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나다에 사는데 이 벌레는 일명 red lily beetle로 불리는데 마늘로 퇴치가능해요 마늘 껍질 간마늘등을 자주 많이 뿌려주면 없어집니다 한번 시도해보세요 애청자입니다
@azakgarden7 ай бұрын
와우!!!! 민간요법에는 뭔가 더 심오한 과학이 담겨 있는 것 같아 확 끌리네요. 그저께 마늘 캤거든요. 마늘 깐 다음 껍질을 따로 잘 보관해두어야겠어요. 시기적으로도 딱 맞아떨어지니 더 기분좋습니다. 감사감사해요.^^ 먼 타국에서도 애청해주신다니 많이많이 감사드립니다.^^
@담장위에서다7 ай бұрын
@@azakgarden 마늘 사용한 후기도 부탁드립니다.
@김광덕-w4h7 ай бұрын
북미에서는 백합 심은 지 2년 정도 지나면 거의 생기는 벌레인데 마늘껍질로 멀칭해주고 마늘액을 뿌려서 토양을 벌레가 살지못하게 하는 방법으로 퇴치하더라구요 마늘이 토양살충제 역할을 하는거죠 저도 백합구근이 50-60개 정도있는데 벌레가 없어졌답니다 도움이 되면 좋겠네요 아끼는 화초가 발레로 죽어가는 속상함을 잘 압니다
@담장위에서다7 ай бұрын
@@김광덕-w4h 감사합니다.
@annalee80437 ай бұрын
저는 뭣도 모르고 마늘 심은 밭에 오리엔탈 릴리를 심어주었는데 뒷걸음치다가 뭐 잡은 격이었네요~ ㅎㅎ 모든 정원지기님들의 지혜에 킹 하트 뿅뿅입니다!!!
@im.skysky7 ай бұрын
천적이 나타날수 있게 생물 다양화 어떨까요^^
@azakgarden7 ай бұрын
무더기의 바깥쪽이 주로 피해를 입더라구요. 조금만 공격당하는 건 자연의 이치니 그냥 둬도 될 것 같은데.... 혹시나 엄청 늘어날까봐 지레 걱정하는 건 아닌지? 헷갈려하고 있어요. 생물다양성이야말로 자연의 최고 진리죠? 감사합니다.^^
@물이흐름같이7 ай бұрын
이쁜아이들을 시샘해는 똥벌레 ㅠ 벌래이름도 싫어지네요 키작은 나리 배워갑니다 제가 포인트로 키우는 키가 큰 배합은 언제나 꽃을 피워주려나 꽃봉우리를 보이고는 있습니다 백합은 일단 구근을 안깨도 되니 좋을것 같다고 생각이 됩니다 선생님 의 나리 병충해 이겨내고 잘 자라주길 바랩니다
@azakgarden7 ай бұрын
많은 분들 덕분에 해결방법을 찾아낼 것 같아요. 더위에 건강 잘 챙기시면서 일하시길요.^^
@jml51357 ай бұрын
저는 시골장에서 나리 구근을 몇개 사다 심었는데 아직 꽃봉 상태라..유심히 봐야겠어요. 매번 느끼지만 아자님은 탐구형가드너 이십니다. 많이 배워서 즐겁습니다❤❤❤
@azakgarden7 ай бұрын
칭찬에 머쓱............ 이거이거 더 열심히 탐구해야 할 것 같은 마력의 댓글인데요? 즐겁다 해주시는 말씀에 좀더 기운내보겠습니다. 많이 감사드려요.^^
@jml51357 ай бұрын
제가 새벽에 보고 정신없이 댓글달다 보니 아자님..이라고 ㅎㅎ 아작님 아자아자 화이팅~~♡
@azakgarden7 ай бұрын
@@jml5135 ㅎㅎ 괜찮습니다. 당연히 그러신 줄 알지요. 감사해요.^^
@권숙자-w6y7 ай бұрын
어머 이런벌레가있었군요 좋은정보감사합니다 저도 꽃잎을 갈아먹는양도 꾀 되어서 아무리 찿아도 안보여 아침에도안보여 밤에 랜턴 켜고보니 갈색 털옷 입은 녀석이 밤에만 나와서 열심히 먹고있더라구요 백합은 아니구요
@azakgarden7 ай бұрын
와우!!!! 진정한 고수님이신걸요!!! 밤에 랜턴까지 들고 찾아내시는 건~~~엄청난 열정과 인내심, 호기심과 탐구자세를 다 갖추셨는걸요. 박수 짝짝!!!!
우연히 보게된 영상인데 귀에 쏙쏙 들어오는 설명에 구독합니다 키작은 나리도 눈에띠면 구입해 심어야겠네요 못보았던 영상도 찾아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임성준-k1l7 ай бұрын
우리집보다 1달은 늦게 핀 것 같네요.
@azakgarden7 ай бұрын
그쵸? 많이 늦죠? 아마도 제 정원의 아이들이 전국에서 가장 늦은 듯요. 그늘 많은 정원이거든요.
@도토리-v8r7 ай бұрын
안녕하세요 좋아요는 어제 댓글은 늦은시간이라 오늘 달고있네요 나리꽃 색이 참 예뻐요 맑은색을 띠는것같애요 구경 잘하고 배우고 갑니다^^
@azakgarden7 ай бұрын
늘 감사합니다.^^ 더위에 건강 잘 챙기시길요.
@최민희-h1q7 ай бұрын
똥벌레가 있는줄을 몰랐네용 오늘도 좋은 정보 주심에 감사드립니당 무더위에 건강관리 잘 하시길용~
@sgkim93557 ай бұрын
나리꽃 너무 이뻐요 백합을 키우고 있지만 나리도 백합 과 인걸 알았습니다 저희집동네 공원에 나리꽃이 색색이 폈는데 이쁘더라구요 키가 작아서 뭔가하고 검색하니까 나리꽃 이라고 하더라구요 그래서 알게되었습니다 아작님 덕에 나리에 대해서 또 알아갑니다 감사합니다 그리구 지난번 할미꽃 외 여러가지 씨앗 감사 합니다 잘 키우겠습니다 항상 응원 합니다 ~~ 건강 하세요~~
@azakgarden7 ай бұрын
6~7년동안 재미나고 키우고 꽃 잘 보았는데 작년부터 적잖이 신경쓰이게 하네요. 늘 배움이 되고 고맙다 하시니 저도 많이 감사드려요.^^ 늘 응원해주셔서~~~꾸벅~~
@박미현-p4t7 ай бұрын
작은 꽃망울이 몽실몽실 무더기가 만들어질 쯤 꽃에 가까운 잎과 줄기 사이에 알을 낳더라구요.주황색에 가까워 눈에 잘 띠어 알을 제거하기 쉽습니다 . 그러다 벌레도 잡고. 2주 정도 신경써서 보면 사라지더라구요.
@azakgarden7 ай бұрын
와우!!!! 저에게 가장 현실적인 방법을 알려주시니 넘넘 감사드려요.^^ 직접 경험하신 걸 공유해주시니 더더욱이요!!!! 너무 무리지어 심다보니 일일이 들어가서 살펴보기가 힘들었거든요. 일단 무리를 좀 줄여야겠군요. 근시에 노안까지~~벌레와 알찾기가 쉽지 않은지라 이것도 대책을 세워야 할 것 같구요. 평안한 하루 되시길요.^^
@꿈꾸는정원-n7o7 ай бұрын
저도 똑같은 현상입니다. 너무 나리를 촘촘히 심어서 그런가 했어요
@azakgarden7 ай бұрын
모아심었더니..... 백합잎벌레 사이에 소문이 났던 걸 거라 짐작해봅니다. ㅎㅎ 이미 맛집이라는 소문이 났으니 이를 어쩐다? 고민이 깊어지네요. 좋은 해결방법 찾으시면 꼭 알려주시어요. 감사합니다.^^
이제서라도 잘 받으셨다니 참 다행입니다요.^^ 지금은 너무 덥고 건조해서 발아시키기 힘들지 싶은데........ 시험삼아 쬐끔씩 나눠서 내년 봄까지 파종해보셔요.^^
@이영희-g3k7o7 ай бұрын
저희집 나리도 이상태입니다!! 저도 궁금했는데 여기에 좋은 정보 많이 담아주셨네요 궁금하지만 파헤칠 생각을 못했습니다ㅎㅎ 항상 좋은정보 감사히 보고 있습니다~오늘도 좋은날 보내셔요^^
@azakgarden7 ай бұрын
저랑 같은 상황이셨다니 완전 공감이에요. 저도 조금이니까 아직은 괜찮아, 귀찮아, 나중에 알아보면 되지......그랬는걸요. 제 마음과 만나는 것 같아요. 많이 감사합니다.^^
@홍경이-d8r7 ай бұрын
나리꽃에 대해 열심히 공부했어요. 우리집 나리는 거의다 졌답니다. 감사함니다.
@azakgarden7 ай бұрын
저희가 많이 늦죠? 올해는 이상고온으로 그나마 일찍 핀 꽃들도 제법 있는데 붉은나리는 예년과 똑같은 시기에 꽃피네요. 오늘도 감사합니다.^^
@Naenunekongkkakji7 ай бұрын
키작은 붉은나리~ 요즘 제가 키작은 나리꽃에 빠졌답니다 키는 작고 꽃은 또 여러송이가 얼마나 예쁘게 피어있는지.. 여행다니면서 마을앞에 심어둔 나리꽃밭을 한참 보았더랬죠 에구구 ~~~ 우째 그런 벌레들이 이뿐꽃을 탐하는지 여튼 나리꽃 벌레 방제를 미리미리 해야겠네요 저는 아직 진딧물도 만지기가 그렇더라구요 진정한 가드너이십니다~👍🥰💖
@azakgarden7 ай бұрын
그니까요. 이렇게 깜찍한 아이들에게 어찌 이런 일이.......... 무리지어 심으니 해충들에게 소문이 난 거겠죠? 거기 가면 먹을 게 지천이라는....ㅎㅎ 에구....귀찮아서 그냥 막 손으로 잡는건데 칭찬해주시니 이를 우짠데요. ㅋㅋ 오늘도 행복하소서.^^
@최은주-n4w7 ай бұрын
몇년전 서울사는언니가 얻어준 붉은나리구근을 10개심었는데 꽃을못보고 끝나버렸어요. 올해 이웃분이 꽃많이줬다고 붉은나리를 두뿌리줬는데 아직 꽃이 안피네요. 벌레가 생긴다니 걱정되네요. 유황이 원료인 오복이 라는 영양제가 균이나 벌레를 쫓아준대요.꽃색이 선명해지고 열매도 더 맛있어 진다고 원예사하는친구가 알려줬어요. 똥벌레에도 효과가 있을지는 모르겠어요.
@azakgarden7 ай бұрын
에구......그런 일이 있으셨군요. 오호~~~오복이!!! 잘 메모해두겠습니다. 많은 의견들을 주시고 계시니 참고하여 잘 사용해볼게요. 많이 감사드려요.^^
@RidgeGarden릿지가든7 ай бұрын
잎벌레 종류도 많고 장미 괴롭히는 잎벌레도 있어서 저도 애먹는데요 그 너른 정원 가꾸시면서 나리에만 살충제 치셨다니 놀라운데요 저라면.... ㅠㅠ 일단 싹 걷어내볼 것 같습니다 실한 구근 넉넉히 챙겨 큰 화분(새 흙이나 토양살충제 치거나)에 심었다가 늦가을 쯤 새 자리에 정식하는 걸로요 장미를 가끔 그러거든요 도저히 총채 감당이 안 되면 꽃봉오리를 모조리 제거합니다 먹을 게 없으니 대발생이 누그러지는 것 같더라고요 좋은 해결책 제시해주는 분이 나오기를 바랍니다 아 그리고, 검색 참 잘 하시네요!!
@azakgarden7 ай бұрын
장미를 즐겨 키우지 않는 이유가 바로 그 때문이었는데.... 나리 녀석한테서 이런 일이 생길 줄은 생각도 못했답니다. 좋은 의견 내주셔서 넘넘 감사드려요. 많은 분들이 내 주시는 의견을 참고하여 각각의 방법을 최대한 실험해보면 좋을 것 같아요. 근데..............열정적으로 도전할 것 같지 않은 이 느낌은 뭘까요? 엄청난 작업이 될 것 같아 겁이 나네요. ㅜㅜ 에구..........과찬은 절대 사양하지 않을게요. ㅎㅎㅎ
@annalyu32157 ай бұрын
에궁 속상하시겠어요ㅠ 저는 사슴이 봉우리만 똑 따먹고 가거나, 두더지가 구근을 아예 먹어버려요 ㅋ 요즘 그나마 핀 봉우리가 구멍이 숭숭나서 속상했는데 한번 살펴봐야겠네요. 분명 해결책 찾으실거라 믿어집니다 화이팅!
@azakgarden7 ай бұрын
네~~많이 속상해요. 어머나 사슴과 두더지가 해를 입힌다니 저보다 더 막막하시겠어요. 많은 분들이 의견과 정보를 주셔서 뭔가 방법이 보이는 것 같아요. 과연 잘 할 수 있을지 모르겠지만 나름 열심히 해보겠습니다. 홧팅!!! 공감과 응원에 많이 감사드려요.^^
@김경숙-h6b7t7 ай бұрын
붉고 반짝이는 꽃잎이 마치 조화같아요. 아담하고 탐스러운 정원의 포인트, 정렬적인 모습이 어떠한 곤충 피해도 없을것만 같은데, 어쩜저리 허락도 없이 무참히 갉아먹는지. 참으로 속상하네요. 일명똥벌레가 살아가는 방법도 기묘하구요. 산이 가까우니 곤충들 습격이 더 많은듯해요. 속상해서 어떡해요! 😭
@azakgarden7 ай бұрын
ㅋㅋㅋ 허락없이 먹다니!!!! 넘 재밌어요. 제 말이 그래요. '잎은 쫌 먹어도 되지만 꽃은 안돼!!!' 그쵸? 똥벌레가 살아가는 묘책을 듣고선 저도 완전 신기했더랬어요. '그림동화책'과 '곤충학자의 책'만 읽던 시기였다면 무릎을 탁치며 '짱인데' 하면서 감탄했을 것 같아요. ㅋㅋ 모아 심으니 먹잇감 넉넉하고, 맛집이니 어느새 그들이 가장 탐낼만한 곳이 되어버린 거네요. ㅎㅎ 묘책이든 타협책이든 찾아봐야겠죠? 산과 이어져있으니 그런 것 같다는 말씀에도 끄떡끄떡~~~ 오늘도 멋진 하루 되세요.^^
@ehchoi86047 ай бұрын
챗gtp가 제안한 여러 방법 중 나리의 밀도를 낮추고 다른 식물과 섞어서 심으라는 방법이 그나마 쉬워보입니다.
@azakgarden7 ай бұрын
일부러 검색까지 하셔서 의견을 주시니 많이많이 감사해요.^^ 그쵸? 밀도를 낮춰야 할 것 같아요. 다른 건 무리지어 심어도 아무 탈 없고 관리도 쉬운데..... 이 녀석이 저한테 제대로 경고를 보냈네요. ㅎㅎ 오늘도 행복한 하루 되세요.^^
@노안이-q6n7 ай бұрын
좋아여를 눌러보아여~
@azakgarden7 ай бұрын
저도 좋아요!!!
@user-fn3fl1uo2j227 ай бұрын
키작은 붉은나리 참 예쁜데.. 골치아픈 벌레때문에 저까지 속상하네요~~ ㅠ
@azakgarden7 ай бұрын
그니까요. 너무 무리지어 심어서 그랬나봐요. 이 녀석들 세계에 먹잇감 천지라고 소문이 났구나 하고 웃었어요.
@산골마녀7 ай бұрын
천적이 있어야 하고 꽃들사이사이 풀이 있어야 피해를 덜볼것 같은데 ᆢ 천적 사마귀 있을려면 진딧물이 있어야 하고 무당벌레가 있어야 하고 ᆢ이세계농부라는 채널 검색 해서 죽 ~시청 해보세요~^^
에구....많이 마음 졸이시고 계시겠네요. 저는 아마도 5월 10일 전후로 파종한 것 같은데요. 제법 많이 싹터서 이제 떡잎 상태 벗어내고 잎모양새를 갖춰 가기 시작했더라구요. 3~4주 걸린 것도 같고요. 자주 들여다보지 않아서 정확하지는 않지만요. 조금만 더 기다려 보시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