낭만이었다…☆ 그 시절 폭파 해체, 사실은 괜찮은 녀석이잖아?|크랩

  Рет қаралды 81,577

크랩 KLAB

크랩 KLAB

3 ай бұрын

#크랩 #폭파 #발파 #kbs뉴스
펑! 펑! 펑! 1990년대, ‘선진 공법’이라며 도심에서도 주로 사용했던 발파 해체.
많은 사람들이 모여, 교통체증까지 일으킬 정도였어요.
그런데 지금은 도심에서 찾아보기 너~무 어려운 발파해체.
대체 무슨 일이 있었길래… 꼭꼭 숨었을까요?
그 이유를 크랩이 알아봤습니다.

Пікірлер: 177
@mprojceter3469
@mprojceter3469 3 ай бұрын
옛날 건물들은 조금 오래 걸리지만, 요즘 건물들은... 움.... 손쉽게 털수 있지 않을까요
@spinix8210
@spinix8210 3 ай бұрын
순살인데 뼈도없는걸 뭘 그래오래 하는지...
@ghsdkahfgfsdsafjjk3130
@ghsdkahfgfsdsafjjk3130 3 ай бұрын
@user-pl5pu6it5x
@user-pl5pu6it5x 3 ай бұрын
아무리 철근이 빠져도 옛날 건물보다 많이 들어가요
@khd5031
@khd5031 2 ай бұрын
뭔착각을하는지 모르겠는데 90년대이전건물들은 내진설계 적용이안되서 철근양도적고 천장이자 바닥부분인 층경계부분에 콘크리트말고 그냥 흙때려넣은데도 꽤있어서 존나 잘뿌서지는데 90년대이후부턴 구식공법다버리고 안전관리도 빡쎄져서 너님들생각하는거보다 건물이 훨씬딱딱함
@user-xv4wf1sq9e
@user-xv4wf1sq9e 2 ай бұрын
예전 건물이 더 심하다~
@user-ki2ec5ug5g
@user-ki2ec5ug5g 3 ай бұрын
알보칠같은거지 한달동안 지속될 고통을 단 한방에...
@user-im4mz1nd7s
@user-im4mz1nd7s 3 ай бұрын
그냥 폭파해체 하자.. 중장비기사 철거하다가 깔려죽는거 한두번이냐...
@cometskim6070
@cometskim6070 3 ай бұрын
그게 싸 사람이 쌈
@jjlee5629
@jjlee5629 3 ай бұрын
기업 입장에서는 사람 목숨도 그저 경제적으로 환원될뿐...
@yongsunlee9451
@yongsunlee9451 3 ай бұрын
시간, 돈, 인부들 안전, 소음을 따졌을때 재래식 보다는 발파식이 답인거 같다!
@0.K.J.W.0
@0.K.J.W.0 3 ай бұрын
쉽고 깔끔한 방법이 있는대 비용을 더 들여서 몇개월 동안 하나하나 해체하듯이 한다면 진짜 짜증날듯 딱한번 큰 먼지보다 위험한건 몇개월동안 건물 해체한다도 날리는 먼지가 더 위험할듯
@ImEugene1109
@ImEugene1109 3 ай бұрын
조선총독부가 레전드죠ㅋㅋ +) 몰랐던 것 가르쳐주셔서 감사합니다(총독부 건물은 폭파 해체 ×)
@user-ck2op8ct3m
@user-ck2op8ct3m 3 ай бұрын
걍 쓰지 외 아깝개 그랬을까?
@adidas566
@adidas566 3 ай бұрын
그건 폭파한거 아님 하나하나 해체함
@jjwoo317
@jjwoo317 3 ай бұрын
​@@user-ck2op8ct3m 일본이 제대로 사과도 안 했는데 뭐하러 총독부 건물을 남겨두냐??? 심지어 독일인 방송인 다니엘도 역사저널 그날에서 총독부 건물 철거는 잘한 일이라고 했는데??? ㅋㅋㅋㅋㅋ
@user-jl6hn7nb9r
@user-jl6hn7nb9r 3 ай бұрын
​@@user-ck2op8ct3m 어차피 상징성이나 그런건 크게 의미가 없고 실제론 경북궁 복원과정에서 철거된겁니다.
@dkrkflEh
@dkrkflEh 3 ай бұрын
@@jjwoo317 다니엘이 예수냐 ㅋㅋㅋㅋㅋㅋㅋㅋ 개웃기네
@Law_MJ
@Law_MJ 3 ай бұрын
04:30 거의 '그 건물' 저격 질문 아님? ㅋㅋㅋㅋㅋ
@user-mi3hv1sx5p
@user-mi3hv1sx5p 3 ай бұрын
저기 영상에도 나오는 대림산업(현 DL E&C) 재직자 입니다. 94년도면 지금 부서에서 짬킹이신 부장님들 사원 시절인데, 아니 선배님들 우리는 안시켜주고 자기들만 재밌는거 하고 사셨네;;
@bbingf
@bbingf 3 ай бұрын
1:25 94년에 IMF 안왔어요 / 영상 수정됨
@user-mw2wz1mf2i
@user-mw2wz1mf2i 3 ай бұрын
IMF는 1997년 겨울에 왔어요!
@agent_urus
@agent_urus 3 ай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
@ACE49490
@ACE49490 3 ай бұрын
이게 뭔소리임? 누가 94년도에 IMF왔다고 한적있음? 영상을 수정한건가
@dear.s
@dear.s 3 ай бұрын
영상 수정된거임?
@westflower
@westflower 3 ай бұрын
주저앉았다를 기업이 망했다로 해석하신듯 하네요. 주저앉다를 건물이 무너졌다는 의미로 해석하시면 될 듯 합니다.
@gwonmobae3210
@gwonmobae3210 3 ай бұрын
비용,소음,분진 생각하면 발파로 단시간에 끝내는 게 편하지
@hoonysseong3915
@hoonysseong3915 2 ай бұрын
저때는 밀집되어있는곳이 많이없어서 저런 공법을 했겠지만 지금은 밀집되어있는 곳이 많기도 해서 어려울듯
@Coconut37261
@Coconut37261 3 ай бұрын
광운대역 시멘트 사일로가 큰 건축물은 아니지만 22년에 발파해체 되었습니다.
@user-cw5px2cm2t
@user-cw5px2cm2t 3 ай бұрын
발파공법은 빠르고 빠른 재건축을 할수 있지만 산에 지어진 지역 같은경우 위험함 그 흙들이 밑으로 쓸려 내려갈수도 있어서...
@fodr6542
@fodr6542 3 ай бұрын
브레이크~~ 브레이크~~ 아나타노 마치노~~
@Life_Is_Science
@Life_Is_Science 2 ай бұрын
주위 피해를 안끼치는 조건에서 하면 발파해체는 좋은 방법인 것 같음
@yyhk_007
@yyhk_007 3 ай бұрын
순딜이냐 지딜이냐 차이인데 순딜이 나을거 같기도
@user-nx3jr8je9m
@user-nx3jr8je9m 3 ай бұрын
전에 학교에서 대학진학 상담할때 건물 폭파 전문가랑 조선업 관련 학과 추천해 주셨는데 말 안듣길 정말 잘한 것 같네요
@Boogunn
@Boogunn 3 ай бұрын
외가집 근처 태풍매미 해체쇼가 어마어마했었어요
@user-ps6gr3tt9f
@user-ps6gr3tt9f 3 ай бұрын
옛날하고 지금은 다르다 지금 밀집되어 있어 잘못 해체하면 큰 소송 걸릴 수 있다
@user-rj6gm2hx4b
@user-rj6gm2hx4b 3 ай бұрын
벽식으로 지으니까 수도관이랑 전선 노후화로 무너뜨리는거지. 기둥식으로 지어서 보수하면서 쓰면 되는데.
@user-lw9if5sm8n
@user-lw9if5sm8n 3 ай бұрын
채험 삶의 현장에서 철거현장을 방송한적이 생각하고 있어요.
@user-dw5st2pf4b
@user-dw5st2pf4b 3 ай бұрын
폭발은 예술이다...
@user-kt2yn4gu2m
@user-kt2yn4gu2m 3 ай бұрын
너는 진짜 십덕이구나?
@user-se2xk4ou1j
@user-se2xk4ou1j 3 ай бұрын
폭발은 예술이죠 ㄹㅇ..
@CrayonPop2
@CrayonPop2 3 ай бұрын
카츠!!!!!
@user-kt2yn4gu2m
@user-kt2yn4gu2m 3 ай бұрын
@@CrayonPop2 돈카츠!
@InOS-ex6hb
@InOS-ex6hb 3 ай бұрын
저 엄청난 무게가 한번에 지반으로 가해지면 지하철이나 주변에 영향이 안 갈 수가 없죠
@user-yp2te7uf7g
@user-yp2te7uf7g 3 ай бұрын
먼지랑 소음 때문에 못하는거 게다가 건축 도면 따라서 폭파 방식 폭약양이 달라지는데 부실시공 이 도면 이랑 다르게 지은거라서 할수나 있으려나?
@user-my8nw7om9z
@user-my8nw7om9z 2 ай бұрын
먼지랑 소음은 탑다운이 훨씬 심하다 ㅇㅇ 문제는 폭파할때 압력이지
@hhyanx
@hhyanx 3 ай бұрын
오 와르르맨션
@wujingim297
@wujingim297 3 ай бұрын
국내 도심의 어느 건물을 1층부터 파괴하고 윗 부분응을 다시 아래로 내리는 방법으로 해체한 영상 기억나네요.
@easycafe6963
@easycafe6963 3 ай бұрын
가장 기억에 남는 장면은 남북 연락사무소 폭파 장면이쥐
@DBdusBBPS
@DBdusBBPS 3 ай бұрын
남은건 정은이가 다 먹었단 말이야
@PLUTONIUM1228
@PLUTONIUM1228 3 ай бұрын
아 ㄹㅇ ㅋㅋ
@user-fc2mv4uw1i
@user-fc2mv4uw1i 3 ай бұрын
3:24 이건 선인체육관 아닌가요?
@jjs0802
@jjs0802 2 ай бұрын
인천전문대 졸업생입니다. 선인체육관 맞구요 왼쪽 아래에 있던 인문사회학부 강의동까지 철거해서 그 자리에 현재는 아파트가 들어섰지요.
@user-rf7yt9ep5l
@user-rf7yt9ep5l 3 ай бұрын
비올때 하면 소음 분진 다 잡을 수 있지 않나?
@user-zv9lu8nk3x
@user-zv9lu8nk3x 3 ай бұрын
발파해체 안해도 새로 짓는 건물로 무너지는데 우리나라는 걱정 없음
@user-ky5do8fy9j
@user-ky5do8fy9j 3 ай бұрын
건물이 커질수록 발파해체가 더 효율적인거같네요
@NewRepublic4137
@NewRepublic4137 3 ай бұрын
일장일단이지. 발파하면 폭발 + 붕괴 등등 사람이 안전에 만전을 기하려 하고 한 번에 터뜨려 무너뜨리면 남는 건 잔해를 걷어내는 거 뿐이니 더 안전해지지만 분진이 심해지고 깎아내리면 분진이 덜해지지만 사람 목숨이 더 위험해지니 이러나저러나 사람 목숨을 깎는 공법인가.
@user-xb1yn3vn9c
@user-xb1yn3vn9c 3 ай бұрын
깍아내리는 방식도 중장비 기사들 콘크리트에 깔려죽는 사고 많아요 위험도는 오히려 제래식이 더 위험할수도 있어요
@TeemoRing
@TeemoRing 3 ай бұрын
먼지야 폭파가 순간적으론 더 생겨도, 탑다운하면서 사용되는 중장비의 누적 환경오염 생각하면 폭파가 훨씬 친환경적일 듯
@user-ki7ne4ws2f
@user-ki7ne4ws2f 2 ай бұрын
후자의 분진총량이 더 많다잖슈
@user-hd3no2wn9j
@user-hd3no2wn9j 2 ай бұрын
개인적으론 발파철거 찬성... 비오는날 잡아서 하면 비산 먼지도 잡을수 있겠네...
@javaxerjack
@javaxerjack 2 ай бұрын
토목과 건물 공사는 시간이 돈이니 이게 더 경제적일 수 있겠네요.
@yangwol
@yangwol 3 ай бұрын
폭파엔딩~
@geny1
@geny1 3 ай бұрын
1:33 1994년 imf요 ??
@user-qe1zj1no1h
@user-qe1zj1no1h 3 ай бұрын
1년 고통받기 VS 개빡세게 하루 고통받기
@user-xs7rz9dg5v
@user-xs7rz9dg5v 3 ай бұрын
폭발은 예술이지
@user-zq7nr9th1b
@user-zq7nr9th1b 3 ай бұрын
그때는 이게 리얼 블록버스터라고 ㅋㅋㅋㅋㅋ
@user-lw8iy4pq4w
@user-lw8iy4pq4w 3 ай бұрын
건설도 개판으로 하는데 철거라고 제대로 할거라 생각하나? 불법증축이나 부실시공으로 변수값 안맞으면 그대로 훅갈수도 있는게 발파시공인데 괜히 안하는게 아님 중소기업이 잘못건들였다간 인명사고나면 형사로 바로들어가는데 무슨 배짱으로 도심에서 발파를해 ㅋㅋㅋㅋ
@keemzuno
@keemzuno 3 ай бұрын
발파해놓고 주변 건물에 금가거나 피해 생기면 나몰라라 해버리니 문제지..
@OrangeNet
@OrangeNet 3 ай бұрын
1년내내 포크래인으로 탕탕 거리는거 들을거 생각하면 아찔하네 그냥 발파가 낫겠는데?
@user-cg4ls8nm3c
@user-cg4ls8nm3c 3 ай бұрын
일본에서는 밑에서 철거를 하던데....
@8xsoldier
@8xsoldier 3 ай бұрын
63빌딩이나 롯데타워같은것도 언젠간 철거해야 될텐데 그땐 어떻게 하나?
@khd5031
@khd5031 2 ай бұрын
인구밀도 적은나라에서나 보편적으로쓸수있지 한국같이 건물촘촘하고 전기선겁나 얽혀있는 이나라에선 더위험함
@user-fy2ig3ks4d
@user-fy2ig3ks4d 3 ай бұрын
특히 광주 학동 사고는 철거 계획을 수립 하지 않으면 엄청난 인명피해가 날수 있습니다. 안전조치만 한다면 큰문제는 없다고 봅니다. 그리고 남강 구댐 여수로 사천만 제수문을 발파 해체했습니다.
@user-xe2lx7kf6y
@user-xe2lx7kf6y 3 ай бұрын
영상 출처가없네 어디서 퍼날라서 쓰는거임??
@coldmoon9653
@coldmoon9653 3 ай бұрын
페이스북에 수정되기전 틀린영상 올라가있으니까 수정해주세요 1994년에 라이프그룹이 IMF로 망했다고 말하고있네요. 검토좀 잘 하시지
@bluenike
@bluenike 3 ай бұрын
폭☆8
@Santiago-4545
@Santiago-4545 2 ай бұрын
90년대 중반 일제 잔재의 중심이던 조선총독부 건물도 전체 폭파 기법을 통해 해체되었죠
@12one56
@12one56 3 ай бұрын
썸네일 보는순간 조선총독부가 제일 먼저 생각났는데 이 영상에는 담겨있지가 않군요
@user-fr5yk1pc1s
@user-fr5yk1pc1s 3 ай бұрын
그 장면 넣었다가 압수 수색 당할지도
@user-zb1wc5xc2v
@user-zb1wc5xc2v 3 ай бұрын
@@user-fr5yk1pc1s압수수색이란닼ㅋㅋ 애초에 조선총독부는 폭파해체된 건물이 아니란다..뒤에 바로 경복궁있는데 어케 폭파시켜 첨탑위에서 행사하며 폭죽 터뜨린게 와전된거야
@12one56
@12one56 3 ай бұрын
​@@user-zb1wc5xc2v아 제가 여태까지 잘못알고 있었군요 죄송합니다
@user-zb1wc5xc2v
@user-zb1wc5xc2v 3 ай бұрын
@@12one56 조선총독부는 뒤의 경복궁 훼손을 막기위해서 기존공법으로 매우 천천히 철거되었어요 첨탑 등 건물 잔해 일부를 독립기념관으로 옮긴것 빼고는 다 폐기 됐죠 많은 분들이 폭파했다고 알고 계시더라고요
@ppuee
@ppuee 3 ай бұрын
kbs 니까요
@user-wi3gx5jq6i
@user-wi3gx5jq6i 3 ай бұрын
동방마트 아시는 분?
@i-love-mintchoco
@i-love-mintchoco 3 ай бұрын
홍명상가랑 동방마트 ㅋㅋ 오랜만이네요
@purehundred
@purehundred 3 ай бұрын
중앙데파트
@UltraLowSpecPC
@UltraLowSpecPC 3 ай бұрын
뭐 한국인이 겁나겁나 좋아 할 스타일이기는 하네요
@kim-mart
@kim-mart 3 ай бұрын
@user-hanger0998
@user-hanger0998 3 ай бұрын
건물 세우는 것도 그렇게 하는데 뭘 믿고 폭약을 줘야 하는지 왠지 폭약도 관리 실패해서 누가 빼돌린 다음에 사고낼거 같아서 반대한다
@dndnpdp20
@dndnpdp20 3 ай бұрын
응 아니야 시스탬적으로 못빼돌려 설사 누가 빼돌렸다고 해도 폭발시킬수 조차 없음 시스탬이 그래 울나라에서 폭약사고나는데는 폭약공장이랑 군대밖에 없다
@jsk3013
@jsk3013 3 ай бұрын
​@@dndnpdp20저런 건 기폭시키는 장치도 따로 있지 않음??
@user-sp9yn3ol8t
@user-sp9yn3ol8t 3 ай бұрын
@@jsk3013 네 발파기가 따로있어요
@blendingtea
@blendingtea 3 ай бұрын
발파하니까 웹툰 생각나네
@user-jl8jk3vy6q
@user-jl8jk3vy6q 3 ай бұрын
폭발은 예술이다
@Ycmjg37143
@Ycmjg37143 3 ай бұрын
조선총독부 폭파가 레전드에요. 그리고 발파해체 자체가 문제가 아니라 재래식공법을 쓰면서 건물 아래를 파서 무너뜨리게 하는 공법을 쓰는데들이 은근히 많고 그걸 발파공법이라고 주장하는 업체들이 워낙 많다보니 신뢰도가 떨어진 거라고 보시면 될 것 같아요. 기둥식구조인 일본이야 무언가로 고정해놓고 아래부터 파는 방식으로 철거할 수가 있는데 우리나라는 벽식구조라 그렇게 아래부터 철거하면 큰일납니다. 사실 조선총독부도 철거될 때 건물 아래를 파서 건물이 쓰러지게 만드는 방식을 사용해서 쓰러지면서 해체된 거라고 합니다. 영상으로 봤을 땐 폭약이 터져서 무너지는 것처럼 보이지만 자세히 보면 폭약을 안 쓰고 건물 아랫부분을 파서 건물이 무너지도록 하는 방식을 쓴 거에요. 폭파면 바로 내려앉아버리죠. 조선총독부 철거영상을 자세히 보면 건물 아래쪽부터 금이 생겨 갈라지는 것을 볼 수가 있어요.
@gjdbsgudable
@gjdbsgudable 3 ай бұрын
제일 폭파시키 싶은 건물은??
@user-kc1rl3qb9f
@user-kc1rl3qb9f 3 ай бұрын
외인아파트 발파 집에서 본 1인
@user-wc7yd3cu1t
@user-wc7yd3cu1t 2 ай бұрын
폐교 학교는 발파식해서 없애면 좋을거 같은데... 애기들도 0.6밖에 안나으는데 뭐...
@Jiyoung_Ahn
@Jiyoung_Ahn 2 ай бұрын
차라리 5층에서 9층은 탐 다운 공법 으로 하고 10층에서 15층은 발파식으로 하자 ㅋㅋ.
@user-sp9yn3ol8t
@user-sp9yn3ol8t 3 ай бұрын
나도 화약류보안책임자 면허 있지만 국내에서는 석산이나 건설현장 발파경우 제외하고는 폭약으로 건물해체는 드물고, 그런 기술력은 전문업체들 (한화,고려노벨)이 가지고 있어서 경험자들도 별로 많이 없음
@Todaymusic27
@Todaymusic27 3 ай бұрын
요즘은 순살이 대세라 자연적으로 해체 됩니다.
@Hosei_kun
@Hosei_kun 3 ай бұрын
광주 화정 아이파크가 왜 발파공법을 안썼는지 대충 이해는 되네여
@user-yp3py1cj9o
@user-yp3py1cj9o 2 ай бұрын
발파없이도 현제까지 잘 무너 뜨리고 있지.그것도 1군에서 말이지. HDC밑으로 집합!
@TeemoRing
@TeemoRing 3 ай бұрын
5층 이상 건물은 그냥 폭파해체해라..
@ch_kim250
@ch_kim250 3 ай бұрын
장마철에 하면 좀 좋지 않을까요??? ㅋㅋ
@Werewolf_Swordsman.Nickel
@Werewolf_Swordsman.Nickel 3 ай бұрын
발파식 안 하는 이유가 분진이랑 위험성 때문이라나
@0.K.J.W.0
@0.K.J.W.0 3 ай бұрын
그게 참 웃긴게 발파식은 적어도 일시적으로 분진이 한번 엄청크게 나오는거지만 건물을 해체하듯이 하는 방식은 몇개월 동안 계속 분진이 발생됨 또 발파식이 의외로 주변에 크게 위협이 되지 않는 경우가 큼 그만큼 안정적으로 설비하기 때문이죠
@ksj261
@ksj261 3 ай бұрын
하루 빨리 kbs 여의도 사옥도 발파 해체 했으면 좋겠습니다.
@user-ki1dw7gy8h
@user-ki1dw7gy8h 3 ай бұрын
왜?
@user-id6nw7jb3l
@user-id6nw7jb3l 3 ай бұрын
ㄹㅇ 왜?
@22siwoo81
@22siwoo81 3 ай бұрын
진짜 왜 그러는거임? 자신의 정치 성향을 들어내는건가 아니면 그냥 무정부주의자세요?
@msk6276
@msk6276 3 ай бұрын
옛날 건물들은 내장재로 석면도 많이 썼을건데 그 가루들을 온 서울에다가 날려버림. 석면은 확실한 발암물질로 제거하는거 보면 거의 방사능 방호복같은걸 입고 함
@user-pd2me2er5m
@user-pd2me2er5m 3 ай бұрын
요즘은 자동으로 붕괴되던데 ㅋㅋㅋㅋ
@sangbakal
@sangbakal 2 ай бұрын
뭐 기억을 더듬을것까지 있나ㅋㅋㅋㅋ 북한이 개성공단 연락사무소 폭ㅋ파시켜버린게 가장 최근일건데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changhoonkang31
@changhoonkang31 3 ай бұрын
뭔 94년에 IMF가... 매번 크랩 영상마다 하나씩 뭔가 부족함.
@dsfhsdfh3456
@dsfhsdfh3456 3 ай бұрын
돌멩이가 막 100미터씩 날라오는거 보면 식겁함 발파해체가 요즘 시공사들 방식으로 한다고 하면 조만간 또 크게 터지겠지;;;
@user-yj3in1li3v
@user-yj3in1li3v 2 ай бұрын
발파가 좋다고 해도 우리나라에 들어오면서 k패치 당하고 건물뿐아니라 사람도 잡는 공법되는거 아닌가 몰라....
@baekjason6386
@baekjason6386 3 ай бұрын
첨단은 개뿔 주변 먼지 초토화 어쩔
@user-tn2wp3bj4c
@user-tn2wp3bj4c 3 ай бұрын
퍽이나 잘도 안전하게 하겠다
@kevin-king777
@kevin-king777 3 ай бұрын
북한이 이랬었죠. 힌트:개성공단
@baza3467
@baza3467 3 ай бұрын
조선총독부 발파가 최고죠
@pcahxj
@pcahxj 2 ай бұрын
성남은 건물도 찢고 간판도 찢네
@inthemine2
@inthemine2 2 ай бұрын
??
@ky4286
@ky4286 3 ай бұрын
땡삼이 시절 폭파가 유행이네 ㅋㅋㅋㅋㅋㅋ
@user-pi6mi1ob9e
@user-pi6mi1ob9e 3 ай бұрын
물좀 찌끄리면서 하던가 먼지 작살이네 덜덜
@Yepmaeniya
@Yepmaeniya 3 ай бұрын
석면분진도 그 시절 감성이란다!
@user-id6nw7jb3l
@user-id6nw7jb3l 3 ай бұрын
뭣 석열분진
@chabiytb0792
@chabiytb0792 3 ай бұрын
@@user-id6nw7jb3l 석면이라고 과거에 사용하던 단열재 재료 있습니다... 지금은 발암물질인 게 밝혀져 안 씁니다.
@22siwoo81
@22siwoo81 3 ай бұрын
@@user-id6nw7jb3l 석열분진은 진짜 뇌가 어떻게 썩었길래 저러는걸까요
@user-mz7kv1xq6i
@user-mz7kv1xq6i 3 ай бұрын
2001년 월드트레이드센터 해체가 생각나네요 (테러 옹호 아님)
@user-ub6nc4hp2d
@user-ub6nc4hp2d 3 ай бұрын
에휴..
@user-id6nw7jb3l
@user-id6nw7jb3l 3 ай бұрын
뭔 한숨을 쳐쉬고 앉았노
@agent_urus
@agent_urus 3 ай бұрын
?
@user-ub6nc4hp2d
@user-ub6nc4hp2d 3 ай бұрын
@@user-id6nw7jb3l 테러보고 해체 ㅇㅈㄹ 하는게 정상이냐 ㅋㅋ 얘 프사랑 댓글 내역이나 봐보셈
@sobang08
@sobang08 3 ай бұрын
조선총독부 발파
@markpark6792
@markpark6792 3 ай бұрын
세계무역센터 건물도 비행기로 해체하던데 멋지더라
He tried to save his parking spot, instant karma
00:28
Zach King
Рет қаралды 20 МЛН
Шокирующая Речь Выпускника 😳📽️@CarrolltonTexas
00:43
Глеб Рандалайнен
Рет қаралды 11 МЛН
7분으로 정리한 2023년|크랩
7:15
크랩 KLAB
Рет қаралды 786 М.
Vising a cockroach-Full House... F%&^ | CESCO | WORKMAN ep.151
12:33
워크맨-Workman
Рет қаралды 3,7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