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실판 신기한 동물사전!? 평소에 알지 못했던 독특한 생물들 | 생물학자와 화학자의 수다 1편(장홍제 교수)

  Рет қаралды 33,318

김응빈의 응생물학

김응빈의 응생물학

Күн бұрын

세상엔 신비롭고 다양한 생물들이 살아갑니다.
이빨이 유리로 된 심해어부터 철갑을 두른 달팽이, 강력한 독성을 가진 식물 김피김피와 만치닐까지!
생물학과 화학이 만난다면 어떤 이야기들이 펼쳐질까요?
화학하악 채널의 장홍제 교수님을 모시고, 신비한 동물들의 세계로 함께 떠나봅시다!
#화학 #생물 #김피김피 #심해어 #주기율표
Thanks to
촬영: 김상우
편집: 김혜란
kimyesbio@gmail.com

Пікірлер: 83
@chemophilia
@chemophilia 9 күн бұрын
즐거운 시간이었습니다! 자주 뵙겠습니다 국내 최고의 생물채널 응생물학 화이팅🎉❤
@현성유-v2i
@현성유-v2i 10 күн бұрын
콜라보의 순기능이네요. 학문 영역의 확장은 항상 응원합니다.
@조재선-t5i
@조재선-t5i 9 күн бұрын
정말 최고의 콜라보네요 두 분의 교수님 모두 연구, 논문작성, 강의에 바쁘실텐데도 대중과의 소통을 통해 과학의 매력을 알리시기 위해 노력하시는 모습 존경스텁니다. 어린 학생들이 이러한 영상을 계기로 과학자의 꿈을 더 많이 가졌으며 좋겠습니다!
@emil-mil
@emil-mil 10 күн бұрын
화학x생물 조합은 정말이지 찰떡궁합인거 같아요 🥰
@safejourney01
@safejourney01 10 күн бұрын
화학 x 생물학 너무 재밌습니다. 접점도 많아보이고 같이 다룰 얘기가 더 많을 거 같아요.
@hee-jeankim3582
@hee-jeankim3582 10 күн бұрын
정말 처음 듣는 신선한 지식 얻었습니다. 화학전공자인 저도 연식이 오래되서인지 주기율표에 제가 처음들어본 원소가 😅 요즘 화학트랜드는 예전보다 많이 다양해진거같아 맘이 좋 습니다. 두 교수님 감사합니다 😊
@임창순-g7s
@임창순-g7s 10 күн бұрын
여기서 장홍제 교수님 뵈오니 너무 좋아요 완전한 팬입니다. 많은것을 배우고 있답니다
@김형복-b2x
@김형복-b2x 10 күн бұрын
매우 흥미로운 강의입니다~ 감사합니다.
@user-tytools
@user-tytools 9 күн бұрын
보다에서도 최애 교수님❤넘 긔여우세요~~ㅎㅎ 콜라보 대박입니다🎉🎉
@연복돌복순깐돌깐순
@연복돌복순깐돌깐순 10 күн бұрын
두분의 콜라보도 멋지네요.😄😄😄
@눈부셔선미
@눈부셔선미 10 күн бұрын
우와 최애 화학×생물의 콜라보라니!! 설날 선물이네요 ^^
@cmcbessy
@cmcbessy 10 күн бұрын
🎉🎉 최강의 조합. 제 최애 과학자 두 분 ❤❤
@_sura
@_sura 9 күн бұрын
좋은 콜라보입니다 ㅎㅎㅎㅎ 어둠의 화학자 ㅋㅋㅋㅋ
@Smiss-zi3fy
@Smiss-zi3fy 9 күн бұрын
오호 너무 흥미롭다.❤❤🎉🎉🎉❤❤❤
@5kg-y2f
@5kg-y2f 9 күн бұрын
교수님 넘 좋아요^^
@한유유-r9z
@한유유-r9z 9 күн бұрын
❤❤❤❤ 교수님 설 잘보내셨나요 건강하세요
@문퍼플딥
@문퍼플딥 20 сағат бұрын
유익하고 재미나고 잘 보았습니다🍀
@rogerthat001
@rogerthat001 7 күн бұрын
유튜브로 유명해진 분들 중에 제가 제일 좋아하고 존경하는 분들 중 2분이십니다. 영상 잘 봤습니다. 감사합니다.
@Rocklee0917
@Rocklee0917 5 күн бұрын
장홍제 교수님을 여기에서도 뵙네요😊❤
@현-c9g4f
@현-c9g4f 6 күн бұрын
너무 재밌어요! 둘다 구독하고 챙겨봐야지..
@편미분방정식-Y
@편미분방정식-Y 10 күн бұрын
이번에 새로 알게 된 채널인데 참 좋네요. 자주 챙겨 보겠습니다.
@sangtedo
@sangtedo 9 күн бұрын
늘 고맙게 봅니다
@jeanne197
@jeanne197 9 күн бұрын
두 분 교수님 감사합니다~~^^
@experiencer1119
@experiencer1119 10 күн бұрын
너무 재밌어요
@pinkblack903
@pinkblack903 9 күн бұрын
두분 교수님 !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jazh8386
@jazh8386 9 күн бұрын
너무 재밌어서 순식간에 끝난 거 같아요 두 분 콜라보 또 보고 싶어요!!! 설 잘 보내시고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mihobory
@mihobory 8 күн бұрын
알차고 흥미롭고 재미나요🎉
@namheekim3500
@namheekim3500 7 күн бұрын
앞으로도 두 분 함께 해주세요!!!
@sjy7966
@sjy7966 9 күн бұрын
재밌게 잘 봤습니다😊
@김미김미-s9k
@김미김미-s9k 6 күн бұрын
궁합이짱입니다
@KAMAH-t3d
@KAMAH-t3d 7 күн бұрын
우와 멋지고 재밌어요~ 두 교수님 팬입니다~~
@NeouRami
@NeouRami 9 күн бұрын
유리해면도 실리카 골편으로 된 유리몸을 가지고 있어요
@윤농부-f7w
@윤농부-f7w 6 күн бұрын
응빈교수님 눈빛이 초롱초롱 🤩
@starsuper3536
@starsuper3536 6 күн бұрын
생화학 교수님께 배웠던 기억이 나네요. 외계 생물이 사는 환경에 탄소보다 규소가 많아서 규소 골격을 가진 생물이 나타날 순 있겠지만 규소가 탄소보다 훨씬 크고 무거워서 생물이 규소 물질대사를 하려면 엄청난 에너지가 들 테고 따라서 진화 하더라도 미생물 수준을 넘지는 못할 거라고. 생물의 진화가 무수한 우연이 겹치고 겹친 것처럼 보이지만 진화 과정을 구체적으로 배우다 보면 이렇게 될 수밖에 없었구나 싶은 것들이 많아요. 외계 '지적' 생명체를 발견하더라도 지구 생물과 의외로 닮은 면이 많을 수도 있다는 게 그래서 나온 말이죠.
@syl6058
@syl6058 7 күн бұрын
흥미진진하네요.
@kdyu178
@kdyu178 10 күн бұрын
이 조합 뭐지 굿!!
@danbi3128
@danbi3128 4 күн бұрын
예? 벌써17분이 지났다고여? 보다 만 느낌입디다 더 길게 해주세요
@jungmunkim6011
@jungmunkim6011 8 күн бұрын
짐피짐피 나뭇잎에 두번 스쳐봤습니다. 말그대로 불에 지진듯한 통증이 오더군요.ㅜㅜ 근데 둘다 호주가 아닌 다른 지역에서였어요. 한번은 네팔 히말라야 2500m지점이었고... 한번은 러시아 바이칼호수 인근 시베리아 지역이었습니다
@Pass1ngbyebyeby
@Pass1ngbyebyeby 8 күн бұрын
살아남으셔서 다행이네요
@ghjkl2025
@ghjkl2025 6 күн бұрын
호주에만 있는게 아니네요. 바이칼, 히말라야에 있으면 호주에서도 남쪽 바닷가 서늘한 쪽에 있을것 같네요.무섭네요.
@레발랑도르
@레발랑도르 9 күн бұрын
와 진짜 재밌다. 보다에서 주제하나 놓친듯 ㅋㅋㅋ
@JJL-y2k
@JJL-y2k 9 күн бұрын
규소는 식물체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칼슘처럼 굳어지는 성질이 있어서 식물체 벽을 단단하게 하여 병충해를 저감시킵니다. 벼나 쌀겨에 많이 들었어요
@ALETHES
@ALETHES 10 күн бұрын
이거 완전 폭탄주 조합이네요
@아이디-b3g
@아이디-b3g 10 күн бұрын
10:36 포켓몬중에 '쪼마리'라는 포켓몬 닮은것 같기도 하네요.
@차세영-e2v
@차세영-e2v 10 күн бұрын
와~화학과 생물학의 콜라보!!! 어떤 내용이 나올까 궁금 했는데 생각보다 극재미^^ 과학은 어려워서 과학적인 영상 알게된지 얼마 안됐는데 교수님들 입담이 섞여서 인지 요즘 보는 재미가 있어 흥미가 생기고 있어요~ 앞으로도 재밌고 유익한 영상 많~이 부타드립니당❤
@user-xw2wu7kx7r
@user-xw2wu7kx7r 9 күн бұрын
콜라보 미쳤다
@flffkrh
@flffkrh 9 күн бұрын
우리는 생물이고, 세상 모든 물질은 화학이다. !! ㅎㅎ
@보리-h6c
@보리-h6c 7 күн бұрын
👍👍👍
@hansj96
@hansj96 10 күн бұрын
과학을 보다를 통한 좋은 인맥들!
@user-xk9or9gj4f
@user-xk9or9gj4f 6 күн бұрын
벼가 포함된 화본과의 세포벽엔 규소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강예-o6k
@강예-o6k 10 күн бұрын
과학 커뮤니케이터 중에 유일하게 빨간딱지가 걱정되는 교수님이 장홍제 교수님 ㅋ
@조준환-v4q
@조준환-v4q 10 күн бұрын
와 재밌닼ㅋㄱㅋㄱㄱ
@h지영
@h지영 9 күн бұрын
오호 보다와 취미는과학에서 자주 뵙는 분들ㅎㅎㅎ
@LOVELOVE-rp9cn
@LOVELOVE-rp9cn 10 күн бұрын
철갑 만들어내는 달팽이 충격적이네 와... 슈퍼ai랑 유전공학 발전하면 진짜 SF 판타지에 나오는 괴물들 실제로 만들수도 있겠누... 철이빨 유리이빨 아연이빨 와 진짜 개충격...
@Pass1ngbyebyeby
@Pass1ngbyebyeby 10 күн бұрын
결국 칼슘이 현재 척추동물의 뼈를 이루는 주 원소가 된게 너무 신기함..
@Swookk-o2k
@Swookk-o2k 6 күн бұрын
네오디뮴 자석으로 철 이빨 갯지렁이 잡을 수 있을려나
@Joshua-cc7md
@Joshua-cc7md 6 күн бұрын
오류 내지 오해의 소지가 많은 내용입니다. 1. 포르볼이 쓸모가 없다구요?? Phorbol은 발암유도 외에도 발진 염증 유도에 사용될 뿐 아니라 그 에스테르 유도체는 역설적으로 항암제로 쓸 수 있어요. Stelfonta는 포르볼에스테르로서 포르볼로 만드는 항암제입니다. 수의학에서는 개과 종양치료에 씁니다. 한의학에서는 안 쓰지만 중의학에서는 포르볼 유도체가 들어있는 巴豆를 약으로 씁니다. 2. 마치 Manchineel 만 phorbol이 있는 독성식물인 양 말하는데 오해의 소지가 큽니다. 만치닐을 포함하는 Hippomane속은 물론 Croton속에 더 많은 포르볼 함유 식물이 다양하게 있어요. 大戟科Euphorbiaceae의 파두속, 만치닐속의 여러 식물이 그렇습니다.
@이알렉스-s2n
@이알렉스-s2n 9 күн бұрын
만치닐은 단감같아요~
@미숫가루찌개
@미숫가루찌개 9 күн бұрын
유기체에서 어떻게 규소화물이 생성되는걸까...
@MaerongYeeya
@MaerongYeeya 10 күн бұрын
고등학생으로 돌아간다면 광운대 화학과 가야지
@오오오오오-j5w
@오오오오오-j5w 10 күн бұрын
비트코인사야지
@kimbrad2951
@kimbrad2951 10 күн бұрын
하앜하앜하앜...
@amazing9802
@amazing9802 9 күн бұрын
궤ㄷㅗ 라는 사람은 저번에 보니까 사람 불러놓고 혼자 떠들어 대던데 역시 여기는 깊이가 다르네요
@garoo80
@garoo80 10 күн бұрын
김피김피? 짐피짐피?
@LOVELOVE-rp9cn
@LOVELOVE-rp9cn 10 күн бұрын
암유발이 유일한 목적인 식물이라니... 무시무시하네;; 진짜 악마 그 자체네
@NanjNol
@NanjNol 6 күн бұрын
호주인들: 아무튼 살고 있음 다른 지구인들: 어느 나라 매체였건 위험한 동식물 얘기로 툭하면 호주 쪽이 튀어나옴. 대충 들어만 봐도 무시무시함 현지인 존 플랜트(유튜브 채널 Primitive Technology): 위험한 동식물 다 피해가도 산불/비바람은 못 피해가서 툭하면 재현해온 원시 기술 작업물이 타고 무너지고 젖어서 썩음ㅋ
@user-yn8ljinn
@user-yn8ljinn 10 күн бұрын
거주지역이 아니라도 이 지구상에 사람이 먼저였는지만 생각해보자.
@김상균-x4y
@김상균-x4y 10 күн бұрын
생물학과 화학... 완전 다른 분야일 거라 생각했는데, 협력할 수 있는 부분이 의외로 많다는 점을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오늘 생긴 궁금증에 대한 설명이 지난 영상으로 올라 있는지 모르겠지만, 김교수님께 여쭙습니다. 오늘 낮에 아파트 빈터에 내려와 담배 한대 피고 있을 때 본 광경입니다. 이미 눈이 내렸으나 관련자 분들의 노고로 다 치워지고 땅이 거의 마른 상태에서, 추가로 눈 예보가 있어서였는지 모르나 아스팔트로 포장된 아파트내 도로에 염화칼슘(?)으로 보이는 알갱이들이 뿌려져 있었는데, 비둘기 몇 마리와 참새 몇 마리가 그걸 쪼아 먹고 있었습니다. 염화칼슘이 새들의 먹이는 아닐 것 같은데, 새들에게 나쁜 (혹은 좋은) 영향은 없을까요? 댓글에 이런 뚱딴지 같은 질문을 해도 되는지 모르겠습니다...
@Gnaebae
@Gnaebae 9 күн бұрын
통섭 유투브
@최진규-p1h
@최진규-p1h 10 күн бұрын
장홍제 교수님. 신체적 열악함으로 그쪽으로 공부하셨나 싶네요
@ChoiZe-t9m
@ChoiZe-t9m 9 күн бұрын
머리카락이 다시 너무빨리 자라시네 화학적 비결이라도 있으신건가
@박홍수-y8d
@박홍수-y8d 10 күн бұрын
교수님들은 대학에서 가르친다 라는 표현보다는 강의한다 라는게 좀 더 맞는 표현이 아닐까요 가르친다 라는게 틀리다는건 아닙니다.
@사모님-r1d
@사모님-r1d 10 күн бұрын
홍제교수님 자주 놀러 오세요
@또히진
@또히진 9 күн бұрын
홍제형♡
@Infinityisone
@Infinityisone 10 күн бұрын
우와 장홍제 교수님 반갑습니다! 🎉
@Infinityisone
@Infinityisone 10 күн бұрын
3:18 이 대답은, 온도가 높은 행성에서는, 규소로 이루어진 생물이 생존이 가능 할 수도 있다는 이야기 인가요? 반대로 뒤집어버린다면?
@Infinityisone
@Infinityisone 10 күн бұрын
4:59 나 이제 한국입니다. 난 이상한 생명체가 아니라고. ㅋㅋㅋ
@Infinityisone
@Infinityisone 10 күн бұрын
12:39 오늘은 조금 쉬어가는 시간 인가요? 재미있는 새로운 생물을 많이 배우는 중 입니다. 감사합니다. 😂
@Infinityisone
@Infinityisone 10 күн бұрын
17:46 화학과 생물학의 결합이라. 그럼, 생물화학 인가요?
@이판사판-u6q
@이판사판-u6q 6 күн бұрын
규조류는 골격이 규소
@ikpark8131
@ikpark8131 9 күн бұрын
어둠의 화학자ㅋㅋㅋ
@도깨비-j4v
@도깨비-j4v 9 күн бұрын
서서 하시는 거?!
@qlvmffpt
@qlvmffpt 8 күн бұрын
너무 재밌어요
Thank you mommy 😊💝 #shorts
0:24
5-Minute Crafts HOUSE
Рет қаралды 33 МЛН
🦠 세균 vs 바이러스, 누가 이길까? 미생물 전쟁의 승자는?!
8:46
김응빈의 응생물학
Рет қаралды 2,8 М.
설 연휴엔 고대 문명 미스터리 몰아보기ㅣ10분 토론 / 14F
2:4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