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 이름에서 어그 떼어버리겠습니다’, 호주 기업들이 어그를 어그라고 부르지 못 하는 이유|크랩

  Рет қаралды 391,768

크랩 KLAB

크랩 KLAB

Күн бұрын

#크랩 #어그 #호주 #미국
양털 부츠를 일컫는 말 '어그'!
미국과 호주가 이 'UGG'라는 단어를 두고
긴 분쟁을 해왔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호주는 심지어 정부까지 개입해야 한다는 이야기가
나오고 있는데...
대체 왜 이런 상황이 벌어진 걸까요?
크랩이 자세한 이야기를 다뤄봤습니다
※바로 잡습니다※
3:33 법무법인 유한 클라스 → 법무법인(유한) 클라스한결
Copyright ⓒ K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 학습 포함) 금지

Пікірлер: 404
@A680-d5d
@A680-d5d 7 күн бұрын
그니까 검정고무신이 상표등록이 되서 검정색 고무신을 검정고무신이라고 못부른다는 거 아님?
@whitepeach728
@whitepeach728 7 күн бұрын
이해가 쏙쏙 되잖아~
@쿠우-x9z
@쿠우-x9z 7 күн бұрын
조선나이키라고 부르면됨 ㅋㅋㅋ
@OmNyang
@OmNyang 7 күн бұрын
코리아 블랙슈즈 ㅋㅋㅋㅋ
@sspy458
@sspy458 7 күн бұрын
"시간 절약"
@trunghluong
@trunghluong 7 күн бұрын
한국에서는 여전히 써도 되지만 해외에서는 상표권을 가진 미국 기업 때문에 못 쓰게 되겠군
@OmNyang
@OmNyang 7 күн бұрын
호주에서 시작된건데 호주가 제재를 받는다라... 진짜 아이러니 하네 ㅋㅋㅋ
@샌드위치나랑먹을래
@샌드위치나랑먹을래 7 күн бұрын
마치 검정 고무신 같아
@jeong_fit_interior
@jeong_fit_interior 6 күн бұрын
역시 힘으로 찍어누르니 발상지도 꺠갱하는 ....
@ByeOh-pt6jc
@ByeOh-pt6jc 6 күн бұрын
한국도 종자권 팔아서 미국만 때돈 벌잖아 ㅋㅋㅋ 미국에서 보이는 크리스마스 트리 한국 종자 소나무임. 당연히 미국에는 없어서 한국에서 가지고 갔고, 종자권도 뭔지도 모르고, 말도안되게 싸게 팔았음. 60년대인가 몇백원이라는데 지금 가치로 쳐도 몇십만원이 안되는데 그거 받고 종자권 팔아서 크리스마스 트리 사면 종자권 비용 들어감.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boxingJason-ut7pd
@boxingJason-ut7pd 4 күн бұрын
시작된거랑 유행을 만든거랑은 천지차이 ㅋㅋ 다된 밥상에 밥숟가락 얹겠다는거랑 뭐가다름
@SinilKim-r3z
@SinilKim-r3z 3 күн бұрын
저희 김치랑 한복도 먼 미래에 중국이 미국처럼 될 수도 있다는게 생각이 듭니다 역사는 반복된다는게 맞는말 같네요
@boribori2462
@boribori2462 7 күн бұрын
호주 어그가 짝퉁이 아니라면 이제 어그부츠는 호주걸 사면 되는구나~ 좋은 정보네요
@tototutu96
@tototutu96 7 күн бұрын
오리지널이 짝퉁이 되는 매직...
@ygahn6804
@ygahn6804 7 күн бұрын
어그로 끌고있는 데커스
@ssshhh8563
@ssshhh8563 7 күн бұрын
근데 한국에 수입되는 호주 어그들은 대부분 미국 어그의 디자인을 카피한 제품들이라.... 그런 제품들은 짝퉁이 맞긴 함
@kkk-w6c
@kkk-w6c 7 күн бұрын
펙트는 어그 부츠란 카테고리로 브랜딩에 성공한건 미국 어그고 전세계 모든 패션브랜드들이 미국 어그랑 콜라보 한다는것은 변함 없음
@Min-yp3tk
@Min-yp3tk 7 күн бұрын
호주어그는 다 메이징 차이나제품이던데 ㅡㅡ 다짝퉁느낌이더라구요
@Skdjdjkaa
@Skdjdjkaa 7 күн бұрын
어쩐지 ! 호주 면세점 직원분이 무조건 오스트레일리안 메이드 택 붙은 걸로 사야된다구 안 붙은 건 중국 공장에서 만든 ugg라고 하시더라구요
@Min-yp3tk
@Min-yp3tk 7 күн бұрын
저도호주에서 어그사려고하니 전부 메이징 차이나라서 안삿어요 호주서사는 의미가 없더군요. . . . 선물용이였는데 ㅠ 호주서 메이징 호주제품을찾기는어려웠어요
@Skdjdjkaa
@Skdjdjkaa 7 күн бұрын
@@Min-yp3tk 맞아요 오페라 극장 앞에 있는 ugg매장도 중국산밖에 없더라구요 제가 못 본건지..ㅠ 다행히 면세점에는 있더라구요
@DD-oi1ur
@DD-oi1ur 7 күн бұрын
호주백인도 착한폴리네시안땅 훔처 살잖아ㅉㅉ미국도 양심 썩은사과(애플)가 동양인차별자 트럼프한테 징징대니까 삼성이 강제로 미국공장 지음ㅉㅉ동그란 폰도 지들꺼 우기며 삼성을 고소ㅋㅋ 영국이 인디언애들까지 납치해 강제로 영어만 하게끔하고 잔인하게 죽이고 침략질해서 뻇은거라 호주미국 둘다 도찐개찐인데
@DD-oi1ur
@DD-oi1ur 7 күн бұрын
미국의 욕심으로 비싸짐
@DD-oi1ur
@DD-oi1ur 7 күн бұрын
근데 호주입장에서는 미국이 중국으로 보이는거지. 둘다 역사보면 영국이 인디언애들까지 납치해서 강제로 영어만 하게끔하고 잔인하게 죽이고 침략질해서 뻇은거라 도찐개찐인데
@nancykim7352
@nancykim7352 7 күн бұрын
미국 어그 친환경한다고 리사이클된 퍼 사용하고 바닥도 친환경 소재로 전보다 품질 개박살 나고 가격은 더 비싸짐. 오로지 마켓팅으로 승부보는 듯. 판데믹 전 산 어그 부츠들이 훨씬 품질이 좋아요.
@alskdjfhzmxncb
@alskdjfhzmxncb 6 күн бұрын
진심. 친환경 할꺼면 걍 신질 말던지ㅋㅋㅋ 그지같이 만들고 가격은 안내림
@Livealif22
@Livealif22 7 күн бұрын
수족냉증이 심해서 어려서부터 어그란 어그는 다 사봤는데 미국 어그는 품질이 너무 후지고 가격만 비싸요. 호주 어그는 털도 더 보드랍고 따뜻해요. 진짜 품질 차이 큽니다. 근데 한국에서는 미국 어그가 진품이라고 인식되더라고요. 그런거 아니니까 좋은 호주꺼 사서 신으세요 퀄리티 차이 진짜 큽니다.
@Lololo765
@Lololo765 4 күн бұрын
공감!! 미국어그 호주어그 둘다 있는데 호주 제품이 퀼이 더 좋네요
@jason_cha
@jason_cha 4 күн бұрын
미국 어그는 중국 공장에서 만든다는..
@영영-p6x
@영영-p6x 3 күн бұрын
몇년전만해도 호주생산어그 몇제품 있었는데 지금은 하나밖에 안보임 이것도 못사게 될까봥 걱정
@happys9594
@happys9594 3 күн бұрын
어디서 어떻게 살 수 있죠??
@user-reisage
@user-reisage Күн бұрын
미국 어그가 좋다고 아는 사람이 있다니!
@k9md5iegnz87hke
@k9md5iegnz87hke 7 күн бұрын
미국때문에 어그 비싸졌다.
@SinocentrismZang-k3c
@SinocentrismZang-k3c 6 күн бұрын
전세계의 문제는 모두 미국이다
@ZLATAN570
@ZLATAN570 5 күн бұрын
​@@SinocentrismZang-k3c중국이죠
@쫑구-g2b
@쫑구-g2b 4 күн бұрын
@@SinocentrismZang-k3c허허 미국이 있어야 우리 한국도 있는거야 안그랬으면 러중북한테 먹혔을걸
@aksk7542pe9
@aksk7542pe9 3 күн бұрын
​@@SinocentrismZang-k3c 가입 3일전ㅋㅋㅋ 닉부터 짱 냄새 나노ㅋㅋㅋㅋ
@hab_punch
@hab_punch 3 күн бұрын
@@SinocentrismZang-k3c ㅋㅋㅋ 625남침도 미군이했다고 말할기세네
@저언덕너머-f1z
@저언덕너머-f1z 7 күн бұрын
호주어그를 사아겠군~~
@오류-k1u
@오류-k1u 7 күн бұрын
이거자나 우리모두 김치 김장먹고 당연하게 먹고살다가 갑자기 중국에서 전세계 상품권표기 김치등록한후 우리보고 김치라 쓰지말라는거 아님
@최인성-h4y
@최인성-h4y 7 күн бұрын
홀리 쉣
@알파카-e5o
@알파카-e5o 7 күн бұрын
실제 가능할지도 모르는 것이 무섭네
@이재명대통령님
@이재명대통령님 7 күн бұрын
미국이 주도하는 질서에 그런일은 없다.
@홍미란-q9n
@홍미란-q9n 7 күн бұрын
아님
@GJPARK93
@GJPARK93 7 күн бұрын
굳이 김치를 비유를 들려고 하면 이런 느낌일거같은데요? 김치는 한국만 먹고있었던 상황인데 중국에서 김치를 배껴서 만들었는데 그게 유행을 타고 전세계가 김치를 알고 먹을때 중국이 전세계상품권등록을 한다고 하면 김치 비유가 맞을거같네요 지금은 전세계인 누구나 김치가 한국거라는걸 알아서 같은일은 발생할거같진 않네여
@Mr.HandTime
@Mr.HandTime 7 күн бұрын
저작권 보호를 악용하는 사례라서 허용하면 안 된다 누구나 사용하는 공용어를 상표로 등록해서 사용을 제한하는 것은 법적으로 허용하지 않는다 미국이 이러면 중국하고 뭐가 달라
@pel3798
@pel3798 7 күн бұрын
이거 그거잖냐. 옛날 애플이 사과 업체들에게 전부 소송 걸어서 애플 마크 못 달게 하려고 한 거 과거 보잉이 한국 손톱깎이 회사에 소송 걸어서 777 마크 못쓰게 한 거랑 똑같은 거
@안녕하시오잘가시오
@안녕하시오잘가시오 7 күн бұрын
원래 미국은 지금이야 강대국이고 선진국이니 사람들이 말 못하지 백년전부터 중국보다 더 한짓 많이 했음 땅도 겁나 빼앗고 사람도 필요할땐 오라고 했다가 필요없으면 내치고 인종차별은 과거나 지금이나 똑같았고 더 웃긴건 미국인 다 이민자면서 인종차별이 있다는거임
@가오까이꺼
@가오까이꺼 7 күн бұрын
좀애매하긴하네요 원작자가있고 특허를 판매하긴햤지만 이름은 그사람이지은게아닌거아닌가
@devops_walker6870
@devops_walker6870 7 күн бұрын
호주의 대표명물 UGG인데... 미국이 상표권 유사긴빠이질 했다고 저런 행패를 부려도 인정해준다? 야, 중국이 '김치 상표권샀음 ㅎㅎ 이제부턴 파오차이다!' 이러면 가만있을거임? 애초에 누가봐도 노리고 저지른 행패이고 이걸 쉴드치는 댓글이 바로 간첩이다;;
@kanekim4560
@kanekim4560 7 күн бұрын
미국이라는 나라는 세계의 도움을 그렇게 받고 성장해놓고 고마운줄 모름
@salm2000
@salm2000 7 күн бұрын
크리스마스 생나무 트리 살 때마다 미국에 로열티 내라는 것과 비슷한 사건이에요. 주로 '전나무'의 경우인데, 그것의 원종은 한국 전나무이지만, 그걸 가져가서 미국 회사가 품종 등록과 상표 등록을 해버려서 그걸 한국에서 사게 되면 미국에 로열티를 줘야 합니다. (구매 대금 안에 로열티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alorych
@alorych 5 күн бұрын
허허....
@Hodo-king
@Hodo-king 2 күн бұрын
도둑이 따로없네
@southern_scepter
@southern_scepter Күн бұрын
한국에 있는 전나무 다 태워버리고싶게 만드네요
@AbigailPope-x1k
@AbigailPope-x1k 3 күн бұрын
호주 어그만 삼 너무 가입도 편리하고, 가격도 합리적인 시월모바일 알뜰폰 요금제! 다들 꼭 사용해보는거 추천!!!
@wj4988
@wj4988 7 күн бұрын
품질은 호주 어그가 두툼해서 좋음. 근데 미국 어그는 굽이 있고 뭔가 트렌디하게 만드는 센스가 있달까 호주껀 투박하게 생김.
@nancykim7352
@nancykim7352 7 күн бұрын
미국 어그는 다 마켓팅. 품질이 너무 안 좋아져서 검은색 염색도 금방 날라가고 그냥 확 싼 느낌. 정품 샀는데도 예전 짭 같은 품질. 판데믹 이후 어그는 전에 클래식 어그 품질의 반의 반도 못 따라가는 듯.
@안녕하시오잘가시오
@안녕하시오잘가시오 7 күн бұрын
아이폰 광고랑 똑같은거지 뭐 이미 미국내에서도 혁신없다 기사 많이 나오는데 외국에선 그런걸 몰라서 이쁘다고 팔아주니 상품성은 떨어지는거임 바른 일 하는 사람은 억울하게 되는거고
@sunnysunday4001
@sunnysunday4001 7 күн бұрын
원래 투박해서 어그라 불림 ㅋㅋ 어글리 줄인말.
@고양이-b6i
@고양이-b6i 6 күн бұрын
아님 ㅋㅋ 호주 어가 싼티많이남..
@yerimbaek7031
@yerimbaek7031 5 күн бұрын
@@nancykim7352 검은색 염색이 날아가는건 스웨이드 자체의 특성입니다. 블랙 램스킨으로 만든 스웨이드는 원래 그래요. 좀 청록색으로 색 빠져요. 어그만 그런게 아닙니다
@sksskdi
@sksskdi 7 күн бұрын
오리온 쵸코파이 상표등록 하려 했지만 진 거 생각하면
@레이스-f9x
@레이스-f9x 7 күн бұрын
호주 입장에선 미국이 중국처럼 보이겠다 다 우리꺼 쓰지마 해버리니 어그부츠가 호주가 찐이였구나
@호빵왕자-w6l
@호빵왕자-w6l 7 күн бұрын
이건 김치를 미국 기업이 등록한다음 '김치' 라는 이름으로는 이제 절대 유통 못함 ㅇㅈㄹ 하는거라 똑같은건데;;;;;
@maydaykay2713
@maydaykay2713 4 күн бұрын
한마디로 고무신이 갑자기 세계적으로 유행하더니 다른 국가에서 고무신(Gomusin) 이란 단어를 상표로 등록해서 정작 우리는 고무신이란 단어를 못 사용하는데 본인들은 한국기업도 아니면서 당당하게 ‘고무신코리아’ 라고 팔고 있는거.. ㅠㅠ
@taijitankor
@taijitankor 7 күн бұрын
미사 임수정이 유행시켰지
@롸나
@롸나 7 күн бұрын
애플 생각나네요. 미국애플사의 글로벌적인 어그로가 저거보다 심하잖아요. 어느나라 어느기업 사과농장에도 소송걸었다면서요? 로고가 사과모양이라는 이유로. 과연 미국임. 해적핏줄이 어딜 가진 않지...
@hab_punch
@hab_punch 3 күн бұрын
민주당도 그렇게 미국 욕해대면서 자녀들은 미국으로 유학보내고싶어 안달이던데
@keemzuno
@keemzuno 7 күн бұрын
패딩이란 브랜드가 생기면 패딩으로 못파는거네..미친.
@xfile-w8w
@xfile-w8w 7 күн бұрын
사과도 상표인데 뭐 미국이 하고 싶으면 다 된다
@앙드레코타보
@앙드레코타보 7 күн бұрын
천조국 하고싶다는 데 ㅋㅋ
@제니훈-r5d
@제니훈-r5d 7 күн бұрын
그래서 전세계 사과농가에 소송걸고 다니잖슴ㅋㅋ
@Baeksz
@Baeksz 7 күн бұрын
미국답네ㅉ
@Pocketlocket-i6m
@Pocketlocket-i6m 7 күн бұрын
사실상 거의 대부분이 미국 식민지지 벗어나고 싶어하면 규제때리고 테러국가라고 지정하면서 군대보내는데ㅋㅋ
@DD-oi1ur
@DD-oi1ur 7 күн бұрын
동그란거도 지들꺼 평창해킹도 코로나백신 화이자 등 부적절실험도 울트라생체실험마냥 아니라고 잡아때면 그만인 미국
@HoJakKa
@HoJakKa 7 күн бұрын
이런게 중국&일본이 김치를 기무치나 파오차이로 뺏어가는 방식인데...만약 미국이 먼저 김치 맛을 알았다면 우리는 똑같이 김치 이름을 빼았겼을꺼임
@이준혁-p6z
@이준혁-p6z 6 күн бұрын
기무치(キムチ)라는 표현은 일본식 김치를 가리키고자 따로 말을 만든 것이 아니라, 단지 개음절 위주의 음운 체계를 갖는 일본어 특성 상 한국어 어휘의 'ㅁ' 받침에 해당되는 글자가 없어서 기무치(キムチ)라고 했을 뿐이다. 때문에 일본에서는 한국식 김치든, 아래 소개할 일본화된 김치든 동일하게 キムチ라고 한다. 갈비가 가루비(カルビ)가 되고 국밥이 굽바(クッパ)가 되는 것과 하등 다를 것이 없는 현상이다. 기무치 루머는 일본이 일본식 아사즈케 김치를 'kimchi'가 아닌 'kimuchi'라는 이름으로 한국보다 먼저 CODEX(국제식품규격위원회)에 등재해 김치를 자기네 것으로 홍보하려 했다는 루머를 말한다. 이는 "1986년 인도네시아에서 열린 제5차 CODEX회의에서 일본이 김치의 국제식품규격 로비를 펼치고 있었다"는 김일환 박사의 주장이 실린 1994년의 기사를 시작으로 만들어진 루머이며, CODEX 등재를 시도한다고까지 왜곡되어 한국 사회 전반에 확산되었다. 이를 기반으로 국민들의 항의가 계속되자 정부는 1994년부터 1995년 12월까지 김치 CODEX 규격 초안을 작성하고 당월 CODEX 사무국에 제출했으며, 1996년 6월에 개최된 제10차 회의에서 김치의 CODEX규격화 제안이 승인되었다. 이해관계에 따라 대한민국 농림수산부의 제안에 일본이 응하면서 합의안을 작성하게 되었는데, 이후 수차례 CODEX회의를 거치며 규격안에 조정이 이루어졌다. 최종적으로는 2001년 6월에 개최된 제24차 CODEX 총회에서김치규격안이 확정되면서, 비로소 논란도 마무리되었다.
@09tgfl81
@09tgfl81 6 күн бұрын
오리온 초코파이도 상표분쟁에서 져서 일반명사처럼 쓰이고 있죠 대일밴드도 있고
@jg5903
@jg5903 7 күн бұрын
몇십년째 호주선 어그부츠라 모두들 부르고 여러마트를 비롯 브랜드에서 생산판매..뜬금없이 2000년 초에 미국에서 특허등록.. 호주사람들 모두 뿔났다. 우리나라에서 소주를 여러회사에서 소주를 파는데..뜬금없이 다른나라에서 소주를 특허내서..우리나라서 소주라는 이름조차 사용하지못하게 하는거랑 같음..
@IBJES
@IBJES 7 күн бұрын
고로 어그부츠인데 어그라는 이름이 안적힌 메이드인 오스트레일리아 라는걸 사면 되겠네요 어짜피 미국대기업 인건비 재료값 아낀다고 진짜 양털도 아니고 메이드인 차이나 저질제품 그냥 어그 이름값으로 팔거 아닙니까? 그게 미국식 자본주의니깐
@leekim9145
@leekim9145 7 күн бұрын
김치를 중국이 상표등록을 해놓고 김치라고 못붙이는 경우인가
@홍미란-q9n
@홍미란-q9n 7 күн бұрын
아님
@opppgi406
@opppgi406 7 күн бұрын
@@홍미란-q9n 맞음ㅇㅇ
@ooheo2042
@ooheo2042 7 күн бұрын
@@opppgi406 아님
@호빵왕자-w6l
@호빵왕자-w6l 7 күн бұрын
@@ooheo2042 맞는데?? 그럼 뭐임??
@ooheo2042
@ooheo2042 7 күн бұрын
@@호빵왕자-w6l 같은 비유를 하려묜 김치는 한국의 로컬푸드이기만 하고 세계적으로 중국이 상용화 했어야 같은 비유임 오케?
@iiiiiiiiiiii610
@iiiiiiiiiiii610 7 күн бұрын
한국 김치를 중국 기업이 김치라는 브랜드 만들고 브랜딩 네임 만들고 라이센스 등록하고 했으니 김치라는 단어는 우리 브랜드만 쓸수 있어 하는 꼴임. 호주 짱나는 상황. 호주 어그나 호주 가죽 부츠는 진짜 좋음. 환경자체가 아웃도어 이기 때문에 편하고 질 좋음. ㅋ 어그는 미국꺼 말고 호주꺼 사야함. ^^
@DD-oi1ur
@DD-oi1ur 7 күн бұрын
트로트랑 한글은 일본이 만들어다고 우긴적도 있음 ㅋㅋ1920년대 민요국악 바탕으로 트로트가 나와고 일본혼혈이 가져가 조선노래라고 말함. 한글은 세종대왕님이. 일본글은 한국식한자+신라글 짬뽕된게 팩트임 ㅋㅋㅋ일본문화가 지들꼐 없음 ㅋㅋㅋ중국도 명나라떄 우리 고려한복 가져감 이뻐서 ㅋㅋ
@Uhhhbbggggffvbbbhjj
@Uhhhbbggggffvbbbhjj 6 күн бұрын
이게 바로 눈뜨고 코베인다라는 거네… 어그 호주껀줄 알았는데..역시 돈앞에선 피도 눈물도 없는 미국
@cdavid-st6vk
@cdavid-st6vk 7 күн бұрын
1:43 우린 릴리함메르 동계올림픽이라고 불렀는데, 릴리해머 라고 부르니까 상당히 색다르네요~ㅎㅎ
@탐관돼지
@탐관돼지 7 күн бұрын
어그 웃긴게 호주살아서 어그사달해서 사줬더니 어그가 진품이 아니라고 미국꺼 사달라함 ㅋㅋㅋ
@sdjklIIlhfdgha843ka
@sdjklIIlhfdgha843ka 7 күн бұрын
오늘영상에서 제일 충격적인건 어그부츠가 겨울용 방한신발이 아니라 모래사장에서 서핑할때 신으려고 개발됐다는 점이다... 저거 신고 바닷가 가면 모래들어오고 젖으면 개찝찝할거 같은데
@하행복-q5n
@하행복-q5n 7 күн бұрын
서핑 후 급격히 떨어지는 체온을 막기 위해 어그를 신은거랍니다 ㅎ 물놀이 용이 아니에요 ㅎ
@sdjklIIlhfdgha843ka
@sdjklIIlhfdgha843ka 7 күн бұрын
@ 서핑후 바다물+모래 묻은 발로 어그부츠를 신는거가 찝찝할거같다구요 ㅎㅎ
@user-yr7fk3wp1w
@user-yr7fk3wp1w 7 күн бұрын
호주 어그를 지켜라
@윤장훈-x3f
@윤장훈-x3f 7 күн бұрын
일반명사를 고유명사화하는게 종종 있었는데 이건 배보다 배꼽이 더 크다고 우기는 격인데
@super-mariong
@super-mariong 7 күн бұрын
한국인들도 어그로 끌어서 조회수 늘리는 유투버들 정지시켜야 한다
@가리봉-f2u
@가리봉-f2u 7 күн бұрын
미국 어그입장에서는 보편적인 용어가 되버리면 중국 짭들이 판치는게 겁이나는거지. 양심적인 호주산 어그가 두렵겠냐
@123-eo6sx
@123-eo6sx 3 күн бұрын
한복이 미국에서 HanBok 상표내면, 우리나라에서 '한복'이라는 단어 못쓰게하면 말이 되냐?
@craftstudioaurora6132
@craftstudioaurora6132 3 күн бұрын
작년에 원래 다들 자연스럽게 부르던 그립톡을 상표등록해서 그립톡 만드는 사람들 죄다 고소해버리겠다고 했던 기업이 생각나네요..
@일꾸미는자
@일꾸미는자 7 күн бұрын
어그 연관없는데,어지간히 엮어 괴롭히더니.
@bjh..
@bjh.. 7 күн бұрын
정말 중요하고 반드시 함께 가야할 우리의 최우방국 미국이지만, 이게 맞나 싶은 개쓰레기 짓거리를 돈만 있으면 가능하다고 주장할 때가 종종 있어서 참 그렇네..
@SYDbella
@SYDbella 2 күн бұрын
호주 워홀러라서 현지에서 직접 신어보고 샀는데 진짜 따뜻하고 퀄리티 최고 ! 가격도 합리적이라 강추합니다 증말!!😆
@바라보다-t2f
@바라보다-t2f 7 күн бұрын
김치를 상표등록하고 한국에게 다른나라에 팔때는 김치로 팔지못하게하는 꼴인데.
@김인성-o6r
@김인성-o6r 7 күн бұрын
어그가 세계적 브랜드가 된 것이 데커스 덕이라면 데커스가 어그 장사를 할 수 있었던 건 호주 덕 아닌가? 진짜 강도가 따로 없네요.
@youngjunlee3939
@youngjunlee3939 7 күн бұрын
최초 개발자에게 판권을 샀고, 마케팅으로 세계적인 브랜드를 만듬. 다른 업체들은 판권도 없고, 남이 일군 브랜드에 숟가락 얹겠다는 건데 걔네가 강도지.
@야버터
@야버터 3 күн бұрын
김치를 미국에 가져가서 미국에서 유행하고 미국회사가... 이제 김치라는 용어는 상표권이 있음... 이 말이네?
@떡라
@떡라 7 күн бұрын
이게 맞는거지 어그 개발자한테 미국기업이 모든 권리를 샀는데
@김소소-f7p
@김소소-f7p 7 күн бұрын
호주어그 사야겠군
@overdriver99
@overdriver99 7 күн бұрын
이건뭐.. 김치를 상품화시켜서 전세계적으로 유행을 시키고 상품 등록을 하는 중국회사가 나중에 김치상표권 주장하는거랑 똑같구만. 미국 업체가 양심이 없는거지. 한나라의 일반명사를 상품화 시킨자체가 말이 안되지.
@joshchoi5230
@joshchoi5230 3 күн бұрын
어쩐지 미국에서 ugg 로고 붙은 침구세트나 수건도 팔길래...뭔가했는데..이제 이해감..
@jinnypooh80
@jinnypooh80 Күн бұрын
호주 사는데 어쩐지 어그란 말이 요새 잘 안보인다 했음. 중간에 G가 크게 있는 UGG도 보이길래 저건 뭔가 했더니 미국서 온 거군요. 좋은 정보 알아갑니다. 근데 전 어그 발목이 아파서 못 신겠던데 너무 직각이라..ㅜㅜ
@beensu202
@beensu202 5 күн бұрын
사람들이 어그를 신는 이유는 미국의 브랜드 파워때문에 나 좋은 비싼 신발 신는다는 자랑개념이 많아서 미국것이 원조가 된걸로 봐야됨.
@FUZE0515
@FUZE0515 7 күн бұрын
아 뭐야 AUG랑 UGG랑 싸우는줄 알았는데
@임영훈-j3t
@임영훈-j3t 7 күн бұрын
호주 '어그그'로 하면 응원하는 전 살겁니다.
@londonchung6903
@londonchung6903 4 күн бұрын
호주에서 한글로 어그라고 상표를 붙여 판매하면 어떨지?
@Terraformingofgovernment
@Terraformingofgovernment 17 сағат бұрын
애플의 사과협회 분쟁도 있었지만 이런건 이런 큰 법적분쟁 사건을 통해 각 나라의 고유명사나 역사적 연관성이 밝혀지면 자유롭게 사용하든지 아님 그나라 업체에 대해 예외를 주든지 하는 계기가 되어야 한다고 봄 결국 세상을 변화시키는건 대중의 관심임 그걸 가능케 하는 깨어있는 언론들의 역할이고
@성이름-l5q9d
@성이름-l5q9d 6 күн бұрын
상표를 변리사한테 물어봐야지 변호사한테 인터뷰를하니까 이럴수도있고 저럴수도있어요 이런답변이나 하고앉았지..
@성이름-l3n2j
@성이름-l3n2j 3 күн бұрын
뭔ㅋㅋ 얘는 아무것도 모르네 변리사한테 물어봐도 단정 못하는 부분임
@성이름-l3n2j
@성이름-l3n2j 3 күн бұрын
8대전문직이니 뭐니 해도 어차피 소송대리는 변호사 고유권한인데 유사법조직역들한테 물어보면 걔들이 이긴다 진다 단정해준대?
@성이름-l5q9d
@성이름-l5q9d 3 күн бұрын
@@성이름-l3n2j ㅇㅇ유사직역은 노무사 변리사 세무사 이런애들한테 물어봐야됨 변호사한테 물어봐도 아~무것도 모름 소송할때도 100만원받고 이름만 올려줄 신입애들 구하드라
@ryujd0533
@ryujd0533 3 күн бұрын
미국 어그가 진짜 어그 끌고 있네? 지난 겨울 초에 조카에게 호주 어그 부츠 사줬는데 다행이네. ^^
@엘리스-e6m
@엘리스-e6m 3 күн бұрын
한복을 한복이라고 부르지 못하는거나 진배없다
@사랑해-p4y2g
@사랑해-p4y2g 7 күн бұрын
이제 호주에서 사야지~
@jasonshin3584
@jasonshin3584 4 күн бұрын
은희네해장국도 제주도에 2,3개 점포만 직영 오리지날이고 내륙에 있는 프렌차이즈는 그 상표권을 껌값에 사버린 회사의 프렌차이즈 가게들ㅋㅋㅋ 본점 주인이 내륙에 가게를 낼수없는 조항에 발묶여버림. 프렌차이즈점이 물론 본점과 음식 레시피는 동일하다고함
@shurupbaby
@shurupbaby 7 күн бұрын
뭐 It회사에서 컴퓨터에 "computer" 이딴식으로 이름 붙이고 다른 회사에선 상품명에 절대 못들어가게 한다는거?
@안성훈-e4e
@안성훈-e4e 7 күн бұрын
우리가 떡볶이 불고기같은 단어도 못쓰는 날이 올지도.......
@LesMiseraBong
@LesMiseraBong 7 күн бұрын
어그로 끌렸네
@밥말리-f5n
@밥말리-f5n 3 күн бұрын
쓸데없이 비싸기만 하고 그렇다고 로고가 미찬듯이 예쁜것도 아니고 안사면 그만.
@hyogey88
@hyogey88 6 күн бұрын
그냥 품질좋고 양털 부드럽고 가벼운 부츠신음
@dhkdckd
@dhkdckd 5 күн бұрын
얼마나 억울할까;;
@cspark4299
@cspark4299 7 күн бұрын
기본적으로 미국 어그를 카피한 제품들을 판매하면서 호주어그라고 판매하는데 이러니 가품 소리 듣는게 아닐까 합니다.
@Currentaffairs.History.J-k8r
@Currentaffairs.History.J-k8r 3 күн бұрын
아니 그럼 이거 어떤 나라가 "김치"라는 브랜드를 만든 거랑 같잖아?
@Eggmoney69
@Eggmoney69 7 күн бұрын
그래서 상표권, 저작권이 중요한거야 인도 요가, 베트남 쌀국수는 미국 기업이 마케팅으로 띄운 상품들이야. 상품화 하는 능력이 중요하다는 일침
@jin_1825
@jin_1825 6 күн бұрын
헉 원조는 호주 어그이고 미국판 어그는 마켓팅 따로 한건줄 알았는데... 아니었군요 ㄷㄷㄷㄷ
@smithjack3497
@smithjack3497 6 күн бұрын
100%는 아니다 = 얼마까지 알아보고 오셨어요?
@user-dy8yy5ry4j
@user-dy8yy5ry4j 7 күн бұрын
호주어그가 원조이고 진짜는 양가죽을 뒤집어서 털이 안쪽으로 가게 만든게 진짜어그임 소가죽에 양털붙혀 만든 어그도 많은데 잘보고 사야함
@Albatross-m8h
@Albatross-m8h 7 күн бұрын
릴리해머는 현지식 표기가 아닙니다
@vudghkfhqrp8345
@vudghkfhqrp8345 7 күн бұрын
어휴 우리나라도 조심해야겠네. 중국이 있어서 언제 뺏길지 모르지.
@ellenofficial.mp3
@ellenofficial.mp3 6 күн бұрын
시드니에 오래 살면서 이런 이야기 첨들어봐요! ㅎㅎ 흥미롭네요~ 그냥 호주껀 귀엽게 AuGG 오그부츠라고,,, 리브랜딩하면 ㅋㅋㅋ긔여울거같운뎅
@살살해라
@살살해라 6 күн бұрын
저게 된다면 김치를 만드는 글로벌 회사가 국외에서 마케팅했다고 김치를 못쓰게 한다는 꼴인데….
@virgo2800
@virgo2800 7 күн бұрын
다른 나라의 전통? 같은 거를 상표화해서 등록해버리는 거는 너무한 거 아닌가요ㅜㅜ
@sunshineaustralia1882
@sunshineaustralia1882 6 күн бұрын
호주에 살아도 이런분쟁이 있는지 몰랐네. 쇼킹이다
@0102_ho
@0102_ho 7 күн бұрын
어그 부츠를 살 때는 꼭 오세아니아 기업 걸 사야겠군
@훈이맘-sinn
@훈이맘-sinn 4 күн бұрын
이년전 어그샀어요 만들어진게 호주최초라 호주껄로 주문했어요 아이랑 커플로 잘신고있네요👍 미국껀 비싸고 ㅠㅠ
@David-rl7en
@David-rl7en 6 күн бұрын
영상 내용이랑은 관련이 없는데, 크랩 나레이션 하시는 분은 목소리가 너무 좋으신데 성우이신가요?
@밥말리-f5n
@밥말리-f5n 3 күн бұрын
우리 한복을 미국인이 상표 등록하면 우리가 한복이라는 말을 못쓰는건가?
@mckinseyand2022
@mckinseyand2022 7 күн бұрын
미국에서 어그부츠 만든 놈도 호주에서 간 거임.
@leej-vq6hl
@leej-vq6hl 7 күн бұрын
앞으로 어그 = 호주 무조건이다!!!!!
@물면안놓음
@물면안놓음 6 күн бұрын
나이키가 아닌데 '나이키 신발' 이라고 파는 느낌인가
@whitexmas7974
@whitexmas7974 7 күн бұрын
예전 아이폰 둥근 모서리 소송 비슷하네요.. 샘표 깻잎 통조림 디자인을 지들 독창적인 거라고 우기던.....ㅋㅋ
@김준하짱
@김준하짱 7 күн бұрын
스퀘클이라고 독자적인거 맞는데 무슨
@KYBOSS-i2r
@KYBOSS-i2r 7 күн бұрын
그건 완전 다른 문제에요 설계도 찾아보시면 그 둥근 모서리의 독자적인 곡률이 엄청나게 치밀하게 설계 되어 있습니다. 폰마다 그 모서리 곡률이 다 달라요. 근데 그걸 그냥 복붙해서 썼기 때문에 문제가 생긴 것이고 그 이후 삼성만의 곡률을 사용했죠. 소송 이전의 갤럭시 보면 그냥 아이폰 카피라는 느낌이 바로 듭니다.
@WONSEOKCHOI-h6d
@WONSEOKCHOI-h6d 2 күн бұрын
자국어에 중요성이 나오네요 한글 로 '어그'는 상표성을 피해갈수 있는 여지가 있다니...
@한국정력공사-l1t
@한국정력공사-l1t 5 күн бұрын
요즘들어 상표가 무슨 큰 의미가 있난 싶네..
@dinzone
@dinzone 7 күн бұрын
타스만 같은 신발 디자인도 호주랑 똑같던데 이런 디자인은 누가 먼저 만든거임?
@재레드다이아몬드
@재레드다이아몬드 7 күн бұрын
호주
@겨울나무
@겨울나무 4 күн бұрын
호주의 전통, 보통명사를 브랜드화 한 게 아니라 미국에서 그냥 호주 물건을 판 거 아닌가요... 그런데 이거 가지고 미국 기업이 '어그'를 브랜드화 하는 데 기여한 바가 크니 호주 기업들은 쓰지 말라는 게 이해가 안 되네요. 애초에 다른 나라의 전통, 보통명사가 한 기업만의 브랜드가 되어 독점하게 되는 것이 상식적으로 납득하기 어려운 일이고요. 또 독점권은 미국 재판부가 인정한 것이니 당연히 미국 내에서만 효력을 가지고, 국제적으로는 호주의 기업과 미국 기업 모두 시장에서 '어그'라는 이름을 쓸 수 있어야 할 것 같습니다.
@Seaeeeee
@Seaeeeee 7 күн бұрын
그립톡같은거네요...
@정경화-z1x
@정경화-z1x 4 күн бұрын
쩐의 전쟁
@멀위랑다래랑
@멀위랑다래랑 6 күн бұрын
그럼 에그를 등록하면 다른사람들은 에그를 사용못하냐?
@더베리
@더베리 7 күн бұрын
도널드트럼프가 등록하면 도널드 이름 쓴 사람은 다 돈 줘야겠네.
@geunyoungpark300
@geunyoungpark300 7 күн бұрын
결론 호주어그를사자
@seouh1
@seouh1 7 күн бұрын
어긋장 놓는 통에 얶장 무너지는 소리 ㅠ
@yohan1004
@yohan1004 7 күн бұрын
호주에서는 90년대에 어그 유명하지 않던 시절에도 초저가 신발 가게에서도 슬리퍼 형태나 단화 형태 어그도 많이 팔았음. 동네마다 자체 생산하는 어그 브랜드 많은. 와인과 더불어 어그가 호주에서는 약간 김치 포지션. 동네마다 공장 다 있음. 그래서 가죽질은 좋으나 디자인은 투박한 편
@김교도-g1l
@김교도-g1l 7 күн бұрын
아! AUG부츠 아시는구나!!
@튭-h7r
@튭-h7r 7 күн бұрын
근데 어그...양모로 만들어져 통풍이 어쩌고 4계절 신는다고 하는데 솔직히 사기 같음. 털이 있는데 한여름엔 당연히 못 신지 않음?
@shotgun2992
@shotgun2992 7 күн бұрын
여름철 (물놀이 후 얼음장 같은 계곡물 때문에 발이 시려울 때 방한을 위해서) 신는 신발 괄호를 생략해서 홍보함
@YOUNGHWANKIM-i5f
@YOUNGHWANKIM-i5f 7 күн бұрын
호주 살고 있는데 저도 첨엔 4계절 에반데 했다가 호주애들 한여름에도 양털 카시트 잘만 쓰고 다니는거 보면 4계절 가능할듯기도 해요 ㅋㅋㅋㅋ,,
@튭-h7r
@튭-h7r 7 күн бұрын
한국은 그래도 여름에 힘들거 같아요 일단 습하고 계곡에서 나오는 순간 뜨거움...ㅋㅋㅋㅋㅋ 기온 자체가 발을 따뜻하게 해줌ㅋㅋㅋ 호주는 기후가 한국과 다르니 가능할 수도 있겠군요
@paulJack-d8n
@paulJack-d8n 7 күн бұрын
호주 가본 사람들 알겠지만 한낮40도인데 그늘 또는 밤에 가면 시원하다가아니라 춥다 그러니 사계절가능하다
@snoopydog9773
@snoopydog9773 7 күн бұрын
무좀 걸린다에 한표
@test65481
@test65481 7 күн бұрын
미국 진짜 양심없다 상표 호주에 돌려줘
@hysu-jn9cv
@hysu-jn9cv 6 күн бұрын
오즈랜드 어그는 호주꺼죠? 어그부츠 처음사봐요
@minjinie5227
@minjinie5227 4 күн бұрын
10년도 더 전에 브리즈번에서 어그( 유지지 라고 불림) 샵에서 잠시 일했는데 그때 호주인들이 어그라는 건 브랜드 이름이 아니라 이러한 형태의 양가죽신발을 유지지라고 한다 라고 해서 어리둥절 했었음. 실제로 호주에선 오지들이 시골 목장이나 낮에 더운데도 신고 다님
@hab_punch
@hab_punch 3 күн бұрын
그들이 만든건 더울때 신고다녀도 땀이 덜차거나 안차나요?
Мясо вегана? 🧐 @Whatthefshow
01:01
История одного вокалиста
Рет қаралды 7 МЛН
Cat mode and a glass of water #family #humor #fun
00:22
Kotiki_Z
Рет қаралды 42 МЛН
대체 몇 시간을 굶어야 살이 빠지는 걸까? | 의사들의 수다 2부
28:24
[모아보기] 크랩의 눈으로 본 '지금, 미국'|크랩
30:44
투썸이 케이크를 팔게 된 이유🥄ㅣ돈슐랭 / 14F
10:21
14F 일사에프
Рет қаралды 171 М.
괴담 같은 노로바이러스 소문 딱 정리해드림 / 스브스뉴스
6:14
스브스뉴스 SUBUSUNEWS
Рет қаралды 1,4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