-bi2vf2cf6x
@user-bi2vf2cf6x Жыл бұрын
제주도 알뜨랑 비행장과 똑같네요.
@rmkim9673
@rmkim9673 Жыл бұрын
보존의 필요가 있습니다.과거 서울대철학과를 나오셨던 대통령께서 일제버르장머리를 고쳐놓겠다고 하실땐 통쾌했죠.그런데 잔재라고 중앙청을 박살내고 부산의 조흥은행건물을 부수고 전국의 잔재들을 없앤건...정말 빌어먹을 버르장머리를 고치는것보다 우리의 고통의기억조차 없앤 결과였다는... 이축도 있었는데...사실 조흥은행건물이 먼 죄라고 박물관으로 쓸수도 있었는데...너무 안타까웠죠.철학과는...감정조절이 안되나..ㅎㅎ
@user-tc4hc2nf4r
@user-tc4hc2nf4r Жыл бұрын
이런것도 있고 지하동굴같은 벙커도 본적있는듯 산에서 오래된듯한 구조물인데
@doll1959
@doll1959 11 ай бұрын
저장고 또는 창고로 활용하면 되겠네.
@user-qm6ju3gm6h
@user-qm6ju3gm6h 3 ай бұрын
이마을은 일제시대 비행장이었네요 격납고 평야지대는 비행장으로 적합
@autumn-vl5bq
@autumn-vl5bq Жыл бұрын
알뜨르....격납고
@user-pb8xv2nv8q
@user-pb8xv2nv8q Жыл бұрын
그냥 일제 강점기시대의 비행기 격납고 처럼보이는데... 허물어 버리는게 좋을거 같아요 일제시대의 잔제아닙니까 저렇게 흙에 덮여있는게 신기하네요
@deangding9793
@deangding9793 Жыл бұрын
비행기 격납고같다..
@user-ce2rv4il2l
@user-ce2rv4il2l Жыл бұрын
일제 해안포 기지구만..
@user-qh6pb4bn9g
@user-qh6pb4bn9g Жыл бұрын
일제의 비행기 격납고 었다고 들었습니다
@IllIIIllIllI
@IllIIIllIllI Жыл бұрын
걍 방공호 아님? 저렇게 사방팔방 흩어놓으면 활주로에 접근을 할 수가 있나?
@user-mi3pp9yu8q
@user-mi3pp9yu8q Жыл бұрын
ㅎ 영천 ㅡ 금호 경계지점에도
She ruined my dominos! 😭 Cool train tool helps me #gadget
00:40
Go Gizmo!
Рет қаралды 55 МЛН
3 wheeler new bike fitting
00:19
Ruhul Shorts
Рет қаралды 46 МЛН
Always be more smart #shorts
00:32
Jin and Hattie
Рет қаралды 23 МЛН
1❤️#thankyou #shorts
00:21
あみか部
Рет қаралды 88 МЛН
경이로움의 건설: 후버 댐의 비밀이 밝혀지다
17:28
Lesics 한국어
Рет қаралды 371 М.
그 터널은 왜 뚫었나? 1904년에 만든 3개의 터널 미스터리
8:09
저수지 한가운데 위치한 무덤 섬의 비밀은?
7:45
스브스와이드
Рет қаралды 2,5 МЛН
짐작조차 힘든 거대 동굴 미스터리
9:33
스브스와이드
Рет қаралды 572 М.
99년에 폐쇄된 35m 높이의 도로 미스터리
8:04
스브스와이드
Рет қаралды 793 М.
ХЕЧ БУЛМАСА МЕХНАТГА БИТТА ЛАЙК БОСИНГ
0:12
Муниса Азизжонова
Рет қаралды 4,9 МЛН
Средний палец и собака 🤯
0:25
FATA MORGANA
Рет қаралды 1,8 МЛН
Must-have gadget for every toilet! 🤩 #gadget
0:27
GiGaZoom
Рет қаралды 9 МЛН
staff uses the cart for other purposes 🦄 🛒❤️‍🔥
0:12
iPolina Queen of the Cringe 👑
Рет қаралды 15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