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일본은 110V를 쓰는데 한국은 왜 220V를 쓸까? 🤔|크랩

  Рет қаралды 271,017

크랩 KLAB

크랩 KLAB

Күн бұрын

#크랩 #220V #전압
우리가 쓰는 전기는 220V지만, 미국이나 일본에선 110V를 씁니다. ‘그냥 표준이 다른 건가?’ 생각할 수 있지만, 사실 220V가 110V에 비해서 가지고 있는 장점이 훨씬 많아서 세계적으로는 220V 이상을 쓰는 게 표준처럼 자리잡고 있다고 해요. 110V와 220V 사이엔 어떤 차이가 있는 걸까요? 220V가 더 좋은 거라면, 미국이나 일본처럼 잘 사는 국가들은 왜 110V를 쓰는 걸까요? 크랩에서 자세한 내용을 알아봤습니다.
구성 채반석
편집 박현지
디자인 이효정
도움 임재희 인턴

Пікірлер: 779
@cxyxjxgx2614
@cxyxjxgx2614 3 жыл бұрын
저 시절에 바꾼게 신의 한수임 ㄹㅇ 2000년대 들어서 시작했으면 아직도 110볼트 쓰는 집 꽤 있었을듯
@시바아-r3r
@시바아-r3r 3 жыл бұрын
옛날집가면 110볼트 쓰는곳 많음 우리나라도
@동서남북-j7y
@동서남북-j7y 3 жыл бұрын
박정희는 대체 얼마나 대단한거냐 ㄷㄷ 문재인이였으면 기필코 안바꾸겟다고 떼썻을듯
@loopingpong1412
@loopingpong1412 3 жыл бұрын
@@동서남북-j7y 망상
@The.Beatles
@The.Beatles 3 жыл бұрын
@@동서남북-j7y 대깨박
@xxuwnn
@xxuwnn 3 жыл бұрын
@@동서남북-j7y 문이든박이든 정치에 돌은것들은뚝배끼 깨야됨
@Bobbydonothing
@Bobbydonothing 3 жыл бұрын
근데 확실히 220볼트는 체결되는 느낌이 단단하고 고정된 느낌이라 좋은데 110볼트는 안전해서 그런건지는 모르겠지만 헐렁헐렁거려서 좀 별로임ㅋㅋㅋㅋㅋㅋㅋ안전한 느낌이 안듬
@changcho2830
@changcho2830 3 жыл бұрын
미국에서 거주할때 진짜 110볼트 제품들 너무 덜렁거려서 불편하긴 했어요 조금만 건드려도 쉽게 빠지고 상대적으로 출력도 안좋고
@mostly_cloudy728
@mostly_cloudy728 3 жыл бұрын
진짜 미끌미끌함ㅋㅋ 충전하면서 폰쓰다가 힘줘서 당기면 폰이 빠지는게 아니라 코드가 빠져버림ㅋㅋ
@김동현-c4v
@김동현-c4v 3 жыл бұрын
오래된규격이라..
@phantom-bl6jv
@phantom-bl6jv 3 жыл бұрын
진짜로 ㅋㅋ 캐나다에서 유학하는데 코드 자꾸 뽑힘
@ChloeAriko
@ChloeAriko 3 жыл бұрын
110v는 접지가 안되는 가정이 많다는 것도 문제 (...)
@go-lx5cn
@go-lx5cn 3 жыл бұрын
한국인:야 빨리빨리 일본인:우리가 대단한거야 중국:220v 110v다 내꺼야야야ㅑ
@yuchan063
@yuchan063 3 жыл бұрын
뇌절
@vvw706
@vvw706 3 жыл бұрын
한중일은 언어가 같아도 말 안통했을듯 셋다 애샛기들 말 ㅈㄴ 안들음 내가 다 다녀보면서 느낌
@sjdhid3955
@sjdhid3955 3 жыл бұрын
@@vvw706 그나라 사람들도 니 보면서 비슷한 느낌이 들었을듯 ㅋㅋㅋ
@태정태세문단속잘-g2w
@태정태세문단속잘-g2w 3 жыл бұрын
다 LH꺼야아야ㅑ
@김요시
@김요시 3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bbd8241
@bbd8241 3 жыл бұрын
220v 초대형 프로젝트에 성공한 우리나라. 선조들 덕분에 편하게 전기 쓰네요
@stevenjin1213
@stevenjin1213 3 жыл бұрын
근데 어떻게 보면 우리는 가난한 국가란 증명이에요 물론 지금은 아니지만
@pessi710
@pessi710 3 жыл бұрын
@@stevenjin1213 ㅇㅈ 보급이 늦게 되서 그렇게 된건데
@캐슬네임-y9c
@캐슬네임-y9c 3 жыл бұрын
선조라고하긴 몇십년전인데;;;
@yuch1901
@yuch1901 3 жыл бұрын
@@캐슬네임-y9c 그러게요 ㅋㅋㅋㅋㄱ 프로젝트 시작한 것도 70년대고 완공이 2005년이면 선조가 아니라 그냥 70년대에 태어난 사람이라 해도 이제 겨우 사오십대인데...
@시트론-s1i
@시트론-s1i 3 жыл бұрын
위 댓글들 가난한 국가였으면 뭐 어떻다고... 전후 세계 최빈국 수준에서 여기까지 올라온게 자랑스러운건데
@나는야고길동
@나는야고길동 3 жыл бұрын
발전소 (약 66000v) →1차 변전소 (765000v) → 2차변전소 (346000v) → 3차 변전소 (22900v) → 주상변압기 (공장 및 상가용 : 380v, 가정용 : 220v)
@cjw9797
@cjw9797 3 ай бұрын
낮추는건 간단하지만 높히는건 다 갈아엎어야하지..
@jspark-wd4ig
@jspark-wd4ig 2 ай бұрын
발전소 10만단위
@wootaekjeong5027
@wootaekjeong5027 Жыл бұрын
110V 쓰다가 220V로 승압하는 과정을 겪은 세대입니다. 어렸을 적에는 모든 전원을 110V로 썼습니다. 당시엔 110V 코드나 콘센트가 부실한 게 많아 오히려 감전이 많이 일어났었습니다. 220V 바꾸니 코드가 깔끔해지고 콘센트와 코드간 이격현상이 없어져 감전없이 더 안전하게 사용하게 되었습니다.
@szp2892
@szp2892 3 жыл бұрын
90년대 초중반만 해도 기존에 쓰던 110v 제품 쓰려고 집집마다 도란스 하나씩은 다 있었음 ㅋㅋㅋㅋㅋㅋ
@kkk90178
@kkk90178 3 жыл бұрын
도란스ㅋ 오랜만에 듣네요 ㅋ
@HAPPY-vg3ie
@HAPPY-vg3ie 3 жыл бұрын
도란스ㅋㅋ 지나가다 모서리에 발가락 부딪히면 피나고 그랬던 기억이 나네요ㅋㅋ
@kordsjeong
@kordsjeong 3 жыл бұрын
ㅋㅋㅇㄱㄹㅇ 네모난 도란스 아직도 기억나네 ㅋㅋ 국민학교 세대들은 다 알듯 ㅎㅎ 110볼트랑 220볼트를 혼용해서 썼던시기 ㅎㅎ
@rye-ju4ou
@rye-ju4ou 3 жыл бұрын
도란스?
@gkswk16
@gkswk16 3 жыл бұрын
앞에 돼지코 만바꾸는 변환기는 당시에 없었나요?
@훈이-g4i2f
@훈이-g4i2f 3 жыл бұрын
목소리도 부드럽고 중간중간 유머도 좋고 잔잔하니 영상 보는내내 스무스하게 보게되서 좋네요
@tangiblemark
@tangiblemark 3 жыл бұрын
콘센트모양이랑 전압이 항상 같지는 않음. 태국 같은 경우는 11자와 돼지코를 같이쓰는데 둘 다 220V
@Memo-f7n
@Memo-f7n 3 жыл бұрын
사실 220v로 바꾸면서 화재 위험성도 줄었음 예전 110v 가 대중적일때는 매 겨울마다 뉴스를 장식하는게 합선으로 의한 화재 실제로 110v는 전선을 만져보면 굉장히 열이 많이남 심지어 뜨거울때도 있으니 전압이 낮으면 대신 전류량을 증가시켜야 하기 때문에 열도 나고 효율도 떨어지고 전력을 많이 사용하면 열로인해 표피가 버티지 못하고 합선 되는 경우아 자주 있었음
@wootaekjeong5027
@wootaekjeong5027 Жыл бұрын
잘 아시네요 110V 전선 피복이 벗겨져 있는 경우가 많아서 비가 오면 원인모를 감전을 당한 경우가 상당히 많았습니다. 220V 승압으로 국민의 안전을 지킨 것이죠.
@얼음맥주-k1g
@얼음맥주-k1g Жыл бұрын
맞음. 110v는 접지가 없는 경우가 많고, 220v는 접지는 기본일 뿐만 아니라 위험한 걸 알아서 차단기등 전기 안전에 더 신경씁니다. 어느 쪽이 더 위험하고 그런 거 없어요. 감전되면 다 죽음
@xboxkr
@xboxkr 3 жыл бұрын
실제로 2005년에 승압이 완료되었다고 하지만 사실상 90년대에 승압은 끝났습니다.
@ggw-rj8sz
@ggw-rj8sz Жыл бұрын
어쩐지, 96년생 인데 110V를 어릴 때 한 번도 본 적이 없음
@Leo3236
@Leo3236 3 жыл бұрын
추가이유: 220v가 화재위험성은 낮지만 감전됬을때 110v에비해 치명적이죠 자연재해가 많고 습한 일본특성상 110v를 쓰게 됩니다.(특히 일본은 해일이 많이 일어나죠)
@BanYeah_
@BanYeah_ 3 жыл бұрын
오오
@GondreNamulbap
@GondreNamulbap 3 жыл бұрын
환경적인 요인이 가낭 크다는거네요
@nitric_nitrogen
@nitric_nitrogen 3 жыл бұрын
우리가 지리적으로 유리했다는거군
@Leo3236
@Leo3236 3 жыл бұрын
@@nitric_nitrogen 그쵸 땅도 좁고 ㅠ
@agikorae
@agikorae 3 жыл бұрын
@@요리책-m1t 110볼트는 찌릿한데, 220은 저--릿해요
@박강일-g3j
@박강일-g3j 3 жыл бұрын
또다른 장점으로는 가정에서 같은 굵기의 전선을 사용해도, 같은 전력을 사용한다면 110V가 220V보다 전류가 2배가 흐르고 전선에서의 발열이 4배가 더 큽니다. 그만큼 화재의 위험도 높아지겠죠. 동일한 안정성을 확보할려면 4배 굵기의 전선을 사용해야 합니다. 이것도 나라단위로 비용을 계산하면 어마어마한 비용일 겁니다.
@질럿의스승
@질럿의스승 2 жыл бұрын
이게 핵심이죠. 전압강하니 뭐니보단 이게 가장 핵심이에요.
@m_taste_m
@m_taste_m 3 жыл бұрын
갑자기 든생각인데 나중에 이채널에 코로나도 올라올거 생각하니 아찔하네 미래의 사람들이 얼마나 한심해할까
@younsung9355
@younsung9355 3 жыл бұрын
미국은 가정 두꺼비 집 까지 대부분 220V 시설을 갖추고 있습니다. (정확하게는 240V). 이것을 집 두꺼비집에서 120V로 나누어서 일반 가전은 120V로, 전기를 많이 먹는 전기오븐, 전기세탁기건조기, 에어콘은 240V를 사용합니다. 어떻게 240V를 120V로 나누냐면, 집안으로 들어오는 전기줄이 우리나라 처럼 2개가 아니라 3개 이기 때문입니다. 현재 이러한 전기 배선이 거의 보편화 되어 있습니다.
@깊고푸른바다
@깊고푸른바다 3 жыл бұрын
승압사업을 제안하신 한만춘 교수님도 같이 다뤄 주셨으면 좋았을것 같아요.
@999qwerty2
@999qwerty2 3 жыл бұрын
일본이 바꾸지 않은건 그냥 일본인들 자체가 기업도그렇고 무언가 변화를 추구하는거를 좋아하는나라가아님 그냥 하던거 우리가 하는게 최고 이런인식이강한나라임 기업들도 그런마인드로 경영을함 그래서 다른나라들한테 산업들의 최고의 자리를많이 내줬던거고
@0.K.J.W.0
@0.K.J.W.0 3 жыл бұрын
진짜 궁금했었다 어린시절 내 기억에도 우리집이 110볼트 전기을 썻던걸로 기억하는대 어느 순간 바뀌었다는게 그 어린시절 넘 신기했음 ㅋㅋㅋ 이렇게 말하닌깐 늙었다란 느낌이드냐 ㅋㅋㅋ ㅡㅡ;;;
@Dragonjin7
@Dragonjin7 3 жыл бұрын
ㅋㅋ
@kimbo_day
@kimbo_day 3 жыл бұрын
지금 너무 당연하게 220볼트 쓰고 있어서 생각도 안하고 있었는데.. 나 초딩때쯤 봤던 할머니집 선풍기가 110볼트였음.. 태엽 돌려서 쓰는 옛날 선풍기.. 그때 생각하니까 뭔가 그립긴 하다 향수가 새록새록하네
@Octen9
@Octen9 3 жыл бұрын
음..돼지코가 문제가 아닌게 규격도 규격인데 콘센트 모양이 다른게 제일 크던데 예를들어 오만 왕국 갔을때 전기규격은 거기나 한국이나 220V인데 콘센트 모양이 달라서 거기서 멀티탭 작은거 하나 사서 한국멀티탭 앞대가리 날리고 그걸로 앞부분 바꿔서 썼었는데
@총대맨김공포사랑-i9h
@총대맨김공포사랑-i9h 3 жыл бұрын
보통 이런거 보면 둘은 장단점이 확실해서 누가 더 좋다고는 확정지을 수 없습니다 이렇게 말하는데 여기선 220v가 더 좋습니다! 하고 쐐기를 꽂아버리네ㅋㅋ +싸우는 댓글 달지 맙시다 +그냥 장난으로 쓴 말이였는데 욕에 도배에 일본인이라는 둥.. 삭제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맨눈보틀
@맨눈보틀 3 жыл бұрын
ㄹㅇ ㅋㅋㅋㅋ
@_MnO3_
@_MnO3_ 3 жыл бұрын
ㄹㅇ 국뽕 편향인듯
@박판기-b9t
@박판기-b9t 3 жыл бұрын
@구독안하면 키 작아짐 굳이 싫진않은데?
@junginieo
@junginieo 3 жыл бұрын
@@박판기-b9t 굳이 싫은데?
@0_1_2_3_
@0_1_2_3_ 3 жыл бұрын
@구독안하면 키 작아짐 그건 수익 올릴려고 많이보고 길어야 돈이 나오니까
@Shineyongs.
@Shineyongs. 3 жыл бұрын
일부 나라는 전기를 공급하는 업체 들이 여러군데 있다 들은 기억이..
@schwij
@schwij 3 жыл бұрын
일부가 아니라 꽤 많은 국가들이 그러해요 미국이나 유럽만 해도 셀 수 없...
@user-kg5hd6xx5v
@user-kg5hd6xx5v 3 жыл бұрын
선진국 대부분은 그럼 미국 독일 영국 프랑스 등등
@triess0028
@triess0028 3 жыл бұрын
캘리포니아주에서 자주 정전사태가 일어나면서도 전기요금은 엄청난 이유가 민영화 업체들이 짜고 치는거라는 말이많죠
@honshin23
@honshin23 3 жыл бұрын
@@user-kg5hd6xx5v 선진국이라 그런게 아니라 시장 경제의 오류를 생각안한거지... 정부 주도로 하다가 부채가 너무 늘어나서 경쟁시키면 가격이 떨어질거라고 생각하고 민영화 시킨건데 오히려 요금이 더 올랐지...
@happymp4255
@happymp4255 3 жыл бұрын
@@k233_jukjeon 진짜 일본 철도 시벌 괴랄함
@xeroname
@xeroname 3 жыл бұрын
현재 우리나라는 대부분 가정에서 AC 220V를 공급받아 사용합니다. 하지만 공장과 같이 큰 전력을 필요로 하는 기계가 있는 곳은 300V를 주로 사용하고, 유럽쪽에서는 400V도 사용합니다.
@adhd2088
@adhd2088 3 жыл бұрын
그시대에 1조 5000억 밖에 안들었어? 여가부랑 통일부에 줄돈 없에면 충분히 하고도 남겠는데?
@muteel
@muteel 3 жыл бұрын
220v가 110v에 비해 유리한점이...전선 굵기가 더 얇아집니다. 가전제품이 자꾸 많아지면서 전류가 더욱 필요하니 전선 굵기가 더 커지니...110v는 한계가 있어요. v=ir , w=va 즉 전력은 전압 곱하기 전류인데, 3kw 가전기기 예로들면 220v엔 13a가 흐르지만 110v엔 무려 26a가 흐르니 전선을 얇게하면 화재 발생합니다. 유럽이나 미국은 출력큰 가전제품 집에서 작동시키면 과부하로 차단기 쉽게 내려간다고 합니다. 효율은 220v가 확실히 좋아요.
@Han-ws8he
@Han-ws8he 3 жыл бұрын
미국의 경우에 220볼트가 대부분 가장에 들어옵니다. 단지 연결을 해놓은 아울렛이 적다는 거죠. 위상이 서로 180도 다른 110볼트 라인이 두개 들어오고 그 중간을 뉴트럴로 사용합니다. 그래서 배전반을 보면 서로 다른 위상의 110볼트 라인이 교차로 연결돼 있습니다. 두 110볼트 라인을 같이. 사용하면 220볼트가 되어 별도의 승압을 하지 않아도 됩니다. 가정에서도 세탁기나 오븐 등은 대부분 220볼트 제품을 사용합니다. 물론 플러그는 다르게 생겼어요.
@TwiNi0827
@TwiNi0827 3 жыл бұрын
심지어 일본은 관서랑 관동이 전기가 60Hz하고 50Hz로 나뉘어서 해외제품은 들어가기 힘들고 내수 제품들은 60,50Hz 동시사용가능 제품만들어서 갈라파고스화를 심화시킨 원인이 됨 심지어 신호등때문에 블랙박스가 27.5fps라는 이상한 제품이 생겨남
@아-x2p
@아-x2p 3 жыл бұрын
3:07 그전에 여행을 언제나 되야 갈지부터..
@픽셀대표김뿌요
@픽셀대표김뿌요 3 жыл бұрын
이번년 이내로는 끝나겠지..
@사람hm
@사람hm 3 жыл бұрын
@@user-up7zp7wn3q 백신 만들어지지 않음?
@픽셀대표김뿌요
@픽셀대표김뿌요 3 жыл бұрын
@@user-up7zp7wn3q 에이 싯8^~
@user-fy7tb3jm6k
@user-fy7tb3jm6k 3 жыл бұрын
@@사람hm 만들어는 졌지만 우리는 없음ㅋㅋ
@대답-x3q
@대답-x3q 3 жыл бұрын
110v 쓰는 나라도 110v만쓰는게 아니라 가정집마다 1~2군데씩은 220v 있어서 겸용으로 씀 오븐이나 샤워할때 따뜻한물 나오는 기기 등 전력을 많이 사용하는 제품은 220v로 사용하고 일반제품은 110v 220v만 쓰고 싶어도 쓸수는 있지만 대부분 판매하는제품들이나 소유하고 있는 제품들이 110v이기에 굳이
@appetite4214
@appetite4214 3 жыл бұрын
또 하나 미국과 일본은 전력이 민영화 한국은 IMF후 부분 민영화되었지만 아직 공기업 전기 민영화이후 서비스는 더 안 좋아지고 전기세는 대폭 인상.
@fieldlinda9105
@fieldlinda9105 3 жыл бұрын
전력공급은 어처피 국가에서 합니다. 소매가만 민간이 정하고요. 그리고 다른 회사 서비스랑 연합해서 쿠폰도 나눠주고 포인트 나눠주고 세일이벤트도 합니다. 애초에 국가도매가가 비싼데 소매가격이 낮아질리가 없죠 세금으로 모든걸 메꾸는게 좋은게 아닙니다
@얼음맥주-k1g
@얼음맥주-k1g Жыл бұрын
@@fieldlinda9105 일본 전력 민간 운영은 문제 많은 것 맞아요. 눈가리고 아웅하려고 다른 회사랑 연합도 하고 쿠폰도 나눠주고 하는 거
@jeongminlee4049
@jeongminlee4049 3 жыл бұрын
미국에서는 110v 220v 둘 다 사용합니다. 저희 집에도 건조기, 차량 충전기, 전기 오븐은 220v 에 연결되어 있습니다. 전기선이 3상이 들어오는데 각각 하나씩 물리면 110v, 2개를 물리면 220v 가 나오죠. 전기쪽 공부하시는 분은 아실 것입니다.
@Onion_E
@Onion_E 3 жыл бұрын
여기서 할 말은 아니지만.... 30년간 전국 전압 바꾸는데 1조... 저출산장려 대책 15년간 225조.....헣
@니가알아서어쩌려고
@니가알아서어쩌려고 7 ай бұрын
225조를 들어붓고도 왓더?
@Johyeongjin
@Johyeongjin Ай бұрын
그 저출이라고 굳이 우겨대는 페미단체들이 다 냠냠함 ㅋ
@돌정령
@돌정령 3 жыл бұрын
흔히 110볼트라고 말하는 type a규격( | | 모양), 220볼트라고 하는 type c, f 규격 (● ●), 여러분들이 110볼트라고말하면 보통 전압얘기가 아닌 규격얘기입니다 ㅎㅎ. 옛날에는 승압기를 써서 110볼트를 220볼트로 올려서 쓰긴했는데 요즘에는 앞에 돼지코라고 불리는 젠더만 끼우면 마로 사용가능하잔아요. "프리볼트"가 이렇게나 좋습니다.
@tripleS1-S24
@tripleS1-S24 3 жыл бұрын
하지만 프리볼트가 아닌 제품에 돼지코를 끼우면.... 생각보다 프리볼트가 뭔지 모르고 무작정 돼지코를 써서 고장나는 경우가 생각보다 많이 있더라고요
@minc4723
@minc4723 3 жыл бұрын
말씀 하신 프리 볼트가 모든 제품이 가능 한건 아닙니다 확인 하고 돼지코 끼고 사용 해야 합니다.
@typark7001
@typark7001 3 жыл бұрын
ㄹㅇ 막말로 11자 소켓으로 220뿌릴 수도 있는 건데 11자는 110이요 돼지코는 220이다 라고 하는거 불ㅡ편
@뚜왑-h1y
@뚜왑-h1y 3 жыл бұрын
시험기간에 이런영상도 다 재밌다ㅠㅠㅠ
@KLAB
@KLAB 3 жыл бұрын
파이팅!
@헤헷-u6o
@헤헷-u6o 3 жыл бұрын
저 당시 전압 바꾸어 주면서 승압 트랜스 무상으로 제공해 주었는데.. 간단한 장비같은건(드라이기 같은 저렴한 것들) 새제품으로 교환도 해 주었었음
@플로늄
@플로늄 Жыл бұрын
그래서 우리집에는 220V를 110V로 낮춰주는 트랜스도 있었음 그리고 집앞에 폐가도 있는데 거기에도 3kw트랜스있음 녹쓸고 고장나긴했지만
@오이맛당근-j9b
@오이맛당근-j9b 3 жыл бұрын
안전에는 큰차이가 있는걸로 들었는데... 110볼트는 감전시 사람을 튕겨내지만 220볼트는 끌어당겨서 더 위험하다고 들은듯 한데 아닌가요?
@세종왔어요
@세종왔어요 2 жыл бұрын
맞아요. 220v 는 즉사할 수 있는 전압입니다. 안전이란 측면에서 소비자는 110v가 절대 유리합니다.
@K-electronic
@K-electronic 3 жыл бұрын
? 뭔 소리지... 산업화되면서 기존 전선으로는 급증하는 전기의 사용량을 감당하지 못해서 승압한 건데.. 내가 잘못 알고 있었던 건가
@이건한복이다
@이건한복이다 3 жыл бұрын
미국은 너무 넒은 땅덩이 덕에 못하는거고 일본의 경우엔 전기공급업체를 민영화 해서 이젠 못하게 된거죠 뭘... 사람들이 필수적으로 사용해야 하는것들은 공영화해서 국가운영을 하는게 여러모로 국민들에게 이익이 된다는 증명이죠
@c.p.9702
@c.p.9702 3 жыл бұрын
110볼트와220볼트의 차이와 플러그 규격과는 다른거고 요즘에는 프리볼트제품도 많아서 둘가능한경우도 많아요 그리고 효율은 가정전압보다는 송전시 전압이 중요합니다 물론 가정전압과 송전전압이 완전 무관한건아니지만요
@ovemeda8647
@ovemeda8647 3 жыл бұрын
옛날에 저희 집에 220v에서 110v로 바꿔주는 변압기가 있었는데 생각보다 무거워서 놀란 기억이...
@マルケス-m1g
@マルケス-m1g 3 жыл бұрын
요즘 일본의 신축은 둘다 들어오는 경우도 있어요 저희집도 에어컨은 220v
@natome132
@natome132 3 жыл бұрын
1. 일본에선 단순히 110V가 문제가 아니라 동부, 서부로 나뉘어서 50Hz와 60Hz로 갈라져 있는게 더 큰문제다. 쉽게말해 동부에서 쓰던 가전제품을 서부로 들고가면 변압기(!)를 쓰거나 바꿔야한다. 2. 유럽도 220V를 쓰지만 돼지코의 크기가 달라 어쨋든 아시아형 돼지코를 들고가야한다.
@Pero-t5d
@Pero-t5d 5 ай бұрын
한국의 플러그 타입은 독일과 동일합니다. 다만 유럽 안에서도 여러 종류의 플러그 타입이 존재하지요.
@강규영-y7q
@강규영-y7q 3 ай бұрын
일본의 경우는 정확히 시즈오카현과 야마나시현을 세로로 가르는 후지강를 중심으로 전압 헤르츠가 갈리는데, 그 때문인지 주부 지역인 시즈오카현, 야마나시현, 토야마현, 나가노현, 니가타현은 두 헤르츠를 쓸 수 있다고 하네요.
@eveningbird56
@eveningbird56 3 жыл бұрын
2:45 네 다음 은행에서 플로피디스크 쓰는 나라?
@호버저
@호버저 3 жыл бұрын
유럽도 기술발달 덕분에 이미 설비가 다 갖춰져 있었을 텐데 어떻게 220v로 변환한 건가요?
@이지훈-q4g2z
@이지훈-q4g2z 3 жыл бұрын
찾아보니 유럽은 애초에 전자제품 사용이 엄청 늘것을 예측하고 처음부터 220v로 설비를 갖췄다고 하네요ㄷㄷ
@이지훈-q4g2z
@이지훈-q4g2z 3 жыл бұрын
@그래프 1000 그러게요;; 전기가 미국부터 깔렸다 치더라도 어디까지 본건지ㅋㅋ
@제이현-j7v
@제이현-j7v 3 жыл бұрын
@그래프 1000 220으로 바꾸려다 일본 기업들 경쟁력 죽는다고 냅둔다고 그래서 동서로 주파수가 다른데 그것도 그래도 냅둔다고 하더라구요
@JH-ek5bn
@JH-ek5bn 3 жыл бұрын
@그래프 1000 대충 찾아보니 유럽은 19세기 말부터 220으로 바꾸기 시작ㄷㄷ 일본은 이때 미국산 110짜리 전기 깔기 시작했으니 ㄹㅇ 국토 리셋 아닌 이상 바꾸기 힘들듯
@JIN-ut4hw
@JIN-ut4hw 3 жыл бұрын
와 이거 진짜 궁금했는데 치기는 귀찮고 알고리즘 감사
@제로웬
@제로웬 3 жыл бұрын
220볼트가 110볼트에 비해서 화제위험이 덜하다고 합니다. 110볼트가 더 많은 전류가 흐르기 때문이죠. 옛날에 비해 전기로 인한 화제가 줄어든것도 그때문이라죠..
@schwij
@schwij 3 жыл бұрын
TMI 정확한 전압은 미국은 120V 이고 일본은 100V 이고 유럽은 230V 이고 영국은 240V 이다 그외에도 소소하게 다 달라서 프리볼트가 85V-240V 이죠 근데 한국도 요샌 230V 변압기를 씁니다 그리고 미국이나 일본은 고전압 기기 쓸려고 변압기보다 240V(미국 2상) 200V(일본2상) 으로 단상 3 선이나 3상 4선 전원에서 상전압만 따오는 식으로 씁니다
@rijae
@rijae 3 жыл бұрын
미주도 지금은 220v 특히 세탁기나 드라이어기기등 사용하는 가전제품이 늘아가고 있어서 집에 220v변압기를 놓고 사용하고 있습니다.
@sj_sakuda
@sj_sakuda 3 жыл бұрын
1:19 닌텐도에서 신고 들어오는건 아닌지...
@너굴맨-t6f
@너굴맨-t6f 3 жыл бұрын
아이고 별 걱정을 다. 2차 창작물인데 뭔 신고. 닌텐도가 할 짓이 없나.
@이름-c5z
@이름-c5z 3 жыл бұрын
@@너굴맨-t6f 근데 상업적으로 쓰잖아
@이름-c5z
@이름-c5z 3 жыл бұрын
@@whoareyou1733 그러네
@Daphnae_Len
@Daphnae_Len 3 жыл бұрын
길가에 보이는 전봇대에 흐르는 전기는 380v로 알고있고 가정집으로 오려면 전봇대에 있는 변압기에서 한번 걸러줘야 비로서 들어오는거랍니다
@yanggun1004
@yanggun1004 3 жыл бұрын
미국 캐나다도 스토브나 빨래건조기는 220V를 쓰긴 합니다. 정확히는 240V이고, 구멍은 우리나라 220V구멍과는 조금 달라요.
@매일매일칼퇴하고싶은
@매일매일칼퇴하고싶은 3 жыл бұрын
미국 110볼트에 우리나라 220볼트를 돼지코만 꼽으면 그대로 사용 가능합니다. 문제는 그 반대가 안 됨.
@moonterri
@moonterri 3 жыл бұрын
@@매일매일칼퇴하고싶은 프리볼트 제품 아니면 제대로 작동 안 합니다 220V 전용 헤어드라이어 같은 거 110v 아울렛에 돼지코만 꼽으면 바람 겁나 약하게 나와요.
@매일매일칼퇴하고싶은
@매일매일칼퇴하고싶은 3 жыл бұрын
@@moonterri 미국 유학중일때 가지고 간 전자기기들 다 정상작동했는데 프리볼트라 그랬나? 돼지코만 꼽아썼는데
@moonterri
@moonterri 3 жыл бұрын
@@매일매일칼퇴하고싶은 네 프리볼트라 그런거에요.
@ColeFave
@ColeFave 3 жыл бұрын
미국은 여러주마다 전기 공급하는 화사가 달라서 교체하기 어렵다고 합니다.
@user-oi5cr3rp4k
@user-oi5cr3rp4k 3 жыл бұрын
돼지코없이 여행할날은 전압통일된다고 되는 일이 아니에요. 당장 220v계열 전압 쓰는나라들도 콘센트 종류가 다양합니다.
@pinkprincess_1
@pinkprincess_1 3 жыл бұрын
실제로 일본에서 가구 많이 사용하면 정전이 자주일어 난다고 하더라구요
@리액턴스-k9n
@리액턴스-k9n 3 жыл бұрын
일본은 심지어 전압 주파수도 틀림 서일본 60Hz 동일본 50Hz
@Kay0422L
@Kay0422L 3 жыл бұрын
전압이 높을수록 효율이 더 높으면 330V 440V로 올리면 더 효율이 올라갈텐데 왜 더 안올린건가요
@LifeforComment
@LifeforComment 3 жыл бұрын
그냥 가볍게 적고 갑니다. 마지막에 말한 돼지코 멀티 어댑터는 변압기가 아닙니다. 미국이 220V로 다 바꾼다고 해도 플러그 타입을 우리랑 맞추지 않는 한 돼지코 들고다녀야합니다. 돼지코는 그저 플러그 모양, 타입만 바꿔주는 거지 전압을 바꿔주지는 못합니다. 그럼 이만 지나가가겠습니다.
@김세환-k6c
@김세환-k6c 3 жыл бұрын
참고로 북한은 220V 60Hz 를 사용합니다. 남한과 동일한 전기규격을 사용합니다.
@윤별-i9j
@윤별-i9j Жыл бұрын
궁금한게 있는데 일본은 110v보다 hz가 다른게 문제라고들 적어두셨는데 이게 왜 문젠가요 얜 중간에 바꾸는것도 안되나
@javaxerjack
@javaxerjack 3 жыл бұрын
1) 개인적인 의견으론, 대부분의 가전이 프리 볼트가 이미 기본으로 장착된 시대이니 저 커넥터만이라도 공동으로 사용할수 있는 규격이 있었으면 하는 생각이 들 때가 많습니다. 특히 뉴지랜드나 이런 나라 갔을 때 그 커넥터 규격은 진짜 경악스러울 수준이라서요. 2) 전기차 시대에는 220볼트를 선택한게 신의 한 수 일수도 있습니다.(전력량이 두배니 충전량도 최대 두배라는 이야기) 3) 일본의 경우 110볼트로 통일되어 있어 좋겠다는 생각을 할수도 있지만, 여기에 주파수라는 함정이 숨어 있다는 점도 생각해야 합니다.(동부 50Hz 서부 60Hz..., 이건 진짜 미쳤다는 말 밖에는 않나온다)
@이준호-u6i
@이준호-u6i Жыл бұрын
헤르츠까지 다른건 진짜 소름이네요…..
@moonterri
@moonterri 3 жыл бұрын
해외에서 쓰던 물건 그대로 가지고 와본 사람은 다 아는 이야기일텐데 110V 220V 문제가 아니고 "한국" 220V만 플러그 콧구멍이 큼 그래서 유럽 등등 해외 220V 제품을 사용해도 결국은 한국에선 못쓰거나 너무 헐렁거려서 합선위험이 생기기 떄문에 한국 전용 돼지코를 사서 껴야하는 불편함이 있음
@니가알아서어쩌려고
@니가알아서어쩌려고 7 ай бұрын
다 같은 220v 이 아니군요
@아메-n1g
@아메-n1g 3 жыл бұрын
전압 2배 증가하면 송전능력 4배 증가 전력손실 75%감소 전압강하율, 전압변동율 75% 감소
@칭송받는자
@칭송받는자 3 жыл бұрын
전기를 만들어내는 장소가 상대적 거리가 멀고 전선 자체에도 고유저항이 있기때문에 저항에 따른 손실을 최소화 하기위해 고압으로 승압하여 각 도시로 보내는것으로 알고있습니다. 게다가 220V 를 쓰면 상대적으로 전류값은 작아지기때문...
@umhahahaha8112
@umhahahaha8112 3 жыл бұрын
나 아주 어릴땐 집은 220v인데 옛날 전기제품 110v로 쓰는 제품은 몇개 있어서 변압기랑 같이 섰던 기역이...ㅋㅋㅋㅋ 뭐 요즘제품은 거의다 110,220v 공용이니 돼지코만 쓰면 문제 없지만..
@yamatofirst9992
@yamatofirst9992 3 жыл бұрын
일본 110v의 가장 큰 문제점은 関西랑 関東의 주파수가 다르다는 점이다 関西는 60Hz를 쓰고 関東는 50Hz를 쓰니까 규격 통일을 해도 돈이 많이 들고 뭘 하든 돈이 많이 들 수 밖에 없는 구조임
@SamsungKimPro
@SamsungKimPro 3 жыл бұрын
220v가 안전한 이유가 컴퓨터 하루 24시간씩 3년동안 켜둬도 멀쩡함
@파파-j2r
@파파-j2r 3 жыл бұрын
이건 알겠는데 330볼트는 왜 개발이 더딘건가요? 근무태만인가요?
@seungwooham3204
@seungwooham3204 3 жыл бұрын
전체적으로 전력 송전에 220V 가 손실도 적고 재사용할때도 손실이 적습니다.
@MMMMMMJUN
@MMMMMMJUN 3 жыл бұрын
2:01 대한승압써어비스
@e2no450
@e2no450 3 жыл бұрын
위험해서 110V를 쓴거면 왜 가장 위험한 총기를 규제 안하겠냐고 ㅋㅋㅋㅋ
@고양이버스-m3u
@고양이버스-m3u 3 жыл бұрын
일본 미국은 전기회사가 사기업이라 110으로 하고 전기세 높이면 그만이라 안바꾸는 이유가 제일 크다고 들었는디... 단순 관성이나 사회인프라가 아닐지도...
@GG-10098
@GG-10098 3 жыл бұрын
그럼 유럽은 전기설비가 오래전부터 구축되어있었는데 왜 다 220볼트 사용함?
@이우현-u1g
@이우현-u1g 3 жыл бұрын
땅이 작아서?.. 뭐 각자 사정이 다르겠지
@hww1115
@hww1115 3 жыл бұрын
아 뭔가 일본은 재난상황이 많이 일어나기때문에 110으로 냅두고있는건줄
@김닻별-u2c
@김닻별-u2c 3 жыл бұрын
지금 일본 전기 체계는 오히려 재난에 취약해요. 서부와 동부 전기 주파수가 달라서 서로간에 전기를 보낼수 없어요. 그러면 한쪽에서 큰 지진이 나 송전탑 넘어지고 발전소 무너지고 그래서 전력이 모자라도 다른쪽에서 보내줄수 없죠.
@jhlee6608
@jhlee6608 3 жыл бұрын
운영자님 110볼트인 제품을 220볼트에 꽂아서 펑하고 소리가 나면서 타버렸어요 제품을 고쳐서 다시 쓸수 있을까요? 참고로 아마존에서 직구한 커피머신입니다 바쁘시지만 꼭 답변 부탁드려요
@seo_hyun_doodo
@seo_hyun_doodo 3 жыл бұрын
아마 회로가 다 타버렸을거에요 고전압 제품이거나 비싼 물건들은 거의 다 퓨즈가 들어가 있어요 하지만 커피머신에서 펑 소리가 났다는건 이미 죽은듯 합니다 (고전압으로 회로가 탔을확률99%)
@geometrydashpianomen1441
@geometrydashpianomen1441 Жыл бұрын
전압 확인도 안 하고 꽂은 사용자 문제
@johyju9120
@johyju9120 2 жыл бұрын
유럽형플러그가 한국형플러그보다 얇은 이유도 알려주세요
@남태훈-c3o
@남태훈-c3o 3 жыл бұрын
일본 가전제품 변압문제도 잇다고 했는데 변환장치를 주면 해결되는 문제 아닌가요? 그렇게 비싼 제품도 아니라 한가구 10개씩도 줄수 있겠는데
@강영해-b1d
@강영해-b1d 6 ай бұрын
미국제품 다이슨청소기가를 우리나라 돼지코에 끼워서 사용해 보려고 해도 돼지코가 맞는게 없네요. 어쩌면 좋을까요?
@팝송추천받아요
@팝송추천받아요 3 жыл бұрын
엄마 과학공부하는거야 유튜브보는거 아니야... +좋아요 200개 뭐야 ㄷㄷ +좋아요 300개 끼요요욧 +과학 79점 영어 100점 수학 24점ㅠ
@tv-ez3ot
@tv-ez3ot 3 жыл бұрын
악 ㅋㅋㅋㅋㅋ
@honshin23
@honshin23 3 жыл бұрын
술은 마셨지만 음주운전은 아니다?
@kottackji
@kottackji 3 жыл бұрын
??:엄마 생명의 탄생과정을 공부하는거야 야동보는거 아니야..
@팝송추천받아요
@팝송추천받아요 3 жыл бұрын
@@kottackji ㅋㅋㅋㅋㅋㅋㅋ
@백진호-k8r
@백진호-k8r 3 жыл бұрын
@@kottackji 비유 ㄹㅈㄷ ㅋㅋㅋㅋ
@opelkorea9632
@opelkorea9632 3 жыл бұрын
한국: 그냥 빨리빨리 바꾸라고ㅋㅋ 일본: 아ㅋㅋ 무튼 우리가 대단해서 100v로 충분함ㅇㅇ 중국: 다 LH꺼야
@쇼츠-i9h
@쇼츠-i9h 3 жыл бұрын
+미국: 어느세월에 저걸 다 바꿔
@parkweedgreen
@parkweedgreen 3 жыл бұрын
베트남에서는 220v를 주로쓰긴하지만 110v짜리와 220짜리가 둘다 들어가는 콘센트가있던데 왜그런거죠?
@Travel_Park
@Travel_Park 3 жыл бұрын
110v에다가 돼지코연결해서 멀티탭사용하면 터지나요? ㅎㅎ
@daesungkang8422
@daesungkang8422 3 жыл бұрын
전기세 X 전기요금 O 해외의 220V도 한국 콘센트와 다른 곳 많습니다.
@drunkennation874
@drunkennation874 3 жыл бұрын
이 영상의 내용은 틀린 것이 너무 많습니다. 우선 미국과 캐나다에도 집으로 들어는 전기는 240/220V 입니다. 우리가 흔히 말하는 두꺼비집, 그러니까 main breaker panel을 보면 브레이커를 위아래로 2줄 씩 끼워 줄 수가 있는데요, 안쪽을 열어보면 2개의 버스바(bus bar)가 있고 브레이커를 연결할수 있게 되어 있습니다. 그 버스바에 한 개 짜리 브레이커를 연결 하면 single pole 120V 가 나오게 되는것이고요 2개짜리로 된 split pole (double pole) breaker 를 연결하면 240V 가 나오게 됩니다. 방식은 간단한데요 각각의 120V 가 180도 phase shift 가 되어 있어 2개의 120V 가 더해지게 되는 것입니다. 빨래 건조기는 240V 에 30A 를 사용하고 스토브같은 경우 240V 에 40A를 사용하게 됩니다. 그러니까 미국이나 캐나다에서는 240V/220V 와 120V/110V 를 집에서 같이 쓰는 것입니다. 그럼 한국에 왜 220V 를 사용하게 됐을까 의 진짜 이유 2가지 (개인적 생각) 1. 전력 = 전압 x 전류 그러니까 같은 전력이라도 전압이 높으면 전류를 적게 보내도 됩니다. 이게 무슨 말이냐 하면 같은 전력 그러니까 우리가 물 끓이는 주전자를 사용 하기 위해서 필요한 전력은 1500W 정도 인데요 전압이 220V 인경우 필요한 전류는 약 6.818A가 됩니다. 그런데 전압이 120V 인 경우에는 전류의 양이 늘어나겠죠? 전류는 약 12.5A입니다. 약 12.5A를 보내기 위해서는 안전성을 위해 20% 여유분을 포함해서 15A의 전류가 흘러도 안전한 전선을 사용해야 하는데요, 15 A를 보내기 위해서는 14 gauge 전선 (지름 1.63mm) 을 사용해야 하는 반면 220V 를 사용하게 되면 안정성 포함해서 10A의 전류에도 충분한 18 gauge (지름 1.024mm)의 더 얇은 전선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집 하나 짓는데 들어가는 전선의 양도 어마 어마 한데 아파트에는 얼마나 많은 양의 전선이 들어갈까요? 그리고 전선은 가격이 비싼 구리로 만들기 때문에 110V에서 220V로 바꾸는것 만으로도 엄청난 공사 비용을 절감하고 있는거죠. 그렇다고 아파트 값을 깍아주는것도 아닌데 말이죠. 2. 아무래도 일본 밀수 전자 제품이 물밀듯 들어오는 것을 막으려고 110V 에서 220V 로 바꾼게 아니냐는 생각입니다. 당시에는 집에 전축 있는게 막 엄청 자랑거리였고 대부분 일제 였던것 같아요. 그리고 비디오 카세트 플레이어, walkman 등 전자상가 가면 일제 밀수 상품이 수두룩빽빽 했던 걸로 기억합니다.
@KaeriusGaian
@KaeriusGaian 3 жыл бұрын
참고로 일본은 동부 서부 기준으로 헤르츠도 다릅니다. 그래서 도쿄에서 산 시계가 후쿠오카에서는 자꾸 느려지곤 합니다. 세탁기 살때도 귀찮구요. 2:36 이렇게 말하는 이유는 결국 자신들의 환경이 특이하니 (110v 서부60hz 동부 50hz) 헤르츠 변동에도 상관없고.수출용으로 110과 220 둘다 되는 것으로 만들어야함으로 예들만드는 대 수출용 혹은 내수용 가전제품은 100v-300v 50hz-60hz등 전 세계대용이 많습니다. 특수한 환경덕에 가전제품 수출에 관해서는 강하게 되지요. 추가로 일본 가정에서도 에어컨용 고압선(220v)이 있습니다. 코드는 같은 11자를 씁니다.
@Tweet_Boss
@Tweet_Boss 3 жыл бұрын
일본 동쪽 : 50hz 일본 서쪽 : 60hz ...?
@Xhxhzh-h1d
@Xhxhzh-h1d Жыл бұрын
일본은 헤어스타일링을 못하나요? 110으로 뜨거운바람 안나오잖아요
@천상남-s6r
@천상남-s6r Жыл бұрын
승압을 하면 가정집도 이익이겠지만, 그보다 한전 이익이 더 큼. 송전 용량은 전압어 제곱에 비례하고 반대로 전력손실은 전압의 제곱에 반비례하기 때문이죠.
@밥파이브
@밥파이브 3 жыл бұрын
일본은 110V를 쓰긴하지만 동일본과 서일본의 주파수가 달라요. 왜냐하면 서일본은 50hz인 미제 발전기를 사용하고, 동일본은 60hz인 유럽식 발전기를 사용하고 있어요.
@narisett1350
@narisett1350 3 жыл бұрын
일본은 110볼트가 50,60hz 주파수까지 지역별로 달라서 어떻게 고칠수가 없음. 그리고 110볼트라서 가정내 누전 화재가 잘 발생한다고 하네요.
@Ycmjg37143
@Ycmjg37143 Жыл бұрын
일본은 왜 저러냐면 공문은 수기로 쓰거나 플로피 디스크에 담아서 제출하라는 규정이 오랫동안 있었기 때문에 그렇다고 합니다. 올해정도 되어서야 플로피 디스크에 담아서 제출하라는 규정을 없앴다고 할 정도니깐요. 심지어 일본 특유의 공문에 도장을 45도로 기울여 찍는 문화도 한 몫을 한거라고 볼 수 있을 거 같아요.
@wald7750
@wald7750 3 жыл бұрын
같은 220v-230v 라도 돼지코 쓰는 경우가 있음. 유럽 같은 경우에 국가마다 콘센트가 제각각이라 전압 같아도 돼지코 필요함
@박준수-r5l3z
@박준수-r5l3z 3 жыл бұрын
220볼트 송전탑에서 나오는 전자파같은게 110볼트짜리보다 훨씬 많이나와서 건강에 좋지 않다는 얘기를 어디선가 주워들은듯 한데 누가 댓글로 팩트체크좀 해주실래요?
@kju42
@kju42 3 жыл бұрын
한가지 더 , 일본은 110볼트이면서도 주파수가 두종류라서 남쪽에서 북쪽으로 이사가면 가전제품을 다 바꾸거나 주파수교환기를 써야한다고 한다, 다시말해서 일본은 220볼트로 올려야 하는 이유가 하나더 있음에도 불구하고 220볼트로 바꾸는 작업을 하지 않았다. 1980년대 그렇게 잘나가던 시절에도 안하고 1990년대 온나라에 토목공사질을 하면서도 승압작업을 안했다. 뭐든지 격렬하게 안바꾸는 일본답다.
@fenofnight3307
@fenofnight3307 3 жыл бұрын
시골에 가면 돼지코가 아닌 110v 콘센트 있던게 그거엿군..
@Lsjun_reo
@Lsjun_reo 3 жыл бұрын
1:57 나도 이제 늙었구먼,,, 내가 110볼트를 쓰던 시절에 살아 있었다니
@innovationforth2243
@innovationforth2243 Жыл бұрын
이런 유튜브 너무 좋아 ❤
@ilillililiiilllliiliillli
@ilillililiiilllliiliillli 3 жыл бұрын
전압이 높으면 높을수록 좋다는데 330v 도 아니고 440v도 아니고 220v인이유가 뭔가요?
@schwij
@schwij 3 жыл бұрын
승압사업때 110V 변압기를 안바꾸고 올리려다 보니 220V 였었죠 안전도 있고 말입니다
@hochulchang1694
@hochulchang1694 3 жыл бұрын
110v 쓰던 시절 두꺼비집 내려 가는 일 많았지 일본은 110말고 100v 쓰고 있으며 50Hz/60Hz 주파수 조차 통일 못 하는 나라로 일부 지역에 200v 서비스 하고 있다고 함
@mememe_0101
@mememe_0101 2 жыл бұрын
근데 110v 얇은 선이랑 꼽는 부분이 작은건 가끔 부러움ㅋㅋ 멀티탭도 작아서 부피차지도 적으니까 청소도 좀 쉽고
@더워욧
@더워욧 3 жыл бұрын
전기사고나면 110볼트가 죽을확율이 더높다는데 맞나여? 110볼트가 전압이 낮아서 붙어버리고 220볼트는 전압이높아서 튕겨나가서 오히려 살수있다던데
한국은 왜 220V 전압을 사용하는 걸까?
6:31
사물궁이 잡학지식
Рет қаралды 246 М.
Хасанның өзі эфирге шықты! “Қылмыстық топқа қатысым жоқ” дейді. Талғарда не болды? Халық сене ме?
09:25
Демократиялы Қазақстан / Демократический Казахстан
Рет қаралды 300 М.
Я сделала самое маленькое в мире мороженое!
00:43
Кушать Хочу
Рет қаралды 4,3 МЛН
단상과 3상의 차이. 쉽게 설명해보겠습니다.
11:06
전병칠
Рет қаралды 2,4 МЛН
일본 현지인이 알려주는 일본 여행중 주의해야 할점
10:09
도쿄규짱 gyujjang
Рет қаралды 2,9 МЛН
산 위에 송전탑을 어떻게 설치했을까?
4:29
사물궁이 잡학지식
Рет қаралды 641 М.
전압이 위험할까 전류가 위험할까?
10:43
전병칠
Рет қаралды 808 М.
Хасанның өзі эфирге шықты! “Қылмыстық топқа қатысым жоқ” дейді. Талғарда не болды? Халық сене ме?
09:25
Демократиялы Қазақстан / Демократический Казахстан
Рет қаралды 300 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