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동에 부는 시진핑의 붉은 바람 (고려대학교 중동·이슬람센터 성일광 교수)

  Рет қаралды 153,807

Understanding : All the Knowledge in the World

Understanding : All the Knowledge in the World

9 ай бұрын

👉중국 전문가 이철 박사의 섬뜩한 경고. “달라진 중국 달라질 중국”
apps.3protv.com/3pro/home/lec...
👉3분만에 글로 읽는 "삼프로TV 하이라이트". contents.premium.naver.com/ba...
👉언더스탠딩 문의 : gygesring@naver.com

Пікірлер: 292
@kmss8520
@kmss8520 7 ай бұрын
성일광교수님 넘 귀여우심 특히 상황극하실때 매력터지심
@hkkim3528
@hkkim3528 9 ай бұрын
서로 한바탕 하기로 미국이 중국에 시비를 걸었자나요. 화웨이 대만 반도체 쿼드 등등 그리고 한미일 중국포위전략 인도포섭하기 다음달에는 베트남방문... 이 모든것이 중국을 가둬두는 전략목표입니다. 중국이 가만히 있으면 바보죠.
@user-vr4hn1we5g
@user-vr4hn1we5g 9 ай бұрын
중국이 중국몽 일대일로 등으로 야금야금 문제를 일으켰기때문
@appp7566
@appp7566 9 ай бұрын
이번에 브릭스 추가 가입국 6개국이 사우디, 이란, UAE, 아르헨티나, 에디오피아, 이집트인데 이 국가들 면면을 보면 모두 중국에게 다 필요한 국가들이라는 것이죠 (석유수급과 동시에 곡물수급에 필요한 국가들) 앞으로도 브릭스 회원국은 점점 늘어날 예정이고 내년에는 의장국이 러시아인데 그때까지 회원국들의 재무장관과 중앙은행장들이 모여서 이른바 브릭스국가들의 화폐를 만들기로 합의를 봤다는데 정말로 브릭스에 가입한 중동국가들이 맘먹고 이제부터 브릭스의 공용화폐로만 석유를 거래하겠다고 공표하면... 우리나라는 우찌될까요? 진짜 너무 아찔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user-ok9px4yk8p
@user-ok9px4yk8p 9 ай бұрын
미국같은 이기적인 나라는 민심을 잃을수밖에 없 ㄷ ㅏ
@user-lb5kf4gj8s
@user-lb5kf4gj8s 3 ай бұрын
반갑습니다. 감사합니다 ㅎㅎ.
@user-xe9nl3ci2w
@user-xe9nl3ci2w 9 ай бұрын
중국은 아프리카에서도 자원확보 엄청해놨던데.. . 준비잘하네
@user-dd4rx8vq6y
@user-dd4rx8vq6y 9 ай бұрын
우리나라 정부는 뭐하고 있었을까요 자원도없고 인구수도 적고 나라크기도 적은데 정부가 미래를 준비도 않고 여태 뭐했는지 어처구니가 없군요
@user-pi1dz3yx8x
@user-pi1dz3yx8x 7 ай бұрын
굉장한 내용이네요. 강의 준비 많이 하신 것을 팍팍 느낍니다.
@dmrest7
@dmrest7 9 ай бұрын
성일광 교수님, 너무 재미있습니다. 어렵고, 지루한 내용인데 교수님의 설명은 지루함을 못느끼네요. 목소리에서 마성의 느껴집니다. 볼수록 중독이 됩니다.
@user-mp1bc9qg2y
@user-mp1bc9qg2y 9 ай бұрын
성일광교수님 너무 좋습니다~ 깊은지식과 똑뿌러지는 말씀과 내용 시원시원하고 유머로 정곡을 콕콕찔러주시고 너무재미있습니다
@user-tx4cq2op5m
@user-tx4cq2op5m 7 ай бұрын
좋은 소식 고맙습니다
@user-df9lr7id9d
@user-df9lr7id9d 9 ай бұрын
교수님 기다렸어요~
@daldal6582
@daldal6582 9 ай бұрын
기다렸습니다. 성일광 교수님 역시 쵝오!
@user-yh3jd5uc3j
@user-yh3jd5uc3j 9 ай бұрын
언더스탠딩 영상에서 항상 지정학 이야기를 많이 듣고 있습니다. 항상 감사드려요.~
@wrwsxf
@wrwsxf 9 ай бұрын
​@zilahfitroh6271아휴 병시나
@samkoo1369
@samkoo1369 9 ай бұрын
​😅❤ㅇ,😅😅 1:02:35 1:0😅2:35
@user-bq5zh4wo8m
@user-bq5zh4wo8m 9 ай бұрын
언더스탠딩이 제일 유익하고 잼있음
@hyejinlee7212
@hyejinlee7212 9 ай бұрын
교수님 멋지고 지당하신 말씀!
@oksunsang7454
@oksunsang7454 9 ай бұрын
성일광 교수님, 박현도 교수님 두 분 너무 재밌습니다!
@user-fs7ho1mf6x
@user-fs7ho1mf6x 7 ай бұрын
준비성갑, 설명갑!
@user-zb7dr7mp3j
@user-zb7dr7mp3j 7 ай бұрын
다들 너무 가볍게 살러는 모습이 벌건이의 모습과 닮아 있어요 참을 수 없는 가벼움의 좌표 매불....
@namola800
@namola800 9 ай бұрын
미국이 뭐길래? 😁
@cai47563
@cai47563 8 ай бұрын
사우디 핵가지면 우리도 가져야지 중국 북한 있는데
@yoonsimon
@yoonsimon 9 ай бұрын
중동 원유 사가는 국가 순위 1위 중국 2위 일본 3위 한국 4위 인도. 무기나 일 주는 것도 바이어에게 주는 측면도 있는 듯
@user-dp7hd4yc3t
@user-dp7hd4yc3t 9 ай бұрын
보고 싶은 마성의 목소릴 가진 성일광 교수님❤ 보고 싶었어요❤
@planetmona
@planetmona 9 ай бұрын
달려왔습니다 후다다닥
@user-yj3cl7rr1r
@user-yj3cl7rr1r 9 ай бұрын
성교수님 응원함니다
@geraldhan4024
@geraldhan4024 9 ай бұрын
이양반은 박현도교수와는 꽤 다른 시각에서 중동의 판세를 읽네요. 다양한 시각 좋습니다. 이분은 중국의 영향력으로 사우디와 이란이 화해했고, 박교수는 사우디와 이란은 오래전부터 서로의 이익을 위해 화해협상을 해왔고 과거 미국 대신 중국을 대리인으로 선택했뿐이다란 시각 차이가 있네요. 난 후자가 더 설득력이 있다고 생각하지만 오늘 분석 역시도 중국의 영향력이 대단해져가고 있다는데 경각심을 갖게하네요.
@kangmiracle8670
@kangmiracle8670 9 ай бұрын
외교에 의리고 뭐고 없고 ,, 적극적인 외교를 하는 중동이 부럽네요 근데 이념이 제일 중요한 정치병 정부(혹은 정치병 중환자들) 가 성교수님 비판듣고 반국가세력이라고 할까 겁나네.....
@younggun7002
@younggun7002 9 ай бұрын
마지막에 뼈 때리네요ㅎㅎ 재밌습니다ㅎㅎ
@user-oy7ox9rx1x
@user-oy7ox9rx1x 9 ай бұрын
미국이 동네방네 싸돌아다니면서 이간질로 전쟁일으키고 온갖 양아치같은 짓거리하는데 어떤나라가 좋아할까
@pickle2318
@pickle2318 9 ай бұрын
오 그럼 중국으로 가세옄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suijunjin2107
@suijunjin2107 9 ай бұрын
​@@pickle2318그럼 개한민국은 영원히 미국개가 되여라 ㅋㅋㅋ ㅋㅋㅋ ㅋㅋㅋ ㅋㅋㅋ ㅋㅋㅋ ㅋㅋㅋ ㅋㅋㅋ ㅋㅋㅋ ㅋㅋㅋ ㅋㅋㅋ ㅋㅋㅋ ㅋㅋㅋ ㅋㅋㅋ ㅋㅋㅋ
@user-oy7ox9rx1x
@user-oy7ox9rx1x 9 ай бұрын
@@pickle2318 내가 어딜가든말든 뭔상관?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yeon2839
@yeon2839 8 ай бұрын
한국에서 간섭은 비교적 성공적이라고....!!
@hong4896
@hong4896 9 ай бұрын
실업급여란 대안이 있어 직원 쓰기 어렵네요. ai 를 기다리면 직원없는 구멍가게를 꿈꿉니다.
@SWYang-jl4uy
@SWYang-jl4uy 9 ай бұрын
외교라는게 서로 주고 받는게 있어야지. 이젠 기름도 안 사가는데 중동 국가들이 미국을 따를 리가 있나? 최근에 미국에게 아무 조건없이 굴종하는 국가는 우리나라 외에는 없지
@BhangRonBooks
@BhangRonBooks 9 ай бұрын
35:00 중국이 중동을 거시기 하는 게 아니고 중동이 중국을 끌어 당긴 것이지. 따지고 보면 중국만 에너지에 목을 매고 있을 뿐. 미국과 중동은 자원국가 카르텔이지.
@user-tcookie
@user-tcookie 9 ай бұрын
2부가 있을 줄 알았는데...너무 아쉬워요..❤
@user-lr9uu5nu2q
@user-lr9uu5nu2q 9 ай бұрын
2차 세계대전 이전 미국이 일본의 에너지 수입을 막은 역사를 보면 중국이 당연히 중동쪽에 정성을 들일수밖에
@user-bean4004
@user-bean4004 9 ай бұрын
항상 언드스탠딩인데 교수님 나오시면 최상의 감동입니다
@prankim2163
@prankim2163 9 ай бұрын
항상 좋은 콘텐츠 감사합니다 🙂
@user-dailysisa
@user-dailysisa 9 ай бұрын
성일광 교수 예능감 있네. 강의도 재미나게 할 것 같다.
@user-tz3vv9fk9b
@user-tz3vv9fk9b 9 ай бұрын
시원 시원 하시네요
@Volfguy
@Volfguy 9 ай бұрын
성일광 교수님은 봐야죠 ㅎ
@user-uv9rk1le9f
@user-uv9rk1le9f 9 ай бұрын
공자학원은 중국 공산당 선전기관 + 현지 중국인 반정부 활동 감시, 감독기관 이라지요?
@london9468
@london9468 9 ай бұрын
속이 시원해요
@user-yq8nz1jh8q
@user-yq8nz1jh8q 9 ай бұрын
일전에 짧은 견식으로 교수님을 테클 건 것을 반성합니다. 우리가 나아갈 길에 대해 건전한 의견을 개진해주신 점 감사드립니다.
@duddjman
@duddjman 9 ай бұрын
교수님 화이팅!!!
@heejokang4176
@heejokang4176 9 ай бұрын
미국이 그동안 해온 전략을 그대로 답습하네요
@cony-we8zs
@cony-we8zs 9 ай бұрын
잘보겠습니다❤
@OI-np8bk
@OI-np8bk 9 ай бұрын
정신차려야 할 시기인 것 같습니다. 올바른 혜안에 깨달음을 얻고 갑니다.
@sooncheolhong2533
@sooncheolhong2533 9 ай бұрын
UAE 가 이스라엘 하고 관계 정상화 해서 트럼프에게 외교적 성과를 안겨준 나라인데, 그런 UAE 가 F-35 포기하고 그냥 화웨이 쓰기로 한 거 보면 꽤나 미국한테 빡쳤나보네.
@jk-uf3wb
@jk-uf3wb 9 ай бұрын
미쿡이 중동을 생각해서 그러나, 자기들 두려워서 그러지.. 근데 한국이 많이 열 받네… 😂😂😂
@user-us6jw7dv1c
@user-us6jw7dv1c 8 ай бұрын
분별없이 중국 책을. 왜 받지.. 조금은. 아쉬움 ~ 그것도 서울대학에다.. 중국은 성품이. 이중성 ..그래서 우린 그들과. 안맞죠..
@user-kh5gp4tb3t
@user-kh5gp4tb3t 9 ай бұрын
중동이 얼마나 간사한데 ㅋㅋ 잃는것보다 얻을게 더 많으니깐 협력하겟지
@user-wu8ir9ow6r
@user-wu8ir9ow6r 9 ай бұрын
중국이 망한다고 각방송서 난리인데 여기보면 안망하겠네😢
@suijunjin2107
@suijunjin2107 9 ай бұрын
멍청하게 협오만하고 무시만 할려고만 하고 국뽕에만 빠져 상대방이 빠른속도로 따라오는데 집구석 앉아서 주둥이만 까고 있는거지
@user-ku4zr3bx3s
@user-ku4zr3bx3s 9 ай бұрын
중국이망하면이나라안망할까웃기네
@user-ku4zr3bx3s
@user-ku4zr3bx3s 9 ай бұрын
우물안에청개구리들이
@hongzhejin5894
@hongzhejin5894 9 ай бұрын
한국에 하나님 많으니 기도해보세요
@user-harook777
@user-harook777 9 ай бұрын
13억에 전세계에 퍼져있는 화교들까지 하면 .. 그런 내수시장을 가진 중국이 이정도로 쉽게 망하면 세상에 안 망하고 있는 나라가 없습니다 . 실제 경제전문가들은 지금껏 미국을 위협했던 미국이 탄생할때 영국. 세계대전 독일. 이념경쟁 소련. 경제력 일본등 지금껏 미국을 위협했던 2위 국가와는 체급이 다른게 중국이라고 하죠 그리고 하필 공산국가에 현재 독재정권이나 마찬가지라 더 어렵다고 합니다 . 민주국가였으면 경제가 어렵고 민생이 힘들어지면 국민들이 알아서 반응하고 정권을 바꾸는데 중국같은 나라는 국민들이 견디고 그거에 익숙한 국민들이라는거죠 . 오히려 공산국가 국민들의 폐쇄성으로 더 뭉칠 가능성이 훨씬 높죠 미국이 일방적으로 패도 오히려 패는 손이 아플수도 있답니다 . 겉으로는 패면서 뒤로는 미국도 중국과 협력하는 이유가 있는거죠
@user-cg2ox3bh2n
@user-cg2ox3bh2n 9 ай бұрын
중동 국가에 한국 무기 팔기 힘들겠네!
@kImmAnbOk1004
@kImmAnbOk1004 9 ай бұрын
교수님의 지당하신 말씀에 공감 백배!!
@user-ok5dj5ib7m
@user-ok5dj5ib7m 9 ай бұрын
유일한 빛은 참을 수 없지…
@user-vm9bs2lq6b
@user-vm9bs2lq6b 9 ай бұрын
와~ 성일광 교수님이닷~!!!
@user-vc6cg3wv1q
@user-vc6cg3wv1q 9 ай бұрын
트람프가 무심했던 것도 있고 바이든도 참... 시리아에서 철군할 때 보니 흥남 철수도 그렇게는 안 했을 정도로 엉망... 중동이 삐질만도. 과거 중동은 오스만투르크 때부터 러시아가 호시탐탐 하던 곳이고 중국도 그럴 만... 세상사 복잡한데... 우리 외교 너무 단순하지 않나 걱정.
@user-vr8op8yu1n
@user-vr8op8yu1n 7 ай бұрын
서아시아라고 부르자. 우리가 극동에 살고 있나?
@boklee8405
@boklee8405 9 ай бұрын
매우 잘들었습니다 👍
@user-pr1rk6gl6f
@user-pr1rk6gl6f 8 ай бұрын
천미..교수님이 ㅎㅎ
@appp7566
@appp7566 9 ай бұрын
미국이 진짜 돌아버리겠네요 그냥 쌩가고 싶은데 빈틈을 자꾸 파고 들어와서는 미국 안해주면 내가 해줄게~ 더 좋은 조건으로~ 라고 팍팍 질러대니 이건 뭐 안해줄 수도 없고 방방 뜰 일이네요...
@user-hh2vq5xi4d
@user-hh2vq5xi4d 8 ай бұрын
탄도는 이미 80년대 이미 사우디에 동풍3 수출 30대 30억...달려..
@younghan7657
@younghan7657 9 ай бұрын
우리는 핵 개발 않는다고 미국에 약속하고 왔죠?
@user-xm4bp2yc6f
@user-xm4bp2yc6f 9 ай бұрын
미국이중동에서나쁜일만하였잖아요,침략하구.제제하구.협 박하구
@rainbowsea9679
@rainbowsea9679 9 ай бұрын
잘 지내는 중동국가들 이간질 해 분열시키고 ^^ 이제 이용당했다는 것을 스스로 느끼고 화해하는 중 . . . 중간에 중국이 끼어서 화해속도가 빨라진 것임 .
@user-zb7dr7mp3j
@user-zb7dr7mp3j 7 ай бұрын
​@@rainbowsea9679중국도 틈이 생기면 미국하고 같아질꺼임
@user-sl8xz2lr6x
@user-sl8xz2lr6x 9 ай бұрын
성일광교수님 파이팅 진실을 알려줘서 감사합니다
@user-wq6kw9ph3s
@user-wq6kw9ph3s 9 ай бұрын
자국에 떨어지는 드론들 미국이 못 막아주는데 중국은 막아 줄 수 있는지 두고 보면 답이 나오겠죠.
@user-jl6yx2os5x
@user-jl6yx2os5x 9 ай бұрын
예맨 분쟁상태 해결 됐습니다. 드론이 날아갈 일 자체가 없어짐
@user-harook777
@user-harook777 9 ай бұрын
이란은 어차피 미국에게 당할거 다 당하고 있어서 눈치볼 필요없지만 중국에겐 막대한 석유를 팔아야해서 맘대로 못합니다 . 중국이 석유 안사주면 이란 석유수출에 급제동이 걸리고 국가에 돈이 없어지는데요 한국의 이란에게 줄 석유대금도 지난정권에서 의료품이나 앰뷸란스같은 차량등 민간에 필요한걸로 대신준다고 했고 이란도 대찬성했는데 그것조차 미국이 반대해서 못했죠 . 그러더니 몇일전에 갑자기 그거 줘도된다고 해서 이란에게 지급했죠 . 이제 한국이 그동안 묶여있던 이란돈을 줬으니 이란도 한국을 덜 미워하겟네? 아닙니다 이렇게 쉽게 줄수있으면서 그동안 그렇게 요청할때는 왜 안줬냐고 더 빡쳤습니다 . 그리고 역시 한국을 상대할때는 서울하고는 대화 할 필요가 없고 워싱턴과 대화해야 하는 국가란걸 다시한번 확인했다고 했죠 주권이 없는 국가취급입니다
@yogurt2096
@yogurt2096 9 ай бұрын
미국이 수십 년 동안 그 고생을 하고 결국 아무것도 별 이룬 것 없이 나온 중동을 중국이라고 쉽게 통제 가능할까요?
@heemkim2180
@heemkim2180 9 ай бұрын
왜 중국이 중동을 통제하려한다고 믿죠?중국은 각 지역이 독자적으로 정책을 펼치면서 미국의 간섭없이 중국과 거래할수만 있으면 되는건데요? 즉 미국은 혼자 패권국지위를 유지하기 위해 모든 지역에서 자기가 절대적권위를 가지고 있어야 하지만 중국은 각 지역이 미국을 전적으로 따르지만 않고 지역평화안정을 이루어도 승리인데요
@yogurt2096
@yogurt2096 9 ай бұрын
@@heemkim2180 중동의 분쟁을 억제하고 평화 상태를 유지하는게 통제임 미국도 유가 안정을 위해서 그렇게 했던거고 이제는 중국이 그걸 하려는거
@user-rm7cy4wm2f
@user-rm7cy4wm2f 5 ай бұрын
@@yogurt2096지랄하네 ㅋㅋ 미국은 패권때문에 중동에 박힌거다. 그것고 이수라엘을 꼬라박아놓고 ㅋㅋ. 패권의 젤루 중요한게 오일이랑 달러랑 묶어놓는거다. 기축통화
@qmz1004
@qmz1004 Ай бұрын
미국은 중동에서 분쟁을 만드는 쪽이었지😂😂 중국은 미국과 역사적 맥락도 다르고 가치도 다르게 내세우고 있는만큼 통제로 해결하려 들지도 않을거고 그럴 필요도 없음 이번 이란 사우디 중재가 그 반증임. 미국은 그렇게 못함.
@sooyeonlee2967
@sooyeonlee2967 9 ай бұрын
젤 좋아요 성일광 교수님👍🏻👍🏻
@user-xm3bx2tm8t
@user-xm3bx2tm8t 9 ай бұрын
@user-fu9lt9sl8q
@user-fu9lt9sl8q 9 ай бұрын
중국이 이렇게 강대한데 넛늬들무슨 미국걱정하고잇네 자기네 생존 이나 걱저하라 중구기죄강될대 한국은 어떤. 문제가될가.
@user-xu7uo7sw7f
@user-xu7uo7sw7f 9 ай бұрын
우습다
@haijin4168
@haijin4168 9 ай бұрын
중동애들 두사부일체 한번 보여줘ㅋㅋ
@dollsface
@dollsface 9 ай бұрын
잘들었습니다
@sang-cheolkim5149
@sang-cheolkim5149 9 ай бұрын
빌딩이 너무 길었음...
@user-xj1tg4sv1o
@user-xj1tg4sv1o 9 ай бұрын
참나
@Jdgdgshd
@Jdgdgshd 9 ай бұрын
좃선반도랑 벳남은 공자가 신인 나라인데 공통점은 둘다 반중감정이 제일 높은데 공자랑 중국이랑 따로 보는데 저런건 돈들여 왜 짓냐
@hillscore1120
@hillscore1120 9 ай бұрын
동해를 sea ofJapan 으로 표기한 미국.
@user-qo2qf5jg2k
@user-qo2qf5jg2k 9 ай бұрын
미국만 일본해라 하나요
@hohohohohoho1900
@hohohohohoho1900 9 ай бұрын
​@@user-qo2qf5jg2k그럼 일본해라고 적혀 있는 발표가 있을때마다 항의 해야지요
@user-qo2qf5jg2k
@user-qo2qf5jg2k 9 ай бұрын
@@hohohohohoho1900 내가 알기로는 일본해가 국제공인 으로 알고 있는데 그것이 아닌가요 우리야 당연히 동해라 알고 있지만 국제 사회에서 우리가 부르는것을 강요할수 있을까요 원 댓글 쓴 양반은 뭔가 뉘앙스가 미국이 나쁜놈 이다 이리 들리는데
@user-qo2qf5jg2k
@user-qo2qf5jg2k 9 ай бұрын
@@jp5500 꼭 동해 일본해 명칭이 중요한가요 내가 보기에는 부인 와이프 마누라 누구엄마 이 수준인거 같은데 뜻 만 통하면 되는거 아닌가 누가 우리바다 가져가는것도 아니고 너무 용어에 매몰되서 정력 낭비하는 느낌
@quibvseadion
@quibvseadion 9 ай бұрын
@@user-qo2qf5jg2k 전세계 공식적인 표기는 전세계 IHO 합의에 따라 고유번호나 중립표기, 양측의 병기입니다.
@usinokaori
@usinokaori 9 ай бұрын
성교수님,,,,이란 못가셔서 속상하시겠지만,,,,저희가 기다립니다,,,
@user-ct9ec5lg6w
@user-ct9ec5lg6w 9 ай бұрын
미친거 아니야
@user-bt7bh1ri6d
@user-bt7bh1ri6d 9 ай бұрын
바이든 이너무잘란척하다보니.....결국은 일이터졌네 좀더 지켜봐야....
@user-cg9mh2rs9u
@user-cg9mh2rs9u 9 ай бұрын
미국은 중동에 페트로-달러라는 핵심 이익이 걸려있지 않나요?
@shakura4371
@shakura4371 9 ай бұрын
홍콩 싱가포르 Uea는 영국세력범위다 다만 홍콩은 미국 중국 일본세력이 있다
@douhuanzhang
@douhuanzhang 3 күн бұрын
배아파...
@user-ql9ue8su2h
@user-ql9ue8su2h 9 ай бұрын
가끔 축구 져주고 ㅋㅋ 이프로 사랑해요
@user-pf9ci7yf6u
@user-pf9ci7yf6u 9 ай бұрын
항구의 입출입은 항구 운영사가 결정 할 수 없다. 항구에서 각종 화물 입출 정보를 수집하는 잇점이 있을 것이다
@Sam-hs2zy
@Sam-hs2zy 5 ай бұрын
일본은 핵농축 엄청남 플루토늄 엄청남.
@gyunamlee4289
@gyunamlee4289 9 ай бұрын
중국을 믿어서는 절대안됨
@user-dy9kk6tr2y
@user-dy9kk6tr2y 9 ай бұрын
중국인들과 경쟁을 할려면 게임을 하던 방식처럼 기하의 도면으로는 먹히지 않고 서로 흉보면 그보복은3년에 갚지못하면 10년 십년이 안되면 30년으로일생에 걸기에 그만큼 원정 원격으로 성취을 이루는자가 군자라고 형영하기에 보고 배운공자맹자의 전략적인 제갈량의 머리 좋다한들 3명의 바보머리을 감당못당다는 론리가 정확하다는것이라합니다
@user-ih7ph3gj8u
@user-ih7ph3gj8u 9 ай бұрын
무슨 짓이라니 참 교수님 입에사 나온 말 이라니 수준 하고는 사과하세요
@user-bt7bh1ri6d
@user-bt7bh1ri6d 9 ай бұрын
오죽하면 그럴까? 늘잘란척하더니...
@user-kc3yp5ss2x
@user-kc3yp5ss2x 9 ай бұрын
미국입장에서 우리가 일본에 비해 별볼일 없으니까 우리는 핵농축을 못하는거지. 어렵게 말씀하시네.ㅋ
@YCSong-os5tl
@YCSong-os5tl 9 ай бұрын
다들 자기 나라 이익을 위해 뛰는데, 오염수도 마시고, 바다도 내어주는 한 나라가 있으니..
@user-fj7gc2wk1u
@user-fj7gc2wk1u 9 ай бұрын
줄타기가 어려운게 아니라 줄타기 할 마음이 없다는게 문제
@user-bt7bh1ri6d
@user-bt7bh1ri6d 9 ай бұрын
@yanghwanlim4499
@yanghwanlim4499 7 ай бұрын
만사에 그저 해해 히히 거리는 그런 경박함과 가벼움은 경멸을 느끼게 한다. 그저 뭔 주제이든 해해 히히, 바보들!
@user-sd7xz4pz6w
@user-sd7xz4pz6w 9 ай бұрын
이해가 안가는게 중국은 안정적인 공급을 위해서 중동이랑 친해지려고 한다고 하고 미국은 그걸 경계한다고 하는데.... 중국에서 안정적으로 가격맞추면 미국도 좋은거 아닌가...ㅎㅎㅎ 미국판매가격 다르고 중국판매가격이 다른것도 아닐텐데...그리고 항구 지어준것도 긴급상황에 대비해서 만들엇단것 외엔 다른 이유는 뭔지 애기해줘야지... 긴급상황에 대비하려면 우리나라나 일본에 엄청 지어줫어야 하는거 아닌가....
@user-os3dq9gk8j
@user-os3dq9gk8j 9 ай бұрын
시작이 왜 이렇게 길어
@user-pi5zh2sx3b
@user-pi5zh2sx3b 9 ай бұрын
알라 와 동급 이라는 시진핑을 중동에서 좋아 할거라구요 ? 하기사 , 한국에는 하나님 위에 있다는 전광훈 도 있으니---.
@goodjob2808
@goodjob2808 9 ай бұрын
중국 형들 또 천하 삼분찌개 하려는 거 같네
@user-ol1up8zn4d
@user-ol1up8zn4d 9 ай бұрын
미국 뭐라 하기도 뭐한게 자국내 석유 가스 무진장하게 나오는대 아무래도 관심이 떨어지죠. 그러나 저라나 중국 저러고 다니는거 보면 중동에서 뭔가 터져도 터질것 같네요 아이고
@user-gt1ve4vt6n
@user-gt1ve4vt6n 9 ай бұрын
쥐약 처묵엇냐....
@user-vr4hn1we5g
@user-vr4hn1we5g 9 ай бұрын
우리나라가 미국과 중국사이에 줄타기할 중립국인가요 자유민주주의 질서아래 선진국이 되었는데..
테헤란 핵 과학자 암살 사건의 전말 (고려대 중동.이슬람센터 성일광 교수)
1:17:03
언더스탠딩 : 세상의 모든 지식
Рет қаралды 237 М.
A pack of chips with a surprise 🤣😍❤️ #demariki
00:14
Demariki
Рет қаралды 40 МЛН
ТАМАЕВ vs ВЕНГАЛБИ. Самая Быстрая BMW M5 vs CLS 63
1:15:39
Асхаб Тамаев
Рет қаралды 4,5 МЛН
Китайка и Пчелка 4 серия😂😆
00:19
KITAYKA
Рет қаралды 3,7 МЛН
서울 점령한 정체불명 파리떼 '러브버그'. 넌 대체 누구냐?? (갈로아 과학웹툰작가)
57:20
테러 제보 모른척한 푸틴, 대체 왜 그랬을까? (서강대 유로메나연구소 성일광 교수)
48:55
중동발 3차 세계대전, 막을 수 있을까 (서강대학교 유로메나연구소 박현도 교수)
1:13:11
하마스는 이 전쟁을 끝낼 생각이 없다 (고려대학교 중동·이슬람센터 성일광 교수)
53:24
A pack of chips with a surprise 🤣😍❤️ #demariki
00:14
Demariki
Рет қаралды 40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