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억 10억 하는 아파트 하자 하나도 없이 만들어서 팔아야지 무슨 입주자가 하자 찾아서 애먹어 가면서 수리 요청해야 하나? 무결점으로 하자 수리후 입주시켜야 맞다.
@뿡빵뿡-k9r17 сағат бұрын
아파트도 공산품인데 어떻게 하나도 없겠냐 생각좀해라 ㅉㅉ
@janesis431717 сағат бұрын
@뿡빵뿡-k9r 알리 중국산 공산품 천원짜리도 군말없이 환불해 준다. 그것도 반품없이도 말이다 십억짜리는 왜 환불 안 해 주냐
@뿡빵뿡-k9r17 сағат бұрын
@@janesis4317 하자 보수 해주잖아 자동차사서 인수하기전에 확인하는것 처럼
@나니-m1d5 ай бұрын
쌈닭이 되어야 한다는 말에 공감합니다 진상 부리는게 아니라 강력하게 말하고 지x해야 빨리 봐줍니다
@영원한구독자9 ай бұрын
유익한 정보 꼭 사전점검 하세요. 필요한 부분 입니다. ㅋㅋ
@박서준아빠6 ай бұрын
주식투자 안할거면 모르겠지만 투자 계속할거면 주식으로 10만원에서 40억으로 만든 [주식의정석] 이 채널의 영상들을 꼭 보셔야 할거에요 (영상들이 짧아서 보는데 무리없음) 주식투자를 어떻게 해야하는지 주식의 정석을 보여주고 있더군요 아마 은둔고수로 추정되는데요 광고 아니니 오해 없으시길..
@skydriver10049 ай бұрын
쌈닭도 굉장한 스트레스임 사람마다 다를 수 있지만요.. 영상 잘 봤습니다.
@레드불-w5e9 ай бұрын
하자 조사,소송관련 업체 8년차 종사자입니다. 문제는 소유주분이 저렇게 하자라고 주장하셔도 시공사에서 아니라고 보수 안해주면 그만입니다. 하자라고 주장하기 애매한것도 있고 모르고 넘어가는 경우도 있고,보수도 대충 해주죠. 시공사에서는 시간을 끌려는 의도도 있고요. 아파트의 하자 보수는 소유주한테 너무 불리한 구조입니다.근본적인 분양제도와 하자보수관련 제도가 문제가 많습니다.
@잭모리슨-q6p8 ай бұрын
맞습니다. 시공사는 배째모드로 가면 답이 없습니다.근데 하자 피해자가 다수로 등록모집수가 과표집이 되면 시공사입장에서 태도도 달라지거나 언론으로 제보 넣으면 조금은 해결 되는경우도 있습니다.그러나 전체적으로 소송전으로 가면 어차피 민사로 진행해야합니다. 시간과 돈과의 싸움은 각개인의 케이스바이 케이스입니다.
@James-bv5nl7 ай бұрын
전문가 소견으로 대응방안이나 참고해야 할 추가적인 부분이 있을까요? 큰 하자발생시 취소, 소송 할 수 있는 근거자료가 있으면 좋겠네요.
@장볼래5 ай бұрын
빙고.. 시트지 떨어진거 조차도 하자부르면 2년걸림... 거기다가 멀쩡히 붙어있는 타일을 소리들어보고 하자라고 깨라고 하면 안해줌.. 눈에띄게 큰 하자가 아니고선 솔직히 어렵지요. 물론 하자업체가 많아져서 공론화가 많이되면 해줄수가 있겠지만... 어렵긴하죠..
@bettazip5 ай бұрын
와.. 몇만원도 아니고 수십억인데.. 이딴식이군요
@김상용-m2i3 ай бұрын
😅@@잭모리슨-q6p
@김은희-t9z2q9 ай бұрын
일반인은 찿기어려운 하자들이 많네요 많은도움이됐네요^^
@hayun75229 ай бұрын
대부분 모르고 있었던 부분이었는데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jenu67139 ай бұрын
유용한 정보 잘 봤습니다. 👍
@skywalker93706 ай бұрын
스카치테이프 먼지제거용, 고무망치는 요령껏 두드려라,화장실 점검구 안도 보기, 배수는 최대한 멀리서 , 변기는 무릎으로 한번 밀어보기, 라돈 측정(환기하고 빠지는지), 도배는 이음부를 잘봐라(특히 커텐박스) 창문 뒤틀림은 위 아래 스토퍼 여부, 샷시 창문 유리 충격완화 장치 유무, 아트월 손으로 수평여부 확인/이가 나가있는지 확인, 월패드는 동작 여부 확인, 주방 싱크대 들어보기/아일랜드식탁 등 들어보기 들리면 하자다, 문은 모두 열어보고, 닫아놓은 상태에서 수평 수직 확인하기, 종이한장으로 후드 켜보고 종이가 빨리는지 확인(환풍 잘되는지 여부), 난방은 열화상카메라로
화장실 전체 기공인데 매우 잘 알려주시네요 변기옆으로 밀어서 조금만 움직여도 무조건 교체 가능하고 타일은 영상처럼 십자부분은 밥을 채우기가 힘들어요 그래서 십자부분은 소리가 잘날수 있는데 작업자분들 시킬라면 돈 몇만원 더 줘야하고 가운데가 들뜬 소리 나는게 1-2 장이면 시공문제보단 벽이 엄청 얇은곳은 물얇기로 붙여야해서 붙어있지만 뜨는 소리가 납니당 전체타일중 2장 정도만 가운데 텅텅하면 공구리 문제라고 샌각하시는게 편해요 (실제로 하자보수 안해줌) 그냥 배관 타일 천장 시설 하면서 느끼는건 공구리만 멀쩡하게 해놔도 하자 90%는 사라질텐데 매우 힘들죠 ㅠ
@SANTOSLEE-c5m4 ай бұрын
일반인은 찾기 힘든 하자를 잘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레드불-w5e9 ай бұрын
욕실 젠다이에 라돈,방사능은 3~4년쯤에 전라도 전주를 중심으로 많은 이슈가 있었지만 지금은 많이 개선 되었습니다. 시공이 불량했던 건설사도 전부 교체 처리 해준 사례가 있습니다.
@CBDfin9 ай бұрын
믿고 보는 매부리
@ywl76708 ай бұрын
참고는 할수있겠는데 실제로 하자보수를 받을수 있을지 의문이 듭니다.
@jaebeomsim33463 ай бұрын
이미시공한부분에 대해서 하자를 찾는다해도 절대 보수안해줍니다...깨지고 탈락해야 해줄까말까 ...실상은 내가못찾은하자 모르고사는게 정신건강에좋을수도... 이런현실에도 입법부는도대체뭘하길래관련법이 개정되지않을까요답답합니다.지방이라 신축아파트 자주살았는데 메이저건설사니 지역건설사니 다를것없네요
@뱅뱅-y6x9 ай бұрын
벽틀어진거나 바닥수평 찾으면 머하나 ㅋ 벽을 허물고 다시 해주지도않는걸
@김명자-j7c5 ай бұрын
와 선생님말씀 넘감사합니다
@예쁜나비와여행4 ай бұрын
깜끔하고 예쁘네요~❤
@김은희-t9z2q9 ай бұрын
어렵게마련한내집 ^^ 전문가분께 맡기는게 현명할듯~~
@유혜린-e7x9 ай бұрын
저렇게 하자를 접수핫들 하자가 완벽하게 고쳐질지도 의문이네요
@정남철-l3n8 ай бұрын
하자 백날 찾으면 뭐합니까 시공사에서 고치질 않습니다
@5286-w5e29 күн бұрын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레드불-w5e9 ай бұрын
관련 업게 8년차 종사자입니다.하자를 발견했을때 대응 방법 알려드립니다. 1.cs센터에 지속적인 보수 요청:단지내 상주 인원이 있습니다. 구두로 하시기보다는 서류(양식이 관리실에 있을수도 있음)로 만들고 최대한 사진을 많이 찍어두세요. 그리고 시공사에서 말하는걸 다 믿지 마시고 보수하는걸 계속 독촉하셔야합니다. 보수후 마음에 안 드시다면 보수확인서에 사인을 안하시면 됩니다. 2. 입주자 대표에서 집단 대응:입주대표를 통해 시공사 본사와 연차별 하자 내용을 합의 하거나 법정 소송을합니다. 3.하자분쟁조정위원회:국토부에서 운영하는 기관에 신고합니다. 그런데 여기서도 마감하자나 작은 하자들은 인정 받기 힘들고 기간이 오래걸립니다. 현실적으로 이 3가지 방법밖에없습니다. 개인적으로 시공사 본사랑 소송하시면 돈,시간만 들어가서 이건 하자 정말 피해가 심각한 경우가 아니면 하시면 안됩니다.
@fiorikim57027 ай бұрын
잘 봤습니다
@예쁜나비와여행4 ай бұрын
정보 감사합니다. 행복한 하루 되세요~^^♡
@pumpkins3049Ай бұрын
영상 정말 고마워요
@akairyo9 ай бұрын
새아파트라고 좋을까요 신축하자에 시달리면서 빚은 빚대로 시달려 시멘트가 덜 굳어서 층간소음 더 심해 입주단지라 관리도 안되서 주차공간은 더 협소해서 맨날 주차전쟁에 부대시설 많아서 관리비는 관리비대로 비싸 신축에 대한 메리트가 너무 떨어짐 괜히 빚만 없어도 인생 성공한거라는 말이 괜히 있는게 아니다
@タサイ-i9s9 ай бұрын
돈주고 사전점검 해봐야 제대로 수리못받아요. 결국 아파트 전체가 건설사에 소송해서 몇푼 받는걸로 끝입니다. 집에 이런 하자가 있는거구나 편안히 생각하세요. 경험자로 말하자면 안그러면 화병납니다. ㅠㅠㅠ
@タサイ-i9s9 ай бұрын
큰 공사는 하지마세요. 사람들 왔다갔다하고 여기저기 자기집 아니라고 긁히고 더러워지고 결국 내가 청소해야 되고 완벽하게 하지도 못합니다. 한국 대부분 마찬가지 일꺼에요.
@박호진-p4g8 ай бұрын
그래서 마이너스피 받고 공사직접 감독합니다~
@koutsider82667 ай бұрын
대한민국 아파트는 모두가 부실 덩어리. 콘크리트를 타설한 이후부터 최소 5일 동안은 습윤상태 유지를 위해 살수 등을 하도록 국가건설기준에 명시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대한민국의 아파트 건설회사중 어느 한 회사도 이를 지키는 곳이 없으며, 단 한번 살수에 그치거나 그 마저도 하지 않는 부실공사를 계속하고 있습니다. 그러함에도 국토교통부나 지자체 점검시 이를 점검하는 경우는 전혀 없었으며 벌점을 부여받은 회사도 물론 전혀 없습니다. 뜨거운 7월에 타설한 인천검단 아파트 주차장 지붕의 콘크리트가 설계강도의 67% 밖에 나오지 않은 원인도 습윤양생하지 않은 결과 입니다. 100% 이상 나온 자료는 수중양생한 결과일 뿐입니다. 이러한 부실공사를 침묵, 방조, 방관하여 국가건설기준을 어기는 건설사, 감리사, 기술인들에 대해 벌칙을 전혀 가하지 않은 국토교통부장관을 직무유기로 조속히 해임 및 입건하여야 합니다.
@user-boxer20179 ай бұрын
국토부 책임하 사전점검 끝난 뒤에 준공검사 하는걸로 밀어부쳐~
@허파란빤쑤9 ай бұрын
라돈은 백프로닙니다.
@지환김-c6s5 ай бұрын
정말 몰랐던 부분까지 알게 하여주심에 너무나 감사를 드립니다!! 🎉🎉🎉
@Lovelyll멍멍llАй бұрын
도배 현장 일할때 진짜 방 드레스룸 화장실 타일깔기전 똥밭임 ㅋㅋㅋ
@없음-x2w9 ай бұрын
큰돈주고.집샀는데.돈을.더쓰게하는.한철장사하는.속셈의.시공사는.처벌받아야.함니다.
@아빠-c1w8i6 ай бұрын
저렇게 찿아서 하자보수 신청해도 거의.안해즙니디.
@이천-r1w2 ай бұрын
저런 사소한 하자들은 수리안해줌.. 수리받기 힘듬.. 시간이 매우 오래걸림.. 난방.누수.타일깨짐.샤시등 확연히 눈에 들어나는 하자만 수리해줌..
@문철원-i4g9 ай бұрын
정말좋은정보네요 . 일반인들이 이런걸 어떻게 셀프로하나요 못할꺼같네요~
@팔마그마8 ай бұрын
차분히 들여다보시면 충분히 할수있어요
@수인-r5z9 ай бұрын
대리석은 원래 깨짐 방지를 위해서 하부장이랑 고정하는거 아니다 고정한다고 해도 실리콘으로 해서 유격이있게 고정을 하는거고 싱크대 문짝 높낮이는 실제로 물건을 전부다 넣은 상태에서 한번 봐달라고 하는게 맞다 지금 맞춰봐야 의미없다 타일은 100%다 몰탈로 채워서 하면 타일만 30년한 사람도 절대 면못맞춘다 저정도 소리나는건 정상범위다 바닥 찍힘말고 하자1도 없어 보인다
@seongwoolee93259 ай бұрын
하자는 없을수없다 큰하자없음 걍 살아야함 안그러면 스트레스 장난아닙니다
@뿡빵뿡-k9r17 сағат бұрын
화장실 타일은 떠발이시공하면 소리 날텐데
@보물완소건5 ай бұрын
후분양인데 사전점검 가야해서 고민중에 이영상을 보고 있어요 ㅠ 사전점검할때 업체 써야한다고는 하면서 나보고 추려진 업체를 고르라는 데 아 .. ㅜ 업체를 꼭 써야하나요?
씽크대 상판이들리는게 왜 하자인거죠? 들고 다니는것도 아닌데...현업에 종사중인데 가구 수평 안맞는거나 다른건 하자가 맞지만 아일랜드 들리는게 왜 하자인지?
@아빠-c1w8i6 ай бұрын
양변기 저렇게 하다 약간 충격주면 바로 떨어집니다. 잘못된 방법이네요.
@wearetheworld18 ай бұрын
이제 건설사들 클만큼 컸는데도 언데까지 후분양제도를 고집할건지 참.. 선분양제도만 됐어도 pf부실이니 지방에 물량으로 밀어부치는 짓들은 안했을텐데
@MrKiho09128 ай бұрын
욕실바닥 깊이 60이라는 법령이 어디 나와있나요?
@Joy-w2d22 күн бұрын
화나긴 해도 사람이 하는거라 어쩔수 없긴 함
@플로린-v4g5 ай бұрын
사검업체 어딘지 알 수 있을까요?
@jay-vg1fp5 ай бұрын
저도 아파트 하자 보수 일을 하던 사람인데 매우 편하게 설명을 잘해주셔서 도움이 많이 되었네요 쌈닭처럼 싸우라고 하시던데 그게 무조건 좋은건 아닙니다 블랙 리스트 올라가면 좋을거 같지만 집 다 만든거 다 들어 엎어서 공사판 되는경우 많습니다 재시공하면 아니한만 못한경우 많으니 주의 하셔요 적정선의 적당함을 지키는게 중요합니다 고정 불량 흔들림 시공불량 등 저런 하자들은 요청해서 고쳐야 하고요 벽틀어짐 샤시 삐뚤게 달린거 저거 절대 못고칩니다 하자보수의 영역이 아니라 아예 뜯고 공사를 싹 다시 해야 하는거라 다만든 아파트 다시 공사판 되는거에요 여기 저기 스티커 천국 만드시는 분들 있는데 그러면 하자 보수 잘 안합니다 예민한 분이라 생각해서 미미 한건 사실 살면서 이사하면서 다 하자 냅니다 영상속의 고정불량이나 어느정도 이건 넘어갈수 없는데 하는것들만 체크 하시는게 하자보수 잘받는 방법중 하나입니다
@minbyoungkwun5 ай бұрын
분양이 진짜 돈있는자의 제도입니다! 나라에서 청약넣고 분양 돌리는데 다 가짜며 청약통장없어도 요즘 다 분양됨 목돈 없으면 이제는 힘들게 몇년 청약의미 없어졌음
@SunghwanKim-ny9vs9 ай бұрын
봐야할
@sweetso35708 ай бұрын
거실창틀이 흔들립니디.. 정상범위라는데 어떻게 해야할까요
@jay-vg1fp5 ай бұрын
그거 제대로 고쳐지는거 한번도 못봤습니다 창틀이 시공 할때 벽과 제대로 안맞고 고정이 안되서 그러는건데 요새 집이 확장이 기본 옵션이다 보니 그부분 시공때 +/-허용범위가 있는데 좀 틈이 커서 샷시가 고정이 안되는거에요 싹다 뜯고 벽부터 보강하고 다시 샷시 설치하고 해야 하는부분이라 절대 누구도 해주려고 안하는영역입니다 고층이면 크렌인도 와야 하는데 누가 그거 해주겠어요 안타깝습니다
@김태헌-g2q9 ай бұрын
대행업체줄돈으로 가전사에요
@산타-l5t9 ай бұрын
하자만200개 붙이기 ㅋㅋㅋ 새집인데ㅜ개빡팀
@taekyu87018 ай бұрын
확실히 법이 기업편 서민들만 죽어나지
@namo58449 ай бұрын
신차도 돈내고 검사하고 신축 아파트도 돈내고 검사하고 저거 저분이 점검하면 보수 다 해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