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upa.ng/ca3Vpe - 그럼 OLED 아이폰 사도 되는거지? 쿠팡에서 아이폰 13 시리즈 구매하기 위 링크를 통해 제품을 구입하면 컬러스케일에 소정의 수수료가 지급될 수 있습니다. colorscale.co.kr/display/1 - 영상에는 담지 못한 데이터, 좀 더 자세한 설명은 컬러스케일 웹페이지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LG OLED TV 2년 실사용 번인 테스트 보러가기 - kzbin.info/www/bejne/ap-pp3-fi52sh9E 영상/글 세 줄 요약 - 아이폰 12 미니, 아이폰 12, 아이폰 12 프로 맥스를 1년간 실사용하고 번인 테스트 - 눈에 띄는 번인은 없었지만 아이폰 12 미니, 아이폰 12 프로 맥스의 경우 화면 밝기 저하, 어두운 회색을 표시할 때 가장자리 어두워짐 문제 발견 - 당연한 이야기지만 다크 모드 사용은 번인 방지에 효과적 0:00 아이폰 12 시리즈 번인 테스트 0:21 번인 설명 2:14 아이폰의 번인 방지 알고리즘 3:05 측정 결과 4:09 사용 패턴 분석 5:43 결론 컬러스케일 구독은 bit.ly/32PAy5F
@후우꾸꾸우후오오후우2 жыл бұрын
@@yulyzcodel8437 대체 뭔 소리를 하는걸까ㅋㅋㅋㅋ 정보를 곡해한게 아니라 당신이 이상하게 알아듣는 겁니다
@조운재-q4c3 жыл бұрын
번인 테스트를 위해 아이폰 12를 3년 더 사용하실 계획이시라니 정말 감동입니다 블루님 :)
@ColorScale3 жыл бұрын
아닠ㅋㅋㅋ 왜 3년이 된거에요
@feel_2513 жыл бұрын
@@ColorScale 미래에서 오셨습니다. ^_________^
@uhd_kr3 жыл бұрын
그러게 나도 3년으로 알고 있는뎅
@김동우-w5h3 жыл бұрын
와! 역시 컬러스케일!
@한경수-b3l3 жыл бұрын
장기 번인 테스트 내용이 좋습니다. OLED Display의 가장 큰 단점인 번인 문제에 대해 1년 동안 사용 후에 관찰하고 측정한 것은 일반 사용자 입장에서 도움이 됩니다. 2년 사용 후에 다시 관찰, 측정해 보는 것도 매우 유익할 것 같습니다. 꾸준히 좋은 영상 올려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keuj5173 жыл бұрын
OLED의 블루가 문제가 조금 있지만 여기 블루는 문제없이 좋은정보 많이 제공한답니다
@ColorScale3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excternal3 жыл бұрын
3:42 OLED 디스플레이의 소프트웨어적인 소자 수명 관리(웨어 라벨링)은 특정 소자가 주변보다 누적 출력량(누적 광량)이 높으면 해당 소자의 밝기를 낮추고 주변 소자가 대신 그만큼의 보상을 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핵심인데, 화면 바깥으로 가면 수명 관리 상 밝기 보상을 해줄 주변 소자가 줄어들기 때문에(밝기 보상은 화면 안 영역에서만 가능하므로 같은 광량 보상이라도 상대적으로 더 적은 수의 주변 소자가 더 밝게 빛나야 함) 상대적으로 더 많이 소모될 수 밖에 없다고 보입니다.
@thesmarts84263 жыл бұрын
화면 끝쪽에만 번인이 심해지는 이유 : 신호선의 딜레이때문에 주변부와 중앙부의 파형이 달라짐 파형변화에 대한 타이밍 및 출력값을 중앙부에 맞춤 주변부는 상대적으로 미스타이밍과 과출력 상태 (매우 작은 값들) (이는 보상회로로 보상할 수 없는 부분) 딜레이 차이에 의한 다른 문제는 적록현상 이상입니다. 초창기부터 구독해왔는데 이제 곧 10만 찍으시겠네요. ㅎㅎ
@electronyoon3 жыл бұрын
진짜다... 진짜 엔지니어다....
@sonik15313 жыл бұрын
질문이 있습니다. 타이밍을 중앙부에 맞춘다면 Gate열림 시간은 외곽부가 상대적으로 길것이라 생각하지만, 그렇다고해서 소자가 열화되는 양이 많은지는 모르겠습니다. 애초에 과출력이라면 그부분이 휘도가 높았어야한다고 생각하는데, 공정 출고에선 휘도차가 크지않습니다.
@Pro_Supporter3 жыл бұрын
스마트폰 초창기 시절 번인 문제가 많았던 걸로 기억하는데 이제 그런 문제가 없어진건 아니지만 그래도 예전만큼 그렇게 화제가 아닌걸로 보아 많이 좋아졌나 보다 생각했었는데 이렇게 보니까 진짜 좋아진거였네요. 영상 끝에 반응이 좋으면 아이폰 12Max의 소프트웨어 지원이 끝날때 까지 쓰신다고 하셨는데 정말 기대되군요.
@ColorScale3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 소프트웨어 지원이 끝날 때까진 아니고...
@햄-x8l3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2027년쯤에나 지원 끝날듯ㅌㅋㅋㅋㅋㅋㅋㅋㅋㅋ
@ryyong_s23 жыл бұрын
@@ColorScale 블루형 아직 5s도 소프트웨어 보안 및 버그픽스 업데이트 받는중인건 아시죠?!
@basic60253 жыл бұрын
소프트 지원이 끝날때까지 테스트해주신다니 ㅎ 마음놓도 12max를 구입해도 되겠는걸요?
@sjbaek132 жыл бұрын
@@ryyong_s2 그럼 이거 한 2030년 정도까지 쓰실듯
@쏭쏭이-v3n3 жыл бұрын
추정이에요… 1. 좌우 끝단이라 거리에 따른 저항증가로 센터대비 동일휘도에서의 전류량 증가하여 소자 수명 가속. 2. glass상면 지속적인 터치등의 전하 축적으로 소자특성 변동
@ColorScale3 жыл бұрын
좋은 의견 감사합니다
@Intpptsd3 жыл бұрын
디스플레이 번인 방지를 위해 검은 옷을 입고 촬영해주시는 센스 감탄했습니다. 살짝 스티브잡스 같은 느낌도 있고 좋네요ㅋ
@5805-z2e3 жыл бұрын
블루교수님이 리뷰하는 1년 사용 리뷰 이건 정말 귀하네요
@ColorScale3 жыл бұрын
ㅎㅎ 귀하죠~
@SummerWars-c9e3 жыл бұрын
저번에 번인 테스트 올리신다고 하셔서 기다리고 있었는데 드디어 올라왔네요. 역시 믿고 보는 진짜 전문가영상 답게 머리에 쏙쏙 들어오네요. 번인은 크게 걱정할 필요는 없는것 같네요.
@ColorScale3 жыл бұрын
일단 짧은 시간 실사용에는 큰 걱정 없는 수준으로 개선된 것 같아요!
@잉간-b2f3 жыл бұрын
3:52 우리가 웹서핑 할때 정보가 가운데 쪽에 있고, 흰부분이 가장자리에 있어서 그런것 같네요. +주사율이 번인에 영향을 미치나요?
@newbee333 жыл бұрын
매번 느끼지만 설명 참 잘하셔
@deadkim72853 жыл бұрын
영상업도르가 제일 기다려지는 유튜브채널 1위
@ColorScale3 жыл бұрын
ㅎㅎ 감사합니다!
@unname-n6t3 жыл бұрын
이런 실험이나 측정들 너무 흥미롭고 재밌네요
@ColorScale3 жыл бұрын
ㅎㅎ 앞으로도 재밌는 실험들 많이 해 볼 계획입니다
@imnayeon09223 жыл бұрын
s20 울트라 사용중인데 제폰은 그린이 번인 제일 심한데 이것도 블루소자와의 밸런스를 위한 내부 보정알고리즘 때문에 그런걸까요 블루는 레드와 비슷한 수준의 번인이 생긴게 끝입니다
@ColorScale3 жыл бұрын
하드웨어적으로 그린, 레드 소자의 밝기 저하는 블루에 비하면 훨~~씬 느리기 때문에 말씀하신 이유가 어느 정도 있을 것 같습니다.
@jackseo71734 ай бұрын
후속영상 기대합니다 ~ 아직 12pro max 사용하고 있는 유저로서 너무 궁금하네요 !
@Pqowieuruty3 жыл бұрын
3:50 하필 가장자리인 이유는 부추전은 가장자리가 가장맛있기 때문입니다.
@ColorScale3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ㅋ
@이성준-n5o3 жыл бұрын
정말 유익했습니다. 2년이라면 정말로 실사용에 문제 없는 수준까지 온것일텐데.. 내년 이시기가 기대 됩니다. 좋아요 박고 갑니다 ㅋ
@wooner373 жыл бұрын
번인 테스트를 위해 5년 사용하신다니 역시 대단하십니다 그때까지 계속 유튜브 구독하면서 기다리겠습니다
@morimori163 жыл бұрын
너무나도 필요했던 테스트입니다 역시 믿고보는컬러스케일
@ColorScale3 жыл бұрын
ㅎㅎ 역시 컬스~
@doe77983 жыл бұрын
하아.. 컬러스케일 동영상 볼 때면 나도 모르게 '전'으로 시작하는 단어를 들을 때마다 긴장이..;; 오늘도 '전뉴' 잘 들었어요. 이젠 숨은그림찾기처럼 즐기며 봤어요. 참! 내용이 좋아서 열 구독 열 좋아요 열 알람 설정 중인거 참고해주세요
@ColorScale3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전뉴...
@평행선-u4b3 жыл бұрын
머리에 쏙쏙 박히는 설명 감사합니다. 정리가 한번에 되네요.
@ColorScale3 жыл бұрын
앞으로도 좋은 영상 많이 만들겠습니다!
@nerima-3 жыл бұрын
진짜 디스플레이 하면 컬러스케일!! 오늘 컨텐츠 너무 좋았습니다.
@hw223013 жыл бұрын
갤럭시 S8 쓸 땐 번인이 몇 개월 만에 심하게 와서 교체까지 했었는데 S20 쓰니까 2년 다 되가는 지금은 같은 패턴이어도 번인이 안보이네요
@ColorScale3 жыл бұрын
하드웨어적으로도 개선이 상당히 많이 되었죠!
@jiaeyes26903 жыл бұрын
진짜 클라스가 다른 채널이다..
@kimnoopy3 жыл бұрын
장기리뷰 아주 좋아! 노력이 묻어나네요
@ColorScale3 жыл бұрын
1년짜리 기획!!
@kimnoopy3 жыл бұрын
@@ColorScale 하지만 이제 120hz를 1년 더 미뤄야 하는.....
@Oliver_803 жыл бұрын
블루 교수님 번인 설명도 그렇고 예전에 M1 Pro도 설명 쉽게 잘 해주셨는데 공학 기술들 쉽게 설명해주는 컨텐츠도 생각 있으시면 해주세욥 전자공학시러;;;
@ColorScale3 жыл бұрын
ㅎㅎ 재밌는 논문 읽어주는 컨셉 생각은 해 보고 있는데 시간이 없네요 ㅠㅠ
@jklee01143 жыл бұрын
의문점이 있었던 것을 다뤄주셔서 감사합니다. 내년에도 기대할게요^^
@libertt00703 жыл бұрын
오늘도 영상 잘 보고 갑니다~😊
@멍멍이사료-f6i3 жыл бұрын
진짜... 항상 지리는 영상 감사합니다. 매우 유익!
@videos-gamer93 жыл бұрын
이런 리뷰 없죠.. 최고
@johntimothy48742 жыл бұрын
화면에 대한 심도있는 분석 잘 보았습니다. 관련 지식도 상당하시네요. 처음 보는 영상인데 딕션도 괜찮으시고, 번창하시길 바랄게요
@saladinowh2 жыл бұрын
컬스는 항상 최고!!^^
@5805-z2e3 жыл бұрын
드디어 오셧군요 교수님
@ColorScale3 жыл бұрын
ㅎㅎ 반갑습니다
@더부랄3 жыл бұрын
6:32 아13프맥으로 120hz 쓰다가 절전모드 쓰면 진짜 눈이 답답해짐 ㅋㅋ 엄청난 차이가 느껴짐
18년 11월부터 사용해서 꽉차게 3년을 채우고도 더 달린 제 Xs Max의 측정치가 심히 궁금하네요... 기기에서 발생하는 열이 금속 테두리로 전도된다면 이것도 OLED 소자에 영향을 끼칠수 있지 않을까요? 다만 AP는 보다 중앙에 가깝게 위치하는데 내부는 고르게 열화된걸 봤을때 발열로 인한 번인이라고 보기 좀 애매하긴 하네요. 실제로 열화상 카메라로 봤을때도 후면 중앙 부근이 가장 뜨거웠던걸로 기억합니다. 단순히 컨텐츠 표시 빈도가 적어서 열화된걸까요?
@ColorScale3 жыл бұрын
일단 지금은 그거 말고는 떠오르는 게 없네요 ㅠㅠ
@weird_spreadseat3 жыл бұрын
일단 측정된 기기에서는 노치 양옆 시계 부분의 측정치가 유독 낮네요 컨텐츠 표시 빈도가 가장 커 보이죠..?
@Yusi_yt3 жыл бұрын
에이수스 젠북 시리즈가 OLED 달면서 사야하나..하다가 5년정도 오래 쓸 것 같아서 LCD 모델로 구입했는데요, 노트북정도 들어가는 OLED 패널도 아이폰처럼 번인이 눈에 안 보일 정도로 개선이 되었을까요?
@목적격관계대명사3 жыл бұрын
그러니까 내년에는 갤럭시로도 테스트 해주신다니..! 역시 믿고 보는 컬러스케일입니다 bb
@ColorScale3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 이제 실사용 데이터들을 얻었으니 통제된 환경에서 실험을 기획해볼 계획입니다
@목적격관계대명사3 жыл бұрын
@@ColorScale 기대하겟습니다! 블루님의 조속한 문명중단을 기대하겟습니다!
@ColorScale3 жыл бұрын
@@목적격관계대명사 ㅋㅋㅋㅋㅋㅋㅋㅋ 문명 중단은 뭐에요
@jun06053 жыл бұрын
진짜 아이폰 번인 궁금했는데 유익한 영상 감사합니다 2년사용후도 영상 부탁드려요
@ColorScale3 жыл бұрын
넵!!
@5805-z2e3 жыл бұрын
조금 안봤다고 까먹을뻔했네요 영상안올라워서 ㅠ아쉽네요 액정필름 붙이지마, 화면 평가 리뷰 계속 들어줘야되는데 ㅋㅋㅋㅋ 항상 영상 잘 보고있고 기달리고있습니다! 올해 2021년도 정말 재밌게 새로 알게된 사실 아이폰 리뷰 등등 정말 참고할것들 잘알려주셔서 감사하고 댓글이나 답변들 궁금한것들 해결해주시고 꾸준함 감사합니다 정말 아이폰12 녹조현상때 얼마나 많이 찾아보고 도움이 됬는지 너무좋았습니다 ㅎㅎ 새해가 다가오는데 2022년도 화이팅 ㅎㅎ 2022년 리ㅣ뷰 컨텐츠도 정말 기대됩니다 갠적으론 테슬라처럼 전기차도 다뤄주시면 재밌을듯 컬스 더 핫해지길 바랍니다 불루행넴도 올해는 강아지한테 물리지말고 ㅠㅠ 블루행넴보고싶어요ㅠㅠㅠㅠㅠ
@리리리-k4r3 жыл бұрын
블루님 채널은 이런맛으로 오는겨쥬
@kamuiok3 жыл бұрын
블루형이 고통받을 수 있다면 뭐든 찬성~~
@csj67733 жыл бұрын
3:50 인게 핸폰을 옆으로 보거나 원래대로 볼때 아이폰은 바가 생기는게 요게 요 바가 옆으로 넘겨서 보면 바가 옆으로 이동하고 노치쪽에는 lte 베터리 잔량이 계속 표시되소 그거 땜에 더 낮추는거 같아요
@sjs79872 жыл бұрын
블루님 제가 한 10일 전쯤에 어떤 유튜버 분이 올린 보호필름, 강화유리를 사용할 필요가 없다라는 영상을 봤는데 어느정도 맞는 말 같다는 생각이 들었는데요 블루님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블루님은 태블릿에는 강화유리나 보호필름을 사용하지 않는게 낫다고 말씀하셨어서 스마트폰도 같은 생각이신지 궁금합니다
@kjy111333 жыл бұрын
저번에 예고 주신 이후로 오늘 영상만 고대하고 고대했습니다!! 시간이 많이 들어간 콘텐츠👍👍 받고 1년 더..ㄷㄷ 갓블루
@ColorScale3 жыл бұрын
가즈아~
@akfmqh123 жыл бұрын
아이폰으로 넘어가려하던 타이밍에 OLED로 바뀌었다고 해서 좌절했는데 이런 컨텐츠 너무 좋은것 같아요 기왕 해주실거 1년 주기로 다섯번 부탁드려요 :D
@marlingazamimuchim68023 жыл бұрын
가장 직관적인 추측을 해 보자면 (기술알못이라...) 가장자리에 있는 컨텐츠는 변화 없는 지속적 화면으로 노출될 가능성이 높음 (상태바가 그 대표적인 예고, 그게 아니더라도 모든 콘텐츠는 가장자리보다 가운데에 주요 대상이 존재하기 때문에...) 그래서 가생이쪽 소자가 빨리 소모되고 빨리 소모된 쪽이 테두리라 (소자 소모가 아닌 밝기 이슈지만, 아이패드 프로 5세대 mini led의 테두리 이슈에서 알 수 있듯) 티가 확 날 수 있기 때문에 그 부분에 번인방지 알고리즘이 집중되어 밝기를 테두리 맨 가장자리에서부터 시작해 안으로 들어오면서 점진적으로 떨어뜨리려고 한 것이 아닐까 싶습니다 점진적으로 떨어뜨리는 것은 번인 안보여주자고 가생이 밝기를 확 떨어뜨리면 테두리에 티가 나기 떄문... 이라고 또한 추측해봅니다
@marlingazamimuchim68023 жыл бұрын
+ 테두리의 바로 옆 베젤이 검정색이기 때문에 밝기를 조금 낮춰도 상대적으로 밝게 보이는 효과가 있을지도...?
@이학수-n4e3 жыл бұрын
아이폰 번인 걱정하는 사람 많은데 너무 소중한 테스트입니다. 2년 후기도 정말 궁금하네요 ㅎㅎㅎ
@Dozo_Photo3 жыл бұрын
아이폰X 3년 넘게 사용하고 있는데 유튜브 영상들이 16:9비율들이 많아 화면 상하단에 레터박스처럼 색이 다르게 보이게 되었습니다. 물론 이 차이가 미세하긴 한데 신경쓰고 보게되면 경계선이 보이는게 약간 거슬리네요. 위아래 부분도 태워서 비슷하게 만들고 싶어지는ㅋㅋㅋ
@MaverickHKwak3 жыл бұрын
늘 쉬운 리딩에 감사 감사 🙏 합니다 코비드19 끝까지 조심조심 하세요! 올 한해 수고했습니다 새해에는 더 환하게 웃는 날 많으시길 기원합니다^^
@ColorScale3 жыл бұрын
덕담 감사합니다!! 매버릭님도 좋은 한해 되세요~
@jasonko95893 жыл бұрын
컬러스케일님 답변좀 해주세요 ㅠ Qled랑 d-led랑 뭐가 다른가요? 중소기업 tv사려는데 qled라고 써잇고 패널 정보 보면 d-led로 나와있네요… 이건 qled가 아닌가요? d75mqaes68 랑 와사비망고 wm750 차이가 뭔지 알려주시고 어떤게 나은지 알려주세요!
@choiwusoung3 жыл бұрын
번인리뷰 기대했습니다...
@tnenine29573 жыл бұрын
혹시 OLED 패널을 사용하는 노트북도 이런 테스트 리뷰를 하실 의향이 있으신가요? 아무래도 휴대전화에 비해서는 같은 화면을 띄어놓고 작업하는 것도 있을 뿐만 아니라 장기적으로 오래 사용하는 층이 더 높은 전자기기라 이런 문제가 구매할 시에 필히 고려를 할 수 밖에 없는 부분이라고 생각해서 그렇습니다.
@ColorScale3 жыл бұрын
생각은 있지만 ㅠㅠ 워낙에 오래 걸리는 기획이다보니...
@o_o64923 жыл бұрын
요즘 노트북 구입 생각중인데 봐두던 모델이 OLED라 각정 되네요 ㅜㅜ 해주시면 정말 좋을것 같아요
@욜시노틸러스3 жыл бұрын
이 영상 올라오는거 그때 댓글 달아주셧을 때부터 기다리고 있었는데,. 지금 보네요.. !! 귀한 영상 감사합니다 형님!
@ColorScale3 жыл бұрын
별말씀을요~ 정말 오래 걸린 영상이네요 ㅠㅠ
@욜시노틸러스3 жыл бұрын
@@ColorScale 사실 블루님이 까먹으셧나? 생각했는데 아니었군요 ㅋㅋㅋㅋㅋㅋ 앞으로도 좋은 영상 많이 기대하겠슴다~~
@andymoss28323 жыл бұрын
이거 기다리고 있었어요! '저번에 번인 테스트 영상 만든다 했는데 왜 안 올리지?'하고 있었는데 드디어 올라왔군요! 잘 봤습니다 ㅎㅎ 다행히 번인 걱정은 덜어도 되겠네요!
@ColorScale3 жыл бұрын
ㅎㅎ 기획부터 촬영까지 굉장히 오래걸린 영상이 되었네요 ㅎㅎ
@andymoss28323 жыл бұрын
@@ColorScale 그래도 기다린 보람이 있었네요 ㅎㅎ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backlashlee3 жыл бұрын
1:44 뭔가 했는데 대박..ㅋㅋㅋㅋ
@ColorScale3 жыл бұрын
ㅎㅎ 눈에 박혔죠?
@user-Matter3 жыл бұрын
설명 완전 잘해 와
@또앵이3 жыл бұрын
와 진짜 이렇게까지 열정적인 분이 없는데 정말 노력이 대단한 유튜버이신거 같아요! 늘 깔끔하게 설명도 잘해주시구요!! 믿고보는 컬러스케일!! 블루님 멋있슴다!! 늘 감사해요~~!! 기대하겠습니다! 좋은 영상 많이 부탁 드려요~~!
@ragnaraw3 жыл бұрын
이거 보고 궁금증이 생겼는데 그러면 OLED폰에서 블루라이트 필터를 항상 켜고 사용하면 번인도 많이 줄어들까요? 일단 밝기도 좀 줄고 파란색이 열화가 빠르다고 했으니 효과가 꽤 있지 않을까요?
@soosuesu3 жыл бұрын
오랜만이에요 ㅠㅠㅠㅠ 너무오래 기다렸숴요
@ColorScale3 жыл бұрын
ㅎㅎ 기다려 주셔서 감사합니다! 좀 더 빨리빨리 영상 올릴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jbcderkadette3 жыл бұрын
더이상 LCD 플래그쉽은 나오지가 않을까요? 당장 생각나는것만해도 작년에 나왔던 샤오미 미10T와 아이폰11이 전부라서 말이지요. 아 그리고 LCD가 오래되면서 생기는 현상들도 설명해주실 수 있을까요? 제 아이폰6s가 오래되면서 백라이트 소자처럼 보이는 부분이 흰 큰점으로 화면에 생겨났고 스크롤시 잔상도 꽤나 보이고 있습니다. 이것이 LCD의 노후화와 관련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령진-y8b3 жыл бұрын
웹서핑이나 유튜브를 볼때도 가장자리는 사진이나 글이 차지하지 않을때가 많아서 흰색을 자주 표시하는게 원인이지 않을까 싶네요. 아이폰 평균 교체주기가 3년 이라는데 3년 사용기 기대하겠습니다ㅎ
@ColorScale3 жыл бұрын
앗 넵넵 저도 영상 찍고 난 뒤에 그 이유가 아닐까 하고 생각해봤습니다.
@ZamPaTV24hrs10 ай бұрын
2년사용후기 기다립니다😂 번인은 이제 걱정인해도 될만큼 개선이 된걸로 알고있는데..실제로어떨지..
@NOKANOKANOKA3 жыл бұрын
결과론적으로 OLED는 소모적인 성격이 좀 강하네요. 번인을 해결하기위해 점점 밝기를 줄여야 하니... 스마트폰이나, 테블릿처럼 교체주기가 빠른건 OLED가 좋을것 같은데, 모니터나 TV처럼 교체주기가 긴 제품은 오히려 LCD가 더 좋을지도 모르겠네요.
@ChoiC2R3 жыл бұрын
3:50 아이폰은 가장자리부분에 디스플레이를 말아서 넣기 때문에 겹쳐진 부분이 상대적으로 에너지를 많이 받아서 그런게 아닐까요? 라는 제 뇌피셜입니다
@ColorScale3 жыл бұрын
그런 이유는 아닐 것 같기는 합니다 ㅠㅠ 지금 드는 생각으로는 웹 사이트 같은 데 가면 가운데는 컨텐츠가 들어가고 가장자리는 흰색으로 표시되거나 해서 그런 게 아닐까 추측해보고 있습니다
@테스트-e8x3 жыл бұрын
대박이시네요;;;
@keebesst3 жыл бұрын
스토어가서 13프로 (카페)봤는데 친구꺼 프로 볼땐 잔상? 뭔가 번지는 느낌이 없었는데 전시장에서는 많이 번지는 느낌이었는데 전시장 조명이 너무 밝아서 그랬던걸까요?... 120hz가 오히려 눈 아팠네요.. 어두울 때 검은색이 번지는 거처럼 화면 전부다 번지는 느낌이었네요
@JayCvenga2 жыл бұрын
이런 컨텐츠 좋아요! 장기 테스트 가즈아!! 실사용으로 번인을 확인해주시니 아이폰13프로맥스를 가야겠군요 ㅋㅋ
@lovin2103 жыл бұрын
디알못인데 이채널은 진짜 재밌다...
@20pes303 жыл бұрын
진짜 오랜만에 뵙네요 블루님 ㅋㅋㅋ 그나저나 아이폰 보호필름 영상은 언제 올려주실 거에요 ㅠㅠ
@ksc37293 жыл бұрын
번인 예방을 위해 검은 옷 입은 블루님! 감사합니다!!
@Ruliling3 жыл бұрын
11프로맥스 라이트/다크 모드 자동, 4~50% 밝기 일일평균 12시간 정도 사용했습니다. 2년 넘어가니까 보통때는 못느끼는데, 낮에 야외에서 최대밝기로 보면 처음에 비해 확실히 어두워진게 눈에 띄더라고요. 4~5년 쓸거면 어차피 배터리 교체도 한번은 해야 하니 애케플이나 비슷한 보험 들고 2년 다가올때쯤 리퍼 받는게 나을것 같습니다.
@ColorScale3 жыл бұрын
좋은 의견 감사합니다!
@128beat3 жыл бұрын
폰한번사면 4년이상 쓰는 사람입니다. 현재 아이폰12사용중이라.. 테스트가 궁금중해소에 큰 도움 되었습니다. 추가테스트도 매우 기대 되네요. ^^ 그나저나... 블루님 지인들 부럽;;
@ColorScale3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 의외로 귀찮을수도 있어요
@Kimddaddut3 жыл бұрын
10년동안 갤럭시만 쓰다가 애플로 넘어온지 이제 5일차입니다. 카톡 0.5초씩 딜레이 생기고 특정 어플(특히 당근) ㅂㅈㄷ ㅁㄴㅇㅋㅌ 쿼티 자판에서 이쪽 터치가 잘안막습니다.ㅠㅜ 아이폰은 13프맥이구요. 이번에 불량이슈 많은데 이정도로는 불량이 아닌것 같아서 참으로 모호합니다. 거기에 핸드폰 페이스아이디로 열때 에어팟 살짝씩 끊기는현상, 카톡할때 다른알림오면 자판소리가 갑자기 커졌다 작아지는 현상… 이건 저만 그런건가요?? ㅠㅠ넘사 칩셋과 애플만의 앱정책으로 최적화가 끝내준다고 들어서 아이폰4이후 다시 왔는데 실망이 좀 크네요 ㅠ
다크 모드로 만 사용하면 항상 고정되어 있는 상단의 와이파이 안테나랑 하단에 홈 바에만 번인이 생길텐데 이를 보정하기 위해 개입한 소프트웨어가 전체 밝기를 내리진 않는가 보네요? 이것 때문에 일반/다크 모드 자동 변경으로 사용 중인데 항상 다크 모드로 사용하는 게 이득일까요?
@ColorScale3 жыл бұрын
자세한 구현은 애플 개발자가 아니면 모르는 내용이겠지만 제가 개발자라면 제일 많이 탄 일부 픽셀에 맞게 전체를 죽이는 방식보다는 변화값 등을 활용해서 Mura를 계산할 수 있는데 요 값을 일정 수준 이하로 유지하도록 알고리즘을 짤 것 같아요. 쉽게 말씀드려서 밝기가 천천히 변하면 잘 안 느껴지지만 바로 옆 픽셀의 밝기가 확 차이나면 눈에 띄거든요.
@김덴티3 жыл бұрын
블루형 예명을 블랙으로 바꾸면 어때?? 블랙 티가 너무 잘어울령
@Yorido_jua2 жыл бұрын
오 저는 항상 다크모드에 수동 밝기 낮은 수준으로 써서 그런지 4년 넘었는데 XS MAX 번인 하나도 없는 것 같아용 ㅎ
@ryyong_s23 жыл бұрын
oled 청소자가 빨리 빠지는건 에너지량이 많아서라기보단 청색광을 구현하는애만 소자 물질 자체가 다르고, 수명이 짧은건 그 물질의 특성으로 알고있습니다. 빨강과 초록은 같은 물질이고, 때문에 둘은 수명이 동일하죠. 분명 파장에 따른 에너지량으로 생각하면 빨강색보다 초록색이 더 수명이 짧아야하는게 맞아야하는데 실제론 그렇지 않습닏다
@ryyong_s23 жыл бұрын
블루형 대댓글 달아주면 안될까유ㅠ
@Jamessung10023 жыл бұрын
잘생겼다 블루쨩
@ColorScale3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 감사합니다
@こんち-b4y3 жыл бұрын
요즘 노트북도 oled 많아서 고민했는데 별탈 없어보이네요. 감사합니다!
@알비노3 жыл бұрын
사용기록을 저장해서 번인방지를 한다니 대단하네요 갤럭시도 번인방지가 있나요?
@jh_st3 жыл бұрын
아이폰X를 3년넘게 사용중인데 확실히 처음 샀을때랑 비교하면 디스플레이에 붉은기가 많이 돌긴하지만 눈에 띄는 자국은 안 보입니다 다만 어두운 회색을 낮은 밝기로 볼때 한지현상이 심해진건 확인했습니다.
@ColorScale3 жыл бұрын
실제로 균일도 측정 데이터에서 균일도 점수가 떨어진 건 확인했습니다. 아마 한지처럼 보이는 문제는 사용할수록 심해질 것 같아요
@binZpiano3 жыл бұрын
현재 아이폰XS 딱 3년 사용한 사람입니다. 전에 썼던 갤럭시s6 같은 경우 2년 사용했을 때 알림바의 형태가 그대로 잔상으로 남는 문제가 생겼었습니다. 아이폰으로 바꿀 때도 OLED라서 번인 걱정을 했었는데 3년을 써도 번인이 전혀 없는게 번인 방지 기술이 있는거였군요! 안심하고 1년 더 굴려도 될 것 같습니다.ㅎㅎ 오늘도 유익한 영상 감사합니다.
@ColorScale3 жыл бұрын
ㅎㅎ 앞으로도 유익한 영상 보여드릴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sss-89013 жыл бұрын
맥북프로 디스플레이 영상은 언제올라올까요...?그것만 기다리고있어요ㅜ
@2sangheon3 жыл бұрын
신형 맥북프로 리뷰도 얼른 올려주세요. 현기증 날 것 같아요.
@Shallow._.3 жыл бұрын
매번 업데이트마다 시간 위치랑 배터리위치가 아주 미세하게 변화하는게 도움이 되는것같네요
@asdf02913 жыл бұрын
갤럭시는 보정이 안들어가서 써보면 번인이 꽤나 잘보이지만 아이폰은 보정이 들어가서 단순히 자국만 남는게 아니라 궁금했는데 드디어 이게 올라왔군요..
@ColorScale3 жыл бұрын
ㅎㅎ 장기 프로젝트였습니다! 더 장기 프로젝트가 될 지도 모르겠네요
@weird_spreadseat3 жыл бұрын
왜 갤럭시는 oled도 훨씬 오래 전부터 탑재하고 번인 방지 알고리즘을 안 넣어 줄까요...ㅠ
@ColorScale3 жыл бұрын
@@weird_spreadseat 번인 방지 알고리즘이 있긴한데 애플보다 덜 공격적이거나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번인 방지를 잘못하면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으니까요.
@asdf02913 жыл бұрын
@@weird_spreadseat 몇년전까지만 해도 1년 이내에 번인생기면 무상으로 1회 디스플레이 교체였는데 요즘은 그냥 센터가면 보정만 해준다네요. 문제는 센터까지 가서 받는 보정이 그닥 썩 품질이 좋게 된다는거 같진 않더라고요.. 그마저도 번인이 좀 심하면 아예 거부당하고. 몇년전이야 그냥 디스플레이 교체로 해결했다만 교체도 안해줄거면 이제 알고리즘을 좀더 개선해줬으면..
@entropy17083 жыл бұрын
액정 강화유리 종류별 테스트 해주신다고 기다리는 중인데 소식이 없네요
@ColorScale3 жыл бұрын
요거 다음다음 영상으로 나갈 것 같습니다~
@밥바리밥3 жыл бұрын
트리 해두셨네요 :) 블루님 연말 잘 보내시길!!
@ColorScale3 жыл бұрын
ㅎㅎ 왜욤님도 연말 즐겁게 보내세요!
@feratube3 жыл бұрын
컬러스케일님 이번에 나온 2022 LG그램 디스플레이 색정확도가 상당히 개선되었다는데 확인해주세요!
@neosoulrnb24073 жыл бұрын
항상 잘 보고 있어요 저두 12프맥 쓰는데 다크모드 쓰길 잘했네요 ㅎㅎ
@ColorScale3 жыл бұрын
ㅎㅎ 미리 잘 하고 계셨군요!
@초장순두부3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블루님! 영상 잘 보고 있습니다. 새해 족 많이 받으세요^^~ 근데 궁금한 점이 하나 있어서 질문드립니다. 왜 fhd 해상도인 노트북에서 fhd영상을 보는 거랑 4k로 보는거랑 화질 차이가 나는 것처럼 느껴지는 걸까요? 그저 느낌 탓일까요? 인터넷에 찾아봐도 정보가 안나와서 질문드립니다. 항상 고퀄리티 컨텐츠를 만들어주시는거 감사드립니다.
@f35alightning3 жыл бұрын
저같은 경우에는 iPhone 12 pro 모델을 작년 11월 초에 구입해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평소에는 밤 빼고는 전부 풀 밝기, 화면 자동 잠금 X, 평균 하루 12시간 정도 화면을 켜두고 사용했습니다. (좀 하드하게 쓴것같긴 합니다) 그런데 몇주 전에 한번 번인 체크를 해보니 오른쪽 상단 노치 옆 폰의 상태를 표시해주는 부분에 배터리, 와이파이 모양으로 번인이 일어났고, 화면 중간에 얇은 띠 모양으로도 번인이 일어났습니다…. 워낙 애플 제품에 삼성 디스플레이라 수명을 많이 기대했지만… 1년만에 번인이 일어난건 OLED를 찬양해오던 저에겐 좀 큰 타격이였습니다. 명암비, 색감, 반응속도 때문에 oled에 대한 인식이 매우 좋았는데 이번 번인을 통해 앞으로 lcd가 완전히 없어지기 전까진 최소한 TV나 모니터를 oled로 사기는 번인 때문에 힘들것 같습니다 + 이번에 50qna90을 구입할까 고민중인데 리뷰 영상 기대하고 있습니다!
@sukkim91973 жыл бұрын
막상 사용하는 폰들은 모두 LCD 폰들이라 번인걱정은 할 필요가 없다는… 한편으로는 기쁘지만, 한편으로는 슬프네요 ㅠㅠ
@ColorScale3 жыл бұрын
ㅠㅠ
@Jakeu563 жыл бұрын
이 영상 박제… 내년 이맘때 이 그림이 보여져요 ㅋㅋ
@hyun_sick3 жыл бұрын
8+, 12mini 사용 중 인데 두모델 동일하게 트루톤 사용시 12mini의 화면이 좀 어색한? 느낌인데 이게 맞는건가요?
@05jsb3 жыл бұрын
아이폰 12 번개현상에 대해서 다시 영상을 제작해주실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12 일반 / ios 15.2 최신버전에서도 여전히 75%미만의 화면 밝기에서 제대로 된 검은색이 나오지 않습니다. 물론 검은색으로만 가득 채운 영상에서는 번개현상이 나타나지 않지만 유튜브 앱 작은 화면으로 검은색 영상을 보거나 넷플릭스, 디즈니 플러스 같은 앱 레터박스에서 자막이 뜰 때마다 번개현상이 눈으로 잘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