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을 싫어하는 사마귀는 왜 물에 빠져 죽었을까? 숙주를 조종해 물로 뛰어들게 만드는 연가시 | 기생 | 기생충 | 다큐프라임 |

  Рет қаралды 847,530

EBS Documentary

EBS Documentary

Жыл бұрын

연가시의 알은 육식곤충의 몸에서 부화하고 기생하는데 곤충의 몸 속에서 성장하다가 성충이 되면 곤충의 몸에서 빠져 나와 민물로 돌아온다. 성충이 되면 기생충에서 수생 곤충으로 탈바꿈하기 때문인데 연가시는 물 밖 공기 중에 노출되면 금방 죽는다. 그래서 연가시는 기생했던 곤충의 신경을 자극해 물가로 유인하고 물에 뛰어들게 만든다. 기생했던 곤충이 물에 빠지면 그 사이 곤충의 몸에서 빠져나와 물 속에 알을 낳는다. 2012년 영화로 만들어져 충격을 주었던 연가시는 다행히 사람의 몸에는 기생하지 않는다. #연가시 #기생 #사마귀 #기생충
▶️ 프로그램 : 다큐프라임 - 기생1부, 보이지 않는 손
▶️ 방송일자 : 2013.07.22

Пікірлер: 559
@user-gu1oi6ox1e
@user-gu1oi6ox1e Жыл бұрын
4:23 저걸 손바닥에 두고 아무렇지 않게 설명하다니…. 맙소사…
@MY_CHOKUK
@MY_CHOKUK Жыл бұрын
영상을 보는데 왜 몸이 왜 가렵지ㅋㅋ 위액.위산 고마워..다 녹여줘서... 연가시 영화 보고 계곡을 3년정도 안갔던 기억이 나네요ㅋㅋ 구충제 잘 챙겨 먹읍시다. 3개월 1회
@busbar2836
@busbar2836 Жыл бұрын
촬영하시는분들 정말 대단하세요
@user-id4hn8ic3y
@user-id4hn8ic3y Жыл бұрын
재밌다 옛날껀데도 정말 잘만들었다
@odagadabom
@odagadabom Жыл бұрын
이런장면 찍는것도 진짜 일이다.............
@plum9660
@plum9660 Жыл бұрын
연가시는 사람에게 무해합니다. 설령 유충을 먹게 된다 해도 사람의 체온에 의해 화상을 입어 죽게되며 즉시 단백질 공급원이 됩니다. 만에 하나 살았다고 하더라도 사람의 면역체계 백혈구들이 분해시키므로 걱정하지 않아도 됩니다.
@user-cd9wy8ej7g
@user-cd9wy8ej7g Жыл бұрын
천만다행이네요...
@DuDuDaDadu
@DuDuDaDadu Жыл бұрын
연가시 국수
@user-fg4jf5dz7e
@user-fg4jf5dz7e Жыл бұрын
다행이네요
@mensa2030
@mensa2030 Жыл бұрын
스파르다눔은... 사람에게 기생해서 25년간 살다 뇌로간적도 있음... 요곤 걱정해야함..
@kjw840110
@kjw840110 Жыл бұрын
@@DuDuDaDadu 존맛탱
@user-nf2rt8pt7f
@user-nf2rt8pt7f Жыл бұрын
자연의신비 영상 감사합니다
@SSssmssSS
@SSssmssSS Жыл бұрын
연가시에 대해 엄청 궁금했는데 오늘 다큐로 진짜 사이다가 되어버렸네요 그리고 오프닝 연가시 길이 보고 기겁 했네요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Endogenesis
@Endogenesis 11 ай бұрын
밥먹으면서 보고있어요
@user-gw1wn2gu7p
@user-gw1wn2gu7p 24 күн бұрын
네..?
@user-zz7us8pq7z
@user-zz7us8pq7z Жыл бұрын
역시 이런 방송은 EBS만 가능할 듯 합니다. 잘 봤습니다. 감사합니다
@user-qj2yx6jd4n
@user-qj2yx6jd4n Жыл бұрын
누가 EBS노잼이라 했냨ㅋㅋㅋ
@user-ys7ks1wr8v
@user-ys7ks1wr8v Жыл бұрын
EBS가 최고입니다 유익한 정보가 많아서 좋습니다
@user-pd8tg8bo1o
@user-pd8tg8bo1o Жыл бұрын
늦여름에 비 온 다음날 재네들이 도로나 비에 젖은 땅 위에 방치되어있는게 종종 보이더라구요. 아마도 물웅덩이인 줄 알고 숙주를 조종해서 배 밖으로 빠져나왔지만 어 여기가 아니네 하고 숙주랑 사이좋게 요단강 건너가는 연가시들이 종종 보이곤 하죠...
@user-br5xo8ye8u
@user-br5xo8ye8u Жыл бұрын
그건 지렁이 아닌가요?
@user-pd8tg8bo1o
@user-pd8tg8bo1o Жыл бұрын
@@user-br5xo8ye8u 아뇨 연가시에요. 둘은 생김새가 재법 달라요
@user-hm9qz6iu7i
@user-hm9qz6iu7i Жыл бұрын
저 어릴때는 실뱀이라고 했어요 까만실처럼 길고길어서 지렁이는 갈색으로 길이가10센티 남짓인데 저건 길고길거든요 앏으면서
@user-on7re4iv4w
@user-on7re4iv4w Жыл бұрын
연가시 영화 개봉하고 한동안 강이나 계곡에 놀러가는 사람들 겁나줄었었지 집 근처에 계곡있는데 특이하게 그때 휴가 오는사람들 없더라 ㅋㅋㅋ
@user-wk8xl9fq4s
@user-wk8xl9fq4s Жыл бұрын
한번 짝짓기할때마다 알을 2천만개를 까는데 그럴만함
@user-vu4sl7qk7l
@user-vu4sl7qk7l Жыл бұрын
영상도 유익하지만, 설명하는 남자 성우분의 목소리도 멋지네요.ㅎㅎ
@user-kw9lk1en3h
@user-kw9lk1en3h Жыл бұрын
저두 어릴적 본적이 있는데 죽은 사마귀 몸에서 나왔던 검고 길고 꿈틀거리던 전 사마귀 장기인줄 모든 사마귀에 있지않고 연가시 라는건 첨 알았네요 어릴적 연가시 보고 원래 사마귀를 싫어했지만 공포를 가졌던 기억이 있어요
@Kanel913
@Kanel913 Жыл бұрын
끔찍하지만 진짜 신기하다..
@GoldBuddhaLimited
@GoldBuddhaLimited Жыл бұрын
그것보다 유전자변형과 신경물질생성할수 있다는게 연구를 꾸준하게 할 필요성이 있는듯
@user-wg4cb1zs6e
@user-wg4cb1zs6e Жыл бұрын
군대시절 취수구 주변에 연가시 뭉치가 엄청 많아서 가끔 걷어내기도 했었는데 인사계(지금 행정보급관)가 오리 몇 마리를 풀어 놓은 후 더 이상 발견하지 못했음. 개구리 수도 급감 ㅠ.ㅠ
@jhi3384
@jhi3384 Жыл бұрын
역시 행보관님 생각치고 하등 쓸데없는게 없음...
@dongkeunkwak
@dongkeunkwak Жыл бұрын
사마귀에 연가시가 숙주가 되어 물로 유인 연가시가 나오는 영상을 보고 새로운 걸 알게 되었습니다. 귀한 영상 잘 봤습니다. 수고하셨습니다. 감사합니다,~^^👍👍👏👏👏
@surger7267
@surger7267 Жыл бұрын
우와 감탄과 탄식을 뱉으며 봤네요 사람에게 기생하진 못한다는 말에 공포감이 가셨어요 촬영하신 분들 진짜 대단
@suebongjin4684
@suebongjin4684 Жыл бұрын
연가시 비슷한 기생충이 아프리카 민물에 있더라구요. 사람 피부층으로 들어가 뱃속에 정착해 살다가 성충이되면 피부를 뚫고 나오는데 길이가 1미터 이상이고 감영된 환자들은 무척 고통스러워 하더군요. 의사가 핀셋으로 잡아서 끌어당기는데 끊어지면 다시 인체 안으로 숨어들어가는 그런 무시무시한 기생충 기후변화로 그런 기생충이 울나라에 살지않는다는 보장은 없죠ㅋㅋㅋ
@user-gi3je8nj5e
@user-gi3je8nj5e Жыл бұрын
멍청하냐. 연가시의 존재는 그러한 기생과정으로 살아가는 방식이 지구상에서 가능하다는 이야기를 증명한다. 암도 발견되지만 않았지 그 일종일 수 있고 이름모를 뭔가가 있을 수 있고 앞으로도 얼마든지 그러한 것이 생겨날 수 있다는 것이다. 연가시도 진화할 수 있고. 이제 좀 무섭냐?
@surger7267
@surger7267 Жыл бұрын
@@user-gi3je8nj5e 아고 무셔라 너무너무 무섭네 그 어려운 기생도 다 알고 너무 똑똑해서 기절할뻔 감탄감탄. 이제 기분 좋아졌어? 글보니 평소 무시 많이 당하고 사나본데 힘내라. 어려운거 가르친다고 고생했다
@limitedheon5371
@limitedheon5371 Жыл бұрын
@@surger7267 놀고있네ㅋㅋㅋㅋ노인들이 할일이 없어서 심심한가?ㅋㅋㅋ
@surger7267
@surger7267 Жыл бұрын
@@limitedheon5371 여기서 제일 할일없어 심심해보이는 분 말씀이라 납득이 가네. 어르신 만수무강 극락왕생하세요
@DDHYL
@DDHYL Жыл бұрын
진짜 무섭다..ㄷㄷ
@eoanf
@eoanf Жыл бұрын
연가시는 사막귀에게만 기생 하는게 아닙니다 곱등이에게서도 나오고 여치에게서도 나옵니다 그외 여러 곤충에게서 발견되는게 연가시 입니다
@user-pq9ll9ti4m
@user-pq9ll9ti4m Жыл бұрын
나도 촌에 살면서 사마귀를 잡아서 보면 이것이 뭔지 궁금 햇었는데,이제야 알게 돼서 좋으네요.
@user-oy9ir8mo8z
@user-oy9ir8mo8z Жыл бұрын
4:25 이걸 맨손에 올려놓을 수 있는 항마력이라니
@user-ph4vb5mz5l
@user-ph4vb5mz5l Жыл бұрын
평생 봐온 어떤 괴물보다도 소름끼치고 끔찍하다.
@user-dx9eq5vu3n
@user-dx9eq5vu3n Жыл бұрын
인간속에 들어와서 인간을 조종하는 사탄이 있답니다 이 사탄은 사람의 생각을 조종합니다 그래서 내생각 내생각하는데 그것은 내 생각이 아니고 사탄의 생각입니다 이 생각의 늪에 깊이 빠지면 조울증 우울증이라는 귀신이 들리고 그 귀신은 죽어 뛰어내려 라는 생각에 깊이 빠지게 하여 자살하게도 합니다 마음이 약한 사람은 이 사탄의 조종을 이기지 못합니다 요즘 젊은이들 마음이 약하여그래서 자살자가 많아요 연가시의 역할과 같아요
@user-bz7el6el9p
@user-bz7el6el9p Жыл бұрын
퀄리티에 비해 중간에 나레이션 스크립트가 오류가 좀 있네요 ㅋㅋ
@user-lr9kj8ud9u
@user-lr9kj8ud9u Жыл бұрын
연가시가 실제 기생충이군요. 연가시영화는 숙주를 곤충에서 인간으로 상상하여 만든것. 놀라워요.
@user-ci2ye6hi8f
@user-ci2ye6hi8f Жыл бұрын
지구의 생태계는 너무 신기해요 어떻게 다양한 생명체와 생태계가 자리잡히는거지
@user-wo9jt5yd1n
@user-wo9jt5yd1n Жыл бұрын
인간의 미래식량 곤충이라는데 ..연가시 요리법 빨리 나와야 합니다.. 연가시 메밀소바 좋다!
@user-ku1qb8sp4t
@user-ku1qb8sp4t 10 ай бұрын
에휴 욕도아깝다
@10forever25
@10forever25 8 ай бұрын
연가시소바 ㅋㅋㅋㅋㅋㅋㅋㅋ
@user-wg8jw3to9x
@user-wg8jw3to9x Жыл бұрын
어린시절에 사마귀 배에서 연가시를 께내본적이 있었다 그때는 뭔지 몰라 신기 했어던 기걱이 있었어요 63년후 답을 알았습니다 감사합니다.
@Yayo509
@Yayo509 Жыл бұрын
할아버지
@user-yy5zj5pv6h
@user-yy5zj5pv6h Жыл бұрын
어릴때 사마귀잡으면 한번씩 나오고 했었는데 연가시였군요
@korea005
@korea005 Жыл бұрын
사람의 몸은 대단하네요 정말
@Pilduck_Park
@Pilduck_Park Жыл бұрын
사람은 두번 죽는다는 사실을 아시나요?
@baegi.102
@baegi.102 Жыл бұрын
@@Pilduck_Park 네? 왜요?
@Pilduck_Park
@Pilduck_Park Жыл бұрын
@@baegi.102 요한계시록 21:8절을 보면 “그러나 두려워하는 자들과 믿지 아니하는 자들과 흉악한 자들과 살인자들과 행음 자들과 술객들과 우상 숭배자들과 모든 거짓말하는 자들은 불과 유황으로 타는 못에 참예하리니 이것이 둘째 사망이라”
@baegi.102
@baegi.102 Жыл бұрын
@@Pilduck_Park 두 번째 죽음도 아플까요?
@Pilduck_Park
@Pilduck_Park Жыл бұрын
@@baegi.102 불에서 타고 녹는 고통을 영원히 느끼게 됩니다.
@user-vv6ei2ww8i
@user-vv6ei2ww8i Жыл бұрын
신기하다 어쩌다 사마귀 보면 연가시가 다있는 경우가 최상위 포식자로 인해 생긴다는 사실을
@user-zp1gb6ps9s
@user-zp1gb6ps9s Жыл бұрын
어릴적 죽은 사마귀에서 검은 굵은 실같은 것이 뱃속에서 꾸물거리고 나왔을때 창자라 생각 했었다. 근데 사마귀는 죽었는데 왜 창자는계속 꿈틀 거리고 있을까 궁금 했는데~? 오호라~~~ 연가시 였구나. 사마귀는 얼마나 고통스러웠을까~~! 섬뜩하니 내 배가 불러 오는것 같은 기괴함~~~ 끔찍하다.
@user-lz4qc1dy7o
@user-lz4qc1dy7o Жыл бұрын
저도 목이 말라 산속깊은 오염된 물먹었는데 1주일 가슴이 고통스러웠지만 생명지장없던기억나네요.
@SIX_327
@SIX_327 Жыл бұрын
그건 그냥 오염된 식품 먹어서 생긴 식중독.. 기생충과는 관련이없어용~
@m.t.2
@m.t.2 Жыл бұрын
영화 연가시가 사람 다 망쳐놓네
@younglim5764
@younglim5764 Жыл бұрын
헉....소름...
@user-xb4sj6vd4x
@user-xb4sj6vd4x Жыл бұрын
사마귀넘나귀엽
@user-rp8vh2rb2y
@user-rp8vh2rb2y Жыл бұрын
어렸을 적 사마귀를 발로 밟아 죽이면 그제서야 배에서 스윽 나오는 움직이는 검은 철사, 연가시. 어린 마음에도 너무나 생긴 게 징그러워서 아스팔트 위에 연가시를 발로 아무리 비틀어 밟아도 죽지도 않던 연가시. 군대에서도 연가시를 발견했을 때 나름 반가워서 톱으로 연가시를 잘라 보려해도 진짜 철사마냥 엄청 튼튼했던 연가시. 어후, 보는 내내 몸에서 소름이 걷히지 않네요 ㅠㅠ
@luckgood4006
@luckgood4006 Жыл бұрын
사마귀를 발로 밟아죽이다니 대단
@user-dy7uc5mx6t
@user-dy7uc5mx6t Жыл бұрын
사마귀 밟아 죽이는게 더 소름
@user-iu3jp7dy5f
@user-iu3jp7dy5f Жыл бұрын
나는 밟진 않았지만 쓰레빠 벗어서 그냥 쌔렸더니 똥같은게 튀어나오던데
@tradersj16
@tradersj16 Жыл бұрын
@@user-iu3jp7dy5f 그건내장
@ssmoon1412
@ssmoon1412 Жыл бұрын
군대가면 별의별 이상한사람 다있어요! 제가 있었던 부대에는 살아있는쥐 맨손으로 잡는후임도있었어요. 꼬랑쥐잡아서 빙글빙글 돌려 패대기 치더라구요;;
@speedabs
@speedabs Жыл бұрын
연가시 밭이나 하천 주변에 잘 살펴 보면 아주 많아요
@Tuna_90
@Tuna_90 Жыл бұрын
4:16 저런거 많이봤는데... 나뭇가진줄... ㄷㄷ
@gangminny
@gangminny Жыл бұрын
어릴적에 아버지가 제가 곤충을 무서워 하는 걸 보시곤 사마귀가 뭐가 무섭냐 하시며 입에 넣어서 씹어 삼키신걸 보여줬어요.. 워낙 아버지께서 겁이 없으셔서 그렇지만 덕분에 물, 벌레, 고소공포증+안전과민증을 갖고 살고 있습니다..ㅜ
@user-soosookkang
@user-soosookkang Жыл бұрын
옛날 태종이 가뭄에 흉년이 들자 곡식 탐하는 메뚜기가 원망스럽다고 그걸 날로 씹어 먹었다는 고사는 들은 적이 있지만 사마귀를 ㅋㅎ
@victoriachoi5713
@victoriachoi5713 Жыл бұрын
???
@sydjlee
@sydjlee Жыл бұрын
허…걱
@TAKGUYAKI
@TAKGUYAKI Жыл бұрын
아버님 성함이 그릴스? 이십니까
@sSSs-hb2ej
@sSSs-hb2ej Жыл бұрын
그 유명하다는 한입베어 그릴쓰....ㅋㅋㅋㅋㅋ
@ekrm5266
@ekrm5266 Жыл бұрын
어릴적 사마귀잡아서 놀때 50%확률로 연가시가 나왔던거 같네... 그때 우리동네에선 실뱀이라 불렀고, 그냥 꼬인철사같았는데, 징그러워 만지지도 못했던 기억
@user-dj6zd7mj1j
@user-dj6zd7mj1j Жыл бұрын
대박
@30kim44
@30kim44 Жыл бұрын
아스팔트를 좋아해서 20년 가까이 사마귀를 본적이 없는데 1개월사이에 3마리를 봤습니다. 01 8층아파트 베란다 방충망에 붙어있었음. 02 차 본넷위에서 봄 03 벤취에서 봄 색깔은 초록과 갈색 ...올해 사마귀 풍년인가요...
@HOOKINGEV
@HOOKINGEV Жыл бұрын
계곡물 마셯다가 연가시가 들어가면 ... 읔
@Talmoin
@Talmoin Жыл бұрын
연가시 처음 봤을땐 사마귀 배에서 얇은 전선같은게 나와서 꿈틀대는게 소름끼쳤는데 지금은 유튜브의 영향으로 보이면 끈처럼 묶어보고싶어짐 ㅋㅋ
@trecime
@trecime Жыл бұрын
손으로 만지는 것 보니까 인간에게 무해하다는 말의 신뢰감이 확 드네요.
@gerughigiulio9190
@gerughigiulio9190 Жыл бұрын
척추동물에 기생해서 조종하기에는 척추동물의 신경 숫자가 곤충과는 차원이 다를 정도로 많고 복잡함...
@yhpdoit
@yhpdoit Жыл бұрын
혹시 톡소포자충이라고 들어보셨는지요?
@user-dg4ny5nt8y
@user-dg4ny5nt8y Жыл бұрын
@@yhpdoit 톡소포자충. 전세게 사람들의 30퍼센트까지 감염이 되어있는 기생충. 쥐, 고양이로 감염. 사람들도 고양이 분변 등으로 감염. 감염되면 남자들은 용감해짐. 여성들은 더 여성적이 되어 짐. 우리나라에서도 지방어린이를 조사한 적이 있는데 상당수가 감염되어 있다는 보고서를 읽은 적이 있음. 집에서 기르는 애완묘에서는 감염가능성이 별로 없음.
@user-ff2tb7os7q
@user-ff2tb7os7q Жыл бұрын
@@yhpdoit 톡소포자충이 왜나옵니까..신경이 복잡하다는 건 딱봐도 기생물의 nerve control 이 척추동물에 불가능할 것이라는 의미일텐데..특정 material 분비로 인해 숙주에 영향을 끼치는 례는 톡소포자충이 아니더라도 많은 기생물에서 볼 수 있는 현상임
@user-qq8ys9id5w
@user-qq8ys9id5w Жыл бұрын
ㄹㅇ 기생충이 개 원숭이 인간을 조종할정도면 그 기생충의 지능은 엄청나게 뛰어나야하는데 불가능하지ㅋㅋ
@user-es8oq2jq4k
@user-es8oq2jq4k Жыл бұрын
와.. 얼마 전 아이와 저녁 산책 중 사마귀를 잡았어요. 채집한 사마귀에는 연가시가 없었지만.. 예전에 아이가 채집해던 사마귀 속에서 연가시가 나와서 애들 놀래고 기생충은 불에 태워 죽였던 기억이 나네요. 먹성좋은 곤충 사마귀가 연가시를 살리려고 물에 투신하는 상황이라... 새로운 사마귀 생태의 놀라운 발견이네요.. 철사줄 같은 연가시들이 엉켜있는 모습도 충격.. 계곡물놀이는 조심해야겠다는 경각심이 들면서도 뭐랄까.. 신경조절물질로 곤충계의 왕 사마귀를 죽게만드는 것도 충격적... 어쨌든 기생충은 도움 되는게 없어요...
@baekj730
@baekj730 Жыл бұрын
기생이라 해서 다 나쁜건 아닙니다. 우리 몸 속 세포의 에너지 생산공장인 미토콘드리아도 기생하는 종류지요. 다만 서로 도움이 되는지 아니면 일방적인 이득을 보는지에 따라 갈립니다.
@user-es8oq2jq4k
@user-es8oq2jq4k Жыл бұрын
@@baekj730 네 그렇죠. 공감합니다.... 기생이 공생관계가 안되고 결국엔 숙주를 마구잡이로 파괴하는 형태는 노노더라고요.. 서로 윈윈이 가장 이상적인 것 같아요.
@user-tv9yo6gi6c
@user-tv9yo6gi6c Жыл бұрын
인간의 몸속에서 좋은일을하는 기생충이 훨신 많다고 들었어요.
@user-ie3vu8hg7z
@user-ie3vu8hg7z Жыл бұрын
@@user-tv9yo6gi6c 공생충과 기생충의 차이.
@user-tv9yo6gi6c
@user-tv9yo6gi6c Жыл бұрын
@@user-ie3vu8hg7z 아하~ 공생충이라 하는군요. 감사합니다.
@user-xi1go1wc9h
@user-xi1go1wc9h Жыл бұрын
6분50초 에 "운없는 모기는 사마귀의 먹이가 되었지만 모기속의 연가시는...." 이라고 해야 하는데 "사마귀속의 연가시...."라고 나오네요. 잘 못 된듯 합니다.
@user-gf4pw4ov1b
@user-gf4pw4ov1b Жыл бұрын
저도 이생각함. 나레이션 실수
@ch.a
@ch.a Жыл бұрын
연가시를 말리면 매우 질겨서 옌날엔 끈으로 사용함
@tableoftoday
@tableoftoday Жыл бұрын
작년에 밤낚시 하는데 유난히 여치가 많더라구요.. 자세히 보니 여치 몸에서 연가시가 있더라구요.. 꿈틀 으~
@user-fn2es1np9l
@user-fn2es1np9l Жыл бұрын
영화 연가시 생각나는군요
@user-hs1vb5ei6d
@user-hs1vb5ei6d Жыл бұрын
변비 1년치 나오는 기분이네
@AFVFactoryClubWWII
@AFVFactoryClubWWII 8 ай бұрын
🤣🤣🤣🤣🤣
@user-js8wo3eh7y
@user-js8wo3eh7y Жыл бұрын
징그럽게로만 알고있던 연가시의 생존전략이 신비롭습니다.
@asuragrim5507
@asuragrim5507 Жыл бұрын
ㅋㅋ 어렸을 적 논뚝을 지나며 메뚜기를 잡아 유리병에 넣어와서 불에 구워 먹곤 했는데 가끔 사마귀를 넣어 놓으면 검고 긴 철사같은 게 나왔는데 알고 보니 연가시였네요. 당시 연가시가 숙주의 생명이 다 하는 것을 알고 몸 밖으로 나온 것 같습니다.
@sooyounglee7598
@sooyounglee7598 Жыл бұрын
전 그 검고 긴 철사같은게 사마귀 내장인줄 알았네요~
@adeul297
@adeul297 Жыл бұрын
참새맛있던데 ㅋㅋ 메뚜기는 상상을 초월하네요 저도 어렸을적엔 너무 가난했고 먹을게없다보니 참새잡고다녔는데
@lipschoi4607
@lipschoi4607 Жыл бұрын
메뚜기 그걸 왜 먹어요 징그럽게 ㅜㅜ
@nuclearayromic6928
@nuclearayromic6928 Жыл бұрын
@@adeul297 이제 밥안굶고 사실만하니 참새들에게 참회해야죠..가끔집에서 쌀좀가지고나와 동네참새들에게 뿌려주세요. 저도 참새들에게쌀뿌려줍니다. 너무귀엽잔아요. 짹짹이들..
@user-qf5vn4nt3y
@user-qf5vn4nt3y Жыл бұрын
메뚜기는 새우맛 남
@minbeomkim4200
@minbeomkim4200 Жыл бұрын
치킨 시킬까 고민할때 이거보고 다이어트 ^^
@HappyCat007
@HappyCat007 Жыл бұрын
어릴때 마당에서 병덮어놓고 사마귀 키웠었는데 학교갔다오니 사마귀가 분해된채러 개미들한테 옴겨지고있었음...정점이라해봐야 개인(충)의 힘일뿐이지 ㅠ
@__Az
@__Az Жыл бұрын
어릴적 방아깨비랑.. 사마귀 구분 못해서 기분좋다고 잡았었죠 그리고 사마귀에 물리면 사마귀 난다는 속설에 사마귀 무서워했던.
@joanna8406
@joanna8406 Жыл бұрын
몸이 간지러워요ㅠㅠ
@mmaem7620
@mmaem7620 Жыл бұрын
연가시를 어떻게 맨손에 올려둘수잇지ㅜㅜ 징그러
@user-fw5er7et1w
@user-fw5er7et1w Жыл бұрын
기-기가막힌방법으로 생-생명력을 유지하는 연가시 충-충분히 충격적이네요~~^^
@hooni-mining
@hooni-mining Жыл бұрын
아 갑자기 내 뱃속에 머가 든거 같은 기분이... 괜히 봣군
@grooveheart
@grooveheart Жыл бұрын
정말 곤충세계는 하드코어 공포물이다....
@user-fi3et6wi5c
@user-fi3et6wi5c Жыл бұрын
ㄹㅇ 공포영화보다 더무서움
@user-wu1cf2ob4u
@user-wu1cf2ob4u Жыл бұрын
@@user-fi3et6wi5c 특히메뚜기들은개하드코어일듯
@user-yz2sc8yv7z
@user-yz2sc8yv7z Жыл бұрын
낚시갔다 물에 지가 들어가는 사마귀를 보고 이상해서 낚시대로 몇번을 건져줘도 또 들어가던데ㅡㅡ연가시ㅡㅡ으윽 이런이유군요 신기하고 징그러버요
@user-lv6kt1di5z
@user-lv6kt1di5z Жыл бұрын
끔찍~😩😩
@if293
@if293 Жыл бұрын
몇천년을 살아온 지구에도 이런게있는데 외계행성은 어떤위협적인게 살까싶다, 연가시는 국수로 삶아먹어도 좋겠다
@jyjeong4894
@jyjeong4894 Жыл бұрын
국수먹으면굿
@user-eu3zb1dq7y
@user-eu3zb1dq7y Жыл бұрын
산낙지느낌인가여?
@user-lp9me7yk4o
@user-lp9me7yk4o Жыл бұрын
장세포속에서 숙주의 뇌를 조정한다니. 장에도 신경전달물질이 원래 있을지도
@guess4243
@guess4243 Жыл бұрын
인간도 장속에 뇌에 전달물질있음 장건강이 그래서 중요함
@ekemd978
@ekemd978 Жыл бұрын
@@guess4243 이거 진짜에요 행복호로몬 장에서 거진 다 만든데여
@expoexpo21
@expoexpo21 Жыл бұрын
@@ekemd978 그게 사실인가요?? 내 장은 똥이랑 방구만 만드는데...
@ekemd978
@ekemd978 Жыл бұрын
@@expoexpo21 네 진짜에요 장에 대한 책 한권만 보시면 다나와요
@skj9296
@skj9296 Жыл бұрын
약팔이들이 뭔 말을 못하겠노 ㅋㅋ
@Mong9Mong
@Mong9Mong Ай бұрын
1분이 안이고 1시간30분 같은데요??
@user-bi4jh8tr9t
@user-bi4jh8tr9t Жыл бұрын
사마기좌 극단적 선택 ㅠㅠ
@user-eg1mc1ym3d
@user-eg1mc1ym3d Жыл бұрын
윽.. 신기하고 놀라우면서 무서워요. 숙주를 조정하는 나쁜 연가시!!
@user-lr7yd6tw5t
@user-lr7yd6tw5t Жыл бұрын
종....
@user-dm2xh6jc5w
@user-dm2xh6jc5w Жыл бұрын
@@BlueSkyl004 .,
@user-ft1gd7fo8r
@user-ft1gd7fo8r Жыл бұрын
어릴적에 커다란 사마귀가. 넘나 무서웟서 돌로 사마귀를 처치했는데 안도감도 잠시 갑자기 사마귀 몸속에서 기이한 갈색 줄같은것이 마구 나오기 시작. 진짜 자지러지게 노람 그땐 참으로 기이한 것을 보았다고 징그러워서 잊고 싶은 기억으로 잊혀지고 있을 무렴 연가시라는 괴이한 곤충이 메스컴에 나오기 시작했다 그때 내머리를 띵하고 스치는 장면 그거 였다 기억을 더듬어 보니 사마귀를 처치 했던 장소가 수돗가 였다 물을 찾아 왔던것이다 악! 징그러
@Golden_Diamond
@Golden_Diamond Жыл бұрын
마지막 음악, 제목 아시는 분~~~! ㅠ
@user-eh4sb6ib4l
@user-eh4sb6ib4l Жыл бұрын
살아남아 계속 존재하기 위해
@JYTV_
@JYTV_ Жыл бұрын
4:18 헉!!!!!!!😮😮😮
@ungkim1943
@ungkim1943 Жыл бұрын
연가시도 그렇지만 민달팽이도 장난아닌... 현존하는 모든 생명체들은 인간 포함 모두가 완성된 개체들인... 그 무엇 하나 절대로 무시 못함...
@user-qq8ys9id5w
@user-qq8ys9id5w Жыл бұрын
솔직히 달팽이기생충보면 연가시가 선녀임ㅋㅋ달팽이 기생충은 거의 외계생물수준임 ㅈㄴ 징그럽
@yazota
@yazota Жыл бұрын
이래서 민물에 사는 생물을 먹을 때는 필히 익혀 먹어야 한다는거군요. 연가시는 외래종 블루길 같은거에 안들어가나
@m.t.2
@m.t.2 Жыл бұрын
ㄴㄴ 디스토마나 이런 비늘에붙어있는 기생충 때문 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오해하는게 물고기나 사람에게도 해가 될거라 생각하지만 절대 아닙니다
@user-ry6de7gl3t
@user-ry6de7gl3t Жыл бұрын
연가시 뭉치를 아무렇지도 않게 손 위에 올려 놓고 설명하다니 ㅠㅠ
@duendeduende426
@duendeduende426 Жыл бұрын
헉 사마귀 몸안에 자랗게 말도 안되게 긴 연가시가
@user-li7fc2wd7b
@user-li7fc2wd7b Жыл бұрын
대박이네 곤충세계는 연가시좀비네
@user-gc5pm6gi4z
@user-gc5pm6gi4z Жыл бұрын
예전에 지하실창고 방을 가보니 곱등 이가 몇마리 보여서 , 에프킬라 가지고 다시 내려가서 곱등이에 뿌렸는데, 곱등이 똥꼬에서 15cm가량 되는 검은 굵은 실같은게 확~튀어 나았었는데, 뭔가 했는데,그게 바로 연가시 였군요.
@user-un1gm3bv1v
@user-un1gm3bv1v Жыл бұрын
궁금한게 곱등이같은걸 보려면 어디에 살아야보는거임?? 뭐 집에서 쥐를봤다 이런댓글들도 있던데 어디 주택이나 살아야 보는건가?? 난 임대아파트 독립해서사는데 벌레 전혀안나오던데
@user-ch9ju1fz9h
@user-ch9ju1fz9h Жыл бұрын
@@user-un1gm3bv1v 그냥 아파트 1층만 살아도 많이보이는데
@user-nm7vm1yw3n
@user-nm7vm1yw3n Жыл бұрын
어렷을적에 봣던게.. 사마귀 알이 아니고.. 연가시 였군요.. 소름..
@KANGTUBE1992
@KANGTUBE1992 Жыл бұрын
예전에 군대에서 곱등이에서 연가시나오는거보거 놀랬는데 ㅡ.ㅡ 그것보다 사마귀 교배후 수컷잡아먹히는게 더 뻑
@user-rr7sr8my2o
@user-rr7sr8my2o Жыл бұрын
엔딩 브금이 디게 구슬프네요..
@jamesdean3432
@jamesdean3432 Жыл бұрын
우오오... 연가시를 잘 연구하면 척수를 다친 장애인들의 희망이 될 수 있을 것 같은데. 어떻게 기생충이 다른 곤충의 신경계에 접속해서 직접 행동을 조종할 수 있을까요?
@jaebeomsong7578
@jaebeomsong7578 Жыл бұрын
그러다가 영화연가시나옴
@aikawa1
@aikawa1 Жыл бұрын
신경물질을 이용해서 신호를 보내는거지 고장난 신경을 움직여주는게 아님.
@jamesdean3432
@jamesdean3432 Жыл бұрын
@@aikawa1 신호를 보내는 것은 "작동" 이지 "조종" 이 아닙니다. 사마귀가 질질 끌려가는게 아니라 스스로 움직이는 것처럼 걸어가기 위해서는 수많은 근육들을 미세하게 조종해야 하는데 연가시가 그걸 해냅니다.
@stellay5776
@stellay5776 Жыл бұрын
하아..진짜 너무 징그럽다 ㅠ
@user-uu3bu2dj7o
@user-uu3bu2dj7o Жыл бұрын
​@@jamesdean3432어떤 페로몬을 이용해서 물로 이동하게한다고 본 것 같아요 박사들도 아직 이유를 못찾았다네요
@ehdbejx63ubx6xyh4hd7f
@ehdbejx63ubx6xyh4hd7f Ай бұрын
물은 꼭 끓여드세요 지하수 깨끗하네하고 아무물이나 퍼마시면 배아파서 죽습니 다 아이들한테도 꼭 보여줘 야 겠네요
@TheKkkkkddddddddd
@TheKkkkkddddddddd Жыл бұрын
결론 모기를 생으로 먹으면 연가시 숙주되닌깐 모기를 먹을려면 끌여먹거나 구어먹어라 다음다큐는 등골브레이커 일대기를 알려주세요
@ckd1022
@ckd1022 Жыл бұрын
소름.... ㄷ ㄷ ㄷ 영화 연가시가 떠오르는건 뭘까?
@korea909
@korea909 Жыл бұрын
👍
@user-no5dz2vy8y
@user-no5dz2vy8y Жыл бұрын
모기는 백해무익 이구나 피를 가렵지 않게 뽑아가도 덜 미울텐데 왜 그렇게 진화하진 못했을까?
@user-vy4yf3iq6r
@user-vy4yf3iq6r Жыл бұрын
제대로 진화 한거 맞습니다ㅎ 모기입은 톱처럼 생겼는데 그게 생살을 파고들면 따갑고 아프겠죠? 그러면 바로 들켜 흡혈을 할수가 없죠 이때 모기입에서 일종의 마취제 같은게 분비 됩니다 그래서 우린 물려도 모르고 있는겁니다 가려운것은 저 마취제가 피부에 반응해서 가려움증을 유발하는겁니다
@user-li5jd4ss3d
@user-li5jd4ss3d Жыл бұрын
무익은 아니고.. 잡아 먹힘으로써 생태계에 조금이나마 기여하기도하고 양심 없고 잔인한 얘기지만 인간의 개체 수를 줄이는 역할도 했으니까.. 자연에서는 무익하지 않죠
@user-tg4if6gj3o
@user-tg4if6gj3o Жыл бұрын
6:49 나레이션 깨알 실수 모기 속의 연가시인딩
@Healing-Story
@Healing-Story Жыл бұрын
팔뚝만한 똥이 수미터 나온다 생각하면 먼저 물에 빠져 죽는게 나을지도..
@gsheo5546
@gsheo5546 Жыл бұрын
저걸 손으로 만지다니 대단한 학자군요
@aikawa1
@aikawa1 Жыл бұрын
연가시는 엄청 깨끗한 동물입니다. 징그럽긴하지만 만져서 해될건 없음
@user-zf6zg5vn1o
@user-zf6zg5vn1o Жыл бұрын
깨끗한 계곡 가보면 연가시 겁나 많아유
@user-pb5po7tw2g
@user-pb5po7tw2g Жыл бұрын
연가시는 1급수에 삽니다. 또한 인간에게 해를 끼칠 가능성이 단 1도 없습니다. 바퀴벌레보다 깨끗하고 병원균에 대한 걱정또한 없습니다. 당연히 만질 수 있죠 만져보면 물렁한 느낌이 아니라 쫀쫀한 철사? 고무줄? 느낌입니다.
@QQ-rj5uq
@QQ-rj5uq Жыл бұрын
너무 충격적이어서 저만 놀랐나했네요...
@user-to8vy6kp8j
@user-to8vy6kp8j Жыл бұрын
도랑물에서~사마귀몸에서긴~회충같는것이나오는걸봐는데
@ksw5844
@ksw5844 Жыл бұрын
모기가 사람 몸속으로 들어가면 연가시가 사람안에서 클수있다?
@user-us8br7sz7k
@user-us8br7sz7k Жыл бұрын
어렸을때 하수구 근처에서 사마귀 뱃속의 검은물체가 쑤욱 나오길래 똥인줄 알고있었는데 생각해보니 똥이 꿈틀거릴리가 없어서 의아했던ㅋㅋ
@user-lv4lt5rw4q
@user-lv4lt5rw4q Жыл бұрын
으으 밥 맛이 좋아지는 영상이네
@gondrenamul8660
@gondrenamul8660 10 ай бұрын
기생충의 놀라운 숙주 조종 기술이 놀라웠습니다. 기생충들이 다른 생명체를 조종하여 물로 뛰어들게 만든 뒤, 알을 낳으며 생존하는 이야기는 마치 영화처럼 신비롭고 흥미진진했습니다. 자연의 경이로움과 생명의 다양성을 느낄 수 있는 소중한 시간이었습니다.
@user-ee7iv5tg3w
@user-ee7iv5tg3w Жыл бұрын
이름이 아쿠아티쿠스군요 계곡같은데 사는 애들이네요
@choisenglandstaycreative2109
@choisenglandstaycreative2109 Ай бұрын
헐 이걸 얼케 찍은거임???!
小路飞姐姐居然让路飞小路飞都消失了#海贼王  #路飞
00:47
路飞与唐舞桐
Рет қаралды 95 МЛН
Sprinting with More and More Money
00:29
MrBeast
Рет қаралды 34 МЛН
Bro be careful where you drop the ball  #learnfromkhaby  #comedy
00:19
Khaby. Lame
Рет қаралды 43 МЛН
2cm짜리 벌레가 자신보다 몇 배나 큰 개구리를 잡아먹는 방법!
6:02
과학드림 [Science Dream]
Рет қаралды 4,2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