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S 역사추적 - 남한산성 초대형 기와의 수수께끼 / KBS 2009.3.21 방송

  Рет қаралды 493,282

KBS역사저널 그날

KBS역사저널 그날

3 жыл бұрын

남한산성에서 1,300년 전의 초대형 기와가 무더기로 발굴됐다. 국내 어디서도 보고된 적이 없는 초대형 기와로 한 장의 길이가 무려 63cm, 그 무게만 20kg에 달한다.
통일신라인들은 무슨 이유로 이처럼 크고 무거운 초대형 기와를 만든 것일까? 그리고 이런 초대형 기와를 올린 건물은 대체 어떤 건물일까?
- 발굴된 초대형 기와는 수퍼 기와?
초대형 기와가 발견된 곳은 병자호란 당시 인조임금이 피신했던 남한산성의 행궁 터 앞마당. 수습된 기와는 토지박물관으로 옮겨졌다. 깨지지 않은 완형으로 발굴돼 보존처리를 마친 초대형 기와만 350여점에 달한다.
보통 40cm 이상의 기와는 특대형으로 분류하는데 대부분이 50cm를 훌쩍 넘는다. 길이도 두께도 조선시대 기와의 두 배. 크고 두꺼운 만큼 무게도 국내 최고였다.
1,300년 전 사람들은 과연 무엇 때문에 이처럼 크고 무거운 초대형 기와를 만든 것일까? 초대형 기와의 특징을 분석하기 위해 기와를 복원하여 압력과 인장 실험을 해보았다. 강도는 552kg. 70kg의 성인 8명이 올라가도 끄떡없다.
그 뿐 아니라 격파시범단의 격파에도 전혀 깨지지 않았으며 2000cc 중형차가 그 위를 지나가도 버텨냈다.
- 초대형 기와 건물의 존재, ‘판축형 벽체’
과연 초대형 기와의 무게를 지탱할만한 건물이 존재했을까?
건물 내부 초석을 따라 조성한 흙벽이 의문을 풀어주었다.
2m에 이르는 두꺼운 흙벽은 단순한 흙벽이 아니라 바닥에 자갈을 깔고 그 위에 해충을 방지하는 목탄을 올린 다음, 흙을 다져 층층이 쌓아올린 판축공법으로 만든 벽체이다.
판축형 벽체는 상부로부터 내려오는 하중을 안전하게 지반으로 전달 할 수 있는 역할을 담당함으로써 초대형 기와지붕의 엄청난 무게를 지탱할 수 있었던 것이다.
- 출토된 ‘天主’명 기와는 무엇을 뜻하나?
발굴한 명문 기와 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명문이 ‘말촌주’다. 그러나 우리는 그 동안 국내에서 발굴된 적이 없는 ‘천주’라는 글자가 새겨진 두 개의 명문기와에 주목했다. ‘천주’라는 용어는 마테오리치가 ‘천주실의’ 집필한 이후부터 동양에서 카톨릭의 신을 가리키는 용어로 뿌리 내렸다. 기와의 ‘천주’라는 글자는 기독교에서 사용하는 용어일까? 남한산성 초대형 기와건물은 1,300년 전의 종교시설이었던 것일까?
- 초대형 기와건물은 문무왕 때 무기고였다
성곽복원공사를 위한 발굴조사에서 입수시설의 지하 4m 위치에서 또 다른 석성의 흔적이 발견됐다. 석성의 흔적이 발견된 곳은 문무왕 12년(672)에 한산주에 주장성을 쌓았다는 삼국사기의 내용을 미루어 볼 때 주장성일 가능성이 높다.
또 건물지에서 마산정이라는 명문기와가 발굴됐다.
초대형 기와 건물은 견고한 구조로 적이 지붕을 뚫지 못하도록 설계됐고 신라의 중요한 지방 군사조직을 가리키는 ‘정’이 들어간 명문기와가 발굴된 것으로 보아 주장성의 핵심시설인 무기창고로 사용된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 주장성은 당군 남진 저지 위한 한강방어 총사령부
초대형 무기고를 만든 것은 이미 백제와 고구려를 멸망시킨 다음이다. 그런데 왜 최전방도 아닌 한강 유역에 거대한 성을 쌓았던 것일까? 백제와 고구려가 멸망한 후 당나라군은 신라를 향해 남진하기 시작한다. 신라는 당군의 남진을 막기 위해 한강 이남에 최후의 방어선을 구축한다.
이때 주장성은 나당전쟁을 승리로 이끌기 위해 국력을 집결시켰던 한강방어 총사령부였다. 따라서 나당전쟁 기간 신라의 군수물자는 주장성으로 집결했고 초대형 기와건물에
보관했던 것으로 보여진다.
남한산성에서 발굴된 초대형 기와는 당나라 20만 대군과 맞서야 했던 신라의 국운을 건 역사가 담겨 있었다.
한반도를 통째로 삼키려는 당나라군을 몰아내기 위해 1,300년 전 이 땅의 기술자들은 거대한 성을 쌓고 초대형 기와를 만들었던 것이다.
역사추적 15회 - 남한산성 초대형 기와의 수수께끼 (2009.3.21.방송)
history.kbs.co.kr/

Пікірлер: 419
@user-yt8qe4jo2q
@user-yt8qe4jo2q 3 жыл бұрын
정말~~ 우리나라는대단하신 선조님들이많으십니다 지혜롭고슬기로우신 선조님들덕분에저희들 이지금대한민국에서편 안히살수있는것같습니다 너무감사드립니다~~
@user-ug9ij9sg8x
@user-ug9ij9sg8x Жыл бұрын
ㅠㅗㅗㅗㅗㅎ
@user-wy5bc5fq3x
@user-wy5bc5fq3x Жыл бұрын
우리 조상님의 뛰어난 건축기법과 기술을 엿볼 수 있네요.
@tokkoutai-fb6ul
@tokkoutai-fb6ul Жыл бұрын
그렇죠..ㅎ 그런데 저 건물이 왜 사라졌을까요? 고려 조선으로 이어졌으면? 그것도 동양 최대의 건물이...고의적으로 봅니다.
@bradj5228
@bradj5228 Жыл бұрын
뛰어난?? 세계적으로 보면 중간 수준입니다. 중국과 로마만 봐도 한국은 비교 할게 못됩니다.
@t_in_world
@t_in_world Ай бұрын
​@@bradj5228사실이죠... 로마는 이미 유리랑 콘크리트 쓰고 있었죠... ㅠㅠ 멀리 갈것도 없이 티벳이랑 부탄도 흙이랑 나무만으로 3층 이상의 건물도 짓고 있었죠...
@user-lc6kn5rd4o
@user-lc6kn5rd4o 2 жыл бұрын
대형기와를 만드는 과정이 쉽지 않은데 선조들은 정말 대단하세요
@orange.j
@orange.j 3 жыл бұрын
요즘 최애 채널임....크브스다큐...🧡
@06korea77
@06korea77 Жыл бұрын
실마리들을 수집하여 의미있게 재구성해나가는 것이 역사의 진정한 재미이자 정수!
@user-ie9ph3ym6z
@user-ie9ph3ym6z 3 жыл бұрын
영상 잘봤습니다~^^
@user-dy2me8kk5c
@user-dy2me8kk5c 3 жыл бұрын
여러분의 시간은 소중하니 요약들어갑니다. 남한산성에서 신라시대때 만들어진 초대형 기와가 발견되었습니다. 그 기와는 신라가 나당전쟁때 사용한 무기고를 지키는 용도였습니다.
@icandoyi181
@icandoyi181 3 жыл бұрын
구독했어요 역사를 조명해줘서 감사합니다
@user-cj4tj2gu5z
@user-cj4tj2gu5z 3 жыл бұрын
새롭게 나오는 유적과 유물들 잘 연구하고 보존이 잘 되었으면 합니다.
@user-xp4bg3zo8d
@user-xp4bg3zo8d 3 жыл бұрын
역사적 흔적과 육하원칙적 고증의 적나나한 말씀 감사합니다.
@damoyepy2382
@damoyepy2382 Жыл бұрын
이런 주제는 요즘 시대에 다시봐도 매우 유익한 내용이네요\ 수신료의 가치!!
@honnykim6052
@honnykim6052 3 жыл бұрын
유익합니다.
@efan558
@efan558 3 жыл бұрын
오늘날 최첨단 탱크나 장갑차의 복합장갑에도 기와의 일종인 Ceramic이 사용되죠.
@user-ft2cu2tp8f
@user-ft2cu2tp8f 3 жыл бұрын
오 그렇군요
@ediya4499
@ediya4499 3 жыл бұрын
대형 기와 격파하라고 시키는 건 저 사람 손 조질려고 작업친 거 아니냐 ㅋㅋㅋㅋㅋ
@user-qm4tj8ds3s
@user-qm4tj8ds3s 3 жыл бұрын
시킨놈이 도라이임 ㅋㅋ
@user-ss2rd3fg2w
@user-ss2rd3fg2w 3 жыл бұрын
역사는 진짜 재미 있는거 같아요 이걸 시험만보게 공부시키니..애들이 싫어하죠.
@ijun8434
@ijun8434 3 жыл бұрын
님이 시험을 통해 외웠기 때문에 재미가 붙은 거겠죠
@jp5500
@jp5500 3 жыл бұрын
시험도 시험이지만 상대평가다 보니... 줄세우기를 위해서 너무 지엽적인것들을 위주로 출제해야하고 선생님들도 그런 줄세우기에 유리한 수업내용이 가득해서 그런게 아닐까 싶네요.
@jonctmaga1486
@jonctmaga1486 3 жыл бұрын
시험도 안보면 아얘 듣지도 안을 껄 ㅋ
@ediya4499
@ediya4499 3 жыл бұрын
주관식을 기반으로 시험을 보게 만들어서 한국사의 기초적인 부분은 반드시 알게 만들고 더 관심이 있는 사람은 이런 영상을 찾아보며 깊이 있게 역사를 알아가면 됩니다.
@islandtree7577
@islandtree7577 3 жыл бұрын
국어 영어 수학 과학 음악 체육등 모든 과목이 줄세우기 시험 만을 목적으로 하지 않으면 재미 있어요..
@songminsoo
@songminsoo Жыл бұрын
조상님들의 뛰어난 기술도 좋지만 그보다 저런 기와를 쓸때에 그집이나 궁궐 등등의 그 규모가 얼마나 웅장하고 대단했을까요
@sok3844
@sok3844 3 жыл бұрын
신라인들의 기술력이 상당했네요
@user-ub9uv4ls3s
@user-ub9uv4ls3s 3 жыл бұрын
불국사나 석굴암만 봐도 알 수 있죠. 그래서 고구려는 무술 백제는 예술 신라는 기술의 나라라고 하기도 함.
@superman0083
@superman0083 3 жыл бұрын
유튜브는 영상을 볼때까지 추천영상에 지독하게 올려놓네요.......안보면 안될거 같아서 보고갑니다. ㅜㅜ
@user-sh6kp2wd1o
@user-sh6kp2wd1o 3 жыл бұрын
남한산성 언제나 그리운 고향 먹먹합니다
@user-wg2oc8mn3o
@user-wg2oc8mn3o Жыл бұрын
신라는 알면 알 수록 대단한 나라였다 불국사 석굴암 성덕대왕 신종등 모두 과학적으로 만들어졌고 지금봐도 하나도 뒤떨어지지 않음
@user-tg4ww6ke8t
@user-tg4ww6ke8t Жыл бұрын
첨성대를 왜 빼먹나요 첨성대는 세계최고古의 천문관측소 입니다 천문의 관측은 최첨단의 과학수준을 의미하죠 아슐리안 주먹도끼도 아시아에서 유일하게 한반도에서 발견됐습니다 서양이 문명의 기원이라는 정설을 뒤집은 사건이었죠 한국인들은 우리 역사에 존재하는 최초 최고의 것들을 너무 쉽게 간과합니다 그것들의 의미를 제대로 알지 못하며 가르치지 못하는거 같습니다😅
@user-wg2oc8mn3o
@user-wg2oc8mn3o Жыл бұрын
@@user-tg4ww6ke8t ㅋ 성덕신종 등 이라고 했잖아요 ㅎ ㅎ 첨성대만 있습니까 ? 포석정도 과학의 이치지요 포석정도 술이나 마시고 놀던곳으로 아는데포석정은 남산에 제를 지내고 귀족들이 음복하던 자리였습니다 최근 포석정 옆에 제를 지내던 큰 건물터가 발견되고 제단도 발견이 되어 신라가 망하기전 위급한 상황이라 급하게 제를 지내고 음복했을 거라고 역사학자들이 보고있습니다 포적정은 역사스페셜이 두번 만들었는데 처음방송이 불충분하여 두번 만든듯 합니다 불국사 석가탑에 무구정광 다라니경을 목판은 세계 최초이고 무구정광 다라니경을 인쇄한 종이가 한지인데 우리나라가 이미 신라때 만들어 사용했다는 기록과 사찰이나 궁궐 단청도 이미 신라시대부터 사용했다고 삼국사기에 다 나오구요 역사스페셜 신라양탄자로 방영한 것을 보면 신라에서 가내공업으로 자신의 이름 붙이고 양탄자 만들어서 일본에 놋수저(숟가락과 젓가락)등등을 수출하였는데 일본 왕실 창고에는 포장도 뜯지않은 1300년 상품들이 그대로 보관되었더라구요
@user-lw5qz4xe3v
@user-lw5qz4xe3v 3 жыл бұрын
고려청자 용마루가 1m짜리가 일본박물관에 잇지요! 매병도 1m 넘는것도 잇구요!
@user-lk4ty8yw9o
@user-lk4ty8yw9o 3 жыл бұрын
고려는 왕궁보단 큰사찰들도 있었다니 뭐 아무래도 고려까진 무역국가였으니 조선보단 잘살았겠죠.
@user-ty3dp1so9y
@user-ty3dp1so9y 3 жыл бұрын
와~우~~멋져부러~
@KoreaFirst
@KoreaFirst 2 жыл бұрын
신라의 비밀은 너무나 많죠, 과거 신라시대 한반도는 정말로 화려했을것이라 예상합니다.
@user-tj7ht7sp3n
@user-tj7ht7sp3n 2 жыл бұрын
황금보검 하나만으로 설명 끝.
@user-by3mm6jh3b
@user-by3mm6jh3b 3 жыл бұрын
나의 고향 언제나 그리운 그곳 남한산성 지금은 초등 그따는 국민학교 소풍해마다 갔다와는데 그립다
@jsj0113k
@jsj0113k 3 жыл бұрын
태권도 퍼포먼스용 기와는 정말 약하게 만들어집니다. 이게 함정 복원용보다 더 두꺼웠던 원본은 얼마나 더 단단할까 ㄷㄷ
@jmh1467
@jmh1467 Жыл бұрын
태권도용은 씨멘트로 만들기때문에 약합니다 옛날기와는 흙으로 만든후 구워서 만들기때문에 요즘기와랑 비교할수없어요
@user-youngjae930
@user-youngjae930 3 жыл бұрын
갑자기 무기고 얘기가 나오니까 샤를 형의 '무기고에 오신 여러분들 환영합니다.' 이게 떠오르네요 ㅋㅋㅋㅋㅋㅋ 토전사가 이런 폐해를 남기네 ㅋㅋㅋㅋ
@scho7001
@scho7001 3 жыл бұрын
격파할때 안깨지만 손 엄청 아픈데.. ㅠㅠ ...손목 손등뼈 손관절 팔관절 다 작살난다. 나이 들어 고생함.. ㅡㅡ
@user-wx6ut6em3w
@user-wx6ut6em3w 2 жыл бұрын
감동
@dwl8494
@dwl8494 3 жыл бұрын
지금의 탄약고 같은곳이군!!
@Kim-ig3qq
@Kim-ig3qq 2 жыл бұрын
동막골 탄약고...
@Love-Peace-Culture_KimGu.37
@Love-Peace-Culture_KimGu.37 3 жыл бұрын
역사는 반복되고, 현재와 이어져 있다.
@user-ix8km7em7n
@user-ix8km7em7n 3 жыл бұрын
산에서 본 기와랑 비슷하네요 옛 기와를 수집을 하는터라 가져오려다 너무 무거워서 그냥 두고 왔는데 이런데 쓰인것이라 놀랬네요
@hbkim8195
@hbkim8195 3 жыл бұрын
와통에 붙이지 않고 와통을 반으로 자른 후 옆으로 뉘어 흙을 올려 붙여 만들면 더 쉽고 간편할 텐데...
@user-jg3in2se2o
@user-jg3in2se2o 3 жыл бұрын
오우 빙고
@Koal548-q8e
@Koal548-q8e Жыл бұрын
만들기도 힘들고 지붕 에 올 리 는 것도 힘이 많이 들어갔겠다 산이 추워 두껍게 만들 엇을 까 요
@jswhite9088
@jswhite9088 3 жыл бұрын
기와 격파 실험에서 빵터짐ㅋㅋㅋㅋ
@user-mf3jl1uw8c
@user-mf3jl1uw8c 3 жыл бұрын
군사시설이었으니까 투석기에 어느정도 견딜만한 기와가 필요했겠지
@Rich-gc8vy
@Rich-gc8vy 3 жыл бұрын
저걸 손으로 격파하려고 하다니.....격파 시도한 사람 손은 어쩌라고 헐~~~~~~~~
@julienpark6920
@julienpark6920 3 жыл бұрын
그러게요 꼭 기와의 강도를 사람손으로 치는것으로 보여줄 필요가.... ...
@jinseokkim9300
@jinseokkim9300 3 жыл бұрын
ㅋㅋㅋ 벽을 주먹으로 치는꼴
@Dk-vo7uw
@Dk-vo7uw 3 жыл бұрын
이거 몇년도작인가요??
@bigbingbig7735
@bigbingbig7735 3 жыл бұрын
12:43 10일간 빡시게 만든 기와를 깨부냐...
@jinjan-qd9si
@jinjan-qd9si 3 жыл бұрын
집뼈대가 얼마나 크도 튼튼하길레...ㄷㄷ
@klausfeuermann3825
@klausfeuermann3825 3 жыл бұрын
1:21 저건...정말 아프다...
@auainno
@auainno 3 жыл бұрын
놀랍군요. 그시대 곈고한 기와장!
@user-wf6md5vv8d
@user-wf6md5vv8d 3 жыл бұрын
초대형 기와 격파 시범 보인 사람들 손목 나갓겠다.
@user-wf6md5vv8d
@user-wf6md5vv8d 6 сағат бұрын
2024년도에 또 보고 있음... 3년전의 나 반갑다ㅎㅎ
@307signal
@307signal 2 жыл бұрын
ㄴ라 기와는 5센티 두께였던거 같은데요 경남 이반성가보면 용암사지터에 기와보면 그렇게 두꺼워요
@tomuranokatze6598
@tomuranokatze6598 3 жыл бұрын
정답: 무기창고의 기와 였다. 35:18
@user-or2zh4fd1r
@user-or2zh4fd1r 3 жыл бұрын
오 이가 보고싶다고 생각했었는뎅
@user-fx3et3gc6q
@user-fx3et3gc6q Жыл бұрын
당이 신라에 좇겨서 마지막으로 설치한 안동도호부가 지금의 탁주였다. 지금의 북경 남서쪽에 있다. 고구려의 국경 또한 정흥 역현을 잇는 선이었다.
@bagabond660
@bagabond660 8 ай бұрын
6분45초에서 자르고 글을 씁니다. 쓸까말까 하다가 씁니다. 내 판단은 저 기와는 지붕용이 아니고 관의 지붕용입니다. 혹은 장식용. 장식을 하필 기와로 하기엔 ㅎ 여기서 끊고 영상 이어서 볼게요.
@user-mm4gy3th4p
@user-mm4gy3th4p 2 жыл бұрын
불교경전에 천주라는용어는 화엄경 약찬계에 나옵니다. 약찬계는 주로 화엄신장님들의 보호가 필요할때 신중단에다 하는 염불이니 무기고라면 아마도 신장님들의 가호를 염원하여 새긴 글이 아닐까 합니다.
@user-vm4qy6rg3h
@user-vm4qy6rg3h 3 жыл бұрын
저정도면 과속방지턱이네.ㅋㅋㅋㅋㅋㅋㅋㅋㅋ
@user-ml6cn5yb7c
@user-ml6cn5yb7c Жыл бұрын
후백제 동고산성 건물지보다 큰가요?
@user-ne9il2ol2s
@user-ne9il2ol2s 3 жыл бұрын
1:30 아프겟다 ㅜㅜㅜ
@RkEm-ty8vt
@RkEm-ty8vt 3 жыл бұрын
12:24 강도측정에 왠 격파? 피디취향인듯
@user-hs5sk1oe7y
@user-hs5sk1oe7y 3 жыл бұрын
당나라 멸망의 준비된 신라 군사는 무기쳬제와 신무기 연구로 최상조건 5만군사로 강대국 당나라를 무찌른 20만군대를 무력으로 대접전한 지략!
@user-wg3ul8tl4q
@user-wg3ul8tl4q Жыл бұрын
남한산성의 행궁터내 신라시대 초대형 와瓦기와 발견되다 58cm 크기 넓이 두께 두배培 만든 이유는 추적하라 현실에서 40cm이상 만들지 않는다고 합니다 한형준 제와瓦기와 匠장인 재현하다 ᆢ 복원을 시도하다
@user-wg3ul8tl4q
@user-wg3ul8tl4q Жыл бұрын
심광주 ᆢ 토지 와瓦기와퉁작업 ᆢ 한형준 제와장 재현하다
@gangeshwangdo9492
@gangeshwangdo9492 3 жыл бұрын
신라 불국사 석가탑 금동사리함은 대한민국 고대유물중 가장 난이도높고 금가공 기술이 오늘날에도 복원하지 못할정도로 세밀하고 정밀하다 현미경으로 봐야만 자세히 볼수있는 석가탑사리함 금을 다루는 기술이 놀라울뿐이다
@user-hx2vt5mr6j
@user-hx2vt5mr6j 3 жыл бұрын
황룡사 9층탑은 아 장난이였구나...
@user-hw6jc6xg2f
@user-hw6jc6xg2f 3 жыл бұрын
아니 땅에 파묻힌걸 발굴했는데... 부식도 안됐나? 내구성 장난아니네~
@307signal
@307signal Жыл бұрын
절집 기우ㅏ가 두께가 10센티나 되느ㄴ거 왜링 까요?? 고현 용암사터에 신라절터에서 ㅅ그런게 나와요
@gimmyeongjun
@gimmyeongjun 3 жыл бұрын
역시흥미롭군
@JYKim-lu7tp
@JYKim-lu7tp 3 жыл бұрын
고대역사의 종교는 하나로 이어져있고 하나(하늘)님의 개념은 전세계 공통의 종교의 토대다. 김정민박사 역사강의 들으면 의문이 풀림.
@user-ol1he5bp3p
@user-ol1he5bp3p 3 жыл бұрын
1:21 아프겠다 ㅠ
@Gor969
@Gor969 3 жыл бұрын
1:24 ㅋㅋㅋㅋㅋ비명이
@user-wj9bi3qr4y
@user-wj9bi3qr4y 3 жыл бұрын
신라뿐만 아니라 백제 기와도 크고 두꺼웠음. 삼국시대로 갈 수록 그만큼 건물규모나 부재가 조선시대보다 크기 때문.
@einwinter751
@einwinter751 3 жыл бұрын
자동차가 1.3톤 이라고 해서 바퀴 하나에 1.3톤의 중량이 다 실리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누구나 안다.
@ack3145
@ack3145 3 жыл бұрын
신라도 대단하구만
@georgiakim8727
@georgiakim8727 3 жыл бұрын
우리 민족은 대단한 머리와 손기술을 가진. 다단한 민족 입니다.
@user-jv2re3ir6o
@user-jv2re3ir6o 3 жыл бұрын
12:40 손 부러지는거 아니야 ㅋㅋㅋㅋ
@user-hq7vo9xg9l
@user-hq7vo9xg9l 3 жыл бұрын
IF 남발하면서 신라 폄하하는데 전세계에 천 년을 유지한 왕국은 역사 이래로 손가락에 꼽을 정도다. 우리나라에 있는 것을 자랑스러워 해야 한다. 천 년이라니...
@chonulgwiin5051
@chonulgwiin5051 3 жыл бұрын
신라야 말로 민족의 정통!
@user-dc7sj4sj4p
@user-dc7sj4sj4p 3 жыл бұрын
@@chonulgwiin5051 / 한민족 역사는 반만년이 넘고,,,,신라의 역사는 2천년인데,,, 민족의 정통이라고?ㅋㅋㅋ 단군고조선,부여,고구려,발해와 아무 상관이 없는데,,,한민족 정통?ㅋㅋㅋㅋㅋ,,,아니 그렇게라도 정신 승리 하고 싶냐?,,,,, 고향이 경상도야?,, 그러면 문재인,조국,추미애를 낳은 경상도라서 엄청 자랑스러워 하겟네?ㅋㅋㅋㅋ
@yjk2155
@yjk2155 2 жыл бұрын
이렇게 벽이 두꺼우면 여름엔 시원하고 겨울엔 정말 따뜻 했을 것 같아요
@user-ik8qh7gx9g
@user-ik8qh7gx9g 3 жыл бұрын
👍👍👍
@user-mg1lz1nj4s
@user-mg1lz1nj4s 3 жыл бұрын
마지막 몐트가 좀 웃기네^^
@feel_so_shower
@feel_so_shower 3 жыл бұрын
1:21 ㅋㅋㅋㅋㅋㅋ 너무한거 아니냐 저걸진짜실험하네
@user-st3727ytdre1b
@user-st3727ytdre1b 3 жыл бұрын
기와는 밀도가 높은 점토질 입니다. 초기 영상에서 타격한 흑색 기와와는 기본적으로도 흡수율과 공극률, 소성온도 자체가 다른데 강도가 같을수가 없지요... 동파는 흡수율, 공극률과 가장 큰 상관관계가 있습니다. 재료에 대한 기본이해가 없는데 3D로 만들어봤자 무슨 소용이 있겠습니까 점토의 점도가 뭘로 조절되는지는 파악을 했는지요?
@user-wo1kh5mw7w
@user-wo1kh5mw7w 3 жыл бұрын
격 공감합니다.
@user-lh3kn8ke9c
@user-lh3kn8ke9c 3 жыл бұрын
점토의 점도 ? 점토의 강도입니다. 토질역학 측면에서 알 수 있습니다. 신라는 고려 , 조선보다 과학이 뛰어난 나라였습니다.
@user-st3727ytdre1b
@user-st3727ytdre1b 3 жыл бұрын
행복한 기와의 소성 전 원료인 점토의 강도란 말은 제작과정에 없습니다. 소성 후 강도겠지요...점도는 균질화 또는 소성 전 원토의 점성을 뜻하는 것 입니다. 신라는 삼국 중 자기 기술이 가장 뒤떨어진 나라입니다. 신라가 토기기술이 최고였다는 말은 처음 들어봅니다. 금속가공기술도 백제에 비하여 많이 뒤떨어졌었죠...신라의 가마 터널요가 가장 구시대적인건 아시는지요?
@user-st3727ytdre1b
@user-st3727ytdre1b 3 жыл бұрын
행복한 또한 기와는 점토를 소성하여 용적과 비중의 변화를 꾀하며 소성 후 강도의 증대란 말이 기와에 적용되는 바, 본론의 주제인 기와의 제작에 있어 님께서 언급하신 원료의 강도란 적합하지 않다고 판단되며 원토의 용융도 역시 소성을 위한 점토의 균질화 과정에 포함되어야 하는 의미이므로 강도라는 단어는 합당하지 못합니다.
@user-st3727ytdre1b
@user-st3727ytdre1b 3 жыл бұрын
행복한 역학적인 측면의 경우 강도와 강성, 내피로성 등으로 구분하여 볼 수 있습니다. 이 또한 구체의 역할을 해내는 구조재로의 성격이지 구성 원료로의 성격으로는 말할 수 없을 것 입니다.
@user-yf9ub1zv7y
@user-yf9ub1zv7y 3 жыл бұрын
아나운서 분이 들어서 무게 가늠할때 너무 웃겻음 ㅎㅎㅎㅎ
@ewerae5531
@ewerae5531 Жыл бұрын
그 시절 신라인 및 백제인들은 어떻게 소통이 되었는지 두 나라가 언어도 틀리고 글도 서로간 모르던데 어떻게 이렇게 발달이 되었는지 미스테리다.
@user-pr9qw7kb9v
@user-pr9qw7kb9v 3 жыл бұрын
1:22 ??:흐이야압!! 핰 하.....
@user-ux7yy5qd2e
@user-ux7yy5qd2e 3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ㄲㅋㅋㅋ
@kobulso
@kobulso 3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user-nn3mm9ow5k
@user-nn3mm9ow5k 3 жыл бұрын
통나무 소리나뿌놐ㅋㅋ
@user-qm2ip4jz7w
@user-qm2ip4jz7w 3 жыл бұрын
투석기 막는 용도인가?
@collinslee4383
@collinslee4383 3 жыл бұрын
소리질러!!! 구욱욱욱뽕~!
@user-ie9ol3ex2w
@user-ie9ol3ex2w 3 жыл бұрын
근데 진짜 궁긍한게있는데요. 21세기에 옛날식건물을 지을수없다는데 왜그런건가요? 지을수있다한들 튼튼하지가 않다고하던대.. 참신기하고 궁금합니다.
@forget4545
@forget4545 3 жыл бұрын
From L.A 전란이나 왕조의 멸망으로 당대의 기술이나 기록이 전하지 않기 때문이죠..예를들어 천년전 고려청자의 비색을 현재도 구현하지 못하죠. 기술이 전하지 않기 때문에.. 건축양식과 기술이 전해지는 조선시대 건물들은 얼마든지 지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고대의 거대 건축물들을 당시에 어떻게 지었는지 전하지 않기 때문에 구현하기 힘듭니다.
@user-ie9ol3ex2w
@user-ie9ol3ex2w 3 жыл бұрын
forget 45 오 고려청자색도 그렇군요.. 몰랐는데 감사합니다 !
@user-ie9ol3ex2w
@user-ie9ol3ex2w 3 жыл бұрын
겨울고양이 감사합니다 !!
@hyungkim9098
@hyungkim9098 3 жыл бұрын
로마때 만든 콘크리트는 바닷속에서도 멀쩡한 내구성이 아주 우수한데 지금도 그런 콘크리트를 못만들죠..
@user-dc7sj4sj4p
@user-dc7sj4sj4p 3 жыл бұрын
그런것 많잖아요,,, 중동지역 피라미드,잉카+마야의 유적지의 적조술 등은 현대기술로도 만들지 못함
@user-qb3kp5ft9j
@user-qb3kp5ft9j Жыл бұрын
방패용인가
@walterharoldbishop
@walterharoldbishop Жыл бұрын
13:40 kg은 압력의 단위가 아닙니다.
@user-tg4ww6ke8t
@user-tg4ww6ke8t Жыл бұрын
참 재밌네 한반도랑 장안에서 똑같은 양식의 건물이 발견되니 으래 중국의 영향을 받은 신라라고 생각하다니ㅋㅋㅋㅋ 코끼리가 자신이 코끼리인 것을 모른채 잔챙이 가시에 온 몸을 붙잡혀 평생을 노예살이 하는 것과 뭐가 다른지 자면서 귀로만 잠결에 들었는데 들으면서 몇번을 코방귀를 꼈음😊
@user-fj1ud7nr6m
@user-fj1ud7nr6m 3 жыл бұрын
벙커 수준이네
@hwashin1888
@hwashin1888 Жыл бұрын
건축물 엄청 크게 지엇나보네.... 흔적이 없으니.. 문제지만. 통큰거보소
@user-ni4rv8js5f
@user-ni4rv8js5f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에서 유일한 제와 무형문화재 보유자 한형준옹의 의견입니다. '상당히 오래된 기환디~ 이런 기화는 나도 처음보는디~' ㅋㅋㅋㅋㅋㅋㅋㅋ;;
@HI-tg3ji
@HI-tg3ji Жыл бұрын
노가다군들도 사십키로 이상들고 다니는데ᆢ 힘도없으시니 아마 제작시 힘센사람들도 제작햇을듯 아니면 도구이용
@user-vn6wt3ce2z
@user-vn6wt3ce2z 3 жыл бұрын
하 진짜 가슴이 웅장해진다
@psc8092
@psc8092 Жыл бұрын
여건과 기회가 마련된다면 남한산성 안에 있는 신라인들의 무기고를 복원하여 후손들에게 우리 민족의 드높은 기개를 보여주는 역사 교육의 장으로 삼으면 좋겠다.
@hhlee9999
@hhlee9999 Жыл бұрын
중고등학교때우리집초가집도대청마루나무두께가아주두껍던데요
@user-ho9nr1zf2g
@user-ho9nr1zf2g Жыл бұрын
거인이 살았다는 증거
@user-wt9yy8jt8s
@user-wt9yy8jt8s 3 жыл бұрын
우리 조상님들 해외문명과 기술데이터 없이 진짜 자체적으로 창의력 응용력 기술력 쩔어 !! 지혜로운 한국인
@hogu3337
@hogu3337 3 жыл бұрын
조선인줄아나 조선이전에는 국제 무역활발했고 여러인종 다 같이 살았음
@user-pt5mu8vn3s
@user-pt5mu8vn3s 3 жыл бұрын
한반도의 역사는 삼국시대이후 쭉 내리막..문화적으로나 국제적위상으로나.. 대한민국 제외
@chonulgwiin5051
@chonulgwiin5051 3 жыл бұрын
@@hogu3337 ㅋ 신라 다인종 아니였다 ㅋ
@chonulgwiin5051
@chonulgwiin5051 3 жыл бұрын
@@user-pt5mu8vn3s 반도 역사상 최고 전성기가 바로 신라시대!
@endeavorse45
@endeavorse45 3 жыл бұрын
저시대에 마리아상이 있었다니 충격적이네
@user-ol4bl6de2x
@user-ol4bl6de2x Жыл бұрын
방탄기와네
@think5295
@think5295 3 жыл бұрын
동맹국 이라 ~ 동맹 관계가 오래 지속되기 위해서는, 서로가 서로를 도울 수 있는 조건이나 능력이 대등한 관계에서만 가능합니다. 즉 슨, 한미 동맹 관계를 오래 계속 지속시키고 싶다면 우리의 경제, 군사 능력이 더욱 더 강해져야만 할 것입니다.
@jamesdean3432
@jamesdean3432 Жыл бұрын
요즘 국제정세를 비교해서 말해보자면 당시 당나라는 미국과도 같은 세계 탑 국가고 무려 그런 나라가 쳐들어오는데 신라인들이 그걸 또 격퇴한 것임. 당나라 황제 왈 "신라의 쇠뇌(천보노)는 일천보를 간다"... 현세의 대한민국이 미국과 맞짱떠서 격퇴할 수 있을까. 과거의 국력에 비빌려면 아직도 한~참 멀었다.
@user-bo7tv5gv8p
@user-bo7tv5gv8p 3 жыл бұрын
확실한것은 이니다 추적뿐이지
@user-wo1vj8wn3u
@user-wo1vj8wn3u 3 жыл бұрын
14:00 기와 두동강
@mabro.comics
@mabro.comics 3 жыл бұрын
패티부터 빵끝까지!
@user-of4wh1qw6f
@user-of4wh1qw6f Жыл бұрын
터널이나 수로 공사할때 쓴거 아닌가
@user-zl4gk8nl7b
@user-zl4gk8nl7b 3 жыл бұрын
그냥 테스트용으로 만들었을 것 같네.ㅋㅋ
@afad8662
@afad8662 3 жыл бұрын
로마식 보검도나왔는데 로마 정교가 들어왔어도 이상하지 않았을듯
@user-sf9cx3bu9i
@user-sf9cx3bu9i 3 жыл бұрын
이순신 장군님 칼이 2미터. 강화도 고인돌50톤 80톤. 거인들이 살았었습니다.
@user-nn3mm9ow5k
@user-nn3mm9ow5k 3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에 전해지는 신빙성있는 역사자료가 있긴한지 의문이다
KBS역사스페셜 - 고구려 남부전선 최후의 증언, 임진강 철갑옷
47:07
Самый Молодой Актёр Без Оскара 😂
00:13
Глеб Рандалайнен
Рет қаралды 10 МЛН
Red❤️+Green💚=
00:38
ISSEI / いっせい
Рет қаралды 79 МЛН
Best KFC Homemade For My Son #cooking #shorts
00:58
BANKII
Рет қаралды 60 МЛН
남한산성, 세계유산이 된 까닭은?
10:31
국가유산채널(K-Heritage Channel)
Рет қаралды 50 М.
KBS 역사스페셜 - 연개소문은 왜 투르크에 사신을 보냈나
57:07
KBS역사저널 그날
Рет қаралды 1,3 МЛН
Confirming the existence of Jujangseong Fortress of Silla, Namhansanseong Fortress excavation
15:26
국가유산채널(K-Heritage Channel)
Рет қаралды 89 М.
KBS 역사추적 - 의자왕 항복의 충격 보고서! 예식진 묘지명
48:53
KBS역사저널 그날
Рет қаралды 1,3 МЛН
Самый Молодой Актёр Без Оскара 😂
00:13
Глеб Рандалайнен
Рет қаралды 10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