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 내 고딩시절을 녹였던 카오스 간만에 보니까 감회가 새롭다 ccb 본선한번 가보겠다고 별지랄다했는데
@힘내자힘-q3n9 ай бұрын
이게 13년 전이네..
@userjiuuu10 ай бұрын
클라우드가 전설이었지 ㄹㅇ
@jjbae57514 ай бұрын
생존자있는가
@진성호-q5h3 жыл бұрын
BTS brought me here
@밀실방구사건5 жыл бұрын
난 몰에 시도하면 몰에쓰고 몰에 어택땅 찍는게 안돼서 항상 위치 발각됬었는데 이분은 깔끔하네
@user-vv9tb5fk2m8 жыл бұрын
지린다 진짜. 롤보다 카오스가 손 훨낀 많이 가는 게임이라. 블리자드는 워크매일 업데이트해서 맵핵만 막았어도. 혹은 카오스 원작자랑 합작했얶어도 ㅉㅉ 블리자드 돈 욕심에 롤에 밀림
@lofichill-i2q5 жыл бұрын
참 매력적인 챔프
@user-jfjckaltaqh3 жыл бұрын
스페셜이 아니고 그냥 점멸이 몇십초 만에 있고 데미지도 개사기인 씹 사기 영웅이구만 ㅋㅋㅋㅋㅋㅋㅋㅋ 이거 고르고 자랑스러워 하는 애는 자기만족 부족한 애들,겁쟁이뿐. 다른 거 하면 실력 뽀록나고 카오스도 노잼될까봐.
@Ssyyeeooa12343 ай бұрын
병ㅅ ㅢㄴㅋ
@park.j78763 ай бұрын
님 논리대로라면 개사기 캐릭이니까 이 캐릭만 다 골랐겠죠?? 카오스가 뭔지 아는 사람인거 같은데 왜 그렇게라도 자존감을 얻으려 하는거에요?? 그 당시 사람들은 실크가 사기라고 하는 사람 보기 힘든데;;;
@ddidzzang312 жыл бұрын
마지막노래 prince of darkness
@Dzergling13 жыл бұрын
언제봐도안질리는구만 ㅋㅋㅋㅋㅋㅋㅋㅋㅋ
@lafoi77712 жыл бұрын
쩐다
@argon50459 жыл бұрын
2분 30초쯤 브금 제목좀알려주세여 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
@한가람-t5c5 жыл бұрын
찾으셧을지모르겠지만 stay with me 라는 곡입니다
@하후하-v4v11 жыл бұрын
그립다.....
@jiseopshin29511 жыл бұрын
by whom???
@사촌간볼빨기-e6f5 жыл бұрын
그냥 활쏘고 누누궁쓰는 샤코라고 보면됨
@최천수-y6h11 жыл бұрын
쩐다...
@냠냠-w9t9 жыл бұрын
상대팀 수준이 ㅋㅋㅋ
@aeg393911 жыл бұрын
몰버 쩌러....
@子杰-n7k8 жыл бұрын
Background music ?
@rockcrab31528 жыл бұрын
2:30 stay with me - ez2dj 6th 4:24 the prince of darkness - ez2dj 7th 1.5 ez2dj is korean rhythm game
@bardio27739 жыл бұрын
실크 = 양학용
@seokhyeanhong861411 жыл бұрын
상대방이 개못하내
@ojklike11 жыл бұрын
개공방수준;;
@서은정-k8e9 жыл бұрын
이거 잘몰라서 그러는데 롤이랑 개똑같네?
@클립-c6z9 жыл бұрын
+서은정 워크 카오스온라인이라는 유즈맵ㅋ 이게 원조고 롤은 이걸 제대로 게임으로 만든거임
@이승현-x6n1v9 жыл бұрын
+korkis 어그로면 성공적
@고기기순9 жыл бұрын
+이승현 사실인데요.. ㅎㅎ 카오스라는 유즈맵인데 이 맵이 도타라는 맵을 수정해서 만든맵이에요. 근데 그 도타라는 유즈맵 제작자가 롤 개발팀 창단멤버에요. 이런 형태의 게임을 AOS라는 장르로 분류하며 그러한 게임을 제대로 만들어보자 해서 만들어진게 롤이에요.
@이승현-x6n1v9 жыл бұрын
정기수 글 제대로 읽자 도타가 원조지 저거 위엔 카오스가 원조래자나
@고기기순9 жыл бұрын
+이승현 그런식으로 따지고 드시면 곤란한데 ㅋ 그렇게 따지면 도타가 원조가 아니라 그 이전에 존재 했던 스타유즈맵 '고대의 문' 이나 이런것들이 더 원조인데요. 여기서 말하는 원조의 뜻은 그런 사전적인 뜻이 아니라 이전에 존재했던 게임정도로 해석하시면 될건데 그걸 그렇게 받아들이시면;; 그리고 도타 유즈맵과 카오스 유즈맵이 롤과 카오스 정도의 차이가 아니라 캐릭도 몇몇 겹칠정도로 비슷하며, 상대적으로 국내에서 카오스가 크게 유명세를 떨쳤기 때문에 그렇게들 얘기하는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