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종세상 377회 2019년 6월 7일 방송 S대 법대 출신인데 고시에 계속 낙방한 남자의 사연 #특종세상 #서울대 #법대 💖구독 👍좋아요 🔔알람 설정 시 '특종세상' 을 더 빨리 만날 수 있습니다. 👉특종세상 채널 구독하기 : / @exclusiveworld_mbn ☞ MBN Entertainment 구독하기 : / mbn_entertainment
Пікірлер: 372
@camelia40746 күн бұрын
아까워도 포기해야할 순간이 있는데, 미련이 너무 많았네..아깝다....
@yongyong87135 күн бұрын
60년대 서울대 법대면 50~60%는 고시 합격하고 나머지도 은행이나 좋은 기업체에 들어가 대부분 고위직에 올라 성공했을텐데 고시만 공부하다 정신적 스트레스로 사회 부적응자가 되었네요. 안타깝네요.
@rightleftmiddle47765 күн бұрын
아이고 뭘 모르시네. ㅡ 1980년대 가서 고시가 쉬워지기 시작했지. ㅡ 저 당시는 서울대 법대 20%될때요.
@유줘2 күн бұрын
80년대까지만해도 기업들이 서울대출신 안좋와했음 너무 똑똑해서 잘난체해서 직원들하고 충돌이 생긴다고 그래서 삼성.엘지같은 기업들은 서울대생보다 고려대.연세대.영남대.경북대 선호하는 경향이있었음 2000년대 삼성.엘지등 대기업들 임원들보면 서울대보다 고대.영남대.경북대 출신들많음
@jasonra-x1z2 күн бұрын
아무리 서울법대 출신이라도 만30세 넘어가면, 일반회사에 취업하기 쉽지 않았죠 그 당시엔...
@rightleftmiddle47762 күн бұрын
@jasonra-x1z 저분 나이때 서울고 서울법대 들어간 삼촌이 있었는데 고시에 떨어지다보니 정신에 이상이 생겨 평생 아무일도 못하고 백수로 지내다가 작년에 돌아가셨지요. ㅡ 이분 동창이 이수성 총리인데 ㅡ 이수성은 고시포기하고 교수로 방향을 돌렸고 제삼촌은 폐인이 되었지요. 인생사 요지경
마음에 병이 생기신 것 같은데...사법고시 안되어도 서울대 간판만 가지고도 어디든 취직해서 혹은...뭐라도..되셨을텐데 그때는 법관이 되어야 힘을 쓰고 출세한다는 생각...세상 많이 바뀌었는데...변호사도 별볼일없는 세상..
@이상숙-w6z5 күн бұрын
맞아요
@장미-h4s5 күн бұрын
법관만이 출세한다고 생각하셨나봅니다 포기한다고 지는거 아닌데
@마리-y3j5 күн бұрын
그 시절은 그랬겠지요.앞으로 사법인들 ai로속히 대체@@장미-h4s
@jingulpark75044 күн бұрын
이분 서울대가 아니라. 서울대 법대입니다. 다른 학교임.
@김응숙-p3x4 күн бұрын
가슴이 아프네요
@파이널페이스5 күн бұрын
제 주변에도 저런 케이스 있어요. 의대 간다고 몇년 공부했는데 결과가 잘 안나와서 지금 정신적으로 문제 생긴거 같은데 진짜 안타까움. 내 길이 아니다 싶으면 빨리 포기하고 다른길 찾아야 하는데 아깝다고 계속 시도 할수록 나이는 먹어가고 정신은 피폐해져가고..
@강감찬고려거란전쟁5 күн бұрын
몇년이 아닙니다 50년입니다.
@강백호-z2w5 күн бұрын
그게 다 주변의 관심 때문에 쉽게 포기 못하죠. 부모님의 기대가 크니 저버릴수가 없었겠죠.
@mundle3214 күн бұрын
공부가 정말 전략적으로 해야 함... 사업도 정말 전략적으로 해야함.... 운동도 정말 전략적으로 해야함.... 소비도 정말 전략적으로 해야함.... 사람들 보면 정말 그럼...... 무조건 열심히 하는게 제일 무모한 거임.... 그거 계속 그렇게 할수도 없음.... 그래서 사전조사 계획 의도 믿음 확신이 되게 중요한 거임.... 결국 자기 스스로를 믿고 행동하게 할만큼 ..... 그게 존나 어려운 거임.... 그래서 ..... 항상 자기 스스로를 돌봐야 함....
@박종해-z7b2 күн бұрын
고향?ㅡ저개지금인심.
@정용준-j4d3 күн бұрын
너무 애잔합니다.어르신 건강하셨으면 합니다.
@THESANGSANGMEDIA5 күн бұрын
경주까지 갔는데.. 따뜻한 밥 한끼라도 드리지... 마음이 너무 미어집니다. 마지막일지도 모르는데..
@강백호-z2w5 күн бұрын
맞아요. 사람은 진짜 착하신데. 너무 착해서 부모님 기대를 저버릴수가 없어서 더욱더 판검사 할려고 했겠죠.
@HA-su6zn6 күн бұрын
진짜 함부로 말하면 안되지만.. 인생이 안쓰럽고 애잔하신분 😢😢
@거리에서-y6i5 күн бұрын
한심하지.애잔은무슨
@김영섭-o8f5 күн бұрын
미틴?!
@마모루-j3u6 күн бұрын
사람이 저렇게 될 정도로 공부만 해서 합격 하고 그러니 정상인인 애들이 거의 없을 수 밖에 없지
@황쿠쿠-d9d6 күн бұрын
이재명은 만23세에 합격^^
@언젠간온다6 күн бұрын
거서 죄명이가 왜 나옴 ᆢ아무 생각 없어서 행복하겠다@@황쿠쿠-d9d
@황쿠쿠-d9d6 күн бұрын
@@언젠간온다 그럼 9수한 윤통을 말하리?
@장미빛그늘6 күн бұрын
@@황쿠쿠-d9d 그러면 뭐하냐 전과4범에 피의자 신분으로 연일 재판에 나서야 하는 현실 1심 유죄 여럿 재판중 유죄 하나만 나와도 그대로 정치생명 끝
@황쿠쿠-d9d6 күн бұрын
@@장미빛그늘 내란보단 낫겠쮸^^
@사랑짱-h6w5 күн бұрын
고향 친척들도 너무하네. 그 먼길을 왔는데 밥한끼라도 챙겨주시지ㅜㅜ 면박만 주고 보내네
@jingulpark75044 күн бұрын
처음엔 줬겠죠 ㅋㅋㅋ 근데 저 나이까지 저러고 살지는 몰랐겠죠.
@꿈꾸는리얼리스트-j5x3 күн бұрын
참 답답하군요 그게 반복되기 때문이죠
@나몰라라-d4x3 күн бұрын
너무 한건 김철두 씨죠. 해줄만큼 해줬으니 더 이상 바라면 안됨
@사랑이은혜5 күн бұрын
우리동네도 고대법대 나와서 평생10원한장안벌고 백수로 살다가 죽음 내가고대법대 나왔는데 어찌 그런일 하야고 합니다요 아들딸있으면서 부인이평생돈벌어서 삶 징글징글하다 직업이규천이있냐고 하무일이나 하면됨 개탄스럽다
@평강-u8f4 күн бұрын
귀천
@mundle3214 күн бұрын
생각해 보면 그런 똑똑한 사람이 50년이나 진짜 공부했을까요? 한 10년 공부하고 안했겠지요... 그리고 법은요.... 특정시간이 지나면 계속 바뀌어요.. 그래서 장수생이 더 어려워요.... 그래서 법공부 시험은 전략과 머리 정보 운 이게 다 필요해요.... 공무원 자격증 시험 전문 단체들이 늘 하는 소리가 모든 시험은 최대 10년 동안 합격못하면 .... 무조건 때려 치라함.... 예외는 집이 100년이상 아무것도 안해도 넘치게 잘살 수 있는 집 자식이 아무것도 하기 싫어서 공무원 학원 다니는데 학원 좇나 열심히 다니고 애가 19살 20살이면 10년 정도 해볼만 하다 하더라구요...
@김영태-m2d2 күн бұрын
@@mundle321근데 윤석열은 9수 끝에 간신히 붙어서 대통령까지 해먹었으니 10년까지는 인정인가보네요 ㅋㅋ
@charlieshin95135 күн бұрын
천재라고 불리던 우리 사촌형님은 15년 고시공부하다가 안 되어서 이길은 아닌가보다 싶어서 뒤늦게 의대 들어가서 지금은 가정의학과 전문의되어서 잘 살고있는데... 늦다고 생각할때가 빠른겁니다
@망치가방5 күн бұрын
의사가 법관보다 쉽다는거?
@쿵쿵따-i3n5 күн бұрын
그런 것도 집안 형편이 좋으니까 가능했던 거겠죠...
@gksdldb72475 күн бұрын
@@망치가방요즘에야 의대가 최고지만 예전에는 법대가 최고. 80년대에 우리집에 대학입학순위 책자가 있었는데 최상위가 서울법대.
@jingulpark75044 күн бұрын
사법고시 패스보다는 의사되는게 쉽죠 ㅋ
@정미연-j7h3 күн бұрын
@@망치가방 예전엔 의대가 2지망 보통 공대 떨어지면 갔어요 법대 , 공대가 최고였지요
@tube-gh7yz5 күн бұрын
이 당시에 서울대... 진짜 아무 허접한 학과만 나와도 승승장구 했을텐데, 법대 나오고도 ㅠㅠ
@Hope-j4m5 күн бұрын
진짜 서울대 법대까지 나와서 그렇게 많은 공부를 했는데 사법고시 시험 계속떨어지면 진짜 그 허망감,죄책감 등등 너무 심할듯 ㅠ 말로 다 못할듯 그마음은.. 계속 미련갖고 못놓을 것 같긴함.. 그러다가 세월다가고 한건 공부밖에 없고 다른것을 하거나 다른 직장갖거나 하기가 어려웠을 것 같긴함😢
@트리오-l1h5 күн бұрын
세상이 남보다 먼저 차지하려는 세상이라 자식들 얼치기 만들까 고민도 많이 했는데 그럭저럭 자라준 자식들에 고마움을 느낀다.
@cjswltlsaud886 күн бұрын
가발 안쓰는것이 더 호감있게 느껴집니다!
@사랑짱-h6w5 күн бұрын
아내란 사람도 웃기네! 신경도 쓰기 싫다며 왜 돈은 받나. 전남편이지만 저렇게 사는 거 알면서도ㅜㅜ
@user-friendly72635 күн бұрын
알라 때문에 받은거 아이가 알라 아니면 받을 이유가 없지.
@원하는대로-n4m5 күн бұрын
그 알라가 50대가 다 됐을거인디 무슨 소리여
@쿵쿵따-i3n5 күн бұрын
혼자 두 자녀 키웠으면 월 200씩 받아도 모자르죠
@younghwanjang45584 күн бұрын
@@원하는대로-n4m ㅋㅋㅋ
@김영호-i4o5 күн бұрын
착한분 이군요 안타갑습니다~
@성삼문-x2z5 күн бұрын
때로는 재능이 인생을 망친다 자기 능력이 부족하다고 생각되면 포기하고 새길을 찾아야 하는데 집착을 벗어나지 못하니 불행을 자초하게 되었네
@구름애-s2c6 күн бұрын
집착이 심하면 세월다가도 무감각해지지
@gukhee1536 күн бұрын
이 사람 전에 tv에서 봤는데 계속 저렇게 살고 있구나. 서울대 법대 나왔다는데 삶은 완전 앵벌이 안타깝네요.
@haegyuoh99895 күн бұрын
19년도
@jichang97025 күн бұрын
너무 안타깝네요.. 어릴적부터 아이들에게 넘 큰 기대와 칭찬을 해서는 안 될거 같아요. 능력보다 기대감이 더 큰 삶을 사신거 같아요/
@bluesea7435 күн бұрын
저분 2024년에 돌아가셨어요 이 영상 좀 그만 올려요 ㅠ
@DDDDTTTTDDDD3 күн бұрын
상갓집 왜 안갔어 어이
@NaturalHwaN2 күн бұрын
돌아가신거 어디서 보셨어요?
@bluesea7432 күн бұрын
@@NaturalHwaN 예전 영상 댓글에 저분의 조카분이 돌아가셨다고 썼더라구요
@거부할수없는매력5 күн бұрын
친구들은 남자가 찾아오면 안타까워 단돈 얼마라도 손에 쥐어 보내는데 고향 형과 형수는 먼길 왔는데 식은 밥이라도 한끼 챙겨서 보내면 좋을텐데 면박만 주고 보내고 전부인은 신경도 쓰기 싫은데 보내는 돈은 다 챙기네
@jingulpark75044 күн бұрын
입장바꿔서 동생이 저나이까지 저러고 살면 따뜻하게 대접하겠습니까? 저사람들이 첨부터 그랬겠습니까? 시험 떨어져 낙담하는 동생을 위해 진수성찬에 용돈까지 줬겠죠 ㅋ 근데 60 넘도록 저러고 살지 꿈에도 몰랐던거지. 설대 법대인데 어디가서 밥벌이는 할 줄 알았겠지. 입장 바꿔서 님 동생이 60넘도록 일안하고 빌붙으면 따뜻하게 대할 자신있습니까?
@yangnam35323 күн бұрын
내 가족중에 저런 사람 없으면 안 겪어 보셨으니 알수가 없을 겁니다. 처음부터 나쁜 사람은 없어요. 세월 흘러 이젠 가들 지치고 미운거죠.
@성진택-v4r5 күн бұрын
아직까지 내려놓지 못하는가?다내려놓아야지 금전에애착이 있으면 그야말로 비참
@yegyeollove5 күн бұрын
반지땜에 손가락 썩은거같은데 ㅜㅜ 나이롱가발은 다 뭉쳤고 …. 미쳐 진짜
@승연강-z6s5 күн бұрын
그냥 가슴이 아프네요. 고인이 되셨다면 맘편안히 좋은 곳에가셔서 족쇠같은 반지도 빼시고 행복하셨음 좋겠네요. 근데 부인이란분 넘 냉정하네요. 그래도 애들도 있을텐데ᆢ
@달콤솜사탕-x3b5 күн бұрын
불쌍,,내가아는 지인도 법대나와서 오십넘어서도 계속~ 직장들어갔으면 임원도 되었을텐데 인연도 만나고
모르는 소리. 그 당시 서울대 법대는 그냥 입학과 동시에 고시임. 죽어도 고시임. 고시 안되면 인간취급을 안해줬음. 졸업해도 붙을때까지 고시함. 대기업 은행 아무도 안갔음.
@TV-pd7ih3 күн бұрын
서울대 행정학과 없음 ㅠㅠ 그냥 법대임
@默河3 күн бұрын
그당시에 말만 행정학과이지 그냥 법대네요. 졸업하면 법학사 자격주고. 그러다 1975년 법과대학 내 행정학과 폐지... 이제는 법과대학 마저 없어젔네ㅋㅋ설법대 존재하지 않네요. 서울대 법학전문대학원 이른바 로스쿨만 있네요.
@DonaldBlessing-t7u5 күн бұрын
너무 똑똑하다가 인생 안풀리면 ..그냥 폐인이 되네요 .. 특히 고시는 1차 합격하면 .. 정말 다 된것 같은 기부이라서....안타깝네요. .이렇게 똑똑하신 분이 인생이 망가지다니 그냥 일찍 고시 포기하고 대기업에 취직했으면 .. 잘됐을 텐데....ㅠㅠㅠㅠ
@성진택-v4r5 күн бұрын
고집이 있으면 내려놓고 사는게맞지 계속들고 사네
@waterfallphd3 күн бұрын
판사임용되었는데 면접에서 정신문제가 생겨서 이렇게 되었습니다. 아무도 거의 안떨어지는 면접. 쓸데없는 결혼때문에 처가 헌신 인내가 없어 다른 사람과 도망간걸로 압니다. 그래서 충격. 부모도 문제.
@kismar-5043 күн бұрын
형수라는 사람이 시동생한테 반말하는 경상도 클라스
@자스민향기-m8m5 күн бұрын
제 주변에는 서울대 경제학과 나와서 1분은 사업망하고 폐인 친구들은 삼성에 포진 1분은 와이프가 미용실 해서 먹고 사는데 남편 잘난 맛으로 모시고 삽니다 그남편은 평생 백수로 살구요^^~~~
@인생-p6z4 күн бұрын
저 시대에 서울 법대면 진짜 나라가 내놓으라 하는 엘리트지.. 근데 실패하니 다른 일 못하지 당연하다.. 주위 사람들이 다 어떻게 생각할지 뻔한데 그게 쉽지 않지
@shm60125 күн бұрын
아내분이 이혼하고도 연락을 끊지 않고 있다는게 참, 대단. 자제분들은 저 분을 어찌 생각하실까?
@DJ-qh1ds5 күн бұрын
아내에게 돈을 입금하고....착하시다
@잘생긴가필드님5 күн бұрын
저 노인 작년 6월에 돌아가셨다네요. 아래 글은 펀글인데요. 저 사람 조카가 다른 영상에 올려 놓은 글을 복사해 왔습니다. ====================== 최근(24.06.10) 돌아가셨습니다. 관악구 대학동 사무소 측의 행정으로 강서구의 요양병원에서 마지막 지낸 것으로 압니다. 직계유족에게 저는 무연고 사망처리 권했구요. 현재 유족들은 대강 뜻을 동의 중입니다. 저 분 제 외삼촌이십니다. 댓글들 읽어봤는 데... 조카인 저도 유아기때 맞거나 집안세간 부순 일들 기억하고 있습니다. 물론, 고교 때는 영어과외도 받았습니다. 고시 뒷바라지 하다가 외조부모님들 재산 날리고 한 것 없습니다. 두 분 거의 천수누리셨구요. 다른 방송에서 할머니를 본인께서 모셨다고 하는 데, 오늘 내일하는 할머니를 경주에서 고속버스태워서 신림동 지하방에 납치~한 것입니다. 제가 신림동 지하방에서 저희 집으로 모셔서 의사손녀 데려다 진료도 하고 했습니다. 일가친척들 거의 교육 잘 받았고 의사 손자녀만 넷이고 명문대 출신이 수두룩하고... 대강들 잘 삽니다. 김기두씨는 8남매의 장남입니다. 외조부님 자손 수는 8x보다 조금 적겠죠. 학벌 따위를 중요하게 논하는 한국적특성으로 봐도 김기두씨가 집안 내에서 원탑이 아니라는 뜻입니다. 외조부본인도 왜정 때 엔지니어셨구요. (70대 후반에 정석문제를 어깨너머로 보며 미적답안 검사하셨으니).... 외조모님은 순사 눈 피해서 임진록 필사하시던 무려... 한문필사가 가능하셨던 1930년대 전업주부십니다. 아들, 딸도 외숙모가 잘 키웠고 직업학력별 문제 없이 살고 있구요. 증손은 제가 과외공부도 시키고 있습니다. 외조부모님께서 적지만 유산도 남기셨고 살아계실 때, 80여세의 나이에도 손주들 유학까지 다 시키셨습니다. 후손들은 김기두씨랑 연관 될 까봐도 굳이 경주랑 인연끊은 측면이 있습니다. 하나 둘씩 자손들이 경주 떠난 뒤 연락이 없으니 동네 일가들은 망한 걸로 아는 거죠. 아들/딸 유아기 때, 이혼 권유(70년대말에 시댁에서 이혼을 권유한 것이 어떤 의미인지를 생각해보십시오)하고 애들 죽일까봐 애들 빼돌린 사람이 저희 어머니였구요. 방송에서도 아내 이야기만 하지 아들/딸 이야기는 안하는 것 처럼 아내에 대한 집착증만 있으신 분입니다. 저희 어머니는 평생을 동생이 사고칠까봐 계절불문/시간불문 연락오면 서울이고 경주고 뛰어다니면서 뒤치닥거리 하느라 고생 많이 하셨습니다. 동기 판검사출신 변호사 다 저희 어머니께 연락들 하셨구요. 다른 학교지만 저도 법대출신이라 교수님이 동기셔서 학점을 좀 더 챙겨받은 적도 있습니다. 어느 방송에서 동사무소직원이 누나가 책임져야 할까봐 외면하더라고 하는 데, 그때 누나 셋중 제일 어린 우리 어머니가 77인데 뭘 어쩌라는 것입니까. 이 방송 때는 림프종 항암받고 계셨습니다. 저 몰래 동사무소 전화 받고 계시는 어머니께 전화 끊으라고 제가 난리난리 친 기억이 생생합니다. 군대에서 심해진 것은 맞으나, 대학교들어가면서 부터 좀 이상해졌다하구요. 군에서 의병전역한 후엔 본인 아버지인 외할아버지에 대한 폭력도 있어서 정신과에 수용된 적도 여러번입니다. 저 아래 댓글에서 봤는 데. 실제로 병역기피하다 군에 끌려갔고, 일찍이 군에서도 쫒겨났습니다. 제가 군에 갔다왔을 때도 제게 서울대 갔으면 군에 안갔을것 아니냐는 말을 했습니다. 본인은 항상 서울대여서 군에서 풀어줬다고 주장하곤 했죠. 문제가 군에서 시작되었다던 타 방송 인터뷰의 누님은 제 둘째이모님이시고요. 김기두씨 둘째 누님이죠. 동생의 문제라고는 생각지도 않으셨던 육이오때도 선생님이셨던 교장출신의 꼬장꼬장한성격이시고. 제 어머님은 내 동생 문제라고 생각하신 약간은 여성주의적이셨던 분입니다. 가족들 모두 평가와 대책이 달랐었습니다. 방송말미에 신라왕족소리는 경주에서 저 동네 집안 사람들은 다 입에 달고 다니는 소리입니다. 아마, 방송 때마다 나온 동네 친척들 모두 똑같은 소리 할겁니다. 우린 왕족이라고... 집안 자체가 경주김씨는 당연하고 넘어 신라김씨(뭐 안동권씨고 뭐고 다 신라김씨라는 또 다른 종친회가 또 있습니다) 전체를 관여하던 참봉집안이고 참봉마을입니다. 김기두씨가 신라왕족거린다고 정신병자면 경주 마동은 모두 정신병자입니다. 정신병력때문에 신라왕족소리를 하는 것이아니고 신라왕족소리를 하는 집안에서 성장했기에 정신병이 생겼다고 생각하는... 김기두씨를 그 아내/아들/딸보다 가깝게 지냈던 한 사람으로서 추모의 한 마디입니다. 아주 정확하게는 제 어머니가 돌아가셨기에 속시원하게 하는 이야기지요. 셋째 딸인 누나가 사랑했던 장남동생을 공공연한 장소에서 그 아들인 제가 횽보기는 저도 힘들었으니까요.. 한국사회의 가부장제의 돌연변이라고 생각합니다. 민망해서 정확히 물어보지는 않았지만 외숙모가 제 사촌동생 낳은게 스물이 안되었을 것입니다. 제 외삼촌이 문제가 심각한 게 맞습니다.
@믿음과기도로이겨내자5 күн бұрын
너무 가슴아프고 안타갑네요 삼가고인의 명복을빕니다
@정우진-f3u5 күн бұрын
그래도 착하게 밋첬내
@승풍파랑-f8i2 күн бұрын
이낙연 조국은 서울법대 나와서 사시안해도 국무총리 장관까지도 했는데 저 나이대는 서울법대 졸업 자체가 엄청난 스펙임
@유복례-m3r6 күн бұрын
안되길 잘 하셨어요 저런분이 법을 다루면 어찌됫을까요
@mikahn37975 күн бұрын
뭔소리신가요???
@user-neobelle5 күн бұрын
맞네요. 9수한 그 인간 나라를 쑥대밭으로 만들었잖아요.
@koala200013 күн бұрын
지금 사법계는 이미 다 망했음. 이보다 더 나쁠 수는 없어요. 소수의 우리법 이념적인 단체가 주요직에 주를 이루고 있다는것 재체가 문제임. 간첩들을 풀어주거나 낮은 형을 때리고 줄 잘서면 죄를 짓고도 무죄, 반대면 죄가 없는데도 유죄 나오는 나라인데 더 이상 어떻게 망가지겠나?
@user-ue1qf8bg1d3 күн бұрын
지금 사법부는 부정카르텔입니다 멕시코갱단과 다를바 없어요
@kevin-qu1bh2 күн бұрын
18:10 유영혁 변호사님 감사합니다
@iamthat28863 күн бұрын
한 많은세상,,,속이 새까막구나,,,
@Cosbuffett3 күн бұрын
저런인간들중 운좋게 시험합격한 놈들이 이끌고 있는게 우리나라임.
@luischoe176812 сағат бұрын
네 진짜 공감되는 말입니다.
@오일맨-d5f4 күн бұрын
요즘 같으면 그냥 로스쿨 들어가서 변호사하고 국회의원 된 놈들도 천지인데...
@인현-v3s5 күн бұрын
그 좋은 머리로 다른길 찿아도 될텐데 안타깝네요
@김민재-q7c5e2 күн бұрын
지금 현실을 보세요 많이 배운법조인 보세요 죄짖고 변명하는 사람들 배우지 못한 사람들은 죄지으면 잘못 했다고 반성합니다 죄짖고 반성안하는 국회의원들 시국이 어려운데 봉급이나 내립시다
@儒理尼師今4 күн бұрын
형수라는 사람 자신의 꼬라지"도 별 수 없구만 저렇게 대놓고 멸시 하다니... 어딘가 아픈사람(정신이상)인걸 누가봐도 아는데 따뜻한 셔츠 하나 사주지...
@7cylot6923 күн бұрын
형님 건강하시고 편안하세요
@민들레-v2z5 күн бұрын
마음이 너무 아픔니다 가족들의 마음이 최고의 학벌인데 정신적인 문제로 슬픔니다
@내로남불-c6m3 күн бұрын
어휴...부모님 심정은 오죽하셨을까...ㅠㅠ
@Socialeyesall6 күн бұрын
돌아가심
@jinheebae-hermann23005 күн бұрын
정신병이네요. 현실을 직시하지 못하는 게다가 우울증까지 겹치면 모든 인생이 뒤죽박죽으로 아무도 반겨주지 않는 삶. 아마 스트레쓰로 기댓치에 못 이루는 현실이 너무 힘드네요.
@always724-v4j2 күн бұрын
서울대 법대 합격은 족보에도 기록되어 가문의 영광으로. 개인, 가정, 사회에서의 한 개인의 역할이 무엇인지 사법제도의 폐단과 그 속에 갇혀, 다른 방법을 알 필요도, 알 이유도 없었던 절대적 성공의 길이었던 사법고시 동기분들이 편하게 대해주시고 본인도 편한 표정이라 더욱 애잔합니다. 오래 전 TV로도 보면서 여러 생각 했는데
@808_mahalo2 күн бұрын
부디 영면하시길....
@호수-m9o4 күн бұрын
안타깝네요.아내분을 탓할수도 없고 ㅡㅡ너무 한가지에 몰입하면서 정상적으로 사시지 못하는분들이 있더군요
@dr.kimdaniel91413 күн бұрын
아버지는 법대 나왔다가 선생으로 전향하시고 대학에서 강의까지 하시는 위치사 되심. 미련에 너무 빠지면 안되고 기회를 포착하여 아니다 싶으면 빨리 갈아타야..
@정철최-t8k5 күн бұрын
공부에 미친 사람들 가끔정신 적 문제가 많아요 머리에 든건 많지만 사회생활은힘든부분도 많을거에요
@17r355 күн бұрын
1966학번이면 현재 79세 되시겠네..7년~ 8년전 영상이네
@황호-s7s4 күн бұрын
작년에 돌아가셨다네요
@연두-p3x5 күн бұрын
아무리 열심히 하고 잘해도 관 운이 있어야 합격한 다는 말이 있더군요
@구름꽃-x4o5 күн бұрын
사자직업갖고 사기치고 사는 것보다 깨끗하고 단순하게 사는 것이다
@강명재-d3w5 күн бұрын
에휴~ 학원 강사만 했었어도 떵떵거리고 살았을텐데 .. 집착의 끝을 보여주는 영상.. 넘 안타깝네요
@바람의노래-h4h5 күн бұрын
의지대로 안된다 그것이 모든 생물의 삶 그것은 주어진 것 너무 비하하지마라 공부는 잘해도 달음질을 못하는 이도 있고 ㅡ마음대로 되지 않은 한끗 차이 의지다
@제임스-j9t5 күн бұрын
서울법대 동기생들이 어떤형식이든 자리를 만들고 그에게 조그마한 일이라도 줄 수 있었으면 수임료가 수십억이 되는분들도 많던데
@망치가방5 күн бұрын
70년대에 서울대 그겄도 법대. 일류중 초일류 영재였는데...ㅉㅉ
@이필-g7r2 сағат бұрын
2024년에 돌아가셨다네요
@儒理尼師今4 күн бұрын
특종세상이 가족보다 낫네 의사선생님까지 왕진하게 하고...
@있을때하자-i9m5 сағат бұрын
시험공부 해본 사람은 알겟지만 장기 시험 어려운거 보는거는 처음에 70퍼가 완성되서 떨어지면 복습하기도 싫고 머리에도 안들어오고 그걸 이겨내서 몇퍼센트 더 올려야되는데 그게 진짜 어렵더라 그러다 보면 장수생되는거더라 모든지 처음에 붙어야됨 처음에 고통이겨내고 공부했는데 떨어지면 그 많은 내용 복습이 진짜 힘듬
@김아리아-y8s3 сағат бұрын
사시가 운발도 중요한데 계속 안되면 포기했어야 하는데 미련가지시다가..안되었네요..
@빽초보4 күн бұрын
최고 대학 나오고 동기들은 다 잘나가는 법률가. 그래서 저분이 포기를 못하고 다른 일을 할 수 없었을 듯. 안타까움
@평화천사트럼프5 күн бұрын
어디 9급 공무원 들어가셔도 서울대 출신이면 4급은 기본입니다 왜 고시에 삶을 망치셨어요
@ericjung56994 күн бұрын
사법시험? 합격하면 뭐하나 전부 즈그들 멋대로 판결하는데..
@린린-q9n4 күн бұрын
시대를잘못타고나셨네 지금은 로스쿨들어가기쉬운데ㅠ
@리조트-m9l2 күн бұрын
포기가 나뿐거라고 교육받고 자라서 실패는 성공 어머니다 이런 개같은 명언때문에 노력하면 않될게 없다는 선생님 가르침때문에 이런말들이 좌절감을 준다
@kazaaship5 күн бұрын
잘 모르지만 저땐 사법고시 일년에 1~200명 뽑을때 아닌가요? 1차까지 합격했다는거보면 정말 똑똑하신건 확실하네요. 허긴 이미 서울대니 뭐 ㄷㄷ
@황호-s7s5 күн бұрын
윸칠십년대는 1년에 50-60명 사법시험 합격했는데 5공 때부터 합격자수가 300명 넘어섰죠 노무현대통령이 75년도에 합격했는데 그때 60명이었다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