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접 체험한 실제 미국 경기! 인플레이션은 '미친' 상황이다 | 서준식 교수 #1 [월간 서준식]

  Рет қаралды 33,573

증시각도기TV

증시각도기TV

Күн бұрын

Пікірлер: 146
@koreanstockrider
@koreanstockrider 2 күн бұрын
서준식 교수 숭실대학교 경제학과/ 금융경제학과 “개미들을 위한 투자 안내서” eco.ssu.ac.kr/bbs/board.php?bo_table=dataroom&wr_id=7
@DD야
@DD야 2 күн бұрын
미국 집값이 싸도 렌트가 비싸서 한국같이 돈을 모으는게 쉽지 않아요. 연봉 올라갔다 해도 기본 직장인이 이직 몇번 없이 2배 연봉을 받는건 소수에요. 저소득층은 2배임금이어도 모든게 다 비싸져서 또 문제고.. 교수님 알파인 뉴저지 가신게 아닐지 ㅠㅠ 포트리는 아파트형 co-op도 많코 상업용 건물도 많은 주거지인데.. 상층은 더 올라가고 중산층은 위 아래로 많이 나눠었으며 하층민은 급격히 늘어났어요. 작년 대선 선거 구호에도 중산층얘기가 적었던 이유같아요. 도시쪽 고소득 일반직원들이 텍사스나 네바다 등 싼지역으로 이사를 가서 원격근무를 해서 소비를 많이 늘렸었어요. 자산이 있는 상위계층은 당연 소비가 많이 늘어났고 은퇴하신 분들 역시 자산이 있어서 크루즈 타고 여행하시고 ㅋㅋㅋ 또한 불법체류자가 미국와서 생활시작하면 소비가 늘죠. 하지만 반대편을 보면, 월마트나 코스코 실적이 좋은 이유 & TGIF 레드랍스터등 폐업하는이유가 많은 분들이 식당을 안가고 집밥해먹어서애요. 연방정부 최저임금은 7.25입니다. 30불 시간당 임금을 받는다면 도시쪽이며 생활이 아마 불가능하거나 빠듯한 분들이에요. 저는 실례지만 미국의 현 상황이 건강하지 않다고 봐요. 설문조사에만 나오지만... 소득격차는 내전가능성이 매년 높아지는 이유에요. 제 개인적으로 미국의 소득주도 성장은 오히려 자산가와 하위층을 더 나누지 않았나 싶어요. 2006년 집값 vs. 임금 상승은 지금보단 덜 했을거 같습니다. 지금은 자산 버블이 일어났는데 22년 약간의 하락을 거쳐 더 올라간 상황인데요. 2006년 얼바인 집 싱글홈 50만불이 이젠 2밀리언이 넘어요. 연봉이 올라도 세금내면 남는게 없고 이자도 높아서 집값이 부담됩니다. 부자들도 집에 침입자나 도둑을 걱정할 정도로 치안도 불안해요. 아마도 각자 보는 방향이 다른 시각일거에요. 내가 경험해보지 못한곳이 더 좋아보이고 내문제가 더 나빠보이니까... 미국분들 입장에선 한국이 어렵다면서도 긴 연휴라고 다들 해외여행 가더라 이런다고요.
@koolee8680
@koolee8680 Күн бұрын
아무래도 한국상황과 비교하다보니 상대적으로 좀 낮다 라는 취지인거 같아요. 한국은 소득대비 집값이 정말 너무 차이나긴하죠..
@woojoo-zn9gf
@woojoo-zn9gf 3 сағат бұрын
이글이 맞아요 돈은 풀었는데 그돈이 부자들은 더 부자가 되고 중산층에서도 둘로 나눠진느낌~ 미리 집을 예전에 산 사람과 안산사람 이렇게 위로 아래로 나눠진느낌~ 코로나 전 집값에서 지금은 두배로 올랐고 이자도 비싸져서 다운페이를 전보다 훨씬 더 더 마니 필요해졌고 집값이 오른만큼 렌트비도 천정부지로 올랐고 모든 물가는 코로나 이전보다 심각하게 오른느낌입니다~ 코로나때라도 집을 산사람이 아니면 점점 가난해지는 추세고 버블이나 인플레이션이라 대공황온다 경기 어려워진다 말은 많지만 자산가격은 아직도 계속 오르니 자산이 많음 사람은 아직도 돈이 돈을 낳고 있어요~ 돈을 풀어 좀 살기좋음 세상이 될줄 알았지만 알고보면 다 부자들이 짜고치는 고스톱 같아요
@starletto2537
@starletto2537 3 күн бұрын
문제는 최근 4-5년 사이에 너무 빨리 그리고 많이 올랐다는 거.. 마트에 물건이 싸다고 하시는데 5-6년 전에는 한국 식료품보다도 미국이 훨씬 더 쌌어요. 지금은 계란이나 우유같은 필수식재료도 5년 동안 거의 2배 올랐고요. 미국 서민층의 연봉 수준은 그만큼 오르지는 못했는데 말이죠. 지금 인플레이션 수준을 과연 미국 사람들이 얼마나 감내할지 의문입니다.
@푸른하늘-eowjs
@푸른하늘-eowjs 2 күн бұрын
물가지수(CPI나 PCE)등을 전월대비, 전년대비로 2-3%정도 올라서 최근 물가가 잡히고 있다고 하는데 차라리 이보다는 누적치를 사용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고 봅니다... 2020년이후 현재까지 물가상승누적치가 얼마다 하고 표시하는 방식으로 표시하면 적어도 두베는 올라다는 것을 쉽게 알수 있어요 ㅠ.ㅠ
@jajjajayay9905
@jajjajayay9905 2 күн бұрын
한국분이 한국시각으로 보셔서 그런거 같아요. 집값이 싸다는데 미국 살던 사람은 애전에 3억짜리가 내연봉 많이 올라서 몇천 올랐는데 8억 9억으로 바뀐집을 보면 한숨 나오죠. .그만큼 한국 집값이 말이 안되는 거품인건데...
@유령물고기
@유령물고기 3 күн бұрын
집값이 단기간에 3배 올랐고 전세금도 2배이상 올랐어요. 그 오른 것은 다 빚으로 올린 것이고요. 삶의 질은 내려갈 수 밖에 없습니다. 집값 떨어트린다고 삶의 질이 또 3배 올를때처럼 나빠질까요? 오히려 좋아질거라고 봅니다.
@주물주물-i7o
@주물주물-i7o 2 күн бұрын
집값이 적당히 빠져야죠 대폭락하면 잃어버린 10 년 옵니다 다죽어요
@이망-t3z
@이망-t3z 2 күн бұрын
부동산 30퍼센트 빠져도 나라 안망합니다. 무슨 아파트 론 하루만에 뱅크런이 나는것도 아니고 그사이에 시장맞게 거래되면서 담보도 조정되고 주식처럼 흐르는건데 30퍼센트 빠진집 팔아도 먹구 살수 있는 집값이에요 뭐 애들 영끌해서 산거 아니면 기성세대들 론해도 갚고도 남는 집값입니다.뭔 다 하한가 맞는거 마냥 말씀을 하세요 우리나라 성장률이 좀 있으면 마이너스인데 어떻게 임금을 올려줍니까 꼴아박은걸 땅 밖으로 빼내야지
@나-u5m9u
@나-u5m9u Күн бұрын
그러고보면 집값이 올라도 엉덩이에 깔고 있어서 현금흐름이 안좋은것처럼 빠져도 별 영향 없는거 아닐까 . 영끌족 풀대출족만 어차피 망할 투자 해서 망하는거지 대다수는 늘 하던대로 허리띠 졸라매고 대출 30년 갚으며 아껴쓰는 생활은 변하는게 없을텐데...
@정경규-f4d
@정경규-f4d 3 күн бұрын
임금대비 대한민국의 집값은 미쳤다 그말이구나 근데 아직 돈풀어 집사라고 부추기는 부동산 애들은 뭐냐?
@seacross9
@seacross9 2 күн бұрын
미쳤기 때문에 거의 외식을 안 합니다 ㅋㅋㅋ 요리 실력이 늘었어요.
@트리에스티나
@트리에스티나 3 күн бұрын
우리나라 집은 확실히 비싼다고 봐야겠네요 소득 수준 차이 생각하면 참 ;;
@김수영-f9i7u
@김수영-f9i7u 3 күн бұрын
뉴욕사는 친척은 바이든정부의 고물가로 트럼프당선이 된거라고 하더군요 잠깐의 여행으로 전부인양 판단하시네요
@소리오-j8l
@소리오-j8l 3 күн бұрын
정작 그러는 본인도 뭐 미국에 직접 사는 게 아니고 결국 남 말 듣고 말하고 있음
@jajjajayay9905
@jajjajayay9905 2 күн бұрын
고물가의 이유가 소득주도 성장의 결과이지 않을까요? ㅋㅋㅋ 임금이 오르니 인플레 온건 맞기에
@가자고-d3w
@가자고-d3w 2 күн бұрын
교수님 늘 좋은말씀 감사합니다
@황석현-o1x
@황석현-o1x Күн бұрын
최저임금 집값에 비하면 더 오려야된다? 맞습니다. 그러나 해결책은 집값을 내려야죠.
@정음악-f8j
@정음악-f8j 2 күн бұрын
전세계적으로 돈이 계속 풀려서 실물자산 부동산이 너무 올라 노동소득으로는 서울집을 살수 없어요 풀린 자본을 캐치할 수 있는 레버리지 받을수 있는 능력이 있는 경우나 상속받아 서울집을 얻을수 있는거예요 케인즈 이야기 하는데 기가 막히네요 돈을 풀어서 자본주의 피해가 이리 심해졌는데
@FreeWill-x9s
@FreeWill-x9s 2 күн бұрын
맞아요. 미국에서 돈 모으는건 쉽지 않아요. 완전 자본주의 시장이라, 돈이 돈을 버는 구조를 이해하지 못하면 점점 가난해 지는 구조에요. 그러나 이것을 이해하고 이용하면 개인으로 살기 좋은 나라가 미국이에요
@김영채-x9g
@김영채-x9g 3 күн бұрын
라디오처럼 편안히 들었습니다 감사합니다
@heeholee4224
@heeholee4224 2 күн бұрын
역시 서준식교수님 반가워요~
@sabinapark3017
@sabinapark3017 3 күн бұрын
최저임금 급히 올리는 바람에 타격받은 자영업자들 사정은 전혀 모르시네요ㅠㅠ 지금 상태서 더 올리면 식당들 다 문닫을지경이 될겁니다.
@alhambra119
@alhambra119 Күн бұрын
저도 미국에 산지 40 년인데 중산층이 강해졌다는데 동의 못하겠어요. 반대로 중산층이 무너지고있고 가게들이 도둑들이 늘어나 몇불도 안하는 물건들도 유리문안에 자물쇠로 잠그고 있고 불안불안 합니다
@christinechung7145
@christinechung7145 Күн бұрын
40년 교포인데 거의 비슷하게 미국 사정을 보시네요. 전 진짜 서울 집값은 말도 안된다고 생각해요. 저도 코로나 전보다 소득이 50프로 올랐네요. 그런데 별로 여유는 잘 모르게어요. 물가가 그 만큼 올랐어요ㅠㅠ 집값도 코로나 전보다 30-40프로 오른 느낌이에요. 질로우에 따르면. 저도 팁 내기 너무 싫어요. 😢 나름 상위 10프로 이상인데도 돈 아까워요. 저번 주에 손님이 와서 횟집 가서 8명이 먹고 팁만 150 불 냈는데 아까워 죽는 줄 알았어요. 한국 돈으로 20만원 넘어요ㅠㅠㅠ
@허쉬-g4I
@허쉬-g4I 2 күн бұрын
감사합니다~
@BellaKim-r1h
@BellaKim-r1h 2 күн бұрын
생생한 경험담 전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유학준비에 참고하겠습니다~
@시안-n6u
@시안-n6u 3 күн бұрын
서울에 대한 자부심이 얼마나 대단하길래 멘하탄이랑 비교를 할까 세상물정에 까망눈인 듯
@여행객-h9b
@여행객-h9b 3 күн бұрын
서울에 자부심이 있어야 맨해튼하고 비교할수있는건가요? 그리고 자부심있으면 안되나?
@ransoh7567
@ransoh7567 Күн бұрын
멘하탄에 살만한 사람들은 소득 최고수준입니다. 미국도 어디사느냐에 따라 엄청 차이나요. 한국은 캘리포니아의 반도 덜되는 나라입니다.
@S제이-f4q
@S제이-f4q 2 күн бұрын
최저임금 상승해야하는 것이 아니라 시장임금이 상승할만한 요인이 있어야죠. 말씀하신대로 미국 최저임금이 18불이더라도 거기에 맞게 인력을 구하지 못한 것은, 리쇼어링으로 미국 내 공장, 회사 확보로 일자리가 많아졌기 때문입니다. 한국 같이 내수 외면하는 나라에서 최저임금만 상승하면 저소득층 일자리 박살내고 중산층 붕괴시키는 요인이 되는겁니다.
@PD-ns1es
@PD-ns1es 2 күн бұрын
내용이. 너무. 좋습니다
@권세진-l4z
@권세진-l4z 3 күн бұрын
오늘도 감사합니다...25.2.1
@whistler750
@whistler750 3 күн бұрын
오늘 둘 사이에 오가는 대화는 중상급 기득권 두 명의 한가하고 배부른 소리처럼 들린다. 그리 살지 말거라.
@이인몽
@이인몽 Күн бұрын
집값을 낮춰서 집을 사게하는 것보다 임금을 올려서 집을 살수 있게 하는게 좋다고 하셨는데 우리나라를 예로들면 최저임금 받는 사람이 연봉 5천을 받고 맞벌이할 경우에나 서울변두리에 오래된 아파트를 겨우 살수 있을 정도되잖아요 그럼 최저임금을 현재의 두배로 올려야 되는데 그걸 버틸 자영업자가 거의 없다는게 문제입니다. 최저임금 1만원에도 망하는 중소기업과 자영업자가 속출하고 있는데 무슨 말씀하시는지? 미국도 마찬가지입니다. 미국자영업자 폐업률 사상최고입니다. 미국도 빈부격차 더 커질겁니다
@jeonghokim6094
@jeonghokim6094 2 күн бұрын
감사합니다
@dreamstar1012
@dreamstar1012 Күн бұрын
오늘 텍사스에서 짬뽕 먹었는데 $21불 ㅠ.ㅠ
@siyonglee2099
@siyonglee2099 Күн бұрын
저소득층을 상대로하는 미용재료상이 많이 힘들어 함 아마도 부동산가격 폭등으로 렌트비가 너무 많이 올랐기 때문이라 봅니다. 올랜도에 15년 전만에도 최저임금 받는 이민자들이 열심 노력하면 집을 구입하기가 어렵지 않았는데 이제는 불가능
@축복의통로-n5x
@축복의통로-n5x 3 күн бұрын
유익한 내용 감사합니다.
@정동석-f4t
@정동석-f4t 2 күн бұрын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많이 배웁니다
@hyun7588
@hyun7588 2 күн бұрын
한국이 최저임금을 더올려야지 잘사는 나라가 된다는 말에 웃고갑니다 코메디채널?
@이윤경-b7l
@이윤경-b7l 2 күн бұрын
미국의 중소도시와 한국의 서울과 비교는 좀 무리인듯 싶습니다. 우리나라도 서울 빼면 집값 싼곳 많습니다
@AandB675
@AandB675 2 күн бұрын
서울도 열립주택, 다세대주택, 빌라 엄청 싼거 많아요. 10년동안 안오르는 집들이죠. 한국은 집값이 비싼게 아니라 남들 다 갖고 싶어하는 괜찮은 아파트가 비싼거죠
@YIS777
@YIS777 Күн бұрын
동감! 뉴욕 맨해탄 집값/렌트는 천상계입니다. ㅜㅜㅜ
@happyman5286
@happyman5286 2 күн бұрын
미국은 집을 하도 거기 땅값 비용은 따로 내야합니다. 관리비랑 세금도 훨씬 높음. 잘 모르시는거 같네요.
@이연실-c9p
@이연실-c9p 2 күн бұрын
인플레이션의 상관관계를 조금 알게돼서 감사합니다😅❤
@손오공-r3s
@손오공-r3s 2 күн бұрын
감사합니다. 사실 그 정도 돈이면 좀 떨어진 시골에서 그정도까지 아니라도 집 크게 지어서 살 수 있을 듯... 다들 너무 복잡한데서 살려고 하닌 그렇지 미국도 출퇴근 거리 좀 되고 떨어져 있는 걸 감안하면...
@longterm5973
@longterm5973 39 минут бұрын
뉴저지 화장실이 7개인 집이면 베드룸은 5~6개 정도에 집 사이즈가 6천 스퀘어는 될텐데.. 1M 조금 넘는다... 뉴저지 산골짜기에 사시는 분이신가요? 포트리. 펠팍. 클로스터. 알파인. 앵글우드. 테너플라이... 한국 사람들 꽤 많이 사는 지역이며 학군 좋고.. 뉴욕이랑도 출퇴근 가능한 지역에서는 저런 집 불가능 할텐데요..
@김진아-z3r
@김진아-z3r Күн бұрын
집값생각하면 최저시급 더올려야된다는 말이 뭔말이야 자영업자들은 어쩌라고
@avantgarde5079
@avantgarde5079 2 күн бұрын
감사합니다^^
@Kkullkkull-c9x
@Kkullkkull-c9x 2 күн бұрын
울도 부도난단야그네🎉
@gooreem
@gooreem 2 күн бұрын
대한민국도 미친거같아요 ㅋㅋ
@v10bears28
@v10bears28 3 күн бұрын
미국에서 사는 사람들 이야기 들어보니까 전혀 지속 가능한 인플레가 아니던데...
@jk34076
@jk34076 2 күн бұрын
미국의 한두 지역을 방문했다고 미국이 이렇다 저렇다고 말하시면 안됨. Tip: 미국 tip 15%는 새삼스런게 아니고 100년전 부터 그랬고, 요즘은 15%주면 욕먹고 18%-25%는 줘야함. Tip 만내는게 아니고 sales tax 18%(지역마다 % 다름)따로 내야함. 즉 허름한 한국 식당에서 점심에 $20짜리 된장찌게 사먹으면 $28내고 나옴. 즉 한국돈 4만2천원. 잘나가는 엔지니어들에게 점심 4만2천원이 별것 아니지만, 일반 미국 직장인이나 자영업자에게는 무척 큰 돈. 따라서 감히 식당에 갈 엄두를 못내고 도시락 싸서 다님. 집값: 지역마다 동네마다 너무 다름. 실리콘밸리에서는 10억짜리 집은 아예 없음. 15억 이상이라도 토 나올 것 같은 상태의 집에 방1-2 화장실1정도. 텍사스에 가면 10억이면 아주 훌륭한 저택 구입가능. 잘나가는 회사의 앤지니어가 아닌 일반 직장인들에게는, 특히 켈리포니아 거주하는 사람들에게는 집 장만이 거의 불가능함. 집없는 사람들은 렌트비로 월 최소 $2,500 (3백만원)-$4,500 (6백만원) (가족 거주기준)를 줘야 함.일년에 1-2천만원 저축하기도 어려운데 언제 10억을 모음? 한국도 지방에 가면 2-3억짜리 집도 많고 강남은 20-30억 이듯 미국도 너무나 편차가 심해서 미국이 이렇다 저렇다 하시면 안됨.
@YIS777
@YIS777 Күн бұрын
공감동감 100000%!
@이재광-o4z
@이재광-o4z 2 күн бұрын
감사합니다 ^^ 실생활을 조정해보려고 하는것은 맗이 힘들것 같습니다만 ^^
@냉사탕
@냉사탕 3 күн бұрын
👍👍👍
@이인몽
@이인몽 Күн бұрын
스위스 이탈리아 최저임금 비교해서 스위스가 낫다는 말씀하셨는데 자영업자가 고임금에도 불구하고 버틸수 있으면 그렇지만 우리나라는 최저임금 상승으로 사실 많이 망했습니다
@수로-u9e
@수로-u9e 2 күн бұрын
당연히 시골과 우리나라 대도시 비교가 맞냐? 서울 강남과 맨하튼 비교해야 정확한 비교지 표본자체가 다른걸 비교하는게 맞냐? 맨하튼에 수년전에 이미 한채 1000억 넘는 아파트 있구만
@상남자이성은
@상남자이성은 2 күн бұрын
도기형님 저희 집 근처에 세계에 거의 없는 고라니 있어요.~부동산은 건드리지 말고 돈의 물길을 주식시장으로 물꼬를 터 주었으면 좋겠습니다. 상법개정 가즈아~~~~~ 서준식 교수님 감사드립니다.~^^
@megadeth5953
@megadeth5953 2 күн бұрын
아직도 소득주도 성장을 말씀하시는 분이 계시는구나
@박용준-r6z
@박용준-r6z 3 күн бұрын
저분 아주 위험한 발언을 하시내 전정권의 최악의 정책이 최저임금의 급격한 인상같은 소득주도성장이고 부동산정책이었는대 무슨 얘길하시는지...같은 정책이라도 각 나라의 여건에 따라 다르다는걸 아시는분이 저렇게 말씀을 하시다니 쫌 의아하내요 교수님이라 자기 주장이 강하셔서 그런가??
@TraderK17
@TraderK17 3 күн бұрын
이해력이
@hanlee1891
@hanlee1891 3 күн бұрын
전정권탓 ㅋㅋ
@Maxasist
@Maxasist 2 күн бұрын
다들 물가가 정상으로 돌아오는 중이라고들 하는데 이미 오른거에서 2~3%씩 꾸준히 더올라가는 중입니다
@2080health
@2080health 2 күн бұрын
집값에 맞춰 최저임금 올리자는 대단한 발상 ㅋ 집값 잡을생각은 없네
@jinoodaddy8363
@jinoodaddy8363 2 күн бұрын
부모님도 교수지만, 교수는 대학 밖에서 정치, 행정, 공기업에는 보내지 말아야 함. 본인을 과신하고 심지어 고집도 강함.
@이인몽
@이인몽 Күн бұрын
미국의 고물가는 결국 미국기업의 경쟁력이 점점 하락할텐데 첨단기술기업 외에는 버티기 힘들듯
@BalanceKo
@BalanceKo 3 күн бұрын
이또한 지나가리.. 인플레는 디플레가 오지않는이상 필연적으로 자산가격상승.. 80년대처럼될듯.. 그때 친척들 얘기들어보면 지금은 그냥 살만하다고..
@123qazqsx
@123qazqsx 3 күн бұрын
제국의 사이클에서 최정점은 이미 꺽인 거고, 중간단계인듯한데, 여기서 위로 갈지. 잠시 멈추고 제갈길 갈지 흥미진진함. 옐런할망구에 대한 생각은 동의안하고
@sww929
@sww929 2 күн бұрын
급이 안 맞다는 거 안다면서 왜 굳이 비교하고 엉뚱한 결론을 내나요 개소리하고 있는 거 알아 어쨌거나 결론은 미국은 벌어서 집 살 수 있어? 미국에 서울급 인구되는 도시 뉴욕밖에 없고 검색해보니 덴버인구 71만 정도던데 그 정도 인구의 도시라면 한국에서도 벌어서 집 살 수 있죠
@okkyumkim1030
@okkyumkim1030 2 күн бұрын
먼저 비교 도시가 맞지를 않네요. 당연히 서울 집값은 LA나 뉴욕하고 비교를 해야죠. 그리고 단기적 경험을 통해 미국의 전반적 상황으로 일반화 하는건 여러모로 무리가 있어 보입니다.
@jungmiyoon7087
@jungmiyoon7087 3 күн бұрын
외국에서 보면 일본은 그래도 잘 적응 되어가는 걸로 보이고 오히려 힌국이 엄청 이것저것 불안해 보인다는 사실! 물론 잘 풀어내리라 의심하진 않습니다❤
@mkim1036
@mkim1036 Күн бұрын
밴쿠버 있어요 ᆢ정말 외식?푸드코트에서 2인이 먹어도 5만원이 넘어요ㆍ렌트비도 방1 250에서300만원 젊은이들이 혼자벌어 못살아요 팁은 왜그리 높여놨는지 단말기에 팁부터 눌러야되요 한국이 그리워요
@한야앙
@한야앙 2 күн бұрын
재밌게 봤습니다~ 감사합니다
@김지영-q6f3v
@김지영-q6f3v 2 күн бұрын
우리는 양호한가? 나도 엄청 힘들다. 우리를 다시보세요
@대한민국-j7r
@대한민국-j7r 2 күн бұрын
미국이 제조업을 부흥시키려하는데 지금 수준의 임금을 지불하면서 다른 나라 제조업체와 경쟁할 수 있을지 의문이군요.
@brianshim3769
@brianshim3769 2 күн бұрын
미국, 일본 대부분 국가의 소득대비 집값이 낮아 보이는 이유는 재산세 즉 부동산세가 주택 구입 가격에 1% 심하면 2%까지 매년 내야됩니다. 우리나라로 치면 10억 아파트 구매했다면, 매년 재산세로 천만원 또는 2천만원씩 현금으로 따박따박 내야 된다는거죠. 우리나라에서 1주택으로 재산세 천만원, 2천만원 내는 아파트값의 실제 가격이 얼마인지 보면 알겠죠.
@jml6512
@jml6512 2 күн бұрын
한국은 많이 싼가요 재산세?
@고니곤이-t9j
@고니곤이-t9j 2 күн бұрын
강남좌파 같은 소리하네 바이든 재선 실패가 인플레인데 참…아직도 소주성 빠는 인간이 있네
@고달픈삶
@고달픈삶 2 күн бұрын
화장실 7개 거실 3개 딸린 집이 대략 15억 정도라....... 정말 좋네............. 근데 청소는 누가 하지???
@기쁨가득-s2j
@기쁨가득-s2j 2 күн бұрын
집이 그렇게 크면 냉난방비 비용은 엄청 많이 들지않나요?
@mtv5838
@mtv5838 2 күн бұрын
미국은 바닥난방 안하고 방안에 스팀기 사용하죠.
@Kwang-Min-Lee
@Kwang-Min-Lee 2 күн бұрын
미국이 서민이랑 중산층이 살기가 좋아졌다라...계산을 할때 환율로 계산을 하면 안되죠.
@woahmom9592
@woahmom9592 2 күн бұрын
스벅은 캐쉬리스이니 당연 카드삽입하면 팁 추가뜨지만 굳이 추가안해죠
@jiseo6298
@jiseo6298 2 күн бұрын
서울 집값은 뉴욕 LA 비교해야죠. 미국 중도시 비교는 무리아닌가요.
@하루하루-k2l
@하루하루-k2l 2 күн бұрын
아파트 공화국…기득권, 전세갭투자가 만들어 놓은 기형적인 사회.
@아직도관심안껐냐
@아직도관심안껐냐 2 күн бұрын
🤓
@소정-g5e
@소정-g5e 2 күн бұрын
미국은 소득대비집값이 평균 3~4배, 우리나라는 소득대비집값이 평균 9배,, 고럼 임금을 지금보다 두배,세배 정도로 올리면 되겠네유.... 근데, 그돈은 워디서 나오남???? 내수자영업이랑 중소기업은 죽을맛인데.... 돈 막 찍으면 달러오르고, 기름오르고, 식품값올라서.... 돈이 돈이 아닐텐데...... 그래,?? 같은나라 국민이니까 다같이 어깨거는거여??? 난 싫은데....
@sooya8348
@sooya8348 Күн бұрын
지식인의 생각이... 한국 지방 도시 근방에 땅사고 건물 짖고 15억이면 미국 1에이커 짜리 짖고 살 수 있다. 이 사람도 서울을 떠나 날 수 없다는 생각이...
@쭌-g5j
@쭌-g5j 2 күн бұрын
환율 땜에 그런거 아닌가 재네 입장에서는 훨씬 덜할듯
@제갈공명-d1j
@제갈공명-d1j Күн бұрын
진짜 둘다 우리나라 분위기 경제를 모르네 에휴
@트리에스티나
@트리에스티나 3 күн бұрын
궁금한게 있는데 집값이 30%% 빠지든 50% 떨어지든 대출 받은 사람들이 대출금을 안 갚거나 아니면 부동산이 없어지는 것도 아닌데 어떤 메커니즘으로 시장경제가 무너지는 건가요?? 어차피 은행이야 문서로 돈이 오간 건데 주택 가격이 떨어진다고 문제될 것이 있나요?? 대출금은 매출채권으로 잡혀서 재무제표 상에도 아무런 영향을 안주지 않나요??? 그냥 지금처럼 내수 소비 정도만 영향이 있을거 같은데 말이죠;;; 오히려 주택 가격이 낮아야 은행에 묶이는 돈이나 소비 여력이 커지니까 긍정적으로 봐야 하는게 아닌지요?? 왜 부동산 가격이 떨어지면 다 망한다고만 하나요???
@jayh1087
@jayh1087 2 күн бұрын
연쇄담보청산
@YIS777
@YIS777 Күн бұрын
2006년 sub-prime mortgage로 시작된 금융위기를 생각해보시길!
@트리에스티나
@트리에스티나 Күн бұрын
@@jayh1087 부동산 쪽에 문의하니 강제청산 같은거는 없다고 하는거 같은데요;;;
@트리에스티나
@트리에스티나 Күн бұрын
@@YIS777 아 그럼 부동산 값 자체에 하락 보다는 하락에 따른 부동산 매매수익이 없어지며 갭투자자들이 무너져서 문제라는건가요?? 그럼 부동산 자체는 처음부터 투기식 투자자가 대부분 부동산을 들고 있다고 봐야 하나요??
@longterm5973
@longterm5973 36 минут бұрын
팁 받는 직업은 최저시급의 30~40% 정도만 받고 나머진 팁으로 충당 하는 구조라서.. 최저시급 다 받고 또 팁으로 받는다는 건 좀 이해하기가.. 유학생이 아르바트 하는거 자체가 불법인데.. 그걸 너무 당연시 말씀하는것도 좀...
@썽이-p5b
@썽이-p5b Күн бұрын
집을 살수있다?
@바보퉁
@바보퉁 2 күн бұрын
그래서.. 미국 사람들이 살기 힘들어서 다른 나라로 이민 가나요?
@ransoh7567
@ransoh7567 Күн бұрын
한국사람들만 역이민 오는 수준
@김영웅-l1p
@김영웅-l1p 2 күн бұрын
한국이 미국보다 인플레이션 실질 물가가 (거품) 가 높다는 이야기네요
@사계절정원-f9u
@사계절정원-f9u 2 күн бұрын
믹ㄱ이 부강해진 정도보다 우리나라가 가난해진게 더 크지 않읅가요
@람-i2h
@람-i2h 2 күн бұрын
지방에 아파트 5억이하 널렷음
@Paul_in_Seoul
@Paul_in_Seoul Күн бұрын
경제학과 교수라는 사람이 실패한 소득주도성장을 아직도 떠들다니. 한국도 물가 장난 아니고 일자리는 사라져 가는데 최저임금 올리자는 소리가 나와? ㅉ 임금 올려서 잘 살게 되면 최저임금 10배로 올리면 되겠네? 이런 단순한 생각을 하는 사람이 경재학을 가르치고 학자라고 떠들고 다니니 진짜 아찔하다.
@corea.
@corea. 2 күн бұрын
와 알바 시급 3만원 8시간 하루 24만원 25일 일하면 600만원 월세 공공요금 비싸지만 천조국은 다르네요 한국은 알바 25일 일하면 250만원 받나요?
@ransoh7567
@ransoh7567 Күн бұрын
그대신 생활비가 2배이상들어요
@corea.
@corea. Күн бұрын
@ransoh7567 미국에서 일하는 이유가 있겠죠 물가 따지면 동남아가 살기 좋음
@badrukkkaptin902
@badrukkkaptin902 2 күн бұрын
하다하다 팁을 찬양하냐
@파마늘
@파마늘 3 күн бұрын
@hill3825
@hill3825 2 күн бұрын
부동산에 대해서는 제대로 보지 못하시네요
@lancekim3666
@lancekim3666 Күн бұрын
교수님이라매? 저런 말솜씨로...?
@사무사-p4i
@사무사-p4i 3 күн бұрын
1빠
@오산-v2b
@오산-v2b 3 күн бұрын
월급 올려주면 한국인들의 성격으로 매주 해외여행 갈듯... 한국국내에서는 여전히 가난해
@malgny
@malgny 2 күн бұрын
그래서 시간이 없게 만들어드렸습니다
@포비JU
@포비JU Күн бұрын
맹탕
@junppark
@junppark Күн бұрын
그 학생이 뉴욕에 집을 사겠다는게 아닌데 서울 집값을 염두해두고 비교하면 안 되죠. 콜로다도 덴버면 강원도 원주랑 비교해야지.
@TraderK17
@TraderK17 3 күн бұрын
이분 천재인듯?
@toyonkoo9552
@toyonkoo9552 Күн бұрын
집값을 항상 강남 집값에 비추니 그런거지. 이사람 코끼리 다리 만지다왓네.
@투자적기
@투자적기 2 күн бұрын
우리나라가 더비쌈 칼국수 한그릇 7천원이 말이되냐? 원가 700원짜리를 7천원빋는 한국
@songhuh7108
@songhuh7108 2 күн бұрын
여기미국해물짬뽕 한그릇 30000원 입니다
@나침판-w3x
@나침판-w3x 18 сағат бұрын
임대료,인건비 이런게많이올라서일거예요
@주내기-o6i
@주내기-o6i 21 сағат бұрын
참 미국실정 모르는 사람이 나와서 미국 얘기를 하니깐 공감이 전혀 안되네요
@ulpaso1
@ulpaso1 3 күн бұрын
미국은 이미 저세상 길로……이게 언제 멈출지…..우리는 어떻게 생존할지….. 과연 중국이 대항마가 될지 아니면 예전처럼 지구상 두가지 시스템 속에서 힌동인 살아갈지
@한방한방
@한방한방 2 күн бұрын
지금의 중국이 없어지면 자유롭고 시장질서를 인정하는 국가가 된다면 중국이 세상의 중심이 되겠죠. 근데 그시절은 우리세대에서 볼수는 없을듯
@안희진-v2y
@안희진-v2y 2 күн бұрын
너무 답답하네, 개인들 소득이 늘어나는 속도 대비 집값 자산가격이 훨씬 더 빠르게 오르자나 그걸 다 격고 보고도 문제가 뭔지 아직도 모르냐 마음은 알겠는데 아 진짜 너무 안타깝네
@이인몽
@이인몽 Күн бұрын
외식물가가 높아서 자영업이 망하고 결국 서민일자리도 줄어들면 문제가 될 것같네요 미국에서 불체자 추방도 그런 상황에서 실업율 줄이는 효과가 있기는 할것 같네요
Россия - ненормальная страна? Андрей Колесников*
56:47
НО.Медиа из России
Рет қаралды 32 М.
It’s all not real
00:15
V.A. show / Магика
Рет қаралды 20 МЛН
Don’t Choose The Wrong Box 😱
00:41
Topper Guild
Рет қаралды 62 МЛН
Nvidia CEO Huang New Chips, AI, Musk, Meeting Trump
15:28
Bloomberg Technology
Рет қаралды 217 М.
[미국마감] 관세 한달 유예!
30:40
증시각도기TV
Рет қаралды 15 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