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요즘 고용은? 아이비리그 졸업생에게 직접 들어 봤습니다 [정소람의 미나리플러스]

  Рет қаралды 169,590

한경 글로벌마켓

한경 글로벌마켓

Күн бұрын

#미국고용 #컬럼비아대학교 #ECI #취준생 #아이비리그 #미국면접 #빅테크기업 #미국취업 #취업 #면접 #이력서 #미국고용비용지표 #FOMC #실업급여 #정리해고 #해고 #정소람 #미나리 #미국주식나이트리포트 #lightmuzik #바흐
▶한경글로벌마켓 홈페이지
www.hankyung.c...
더 많은 해외주식 투자정보를 볼 수 있습니다.
▶한국경제신문 구독신청
bit.ly/3Gv97Bh
▶한국경제 네이버 TV 바로가기
tv.naver.com/n...
▶한경 코리아마켓 바로가기
/ jooconomy
▶집코노미TV 바로가기
/ jipconomy

Пікірлер: 367
@remy4807
@remy4807 Жыл бұрын
같은 스펙일때 비자 필요없는 미국인이나 영주권자를 선호하기때문에 뭔가 그것을 넘어 설 수 있는 강점이나 포텐셜이 있어야 함. 그리고 지원 회사가 인터내셔널 프렌들리한지, 외국인에게 비자 지원한 경험이 있는지 확인하면 도움이 됩니다.
@jaeyoon123
@jaeyoon123 Жыл бұрын
Hiring manager wants to see if you are teachable, passionate and curious. Everyone is from good university or reasonably smart. Thats not the special aspects that you should be hoping to show the hiring manager
@9642-l9h
@9642-l9h Жыл бұрын
동양인 보다 백인을 뽑으면
@Hanuri1216
@Hanuri1216 Жыл бұрын
제가 빅테크 엔지니어로 일하고 있어서 요즘 실리콘 벨리 쪽 고용이 확 줄었다는건 알았는데 이정도일 줄은 몰랐네요. 지난 5년간 데이터 분석 나오면 아이비리그가 아니라 소위 4년제만 나오면 취업은 거의 보장되는 수준이었는데. 명문대 석사 데이터 분석 나와서 지원을 그렇게 많이 했는데 결국 합격한 곳이 우버밖에 없다는 것은 좀 충격적이긴 하네요.
@sunyoungkwon6529
@sunyoungkwon6529 Жыл бұрын
학생비자를 갖고있는 사람은 취업을 꺼리니까요 영주권자를 원하니까 아무래도 취업이 어렵죠
@Hanuri1216
@Hanuri1216 Жыл бұрын
@@sunyoungkwon6529 몇년 전까지만 해도 구글 애플 아마존 등 캠퍼스로 직접 가서 학생 비자로 많이 뽑았어요. 제가 있던 팀에도 그렇게 뽑은 석박사 출신들 ㄲ해 됐습니다. 요즘은 영주권이 아니라 시민권도 안 뽑아요. 특정 영역 빼고는. 지금 제가 있는 팀은 다행히 해고 된 사람은 없지만 일은 느는데 일년째 사람을 못 뽑고 있어요. 시니어 디렉터한테 몇번을 어필해도 전사적으로 그렇단 말 밖에는 못 듣고 있는 중이에요.
@farfromit7654
@farfromit7654 Жыл бұрын
@@Hanuri1216 영주권자 시민권자는 차이가 없죠 취업에선. 그냥 테크기업들이 사람들을 너무 많이 뽑아왔던게 경기가 좀 안좋아지니 재정리 하는것뿐 여전히 회사 financial은 안정적으로 보이네요
@Sunny-uv9uu
@Sunny-uv9uu Жыл бұрын
눈을 낮추어서 중소기업이나 미국기업이 아닌 다른나라 기업에도 관심을 돌리면 취업이 수월해집니다. 빅테크 미국기업은 아무래도 백인 우선으로 채용하니까 어쩔수 없죠. 한국에서도 헌국린 우선으로 뽑듯이
@Hanuri1216
@Hanuri1216 Жыл бұрын
@@Sunny-uv9uu 엔지니어, 데이터 쪽은 과장 안 하고 인도 중국 사람들이 반이상입니다. 백인보기 쉽지 않나요. 실리콘 벨리 인기 많은 도시 인구 비율도 똑같아요.
@brpang
@brpang Жыл бұрын
한국 식 사고의 맹점은 들어가기 힘든 학교에 가고 성적 상위권이면 직장을 좋은데 간다는 믿음 입니다. 통계적으로 보면 대충 맞아 보입니다. 그래서 그런 믿음이 지속되기도 합니다. 성적서열보다 중요한 변수는 직업시장의 수요 공급 입니다. 어떤사람이 시장에서 필요할까요? 정확히 말해 성적은 다른걸 짐작하는 간접적 변수에 불과 합니다. 신입사원의 경우 물론 좀 회사에서 필요한 단순업무를 하루사람을 채우게 되는 것도 사실이라 성적만 볼수도 있습니다. 그런데 궁극적으론 회사에서는 뭔가 가치를 창출할 사람을 찾습니다. 업무 효율을 높힌다든지, 수익성 있는 거래 전략을 발견 한다든지, 새로운 반도체 회로를 설계 한다든지. 그렇게 하려면 경제적 상황도 알아야 합니다. 사회가 뭘 원하고 어떻게 기여를 하고 참여할수 있는지. 성적 좋다고 저절로 되는 일이 아닙니다. 성적에 시야를 가두기 보다 그런데 안목을 길러야 하지 않을까요?
@Jodingowal
@Jodingowal Жыл бұрын
고용이 강세라고 하는데.... MBA 가진 석박사 학위 지원자는 얼마든지 구해서 1차는 물론/3차-4차까지 갈 정도로 취업시장이 빡빡하지만............ 트럭운전사/맥도날드 햄버거 굽는 사람 이런 곳은 사람 구하기가 어려워 애를 먹고 있는 것이죠. 사람이라면 다 출세가도길이 훤히 열린 꽃길만 걸으려고 하는 건 당연한건데...... 원래의 미국 노동시장은 이런 굳은 일들은 중남미-아시아 저소득 국가에서 오는 이민자들이 미국 영주권만 보고 노예처럼 도맡아 했지만 트럼프 행정부 이후 그런 길 자체를 많이 막아뒀으니 이민자 유입은 없으니 이런 문제가 발생되는 것이지요. 그런데 또 어떻게 보면 불황이 왔을때 실적 하회로 패닉에 빠진 주주들이 주식을 던지는것마냥 (특히) 저임금 단순노동자들을 무작위로 집어던질수 있다는 점에서 만약 불황이 정말 온다면, 현재의 (강해보이는) 노동시장이 무너지는 것도 일순간의 일이 되겠죠.
@ericj6648
@ericj6648 Жыл бұрын
트럽프 친기업 정책때문에 중국에서 미국으로 공장들이 많이 들어왔고, 바이든 IRA 때문에 올해 경기는 좋지않지만 요즘도 계속 공장들이 지어지는 추세라, 미국은 역대급으로 낮은 Unempoyment rate 를 갖고 있어요. 맥도날드 햄버거 굽는거보다, 고장에서 일하는게 시급이 더 높고, 본인 커리어에 좋으니 흑인은 물론 히스패닉 계열도 대부분 공장에서 일하게 됬지요. 공장관련 일자리를 너무 창출해서 음식업계 사람이 부족한것도 한몫하는거 같습니다.
@sangheeozuna3894
@sangheeozuna3894 Жыл бұрын
맥도날드 이번에 텍사스주 ft worth 에 AI 체인점 있어요 이제는 패스트푸드 인력난 문제도 없어질거같네요
@Jpilot93
@Jpilot93 Жыл бұрын
@@sangheeozuna3894 forth worth 어디인가요? Saginaw사는데 못본것같은데
@임-d3j
@임-d3j 3 ай бұрын
미국회사는 취업이 거의 불가능 합니다. 취업비자를 대부분 인도인에게 주니까요. 그래서 박사를 딴후에 교수로 취직하세요. 교수는 취업비자 쿼터가 전혀 없습니다.
@BParis-kj5qo
@BParis-kj5qo Ай бұрын
맞는 말이긴 한데 H1B 없애면 그것도 어찌될지 모름. 요즘 살벌함
@SIRIUSNJ
@SIRIUSNJ Жыл бұрын
00:25:41 턱을 괸 영피디와 뒤도 돌아보지 않는 정소람보르기니의 퇴장... 그리고 서로 다른 곳을 바라보는 그들... 이렇게 아련한 엔딩이 경제방송 역사상 있었을까?
@yeongPD
@yeongPD Жыл бұрын
전 직장이 시사교양 다큐멘터리 PD 출신이라 항상 여운과 화두를 던지려고 노력하는데 알아봐 주셔서 감사합니다!
@SIRIUSNJ
@SIRIUSNJ Жыл бұрын
@@yeongPD 역시… 영피디님의 섬세한 손길, 잘 느낄 수 있었습니다🥹
@KingKangUSA
@KingKangUSA Жыл бұрын
미국 IT 업계에도 이제 찬 바람이 불어오고 있습니다, 전에는 비자도 주면서 사람을 구했는데 이제는 아예 인도에 있는 인력회사를 이용해 사람들을 고용하여 씁니다, 비자도 안주고 인건비도 싸게 먹히고. 시스템도 모두 AZURE 나 구굴(GCP) 로 바꾸면서 바지사장들이 시설과 인건비를 줄이면서 성과급을 타가고 떠나가지요. 하지만 이 상태도 오래 못갈것입니다. 지금 졸업생들은 힘든 시기인것 같네요.
@diplogroove
@diplogroove Жыл бұрын
글쎄요 두분 다 열심히 살아오신 분들이겠지만.. 석사보단 학사 졸업생 인터뷰가 미국 고용 시장 파악이라는 취지에 더 적절할 것 같긴 하네요..
@abcdeereijgfhd3215
@abcdeereijgfhd3215 Жыл бұрын
요즘 몇백개 넣어야 합니다. 취업 쉽지 않아요. 될때까지 넣어야 함...
@jaeyoon123
@jaeyoon123 Жыл бұрын
손민영, 잘될거에요. 저도비자가없는 F1 이라서 편지 200갸 썼네요. 그러고도 끝에가선 조그만회사포기하고 큰 증권사를 잘기다리고 참고 들어같네요. Don’t compromise but be flexible.
@ojo380
@ojo380 Жыл бұрын
인터뷰 재미있게 봤어요~~^^ 항상 이런 좋은기획 감사해요!
@k920011
@k920011 Жыл бұрын
딸이 취업할때도 딱 그렇더군요. 기업 리쿠르트들과 따로 면담도 하고 메일도 보내고 네트워킹을 만들더군요. 또 그 사람들이 줌같은 미팅으로 도움이나 자문도 해주고요. 좌우간에 제 딸도 뉴욕으로 공무원으로 결국 취직이 되었습니다.
@yeongPD
@yeongPD Жыл бұрын
Very good! 자녀분의 건승을 기원합니다!
@soramyang
@soramyang Жыл бұрын
취직 축하 드립니다!!! 🎉
@bms7786
@bms7786 Жыл бұрын
축하드립니다.
@sosuma
@sosuma Жыл бұрын
대학생 자녀를 둔 아부지 인데...매우 유익한 콘텐츠 입니다.
@Youngkl
@Youngkl Жыл бұрын
미국에서 신분이 매우 중요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취업통계자료보면 데이터분석 석사 시 영주권, 시민권자는 거의 100%취업률 보입니다.
@chaeeunkim6998
@chaeeunkim6998 Жыл бұрын
영상 너무 잘 봤습니당😆❤️
@mancinirebecca2709
@mancinirebecca2709 Жыл бұрын
내부추천 referral 받고 가는게 정말 유리한 거 같아요. 네트워킹이 중요하고 인맥을 수면위로 끌어올려 공식화했다는 말 백번 공감합니다. 어려운 가운데 취업 축하드립니다!!
@캠던에버뉴
@캠던에버뉴 Жыл бұрын
어려운 상황에 수고 많이 하셨네요 우버 열악한 근무 환경으로 악명이 높은데 부디 잘 성장하시길. 언제고 구글에도 지원을 하시도록!
@7h3AK47
@7h3AK47 Жыл бұрын
구글도 요새 정리해고에 분기별 성과평가 도입하고 복지도 축소해서 갓기업이란 말은 옛말이에요... 그래도 돈은 많이 주지만
@pebbles-sd9wc
@pebbles-sd9wc Жыл бұрын
구글잡마켓현재는 어렵습니다
@jamesos11
@jamesos11 Жыл бұрын
언제나 유쾌한 정소람 기자.
@harrisoncho5723
@harrisoncho5723 Жыл бұрын
소람님 고생하셨네요. 오늘 두분은 선택받은 분(특히 민영씨)들입니다. Data science분야에서 수요는 늘 핫했지만 사실 요사이 공급과잉도 넘치는것 같습니다. 특히 최근 영주권 없이 취업하는건 사실상 현실적으로 불가능할 정도일텐데요 민영씨 대단합니다. (일부 빅테크나 특수한 업종이 아니라면 취업비자 스폰을 거의 안해줍니다. 한국 대기업포함해서요) 첫째가 의대 가고 싶어하는 학교라 오늘 더 반가웠습니다~
@danielyu2204
@danielyu2204 Жыл бұрын
대부분 비둗 회사에서 학생 비자는 잘 안받아주어요. 그래서 네트워킹을 통힌 레퍼가 아주 중요하죠^^ 취업 축하드려요
@sunflower-se8jv
@sunflower-se8jv Жыл бұрын
피디님 지난번에도 느꼈는데 bgm 잘 쓰는 듯요. 센스 있음. 데이타센터 technician입니다. 코로나부터 작년만에도 LinkedIn 에서 회사다니는거 알면서도 스카웃 메일들 엄청 왔었는데 올 해 들어와서 거의 없습니다. 아마존, 메타 다 인력 줄이고 있고 정직원 안 뽑고 temporary로만 쓰고 있어요.
@yeongPD
@yeongPD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미국 현지 인력이 부족해서 하루 만에 구성, 연출하느라 부족한 부분이 있는데 더 정진하겠습니다! 아시아 최고의 경제방송 한경글로벌마켓으로 거듭나는 날까지….
@abcdeereijgfhd3215
@abcdeereijgfhd3215 Жыл бұрын
대형 은행들 요즘 IT 인력 많이 뽑습니다. 뭐 봉급은 아마존 메타보다 못하지만요.
@shinjk2527
@shinjk2527 5 күн бұрын
참.. 정보수준이... 한숨이 나온다.. 미국에서 교환학생포함 2년 살아본 석사생한테 미국 고용시장 상황을 물어보고 그걸 한국에 보도하는 수준이란... 한경이면 그래도 레거시 미디어 아닌가... 콜럼비아 학부출신 STEM 전공하면 왠만한데 다 됩니다. 눈을 좀 낮추면 100%취업이 되구요. 콜럼비아 석사 STEM외 전공, 더군다나 영어 못하는 외국인 유학생이 뽑할려면 실력이 있어야 함.
@cqpark1
@cqpark1 Жыл бұрын
딸과 아들이 힘들게 살고 있구나 하는 느낌이 옵니다. 실감나는 인터뷰, 매우 좋았습니다.
@SJL3337
@SJL3337 Жыл бұрын
1:00 역시 ㅋㅋㅋ '기자를 가장한 유튜버'의 웃참 실패영상 ㅋㅋㅋ 너무 웃겨서 이 부분만 한 스무번 돌려봤네요 ㅋㅋㅋ 잘봤습니다!! 현지상황 이렇게 생생하게 다뤄주시고 너무 좋아요. 소람 (연)기자님과 PD님의 발로 뛰는 취재와 센스있는 편집 능력의 콜라보 굿굿👍👍 + 여러 어려움이 있었을텐데 공부 잘 마치고 취업까지 성공한 두 분도 축하드리고 앞으로 항상 좋은일만 있으시길 바랄게요! 😀
@chankyukang1127
@chankyukang1127 Жыл бұрын
학교 네임밸류전에 시민권, 영주권이 더 중요하지 않나요? 외국인 고용하기가 쉽지 않고 번거롭죠. 특히 고용시장이 안 좋으면 더 그렇고.
@bradchoi662
@bradchoi662 Жыл бұрын
중요한 부분이긴하지만 취업하는데 실력이 더중요하기에 시민권자라는 이유로 채용하지 않지요
@coning1824
@coning1824 Жыл бұрын
@@bradchoi662 근데 신분이 젤 중요하지 않나요? 회사 입장에도 시민권, 영주권 없는사람한테 굳이 뽑아야 되나 라는 생각이 많을것같아요
@abcdeereijgfhd3215
@abcdeereijgfhd3215 Жыл бұрын
@@coning1824 큰 회사들은 특히 신분 보다 경력, 스킬 보고 뽑지요. 저도 이름만 들으면 누구나 아는 회사 다니는데 비자 스폰서 받는 사람 꽤 됩니다. 물론 같은 스킬이면 시민권 영주권자 뽑지요.
@coning1824
@coning1824 Жыл бұрын
@@abcdeereijgfhd3215 그럼 만약에 대학 졸업하면 경력은 딱히 없을텐데 이러한 경우는 어떻게 대처하나요?
@holybridep3389
@holybridep3389 Жыл бұрын
@@coning1824 인턴 구하기부터 힘들어요. 많은 기업들 지원서에 비자스폰이 필요하다고 체크하면 다음페이지로 넘어가지 않습니다. 학기중 온라인인턴을 하거나 방학때 한국에서라도 인턴해야해요. STEM이라면 조금 낫지만요
@m2na200
@m2na200 Жыл бұрын
오늘 영상 생생한 소식 넘 좋았어요~~
@brpang
@brpang Жыл бұрын
35년전 미국에서 직장 구하느라 100군데 이력서 보내곤 한 경험이 있습니다. 그때와 같은 문제를 안고 노력하는 한 세대가 좀 넘는 사람들을 보니 흥미롭습니다. 그후 계속 가졌던 의문이 왜 한국의 인력시장은 고립된 섬 처럼 외국과 호환성이 없을까 였습니다. 물론 언어의 문제가 있었겠지요. 요즘엔 많이 달라 지는 듯 싶습니다. 한국 보다 외국엔 기회가 많습니다. 보수가 높은 곳도 더 많습니다. 시야를 넓히고 많이 진출하기를 기대 해 봅니다.
@이제시카-g9x
@이제시카-g9x 5 күн бұрын
Nurse practitioner 로 졸업했고 병원에서 sponsor 해줘서 정말 6개월안에 임시 영주권 나왔습니다. 전문직으로 가시길 추천드립니다.😊
@yongmcho
@yongmcho Жыл бұрын
직장 잡은 것을 축하드립니다. 이야기상 신분이 유학생 신분이신것 같은데, 취업 시장 이야기를 할때 비자가 필요 없으신 분들을 대상으로 한 일반 취업은 상당히 다를 수 있습니다.
@yeongPD
@yeongPD Жыл бұрын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방송분량으로 많은 부분이 편집되었지만 17:08 connie koh님은 미국 영주권자로 참고해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dolezhang9265
@dolezhang9265 Жыл бұрын
영주권부심 쩌신분 같은데 안됐네요 ㅋㅋㅋ
@이동은-x4e
@이동은-x4e Жыл бұрын
@@dolezhang9265 부심이 아니라 현실이에요.. 영주권 없으면 취업힘들어요. 스폰을 해주는 회사를 찾아야되는데 회사 입장에서 스폰을 해줄 정도로 뉴그랫이 경쟁적일까요..?
@forbettertomorrow3349
@forbettertomorrow3349 Жыл бұрын
@@dolezhang9265학국 학생과 인도 학생을 뽑으려고 했었는데 비자 문제로 못했던게 벌써 몇년째인줄도 모르겠네요. 그 전에는 영주권까지도 스폰서 잘해줬었어요.트럼프때부터 힘들어졌네요. ㅠㅠ
@jakekim1286
@jakekim1286 Жыл бұрын
@@이동은-x4e 영주권없어도 유학생들 취업 잘만함. 경험상 한국 (헬조선)보다 훨씬 쉬운듯 ㅋㅋ
@wonhahm
@wonhahm Жыл бұрын
미국 고용은 계약직인 셈이라 기회가 된다면 corporate dept.등 한국식 기획실에 갈수있다면 연봉이 낮아도 선택하죠. 1위 MS가 제시한 연봉의 80%를 제안한 동종 2위 회사가 corporate dept.를 제안해서 고민없이 그 회사를 선택했지요
@명숙이-t8c
@명숙이-t8c Жыл бұрын
감사히 들었습니다
@서재은-x4o
@서재은-x4o Жыл бұрын
오늘 방송 너무 좋았어요,,,,
@김세원-l9v
@김세원-l9v Жыл бұрын
아 여행여튜버 채코제채널에 나오신분이네요ㅎㅎ 학교투어 같이 해주셨던ㅎ 영p님 소람님 잘봤습니다!!😊😊
@mattkmlee
@mattkmlee Жыл бұрын
물흐르듯 자연스런 진행 좋았어
@yeongPD
@yeongPD Жыл бұрын
멋져요 소람선배🙏 브라보!
@user-ng2yz6gw3g
@user-ng2yz6gw3g Жыл бұрын
기획력이 좋으시네용
@yeongPD
@yeongPD Жыл бұрын
@kay203
@kay203 Жыл бұрын
한 2-3년 전만해도 사람을 못해서 난리였는데 확 바뀌었어요. 솔ㄹ직히 운이 커요 언제 졸업하냐에 따라
@graciousdignity7547
@graciousdignity7547 Жыл бұрын
취업고려하고 유학하려면 미국보다 캐나다가 더 수월할텐데 뭐 자기가 미국유학 후 취업의 진로선택했으니 알아서 책임져야죠😊
@dddk236
@dddk236 8 ай бұрын
글케도 개나 가는 🐕 나다를 안 가는 이유를 귀하는 알 듯합니다 😂
@TheSecondLifeOfKim
@TheSecondLifeOfKim Жыл бұрын
61년생으로 대학에서 경영학, 통계학을 전공(5년), 대학원에서 컴퓨터사이언스 전공하여 현대(5년), 무역센터(10년), 삼성(15년) 총30년 퇴직후 대학교에서 초빙(3년), 코이카로 해외대학(1년) 후 2023년 경제학박사 취득 결론적으로 기획. 전략 등의 사무직(제 경우)보다 기술사 자격증을 보유한 기계.전기.전자.웹개발자 라면 65세까지 현장에서 활동 가능
@bms7786
@bms7786 Жыл бұрын
정말 열심히 노력하면서 사셨네요 👍
@눈꽃Snowflake
@눈꽃Snowflake Жыл бұрын
컴싸 전공하셨담서요…? 왜 님은 사무직이란 거죠?
@TheSecondLifeOfKim
@TheSecondLifeOfKim Жыл бұрын
@@눈꽃Snowflake 대학원에서 컴싸했지만 경영과 융합되어 학부의 컴싸보다 약하고 전문적인 엔지니어 분야가 아닌 기획전략 업무만 하다보니 전문 엔지니어들보다 깊이가 달라서 기술영업시 HW, SW 각 분야별로 동행해서 다녔고 결정적으로 기술사 시험 불가능
@눈꽃Snowflake
@눈꽃Snowflake Жыл бұрын
@@TheSecondLifeOfKim 엥 그게 더 좋은 것 같은데여? 기술을 아는 경영인이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어떤 인재를 영입해야하는지 더 잘 파악해서 인재를 배치시킬 수 있잖아요. 경영자가 돼서 번 돈을 분배하는 역할을 해야 내몫을 제대로 챙기지, 분배받는 입장은 자기몫 제대로 못챙겨요. 제임스킴님은 정말 최고의 진로를 걸어오신 겁니다.
@jiyounpar6222
@jiyounpar6222 Жыл бұрын
외국에서 도전하신는 분들 화이팅!!!
@sujinpark4822
@sujinpark4822 Жыл бұрын
외국인 신분으로 취업할경우 훨씬 어렵다는걸 고려해야할듯 하네요. 미국인 입장에선 다르다고 들었어요
@Muscle_Flower
@Muscle_Flower Жыл бұрын
소중한 정보 감사합니다. 한국에서 회사 다니고 있는 거에 감사함을 느끼게 되었네요 ㅎㅎㅎ
@Kelly-zq9wb
@Kelly-zq9wb Жыл бұрын
컴사 컴공 등 stem 다른 전공들도 인터뷰 해주세요!!!
@yeongPD
@yeongPD Жыл бұрын
조회수가.. 잘 나오면.. 제작비가 많이 들어오면 추진..해보겠읍니다😢
@erasmooth
@erasmooth Жыл бұрын
데이터 분석은 일종의 도구(tool) 학문이어서... 결국엔 도메인을 해야 합니다. 도메인 전문가들 중에서 데이터 과학자를 양성하겠죠. 경기가 좋을 땐 데이터 분석 전공자들 많이 뽑을 수 있겠지만 불경기엔 기존 도메인 전문가들 우려먹으려 하는거죠
@치덩
@치덩 Жыл бұрын
생생한 이야기를 들을 수 있어 너무 좋네요.
@jisyi7773
@jisyi7773 Жыл бұрын
학샹같은 정마담님~! 앞으로도 잘 부탁해요
@박순기-l9k
@박순기-l9k Жыл бұрын
열심히 사시는 분들께 좋은 결과가 있으셔서 기쁘네요😊
@TV-sz5ls
@TV-sz5ls Жыл бұрын
잘 보고 가요~~~
@longllu4105
@longllu4105 Жыл бұрын
직무는 수학과 전문영어로 카바 할수 있지만, 회의, 업무 지시, 동료와 커뮤니 케인션에 상당한 수준의 영어 실력이 필요할것 같은데, 석사기간 2,3년 영어 학습 능력으로 원할한 직장 생활이 가능한가요?
@PNADA123
@PNADA123 Жыл бұрын
대학 졸업후 data scientist 로 근무한 후에 이직하여 Finance 쪽에 근무하고 있는 직장인의 관점으로 말씀드리자면 data analyst/scientist/ engineer 로써는 충분히 가능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금융쪽/ 의료/ 법무는 3-4년이 아니라 10년이 넘게 거주하셨어도 native 수준이 아니라면 원활한 직장생활이 버거울수도 있습니다.
@abcdeereijgfhd3215
@abcdeereijgfhd3215 Жыл бұрын
석사 2년 영어 배우기 턱없이 모자랍니다. 다행히 대부분 영어 대충 공부하고 유학 오기때문에 그 실력으로 버티는 거지요. 졸업하고 영어 따로 공부해 두지 않으면 아무리 텍크 쪽이라도 버벅됩니다.
@remy4807
@remy4807 Жыл бұрын
3년으로 완전 처음 유학하시는거라면 좀 부족하긴하다고 생각되는데 사람마다 느는 속도도 천차만별이라 뭐라 딱 말하기는 어렵네요. 정말 개인 역량이라..근데 엄청 잘 하지 못해도자신감이랑 순발력, 업무 능력이 있다면 커버가 될수 도 있고(아니라면 무조건 잘해야) 인턴을 최대한 많이 해서 부딪히는게 도움이 됩니다. 학교 다닐때 무조건 토론같은건 많이 하고 인스트럭터와 많이 대화하면 도움 됩니다. 앉아서 강의만 듣고 유학한다면 영어 잘 안 늘 수도 있어요.
@thermaltrans
@thermaltrans Жыл бұрын
실리콘밸리에 있는 엔지니어인데 현재 HR에서는 올해 12월까지는 고용할 계획이 없는 것으로 보입니다.
@aasdf8276
@aasdf8276 Жыл бұрын
맞아요.아이비리그안중요햐요.학부.전공.인턴쉽과정에서.추천서엄청중요.요즘은여기컴퓨더.공학엔지니어대세.더우기.시민권자는우선.뽑혀요.참고로저희는.인턴과정에서벌써뽑아갓고요.인턴..성적좋아야해요.추천서도.
@user-dl123
@user-dl123 Жыл бұрын
학교다니면서 intern경험이 잇어야 취직이 쉬어요 .
@coning1824
@coning1824 Жыл бұрын
Facts
@henrykwak7869
@henrykwak7869 4 күн бұрын
아이비리그를 나와서 취업이 훨씬잘된다는건 (도움이 되는부분도 있지만) 극히 제한적인 생각인거같아요. 회사 지사들이 많은주 들에 있기때문에, 각 주에서 많이 뽑습니다. 어스틴 텍사스 에있는 구글 애플 지사들에 어스틴 졸업자들이 많은거랑 같다고 생각하시면 될거같아요. 물론 취업 시장이 더 많이 힘들어진건 사실이에요
@mckinseyand2022
@mckinseyand2022 Жыл бұрын
일자리 없다고 하시는데....전공이 공학, STEM 계열이면 일자리 많아요. 굳이 큰회사만 고집 하지 않는다면........아이비리그가 중요한게 아니라 전공랭킹(학부,석사)이 훨씬 더 중요합니다.... - 실리콘밸리 -
@눈꽃Snowflake
@눈꽃Snowflake Жыл бұрын
데이터사이언스는 STEM계열이 아닌 건가요?
@선묘조제_재경수연도
@선묘조제_재경수연도 Жыл бұрын
@@눈꽃Snowflake 데이터사이언스는 참 애매하지 않나요? 문이과 사이의 중간 느낌
@holybridep3389
@holybridep3389 Жыл бұрын
요즘은 영주권이 없으면 STEM도 맥 못춥니다. 인턴지원시 영주권/시민권없다고 체크하면 다음페이지로 넘어가질 않아요. 한국 기업에 작년부터 미 멍문대 CS 전공자들의 이력서가 아주 많이 들어오고 있습니다. 취업비자 합격률이.10퍼 수준으로 뚝 떨어진것도 한몫합니다. 조텍 CS출신으로 실리콘밸리 대기업 근무했는데 3년 비자추첨 떨어져사 대학원 진학했어요
@yeongPD
@yeongPD Жыл бұрын
영상 잘봤습니다😊
@charleshahm9457
@charleshahm9457 Жыл бұрын
명문대 졸업생 정도라면, 어려운 환경이라도 , 자꾸 시도하면 결국 취업합니다..... 계속 노력하는게 중요합니다.
@bnb7462
@bnb7462 Жыл бұрын
둘다 데이타 분석가 전공인데, 지난 몇년간 핫한 분야라서 너도나도 전공해서 시장에 공급이 너무 많아졌어요. 앞으로 AI시대에서 수요가 줄어들 직업 중의 하나임
@yj2779
@yj2779 Жыл бұрын
개인마다 체감하는것이 다를수는 있지만 아직 취업이 굉장히 잘되고 있습니다. 실업률도 굉장히 낮고요. 구인광고가 구직자 숫자보다도 훨씬 많습니다. 그러다보니 취업자의 연봉이 계속 올라가고 있습니다. 최근에 빅텤을 중심으로 해고가 조금 진행되고 있지만 그동안 비정상적으로 너무 많이 뽑은것이 이제 아주 쪼금씩 정상으로 되돌아가고 있는중이라고 보면 될듯. 물론 해고 개인개인 구직자 개인개인에겐 크나큰 짐입니다.
@germanjijinhee
@germanjijinhee Жыл бұрын
학비 엄청 비싼 학교네요^ 생생한 현지 소식 감사합니다~
@Cest.La.Vie..
@Cest.La.Vie.. Жыл бұрын
신입보다 아무래도 경력직이 취직에 유리하겠죠. 해주고 싶은 말은, 서두르지 말고 첫 단추를 잘 끼워야 그 다음에 연결되는 커리어 패스가 꼬이지 않는 다는거 그나저나, 영피님 칭찬해~~~!! ^^ 시카고에도 명문대 많고 씨다델도 있으니 기획 영상 만들러 겸사겸사해서 오셔요. 새우 잔뜩 든 이때리 음식 사줄께요 ^^
@yeongPD
@yeongPD Жыл бұрын
조만간 취재 및 이슈제보 이메일도 개설할 예정입니다! 영P의 새우지수.. 새우 9마리 이상 들어가나요..? 😢
@Cest.La.Vie..
@Cest.La.Vie.. Жыл бұрын
@@yeongPD 9마리가 가지고 콜레스테롤이 올라가겠어요? 고 콜레스테롤 수치로 염라대왕 인터뷰하러 갔다올 만큼 먹어봅시다. 거기다 Spanish Octopus도 목에 감고 먹자고요 ^^ 그나저나 고래하고 새우하고 싸우면 누가 이기죠?
@yeongPD
@yeongPD Жыл бұрын
​우문현답 ​@@Cest.La.Vie.. "돌고래"보다 잘먹는 영P가 이깁니다! 앞으로도 많은 관심부탁드립니다❤ PS: 진짜 갈수도있습니다
@Cest.La.Vie..
@Cest.La.Vie.. Жыл бұрын
@@yeongPD 꼭 오세요. 한 끼는 영피가 좋아할 이때리, 한 끼는잉규님이 좋아할 청요리집, 또 한 끼는 소람님이 좋아할 우리 모두가 아는거기로.... 영피의 나이대를 가늠해보려 던진 질문이었는데. 아마 소람퀸이나 인규님에게 물어보면 새우가 이긴다 알려줄꺼예요 ^^ 네! 한경글로벌 항상 두 손 바르게 하고 잘 보고 있습니다! ^^ 긋나잇~!!
@yeongPD
@yeongPD Жыл бұрын
​@@Cest.La.Vie.. 사실 새우는 깡이니까.. 이기지만 가장 많이 먹는 영P가 먹이사슬 위입니다! 많은 사랑 감사해요!
@TV-fe8df
@TV-fe8df Жыл бұрын
어디 졸업 보다는 능력이 중요하죠. 경쟁 사회에서 뛰어난 사람들을 능가하는 것이 없으면 회사 취직은...
@키186흔남
@키186흔남 Жыл бұрын
아이비리그 학생들도 이렇게 열심히 사는데.....나도 진짜 열심히 살아야겠다
@NewYork7914
@NewYork7914 Жыл бұрын
컴퓨터로 하는 job apply 는 300개가 아니라, 3000개도 가능하지요.
@평택얼음조사
@평택얼음조사 Жыл бұрын
수고하셨습니다
@thelezard3378
@thelezard3378 5 күн бұрын
저도 미국 시민권자이고 아이비는 아니지만 탑20위 대학 나왔는데요. 저도 한 180개 정도 쓴거 같습니다. 물론 통보받은데도 제법 되긴하는데 고르는거죠. 그리고 직장다니고 있지만 지금도 레쥬메는 계속 쓰고 있어요. 한국처럼 취업했다고 여기에 뼈를묻고 이런거 없어요. 레쥬메는 끝없이 씁니다.
@EastWood2004
@EastWood2004 Жыл бұрын
여기는 호주인데 우리 큰애가 stem으로 갈까하다가 의대로 맘을 바꾸기 잘한거 같네요. 호주도 전문의까지 되면 연봉이 빅테크보다 더 많이 받고 가히 넘사벽입니다.
@seongyunjung843
@seongyunjung843 6 күн бұрын
버틀러 도서관 의자 정말 좋았는데 벌써 15년이나 지난이야기 내요. 취업은 뭐 언제나 어려웠지만 요즈음은 진자 테크쪽은 힘든거 같더라구요. 바로 앞에 치폴레와 핑크베리 먹던 기억이 아ㅏㅏ
@milkcake81
@milkcake81 Ай бұрын
Columbia 석사 좋기는 하지만 Columbia 학사보다는 훨씬 들어가기가 쉬워요. 물론 좋은 전공을 선택하셔서 일자리 구하신거구요. 친구들중에 Columbia 석사 (social science) 햤는데 어디 취업 잘 안되구요. 학사는 그래도 사람들이 알아주죠, 특히 아시안으로써 공부 엄청했구나 절로 나오죠
@김용겸-p5s
@김용겸-p5s 8 күн бұрын
연고나 뒷빽이 있어야 되는 것이 아닌지요?
@hoodho1820
@hoodho1820 3 ай бұрын
듣기로는 동양권 학생들 대부분이 stem보단 인문 상경계열을 선호해서 취업이 어렵다고 들은 것 같기도 하구요.... 그래서 갯수가 한정된 비자도 인도인분들에비해 잘 안준다고 ..
@오랜지-n9m
@오랜지-n9m 4 күн бұрын
근데 컬럼비아가 시카고 유펜 듀크 코넬 브라운 존스홉킨스 uc버클리보다 더 좋은가요?
@user-my1qv8nh1r
@user-my1qv8nh1r Жыл бұрын
좋아요^^
@user-lu3gk7tw6q
@user-lu3gk7tw6q Жыл бұрын
뉴욕이 이렇게 클래식한 분위기였다니. 물가가 비싸고. 파월이 계속 금리를 올리는 이유인듯. 한국도 미국처럼 취업할때 추천하는 분위기로 바뀔듯. 미국 취업이 거의 메이저리그 야구판하고 비슷한듯. 메이저리그, 마이너리그, 트리플에이, 더블에이, 싱글에이, 루키.
@一妄一語
@一妄一語 4 күн бұрын
예전이라고 달랐을까만.. .요즘은 확실히 공부 잘하는 애들이 인물도 좋은 듯.
@magnetguide
@magnetguide Жыл бұрын
명문대학이 문제가 아니라 전공이 문제입니다. 공돌이 엔지니어졸업생들은 줄서서 데려갑니다. 특별히 IT 관련 그중에서도 DevOp 은 없어서 못구합니다. 과학관련도 천문학,화학, 물리학, 생물학 같은 순수 학문은 취업의 기회가 아주 어렵습니다. 그래서 순수 과학쪽은 박사학위까지 받아도 특별한 연구실적이 없으면 대학강사나 고등학교 과학선생님 밖에 할일이 없습니다.
@자니올로윙백
@자니올로윙백 Жыл бұрын
전공이 문제가 아니죠.... 요즘 미국대학은 코넬제외 전공별로 뽑지를 않고 한꺼번에 뽑아서 이학년말에 전공을 선택하니..... 게다가 전공인원수 제한도 없고.....사회과학학부 입학하면 80프로가 이콘 전공 선택합니다. 즉, 미국은 자기가 특정분야에 관심이 있어서 끝까지 연구하는 부류와 사회진출을 위한 전공 선택이 자유로움.
@자니올로윙백
@자니올로윙백 Жыл бұрын
미국은 요즘 수학, 통계과 인기가 많습니다. 빅테크 가시려면, 컴사 보다 수학과
@Aram_Trainee
@Aram_Trainee 5 ай бұрын
@@자니올로윙백 전자공학과는 어떤가요?
@jinheepark-d7y
@jinheepark-d7y 3 күн бұрын
석유공학과는 어떤가요
@skpark357
@skpark357 Жыл бұрын
학부는 어디 나오셨는지 안 나오네요. 석사는 컬럼비아라도 학부랑 학부 전공이 무엇이냐가 더 중요
@dddk236
@dddk236 8 ай бұрын
머 어쨌건 취직해서 또 잘 하면 인생 달라지는 거여 자꾸 학부 꾸지다 자책하지 말9 응 ? 😂
@seo_ohee
@seo_ohee Ай бұрын
반성,,,하게 되네요,,, 떨어질때마다 너무 좌절했었는데, 저도 300개 쓰면 어딘가 다니고 있겠죠?
@kibumkim1406
@kibumkim1406 7 күн бұрын
뭔가 엉터리 인터뷰인듯..... 핵심은 체류신분이랍니다. 만일 같은 학벌 능력이라면 내국인 뽑지, 체류신분이 않되는 저런 사람을 뽑을까요? 인턴일땐 OPT로 어찌어찌 단기계약이 가능하지만, 이후 정식 워킹비자나 영주권이 있어야 취업이되지... 그래서, 제목다시 뽑고 인터뷰 다시해야한단다....체류비자에 따른 취업현황...이렇게....하바드 할아버지 학교를 나와봐라...no 워킹비자,정식 취업 비자, 영주권에따라 취업이 천차만별이지.... 이런거보면 취재원의 수준에따라 기사의 질이 확연히 다른거네.... 아예 제목을 다시 뽑던가... 취업비자없이 취직하려는 한국인 명문대 석사 유학생의 취업난 혹은 OPT 만으로는 어려운 한국인 유학생의 정식취업
@ewexxc8310
@ewexxc8310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 고용은 저정도가 일상아닌가 거의 100군데 이상 넣는걸로 알고있는데.
@operationsavekorea627
@operationsavekorea627 Жыл бұрын
음 한국에서는 그래도 좀 알려진 대학 석사 졸이면 그렇게 어렵지 않아요.. 일반대학 출신은 좀 어렵지만..
@chrislove9365
@chrislove9365 Жыл бұрын
이민자는 역시 전문직이죠. 딸이 서부에 있는 주립대에 다니지만..1학년때부터 PA준비 대학원을 목표로 준비를 하고 있습니다. 서부쪽 으로도 오세요ㅎㅎ
@니노스
@니노스 Жыл бұрын
미국 살앗는데 우버고 구글도 빛좋은 개살구임. 이런저런 세금만 50프로고 주택 월세는 욕실 없는 컨테이너도 연 3만달러. 툭하면 해고당함. 초봉 1급으로 20만 준다고 해도 한국과 비슷.
@robertsaint6495
@robertsaint6495 Жыл бұрын
님 마인드로 살면 삶이 고달퍼요 많이 벌고 많이 쓰는 사람이 되는게 더 부자가 될 확률이 높지 않겠어요? 현금흐름이 더 크고 빨라야 부자가 되는거에요
@9642-l9h
@9642-l9h 9 күн бұрын
한국이 역시 살기 좋네요
@kpark843
@kpark843 Жыл бұрын
제가 30년전에 다닐때....방값(아주 작고 방이 따로 없는 스튜디오타입..컬럼비아대 뒷편, 인터네셔널 하우스) 1달에 150만원이었습니다. 취업은 좋아서 제 분야 최고회사에서 14년 풀타임으로 일했고, 영주권도 받았습니다. 지금은 한국 학교에 있지만, 지금의 한국에 있는 학생들은 답이 없습니다. 한국은 세련된 제조업만 조금있습니다. 꿈과 창의력을 발휘할 직장도 없고, 학생들 피말리는 곳입니다. 그냥 미국을 택하는게 천프로 바람직하다고 봅니다.
@몰아치기-p8n
@몰아치기-p8n Жыл бұрын
미직장은 5년 길게 가도 10년이면 젊은 백인들에게 자리 뺏기지요
@kpark843
@kpark843 Жыл бұрын
@@aragoo_park 이식수술 때문에 한국왔는데...많이 그립습니다. 60쯤되면 왔다갔다 할 계획입니다.
@kpark843
@kpark843 Жыл бұрын
@@asdfasdf9710 삶의 방향.가치관에 달렸겠죠. 보통 첫번째는 남들 보기에 좋은 직장, 편안한 삶....둘째는 좀 더 전공에 도전을 해보고싶은 삶.....둘째라면, 100프로 미국입니다. 미국엔 모든 분야의 세계최고 회사들이 존재하고, 전 세계의 열정있는 젊은이들이 모여듭니다. 그냥 무에서 유를 창조하는 세계최초의 일을 합니다. 한국은 그냥 기존기술에서 세련된 잡기술을 조금더한 제품생산이 다입니다. 그것도 한국최고의 회사들이요. 그것도 이젠 답이 안보이죠. 중국등의 기타국가들이 쉽게 따라잡혔죠. 첫번째의 편안한 삶을 갈구한다면.......10년전,20년전 같으면...100프로 한국이었습니다. 그러나 현재의 젊은이들에겐 지옥만 남았다고 봅니다. 한국경제의 정점은 2,3년전이었고, 앞으로 한없이 곤두박질 칠겁니다. 거기다 지구 최악의 출생율, 논인빈곤, 초고령화, 연금문제, 빈부격차..........여유가 1도 없는 삶이 기다리고 있을겁니다. 제가 경험한 미국과 한국에서 경제활동 각각15년......여유로운 삶은 선택하더라도...전 미국을 택하겠습니다.
@kpark843
@kpark843 Жыл бұрын
@@asdfasdf9710 참. 그리고 미국서는 경기가 좋을때도.....사회초년생은 일잡기 어렵습니다. 보통 50-100개 넣습니다. 한국처럼 학교보고 선택안하고, 유경험자위주로 상시 채용합니다. 공채란 말이 없습니다.(첨엔 한국와서 이해도 못함) 그리고 불경기가 와서...회사서 해고되도, 미국은 모든분야가 탄탄하기 때문에 금방 새일자리, 더 좋은자리 찾습니다. 50이상도 큰 문제없어요. 경력이 중요해서 더 반깁니다. 한국???? 50이면 회사나가야죠.
@눈꽃Snowflake
@눈꽃Snowflake Жыл бұрын
동의
@JacobJordan-g8i
@JacobJordan-g8i 18 күн бұрын
뭐야 취업 됐다는데. 학부는 국내 출신 같은데 저 정도면 잘된 케이스 아닌가? 일부런 타수 늘릴려고 어그로 끄는거 아나냐?
@user-uskxnfiw729
@user-uskxnfiw729 Жыл бұрын
영어도 잘하고 말도 잘하고 똑똑한 학생 같네요.
@madox0176
@madox0176 Жыл бұрын
미국에있는데 영어 잘하는건 당연한거지.
@user-uskxnfiw729
@user-uskxnfiw729 Жыл бұрын
@@madox0176 첫번째 사람보고 쓴거임. 교환학생 6개월, 대학원 1년 조금 넘는 정도에 저 정도이면 학부 유학한 수준.
@THEJENNYDADDY
@THEJENNYDADDY Жыл бұрын
이전에 원정출산 욕했는데 지나고 보니 짱이라는
@xilverfox69
@xilverfox69 5 күн бұрын
미국에선 정확한신분과 석사이상의 학위를 매우매우 중요하게 여깁니다
@aasdf8276
@aasdf8276 Жыл бұрын
컴퓨터공학.하면사6년정도대학다니고3년정도인턴하면.직장다니기쉅죠.참고로.우리조지아텍에서전공공부빡세요..4년에졸업해도인턴무경험자.안씁니다.요즘그래서5.6년학교다녀요.생각보다공부많이합니다.미국은나오기가힘들죠.
@sunyoungkwon6529
@sunyoungkwon6529 Жыл бұрын
학생비자로 있는 사람은 미국시민보다 몇십배나 취업하기 어렵습니다 이것을 감안하고 동등한 조건의 사람을 인터뷰 하는게 옳치않았나하는 생각이 듭니다
@soramyang
@soramyang Жыл бұрын
앗 뒤에 나오는 인터뷰이는 미국 거주한지 이십년 된 케이스입니다 😊😊 조언 감사드려요!
@annanimose4850
@annanimose4850 13 күн бұрын
All depends on what you majored.
@katekim506
@katekim506 4 ай бұрын
스텐포드나 유덥출신 학생들도 취직이 안되어서 석사로 가서 공부 더하는것 같더라구요. 취업이 잘 안되는것 맞아요.
@chsjung
@chsjung 3 күн бұрын
대학만 2014년부터 학부생이라도 11년째 대학을 다니거나 진학 준비하며 공부만 한건데 참… 30대 취업 한숨난다..
@heungjaelee6394
@heungjaelee6394 Жыл бұрын
미국 고용시장 빡빡하다더니, 예비취업자들 취업사정 쉽지 않네요. 저임금 서비스일자리만 많은 건가
@카이트-c8y
@카이트-c8y Жыл бұрын
정답입니다.
@BigOneFishingClub
@BigOneFishingClub Жыл бұрын
여행 유튜버 영상에서 봤던 학생이네요 ㅎㅎ
@bekay3383
@bekay3383 3 күн бұрын
아이브 리그가 중유한게 아니고 개인능력임. 학벌 = 능력 이라는 생각은 구시대적인 생각임. 내가 미국에서 인턴/신입 면접 인터뷰 진행해보면 아이비 리그 학생들 중에도 실력 없는애들 너무 많음. Major 전공 is more important than what school 학벌 you went to.
@Mysteryp7
@Mysteryp7 Жыл бұрын
우왕
@elp1070
@elp1070 7 ай бұрын
You will have enough time to make your dream come true Physiotherapy
@j9009009
@j9009009 Жыл бұрын
체코재님 영상에 나오신분 아닌가..?
@konem58
@konem58 Жыл бұрын
귀중한 경험 감사해요~~~~
@sy6798
@sy6798 Жыл бұрын
요즘 의대 간호대학만 취업하지 하버드졸업장도 별 소용없다.
@아르마딜로-w8z
@아르마딜로-w8z Жыл бұрын
미국 취업힘들다고 다시 한국에 오셔서 상대적 또는 절대적으로 값싼 연봉을 받으며 일하며 고생하지 않았으면..
@jhs3994
@jhs3994 Жыл бұрын
미국은 한국보다 더함 네트워킹만 잘하면 취업 편하게 함
번쩍번쩍 거리는 입
0:32
승비니 Seungbini
Рет қаралды 182 МЛН
나라 먹여살리는 국가별 시총 Top 10 기업 분석 | MMM @MickeyPedia
23:52
조승연의 탐구생활
Рет қаралды 730 М.
번쩍번쩍 거리는 입
0:32
승비니 Seungbini
Рет қаралды 182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