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구가 세계화에 실패한 이유. 야구는 왜 축구만큼 인기가 없을까?

  Рет қаралды 1,343,487

지식 브런치

지식 브런치

Күн бұрын

한국은 야구도 축구도 좋아하는 나라입니다. 아주 특이한 케이스죠.
야구와 축구가 동시에 인기 있는 나라는 기껏 꼽아봐야 우릴 포함, 일본 멕시코 정도입니다.
대개는 축구를 좋아하면 야구를 싫어하고, 야구를 좋아하면 축구에 별 관심이 없죠.
순수한 팬층만을 따져봤을 때 인기 1위 스포츠는 축구로 약 35억 명이었고,
25억 명의 크리켓이 2위, 20억 명의 하키가 3위였으며,
테니스 배구 탁구 농구에 이어 야구는 5억 명으로 8위였습니다.
이렇듯 야구는 축구에 비해 명백히 세계화에 실패했습니다.
좀 더 심하게 말하자면 야구는 미국의 강한 영향력 아래에 있는 국가들만의 국지적인 스포츠입니다.
왜 이렇게 된 것일까요?
출간 도서 '삶이 허기질 때 나는 교양을 읽는다' 구매 링크 : bit.ly/3tnybpW
#야구인기없는이유 #야구좋아하는나라 #야구역사

Пікірлер: 5 300
@NeoWizard
@NeoWizard 2 жыл бұрын
축구 이외의 다른 스포츠, 예를들어 야구 농구 하키 크리켓 탁구등등이 세계화가 더딘이유는 최소한의 인프라를 요구하기 때문인것 같습니다. 동네 축구해본 분들은 아시겠지만 축구는 골대 없이 그냥 바닥에 선만 그어놓고도 즐길수 있습니다. 그러나 농구는 최소한 득점을 알수 있는 '림' 이라는 인프라가 있어야 하고, 야구 / 하키 / 크리켓 등은 배트와 공을 잡을수 있는 글러브 같은 최소한의 인프라(?) 그리고 탁구는 라켓과 탁구대 라는 2개의 인프라가 반드시 있어야만 경기를 할수 있기 때문이라 생각합니다
@akremember9398
@akremember9398 2 жыл бұрын
축구는 공만 있어도 가능하죠 가난한 나라에서도 접근성이 좋은게 한몫한듯
@미제드론
@미제드론 2 жыл бұрын
공단에서 외노자 친구들(아마 스리랑카 방글라데시 파키스탄 이쪽 친구들 같았음) 와서 노는거 보니까 작대기? 두개랑 공 크리켓빠따 이렇게만 갖춰서 하루종일 신나게 놀더군요
@mimimiminu
@mimimiminu 2 жыл бұрын
남아시아는 정말 크리켓에 미쳐있죠 ㅋㅋ 경기장 자체가 야구같은 부채꼴보다 원에 가까운 방사형이다보니 접근 인프라 자체는 야구보다 좋은 것 같습니다.
@NeoWizard
@NeoWizard 2 жыл бұрын
@@ZAKSDJBAK 동남아시아, 서남아시아, 남아메리카, 아프리카 등에서는 축구에 비해 농구는 보급이 잘 되지 않는거 같더라고요.
@Tuss2233
@Tuss2233 2 жыл бұрын
농구는 축구다음으로 성공한 스포츠이죠 머 nba라는 리그가 너무 압도적인것만빼면 그래도 전세게 골고루 프로리그잇으니
@johnback1741
@johnback1741 2 жыл бұрын
초등학교 체육 시간 때 생각해보면 선생님이 축구공만 던져줘도 재밌게 놀았는데 축구 외에 종목은 세세하게 배워야하고 장비도 비싸서 진입 장벽이 축구 보다 확실히 높아서 이런 배경이 생겨난거같네요
@조중동네이버쓰레기들
@조중동네이버쓰레기들 2 жыл бұрын
내가 야구를 노잼이라하는 이유는 오직하나. 공하나하나부터 주루 및 타격까지 백퍼 모두 심판이 간섭하는 유일한 스포츠라는거. 그래서 핵노잼.
@AdeZbv
@AdeZbv 2 жыл бұрын
이 영상에서 농구가 7위인게 가장 놀랍네
@wincup
@wincup 2 жыл бұрын
뭘 보면 일단 차고 싶은 게 인간의 본성같기도 하구요.
@김민수-b1f7i
@김민수-b1f7i 2 жыл бұрын
@@조중동네이버쓰레기들 룰이좀복잡해요..그래서 솔직히 단순하고 상남자다운스포츠라고는절대못하죠
@제니훈-r5d
@제니훈-r5d 2 жыл бұрын
어릴때 초딩체육시간에 공 하나 가지고 주전자로 내야그리고 발야구 했었는데. 요샌 안하나 봄. 반인원이 적어서 그런가.
@eyedee8966
@eyedee8966 2 жыл бұрын
축구는 영국이 아니더라도 결국에는 만들어질 수 밖에 없는 스포츠. 그만큼 쉽고 본능적입니다.
@jonin_cunren
@jonin_cunren 2 жыл бұрын
비슷한 스포츠가 몇 천년 전 중국에도 있었으니까요
@실수그자체
@실수그자체 2 жыл бұрын
근데 영국에서 만들어졌기 때문에 규칙이 깔끔한건 있는듯?
@임재범-j5z
@임재범-j5z 2 жыл бұрын
@@포스핀 아니.....할많하않
@manganjo3137
@manganjo3137 2 жыл бұрын
@@포스핀 접근성에 관한 말이죠. 규칙이 어렵고 돈이 많이 드는 야구보다, 축구는 쉽고 가난한 이들도 쉽게 할수있는 스포츠입니다.
@DaemoChoi
@DaemoChoi 2 жыл бұрын
축구 쉬운건 인정 근데 0대0 경기가 허다한 축구 룰 자체가 재밌는건 아님
@올리브-h3z
@올리브-h3z Жыл бұрын
야구든 축구든 열광할 이유는 충분한 스포츠임 근데. 다 필요없이 야구는 장비와 공간을 너무 많이 필요로 하니까 입문하기쉽지않음. 그래서 공하나면 끝나는 축구를 이길수가없음
@user-mz6lv5xb9f
@user-mz6lv5xb9f Жыл бұрын
​@@Baseball0909어디 아픔?ㅋㅋㅋㅋ
@user-mz6lv5xb9f
@user-mz6lv5xb9f Жыл бұрын
@@Baseball0909 혁명해보든가ㅋㅋㅋㅋ 무능해서 이런데서나 분탕질 하는 주제에ㅋㅋㅋㅋㅋㅋ 패배주의자따위가 발악을 하네ㅋㅋㄱㅋㅋ
@그건좀그런데
@그건좀그런데 Жыл бұрын
일본에서 야구가 인기많은 이유지 일본가면 비행기 위에서부터 야구장 널려있음 인프라를 갖춘 스포츠가 하기 쉬움
@감귤-d4c
@감귤-d4c Жыл бұрын
일반인이 야구를 하는건 동호회아니고서야 너무너무 힘들지
@Kenny-fh3om
@Kenny-fh3om 3 ай бұрын
야구는 시간이 너무길어 ...😢😢
@dosert
@dosert 2 жыл бұрын
미국의 4대 스포츠인 미식축구, 야구, 아이스하키, 농구 중에서 농구를 제외하고는 규칙이 복잡하거나 장비가 많이 필요해서 보급이 힘든 것 같습니다. 그래도 농구는 다른 나라들에서도 인기가 많은 걸 보면 상대적으로 간단한 규칙과 많은 장비를 필요로 하지 않는 스포츠이기 때문에 인기가 많은 것 같아요. 역시 간단한 규칙과 적은 장비가 인기의 비결인 것 같네요.
@who7256
@who7256 2 жыл бұрын
농구 규칙 복잡…대신 골대만 있으면 공간이 많이 필요 없어서 인기가 많은 것 같습니다
@dosert
@dosert 2 жыл бұрын
@@dongsunlee602 님 의견에 공감합니다. 그래서 미국스포츠들 중에서는 인기가 앞서지만 전세계적으로는 중간 순위인 것 같아요.
@yacht-responce
@yacht-responce 2 жыл бұрын
@@dongsunlee602 예, 농구도 마냥 쉽지 않지요. 그렇지만 직관성(맨몸+1공 2골대)을 바탕으로 세부조항을 두느냐, 처음부터 많은 경우의 수나 도구 사용법을 익혀야 하느냐는 분명 다른것 같습니다.
@sksskdi
@sksskdi 2 жыл бұрын
농구 요즘 너무 어려워졌음
@dosert
@dosert 2 жыл бұрын
@@dongsunlee602 그런 면도 있는 것 같아요. 축구는 진짜 전쟁 같거든요. 정해진 장소에서 자유롭게 움직이고 부딪히면서 경기하니까요. 경기의 전술 등도 마치 전쟁의 전술 같아서 전술 자체만으로도 재밌죠. 게다가 관중들도 깃발을 흔드는 등 진짜 전쟁 같아요. 저도 역동적인 축구 경기가 재밌어요. 특히 직관하면 더 재밌더라구요
@jokerpokerwinner
@jokerpokerwinner 2 жыл бұрын
항상 관심있던 주제였는데 컨텐츠로 제작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이유야 어렴풋이 이해는 하고있었지만 보다 전문적으로 설명해주시니 좋네요. 다음 주제도 기대됩니다.
@thomasci
@thomasci 2 жыл бұрын
진짜 독일에 와서 정말 놀란점 중 하나가 야구가 없다는거였습니다. 독일 사람들이 정말 각종 운동을 참 좋아해서 경기장도 많고, 팬들도 많던데(배구 경기도 인기많고, 아이스 하키 경기장이 월드컵 할때처럼 꽉 참) 여긴 야구장이 없더라구요. 심지어 야구라는 단어가 독일어로 없어서 "베이스볼"을 그대로 쓰고... 진짜 그런 운동이 있다는 말만 들어본 정도로 룰도 모르고, 아예 관심이 없는게 신기했습니다. 차라리 미국 슈퍼볼이 독일에서 (관람으로) 더 인기가 있어서, 이번주는 슈퍼마켓에서 슈퍼볼 관련 상품을 팔 정도입니다. 언젠가 지나가다 우연히 동호회 수준의 야구하는 모습을 보긴 했는데, (야구는 못 하지만) 어릴때 야구장 좀 가 보고, 야구 만화도 좋아했던 1인으로써 좀 짠 하기도 했고, 그래도 약간은 반갑기도 했습니다. ㅎㅎ
@freemansponsonby555
@freemansponsonby555 2 жыл бұрын
유럽에서 네덜란드 정도를 제외하고 야구는 우리나라 입장에서 럭비나 크리켓같은 존재임
@thomasci
@thomasci 2 жыл бұрын
@@freemansponsonby555 정말 그렇더라구요 ㅎㅎ
@adcde23
@adcde23 2 жыл бұрын
베이스볼 분데스리가 있지않아요? 역사가 제가 알기론 50년도 안된걸로 아는데
@thomasci
@thomasci 2 жыл бұрын
@@adcde23 맞습니다. 있긴한데 인기가 넘 없습니다 ㅠㅠ 약간 전국 동호회느낌입니다. 일단 적어도 우리나라같은 제대로 된 경기장도 거의 없어서 독일인이라도 존재 자체를 모르는 사람도 많습니다.
@lions_gon
@lions_gon 2 жыл бұрын
@@thomasci 독일은 웬지 슈마허 때문에 f1유명할꺼같은데 그런가요? 원어민교사가 영국사람이였는데 f1광팬이라 축구안보고 f1만보던데 ㅋㄱㄱ 맨시티,리버풀 얘기해도 모름 ㅋㅋ 이름만 알고
@JJJ-ow4gs
@JJJ-ow4gs Ай бұрын
야구는 진짜 보는 데에 특화되어 있는 스포츠 같음 턴제라는 점, 전략, 스탯, 교체 타이밍, 타순 등등 복잡하지만 그만큼 생각하면서 보면 이만큼 재밌는 것도 없음 근데 그 대신에 보급이 힘들다는 게 단점인 듯. 그나마 이정도까지 세계화 된 것도 참 대단한 거 같음
@Tuss2233
@Tuss2233 2 жыл бұрын
그리고 야구는 이닝별로 하기때문에 타자들이 돌아가면서 해도 몇번 타석에 못드는게 제대로 스포츠를 즐길수없는것도 한몫하고 일반인들이 즐기기엔 시간도 부족하죠. 축구는 일반인들이 공차고놀다가다 급한일잇으면 빠져도 나머지들이 알아서 놀수잇지만 야구는 누구한명빠지면 외야수 내야수 한명 부족해져버리니 게임진행이안되죠
@mondle7946
@mondle7946 Жыл бұрын
그 타석에 돌아가는 타자가 외야수이고 내야수인데요. 야구는 타격하는 사람따로 있고, 수비하는 사람 따로있는 게 아니예요ㅎㅎ
@asdf-n4w
@asdf-n4w 10 ай бұрын
@@mondle7946 말을 이해가 좀 안되게 써놧는데 진행 할 때 한 사람이 타석에 몇 번 못들어 가봐서 흥미 붙이기 어렵고 진행 중에 한명이라도 빠지면 당장 수비가 안되니까 게임 진행이 안된다는거 두 부분으로 나눠서 봐야함
@mondle7946
@mondle7946 10 ай бұрын
@@asdf-n4w 모든 스포츠가 그냥 재미로 하는 것이면 꼭 정식룰을 가지고 경기를 하지는 않죠. 축구도 무조건 22명이 있어야지 하나요?? 학창시절에 빈 우유곽으로 야구 안 해보셨나요?? 교실 뒷 편에서 빗자루들고 야구를 많이 해봤죠. 야구도 3명만 있어도 즐길 수 있죠. 던지는 사람, 치는 사람 포수는 외벽으로 타자가 투수에 공 던져는 역할을 병행하고 나머지 한 명은 외야 수비 보고 이렇게 적은 인원으로도 야구를 즐길 수 있죠.
@SAJOTUNA
@SAJOTUNA 2 ай бұрын
​@@동춘-l5d대신 국대로 넘어가면 얘기가 다르죠 fc코리아는 어떤스포츠도 못막습니다 축구 한일전이랑 야구 한일전에다 결승이라해도 방송사들은 야구중계하다 끊고 축구 중계할겁니다
@Heidelberg4351rt
@Heidelberg4351rt 2 жыл бұрын
독일에 거주중인데, 대학에서 AHS라고 우리나라로 치면 방과후활동? 같은거에도 소프트볼과 야구를 겸한 코스가 있습니다. 두 대학에서 한 학기씩 참가해봤는데 대부분의 학생들이 룰부터 배우는 그런 커리큘럼? 입니다. 독일에도 세미프로 정도의 베이스볼 분데스리가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ㅎㅎ 이번학기는 밤 9시에 실내 Halle에서 코스를 진행해서 아침1교시 때문에 거의 참석을 못했네요.. 하이델베르크 거주할때는 소프트볼 할 떄마다 풋살하던 학생들이 이상하게 쳐다보던게 생각나네요 ㅎㅎ..
@Peter-ij5wu
@Peter-ij5wu 2 жыл бұрын
가장 중요한건 말씀하신대로 ' 접근성 ' 같습니다. 축구는 축구공 하나만 있으면 언제 어디서든 눈이오나 비가오나 혼자서도, 한두명만 있어도 재미있게 즐길수 있지만 야구는 많은 조건이 갖추어져야지만 비로서 가능하다는것이 매우 큰 한계라고 봅니다. 전세계의 많은 인구를 차지하는 개발도상국에서 축구와 야구중에서 어느 종목이 훨씬 쉽게 접근할수 있는지만 생각해봐도 답은 나올것 같습니다.
@wayneaoy8930
@wayneaoy8930 2 жыл бұрын
솔직히 보는거도 축구가 더 쉽게 재미를 느끼긴 함 단적으로 축구는 축구를 전혀 몰라도 호나우도 경기를 보면 와 개 잘한다 미축이나 농굴 봐도 배리센더스나 카일리 어빙 보면 진짜 인간 만나 느끼는데 솔직히 야구는 연속 동작이 거의 없고 보편적으로 떨어진 상태에서 싸우기 때문에 압도적인 운동신경을 확 느끼기가 좀 힘든(물론 아지 스미스 빼고) 거기에 축구나 미축이나 격투기나 농구나 규칙이 단순하면 개성적인 선수들이 많이 나오는데 규칙이 복잡한만큼 획일된 선수가 너무 많음
@joshua7601
@joshua7601 2 жыл бұрын
접근성 하나로 미국이 먼저 야규 세계화를 축구보다 한다해도 결과는 같을거라 봄
@user-wb1sy4bp4s
@user-wb1sy4bp4s 2 жыл бұрын
독일 스웨덴 스위스 등등이 개발도상국이냐
@minsugu8023
@minsugu8023 2 жыл бұрын
모든 구기종목이 공 이외의 전용 장비를 필요로하는데(농구는 골대, 배구는 네트 등) 오로지 축구만이 공만있으면 할수있는 스포츠임. 이 접근성은 진짜 개 넘사벽.
@wayneaoy8930
@wayneaoy8930 2 жыл бұрын
@@dongsunlee602 글쎄요 야구를 잘하는 사람이 보면 당연히 오타니 뿐 아니라 다른 선수를 봐도 대단하다 느끼지만 야구를 모르는 사람이 보면 야구라는 스포츠의 떨어져있고 멈쳐있는 특성상 혀를 낼둘 정도로 대단하다 보지 않는게 보통임 저도 야구 만화로 입문했는데 실제 야구는 만화처럼 편집이 되있지 않아서 적응하는데 2년정도 걸린듯 실제로 야구는 경기 시간은 가장긴데 하이라이트는 평균적으로 짧기도 하고 그리고 일반 사람은 오타니가 투타를 다하는건 사고적으로 대단하다 느끼는거지 시각적으로 대단하다 느끼는게 아님 (물론 야구팬들 빼고) 저도 야구팬이지만 야구는 진짜 보기가 어려움 그래서 데이터 베이스가 발전한거 일수도 있음 예를 들어 시속만 봐도 뉴비가 보면 140킬로든 150킬로든 어떤게 더 빠른지 잘 모름 하지만 그걸 데이터화 해서 140 150 이리 나누면 보기가 한결 편한게 느껴질수 있는거죠 그리고 저는 어빙 처음 봤을때 미친놈인줄 알았는데 ㅋㅋ
@대장-f4b
@대장-f4b Жыл бұрын
침략국이자 강대국인 영국의 스포츠이자 즐기는데 부담없는 장비값과 경기장, 쉬운 경기규칙과 플레이레벨, 상대적으로 날씨의 영향을 덜 받는..여러모로 전파되기 용이한 조건의 스포츠인 듯
@mondle7946
@mondle7946 Жыл бұрын
정작 축구를 세계화시킨 국가는 프랑스죠. 영연방국가에서는 크리켓이 더 유명하지 않나요??
@지성인-q5o
@지성인-q5o Жыл бұрын
축구가 좀 더 본능적인 스포츠라 월드컵같은 내셔널리즘이라던가 유럽축구처럼 연고문화가 정착이 되면 더 사람을 끓어오르게 만드는 맛이 있음.한마디로 전쟁에 더 가까운 스포츠라고 해야하나.야구는 응원문화같은게 따라하는게 재밌고 경기가 여유가 있어서 가끔씩 직관은 좋아하지만 국가대항전 단계로 넘어가면 무조건 축구임
@wodud7_
@wodud7_ 2 жыл бұрын
축구 야구 둘 다 좋아하는 입장으로서 둘 다 매력있는 스포츠인것 같은데 요즘 인터넷에서는 두 스포츠 팬들끼리 많이 싸우더라구요.. 영상 잘 보고 갑니다
@설윤이원탑이다
@설윤이원탑이다 Жыл бұрын
확실히 장점이 축구는 공하나만 있어도 혼자 트래핑 연습,드리블 연습,슈팅 연습이 쉽지만 야구는 혼자서 하기엔 힘든면이 있죠.. 개인 트레이닝으로는 한계가 명확한 스포츠라 룰 이해도 못하는 경우가 많아서 접근성이 어렵고..
@람-w7g
@람-w7g Жыл бұрын
아 그래서 wbc에서 부업으로 야구하는애들한테 프로가 쳐발리노 ㅋㅋㅋ
@piercer7488
@piercer7488 Жыл бұрын
@@람-w7g 그냥 크보 실력이 안되는건데 호주 무시하냐
@hopejjang
@hopejjang Жыл бұрын
​​@@람-w7g 연봉 실력에 맞게 깍으면 구단 사람들 얼굴 안본다는 인간들인데?
@바바-k5k
@바바-k5k Жыл бұрын
야구는 심판이 맘만먹으면 승패를 죄지우지할수있는 종목이라 안된다...
@minkim4487
@minkim4487 Жыл бұрын
@@람-w7g좆크보를 스포츠로 보지말어라 그냥 레져다
@박용택-z9j
@박용택-z9j Жыл бұрын
무엇보다 인프라와 장비제약없이 어느나라에서도 즐길 수 있어야 함. 그리고 야구는 경기규칙과 방식부터가 복잡함. 물론 축구도 전문가들이 보는 전술은 체계적이지만, 그런거 몰라도 경기상황을 이해하는데 문제가 없음. 그런데 야구는 문외한들을 이해시키가 굉장히 어려운 복잡한 룰을 갖고 있음.
@아아나마엉
@아아나마엉 Жыл бұрын
뭔 싀발 ㅋㅋ 전문 스포츠인척 할려하네. 그냥 까다로운거지. 매우 기초적으로만 따져도 스트라이크 존 조차도 심판이 존재해야만 하는 스포츠라 그냥 하기 힘든 스포츠인데 전문 심판조차도 보기 힘든게 가장 기초인 스트라이크 존임. 뭐 축구는 조기축구가면 부심 주심 해서 제대로 규칙지키면서 하나? 하지만 축구는 어디서든 공만 있으면 어떻게든 경기가 가능함 그리고 상대적 정적인 야구에.비해 동적이고 파격적이라 축구가 인기도 많은거고
@유태경-j4e
@유태경-j4e Жыл бұрын
@@아아나마엉뭔 싀발 전문 스포츠인척 하눼 ㅋㅋ
@아아나마엉
@아아나마엉 Жыл бұрын
@@유태경-j4e 뭔 싀발 전문 스포츠인척 하눼 ㅋㅋ
@그건좀그런데
@그건좀그런데 Жыл бұрын
수준이 너무 높음
@user-fz8vq1fo7l
@user-fz8vq1fo7l Жыл бұрын
​@@아아나마엉 그냥 니 능지가 딸려서 이해못하는거임 ㅋㅋ
@dankadis1304
@dankadis1304 Жыл бұрын
고등학교 때 야구 수행평가라서 잠깐의 유행처럼 점심시간에 너도 나도 야구를 했었는데 결국 투수가 느리게 던져도 정확하게 치기도 힘들고, 거꾸로 안타를 쳐서 빠르게 굴러가는 공을 잡아서 그걸 정확하게 1루, 2루 같은 곳으로 보내기도 힘듦. 동시에 다 같이 뛰는 축구가 아니고 턴제처럼 진행되어서 결국 점심시간 남은시간에 충분히 즐길만한 놀이가 아니라서 결국 다시 축구로 갈아타게 됬었음.
@6시_니고환
@6시_니고환 Жыл бұрын
야구 수행... 부럽네 뭔가
@캘리포니아-i7i
@캘리포니아-i7i Жыл бұрын
일단 야구자체가 존나 어려운 스포츠임 운동신경 피지컬 구리면 못함 축구는 멸치 왜소한 애들도 스피드살리거나 발기술로 강점 보이고 하는데 야구는 작고 왜소한 사람은 걍 답이 없음 무키베츠, 김하성처럼 작은데 잘하는 선수들도 소수고 보면 몸 존나 탄탄함 공하나만 있으면 되고 신체조건 안타는 축구가 접근성이 압도적이긴함
@6시_니고환
@6시_니고환 Жыл бұрын
@@캘리포니아-i7i 맞죠 예민하기도하고
@iwannaraisecat
@iwannaraisecat Жыл бұрын
​@@캘리포니아-i7i작고 왜소해도 주루능력이 뛰어나면 테이블세터로 충분함
@세동이의세상
@세동이의세상 Жыл бұрын
​@@iwannaraisecat주루능력만 뛰어나면 대주자로의 가치밖에 없는거고 거기에 타격 기술까지 겸비하면 9,1,2번타자에 맞는 선수가 되겠죠
@케이로그-r6i
@케이로그-r6i 2 жыл бұрын
초등학교시절 체육쌤이 야구팬이라 발야구를 자주했는데 장비값이 비싸다는게 확실히 느껴지긴하네요 우리나라처럼 야구인기있고 먹고살만한 나라에서도 프로지망하는 학교아니면 지원을 안해주는데 다른 나라들은 오죽할까요 글러브가없으면 날아오는공을 맨손으로 잡을수가없는데 글러브가 꽤비싸죠...
@siiklgdd
@siiklgdd 2 жыл бұрын
와 우리도 발야구 자주했는데 혹시 어느 지역이신지..?
@성이름-g3z9o
@성이름-g3z9o 6 ай бұрын
야구는 처음부터 철저한 상업주의로 갔기 때문에 세계화에 한계가 있었죠. 점점 사람들이 홈런에 열광하니까 홈런을 늘리기 위해 점점 공을 딱딱하게 만들게 되었고 그로인한 장비도 점점 많아지고 고급화 되어지니 접근성은 점점 멀어졌죠. 지금 현대야구만 봐도 딱딱한 공 때문에 선수 몸을 보호하는 장비가 엄청 늘었습니다. 그런, 장비 때문에 아프리카나, 동남아 같은 곳에 전파가 쉽지 않죠. 공기주입식 연식공이 아닌 딱딱한 하드한 공으로 야구를 할 이유가 전혀 없음에도 미국의 상업주의가 만들 결과물입니다.
@이능글맞는몽상가
@이능글맞는몽상가 Жыл бұрын
축구를 최고라고 내세울수 있는 또하나.. 전술의 폭이 광범위하고 다양하며, 포지셔너들의 요구역할도 이젠 다양하게 진화해 가죠. 골이란 영역이 더이상 스트라이커만의 전유물이 아니듯이, 골키퍼도 하나의 전술소화에 일원이 되어가고, 센터백은 더이상 덩치만 큰것보다 빠르고, 지능적이고, 더욱더 전투적이죠.
@linepeco4116
@linepeco4116 Жыл бұрын
근데 그 진화방향이 좃노잼임 탑급 몇팀만 재밌고 나머지 팀들은 볼 가치가 없음 다 텐백 수비축구 선수비 후역습 뻔하게 하고 기술보다 체력이 중요해진거같아서 재미가 떨어짐 그냥 과거 닥공축구하던 시절이 재밌음
@jjhhun-2828kk
@jjhhun-2828kk Жыл бұрын
야구는 전술이 없을까요? ㅋㅋㅋ 작전•주루•수비•타격•투수 심지어 멘탈코치까지 다양한 부분을 신경써야하난 게 야군데 ㅋㅋㅋ
@한국인-x2y
@한국인-x2y 10 ай бұрын
@@linepeco4116월등한 체력도 기술인데 뭔 ㅋㅋㅋ
@뭐시라고
@뭐시라고 3 ай бұрын
엠엘비는 제외하고 크볼은 돼지색히들이 하는 래저지 스포츠냐
@oraedaen
@oraedaen 2 жыл бұрын
중학생때 학교 야구부 선수였는데 주변에 축구부 없는 학교는 찾아보기 힘들정도였는데 야구부는 진짜 몇없었음..우리학교도 정식으로 야구부가 들어온게 내가 중3이었을때라 그전까진 그냥 주변학교들과 간단한 시합들이었음.. 야구 룰을 알게 된 것도 베이징올림픽때 야구 금메달땄을때 관심생겨서 당시 초4때 처음 룰을 알았음..나는 축구보다 야구를 더 좋아했는데 지금은 우리나라에 유망주들이나 유럽에서 잘뛰는 선수들이 많아져서 요즘은 축구에 더 관심이 생김
@게이존나역겨워
@게이존나역겨워 2 жыл бұрын
하지만 우리학교는 없지
@user-cg5ur1eo3j
@user-cg5ur1eo3j Жыл бұрын
유년기부터 야구를 좋아했고, 90년대 중후반쯤부터 야구선수가 하고싶긴했는데 주변에 야구부 있는 학교가 없더라구요 야구부있는 학교로 전학을 가자니 imf 때매 그렇게까지할 여력이 안됐던게 떠오르네요
@kevindevaojoo8882
@kevindevaojoo8882 Жыл бұрын
한국도 박정희때 까자는 야구는 스포츠로 거의 쳐 주지도 않았음 박정희가 핵개발 하니깐 죽여버리고 미국 시다바리들을 여당 야당 적당히 포장시켜 권좌에 앉히곤 특히 200년도 이후에 미친듯이 재벌들 동원해서 인위적으로 띄운게 야구임 야구만 거의 24시간 테레비로 중계해주니 개돼지들이 야구로 몰린것
@문성인-o9l
@문성인-o9l Жыл бұрын
ㅇㅇ.. 저도 축구관심없었는데 김민재나 손흥민 이강인같이 개쩌는 선수들 나와서 관심생겨서 지금은 스포티비로 경기보는중이에요. 야구는 미국에 누가 있는걸로 아는데 솔직히 포지션세계원탑이런게아니니까 유튜브뉴스에 비교적 덜 떠서 더더욱 관심이 안생기게되요.
@알도칼룰루
@알도칼룰루 Жыл бұрын
⁠@@문성인-o9l 김하성의 낭만야구를 아십니까?
@E-zet
@E-zet 2 жыл бұрын
초중고 시절 축구는 공 하나 있으면 잘 들놀았지만 야구는 좋아하거나 장비가 있어야만 할 수 있었죠. 그러나 장비 갖춘 몇몇 소수의 친구들과 야구를 좋아하지만 장비 없는 친구들에게 제 장비들을 빌려주면서도 다 끌어모아 운동장에서 조그맣게 야구했던 게 생각나네요... 힘들게 힘들게 사람들 모아서 했던 기억이 있어서 나름 뿌듯했고 옆에서 공 차는 애들도 구경하곤 했죠.
@banwakon8550
@banwakon8550 Жыл бұрын
단도직입적으로 말하면 야구가 수준이 높고 축구가 수준이 낮은거야 그니까 잼민이 들이 쉽게 덤비지
@55CM-kc8bm
@55CM-kc8bm Жыл бұрын
​​@@banwakon8550수준의 차이가 아니라 대중친화적인가의 차이입니다 님 논리면 농구도 수준이 높고 어려운데 왜 야구보다 더 많이 하는 거임?? 수준이 높아서 레져 조롱 듣는 거에요?? 경기중에 짜장면 초코파이 원샷 때리고??
@Mny-m6h
@Mny-m6h Жыл бұрын
@@banwakon8550응 요즘 mz들 야구안보고 축구봐~통계가 말해줌ㅋ
@pppp04033
@pppp04033 Жыл бұрын
​@@banwakon8550레져스포츠 또 나대네
@hanwha_eagle_eagle
@hanwha_eagle_eagle Жыл бұрын
​@@banwakon8550저가 아무리 야구를 좋아해도 스포츠는 모두 존중받아야하고 수준을 나눌수 없습니다. 각각의 특성이 있는거죠 그런점을 무시하고 수준을 판단하는건 안됩니다.
@wooseong818
@wooseong818 5 ай бұрын
국제대회 인식이나 참가에도 영향이 있지 않나 싶습니다. 축구선수는 국제대회에 세계적인 거물급선수도 적극적으로 나오지만 메이저리거는 국제대회에 잘 안나오고 wcb도 일부 선수만 드물게 나오죠. 애초에 국가대표보단 메이저리그에 뛰는게 중요하고 월드시리즈 우승이 더 중요하니 손흥민은 진짜 시즌 뒤로 하고 국대차출에 적극적인거 보면 참 신기함
@YUNHA-d5i
@YUNHA-d5i Жыл бұрын
확실히 미국 스포츠는 세계화에 상당히 보수적이었죠. 그나마 농구는 8~90년대에 느바 선수들을 올림픽에 보내면서 세계화에 어느정도 성공했지만 야구는 wbc만 해도 설립된지 20년도 안되었죠. 반면에 축구는 예전부터 월드컵 같은 국제대회로 세계화에 성공했으니 축구가 세계에서 가장 인기 있는 스포츠가 된거죠. 물론 미국 대륙 전체가 유럽 대륙만하다보니 내수시장만으로도 리그를 성공적으로 굴릴 수 있다보니 미국이 미국 스포츠의 세계화에 보수적이었것도 어느정돈 이해가 되네요.
@임영권-q3s
@임영권-q3s Жыл бұрын
야구를 세계화로바꿀수있는 신의한수는 스포츠프로토를 살려서 유럽에도입해야됩니다. 축구야구 둘다좋아하는사람으로써 프로토승부식 승패만있는 야구와 승무패가있는 축구와 적중률자체가 아시다시피 차원이다릅니다. 지금은 용돈벌이로 야구를 더좋아하고 즐겨보고 도박을즐기고있습니다 운이좋은건지 적자보다 이득이 좋다는거~ 용돈벌이가된다는거~ 따분한인생 즐거움을준다는거~ 축구에비해서 야구적중률이 쉽다는거~
@whenever0807
@whenever0807 Жыл бұрын
단지 나라가 커서가 아니라 이미 축구 월드컵 훨씬 이전보다 시작하고 잘 발달해서 전세계 최고 선수들이 모이기 때문이죠 미국은 땅만 넓을 뿐 황무지와 사막도 아주 많은데요 그리고 농구도 마찬가지고요 반면에 축구는 애초에 미국에서 인기가 없으니까요 미식 축구는 야구와 더불어 최고 인기고요
@성이름-i7j3o
@성이름-i7j3o Жыл бұрын
@@임영권-q3s 어쩌라고 도박중독자야 아재야 그게 왜 세계화랑 상관있는데 지 도빅수단 늘리려고?
@아이스아메리카노-n3z
@아이스아메리카노-n3z Жыл бұрын
@@whenever0807 그래도 미국 축구가 꾸준히 16강정도 성적 내는거 보면 신기함.
@푸-f7e
@푸-f7e Жыл бұрын
대륙크기가 관건이 아닌데 ㅋㅋㅋㅋㅋㅋㅋ 그저 석유달러 덕에 미국 스포츠 내수시장이 활성화된거지 ㅋㅋㅋㅋㅋㅋㅋ 결국 통화패권 덕에 먹고사는거지
@ott3463
@ott3463 Жыл бұрын
너무너무 좋은 영상입니다. 의미없는 영상 천지인 유투브에서 정말 영양제 같은 영상을 만난 기분입니다. 제작해주셔서 감사합니다.
@하브루타-i4r
@하브루타-i4r 2 жыл бұрын
근데 신기한건 테니스는 발상지가 프랑스 궁정 놀이에서 시작됐고, 현대 테니스의 규칙 등은 영국에서 만들어져서 유럽에서 인기가 있는건 당연한데, 테니스는 20세기까지 미국에서도 굉장한 인기가 있었던점. 세계 4대 메이저대회중 하나가 미국의 US오픈이고 상금도 가장 많은 대회라는걸보면 테니스만큼은 유럽과 미국의 반목과 상관없이 양 대륙에서 모두 인기가 있었던건데 그 이유가 뭘까요?? 심지어 테니스는 공산국가에서도 인기가 굉장해서 미국으로 망명했거나 은퇴후 미국 시민권을 딴 마르티나 나브라틸로바. 이반 랜들 모두 공산국가인 체코출신이기도함. 그 이전 70년대에는 체코의 얀 코데스, 루마니아의 일리 나스타세라는 메이저대회를 우승한 스타도 있었고.
@캐슬킹-e9b
@캐슬킹-e9b 2 жыл бұрын
단순함 미국은 국뽕이 세계제일수준이라 테니스스타가 예전엔 있었으니 인기가 엄청난거임 지금은 망하기 직전이지만
@paymon04228
@paymon04228 Жыл бұрын
테니스는 체력을 겁나써야하는 스포츠라 운동차원에서 받아들인 경향도 크다고봄
@chelseasamsung
@chelseasamsung Жыл бұрын
둘다 헤비하게 즐겼고 즐기고 있는데 깊게 볼수록 느꼈던 두 종목의 흥미요소는 야구에선 세이버메트릭스 등과 같은 데이터와 분석을 통해 선수의 가치를 판단하는 재미가 있다면 축구에선 감독의 빌드업, 포지셔닝, 맞대응, 컨셉 등 전술적 측면에서 깊게 빠져들게 하는 것 같음.
@jy1423
@jy1423 2 жыл бұрын
어릴때 축구는 제한된 공간에 공을 넣는 경기지만 야구는 멀리 보내는게 최고인 경기라 그만큼 넓은 공터가 필요해서 하기 힘들었던것 같음
@riankal
@riankal 2 жыл бұрын
+ 공이 하나에 만원인데 뻥 치면 그거 줏으러가야함 ㅋㅋㅋ + 공이 하루만 써도 걸레가 됨 + 프로선수 아닌이상 제구가 안잡혀서 던지면 꽤 자주 구석탱이에 쳐박음
@미므멱
@미므멱 Жыл бұрын
아주작은 학교 교실에서도 우리들만의 골대를 만들고 꼭 공이 아니더라도 적당한 크기 무계면 되니깐
@ctd2910
@ctd2910 Жыл бұрын
그냥 재미가 없고. 장비 필요하고 규칙 복잡함
@delightfuleverymoments
@delightfuleverymoments Жыл бұрын
야구도 제한된 공간이에요 장외홈런이 있을뿐이지 야구도 공간 한정적인데
@ballade142
@ballade142 Жыл бұрын
@@delightfuleverymoments그런뜻이 아니잖아 축구는 막말로 인원이 3명이든 혼자든 11명이든 장소가 교실이나 주차장이어도 골대 역할만 할 수 있는 구조물이나 적당한 공만 있으면 할 수 있음 야구도 면적이 정해져도 교실이나 주차장에서 못하며 결국 투수 타자 그리고 공잡아줘야하는 야수 글러브 배트 등의 전제조건이 너무 많음 직관적으로 공을 차서 골대에 넣으먼 점수가 나는 축구와 달리 야구는 점수내기에 어려운 부분이 있음 모든게 합쳐져서 면적에 따른 자유로움이 생기는 축구와 달리 야구는 어디 전용 면적을 잡아야만 하는 스포츠라 하기 힘들다는거
@SY-pq2nb
@SY-pq2nb 2 жыл бұрын
축구가 군더더기 없이 깔끔하고 직관적이라 좋다ㅋㅋ 특히 시간이 딱 정해져있고 추가시간도 몇분이다 딱 얘기해주니까 좋음ㅋㅋ 중간에 광고도 없고 짧고 굵게 팍 집중할수있음ㅋㅋ
@unpisarmy_1
@unpisarmy_1 5 ай бұрын
댓글 복붙 뭐임?
@여행가-d4j
@여행가-d4j Жыл бұрын
비효율적이기 때문이라고 생각함. 단체 구기종목중에서 가장 정적이고 그 많은 인원으로 개인종목에 가까울정도로 소수만 인게임에 참여하는 비효율적인 경기진행 방식때문에. 일단 야구는 사실상 공던지고 치는 시간. 그러니까 투구 동작이 이뤄지는 그 시간이 경기시간 대부분을 차지하는데. 그때는 사실 투수와 포수 타자 단 세명만 경기에 참여 하고 있음. 공격자 대부분은 주자로 나가있지 않은이상 벤치에 앉아있고. 수비자들도 주자 견제를 준비하긴 하지만 사실상 그 긴 시간을 마냥 서서 기다려야함. 축구나 농구처럼 공하나가지고 다같이 뛰놀수 있는 스포츠가 아니라는거.. 돈이 많이 든다 그런거는 그 다음 얘기임. 아메리카 대륙에 경제적으로 어려운 나라들도 야구 하는 나라들 꽤 있으니까. 단순 돈 문제가 아니라 그 태생적인 비 효율성이 세계화 되기는 어려운 스포츠일수밖에 없다고 봄. 물론 그 나름대로 매력과 재미가 있지만 미국이 아니었으면 사실 아시아나 아메리카 대륙 국가들에서도 완전 매니악한 스포츠로 남았을 가능성이 높았을듯
@부업배달기사
@부업배달기사 6 ай бұрын
진짜 맞는거 같은게 미국과 연관있거나 미국의 영향권에 있는 나라들만 야구가 좀 운영되고있음..; 그나저나 크리켓은 인구빨로 2위씩이나 하고...ㅋㅋ;; 하키는 아이스하키가 아니라 필드하키 말하는거 같은데 하키도 인구빨인가? 3위씩이나 하다니....아이스하키는 전혀 3위가 안될거고..
@hsw-ro2wh
@hsw-ro2wh 2 жыл бұрын
예전부터 생각했었죠.. 비싼장비와 비싼 유니폼. 넓은 구장과 안전 휀스망, 계속 투입되어야 하는 시합구, 심판들도 헷갈려 하는 복잡한 룰, 언제 끝날지 모르는 경기 시간, 그리고 가장 중요한 심판들의 들쭉날쭉한 스트라이크 존과 텃세~ 스포츠는 어렸을때부터 접하기 좋은 환경이 조성되어야 하는데 이런 것들이 엘리트 외에는 하기 힘든 스포츠로 인식된거 같아요..
@이순신박사
@이순신박사 2 жыл бұрын
야구는 일단 장비도많고 경기규칙도 복잡하고 경기시간도 길어서 유럽쪽스피드한 경기를원하니 유럽쪽이랑은 맞지않아서 보급이안됐나봅니다 거기다 야구는 네트형식으로골을넣거나 그런방식이아닌 사람이 직접 베이스에나가고 들어오고 해야하기에 복잡하기도하고 9명을 맞추고하지않아도 가능은하지만 그만큼 힘들기에 보급이안된거같아요
@우리들의작은천국
@우리들의작은천국 2 жыл бұрын
진짜 어릴때 동네에서부터 볼이라도 차놓은게ㅜ정말 다행이라고생각합니다. 타지에 취업해도 그냥 저변에널려있는게 조기축구니 냅다 들오가서 싿싹하게만 굴면 개이쁨받고 밥값술값다세이브에 인맨도 넓어지고
@ryuusungrune4285
@ryuusungrune4285 3 ай бұрын
솔직히 야구 규칙...... 일반인들이 쉽게 이해할만한 레벨이 아니긴함. 캐치볼 정도면 몰라도 야구는 진입장벽이 너무너무 높음. 그리고 투수의 데드볼 가능성 너무 높아서 부상 위험도 높고
@bblack_apple_
@bblack_apple_ 16 күн бұрын
축구는 학생때 반 애들만 좀 긁어 모으면 스트라이커건 미드필더건 깡그리 무시하고 때거리질 만으로도 게임이 가능한데 야구는 포지션도 규칙도 좀 난해하고 복잡함
@jinlee495
@jinlee495 2 жыл бұрын
미국의 식민지 또는 통치를 받았던 국가들에서 야구 또는 농구가 큰 인기를 얻은것도 큽니다. 필리핀의 경우 최고 인기 스포츠가 농구인데 필리핀 사람들의 미국에 대한 동경이 상당히 큽니다
@buzz-ow2zr
@buzz-ow2zr 2 жыл бұрын
1970년대에는 한국농구선수 신동파선수가 필리핀에 가서 뛴 적있는데 그게 지금으로 치면 한국선수가 NBA가서 뛰는 거 같은 어마어마한 일이였습니다
@kevindevaojoo8882
@kevindevaojoo8882 Жыл бұрын
야구는 미국 시다바리 국가인 한국, 일본, 대만 빼면 스포츠로 쳐 주지도 않음 한국도 미국에게 대항했던 박정희때 까지만 해도 야구는 스포츠로 쳐 주지도 않았음
@김길동-j9z
@김길동-j9z Жыл бұрын
@@buzz-ow2zr 아닌데요 ! 신동파는 필리핀의 프로팀이나 실업팀에서 한번도 띈적이 없습니다 다만 필리핀에서 개최된 아시아 농구 선수권대회에서 한국대표팀으로 참가 우승하면서 신동파의 이름이 전필리핀에 퍼지게 되었죠 이대회에서 신동파의 활약상은 그야말로 명불허전이었고 그는 필리핀의 영웅이 되었습니다
@lupykim
@lupykim Жыл бұрын
하지만 필리핀에 야구는 아에 인기가 없지요. 농구가 필리핀 탑이고 배구등이 인기있다면 야구는 아무도 모르는 스포츠..
@paymon04228
@paymon04228 Жыл бұрын
​@@lupykim그건 필리핀이 못살아서그럼
@shpgshopp5211
@shpgshopp5211 Жыл бұрын
영상에도 있듯이, 야구와 축구는 시작점이 다르기도 했지만, 축구에 비해 야구는 비용이 많이 든다는 점이 제일 치명적인 단점. 뒤늦게 야구를 즐기고 싶은 나라에서 보면, 장비도 많이 필요하고 경기장도 따로 필요한 야구는 즐기고 싶어도 진입장벽이 높을 수 밖에 없음.
@Limgyuwung1
@Limgyuwung1 Жыл бұрын
야구랑 배트 글러브 헬멧 장비 99% 똩같은 크리켓 저변이 2위라 핑계임
@user-jz3bp2tx8h
@user-jz3bp2tx8h Жыл бұрын
@@Limgyuwung1 ㄹㅇㅋㅋ
@아이스크림-i1e
@아이스크림-i1e Жыл бұрын
@@Limgyuwung1 인도 시장이 존나 미쳤잖슴
@docpab
@docpab Жыл бұрын
야구 지루한건 팩트, 야구만화같은거 보면 야구는 확율싸움하고 잇고. 그게 스포츠야? 도박이야? ㅋㅋㅋㅋㅋㅋ 왜냐면 지들도 모르겟거던, 투수가 다 하는거고 우투수에 좌타자가 더 확율이 높으니 투입한다. 등등.
@후라보노-p3b
@후라보노-p3b Жыл бұрын
@@docpab 혹시 바보임? 확률싸움 없는 스포츠가 어딨음?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KkSss-x5k
@KkSss-x5k 2 жыл бұрын
야구는 어려우니까 140~150 던지는것도 많은 훈련이 있어야 되는거고 그 공을 치는것도 많은 훈련이 있어야 치는거니까 그리고 수비하는것도 글코 진입장벽이 상당히 높지
@jogavy3212
@jogavy3212 Жыл бұрын
축구가 더 어렵습니다. 엡센 자료 등 참고 농구 축구는 모든 스포츠 중 탑 10에 듭니다.
@JaeHyunPark
@JaeHyunPark Жыл бұрын
@@jogavy3212 야구는 직접 플레이하는 데는 힘들지 않은데 어려운 스포츠임 수많은 작전, 수싸움이 오가는 스포츠인데
@jogavy3212
@jogavy3212 Жыл бұрын
@@JaeHyunPark 축구도 수 싸움 많습니다ㅡ 전술 전략편만해도 공부해야할게 많습니다.
@북극곰-g3v
@북극곰-g3v 10 ай бұрын
​@@jogavy3212 체력적으로는 당연히 축구가 더 힘들지만 기술적인 측면에서는 야구가 압도적으로 어렵습니다. 프로와 아마추어의 차이가 가장 심하게 나는 종목이 야구일 정도로 기술 측면에서의 난이도가 말이 안됩니다.
@jogavy3212
@jogavy3212 10 ай бұрын
@@북극곰-g3v 제 생각은 조금 다릅니다. 상대적으로 차이가 많이나는건 맞지만 접근성에서 차이가 있어서 그렇지 기술적으로 많은 것을 요구한다고 보기는 힘들것 같습니다. 저도 야구를 조금 해보고 주변에 동호인들도 있고 야구에 대한 메카니즘 등을 공부하기도 해봤지만 기술적으로 스포츠 중에서 굉장히 많은 것을 요구 한다고 보기는 힘들다고 생각됩미다
@현재-o6v
@현재-o6v Жыл бұрын
딴말인데 미국인들은 아빠한테 야구배우는 경우가 많더라구요 딸이 자전거 배우는것도 아빠가 할일이라고 거의 공식화 되어서 '자전거 탈줄모른다=어릴때 가정불화있다'가 영화적 장치로 쓰일정도에요. 야구도 공잡는 방법이나 던지는방법 글로브로 받는방법 이런걸 아빠한테 배우면서 추억을 쌓더라구요 축구는 근데 또래랑 하고 굳이 성인남성이 차근히 안가르쳐줘도 어떻게든 할수있으니까. 그게 미국과 유럽의 큰차이인거 같아요 청교도의 나라니까
@요베르
@요베르 2 жыл бұрын
작년까지만 하더라도 저는 야구는 스포츠가 아니다 저렇게 정적인게 무슨 스포츠냐 심지어 과거 유희관 선수의 뒷모습을 보고 쌍욕까지 했었지요 누구 말대로 자다가 일어나서 바로 할수있는게 야구다 라고 생각했던 저였고 축구처럼 빠르게 움직이고 격렬하게 몸싸움을 하는게 진짜 스포츠지 라고 생객했었습니다 우연히 영상을 하나 보게 되었는데 내용이 프로에 입단하지 못한 선수들의 삶을 다룬내용이었고 야구가 뭐라고 저렇게 아쉬워하고 후회를 하며 슬픈표정을 짓는지 궁금해서 선수들의 삶과 인터뷰 내용 그리고 훈련하는 영상들을 쭉 보다보니 제가 잘못생각한거였어요 모든 종목이 그러하듯 야구선수들도 훈련량이 어마어마 하더라구요 보다보니 점점 룰을 알게되고 선수들을 알게 되고 투타간의 대결 감독들의 선수기용 재밌는요소가 참 많더군요 그래서 지금 저의 유튭은 야구관련 알고리즘으로 가득합니다 이번 WBC때 잘해서 과거 낭만야구시절의 인기만큼 돌아갔으면 좋겠습니다
@차두리짬뽕
@차두리짬뽕 2 жыл бұрын
반성하시는 모습이 보기 좋네요
@hoji-y9p
@hoji-y9p Жыл бұрын
멋지십니다 ㅎㅎ
@요베르
@요베르 Жыл бұрын
@@지-e7l 구기종목간에 비교한거를 e스포츠와 바둑 체스를 왜 언급하는거죠???? 구기종목이 뭔지 아시긴 하나요? 모르면 사전적 의미를 공부하시구요 님아 스포츠는 크게 육상 체조 투기 빙상 구기 그리고 님이 언급하신 e바둑 체스는 기타 스포츠로 분류가 됩니다 아시겠어요? 구기종목을 놓고 얘기하는데 바둑 체스를 언급하시는 님이야 말로 스포츠 정의를 다시 배우시던가 모르면 손가락 가만히 계세요 스스로 멍청한 티 내지 마시고 아시겠어요?
@새롭게-b3y
@새롭게-b3y Жыл бұрын
요베르 그냥 반성하지마라 너까짓게 먼데 야구를 좋아하는 분한테 모욕하냐?
@요베르
@요베르 Жыл бұрын
@@새롭게-b3y 넌 뭔데 툭 튀어나와서 이래라 저래야 할짓 없으면 잠이나 쳐자
@harrypp_pharm8356
@harrypp_pharm8356 Жыл бұрын
그래도 전반적으로 미국에서 인기있는 스포츠가 갑임... 테니스 야구 농구 아이스하키 골프 미식축구 스타되면 메시 호날두급아니면 다 바름... 야구만해도 메이져스타되면 이피엘 최고스타이상버니... 몇몇 예외를 제외하고...
@Cowboyee
@Cowboyee Жыл бұрын
축구는 가장 전쟁과 닮아있는 스포츠인거 같음. 장수들이(선수) 육탄전을 벌이고 전술(개인전술)과 전략(팀 전술, 팀 컬러)이 있고 강팀은 좋은 보급(뎁스)을 갖추고 있고 약팀은 버스(수성전)를 세우고.. 총 지휘관인 감독이 있고, 야전 사령관인 주장이 있고, 여포같은 크랙도 있고 실제 지역간 라이벌리도 있고... 쉽게말해 인류 역사의 뗄 수 없는 부분이었던 전쟁이 가장 현대적인 형태로 전승된게 축구이고 그래서 더 파고들 수 밖에 없는듯.
@T_IN_R
@T_IN_R Жыл бұрын
야구도 전쟁 닮음 타자는 대포라는 홈런타자와 안타치는 소총들 선구와 컨택으로 볼넷 노리는 폭탄들 투수는 적을 죽이고 다니는 사냥꾼들 심판은 신 아 귀찮아 다음에 적을래
@박수성-h6b
@박수성-h6b 10 ай бұрын
개억진데​@@T_IN_R
@T_IN_R
@T_IN_R 10 ай бұрын
@@박수성-h6b 축구도 개억지임, 그냥 따라 적어 본거지
@jsly3468
@jsly3468 10 ай бұрын
전쟁과 가장 닮은 스포츠는 미식축구지 반박시 스알못 ㅋㅋ
@유니온u
@유니온u 10 ай бұрын
​@@jsly3468사람들이 젤 본능적인 스포츠가 축구라 하던데 난 미식축구 같음. 솔직히 미국에서 미식축구 보면 가슴이 뜨거워짐
@hawkman8596
@hawkman8596 10 ай бұрын
야구만 세계화에 실패한 것이 아니라 축구를 제외한 모든 스포츠가 세계화에 실패하였다.
@초풍-l1j
@초풍-l1j 5 ай бұрын
​@@qinwjdn4199 농구가 무슨 세계화임ㅋㅋ미국 미만잡인데
@사람-v1w6c
@사람-v1w6c 5 ай бұрын
유럽 애들도 농구 좋아하는데? 리그도 님 생각보다 많이 큼 ㅋㅋ
@다름이아니오라-x5y
@다름이아니오라-x5y 5 ай бұрын
​@@사람-v1w6c생각보다 많은게 세계화 성공임?
@사람-v1w6c
@사람-v1w6c 5 ай бұрын
@@다름이아니오라-x5y 걍 찾아보셈. 유럽 농구리그 인기가 얼마나 무서운지
@TV-oc1mu
@TV-oc1mu 2 жыл бұрын
야구는 누적되는 기록, 복잡하고 예외성이 많은 규칙 등등 새로 알아가려는 과정에서 높은 허들이 된다. 물론 그걸 넘어서면 깊이 빠져드는 것은 시간 문제. 중간에 게임이 끊겨 지루하다고 하는데,,, 그 시간도 게임의 과정으로 해석하고 이해하는 수준에 이르면 그 또한 재미거리.
@하늘베기-z4g
@하늘베기-z4g 2 жыл бұрын
축구는 공 하나만 있으면 되니 비용 부담이 크게 없어 접근성이 쉽지만 야구는 공, 방망이, 글러브 등이 있어야 하니 특히 빈민국들에게는 접근하기 더욱 어려웠을 거라 생각합니다
@info_biz
@info_biz 2 жыл бұрын
추가로... 축구/농구 등은 "뛰어난 운동능력"만 가지고 있다면 아주 어린 나이부터 프로선수로 입문해 돈을 버는 것이 가능하지만, 야구의 경우 어느 정도의 훈련과 멘탈교정이 이뤄져야 성공한 프로가 될 수 있죠.. 축구/농구의 경우 드래프트 1번이 실패하는 사례가 많지 않지만, 야구는.... 아니거든요. 이런 점도 대중화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을까 합니다. 가난한 나라에서 운동으로 성공하려고 할 때... 시간도 오래 걸리고, 성공을 장담할 수 없는 야구보단, 빠르게 주전으로 뛸 수 있는 축구나 농구를 선호하게 되고, 이 종목의 스타들이 자국 내에서도 인기를 얻을테니까요. ----- 단, 중남미 국가들의 경우 좀 가난해도 야구를 지망하는 경우가 많은게... 미국과 붙어 있다는 점..이 아닐까 싶네요
@Mny-m6h
@Mny-m6h Жыл бұрын
유럽은요?
@ksk8475
@ksk8475 Жыл бұрын
야구해봐서 아는데 장비값 비쌈. 그리고 유니폼값도 비쌈. 축구가 상하의 스타킹까지 3만원 정도인데 반해 야구는 모자.상의.하의.언더.벨트.스타킹까지 약10만원 넘어감. 축구는 경기장 정돈이 안되도 가능하지만 야구는 경기장 정돈이 안되면 불규칙바운드가 심해짐. 축구보다 넓은 공간이 필요하고 인원도 빠지면 곤란하고 심판도 반드시 필요. 룰도 복잡함.
@그건좀그런데
@그건좀그런데 Жыл бұрын
진지하게 거지스포츠죠 축구는
@天皇陛下万歳_Banzai
@天皇陛下万歳_Banzai Жыл бұрын
7:33 정답은 여기 있음. 흔히 야구랑 축구랑 뭐가 더 힘드냐, 야구는 설렁 설렁 해서 안 힘드니까 스포츠가 아니란 식으로 얘기를 하는데, 야구는 진입장벽이 엄청 높은 어려운 스포츠임. 골프 경기에서 캐디카트 타고 다닌다고 골프가 스포츠 아니라고 말하진 않는 것처럼 야구랑 축구는 결이 다름. 야구같은 복잡하고 어려운 규칙을 가진 스포츠가 이 정도 규모를 가지고 있는 것만으로도 매우 성공한 스포츠임.
@지물-h3p
@지물-h3p 2 жыл бұрын
축구의 가장큰 성공요건은 공하나만 있으면 가능하다는것... 인원도 딱히 제한없고 장소에 제한도 없다보니 빈민국에서도 공하나만 있으면 아이들이 몰려다니며 놀수 있는 그게 세계에서 가장 많이 하게된 이유지 않을까요
@Noshohei17
@Noshohei17 2 жыл бұрын
축구는 잔기술 같은 거 없이도 공 조금만 몰고 공만 잘 차도 반은 먹고 들어가는데 야구는 기술적으로 공을 배트에도 맞추는 게 어려워서…이런 기술적 부분으로 진입 장벽이 좀 높죠…
@sunghoonlee9601
@sunghoonlee9601 Жыл бұрын
사냥을 베이스로 만들어진 농구 축구와는 다르게 전쟁을 베이스로 만들어진 야구 전쟁에는 무승부가 없듯이 끝장승부를 보는 야구는 야구만의 매력이 있다고 봅니다
@user-lt85497z
@user-lt85497z Жыл бұрын
시간때문에 12회까지 하는게 무슨끝장승부ㅋㅋ
@sunghoonlee9601
@sunghoonlee9601 Жыл бұрын
@@user-lt85497z 야구 기본 룰을 지키고 있는 메이져리그 이야기잖아요. 하는데 변형룰 사용하는 한국의 경우를 말하는건 맞지 않는 이야기잖아요
@s뭉-w6b
@s뭉-w6b Жыл бұрын
XX는 XX만의 매력이 있다" 전형적인 찌꺼기들의 정신 승리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user-bz6ym4zn9c
@user-bz6ym4zn9c Жыл бұрын
​@@s뭉-w6b참 세상엔 정신병자가 많구만 그만 어그로끌고 정신과가서 치료받도록
@Kwang-Min-Lee
@Kwang-Min-Lee Жыл бұрын
축구는 공하나만 있으면 비가오나 눈이오나 폭설이나 폭우만 아니면 언제든지 즐길수있는데 야구는 저도 좋아하지만 최소한 방망이랑 글러브가 있어야되니까 아무래도 거기서부터 제약이 생기는거죠!!
@김영수-h4b8t
@김영수-h4b8t 8 ай бұрын
실제로 프로야구에서 아시아쿼터제를 도입하자고 하고 있지만 야구를 하는 아시아국가들이 축구에 대비해서 너무 적다 보니 야구에서 아시아쿼터제를 해도 그 다지 효과가 떨어지는 것입니다.
@스카이다이버-n5z
@스카이다이버-n5z 2 жыл бұрын
아무래도 공 하나만 있으면 아무데서나 할수있는 서민적인 축구에 비해 각종 장비와 규격이 갖추어진 장소가 필요한 야구는 금전적인 비용이 많이 들기에 야구는 축구에 비해 세계적인 대중성이 좀 떨어지는 면이 많죠.
@kevindevaojoo8882
@kevindevaojoo8882 Жыл бұрын
야구는 미국 지배층이 유민화정책으로 띄운거에요 미식축구도 마찬가지고 유럽인들은 그런 미국 지배층 의도를 알기 때문에 야구는 스포츠로 쳐 주지도 않음
@야미-c5s
@야미-c5s Жыл бұрын
그렇긴함 간단한 캐치볼 하는데도 글러브는 꼭 필요하니깐
@BigBearMarket
@BigBearMarket Жыл бұрын
​@@kevindevaojoo8882 뭔 멍청한 소리신지
@intothewild7249
@intothewild7249 2 жыл бұрын
40대 아재인데 저 어릴땐 싸구려 나무배트나 알미늄배트 1~2개, 싸구려 글러브 5~6개만 있으면 아파트 동사이 마당에서 허구헌날 야구를 했죠. 지금 생각하면 축구가 훨씬 간단한데 어떻게 그 어린나이에 번거로운 야구를 그렇게 했는지 참 신기하네요.^^; 오늘도 놀라운 지식정보 감사합니다.
@Fishman1230
@Fishman1230 2 жыл бұрын
저두요 축구와는 또 다른 재미가 있죠 던지고 받고 이것만해도 재밌고
@swy7873
@swy7873 2 жыл бұрын
축구는 잘 하는 몇놈 위주로 플에이를 하고 야구는 실력에 관계없이 순번으로 하니 그 차이도 있을 겁니다.
@sangwon80park
@sangwon80park 2 жыл бұрын
난 집이 잘살지 못해서 부모님한테 글러브를 사달라고 못해서 야구할 때 맨손으로 수비했던 기억이 나네요 ㅎㅎ 테니공이라 뭐 그냥 맨손으로 해도 다치치 않았으니 ㅎㅎ
@ppark-h6x
@ppark-h6x 2 жыл бұрын
@@sangwon80park ㅎㅎ 한편 저는 배트와 글러브가 있다는 이유로 야구 하는 아이들사이에서 이유없이 인기가 좋았습니다. 그래봤자 테니스 공이나 고무공으로 했지만요.
@김대철-u5q
@김대철-u5q 2 жыл бұрын
@@Fishman1230 ㅇㅈ축구는 캐치볼같은 놀이하면 금방실증남ㅋ 개발친구들덕에
@pplove415
@pplove415 Жыл бұрын
WBC 참가국 숫자도 허수죠. 모친의 출신국이나 혈통을 따라 미국 선수들이 다른 나라 대표팀으로 참가하기도 하니까요..
@잡보-x2z
@잡보-x2z 3 ай бұрын
규칙도 어렵고 한번 게임 할려면 최소 6개월 이상 배워고 훈련해야 겨우 경기가 가능할 정도, 거기다 일정 이상의 인원이 (한팀당 최소 8명 정도 ) 있어야 하고 ..... 이래서야 대중화 되긴 어려운.......그저 구경이나 해야할 스포츠......게다가 장비는 뭐 그리많고 비싼지.....장점 하나..... 몸 부딪히는 일이 그다지 없어 싸우는 일이 현저히 낮다는거. 축구가 신사의 스포츠? ... 정 반대인거 같음.
@홍낄낄-h6y
@홍낄낄-h6y 2 жыл бұрын
[왜 세계는 축구에 열광하고 미국은 야구에 열광하나] 책을 참고하셨군요ㅎ 저도 재미있게 읽었는데 이렇게 영상으로 정리해주시니 너무나도 쏙쏙 잘들어옵니다.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leedennis3945
@leedennis3945 2 жыл бұрын
그런 책이 있군요. 지식브런치 항상 재미있게 보지만 자료 출처를 공개하지 않는 건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일종의 표절이죠
@user-kq4jv9ef1g
@user-kq4jv9ef1g 2 жыл бұрын
@@leedennis3945 일일이 자기 경험담이냐 책에서 봤냐 쓰기도 뭐하고, 많은 채널들이 전부 일일이 출처를 밝히진 않음
@Hikawa_Sayo
@Hikawa_Sayo 2 жыл бұрын
@@user-tz2ds6ln9z농구랑 야구랑 비슷함
@지환송-h9f
@지환송-h9f 2 жыл бұрын
책 내용은 모르지만 참고 잘못 하신듯 야구는 축구보다 먼저 만들어진 스포츠 축구는 (미국의 남북전쟁 시절) 영국에서 럭비에서 갈라져 나온 스포츠로 미국의 내셔널 리즘과 상관없이 축구는 존재자체를 모르고 럭비가 인기였습니다 그래서 남북전쟁 직후 미식축구가 탄생함 이미 이때 야구는 미국만의 스포츠라는 상징성을 만들어갈때임 축구는 19세기 럭비에 밀려버린 그들만의 스포츠였는데 이게 국제전을 빨리 만들게됩니다만 이것도 1,2세계대전과 영국의 꼬장으로 늦어지다 1950년대 유럽연맹이 만들어지고 남미에서 축구가 터지면서 세계화 된거죠 이번 영상은 풋볼 럭비 사커를 구분 하지 않은 지극히 한국인의 관점에서 축구를 이야기 하기에 오류가 좀 많은거 같습니다 미국 캐나다 호주 인도는 럭비 크리켓이 인기거나 현지화된 스포츠는 인기가 있는데 어째서 축구는 인기가 없을까로 접근하면 정말 쉽게 풀리는 문제입니다
@degrm508
@degrm508 2 жыл бұрын
@파일드라이버툼스톤 아님3년전까지만하더라도야구가더인기많았습
@김광종-t4s
@김광종-t4s 2 жыл бұрын
일단 야구는 축구에 비해 룰도 복잡하고 준비해야 할 장비도 많아 진입장벽이 높음
@wincup
@wincup 2 жыл бұрын
사실 제목처럼 왜 야구가 세계화에 실패했을까가 아니라 "왜 축구는 세계를 지배하게 되었을까"가 더 올바른 질문같습니다. 브런치님이 꼽아주신 세계인기 구기스포츠 10위안에 축구를 제외한 크리켓, 하키, 테니스, 배구, 탁구, 농구, 야구등은 모두들 세계의 일부지역에서 리그를 갖추고 인기가 있는 국지 스포츠들이죠. 축구'만'이 세계의 거의 모든 국가들이 하는 구기스포츠인게 오히려 특이하면서도 대단한 점이라 생각되네요.
@qponlyou32
@qponlyou32 2 жыл бұрын
배구, 테니스는 일부라고 하기엔 너무 많은 곳들이 즐기고 있음. 유럽중심의 테니스긴 하지만 아프리카에서도 즐기고 있으니
@wincup
@wincup 2 жыл бұрын
@@qponlyou32 그렇지 않아도 테니스는 약간 애매하긴 했는데, 그래도 제대로 된 프로리그를 갖춘 테니스국가는 몇 안되니..배구도 마찬가지고.
@id9953
@id9953 Жыл бұрын
■축구, 야구■ - 순수 팬 통계; 축구 > 크리켓 > 하키 > 테니스 > 배구 > 탁구 > 농구 > 야구 - 한국, 일본, 멕시코나 두 스포츠 모두 좋아하지 축구가 세계화에 훨씬 더 성공적. 1. 세계화 VS 사업화 - 둘 다 귀족의 스포츠로 시작 - 영국은 식민지 간접통치 일환으로 축구 퍼트림. - 미국은 국가주의로 축구보다 야구, 사업화해서 세계화 보다 독점권 구축에 집중 - 축구는 월드컵을 FIFA 조직에서 운영 VS 야구 WBC는 미국에서 운영 2. 높은 진입장벽 야구는 축구대비 복잡한 룰, 독특한 운동장, 어려운 기술, 공이 작아서 날씨에 영향 많이 받음
@Zuilietzhan
@Zuilietzhan 2 жыл бұрын
야구 축구 동시에 좋아하는게 아니라 국가대표 축구 FC KOREA만 좋아하는 게 한국인임
@석주엽-m8e
@석주엽-m8e 2 жыл бұрын
축구는 국가대항전만봄
@HMS11610
@HMS11610 Жыл бұрын
난 k리그,해축,국가대항전 다 보는 디
@발터벤야민규
@발터벤야민규 3 ай бұрын
😮
@ssg6232
@ssg6232 2 жыл бұрын
야구는 그냥 공 던지는 것부터 어려움 제대로 배워서 연습한 사람이랑 안 한 사람이랑 위력 차이가 엄청나니까, 근데 알면 알 수록 재밌는 것 같아요 !
@ELO-tj9uh
@ELO-tj9uh 2 жыл бұрын
알면알수록 재미있죠!!!
@dongsunlee602
@dongsunlee602 2 жыл бұрын
축구,농구는 아닌가요? 제대로 배운 사람하고 그냥 사람하고 실력차이 별로 없는 종목이 있나요?
@yoou135
@yoou135 2 жыл бұрын
@@dongsunlee602 축구 농구도 당연히 맞지만 진입 장벽이 훨씬 높다는 거임. 축구나 농구는 진짜 개처럼 못해도 한 명 죽어라 따라다니면 동네 축구, 농구에선 1인분임. 근데 야구는 제대로 던지는 법을 모르면 아예 스트라이크 존에 넣을 수가 없음 ㅋㅋ 배팅도 자세,기술 모르면 그냥 무조건 땅볼임. 프로 수준으로 파고들면 축농야 전부 초고도의 기술이 필요하지만 입문할 때 장벽이 야구가 넘 높음
@dongsunlee602
@dongsunlee602 2 жыл бұрын
@@yoou135 야구는 투수만 있는게 아니죠...그리구요..아구도 조금만 배우면 기본 야구 게임해서 1인분 합니다...야구 해본 사람으로서 당당히 말합니다...
@hcgtv5203
@hcgtv5203 6 ай бұрын
결정적으로 야구가 인기가 없을 수 밖에 없는 이유를 이 영상 뿐만 아니라 수십가지가 넘음... 경기 시간이 제한이 없기 때문... 그리고 9회 룰... ㅡㅡ 축구와 야구를 모두 다 봤던 스포츠 마니아 입장에서 정말 냉정히 말함...
@bogsyil
@bogsyil 10 ай бұрын
댓글에 축구니 야구니 싸우는글이 많이 보이는데 굳이 직접하지 않더라도 스포츠를 넓게 알고 즐길줄 알면 이득입니다. 하나를 정해서 소속될 필요가 없는데 왜들 싸우시는지 ㅋㅋ 야구는 개인적으로 조금 더 간소화된 룰이 있다면 더 대중화되기 쉬울거같아요. 던지거나 치거나 나름 원초적인 재미가 있는데 그 이상으로 도루가 어떠니 보크가 어떠니 폭투가 어떠니 진루, 귀루까지 정식으로 하기엔 너무너무 힘들고 번거로운 스포츠라 접근성이 낮아요. 캐치볼보단 좀더 심도있고 정식경기보단 쉬운 무언가가 있으면 좋겠네요
@deau4481
@deau4481 2 жыл бұрын
축구, 야구 둘다 좋아하는데 일단 야구가 규칙으로인한 진입장벽이 좀 있음.. 축구는 그래도 옆에서 친구가 가르쳐주는거 들으면서 즐길수 있는데 야구는 보는내내 복잡해서 경기를 즐기기가 좀 어려움.. 물론 한번 빠지면 야구도 개재밌음. 덕분에 지금까지 롯데에서 못벗어나고 있지 시발..
@조중동은매국노
@조중동은매국노 2 жыл бұрын
한화는 어떻겠냐
@김동현-m3n2p
@김동현-m3n2p 2 жыл бұрын
막줄이 핵심
@user-iv6hp7bz4s
@user-iv6hp7bz4s 2 жыл бұрын
야구진짜 졸잼
@박봄-o7l
@박봄-o7l 2 жыл бұрын
@@user-iv6hp7bz4s 개빳다
@굿데이-g7h
@굿데이-g7h 2 жыл бұрын
@@조중동은매국노 한화도 열심히 해서 응원하는 팀 엘지 열성팬이지만 2번째로 좋아하는 팀은 한화
@chicaquila
@chicaquila 2 жыл бұрын
야구는 엄청나게 넓은 공간이 필요한것도 크죠. 모양이 부채꼴인것도 있지만 필드 면적자체도 파울존까지 포함하면 축구필드 약 2배의 공간이 필요합니다. 비슷한 크기의 스타디움이어도 축구장 관중이 야구장 2배가량 되는 이유죠.
@lajk6165
@lajk6165 Жыл бұрын
모든 스포츠가 어렵겠지만 야구는 장비도 비싸고 던지는요령 치는 난이도도 어렵고 농구는 그나마 쉽게 접근하지만 피지컬적인게 차이나면 빡세서
@Herbivorous_lilia
@Herbivorous_lilia Жыл бұрын
솔직히 농구는 피지컬 100%인정 축구가 제일 공평하달까 ..어느정도 피지컬은 필요하겟지만 농구보단 ㅋㅋ 야구는 그냥 재미없다…
@pingpinge8852
@pingpinge8852 3 ай бұрын
1. 축구는 장소 제약이 없고 공 하나만 있으면 적은 인원으로 가능하기 때문에 접근성이 넘사임 2. 야구는 해보면 알지만 그냥 지루함 본인 타석, 본인 수비 위치에 공 안오면 그냥 계~~~속 서있기만 함
@고사리맛집
@고사리맛집 2 жыл бұрын
야구는 세계화에 노력해본적이 거의 없습니다. 미식축구처럼 그냥 미국이 너무 크고 돈 많은 나라라서 그렇게 해야할 이유도 없고 돈도 많이들고 숙련시키는데 너무 오래걸리죠. 공에 맞는것도 부상과 고통 측면에서 단점이 크고요. 축구야 대충 해도 골 들어가고, 농구도 멀리서는 못넣어도 초보가 쏘다보면 들어가긴 하죠. 야구는 스트라이크 넣은거 자체가 어렵습니다.
@Roaring_Moon10
@Roaring_Moon10 Жыл бұрын
그논리면 야구도 대충 던지다보면 들어가긴하겠지 뭔ㅋㅋㅋㅋ
@고사리맛집
@고사리맛집 Жыл бұрын
@@Roaring_Moon10 농구 축구는 들어가면 그 즉시 득점이지만, 야구는 볼질 계속 해야 1점이고 그 과정이 너무 짜증나고 공수 모두 하기 싫어짐. 게다가 완전 아마 추어라면 초공격 말공격 모두 볼질만 반복. 안해보셔서 종목 특성을 못느끼는듯
@고사리맛집
@고사리맛집 Жыл бұрын
@@최구글-k5h 난 프로 기준으로 말한게 아닌데요? 보급이라는것은 기본적으로 아마추어들부터 시작되는거죠. 예를 들어 축구를 전혀 안하는 나라에 골대 세워주고 공 주고 규칙 알려주면서 그 나라사람들에게 접하게 하면 재밌는 공놀이로 받아들이고 그게 점점 발전해 세미프로나 프로리그까지 생길 수 있는거죠. 축구에서 골이 잘 안나는 경우는 최소 전문 축구부 있는 학교팀이나 실업비슷한 나름 수준이 높은 경우가 대부분이고, 완전 재미로 하는 아마추어들 경기에서는 다득점이 많죠. 아마농구도 자유투나 3점슛 성공률은 낮지만 나름 동네 수준에서 골밑슛은 즐거울만큼은 들어가지 않나요? 야구는 그런게 어렵죠. 축구는 공 잘 못 다뤄도 달리기만 잘하면 열심히라도 뛰어다니면 본인도 팀도 그 부분에선 즐거움이라도 생기는데, 야구는 기술적인게 커서 그런걸로 극복할수도 재미를 줄수도 없습니다. 코너킥이 의도와 달리 짧게 날아가도 우리편한테 연결이 되면 찬스를 이어가는게 축구고, 야구는 송구가 짧다? 무조건 세입이죠. 골키퍼 킥이 짧아도 짧은대로 미리 도착점에 몰려 있거나 다른 경로로 우리편 공격 이어주지만, 동네야구 2루도루? 아마포수의 빠른동작과 강한 어깨, 정확한 송구 같은건 없으니 도루는 거의 세잎. 변수가 없음. 세계화란 말이 무조건 프로리그 보급과 확산을 말하는게 아니죠. 편협하신건 님인듯 합니다.
@주꼬잡냥
@주꼬잡냥 2 ай бұрын
@@고사리맛집 글게여 어릴적에 9ㅂ번타자 였는데 도무지 차례가 돌아오질 않아서 그냥 집에 갔어여 ㅋㅋㅋ
@싸이코울트라
@싸이코울트라 2 жыл бұрын
야구는 경기 규칙이 복잡하죠. 투수 보크 기준만 봐도 10가지가 넘는데요. 반면에 축구는 오프사이드 규정만 조금 어려울뿐 나머진 아이들도 이해가 쉽고요.
@박봄-o7l
@박봄-o7l Жыл бұрын
개빠다죠 야구는
@꼬물로봇
@꼬물로봇 10 ай бұрын
동네축구에는 옵사이드 필요없슴. 그냥 골만 넣으면 장땡.
@pp-pg1ji
@pp-pg1ji Жыл бұрын
축구와 야구 둘 다 좋아합니다. 직관의 재미는 축구가 더 있습니다. 야구장은 직관하면 공도 안보이고 투수가 무슨공을 던졌는지 알수도 없죠.
@88bb43
@88bb43 2 жыл бұрын
다른 어떤 주제보다 재밌네요. ㅎㅎ
@ow8577
@ow8577 2 жыл бұрын
근데 국내에선 야구가 압도적으로 팬이 더 많은 것이 위 동영상으로는 좀 부족한 부분입니다 세계화에선 축구가 압승이지만 개별 국가들로 봐서는 축구가 다 앞서진 못하죠 한일대만 3개국은 모두 야구 프로리그가 축구보다 더 빨리 만들어졌죠 대만은 축구 인기가 바닥이구요 중미 카리브해 근처 국가들에선 야구가 축구보다 또 압도적인 인기입니다 쿠바와 베네수엘라 국가 정상이 만나서 야구 얘기를 넘어서 같이 야구를 하고 이쪽 약 10여 개 나라들은 야구가 인기가 좋습니다 저쪽 나라들이 대체로 가난한데 축구보다 야구가 인기있는 걸로 봐서는 꼭 장비나 이런 접근성이 인기를 주도하지 않는 부분도 있다는 것이죠 한국도 보기에 간단한 프로복싱 레슬링 씨름이 과거엔 엄청나게 인기 있다가 지금은 한국에서 저런 종목이 있나 싶을 정도로 인기가 떨어졌 거든요 골프 같이 돈도 엄청 많이 드는 종목에 접근성이 어려워도 한국은 골프에 더 열광하고 있죠 한국이 월드컵 4위 그것도 한국 국민이 직관하고 길거리에서 모두 난리가 났던 2002년이 있었는데요 희한하게 한국은 저때보다 K리그 인기가 더 떨어졌습니다 철저히 한국의 축구 팬은 국대 팬이 엄청난 지분을 차지하고 있고 이 틀이 바뀌지가 않죠 일본 중국만 해도 자국 리그가 한국 K리그 인기를 한국보다 늦게 만들어지고 추월해 버렸거든요 심지어 동남아 리그처럼 한국 국대가 갖고 노는 수준의 나라들 자국 리그 인기가 K리그 인기를 넘습니다 이런 불가사의한 세계 축구 인기에 가려진 한국 국내 축구 비인기도 놀라운 것이죠 KBO와 K리그의 중계권료 차이는 비교 자체가 안 되고 점점 더 벌어지고 있습니다 야구가 축구처럼 세계화 되기는 어차피 어렵겠지만요 아시아의 축구도 한국이 1983년 만든 프로가 최초일 정도로 아주 늦었고 그 뒤로 우후죽순 처럼 각 나라에 생겼거든요 야구도 미국이 언제든 세계화에 나서면 지금보다는 아시아와 유럽에서 더 활성화 시킬 정도는 될 겁니다 미국이 그런 노력을 하지도 않았고 자본주의 스포츠라고 야구와 골프를 안 하던 국가들이 많았던 과거가 있었기 때문에 많이 보급되지 못했던 부분도 있지만요 중국도 2008 올림픽에서 대만을 깨고 한국에게 0대 1로 질 정도로 야구는 중국이 하면 오히려 더 나을 수도 있기 때문에요 국대에서 전혀 발전히지 못하는 축구보다 대만 때문에라도 야구를 더 발전시키고 한다면 크리켓 팬 인구와 비슷한 수준으로 바뀔 수도 있습니다 크리켓 팬 인구의 제일 순위가 인도가 크리켓 열광 국가라는 것 때문이기도 하니까요 중국이 야구에 몇십 년 후 열광하면 지도는 바뀔 수도 있습니다
@death00868
@death00868 2 жыл бұрын
중국이?지구종말이 와도 없을거 같은데요
@ow8577
@ow8577 2 жыл бұрын
@@death00868 종말도 안 왔는데 이미 대만을 이겼는데요 뭐 한국은 2008 베이징 때 전승 우승한 막강한 팀인데도 0대 1로 졌다는 건 중국의 야구 파워가 엄청난 잠재력을 갖고 있다는 겁니다 프로도 없는 중국이 올림픽만 준비했는데 저 정도 결과를 낼 정도인데 막대한 자금을 투자한다면 무슨 일이 일어날지 모르죠
@death00868
@death00868 2 жыл бұрын
@@ow8577 대만이 중국인가보네요
@death00868
@death00868 2 жыл бұрын
@@ow8577 중국이 그럴릴 없다고 애기한건데요 글귀를 이해못하시나보네요
@ow8577
@ow8577 2 жыл бұрын
@@death00868 뭔 황당한 어그로 끄는 소리 결국 대만이 중국인가 보네요 같은 말에다 이해를 못한다고 또 다시 어그로 끄는 소리나 쓰고 할 일 없으면 잠이나 자든가
@모프-r5c
@모프-r5c 3 ай бұрын
야구는 축구를 절대 이길수 없습니다. 역동성이 떨어지기 때문입니다. 축구와 야구가 지금의 위치에 있게 된것에는 그만한 이유가 있는 것이고 야구가 축구를 이길 수 있는 요소가 있었다면 미국내에서 농구와 미식축구를 이겼을 것입니다. 현재 시점으로 미국에서 축구인기가 올라가고 있고 야구인기는 줄어들고 있습니다. 이것이 지속된다면 결국 야구는 미구에서 5번째 스포츠가 될것입니다.
@JJJ-ow4gs
@JJJ-ow4gs Ай бұрын
좋아하면 보고 아니면 마는 거지 뭘 유치하게 이기고 지고를 따집니까
@sortheap4029
@sortheap4029 Жыл бұрын
게임도 턴게임 보단 실시간 게임이 인기 많듯, 야구가 도태 될 수 밖에 없어요, 그리고 축구는 뛰고 나면 뭔가 같이 땀 흘리고, 운동했다는 느낌과 상쾌한 느낌이 있는데, 야구는 그런게 없잖아요
@JaeHyunPark
@JaeHyunPark Жыл бұрын
타자 삼진 잡는거랑 홈런 터지는 것만큼 재밌는 것도 없음 야구가 뭔 그런 게 없어 깔끔하게 잡아내거나 장타 만드는 것만큼 재밌는 것도 없는데
@woongbear91
@woongbear91 Жыл бұрын
축구는 굉장히 본능적이고 선수가 되기에는 어렵지만 서로서로 즐기기엔 공 하나면 충분, 그리고 야구에 비해서 안전하고 야구는 즐기기 위해선 약간의 실력이 필요함. 어린 애들이 스트라이크 존에 공 넣기가 애초에... 그리고 장비가 필요하고 공 자체만으로도 일단 위험한게 문제 아니였나 싶습니다
@Aaron-o5c6h
@Aaron-o5c6h Жыл бұрын
위험하다는 말 많이 나와서 만든게 소프트볼, 그리고 일본에서 만든 연식야구인데 이걸 한국에서 거의 안하죠. 사실 생활체육(사회인야구)이나 초딩야구만큼은 연식으로 하는게 맞다는 생각이 들더군요
@greenlatte99
@greenlatte99 Жыл бұрын
공을 타자를 향해 던지는데 왠만한 강심장 아니면 자기를 향해 날아오는 공을 끝까지 보고 빠따로 치는건 불가능함
@shinbiapt.8627
@shinbiapt.8627 2 жыл бұрын
야구는 일단 장비값이 어마어마합니다. 공에 맞으면 위험하다보니 제대로 된 넓은 공간도 필요하고 조건이 복잡합니다. 아프리카, 동남아 국가들이 비싼돈 들여서 즐기기는 어렵지요
@ELO-tj9uh
@ELO-tj9uh 2 жыл бұрын
축구는 공에 맞아도 위험하지 않나요? 그래서 유럽에서는 헤딩도 나이별로 할수 있는 나이가 정해진 걸로 알고 있는데요? 골프는 돈이 적게 드나요? 님이 말씀하신 장비값은 전문 선수, 매니아 층에서는 맞는 말인데! 꼭 장비 다 갖추고 야구하나요? 잘모르 시는 것 같네요!
@mochalatte04
@mochalatte04 2 жыл бұрын
@@ELO-tj9uh 돌덩이 같은 야구공이 시속 130~150 으로 날아오는거하고 사람발로 차는 속이 텅빈 축구공하고는 차이가 크죠.
@jamestom1191
@jamestom1191 2 жыл бұрын
@@ELO-tj9uh 위험하다 아니다는 상대적으로 판단해야죠 그리따지면 탁구공도 위험하겠네요 ㅋㅋㅋ
@ELO-tj9uh
@ELO-tj9uh 2 жыл бұрын
@@mochalatte04 그래서 사람이 죽어 나갔습니까? ㅋㅋㅋ 말하시는 분은 안다고 말씀하시는데? 님이 제대로 모르시는 군요! 님말씀 데로라면 그렇게 위험한데 왜 관객수 1위 입니까? 규칙대로만 하면 전혀 위험할거 없어요! 느끼는게 실상이 아닙니다!
@ELO-tj9uh
@ELO-tj9uh 2 жыл бұрын
@@jamestom1191 탁구공도 제대로 맞아보세요! 안아픈가? 이상한 소리 하시네! 생각은 님 말대로 자유인데! 그럼 축구공은 위험하지 않나요? 똑같이 위험한 건 마찬가지에요!
@changlimlee2520
@changlimlee2520 10 ай бұрын
2006년 한국이 WBC4강에 진출하자 어느 기자왈, "세계에서 축구,야구모두 세계선수권에서 4강에 진출한 나라는 우리나라 밖에 없다" 그 기자의 말을 듣고 우리나라 기자들의 수준이 어떤 지 절감할 수 있었다. 야구의 세계에서의 위상이 어는 정도인지를 조금이라도 안다면 그런 유체이탈조의 기사는 안썼을텐데.
@bluefog1
@bluefog1 Жыл бұрын
일단 룰도 복잡한데.. 그와중에 프로리그에서도 암묵적인 룰 ㅈㄹ .. 게다가 공수 교대도 졸라 김.. 정부에서 밀어줘서 그나마 흥행한거지 아니면 흥행자체가 신기
@aazzxxrrdd
@aazzxxrrdd Жыл бұрын
근데 정부지원은 프로축구도 세금 1000억씩받는데 인기없잖아
@lain6157
@lain6157 Жыл бұрын
지식브런치님은 축구를 많이 사랑하시나봅니다ㅎㅎ 저는 유럽에 살면서 2부 리그까지 직관으로 챙겨 볼 정도로 축구도 좋아하고 한국에서는 야구도 열심히 보던 축구&야구 팬입니다. 한국 살던 시절에 유럽 친구들 야구장 데리고 가면 처음에만 룰 때문에 어려워하지 나중에 저보다 더 푹 빠져서 봅니다. 축구에 관심없던 제가 유럽에 가서 축구에 푹 빠지게 된 케이스 처럼요. 영상에서 야구에 관한 부정적인 표현이 다소 나오는 것 같은데 유럽인들은 야구를 모르기 때문에 비신사적이니 뭐니 하는 말도 유언비어가 아닐까합니다. 같은 시각으로 본다면 축구의 태클은 어떻게 참고 볼수있을까요? 아님 여기 사람들 많이하는 럭비는 야만적인건가요?? 아주 격한 럭비도 익사이팅 스포츠라 좋아합니다. 오히려 유럽 상류층에서 축구를 그런 시각으로 보는 경향도 있습니다. 굳이 우겨넣자면 레알마드리드 정도?는 되어야 좋게 봐줍니다.(얼마나 재밌는데…테니스,골프 등 온갖 스포츠를 다 즐기는 팬으로서 그래서 비신사적이니 하는 의견은 동의 하기가 힘듭니다.) 유럽에 오래 살아보니 생활스포츠가 잘 발달한 곳이라 일반인들도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운동들이 많습니다. 그 중 대표적인게 바로 축구이구요. 그에 반해 야구는 피치에 올라가기 전…배트를 들기 전에 공부하고 준비해야 하는 것도 많고 각 포지션 마다 역할이 뚜렷히 구분이 되는 종목이라 그에 따라 훈련하는 것도 구분이 아주 크다는 점에서 장비도 장비이지만 혼자서 시작하기에는 힘든 진입장벽이 높은 운동이지요. 또한 야구는 경기 횟수,시간,이닝별 브레이크타임을 고려하면 광고 규모가 엄청난 스포츠이기에 자본을 끌어모으기 좋고 그만큼 다양한 이벤트를 운영하는 측면도 있습니다. 축구가 1,2,3부 등으로 리그가 나뉘어져 있을 때 야구는 1,2군(트리플,더블A 등)으로 선수 등급으로 리그가 구분 됩니다. 축구는 한팀이 리그에서 강등되는 반면 야구는 선수 개인이 강등되는 것이기 때문에 선수 개개인이 부담해야하는 리스크가 큰 편입니다. 말그대로 내가 잘하면 내가 올라가고 내가 못하면 내가 강등되는 자유주의 경쟁 시스템인거죠. 축구는 내가 아무리 잘해도 전반적으로 팀 성적이 안좋으면 같이 강등되는 시스템이라 유럽 사회의 성질과 비슷해서 그 관점으로 보면 재밌습니다. 여러 나라가 합쳐져서 있는 유럽 대륙을 생각해보면 챔스나 유로파 같은 슈퍼리그들도 창설하기 좋은 지리적 이점도 분명히 있습니다. 야구와 축구 모두를 사랑하는 팬 입장에서는 두 스포츠 모두 앞으로 더욱 발전했으면 하네요.
@서상기-g9w
@서상기-g9w Жыл бұрын
좋은 글입니다.
@홀리데이-z9p
@홀리데이-z9p Жыл бұрын
그냥 야구는 운동이 안되는 스포츠임.
@서상기-g9w
@서상기-g9w Жыл бұрын
@@홀리데이-z9p 야구를 하려면 운동을 해야죠. 운동이 안되는 스포츠에 왜 최상급 운동신경을 가진 미국의 선수들이 뛰어들겠습니까. 각 종목별로 특성이 있는거지요.
@sunghokim9263
@sunghokim9263 Жыл бұрын
도루가 비 신사적이라 말한다면 축구야 말로 비신사적인 스포츠의 최고봉이지요 태클이니 유니폼 잡아당기기 팔꿈치로 가격하기 꼬집기 등등 수비수들이 심판 모르게 행하는 비매너는 아주 압도적인 수준이니 이게 과연 신사적인 스포츠라 말할 수 있는건가 ? 럭비역시 몸으로 부대끼는 운동이라 알게모르게 비 매너적인 플레이가 많기도 하죠 미식축구는 축구보다 더 과격한 운동이지만 저런 비매너적인 행동은 하지 않는다는걸 볼때 오히려 더 신사적인 스포츠라 말할 수 있다고 봅니다 미식축구는 룰에 어긋나는 반칙을 범했을때 승부에 영향을 줄수도 있는 무거운 패널티를 주지만 축구는 그저 상대방에게 공격권만 넘겨주는 가벼운 처벌만 주니 꼼수를 많이 부리기도 하고
@Mny-m6h
@Mny-m6h Жыл бұрын
@@sunghokim9263야구는 집단 패싸움하자나ㅠ
@cactuscactus.
@cactuscactus. 2 жыл бұрын
룰도 간단하고, 장비도 단순하고, 무엇보다 영국이 전세계에 퍼뜨렸다는 것
@mondle7946
@mondle7946 Жыл бұрын
근데 현대 축구 룰 정비하고 지금의 형태로 만든 것은 프랑스 아닌가요?? 피파약자도 프랑스어로 아닌가요?? 영국이 축구에 보수적이라서 세계화 되는 걸 꺼렸고, 그래서 프랑스에서 피파를 만든 걸로 알고 있어요.
@Limgyuwung1
@Limgyuwung1 Жыл бұрын
한국인은 어릴때 야구에 속았지 지레짐작 미국이 하니 세계적인걸로.. 커서 OTT SNS 발달로 야구에 전세계 아무도 관심 없는게 뽀록남..양키스 구독자는 지식브런치보다 낮음 그사세...레알마드리드 뉴욕양키스 구독자 차이는 100배..전 세계 아무도 관심없는게 야구
@여행-d5k
@여행-d5k 3 ай бұрын
공 하나만 있으면 어디서든지 즐길수 있는 축구에 비해 야구는 장소, 장비..등등 제약이 너무 많아서 일반인들이 직접 즐기기가 어려워 이 차이가 크게 갈린듯 싶음
@saesang557
@saesang557 Жыл бұрын
어릴땐 야구보다가 최근에 축구 보기 시작했는데, 선수들이 유기적으로 움직이고 경기 템포가 굉장히 빠르니 이게 또 보는 재미가 있음
@user-xh8tw9su8f
@user-xh8tw9su8f 11 ай бұрын
야구?농구? 미국의스포츠지 그래봣자 3개나라 인기스포츠일려나 하지만 축구야말로 전 세계가 가장사랑하는스포츠지 축구팬수랑 모든종목스포츠팬수 합쳐도 축구보다 작다는건 결코우연이아니다 우리나라도 다른스포츠에 미안하지만 전폭적인투자가필요하고 좋은유망주를 계속발굴해야한다. 세계인들 박찬호,서장훈은 미국빼고 모르지만 차붐,박지성은 안다 중요한건 축구는 더욱더 커질거라는거다
@rainsaint7836
@rainsaint7836 10 ай бұрын
그래서 야구가 미국에서도 점점 하락세로 가는거죠 젊은애들이 너무 지루하다고해서 그래서 룰도 개정하고 그러고 있는듯한데 멀었다고 봅니다 야구를 기록의 스포츠라고하면서 변화하는걸 거부하는 보수적인 야구팬들이 많아서
@Ds-pe7bd
@Ds-pe7bd 10 ай бұрын
@@rainsaint7836팩트는 미국에서 야구는 미식축구 다음으로 인기가 많고, 작년에는 20년만에 최고 관중 수 찍음.
@SustainableWorld13
@SustainableWorld13 10 ай бұрын
@@Ds-pe7bd팩트는 야구 인기 없어지는중
@Ds-pe7bd
@Ds-pe7bd 10 ай бұрын
@@SustainableWorld13 통계를 들고 와
@sks2442
@sks2442 2 жыл бұрын
축구는 아무리 못해도 90분이 지나면 끝나는데 야구는 아웃을 못잡으면 안끝남. 근데 아웃잡기가 어느정도 기본기 없으면 쉽지않거든. 그래서 진입장벽이 높아서 쉽게 퍼져나가지 못함
@ba_ki
@ba_ki 2 жыл бұрын
장비도 문제지만 빠르고 정교하게 스트라이크 꽂는게 쉽지 않더군요. 어릴때 아시안 게임에서 중국 선수들이 잘 못던지는거보고 놀랬죠
@굿데이-g7h
@굿데이-g7h 2 жыл бұрын
맞아요. 동네에서 야구하면 엇비슷하게 들어오면 다 스트라이크...ㅋ 안그러면 겜이 진행이 안되니...ㅋㅋ
@익명-j4e3p
@익명-j4e3p Жыл бұрын
인구 2위인 크리켓도 역시 굉장히 편중된 인기를 보이죠 그럼에도 순위권의 인기스포츠가 된 요인은 사실상 인도+파키스탄+방글라데시 등의 남아시아에서의 엄청난 인기
@kiyongkim7651
@kiyongkim7651 2 жыл бұрын
정치나 역사를 떠나서 축구는 그냥 가장 원초적인 본능에 따르는 스포츠라서 보편성이 있다고 봅니다. 동네서 축구경기를 하는걸 보면 무슨 칠면조 사냥하는 것처럼 공에 우르르 몰려다니는 모습이 과거 수렵시대에도 저런식으로 집단사냥을 하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이 들곤 했어요.
@OO-ri8ow
@OO-ri8ow Жыл бұрын
그럼 핸드볼, 미식축구는? 개억지임 ㅋㅋ
@ll-cl8jg
@ll-cl8jg Жыл бұрын
럭비가 진짜 공잡기놀이. 원시인 합동사냥 지대.
@Jerry-tt8du
@Jerry-tt8du Жыл бұрын
미식축구나 복싱 유도 이런게 ㄹㅇ 본능적인 스포츠 같음
@아메감자
@아메감자 Жыл бұрын
​@@OO-ri8ow이븅신은 축구만 본능적이라고한것도 아닌데 발작하네 에미가 축구장콜걸인가 ㅋㅋㅋㅋ
@ses3273
@ses3273 Жыл бұрын
시부럴 조낸 웃기네 ㅋㅋ😂😂😂😂😂😂😂😂😂
@charlesLee_
@charlesLee_ Жыл бұрын
간단하게 설명하자면 동내 공터에서 친구들과 축구하는게 쉬운지 야구하는게 쉬운지를 생각해보면 되지 않을까 싶네요 문화적인 문제는 둘째치더라도 야구는 접근성이 너무 낮죠
@흰둥이1972
@흰둥이1972 Жыл бұрын
동네 차원에서 하기엔 너무 어려움 일단 스트라이크를 넣는것 자체가 힘들어서
@뭔지모르겠어어
@뭔지모르겠어어 Жыл бұрын
일단 축구를 좀더 좋아하는 입장에서 학창시절 야구 할때 내가 야구를 못하는 탓도 있겠지만 경기 템포가 일정하고 쉬는 텀이 길어서 아쉬웠던거 같음 축구는 90분간 유기적으로 움직여줘야하고 주변 시야 확인하고 플레이를 계산해나가는 재미가 있어서 성취감도 좋았는데 야구는 타석에서 공을 잘 쳤다면 달리기 못치면 아웃되서 기다리기 공수 전환되어도 크게 움직일만한 일이 없어서 아쉬움.. 그래도 스크린 야구는 재밌더라
@온누리평화
@온누리평화 2 жыл бұрын
제경우에는 ..지금이야 경제적으로 풍요한 시대라 장비를 갖추는데 큰어려움이 없지만, 어릴적 야구놀이를 할때 다들 제일 꺼려했던 포지션이 포수였는데 그이유는 알다시피 포수마스크 도 없던시절이라 파울팁에 얼굴이 한두번 작살난 경험이 있다보니... 그이후로 야구는 등한시, 접근성이 부족했지만, 반면 축구는 공하나 만있으면 여럿이 즐길수있다보니...^^
@푸른들-w3p
@푸른들-w3p 2 жыл бұрын
제가 그랬습니다. 포수 보는데 마스크 없어서 왼손으론 글러브, 오른손으로 눈 대충 가리고 받았는데 그게 귀찮아서 손 뗐다가 눈에 정통으로 꽝~~! 눈의 피멍이 한달은 간 것 같았습니다.
@아-o5p
@아-o5p Жыл бұрын
축구가 열정적인 사냥놀이에 가깝다면 야구는 정밀한 공학기계운영에 가깝죠. 사람들이 받아들이는 태도나 접근성에서의 차이가 있는 게 당연합니다. 다들 축구의 매력을 잘 설명해주셨으니 야구매력을 설명해보자면 야구는 수많은 단체 구기스포츠 중 다양성을 가장 많이 포용합니다. 대부분 단체 구기스포츠들이 포지션이 달라도 개괄적인 수행능력은 비슷하게 요구하는 반면 야구는 요소마다 요구되는 수행능력이 천차만별이라 각자의 장점으로 팀에 도움이 될 수 있죠. 강속구가 멋있지만 제구되는 아리랑볼 투수가 더 가치있을 때도 있고 타격을 못하는 타자도 중요한 순간의 수비 하나, 주루하나로 팀을 승리로 이끌 수 있습니다. 기계에 나사하나의 역할일지라도 의미없는 건 없는 것처럼요. 또 한편으로는 할 것과 맡을 일이 명확합니다. 수비땐 수비를 하고 공격땐 공격을 하면 되고 타석에서는 타격을 누상에서는 주루를 하면 됩니다. 공격과 수비의 애매모호한 상황은 적고 나의 기회와 상대의 기회가 명확하죠. 그리고 그런 움직임과 타이밍이 유기적으로 잘 흘러들어갈 때의 쾌감은 참 놀랍습니다. 어떻게 보면 템포도 빠르지 않고 규칙도 장비도 복잡하고 특수한 장비와 경기장에서만 가능하고 직접 체험해 볼 기회도 적은 스포츠가 이정도까지 인기가 있는 것도 대단한 거 아닐까요.
@슬로우블룸밍
@슬로우블룸밍 Жыл бұрын
야구에 대한 매력과 설명이 명쾌하네요!!! 야구와 축구 모두 조금씩 챙겨보는 사람으로서 각각의 매력이 있는 것 같더라구요. 야구는 말씀하신대로 공학적이고도 디테일한 부분때문에 승부가 가려진다는 점이 참 매력이더라구요.
@vbvbfg
@vbvbfg 2 жыл бұрын
축구는 일단 공하나만 있으면 된다는점이 가장 큰 이점인 거같아요 장비가 많이 필요 할 수록 진입장벽이 크고, 가장 진입장벽이 낮은 구기종목이기에 모두에게 보급되기 쉬웠던거 같아요
@avisinirusi
@avisinirusi 2 жыл бұрын
동의합니다. 거기에 전 규칙이 쉬운것도 한몫 한다고 생각해요. 글구 취직하고 취미로 야구 동호외 들어가봤는데 축구보다 배울게 많더군요 축구는 일단 뛰면서 배울수있다면 야구는 배우고 경기에 들어가지 않으면 뭔가 우리팀이나 상대팀에게 민폐끼친다라는 느낌이 좀 더 강했어요.
@구름전주
@구름전주 2 жыл бұрын
큰 돌맹이 두개나 나뭇가지 두개만 있으면 골대가 되죠
@yacht-responce
@yacht-responce 2 жыл бұрын
축구는 "공을 차서 골대에 넣는다" 가 기본 구조라서 공을 가진 사람에게 직관적이고 다른 사람도 공을 쫓으면 되는데, 야구는 공을 가진 쪽이 방어측이고 그 방어조차 3번을 성공해야하며 득점하는 절차나 전략은 더 어려움 ㅋㅋ...
@imanengineer10
@imanengineer10 2 жыл бұрын
야구는 축구와 달리 반바지와 공만 있으면 할 수 있는 단순한 스포츠가 아니다. - 호시노 센이치(일본 야구 감독) 물론 야구가 매 순간순간 임팩트가 축구 이상으로 재밌고 뜨거운 스포츠라고 생각합니다만. 축구에는 못 미치는 2위권 스포츠인 이유는 결국 이거 같습니다. 야구는 장비가 갖춰져야 하지만. 축구는 공조차도 돼지 오줌보나 물 채운 주머니로 대체해도 얼렁뚱땅이나마 할 수 있습니다. 그 미친 듯한 보급력이 결정적인 차이를 낳은 게 아닐까...
@오늘-v2u
@오늘-v2u 2 жыл бұрын
그냥 재미가 없어서...쿠바,도미니카 같은 미국과 가까운 나라는 못 살아도 야구가 엄청 인기.미국에서 선수생활하면 떼돈 버니까
@paxyujina2024
@paxyujina2024 Жыл бұрын
넘지루하기 짝 없고 거의 투수 놀음이라 아예 관심도 없음 경기시간이 1시간 30분 정도면 괜찮다 생각 함 3시간 이상 넘어가니 어디 지루해서 보겠어
@Tkfkdfo
@Tkfkdfo Жыл бұрын
야구와 축구 모두 좋아하는 제입장에서 축구볼때는 확실히 긴장감이 있는거 같음. 축구는 진짜 1골이 언제든지 나올수 있어서 그리고 그1골이 주는 영향이 엄청 큰지라 긴장감이 있는거 같고 야구는 그에비해서 경기시간도 길고 전체적인 긴장감은 없지만 타이트한 상황이나 승부처에서 야구만큼 재밌는 스포츠가 없는거 같음.또 야구는 진짜 시간으로 하는 스포츠가 아니라 정말 경우의수가 많은거? 물론 희박하긴 하지만 그것도 재미인듯
@Whatislife200
@Whatislife200 Жыл бұрын
긴장감은 야구가 많죠 공 하나하나 던질때마다 긴장되는데 중요한 상황이면 특히 더 그렇고
@ssm-lc9un
@ssm-lc9un Жыл бұрын
난 야구가 더 스팩타클 하던데..
@엌-i3y
@엌-i3y Жыл бұрын
긴장감은 야구 아닌가
@user-ic8iv1dx1k
@user-ic8iv1dx1k Жыл бұрын
이건 반댄데 ㄹㅇ 축구는 경기보면 그냥 골도 진짜 가끔가다 나와서 지루한데 야구는 매순간 공 던질때 마다 긴장되는데
@user-ic8iv1dx1k
@user-ic8iv1dx1k Жыл бұрын
야구는 그런 공 던질때마다 오는 긴장감으로 재밌게 보는 건데 님은 야구 좋아하는 거 아닌듯
@likephoenix659
@likephoenix659 2 жыл бұрын
기본적으로 미국의 4대 스포츠는 자기들만의 색깔을 입히기 위해 노력한 결과죠. 크리켓을 야구로//축구와 럭비를 미식축구로//하키를 아이스하키로// 농구는 3점 슛등 NBA에서 지금의 형태가 다듬어졌죠. 거기다 미국인들 특성이 자신의 리그를 메이져리그 우승팀을 가르는 경기는 월드시리즈라고 합니다. 아직도 고립적인 부분을 버릴 수 없다는 거죠.
@frenkie_dejong21
@frenkie_dejong21 2 жыл бұрын
야구는 시간이 너무 오래걸리는 점이 루즈해지는 이유중 하나 일 것 같아요. 미래에는 축구가 아닌 48분안에 끝나는 NBA가 축구를 재치고 더욱 보급 될수도. 일단 미국,중국에 충분한 시장이 있다는 점에서 반은 먹고 들어감.
@ClTY-HUNTER
@ClTY-HUNTER 2 жыл бұрын
농구는 시간 멈추는 시스템이라 전체 경기 시간은 축구랑 차이 없어요.
@frenkie_dejong21
@frenkie_dejong21 2 жыл бұрын
@@ClTY-HUNTER 축구는 90분에 광고2번. 농구는 48분을 12분으로 토막내서 광고4번인데 자본이 모이기 쉬운 쪽으로 아무래도 후자일 것 같아요.
@구름전주
@구름전주 2 жыл бұрын
스포츠 팬도 줄어들고 있고 짧은 컨텐츠가 넘쳐나는 시대에 인류는 점점 참을성이 사라져가고 있죠 야구처럼 지루한 스포츠는 갈수록 내리막일거라 봅니다
@user-nw1wf5ky6e
@user-nw1wf5ky6e 2 жыл бұрын
이미 미국에선 nba가 mlb 제치고 no.2까지 올라왔죠
@김길동-j9z
@김길동-j9z Жыл бұрын
농구는 총시간이 2시간 미식축구는 총시간이 3시간,30분이 소요되어 야구와 차이가 없어요
@JW-7
@JW-7 Жыл бұрын
축구는 하는 스포츠고 야구는 보는 스포츠임. 일단 진입장벽이 너무 높음. 일반인은 마운드에서 홈플레이트까지 공을 제대로 던지기도 힘들고 빠따로 공 맞추기도 어려움. 그리고 장비부터 비쌈. 그리고 축구는 골대도 없는 골목길에서도 공만 있으면 쌉가능한데 야구는 불가능.
@lgbt2469
@lgbt2469 Жыл бұрын
뭐 개축이나 빠따 둘다 좋아하는 사람도 많은데 족쟁이니 레저니 서로 비하하는 사람들 보면 피곤허게 사는 느낌임. 한준희 해설위원도 야구 좋아하드만 ㅋㅋ 야구는 뭔가 머니볼만 봐도 인텔리한 느낌이 있고 축구는 진짜 찐 워킹클래스 스포츠 같음. 뭐 둘다 매력은 있습니다 ㅋㅋ 야구도 피치 클락 도입해서 빨라졌다돈데
@lgbt2469
@lgbt2469 Жыл бұрын
남영역 베팅장가서 쳐보니까 110도 졸라 빠르던데 140 기본으로 넘는 거를 하루종일 쪼그려 앉아서 받는 포수도 대단하고, 최소 65분 내지는 70분씩 뛰댕기는 선발 축구선수들도 대단하고.
@휴가가고싶어
@휴가가고싶어 Жыл бұрын
공 던지고 치기는 공차기만큼 대중화 되기 편함에도 불구하고 대중화에 실패한 이유가 건강상의 문제도 있는듯합니다. 공을 세게 던진다는 행위자체가 몇번만 해도 상당히 몸에 무리가 가다 보니까 더 쉽게 접근하기 힘든 거 같다
중국과 인도의 28억 명은 왜 축구를 못할까?
9:48
지식 브런치
Рет қаралды 1,1 МЛН
Сестра обхитрила!
00:17
Victoria Portfolio
Рет қаралды 958 М.
黑天使被操控了#short #angel #clown
00:40
Super Beauty team
Рет қаралды 61 МЛН
호주의 95%는 왜 비어있을까?
12:59
용두사미
Рет қаралды 6 МЛН
이유 있는 야구선수들의 '살벌한 피지컬'
7:12
스포츠한입
Рет қаралды 623 М.
내륙국은 왜 가난할 수밖에 없을까? 내륙국의 지리적 단점
10:19
인도에서 크리켓이 엄청나게 인기인 이유
8:42
지식 브런치
Рет қаралды 3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