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주를 보름 앞둔 새 아파트가 있습니다. 그런데 아파트 곳곳이 녹슬고 깨져있다면 집주인들 기분이 어떨까요? 인기 있는 아파트 브랜드 중 하나인 GS건설의 자이아파트에서 생긴 일입니다. 황인표 기자가 현장에 다녀왔습니다. ◇비즈플러스 (월~금 저녁 5시~6시 30분, 앵커: 임종윤, 윤선영) ◇출연: 황인표 기자 비즈플러스 페이지 바로가기 : goo.gl/aVoSnF
Пікірлер: 674
@skim57886 жыл бұрын
이래서 후분양 해야함.
@skim57886 жыл бұрын
김정민 그렇다 하더군요....전세제도 역시 그렇고요.
@적을이롭하게하는것은6 жыл бұрын
대부분시민들은 푼돈모아 집마련하는것일테데..심각하게 대쳐해야할것입니다..
@CK-oc6rr6 жыл бұрын
김정민 중국에서 배운거에요
@ponam82285 жыл бұрын
후분양이정답이아닌데요... 후분양제도를해도 골조80프로이상올라가면 준공나고 뺑끼칠도안한상태에서 구경하는집 인테리어 다해서 볼수밖에없고 자기가 원하는동호수 하자가있는지없는지 입주전까지 실질적으로확인할수없어요...또한 선분양과는달리 후분양은 공사기간동안 주변시세오른 만큼 건설사가 프리미엄을가져간다는 최악의단점이있어요... 무조건 후분양이 정답이다는식의 말씀좀하지마세요
@김철만-d9j5 жыл бұрын
@@CK-oc6rr 중국도 후분양 임다요 선분양 아닙니다
@bssy82226 жыл бұрын
단열시공도 엉망이겠네 사는내내 곰팡이와 전쟁을해야할듯..
@tsnet03316 жыл бұрын
이번 정권내에 무조건 후분양제 도입해라 부실 건설사는 없어져야 한다.
@박영주-w6k6 жыл бұрын
기술도 없는 외국인 노동자들 데리고 와서 싸구려로 지어서 그런 것 같은데.... 용변보고 물도 안내릴 정도의 의식수준이면...
@slayerjo16 жыл бұрын
요즘 현장은 죄다 중국인들입니다
@withus65096 жыл бұрын
건설업에 관련된 업(인테리어)을 갖고 있는 제가 현장을 돌때마다 느끼는 것이지만...한국분이라 해서 별반 다를게 없습니다. 화장실 이용을 별도로 지정을 해 주지만...움직이기 귀찮아서 화장실 변기를 설치하기 전까지는 여기저기 싸고 빈페트병에 누고 버리지도 않고 놓고 갑니다. ( 별도로 사용하라고 화장실을 2개층에 한개씩 임시로 보통 설치해 놓습니다. ) 그리고 나서 변기를 다 설치하게 되면...여기저기 싸지르고 물도 잘 안내립니다. 의식수준은 외국 노동자들만 아니라 우리 한국 노동자 분들도 있음을 알고 누워서 침뱉기는 안했으면 좋겠습니다...현장에 가보셔요...
@mahadeva5635 жыл бұрын
중국인 동내 가보면 인테리어업자가 일할 중국인 구한다는 전단지 붙어있음
@gmvisck5 жыл бұрын
맞아요.... 웃긴게 부실아파트가 외노자 대량 유입시점 부터 급증함...
@haerudiy_manager5 жыл бұрын
우리 자이아파트만 그런게 아니구만.
@totolee72056 жыл бұрын
요즘 건설사들이 인건비가 싸다는 이유로, 중국, 동남아, 중동 등지의 외노자들의 고용비율이 높아서. 앞으로 신규 브랜드 아파트일수록, 부실시공과 하자보수가 엄청나져서 법정분쟁으로 이어질 것입니ㄷㅏ
@믹힐6 жыл бұрын
현장엔 죄다 중국인임. 한족들이 더 많음 마감 개판이니 당연히 이렇게 될줄 알았지...
@넘버963 жыл бұрын
아파트값 졸라비싼데 ㅆㅂ
@playxperia48906 жыл бұрын
기본이 안된 건축물에 보수로 해결이 될까? 절~대 불가능하다. 새로 다시 지어야함.
@nicego75336 жыл бұрын
돈아낄려고 하청업체만 주구장창 써대니 gs유명하잖아 말만 프리미엄 브랜드 자이
@조기현-f5l6 жыл бұрын
자이는 부실아파트 대명사!! 외벽색칠에만 돈엄청쓰더만//
@에스비케이-q3n2 жыл бұрын
현대도 그래요
@hurricanejaguar6 жыл бұрын
저런 아파트 감리한 회사 면허를 취소해야 함. 건축비에 감리비용 포함되어 있는데, 하자를 왜 사용자가 찾아내야 하지?
@phtisporin64116 жыл бұрын
GS건설이면 국내 굴지의 건설사인데 어쩌다가 저 지경까지...
@김종집-n1d4 жыл бұрын
국내굴지회사가 시공한게아니고 하청으로 공사를함니다
@호반누리3 жыл бұрын
이름만 gs지 하청이 다했다. 건설사는 가만히 앉아서 이름주고 이름값만 챙기는거다.
@김영철-t9h2 жыл бұрын
쓰불넘들이네 하청을줘도 지들 브랜드 이름걸고 하는건데 어떻게 저따위로 짓을수있지 저따위로 짓을거면 1군건설사에 퇴출시켜라 저건 3류수준에 시공인데 어차피 AS도 제대로 안해줄텐데
지금 입주해서 살고 있어요. 하자접수도 엄청 많이 했구요.. 사전전검할때 제대로 안된곳이 좀 많더라구요.
@jangkyo5 жыл бұрын
이상없어? 물 같은거 안새?
@하비스트-i6w6 жыл бұрын
참 이상한게 요즘아파트는 시공사가 먼저 자기들돈으로 아파트를 지어놓고 분양을 하는게 아니라 들어갈 입주자들이 아파트가 지어지기전에 돈을 먼저 돈을내고 있으니 이런일 생길수밖에...
@user-ce4lz4jj1d6 жыл бұрын
야 저건 진짜 완공허가 해주믄 안된다
@J언니-e1r2 жыл бұрын
모 지역 자이아파트 발만 디뎌도 온 집안이 울림. 층간소음때문에 본인 엄청 신경쓰는데도 깜짝 놀라 집안 전체 매트깔았음 슬리퍼 당연히 신고말이다 자이는 믿거해야된다 아, 건물전체 누수도 있네요 비오는 날은 비상계단 층마다 수건으로붙여놓고 바가지같은통으로 물 받음ㅋㅋ 뒷베란다도 누수 ㅋㅋ
@lili0821coco4 жыл бұрын
부실공사에 앞서서 건축법이 이명박 때 건설사에 유리하게 다 풀어나서 다시 법규 재검토 및 시정해야하고 포항, 울산 등 지진우려지역은 따로 특별법 적용해서 튼튼하게 지어야할 것 같아요.
@이정훈-w7k6 жыл бұрын
5월쯤인가?우연히 옆자리 술자리에서 자이 노가다 하던 분들 얘기 하는걸 들은 기억이 난다. 포항 브랜드 아파트중 자이 공사가 제일 개판이였다고. 담배꽁초뿐만 아니라 일반 쓰레기도 콘크리트속에 다 같이 묻었다고 ㅎㅎㅎㅎ 브랜드 아파트 마감재나 좀 좋은거 썼지 좋은거 하나도 없다고. 자기가 돈이 많아도 자이 더샵 또 어디였더라..절대 이아파트는 안산다고 ㅎㅎㅎ쓰레기속에서 사는거래 ㅎㅎㅎ 브랜드아파트는 브랜드파워 가치가 있어서 집이 비싼거래. 알고보면 ㅈ도 없데 ㅎㅎ
@워라워랑5 жыл бұрын
노가다가 뭡니까. 건설현장일하던분들이죠
@user-kosanman4 жыл бұрын
어디든 마찬가지입니다
@김김지태4 жыл бұрын
자이 쓰레기아파트?ㅎㅎ
@uiochgh9054 жыл бұрын
웅 돈없어서 못들어가ㅋ
@송나무-m1q4 жыл бұрын
응 카더라 통신ㅋㅋㅋ
@김광민-b4n6 жыл бұрын
입주자들이 더 똑똑해지고 이렇게 들고 일어나야 됩니다 한두푼도 아니고 그비싼 집을 이렇게 시공하는건 정말 큰 문제입니다 건설사도 직원들을 더 많이 현장에 투입해야 하는대 수십가지 공정인대 그걸다 감독할 인원이 부족합니다 그렇게 되면 처음에 잘못이 발견 되었을때 수정하고 다음 작업이 이루어져야 하는대 그냥 넘어가고 그럼 그뒤로 붙는 수많은 공정들이 문제가 생긴 그대로 생긴대로 마감을 하게 되고 나중에 하자가 발생하는 것입니다 기술자 분들도 하는 만큼 받아가는 것이기 때문에 중간에 문제가 생기더라도 빠르게 작업할 욕심에 그냥 넘어가거나 하는 비양심 적인것들이 많습니다
@gmvisck6 жыл бұрын
G un S ung 으로 짓는 기업...
@트로피코6 жыл бұрын
gmvisck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Liko_K56 жыл бұрын
GS그만좀 욕해주셋.. ㅈㅅ ㅋ
@legendcasillas57474 жыл бұрын
@@Liko_K5 gs노동자냐? ㅋㅋ
@여수보안관6 жыл бұрын
저거 쓰러트리고 다시 지어야함 진짜 무너짐 옥상 갈라진다? 다 매장되는거임;;;;
@machmax76 жыл бұрын
Top Model Intelligence 너네집이 슬라브형태면 지붕이 갈라진다고 보면되는데 아파트는 사면구조가 연결되어있음 그럼 구조적으로 어떻다?
@하헌규-l8b6 жыл бұрын
gs건설은 앞으로 사업 제대로 못할듯
@Aa-ej2hv6 жыл бұрын
하헌규 포항자이 때문에 gs가 이미지가 망가지긴 했지만,2년후 자이 아파트에서 사는 입주자로서 듣기 않좋네요.
@Lotto2916 жыл бұрын
@@Aa-ej2hv 않x 안o
@loveSHINJAY6 жыл бұрын
@@Aa-ej2hv 2년 후 자이아파트에 산다는게 무슨 말이에요? 청약 후 완공 기다린단 소리면 뭐가 기분 나쁜가요? 당신의 미래일수 있는 일 입니다
@271_6 жыл бұрын
@@Aa-ej2hv 힘내세요 저희쪽은 정상이지만 그쪽도 정상이길 빌께요
@눈썹-d5e5 жыл бұрын
@@Aa-ej2hv 1년 5개월 남으셧네요. 곧 본인 미래일겁니다.
@JB-mw5ko6 жыл бұрын
브랜드 아파트도 지역 보고 가려서 짓는다 강남에 저렇게 절대 못지음 입주민들 변호사, 의사, 사업가 등등 돈이랑 명예있는 사람 많아서 함부러 못함
@인간종량제6 жыл бұрын
제발 부탁인데... 조합아파트 좀 해결좀 해줘요...ㅠ_ㅜ 처음 계약할때 대행사는 아줌마들 써서 거의다 계약을 마쳤다며 속이고 자신들이 속인거 아니다 발뺌하고 계약자들 실제 상당수가 부족하고 시공사가 바뀌니 추가금액 받으려하니까 사람들 반발하고 시간이 흐를수록 광고비,모델하우스유지비,사무실운영비등 계속 빚만 늘어나다가 결국 대행사의 신뢰가 바닥에 떨어지면서 추가금은 몇천씩 늘어나니 조합원들의 참여도 더욱 저조해지고 모든 책임은 조합원장과 임원을 둔 조합원들에게 있게 있으며 모든 빚또한 조합원이 당연히 져야한다고 이런 엿같은 법이 어딨나요... 계약한 순간부터 발도 못빼는데 대행사의 말잘듣는 조합장만 앞에 내세워도 세세한 상황까지 모르는 조합원들은 울며겨자먹기로 따라갈수밖에 업는데... 개인적으로 조합원에서 탈퇴하려면 총회를 열어서 탈퇴해야되는데 어느 누가 자기만 빠진다는데 가만있겠습니까...해산을 하면 빚이란 빚은 죄다 갚아야하고 그 누가 안내면 이자까지 다같이 내줘야하는데 법적으로 대응해도 모든 지출에 대한 책임은 대행사 책임은 1도 업습니다. 모두 조합원장과 임원을 둔 조합원의 책임이지. 자기들이 맘먹고 써대는 데 법적으로 하자가 업다니 말이 안됩니다. 이제껏 이런 악법이 대한민국에 존재한다는 것 자체가 잘못된 것아닙니까. 아무리 작년 조합법이 바뀌었지만 이전에 계약한 사람은 해당되질 않아요. 제발 부탁입니다. ㅜ_ㅜ 살려주세요. 땅 한번 못파보고 대행사나 배불려주고 그 대행사는 또 다른 곳에서 이런 사기를 친다고 하네요. 이런 개같은 법에서 피해를 본 사람들을 구제부탁드립니다. 정말 살수가 업어요.
@OTaesik906 жыл бұрын
거의 대부분의 이런 문제는 단기건설 요구 및 단가 후러 치기때문이죠.. 답없음
@user-ip2dr7eu6g2 жыл бұрын
Gs건설 하자제일많은아파트인데 왜그걸모르지
@ysj40096 жыл бұрын
관련 일 많이 해봫는데 요즘 브랜드아파트 마루바닥 까보면 바닥에 금 다 가있음 금간시멘트위에 마루깔고 보양재 덮어 놓으면 입주자들은 입주점검해도 모름
정말 후분양해야하는데 너무 원가 절감하는군 정말로 어떻게 믿고 입주하나 감리는 도대체 어떻게 하고 감리 하는건지
@Free-fm1ub6 жыл бұрын
헤헤 자이 이름달고 포항에서 고가로 팔았네 포항 미분양 넘처나는데ㅋㅋ
@슈이-v4b6 жыл бұрын
자이 저런게 한두군데가 아님.. 과연 1군 브랜드 아파트가 맞는지.. 분양가만 드럽게 처 올려받음
@해적당히-x8p3 жыл бұрын
비리
@kong95676 жыл бұрын
그냥 아파트 살지마세요 ㅎㅎ 왜사는지 이해가 안되네.. 선분양해서 제품보지도않고 계약하는거 자체도 이해안되고, 무슨원재료로 어떻게 작업했는지 확인도안해놓고 이제와서 머라할 자격도없어요. 솔직하게 레미콘납품부터 쓰레기예요 ㅎ 기준치미달제품납품에서부터 날씨고려안하고 제품양생시키고 양생다되기도전에 또타설하고, 골조를 그렇게 빨리올리는데 콘크리트가 안갈라질까요? 그리고 요즘 모래수급 잘안되서 오만데서 다 모레가져오는거 아시나요? 또 작업자들 여름되면 빨리타설하려고 레미콘에 물타자고 난리예요. 레미콘은 고온타설 저온타설 다 문제예요. 얼마나 온도에 민감한데.. 돈다줘놓고 모두 믿고 맡겨놓으면 다 알아서 해주는 그런 착한 건설사들이 아니예요. 그리고 품질직원, 공사직원들 전부 계약직이예요. 타설은 전부 하청외주다주는데 외국인들많고.. 아파트 하나 짓는데 분양가를 제품품질로 안따지고 어떤브랜드냐 어디에위치하고있냐 그런걸로만 따지니깐 제품이좋을리가있겠어요? 건설사 오래되고 썩어빠진 관행들 많아요. 예로부터 돈빼돌리기 제일 좋은사업이 건설사라는거 다 모르셨나요? 대기업이 왜 건설사 하나씩 가지고있으려 하시는지도 아셔야해요. 두서없이 길게썼는데 할말이 산더미네요 휴
@SwordMasterZeroSpeed6 жыл бұрын
고오오오급 정보
@박치기-x4y6 жыл бұрын
아파트에 살면외안돼요 자이에 살는데
@andylee41676 жыл бұрын
문제는 아파트가 살기가 굉장히 편해. 냉난방비도 절감되고. 뭐 주택에 살아도 매년 수리해야 하는 게 있고. 그리고 아파트는 평당으로 집값이 올라서 오르면 많이 오르는데, 주택은 10년이 가도 제자리야. 대단지 아파트가 잘 오르고 많이 오르는데는 다 이유가 있는거란다.
@박박콰5 жыл бұрын
부실하면 3곳은 꼭나오는군 부영 대명 GS
@즐볼5 жыл бұрын
평당 1000만 인데도 100:1 이래 이래서 후분양 될까요??
@이순신-k3e5 жыл бұрын
신규아파트 입주하실분들은 생각만이하시고 결정하세요
@DaeMong4 жыл бұрын
이때샀어야지 자이를 ㅋㅋㅋㅋㅋ
@김기웅-r9e3 жыл бұрын
전국에 자이 부실공사 많구나
@소형용달6 жыл бұрын
서울 성동구 행당동 자이 가봐 고가 사다리 이사불가능 엘리베이터 이사 인테리어 다시 하는집 한강조망은 1킬로 지상전철 조망은 70미터
@My-Dear6 жыл бұрын
솔직히 행당동이면 한강멀고 지상철로있는거 알고들어간거아닌가
@ranfodu30665 жыл бұрын
@@My-Dear ㄹㅇ ㅋㅋ
@남이종인-h4i Жыл бұрын
아직 까지도 이렇게 아파트 짓는 건설사들이 있다니
@TheJinMinHo2 жыл бұрын
윽... 이딴게 1군 건설사...
@miragon7776 жыл бұрын
대박..저게뭐야ㅡㅡ 한 30년은 지난 구아파트같은데... 재건축직전 금간아파트수준이다 진심으로.. 3년뒤에 파라곤입주해야하는데.. 파라곤은 제발 이런일 없기를 ... 백날 확인하러가야것따..
@creamofthecrop9966 жыл бұрын
하나 배웠다 GS건설... 믿고 거르자
@장선화-p9p6 жыл бұрын
그당시 포항은 비싸야 600이 안 되었어요 완전고가 아파트였죠 자주보는곳인디 ㅜㅜㅜ문제네요
@이석표-e6g6 жыл бұрын
구래두 입주하고 나면. 메이커면 조아조아 ..명품이네 떠들꺼야.
@두릉산골농장.참두릅6 жыл бұрын
포항에 지진 많이 생기는데 옥상에 금간거 보니 불안해서 살수 있을런지 골조가 부실한데 하자 보수 하면 달라질께 뭐가있는지 하자 보수 해도 시간지나면 원상태로 돌아가는걸 기초가 튼튼해야 하거늘...
@machmax76 жыл бұрын
이도영 저때 지진오기 며칠전 타설한곳이 저곳임.양생되기도전에..... 이하설명은 생략함.
@활주로-u7r Жыл бұрын
자이가 예전에 지은집도 이럴까요?
@내지갑-p7s6 жыл бұрын
ㅠ 포항인데 지진때매. 슈발 이사를가야되는 상황인데도 집이 안팔린다 ㅠ 돈없다....내가 무슨 죄를 지엇다고......그래도 여러분....포항 조용하고 좋습니다....네.....그렇다고요....하....
@daviddk92906 жыл бұрын
제발 다른건 그렇다 쳐도 단열이랑 방수는 좀 제대로 해주라.. 진짜 딴건 내 돈주고 고쳐도 이건 어떻게 해결이 안됨 --;
@배홍설 Жыл бұрын
사소한것 까지 문제 삼으면 앞으로 아파트값 오르고 일반인 들까지 저렴 하게 살수가 없어요,아파트는 그냥 얻을수 있는게 아니에요😢
@꼬마자동차-k9l5 жыл бұрын
건설사를 위해 후븐양햇으면 하자에 대한 법이 잘 만들어주야지.. 저건 답이없다..
@bkey57926 жыл бұрын
지진 2번이나 직격탄 맞은 포항인데.. 저런 고층건물로 입주를 하고 싶을까?
@삐앙이언니3 жыл бұрын
후분양제로 바뀌어야 합니다. 그리고 임금저렴하다고 외노자들 정말 많이 씁니다. 제맘대로들 하고요 심각합니다. 브랜드 이미지만 볼일이 아닙니다. 국가차원에서 노동자 비율 조절하고 감리 강화시켜야 합니다.
@이지원-w9r2g6 жыл бұрын
너무 무지한거죠 지방에서 gs라는 브랜드를 믿고 평당 1000만원에 계약했는데...완전 삼류 수준의 아파트 건설할 줄은...이번에 큰 비가 내린것도 아닌데 우스게 소리로 비올때마다 수영장이 만들어진다고 할 정도의 수준이니...정말 gs각성해야합니다
@박수관26 жыл бұрын
외국인노동자들 천지에 하도급에 하도급 원가절감 전부 예견된 일입니다. 브랜드아파트가 저정도면 끝 났다고 봅니다.
@Ian_Kim7046 жыл бұрын
외관은 멋있다
@kremlin98986 жыл бұрын
엘지 쟈이 인천의 한아파트도 문제가 엄청났었지 뉴스 찾아보셈.
@jhchoi70566 жыл бұрын
엘지 자이가 아니고 gs 자이입니다. GS는 엘지에서 십여년전 분리독립했습니다
@jihopark396 жыл бұрын
너무심하다
@햅삐이-q7y6 жыл бұрын
Jiho Park 2
@AlclrpTspekwndqhrdlsp6 жыл бұрын
감리도 사무실에 가만히 쳐앉아서 돈만 몇십억 받는거지. 도면대로만 지으면 된다면서 잘 짓는지 어떤지는 별 상관도 안하고. 나쁜넘들
@mKva6 жыл бұрын
보기엔 좋아보였는데. 포항중 젤좋은 우리 두산위브가 최고군
@김우식-q1p5 жыл бұрын
급결시엔트를 써서 2년안에 입주까지 하니까 시멘트는완전히 마르지 못하고 시멘트안에 있던 수분은 빠져나갈때가 없어 결로와 곰팡이 크랙이 생기는겁니다. 시멘트는 원래 크랙이 가게끔 되어 있는 제품이지만 그래도 저렇게 물이샐정도로 금이가면 안됩니다. 너무 급하게 짓는집은 좋은집이아닙니다.
@산행님6 жыл бұрын
부실공사 나 하자 문제도 있겠지만 포항 지진 때문에 아파트 산 걸 후회 하는 측면도 있을거다
@papafishing19876 жыл бұрын
후분양 제도로 바껴야해
@heartfour3 жыл бұрын
역시 삼성이 짱이다 삼성 래미안만 쏙 빠졌네 삼성이 다 해야됨 ㄹㅇ
@나의한마디6 жыл бұрын
요즘 아파트 부실공사 많다!~
@pd88066 жыл бұрын
협력사들 돈 못받겠네요. 그리고 우리나라 작업자들 인식 개선도 시급합니다.
@프리드리히돌격4 жыл бұрын
아구야 보이는게 저정도면? 안보이는데는 바닥이든 내력벽이든 철근 조금씩 조금씩 하청에서 백프로 빼먹었다관리감독 엉망이구나
@대표-o2b6 жыл бұрын
GS건설은 영업정지와 세무조사 ...시행하겠죠
@Ss-we9wx6 жыл бұрын
이제 그만 후분양제로 바꾸자.. 10만원 20만원도 아니고 억억 거리는 물건을 보지도 않고 사는게 말이되냐고~!!
@dadcook65766 жыл бұрын
매이커 건설사들이라고 고분양가에도 철썩같이 사서 확인도 제대로 안하니까 결국 완공전이 되서야 저모양... 하자와 미시공은 엄연히 차이가 심한데도 말장난하는 건설사에 아무것도 못하는 입주자현실. 법이 바뀌어야...선시공 후분양이 되도 중간에 확인안하면 매한가지.