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신인류시대] 11부 유현준 “도시와 집이 이렇게 변한다”(포스트코로나 - 도시와 주거)|홍익대 유현준 교수| 시사자키 정관용입니다

  Рет қаралды 669,067

박재홍의 한판승부

박재홍의 한판승부

Күн бұрын

[코로나19, 신인류시대] 11부 유현준 “도시와 집이 이렇게 변한다”(포스트코로나 - 도시와 주거)|홍익대 유현준 교수| 시사자키 정관용입니다
#시사자키 #포스트코로나 #코로나19신인류시대 #코로나사피엔스

Пікірлер
@방기홍-r8r
@방기홍-r8r 4 жыл бұрын
아주 유익한 교수님의 성찰
@Queen-kk4we
@Queen-kk4we 4 жыл бұрын
유현준교수님 멋지시네요.
@jinyungbargon9354
@jinyungbargon9354 4 жыл бұрын
개인적으로 지금까지 들었던 포스트 코로나 담론 중에서 가장 신선하고 창의적이네요! 이런 게스트분을 더 많이 모셔서 앞으로의 사회를 재구성하는데 필요한 새로운 발상을 많이 접할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편안함에이르다-w6r
@편안함에이르다-w6r 4 жыл бұрын
제가 넝 조아하는 건축가세요~
@김은주-k4k8v
@김은주-k4k8v 4 жыл бұрын
이이야기는 많이나온 얘기입니다.
@국민을위한나라사랑
@국민을위한나라사랑 4 жыл бұрын
♥동감합니다!!
@김릴리-s8w
@김릴리-s8w 4 жыл бұрын
말씀도 조리있고 생각이 잘 정리되어 있네요ㆍ 미처 우리가 생각지못한 부분을 거부감없이 설명하시니 이해가 잘 됩니다ㆍ 부디 선구자가 되셔서 우리 사회가 공간질서가 잡혀 여유로운 삶이 선물처럼 다가왔음 좋겠습니다ㆍ
@김지혜.뚜또안드라베
@김지혜.뚜또안드라베 4 жыл бұрын
유현준교수님은 기득권 중심으로 생각하지 않는게 감동입니다. 그렇다고 기득권을 무시하거나 그러지도 않습니다. 어디에 살 것인가? 책에서 본 학교건물과 교육정책에 대한 견해는 저의 마음을 시원케 하였습니다. 제발 교육부와 교사들은 유현준교수님의 책을 보시든~ 의견에 귀를 기울이시길 정중하게 부탁드립니다.
@아쿠아-d1k
@아쿠아-d1k 4 жыл бұрын
현재 가장 개혁 해야할 대상은 교육자들입니다ㆍ교수님 같이 생각하는 창의적인 분들이 많이져안 이 사회가 변합니다ㆍ 좋은 의견 이시네요
@k알럽아들들
@k알럽아들들 4 жыл бұрын
맞아요 사회를 위해서 궁극적으로 도움되는 인물들이 많아야지요 아이들의 교육또한 바껴야 한다고 생각해요
@Lee_Sharon
@Lee_Sharon 4 жыл бұрын
저도 코로나 때문에 밖에 못나갈 때 마당에 꽃과 나무를 돌보고 가꾸며 가드닝으로 힐링했네요. 아파트만 30년 살다가 마당이 넓은 빌라로 이사해서 저만의 정원이 생겨 좋아요. 앞으로 아파트보다는 정원이 있는 빌라촌을 많이 지었으면 좋겠어요.
@_huiwo0_0516
@_huiwo0_0516 4 жыл бұрын
이 댓글을 유교수님께서 보실지 모르겠지만, 중학교 때 유교수님을 처음 영상으로 접하고 건축이라는 학문에 매력을 느끼고 가슴 뛰는 일이라는 생각에 건축 하나만을 바라보고 홍익디자인고등학교 건축디자인과에 지원해 지금 3학년에 재학 중인 학생입니다. 올해 꼭 홍익대학교에 원서를 내고 내년에는 직접 유교수님을 뵙고 싶습니다. 유교수님 덕분에 늘 확실치 않고 방황만 하던 제 지난 날들이 교수님 덕분에 바른 길로 갈 수 있었습니다. 저도 꼭 유교수님처럼 멋있는 건축에 종사하는 사람으로 성장해서 이 나라의 미래를 빛내고 싶습니다.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 항상 건강하세요 !!!
@에비씨
@에비씨 4 жыл бұрын
저 제가 찬물을 끼얹는 것일 수도 있지만 유현준 교수님께서 아무래도 유명하시다 보니 학교 수업을 많이 하시지는 않는 걸로 알아요 수강신청 경쟁률도 많이 세신 편이라고 들어서.. 홍대 재학생은 아니지만 알고 지원하셨으면 좋겠어요! 유현준 교수님 하나만을 보고 학과에 들어왔는데 정작 그 교수님 수업이 많이 없으면 약간 실망할 수 있거든요 ㅎㅎ 좋은 대학 원하는 과 가시길 바랍니다
@진주-m9k
@진주-m9k 4 жыл бұрын
세상을 바르게 밝혀주실분 같아요 많이 공감합니디ㅣ
@에비씨
@에비씨 4 жыл бұрын
hyuntae park 현태야 왜이렇게 꼬였니
@이새봄-m5h
@이새봄-m5h 4 жыл бұрын
hyuntae park 진상이네 ㅋㅋ 에휴
@young8534
@young8534 4 жыл бұрын
홍대생이라 아는데 교수님 강의는 TV 나오시기 이전 훨씬 옛날부터 교양과목 전체 인기 1위였어요. 정말 원하는 과목인데 수강신청에 실패할 거 같으면 주위 친구들한테 수강신청 미리 부탁하고 성공한 친구한테 비싼 밥 사주고 강의 받아올 수도 있고, 그마저도 실패하면 교수님 수업 그냥 들어가서 들으시면 됨. 정식 수강신청 못해서 학점만 못 딸 뿐이지. 막무가내로 들어가서 수업들으면 칭찬을 받으면 받았지 쫓아내는 교수님은 정말 1도 없음. 솔직히 말하면 인원이 많아서 누가 누군지도 모르실 거임. 암튼 희우님 화이팅
@MA-dw2yl
@MA-dw2yl 4 жыл бұрын
교수님 훌륭한 통찰력을 보여주셔서 좋았습니다!
@너구리-f7y
@너구리-f7y 4 жыл бұрын
1.지하물류터널 너무 좋네요.2.저도 세컨하우스 계속 생각해요.3.학군이 바뀌겠네요.4.공간의 재구성 꼭 되었으면 좋겠어요.
@나미-j9r
@나미-j9r 4 жыл бұрын
이런 창의적이고 도발적인 사람이 시대를 만들고 역사를 창조한다고 생각합니다 유현준교수님의 얘기를 들으니 실현 가능한 공상세계 같네요 기분 좋은~~
@정자훈-i5z
@정자훈-i5z 4 жыл бұрын
우와. 시원하고 이해쉽게 설명해주시네요 테라스, 학교 공간의 변화, 공원 공간의 중요성 완전 공감하구요 지하물류터널 와 우 완전 획기적이네요~~
@이좋은날-d2l
@이좋은날-d2l 4 жыл бұрын
이런 다양한 시각 너무좋음
@유영주-c8l
@유영주-c8l 4 жыл бұрын
획기적인 아이디어네요. 교수님 말씀에 한국의 미래가 보이네요.
@김소통
@김소통 4 жыл бұрын
테라스가 사라진게 제일 멍청한짓ᆢ 테라스가 돌아와야된다고 강력하게 주장합니다~~~
@hwakyungseo4832
@hwakyungseo4832 4 жыл бұрын
맞아요 공감합니다
@으니-m8i
@으니-m8i 4 жыл бұрын
저도 아파트 확장형 별로. 공동주택에서 발코니라도 잇어야 그나마 숨통트이지ㅠ
@국민을위한나라사랑
@국민을위한나라사랑 4 жыл бұрын
맞습니다! 동감합니다.
@k알럽아들들
@k알럽아들들 4 жыл бұрын
테라스 없는 아파트 뭔가 안정한 느낌을 못받겠어요 정말 싫음요~~~
@dailybyahn
@dailybyahn 4 жыл бұрын
맞아요. 그리고 테라스면적이 넓으면 기능적으로 더 좋을 것 같아요ㅡ 사이즈가 애매하면 기능이 애매해지고 잘 사용을 안하게 되니 확장을 하게 된 것 같아요.
@sarahjang8461
@sarahjang8461 4 жыл бұрын
실력있는 강사의 온라인수업이 실력없는 강사의 실강보다 백배 좋은것 같아요~교육개혁이 빨리 되어주면 좋겠습니다
@김스토리-j3r
@김스토리-j3r 4 жыл бұрын
공감
@Y리얼
@Y리얼 4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 건축에 정말 문제가 많다는 점 요목조목 잘 짚어주시고 유익했습니다 질의응답 모두 상당히 실효적이네요 서울 도시 건축양식부터 교통체계까지 너무 닭장같고 비정상적이라고 생각한 사람으로써 이 영상이 정말 많이 퍼졌음 좋겠네요 조금이나마 자연친화적으로 만들어지고 삶의 질이 향상되는 도시설계가 이루어졌으면좋겠네요:)
@soyounkaneko3023
@soyounkaneko3023 4 жыл бұрын
테라스공간.. 학교에도 그린공간이 더 필요하다.식물.야채재배 물고기 닭이나 토기 키워 보기등등 체험도 하면서 배우는 것.정서면에서도 좋을듯합니다.
@ockham101
@ockham101 4 жыл бұрын
유현준 교수님 고견 잘 들었습니다 감사합니다
@aliceinrl7598
@aliceinrl7598 4 жыл бұрын
댓글에 진행자가 말을 끊는다는 지적이 많던데... 처음엔 그런 인상을 주기도 하지만 들어보면 적극적으로 인터뷰이가 의견을 내도록 잘 리드하는 느낌이 들어서 좋습니다. 짧은 시간에도 알찬 내용을 끌어낼 수 있었어요. 이번 포스트 코로나 기획 너무 유익합니다.
@Happyday-fm2lj
@Happyday-fm2lj 4 жыл бұрын
헉 진행자가 말을 끊는다는 얘기가 있었다니.....라디오 들을 때마다 진행자분의 진행능력에 감탄했던 1인이라 놀랍네요
@김진호-d1d
@김진호-d1d 4 жыл бұрын
약간 그런측면으로 보일수도 잇는데 제한된 방송시간 고려 안할수가 없으니깐요
@joyok6506
@joyok6506 4 жыл бұрын
게스트의 의견을 많이 이끌어내기 위한 빠릿빠릿한 진행으로 보이는데
@whence_
@whence_ 4 жыл бұрын
공감합니다
@한메이-c1h
@한메이-c1h 4 жыл бұрын
교수님 ! 전적으로 동의합니다! 진심. 좀더 공익적이고 합리적 문화가 성숙된 그런나라에 살고싶어요!~^^♡
@evalee7685
@evalee7685 4 жыл бұрын
여긴 프랑스입니다. 지하물류터널 ! 흥분되네요^^ 유현준 교수님 늘 정말 스마트하십니다. 아주 효율적이고 획기적인 시스템 맞는것같습니다. 우리나라의 테크노롤지기술로 충분히 실현가능할것같아요. 그리고 인위적인 한국의 건축공간을 좀 더 감성적이고 힐링되는 공간, 상호 공감의 구조로 바꿔야합니다. 테라스, 공원 ...
@전경숙-x4u
@전경숙-x4u 4 жыл бұрын
코로나 시대를 거쳐가면서 설마하는 일들이 일어나고 변해가고 있는즈음 지혜롭게 대처해가는 안목이 필요할 것 같네요
@hyojuagnes8441
@hyojuagnes8441 4 жыл бұрын
진정한 전문가세요. 역사도 건축으로 해석하시는 분.
@손정화-w9c
@손정화-w9c 4 жыл бұрын
선생님 일요일 아침 조금만 더 아침잠을 자려다가 졸린 눈을 비비고 이 강의를 듣고있는데 정말 잘한거 같읍니다. 세상이 너무나 빠르게 변하니 우리도 이 변화를 예측하고 대처하는게 중요할거 같네요. 지하로 배송하는거 정말 좋으신 의견 같읍니다. 서울의 재구성 참 좋은거 같네요. 오늘 일요일 아침을 정말 보람차게 채운거 같네요, 감사합니다.
@euroqueentv4788
@euroqueentv4788 4 жыл бұрын
우와! 독일이랑 유럽은 아직도 코로나때문에 정신없이 난리인데, 물론 코로나판데믹이후 많이 변할거다 이야기는 하지만 이렇게 조목조목 짚어가면서 변화를 예측하지는 못하는 것 같아요! 캬! 앞서가는 한국! 자, 앞으로 쭉쭉 뻗어 갑시다! 얼쑤! 유용한 방송 잘 보고 갑니다!
@배소현-t4l
@배소현-t4l 4 жыл бұрын
창조적 발상 ᆢ 와!!! 유현중 교수님 놀랍습니다 감격스러운 빌상에 까무라칠 뻔했네요 코로나19 폐허에 민들레가 피어나고 지구촌에서 처음보는 힐링의 마을이 희망처럼 탄생하리라 기대하겠습니다 강사합니다 ~~^^
@김춘자-r2b
@김춘자-r2b 4 жыл бұрын
유교수님 강의 들으니 공간의 구성이, 시대의 흐름에 영향을 받게된다는 것을 깨닫게되여 감사합니다.
@violetcode5
@violetcode5 4 жыл бұрын
들으며 상상이 되는 공간들. 차분한 설명들이 현실에서 이뤄지면 좋겠어요. 공감되는 내용이 많아 정말 좋았습니다
@srquqt3sur
@srquqt3sur 4 жыл бұрын
너무 좋은 말씀이네요.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통찰력있는 시선으로 그리시는군요. 이런 분은 정기적으로 모셔주세요.
@love-lovely0601
@love-lovely0601 4 жыл бұрын
테라스가 있는 집 진짜 너무 너무 제가 원했던 스타일인데 유독 우리나라는 테라스 있는 집이 별로 없어서 슬프네요. 집에 있는 시간이 늘어나면 필히 테라스 공간이 있어야할거 같아요. 앞으로 테라스 있는 집 많이 지어지면 좋겠어요.
@silveryun4
@silveryun4 4 жыл бұрын
H
@silveryun4
@silveryun4 4 жыл бұрын
) LLP
@감사-k9p
@감사-k9p 4 жыл бұрын
저희집 청주 테라스하우스용 ..^^
@할머니의4씨방교실.마
@할머니의4씨방교실.마 4 жыл бұрын
5차 산업시대 의 준비 시대로 변화의 흐름 속으로 들어 가는 길 . 참으로 좋은 시간 입니다. 현실에 입각한 정보를 통해 우리가 잘살아 갈수있는 교수님 말씀 정확합니다.
@sylee2872
@sylee2872 4 жыл бұрын
주택에 옥상이 있고 마당이 있어서 집콕해도 불편이 없었는데 아파트에서 살았다면 무척 답답했을듯 평생 아파트 살다가 몇년전에 주택으로 이사오기 정말 잘한거같음
@온유인내
@온유인내 4 жыл бұрын
공감합니다
@새봄돌콩
@새봄돌콩 4 жыл бұрын
코로나로 부자와 가난한자가 공동추억을 소유하면서 자연과 소통할수있는 공간만드는것 공감합니다!
@jm5589
@jm5589 4 жыл бұрын
진짜 테라스 제발 있었으면 좋겟어요 ㅜㅠㅠㅠ거기 테이블 놓고 커피만 마실수있어도 집에서 안나가도 지금보다는 덜 답답할것같아요....
@innodream
@innodream 4 жыл бұрын
공간이 만드는 우리의 미래를 그려보네요. 교수님 감사합니다. 아빠가 집에서 일할 공간이 궁금해 지네요. 시공을 뛰어 넘는 미래를 그려봅니다....
@리겔유
@리겔유 4 жыл бұрын
건축가가 이렇게 박식한 직업이었나?이 분은 아티스트구나.참신하고 기발하다.
@minchankwon
@minchankwon 4 жыл бұрын
박식하지 않으면 좋은 건축가가 못됩니다. 인간과 세상에 대한 지식과 통찰이 있어야 할 수 있는 일이에요.
@은애숙-r3r
@은애숙-r3r 4 жыл бұрын
모든 전문가에게 필요충분한 자질이 인간과 온 지구에 대한 지식과 통찰 아닐까요?
@지해-i1e
@지해-i1e 4 жыл бұрын
교수님 말씀 너무 잘 들었습니다. 전 일본에 거주하고 있지만 이번 코로나 사태로 집안에서 몇 달을 지내다보니 절대적으로 힐링공간이 필요함을 느꼈습니다. 마침 저희집 앞마당이 꽃밭으로 뒤덮여있어 참 좋았어요. 건축이나 물류 얘기도 시사하는 바가 크네요. 중요한 키워드들이 나오는데 좀 더 자세히 얘기를 듣고 싶네요. 그렇지 않아도 저 많은 상업시설 공간들이 환경변화에 어떻게 살아남을까 싶었는데. 상류는 온라인으로 바뀌어도 물류는 그대로 남으니 지하물류로. 일단 박스등 포장부터 어떻게 없앨 수 없는지...
@김정희-i6m
@김정희-i6m 4 жыл бұрын
정관용교수님 진행이 너무 매끄럽고 발음이 정확하셔서 듣기가 편합니다 유현준교수님 존경합니다 미래를 설계해 주시고 예견해주시는 우리시대의 영웅입니다
@김경민-r6m
@김경민-r6m 4 жыл бұрын
저는 개인적으로 사회자께서 다시한번 맥을 잡아주고 매끄럽게 주제를 이끌어주시는 부분이 너무 좋았습니다. 정관용씨 응원합니다
@hgklkh
@hgklkh 4 жыл бұрын
정말 공감 합나다.
@dorikim318
@dorikim318 4 жыл бұрын
저고요~ 좋은 사회자세요~~*
@kellyje11y
@kellyje11y 4 жыл бұрын
교수님 말씀처럼, 서울이 세계적으로 매력적인 도시가 될 수 있기를, 100년후에는 파리같은 컨텐츠가 있는.도시가 되기를 바랍니다.
@tjdbs144
@tjdbs144 4 жыл бұрын
서울이 새로운 도시로 거듭났으면 좋겠다 지금도 좋지만 나도 자주 갈 수 있는 공간이 되었으면
@bloglove1234
@bloglove1234 4 жыл бұрын
당신은 천재임니꽈😎
@김-k5r2o
@김-k5r2o 4 жыл бұрын
위기가 닥치면 힘은 들지만 더 나은 사회로 나가는 계기로 만들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교수님 말씀처럼 우리 모두 용기를 가지고 새로이 세상을 만져볼 때 인것 같습니다.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
@구영희-z3g
@구영희-z3g 4 жыл бұрын
유교수님 말씀만 찾아 듣다가 전도사가? 됐습니다.친구들 자녀들 다 꼭 들어보라고 합니다.과거와 현재를 들여다봤고,미래를 가늠해봅니다...감사합니다
@에비씨
@에비씨 4 жыл бұрын
my favorite 교수님.. 우리 학교 근처인데 가서 강의 듣고 싶어요 ㅎ... 교수님.. 내 마음속 원픽.. 너무 똑똑한 그... I LOVE 유현준 굣으님
@고산-l3o
@고산-l3o 4 жыл бұрын
앞으론 아파트보단 단독주택이 인기인 세상이 될거다 한가족만 살수있는...
@갓히어로그니
@갓히어로그니 4 жыл бұрын
진짜 주택이 인기가 많아지겠네요 저는주택을 팔려고 무지애썻는데 이제보니 그게아니네요 주택들은 활용성도 만히고 환풍기이런것도 필요없고 화장실도 다 따로 되어서 연결되는것이없네요
@정미나-o2o
@정미나-o2o 4 жыл бұрын
ㅣ1
@이신영-z5q
@이신영-z5q 4 жыл бұрын
좋다 난 여러세대가사는거 별로 왜그렇게 아파트에 집착들을하는지
@김모모-b4v
@김모모-b4v 4 жыл бұрын
고속도로 달리다보면 물류차가 너무 많이 늘어서 운전하기 무섭다는 생각듭니다. 지하물류터널 빨리 생겼으면 좋겠네요^^
@eun-woopark3115
@eun-woopark3115 4 жыл бұрын
굉장히 창의적이고 좋은 생각들을 많이 말씀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thenztv4378
@thenztv4378 4 жыл бұрын
[개인적으로 생각하는 57가지 포스트 코로나 시대] 1. 오랜 사회적 거리 두기로 인한 습관화 생활화 2. Offline(자동화), Online(비접촉비대면비지니스확대) 3. 각종 모임 및 행사 축소 또는 취소 4. 다른 지역 또는 인종에 대한 편견 및 차별 확대 5. 단체여행 및 이동 감소(크루즈,렌터카,숙박업종 축소) 6. 자택 근무 확대 (대형 오피스 프리) - 능력중심평가 7. 화상을 통한 회의, 면접 및 교육 확대 8. SNS 및 메신저, 유튜브, 넷플릭스 이용 및 활동 확대 9. 직접 접촉 스포츠 및 단체 스포츠 활동 축소 10. 아파트에서 단독 또는 전원주택으로 거주 형태 변화 11. 특정 인구 과밀 지역 및 도시 집중화 문제 완화 12. 가정 생활시간 확대로 주택 구조 및 형태 변화 13. 홈인테리어 시장 확장 (운동방, 영화방, 사무방 등) 14. 사회 생활 결핍에 따른 반려동물 시장 확대 15. 음주 및 식사 문화 변경 - 술돌리기 및 술잔을 부딪치는 활동 자제 - 가정에서도 개인 식판 또는 접시에 통해 식사 - 뷔페식 음식 서비스 감소 16. 현금 및 카드 사용 축소 전자자동결제 시스템 확대 17. 버튼이나 지문 인식 축소, 음성이나 홍체 인식 확대 18. 가상 현실(아바타) 및 홀로그램 사용 확대 19. 상가크기는 작아지고 주택(방이 많아짐)크기는커짐 20. 대중교통 이용 축소 자가용 이용 확대 21. 드라이브스루이용확대(커피,약국,식당,민원 등) 22. 야외, Shelter 또는 개인 캡슐 안에서 시험 실시 23. 온라인 선거 활동 및 투표 확대 24. 군인 축소, 원격 조종 무인 로봇 군력 확대 25. 불안정한 생활과 변화에 우울증 환자 증가 26. 결혼 및 인구 감소 문제 심화 27. 공공놀이터, 놀이공원, 동물원 등 어린이 시설 제한 28. 가정 요리에 필요한 기구, 가전제품, 도구 수요 확대 29. 공중파 연예인 감소, 인터넷 개인 방송 연예인 증가 30. 지구 온난화 완화, 동물 개체수 증가 31. 기내 이코노미석 사라지고 비지니스석 형태로 변경 32. 인프라 지역 보다는 전망이 좋은 지역 거주 선호 33. 투잡 쓰리잡 경제 활동 인구 증가 34. 관광 도시 및 관광지 인구 및 방문자 감소 35. 출국 및 입국시 의료 검진 의무화 36. 자급자족 확대(개인:이발,요리,수리/국가:생산,식량) 37. 교육개편(학년구분없음,과목다양및선택,학교통합) 38. 값비싼 항공료 및 (가족단위) 소규모 관광 산업 39. 가정용 사무기기(복사, 스캔, 팩스 등) 판매 증가 40. 불필요한 소비 문제에 따른 자본주의에 대한 의문 41. 홈케어: 개인용 의료 측정 및 건강 관리 기구 구비 42. 마스크 및 장갑이 필수 엑세서리로서 패션화 43. 일반 사회 범죄율 감소 사이버 범죄 및 고소율 증가 44. 환경 및 동물 보호 운동 확산 45. 게임 개발 및 시장 확대 46. 면역력 강화를 위한 건강 식품 및 간편식 구매 증가 47. 전기 수요 감소 (특히 공공 및 산업용) 48. 이발 기계 및 가발 사용 증가 49. 화장품, 선크림등 외출용품 수요 감소 50. 속옷 및 명품 소비 감소 51. 원격서비스증가(각종기기, 주택 유지관리, 의료 등) 52. CCTV 및 보안 시스템 설치 증가 53. 능력 위주 채용(학벌,인종,나이,성별 등 제약 축소) 54. 개인 위생 생활화로 감기 환자 감소 55. 해외 이민 인구 감소 56. 양극화 더 심해짐 (부익부 빈익빈) 57. 주말에 시내 보다는 해변 또는 산에서 시간을 보냄 *문의: lovedonggni@hotmail.com
@아키맨
@아키맨 4 жыл бұрын
@OVTM794
@OVTM794 4 жыл бұрын
굿잡
@thenztv4378
@thenztv4378 4 жыл бұрын
@@아키맨 감사합니다 😊
@thenztv4378
@thenztv4378 4 жыл бұрын
@@OVTM794 감사합니다 😊
@thenztv4378
@thenztv4378 4 жыл бұрын
@unicoop u 감사합니다 😊
@황은희-m5z
@황은희-m5z 4 жыл бұрын
역사공부도 되고 창의적인 얘기 감동입니다!
@김지혜.뚜또안드라베
@김지혜.뚜또안드라베 4 жыл бұрын
유현준교수님 멋지십니다. 그런 마음을 가진다는 자체로 존경스럽니다. 고맙습니다.
@HaNa-mm4xr
@HaNa-mm4xr 4 жыл бұрын
스페인에 거주중입니다. 스페인은 이동제한령으로 인해 집안에만 거주한지 한달이 넘어갑니다. 그렇지만 테라스하나로 굉장히 위로를 얻어요. 그리 크지도 않은 공간인데 아이들이 놀 작은 공간. 햇빛을 받을 공간 하나 있는게 엄청난 차이라는 생각이 들어요.
@국민을위한나라사랑
@국민을위한나라사랑 4 жыл бұрын
해외에서 고생이 많으십니다. 힘내세요~♥ 저는 스페인 가고싶은데 언제쯤이 될지 기다려집니다. 건강하시고 화이팅하세요!
@Shampoo4628
@Shampoo4628 4 жыл бұрын
저도 미국에 거주중이라 두 달 넘게 집에서만 생활하는데 넓은 백야드가 이렇게 감사한 적이 없네요. 아니었음 활동적인 두 아들 어떻게 감당했을지... ㅠ 올 여름은 수영장도 못 갈거 같아서 커다란 풀을 들였어요. 가을에 학교는 보낼 수 있을지...ㅠㅠㅠ
@nancykim9968
@nancykim9968 4 жыл бұрын
유교수님의 신선한 말씀 늘 감동받습니다."Out of box".교수님 말씀 들으면 늘 이런 생각이 들었습니다. 창조적 발상을 알게해주신 교수님 말씀 더 자주 듣기 바랍니다. 응원합니다.^^
@mjyoon9201
@mjyoon9201 4 жыл бұрын
전 세계의 사람들이 살고 싶어하는 매력적인 도시로 만들자. 그런 날이 왔으면 좋겠네요.
@방주-x2b
@방주-x2b 4 жыл бұрын
돈이문제입니다 빈부격차는 심해질것이고 가지지못한자는 문명의 혜택을 못누릴듯
@moi1241
@moi1241 4 жыл бұрын
생각이 열려 있는 분 같아요. 존경스럽습니다.
@Haddle_Lee
@Haddle_Lee 4 жыл бұрын
학교 교육의 내용도 그것을 담아 아이들이 머무르는 학교의 모습도 바뀌어 가면 좋겠습니다. 빨리.
@aks0106
@aks0106 4 жыл бұрын
좋은 생각 감사합니다.
@shjung7959
@shjung7959 4 жыл бұрын
도시 환경 변화 일환으로 경복궁에서 시청까지 숲을 만들자.. 뉴욕의 센트럴파크처럼.
@katharinehepburn2060
@katharinehepburn2060 4 жыл бұрын
오~~ 상상만해도 힐링이 됩니다. ^^
@dorikim318
@dorikim318 4 жыл бұрын
아~좋아요~~^^
@nojive131
@nojive131 4 жыл бұрын
경복궁에서 창경궁 사이 대한항공땅 반 부지 공원으로 만들지 않나요??
@Tgfasoop
@Tgfasoop 4 жыл бұрын
뭐 솔직히 그건 코로나 할배급이 두어번 오기 전엔 어려울 거고요. ㅎ 용산민족공원이 그 비슷한 역할을 하겠죠. 현실적으론... 그래도 도심 한 가운데 아니니 좀 아쉽죠 ㅜ
@별이-e9r
@별이-e9r 4 жыл бұрын
예전에는 광화문광장에 나무들이 많았어요. 개인적으로 그때가 좋았어요.ㆍ
@White-Gloves
@White-Gloves 4 жыл бұрын
지금 말한 시스템은 8년전에 이미 디자인된 겁니다 지하 도시고속도로, 지상 공원화 등 절대 sf가 아님. 코로나로 미래가 좀 더 빨리 다가오는것일뿐
@제이K-i9r
@제이K-i9r 4 жыл бұрын
유현준교수님의 혜안으로 새로운 대안을 찾을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krisyun3769
@krisyun3769 4 жыл бұрын
물류 터널은 대단 하네요
@coolnizi
@coolnizi 4 жыл бұрын
이미 대형 건물에서는 사용중이죠. 병원 이라던가 각층 간호사실로 공기 압력으로 쏴 올려버리는..
@hhy6648
@hhy6648 4 жыл бұрын
온라인교육을 해보니 확실히 집중도가 떨어지고 공부가 안되더라고요. 대면교육은 필요하다고 봅니다. 그리고 사회관계가 어려운 장애인들은 더욱 학교라는 공간에서의 소통이 필요하더라고요
@lemmonk7130
@lemmonk7130 4 жыл бұрын
1인 가구 원룸이 작으니 다들 카페에서 일하고 공부하며 머무는 것 아닐까 싶네요...
@user-cs1ss5lq7x
@user-cs1ss5lq7x 4 жыл бұрын
좋은의견입니다. 다른이야기지만, 서울역부터용산역의 서울을 동서로 가로막은 철길을 지하화하고 공원을만들면좋겠어요. 서울의얼굴인데.. 참 안타갑습니다. 외국인초대하면 다 의아해합니다
@건강수다원
@건강수다원 4 жыл бұрын
택배의 나라에 정말 중요한 택배도로 절실하다. 드론 보다 훨낫다.세컨하우스는 농어촌 버려진집들의 활용이 커질듯 테라스가 한국은 경관도 안좋고 좁다.멋진공원 만듭시다.
@user-lx7sv5zg8r
@user-lx7sv5zg8r 4 жыл бұрын
그것과 동시에 후미진 곳의 투자와 최소한의 인프라와 경제 효과가 만들어 질것 같은 예감이 드네요 ㅎ 미국은 오래전부터 세컨 하우스를 많이 가지고 있죠 것도 부자가 아닌 중산층 정도가.... 라이프 스타일도 family 단위도 많구여
@Katharine6352
@Katharine6352 4 жыл бұрын
역시 생각이 다르신분...메세지에 뇌피셜이 확 바끼네요 두분영상감사합니다 전 집에서부터도걍 신경쓰지않고 빨래널던.베란다를 얼마전테라스스타일로 나름..기분이 확~~달라지는데 기업체에서도 건축문화가이렇게바낌 진짜좋겠네요
@원지영-e8k
@원지영-e8k 4 жыл бұрын
저도 공감합니다 다음 이사때는 테라스 있는집으로 ~
@youAhn7127
@youAhn7127 4 жыл бұрын
이렇게 신선하고 획기적인 인사이트를 주셔서 감사합니다!! 포스트코로나 암울하게만 생각할게 아니네요. 인류는 역경속에서도 앞으로 나아갈 길을 모색하며 더욱 발전해왔고 또 그럴수있는 존재임을 다시 한 번 느낄수있었습니다. 멋지십니다!! 감사합니다🙏🙏
@koreanlanguageschool6318
@koreanlanguageschool6318 4 жыл бұрын
좋아요 누르고 끝까지 시청하겠습니다.필리핀에서 한국어학교
@jiyeim5370
@jiyeim5370 4 жыл бұрын
이분 되게 멋있으싱 것 같아요
@TV-mm2kh
@TV-mm2kh 4 жыл бұрын
주거 환경에 혁명이 일어날 걸라고 봅니다. IT를 활용한 사물인터넷과 가상현실, 가변형 공간 구조가 핵심이 아닐까 싶습니다. 오래전 미국의 부유층이 사는 아파트를 방문했더니 벽이 아니라 유 교수님 말씀대로 가변형 공간으로 구성돼 있어서 놀란 적이 있는데요 이렇게 건설회사 주도로 공급하던 구조가 앞으로는 수요자 중심으로 변경될 거라고 봅니다. 유 교수님 스마트한 좋은 내용 잘 들었습니다^^
@cafe99days
@cafe99days 4 жыл бұрын
드론은 반대합니다. 소음에다가 우리 걸어가는 하늘위로 수백 수천개의 드론이 날아다닌다고 생각해보세요..하늘이 사라지고 소음이 자리하고 추락하는 사고는 또 어쩔것이며...
@KyungWonPark-g7u
@KyungWonPark-g7u 4 жыл бұрын
유교수님은 그러니 지하 통로를 뚫어 눈에 보이지 않는 곳으로 물류시설을 옮기고, 지하의 물류 수단으로 드론을 활용하자는 아이디어를 제시하시네요
@방주-x2b
@방주-x2b 4 жыл бұрын
소음은 없애겠죠
@sylee2872
@sylee2872 4 жыл бұрын
드론은 필요악이겠지요 자동차도 마찬가지였듯이 ᆢ
@SamuelSmith1221
@SamuelSmith1221 4 жыл бұрын
도시는 드론은 불가능할 듯..
@zezesoul79
@zezesoul79 4 жыл бұрын
@@방주-x2b 드론이 프로펠러를 돌려 바람을 아래로 내려 양력을 발생시키는 구조이기에 소음을 없애는 것은 기술적으로 매우 어려운 일입니다.
@미아미아-c3r
@미아미아-c3r 4 жыл бұрын
정말 좋은 이야기 입니다 ~ 희망을 아니 소망이 생기네요^^ 감사합니다
@장레지나-p7d
@장레지나-p7d 4 жыл бұрын
지하물류...굉장히 가능성 있고 있을법한 일입니다. 너무 좋은 시간이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Lia-og7pp
@Lia-og7pp 4 жыл бұрын
너무 재밌게 잘 봤어요😍 정말 상상 초월의 아이디어 인데 서울 지하도로 실행 됐으면 좋겠어요ㅎ 덕분에 앞으로의 미래에 대해서 다시 생각해 봤습니다👍🏻
@ojhprime
@ojhprime 4 жыл бұрын
정말 좋은 내용입니다. 전염병때문에 파리에 하수도가 생겼다는 것은 참신합니다. 물류의 지하이동이라......신선합니다.
@권태연-m1y
@권태연-m1y 4 жыл бұрын
정부는 각분야의 젊은 전문가들의 의견에 귀기울여야 합니다 겁에 잔뜩 움츠린 돈에 눈먼 구린 정치인들은 싹 밀어버리고 신선한 젊은 세대들이 일구어 나갔으면 좋겠어요
@약지-o4u
@약지-o4u 4 жыл бұрын
공간은 짐을 줄이면 됩니다. 버려도 버려도 있는 짐 ..죽기전에 다 못 쓰고 마네요
@백옥센터.난완
@백옥센터.난완 4 жыл бұрын
죽으면 갖고갈수 없으니 중요한것만 최소한으로 줄일필요가 있어요.
@bombtori
@bombtori 4 жыл бұрын
더 빠르게 개발하고 더 돈을 많이 버는 것 보다는 자본이 크게 필요하지 않고 경제 상황에 영향을 받지않으며 환경피해 폐기물 생산 자체가 없는 방법이 무엇일까를 생각해야할 시기라고 생각합니다. 따로 무언가를 만들생각보다 본래 지구의 에너지에 어울리게 가야 합니다. 그래서 자급 자족 소농의 인구가 늘어나야 한다고 봅니다. 돈을 통하지않고 스스로 먹거리를 생산하여 먹고사는 문제를 해결하는 새로운 경제 관점이 필요합니다. 더 먼 미래를 보았을 때 인류가 나아가야하는 길은 자연과 소통하는 길이 유일합니다.
@yourangtv
@yourangtv 4 жыл бұрын
집에 아이들과 있어보니 주거환경이 광장히 중요하다는 생각입니다 쾌적하게 있기 위해 정리를 많이 했고 효율적 공간을 만들기 위해 노력했지요 그래도 층간 소음 주변 도시 생활소음등 한계가 많네요 집을 바꿀수도 없고 말이죠
@morayojeongbaramdori8208
@morayojeongbaramdori8208 4 жыл бұрын
네 저도 일주일간 대대적인정리했어요 몸살....아이가 지난주 잠깐 등교해서 그시기에도 엄청나게 정리했어요 등교시키고 오자마자부터 아이하교시키러 가는순간까지 시간을 아껴썼네요 아이없을때 다 꺼내서 큰정리해야될것들요... 아이가 엄마많이찾는 외동이라 소음없는부분은 아이재우고 새벽까지하고..ㅜㅜ 공간을 많이 비우는게 중요하더라구요 그래야 주부가 여유가생기고 정리정돈의 시간도 줄고 공간이 넓어지고 오히려 아이와 낮에 여유있을순간이 더생겨요 정리의 효율성이 생기니 대청소자체를 할필요가 없어지니까요
@starlight.91
@starlight.91 4 жыл бұрын
서울의 대로들이 숲으로 바뀌는 상상을 하니 가슴이 설레입니다.. 월클 명품 도시👍👍👍
@mh12-
@mh12- 4 жыл бұрын
대다수의 국민들이 다양한 직업군에 종사하고 있잖아요 기존의 것이 바뀌더라도 그 직업군들의 생업도 중요하잖아요 일부만 좋아지는게 아닌 다수가 좋아지는 변화가 중요하겠습니다. 생계가 달린 부분도 많구요 정직하게 일하는 직업군들이 함께 가야합니다 사람들의 편리성을 주는 정도여야지 사람대신 이라면 문제가 많이 발생할것같아요 로봇이 우선이 아닌 사람이 먼저인 변화가 되길 바랍니다.
@annakim5656
@annakim5656 4 жыл бұрын
역시 탁월한 통철력이 빛나네요... 참 유익한 방송입니다!
@supark4437
@supark4437 4 жыл бұрын
지하를 너무 많이 뚫는건 사실 위험하지 않나요? 싱크홀 뿐 아니라 지반이 약해지며 생기는 문제가 많아요 생태학적 접근도 필요할 듯
@614pinetree
@614pinetree 4 жыл бұрын
온라인교욱은 필수입니다! 저는 왕따당하는 아이들이 생각났는데요! 이제는 같이 공부하는 공간이 없어지므로 이런일도 사라지지않을까요? 학교는 오직 운동이나 체육등등 활동하는 곳으로만 사용됐으면 좋겠습니다! 또한 지하로 모든 물류 배송이 이루어진다면, 공기도 맑아지고 소음도 적고 도시에 참으로 쾌적한 환경을 많들수있겠습니다! 베란다의 재생도 필수입니다! 갇혀있다는 생각을 떨쳐버릴수있고 이미 밖과 소통한다는 개념을 주고 또한 공기를 환원해주니까요! 우리 대한민국이 먼저 선도하는 나라가 되기를 ...! 화이팅 🇰🇷👍
@mylifeisbelongtogod
@mylifeisbelongtogod 4 жыл бұрын
명쾌하고 유익한 정보를 통해 다양한 니즈를 알게되었어요 다음에 또 나와주세요 ~♡
@유영주-c8l
@유영주-c8l 4 жыл бұрын
고속도로에 물류차들로 꽉차있을 경우 거의 고속이 아닌 중속도로가 되겠죠. 지하도로 운송은 개념의 첨단이네요.
@쑤기-w4o
@쑤기-w4o 4 жыл бұрын
유교수님의 테라스 있어야된다에 적극 동의.
@danakim5898
@danakim5898 4 жыл бұрын
테라스는 바다의 갯벌같은 숨쉴 공간 땅 넓히자고 갯벌을 땅으로 만들지말고 테라스를 실내면적으로 만들지말고! 테라우하우스! 이사가고싶네요ㅡㅜㅜ 집 안에 바깥이 공존하는 테라스! 너무 좋아요
@숲앤숲
@숲앤숲 4 жыл бұрын
탁월해요
@lhtvtv9088
@lhtvtv9088 4 жыл бұрын
극히 공감하는 내용으로 특히 아파트,단독주택 등 집만을 전문으로 설계하는 건축전문가로서 앞으로는 아파트보다는 아래 어느 사람의 의견과 같이 판교 등에 있는 단독주택이 훨씬 각광받으리라 생각합니다. 이런 지역은 교통, 편의시설,교육 등 모든생활 면에서 서울못지 않고 특히 단독주택에는 아파트에는 없는 공간 등이 많은데 마당뿐만 아니라 음악, 운동, 오디오 등을 위한 다목적실과 서재 그리고 다락에는 놀이방, 작업실, 기도실 등도 있으며 또 옥상정원에는 데크, 꽃밭,텃밭 등 다양한 취미와 운동공간이 있어서 재택근무 등 집콕생활에 아파트와는 비할 바가 아닙니다. 더욱이 이런 단독주택은 웬만한 서울의 아파트 전세값 정도로도 가능하다는 현실은 아이러니컬 할 정도인데 이런 점에 대하여는 kzbin.info/www/bejne/n3S0hpp7itR3jpY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mysuperpower7161
@mysuperpower7161 4 жыл бұрын
창의적이고 새로운 시각을 공유해주셔서 감사합니다.
@cookyjh9379
@cookyjh9379 4 жыл бұрын
검새 판새가 AI도입 일순위다 . 기레기까지 살처분되면 사는게 조금 나아질듯
@nf8821
@nf8821 4 жыл бұрын
통찰력이 대단하세요 변화되는 라이프스타일에 따라 공간의 변화 꼭 필요하다 생각합니다👍
@ideostudio00
@ideostudio00 4 жыл бұрын
자율 주행 물류터널 좋네요 ㅎㅎ 제목이 "이렇게 변한다"가 아니라 "이렇게 변해야한다" 가 더 좋은듯 ㅎㅎ
@건강수다원
@건강수다원 4 жыл бұрын
저도 지하물류터널 절대 찬성.
@user-lx7sv5zg8r
@user-lx7sv5zg8r 4 жыл бұрын
@@건강수다원 저도 택배받을 땐 꼭 필요하다 생각하지만 소리며 매연등 트럭 왔다갔다 할땐 참 싫은 마음은 어쩔수 없네요 ㅋㅋ
@katharinehepburn2060
@katharinehepburn2060 4 жыл бұрын
굿 아이디어입니다. ^^
@dada-hw7vg
@dada-hw7vg 4 жыл бұрын
그 지하에서 사고 나면 1미터 통로에 사람이 기어가서 ? 최소 2미터는 되어야..
@stellashim
@stellashim 4 жыл бұрын
일본에서 나온 생각이죠. 거긴 도심재생계획이 20년전부터 나와서 도심활용이 한국보다 효율적 이고 게다가 도시가 수축하고 있는 상황이죠. 또 전국적으로는 신칸센도 있고. 자원은 한정되어 있고..같은 돈이면 투자를 해야한다면 과연 사람도 못들어가는, 문제가 생기면 고쳐야 되는 기술도 필요한, 저 계획이 과연 효울적인가....차라리 드론이나 자율주행기술을 개발하는 것이 더 인간에게 도움되는것이 아닌가...왜 저사람을 부르는지 모르겠음. 저사람은 도시나 부동산개발 전문가가 아니라 간물디자이너 인데...왜 도시를 물어보는지???
@박내금-d7k
@박내금-d7k 4 жыл бұрын
교수님 자주 나오세요
@svj33
@svj33 4 жыл бұрын
시드니에서도 대형 트럭만 다니는 그런 지하길을 뜷고 있어요~몇 년전에 시작해서 동과 서를 연결하려하고 있답니다.😊 글고 여기 호주에서도 lockdown 동안 gardening에 필요한 화분 씨앗들이 품절될 정도로 팔렸어요..좁은 장소는 힘들겠단 생각이 들었죠. 점점 개인공간에 대한 중요성이 커질 거 같아요.
@yoonmiparkinbris
@yoonmiparkinbris 4 жыл бұрын
호주 브리즈번 사는 저도 lockdown 동안 화분 4개나 샀어요. 정원가꾸면서 자연과 가까이하는 과정이 힐링이 되더라구요.
@임현정-d6k
@임현정-d6k 4 жыл бұрын
호주는 온라인 수업 언제까지 할 것 같나요? 어이가 호주로 대학을 갈건데 온라인수업이래서 급 좌절중입니다....ㅠㅠ 혹시 아시는 내용있으시면 정보공유부탁드립니다.
@bsuh4009
@bsuh4009 4 жыл бұрын
@@임현정-d6k 6월 시작과 동시에 조심스럽게 정상수업모드로 돌아오긴 했지만 온라인 수업으로 다시 돌아갈 가능성은 열어둔 상태입니다.
@정화이-q5q
@정화이-q5q 4 жыл бұрын
늦은 시간에 죄송하지만 만약 보신다면 혹시 그 터널이 무슨 터널인지 알 수 있을까요? 과제땜에 부탁드립니답 ㅠㅠ
@son5817
@son5817 4 жыл бұрын
지금있는 집이 베란다가 넓게 빠진 옛날 아파트인데 이젠 확장된 아파트로 이사 못 가겠어요. 아님 가더라도 과감하게 햇볕 잘 드는 방한칸을 베란다로 리모델링 할겁니다. 지금 베란다에서 식물도 기르고 또다른 베란다에 베터파크 준비하는데 베란다.. 애들하고 놀이하기에 너무 좋은 공간이에요.
@박지연-n9w7q
@박지연-n9w7q 4 жыл бұрын
유현준 교수님 차이나는 클라스 한번더 출연하셔서 더좋은 말씀부탁 드려요~정말공감 합니다~
Mom Hack for Cooking Solo with a Little One! 🍳👶
00:15
5-Minute Crafts HOUSE
Рет қаралды 23 МЛН
Мясо вегана? 🧐 @Whatthefshow
01:01
История одного вокалиста
Рет қаралды 7 МЛН
It works #beatbox #tiktok
00:34
BeatboxJCOP
Рет қаралды 41 МЛН
Chain Game Strong ⛓️
00:21
Anwar Jibawi
Рет қаралды 41 МЛН
[1강 무료보기] 클래스e - 김지윤의 《미국의 민낯》
26:56
EBSCulture (EBS 교양)
Рет қаралды 720 М.
[미방분] 빨간 구조체의 비밀 #알쓸별잡 EP.7
12:08
이응디귿디귿
Рет қаралды 114 М.
Mom Hack for Cooking Solo with a Little One! 🍳👶
00:15
5-Minute Crafts HOUSE
Рет қаралды 23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