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가 있는지 실체가 있는지 상관없음 내가 산걸 더 비싸게 사주는 사람이 있으면 됨ㅋㅋㅋㅋ
@user-uc4px3vu6z3 жыл бұрын
튤립 ㅋㅋㅋㅋㅋ
@englishmutton3 жыл бұрын
더 큰 바보 이론ㅋㅋ
@brother81503 жыл бұрын
비트코인
@제발로또1등3 жыл бұрын
그게바로 코인
@kjp8513 жыл бұрын
근데 그게 주식도 마찬가지. 어차피 개미입장에서는 실체가없는것. 그냥 투자하는거지
@WorldsOfToday3 жыл бұрын
(오늘의 명언) 16:25 질문: 사용할 곳이 전혀 없는 자산의 가치는 얼마인가? 워렌 버펫: 0 예술 수집가: 부르는게 값
@술덕후3 жыл бұрын
16:09 어..? 이거 완전 룬스톤...? 수수께끼 가능한가요?
@차커Chaco3 жыл бұрын
아직도 엑시인피니티의 가격이 왜 저기에 있는지 이해하지 못하겠습니다 ...
@MSJ_Luther3 жыл бұрын
엑시는 직접 어느정도 게임에 발을 담궈야 이해 가능합니다. 저도 몰랐었는데 게임 설명, 규칙 이런거 보고 충분히 그럴만 하다 생각했습니다. 물론 전 코인을 하지는 않습니다
@junhyoungpark25403 жыл бұрын
심영물에도 NFT를!
@pmaster3063 жыл бұрын
동남에에서는 그게 생계수단이 되었죠.
@1225osy3 жыл бұрын
피파온라인 스쿼드를 만들겠다고 수백 수천만원을 쓰는 수도 없는 사람이 있습니다. 리니지M 성을 먹겠다고 수억씩 쓰며 장비를 맞추는 사람이 있습니다. 그 사람들은 그냥 강해지기 위해서 돈을 씁니다. 현재의 구조는 게임사만 부자가 되고 유저는 돈을 99프로 꼴아박는 구조이죠. 하지만 게임안에 돌아가는 경제를 만들면 유저들도 돈을 벌고 게임사도 돈을 벌고 자연스럽게 게임내 재화의 가격도 게임사가 일방적으로 파는 경우보다 높게 형성되겠죠. 그러니까 엑시가 비싼겁니다. 거기에 유통되는 코인양의 조절을 위해 디파이 예치를 만들어 뒀으니 코인값은 오르겠죠
@asd236678able3 жыл бұрын
엑시를 보고 저 돌을 보세요, 그다음에 다시 엑시를 보세요 혜자죠???
@portd42003 жыл бұрын
이더락 부분에서 웃지 않을 수 없었다. 강한 자부심을 주는 돌이라니.. 실존하지도 않는 가상의 데이터에 그럴듯한 의미만 부여하면 가치가 상승하는 놀라운 상황은 창조경제 마법의 정점을 보여주는 듯하다.
@ThinkWithSteven3 жыл бұрын
고가의 명품하고 똑같지 않나요? 그렇게 생각하면 공감은 안 되더라고 이해는 쉽습니다.
@user-gz7dg7ym2u3 жыл бұрын
그 자부심이 없으면 세상이 돌아가질 않아요
@JH-ek5bn3 жыл бұрын
디지털 시대의 명품 로고같은거지
@푸름-j1v3 жыл бұрын
실물이 존재하지않는 디지털 상품에 가치 부여 쉽게 못하는 사람들 많았지만 시대가 바뀌었죠. 뭐가 됐든 이 방향은 바뀌지않을거예요.
@에코튜브-r4n3 жыл бұрын
게임 혐오하던 k부모님들 놀람의 극치
@icylakepaxphile3 жыл бұрын
세계 유명 박물관이 순회 전시할 때, 특정 전시품에 대해서는 진품이 아니라 공인된 모조품(레플리카)을 보내고 거기에도 거액의 보험이 붙고... 유명 판화작품에 몇 번째 찍었다는 작품번호가 붙는 거나 같은 것이군요. 좀 더 편하게 디지털 플랫폼으로 옮겨진 차이...그러나 개인적으로 루브르 박물관이 NFT 참여하고 인터넷상에서 모나리자 판다고 해서 그걸 돈 주고 살 생각은 없음...판화처럼 몇 번까지 복제 가능하게 한 뒤 서비스 중단한다던가 해서 기존의 복제품의 가치를 보전해 주지 않는 이상...
@user-emiya_kookejja3 жыл бұрын
이모든것은 사실상 제로금리에 수렴하는 유동성 때문인거 같음. 돈은 풀렸는데 실물경제에 쓸일은 한정되어있으니 그 유동성을 흡수하기 위한 인류의 위대한 잔머리라고 봄. 누가 나보다 더 호구인가 게임의 끝이 보이는 순간 거품은 사라질거고 게임이 계속되면 예술품이나 금처럼 되는거고 그차이인거 같음.
@butidoplay3 жыл бұрын
오.....
@stanleydan91593 жыл бұрын
다 맞는말인데 게임의 끝이 없다면??? 이라는 생각이 많이드는 요즘입니다 미국이 게임을 계속 연장하고 있지요..
@kevin_yun57733 жыл бұрын
한방에 90퍼센트 이상 정리될 겁니다....다만 인간의 뇌와 컴퓨터가 연결되는 기술이 나오면 곧 실용화 되겠죠...상용화 되는데 10년은 걸릴 이야기....실제 IT 버블도 그랬죠.
@마스터마구니-e7n3 жыл бұрын
정확하게 같은 이유로 튤립 파동이 시작된거죠. 돈은 급격하게 많아지고 물가는 오르는데 투자할 곳이 없을 때 튤립열풍이 시작된거거든요
@4WESOME3 жыл бұрын
@@kevin_yun5773 맨날 이런 소리 코인판에서 맨날나옴 특징은 매년 올랏다는거 ㅋㅋㅋㅋㅋ!
@chim-argot3 жыл бұрын
요즘 nft 하도 많이 들려서 뭔가 궁금했었는데 이렇게 떠먹여주듯이 설명해주시다니 감사요~궁금증 해결
@taeheonkim5793 жыл бұрын
신기술이 나온다 -> 희귀성으로 초기 가치가 미쳐날뛴다 -> 너도나도 참가하자 -> 레드오션화 -> 가격폭락 제가 이해한게 맞나요
@butidoplay3 жыл бұрын
너도나도 참가하자 -> 거품인줄알고 약간의 조정 -> 수요증가 -> 더 떡상
@butidoplay3 жыл бұрын
NFT가 애초에 너도나도 참가한다고 공급이 늘어날 수가 없습니다
@chim-argot3 жыл бұрын
@II 저도 딱 그생각
@duuuuuuuuurra3 жыл бұрын
공급 퀄리티가 훨씬 놓아질 거에요. 지금은 초기 몇이 주도하지만 솔직히 아트웍 퀄리티가 그닥이죠. 진짜 고수들이 뛰어들면 고퀄의 nft 시대가 시작될 것 같습니다.
@마스터마구니-e7n3 жыл бұрын
@@chim-argot 같은 NTF 작품은 존재할수 없다는 뜻일겁니다
@AltcoinLtd3 жыл бұрын
NFT에 대해서 더 자세한 내용을 알고싶으신분들은 제 영상 몇개 시청해보고 다시 NFT가 무엇인지 판단해보시는것을 추천드립니다 :)
@name-bf3ek3 жыл бұрын
현존하는 미술품들......시간 지나면 다 결국 썩을건데.....지금 가장 정교하게 디지털화 해 놓으면 나중엔 가장 먼저 만든 NFT파일이 하나의 진품이 될수도.....
@오피왕3 жыл бұрын
가장 정확하게 이해하셨네요
@헨티나아르2 жыл бұрын
...나중에 디지털화 해놓은 작품 출력하고 그 옆에 001010001010 으로 시작하는 원본 정품입니다. 이러면 그게 작품이긴함? 공산품보다 가치가 더없는거지 최초 작품을 디지털화 시키고 0번작품부터 카피본 1000번까지두면 0번그림파일은 비싸고 1000번 그림파일은 싸고? 유형문화재는 손상이되니까 가치가있는거죠 usb에 담은 그림파일이 그럴가치가있나요
@청록-r6l2 жыл бұрын
@@헨티나아르 그렇죠 뭐든지 유한하고 희소해야 가치가 있는 거 ㅎ
@신사임니당-w2y3 жыл бұрын
예술이란 사실상 나보다 더 비싸게 사줄 호구를 찾는 분야가 아닐까
@averyavellan27883 жыл бұрын
ㅠㅠ그림작가로서 그런말 들으면 좀 상처받을지도...
@MiAmasVin73 жыл бұрын
합법적 사기 = 예술
@노원사는여자3 жыл бұрын
대신 그려도 합법이니.....
@14x1293 жыл бұрын
정답
@마스터마구니-e7n3 жыл бұрын
@@averyavellan2788 근데 영상에서 나온 그림들은 그런 평가조차 과분한 수준임 ㅋㅋㅋㅋㅋ
@soyoungyoo29033 жыл бұрын
본인싸인 가격 자꾸 올리는거 정말 웃겨 귀여우십니다. 얼마나 공부를 많이 할까 어려운 이슈를 이렇게 쉽게 풀어주기 위해... 감사합니다 많은 도움과 재미 얻어가요
@NuttyV23 жыл бұрын
가치를 부여할 수 없다고 생각했던거에 가치를 부여할 수 있으니까 기업들이 관심이 갈 수 밖에
@nada-hz4zr3 жыл бұрын
인간의광기는 언제나 반복된다
@mklee0113 жыл бұрын
결국은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디지털 사치품에 대한 디지털 인증서가 NFT의 핵심 같네요 지금은 같잖아 보이는 것도 NFT를 갖다 붙여서 엄청 가치가 있는 것 처럼 뻥튀기 되지만, 결국 진짜들이 나오고 진짜 가치있는 사치품이나 물건들에 적용이 되면 모두가 인정할만한 기술이 될 것 같아요
@jjojjommumm3 жыл бұрын
진짜 설명 속시원하게 잘하시네요 ㅋㅋㅋㅋ 어떤곳에 가도 표면적인 이야기만 빙빙둘러 하는 내용밖에 없는데...
@렉돌사나안사나3 жыл бұрын
와 진짜 NFT를 이렇게 이해하기 쉽게 설명해준 사람은 슈카가 처음이다......슈카형 천재인듯...
@틱택톡탁-m8r3 жыл бұрын
그림판? 하나로 설명 끝 ㅋㅋ
@haram_m3 жыл бұрын
저두요 그놈의 메타버스도 도대체 메타버스가 뭐라고~! 이러고있었는데 슈카님덕에 여러가지 지식들을 쉽게 배우네요
@goodpharm3 жыл бұрын
슈카님 진짜 개천재...이해 너무 잘되요
@st201993 жыл бұрын
NFT가 얼마나 어이가 없었으면 이렇게 에너지를 써가며 돌려서 깠을까... 한편으로는 그런 것조차 위트있게 표현하는 슈카님의 설명에 감탄합니다. 블록체인은 망하지 않는 지속가능한 폰지구조를 만들어냈다는 것에 의의가 있는것 같습니다.
@Animal777-w3v3 жыл бұрын
돈벌긴 힘드실듯..
@traintion93 жыл бұрын
생각하시는 망하지 않는 폰지구조가 기술의 혁신입니다 ㅋㅋㅋ
@SuperRevengeissweet3 жыл бұрын
그래서 슈카는 주식를 못 하죠 님도 마찬가지고
@김유준-c4o3 жыл бұрын
@@SuperRevengeissweet 흠... 증권사 트레이딩팀에서 10년동안 특급승진을 한 슈카가 주식을못하는군요...
근래 본 어떤 계열보다 미쳐버린 것 같다.. 희귀성이 없는 것에 돈으로 희귀성을 역순으로 붙이는데 이게 먹힌다..? 판단의 줏대가 박살난 사람들이 넘쳐나는 느낌..
@sunnynyny13 жыл бұрын
20년전에 음악을 돈을 내고 다운 받는다고 했을때 무시하고 돈을 안 내고 공유할 수 있었죠 누가 돈을 내고 음악을 들어? 그랬죠 . 근데 세상은 변하고 있고 NFT아트도 지금은 생소하지만 미래는 알 수없다고 생각함
@smb9846 Жыл бұрын
음원이 시세에 따라 가격이 바뀌냐 ?ㅋㅋㅋㅋ 웃기는 소리..
@성장하는호랑이3 жыл бұрын
정말 이해하기 쉬운 설명에 재미까지 완벽합니다~
@osl44403 жыл бұрын
재미있게 공부하게 만드는 슈카님^^
@심심한멘탈3 жыл бұрын
NFT가 단순 정품 인증용이면 좋겠는데 이상하게 투기자산으로 변질되고 있음.
@DUKing-cb4we3 жыл бұрын
세상이 미쳐 돌아 가고 있는데 나는 아직도 그들과 생각을 공유 할수 없다
@LEEkyouho3 жыл бұрын
가치의 결정을 돈을 쓰는 대중들이 정하는거라... 달러화 아무리 많아도 갑자기 사람들이 미국을 불신하면...
@Conodiodaa3 жыл бұрын
나는 이 시대에 살기엔 너무 뒤쳐졌나보다 ㄷㄷ NFT개념은 이해를 했는데 디지털 데이터 쪼가리를 돈주고 산다는 개념이 너무 이해가 안된다...
@user-yr6jh5de1o3 жыл бұрын
디지털 데이터를 돈주고 산다는 개념을 게임으로 비교하자면 우리는 현실이 진짜 인생이고 온라인 게임아이디는 취미생활을 위해 만든 캐릭터 정도로 인식하는데 요즘 몇몇사람들의 생각은 현실도 인생 게임도 인생 즉 현실 = 게임 동등한 가치라고 인식하는듯 그런 상황에서 더 나간 사람들은 게임 아이디에 쓰는 돈을 현실의 나보다 더 투자하는 사람들도 있고
@인성문제없어-e3h3 жыл бұрын
복제 불가능 희소성을 만들어낼수 있다는거 그게 포인트 임 리니지 집행검이 비싼이유 희소성 명품이 비싼이유 희소성 작품 만든 사람이 죽으면 그 작품이 더 비싸지는 이유 희소성 이런 희소성을 디지털로도 만들 수 있는 기술이 등장한거지
@채널-c8u3 жыл бұрын
@NF G ㄷ ㄷ 명언이시네
@fkwken43 жыл бұрын
현질한번도안해보셧나요? 다 데이터쪼가린데
@user-chikimoong3 жыл бұрын
본인의 데이터를 가지고 돈을 버는 기업들도 많은데 데이터 쪼가리라니요 돈의 흐름이 바뀌는거임
@hansemawang3 жыл бұрын
12:11 사진은 링컨이 아니라 아인슈타인인데?🤔
@msk62763 жыл бұрын
증여세를 회피하기 위한 수단이 될지도 모르겠음 나는 물건 판거다라고 우기면서 매매에 대한 세금만 내겠다 하면.. 국가에서 인정해줄리는 없겠지만
@Kim.s_SOX3 жыл бұрын
솔직히 나에게 있어 NFT는 내 스팀 라이브러리에 있는 게임들이 라이센스가 아니라 디지털 인증되어 있는 순수한 내꺼이었으면 좋겠고 대충 RPG 게임이나 타르코프 같은 게임에서 내가 노력해서 얻은 아이템이 다른 사람이 느낄 수 없고 오로지 나만 경험할 수 있는 컨텐츠였으면 좋겠다 이 감정 밖에 없음 다만 이게 린저씨마냥 돈으로 거래하는 짓 때문에 좀 그럼 그냥 내가 가지고 있다가 내 손자나 후손이 그 디지털 토큰 가지고 반값 아저씨한테 가져갔는데 자기가 제시한 가격에 타노스 당하고 그 가격대로 가져가길 바람
@성이름-y2r3q3 жыл бұрын
스팀에서 산거 nft 받으면 플스나 닌텐도에서도 할 수 있었으면 좋겟당
@spaaarkling31513 жыл бұрын
어떠한 것을 바라볼 때 부정적인 생각으로 바라보면 부정적인 이유들만 보이고 긍정적으로 생각하면 긍정적인 이유만 보이는 것 같음. 그래서 가치 판단의 기준이 다른 사람들은 서로를 설득할 수가 없음...
@유재호-u8j3 жыл бұрын
근데 이게 익숙해지면 부정적이였던 사람은 도태되고 긍정적으로 본 사람은 살아나감 그걸 잘 보여주는 게 현대사회임
@spaaarkling31513 жыл бұрын
@@유재호-u8j 그래서 돈을 크게 버는 사람들은 낙관론자들이 많다고하죠ㅎㅎ
@안재혁-d9z Жыл бұрын
사기꾼들이 잘 사는 이유죠. 걔네들은 별로 스트레스 받는 애들이 없음. 소시오패스들이라. 그러다 이희진처럼 될 수도 있지만 걔네들은 배운 게 도둑질이라 멈출 수가 없는 듯. 부모가 그렇게 되는 꼴 보고도 그짓거리하는 걸 보면.
@SeoulH_KIM3 жыл бұрын
02:33
@레드볼-v3l3 жыл бұрын
현실에서 명품 들고 다니는 이유하고 똑같아요 가상현실세계 메타버스 에서 명품 NFT 생각하면 될듯요 희소성, 유행가치, 역사적가치, 예술적가치 붙으면 수천 수억가는 명품NFT가 되는거에요
귀에 쏙쏙 이해가 쉽네요. 뭔가 디지털 세상은 천재적인 개발자들이 사기를 치는것 같은 기분이 들어서 이판이 끝나면 또 어떤 형태의 사기를 칠것인가 궁금하네요
@vmdbxm3 жыл бұрын
뼈 빠지게 일해서 한달에 300 버는데 참 힘 빠지네 너무 혼돈 변화의 시대에 살고 있구나...
@sw22tacorn763 жыл бұрын
300백이면 3억 ㄷㄷ
@futureyou64963 жыл бұрын
12:11 슈카형이 링컨이 쓰던 파이프라고 했는데 편집자님이 아인슈타인이 쓰던 파이프를 첨부해버렸네ㅋㅋㅋ
@1225osy3 жыл бұрын
이더락같이 개별적인 nft 상품들은 당연히 스캠이고 버블이라 봅니다. 하지만 nft기술은 혁신적인 기술이 맞습니다. 만약 bts가 디지털 앨범을 내는데 1번부터 1000번까지 멤버들의 디지털 사인과 사진앨범을 포함하여 초회판 한정판 발매를 한다고 해봅시다. 이걸 갖고싶어하지 않을까요? 이런건 이전에 불가능했던 일들이고 곧 일어날 일들입니다. 이러한 nft의 가치가 시간이 지나면 0원이 될까요 아니면 누군가 이런 nft를 수집할까요?
@kimsungwook15763 жыл бұрын
닷컴 버블이랑 똑같네요. 메타버스 NFT 붙은 주식들은 엄청 뛰는데 실제로 실생활에 쓰기엔 한참 남았죠
비트코인은 물건 살 수 있지 않음? 그리고 NFT 경우 그렇게 이야기하면 고가의 미술품들은 뭐에 쓰는데?? ㅋㅋㅋ 본인이 돈 없으니까 그냥 이해 못하는 거지 무슨 ㅋㅋㅋ
@ted58353 жыл бұрын
@@sdffdsdsdsfsdfd 비트코인은 무에서 유를 창조하는 달러에 불신으로 만들어진거라 ㅇㅋ 미술품은 진품 실물에 한해 인정 양산형 저가 판화도 있고 ㅋ 근데 nft 그림은 복붙 그림과 아무런 차이도 의미도 없음 저가라면 인정
@LVNAo3 жыл бұрын
@@sdffdsdsdsfsdfd 비트코인으로 그래서 테슬라 전기차는 살 수 있겠죠? 설마 엘살바도르 가서 물건 사야해???
@elkein993 жыл бұрын
ㄹㅇ 우표수집느낌인데... 하는사람들 사이에서만 가치인정해주는... nft도 결국은 돈있는 자본세력 내에서 인정해줬으니 이게 가능한건데... 그들은 축적한 부를 어떻게 써야 더 재밋게 쓸수있을지 고민하는게 하루일과인 자들이니... 이게 어찌보면 부의 재분배 역활도 할거같음..ㅋㅋㅋ 아근데 저 경매중계하는사람 ㄹㅇ현타오겠다. 별의 별게 비싼값에 팔리는거보면서도 그래 내직업이 이런거니까 하고 멘탈잡고있다가도 저게 190억에 팔리는거보고 나면 난지금 뭐하는걸까 하고 인생무상 강제체험했을듯
@을지이도3 жыл бұрын
'블럭체인조차도 대중에게 제대로 인식되지 않던 시기에 '디지털 카드' 얘기를 듣고... 이건 100% 사기다 라고 확신했는데... 여전히 진화하고 널리 퍼지고 있다니 놀랐습니다. 가상현실+현실세계= 메타버스, 블럭체인에 기반한 '비트코인' '디지털 카드(NFT)' 기성세대인 제가 보기에 IT 기술 진보에 따른 디지털 개념 전쟁을 하고 있는 것처럼 보입니다.
@lym0918243 жыл бұрын
예술이란게 얼마나 허망한것인지 앎과 동시에 블록체인이 얼마나 무시무시한것인지 알 수 있는ㅋㅋ;
NFT의 가치가 없다고는 할순 없죠. 특히 예술들이 디지털화 되면서, 원본의 가치를 만들 수단이 애매했는데, 여기서 디지털 원본에 가치를 줄수 있는 수단이되줄태니.. 이란 원본이란 개념이 저작권에 대한 권리가 되어줄거라 봅니다. 물론 과거 튤립과 같은 요소들도 같니 휘몰이치겠죠...
@베이지-f7y2 жыл бұрын
999
@RukyMoon2 жыл бұрын
🌈 좋은영상 감사합니다. 저는 여행 가이드인데요. 여행자들에게 트립을 기념하는 의미로 직점 제작한 NFT 그림티켓을 선물하고 있습니다. 대부분 일반인인 그들에게 NFT의 개념을 설명하고 이해시키는 것부터가 쉽지 않았는데 올려주신 영상과 함께 전달하니 훨씬 수월해졌습니다. 감사합니다. 🐭
@johnpark85423 жыл бұрын
재미있게 잘 설명해주시네요. 머리에 쏙쏙 들어왔습니다. ㅋㅋ
@김찬호-b7n3 жыл бұрын
nft는 좀만 관심 있으면 알거임, cool cats, cryptopunks 는 사이버 명품 브랜드 느낌임 사이버 공간에서는 과시할게 없었잖아 하지만 지금은 프사를 저걸로 해두고 "내가 저걸 살만한 사람이다. "라고 과시하는거임 스눕독, 마이크 타이슨도 저런걸 비싸게 주고 사서 프사로 해놓고 있음
@ley01033 жыл бұрын
아~~그럴수 있겠네요 뭔가 이해가 딱~!됐어요~~
@jinjin16903 жыл бұрын
ctrl v해서 프사하는거랑 뭐가다름?
@jinjin16903 жыл бұрын
nft는 블록의 해시를 제외하곤 완전히 똑같은거에요.. 명품이나 명화, 보석은 가품을 구분할 수 있는 방법이있잖아요, 저걸 프사에 걸어도 증명할 방법이 없다는거죠
@JaeyeongHwang-x5e3 жыл бұрын
10:25 ..ㅋㅋㅋㅋ 모 현대미술 같은 것도 알고는 있었지만 이것도 진짜 그들만의 리그네
@chachacha-q6w3 жыл бұрын
코인에도 크게 관심없었어서 nft를 나중에야 알았는데 해외뿐 아니라 국내 아티스트들 작품 판매되는 액수보니까 야 이게 맞는건가 싶다가도 할말을 잃게됨 구매자보다 판매자입장이여서 설명해주신 튤립사태가 오기전에 뭐라고 얹어야 하는건가 싶기도 하고 심란 ㅠㅠ
@노원사는여자3 жыл бұрын
의식주 해결도 안되는 사람도 많은데.. 돌이나 그림에 억을 쓰는 돈보다 더 얹어 팔 수 있는 자본주의의 극한을 보는 세상 ㅜㅜ
@uddesign3 жыл бұрын
한국에선 디자이너들이 처우가 별로고 박봉인데 새로운 기회가 있다는게 희망적이네요 ㅠ
@이명수-z6r3 жыл бұрын
인플레이션을 막기 위해서 새로운 김선달은 계속해서 등장한다
@김경민-n3s9n3 жыл бұрын
슈카님 좋은 영상 만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ㅎㅎ
@ppap993 жыл бұрын
샤워하면서 듣는 최고의 영상
@whoami26133 жыл бұрын
내가 미쳐가는게 느껴진다.. 왜냐면 이런일이 몇번 반복 되다보니까 버스 놓치는거 아냐 라는 생각이 들어버려… 하…
@cheese_kimtaerin3 жыл бұрын
ㅎㅎㅎㅎ 재밌게 보았어요. ^_^ㅎㅎ
@kwany66573 жыл бұрын
그냥 nc의 주가 전략중에 하나로 개미들만 쫙 한번 빨아댕기는 그런 이벤트같아보였는데
@걸-d7s3 жыл бұрын
와따 행님 귀에쏙쏙 박힙니다 직입니다
@Mazel-id2ub3 жыл бұрын
튤립은 그나마 키워서 팔아야되니까 출하량에 한정이라도 있지 이건 뭐 전세계 누구라도 어느것이라도 출시할수 있는 것들이라 튤립보다 더 등락이 클듯ㅋㅋㅋ
@시비왕-x9q3 жыл бұрын
맞음 너도나도 좀 더 좋은 기술로 계속해서 돈을 찍어내는거랑 똑같은 상황임
@nkking19282 жыл бұрын
기업들이 저러니까 더더욱 한탕 느낌을 지울수가 없음 금감원에서 감시를 하는것도 아니니 자전거래로 가격 띄워도 누가 뭐라 할것도 아니고..
@newyorkart3 жыл бұрын
NFT 해서 호재가 아니라, 안하면 안되는 절실함이 새롭게 생긴 경향이 아닐까요? 디지털 전환 🙂
@ideebank_official33503 жыл бұрын
NFT ART를 하고 있는 그룹으로서 재미있는 영상 재미있게 잘 봤습니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lighthouse43073 жыл бұрын
가치가 떨어지는 NFT들이 대부분이겠지만 사실상 NFT는 그 커뮤니티의 회원권같은 기능을 하게 될 거라고 보면 됩니다. 만약 네덜란드의 튤립이 소수의 VVIP들만 점유가능했다면 그것은 튤립클럽 이라는 최고권위그룹의 회원권 같은 역할을 하게 되었겠죠 꽃이 시들기전까지만 유효기간이 있는..... 암튼 그런겁니다. 가치라는건 부여하면 그만인거고..... 우스개소리로 들리는거야 당연하겠지만 워렌버핏이 NFT를 100개 만들어서 판매한 후 추후에 그걸 소유한 사람에게만 스페셜한 투자비법을 선물한다면 그 NFT는 가치가 없었지만 가치가 있어지는거죠 가치가 있을지 없을지는 부여하기 나름 ㅎㅎ
@Hadigreece Жыл бұрын
Nft의 가치보다 그걸 팔고 갖는 돈의 가치에 사람들이 몰린것
@김재준-y1s3 жыл бұрын
세상이 너무 빨라 따라가기 힘들다는 것이 이해 안 갔는데 이제 이해가네요.
@천재홍-h9v3 жыл бұрын
모 소설들에 나오는것처럼 인류 멸망위기에 뇌만 모아서 가상세계를 열거나 죽고나면 가상세계에서 사후세계를 만들거나 아니면 재해나 핵전쟁으로 사회생활이 불가능해서 가상세계에서만 살아갈게 아니면 당장은 봉이김선달일거 같아요 아니면 모 게임에서처럼 사람들의 뇌 데이터? 영혼데이터? 등을 우주로 날려서 가상세계에서만 살아갈게 아니라면 말이죠
@하루끝-w8z3 жыл бұрын
핵전쟁나면 데이터센터가 다 날라가는데 업로드할 인터넷이 없어지는데?
@천재홍-h9v3 жыл бұрын
@@하루끝-w8z 보통 소설은 공상글이다보니 그에대한 서술이 더 생기겠죠? 개인의 몸마다 단말장치가 생긴다 던가 블루투스처럼 서로 일정거리에선 교류가 된다 던가 말이죠 nft가 인터넷으로 이동할때만 특별한게 아니라 개인이 가진 정보가 고유성을 지닌거 아니던가요?
@jjo31003 жыл бұрын
스티븐잡스의 아이폰 프리젠테이션 ppt파일을 nft하면 대박이겠다ㅎㅎㅎ
@accountt19163 жыл бұрын
슈카님의 2022학년도 수능 브레턴우즈 체제 지문과 문제에 대한 소감 기대합니다.
@호에에-q8e3 жыл бұрын
NFT 그림들은 애시당초 '유명한' 원작자가 제작부터 NFT로 단 하나만 만들거라고 얘기할때만 가치가 붙을거 같고 음반업계에서도 비슷한 양상일듯 게임은 아직 좀 멀었다 ㅠ 개인의 창작이 자유로워야하고 그걸 남들이 베낄수 없는 시스템이 있어야만 의미 있을거 같음
@hong75503 жыл бұрын
형 저오늘 바뻐서 조금만 보려고 했거든요 근데 어의없어서 끄질 못하고 입벌리고 끝까지 봣어요....
@MYSY5363 жыл бұрын
어의가 아니고 어이입니다. 죄송해욤.
@심-i9o3 жыл бұрын
과연 수집욕과 예술때문에 NFT재화를 사는 사람이 몇이나 될까? 그냥 그래픽 달린 코인의 한종류일 뿐이고 되팔이들끼리 폭탄돌리기 하는거지
@dongsig13 жыл бұрын
케인즈의 더 큰 바보 이론입니다. 가치없는 물건을 사는건 바보지만 그런 바보들이 많다는걸 아는순간 먼저 사는게 현명한 판단이 되는거죠
@마스터마구니-e7n3 жыл бұрын
@@dongsig1 사스가 주식으로 돈 번 유일한 경제학자 케인즈좌...
@내손은약손-q2f3 жыл бұрын
진짜 쉽게 잘설명해주심 감사합니다 ㅎㅎ
@kwonyeongbinYouTube3 жыл бұрын
유익한 내용 감사합니다~ 슈카 형님! 구독자 200만명 가즈아~~~~!!
@kwonyeongbinYouTube3 жыл бұрын
👍👍 :)
@Mochi_lia3 жыл бұрын
새벽에 빵터짐 진짜 아 너무 웃기다...ㅠㅠㅠ 허긍ㄱ헉ㅇ그
@moepark26693 жыл бұрын
지금은 데이터 쪼가리지만(현대 미술일 뿐이지만) 저 NFT 콘텐츠에 금융 거래 정보, 등기부 등을 블록체인으로 추가한다면 더 어마어마한 가치가 생길 듯 하네요 또한 과거 조선 왕들의 일기가 어마어마한 가치가 있는 것처럼 먼 미래에는 바이든의 첫 sns 게시글 등이 NFT화 되어 큰 가치가 생기겠죠?
@smb9846 Жыл бұрын
조선 왕들 일기로 칭해지는 고서가 가치가 있는건 종이로 만들어서 일정 시간이 지나면 부식 훼손되거나, 손실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그 역사적 가치와 희소성으로 가치가 매겨지는 것임. 디지털쪼가리에 그런 가치가 어떻게 매겨질수 있다는 것임? 미래에 가봐야 안다. 이딴 말 씨부릴 생각 하지마라.
@hohoiiiai3891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소문난집 Жыл бұрын
아뇨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찐만두-b4o3 жыл бұрын
튤립처럼 후에 수요자가 없으면 그 가치는 0이 되는거고 수요가 있으면 돈이 되는거 우리같은 개미들은 유효기간안에 수익실현하면 그걸로 만고땡이다~
@flame_flower3 жыл бұрын
가치를 이해할 수 있게되면 이미 다 올랐을때일겁니다 ㅎ
@보터-z9f3 жыл бұрын
정답
@기린이-d1f3 жыл бұрын
똑똑하심 지금은 그냥 광기에 탑승해서 돈만 복사하면 되는 시기.
@마스터마구니-e7n3 жыл бұрын
가치가 있어서 x 사람들이 가치가 있다고 믿어서 O 사람들 사이에서 가치가 있다는 믿음이 보편적으로 퍼졌을 때 가치있는거임. 가치는 이해하는게 아니라 다수에 의한 합의로 만드는거임. 합의가 박살나면 튤립파동이고 합의가 지켜지면 그땐 돈이 되는거지
@re36983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 재미게 설명해주시네요
@crooked3403 жыл бұрын
돈 놓고 돈 먹기가 디지털화 되었을 뿐...
@LimdIN Жыл бұрын
맛집 찾아서 다시 왔습니다 ^_^
@박성원-l4d3 жыл бұрын
시간이 갈수록 비싸지는 슈카형 싸인 지금이 제일 싸다구
@dasnarrenschiff113 жыл бұрын
이더리움 과시용 ㅋㅋㅋ It버블이 되거나 튤립버블이 되거나 ㅋㅋㅋ
@xxx-fj8kv3 жыл бұрын
사이버 명품 정도로 생각하면 되겠네요. 내가 이걸 가지고 있다= 돈자랑, 플렉스 세상의 명품과는 다르게 닳을 일도 없어서 더 가격을 높게 받고 되팔 가능성도 있는 명품.
@bestpick20233 жыл бұрын
대단해요
@성석소3 жыл бұрын
근데 NFT저거 지금 인터넷에 올라와있는 일러스트나 영상 트윗을 NFT로 만들때 저작권자도 모르게 등록하면 저작권자는 눈물에 코베이는거 아님?
@이스터123 жыл бұрын
애초에 NFT 자체가 저작권자의 인증이 있기 때문에 가치가 있는거라 아무리 다른사람이 올려봐야 원저작권자가 아니면 팔리지가 않죠
@성석소3 жыл бұрын
@@이스터12 아 원작자가 등록해야만 가치가 있는거예요?
@성석소3 жыл бұрын
@@이스터12 어? 지난번에 슈카영상에 가상화폐 규제에서 그 한국은행 총재인가 정치인인가 아무튼 그사람이 규제 애기하니까 어떤 사람이 그걸 NFT로 만들어서 팔았다는 애기가 있는데 그거랑 다른건가요?
@edume31823 жыл бұрын
법적인 부분은 아직 갖춰지지 않았다고 영상에 나와있어요
@진성호-h3x3 жыл бұрын
nft를 만들 때 민팅(minting)이라는 걸 해야 해요. 쉽게 말하면 내가 만든 디지털 작품을 nft로 전환시키는 거죠. 마치 한컴 파일로 작성한 hwp 문서를 pdf로 바꾸듯이요. 그렇다면 민팅을 하기 위한 원본 작품이 원작자 본인에게 있으니까, 그 작품을 민팅한 nft도 원작자가 최초로 가지게 되겠죠? 원작자가 아닌 사람이 nft의 첫 소유자가 되려면, 원작자가 다른 사람에게 제 값 받고 판 뒤에 구매자가 민팅을 해서그 작품 nft가 그 구매자의 손에 최초로 쥐어지는 경우를 생각해볼 수 있겠네요. 물론 이런 경우엔 소유권과 저작권을 어찌 다뤄야할 지 더 고민해봐야 한다고 생각해요. 하지만 만약 제가 어느 유명한 화가의 그림을 구매하지도 않고 무단으로 사진 찍어서 nft로 만든 뒤 팔아버리면 법적 문제가 생길 수 밖에 없죠. 꼭 예술품이 아니더라도 상점 가서 돈 안 내고 내 맘대로 물건 가져와버리면 지금 시대에서도 문제가 되는 것처럼요.
@illiil90523 жыл бұрын
창조경제는 전설이다
@jhsim52143 жыл бұрын
우리가 어렸을때 꿈꿨던 미래가 봉이 김선달이라니......
@숨겨진물결5 ай бұрын
20:26 사자 없음
@realtorestates68973 жыл бұрын
블록체인 코인은 사실 주식판에서 범죄라 규명한 행위들이 합법처럼 난리치고 있고 NFT는 그 누가봐도 과거 튜립처럼 난리치고 있습니다. 저는 메타버스 is 불쉿 이라는 말이 팩트고 블록체인과 NFT을 외치는 기업들의 본질은 유동성 투기가 목적이라고 본다.
@고귀한사람833 жыл бұрын
@노력없이 돈벌고 싶습니다 2년뒤: 아 내가 가장 큰 바보 였네
@dh91563 жыл бұрын
세상 그 어떤 것이든 첨엔 생소했다. 생활에 침투되었을때는 내 몸처럼 자연스러워지지. 큐알도 그렇고 삼성페이도 그렇고 스마트폰도 그렇고...
@kuraenai453 жыл бұрын
이게 돈인지 아닌지가 중요한게 아니라 '가치'로써의 '믿음'이 중요관점임
@mcc25993 жыл бұрын
ㅎㅎㅎ ... NFT 대상은 모든 사물이 될 듯 싶네요. 문제는 가치있게 하려면 무언가 아이디어 발상으로 가공해서 플랫폼에 올려 놓는 것이 중요할 듯 싶네요. NFT관심있는 자들만의 세계에서 참신한 작품이든 사기작품이든 거래 되겠군요. 인구가 줄거나 감소되면 또는 위태로운 세상이 다가오면 별볼 일 없는 세상이 되지 않을까? 도 생각해 보네요. 작품인증을 해주는 그 기관이 오히려 돈을 벌지 않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