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인서울 대학은 어디까지?! 두둥 선생님들과 함께 학생, 학부모 선호도를 기준으로 인서울 대학을 살펴봤습니다! 어디까지가 인서울 대학일까요?🧐 #인서울 #대학순위 #정시 #2025수능 00:00 시작 01:52 대한민국 고등학생은 모두 인서울을 원하나요? 03:31 왜 이렇게 다들 인서울을 원할까요? 대한민국의 현실 05:49 오로지 인서울을 위해 재수하는 비율은? 06:40 선호도가 높아진 대학은 어디? 09:03 과연 2025 인서울 대학은 어디까지? 13:03 인서울을 가기위해선 반에서 몇 등 해야할까?
캠퍼스가 큰건 중요하죠. 공대가 미래 학교 성장의 핵심인데 캠퍼스가 작으면 연구시설같은게 들어갸는데 한계가 있죠.
@hk-hv3oc2 ай бұрын
고3되면 지하철로 통학만 가능해도 다좋다하죠~
@식감이중요하거덩여2 ай бұрын
메가스터티 환급학교까지임
@LYB-k5i28 күн бұрын
인하 아주 나름 선방하네 옛명성에 비하면 너무 아쉽긴 하지만 인풋도 그럭저럭 괜찮은데 인서울 아니라고 동네북 마냥 내려치기 당하면서 까이는 대학들.. 특히 문과가 제일 많이 까이는 듯 싶다, 인하 아주 문과도 인서울 대학에 비견될 정도로 준수한 입결을 유지하고 있건만
@설윤아공부법Ай бұрын
메가패스는 국숭세까지만 환급해주네요
@seoulvibeseoulista35442 ай бұрын
지거국에서 재수해서 인서울 중상위권 공대로 왔는데 제일 크게 느낀건 도서관의 차이네요 개강날부터 바로 열람실이 꽉꽉차있는거보고 많은걸 느꼈습니다. 근데 공부해보니 진짜 하루종일 공부해야 최소 비쁠이라는 현실에 그냥 다들 묵묵히 열심히했다고 밖에 생각이 안 드는..
@UC9DDxgecihPN9w6LZ2 ай бұрын
라떼는 3국대 은근 무시당하는 분위기였는데 지금은 위상이 엄청 올라갔구내...
@ottolim27332 ай бұрын
인서울 기준은 심리적,지리적 기준을 모두 만족시키는 학교여야 하지 않을까? 그런점에서 국숭세까지. 나머지는 포함시키기가 애매하다고 봅니다.
@Ican아이캔2 ай бұрын
오늘 방송 감사합니다~😊 다 좋아하는 샘들 나와서 더 좋고 유익했어요~😊
@reaperblack67472 ай бұрын
제가 봤던 대학 순위표 중에 가장 정확하다고 생각합니다!
@SingsoongsangsoongАй бұрын
숭실대 언급될 줄 몰랐는데 숭실숭실하네요 😀
@르르라로Ай бұрын
단대가 광명상 밑까지 떨어졌나요? 충격이네요..ㅋㅋ
@balldragon8843Ай бұрын
인서울 스카이 서성한 중경외시 건동홍숙 국숭세단 까지
@성이름-p9t6t2 ай бұрын
인서울이라는 말이 비서울 대학교와 구분하는 용어로, 단순히 서울 지역에 있다는 뜻보다는 '서울에 있으면서 수도권이나 지방의 대학보다 들어가기 힘든 학교'의 의미로 굳어지고 있죠. 그렇다면 과기원들과 포공과 같은 특수한 목적의 대학들을 제외한 지방대들보다는 들어가기 힘들어야 '인서울'이라고 인정해줄 수 있다 봅니다. 그게 아니면 사실 서울 지역에 있다는 이유만으로 본인보다 입결이 높은 지방대들보다 높게 간주되는 상황이 생기니까요. 지방대들 중에선 지거국, 지거국 중에서는 부산대와 경북대가 가장 높죠. 부산대와 경북대와 입결이 많이 겹치지 않는 학교들부터 인서울이라고 봅니다. 그리고 인서울 안되면 경기도권을 선호한다는 말은 지극히 서울, 경기도 학생의 시각이라 생각되네요. 확실히 지방학생들도 인서울 상위권은 지거국 보다 선호하지만, 인서울 중위권(건동홍)부턴 슬슬 과에 따라 가성비를 따지며 고민하기 시작합니다. 요즘은 집에 돈이 팍팍한게 아니면 왠만하면 건국대 동국대까진 선택하는 분위기긴 하지만요. 인서울 하위권부턴 선호도가 확 떨어집니다. 국숭세단, 특히 광명상가? 집에서 상위권 지거국에 통학이 가능한 학생의 경우, 인서울 하위권은 학비 더 비싸고 자취비 날리고 지역인재도 못쓰는데, 그렇다고 인서울 하위권 나와서 학교 이름으로 이득볼 수 있는 것도 없는데 왜 가냐는 분위기가 절대적입니다. 경기권 대학은 부경전으로 붙으면 쳐다보지도 않죠. 다만 지거국과 그다음으로 꼽히는 지역 대학 (동아대, 영남대, 조선대) 사이의 입결 갭이 워낙 크다보니 부경전 떨어졌는데 동아, 영남, 조선 가기 아까운 학생들이 경기도 가는겁니다. 경기권 대학을 지방 대학 보다 더 선호하는게 아니라요. 지방 대학 1티어 떨어지면 가는게 인서울 하위권 및 경기권 대학. 서울 경기 사시는 분들은 무조건 인서울 하위권이나 경기권을 선호할거라고 상상하시는데 부모님한테서 20살부터 특별히 독립하고 싶어하는 케이스가 아니면 그렇지도 않아요. 서울에서 가끔 부경전 오는 학생들이 있는데 지방 학생들 지거국 선호도가 생각보다 높다고 놀라는 경우도 많습니다. 서울 시각으로 모든걸 바라보았기 때문에 놀라는거죠.
보통 인서울 마지노선 대학라인이라고하면 국숭세까지라고 생각하긴 합니다. 공대의 경우 광운대까지는 인서울이라 생각해요
@이재호-c2l10 күн бұрын
다 좋은 학교인 거 같아요 감사합니다
@kihyunkim9464Ай бұрын
in-Seoul 위치보다는 본인의 적성에 맞는 선택하시길... in-Seoul~! in-Seoul~! 경기이남 시골지방도 아니고... around-Seoul 대학중 성균관대.경희대.아주대.인하대 수준이면, Infra*위치나 교통편이 좋아서 in-Seoul 대학 특히 서울구석대학 대비, around-Seoul 로서의 Demerit이 거의 없는 환경이고... 그리고, 주위에 대기업*강소기업들이 포진해있어서 산학협력활동 및 역량강화 관점에서도 우위에 있죠. 더군다나 예전이나 지금이나 저력있는 대학들이니 더더욱~~ 호감가는 조건이죠. 자신의 미래를 위한 노력과 함께 성장을 위해 많은 도움을 받을수있는 역량있는 학교인지 고민하시어 현명한 선택을 하시면 좋겠습니다. 수험생 여러분들의 행운을 빕니다. Good Luck~!
@DudFo-w6s26 күн бұрын
단국대 더 올려야 할 듯 국숭세단까진 아니더라도 인아단으로 아는데
@zasmin825 күн бұрын
인서울 쉽지 않네요ㅠㅠ
@이재훈-r6b2 ай бұрын
서울에 있으면 다 인서울이다 한서삼은 입학하기 쉬운지 아냐 지하철역에서 가까운 대학 가라
@sookim-ko1ki2 ай бұрын
잘봤습니다. 전 저희 자녀 인서울보다 건축학과 나와서 건축사 되는게 젤 좋을듯 한데.....차라리 이런 직업적인 부분으로 접근해 주는 컨텐츠도 부탁드립니다
@hayoo4232 ай бұрын
오른쪽 남자분F 윤민샘T
@jinpyojang72312 ай бұрын
유나님 외모가 다 한다
@bigstarchichi_6 күн бұрын
인서울가고싶어요~
@서윤성-s2h2 ай бұрын
+ 인서울이니까 광명상 까지는 넣는게 맞는 거같아요!!
@최현준-j7iАй бұрын
수도권에 있고 지하철로 학교 갈수있음 다 인 서울이지 학교 편가르기 줄세우기는 서연고 성한서 까지면 족함
@lottoroy1342 ай бұрын
80, 90년대 중반까지만해도 서울에 있는 대학만 가도 서울대라고 했었는데, 고3 100만 시절..
@최강혁-o7x2 ай бұрын
인서울하기가. ..ㅠㅠ
@ender-u7n2 ай бұрын
사정관 님들 인상이 좋아보여요
@삐용-b2s29 күн бұрын
이우승대표님~~유니브에서뵙다니 너무 반갑네요
@백소연-p4t2 ай бұрын
미대입시, 웹툰 애니메이션 입시에 대한 정보 부탁드립니다. 예비고1이고 입시가 바뀌기 때문에 고민이 많습니다.
@김성수-k9r1n2 ай бұрын
수험생 아빠입니다. 아들이 삼육대 바이오융합학과와 중앙대(안성) 동물생명공학과 합격을 했습니다만, 둘 중에 어느 학과를 가야 하는지 고민중입니다. 중대는(안성캠)이라 좀 그렇다고... 아들은 집에서 가까운 삼육쪽으로 맘이 더 가는 것 같은데요... 종합적으로 학업,취업,인지도등등 어느 쪽으로 선택하는것이 좋을까요?
@곰돌이-q2z2 ай бұрын
아...너무 빡쎄다 울아이는 평범한애 어디로 가야한단 말인가 상위권 아래 아이들은 뭐하고 살란 말인가
@얼죽아-t3vАй бұрын
홍이 마지노라니....
@유리한-i6b2 ай бұрын
저만 알고 싶은 이우승대표님 ㅎㅎ 입시가 끝나가지만 반가운 마음에 클릭이요
@가자고-g1p25 күн бұрын
서울에 있어야 인서울이지 지방대학들이 왜 인서울인지 모르겠음 괜히 학벌조장해서 돈벌어 먹을려는 학원들 수작으로 보임
@ender-u7n2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좋은 정보
@Raypp12 ай бұрын
광운대 전자공학 00년대학번인데 정말 많이떨어졌네요 ㅠ 저때는 국민대 세종대에서 반수해서 광운대왔는데.. 동국대 공대도 붙었었는데 광운대왔습니다. 그리고 인하아주대도 중대바로 아래였구요.. 많이바뀌었네요. 근데, 공대는 인풋보다 아웃풋이 정말중요합니다. 저도 대기업다니지만 대기업에서 선호하는 학교(선배들이 얼마나 포진해있고 성과내는자가 중요) 잘 알아보고 가시길요.
@이선주-o4lАй бұрын
서울사는 포항공대 학부모로서 연고대 높공 다 합격하고 포항공대 선택했다는 점도 남깁니다 ~~
@llllllllll-w7wАй бұрын
평균올려치기 너무 심함 우리나라는.. 건동홍까지다 중경외시까지다 이러는데ㅋㅋㅋㅋ 솔직히 개인적인 소견으로는 흔히 우리나라 메이저 지거국이랑 어느정도 겹치는정도까지가 인서울이라고 봄. 부경전충이 국숭세단~광명상가까지니까 그냥 광명상가 정도까지가 인서울이ㅜ아닌가 싶음..
@inalove2Ай бұрын
대학본부 주소지가 서울특별시인 경우만 인서울임...
@응우옌-m5tАй бұрын
곽 국숭세 성신여대 광운대. 아주 인하 단국까지가 인서울 기준임. 지방대는 부산 경북정도 인정 충남전남은 인가경급 충북 전북이하는 한서삼급에도 못미침
@kkkk-xx2gtАй бұрын
국민 숭실 광운 명지 까지 인정.
@헤개굴2 ай бұрын
자연계 기준 서울 연세 고려 한양 성균 서강 중앙 시립 경희 건국 동국 홍익 국민 숭실 과기 인하 아주 세종 단국 광운 문과랑 이과 구분하는게 나아보입니다. 공대는 쎄도 문과쪽이 낮은 인하대 같은 학교들도 꽤나 있어서
@투나이투미2 ай бұрын
유나님 너무 이쁘시네요
@DKKEJDIUAJWАй бұрын
몇년전 이서울 얘기하는건지 이제 입결로봐야지 요즘 인서울은 다 인서울아님 언제부터 인서울얘기가 나왔는지 생각해봐 내기억상 15년전부터 인서울이라해도 지거국보다 못한데가 개 많았음 20년기준으로봐도 별반차이없고 90년대즘대야지 인서울이 맞는말이지 ㅋㅋㅋ
@everymomentsgonnabemyАй бұрын
광 > 명상가 = 인가 > 경 > 한 > 서삼 고로 광명상가도 인서울라인으로 쳐준다면 인가경도 들어가는 게 맞음
@송호원-r5b2 ай бұрын
학교 면접 보러 가는 시간과 비용도 만만치 않습니다~~~
@수락산-b5j2 ай бұрын
인서울은 서울특별시 안에 위치하고 있으면 인서울입니다. 인하대는 인천이고 아주대 단국대는 경기도입니다. 인서울이 아닙니다.
@bostonmountain71202 ай бұрын
서울외 지방대빼고 올 2024 중앙일보 대학평가가 가장 정확하다
@미키모크2 ай бұрын
기준을 빡빡하게 잡으면 냉정하게 건동홍까지라 생각합니다
@도비도비-b2l2 ай бұрын
얘들아 정신차려라 서울에 있으면 걍 인서울이다 군대만 가도 고졸이 절반이다 ㅋㅋㅋㅋ
@suholee60792 ай бұрын
15여년전에 수능 봤는데 학교순위가 변한게 없네요ㅋㅋㅋ
@user-ii1ff2gt8v2 ай бұрын
특수대학교에 대해서도 설명해주시면 안되나요?? 특수대는 정보얻기가 너무 어렵네요
@김승태-r1g2 ай бұрын
인문 자연 등으로 나눌거면 다음에는 나눠서 선호도 분류 해주면 좋겠습니다
@될놈-k1q2 ай бұрын
우승쌤!!! 더 유명해심 곤란한데ㅎㅎ
@안성공도다Ай бұрын
중경외시이 까지 명문... 광명상단 까지 인서울...😊😊😊😊
@jjjjejsj81582 ай бұрын
나는 인서울 건국대학교, 동국대학교, 홍익대학교 라고 생각함 인서울이 지리적인 위치만을 의미하는게 아니라 상징성까지 내포된 단어일텐데 나름 상위권대학이라고 불리는 마지노선이 건동홍 이라 생각해요. 내 기준 건동홍까지 인서울로 생각합니다.
@당근-k3x5r2 ай бұрын
오~ 이우승쌤~ 유니브클래스에 오셨네요~^^ 왠지~ 반가움😅
@밍서-x1dАй бұрын
숙대는 어느정도일까요?😂
@sangsang6072 ай бұрын
건대가 1.8 ㄷㄷ😮
@박소연-t2d9cАй бұрын
인서울 대학은 누구나 아는 학교까지지
@비상-x1k2 ай бұрын
화공.신소재 진학 예정인데 아주대.숭실대.서울과기대중 순위 나열 부탁드려요. (취직부분도 염두해서요)
@dy9ogo2 ай бұрын
전남 충남은 인서울에서 어디 대학이랑 비빌만한가요?? 문과기준
@mapsosa-z9h2 ай бұрын
수능 전날까지 게임하던 아들이 숭실대를 (세종.인하대 합격)간다길래 응?그런가보다 했는데,무시해서 미안하네 ㅎㅎ 원하던 한양대는 아니지만 나름 학교가서 잘하고 있으니 됐음.신경 많이 써주지 못해서 미안하다.아들아~~~
@미스터박-p4m2 ай бұрын
공대 90년대 학번인대, 자녀때문에 즐겨보고 있습니다. 공대만 보니 경희대, 시립대, 국민대, 숭실대가 많이 올라갔고, 건대, 인하, 아주, 광운대가 많이 떨어졌네요. 한양대 밑에 중건인아 정도였는데.
@soul54902 ай бұрын
서울과기대 인서울 국립이란 이점 때문에 엄청 상승중. 앞으로 입결이 건동홍 라인까지 갈듯~
@태연-e6u2 ай бұрын
인천대랑 가톨릭대 둘 중에 어디가 더 높을까요? 인지도라던.. ++공대,인문 따라도 다를까요?
@김진희-x9e2 ай бұрын
유니브클래스에서 정시컨설팅은 받는방법 알고싶습니다
@user-pl6vd3sj3e2 ай бұрын
현역으로 한서삼 공대 합격했는데 이정도면 괜찮은거인가요?
@선규최-l9x2 ай бұрын
고등학교 내신 2.6으로도 학종으로 경희대 공대 붙은 사람도 있는데
@드림트레이서Ай бұрын
서울이면 인서울이지
@24hrCenter2 ай бұрын
인서울이 지리적 인서울을 말하는게 아니군요.
@미린-o1x4 күн бұрын
건국대가 좋은학굔가..?
@난너희들의주인님Ай бұрын
설연성고서한 여기까지😊
@shskauwbs-t8u2 ай бұрын
서울에 있으면 인서울이지 뭔
@나는나-p3v2 ай бұрын
남자들은 스카이 바로 밑에 성한서 쓰지만 여자들은 스카이 밑은 이화여대 많이 써요. 실제로 알고보면 성적 높은 학교. 서강대보다 더 높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