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영상 속 메인보드는 지원을 받아서 그렇고 8600G면 A620 보드와 조합해도 전혀 문제없습니다😀
@루카아데10 ай бұрын
도레님 아무리 유튜브가 중요해도 너무 무리하지는 마셔요..영상도 영상이지만 건강이 우선입니다 다크서클이 쉽게 생기는게 아닌걸로 아는데 다크서클이 생길 정도면 얼마나 무리를 하신겨
@도레10 ай бұрын
주말에 잠을 좀 못잤더니... 저리되었습니다ㅎㅎ 건강 챙기면서 영상 만들겠습니다!! 편안한 주말 밤 보내세요😀
@이지우사자10 ай бұрын
도레님 rtx4060ti 에 라이젠5 7500f 파워 500w로 충분할까요? 오버클럭은 안할거에요
@도레10 ай бұрын
500W 파워로 충분할거에요 :)
@이지우사자10 ай бұрын
아 제가 고사양게임 dlss 4k로 많이 하는데 그래도 괜찮겠죠? 파워는 마이크로닉스 클래식2 500W 브론즈에요
@집대성-s1y10 ай бұрын
amd 가 intel 을 판매량 수준에서 앞도하는 날이 오길 바란다. 그 오랜 수모와 그 더운 여름날 나의 방을 찜통으로 만들어 결국 내 방에 에어컨을 설치하게 만든 그 시절을 묵묵히 버티고 이젠 전 판매량의 45~50% 까지 다라잡은 amd에 경의를 표하며 제발 등신짓 말고 그래픽카드도 좀 따라잡아라. 앞도적인 저렴함으로 따라가라.
유튜버 분들이 AFMF가 프레임을 뻥튀기 해주기때문에 좋은 소재거리다 보니 영상주제로 자주 올리시는데 지속적으로 평균 100프레임이 나오는것과 120프레임에서 80프레임까지 널뛰기하는건 매우 다릅니다 예민하신분이 아니더라도 순간순간 프레임이 드랍되는건 진짜 둔감하지 않은이상 신경이 거슬릴정도로 불편하고 아직은 실사용에 무리가 있는 기술입니다 옛날 데네브 시절쯤에 AMD 그래픽 카드 쓰셨던분들은 마이크로 스터터링에 고통을 받으신분이 꽤 있을텐데 그거보다도 더 짜증이 날겁니다
@ansanwater11323 ай бұрын
주사율 60~90정도 모니터로 사무용 겸 간단한 게임정도로는 충분하지 않을까 합니다. 뭐, 용도별로 사용하는 부분이니 게이밍을 메인으로 쓴다면 거슬릴게 분명하죠. 게이밍을 한다면 솔직히 1060 쓰는 것 보다 3060ti 이상의 라인으로 가지 않을까 싶습니다.
@조영남-f6p10 ай бұрын
AFMF 적용시 프레임제너레이션 렉도 보여줬으면 하는 아쉬움이 있네요. 이게 30ms 밑으로 내려가야 원할한데 그이상으로 올라가면 묵직한 느낌의 렉을 느끼게 됩니다. 내가 움직이는 거에 반응이 늘어지는 현상 이죠 ㅡㅡ;;;
민티저님 보니까 내장그래픽+외장그래픽 해서 fsp+afmf 까지 먹이던데... 그렇게 해보세요 ㅎㅎ
@BladerSoul937510 ай бұрын
라데온도 엔당 VSR를 의식했는지 RX 7000에도 비디오 업스케일러 기능을 출시했답니다ㅋ
@punkydreamer823010 ай бұрын
이름이 뭐죠?
@BladerSoul937510 ай бұрын
@@punkydreamer8230 이름은 따로 없더라구요. 24.1.1 버전 설치하면 된다는 거 외에는...
@jammini284810 ай бұрын
암드는 라데온 드라이버 좀 잘해줬으면 좋겠다 진짜 괜찮다싶다가도 오류,에러 한번씩 나올때마다 승질남
@sap964910 ай бұрын
이거 지금 cpu 30만 메인보드 15만 하던데.. 램이랑 SSD랑 파워랑 케이스 사면 5~60만원 들거 같은데.. 아직 비싼듯 어짜피 극강 가성비로 할거면 ... 이것보다 요즘 미니pc로 3월 중순부터 알리 세일 드가서 8600G(760M) 보다 그래픽 쪽으로 한단계높은 7840hs(780M)급이 40~50만(램ddr5(16G) SSD512G포함) 풀린다고 함 리뷰 유트버들 슬슬 할인코드 각잡고 있던데
@prunusnira10 ай бұрын
요샌 외장 + AFMF를 같이 사용해서 뻥튀기 하는 경우도 있더라구요 ㅋㅋ 심지어 DLSS+AFMF까지... 대신 4k는 무리인걸로 보여요
@mjw358010 ай бұрын
DLSS + FSR 3.0 써보니 확실히 프레임 향상 좋긴하더라구요 다만 편법으로 동작하는거라 지원 게임에 제한적인게 흠이죠.
@Jackal_GN10 ай бұрын
8700g 시리즈 사려고 했는데 솔더링이 아닌 써멀처리 처리해서 7700에 글카 샀습니다....
@user-krkl10 ай бұрын
레노버 아이디어패드 슬림5 16irl 사용중인데, 살 때 부터 ppt파일 열거나 크롬창에서 스크롤하는 간단한 작업에서도 버벅거림이 심한데 어떻게 개선할 수 있을까요?
@정인준-i8c10 ай бұрын
오늘도 좋아요 꾹
@도레10 ай бұрын
매번 감사합니다! :)
@fayra13 ай бұрын
무시하지 마시고 진지하게 부탁드리겠습니다. 라이젠5 8500G A620 보드 NVIDIA GeForce GTX 1060 6GB 사용할려고 하는데 영상처럼 내장그래픽으로 그래픽카드를 도와줄러면 영상만 따라하면 될까요? 아니면 다른 방법이 또 있어야 할까요? (예를 들어 컴퓨터 조립 순서 같은)
@도레3 ай бұрын
안녕하세요 라이젠 5 8500G와 1060 6GB 조합은 저 뿐만 아니라 다른 분들이 보시기에도 애매한 조합이라고 평가하실 것 같습니다. 현재까지 나온 모든 프로세서의 내장 그래픽 성능은 깡성능 기준으로는 1060 6GB를 넘는 제품이 없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현재 제품을 이미 구매해서 활용하고 계시다면 잘 활용하시면 그게 뽕 뽑는거고요. 만약 8500G를 구매 예정 중이시라면 GTX 1060 6GB가 있기 때문에 다른 프로세서로 추천을 드립니다. 추천하는 프로세서는 라이젠 5 5600 또는 라이젠 5 7500F로 가신다면 훨씬 나은 선택이 될거라 생각됩니다. (물론 바꾸는 김에 글카도 바꿔주면 훨씬 좋...겠죠?ㅎㅎ)
@김태영-r3c10 ай бұрын
8700g와 8600g의 시피유 단일 성능차이는 얼마나 나는가요? 구매를 생각하고 있는데 가격때문에 고민이 생기더군요.
@jungjinwook636710 ай бұрын
저 같으면 고민없이 8600G 갑니다. 어차피 글카 안달거면 가성비로 가시는게...
@김태영-r3c10 ай бұрын
@@jungjinwook6367 그래도 한번 구매하면 오래 사용할거 같은데... 가격 차이가 엄청나죠. ㅠ.ㅠ 좋은 의견 참고하겠습니다. 답글 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ㅎㅎ
@cutycjt710 ай бұрын
차이 별로 없음
@lucaslim693310 ай бұрын
AFMF는 디아블로 같은 쿼터뷰 게임에서만 효과를 볼수가 있죠. 근데 쿼터뷰 게임은 고프레임이 필요하질 않습니다. FSR 3.0 정도까지 발전 한다면 쓸모가 많아지겠네요.
@엉엉울었어요10 ай бұрын
좋은 비교 감사합니다..안그래도 8600g 혹은 8700g 보고있는데..과연 어떨지..궁금했네요..ㅎㅎ 포토삽 라이트룸 보정 작업용으로 뭘살까 고민중이거든요..메인보드는 a620으로도 충분하지 않나요
@도레10 ай бұрын
A620 충분합니다ㅎㅎ
@강상욱-u8y10 ай бұрын
어도비는 친인텔, 친엔당이라 라데온 그래픽으로는 디노이즈나 렌더링 작업 많이쓰시면 스트레스 많이 받으실겁니다
@야호-b3x10 ай бұрын
@@강상욱-u8y그쵸 작업용은 amd라는것도 옛말이죠 색감외엔 메리트가 하나도 없으니 라데온이 맥에 들어가니 작업용으로 메리트가 있다는 어필은 됬지만 사실상 작업 성능은 같은급 같은 가걱 엔비디아 카드의 3분의1이니 이건 최적화의 문제져..
@엉엉울었어요10 ай бұрын
@@강상욱-u8y 디노이즈 기능 많이 사용하는데...아놔..ㄷㄷ 감사합니다
@김광엽-g9s10 ай бұрын
전 좋은건지 모르겠네요ㅎㅎ 개인적으로 최소프레임이 중요한지라...
@도레10 ай бұрын
아직은 반쪽짜리 기술입니다ㅎㅎ 다만 amd가 ai를 적극 도입하고 개발하고 있기에 추후 발전가능성에 기대해보는 것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