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을 싫어하는 사마귀는 왜 물에 빠져 죽었을까? 숙주를 조종해 물로 뛰어들게 만드는 연가시 | 기생 | 기생충 | 다큐프라임 |

  Рет қаралды 891,971

EBS Documentary

EBS Documentary

Күн бұрын

연가시의 알은 육식곤충의 몸에서 부화하고 기생하는데 곤충의 몸 속에서 성장하다가 성충이 되면 곤충의 몸에서 빠져 나와 민물로 돌아온다. 성충이 되면 기생충에서 수생 곤충으로 탈바꿈하기 때문인데 연가시는 물 밖 공기 중에 노출되면 금방 죽는다. 그래서 연가시는 기생했던 곤충의 신경을 자극해 물가로 유인하고 물에 뛰어들게 만든다. 기생했던 곤충이 물에 빠지면 그 사이 곤충의 몸에서 빠져나와 물 속에 알을 낳는다. 2012년 영화로 만들어져 충격을 주었던 연가시는 다행히 사람의 몸에는 기생하지 않는다. #연가시 #기생 #사마귀 #기생충
▶️ 프로그램 : 다큐프라임 - 기생1부, 보이지 않는 손
▶️ 방송일자 : 2013.07.22

Пікірлер: 545
@MOVIMIENTO-t1y
@MOVIMIENTO-t1y 2 жыл бұрын
4:23 저걸 손바닥에 두고 아무렇지 않게 설명하다니…. 맙소사…
@MY_CHOKUK
@MY_CHOKUK 2 жыл бұрын
영상을 보는데 왜 몸이 왜 가렵지ㅋㅋ 위액.위산 고마워..다 녹여줘서... 연가시 영화 보고 계곡을 3년정도 안갔던 기억이 나네요ㅋㅋ 구충제 잘 챙겨 먹읍시다. 3개월 1회
@busbar2836
@busbar2836 2 жыл бұрын
촬영하시는분들 정말 대단하세요
@odagadabom
@odagadabom 2 жыл бұрын
이런장면 찍는것도 진짜 일이다.............
@surger7267
@surger7267 2 жыл бұрын
우와 감탄과 탄식을 뱉으며 봤네요 사람에게 기생하진 못한다는 말에 공포감이 가셨어요 촬영하신 분들 진짜 대단
@suebongjin4684
@suebongjin4684 2 жыл бұрын
연가시 비슷한 기생충이 아프리카 민물에 있더라구요. 사람 피부층으로 들어가 뱃속에 정착해 살다가 성충이되면 피부를 뚫고 나오는데 길이가 1미터 이상이고 감영된 환자들은 무척 고통스러워 하더군요. 의사가 핀셋으로 잡아서 끌어당기는데 끊어지면 다시 인체 안으로 숨어들어가는 그런 무시무시한 기생충 기후변화로 그런 기생충이 울나라에 살지않는다는 보장은 없죠ㅋㅋㅋ
@오공본드-w9i
@오공본드-w9i 2 жыл бұрын
멍청하냐. 연가시의 존재는 그러한 기생과정으로 살아가는 방식이 지구상에서 가능하다는 이야기를 증명한다. 암도 발견되지만 않았지 그 일종일 수 있고 이름모를 뭔가가 있을 수 있고 앞으로도 얼마든지 그러한 것이 생겨날 수 있다는 것이다. 연가시도 진화할 수 있고. 이제 좀 무섭냐?
@surger7267
@surger7267 2 жыл бұрын
@@오공본드-w9i 아고 무셔라 너무너무 무섭네 그 어려운 기생도 다 알고 너무 똑똑해서 기절할뻔 감탄감탄. 이제 기분 좋아졌어? 글보니 평소 무시 많이 당하고 사나본데 힘내라. 어려운거 가르친다고 고생했다
@limitedheon5371
@limitedheon5371 2 жыл бұрын
@@surger7267 놀고있네ㅋㅋㅋㅋ노인들이 할일이 없어서 심심한가?ㅋㅋㅋ
@surger7267
@surger7267 2 жыл бұрын
@@limitedheon5371 여기서 제일 할일없어 심심해보이는 분 말씀이라 납득이 가네. 어르신 만수무강 극락왕생하세요
@리버뿔
@리버뿔 2 жыл бұрын
재밌다 옛날껀데도 정말 잘만들었다
@SSssmssSS
@SSssmssSS 2 жыл бұрын
연가시에 대해 엄청 궁금했는데 오늘 다큐로 진짜 사이다가 되어버렸네요 그리고 오프닝 연가시 길이 보고 기겁 했네요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봄날-e9k
@봄날-e9k 2 жыл бұрын
역시 이런 방송은 EBS만 가능할 듯 합니다. 잘 봤습니다. 감사합니다
@레온-m1s
@레온-m1s 2 жыл бұрын
누가 EBS노잼이라 했냨ㅋㅋㅋ
@plum9660
@plum9660 2 жыл бұрын
연가시는 사람에게 무해합니다. 설령 유충을 먹게 된다 해도 사람의 체온에 의해 화상을 입어 죽게되며 즉시 단백질 공급원이 됩니다. 만에 하나 살았다고 하더라도 사람의 면역체계 백혈구들이 분해시키므로 걱정하지 않아도 됩니다.
@至尊無上-r8c
@至尊無上-r8c 2 жыл бұрын
천만다행이네요...
@DuDuDaDadu
@DuDuDaDadu 2 жыл бұрын
연가시 국수
@모란-v4i
@모란-v4i 2 жыл бұрын
다행이네요
@mensa2030
@mensa2030 2 жыл бұрын
스파르다눔은... 사람에게 기생해서 25년간 살다 뇌로간적도 있음... 요곤 걱정해야함..
@kjw840110
@kjw840110 2 жыл бұрын
@@DuDuDaDadu 존맛탱
@Alibi-u7l
@Alibi-u7l 2 жыл бұрын
평생 봐온 어떤 괴물보다도 소름끼치고 끔찍하다.
@user-dx9eq5vu3n
@user-dx9eq5vu3n 2 жыл бұрын
인간속에 들어와서 인간을 조종하는 사탄이 있답니다 이 사탄은 사람의 생각을 조종합니다 그래서 내생각 내생각하는데 그것은 내 생각이 아니고 사탄의 생각입니다 이 생각의 늪에 깊이 빠지면 조울증 우울증이라는 귀신이 들리고 그 귀신은 죽어 뛰어내려 라는 생각에 깊이 빠지게 하여 자살하게도 합니다 마음이 약한 사람은 이 사탄의 조종을 이기지 못합니다 요즘 젊은이들 마음이 약하여그래서 자살자가 많아요 연가시의 역할과 같아요
@삶에관한명상
@삶에관한명상 2 жыл бұрын
늦여름에 비 온 다음날 재네들이 도로나 비에 젖은 땅 위에 방치되어있는게 종종 보이더라구요. 아마도 물웅덩이인 줄 알고 숙주를 조종해서 배 밖으로 빠져나왔지만 어 여기가 아니네 하고 숙주랑 사이좋게 요단강 건너가는 연가시들이 종종 보이곤 하죠...
@user-br5xo8ye8u
@user-br5xo8ye8u 2 жыл бұрын
그건 지렁이 아닌가요?
@삶에관한명상
@삶에관한명상 2 жыл бұрын
@@user-br5xo8ye8u 아뇨 연가시에요. 둘은 생김새가 재법 달라요
@용하재
@용하재 2 жыл бұрын
저 어릴때는 실뱀이라고 했어요 까만실처럼 길고길어서 지렁이는 갈색으로 길이가10센티 남짓인데 저건 길고길거든요 앏으면서
@문새로이-b3h
@문새로이-b3h 2 жыл бұрын
EBS가 최고입니다 유익한 정보가 많아서 좋습니다
@노력금지
@노력금지 2 жыл бұрын
4:25 이걸 맨손에 올려놓을 수 있는 항마력이라니
@Endogenesis
@Endogenesis Жыл бұрын
밥먹으면서 보고있어요
@밤비-o8z
@밤비-o8z 9 ай бұрын
네..?
@블루레인-k8b
@블루레인-k8b 2 жыл бұрын
저두 어릴적 본적이 있는데 죽은 사마귀 몸에서 나왔던 검고 길고 꿈틀거리던 전 사마귀 장기인줄 모든 사마귀에 있지않고 연가시 라는건 첨 알았네요 어릴적 연가시 보고 원래 사마귀를 싫어했지만 공포를 가졌던 기억이 있어요
@세상지기
@세상지기 2 жыл бұрын
영상도 유익하지만, 설명하는 남자 성우분의 목소리도 멋지네요.ㅎㅎ
@사랑구미
@사랑구미 2 жыл бұрын
자연의신비 영상 감사합니다
@eoanf
@eoanf 2 жыл бұрын
연가시는 사막귀에게만 기생 하는게 아닙니다 곱등이에게서도 나오고 여치에게서도 나옵니다 그외 여러 곤충에게서 발견되는게 연가시 입니다
@솔로-n1j
@솔로-n1j 2 жыл бұрын
인간의 미래식량 곤충이라는데 ..연가시 요리법 빨리 나와야 합니다.. 연가시 메밀소바 좋다!
@강경훈-g2n
@강경훈-g2n Жыл бұрын
에휴 욕도아깝다
@10forever25
@10forever25 Жыл бұрын
연가시소바 ㅋㅋㅋㅋㅋㅋㅋㅋ
@일신우일신-x2h
@일신우일신-x2h 2 жыл бұрын
군대시절 취수구 주변에 연가시 뭉치가 엄청 많아서 가끔 걷어내기도 했었는데 인사계(지금 행정보급관)가 오리 몇 마리를 풀어 놓은 후 더 이상 발견하지 못했음. 개구리 수도 급감 ㅠ.ㅠ
@jhi3384
@jhi3384 2 жыл бұрын
역시 행보관님 생각치고 하등 쓸데없는게 없음...
@거솔-q6i
@거솔-q6i 2 жыл бұрын
어릴적 죽은 사마귀에서 검은 굵은 실같은 것이 뱃속에서 꾸물거리고 나왔을때 창자라 생각 했었다. 근데 사마귀는 죽었는데 왜 창자는계속 꿈틀 거리고 있을까 궁금 했는데~? 오호라~~~ 연가시 였구나. 사마귀는 얼마나 고통스러웠을까~~! 섬뜩하니 내 배가 불러 오는것 같은 기괴함~~~ 끔찍하다.
@널향한캐스팅
@널향한캐스팅 2 жыл бұрын
연가시 영화 개봉하고 한동안 강이나 계곡에 놀러가는 사람들 겁나줄었었지 집 근처에 계곡있는데 특이하게 그때 휴가 오는사람들 없더라 ㅋㅋㅋ
@배-e6r
@배-e6r 2 жыл бұрын
한번 짝짓기할때마다 알을 2천만개를 까는데 그럴만함
@권도비
@권도비 2 жыл бұрын
신기하다 어쩌다 사마귀 보면 연가시가 다있는 경우가 최상위 포식자로 인해 생긴다는 사실을
@펍지-z6e
@펍지-z6e 10 ай бұрын
구라가 너무 심하네 딱봐도 1미터까진 안보이는뎈ㅋㅋㅋ 2:51
@GoldBuddhaLimited
@GoldBuddhaLimited 2 жыл бұрын
그것보다 유전자변형과 신경물질생성할수 있다는게 연구를 꾸준하게 할 필요성이 있는듯
@흐르는강물처럼-v6h
@흐르는강물처럼-v6h 2 жыл бұрын
연가시가 실제 기생충이군요. 연가시영화는 숙주를 곤충에서 인간으로 상상하여 만든것. 놀라워요.
@아스트라제네바
@아스트라제네바 2 жыл бұрын
와.. 얼마 전 아이와 저녁 산책 중 사마귀를 잡았어요. 채집한 사마귀에는 연가시가 없었지만.. 예전에 아이가 채집해던 사마귀 속에서 연가시가 나와서 애들 놀래고 기생충은 불에 태워 죽였던 기억이 나네요. 먹성좋은 곤충 사마귀가 연가시를 살리려고 물에 투신하는 상황이라... 새로운 사마귀 생태의 놀라운 발견이네요.. 철사줄 같은 연가시들이 엉켜있는 모습도 충격.. 계곡물놀이는 조심해야겠다는 경각심이 들면서도 뭐랄까.. 신경조절물질로 곤충계의 왕 사마귀를 죽게만드는 것도 충격적... 어쨌든 기생충은 도움 되는게 없어요...
@baekj730
@baekj730 2 жыл бұрын
기생이라 해서 다 나쁜건 아닙니다. 우리 몸 속 세포의 에너지 생산공장인 미토콘드리아도 기생하는 종류지요. 다만 서로 도움이 되는지 아니면 일방적인 이득을 보는지에 따라 갈립니다.
@아스트라제네바
@아스트라제네바 2 жыл бұрын
@@baekj730 네 그렇죠. 공감합니다.... 기생이 공생관계가 안되고 결국엔 숙주를 마구잡이로 파괴하는 형태는 노노더라고요.. 서로 윈윈이 가장 이상적인 것 같아요.
@다람지-h7b
@다람지-h7b 2 жыл бұрын
인간의 몸속에서 좋은일을하는 기생충이 훨신 많다고 들었어요.
@다람지-h7b
@다람지-h7b 2 жыл бұрын
@@윤건주-p5y 아하~ 공생충이라 하는군요. 감사합니다.
@아스트라제네바
@아스트라제네바 2 жыл бұрын
@@다람지-h7b ㅇㅇ 공생이나 곤충계에선 해충이 이닌 익충이라고 하지요. 곰팡이균중에서도 약의 원료로 쓰이는 푸른곰팡이나 이스트는 인간에게 이롭지요. 그럼 ㅡ
@grooveheart
@grooveheart 2 жыл бұрын
정말 곤충세계는 하드코어 공포물이다....
@박시크-w2m
@박시크-w2m 2 жыл бұрын
ㄹㅇ 공포영화보다 더무서움
@780주사위
@780주사위 2 жыл бұрын
@@박시크-w2m 특히메뚜기들은개하드코어일듯
@gerughigiulio9190
@gerughigiulio9190 2 жыл бұрын
척추동물에 기생해서 조종하기에는 척추동물의 신경 숫자가 곤충과는 차원이 다를 정도로 많고 복잡함...
@yhpdoit
@yhpdoit 2 жыл бұрын
혹시 톡소포자충이라고 들어보셨는지요?
@기억나-x1m
@기억나-x1m 2 жыл бұрын
@@yhpdoit 톡소포자충. 전세게 사람들의 30퍼센트까지 감염이 되어있는 기생충. 쥐, 고양이로 감염. 사람들도 고양이 분변 등으로 감염. 감염되면 남자들은 용감해짐. 여성들은 더 여성적이 되어 짐. 우리나라에서도 지방어린이를 조사한 적이 있는데 상당수가 감염되어 있다는 보고서를 읽은 적이 있음. 집에서 기르는 애완묘에서는 감염가능성이 별로 없음.
@라룽
@라룽 2 жыл бұрын
@@yhpdoit 톡소포자충이 왜나옵니까..신경이 복잡하다는 건 딱봐도 기생물의 nerve control 이 척추동물에 불가능할 것이라는 의미일텐데..특정 material 분비로 인해 숙주에 영향을 끼치는 례는 톡소포자충이 아니더라도 많은 기생물에서 볼 수 있는 현상임
@자들자들-m4n
@자들자들-m4n 2 жыл бұрын
ㄹㅇ 기생충이 개 원숭이 인간을 조종할정도면 그 기생충의 지능은 엄청나게 뛰어나야하는데 불가능하지ㅋㅋ
@teddybear-g4k
@teddybear-g4k 2 жыл бұрын
손으로 만지는 것 보니까 인간에게 무해하다는 말의 신뢰감이 확 드네요.
@mmaem7620
@mmaem7620 2 жыл бұрын
연가시를 어떻게 맨손에 올려둘수잇지ㅜㅜ 징그러
@팡팡팡-r5o
@팡팡팡-r5o 2 жыл бұрын
낚시갔다 물에 지가 들어가는 사마귀를 보고 이상해서 낚시대로 몇번을 건져줘도 또 들어가던데ㅡㅡ연가시ㅡㅡ으윽 이런이유군요 신기하고 징그러버요
@gangminny
@gangminny 2 жыл бұрын
어릴적에 아버지가 제가 곤충을 무서워 하는 걸 보시곤 사마귀가 뭐가 무섭냐 하시며 입에 넣어서 씹어 삼키신걸 보여줬어요.. 워낙 아버지께서 겁이 없으셔서 그렇지만 덕분에 물, 벌레, 고소공포증+안전과민증을 갖고 살고 있습니다..ㅜ
@user-soosookkang
@user-soosookkang 2 жыл бұрын
옛날 태종이 가뭄에 흉년이 들자 곡식 탐하는 메뚜기가 원망스럽다고 그걸 날로 씹어 먹었다는 고사는 들은 적이 있지만 사마귀를 ㅋㅎ
@victoriachoi5713
@victoriachoi5713 2 жыл бұрын
???
@sydjlee
@sydjlee 2 жыл бұрын
허…걱
@TAKGUYAKI
@TAKGUYAKI 2 жыл бұрын
아버님 성함이 그릴스? 이십니까
@sSSs-hb2ej
@sSSs-hb2ej 2 жыл бұрын
그 유명하다는 한입베어 그릴쓰....ㅋㅋㅋㅋㅋ
@안종선-j2l
@안종선-j2l 2 жыл бұрын
6분50초 에 "운없는 모기는 사마귀의 먹이가 되었지만 모기속의 연가시는...." 이라고 해야 하는데 "사마귀속의 연가시...."라고 나오네요. 잘 못 된듯 합니다.
@제임날
@제임날 2 жыл бұрын
저도 이생각함. 나레이션 실수
@dongkeunkwak
@dongkeunkwak 2 жыл бұрын
사마귀에 연가시가 숙주가 되어 물로 유인 연가시가 나오는 영상을 보고 새로운 걸 알게 되었습니다. 귀한 영상 잘 봤습니다. 수고하셨습니다. 감사합니다,~^^👍👍👏👏👏
@ekrm5266
@ekrm5266 2 жыл бұрын
어릴적 사마귀잡아서 놀때 50%확률로 연가시가 나왔던거 같네... 그때 우리동네에선 실뱀이라 불렀고, 그냥 꼬인철사같았는데, 징그러워 만지지도 못했던 기억
@ch.a
@ch.a 2 жыл бұрын
연가시를 말리면 매우 질겨서 옌날엔 끈으로 사용함
@주기홍-n9d
@주기홍-n9d 2 жыл бұрын
어린시절에 사마귀 배에서 연가시를 께내본적이 있었다 그때는 뭔지 몰라 신기 했어던 기걱이 있었어요 63년후 답을 알았습니다 감사합니다.
@Yayo509
@Yayo509 2 жыл бұрын
할아버지
@asuragrim5507
@asuragrim5507 2 жыл бұрын
ㅋㅋ 어렸을 적 논뚝을 지나며 메뚜기를 잡아 유리병에 넣어와서 불에 구워 먹곤 했는데 가끔 사마귀를 넣어 놓으면 검고 긴 철사같은 게 나왔는데 알고 보니 연가시였네요. 당시 연가시가 숙주의 생명이 다 하는 것을 알고 몸 밖으로 나온 것 같습니다.
@sooyounglee7598
@sooyounglee7598 2 жыл бұрын
전 그 검고 긴 철사같은게 사마귀 내장인줄 알았네요~
@imingasem911
@imingasem911 2 жыл бұрын
참새맛있던데 ㅋㅋ 메뚜기는 상상을 초월하네요 저도 어렸을적엔 너무 가난했고 먹을게없다보니 참새잡고다녔는데
@lipschoi4607
@lipschoi4607 2 жыл бұрын
메뚜기 그걸 왜 먹어요 징그럽게 ㅜㅜ
@nuclearayromic6928
@nuclearayromic6928 2 жыл бұрын
@@imingasem911 이제 밥안굶고 사실만하니 참새들에게 참회해야죠..가끔집에서 쌀좀가지고나와 동네참새들에게 뿌려주세요. 저도 참새들에게쌀뿌려줍니다. 너무귀엽잔아요. 짹짹이들..
@야채토마토
@야채토마토 2 жыл бұрын
메뚜기는 새우맛 남
@Kanel913
@Kanel913 2 жыл бұрын
끔찍하지만 진짜 신기하다..
@씨트콤배우
@씨트콤배우 2 жыл бұрын
어릴적에 커다란 사마귀가. 넘나 무서웟서 돌로 사마귀를 처치했는데 안도감도 잠시 갑자기 사마귀 몸속에서 기이한 갈색 줄같은것이 마구 나오기 시작. 진짜 자지러지게 노람 그땐 참으로 기이한 것을 보았다고 징그러워서 잊고 싶은 기억으로 잊혀지고 있을 무렴 연가시라는 괴이한 곤충이 메스컴에 나오기 시작했다 그때 내머리를 띵하고 스치는 장면 그거 였다 기억을 더듬어 보니 사마귀를 처치 했던 장소가 수돗가 였다 물을 찾아 왔던것이다 악! 징그러
@HOOKINGEV
@HOOKINGEV 2 жыл бұрын
계곡물 마셯다가 연가시가 들어가면 ... 읔
@JYTV_
@JYTV_ 2 жыл бұрын
4:18 헉!!!!!!!😮😮😮
@심찬-l5e
@심찬-l5e 2 жыл бұрын
어렸을 적 사마귀를 발로 밟아 죽이면 그제서야 배에서 스윽 나오는 움직이는 검은 철사, 연가시. 어린 마음에도 너무나 생긴 게 징그러워서 아스팔트 위에 연가시를 발로 아무리 비틀어 밟아도 죽지도 않던 연가시. 군대에서도 연가시를 발견했을 때 나름 반가워서 톱으로 연가시를 잘라 보려해도 진짜 철사마냥 엄청 튼튼했던 연가시. 어후, 보는 내내 몸에서 소름이 걷히지 않네요 ㅠㅠ
@luckgood4006
@luckgood4006 2 жыл бұрын
사마귀를 발로 밟아죽이다니 대단
@나너머-w9x
@나너머-w9x 2 жыл бұрын
사마귀 밟아 죽이는게 더 소름
@감당못해
@감당못해 2 жыл бұрын
나는 밟진 않았지만 쓰레빠 벗어서 그냥 쌔렸더니 똥같은게 튀어나오던데
@tradersj16
@tradersj16 2 жыл бұрын
@@감당못해 그건내장
@ssmoon1412
@ssmoon1412 2 жыл бұрын
군대가면 별의별 이상한사람 다있어요! 제가 있었던 부대에는 살아있는쥐 맨손으로 잡는후임도있었어요. 꼬랑쥐잡아서 빙글빙글 돌려 패대기 치더라구요;;
@Healing-Story
@Healing-Story 2 жыл бұрын
팔뚝만한 똥이 수미터 나온다 생각하면 먼저 물에 빠져 죽는게 나을지도..
@김명이-b1q
@김명이-b1q 2 жыл бұрын
저도 목이 말라 산속깊은 오염된 물먹었는데 1주일 가슴이 고통스러웠지만 생명지장없던기억나네요.
@ta2oos
@ta2oos 2 жыл бұрын
그건 그냥 오염된 식품 먹어서 생긴 식중독.. 기생충과는 관련이없어용~
@m.t.2
@m.t.2 2 жыл бұрын
영화 연가시가 사람 다 망쳐놓네
@gsheo5546
@gsheo5546 2 жыл бұрын
저걸 손으로 만지다니 대단한 학자군요
@aikawa1
@aikawa1 2 жыл бұрын
연가시는 엄청 깨끗한 동물입니다. 징그럽긴하지만 만져서 해될건 없음
@장민호-u9t
@장민호-u9t 2 жыл бұрын
깨끗한 계곡 가보면 연가시 겁나 많아유
@스틸런-v9s
@스틸런-v9s 2 жыл бұрын
연가시는 1급수에 삽니다. 또한 인간에게 해를 끼칠 가능성이 단 1도 없습니다. 바퀴벌레보다 깨끗하고 병원균에 대한 걱정또한 없습니다. 당연히 만질 수 있죠 만져보면 물렁한 느낌이 아니라 쫀쫀한 철사? 고무줄? 느낌입니다.
@QQ-rj5uq
@QQ-rj5uq 2 жыл бұрын
너무 충격적이어서 저만 놀랐나했네요...
@30kim44
@30kim44 2 жыл бұрын
아스팔트를 좋아해서 20년 가까이 사마귀를 본적이 없는데 1개월사이에 3마리를 봤습니다. 01 8층아파트 베란다 방충망에 붙어있었음. 02 차 본넷위에서 봄 03 벤취에서 봄 색깔은 초록과 갈색 ...올해 사마귀 풍년인가요...
@영찬김-i9w
@영찬김-i9w 2 жыл бұрын
나도 촌에 살면서 사마귀를 잡아서 보면 이것이 뭔지 궁금 햇었는데,이제야 알게 돼서 좋으네요.
@안태우-f4i
@안태우-f4i 2 жыл бұрын
사마귀는 좋은곤충이지 무서운게 아님 무서운건 연가시지 산속에 물도 맘대로 못먹는다
@정몽주-h4k
@정몽주-h4k 2 жыл бұрын
연가시는 깨끗한 물에서만 서식해서 물에 연가시가 있다는건 오히려 좋은신호임. 그리고 연가시를 영화로 접하셨는진 몰라도 연가시는 사람몸에 기생못합니다.
@남진우-y6m
@남진우-y6m 2 жыл бұрын
퀄리티에 비해 중간에 나레이션 스크립트가 오류가 좀 있네요 ㅋㅋ
@참존사람
@참존사람 2 жыл бұрын
기-기가막힌방법으로 생-생명력을 유지하는 연가시 충-충분히 충격적이네요~~^^
@ungkim1943
@ungkim1943 2 жыл бұрын
연가시도 그렇지만 민달팽이도 장난아닌... 현존하는 모든 생명체들은 인간 포함 모두가 완성된 개체들인... 그 무엇 하나 절대로 무시 못함...
@자들자들-m4n
@자들자들-m4n 2 жыл бұрын
솔직히 달팽이기생충보면 연가시가 선녀임ㅋㅋ달팽이 기생충은 거의 외계생물수준임 ㅈㄴ 징그럽
@꼼뮤-u7p
@꼼뮤-u7p 2 жыл бұрын
연가시 뭉치를 아무렇지도 않게 손 위에 올려 놓고 설명하다니 ㅠㅠ
@yazota
@yazota 2 жыл бұрын
이래서 민물에 사는 생물을 먹을 때는 필히 익혀 먹어야 한다는거군요. 연가시는 외래종 블루길 같은거에 안들어가나
@m.t.2
@m.t.2 2 жыл бұрын
ㄴㄴ 디스토마나 이런 비늘에붙어있는 기생충 때문 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오해하는게 물고기나 사람에게도 해가 될거라 생각하지만 절대 아닙니다
@알흠다훈사람
@알흠다훈사람 2 жыл бұрын
모기는 백해무익 이구나 피를 가렵지 않게 뽑아가도 덜 미울텐데 왜 그렇게 진화하진 못했을까?
@user-vy4yf3iq6r
@user-vy4yf3iq6r 2 жыл бұрын
제대로 진화 한거 맞습니다ㅎ 모기입은 톱처럼 생겼는데 그게 생살을 파고들면 따갑고 아프겠죠? 그러면 바로 들켜 흡혈을 할수가 없죠 이때 모기입에서 일종의 마취제 같은게 분비 됩니다 그래서 우린 물려도 모르고 있는겁니다 가려운것은 저 마취제가 피부에 반응해서 가려움증을 유발하는겁니다
@Dhfusv-m3k
@Dhfusv-m3k Жыл бұрын
무익은 아니고.. 잡아 먹힘으로써 생태계에 조금이나마 기여하기도하고 양심 없고 잔인한 얘기지만 인간의 개체 수를 줄이는 역할도 했으니까.. 자연에서는 무익하지 않죠
@DDHYL
@DDHYL 2 жыл бұрын
진짜 무섭다..ㄷㄷ
@김나윤-p5y
@김나윤-p5y 5 ай бұрын
곤충다큐중에 사마귀 얘가 제일 재밌네
@jamesdean3432
@jamesdean3432 2 жыл бұрын
우오오... 연가시를 잘 연구하면 척수를 다친 장애인들의 희망이 될 수 있을 것 같은데. 어떻게 기생충이 다른 곤충의 신경계에 접속해서 직접 행동을 조종할 수 있을까요?
@jaebeomsong7578
@jaebeomsong7578 2 жыл бұрын
그러다가 영화연가시나옴
@aikawa1
@aikawa1 2 жыл бұрын
신경물질을 이용해서 신호를 보내는거지 고장난 신경을 움직여주는게 아님.
@jamesdean3432
@jamesdean3432 2 жыл бұрын
@@aikawa1 신호를 보내는 것은 "작동" 이지 "조종" 이 아닙니다. 사마귀가 질질 끌려가는게 아니라 스스로 움직이는 것처럼 걸어가기 위해서는 수많은 근육들을 미세하게 조종해야 하는데 연가시가 그걸 해냅니다.
@stellay5776
@stellay5776 2 жыл бұрын
하아..진짜 너무 징그럽다 ㅠ
@방종버튼누르고튀기
@방종버튼누르고튀기 Жыл бұрын
​@@jamesdean3432어떤 페로몬을 이용해서 물로 이동하게한다고 본 것 같아요 박사들도 아직 이유를 못찾았다네요
@용기수-l5u
@용기수-l5u 2 жыл бұрын
지구의 생태계는 너무 신기해요 어떻게 다양한 생명체와 생태계가 자리잡히는거지
@TheKkkkkddddddddd
@TheKkkkkddddddddd 2 жыл бұрын
결론 모기를 생으로 먹으면 연가시 숙주되닌깐 모기를 먹을려면 끌여먹거나 구어먹어라 다음다큐는 등골브레이커 일대기를 알려주세요
@아비가일-e2z
@아비가일-e2z 2 жыл бұрын
윽.. 신기하고 놀라우면서 무서워요. 숙주를 조정하는 나쁜 연가시!!
@user-lr7yd6tw5t
@user-lr7yd6tw5t 2 жыл бұрын
종....
@으이-s5p
@으이-s5p 2 жыл бұрын
@@BlueSkyl004 .,
@K-pop-w3w
@K-pop-w3w 2 жыл бұрын
예전에 지하실창고 방을 가보니 곱등 이가 몇마리 보여서 , 에프킬라 가지고 다시 내려가서 곱등이에 뿌렸는데, 곱등이 똥꼬에서 15cm가량 되는 검은 굵은 실같은게 확~튀어 나았었는데, 뭔가 했는데,그게 바로 연가시 였군요.
@훨훨이임
@훨훨이임 2 жыл бұрын
궁금한게 곱등이같은걸 보려면 어디에 살아야보는거임?? 뭐 집에서 쥐를봤다 이런댓글들도 있던데 어디 주택이나 살아야 보는건가?? 난 임대아파트 독립해서사는데 벌레 전혀안나오던데
@근-r9c
@근-r9c 2 жыл бұрын
@@훨훨이임 그냥 아파트 1층만 살아도 많이보이는데
@bhoh6552
@bhoh6552 2 жыл бұрын
연가시는 인간의 몸에 기생하지 못한다. 그 이유를 말안해주네 ㅋㅋ 내가 알기론 인간의 체온이 높아서 연가시가 기생못하는 것과 인간의 위산이 너무 독해서 연가시가 녹아버리는 것 등의 이유로 인간에겐 기생하지 못하는걸로 안다
@Tuna_90
@Tuna_90 2 жыл бұрын
4:16 저런거 많이봤는데... 나뭇가진줄... ㄷㄷ
@윤s-f6c
@윤s-f6c 2 жыл бұрын
징그럽게로만 알고있던 연가시의 생존전략이 신비롭습니다.
@메탈몬
@메탈몬 2 жыл бұрын
어렸을때 하수구 근처에서 사마귀 뱃속의 검은물체가 쑤욱 나오길래 똥인줄 알고있었는데 생각해보니 똥이 꿈틀거릴리가 없어서 의아했던ㅋㅋ
@rider-delivery-y1b
@rider-delivery-y1b 2 жыл бұрын
작년에 밤낚시 하는데 유난히 여치가 많더라구요.. 자세히 보니 여치 몸에서 연가시가 있더라구요.. 꿈틀 으~
@ehdbejx63ubx6xyh4hd7f
@ehdbejx63ubx6xyh4hd7f 9 ай бұрын
물은 꼭 끓여드세요 지하수 깨끗하네하고 아무물이나 퍼마시면 배아파서 죽습니 다 아이들한테도 꼭 보여줘 야 겠네요
@acceptgod1300
@acceptgod1300 2 жыл бұрын
어렸을 적 시골에서 사마귀 죽이면 똥꼬에서 검은 실같은게 나와서 내장이 살아 움직이는 줄 알았던 것이 저런 기생충이엿다니
@이진택-c3r
@이진택-c3r 2 жыл бұрын
생명과 자연은 신비롭고 무한능력을 가지고 있어서..대부분의 과학은 자연을 모방해서 이용합니다.인간은 피한방울 세포하나 만들 순 없지만..이식은 가능합니다..생명은 오직 생명체에서만 나오고..우리가 먹는 모든것 도 생명체에서 나오는 것들 이지요.연가시의 능력을 보면..인간의 능력을 능가합니다. 대다수의 동물이 인간의 능력을 넘어서지만 그래도 인간은 생태계의 최상위에서..자연을 지배하고 관리해야할..책임자이기도 합니다. 기후협약이나..핵확산 금지..탄소중립 이런 것도 인간과 자연을 하나로 보고 관리자로서 의 인간역활을 하는것이죠..이세상의 모든 생명체는 나름의 존재이유를 가지고 있습니 다..우리 각자도 마찬가지죠..
@Talmoin
@Talmoin 2 жыл бұрын
연가시 처음 봤을땐 사마귀 배에서 얇은 전선같은게 나와서 꿈틀대는게 소름끼쳤는데 지금은 유튜브의 영향으로 보이면 끈처럼 묶어보고싶어짐 ㅋㅋ
@umr6727
@umr6727 Жыл бұрын
연가시라면 어릴 때 책에서 사마귀선충이라는 이름으로 몇 번 읽어본 적이 있었죠. 하지만 당시에는 잠자리 유충이 연가시 알을 먹고 그렇게 성충이 된 잠자리를 사마귀가 잡아먹은 후 사마귀의 몸이 물에 젖으면 연가시가 밖으로 나오고 사마귀는 죽지 않고 산다고 쓰여 있었어요.
@이찬우-d5w
@이찬우-d5w 2 жыл бұрын
무엇보다 영화 속 허구인 줄 알았던 기생충 연가시가 실제로 있었다니...
@슬픈고양이
@슬픈고양이 2 жыл бұрын
어릴때 마당에서 병덮어놓고 사마귀 키웠었는데 학교갔다오니 사마귀가 분해된채러 개미들한테 옴겨지고있었음...정점이라해봐야 개인(충)의 힘일뿐이지 ㅠ
@joonjinbio
@joonjinbio 2 ай бұрын
8:01 유전자를 변형시키는 게 아니라 유전자의 발현을 변형시키는 것입니다. DNA는 그대로고 RNA로 발현되는 패턴이나 양이 변하는..
@wisdomhand7026
@wisdomhand7026 2 жыл бұрын
아니 커도 너무 큰거아니야?? 저정도면 사마귀껍데기 말고는 내부가 다 연가시였을듯
@아바투르-n5m
@아바투르-n5m 2 жыл бұрын
맞습니다 그래서 숙주에게서 연가시가 나오고 얼마 안가서 쇼크로 죽는다 하네요
@bsluis2786
@bsluis2786 2 жыл бұрын
사마귀는 연가시 없으면 못사나요?
@ruwi8302
@ruwi8302 2 жыл бұрын
살수있습니다 모든사마귀에 연가시가나오는건 아니지요
@문석찬
@문석찬 2 жыл бұрын
6:49 나레이션 깨알 실수 모기 속의 연가시인딩
@SGS-c4n
@SGS-c4n 2 жыл бұрын
어릴때 사마귀를 밟은적 있는데 뱃속에서 연가시가 나오는거 보고 진짜 소름돋았었던 기억이...그때는 연가시인줄도 모르고 으엑 하고 도망쳤죠
@셩이름
@셩이름 2 жыл бұрын
이런 매커니즘만 보더라도 세상은 넘사 시뮬레이션 임
@Thewayoflife13874
@Thewayoflife13874 2 жыл бұрын
갑자기 개소리노
@2hugo
@2hugo 2 жыл бұрын
뭐야 저게 ㅜㅠ 저 사마귀에 1미터 넘는게 어떻게 있어 ㄷㄷㄷ
@한지웅-k3l
@한지웅-k3l 2 жыл бұрын
연가시 빠져나올때 괴롭겠다...
@speedabs
@speedabs 2 жыл бұрын
연가시 밭이나 하천 주변에 잘 살펴 보면 아주 많아요
@korea005
@korea005 2 жыл бұрын
사람의 몸은 대단하네요 정말
@유황불못
@유황불못 2 жыл бұрын
사람은 두번 죽는다는 사실을 아시나요?
@baegi.102
@baegi.102 2 жыл бұрын
@@유황불못 네? 왜요?
@유황불못
@유황불못 2 жыл бұрын
@@baegi.102 요한계시록 21:8절을 보면 “그러나 두려워하는 자들과 믿지 아니하는 자들과 흉악한 자들과 살인자들과 행음 자들과 술객들과 우상 숭배자들과 모든 거짓말하는 자들은 불과 유황으로 타는 못에 참예하리니 이것이 둘째 사망이라”
@baegi.102
@baegi.102 2 жыл бұрын
@@유황불못 두 번째 죽음도 아플까요?
@유황불못
@유황불못 2 жыл бұрын
@@baegi.102 불에서 타고 녹는 고통을 영원히 느끼게 됩니다.
@푸른하늘-b5m
@푸른하늘-b5m 2 жыл бұрын
사람에게 기생을 못한다니 다행이네요.
@커피프린스-m3k
@커피프린스-m3k 2 жыл бұрын
그러게요..
@vocal77
@vocal77 7 ай бұрын
4:24 사람몸에 기생못한다는걸아니까 편하게 다루네 ㅋㅋㅋㅋ
@Mong9Mong
@Mong9Mong 9 ай бұрын
1분이 안이고 1시간30분 같은데요??
@minbeomkim4200
@minbeomkim4200 2 жыл бұрын
치킨 시킬까 고민할때 이거보고 다이어트 ^^
@게농
@게농 2 жыл бұрын
어릴때 사마귀잡으면 한번씩 나오고 했었는데 연가시였군요
@billowkim7496
@billowkim7496 2 жыл бұрын
보기엔 징그러운 연가시지만, 이게 1급수에서만 살꺼에요. 약간만 물이 더러워져도 다 죽는 연약한 연가시임.
@jhaha57914
@jhaha57914 2 жыл бұрын
옛날에 연가시 영화 있었지 않았나? 연가시가 사람 몸에 들어가서 물 안으로 가게 만드는ㅋㅋㅋ
@sca7531
@sca7531 2 жыл бұрын
비 많이온 후에 곤충 많은 산책길에보면 연가시 가끔보임 ㅇㅇ. 기이다란 무슨 촉수같은 얘들 있음 존나 개 소름임 ㄹㅇ
@끄나끄나
@끄나끄나 2 жыл бұрын
어렸을때, 사마귀 잡아서 배갈랐더니 검고 긴게 꿈틀대고 있었는데 그게 연가시였구나.
@제임날
@제임날 2 жыл бұрын
6:49 나레이션 잘못된거같은데. 사마귀가 아니고 모기라고 해야맞을듯
@윤가이-91
@윤가이-91 2 жыл бұрын
사마귀에게도 기생충약 지급하자
@소나기남매아부지
@소나기남매아부지 2 жыл бұрын
사마귀 동반 사망각ㅋ
@체체파리-q1c
@체체파리-q1c 2 жыл бұрын
육식곤충이자 익충인 사마귀가 불쌍해지는 영상이네요.
@yune5597
@yune5597 2 жыл бұрын
왜 악충임? 인간이 악충아님?
@cadsolid
@cadsolid 2 жыл бұрын
@@yune5597 악충이 아니라 익충... 이익이 되는 곤충요
@널향한캐스팅
@널향한캐스팅 2 жыл бұрын
@@yune5597 난독증이 심하신듯
@Elvis0524
@Elvis0524 2 жыл бұрын
@@널향한캐스팅 익충의 의미를 모르는듯 ㅠ
@체체파리-q1c
@체체파리-q1c 2 жыл бұрын
@@yune5597 난독증이 아니라 중증치매인듯
@HARU-1106
@HARU-1106 2 жыл бұрын
지구는 매번 변한다. 끝없이 변이가 생기는 코로나 바이러스처럼, 언젠가 위액이나 백혈구에게 문제가 없도록 크기도 커지고 내구성까지 오른 연가시가 출현하게 된다면 어떻게 될까.
@gondrenamul8660
@gondrenamul8660 Жыл бұрын
기생충의 놀라운 숙주 조종 기술이 놀라웠습니다. 기생충들이 다른 생명체를 조종하여 물로 뛰어들게 만든 뒤, 알을 낳으며 생존하는 이야기는 마치 영화처럼 신비롭고 흥미진진했습니다. 자연의 경이로움과 생명의 다양성을 느낄 수 있는 소중한 시간이었습니다.
@elonmusc9567
@elonmusc9567 2 жыл бұрын
저 박사 몸에도 연가시 있는거 같애
It works #beatbox #tiktok
00:34
BeatboxJCOP
Рет қаралды 41 МЛН
Мен атып көрмегенмін ! | Qalam | 5 серия
25:41
먼저 태어난 뻐꾸기가 하는 충격적인 행동
8:43
EBS 컬렉션 - 사이언스
Рет қаралды 2,8 МЛН
Parasitic Nightmare: Worms That Grow Over 1 Meter Inside Humans
9:30
EBSDocumentary (EBS 다큐)
Рет қаралды 395 М.
냉혹한 생존 질서 한국 말벌의 세계│#골라듄다큐
40:57
EBSDocumentary (EBS 다큐)
Рет қаралды 937 М.
Octopus vs Underwater Maze
17:13
Mark Rober
Рет қаралды 88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