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버린 플라스틱 어떻게 되나요? | 도와줘요 쓰레기박사 | 홍수열 자원순환사회경제연구소장

  Рет қаралды 25,000

서울환경연합

서울환경연합

Күн бұрын

Пікірлер: 56
@이영진빈첸시오2부계
@이영진빈첸시오2부계 Жыл бұрын
2021년 봄부터 회원입니다. 2020년 9월부터 환경에 관심가지기 시작했어요.
@jjaenu
@jjaenu 3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홍수열 선생님^^ 저는 중학교를 재학 중인 한 학생입니다. 다름이 아니라 제가 선생님의 '그건 쓰레기가 아니라고요' 라는 책을 읽고 궁금해진 것이 있어서요. 플라스틱을 말해주시는 부분에서 플라스틱 분리배출에 정확한 기준이 없다고 하시던데 확실한 정보일까요? 그리고 확실한 정보가 아니라면 플라스틱 분리배출에 정확한 기준을 알려주세요. (굽신굽신^.^)
@seoulkfem
@seoulkfem 3 жыл бұрын
플라스틱 종류는 아주 다양한데요. 모두 플라스틱이라 하더라도 종류마다 재활용 방법이 다르기 때문에 각 종류마다 분리배출의 기준이 있다면 재활용이 더 수월해질 것입니다. 하지만 아직 플라스틱의 종류에 따른 분리배출의 기준이 각각 모두 명시되지 않았을 뿐더러, 분리배출 시스템도 잘 형성되지 않은 것이 현재 상황입니다. 그러한 맥락에서 박사님께서 플라스틱 분리배출에 정확한 기준이 없다고 말씀하신 것 같네요:) 추가적으로 플라스틱에 대한 정보를 원하시면 아래 링크를 참고해주세요! - [쓰레기대학] 9강 플라스틱을 보는 두 가지 관점 : kzbin.info/www/bejne/lZvSnX5qZ8mEmKM - 자원순환사회연구소 블로그 : blog.naver.com/waterheat
@이행자-r2z
@이행자-r2z 3 жыл бұрын
큰거울이나 두꺼운 식탁유리등의 버리는 방법 가르쳐 주셔요
@seoulkfem
@seoulkfem 3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보통의 거울이나 유리는 불연성폐기물 또는 종량제 봉투에 넣어 배출하시면 되는데요. 종량제 봉투에 들어가지 않을 정도로 큰 폐기물이라면 대형폐기물로 분리배출하시면 됩니다.
@timholton2424
@timholton2424 4 жыл бұрын
정말 유용하네요 감사합니다
@미와크리메이크업
@미와크리메이크업 3 жыл бұрын
고맙습니다. 우리에겐 투표권이 있으니 탄소세 지지 / 재생에너지 찬성하는 국회의원을 지지하고 입을 모아 의견을 내야 될 때입니다.
@임영희-w9r
@임영희-w9r 4 жыл бұрын
이 동영상을 널리 널리 퍼뜨려야겠어요!
@ilovenature-kbr
@ilovenature-kbr 2 жыл бұрын
재활용하기 쉽게 용도별로 플라스틱 재질이 통일 되었으면 합니다.
@glueckok
@glueckok 4 жыл бұрын
꼭 알아야할 지식이네요. 아이들과 같이 볼게요~
@다시산이
@다시산이 5 жыл бұрын
힘내라~ 서울환경연합 잘한다~ 도와줘요 쓰레기박사님~ 아자아자!!
@heaye
@heaye 3 жыл бұрын
pvc..는 비닐로 분류해 버리면 되나요?
@seoulkfem
@seoulkfem 3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관련 내용은 아래 링크를 참조해주시면 더 자세한 내용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자원순환사회연구소 블로그 : '비닐은 어떻게 재활용이 될까?' blog.naver.com/waterheat/222111511680
@sangimyoon4860
@sangimyoon4860 3 жыл бұрын
선생님을 모시고 마을 사람들과 함께 쓰레기 관련 교육을 받고 싶습니다 신청할 방법이 있을까요?
@seoulkfem
@seoulkfem 3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쓰레기박사 홍수열 소장님 메일로 문의 부탁드려요! waterheat@hanmail.net
@여행기록-u5x
@여행기록-u5x 4 жыл бұрын
플라스틱일기 2주차 미션으로 보게 되었어요.~~~ 열심히 볼께요^^
@냐냐LL
@냐냐LL 4 жыл бұрын
만들때부터 제한했으면 좋겠어요
@이재훈-f7w
@이재훈-f7w 2 жыл бұрын
박사님 영상을 보고 궁금증이 생겼어요~ 프라스틱을 녹여서 재활용 원료로한다고 하셨는데 녹이는 과정에서 환경오염의 원인이되는 유해물질 들이 안 나올까요??
@박시훈-l3g
@박시훈-l3g 4 жыл бұрын
플라스틱 처리에 관심이 없다면 잘 모를 내용인데 자세하게 설명해 주셔서 쓰레기 처리에 더 관심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많이 알려져서 해결책이 나오게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유익한 영상 감사합니다.
@윤인순-x4o
@윤인순-x4o 3 жыл бұрын
플라스틱과 비닐이 여러 종류로 나눠져 있는데 하나하나 다 분리해서 같은 종류끼리 흰봉투에 넣어서 버려도 재활용이 가능한가요? 패트병이나 음료수병도 마개와 비닐이 다 다르게 적혀있어서 비닐은 제거하고 비닐로 버리고 마개와 고리는 따로 흰봉투에 넣어서 모은뒤 버리고 있는데 이게 맞는법인지 궁금합니다.. 비닐도 작은과자봉지는 기타배출 표시가 되어있어서 흰봉투에 모았다가 버리곤 하는데 이것도 궁금합니다..
@seoulkfem
@seoulkfem 3 жыл бұрын
말씀하신 것처럼 분리배출을 해주셨을 때 가장 재활용이 용이하긴 하나, 실제 재활용의 여부는 각 지역의 분리수거 선별장 시스템에 따라 좌우되고 있습니다. 페트병 분리수거에 대한 정보는 아래 링크를 참고해주세요:) [쓰레기박사] 페트병, 어떻게 버려야 잘 버리는 걸까요? : kzbin.info/www/bejne/g5uthJicfNlqnJY
@anjelaim7076
@anjelaim7076 5 жыл бұрын
이런 교육을 학교에서부터 배워얀다고 생각합니다.
@이영진빈첸시오2부계
@이영진빈첸시오2부계 Жыл бұрын
맞아요
@주희주
@주희주 2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요구르트병인 PS 가 검색해보니 재활용이 어렵다고 하는데.. 맞나요?
@정정숙-l3u
@정정숙-l3u 5 жыл бұрын
옳은말씀입니다.저또한불리수거를철저하게한답니다.제품을제활수있는제품은교한물품으러사용할수있음하고요.피트병비닐도때고두껑도별도로모이야합니다.우리모두미래의아름다운강산을위해불리수거철저히합시다.쓰래기를수입해와물건을만들지않는나라가됐음바라요
@파니핑크-k1y
@파니핑크-k1y 5 жыл бұрын
아무리 분리배출 재활용 구분을 해서 뱌출해도 쓰레기수거차가 구분없이 그냥 한꺼번에 다 섞어 담아버리던데요. 스티커 제거하고 씻어서까지 깨끗이 분리해서 배출했는데.. ㅜㅜ
@seoulkfem
@seoulkfem 5 жыл бұрын
섞어서 담아가도 결국 선별장으로 가기 때문에, 스티커 제거해주시는 사소한 부분이 선별과정에서 재활용 되기 용이한 작업을 해주시는 것입니다!! 잘하고 계신거 맞아요 (짝짝짝)
@deardiarybymin
@deardiarybymin 5 жыл бұрын
학교뿐만 아니라 공익 광고로 계속 내보내주세요 티비로 ㅠ 커피매일마시고 플라스틱아무거나 씻지도안고 그냥버립니디
@최명희-q5d
@최명희-q5d 5 жыл бұрын
평소에 무척 궁금 했는데 상세하게 설명해 주셔서 넘 유익 했습니다 환경은 주부들도 관심이 많은 분야이지요 다음 세대를 생각 해서라도 소중하게 지켜야 겠지요 !!
@oklu_
@oklu_ 5 жыл бұрын
제발요 ㅠㅜ 모든사람들이 알수있게 해주세요
@리오넬배C-w6w
@리오넬배C-w6w 4 жыл бұрын
종이처럼 자연분해되면서 재활용도 편리한 플라스틱처럼쓸수있는 용기가 개발됐음좋겠다
@happyearth2030
@happyearth2030 3 жыл бұрын
넷플릭스에서 ‘우리의 지구’ 1편 보고 눈물이 나던 차에 지하철 위쪽에 ‘쓰레기 박사’ 라는 단어가 보였어요. 지구환경과 기호변화에 각성을 해서 그런디 박사님 유튜브채널이 눈에 들어왔나 봅니다. 채널 영상 많이 보고 아이들에게도 보여주고 교육하려고요. 감사합니다
@jJ-xd6fk
@jJ-xd6fk 4 жыл бұрын
며칠 전에 들었는데 아무리 씻은 플라스틱이라도 말리지 않고 물기가 있으면 재활용이 안 된다던데 정말인가요?
@seoulkfem
@seoulkfem 4 жыл бұрын
아닙니다! 플라스틱은 파쇄 후 세척의 과정을 통해 재활용이 됩니다. 깨끗하기만 하다면 물기는 문제없을 것 같습니다.
@sngiu1874
@sngiu1874 4 жыл бұрын
솔직히 에너지원을 대체 할 필요도 없이 에너지 사용에 있어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기술과 방안만 제대로 마련한다면 많은게 해결될 것 같음
@narhan8968
@narhan8968 3 жыл бұрын
저는 마샬 비안 서머즈의 신의 새 메시지를 읽고 나서, 환경을 되살리기 위해 내가 할 수 있는 일은 작은 거라도 꼭 실천해야겠다고 다짐하게 되었습니다. 쓰레기 박사님 영상보며 어떻게 해야하는지 하나씩 배워가고 있습니다. 좋은 영상 만들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이 채널의 영상을 시청하시고 또 실천하시는 구독자분들도 참 감사합니다. '이런 작은 일이 도움이 되겠어? '라는 생각이 들 때, 읽어보시면 힘이 될만한 글이 있어 몇자 인용해봅니다. "가장 일상적이고 늘 반복되는 일까지 포함해서 당신의 모든 활동은 일종의 봉사나 공헌으로 여길 수 있다. 앎은 모든 활동에서 자신을 표현하고, 모든 활동에서 가르쳐지고 보강될 것이다. 세상에는 이런 시범이 필요하다. 왜냐하면 세상에서는 신이나 사랑, 참된 힘, 영감이 오직 이상적인 상태나 상황에서만 존재한다고 여기기 때문이다. 신이 모든 곳에서 신을 표현하고, 앎이 모든 곳, 모든 것에서 그 자신을 표현한다는 것을 세상은 이해하지 못한다." 출처 : 앎으로 가는 계단 제 330 계단 나는 삶에서 작은 일들에 소홀하지 않을 것이다. (저자 마샬 비안 서머즈, 새메시지 닷컴)
@sjbang287
@sjbang287 3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HyeonamLee
@HyeonamLee 3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나부터 할 수 있는 일을 해 나가다 보면, 우리가 해나갈 수 있는 일들을 해 나갈 수 있을것이라 생각됩니다.
@Heykkamo
@Heykkamo 3 жыл бұрын
플라스틱을 적게 쓰려는 행동 자체는 너무나 좋으나, 시민 단체 자체에서 혹시 소각장을 반대하시는지요..? 저는 현재 플라스틱 소각장이 일종의 대안이라고 생각하는 바입니다. 소각장은 촉매라는 물질을 이용해서 나쁜 물질을 흡수하고, 배출을 하는데요, 이런 대안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현재 소각장을 줄이는 추세로 가고 있음이 안타까울 따름입니다. 정화 설비를 제대로 갖추면 되거든요. 국가 지자체에서 이걸 적극적으로 밀어야할 필요성이 보입니다. 제 생각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는지요?
@oklu_
@oklu_ 5 жыл бұрын
선생님~ 질문 두가지 드리겠습니다. 꼭 답을 듣고싶습니다. 1. 제가 사는곳은 플라스틱을 종류별로 모으지 않고 모든 비닐 및 플라스틱을 그냥 "재활용" 이라 쓰여진 큰 마대에 담습니다. 그래도 전 비닐류를 따로 봉투에 담아서 배출하는데요.. 이게 의미가 있을지요? 비닐을 따로 배출해도 어차피 선별장에선 다 섞이는 건가요? 2. 종이류는 플라스틱과 전혀 다른 과정을 거치는지 궁금해요. 제가 사는곳에는 종이류도 "재활용" 에 버리는것 같거든요. 이건 문제가 있는게 맞나요? 종이류는 플라스틱 선별장에 안들어가는 것이지요?
@peturs0504
@peturs0504 4 жыл бұрын
저도 궁금하네요ㅠ
@가자-45
@가자-45 5 жыл бұрын
항상 궁금했던 부분이에요.. 저는 분리 배출시 통을 비우고 깨끗히 씻고 비닐도 벗겨 내놓습니다. 어디까지 어떻게 배출해야 하는지도 자세한 안내 영상이 있었으면 좋겠어요.
@gogetitha1317
@gogetitha1317 5 жыл бұрын
커피, 과자, 물건 사고 포장지 아무데나 버리지 마세요 산, 바다, 길, 온통 포장지 천지이니
@김지현-d2g6f
@김지현-d2g6f 4 жыл бұрын
영상을 보고 궁금해져서 추가로 재활용 플라스틱 선별처리장 영상을 찾아보았습니다. 저도 선생님 말씀처럼 재질별로 분리가 불가능한 것은 소각한다고 알고 있었는데 거기서는 빛과 바람을 이용해 플라스틱을 재질별로 분류하더라구요! 소재별로 무게의 차이가 뚜렷하게 나나요? 환경공학과를 지망하는 학생이라 꼭 알고 싶습니다ㅠㅠ
@김지현-d2g6f
@김지현-d2g6f 4 жыл бұрын
kzbin.info/www/bejne/nnzMcomFiZJorq8 이게 제가 본 재활용 플라스틱 선별처리장 영상링크입니당!
@0limebox0
@0limebox0 5 жыл бұрын
쓰박사님 비닐은 태우게되고 플라스틱은 다시 우리가 쓰는 플라스틱이되나요? 섬유재질로 가게되고 완전히 똑같이 재활용은 안된다고 들었는데 사실인가요?
@superhinkong
@superhinkong 4 жыл бұрын
핸드폰케이스같은 TPU도 플라스틱으로 분리배출하는게 맞나요? ㅠㅠ TPU를 친환경재질이라고 하는데 찾아보니 고온에서 변형이 가능해 재활용이 가능하다고 하더라구요. 근데 저는 재활용 TPU는 못들어본 것 같아서.. TPU는 어떤방식으로 재활용이 이루어지고 있나요? 궁금해요 꼭 답변부탁드려요 :)
@tini_tiny_bird
@tini_tiny_bird 5 жыл бұрын
저 '짝!' 하시는 거 나만 귀엽나.. ㅋㅋㅋㅋㅋㅋㅋㅋ
@영취산극락암
@영취산극락암 5 жыл бұрын
자연을 살리는 일이 곧 우리 모두를 영원히 공존케 합니다. 적극 동참합니다.
@임두혁-s9b
@임두혁-s9b 5 жыл бұрын
그건 다알고요 선별해 버리면 합해서 가져가고요 내가 할수있는게 없네요 그래서 그냥 버려요
@seoulkfem
@seoulkfem 5 жыл бұрын
ㅠㅠ 제일 좋은 방향은 공동주택이 아닌 단독주택에서도 품목별 분리배출을 할 수 있는 시스템이 마련되는 것입니다!! 시민 여러분이 플라스틱 및 쓰레기 문제에 계속 관심 가져주시면, 정책도 좋은 방향으로 함께 변화할 거예요!! 지구를 위해 두혁님이 할 수 있는 일들은 앞으로 '도와줘요 쓰레기박사' 영상을 통해 차례차례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지눅스-e9q
@지눅스-e9q 5 жыл бұрын
마지막에 모기 잡으시는 줄 ㅋㅋㅋㅋ
VIP ACCESS
00:47
Natan por Aí
Рет қаралды 30 МЛН
REAL or FAKE? #beatbox #tiktok
01:03
BeatboxJCOP
Рет қаралды 18 МЛН
플라스틱 A to Z (만들어진 배경부터 환경 문제까지)
8:48
EBS 컬렉션 - 사이언스
Рет қаралды 122 М.
[핫클립] 기름이 된 폐플라스틱 / YTN 사이언스
4:37
YTN 사이언스
Рет қаралды 30 М.
VIP ACCESS
00:47
Natan por Aí
Рет қаралды 30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