잎이 노랗게 물이 들어 낙엽이 된다면 분명 뿌리에 문제가 있어 보입니다. 뿌리주위를 돌아가면서 파보시면 해답이 있을것 같아요. 물이차거나 벌레가 들었거나 병으로 뿌리가 썩어가거나 등등등. 일단 뿌리분 주위를 파보시기 바랍니다.
@윤승-h8u2 жыл бұрын
좋은 정보를 주심에 감사합니다. 질문이 있습니다. 굴취시 사용하는 고무줄, 철사는 이식시 제거하는 것이 정상으로 보는데 이에 대한 방송은 아직 보질 못했습니다. 답글을 부탁합니다.
@조경과구들장-c7t2 жыл бұрын
네 저희가 미군부대 시공전 감독승인시 식재후 고무줄과 반생이를 자르기로 했었는데 시공때는 자르지 못했습니다 제가 조경식재 시공을 십수년을 하면서 그때 단 한번을 제외하고는 고무끈 반생이 절단해야 한다고 지적하는 감독은 없었습니다 그냥 두는게 초기활착에 유리하고 장기적으로도 나쁘지않다고 보시는게 좋을것 같습니다 뿌리는 그사이로 뻗어 나가는데 큰 지장이 없는것 같기 때문 입니다 감사합니다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시청자들께 많은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참고로 고사목을 뽑아보면 고무줄이나 반생이가 뿌리발달에 장해가 되었다는 사실을 보게 됩니다. 그렇지 않은 경우가 더 많치만요.
@조로렌조 Жыл бұрын
@@조경과구들장-c7t 같은 분의 답변이 서로 상반되어 헛갈립니다. 아래의 두 말씀 중 어떤게 맞는지요? 그냥 두는게 초기활착에 유리하고 장기적으로도 나쁘지않다고 보시는게 좋을것 같습니다 뿌리는 그사이로 뻗어 나가는데 큰 지장이 없는것 같기 때문 입니다 참고로 고사목을 뽑아보면 고무줄이나 반생이가 뿌리발달에 장해가 되었다는 사실을 보게 됩니다. 그렇지 않은 경우가 더 많치만요.
@김복효3 жыл бұрын
삼층 아파트 앞에 느티나무 가 벌허 잎이 노랗게 변해갑니다. 다른 나무는 파란데요 살리는 방법을 알려주셩ᆢ
오랜 경륜과 경험을 알켜주셔서 감사합니다. 봄에 단감나무를 심었는데 며칠전에 보니 접목부위가 땅밑으로 들어갔습니다. 너무 깊이 묻혀 부득이 뽑아올려야 될것같습니다. 고압분무기로 땅속 여러방향으로 물을 주어 흙이 물렁물렁해지면 20cm 정도 위로 뽑아 올릴예정입니다. 잘 될지 모르겠습니다.
@조경과구들장-c7t Жыл бұрын
뿌리가 내렸으면 쉽게 되지 않을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wetubeon9516 Жыл бұрын
@@조경과구들장-c7t 감나무 50그루 제자리에서 약20cm 뽑아 올렸는데 나무 잎은 표시가 나지 않았습니다. 뿌리가 약간 끊기는 듯한 느낌이 있었습니다. 주변 온도 내린다고 스프링쿨러도 돌렸는데 좀 두고 기다려봐야 될것같습니다. 막걸리를 주면 술이 취해 나무가 모른다고도 하는데 막걸리를 구할 수 없어 그냥 작업했습니다. 며칠동안 낮에는 스프링쿨러를 돌려 온도를 낮출려고 합니다. 관심을 가져 주셔서 감사합니다.
@chevere8339 Жыл бұрын
영상 잘봤습니다! 50년된 사과 나무 이식 도중 마사라서 뿌리부분이 많이 날아가서 평평해졌는데요 직경도 30정도 되고 수고도 꽤 큽니다 일단은 가식을 해둔 상태인데 살릴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살리고 싶은데요ㅜㅜ
@조경과구들장-c7t Жыл бұрын
나무의사와 상담하시는게 좋을 거 같습니다 나무의사 김호빈 01062547777 감사합니다
@이현주-r5x2j2 жыл бұрын
고라니가 이쁘게 자라던 벗나무 껍질 을 다 벗겨 먹었어요? 치료할 방법이 없나요?
@조경과구들장-c7t2 жыл бұрын
아 안타깝네요 한번 상쩌 받으면 영원히 그상처가 남아요. 심하면 고사 합니다. 몆년 된 나무인지는 모르겠지만 다시 심는것을 고민해야 할것 같아요 감사합니다
@이현주-r5x2j2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
@솔러브-l6v2 жыл бұрын
6월경 너무 심한 솔잎치기로 20년된 소나무의 일부(1/2)가 잎이 빨갛게 마르고있습니다 어떤조치가 필요한가요? 조경한분께 얘기했더니 영양제를 두병 뿌려주고 기다려보자는데 너무 아끼는 나무라서 애가탑니다 살리는 방법 없을까요?
@조경과구들장-c7t2 жыл бұрын
전지 유인희선생 01062173212
@안준한-i3n2 жыл бұрын
좋은정보 고맙습니다.^^
@조경과구들장-c7t2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0450kmk2 жыл бұрын
동영상 잘 봤습니다. 작년 마사토를 성토하면서 잘크고 있는 밤나무 2개(약 3m 이상)를 이식했는데 둘다 가지가 다 말라 버려 죽은 줄 알았는데 각각 뿌리쪽하고 중간가지에서 가지가 나오고 있네요. 잎이 안나오는 가지들은 잘라 버리는게 좋은지 아니면 좀 기다려 보는게 좋은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새로 나오는 가지는 어떻게 관리해야 할까요?
@조경과구들장-c7t2 жыл бұрын
지금까지 안나왔다면 죽은가지 입니다. 고사지는 잘라줘야 상처부위가 아물수 있습니다
@밥먹자-l9d2 жыл бұрын
묘목을 심은지가 한달이 넘어가는중입니다 아직까지 싹하나 안나고 죽은것처럼 있어요 ㅠㅠ 그래서 비료도 희석해서 뿌리고 최대한 토양환경을 개선하려고 노력했는데 과연어떻게 해야할까요??일단 코코피드멀칭도 시작하고 물도 듬뿍주는중입니다.
@조경과구들장-c7t2 жыл бұрын
품종에 따라 다르긴 한데 아직까지 안난다면 자세히 살펴보아야 합니다
@밥먹자-l9d2 жыл бұрын
@@조경과구들장-c7t 일단 지켜보면서 상태를 보려구요 몇몇묘목은 가지가 검은색으로 변질되던데 잘라내야하나요?
@서정수-t7z2 жыл бұрын
주목나무 가지에 곰팡이처럼 덮여서 잎이 노란 떡잎이 생겼다가 가지까지 말라 버리는데 어떻게 해야 될까요? 조언 부탁드립니다.
@조경과구들장-c7t2 жыл бұрын
naver.me/Fjo9OTwv
@paradise-id2yg8 ай бұрын
혹시 목련나무도 뿌리돌림이 필요할까요? 이번봄 4월초에 4그루 이식했는데 다 죽어갑니다.. 같은시기 다른 나무들은 무성하게 잎이 났거든요.. 한곳에서 구매한 목련들만 다 죽어가네요
@조경과구들장-c7t8 ай бұрын
작은 목련은 이식이 잘되는데 큰 목련은 뿌리를 자르면 병이 생깁니다.
@huefactory78952 жыл бұрын
시원시원하신 설명 잘 들었습니다. 도움되는 내용 잘 배우고 갑니다. 구독 좋아요,,꾹 누르고 정원일로 자주 소통해요!!
@조경과구들장-c7t2 жыл бұрын
네 감사합니다
@빈.배2 жыл бұрын
구들장님 2022년2월 산감나무(근령50추정) 건강한 세순이 마니나왔습니다 분 위에 유박쪼금살포는 어떨련지요?
@조경과구들장-c7t2 жыл бұрын
분재는 고가품이라 조경수와 조금 다른것 같습니다 일반적으로 조경수는 식재후 6개월정도 지나면 새뿌리를 받기 때문에 유기질 무기질 비료를 시비합니다 감사합니다
@빈.배2 жыл бұрын
@@조경과구들장-c7t 구들장님 문의드린. 답변 감사합니다
@조경과구들장-c7t2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이황소-j3o2 жыл бұрын
묘목심고 복합비료 줘도다는지요?
@조경과구들장-c7t2 жыл бұрын
복합비료는 나무가 뿌리를 완전히 박고나서 주시면 되겠습니다. 대충 식재한지 6개월 정도지나서요. 유박은 바로 줘도 되지만, 미성숙 거름들은 그때부터 주시면 되겠습니다.
@박종근-i9m2 жыл бұрын
사장님 조경공부 많이 하셨군요. 심식으로 사망원인은 수정하셔야 될듯요.^^ 심식으로 나무가 죽는 원인은 토압으로 죽는게 아니고, 통기성이 나빠 산소부족으로 죽을검니다.
@조경과구들장-c7t2 жыл бұрын
네 감사합니다 시청자님들께 많은 도움이 될것 같습니다 날이 찬데 건강 조심하시고 안전운전 하세요
여름철에 단풍 이식할려면 몽둥이를 만들어야 살릴수 있습니다 아니면 잎을 90%이상 따줘야 그나마 살 가능성이 있어요. 그리고 수핌에 진흙이나 황토마대를 발라 수분이탈을 막아주기도 하지요 감사합니다.
@point14402 жыл бұрын
유익한 정보 시간가는 줄 모르고 잘 보았습니다~ 저희 집 새로 쌓은 축대를 따라서 2022년 5월 침엽수종인 파스티기아타를 1.5미터짜리 20그루 심었는데 잘 자라다가(1.7미터정도로 자랐고 관수장치도 해 놓았습니다)장마가 끝나고 날이 추워지자 아랫잎과 속잎부터 잎이 누렇게 되면서 마르고 있네요...조금은 황엽현상이 있다고하는데 그 누렇게 되는 속도와 비중이 너무 커져서요~~배수문제인가요? 아니면 어떤 문제인지요?...회복할 방법은 있겠는지 궁금합니다~
@조경과구들장-c7t2 жыл бұрын
일단 뿌리분 주변을 깊이 파보세요. 잔뿌리상태를 보시면 답을 찾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감사합니다
@이아지-w2c3 жыл бұрын
20년된 나무가 죽어갑니다. 어떻게 살려야하지요? 저는 전라도 광주인데 영상속의 전문가님과 소통하고 싶네요.
@조경과구들장-c7t3 жыл бұрын
01062173212 전지 유인희선생 감사합니다
@이아지-w2c3 жыл бұрын
이미 고사가 되가는데 오늘 나무에 뒷길을 물길로 터줬는데 되살릴수있지요?
@조경과구들장-c7t3 жыл бұрын
고사가 된것은 살릴수 없습니다 그렇지만 지금이라도 배수관리는 해주는게 좋을것 같습니다
@이대희-g7i2 жыл бұрын
선생님 4월에 3m정도 편백나무 심었는데 나무가지가 쳐지른현상은 왜그럴까용?
@조경과구들장-c7t2 жыл бұрын
지역이 어디신가요? 편백은 해양성기후에 적응력이 높지만 내륙 기후에는 잘 적응하지 못하는것 같습니다 저희도 상주영천고속도로 노선변에 300주정도 심었는데 거의다 몰살하고 30주 정도만 살아 있습니다.
@이대희-g7i2 жыл бұрын
군산인데 80주정도 심었습니다 그중2~3주가그렇습니다 답변감사드립니당
@조경과구들장-c7t2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박정제-m9o2 жыл бұрын
황토에서는 이식한 나무가 잘 자라기 어려운가요?? 반드시 마사토에서 나무를 심어야하는지 궁금합니다! (황토는 물 빠짐이 좋지 않다고 하는데 황토에서도 잘 키울 수 있는 방법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
@조경과구들장-c7t2 жыл бұрын
네 황토에서는 뿌리가 숨을 못쉬기 때문에 잘 자라지 못합니다 마사나 모래, 거름을 많이 섞어서 물빠짐이 원활하고 보습력을 높여야합니다. 감사합니다
@박종근-i9m2 жыл бұрын
옮겨심은 나무들의 뿌리활착은 마사나 모래가 좋지만 , 점질토에서는 심을때 물조임후 물집을 없애고 장마철에는 비닐로 뿌리분의 비가림이 필요합니다. 활착후에는 황토흙이 영양분과 미량원소가 많아서 성장이 빠르고 더욱 크게 자람니다.
@조경과구들장-c7t2 жыл бұрын
캬 정말 중요한 정보를 남겨 주셔서 감사합니다 시청자들께 많은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이재영-s7j2 жыл бұрын
고사목은 어떠게 구별하나여?
@조경과구들장-c7t2 жыл бұрын
잎이 갈색으로 변하면 죽은겁니다. 소나무는 중상이 나타나기 이전부터 이미 죽어가고 있어서 눈에 보이면 늦은경우가 많습니다. 감사합니다
@이재영-s7j2 жыл бұрын
활엽수 는 고사목은 어떠게 구분 하나여?
@조경과구들장-c7t2 жыл бұрын
멀리서보면 줄기가 모이면서 꼬부라져 금방 표시가 납니다.
@인문학여행 Жыл бұрын
폐콘크리트의 독성 등 토양오염으로 인한 고사도 있지 않을까요
@조경과구들장-c7t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사랑나무-r7d Жыл бұрын
굴취 잘못(작업자 수준 및 장비 수준), 식재후관수시 배수가 잘 되어야되고, 토양, 병충해가 고사이유의 전부인듯하네요..
@조경과구들장-c7t Жыл бұрын
지적해 주셔서 감사드려요
@TV-ej4ne3 жыл бұрын
소나무 잎끝이 마르는 이유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조경과구들장-c7t3 жыл бұрын
전지유인희선생 01062173212 전화해서 문의해 보세요 감사합니다
@박태훈-p6n3 жыл бұрын
항상 공부시켜 주셔서 감사합니다
@조경과구들장-c7t3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최사랑초2 жыл бұрын
앵두가 잘열리던 나무가 지난해반쪽이 얼어죽더니 나머지 반쪽은올봄살아 꽃이피다 죽어버렸어요 뭔일일까요 뿌리쪽에서 새가지들이 많이 나와있는데 죽은나무 베어내고 새순을 키워도 될까요?
@조경과구들장-c7t2 жыл бұрын
올해는 봄가뭄이 심해서 죽었을수도 있습니다 저희도 단풍나무가 죽었어요. 보리수나무 대목에 앵두나무 접목하는경우도 많습니다. 일단 한번 키워보세요.
@이인수-k1s3 жыл бұрын
대가리가 말라서 죽었다는 말씀에 빵터졌유
@조경과구들장-c7t3 жыл бұрын
ㅎ 감사합니다
@추미영-x9g3 жыл бұрын
선생님 4천평의 땅에 나무를 심고 싶은데 논을 밭으로 한 땅입니다 나무를 추천해 주실 수 있으신지요?
@조경과구들장-c7t3 жыл бұрын
토양 토질 지역에 따라서 권장 수종이 있을것 같아요 지자체 산림과와 산림조합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이아지-w2c3 жыл бұрын
꼭좀 전화통화하고 싶어요.
@조경과구들장-c7t3 жыл бұрын
01062173212 전지 유인희선생
@이아지-w2c3 жыл бұрын
고맙습니다. 밤이라 낼 아침에 사진을 찍어 보낼께요. 여기는 광주에 빌라1층입니다.
@황광모7 ай бұрын
죽어가는 비싼단풍나무 살리는 방법없을까요? 연락처 부탁합니다
@조경과구들장-c7t7 ай бұрын
주위의 땅을 돌아가면서 깊게 파보세요 뿌리가 죽었거나 병에 감염되었을 가능성이 높아요. 감사합니다.
@인생뭐있어-b6p2 жыл бұрын
영상 감사합니다 ~ 저희집 마당에 약20년된 단풍나무가 있는데 3년전부터 일부가지가 말라죽더니 올해부터는 가지중 반이상이 죽어가고 있습니다 ㅠㅜ 혹시 치료방법이 있을까요?
@조경과구들장-c7t2 жыл бұрын
뿌리주변을 파보시면 해답을 찾을수 있습니다 나무에서 1미터 원을 따라서 합삽깊이로 파보세요. 99프로 물이 차거나 벌레가 들었거나 병이들엏을것으로 보입니다.
@인생뭐있어-b6p2 жыл бұрын
@@조경과구들장-c7t 감사합니다 🙏 말씀하신대로 해보겠습니다. 참고로 나무주변에 예전 우물이 있는데 물이 항상 차있네요 ㅠㅜ
@조경과구들장-c7t2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인생뭐있어-b6p2 жыл бұрын
죄송하지만 한가지더 문의드립니다 ㅠㅜ 단풍나무 3~4미터 근처 우물에 물이거의 꽉차 있습니다. 혹시 우물을 계속 퍼내면 도움이 될까요? 아니면 다른 방법이 있는지 조언 부탁드립니다 ㅠㅜ
@조경과구들장-c7t2 жыл бұрын
지하수위를 낮출수 있는 방법을 찾아 보세요. 가장 적은 비용 으로 할수 있는 방법이 좋겠지요. 도랑을 판다거나 유공관을 묻는다거나 물줄기를 돌려서 지하수위가 나무가 선 주변의 지표면에서 1~1.5m 정도까지 낮추어 주는게 좋겠습니다
@재식심-j9j2 жыл бұрын
반갑습니다 연락처 알수있을까요 궁금한게있어서요
@조경과구들장-c7t2 жыл бұрын
조경과구들장 010-7345-0386
@yeongyeoncho562 жыл бұрын
뿌리 쪽에 붙은 흙이 떨어져 나가까봐 감싸놓은 고무줄이나 잘라내고 심으면 새 아파트 단지에 죽은 나무는 없을 겁니다. 그것 하나만 제대로 해도 됩니다. 심는 인부들 보면 욕해주고 싶어요. 조경업자들 농간 아닌지 몰라!
그런 업자가 있을거라 생각하지 않습니다. 만약 있다면 그건 인간이 아니지요. 의견 주셔서 감사합니다.
@조로렌조 Жыл бұрын
1. 목대가 놀았을 때 2. 죽쑤기(물조임) 3. 병충해 감염 1. 충분한 관수를 해 주지 않았을 때 2. 이식 부적기 보완조치를 제대로 해 주지 않은 것 3. 심식 4. 뿌리를 너무 많이 잘라 5. 뿌리 돌림이 반드시 필요한 수목에 대해 해주지 않을 때: 이식 곤란 수목, 거목이나 고목, 뿌리 발육이 불량한 나무, 쇠약해진 나무, 귀중한 나무, 개화나 결실을 촉진하기 위함, 건전한 묘목이나 수목을 육성하고자 하는경우) 6. 죽쑤기(물조임) 7. 지주목을 제대로 세우지 않아 8. 배수가 불량한 토양 9.미숙퇴비나 계분을 과다시비 10. 토양의 침식으로 뿌리가 노출 와 대단한 영상입니다. 이식에 대해 이보다 더 실제적이고 체계적이고 확실한 영상이 있을까 싶네요. 대단히 감사합니다.
@조경과구들장-c7t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이한선-i2e3 жыл бұрын
죽쑤기가뭐냐
@조경과구들장-c7t3 жыл бұрын
네 불편하신가요? 제가 조경기능사, 산업기사, 조경기사시험치르고 기술사 준비하면서도 항상 사용하는 공식 명칭 입니다. 물조임이라고 하기도 하지만 죽쑤기라 표현하는게 맞는말입니다. 지적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skwon15263 жыл бұрын
다 유익한 정보인데, 딱 하나 잘못 하신 게 있네요. 아름다운 우리 한글 "줗아요!"를 의도적으로 "조아요!"로 학대하신 겁니다. 지하에 계신 세종대왕께서 어여삐 안 보실 겁니다. 한글 좀 좀 제대로 자랑해 봅시다.
@조경과구들장-c7t3 жыл бұрын
지적 감사합니다 수정해야 하는데 늑장부리다가 시청자님께 심려를 끼쳤습니다. 앞으로는 수정하도록 준비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