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은 언제나 승리만 했었다, 그런데 왜 한반도에선 휴전을 택했을까?

  Рет қаралды 57,392

Everything Box TV, [God of War

Everything Box TV, [God of War

3 ай бұрын

미국은 원래부터 외로운 거인,
즉 남의 일에 신경쓰지 않는 고립주의의 나라였습니다.
하지만 1941년 12월 7일, 일본의 진주만 공격으로 고립주의는 깨지게 됩니다.
1945년 8월, 2차 대전은 미국의 승리로 끝났습니다.
그러자 미국은 대대적인 군비 축소를 시작합니다.
5년이 지나 1950년이 되자 미국의 병력은 약 146만명 수준으로 쪼그라들게 됩니다.
그 당시 미국은 어떠한 세계전략을 갖고 있었을까?
우리 미국의 주적은 소련이다.
서부 유럽만은 소련으로부터 반드시 지켜야한다.
그렇다면 극동 아시아는?
극동 아시아는 해군과 공군 그리고 핵폭탄으로 방어만 한다.
마침내 1950년 6월 25일, 6.25전쟁이 시작되었고
벌어지는 상황은 미국의 예상을 모두 비껴나가게 되는데...
✅ 구독하기
👉 / @war-history
✅ 6.25 전쟁 컨텐츠 재생목록: • 6.25전쟁 (한국전쟁)
✅ [자발적 시청료계좌]: 국민은행 442802-01-064997 (예금주 : 이X민)
✅ 광고 및 비즈니스 문의: lwc76@naver.com
💛회원가입을 통한 혜택과 커피한잔 후원💛
👉 / @war-history
#38선#이승만#휴전

Пікірлер: 388
@war-history
@war-history 3 ай бұрын
10:59 에 나오는 세계 GNP 순위는 2022년 기준입니다! 2위 중국, 3위 일본, 13위 대한민국입니다.
@Zuilietzhan
@Zuilietzhan 3 ай бұрын
지금 열도 4등!! 독일이 3 등,,!!
@kdwni03
@kdwni03 3 ай бұрын
근데 한국전쟁 없었다면 일본은 지금처럼 경제대국이되었을까요?
@JW-wq7vq
@JW-wq7vq 3 ай бұрын
@@kdwni03 // 베트남 전쟁은 왜 빼먹었나요??.. 일본은 한국 전쟁과 베트남 전쟁 때문에 많은 이득을 보았죠
@kdwni03
@kdwni03 3 ай бұрын
@@JW-wq7vq 배트남전쟁 때 우리나라도 이득보지않았나요?
@user-bb2qt5hc6p
@user-bb2qt5hc6p 2 ай бұрын
@@kdwni03 그래서 일본도 한국한테 한국전쟁 특수로 인한, 전쟁복구와 경제도약의 은혜를 갚으려고 나름, 울나라한테 중화학공업에 대한 기술전부를 거의 뭐 무상으로 전수해줬잖아요. 뭐물론 미국의 압력이 있기도 했지만, 결과적으론 일본이 전부 가르쳐줘서 울나라가 그동안 경공업으로 밥만 안굶고 살정도였는데, 중화학공업으로 업종변경해서, 뭐 크나큰 중진국함정에 딱히 걸리지도 않고, 무난히 달려와서 지금의 선진국이 되었잖아요 ㅎㅎ 뭐 중간에 IMF 라는 성장통이 있긴했습니다만... ㅎ 울나라가 학용품,섬유의류,가발등이나 만들면서 이제겨우 밥이나 안굶고 살았던 경제였잖아요. 그걸 중국과 동남아가 지네들도 경제 일으킨다고, 경공업 한다고 그러니까 , 울나라도 고민이 많았습니다. 점점 오르는 인건비에, 그로인한 상품가격의 상승으로 값싼 상품으로 대체되는 중국과 동남아로 인해 경쟁력이 조금씩 떨어질때쯤에, 중화학 공업으로 업종변경 성공해서, 중진국 딱지를 일찍 때어냈잖아요 ㅎ 그때 일본이 중화학 핵심기술을 모두 전수해준 덕분이잖습니까. 반도체,제철,기계,조선,자동차,원전,건설,원유정제 등등의 중화학 기술을 전수받아서 업종변경을 성공적으로 이룸. 80년대 초중반 싱가폴 홍콩도 금융업과 관광업이었구요. 중국은 이제 울나라의 경공업을 대체할려고 했을때구요. 대만은 제조업 규모가 너무 작았구요. 미국 독일도 핵심기술이나 중요한 기술은 잘 안가르쳐줄려고 했구요. 일본이 유일하게 무상으로 가르쳐줬잖습니까. 심지어 자잘한 라면 만드는 기술까지도요 ㅋ 삼양이랑, 농심, 팔도에다가 ㅋ 난 그래서 이런걸 근거로 한국전쟁 특수로 인한 도약에 대해, 일본이 은혜는 갚았다고 생각합니다. 뭐 이정도면 충분히 갚은거죠. 뭐 울나라도 그덕에 별달리 중진국으로 오래 머물지도 않고, 선진국이 됐으니까요 ㅎㅎ 대부분 중진국 함정에서 못벗어나서 게속 머물러있는 나라가 부지기수 입니다.
@churlkoh8053
@churlkoh8053 3 ай бұрын
그당시에는 한국과 중국이 이렇게 클줄 몰랐거든요...70년전에 일을 제대로 안끝냈으니, 일을 두번하게 생겼습니다. 중국 분할입니다.
@Ulsanman3
@Ulsanman3 2 ай бұрын
당시 중국은 분활되어있었음 문제는 그것을 지키지 못했죠 미국이 자유중국에 제대로 지원해서 북쪽 중공 남쪽 자유중국으로 유지하게만 했으면 6.25도 없었음 김일성이 처음부터 6.25 생각한것은 아니고 국공내전에서 중공이 이기자 이것을 이것을 기회로 남침을 계획했습니다 남북조 시대처럼만 됬어도 베트남도 공산화 되지 못했습니다 북베트남은 중공의 지원 없었으면 버티기 어려웠거든요 당시 소련은 너무 멀리 있으니 지원해주기 힘들죠 추가로 이것이 가능한 원인은 바로 일본 때문입니다 일본이 항복만 일찍 했으면 소련이 동아시아 군대를 보내지 않았을것이고 그럼 중공이 부활하지도 못했습니다 당시 소련은 동유럽 전선에서 너무 많은 전사자가 발생해서 일본과 전쟁은 반대했는데 미국이 강하게 요구해서 어쩔수 없이 병력을 동북아시아로 돌립니다 이 병력이 만주군과 싸워서 만주와 한반도 북부를 점령하죠 소련이 일본에 선전포고 하기 전에 항복할 기회가 있었는데 거부한 것이 근본적인 원인입니다 참고로 소련이 일본에 선전포고 한것은 일제 패망일과 몇일 차이도 안납니다 그 몇일 차이 때문에 동북아시아 많은 국가들이 공산화가 됩니다
@neogeo1826
@neogeo1826 2 ай бұрын
중국은 모르겠는데 한국은 지금 쩌리입니다. 국제적으로 아무런 영향력도 힘도 없는 변방 패싱국가에요. 한국안에서만 있으니 한국을 너무 과대평가하는 겁니다;; 좀 해외에도 나가서 살아보고 하세요 한심스러운 댓글 달고 망신당하지 말고
@user-pb9is2gg3j
@user-pb9is2gg3j 2 ай бұрын
정확하고 대단하십니다 정말 명쾌하고 훌륭한 말씀. 공감합니다
@evenstararwen9367
@evenstararwen9367 2 ай бұрын
그 당시 중국에서 신장위구르, 티벳, 그리고 몽골, 나아가 만주국 이 정도로 독립국가들만 세워줬어도, 그 이후 중국이 결코 이렇게 힘을 키우진 못했을텐데, 전혀 견제 받지 않는 통일국가로 놔둔게 미국의 큰 실책. 나아가 1979년 미국이 중국과 수교하고 글로벌 시장에 참여 시킨 것까지. 근데 음모론적 해석이긴 하지만 헨리키신저 (유태인)부터 고의적으로 그런것 아닌가 싶기도 함. 즉 미국의 적들을 충분히 싱싱하고 적당히 강한 상태로 유지해야지만 유태인 그리고 군산복합업체 모두에게 이익이니까. 미국은 1위지만 완전히 수퍼파워가 아닌, 2,3위가 힘을 합치면 대등하게 대적할 수 있는 애매한 1위로 유지하는 것. 그것이 유태인의 전략이라고 보는 시각이 있음. 국가가 너무 강해지면 언제나 유태인들을 핍박해왔던 역사를 그들은 기억하는거라고 함.
@Miles_Link
@Miles_Link 2 ай бұрын
그래서 S들이 전략을 말하면 그냥 쓰레기통에 넣어도 됨
@punisher3235
@punisher3235 3 ай бұрын
아이러니하게도... 평화의 가장 큰적은 평화주의자다...
@514mook
@514mook 3 ай бұрын
한국전 참전 미군 할아버지를 만난적 있는데 thank you for your service 라는 제 말에 통일시켜주지 못해서 미안하다, 전쟁은 아직 끝나지 않았다 라고 말하셔서 감동받은 적 있습니다. 아마도 영상에 나오는대로 당시 한국인들의 통일에 대한 열망을 느끼셨기 때문인것같아요
@drsamkim
@drsamkim 3 ай бұрын
결론은 하나.. 힘이 있어야 한다. 자유는 공짜가 아니다.
@user-kh5rv4ds8s
@user-kh5rv4ds8s 2 ай бұрын
현실은 미군이 철수하면 휴전선에 배치된 북한 장사정포 10000대가 단 5분만에 서울 수도권 초토화시키는게 냉정한현실..
@user-sv1fk4gl2f
@user-sv1fk4gl2f 3 ай бұрын
미국이 아무리 능력이되도 극동의 조그만 나라의 통일에 금쪽같은 미국 청년들의 대량의 피를 쏟아부을 명분이 없었다 2차대전때 엄청난 댓가를 치루고 얼마지나지 않았는데
@user-by9xj7cg2u
@user-by9xj7cg2u 3 күн бұрын
50년 1월 미 에치슨 국무장관 발표한 에치슨 라인(한반도 제외)이 6.25 전쟁의 단초가 됐죠...
@mangdrai000
@mangdrai000 3 ай бұрын
교과서와 나라가 가르치지 않는 피의 역사를 고스란히 가르쳐 주셔서 감사합니다 오늘의 교과서와 교육 관계자들 그리고 미디어들은 정치적으로 경도되고 진영을 형성하여 진실의 목소리를 폄훼 왜곡 하고 있습니다 그들은 우리 나라가 자유 민주주의 국가임에도 불구하고 우리에게 그들의 말을 들을 것을 전체주의적으로 강요하고 있습니다 심지어 그들은 문민정부 이후 기득권을 형성했고 그것에 대한 역사 바로잡기를 하려 할 때에도 탄압을 당한다는 둥 피해자 흉내를 내며 지지를 호소했습니다 이것이 선생님의 컨텐츠가 더없이 소중한 이유입니다 꼭 이런 내용들을 남겨 주셔서 후대가 알 수 있도록 도움을 주시기 바랍니다
@rlee4805
@rlee4805 3 ай бұрын
엄밀한 고증과 해설 언제나 감사합니다
@shanestory3879
@shanestory3879 3 ай бұрын
정말 감사 드립니다. 상당히 유익했습니다.
@el100
@el100 3 ай бұрын
2차대전에서 인명 피해가 너무 커서 다시 일어날 3차대전을 두려워했죠. 북진하다가 중공군 개입으로 많은 인명 피해를 보고, 3차대전까지 각오를 해야히는 확전을 피한 것이었죠. 이승만 대통령이 휴전을 수락하는 대신 한국군의 무장과 미군의 주둔을 약속 받아서 지금까지 왔죠.
@user-by9xj7cg2u
@user-by9xj7cg2u 3 күн бұрын
야반도주 런. 이승만이 전작권 자체를 미국에 넘김..ㅠ
@user-wc2dh9qv6p
@user-wc2dh9qv6p 3 ай бұрын
아 맥아더 장군 님 전력 을 무시 하다니 투루먼 개짝
@sanbeetal
@sanbeetal 3 ай бұрын
지나고 나니... 맥아더의 생각을 쫓아가지 못한 미 백악관....
@user-nn7lr6uo3w
@user-nn7lr6uo3w 3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user-px1nt9ut6o
@user-px1nt9ut6o 28 күн бұрын
진짜 논리적 유튜버시네요... 항상 응원해요!!
@war-history
@war-history 28 күн бұрын
감사드립니다. 이 컨텐츠를 보시면 아셨겠지만 미국은 6.25전쟁에서 결국 원래 하던대로 하게 됩니다. 트럼프가 원래의 미국으로 돌아가려고 하듯 말입니다. 성공할 거라고 믿지 않았던 인천상륙작전이 성공하여 미군과 국군이 함께 북진하던 것이 오히려 특이한 상황이었다는 사실! 이제 아셨을 것입니다.
@user-px1nt9ut6o
@user-px1nt9ut6o 28 күн бұрын
@@war-history 근데 트럼프 무식한 개새가 정권 다시 잡으면... 골치 아파요..ㅋㅋ
@user-by9xj7cg2u
@user-by9xj7cg2u 3 күн бұрын
이런게 진짜 보수 (유투버)임..
@JW-wq7vq
@JW-wq7vq 3 ай бұрын
미국은 6.25전쟁을 수행할 돈이 없었던 것 이었습니다 ... 잿더미된 서유럽을 재건하기 위해서 천문학적인 돈이 필요했던 이유라 ... 극동 아시아 특히 대한민국을 위해서 투자할 돈이 없었던 이유었습니다 ... 6.25 전쟁이후 삭감되었던 미국 국방비가 증액되었던 이유 였고 ... 특히 미국에게 명분이 없었던 6.25 전쟁을 질질 끌 이유도 없었죠 특히 미국은 자국의 인명을 가장 중요하게 여겼고 소련 과 중국은 ... 인명은 어차피 소모품 취급을 하던 시대 이었고 지금도 소모품 처럼 생각하는 국가들이라 ... 돈과 인명을 아무런 이득이 없던 나라들에게 소모시킬 이유가 없었죠
@war-history
@war-history 3 ай бұрын
마셜 플랜이죠! 즉 돈. 이것은 트루먼 정부가 한국 정부에서 공식적으로 요청했던 M26 퍼싱전차를 주지 않았던 이유이기도 합니다. 표면상의 이유는 한국의 지형이었지만 실제로는 돈입니다. kzbin.info/www/bejne/qH-sl5ikq7CNpaM (미국이 국군에게 전차를 주지 않은 이유)
@user-ix8dp9xs9i
@user-ix8dp9xs9i 3 ай бұрын
한국전을 시작으로 미군의 무승부 내지 전략적 패배 기록이 시작되었고 반미 국가들은 그 기록에서 많은 것을 배웠죠 그나마 파나마 침공으로 미국은 체면치레를 했지만ㅜㅜ
@johnlee4545
@johnlee4545 3 ай бұрын
인간은 절실한 무언가가 있을 때 결정을 하면 안됩니다. 매순간 말이죠.
@cameleonblue2722
@cameleonblue2722 3 ай бұрын
한국전 휴전후 베트남전 패배
@wlcjfgh121
@wlcjfgh121 3 ай бұрын
담백하네. 휴전협정 날인에도 한국은 없지.
@user-hl4cz9ti8j
@user-hl4cz9ti8j 3 ай бұрын
남의 나라의 전쟁이라 자국민들이 전쟁 지속을 반대했죠 ㅜ 내 아들, 내 남편들이 왜 머나먼 아시아의 소국을 위해 이렇게 자꾸 죽어나가야 하면서 ㅜ 대통령 입장에선 우리보다 미국인들을 우선시해야 했으므로 휴전을 택할 수밖에 없었죠 ㅜ
@user-kh5rv4ds8s
@user-kh5rv4ds8s 2 ай бұрын
그냥 미국이 한반도 반쪽이라도 지켜낸걸 다행이라 생각해야지..지금 미국이 이란과 전쟁한다고하면 당신들이 한국군으로 파병가서 미국을위해 싸울수잇을까? 절대 못하잖아? 똑같은거지
@0lsc2866
@0lsc2866 3 ай бұрын
고립주의를 택하면 기축통화도 포기해야지 세계경제가 박살날테지만 말야
@user-rj7eo1ht9o
@user-rj7eo1ht9o 2 ай бұрын
진짜 그 당시에 중공과 소련이 참전 했을때 미국이 베이징과 모스크바에 핵을 떨어트렸으면 백퍼 중공과 소련은 물러나고 북괴군은 괴멸 했을텐데
@Coinbug5
@Coinbug5 3 ай бұрын
통일 못한건 아쉽긴 하지만 버리지 않고 남한만이라도 지켜준거에 대해 감사해야죠...6.25로 미국도 많은 병사가 전사했습니다 (만약 6.25당시 미국이 참전 안하고 애치슨라인 채택했으면 남한은 100%적화통일 이었습니다)
@user-bj9zu2pw8b
@user-bj9zu2pw8b 3 ай бұрын
평생 고맙게 생각하시고 미국인들보면 굽신굽신 절도 넓죽 하시고 ㅎ ㅎ 분단을 만들어서 내전이 발생하게된 원인도 미국에게 있다는것을 깨우치기 전까진.....
@user-ww1ut2om7c
@user-ww1ut2om7c 3 ай бұрын
​@@user-bj9zu2pw8b분단의 원흉이 미국이라네ㅋㅋ 미국아니였으면 평생 김부자한테 충성맹세하고 살았을 놈들이 ㅋㅋ 이런 종북좌파들은 왜 월북을 안하나몰라ㅋㅋㅋ
@hyunwoolim3167
@hyunwoolim3167 3 ай бұрын
미국이 38선을 기준으로 분단 안했으면 한반도 전역이 소련 자치였는데 ?
@bellajuelk.4156
@bellajuelk.4156 3 ай бұрын
@@user-bj9zu2pw8b 여어 공산주의자 간첩놈이 어디서 댓글질이여
@user-bj9zu2pw8b
@user-bj9zu2pw8b 3 ай бұрын
@@user-ww1ut2om7c 너가 아는만큼만 생각하는거고 세상도 수준만큼만 그리 보이는거지 ㅋㅋㅋ 이북에있는 김일성같은 사기독재자에게 쉽게 세뇌당하는 골빈것들이 그걸 증명하는거고
@keyyoungsong6626
@keyyoungsong6626 3 ай бұрын
미국의 입장에서 한국전쟁은 제한전이었던 것입니다. 그것은 현재도 마찬가지 입니다.
@JW-wq7vq
@JW-wq7vq 3 ай бұрын
현제는 절대 아니죠 .... 한국을 잃는다는것은 미국이 한국에 팔 소비시장을 잃는것과 매 마찬가지 입니다 ... 미국은 적극적으로 한국전쟁에 개입할것 입니다
@user-xz3si6vv8p
@user-xz3si6vv8p 3 ай бұрын
중국의 해군이 태평양으로 빠져 나오지 못하게 대만, 한국, 일본, 미국이 막고 있습니다.
@keyyoungsong6626
@keyyoungsong6626 3 ай бұрын
@@JW-wq7vq 한반도에서의 제한전이라는 것은 미국의 군사활동의 범위 지역을 휴전선까지 한다는 것입니다. 즉 미국이 북한 지역을 공군 및 미사일을 활용해 공격할 수는 있어도 북한 지역을 점령하는 행위는 피한다는 것입니다. 한국을 포기한다는 것이 아닙니다.
@user-oq6be6gd1v
@user-oq6be6gd1v 3 ай бұрын
경제와 안보에 있어서 한국은 미국에게 항상 일본 다음 가는 제2 옵션 입니다. 있으면 아주 좋고 없으면 아쉬운 정도 입니다. 한국이 못나고 후져서가 아니라 지정학적 요인이 가장 크죠. 소위 에치슨 라인 이라 불리웠던 미국의 방어 라인 밖에 존재 하니까요. 한국은 항상 이걸 잘 이해 하고 미국을 대해야 합니다. 한반도 천동설은 정말 큰 착각 이고요.
@user-ul6iz7ok6i
@user-ul6iz7ok6i 3 ай бұрын
​@@user-xz3si6vv8p 네 막고 있죠. 그렇지만 만약 또다시 전쟁이 난다면 미국은 우크처럼 대만이나한반도 내에서/좀더 나아가 바다 아주 제한적으로 싸울겁니다. 강대국들이 개입된 제한적인 전쟁은 시리아미얀마아프칸우크등 끝이없는 지루한 장기전이 될것. 그 피해는 고스란히 해당국(대만한국)만의 몫이라는...
@user-xc7xy6to7r
@user-xc7xy6to7r 3 ай бұрын
어떤 사건에 대한 평가는 대부분 현재 기준으로 평가합니다 .. 당시 기준으로 하는 경우는 드물지요 . 현재 기준로는 트루만의 만주폭격 거부가 역사적 범죄 수준이지만 당시 기준으로는 만주폭격 거부가 현명한 판단이었을 겁니다 .. 그런 면에서 맥아더의 당시 주장은 미래를 정확히 내다 본 예언가적 판단이었습니다 ..
@user-zs7eb5uc9r
@user-zs7eb5uc9r 3 ай бұрын
트루먼의 폭격거부가 범죄라니 먼 맥아더 빠도리 잠꼬대냐? 맥아더의 혜안? 그병시니 아직도 대단한 군인으로 처보이면 니 아이큐는 50언더로 보면 된다
@user-zs7eb5uc9r
@user-zs7eb5uc9r 3 ай бұрын
아직도 맥아더를 닥치고 처빠네 ....대체 덕아웃덕 그 병신이 명장인줄 아네 ...생각을 좀 하고 떠듭시다
@user-zs7eb5uc9r
@user-zs7eb5uc9r 3 ай бұрын
맥아더 만주폭격을 가장 반대한게 미공군이란다 멀좀 알고 멍멍대삼
@ganekim
@ganekim 3 ай бұрын
당시 미국의 선택이 지금 미국에 송곳이 되었다는 것에 모든이에게 아픔을 느낍니다. 안따갑지만 당시 시대적 상황과 미국의 성질로 본다면 스스로 무기를 만들지 못해 기본적인 자국방어를 못하는 국가를 미국이 개무시했던 건 당연지사.
@user-kh5rv4ds8s
@user-kh5rv4ds8s 2 ай бұрын
ㅇㅈ 지금 현재 우리나라가 부탄 보는 시선이랑 똑같데ㅋㅋ 솔직히 중국처럼 자원이 풍부한 나라도 아니고 일본처럼 발전된 국가도 아닌 거지국가를 왜 미국이 챙겨줘야되나
@Zuilietzhan
@Zuilietzhan 3 ай бұрын
헤리 트루먼 대신 공화당 아이젠아워가 집권하면서 휴전을 한거지… 아이젠아워는 한반도에서 완전 손떼길 원했음
@user-hl4cz9ti8j
@user-hl4cz9ti8j 3 ай бұрын
당시 미국은 소련과 냉전구도가 점점 심해지는 상태였고 한반도 외에 대만, 인도차이나, 중동, 유럽 등 온 세계에서 공산주의의 확장을 막아야만 했죠 ㅜ 자국 젊은이들이 한반도에서 계속 희생되고 있어 미국인들의 참전 지속반대 요구도 거세졌고 또 계속 한반도에 묶이면 다른 지역들에서 공산주의 방어에 문제가 생길 우려가 매우 컸답니다
@user-js2dk6nz5f
@user-js2dk6nz5f 3 ай бұрын
유럽에서 온 백인들이 세운 나라라 본향을 못 잊은거지~~😢
@sjyoon0603
@sjyoon0603 3 ай бұрын
주인장님 좋은 영상 잘봤습니다. 지금 중국발 경제위기가 온다고 하는데 역사가 어떻게 바뀔지 한번 지켜보죠.
@ycsong3614
@ycsong3614 3 ай бұрын
미국이 고립주의를 택하고 서유럽을 중시한 이유는 세계지도를 보면 알수있습니다. 고립주의를 택한 이유는 돈있는 부자가 전원주택에 살지 층간소음으로 씨끄러운 아파트에 살기를 싫은 이유와 같다고 봅니다. 서유럽이 먹히면 미국과 거리가 가까워서 안보에 위협이 되기 때문입니다. 문제는 과거에는 영토확보가 중요해 졌다면 지금은 경제가 더 중요해 졌다는 점입니다. 중요한것은 이념이 아니라 경제인것 같습니다
@0lsc2866
@0lsc2866 3 ай бұрын
그럼 기축도 포기할 준비를 해야지 세계경제가 박살날테지만 언제나 그렇듯 새로운 나라가 그걸 대신하니까
@user-kh5rv4ds8s
@user-kh5rv4ds8s 2 ай бұрын
@@0lsc2866 미친소리하네 ㅋㅋ 새로운 나라 라고 해봐야 중국밖에 없는데 걔들이 미국처럼 평화롭게 패권을 유지하겟냐 한반도랑 대만부터 인해전술로 쳐들어가 점령하겟지
@tkdkkkk
@tkdkkkk 3 ай бұрын
아..미군이 왜 1.4 후퇴때 막지않고 후퇴했는지 이제야 알게됐네요. 결국 한국전쟁 승리가 목적이 아니었군요...많이 아쉽네요 서부유럽쪽도 자유진영이고 극동아시아의 반도를 완벽하게 자유진영의 발판으로 쓸 수 있었다면 굉장히 좋은 선택이 됐을건데..
@user-hl4cz9ti8j
@user-hl4cz9ti8j 3 ай бұрын
애초에 소련에게 대일전 참전을 요청하지 않았다면 1,2년 더 끌었을지언정 일본은 결국 항복했을 거고 한반도 전체는 미국의 세력권이 되었을 겁니다. 소련은 러일전쟁에서 빼앗긴 남부사할린만 돌려받는 선에서 끝났을 거고요
@war-history
@war-history 3 ай бұрын
맞습니다. 처음부터 남한 보존만이 목적이었다는 것이 중요합니다. 중공군 참전 전부터 말입니다. 아니 6.25 전쟁 전부터 그것이 전략이었습니다. 아마 이 사실은 우리 대부분은 거의 모를 것입니다. 북진 자체가 맥아더 장군의 입김이 크게 작용했습니다. 07:32 에 나오는 미 합참의 지시문을 보면 나옵니다만 정말 어쩔 수 없이 마지 못해 북진을 허락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war-history
@war-history 3 ай бұрын
@@user-hl4cz9ti8j kzbin.info/www/bejne/jWjRk2mLaKlqeMU (한반도와 일본의 운명을 바꿔버렸던 미국과 소련의 군사적 차이는?) 말씀하신 것과 관련된 컨텐츠가 있습니다.
@eesoggun
@eesoggun 3 ай бұрын
일본의 발작버튼 사할린
@user-kh5rv4ds8s
@user-kh5rv4ds8s 2 ай бұрын
생각좀하고 살자 미국은 한반도가 공산화 되는것만 막는게 최우선이지 한반도 통일을위해서 미국 젊은이들이 계속 전쟁에 소모되어야할 이유가 없는데? 휴전말고는 선택지가 없었다
@grandmaster7146
@grandmaster7146 3 ай бұрын
7:47 야이 정치꾼아!싸우라는거야 말라는거야?
@war-history
@war-history 3 ай бұрын
실제 미 합동참모본부가 맥아더에게 내려보낸 전문 내용을 그대로 얘기한 것입니다. 우리는 북진이 그냥 쉽게 되었다고 생각하겠지만 북한군이 패주하던 상황인데도 엄청나게 힘들게 마지못해 된 것이 북진이었습니다.
@frederichkwak3822
@frederichkwak3822 3 ай бұрын
중간에 나오는 bgm 제목이 알고 싶습니다~^^
@war-history
@war-history 3 ай бұрын
중간에 BGM이 여러개라서 시간대를 알려주셔야 할 것 같습니다.
@frederichkwak3822
@frederichkwak3822 3 ай бұрын
2분58초 입니다
@war-history
@war-history 3 ай бұрын
@@frederichkwak3822 over there. 1~2차대전 당시 미 육군군가입니다.
@frederichkwak3822
@frederichkwak3822 3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kmkim5487
@kmkim5487 3 ай бұрын
영국 등 유럽국가들이 소련의 보복 공격이 무서워 핵공격 절대 반대했을 것임
@user-hl4cz9ti8j
@user-hl4cz9ti8j 3 ай бұрын
ㅇㅇ 동의합니다 ㅜ 설사 미국정부가 승인했어도 다른 유엔 회원국들이 반대해서 결국 못했을 겁니다
@user-cx2kg8im5n
@user-cx2kg8im5n 3 ай бұрын
영국의 애틀리총리는 쏘련이 유럽을 침공할것이 두려워서 한반도 전쟁의 확전을 원하지 않았음.중공의 참전이후 맥아더원수의 중공과의 확전을 반대했음. 영국이 중공과의 전면전에 반대하지 않았다면 미군은 전쟁에 선택지가 더 많았을 것임.
@daewookkim4795
@daewookkim4795 3 ай бұрын
그런데 그런 모습 때문에 애틀리 총리 이후 총리에 당선된 사람이 바로 윈스턴 처칠이었으니........... 진짜 정치와 전쟁이 섞이면 ......... 누가 정의인지 악인지 구별하는 것이 너무나도 힘들다고나 할까요?
@user-cx2kg8im5n
@user-cx2kg8im5n 3 ай бұрын
@@daewookkim4795 애틀리는 처칠 이후의 총리 아닌가요?처칠 이전은 채임벌리였고요
@daewookkim4795
@daewookkim4795 3 ай бұрын
@@user-cx2kg8im5n 2차대전 이전에 체임벌린 이후 처칠이 당선되었다가 1944년에 총선에서 패해서 애틀리가 총리가 되었는데 다시 총선에서 패해서 처칠이 다시 총리가 되었지요.
@user-kh5rv4ds8s
@user-kh5rv4ds8s 2 ай бұрын
애당초 2차대전이 끝나고 스탈린은 언젠가 미국과 한판 붙어야 되는데 어디를골라야 미국의 국력을 깍아먹을수있을지 구상하던차에 때마침 김일성이 방문하면서 전장이 결정됩니다
@c.wnimitz9128
@c.wnimitz9128 3 ай бұрын
진짜 궁금한게 한국전이 아예 안 일어났다면 동북아는 지금 처럼 동남아 보다 경제발전을 할수 있었을까? 라는 궁금증이 생기네요...
@user-gc1tt2oh9b
@user-gc1tt2oh9b 3 ай бұрын
개인적인생각이겠지만 국공내전때 미국이 확실하게 중화민국 지원해줬으면 공산당이 활개를치는일이 없었을텐데
@daewookkim4795
@daewookkim4795 3 ай бұрын
국민당의 부패는 지금 우크라이나 이상급이었습니다. 아무리 미국이라도 밑 빠진 독에 달러를 퍼붓는 것은 껄끄럽다고나 할까요? 그리고 그런 부분이 지금 트럼프가 바이든을 까는 가장 핵심적인 요소이자 미국인들이 트럼프를 지지하는 핵심이니까 말입니다. 우리가 피땀흘려 번 돈을 그런 지 뒷주머니 채우는 것들 배나 불리기 위해서 퍼줘야 하냐? 그것도 잘난 정치적인 체면을 위해서? 그것이 지금 미국인들의 생각이니.............
@eesoggun
@eesoggun 3 ай бұрын
😂 생각을 해봐 중국이 민주주의로 더 선진국이다? 그럼 중국이 가만히 있겠음? 러시아도 민주주의인데 저러고 있잖아 ㅋㅋ
@user-gc1tt2oh9b
@user-gc1tt2oh9b 3 ай бұрын
@@eesoggun 뭔 개소리임?
@eesoggun
@eesoggun 3 ай бұрын
@@user-gc1tt2oh9b 중국이 똑똑해지면 니 인생이 더 힘들다고 ㅋㅋ
@user-kj7nc4xt9e
@user-kj7nc4xt9e 2 ай бұрын
맞음 뒤로도 공산당 지원함 계속 서로 싸우라고 그런거 같음
@kdwni03
@kdwni03 3 ай бұрын
그때 핵을투하했다면 대박났을것이고 많은것이 번했을것같내요
@nagana1300
@nagana1300 2 ай бұрын
중국의 국공내전당시 모택동을 미국고위관료들이 만나고 지원해준 자료가 있던데요 이건 미국이 소련공산당을 견제하기 위해 모택동을 지원한 것인지 아니면 미국정계내 공산주의 세력이 도운것인지 알고싶습니다 이에 대한 취재도 부탁드려요
@war-history
@war-history 2 ай бұрын
관련된 컨텐츠가 있습니다. kzbin.info/www/bejne/oqu9Z6d-opWlaMU (6.25전쟁 때문에 날아가버린 대만침공의 꿈. 결국은 중공군은 한국전쟁에 참전했다.) 애치슨 선언은 아실 것입니다. 대만과 대한민국을 미국의 극동 방어선에서 제외한다! 지금은 비밀자료가 많이 공개되어 밝혀진 사실이지만 1950년 미국의 국무장관 애치슨이 발표한 애치슨 선언은 새롭게 중국대륙을 통일한 마오쩌둥에 대한 미국의 유화제스처였습니다. 어짜피 중국 전체가 마오쩌둥 손에 들어갔으니 공산주의 소련과 친해지지 말고 미국과 미국과 관계를 좋게 해보자는 미국의 유화제스처였습니다. 김일성이 소련과 중국을 찾아다니며 전쟁구걸만 하지 않았더라도 현재의 중국과 대만 문제도 없었을 것입니다. 이 부분은 영상을 봐야만 이해가 될 것입니다.
@tree_2
@tree_2 3 ай бұрын
🌳미국의 문제가 아니라 지금의 이런 상황이 오게될 것이라고 미래를 예측하고 중국이 참전했으니 오히려 기회라고 북진 중국까지 밀고 올라가야 한다고 트루먼을 설득시킬수 있는 인재가 대한민국에겐 없었던 거지요.🌳
@user-kn9zd5bi6t
@user-kn9zd5bi6t 3 ай бұрын
당시 미국의 결정은 지금 중공이 까부는 모습을 보면 안타깝기 그지없습니다만... 어느정도는 결과론이라고 봐야될 것 같습니다. 물론 그 이후에 소련과 중공이 보여준 국력을 생각하면 그대로 밀어붙여도 됐을 법 하지만... 게다가 중공은 대약진운동과 문화대혁명이라는 쌍콤보까지 작렬시켜서 한강의 기적의발판이 됐죠. (미국입장에서) 서유럽을 방치했다간 터키는 몰라도 그리스나 이탈리아는 위험했고... 아직도 독일 사민당이나 프랑스 사회당 이탈리아 공산당 같은 좌파계 정당들이 90년대까지 활개를 첬었고 특히 당시에는 매우 매우 강력한 국민들의 지지까지 받는 정치 세력이었습니다. 대한민국의 입장이 아닌 미국 입장에서는 서유럽에 힘주는게 맞긴 했다고 봅니다... 다만 70년대 미국 국력이 꺽이면서의 포석으로서 가장 아쉬운 지점은 현실주의 정치학자입네하는 것들이 못빨아 안달인 키신저 놈이 핑퐁외교 운운하며 중공을 키운거라고 봅니다. 그대로 뒀으면 대만하고 반띵이 되서 제국들이 가장 좋아하는 그 이이제이 형국이 됐을 겁니다.
@eesoggun
@eesoggun 3 ай бұрын
멕아더 이전에 국공내전 때 아몰랑 했던게 제일 큰 듯 ㅋㅋ
@sangmyeongshin
@sangmyeongshin 2 ай бұрын
2024, 3, 4, 14:20 잘 보고 있습니다
@user-hl4cz9ti8j
@user-hl4cz9ti8j 3 ай бұрын
애초에 루즈벨트가 친소련주의를 버리고 소련의 참전을 자꾸 종용하지 않았다면 동아시아는 미국 독차지가 되었습니다 ㅜ 소련은 러일전쟁에서 빼앗긴 남사할린만 돌려받고 쿠릴열도는 그대로 일본 영토로 남겨놓았을 게 뻔한데 그럼 알류산열도가 미국령이라 미국은 소련의 태평양진출을 적극 봉쇄하는 엄청난 이점을 가질 수 있을 텐데 스스로 좋은 기회를 차버렸죠
@JW-wq7vq
@JW-wq7vq 3 ай бұрын
미국이 대소참전을 적극적으로 밀어 붙인 이유는 그만큼 자국 젊은이의 목숨을 살릴수 있는 아주 좋은 방법이기 때문에 대소 참전을 종용했습니다 왜 굳이 영토를 줘 가면서 대소 참전을 원했던것은 미군병사 한명이라도 살릴수 있는 좋은 명분이 되기 때문이었기 때문에 소련의 참전을 원했던 것입니다
@user-iw4cs4jo1j
@user-iw4cs4jo1j 2 ай бұрын
1000년 주적 중국은 철천지 원수 낭북한통일의 가장큰 숙적
@user-qm4ei8sn3j
@user-qm4ei8sn3j 2 ай бұрын
미국도 2차대전때 일본 독일이랑 싸우다가 갈려나간 병사가 많아서인지 그후론 왠만하면 본토가 공격받지않는이상 남의 나라전쟁은 길게 안가려고 하죠
@user-kh5rv4ds8s
@user-kh5rv4ds8s 2 ай бұрын
미국은 진주만 공습때도 1차대전에 갈려나간 병사가 많아서 더이상 참전안하려는 고립주의가 팽배했는데 대통령 루즈벨트가 구상하던 팍스아메리카를 실현시키려면 모든 식민지를 해체시켜야해서 2차대전에 참전하려고 필사적이라 가능했던결과..
@kriskwon575
@kriskwon575 3 ай бұрын
미국은 언제나 "병을 주고 약을 주는" 그런 어쩡쩡한 자세가 상황을 횔씬 복잡하게 만든다. 쏘련의 스탈린이나 중공의 모택동에 비해 투루만의 결기가 부족하지. 전쟁에서 싸우겠다는 의지보다 더 큰 무기가 있을까? 인명을 중시하는 민주주의 체제가 위급 시에는 항상 밀리는 게 큰 약점이다. 태평양전쟁처럼 시간이 지나고 여론이 뒤받침이 되어야 본격적으로 싸우니까. 월남전이나 아프칸전이나 싸우다고 힘들면 철수다. 그나마 한국전에서 반만이라고 지킨 게 다행이다. 대한민국이 월남전이나 아프칸처럼 그렇게까지 부패하지 않아 다행으로 지켜냈다. 만약 그 당시 중국이 오늘처럼 크게 위협이 될거라고 생각했으면 중공군을 철저히 박살냈겠지. 지금보다 그당시 상대하기에 수월했을 것이다. 그러면 월남전에서도 중공이 북베트남을 제대로 지원하지는 못했을 것이다. 자료에 의하면 이승만대통령과 국민은 북진통일을 원했기에 미국이 밀어주면 가능했지만 월남은 의지도 없었고 이승만과 같은 강력한 지도자도 없었으니 미국은 "밑바진 독에 물붓기." 아프칸도 마찬가지. 그런 결기와 의지가 있기에 결국 아시아의 민주주의나 경제력에서 선두를 달리고 있지 않나? 결국 우리의 통일을 막는 큰 장애물이 그때나 지금이나 중국이다. 북한이 무너지기를 중국은 결코 좌시하지 않을 것이다. 마치 한국전 때 중공이 30만의 지원군을 보낸 것처럼. 그러나 중국이 무너질 때 북한도 무너질 것이다.
@daewookkim4795
@daewookkim4795 3 ай бұрын
그 말씀은 맞는 말씀입니다.
@user-kh5rv4ds8s
@user-kh5rv4ds8s 2 ай бұрын
한국전쟁에서 반만이라도 지킨게 기적이라고 생각해라 미군이 지원하던 보급품들 중간에서 다해처먹기 바쁜게 국군수뇌부였다는건 기억삭제함? 그래서 중공과 교전으로 사망한 한국군보다 비전투 사망 즉 배고파서 굶어죽은 국군이 더 많았다는거지ㅉ
@user-fj7yo3we7o
@user-fj7yo3we7o Ай бұрын
당시에도 반전 시위가 많아서 여론을 신경쓰지 않을 수가 없었고, 미국인들 입장에서는 굳이 한국에서 자국 군인들 목숨 잃어가며 중국이나 소련이랑 끝까지 싸우기는 부담스러웠으니.. 자국의 이익을 먼저 신경 쓰는 게 너무나도 당연.. 그만큼 해준 것만으로도 우리 입장에서는 그저 다행일 뿐.. 미국 아니었으면 북한이랑 중국은 무조건 대한민국 다 먹었지.. 지금도 미건철수만을 바라고 있고.. 이제는 미국 없어도 쉽게 무너지진 읺지만, 쟤들은 미군없는 한국을 너무 쉽게 보고 있음
@user-bb2qt5hc6p
@user-bb2qt5hc6p 2 ай бұрын
그동안 역사를 보면, 미국은 그냥 일본한테 아무것도 해줄 필요없이, 그냥 관심만 좀 꺼주면, 일본은 경제적으로나 군사적으로나 지혼자서 어마어마 하게 강해졌을거임. 경제도 미국이 일본을 터치를 안했다면, 아마 역전 당했을거야 ㅋㅋ 일본을 누그러뜨린다고 해놓은게 플라자합의니까. 그때부터 일본이 내리막길을 걸은거지만 ㅎ 반면 역사적으로 볼때, 미국이 한국한테 관심을 아예 꺼버렸다면, 울나란 진작에 멸망했음 ㅎㅎ 전쟁도 물론이거니와 ,전쟁 말고도,경제적으로 관심을 껐다면,울나란 지금 아사자만 수백만명 이상이 나왔을거임. 미국이 신경을 안쓰면 안쓸수록 잘되는 나라가 일본이었고. 미국이 신경을 꺼버리면 진작에 사라졌을 나라가 한국이었음. 근현대 역사를 쭉 놓고보면 아주쉽게 보이는 부분임 ㅎㅎ 애초 태평양전쟁도, 미국이 그냥 신경끄고 게속 고립주의로 가고, 늘 해오던대로 석유수출이나 하면서 돈이나 벌었다면, 아마 일본과 미국이 전쟁을 할일은 애초에 없었을테고, 결국엔 태평양 전쟁의 시작, 그리고 일본/미국 전면전의 시작도 일본이 동남아를 다 먹는것에 대해, 그리고 미국의 식민지 필리핀을 먹은것에 대해 신경이 거슬린 미국이 석유 수출을 안해서 벌어진거거든 ㅎㅎ 결국 미국이 신경을 쓰고, 관여를 하면 할수록, 일본이 상당히 피곤해지고 인생이 힘들어짐 ㅋㅋㅋㅋ 미국이 관심을 꺼야 살아남는게 일본이라니까 ㅋㅋㅋ 일본은 아마 속으로 미국을 엄청나게 미워할거야 ㅋㅋㅋ 반면 울나란 미국이 다 신경 써줘야, 전쟁에서 살아남고, 겨우겨우 밀가루로 연명해서 살아남던 나라였음 일본이 하던 반도체등의 전자산업도 빼앗아서 울나한테 몰아주고 ㅋㅋㅋ 기술 가르쳐주라고 압력넣고 ㅋㅋㅋ 실제로 이런일도 있었죠 ㅋㅋ 일본이 울나라가 게속 조르는데도, 라면 만드는 기술 안가르쳐줄려고 했는데 미국이 가르쳐주라고 압력넣어서 일본이 가르쳐준거라고 ㅋㅋ 음식 만드는 기술 하나하나 다 미국이 신경을 써줘야 울나라가 살아남아 ㅋ 미국이 신경 끄는 날이 오면 , 아마 울나란 죽을걸요 ㅎㅎ
@GrandeZerome
@GrandeZerome 2 ай бұрын
일본이 군사적으로 공산주의 신경끊고 경제 올인하게 키워준게 미국임. 어설프게 알면 이렇게됨 어휴 라면은 개별 기업의 ceo간의 이야긴데 뭔 정부. 어디서 헛소리를 듣고와서 퍼트림
@user-qr6rb7jk2v
@user-qr6rb7jk2v 3 ай бұрын
내 생각엔 미국이 말씀대로 휴전을 원했으면 합니다 그러나 이 문제는 북 중 러 입니다 만일 북한이 쳐들어온다면 어쩔수 없이 전쟁을 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514mook
@514mook 3 ай бұрын
압록두만강 까지 통일해서 소련,러시아와 맞닿는거 보다 북한이라는 완충지대를 더 선호했을 수 도 있겠군요. 그래서 키신저가 말한것처럼 평양원산라인 까지만 북진하고 휴전 했으면 더 나았을지도 모르겠네요 물론 그러면 제2의 통일 신라가 되는거지만 말이죠
@user-je7sw3uu9x
@user-je7sw3uu9x 3 ай бұрын
평양 원산라인까지만 진격했어도 중국이 참전 했습니다. 소련은 아니었어도 중국 마오쩌둥이 전쟁하고 싶어했고 평양 원산라인은 마오쩌둥도 원하지 않은 국경선이었죠. 한국과 북한만 빼고 소련, 중국,미국은 38선이 제일 이상적인 국경선일겁니다.
@winnie_love_honey00
@winnie_love_honey00 3 ай бұрын
애초에 39도선과 37도선도 논의가 됐었는데 서로 빼액 거리다가 38도선으로 정해진겁니다
@user-hl4cz9ti8j
@user-hl4cz9ti8j 3 ай бұрын
@@user-je7sw3uu9x실제 휴전회담에서 북한과 중공은 북위 38도선, 유엔측은 접촉선을 주장했죠. 이는 38도선 복귀가 접촉선 휴전에 비해 우리에게 더 불리하고 북한에겐 더 유리했기 때문입니다
@user-hl4cz9ti8j
@user-hl4cz9ti8j 3 ай бұрын
@@user-je7sw3uu9x막말로 국군 단독으로 38도선 돌파해 북진했을지라도 중공은 참전했을 겁니다 ㅜ 유엔군이 38도선 돌파해 북진해서 참전했다는 건 핑계죠
@user-hl4cz9ti8j
@user-hl4cz9ti8j 3 ай бұрын
@@user-je7sw3uu9x 북한에게도 지금 휴전선보다 38선이 더 선호되었답니다 ㅜ 개성 도로 포기하는 것 외엔 지금보다 북한에게 유리해지는 점들이 넘 많아서. 그리고 개성 포기해도 어차피 우리가 개성 방어가 거의 불가능하니 전략적으론 그렇게 손해도 아니었고요
@jefflee2339
@jefflee2339 3 ай бұрын
독립 시켜줘, 전쟁 대신해줘..30년 가까이 재정지원까지 해준 미국이 호구
@silverbugs
@silverbugs 2 ай бұрын
여성우월주의 페미니스트 지원으로 스스로 멸망하는 대한민국 대단해🎉🎉
@user-yb6wn7dk6k
@user-yb6wn7dk6k 3 ай бұрын
중공군이 잘 싸웠기 때문이지.. 미군과 싸움 실력이 비슷 비슷.. 미군은 기갑을 이용한 평지 같은 개활지에서는 최강이지만, 산악이나 밀림지역에서 싸움실력 뚝떨어짐.. 월남전과 아프칸전쟁에서도 그랬음.
@user-kn9zd5bi6t
@user-kn9zd5bi6t 3 ай бұрын
그렇죠 ㅠ 중공군은 국공내전의 승리의 기억을 가진 정예군. 미군은 일본에서 점령군 놀이하며 꿀빤 군기빠진 군대. 화력차이와 국군의 경험치 덕에 무승부라도 났지 팽덕회 놈에게 밀려서 우리는 모택동 어록 외우면서 살뻔 했음ㄷㄷㄷㄷ 어우 ㄷㄷㄷ
@eesoggun
@eesoggun 3 ай бұрын
​​@@user-kn9zd5bi6t미국 군인이 꿀빠는 직업이라는 헛소리는 처음 들어본다
@user-kn9zd5bi6t
@user-kn9zd5bi6t 3 ай бұрын
@@eesoggun 미군의 무력에 비해 당시 대한민국에 파견된 미군의 군기 상태에 대한 상대비교 차원의 의견입니다. 2차대전 종전 후 일본의 치안유지군 성격으로 변질되가던 주일주둔 미군의 안타까운 정신전력 약화 상황은 이 영상 제작자 분 통해 배운 내용입니다.
@eesoggun
@eesoggun 3 ай бұрын
@@user-kn9zd5bi6t 방구석 여포 ㅎㄷㄷ... 미국 군기를 논하네 ㅋㅋ
@user-kh5rv4ds8s
@user-kh5rv4ds8s 2 ай бұрын
@@user-kn9zd5bi6t 국군의 경험치같은소리하네 미군이 지원해준 보급품들 중간에서 다해처먹어서 중공과 교전으로 사망한 한국군보다 비전투사망 즉 배고파서 굶어죽은 한국군이 더 많았던게 6.25 전쟁이었는데 말이되는소릴해라
@likephoenix659
@likephoenix659 Ай бұрын
오히례 트루먼 이야기대로 천천히 진군했다면 포위섬멸같은 상황이 아니라 방어선 설치후 진군이 가능했을 수도 있죠.
@johnlee4545
@johnlee4545 3 ай бұрын
베트남전쟁도 그러냈습니다.
@user-og7pw9tx1p
@user-og7pw9tx1p 2 ай бұрын
히로시마이후 핵사용을 못하게 서로약속이 되있어 핵을 쓸상황이 아니었으나 이때 한방났으면 서로 이렇게 고생을 안했을 텐데 아쉽네
@Comment_3419
@Comment_3419 3 ай бұрын
미국은 중국을 굴복시킬 수 있는 절호의 기회를 날렸다...
@user-kh5rv4ds8s
@user-kh5rv4ds8s 2 ай бұрын
만구니생각이지 일본의 진주만공습처럼 미국이 직접 피해를 받은게 아니고 대체 무슨 명분으로 중국을 침공할까???
@user-ej1dv9su2b
@user-ej1dv9su2b 2 ай бұрын
결국 자주국방이 답이지. 스스로 자기나라를 지킬수만 있다면 다른 나라에 의해 좌지우지 되진 않앟지
@user-wg5le7he8t
@user-wg5le7he8t 2 ай бұрын
당시 기준으로는 유럽의 경제나 산업이 동아시아보다 크고 중요했고 독일에 아직 과학 기술산업기반이 남아있어서 그것이 공산화되면 안되거든요...
@bk2111
@bk2111 Ай бұрын
맥아더는 1950년 12월에 크리스마스 선물로 한국통일을 시키려 했습니다. 중공군이 밀고 내려오자 핵까지 사용하려 했습니다. 다른건 몰라도 전쟁에서 그의 통찰력과 예지력은 굉장히 정확했습니다.
@Mystic99-1
@Mystic99-1 2 ай бұрын
나라가 약하니 주권은 개나줬네 참 불운한 나라다
@mathematicallogic7721
@mathematicallogic7721 2 ай бұрын
한족은 종공 치하에 있는게 낫습니다. 거기가 자유화되면 대한민국은 이미 경제적 문화적으로 종속됐을겁니다.
@user-yp8cv8kb1f
@user-yp8cv8kb1f Ай бұрын
휴전후 초반 북한이 더 잘살아서 남북 비교가 되서 미국이 무상 지원해줘서 기틀을 닦은것도 있고.. 우리가 중국과러시아와 국경을 직접적으로 맞대고 있었다면 견제가 더 심했을텐데 지금과 같이 성장했을지도 의문;;
@SSS-wr5vo
@SSS-wr5vo 3 ай бұрын
그래서 3차대전 핵전쟁의 초석이 만들어진 것이다 굿바이 지구
@user-vl7ej8bs8z
@user-vl7ej8bs8z 2 ай бұрын
미국은 고마운 나라다
@tv21c92
@tv21c92 2 ай бұрын
그럼에도 미국에 깊이 감사합니다 Nothing이 아닌 것은 90프로이상 모두 미국의 피의 희생 덕분입니다
@user-yp8cv8kb1f
@user-yp8cv8kb1f Ай бұрын
자주국방력도 없는 저때 휴전반대 그건 우리 욕심이지...
@user-ci8ns6tf3q
@user-ci8ns6tf3q 3 ай бұрын
앞으로 대한민국은 튼튼한 자주국방과 외세에 기대지 않고 평화적으로 자주적 통일을 기대하는 봐 입니다.!!🙏🙆‍♂️🙋‍♂️💕💕
@KS-io9rj
@KS-io9rj 2 ай бұрын
적극 공감합니다
@user-bh1vk8yo9t
@user-bh1vk8yo9t 2 ай бұрын
미국 을 외면 하구 통일 은 어렵다 그게 현실 이다.
@KS-io9rj
@KS-io9rj 2 ай бұрын
@@user-bh1vk8yo9t 미국뿐 아니라 주변 강대국들은 남북이 통일하여 한반도가 경제적, 군사적 강국이 되기를 원치 않죠
@user-kh5rv4ds8s
@user-kh5rv4ds8s 2 ай бұрын
@@KS-io9rj 미친놈인가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누가보면 사이드레이더 설치할때 경제보복 때린게 미국인줄알겟네
@shoesbreadrichest5179
@shoesbreadrichest5179 Ай бұрын
미국은 중국 일본보다 한국이 아시아의 최강국이 되길 바라고 있다
@changyeongjang
@changyeongjang Ай бұрын
제 생각에는 북한을 살려두어야 중국이 바로 나중에 남침을 못하거든요. 사실 북한이 망하고 남한이면 지금 중국과 대만 사이가 아마도 우리나라랑 중국과의 관계였겠죠. 북한이 속으로는 중국을 믿지 않고 겉으로는 친중이될 것을 예상했겠죠. 어떻게 보면 북한이 존재하기에 평화도 있는 듯요
@aikawa1
@aikawa1 2 ай бұрын
미군에게는 감사하는 마음을 가져야 하지만 미국 정치인 놈들은 진짜 욕먹어야함. 그때나 지금이나 에휴.
@nano04386
@nano04386 3 ай бұрын
트루먼이 맥아더한테 이기지도 말고 지지도 말라 했다고. 스탈린은 김일성에게 이렇게 말했다고 합니다. '최대한 상대의 힘을 빼야하니 더 피를 흘려랏!' (결국 둘 다 같은 얘기 아닌가...요??)
@war-history
@war-history 3 ай бұрын
스탈린하고 김일성은 서로 다른 나라의 지도자입니다. 트루먼과 맥아더는 미국이라는 같은 나라의 정치와 군사 지도자니까 얘기가 다르죠. "대놓고 힘을 뺴야 하니 피를 더 흘려라!" 스탈린이 설사 그런 마음을 갖고 있다 해도 대놓고 그런 말을 할 정도로 IQ가 낮은 사람이 아닙니다.
@user-uj3mw4zg8h
@user-uj3mw4zg8h 3 ай бұрын
전쟁사의 카더라들은 대부분 잘못된 정보다.
@user-kh5rv4ds8s
@user-kh5rv4ds8s 2 ай бұрын
애당초 2차대전이 끝나고 스탈린은 언젠가 미국과 한판 붙어야 되는데 어디를골라야 미국의 국력을 깍아먹을수있을지 구상하던차에 때마침 김일성이 방문하면서 전장이 결정됩니다
@user-kh5rv4ds8s
@user-kh5rv4ds8s 2 ай бұрын
애당초 2차대전이 끝나고 스탈린은 언젠가 미국과 한판 붙어야 되는데 어디를골라야 미국의 국력을 깍아먹을수있을지 구상하던차에 때마침 김일성이 방문하면서 전장이 결정됩니다
@framedriven2123
@framedriven2123 2 ай бұрын
덕분에 통찰력이 뿜뿜 올라가네요.
@war-history
@war-history 2 ай бұрын
이 컨텐츠는 6.25전쟁이 아니라 6.25 전쟁이 나기 전에 미국이 갖고 있었던 아시아 태평양 전략을 알 수 있는 컨텐츠입니다. 결국 미국은 실제 전쟁이 났을 때도 원래의 전략대로 움직였음을 알 수 있습니다
@user-ig3fz2jj4x
@user-ig3fz2jj4x 3 ай бұрын
역사의 아이러니 일본이 미국을 건드려서...결국 조선이 해방될수가 있엇다 그러나 일본은 미국과 전쟁을 하지 않으면 안될 상황이었다.
@user-rt1xt6qm8u
@user-rt1xt6qm8u 3 ай бұрын
미국 🇺🇸 한반도 휴전을 하는이유가 뭘까요?!
@user-kh5rv4ds8s
@user-kh5rv4ds8s 2 ай бұрын
코딱지만한 거지나라의 통일을위해 미국 젊은이들을 전쟁으로 소모시키는게 말이되냐? 니같으면 이란에서 미국이 전쟁하면 한국군으로 지원가서 죽을수있을까? 못하잖아???
@tassader3317
@tassader3317 3 ай бұрын
저때를 교훈 삼아 만약 북이 또 전쟁을 일으키면 확실히 혼내줘야 함
@suwhalcha5034
@suwhalcha5034 3 ай бұрын
글로벌 리스트
@user-wt8cg8lq8w
@user-wt8cg8lq8w Ай бұрын
애초에 트루먼은 통일시킬 생각이 없었군요. 미국의 전략에 이제는 완전히 따라가는식의 외교와 국방은 안될것 같습니다. 자주권이 있어야하고 전시작전권과 독자적국방력과 핵잠수함 2-3일안에 핵무기를 만들수 있는 핵재처리기술 확보가 필수입니다
@war-history
@war-history Ай бұрын
그 어디에서도 자세히 다루는 곳이 없지만 본 채널에서는 이 상황을 매우 분명하고 팩트 그대로 여러차례 다뤘습니다. 전혀 준비가 안된 상태에서 터진 6.25전쟁에서 초반부터 가장 적극적인 인물은 맥아더였고 트루먼은 한발 늦게 그를 따라갑니다. kzbin.info/www/bejne/mmPTf2yHadGspK8 마침내 인천상륙작전 성공하자, 이참에 대한민국 통일을 하는데 트루먼도 동의합니다. 하지만 중공군 참전 이후 트루먼은 현상유지로 정책을 전환합니다. 이것은 어찌보면 원래 미국의 계획대로 돌아가는 셈이었습니다.
@user-hp5zm3lm2q
@user-hp5zm3lm2q 2 ай бұрын
자주국방 합시다.
@user-kz1sv1lv8e
@user-kz1sv1lv8e Ай бұрын
맥아더도 훌륭하지만 진짜 조지패튼 같은 장군님이 한반도에 오셨다면 ㅠ
@kimthomas226
@kimthomas226 3 ай бұрын
그나마 지금 이렇게 삼팔선이 나눠진 걸 감사하게 생각해야 한다.
@user-gy7hq3vt2l
@user-gy7hq3vt2l 3 ай бұрын
저래될줄 알았으면 그냥 밀어 버렸어야함
@user-fe4os6cx5n
@user-fe4os6cx5n Ай бұрын
이거 끝까지갔으면 3차대전이지
@byaungcheollee8639
@byaungcheollee8639 2 ай бұрын
꽤 안목이 좋은 편이군...지금 코메디언 대통령 두고 약올리는 우크라이나전쟁이 70년전 한국전쟁이라는 거
@aweless6
@aweless6 2 ай бұрын
중공군이 한반도에 쳐들어올때 대만이 광동성 정도만 차지했어도 괞찮았을건데....
@user-op9pg9vo4f
@user-op9pg9vo4f 2 ай бұрын
대한민국 독립도 미국이, 625도 미국이 다해줌. 고마운줄 알아야지. ㅡㅡ
@user-br4dl1ib4e
@user-br4dl1ib4e 3 ай бұрын
저걸보고도 ... . 이제는 통일할 필요 머 잇냐고 씨부리눈 ..진보 보수들이 많다.
@user-jm7xy5px2m
@user-jm7xy5px2m 2 ай бұрын
무임승차라 하기엔 미국은 너무 많은 무기를 팔아드셧지
@jeinchoi6687
@jeinchoi6687 2 ай бұрын
헐..... 미국은 "군산 복합체" 라 세계 어느 전쟁에도 개입을 안한 적이 없는뎅.....@@@
@user-bn4og8dh7u
@user-bn4og8dh7u 2 ай бұрын
걍 한국의 엔딩은 김일성 3부자 액자 거는거였는데 이승만이 역사의 흐름을 바꿔놓음
@user-bm6wm9iu5m
@user-bm6wm9iu5m 2 ай бұрын
한민족을 상대로 인류실험을 한거지 같은 민족이 정치 사상적으로 갈라지면 무슨일이 발생하는지에 관한 장기적이고 대규모의 실험
@kingsenHuang
@kingsenHuang 25 күн бұрын
차라리 청진강 평양부근까지만 먹었으면 북한은 지금보다 더 쪼글아 들어서 먹혔을지도 몰랐을듯..
@bca2335
@bca2335 2 ай бұрын
맥아더가 너무 인기가 많고 트루먼은 인기 없는 부통령 출신 대통령이었기에 서로 팽팽한 대립과 공존 속에서 서로를 견제했습니다. 트루먼이 진정 바라고 원했던 것은 맥아더가 전쟁에서 승리하지도 지지도 않는 시나리오였습니다.
@user-op9pg9vo4f
@user-op9pg9vo4f 2 ай бұрын
어휴... 이것 참. 미국은 참전 안하려던거 이승만이 인맥으로 참전시킨전쟁을 이렇게 해석하네. 어휴... 고마운줄은 모르고...
@war-history
@war-history 2 ай бұрын
이승만과 맥아더의 오래된 인연에 대한 컨텐츠는 바로 여기서 매우 자세히 다뤘습니다. 한 두해 알던 사이가 아니었고 맥아더는 1930년 미 육군참모총장이었을 때 누구 한국인의 비명에 귀를 기울였는가? 라는 말도 했습니다. kzbin.info/www/bejne/a5zWeYGse7WDjNU (맥아더가 대한민국에 우호적이었던 이유)
@user-kh5rv4ds8s
@user-kh5rv4ds8s 2 ай бұрын
먼소리야? 예전부터 미국의 최대방어선은 일본이니까 일본을 사전에 방어하기위해 한반도에 개입한거지 ㅉㅉ
@user-op9pg9vo4f
@user-op9pg9vo4f 2 ай бұрын
@@user-kh5rv4ds8s 미국은 참전 안할라했어. 이승만이 맥아더랑 친구여서 참전시킨거지. 뭘알고시부려.
@user-kh5rv4ds8s
@user-kh5rv4ds8s 2 ай бұрын
@@user-op9pg9vo4f 개소리하네 UN안전보장이사회는 소련의 반대가 없어서 UN군참전이 결정났는데ㅋㅋ
@user-kh5rv4ds8s
@user-kh5rv4ds8s 2 ай бұрын
@@user-op9pg9vo4f 너나 제대로 알고시부려 UN안전보장이사회서 소련이 거부권행사했으면 미국이 아무리 날고기어도 UN군이 한반도에 개입못한다 멍청한 인간아ㅉ
@speedchange4355
@speedchange4355 2 ай бұрын
먼가 잘못 알고계신거 같아서, 댓글을 남깁니다. 맥아더가 해임되기전에 핵폭탄 30개로 중국 본토를 제압할 계획이었고, 설령 중국 본토를 제압한다 하더라도, 인접국인 소련 연해주에서 출격하는 소련의 핵폭격기로 곧바로 남한 본토에 리벤지 핵폭격을 할수 있는 상태였습니다. 물론, 핵무기가 부족한 소련이 미국 본토와 핵전쟁을 할수는 없지만, 전장이었던 남한땅은 이미 맥아더가 중국 본토에 핵공격했으니 리벤지 핵공격 대상일수밖에 없습니다. 당시 휴전전에 중공군은 북한땅에 백만이 넘었고, 남한 유엔군과 국군은 총병력이 불과 50만도 안되는 상황이니, 핵전쟁의 승자는 없고, 오직 핵전쟁 확산을 막기위해 어차피 휴전으로 끝날 전쟁이었습니다. 어차피 휴전으로 끝날 전쟁을 굳이 핵을 쓸 필요가 있을까요?
@war-history
@war-history 2 ай бұрын
소련이 가만있었겠는가? 이 얘기로 보입니다 잘못 알고 있는게 아니라 이젠 다 밝혀진 팩트입니다. 이 컨텐츠는 한국전쟁 최고전문가 와다 하루키의 사료에 나온 내용입니다. 인터넷에 검색되는 내용이 아닙니다. 소련의 스탈린은 죽었다 깨도 미국과 맞설 마음이 없었습니다. 그랬기에 스탈린은 UN 안보리에도 일부러 참석하지 않았습니다. kzbin.info/www/bejne/jqqWdXqDjMqnj9E (전쟁은 스탈린의 농간이었다) 또한 그랬기 때문에 전쟁을 하고 싶어 안달하던 김일성에게 마오동지에게 허락을 받으라며 중국을 끌어들였던 것입니다. 아예 대놓고 북한이 망해도 자신은 가만있을거라고도 했습니다. kzbin.info/www/bejne/e5urkHx5Z992kKM (스탈린의 전쟁 승인 과정 재현) 또한 그랬기 때문에 중공군에게 공군 지원도 늦게 해줬던 것입니다. 또한 그랬기 때문에 인천상륙 후 마오에게 빨리 참전하라고 독촉했던 것입니다. 뒤로 싹 빠진 채 말입니다! 이것은 모두 다뤘던 내용입니다. 때문에 채널의 컨텐츠만 봐도 웬만한 사료 5권 이상을 보는 셈입니다.
@speedchange4355
@speedchange4355 2 ай бұрын
@@war-history 그러면, 지금도 625전쟁 당시의 미국 본토에서 미국 민간인들이 소련과의 핵전쟁에 대비하여서, 방공호로 숨는 미국 민간인들의 훈련 영상을 담은 영상기록물이 아직도 현존합니다. 미국과 미국 트루먼 대통령이 정말 바보였기때문에, 오성장군 맥아더의 핵공격을 막았겠습니까? 그 당시 미국도 중국 본토에 핵공격을 하면, 인접국 연해주의 소련이 남한땅에 리벤지 원자폭탄 공격을 할것이고, 이것이 기폭제가 되어서, 미국 본토와 소련 본토간의 핵전쟁으로 옮겨붙을 것이라고 예상했기 때문에 맥아더를 해임시킨 겁니다. 스탈린과 소련 공산당이 무조건 핵전쟁에 참전 안한다는 전쟁 기록물을 전부 신뢰하지 마세요. 그런 무시무시한 핵도박을 할 정도로 미국 정부와 트루먼이 어리석지 않았습니다. 만약 소련의 리벤지 핵공격을 불러왔다면, 맥아더의 선제 중국본토 핵공격은 결국 남한 땅에도 중국 본토와 같은 원폭 피해를 불러올수도 있었습니다.
@user-ms2sn1kv1x
@user-ms2sn1kv1x 2 ай бұрын
그때 쓸어버렸어야 되는데... 통탄할 일이다 트루먼
@user-sz4pi5dh2m
@user-sz4pi5dh2m 2 ай бұрын
그때 맥아더 장군이 중공에 핵투하 해야한다고 주장했는데 그게 실제 일어났으면 아마 북한은 없어졌을겁니다. 그리고 중국도 그 핵무기로 인한 트라우마 때문에 미국이 기선제압은 지금까지도 가능했을거구요. 그당시엔 전쟁시 핵무기사용도 가능했던 시기였지만 지금은 그무기를 사용할수도 없을뿐더러 사용 하면 그순간 공멸이 될겁니다.
@user-sk7wt5mh2p
@user-sk7wt5mh2p 2 ай бұрын
이젠 중국에게 따일일만 남았군
@user-ig6pr8ej4y
@user-ig6pr8ej4y 2 ай бұрын
미국이 2차대전 참전과 사수를 너무 과장해서 표현하는데 원래부터 미국은 2차대전에 참여하지 않으려했고 선조국인 영국때문에 소극적으로 무기대여법만 시행했는데 처칠이 루스벨트에게 1000번이 넘는 손편지를 썼다는걸 이야기 왜 안함? 말이 손편지 1000번이지 한나라의 수상이 동맹국 대통령에게 그런 정성 보이는것도 쉽지 않음. 또 진주만을 공격당하지 않았다면 미국이 참전을 할 생각은 전혀 없었을거임
@war-history
@war-history 2 ай бұрын
좋은 말씀감사합니다. 말씀하신 것과 100% 싱크로율을 보이는 컨텐츠가 있습니다. kzbin.info/www/bejne/mZCum62ggambj8U (2차대전의 승패를 반전시킨 히틀러와 일본 군부의 바보짓.)
@happytiger0812
@happytiger0812 3 ай бұрын
만약 한국이 그때 이겨서 통일 했더라면 한국과 미국은 중국과 소련과 국경을 마주해야 했을 것이고 미국이나 한국이나 그로 인한 심리적 압박감은 무척 커졌을 것이고, 남한은 공산주의에 더 노출되기 쉽고 ,북한 공산주의자들의 내란으로 인해 사회는 더 피곤해 졌을 수도 있다 그래서 중국, 소련과 직접 상대하여 미군의 군사력을 배치하기 보다 좀더 편한 북한과 상대하는 것이 유리하다는 생각도 있었을 듯.....
@outerlevi6254
@outerlevi6254 2 ай бұрын
미국은 한국 전쟁 이후 계속 내리막길
@user-kh5rv4ds8s
@user-kh5rv4ds8s 2 ай бұрын
뭐 진작에 중국이나 일본에 먹혔어야될 나라를 억지로 심폐소생시킨게 미국이긴해
Be kind🤝
00:22
ISSEI / いっせい
Рет қаралды 17 МЛН
КАК СПРЯТАТЬ КОНФЕТЫ
00:59
123 GO! Shorts Russian
Рет қаралды 2,7 МЛН
Do you have a friend like this? 🤣#shorts
00:12
dednahype
Рет қаралды 41 МЛН
Hongarije saboteert NAVO-kandidatuur Mark Rutte
7:24
Bom gevonden in de straat van Brent, 1100 mensen moeten hun huis uit
3:16
Acties Israël in Rafah verhogen druk op Joe Biden
6:41
Be kind🤝
00:22
ISSEI / いっせい
Рет қаралды 17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