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에도 미국 쌩추어리 같은 곳이 있어서 넘 좋네요 불쌍한 동물들 구조해주시고 잘 보호해 주셔서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
@까마귀-y9n11 күн бұрын
한국에선 동물원이 허가제가 아니라 신고제라서 막말로 시골에다 땅 몇만평 사놓고 거기다 적당한 철장 갖다놓고 동물들 넣어놓으면 신고 후 동물원 개장준비 끝 특별히 동물 특성에 맞는 환경 갖춰놓을 필요도 없기에 누구나 관람객받고 동물원을 운영할 수 있다는 점이 가장큰 문제임 여기서 동물들이 스트레스 받던말던 전혀 고려안함 개판으로 운영하고 동물들 방치하고 죽어나가도 상관없음 이제부터라도 조속히 동물원 허가제로 바뀌어야함 능력도 없는 사람들이 누구나 운영할 수 없도록
@윤투탑8 күн бұрын
토다는건 아닌데 23년부터 허가제로 바뀌었어요 기존 동물원들은 28년까지 유예라네요
@민주당멸망5 күн бұрын
@@윤투탑그렇게 오래?
@yune559710 күн бұрын
청주동물원 갈비 사자 바람이 때문에 동물원 폐해에 대해 많이 알려졌는데 2028년 개정된 동물원 법에 의해 허가제로 바뀌면 기준에 미달된 동물원에서 포기하는 동물들 많아질 겁니다. 국내 동물원 80%가 사설동물원이라 시설이 많이 열악해요. 정부가 이에 대한 대책 마련하면 좋겠습니다. 식용견 문제도 있고 해결해야 할 동물권 문제가 산제해 있네요.....
@시루보루하10 күн бұрын
진짜 동물원 수족관 없애야 한다 아니 시설도 자격도 않갖춘곳에서 왜 그런 사이코 짓을 !! 제도를 바꿔야 합니다
@애깅-l4i11 күн бұрын
벌써 눈물난다 ㅠㅠ
@Stfstation10 күн бұрын
이제 우리나라도 국가차원에서 넓은 초원으로된 사파리를 운영해야한다. 더이상은 생명을 유리장에 가둬놓는 비윤리적 환경이 지속되어선 안된다.
@lee.523610 күн бұрын
대구 달성공원이 이거랑 비슷하다고 말이 많았던데.
@peterkim474510 күн бұрын
거긴 사육사분들은 너무 좋으신분들인데 시설 자체가 원체 오래되어서 전혀 동물친화적인 시설이 아니라 관리에 현실적인 어려움이 많았음. 27년에 현재조성중인 대구대공원으로 이전할거라고 알고 있습니다.
@Mr.HandTime9 күн бұрын
@@peterkim4745 사육사들이 좋은 사람이라고 그곳이 만들어진 영리 목적과 동물 학대가 합리화가 되나? 시설이 문제였으니 그 시설을 앞으로 바꾼다고 하면 과거에 있었던 일이 없었던 일이 되는 건가? 이런 정보를 보면 점차적으로 동물원은 없어져야 하고 자연에서 그들의 서식지 보호에 초점을 맞춰야 하는 것 아닌가 이미지 세탁 같은 소리로 들려서 별로다
@peterkim47459 күн бұрын
@ 동물원의 근본적인 문제와 영리 목적, 동물 학대를 지적셨군요. 나아가 동물원의 존재 자체를 문제 삼으며 시설 개선이 과거 문제를 지우지 못한다는 의견을 펼치신 것으로 받아드리겠습니다. 반론을 말씀드리자면 저의 의견은 원 글쓴분이 말하는 경우와 조금 다른 경우다라는 것을 설명하려는 것이었는데, 이를 "이미지 세탁"으로 규정하며 비판한 것은 과도한 해석입니다. 게다가 동물원 자체의 존재와 윤리적 문제로 논점을 확장했는데, 이는 원글의 맥락을 벗어납니다. 또한 어투 자체가 매우 감정적이신데 이런 부분은 조금 지양을 해주셨으면 하네요. 끝으로 맥락을 벗어나긴 했지만 동물복지의 관점에서 '어느 정도'는 님의 의견에 동의하는 편입니다.
@뜩이네3 күн бұрын
대전 아쿠아리움 갔다가 오만인상 찡그려졌음 대형 고양이과 동물을 원룸만한 크기도 아닌곳에 집어놔서 정형행동 보이는 애들 많았음 악취는 말도 못했고 대체 누구 하나 문제 제기를 하질않는건지 심각합니다
@nemitombing17015 күн бұрын
Thank for saving ❤❤
@yune559710 күн бұрын
서울 대학가에 사는데 페릿이라고 애완 족제비 3마리가 다니는 걸 봤어요. 몇년 전 일인데 길냥이 밥자리에서 도둑밥 먹다가 한마리씩 사라지더니 겨울 지나니 다 죽었는지 안보이더군요. 분명 누군가 키우다 한꺼번에 이사함서 버린거 같은데;;; 유기범 대대손손 천벌 받길 빈다
@무한귤레5 күн бұрын
제발 동물원 함부로 허가하지말고 감시 철저히 하고 아니 동물원 자체를 만들지 못하게 해.. 동물 가지고 돈벌고 사업하는 마인드 자체가 이미 학대자의 마인드라고.
@자유-w9d9 күн бұрын
허가제로 바뀐지 일년이 넘어서 이제 야외 땅없으면 못데려가는 동물들 많아서 개인들은 동물원허가받기 거의 힘듭니다 왠만한 중소기업이상아니면 힘들듯유기동물들 엄청 나올텐데 어떻게 할 생각인지 동물들도 주인이랑 환경바뀌면 스트레스 엄청 받을텐데 무조건 그냥 없애기만하면 답은 아닌데
동물들도 감정 생각 다 있다.~ 인간들 보기좋게 전시하면 안되는거 알죠!! 대한민국 동물법좀 철저히 강화해하자 인간과 동물이 한께 더불어 사는세상 희망한다.
@시니시니-f2u4 күн бұрын
못보것다
@User_qhstl4ad811 күн бұрын
뇌 없이 법 만드는 걸...좀 자제해야...이상한단체드루말 좀 그만 들어주고
@밤하늘-z4n4 күн бұрын
한국이 중국이랑 뭐가 다른지..사실상 가장 닮은 두 나라 아닌가?
@SUNSHINE-cb5lz8 күн бұрын
ㅠㅠ 아니 여기 미국 동물을 왜 데려가서 지네가 뭔데 천덕꾸러기 취급인데...? 아니 데려간 사람이 나쁜거지 미국너구리가 너희 나라서 살라고 갔나? 천덕꾸러기 유해종 이런 단어쓰면 안됨. 생명윤리를 소훌히 하게됨. 이 지구상에 유해생물은 없음. 데려가는 사람이 나쁜것들이지..
@시니시니-f2u4 күн бұрын
능력읍음 해지마라 XXXXX
@금별불11 күн бұрын
동물을 풀어주라던 단체가 인수
@yune559710 күн бұрын
이딴 댓 누가 못쓰냐? 넌 그게 해결법이 된다 보냐?
@Mr.HandTime9 күн бұрын
사람들이 시설의 수준을 높이면 동물원의 존속과 존재에 대해는 앞으로도 인정하는 말을 댓글로 많이 하잖아 근데 이런 것을 보고 마음이 아프면 동물원 자체가 없어져야 된다고 생각을 해야지 자연에서 그들의 서식지 보호가 우선시 되어야 한다고 말해야 맞지 않냐 멸종 위기종에 대한 보호와 연구 목적이 아니라면 동물원 자체는 없어지는 것이 옳은 방향 아닐까
@푸른심장런던첼시7 күн бұрын
자연 서식지 보호가 사람들이 말만 한다고 되면 진작 다 되었겠죠. 서식지 보호가 말은 좋지만 생각보다 딜레마임. 멸종위기 동물들이 아프리카, 아시아의 많은 개발도상국에서 살고 있는데, 그 나라들 입장에선 자기들도 선진국들처럼 개발도 하고, 도시도 짓고 하고 싶을겁니다. 그걸 이미 다 발전한 선진국들에서 동물권 동물권 하며 규제하려고 하니, 그들 입장에선 억울할 만 하죠. 그래서 그들이 동물들의 서식지에 해당하는 자연 환경보호에 적극적으로 협조하지 않을 것이라고 봐요. 그런 의미에서 동물원의 동물들을 바로 야생으로 보내는건 거의 불가능하더라도, 야생종의 멸종에 대비한 상비군 역할은 할 수 있다고 생각해요. 또한, 동물원이 존재하기에 관람객들이 교육적으로 생물 보전과 동물권에 대해 경각심을 가지는 부분도 무시할 수 없다고 봐요. 우리가 모르는 사이 꽤 많은 생물종이 조용히 멸종되어 왔거든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