짧지만 지난화까지 인물의 업적배경 중심이였는데 이번편은 인물의 역경속에 성장의 교훈들, 그리고 성공의 결과물속에 그가 했던 행동과 신념들을 해설해주시까 인간 대 인간으로써 더 영웅에게 몰입할 수 있어서 임교수님의 해설에 온전히 빠져서 아주 재밌게 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
@moonjinkim965310 күн бұрын
매우 감명 깊은 강연 감사합니다...42:40 부터 나오는...링컨은 매우 영리하고 뛰어나고 교활했지만, 절대로 대중을 우롱하지 않습니다...이 부분이 매우 여운이 남습니다...항상 박사님 강의 덕분에 더 생각해보게 되는 여유를 가지게 됩니다...새해 복 많이 받으시고, 늘 건강하십시오~~~~
@connielm284910 күн бұрын
재밌게 보았습니다 감사드려요 😊
@RobertBernardoKim10 күн бұрын
링컨의 참모습 다시 보네요. 지금 대한민국에 필요한 인물.
@이상우-i6s10 күн бұрын
링컨의 참모습을 기준으로 본다면 2025년 대한민국에 필요한 인물은 누가될까요???
@히재히재-h5f10 күн бұрын
링컨이 이렇게까지나 언더독이었다는 건 오늘 알았네요. 감동적입니다. 감사합니다 :)
@WPJWWF10 күн бұрын
감사합니다.
@ymckp9737 күн бұрын
강의 잘들었습니다. 감사합니다
@LD-fr2wz10 күн бұрын
저 에이브러햄 링컨이 나올 수 있었던건 2선 하고 권력을 포기한 조지 워싱턴이 있었음 솔직히 조지 워싱턴이 탑이고 에이브러햄 링컨은 2등이라고 보는데 미국은 반대로 보는게 많은 듯... 재건축 조합장이나 통장만 되도 권력에 미치는게 사람의 속성인데 독립 영웅에 군대는 사병이나 다름 없고 전국민의 거의 무제한 적인 지지를 받았어도 내려 놓고 독립하자 말자 귀향한 것도 레전드인데 만장일치로 대통령 당선 됐으면서 2선만 하고 내려온 초인적인 인내력과 고결함은 진짜... 그래서 조지 워싱턴도 임용한 박사님이 해주셨으면 좋겠네요.
@쵸핑-z3g10 күн бұрын
저도 워싱턴 한 표!
@calmdown32599 күн бұрын
솔직히 지금의 하나의 미국만든거는 링컨이니 저도 워싱턴 링컨 루즈벨트 이렇게 3탑인거 같긴함
@FireBear_불곰5 күн бұрын
링컨과 미국의 남북전쟁을 보면서 과거와 지금, 현 상황에서 남의 일이 아니구나와 우리도 이런 일 겪고있는 상황이라는 것을 보고 느끼고 생각이 듭니다.
@sddream83049 күн бұрын
임박사님은 이렇게 혼자 이야기 하시는 포맷이 제일 잘맞는듯 이상한 질문 맥끊기 안당하고 ㅎㅎ 최고입니다
@soda84038 күн бұрын
동감합니다 또 옆에서 적절하게 받쳐주는 분이 잇을때..예를들면 허준씨나 정형돈씨 방송에서 보인 모습이시나 쿵짝이 잘맞는 모습도 보이시더라구여 결국은 진행자의 역량이겟지여 ㅎㅎ
@sddream83048 күн бұрын
저도 허준씨랑 장기자가 진행할때는 참 좋다고 생각합니다
@junghakson9 күн бұрын
42:59 ~ 47:10 부터 거의 10번은 재반복 한것 같음. ㅠㅠ 아 정말 현실과 비교하면 눈물남..
@unknown-el2jm9 күн бұрын
42:36 와 마지막 마무리 부분 여기부터 감동 전율이 왔는데요 링컨은 위인으로 알긴 알지만 자세히는 잘 몰랐는데 클래스가 진짜 다른 사람이긴 하네요 단순히 인권 노예해방 이런 단어로만 기억하기에는 정말 아까운 이름인 것 같습니다
@youngjunlee393910 күн бұрын
감동적이네요
@이상경-i3tКүн бұрын
너무 좋네요!
@손예진-j5e7 күн бұрын
빨리 다음주.... 제발 오래오래해주세요
@sulheyou85807 күн бұрын
우와 임용한박사님이시다~~~팬이예요40대 노처녀팬입니닿ㅎ선생님덕에 조금씩 유식해지고 있답니다 건강조심하시고 오래 오래 방송해주세요!
@킹아아니10 күн бұрын
최고다!!!!
@헬창인생-c4q9 күн бұрын
오늘도 재밌고 유익한 방송 감사합니다 ㅎㅎ 박사님도 행복한 설 연휴 되세요 ㅎㅎ
@Joo-ry1gt9 күн бұрын
진짜 대단한 사람이었구나. 노예 해방과 남북전쟁 당시의 대통령이었다는거 말고는 잘 몰랐는데... 저런 사람이 있긴 있구나...
@김정훈-q4d9 күн бұрын
그러게요 저정도는 해야 위인전에 실리나봅니다...😅
@taehyunkim133710 күн бұрын
링컨 어마어마 하네요
@jo-ms1cg9 күн бұрын
캬~ 이번 편은 계속 분열하고 편가르기만 하는 우리나라의 상황에 너무나 잘 맞는 화 같네요. 이렇게 계속 국민들을 자꾸 싸우도록 부추기는 리더쉽이 아니라 국민들을 통합할 수 있게 하는 리더쉽이 나오길 바랍니다. 이번 편은 정말 코가 찡해질 정도로 가슴에 와 닿는 방송이었습니다.
@moneylust9 күн бұрын
음... 게티스버그 전적지등 미국 내전 전적지들마다 북군 남군으로 묘지나 기념비를 가르지나 막지 않고 하나의 미국의 묘지와 기념비로 기념하며 그 내전후 한참지나 추모식때 남북 양측 병사들을 초청한 추모식때 양측병사 모두를 존중하며 하나의 미국을 기념했지. 근데, 내전후 싸웠던 상대를 악마화하지않고 형제로 받아들인 미국과 달리 지금도 내전때 싸웠던 상대를 악마화하며 색깔론 들먹이는 반도따위가 미국과 달리 분열안하길 기대한다? 지나가던 똥개가 비웃을 일. 주제파악하고 되지도 않을일 짖어대지 말거라. ㅉㅉㅉ
@moneylust9 күн бұрын
음... 게티스버그 전적지등 미국 내전 전적지들마다 북군 남군으로 묘지나 기념비를 가르지나 막지 않고 하나의 미국의 묘지와 기념비로 기념하며 그 내전후 한참지나 추모식때 남북 양측 병사들을 초청한 추모식때 양측병사 모두를 존중하며 하나의 미국을 기념했지. 근데, 내전후 싸웠던 상대를 악마화하지않고 형제로 받아들인 미국과 달리 지금도 내전때 싸웠던 상대를 악마화하며 색깔론 들먹이는 반도따위가 미국과 달리 분열안하길 기대한다? 지나가던 똥개가 비웃을 일. 주제파악하고 되지도 않을일 짖어대지 말거라. ㅉㅉㅉ
@maxrick62869 күн бұрын
통합에 대한 비전이 있고 성품과 언변이 좋은 유머감각있는 대통령이라니... ㄷㄷㄷ 유니콘은 실제 했구나ㅋ
@humberr18 күн бұрын
우리나라도 있었어요
@CeI-m7l4 күн бұрын
박사님 토전사, 뉴전사, 그 외 각종 토크멘터리에서도 피상적인 교훈이 아닌 시대를 통찰하는 박사님의 견해에 항상 많은 영감을 얻고 갑니다. 구스타프, 나폴레옹, 처칠 같은 위대한 인물들의 이야기를 토전사 및 사피엔스 채널에서 본 적이 있지만 박사님께서 아우구스투스에 대해서 개인적으로 다루어주신 영상은 없으신 것 같은데, 서양의 최초의 황제이자 팍스 로마나를 구축한 정치의 천재 아우구스투스에 대해 다뤄보시는 건 어떠한가요? 그가 보인 리더쉽에 대해서는 시대를 초월해서 오늘날 21세기 현대인들에게 많은 영감을 줄 수 있을 것 이라고 생각합니다. 항상 영상 잘 보고 있습니다. 지인들에게 지구영웅전에 대한 좋아요 및 KFN채널 구독을 권유하는 중 인데 제 뜻대로 되지 않는 것 같네요 ㅠ 질 좋은 컨텐츠를 제작해주신 KFN 채널 및 임용한 박사님께 감사를 표합니다.
@marlowe2710 күн бұрын
분열된 국가를 통합하고, 정적들을 포용하고, 패자에게 자비를 베풀고, 자기합리화를 거부한 링컨이 지금 우리들이 가장 절실하게 연구해야할 인물이라서 소개하신 것 같네요. 😢
@moneylust9 күн бұрын
음... 게티스버그 전적지등 미국 내전 전적지들마다 북군 남군으로 묘지나 기념비를 가르지나 막지 않고 하나의 미국의 묘지와 기념비로 기념하며 그 내전후 한참지나 추모식때 남북 양측 병사들을 초청한 추모식때 양측병사 모두를 존중하며 하나의 미국을 기념했지. 근데, 내전후 싸웠던 상대를 악마화하지않고 형제로 받아들인 미국과 달리 지금도 내전때 싸웠던 상대를 악마화하며 색깔론 들먹이는 반도따위가 미국과 달리 분열안하길 기대한다? 지나가던 똥개가 비웃을 일. 주제파악하고 되지도 않을일 짖어대지 말거라. ㅉㅉㅉ
@maatpon10 күн бұрын
이 프로그램 개재밌네
@정형우-r2z10 күн бұрын
오늘도 잘봤습니다 역시 링컨은 위대한 대통령 이네요 👍 요즘같은 시국에 정말 딱맞는 영웅을 소개시켜 주셔서 감사합니다 비잔틴 제국의 벨리사리우스 장군도 언젠가 부탁드립니다
@열매는오늘도왕왕10 күн бұрын
너무너무너무 재미나당
@마우저10 күн бұрын
박사님의 특강은 항상 재밌어요. 그리고 롬멜 장군도 꼭 한 번 해주세요 제 최애입니다.
@JaeM-t2j10 күн бұрын
갈등을 선택해 편해지려는 사람들을 궁극의 이상으로 이끌어서 하나의 미국으로 만든게 정말 대단함...
@myungkyunseo30729 күн бұрын
감동적이다
@정선우-j5d9 күн бұрын
와 이번편은 감동적인 내용이네요. 링컨이 이렇게 위대한 대통령이었다니 ㅎㄷㄷ 역전다방 남북전쟁편에서도 이거 걸물이다라고 생각했더니 1인 집중해서 분석하니 걸물이군요.
@9415-x1j10 күн бұрын
재밌어요
@뜨건콜라10 күн бұрын
.....뭐라 말이 안나오는 강의였습니다
@닥터푸우-y4b7 күн бұрын
일리노이 고릴라 헤비웨이트 챔피언 링컨의 정적들은 의회와 백악관에 링이 설치되지 않은것에 감사해야 합니다
@매니아썬9 күн бұрын
❤❤❤❤❤
@동의보감구수략10 күн бұрын
링컨은 연애도 독서로 배웠을까 ㅋㅋㅋ 그리고 부인의 안목은 진짜 ㄷㄷㄷ
@klerystherandomwalker216910 күн бұрын
그럴수도 잇지. 그래서 링컨이 타고 다닌것 물어보면 기차 말 마차 그리고 미세스 링컨 이라고 하잖아
@엑스트라죠스-l8d9 күн бұрын
@@klerystherandomwalker2169미국 퀴즈쇼에 나왔던 문제네요
@시도에서희망을보다10 күн бұрын
못난집안, 못생긴 얼굴, 못난 아빠 모든 상황이 다 나쁜데 진짜 능력과 기회로 진짜 인생을. 역전만 하면서 살았구나.
@즐기며살자9 күн бұрын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리더가 링컨이라고 생각합니다. 분열의 시대를 어떻게 해결하여 통일된 나라를 만들 수 있을지 걱정이 큽니다.
@klos3h7rh9 күн бұрын
이순신이나 세종대왕처럼 다 알지만 임용한 박사님만의 해석으로 그들의 리더십을 재조명해보는건 어떨지요?!
@klos3h7rh8 күн бұрын
안창호 광개토대왕 등등 궁금한 분이 너무 많네요
@juns595110 күн бұрын
아야호❤❤
@sulheyou85807 күн бұрын
링컨이 좀 더 오래 살았으면...
@arnshutain9 күн бұрын
43:13 정의,이상
@FW190-i2v8 күн бұрын
정의와 이상 어쩌면 지금을 살아가는 우리들이 추구해야 할 가치인지도 모르겠네요.
@불군-r1r9 күн бұрын
알면알수록 위대한인물 링컨
@매니아썬7 күн бұрын
저도 롬멜 기다리겠습니다~~
@marksmithcollins9 күн бұрын
점점 파고들수록 유비현덕이 생각나는 ㅋㅋㅋㅋㅋ 정치인으로 널리 아우르는 거인이 되면 피상적으로는 선인군자고, 행동을 가까이서 보면 꼼수고, 오랜 기간 내면을 들여다보면 큰 그림을 보는 전략가가 되는 점은 시대와 장소를 막론하고 보편적인 것 같습니다
@byulbbangzip6 күн бұрын
링컨 대단하네요 다시 보게 됩니다. 한국보다 더 분열되었을텐데 통합시켜 하나로 앞으로 나아가게 만든 그 정신. 그 원동력이 1등 국가 미국으로 만들었나 봅니다. 인종과 종교 이민자들간의 국가가 다름, 사상이 다르고 모든게 다 달랐을 그 미국을...
@정주영-k3c9 күн бұрын
이시대를 살아가는 흙수저라 생각하는 청년들에게 앞 부분만은 한 번 보라고 말하거싶네요
@귀여운멍뭉-d1l10 күн бұрын
모두 행복한 설 보내세요😊
@마리우스-n1t8 күн бұрын
임용한 박사님 조지 워싱턴 해주세요 ~
@kimnick42339 күн бұрын
우와 한국말하는 AI링컨~
@jst61349 күн бұрын
토전사에서 알게 된 제 최애 알렉산드로스 대왕 기다릴게요
@mightylee355110 күн бұрын
오 링컨은 의외네요😊
@김선우-s1u4g9 күн бұрын
23:37 자막이 치르다 활용이 치룰로 써있네요 치르다를 자주 쓰는 채널 주제인 만큼 바르게 써주시면 어떨까요
@Basil138510 күн бұрын
처칠이나 징키스칸도 부탁드려요
@kpop-pianist9 күн бұрын
지금 한국에는 링컨이 필요합니다
@fierwalt9 күн бұрын
링컨이었던 이유가 있었군요.
@차무식-t6q9 күн бұрын
현대적 장군의 교과서 노먼 슈워츠코프 해주세요
@김민장-j4t9 күн бұрын
박사님 이번에 트럼프가 케네디 대통령 암살 기밀 문서 공개 명령을 내렸다고 했는데 , 다음에 케네디 대통령 가능하신가요?
@김대범-x1q10 күн бұрын
한고제 유방 부탁드립니다!
@PassWind110 күн бұрын
부하들 밑에서 부하 생활을 한 구닥다리 얼리어답터..패튼이야기 부탁드립니다.
@이승훈-g6s10 күн бұрын
패튼은 전전시간에 이미 했습니다. 에피소드 4편인가 그럴거에요.
@marksmithcollins9 күн бұрын
이전걸 해달라고 하는건 새로운 패턴이네
@조연석-p9q9 күн бұрын
도리슨 코슨 굿윈의 권력의 조건을 꼭 읽어보시기 바람..
@pluto77719 күн бұрын
임박사님의 통찰 기다렸습니다. 많은 분들이 보셨으면 좋겠네요~! 링컨 쵝오!
@rightside34877 күн бұрын
훌륭한 뱀파이어 헌터였지...
@오합지졸동로마군대9 күн бұрын
미국인들도 그렇고 스페인이나 포르투갈이나 네덜란드나 서양의 위인들은 보면 대부분 여인들이 만든 게 많은것같네영. 스페인 왕국도 카스티야 왕국 의 이사벨 1세 여왕의 결혼에 의해 사실상 탄생했으니..
@hundoshi79 күн бұрын
원래 뛰어난 사람들이니 만들었다기보다 흑화되는걸 방지해주는거 같음
@Matou-Sakura9 күн бұрын
신발정리를 하는 일을 맡았으면 신발정리를 세계에서 가장 잘하는 사람이 되어라. 그렇다면 누구라도 당신을 신발정리하는 사람으로 놔두지 않을것이다 ㅡ "일본전산"에서 발췌
@humanplusscience44497 күн бұрын
도요토미 히데요시?
@Matou-Sakura7 күн бұрын
@@humanplusscience4449 이건 또 뭔 미친놈이여.
@타트-8928 күн бұрын
역사를 보다 보면 참 답답하다. 왜 역사에 위인은 많은데 지금을 살아가는 우리에겐 한 명도 없나... 천리마가 씨가 마른 것인가 아니면 천리마를 알아보는 사람이 없는 것인가.
@센먀락6 күн бұрын
미국 = 방장사기맵 이라는 말은 엉터리임 현재의 미국을 만들어낸 국가 대전략 그레이트 게임을 무시하고, 오로지 운 좋은 맵빨 덕분이라고 내려치기 하는 말
@갈-x6e2 сағат бұрын
ㄹㅇㅋㅋ 이런 방장 사기맵에서 원주민들은 몇천년동안 신석기시대에 머물러있었음
@lllilljiilll10 күн бұрын
지금 사회의 이상은 무엇일까
@되고싶다-t5f9 күн бұрын
미국의 유비같은 느낌이네요 ㅋㅋ
@즐기며살자8 күн бұрын
14:11
@hackcrag47249 күн бұрын
25:38 굼벵이 맥 역전다방에 이어서 여기서 또 보네 ㅎㅇ
@jyj87849 күн бұрын
성인 링컨 영웅 워싱턴
@letme4099 күн бұрын
링컨의 관세 폭탄이 남북전쟁의 큰 원인
@No-bba-gguMan10 күн бұрын
마샬은 국공내전 당시 중국에 대해 거의 몰랐으면서 무모한 간섭질로 국민당 장제스를 파멸로 이끈 중화인민공화국 건국영웅인데 ㅋㅋㅋ
@user-vq4ek2kkj10 күн бұрын
형
@실프리아9 күн бұрын
그래 ㅋㅋ 결국 대통령은 중도에서 나와야 해 ㅋㅋㅋㅋ 민주당 국힘에서 나오는 게 아니라
@arona69717 күн бұрын
양당체제에서 중도는 대권을 잡을 수 없습니다. 그래서 양당에서 중도적인 인물이 대통령 후보로 나와야 되는거죠
@댓글충-u1w8 күн бұрын
신지우모씨 보다 좋은 링컨 감사합니다.
@-mjf20859 күн бұрын
링컨 ai몽ㅁ ㅋㅋㅋㅋㅋ
@bownara33477 күн бұрын
국내영웅 이승만 대통령 다뤄주세요~
@떵강10 күн бұрын
서부지법 폭동 원인을 정확히 짚어낸 장독혁 의원... 국가유공자 추대하라... 광주에서는 개도 유공자다
@Thomas_Pain10 күн бұрын
링컨이 한국말하노
@김영보-x6o8 күн бұрын
스웨덴의 구스타브2세를 개인적으로 토전사에서 30년전쟁을 보면서 존경합니다 다뤄주시면 좋겠습니다 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