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사람들은 왜 큰 집에 살아요? | 미국 집의 어두운 비밀

  Рет қаралды 1,567,407

올리버쌤

올리버쌤

Күн бұрын

[올리버쌤 도서로 학습하기]
(신간) 올리버쌤의 미국식아이영어습관365
url.kr/udpt4h
올리버쌤의 영어 회화 일력 365
bit.ly/389tTbX
올리버쌤의 영어 꿀팁
bit.ly/2QigDck
[인스타그램]
올리버쌤 / oliverkorea
마님툰 / manim_toon
체리 / cherry_bbobbo
스카이 / skye_bbobbo
[네이버 웹툰]
comic.naver.co...
[유기견 입양 신청 및 해외 이동봉사 문의]
메일 2798catherine@gmail.com
인스타 / volunteer_abcd

Пікірлер: 2 500
@가즈앙-r8b
@가즈앙-r8b Ай бұрын
올리버쌤 영상 퀄리티가 확 올라간 느낌이네요. 설명을 위해 알기쉽게 평수나 금액 같은걸 큰 글씨로 보여주시고 관련 사진들도 첨부해주시니 보기가 너무 좋습니다. 이렇게 편집하는게 쉽지 않으셨을텐데 고생많으셨습니당
@dalbodre_ari
@dalbodre_ari 29 күн бұрын
직접 편집하시는 걸까요? 댓글 보고 생각해보니 진짜로 퀄리티가 좋아진 느낌
@Oliver-ssam
@Oliver-ssam 29 күн бұрын
네 ! 직접 합니다! 가내 수공업 입니다 ㅎㅎ
@doozzii
@doozzii 29 күн бұрын
@@Oliver-ssam 가내 수공업 ㅋㅋ 올리버 선생님의 어휘력에 놀라고 갑니다 ㅎㅎ
@Yc0921Lee
@Yc0921Lee 29 күн бұрын
'가내수공업' ㅎㅎㅎ~~ 올리버쌤 엄지 척!!!
@yisani_korean
@yisani_korean 29 күн бұрын
@@Oliver-ssam와 대단하세요!! 롤모델입니다 ❤
@aa1j
@aa1j 29 күн бұрын
오늘 내용 좋네요. 목수 직접 인터뷰, 직접 도시 안쪽과 외곽 보여주고, 적절한 그래픽과 마지막에 역사적 배경 설명까지. 근래 본 유튜브 컨텐츠 중에 최고로 알찬 내용
@Oliver-ssam
@Oliver-ssam 29 күн бұрын
칭찬 감사합니다! 앞으로도 알찬 내용 많이 만들게요. 😊
@pstarke1066
@pstarke1066 29 күн бұрын
미국사는걸로 특권의식 갖고 있는 일부 미국내 한인들이 억까하지못하게 철저히 준비해서 잘 만드셨네요^^
@helonj3524
@helonj3524 29 күн бұрын
넘 몰랐던 내용이라 깜짝 놀랐네요 우리나라와 비슷한점은 젊은이들이 집을 사기가 힘든다는거네요 넘좋은 내용 잘봤습니다감사합니다❤
@ragnaheil
@ragnaheil 29 күн бұрын
​​​@@Oliver-ssam 근데 서유럽.북유럽.캐나다.호주는 미국과 달리 예전에는 백인이 거의 대부분인 국가인데다가 서민들 생활수준이 보장되있고 사회복지국간데 그나라들도 다 큰단독주택 살던데요? ㅎㅎ
@부리타
@부리타 28 күн бұрын
​@@ragnaheil님도 반론을 펼치시려면 그 나라들의 주택 평균 평수라던가 법적 제도 같은 구체적 데이터를 갖고 와서 주장해보시는 게 어떨까요? 이렇다던데 저렇다던데 하는 정도로는 별로 신뢰감도 설득력도 약한 것 같어서 말이죠
@Rusi_vita
@Rusi_vita Ай бұрын
작은 집을 찾을 수가 없다니... 한국으로 치면 18평 아파트가 전부 사라지고, 50평대 이상 아파트만 남은 상황이라고 알려주니 확 와닿았어요🥺😭 또 건축가들이 마진, 이윤을 많이 남기기 위해 큰 집을 짓기 원하고, 규역 규제 법 때문에 도시 자체에서 작은 집을 못 짓게 하고 꺼려한다는 것도... (그 바탕에는 백인들 위해 비백인 인종 차별이 있다니, 또 토지 사용 제한 법으로 다른 인종 막아버리는... 그 규제가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는..) 미국은 땅이 넓어서 큰 집에 사는 줄 알았거든요 미국의 집에 대해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pel3798
@pel3798 Ай бұрын
지역마다 다름. 도시로 가면 큰집 찾기가 더 힘듬. 콘도 (한국의 아파트)만 늘어남. 한국 서울 21평에 살텐데, 미국 도시도 마찬가지임. 미국 대도시 21평에 살면 중산층임. 한국도 시골에 가는 이유가 보통 큰 집에서 살기 위해서일텐데, 미국도 마찬가지임.
@쇼유랑
@쇼유랑 Ай бұрын
한국집 솔직히 너무 작음.....
@grr8048
@grr8048 Ай бұрын
@@pel3798미국 대도시 기준 21평이면 서민임. 뉴욕맨해턴만 들고 와서 님말이 맞다고 하면 님 말이 맞음.
@jhpark2947
@jhpark2947 29 күн бұрын
도시로갈수록 원룸건물 신축으로 지어서 월세 빼먹죠 ㅋㅋㅋ
@peterkim1542
@peterkim1542 29 күн бұрын
미국 집은 건축가없어도 집장사가 지어요.
@김창조-v1c
@김창조-v1c 28 күн бұрын
퀄이 진짜 장난 아니내 무슨 가내수공업으로 공중파보다 잘만드내 어렸을때 부터 궁금했는데 궁금증을 풀어줘서 감사합니다!
@Oliver-ssam
@Oliver-ssam 28 күн бұрын
가내수공업이지만 열심히 만들고 있어요 ㅎㅎ
@애니캣-c6v
@애니캣-c6v 24 күн бұрын
​@@Oliver-ssam한국어 실력이 최고입니다
@dowpark4347
@dowpark4347 28 күн бұрын
시사다큐같은 깊이감입니다. 간간히 아이들이 나와서 이건 다큐가 아니야라고 말해주는것 같습니다.ㅎㅎ
@료아-o5y
@료아-o5y Ай бұрын
심즈하면서 미국주택구경할려고 질로우에 들어가면 죄다 큰집이길래, 미국은 땅떵이가 커서 집들도 다 커다란가보다 하고 부러워했는데 알고보니 건설업자들의 이윤과 규제법때문이라니... 참씁슬한 현실이네요.
@김윤숙-r6f
@김윤숙-r6f 27 күн бұрын
비현실적인 미국도 문제군요 규제할걸 규제 해야 됨. 형편대로 살겠금 규제타파 하길 바랍니다. 모두가 잘사는 법을 추구하길 바랍니다
@띵쏭쑹
@띵쏭쑹 24 күн бұрын
미국잘알 ㅋㅋㅋ 질로우 알면 ㅋㅋㅋ
@sjdob-y5d
@sjdob-y5d 16 күн бұрын
댈러스 업타운에 전용 59 15만달러 짜리 콘도가 즐비한데 작은집이 왜 없겠습니까? 하우스를 우리나라 아파트랑 비교하는 자체가 엉티리지요.경기도 광주에도 저런 하우스 지으면 30억씩 합니다.
@SsSs-jp9od
@SsSs-jp9od 15 күн бұрын
ㅋㅋㅋ여기에 댓글달면 규제타파가 되나 ㅋㅋ
@louisecaroline7136
@louisecaroline7136 8 күн бұрын
심즈때문에 질로우ㅋㅋ 공감
@hwlee1167
@hwlee1167 29 күн бұрын
분석력이 웬만한 전문가보다 더 대단하시네요.......항상 넓은 식견에 너무나도 감사드리고 또 잘 보고 있습니다..........
@Oliver-ssam
@Oliver-ssam 29 күн бұрын
과찬의 말씀 감사합니다! 앞으로도 더 열심히 분석해서 좋은 영상 만들게요. 😊
@sjdob-y5d
@sjdob-y5d 16 күн бұрын
댈러스 업타운에 전용 59 15만달러 짜리 콘도가 즐비한데 작은집이 왜 없겠습니까? 하우스를 우리나라 아파트랑 비교하는 자체가 엉티리지요.경기도 광주에도 저런 하우스 지으면 30억씩 합니다.
@박은규-b7c
@박은규-b7c 15 күн бұрын
의견은 알지만​ 올리버씨가 힘들게 만든 영상에 비난은 하지 맙시다@@sjdob-y5d
@le_decard
@le_decard 12 күн бұрын
@@sjdob-y5d댓글 복붙 작작해라 ㅋㅋㅋ
@sjdob-y5d
@sjdob-y5d 12 күн бұрын
@ 그렇게 댓글을 써도 해명 답변이 없네요.
@gogoavril
@gogoavril Ай бұрын
작은집을 지으면 하류층들이 많이 들어와 지역 이미지나빠져 집값 떨어진다고 기존 주택 보유자들이 지방정부에 압력을 넣어서 일정크기이상 짓도록 조례가 생긴 지역이 많습니다. 그러니 아파서 병원비나 실직하면 집대출이자 못갚아 바로 파산하고 홈리스 되는거에요
@chaostar88
@chaostar88 Ай бұрын
기득권인 백인들이 백인만을 위한 법을 만들었으니까.....
@Gamingway14
@Gamingway14 29 күн бұрын
그래서 홈리스가 많은 이유인가보네요
@yro3593
@yro3593 29 күн бұрын
몰랐던 사실이네요😮
@chensuyong2300
@chensuyong2300 29 күн бұрын
그렇군요. 요약하면 미국 하류층의 삶 : 20대때 결혼해서 능력도 안되는데, 큰집사서 평생 뼈빠지게 집값만 갚다가 40대때 암에걸려 초기진료로 다행히 완치는 했으나 파산. 병가를 인정받지도 못하고 직장에서도 해고. 집이 차압되어 경매로 넘어가고 쫒겨나 50대 이후로는 홈리스가 된다. 이렇게 이해하겠습니다.
@Tradesoul2025
@Tradesoul2025 29 күн бұрын
@@chaostar88 글쎄요... 높은 교육 소준으로 고소득 직업을 많이 획득하고 자기 사업으로 자본 축적에 성공한 아시아 사람들도 자기 동네에 하류층들이 들어오는 걸 반기진 않을 것 같은데요?
@소율티비-y8y
@소율티비-y8y 21 күн бұрын
올리버쌤 채널 약 8년간 정말 오래 보면서 처음 댓글 달아보는데, 전부터 지금까지 항상 좋은 컨텐츠들 유익한 내용들로 영상 만들어주시고 점점 발전 하는 것 같아 응원하게 됩니다. 궁금했던 내용들도 역사적으로, 사회적으로 왜 라는 질문을 하며 깊게 알려주시니 더욱 유익한 컨텐츠인 것 같아요. 항상 가족들과 행복하게 지내시길 바라요
@Oliver-ssam
@Oliver-ssam 21 күн бұрын
8년 동안 함께 해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앞으로도 더 좋은 콘텐츠로 보답할게요! 😊
@syl6058
@syl6058 26 күн бұрын
미국도 가만 보면 50년 이상된 법들이 현재에 굉장히 안좋은 영향을 끼치는 경우가 상당히 많아보임. 법의 수명은 분명 끝난거 같은데 그거 고치려면 또 엄청난 시간과 에너지가 필요하고 갈등도 엄청 생기고.
@jwoon2000
@jwoon2000 29 күн бұрын
방송국 다큐보다 더 알찬 내용입니다. 잘봤습니다.
@Oliver-ssam
@Oliver-ssam 29 күн бұрын
다큐보다 더 재밌었으면 성공이네요 ㅎㅎ
@정한이-i7n
@정한이-i7n 28 күн бұрын
@@Oliver-ssam👍
@드륵-t7q
@드륵-t7q 28 күн бұрын
@@Oliver-ssam너무 재밌고 유익해요!
@sookmilee104
@sookmilee104 28 күн бұрын
미국 살고 있는데 미국 사람도 대부분 모르는 정보지요 😂
@BcdA-ex2wl
@BcdA-ex2wl 28 күн бұрын
​@@Oliver-ssam 다른 국가인 한국에서 보았을 때 객관적인 입장으로 알려 주셨지만, 올리버쌤이 사시는 미국인 보수 입장에서는 안 좋게 보일 수도 있는 영상일 수도 있겠네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좋은 영상 만들어 주셔서 감사하구요. 여태까지 막연하게 넘겼던 의문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해 주셔서 사람 사는 곳 별반 다르지 않음을 느낍니다. 감사드립니다.
@Freedom_dd
@Freedom_dd Ай бұрын
단순히 땅이 넓어서라고만 생각했는데(?) 세금 측면에서, 역사적으로 생각해볼 수 있어 신선했습니다. 주택 수요자의 입장과 공급자의 입장이 완전 다르네요. 좋은 영상 감사해요!!
@chaostar88
@chaostar88 Ай бұрын
그거보단 결국 정치 때문임...... 유색 인종 차별이 이지경 만든 거.....
@김현석-v8e
@김현석-v8e 21 күн бұрын
​@@chaostar88자칫 정치로 이어질수있는걸 역사로 잘풀었다고봄 자세한 내막은 모르지만 결국 건축가와 도시가 이득을 본다는 설명은 사람 가치관에 따라 다르게 말할수있는 부분이니..
@adsdavasdew
@adsdavasdew Ай бұрын
좋다. 재밌다. 깊이 있다. 이런 컨텐츠 좋다. 누구한테 이런 이야기 들어보냐. 도시의 수입은 주택재산세에서 주로 나오기 때문에 주택재산세가 부과되는 큰 집을 공공에서도 선호할 수 밖에 없다는 사실을.
@Fcamper2
@Fcamper2 26 күн бұрын
올리버쌤 진짜 편집이랑 구성 알차다 ... 호흡도 짧아서 쇼츠로 짜르기도 편하게 되잇고
@보노섭
@보노섭 10 күн бұрын
어느 나라나 장단점이 있는것 같습니다😢 자세한 문화 설명에 늘 감사 드립니다!😊
@gamsonggyul
@gamsonggyul 29 күн бұрын
브래드 할아버지 이렇게 길게 말하는거 처음봐서 너무 좋아요ㅎㅎ 특유의 텍사스쪽 억양도 넘나 멋지네요. 매튜 맥커너히 억양ㅎㅎ
@JYS-fx4qo
@JYS-fx4qo Ай бұрын
굉장히 유익한 영상이었습니다. 미국에는 왜 대부분 큰 집 밖에 없는지 안그래도 궁금했었습니다. 마치 어떤 방송사에서 하고 있는 벌거벗은 역사 시리즈 같았습니다. 앞으로도 간간히 이런 영상 올려주시면 미국을 이해하는데 많은 도움이 될 것 같아요. 감사합니다😊
@유니카-m9p
@유니카-m9p Ай бұрын
현실이 참 씁쓸한...
@여행-c3y
@여행-c3y 27 күн бұрын
올리버쌤의 미국 소식은 항상 재미있지만 오늘 방송은 다큐멘터리급 작품이네요!
@Oliver-ssam
@Oliver-ssam 27 күн бұрын
칭찬 감사합니다! 앞으로도 더 재밌는 영상 많이 만들게요.
@jieunlee9153
@jieunlee9153 14 күн бұрын
주제와 그걸 풀어나가는 방식. 그리고 냉철한 결말까지 너무 알차요. 마지막에 영어까지 배우니 좋네요
@비츠로-e9v
@비츠로-e9v 29 күн бұрын
애기들 자라는 모습 보여주는것도 재밌지만 미국 역사나 사회현실을 미국인의 시각으로 보여주는 것도 아주 재밌고 뜻깊어요 올리버쌤의 콘텐츠가 이런 다양한 정보를 다루어서 지루하지않고 더 빚납니다❤❤❤
@minheekim921
@minheekim921 Ай бұрын
미국 이주계획이 있어 잘 보고 있었는데, 늘 유익한 정보, 잘알지 못했던 미국사회 전반에 걸친, 사회경제 문제에 대해 깔끔한 도표와 참고자료까지 올려주셔서 전문가적인 면모에 깜짝 깜째 놀랍니다.미국 정보관련 다큐나 기자, 리포터, 정규기사 내는 일도 섭외받으심 진짜 잘 하실 것 같아요.섭외 기원합니다.
@Oliver-ssam
@Oliver-ssam 29 күн бұрын
감사합니다! 😁
@desmo1051
@desmo1051 29 күн бұрын
미국 문화에 대해 재미있게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체리와 스카이도 건강하게 크고 있는 것 같아서 다행이에요. 언제나 행복하시길 바라고 지금처럼 꾸준히 활동하시길 바라겠습니다.
@Oliver-ssam
@Oliver-ssam 29 күн бұрын
감사합니다! 😊 체리와 스카이도 잘 지내고 있어요. 앞으로도 좋은 영상 많이 만들게요.
@말랑모찌-owo
@말랑모찌-owo 28 күн бұрын
한국어 발음이 점점 자연스럽습니다😊😊
@kimmuse2010
@kimmuse2010 20 күн бұрын
캐나다하고 많이다르네요!! 캐나다는 오히려, 새롭게 주택단지를 조성할때 필지를 작게 나누어 작은 규모의 house을 더 많이 짓는 추세일뿐 아니라 방2~3개 짜리 타운하우스나 저층 아파트와 고층 콘도등... 독신 가구나 올리버샘같은 젋은 가족을 위한 주택을 많이 짓고 있지요 큰 주택을 지을때도 아래층에 별도의 legal suite를 짓기 때문에 집주인에겐 수입을(몰기지 helper), 세입자에겐 더 많은 주택보급을 함으로써 렌트비 상향을 조절하려는 정책을 합니다 !
@sjdob-y5d
@sjdob-y5d 14 күн бұрын
@@kimmuse2010 저기도 댈러스 업타운에 650sq짜리 콘도들 15 만달러 2억 정도에 먆습니다. 900~1000sq 콘도도 20만 달러 즉 3억 정도에 많습니다. 한국 사람들은 650sq ~900 sq 짜리가 국민 평형이라고 생각하고 3~4인 가족들이 답답하게 삽니다.
@kimmuse2010
@kimmuse2010 14 күн бұрын
@sjdob-y5d 아.. 그렇쿤요! 캐나다 벤쿠버는 650sq콘도는 독신이나, 아이없는 부부용이고.. 올리버 가족처럼 아이 키우는 young family일 경우, 단독 하우스는 가격이 부담되니까 town house를 선호합니다 ! 신혼때 콘도 살다가, 아이 생기면 타운하우스나 하우스로 옮시더라구요
@sjdob-y5d
@sjdob-y5d 14 күн бұрын
@@kimmuse2010 한국은 650sq 아파트에 방 3개 화장실 2개 쑤셔 넣고 20억 30억에 분양해서 4인 가족이 숨도 못쉬고 삽니다. 이번에 강남에는 550sq 짜리에 방3개 화장실 2개 쑤셔넣은 아파트도 20억에 가깝게 분양했지요. 그리고 댈러스에 900sq 1000sq 콘도도 20만달러에 널렸습니다.
@sjdob-y5d
@sjdob-y5d 14 күн бұрын
@@kimmuse2010 우리는 650sq 짜리에 방3, 화장실2개 억지로 집어 넣고 4인~5인 가족이 삐집고 삽니다.
@kimmuse2010
@kimmuse2010 14 күн бұрын
@@sjdob-y5d 방 3, 화장실 2개면 4~5인 가족 충분히 살지요!
@제시카-x7u
@제시카-x7u 29 күн бұрын
와 아무도 말해주지 않는걸 알려주시는 올리버쌤 보소❤
@Oliver-ssam
@Oliver-ssam 29 күн бұрын
감사합니다! 😊 앞으로도 숨겨진 이야기 많이 들려드릴게요.
@제시카-x7u
@제시카-x7u 29 күн бұрын
@ 헉 …….:-ㅁ 올리버쌤한테 댓글 받음….🤍
@이경희-g1s
@이경희-g1s 25 күн бұрын
@@Oliver-ssam 그래도 난 체리 스카이 왕자 보는게 더 좋은데...
@cyou6345
@cyou6345 29 күн бұрын
미국 사는데 이런 얘기 이렇게 체계적이고 자세히 여러 방향으로 설명해주시는 분 진짜 많이 없어요. 다들 그냥 원래 그런거야 하고 넘어가거나, 한 부분만 문제라고 파고드는 유튜브/팟캐스트/정치인들이 대부분인데. 항상 감사합니다!
@강무진-x5s
@강무진-x5s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moltobello8311
@moltobello8311 28 күн бұрын
와우 이런 문제가 있다니 정말 끔찍하고 슬프네요... 선택권이 없는 삶이라니...ㅠㅠ 사람이 살다보면 굴곡이란게 필연적으로 있을 수 밖에 없을텐데.. 멀쩡히 잘 살던 사람이 어느날 갑자기 홈리스행 된다는게 .. 조금이나마 와닿았네요 흑흑
@권민우-n3q
@권민우-n3q 27 күн бұрын
항상 미국에 대해서 많이 배워갑니다. 감사합니다.
@JK-kr2fk
@JK-kr2fk Ай бұрын
이번영상 편집 퀄리티가 대박이에요..
@YEO5191
@YEO5191 Ай бұрын
올리버쌤 덕에 미국 현실에 대해서 많이 배우네요 미국은 우리에게 있어서는 기회의 땅이며 천조국이라고 불리지만 얼마나 살기 어려운지 배웁니다
@회색돌-e2q
@회색돌-e2q 29 күн бұрын
기회의 땅이란 말은 1800년도 때나 통하던 말이지 지금은 가방끈 짧으면 그냥 대뇌피질덩어리임ㅋㅋㅋ
@Co-ws1bv
@Co-ws1bv 29 күн бұрын
캘리포니아 주지사 인터뷰 보면 이번 화재 사건은 자연산불이 아닐 가능성이 높습니다. 터져나오는 웃음을 참지 못하더만요. 싹 밀어버리고 다시 지으려는 그들의 계획이죠
@ohmalub
@ohmalub 29 күн бұрын
기회의 땅은 60~80년대까지죠
@ohmalub
@ohmalub 29 күн бұрын
유럽 미국보다 우리나라가 사실 생활의 질이 더 나아요 치안도 그렇고 소득대비 월세나 생활비등도 저렴하고요
@forever_자유대한민국
@forever_자유대한민국 29 күн бұрын
​@@ohmalub 초한전 읽어보세요 우리나라가 얼마나 큰 위기인지 알게 될겁니다. 국민들이 안깨어나면 큰일날 위기까지 왔습니다.
@넌따뜻해
@넌따뜻해 Ай бұрын
어디든 속내를 들여다 보면 어두운 면이 많이 보이게 마련이죠. 올리버쌤 덕분에 미국의 현실을 조금씩 알게 되네요. 감사합니다. 편집 스킬은 나날이 더 좋아지시고~~^^
@눈꽃Snowflake
@눈꽃Snowflake 29 күн бұрын
인류의 역사는 기만과 착취의 역사니까
@이재영-n6r
@이재영-n6r 28 күн бұрын
저건 국뽕팔이인데요?
@sjdob-y5d
@sjdob-y5d 14 күн бұрын
댈러스 한복판에 10~20만 달러 1억5천~3억이면 매매 가능한 전용 59~84 콘도가 널렸습니다.
@겨울눈꽃-j3s
@겨울눈꽃-j3s 21 күн бұрын
아기~스카이! 넘 넘 귀여워요^^^^ 끌어안고 까꿍, 볼 부비부비 비비는 것도 행복감 최고일듯👍
@ajib3078
@ajib3078 19 күн бұрын
알기쉽게 유익한 영상이었어요 알고나니 '아직도 부러운가' 다시 스스로에게 되묻게되네요
@뭐지-u7v
@뭐지-u7v Ай бұрын
미드 보면 혼자 사는 사람이 싱글하우스 한채 구매해서 이사들어오는 장면이 있었는데 이유가 여기에 있었네요 선택지가 없어서였어요 혼자사는데 집에 너무 큰거 아닌가 하는 생각을 했어요 그리고 제가 얼마전에 오즈의 마법사 원서 독해하는 영상을 본적이 있는데 도로시가 살던 집이 삼촌인지 외삼촌인지하고 숙모하고 도로시 셋에 살았는데 지금으로 치면 원룸에 단층 구조이고 이쪽 벽에는 삼촌 부부침대가 저쪽 반대편 벽에는 도로시의 작은 침대가 있고 다고 표현 돼 있더라구요 옛날 우리나라도 단칸방에서 다같이 한방에서 살았다고 하는 내용과 별 반 다르지 않아서 놀랬었는데 미국의 집이 커지게 된 역사가 생각보다 오래되지 않았네요 올리버 쌤 영상 보고 또한가지 생각이 든게 있는데 미국은 사는 동네 만으로도 경제사정이 다 나온다 하더라구요 그래서 더 그런 주택이 있는 지역에서 살려고 하는 이유도 있는걸 같아요 학군 문제도 있고
@user-Griezman
@user-Griezman 29 күн бұрын
20대때 미국에서 지낼때 하메들이랑 지냈습니다. 4명이서 나눠냈는데도 월세가 너무 비쌈
@sjdob-y5d
@sjdob-y5d 14 күн бұрын
@@뭐지-u7v 댈러스 업타운에 650sq 전용59 콘도가 15만 달러 2억에 널렸습니다.
@sjdob-y5d
@sjdob-y5d 14 күн бұрын
댈러스 한복판에 10~20만 달러 1억5천~3억이면 매매 가능한 전용 59~84 콘도가 널렸습니다.
@김혜숙-f4g
@김혜숙-f4g Ай бұрын
이런 다큐적인 편집이랑 스토리 너무 좋아요^^ 미국인들이 실내에서 신발을 신는 이유에 대해 설명해주실때도 이런 편집이었고, 그전에 몇가지 더 있었죠? But, 올리버는 너무 힘드셨을듯ㅠㅠ
@nilenike8005
@nilenike8005 29 күн бұрын
정말 정말 흥미로운 주제입니다. 더구나 아버님.. 체리 할아버지께서 전문가로서 말씀해 주시는 이야기라서.. 또 저는 어릴적부터 집을 짓는 사람들에게 유난히 관심이 많았고.. 예쁘게 잘 지어진 집에 끌리고 매력을 느끼는 사람입니다. 그냥.. 아파트에 살지만.. 집짓는 사람.. 잘 지어진 집은 .. 자다가도 벌떡 일어나는 관심있는 분야입니다. ^^
@Poiuytrewq-b5n
@Poiuytrewq-b5n 27 күн бұрын
와... 미국 주택 시장 이면을 잘봤습니다. 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1천억원-h8s
@1천억원-h8s 26 күн бұрын
이런거 너무 좋다 진짜 어디서도 볼수없는 미국에 대한 역사까지 알수있는 영상
@우리썬
@우리썬 29 күн бұрын
쌤이 이제 다큐까지 만드시네여.ㅋ 재미있어요.^^@
@jaelee7355
@jaelee7355 Ай бұрын
집을 작게 만들수없어서 트레일러 같은 이동식주택을 이용하는거였구나.
@sjdob-y5d
@sjdob-y5d 16 күн бұрын
댈러스 업타운에 전용 59 15만달러 짜리 콘도가 즐비한데 작은집이 왜 없겠습니까? 하우스를 우리나라 아파트랑 비교하는 자체가 엉티리지요.경기도 광주에도 저런 하우스 지으면 30억씩 합니다.
@KYU_Balla
@KYU_Balla 10 күн бұрын
도심은 나라 불문 땅이 한정돼 있고 땅값이 비싸니 어쩔 수 없이 집이 작은 거고 외곽에 작은 집을 못 짓게 된 연유에 대해 설명해주신 것 같은데요.
@sjdob-y5d
@sjdob-y5d 10 күн бұрын
@@KYU_Balla 미국 인구통계청 US census bureau 들어가서 보시면 미국 대도시들의 인구구조까지 다 나오는데요. 대도시의 인구구조가 우리랑 다르게 매우 젊습니다. 어지간한 대도시들 평균 연령 30대 초반이죠. 애초에 젊은이들은 대도시에 많이 거주해서 텍사스 휴스턴 댈러스 오스틴 샌안토니오 이런데 중심부에 많이 삽니다. 이 영상만 보면 저런 대도시에도 작은집이 없는 것처럼 오해하기 쉽습니다. 하지만 저런 대도시 도심에 콘도들은 우리보다 훨씬 저렴한 가격, 2~3억에 전용 84 매매가능한 매물들이 널렸다는게 사실입니다. 그런 내용들을 쏙 빼놓고 외곽의 작은집에 못사니 젊은이들이 불쌍하다는 영상은 모르는 사람이 보면 좀 오해의 소지가 있어보입니다.
@구영옥-f7l
@구영옥-f7l 27 күн бұрын
자막 크게 넣어주시고 쉽게 풀어서 표현 해주시니 이해가 빨리됩니다. 오늘도 유익한 영상 너무 감사히봤어요. 늘 응원합니다~❤
@WatingforG
@WatingforG Ай бұрын
간단한 질문에서 깊이 있는 말씀을 듣게 되다니.... 사회 역사 법률.....굉장하네요. 역시 올리버쌤은 타고난 작가 이십니다. 한 권의 책을 읽은 기분입니다.
@Dohalife-sv3cw
@Dohalife-sv3cw 29 күн бұрын
편집이 점점 세련되고 전문화되는 느낌? 미국 주택의 변화, 넓은 집에 사는 이유를 알 수 있어 좋았어요
@상크미-n8o
@상크미-n8o 27 күн бұрын
오모나 작은체리~~^^ 넘 사랑스러웡
@손미마
@손미마 25 күн бұрын
큰 아이랑 똑 닮아 신기해요.😊
@jeajungyu6060
@jeajungyu6060 7 сағат бұрын
와.. 이런 영상을 만들어주시는 올리버 샘. 존경스럽습니다!!! 공중파 방송 PD들이 배워야 할 것 같아요
@PinguYu
@PinguYu Ай бұрын
올리버쌤만큼 미국 문화에 대해 적나라하고 솔직하게 전하는 유튜브 못 본 것 같아요. 항상 고맙습니다.
@jiyeon1101
@jiyeon1101 Ай бұрын
오랜만입니다. 쌤. 잠깐 보았는데도 아가씨들이 예쁨과 귀여움을 사랑을 듬뿍 받아 잘 자라고 있네요. 직접 만나지는 못해서 인사도 못 나눴지만 언젠가는 만날 일 생기겠지요. 그리고 예쁜 두 아가씨 잘 자라고 있나요? 작년 그리고 올해 겨울 추워서 거리도 걸어다니기 힘들었는데. 쌤 비롯한 가족들 건강하시고 행복하시길 바랍니다.🎀
@서미경-q2p
@서미경-q2p Ай бұрын
미국현실 한국현실 요즘 젊은사람들의 현실!!! 유용한정보감사해요! 스카이 많이컸네~^ 체리랑넘닮아가는것같애~~이뽀이뽀😊
@machikr
@machikr 26 күн бұрын
미국에서 로스쿨 나온 변호사입니다. 조닝법에 대해 수업 들었지만 저런 흑막은 안가르쳐주더군요. 아주 드라이하게 그것의 사전적 정의 등만 배우고 어찌 적용되는지 이념말소적으로 접근하더군요. 그리고 그게 거주 중간선택지를 제거하여 오늘날 세계최고부자나라의 막대한 홈리스 탄생에 일조하는것도 오늘 처음 알았습니다. 계몽 감사합니다. 꾸벅. 😅
@배은희-g3x
@배은희-g3x 3 күн бұрын
자칫 지루해질수 있는 이야기인데 몰입이 잘 되고 흥미롭게 잘 봤습니다 자주 들를게요 예전 진돗개 영상보고 잊고 있었다 오랜만에 들어왔네요 앞으로 자주 들를게요
@hyoleekim
@hyoleekim Ай бұрын
올리버쌤 올려주시는 미국의 현실들은 정말 흥미롭고 많이 배워요. 정말 살지 않는 이상 알 수 없는 정보들을 알 수 있어서 너무 너무 좋은 것 같아요. 미국에서 산다는 막연한 기대만 가지고 가기에는 미국살이도 정말 만만치 않구나 생각이 듭니다. 특히 집에 관한 이야기들은 정말정말 흥미롭고 재밌어요. 좋은 영상 만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
@park_chaeni
@park_chaeni Ай бұрын
올리버쌤 역사선생님 해도 너무 재밌을것같아요. 유익하고 재밌네요!!
@HT45
@HT45 Ай бұрын
미국에서 건축을 공부하고있는 사람의 입장에서보면 생각보다 많이 암담하네요... 몇년전까진 캐나다 동부에서 공부했었는데 캐나다도 70평대의 집을 많이 건설하고 있지만 40-50평대의 다세대주택 (타운하우스)도 많이 건설하고 있더군요 (해당 지역은 3000sqft의 집이 $1.8M 캐나다 달러(한화 약 20억)정도 하던 동네였습니다). 보통은 40-50년대에 건설해서 낡고 마당이 넓은 집을 20개 정도 매입해서 약 300세대 규모의 타운하우스를 건설하더라고요 (가격은 $400-600k 정도였습니다, 새로 건설하는 2400sqft정도의 싱글하우스는 당시에 제일 싼게 $900k였으니 저 정도면 괜찮은 가격이죠)(보통 단일 건물에 약 6-10세대가 마당을 제외하고 완전히 분리된 구조의 건물입니다, 단점은 벽이 앏은 경우가 많아서 옆집소음이 생각보다 잘 들린다는 점입니다. 구조에 따라 층고도 낮은 경우가 많고요) 미국도 이러한 방식으로 약간 작은 크기의 집을 공급하면 좋을텐데 그러지 못하는 법이 있다는게 안타깝네요..
@OVTM794
@OVTM794 25 күн бұрын
그 타운하우스 가격이 이제 1.1-1.5K 가 됩니다.
@HT45
@HT45 25 күн бұрын
@ 나중에 위치에 따라 가격이 엄청나게 오르죠. (M을 K로 잘못 작성하신 것 같네요)
@quarizmi9887
@quarizmi9887 27 күн бұрын
와 너무좋은 영상이네 올리버쌤 감사합니다!!
@scottko9352
@scottko9352 13 күн бұрын
이해하기쉽고, 재미도 있어서 매우 유용합니다. 한국말도 유창하세요
@나역시서정-h8o
@나역시서정-h8o Ай бұрын
안녕하세요 올리버쌤님 저는 미국도 영어도 모르지만 올리버쌤과 마님 체리 스타이 왕자 공주 세마리의 냥이들과 과적을 일구시고 알콩달콩 달콤한 모습이 보기좋아 애청하고 있답니다 나나 할머니 브레브 할아버지 경주의 외할머니 외할아버지 까지 다들 넘 정겹고 예쁜 삶의 모습이 진정한 가족의 모습 그자체를 동경하고 있지요 오늘도 감사히 시청합니다 사랑스러운 채리 스카이 천사들과 지금처럼 행복함만 가득 하세요
@b78x
@b78x 29 күн бұрын
그 어떤 미국인도 선뜻 얘기하기 힘든 주제를 잘 설명해주셔서 감사해요. 덕분에 몰랐던 새로운 흥미로운 사실들을 알았습니다. 브래드 할아버지께서 친절하게 설명해주신 것도 좋네요.ㅎㅎ 올리버쌤과 마님 가족 행복하세요! 겨울이 곧 끝납니다.
@snow-lg6qq
@snow-lg6qq 29 күн бұрын
영상 콸리티가 넘 훌륭하네요👍 고생 많았어요👏
@임승경-p6n
@임승경-p6n 25 күн бұрын
아름다운 자국의 역사뿐 아니라 이런 어두운 면까지 알려주시니 미국에 대해 가졌던 막연한 환상이 조금씩 깨져갑니다. 어두운 역사까지 꿰뚫어볼 수 있어야 좀 더 나은 더불어 가는 세상을 만들 수 있겠단 생각을 하게된 시간이었네요. 늘 깨우침을 주시는 올리버선생님 감사합니다~^^
@sanghoonkang9491
@sanghoonkang9491 Ай бұрын
아, 충격이네요. 역시 현실은 현실이죠. 쉽고 정확한 설명 감사합니다.
@달린-j3y
@달린-j3y Ай бұрын
너무 충격적이고 슬픈 이야기네요 ㅠㅡㅜ
@김스킵
@김스킵 Ай бұрын
최소10억짜리 집에살던지 아니면 무조건 대도시 월세로 살라는 방식이네요~저런;
@라뮤론
@라뮤론 29 күн бұрын
미국 소득이 한국의 3배인데 소득 대비 가격으로 한국 집이 최소 3억 정도라 생각하면 한국이랑 비슷함... 3억 아래 아파트 찾기 어려운건 우리나라도 같음
@noolie98
@noolie98 29 күн бұрын
​@@라뮤론 서울 아파트나 없지, 빌라는 3억짜리 천지고, 지방엔 널린게 3억임. 물론 직장이 별로 없는게 문제긴함. 그리고 한국인들의 신축 아파트 선호도 한몫함. 구축이나 빌라 실수요로 살거면 매물 많음.
@sided5455
@sided5455 29 күн бұрын
평균의 함정이다 한국에서 2천버는 능력 = 누구나 할 수 있음 , but 누구나 할 수 있는 일에 미국도 6만달러 안준다 6만달러면 한국기준 8천만원 이상이다 단순한 3배로 비교는 안됨 , 물론 소득수준이 한국 보단 더 쉽게 높은 구역에 도달할순있고 고점도 한국에서 1억벌 사람이면 3-4억 벌순있지만 그것이 평균의 함정 바닥의 임금은 비슷하다
@fhfka458
@fhfka458 29 күн бұрын
미국은 레스토랑직원도 능력에따라 한국돈 1억도 벌어갈 수 있는 나라죠 고교선생님하고 수입면에서 차이가 안납니다 선생님이 투잡을 뛴다면 더 벌겠죠
@맛닭꼬기
@맛닭꼬기 29 күн бұрын
3배가 아니고 2배 아닌가여?​@@라뮤론
@paballoti
@paballoti 29 күн бұрын
올리버쌤 집 정도가 아주 좋죠^^ 특히 밖의 주변 여유공간은 넘 부러워요😊
@thisfloridianlife_briankim6956
@thisfloridianlife_briankim6956 29 күн бұрын
Front and back yard 잔디있으면 돈주고 hire해서 시킬거 아님 잔디 잘자라는 지역에 살면, 진짜 잔디깎다 1년 가더라구요 ㅠㅠ 전 집사면서 뒷뜰에 잔디있음 콘크리트칼고 농구장 만들 생각을 다했다는 ㅜㅜ
@sunshine-vj5ui
@sunshine-vj5ui 29 күн бұрын
한국 시골가면 살수잇어 너도
@user-nb7tc1ng4w
@user-nb7tc1ng4w 28 күн бұрын
한국도9억에 지방소도시에서도가능😅
@jinwooooo923
@jinwooooo923 Ай бұрын
웃음 가득한 체리와 스카이 집❤💙
@임지연-y4p
@임지연-y4p Ай бұрын
유익하고 흥미로운 미국 집짓기의 역사에 대해 알려주셔서 감사해요~😃육아하기에도 바쁘실텐데, 공부하고 자료찾느라 시간 많이 걸리셨겠어여😅 체리와 스카이의 미래에 대해서도 생각이 많아지실것같구여; 브래드 할아버지가 지어주신 뜻깊은 집에서, 오래오래 가족모두 행복하고 건강하게 지내실 수 있길 바래요~😄💌
@조백다혜
@조백다혜 2 күн бұрын
아버님 인상과 인품이 너무나 부드럽고 다정하게 느껴져요💞 아버님 건강하시고 오래오래사셔요🙏🙏🙏
@suchanisgrowing
@suchanisgrowing 27 күн бұрын
올리버쌤 둘째 축하드려요! 울산에서도 응원합니다!
@poweroverwil
@poweroverwil Ай бұрын
겁나 재미있게 잘 보았습니다. 이런 역사 얘기가 제일 재미있음.. 거기에 영어도 듣고 귀도 트이고.. 감사합니다
@hsyang634
@hsyang634 29 күн бұрын
1인이나 2인가구의 경우 웬만한 규모의 도시에 살면 스튜디오나 1베드 아파트가 많이 있긴 합니다. 3인 이상 가족이 올리버 샘이 사는 곳처럼 소도시나 시골에 살게 되면 큰 집 말고 옵션이 별로 없는 경우가 많은 것 같아요. 전 대도시 중심부에서 살고 있는데 이곳도 기존의 소형주택들(오랫되긴 했으나 멀쩡한)을 건축업자들이 매입하여 허물고 대저택으로 만들어 놓았어요. 저희 집이 한국으로 따지면 55평 정도 되는데 동네에서 작은 축에 속해요. 시에서도 조례나 법규를 통해 큰 집을 짓는 게 쉽게 만들고 또 건축업자들의 이권도 한몫 하는 것 같아요. 큰 집 살면 수리도 자주 해야 하고 잔디 깎고 풀뽑고 재산세 엄청 나오고... 부지런하고 돈 많은 사람은 괜찮은데 그렇지 않으면 단점도 많습니다.
@sjdob-y5d
@sjdob-y5d 14 күн бұрын
서울의 아파트는 댈러스 콘도랑 비교하는게 맞지요. 댈러스 콘도는 665 sq~900 sq 짜리가 10~20만 달러에 널렸습니다. 서울이 10배는 비싸지요. 소득대비 20배 이상 비쌉니다.
@몰리나르
@몰리나르 Ай бұрын
미국 주택에 대한 의문들을 한방에 해소시켜 주시네요. 모든 사회의 오늘날의 문제는 역사적 과정과 깊이 연관되어 있네요. 한국과 마찬가지로~ 값진 영상~ 감사합니다.^^
@Mr.Ho-8
@Mr.Ho-8 27 күн бұрын
댓글 잘 안남기는데 요즘 mr 올리버 쌤 폼좋네요. 저번 액상과당 이야기부터 미국의 자세한 이야기를 다큐느낌으로 푸는게 정말 도움이 됩니다.
@babababbob
@babababbob 15 күн бұрын
Suburban Sprawl 의 배경에 대해 다뤄주셔서 감사합니다! 이게 또 많은 문제를 일으키죠... 저밀도 개발로 인해 대중교통 발전도 못하고... 구도심 개발도 힘들고 등등... 모든게 명과 암이 있지만 이젠 없어져야 할 법인것 같은데 역시나 많은 이권이 얽혀있으니 쉽지 않아보이네요.
@koyahoya._.
@koyahoya._. 29 күн бұрын
16:01 점점 다가오는거 너무 귀여워요 스카이 ☀☀
@newekdnlswm
@newekdnlswm 29 күн бұрын
이건 진짜 유익하네요 미국하면 부강하고 강하다는 느낌이였는데 뒷부분적인 것도 알려주니 미국에 대해 더 잘 알게 된 기분이 드네요
@유죵-g4x
@유죵-g4x Ай бұрын
한국은 작은집도 비싸서 힘든데 미국은 작은집 자체가 없다니... 당황스럽네요ㅜㅜㅜ 미국도 참 힘든 현실입니다
@KoreanBeautyOwner
@KoreanBeautyOwner 29 күн бұрын
지방끼리 비교하면 미국이 훨씬비쌉니다...
@user-Griezman
@user-Griezman 29 күн бұрын
15년전에 미국남부살때 투룸에서 지냈는데 월세가 강남보다 더 비쌋어요
@yrh8085
@yrh8085 29 күн бұрын
서울에도 싼데 많아요... 전부 신축,중심지,아파트,대단지만 원하니 비싼거지ㅋ
@반하뉨
@반하뉨 28 күн бұрын
@@yrh8085 서울 외각 다주택 3억도 안하는 곳 많은데 사람들이 아파트만 생각하니 그런 거 같네요
@user-de8vi9me1y
@user-de8vi9me1y 27 күн бұрын
미국 작은 집 생각보다 많아요... 미국 부동산 사이트에서 집 면적 설정하고 찾아보기만 해도 많은데 영상에서 사실과 과장을 섞어서 말하네요ㅠㅠ
@baekmk1881
@baekmk1881 15 күн бұрын
너무 재미있게 보았습니다, 찐 미국인만 알수있는 깊이 있는 역사공부까지도요 😊😊
@울림-h3b
@울림-h3b 28 күн бұрын
미국의 어두운 역사에 대해 알게되어 유익했고 작은나라 작은 집에서 사는 우리 국민들이 부럽게만은 느끼지 않게 되어 다행이에요~ㅎㅎ 스카이 마니컸네~계속 계속 건강하렴😊❤
@zonnage2877
@zonnage2877 Ай бұрын
그어떤 교육방송보다 유익한 내용이였습니다 작은집이 디딤돌역활을 하는 아주중요한 포지션이네요
@123carth
@123carth Ай бұрын
이었습니다
@123carth
@123carth Ай бұрын
역할
@OUSIA-r4j
@OUSIA-r4j 28 күн бұрын
유익하고 재미있네요. 현지인이 심층있게 알아낸 이런 프로그램 너무 좋습니다. 행복하세요.
@iWannaMakeObeyYou
@iWannaMakeObeyYou Ай бұрын
우리나라도 그래요 아파트 18평 거의 없어졌잖아요. 제 친구들 부모님들은 대부분 거기서 자녀들 중 고등학생 될 때까지 키웠는데. 그 아파트들은 다 재개발 들어가서 이제는 최소 24평 이상이잖아요. 아파트 관리비도 훨씬 비싸고
@young-foxtail
@young-foxtail 29 күн бұрын
222 돈이 안되니 안짓는거 같아요 요새
@user-ej1tu3qs5b
@user-ej1tu3qs5b 29 күн бұрын
주택도 다 없애버림
@귀요미-q7b
@귀요미-q7b 29 күн бұрын
그 대신 빌라는 점점 작아지고 있어요 물론 부자 동네는 예외이지만
@pstarke1066
@pstarke1066 29 күн бұрын
18평 아파트가 사라진 대신 원룸 투룸 빌라 오피스텔같은 예전엔없던 새로운 주거공간이 생겼잖아요?? 아파트가 최소 25평은 되야 지하에 주차장을 짓고 각종 안전시설도 설치할수있죠 가뜩이나 좁은공간에 많은 사람들이 밀집되서 사는 아파트 구조상 18평은 화재나 안전에 많이 취약할수밖에 없습니다
@Juno_lee7443
@Juno_lee7443 29 күн бұрын
근데 오피스텔이 겁나 생김. 나 마곡 사는데 ㄹㅇ 주택도 부셔서 오피스텔 짓더라. 그리고 오피스텔은 원룸부터 투룸까지 옵션이 다양해짐
@sinilkim4255
@sinilkim4255 28 күн бұрын
I’ve been in US for more than 55 years and just recently found out how the zoning regulations got started. Thanks for the explanation!
@sjdob-y5d
@sjdob-y5d 14 күн бұрын
650sq~900sq condos (apartments) in Seoul should be compared with condos in Dallas which only costs around 100k~150k. but In Seoul they cost 1~5 million dollars.
@yeundoo
@yeundoo 20 күн бұрын
애기랑 아빠가 점점 카메라로 가까이 와요...너무 귀엽당
@coeluskim3618
@coeluskim3618 Ай бұрын
집에 대해서도 이렇게 깊이있게 실상을 알려주어서 정말로 잘 보았습니다.
@Oliver-ssam
@Oliver-ssam 29 күн бұрын
감사합니다! 😊
@young-hikim2689
@young-hikim2689 26 күн бұрын
미국에 50년 살았어도 모르고 살았네요. 키다리 샘 고마워요. 한국어를 아주 잘 배웠어요 전연 거부감 없고 감사 합니다. 남의 나라 날을 자연스 럽게 하는게 엄청 어려운 건데. 왜냐면 저도 50년 살았어도 안되는 발음이 아직도 많거둔요? 😢😢
@theplanetjeju-oh1jg
@theplanetjeju-oh1jg Ай бұрын
오늘 영상 너무너무 좋습니다❤
@Oliver-ssam
@Oliver-ssam 29 күн бұрын
좋아해 주셔서 정말 고마워요! 🥰
@koreavlog6385
@koreavlog6385 Ай бұрын
열심히 듣고 유익한 주택 이야기 감사했습니다 후련함요
@deanjames1325
@deanjames1325 26 күн бұрын
올리버 쌤은 언제나 훌륭해요! 1인 방송국이라 칭할 수 있습니다. 유익한 내용도 많고요. 인품도 멋집니다. 많이 배웠습니다.
@스프링봄-m8s
@스프링봄-m8s 14 күн бұрын
너무 재미있게 흥미로운 주제 또 아기도 제작자겸 샘...모두 감사해요
@chea9396
@chea9396 29 күн бұрын
올리버쌤. 미국인들이 초면에는 엄청 밝고 친절하게 대하면서 다음에 만나면 인사도 없이 생까는 문화에 대해 다뤄주시면 어떨까용. 다른 영상에서 봤는데 밝고 외향적인 사람처럼 보여야 한다는 압박때문에 초면에는 과하게 반가워하는척하지만 마음에 안 들면 다음부터는 모른척하는 거라고 하더라고요
@YJSong-tk2ri
@YJSong-tk2ri 29 күн бұрын
우와 놀랍네요 처음알았어요..ㅜㅜ
@macdds
@macdds 29 күн бұрын
이런건 한쪽 말만 들어서는 판단이 안됩니다. 상대방에게 님이 뭔가 잘못했을 수 있거든요. 미국에서 30년째 살고 있는데 담에 만났는데 생까는 사람은 단 한명도 본 적 없습니다. 문화는 무슨..
@Oliver-ssam
@Oliver-ssam 29 күн бұрын
다음주 영상 올리겠습니다
@Alice-nb9kg
@Alice-nb9kg 29 күн бұрын
​@@macdds요즘 젊은 사람들한테는 이런 경우 많아요
@user-xx8yu6gd9o
@user-xx8yu6gd9o 29 күн бұрын
앗 저도 어디서 봤는데 서양권에서는 내향적인 성격을 그냥 성격이 내성적인 사람이구나~ 인정하는게 아니고 뭔가 사회성 결여?? 이런느낌으로 받아들인다고 들었어요
@Do_Wonha
@Do_Wonha Ай бұрын
무거운 주제에 비해 스카이가 너무 큐트함...🥰
@tobelotus
@tobelotus Ай бұрын
오늘 동영상은 미국 사회의 경제 주거 인구학적 환경에 대해 아주 유익한 교육적인 내용을 담았네요. 다른 동영상들과 달리 오늘 올린 동영상의 제작과 편집을 위해 얼마나 많은 통계적 수치와 근대 역사의 주택문화를 조사했는지 그 수고의 크기가 느껴집니다~ 다음 번에는 체리네 집과 같이 텍사스 평야에서 몇마일씩 멀리 뚝 뚝 떨어져 있는 집을 지을 때, 하수도, 상수도, 정화조, 전기공급, 가스공급과 같은 유틸리터는 도대체 어떻게 해결을 하는지 자세히 설명해주는 동영상 컨텐츠도 만들어 올려주길 부탁합니다~😄😄😄
@mjpark2157
@mjpark2157 29 күн бұрын
미국사회를 이해하는데 많이 😊도움이 됩니다. 올리버쌤 고마워요.
@sigani7045
@sigani7045 7 күн бұрын
한국도 인테리어 비용이 굉장합니다. 인테리어도 사람들이 관심이 많아서 특히 주방의 경우 올리버샘 주방에는 후드도 없는 것 같고, 구조나 용도가 많이 다른 것 같습니다. 미국에서 주방씽크대같은 건 어느 곳에서 주문제작을 하는지.. 국내는 한샘. 등등 업체를 통해서 하기도 하거든요. 그리고 가구구매처 등등 , iot 관련 전기 배선 등등 인테리어 관련 컨텐츠도 다뤄주시면 많은 사람들이 올 것 같습니다. 특히나 한국은 지금 아파트들이 시스템에어컨, 실링팬 등등 매우 장착하고 있습니다. 마님이 한국에서 오래 살았을 뿐만 아니라 처가가 있으니 충분히 비교도 가능하고, 아버님이 건축도 하시니 다루기도 좋구요.~~ 잔디얘기 참 재미있게 봤습니다.~
@bborrie
@bborrie 9 күн бұрын
정말 영양가가 많은 영상이에요 왠만한 시사교양 프로그램보다 뛰어나고 어디서도 알려주지않는 내용을 쉽게 접할 수 있었네요 감사합니다 올리버쌤❤
@stevenrhee8398
@stevenrhee8398 Ай бұрын
스카이가 아주 예쁩니다.
@user-tq8vw2jw3o
@user-tq8vw2jw3o 29 күн бұрын
인터뷰에 응해주신 애들 할아버님 넘 멋지세요. 전문가적 포스 훈훈 ..
@guswk274
@guswk274 Ай бұрын
와….이번 영상 너무 좋네요!!! 몰랐던 미국의 주택 현실을 알게되었네요!!! 자유로운 미국에 이런 법이 있는줄… 상상도 못했습니다! 이런 영상이 자주 나왔으면 좋겠어요!! 유익한 영상 감사합니다!! 항상 즐겨보고 있어요!! ❤
@bonnieramirez2098
@bonnieramirez2098 15 күн бұрын
올리버쌤의 영상 주제와 깊이는 정말 대단하네요! 미국 역사까지 갈 줄은 몰랐어요. 미국에 살면서 몰랐던 부분들을 올리버샘을 통해 알게되니 놀랍고 또 놀랍네요. 감사합니다!!!
@MK-nb7fu
@MK-nb7fu 5 күн бұрын
올리버쌤 정말 성실하시네요. 구독 좋아요 알림 설정 합니다. 아가들도 쑥쑥 크길요~
Ничего не изменилось 😅
00:19
Аришнев
Рет қаралды 2,8 МЛН
У НАС ПОЯВИЛСЯ ТРЕТИЙ КОТ?!🥺 #котики
00:58
МЯТНЫЙ
Рет қаралды 1,5 МЛН
[경제잡썰] 트럼프가 화날 수밖에 없었던 이유
27:05
한균수의 경제사용설명서
Рет қаралды 447 М.
Why Other Countries LAUGH at American Homes
27:57
Mike Fortin
Рет қаралды 1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