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 물잡이 설명 그동안 수없이 봐왔지만 이 분 설명이 제일 쉽고 편한 것 같아요. 그리고 세상 훈훈함까지 ㅋㅋ 유익한 설명 고맙습니다! 😁😁
@raraaqua2 жыл бұрын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송양호-x7y4 жыл бұрын
라라아쿠아티비 구독 좋아요 알람설정 또로롱까지 하고있는 중인데요😊 영상으로 공부 많이 했는데 추가로 요청 드리고 싶은 영상이 있어서 올려봅니다. 물질초보들에게 수조내 전염병들이 돌았을때 대처방법과 물깨짐으로 수조를 리셋해야 할때 리셋시 올바른 세척방법 그리고 새로운 수조를 세팅할때 올바른 물잡이 방법 등을 영상으로 올려주시면 상당히 큰 도움이 될것 같습니다. 영상을 3개로 나눠주셔도 좋을것 같아요. 1.배마름병, 바늘꼬리병, 꼬리녹음병, 솔방울병 등 각종 전염병 대처방법 2.수조 리셋시 세척 후 재사용 방법 3.물잡이의 올바른 방법(처음 시작하는 어항 세팅방법과 물잡이 방법 등) 이렇게요~
@KWO-g7z5 жыл бұрын
설명 차분히 잘해주셔서 이해가 잘가네요. 감사합니다^^
@chocoJUBU5 жыл бұрын
물잡이 기간으로 확인하는건 조금 불확실한 느낌인데 이렇게 눈으로 확인가능하다는게 좋네요 :)
@raraaqua5 жыл бұрын
대부분 기간으로 확인하셔도 물잡이는 가능합니다. 그래도 확실히 눈으로 보는것이 좀더 확신이 들겠죠^^
@이준호-f8k4x5 жыл бұрын
설명이 너무 좋아요 감사히 잘 들었습니다 ㅎㅎ
@강릉실버5 жыл бұрын
오늘도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jtriple36365 жыл бұрын
설명이 늘 참 좋습니다 API사의 퀵스타트 제품 혹시 사용해보셨나요 물잡이 과정 없이 바로 생물 투입이 가능하다고 하는데.. 괜찮을까요?
@raraaqua5 жыл бұрын
퀵스타트 제품을 사용해보지는 않아서, 상세설명을 읽어 보았는데요. 가능한 이야기 입니다. 시작과 동시에 물고기를 넣으면, 안되는 이유가 아직 생성되지 않은 박테리아가 물고기의 배설물의 암모니아를 분해할수 없기때문에 그수치가 계속올라가 결국 물고기를 죽게 만들기 때문입니다. 해당 제품은 아마도, 이런 암모니아나 아질산염을 제거하는 성분을 포함하고 있는것 같아요. 박테리아가 증식되는 2주정도의 기간동안 암모니아와 아질산염을 제거하게 되는건데, 기본적으로 화학적 여과와 비슷한 구조인것 같아요. 이런 제품은 API가 아니더라도, 한국의 네이쳐팜이나, 다른 기타 회사에서도 생산되는 흔한 제품입니다. 그럼에도 잘 사용되지 않는것은 이방법이 수치상으로는 안전해 보이지만, 소수의 물고기만을 가지고 한 실험 데이터 이기때문에, 그이상의 물고기를 넣게 되면, 실험 결과는 달라질수 있습니다. 해당 실험은 2~3마리 구피를 가지고 결과를 보여주는데, 2~3마리의 물고기를 이런 제품없이 물잡이용으로 넣더라도 죽는경우는 드물어요. 그정도 양의 배설물의 암모니아는 물전체에 비해서 농도가 짙지는 않기 때문입니다. 해당제품은 이론적으로 가능하기는 하지만, 일반적으로 적은 양의 물고기를 투입하고, 2주정도 기다렸다가 2~3번 소량씩 나눠서 물고기를 늘려주는 고전적인 방법이 더 안전하다고 평가되는 방법입니다. 물론 이런 물잡이 기간동안 이런 제품을 사용한다면 좀더 안전할수는 있습니다. 하지만, 상세설명에서 처럼 소량의 물고기로 시작해야만 한다는 점이 중요합니다.^^ 제품에서 오해가 될수 있는 상세설명이 있어서, 좀 길게 설명드리게 되어 죄송합니다.^^
@jtriple36365 жыл бұрын
@@raraaqua 감사드립니다 많은도움 되었습니다
@가나쪼꼬렛-u1e2 жыл бұрын
생물투입하려고 수질검사키트 알아보고있었는데 감사합니다!
@swpan14 жыл бұрын
요즘 물생활에 빠져있는 1인입니다 영상 유용하게 잘보았습니다 처음에 잘몰라서 키트를 전부 구매했는데 질산염과 아질산염은 0의 수치가 나오는데 암모니아는 거의 맥스에 가까운데 괜찬은건가요? 참고로 1달 물잡고 crs 새우투입한지 1달정도 됬습니다
@구리구리-q9l3 жыл бұрын
깨달음 얻고 갑니다.
@Bobby-me1du5 жыл бұрын
물잡이 영상의 정석을보는 느낌입니다^^ 사장님! 박테리아제 투입없이 물잡이 고기로 물잡이 시작했을때는 암모니아 수치가 올라갓다가떨어지고 이후엔 아질산수치가 올라갔다가 떨어지는것 까지 이해했습니다! 질문좀 부탁 드리겠습니다! 1.아질산수치까지 올라갔다가 떨어지면 더이상 암모니아 수치는 안나오나요? 2.수조내에서 암모니아가 발생되면 바로 없어지는건가요?(1번설명과 같은 맥락입니다^^) 3.이게제일궁금한데요.. 박테리아제(니트로 소모나스, 니트로박터포함된 박테리아제)를 초기에 넣고 3일정도 이후에 물잡이 물고기를 투입했는데, 이럴경우 에는 암모니아수치가 올라갔다가 떨어지고 아질산수치가올라갔다가 떨어지는 과정이 생략되나요?(암모니아나 아질산이 발생되면 박테리아제에 들어있는 박테리아 들이 바로 없애주지 않을까요?) 4.박테리아제로 물잡이 할경우 박테리아제를 수조에넣고 며칠뒤에 물고기를 넣는것이 바람직한가요? 많은물생활인이 보통박테리이제를 사용하기에 박테리아를 넣고하는 물잡이 컨텐츠도 기다려보겠 습니다^^ 질문의 많아 죄송합니다 ㅠㅠ 즐거운 주말 보내세요^^
@raraaqua5 жыл бұрын
1.암모니아 수치는 과밀이나 과급여된 먹이에서 언제든 분해되지 못한 부분이 생길수 있습니다. 2.바로 없어진다기보다는 박테리아가 에너지원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사라지게 되는것인데, 과잉생산되면, 소비되는 양보다 많아지게 되니 수치가 올라가겠죠^^ 3.박테리아제에 들어있는 박테리아가 모두 분해해준다면, 사실 물잡이나, 여과기가 필요없을지도 모릅니다. 실제로 여과에 관여하는 박테리아는 20가지 이상이지만, 이중 배양이 가능한것은 10여종이 되질 않는다고 해요. 그중 가장 보편적이고, 많은 여과박테리아를 배양해서 쓰는 것이 박테리아제 입니다. 음..... 약으로 생각하면, 병원약보다는 건강보조제에 가깝다고 보는게 좋습니다.^^ 4.박테리아제를 넣고, 바로 물고기를 넣습니다. 단, 소수의 2~4마리 정도의 물고기만 필요합니다. 그렇게 일주일 단위로 천천히 개체수를 늘려주셔야, 늘어나는 암모니아의 양만큼 박테리아 개체수가 증가하면서, 안전하게 분해할수 있습니다.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kimmanchun14 жыл бұрын
아...!!그런거군요...!!!아무것도 모르고 샀는데 아질산염 테스트기 샀는데 잘산거군요...!!감사합니다!
@chandler94-r6j2 жыл бұрын
너무 깔끔한 정보 감사합니다! 혹시 질문 하나만 해도될까요? 물잡이 기간동안만 아질산염 수치가 올라가고 내려가고 그 이후 유지가 되는건가요? 아님 물잡이 기간후에 아질산염 수치가 올라가고 내려가고를 반복하는건가요?
@raraaqua2 жыл бұрын
아질산수치가 낮아지면 물잡이기 끝입니다 개체수가 급격히 많아지면 높아질수있어서 단계적으로 늘려주셔야해요
@박진서-y3z4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요즘 물생활공부하면 구독중인 초보자입니다. 물잡이중인데요 부분환수를 해주면서 아질산만 사서 테스트해봣는데. 아질삼염 수치를 낮추려면 시간이 답인건가요? 아님 박테리아제 네오A를 환수할떄마다 물용량에 맞게 넣어주면 되는건가요?..2틀간격으로 지금 테스트를 두번 했봤는데 수치는 똑같이 나와서요.. ㅠㅠ 물생활이 어렵네요~^^
@ezpolder15 жыл бұрын
설명 참 쉽게 잘 하십니다 ㅎ 몇일전 라라아쿠아에서 유막제거기 구매해서 잘쓰고있는데 시약도 같이 사볼걸 그랬네요 ㅋ
@raraaqua5 жыл бұрын
쉽게 들어주셔서 다행입니다 ㅎㅎ 매장에서 설명드리듯이 말씀드리긴하는데 어렵게 말하고 있진않은지 늘걱정입니다 좋게 말씀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좋은 밤되세요~
@Skewo193va6i4 жыл бұрын
@@raraaqua 시약 얼마에 구매할수있을까요?
@mapoyain5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영상 잘보고 있습니다. 조근조근 설명해 주시는게 알아듣기 쉽네요~ 제가 세컨 어항으로 새우를 키우려고 준비중인데 일단 체리새우로 시작하려고 마음먹고 바닥제를 소일로 주문했는데 많은 영상을 보니 ph관계로 쉬림프 종류는 흑사류를 사용해야 한다고 하더라고요 이렇게 ph에 대해 고민하다가 이 영상보고 아질산염 농도가 머릿속에 추가되서 혼동이 옵니다 @,.@;; 지금 제가 가지고있는 30×20×30정도 작은 수조, 소일바닥제, 음성수초등 으로 어떤 새우를 키우는것이 좋을까요? ^^ ** 참고로 영상이 목소리는 작은데 음악이 커서 깜짝 놀랍니다~
@raraaqua5 жыл бұрын
음악소리는 죄송합니다ㅜㅜ 아질산염과 ph는 별개로 생각하시면 편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나중에 영상으로 만들겠지만, 생이과새우에는 체리새우,스노우볼,노랭이새우등이있고 crs,흑비,골덴아이등의 크리스탈류 새우 그외에도 다양한 새우가 있는데요 새우교잡표라고 검색하시면 쉽게 찿아보실수있습니다. 생이과새우는 흑사 나머지는 소일에서 키운다고 알려처있지만, 생이과새우도 소일에서 발색도 좋아지고 번식도 잘됩니다. 생이과 새우는 소일에세 잘 못산다고하시는경우도 있지만 물잡이가 끝나면 전혀 문제가 없어요. 생이새우와 크리스탈새우는 교잡이 되지않기때문에 같이 키우는 경우도 많습니다. 헷갈리신다면 새우 교자표를 보시면 좋은것 같아요. 결론적으로 생이새우키우시다가 시간이 지나서 크리스탈새우를 같이 키우실수도 있다면 소일로 충분히 물잡이를 하고 기르시길 권해드립니다. 글로쓰다보니 더 자세히 알려드리지 못해 죄송합니다^^
@mapoyain5 жыл бұрын
@@raraaqua 답변 감사드립니다~ 하나만 더 여쭤봐도 될까요? 수온이 22~25도가 적당하다고 하던데 겨울철이야 히터기 틀어주면 될텐데 일반 가정집에서 여름철 온도관리는 어떻게 하는게 좋을까요? 이번여름 폭염이 걱정이네요~^^;
@raraaqua5 жыл бұрын
답변을 못드리고 그냥 지나가 버렸네요. 여름철 온도 관리는 쿨링팬으로 2~4도 정도는 가능하지만, 냉각기를 사용거나, 에어컨을 사용하지 않는 이상 그 이하는 어려움이 있어요.
@찌니-l4v4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질문 하나만 할게요! 어항을 리셋해서 다시 물잡이를 하려는데 리셋할때 락스로 세척을 해야되나요? 리셋하는 이유는 다양한 병이 돌아서요ㅠ 이 영상을 보고 아질산염 테스트키트 구매했고 스펀지도 리필 새제품 구매했어요! 물잡이를 시작할때 네오a박테리아제를 투여하고 코리를 물잡이 물고기로 해도 되나요??
@TV-gs8pj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영상잘보고 있습니다. 제 2자광폭어항이 질산염은 25mg괜찮아졌고 아질산염이 0.8~1.6mg으로 1일 20프로 환수해줘도 떨어지지않는데요 제 판단으로 1자반어항에 있던 여과기 + 치어항에 있던 여과기(둘다큰사이즈) 를 2자항에서 물잡이해주면 기존 여과기에 있던 박테리아들때문에 3일이면 충분할줄알고 생물투입하였습니다. 현재 투입한지 10일정도 됐고 구피40마리 정도중 1마리만 용궁갔고 아직 이상은 없습니다. 1일20퍼 환수중인데도 아질산염이 안잡히면 그냥 평균 물잡이 기간만큼 알아서 잡힐때까지 환수를 안해줘야할까요? 피크를찍어가는 중간에 제가 환수를 계속해줘서 그런걸까요?
@raraaqua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2자광폭 수조에 구피 40마리는 과밀상태는 아닙니다. 기존에 사용하던 여과기라면 당연히 박테리아 증식의 속도가 빠를수는 있지만, 충분해지기까지는 시간이 필요합니다. 아질산염 수치가 3.3이상으로 갔다가 1.6으로 가는 것인지, 1.6에서 3.3이상으로 가는것인지는 판단해봐야합니다. 질산염수치가 올라가는 중이라면, 아질산염은 낮아지고 있는 중일것이고, 높아지고 있는 중이라면 아질산염은 낮아지는 중일텐데, 환수를 진행하게 되면, 질산염의 수치가 낮아지기때문에 완벽히 판단하기는 어렵습니다. 경험상 2자 광폭에 사용하던 여과기, 구피 40마리라면, 아질산염은 높아지는 중일것 같습니다. 보통 낮아지는데까지 빠르는 3주~4주 정도가 소요됩니다. 40마리가 20마리씩 2번 또는 10마리씩 4번이었다면, 충분히 안정적으로 아질산염 수치가 낮아지면 생물추가, 다시 낮아지면 생물추가하는 방식으로 했다면 좀더 안정적이였겠지만, 40마리가 한번에 발생시키는 암모니아의 양이 충분한 용량의 수조와 여과기에서도 초기에는 상당히 높습니다. 다행히 100리터 이상급의 수조라 버퍼 구간이 크기 때문에 어느정도 환수만 해주시면 생물은 지장없이 안정기까지 잘 살수 있을거에요~ 답변이 길어 죄송합니다~
@SUBIN5134 жыл бұрын
아질산이 나왔을땐 환수는 어떤가요..?그냥 두는게 나은가요?? 생물이 있고 박테리아 는 조금씩 넣어주고 환수중입니다 생물은 금식중이에요 ㅠㅠ
@김연준-c9d4 жыл бұрын
처음 어항을 세팅할때 하루 어항물을 여과기로 돌린다음에 사료+박테리아제+박테리아 활성제를 넣고 3일 뒤에 테스트 해보았는데 암모니아는 검출되지 않고, 아질산염이 증가하더라구요. 이렇게 되면 암모니아 분해 박테리아는 자리를 잡았다고 보면 되는걸까요? 현재 물잡이 중에 물잡이 구피 한마리를 넣어두었고 3일 뒤에 2마리 정도 추가 할 생각인데 괜찮을까요?
@DannyKim-km2co4 жыл бұрын
저번주에 부분환수하고 아질산염 테스트 했을 때는 노란색이었는데 오늘 부분환수 해주고 다시 테스트 해보니깐 밑에서 두번째 빨간색이 나오네요ㅜㅜ 이럴때는 전체 환수를 해줘야 하는건가요?
@danielkim67753 ай бұрын
물잡이 고기를 안넣었을때에도 암모니아가 발생하나요!!??
@raraaqua3 ай бұрын
네 있어야 박테리아가 늘어나기때문에 초기에는 소량만 입수해줍니다~
@mongle3544 жыл бұрын
제가 자반어항에 외부여과기에 싸x군 여과재, 시x락스 등 대략3리터정도 넣고 6/8일에 물잡이 시작했습니다 제가 처음부터 아질산염테스터기가 없어서 6/17일부터 측정했는데 그때부터 오늘까지 아질산염 측정수치가 거의 비슷합니다ㅜ(0.8~1.6사이 색상) 물이 잡히고 있는건지.. 잘모르겠네요 ㅜ 질산염도 계속 비슷하게 중간정도 찍고있구요(50정도) 백탁은 한번왔다가 없어졌습니다 이제 환수를 해야할지 박테리아제를 더 넣어야할지 모르겠어요 ㅜ물잡이생물은 있구요 아직까지 환수안했고 물 증발한것만 받아놓은물로 채웠습니다
@최윤범-v8f4 жыл бұрын
5월 10일 물잡이 시작하고 5월14일 아질산염 거의 투명했고 5월20일도 아질산염이 저번이랑 크게 차이없는데 잘되고 있는걸까요??.. 30큐브에 네오a 20cc 사용했습니다. 소일은 그로비타 마스터 영양계소일 입니다. 스펀지여과기는 2개 있어요 (물잡이 고기는 제브라 5/18에 넣었습니다.)
@인간-x3z5 жыл бұрын
어, . .그러니까... 여과사이클영상부터다시보고올게요ㅠ 물잡이가잘됐는지 저 시약만보면알수있는줄알았는데 한번에이해를못한 멍충...ㅠ
@raraaqua5 жыл бұрын
처음들으면, 누구나 헷갈리는 부분이에요 ㅜㅜ
@인생2막-h1q5 жыл бұрын
항상 감사드립니다. 질문하나만 드릴께요..수돗물 ph가 7.5이상이 나오고...어항물 ph는 8정도 나옵니다. 대부분 약산성 열대어를 키우는데 신경이 많이 쓰여서 블랙워터도 투입하고 했지만 낮아지지가 않아요..방법이 없을까요? 도움 부탁드립니다.
아..답변감사합니다. 현조건은 3자 광폭어항에 상면 여과기,유동성여과기,대형스펀지 여과기 사용중이고(물잡이 중이라 여과기를 많이 쓰고 있습니다)기본 바닥재는 흑사, 수초용 소일을 1:1 사용중 (중고 소일인데 영양계인듯), 음성 수초 다수...생물은 안시류 6마리,네온테트라 15마리, 플레티 몇마리 정도 입니다.기존 어항물을 사용해서 초기부터 생물은 투입을 한 상황입니다.같이 넣었던 베타 암컷 6마리중 4마리 죽어나갔습니다..ㅜㅜ지금남은 2마리 베타는 원래 수조로 긴급 대패 시킨 상황이구요...다시 셋팅을 해야할까요?
@raraaqua5 жыл бұрын
먼저 댓글에 말씀드린 것처럼 유동성여과기나 스펀지 여과기는 공기를 공급하면서, 산소를 공급하게 되기 때문에 pH를 올리는 역할을 할수밖에없습니다. 대부분의 흑사는 강에서 채취한 모래가 아니고, 바다에서 채취한 모래이기때문에 바다에 포함된 산호나 조개껍데기 성분인 석회질이 많이 묻어있어 pH가 기본적으로 8에 가깝게 만들어 줍니다. 소일을 사용하더라도 pH를 올리는 두가지 요소가 있기때문에 내리기는 어려울것으로 보입니다. 약산성의 열대어를 기르신다고 말씀해 주셨는데, 기르시는 어종을 보면, 물의 산도때문에 죽을 어종을 없어 보입니다. 대부분 해외 양식장의 환경이 약알칼리이기 때문에 약산성환경이라도 크게 문제없이 적응해서 살아가는 어종들이에요.
@인생2막-h1q5 жыл бұрын
너무 감사드립니다..
@훙훙훙13 жыл бұрын
해수도 같다고 봐도 될까요?
@박찬-r6o5 жыл бұрын
혹시 물잡으실 때 생물을 넣으셨나요?
@raraaqua5 жыл бұрын
아마조니아 소일을쓸때는 넣지않지만 일반 바닥재에서는 넣습니다~
@박찬-r6o5 жыл бұрын
일반 바닥재를 쓰고 있는데 물잡이 생물을 안넣어놨습니다 박테리아제는 넣었구요 그런데 4일이 지나도 아질산의 변화는 없네요...
@raraaqua5 жыл бұрын
@@박찬-r6o 암모니아가 없으면 아질산은 생성되지않아요. 물잡이 고기라는 개념이 필요한 이유 입니다. 여과사이클 영상보시면 이해가 쉬우실거에오
@houhou995 жыл бұрын
요즘 여름이라 물증발량이 많은편인데 물잡이 기간중 물보충을 해주는게 나을까요?
@raraaqua5 жыл бұрын
네 물보충 해주시는게 좋습니다~
@안녕-i9u4 жыл бұрын
물잡이 5일차인데요..어항 크기는 50*26*30인데 물잡이 생물은 3마리있구요 아직까지는 막 아파보인다거나 그러진 않고 먹이활동도 잘하고 환수도 한번도 안해줬어요 근데 아질산염테스트를 했는데 아직도 완전 쨍한 ㅜ 노랑색이에요 정상인가요??ㅜㅜㅜ 첫날에 박테리아제도 투입하고 30큐브 잡힌물 환수물 25%도 넣어주었는데 왜 아질산염 변화가 적나요..생물을 더 투입해야될까요..ㅜㅜ
@raraaqua4 жыл бұрын
아질산염은 암모니아의 분해가 이뤄져야 발생하게 됩니다. 전혀없다는 것은 아직 암모니아를 분해하는 박테리아가 충분히 발생하지 않았다는 뜻이에요~. 보통 2주정도가 물잡이에는 필요합니다.~
@안녕-i9u4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지금 8일차인데 테스트 다시 하니까 연주황빛으로 돌더라고요!
@이름-h3h5 жыл бұрын
셋팅 한 달째인데 아질산은 0 암모니아가 10중에 4에요 ㅠㅠ 뭐가 문제일까요??
@raraaqua5 жыл бұрын
아질산이 0인경우는 암모니아의 분해가 전혀 일어나지 않았다는 반증입니다. 정확한 원인은 라라아쿠아 카톡으로 사진과 환경을 보내주시면 자세히 보고 알려드릴수 있습니다.
@인민여동생5 жыл бұрын
물잡이 생물을 넣은 상태라면 물잡이 기간에도 환수를 해줘야겠죠?
@raraaqua5 жыл бұрын
물잡이 생물은 적은개체수를 넣으셨으면, 하지 않으셔도 괜찮습니다^^
@인민여동생5 жыл бұрын
@@raraaqua 감사합니다
@가람핫스5 жыл бұрын
아질산염 농도가 노란색을 유지하면 물잡이 잘되고 있다는 건지 알고 싶습니다 ^^
@raraaqua5 жыл бұрын
물잡이가 끝난후에도 노란색을 유지 한다면, 암모니아가 아질산으로 아질산이 질산염으로 변화가 잘 이뤄지고 있다고 볼수 있어요. 잘 유지 되고 있다고 보셔야 합니다.^^
@가람핫스5 жыл бұрын
네 답변 감사합니다 ^^
@핑퐁스톼5 жыл бұрын
2주안에 넣으면 또 2주를 기다려야 할까요?
@raraaqua5 жыл бұрын
그런 의미는 아니에요. 2주전에 넣으시더라도, 예를들어 여과기와 수조의 크기가 30마리정도 키울수 있는 정도라면, 10마리먼저 넣어서, 박테리아 개체수가 적은상태에서 분해가 가능한 정도의 물고기 숫자만 넣어주시면 됩니다. 하지만 적어도 일주일이상은 기다려 주시는 편이 좋습니다.
아질산은 아니지만 질산염이 50mg/l로 약간 붉은색이 나오는데요... 환수를 해줘도 안떨어지는데... 스펀지여과기 청소를 너무 안해도 질산염이 올라갈수가있나요?
@raraaqua5 жыл бұрын
답이 늦었네요. 질산염은 암모니아,아질산,질산염의 순서로 분해가 되요. 환수후에도 유지가 된다는건, 아질산의 분해속도와 환수량이 딱 맞아떨어지기때문이라고 볼수 있을것 같아요. 예를 들어 환수량을 늘리면, 줄어들수 있거나, 생물의 개체수가 줄면 아질산염의 생산도 줄어들기 때문에 질산염도 줄어들게 될거에요. 하지만, 생물의 개체수를 인위적으로 줄여줄수는 없으니, 환수량을 늘리거나 질산염 제거제를 사용하면, 낮출수 있습니다. 질산염은 독성이 강한 상태는 아니기때문에 50정도의 수치가 높은편은 아니지만, 꾸준히 증가한다면, 환수량은 유지 하면서 횟수를 늘리거나, 질산염 제거제를 통해 낮춰주시는것이 좋아보입니다.^^
@ichokimsh5 жыл бұрын
@@raraaqua 감사합니다 ^^ 그러면 스펀지여과기를 안빨은거하고는 상관이 없는거네요?
@raraaqua5 жыл бұрын
@@ichokimsh 질산염을 여과사이클 마지막에 발생하는 것이라, 스펀지 여과기 청소와는 관계가 없어 보여요. 개체수와 환수주기, 환수량과 관계됩니다. 그래도 청소는 가끔해주실꺼죠?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